KR20110100576A -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576A
KR20110100576A KR1020110006614A KR20110006614A KR20110100576A KR 20110100576 A KR20110100576 A KR 20110100576A KR 1020110006614 A KR1020110006614 A KR 1020110006614A KR 20110006614 A KR20110006614 A KR 20110006614A KR 20110100576 A KR20110100576 A KR 20110100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act
dome switch
dom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또시 다까모리
노리아끼 도이
Original Assignee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0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센터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조작성이 우수한 조작 스위치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회로부(60) 상에 복수의 2단 돔 스위치(51)가 배치된 조작 스위치(10)와, 상기 조작 스위치(10)의 검지 신호를 판별하는 제어부(82)를 구비한 조작 유닛이며, 상기 2단 돔 스위치(51)는, 누름 조작에 의한 가라앉음에 의해 접촉 통전하는 제1 접점(54)과, 상기 제1 접점(54)이 접촉 통전하는 가라앉음보다도 더욱 깊은 가라앉음에 의해 접촉 통전하는 제2 접점(52)을 구비하고, 상기 2단 돔 스위치(51)는, 상기 회로부(60) 상에 대략 원형으로 배열되어 복수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82)는 인접하는 상기 2단 돔 스위치(51)의 상기 제1 접점(54)의 검지 신호를 연속해서 취득하면 슬라이드 회전 조작이라고 판별하고, 상기 2단 돔 스위치(51)의 상기 제2 접점(52)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2단 돔 스위치(51)의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는 구성인 조작 유닛이다.

Description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OPERATING SWITCH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기기, 혹은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HMI부(Human Machine Interface)에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 및 상기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악, 화상 데이터, 콘텐츠의 검색이나 결정 등에 사용되는 다기능 입력이 가능한 조작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 입력 조작과 방향 입력 조작을 동일한 입력 조작 스위치로 행하는 영상 기록 장치의 입력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공지 기술은, 10년 정도 전에 광 디스크 기기에 사용한다고 하는 전제로 생각하여 출원되어 있다.
이 선행 공지예 중, 회전 검출과 다방향 입력 검출을 실현하는 스위치는 택타일(tactile) 스위치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키 톱을 통해 눌러진 택타일 스위치의 신호가 회전 신호인지, 혹은 방향 신호인지를, 메뉴 등에 의해 구별할 수밖에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매우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중심에 축을 두고 밸런싱을 취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센터 키를 배치시킬 수 없다. 이로 인해, 센터 키를 구비하여 상기 센터 키에 결정 기능을 갖게 하거나 할 수 없어, 조작성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16079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에 비추어, 센터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조작성이 우수한 조작 스위치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로부 상에 복수의 돔 스위치가 배치된 조작 스위치와, 상기 조작 스위치의 검지 신호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을 구비한 조작 유닛이며, 상기 돔 스위치는, 누름 조작에 의한 가라앉음에 의해 접촉 통전하는 제1 접점과, 상기 제1 접점이 접촉 통전하는 가라앉음보다도 더욱 깊은 가라앉음에 의해 접촉 통전하는 제2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회로부 상에 배열되어 복수 배치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인접하는 상기 돔 스위치의 상기 제1 접점의 검지 신호를 연속해서 취득하면 슬라이드 조작이라고 판별하고, 상기 돔 스위치의 상기 제2 접점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돔 스위치의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는 구성인 조작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조작은, 이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면서 표면에서 상기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조작, 혹은 적절한 부재를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조작으로서, 슬라이드 회전 조작, 혹은 슬라이드 이동 조작 등, 적절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리지드 기판이나 가요성 기판 등의 기판, 혹은 적절한 배선을 행한 배선부 등, 회로를 갖는 적절한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센터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조작성이 우수한 조작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로서, 조작 평면과, 상기 조작 평면이 누름 조작되면 상기 조작 평면의 이면측에서 상기 돔 스위치를 누르는 누름부를 갖는 복수의 누름 조작부를, 상기 각 돔 스위치에 각각 대향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돔 스위치의 제1 접점에 의한 접촉 통전이나 제2 접점에 의한 접촉 통전을 안정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특히, 돔 스위치보다도 누름 조작부의 표면을 넓게 구성하면, 이용자의 터치 조작 등에 반응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대략 원반형이며 중앙의 구멍과 상기 구멍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복수의 홈 구멍을 갖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홈 구멍 사이의 부위를 상기 누름 조작부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1개의 홀더에 설치된 복수의 누름 조작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대응하는 돔 스위치를 누를 수 있어,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돔 스위치는, 대략 원형으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상기 모든 누름 조작부의 상기 조작 평면측을 덮어 상기 대략 원형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슬라이드 조작으로서의 슬라이드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누름 조작부를 1개씩 눌러 상기 돔 스위치의 상기 제1 접점을 상기 검지부에 접촉시키는 누름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제로 회전체를 회전시켜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의 회전이 행해지면, 인접하는 돔 스위치가 반드시 차례로 검지되게 되므로, 확실하게 회전 조작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상기 회로부 상에, 대략 중심 위치에서 누름 조작을 검지하는 센터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센터 스위치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위 형상은, 대략 원형, 대략 타원형 또는 대략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12각형, 16각형 등의 적절한 다각형) 등, 센터 스위치의 주위를 둘러싸는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회전 조작에 의한 선택 등, 센터 스위치의 주위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한 동작 지시를 받아들여 센터 스위치에서 누름 조작에 의한 결정 등의 동작 지시를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부 상에 복수의 돔 스위치가 배치된 조작 스위치이며, 상기 돔 스위치는, 누름 조작에 의한 가라앉음에 의해 접촉 통전하는 제1 접점과, 상기 제1 접점이 접촉 통전하는 가라앉음보다도 더욱 깊은 가라앉음에 의해 접촉 통전하는 제2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회로부 상에 대략 원형으로 4개 이상 배열되어 배치된 조작 스위치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검지가 가능한 조작 스위치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조작 스위치를 탑재하는 하드웨어의 제어부가, 인접하는 돔 스위치의 제1 접점의 검지를 검지하면 회전 조작이라고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회전 조작을 실현할 수 있고, 고가인 스위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작 유닛과, 상기 조작 유닛에 의해 조작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정보 출력을 행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센터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조작성이 우수한 조작 스위치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정면도.
도 2는 조작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스위치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스위치 본체를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스위치 본체의 사시 단면도.
도 6은 2단 돔 스위치의 설명도.
도 7은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주변 스위치의 검지 신호를 받아 실행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10은 제2 실시예의 조작 스위치를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11은 제2 실시예의 조작 스위치를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제2 실시예의 조작 스위치의 사시도.
도 13은 제2 실시예의 조작 스위치의 회전 조작체의 설명도.
도 14는 제2 실시예의 조작 스위치의 사시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조작 스위치(10)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1)의 정면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는, 상면 우측에 촬영 개시용 셔터 버튼(3)이 설치되어 있고, 도시 생략하는 배면에 카메라 렌즈가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의 정면에는 표시기(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우측 옆에 인접하여 조작 스위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스위치(10)는, 디지털 카메라(1)의 촬영 조건 등의 설정용 스위치 및 보존된 사진의 선택용 스위치 등에 사용된다. 조작 스위치(10)의 상방에는, 메뉴 화면 등을 표시기(2)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 버튼(4)이 설치되고, 조작 스위치(10)의 하방에는, 촬영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재생 버튼(5)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 스위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조작 스위치(10)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조작 스위치(10)를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조작 스위치(10)를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조작 스위치(10)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2단 돔 스위치(51)의 설명도를 도시한다.
조작 스위치(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2)의 표면에 평면 링 형상의 표면 시트(11)가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표면 시트(11)는, 고무 시트 등에 의해 구성되고, 중앙에 압자(pusher) 통과 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 시트(11)는 홀더(20)의 표면 전체를 피복한다.
스위치 본체(1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차례로 홀더(20), 압자(30), 돔 시트(40), 스위치군(50) 및 기판(6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홀더(20)는 이용자에 의한 누름 조작을 받아 휨 변형이 가능한 POM 수지(POM:폴리옥시메틸렌), ABS 수지(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수지 등의 연성 재료에 의해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반 형상의 중앙부 축 방향으로 압자 삽입 관통 구멍(24)이 관통되어 있다. 이 홀더(20)의 외주는 플랜지(28)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28)의 더욱 외측 4개소에 장착 다리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4개의 장착 다리부(29)는, 서로 90도의 위치(상하 좌우)에 배치되어 있고, 하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홀더(20)에 있어서의 플랜지(28)의 내측은, 도시 상방(누름 조작측)으로 한층 높게 형성되어 있고, 이 한층 높은 부분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8개의 홈 구멍(23)으로 균등하게 분할되어 8개의 누름 조작부(21)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 조작부(21)는, 플랜지(28) 근방으로 되는 베이스부측에 컷 아웃 홀(22)이 형성되고, 이 컷 아웃 홀(22)의 양 옆 부분에서 플랜지(28)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누름 조작부(21)는 누름 조작을 받으면 용이하게 2단 돔 스위치(51)측으로 휨 변형될 수 있어, 미소한 힘에 의한 누름(예를 들어, 손가락이 접촉하는 정도)을 2단 돔 스위치(51)에 전달할 수 있다.
누름 조작부(21)의 도시 상면(누름 조작측)은 평면이며, 모든 누름 조작부(21)의 도시 상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 조작부(21)의 도시 하면[2단 돔 스위치(51)측]의 대부분에는, 오목 형상의 오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즉, 누름 조작부(21)의 압자(30) 측단부와 플랜지(28) 단부 이외의 내측 부분이 얇게 형성되어 있다.
누름 조작부(21)의 압자(30) 측단부는, 도시 하면[2단 돔 스위치(51)측]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자 가이드(25)가 설치되고, 상기 압자 가이드(25)와 오목부(21a) 사이의 양단부에 걸림 돌기(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1a)의 중앙에는 도시 하면[2단 돔 스위치(51)측]으로 돌출되는 누름 돌기(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돌기(27)는, 2단 돔 스위치(51)의 정점이 되는 중심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누름 돌기(27)는 걸림 돌기(26)보다도 2단 돔 스위치(51)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누름 조작이 행해지면, 누름 돌기(27)에 의해 2단 돔 스위치(51)를 적확하게 눌러 검지할 수 있고, 또한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눌러져도 걸림 돌기(26)에 의해 걸려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자(30)는 합성 수지성 재료에 의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홀더(20)의 압자 삽입 관통 구멍(24)에 삽입 관통된다. 그 원반 형상의 외주부에는, 플랜지(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32)가 홀더(20)의 압자 가이드(25)에 결합되어, 압자(30)는 빠짐 방지된다.
압자(30)의 도시 하면 중앙에는, 누름 위치에 대응하여 누름 돌기(33)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누름 돌기(33)가 1단 돔 스위치(55)를 누른다.
돔 시트(40)는 PET재의 하면측에 양면 테이프가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고, 홀더(20)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의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돔 시트(40)의 외주에는, 4개소에 장착 볼록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4개의 장착 볼록부(49)는 서로 90도의 위치(상하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 볼록부(49)는 상면측의 PET 부재가 잘라내어져 양면 테이프 상면이 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 볼록부(49)의 상면에 홀더(20)의 장착 다리부(29)가 장착된다.
돔 시트(40)의 중앙에는, 1단 돔 수용부(43)가 설치되고, 이 1단 돔 수용부(43)를 중심으로 하여 8개의 2단 돔 수용부(42)가 균등 간격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2단 돔 수용부(42)의 도시 하방은, 2단 돔 스위치 수용 공간(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2단 돔 스위치 수용 공간(44)은, 2단 돔 스위치(51)보다 한층 큰 형상의 오목부이며, 2개의 2단 돔 스위치 수용 공간(44)이 에어 패스 공간(45)으로 연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시 상방으로부터 눌러져 변형될 때에, 내부의 공기를 에어 패스 공간(45)을 통해 인접한 2단 돔 스위치 수용 공간(44)으로 퇴피시킬 수 있어, 저항 없이 누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1단 돔 수용부(43)의 도시 하방은, 1단 돔 스위치 수용 공간(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1단 돔 스위치 수용 공간(46)은, 1단 돔 스위치(55)보다 한층 큰 형상의 오목부이며, 주위에 4개의 에어 패스 공간(4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시 상방으로부터 눌러져 변형될 때에, 내부의 공기를 4개의 에어 패스 공간(47)으로 퇴피시킬 수 있어, 저항 없이 누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돔 시트(40)의 도시 하면은,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고, 2단 돔 스위치 수용 공간(44) 내에 수납된 2단 돔 스위치(51)가 정점을 중심으로 접착되고, 1단 돔 스위치 수용 공간(46) 내에 수용된 1단 돔 스위치(55)가 정점을 중심으로 접착된다. 그리고 1단 돔 스위치(55) 및 2단 돔 스위치(51)의 주위는, 에어 패스 공간(45, 47)을 제외하고 기판(60)의 표면에 간극 없이 접착되어, 이물질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스위치군(50)은, 중앙에 배치되는 1개의 1단 돔 스위치(55)와, 상기 1단 돔 스위치(55)를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8개 균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2단 돔 스위치(51)로 구성되어 있다.
1단 돔 스위치(5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 접시 형상으로 중앙의 접점(56)이 정점이 되고, 외주에 설치된 커먼 접점(57)이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시 접점(64b)에 상시 접촉한다. 접점(56)은 누름 조작되어 있지 않은 통상 상태일 때, 접점(64a)으로부터 충분한 간극(클리어런스)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2단 돔 스위치(51)는, 도 6의 (a)의 정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외주 4개소를 절결한 형상을 갖고 있고, 외주에 2개의 커먼 접점(53)과 2개의 제1 접점(54)이 설치되고, 중앙에 제2 접점(52)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커먼 접점(53)은, 중앙에 제2 접점(52)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1 접점(54)은, 중앙에 제2 접점(52)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2개의 커먼 접점(53)과 2개의 제1 접점(54)은, 90도씩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2단 돔 스위치(51)의 제2 접점(52)이 설치되어 있는 중앙의 만곡 부분은, 반전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이로 인해, 2단 돔 스위치(51)의 정점이 소정 스트로크 눌러지면, 그 주위의 만곡 부분이 반전 스프링으로 되어 요철이 바뀌어, 제2 접점(52)이 그 아래의 제2 접점(62c)(도 3 참조)에 접촉한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 6의 (a)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단 돔 스위치(51)는 중앙의 제2 접점(52)이 정점이 되고, 2개의 커먼 접점(53)이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시 접점(62b)(도 3 참조)에 상시 접촉한다.
그리고 누름 조작되어 있지 않은 통상 상태일 때, 도 6의 (b)의 B-B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제1 접점(54)은, 제1 접점(62a)과 약간의 간극(클리어런스)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제2 접점(52)은, 누름 조작되어 있지 않은 통상 상태일 때, 제2 접점(62c)과 충분한 간극(클리어런스)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60)은, 경질의 리지드 기판이며, 중앙부에 중앙 고정 접점[64(64a, 64b)]을 갖고, 그 주변의 8방향에 주변 고정 접점[62(62a, 62b, 62c)]을 갖고 있다. 또한, 기판(60)은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65)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판(60)에 대해, 1개의 중앙 고정 접점(64)에 대응시켜 1단 돔 스위치(55)를 탑재하고, 8개의 주변 고정 접점(62)에 대응시켜 2단 돔 스위치(51)를 탑재하고, 이들의 상면을 돔 시트(40)로 덮어 기판(60)의 정위치에 돔 스위치(51, 55)를 부착한다. 이에 의해, 압자(30)가 눌러지는 누름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중앙 스위치(S1)와, 홀더(20)가 터치 혹은 눌러지는 각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회전 조작도 검지 가능한 8개의 주변 스위치(S2)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작 스위치(10)에 있어서, 누름 조작부(21)는 장착 다리부(29)에 의해 상방으로 이격되어 유지된다. 이로 인해, 이용자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눌러지면 상기 누름 방향으로 누름 조작부(21)가 틸팅된다. 또한, 통상의 상태에서, 누름 돌기(27)가 주변 스위치(S2)의 정점부에 접촉하고 있거나 매우 근접한 상태이므로, 이용자에 의해 가볍게 접촉된 것만으로도 약간 가라앉아 주변 스위치(S2)를 눌러, 제1 접점에서의 제1 신호 검지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회전 조작과 같은 가벼운 터치를 검지할 수 있다.
도 7은 이와 같이 구성된 조작 스위치(10)를 구비한 조작 유닛(80) 및 상기 조작 유닛(80)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는 제어부(82)에 접속하여, 로우 패스 필터(81), 조작 버튼(3, 4, 5), 전원부(86), 표시기(2), 플래시(83), 카메라부(84) 및 기억부(85)가 설치되어 있다.
로우 패스 필터(81)에는 조작 스위치(10)가 접속되어 있다. 이 로우 패스 필터(81)는, 조작 스위치(10)의 1단 돔 스위치(55)나 2단 돔 스위치(51)로부터 순간적인 통전(예를 들어 1μs 이하)에 의한 신호를 수취한 경우에, 이 신호를 컷트하여 검지하지 않도록 하고, 그 이상 긴 시간의 통전에 의한 신호만을 제어부(82)에 전달한다. 이에 의해, 충돌 등에 의해 조작 스위치(10)가 순간적으로 누름 조작된 경우에 오동작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조작 버튼(3, 4, 5)[도 1에 도시한 셔터 버튼(3), 메뉴 버튼(4), 재생 버튼(5)]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된 누름 신호를 제어부(82)에 전달한다.
전원부(86)는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표시기(2)는 제어부(82)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한다. 이 화상에는, 카메라부(84)로 촬영하고 있는 화상이나, 촬영하여 기억부(85)에 보존한 화상, 혹은 메뉴 화상 등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82)는 조작 스위치(10)로부터 수신하는 검지 신호 및 조작 버튼(3, 4, 5)이 눌러진 누름 신호를 수취하여, 각 부의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이 제어부(82)는 조작 유닛(80)의 구성 요소로서, 조작 스위치(10)로부터 수신하는 검지 신호에 따라서, 중앙 스위치(S1)의 누름, 주변 스위치(S2)의 터치, 주변 스위치(S2)의 회전 조작, 주변 스위치(S2)의 압입 조작을 판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기능을 갖는 제어부(82)와, 조작 스위치(10)와, 로우 패스 필터(81)로, 조작 유닛(80)이 구성되어 있다.
플래시(83)는 제어부(82)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스트로보 발광한다.
카메라부(84)는 제어부(82)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촬영하고, 촬영 화상을 제어부(82)에 전달한다.
기억부(85)는 제어부(82)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데이터의 판독 기입을 행한다. 이 데이터에는, 카메라부(84)에 의해 촬영된 촬영 화상 데이터 및 메뉴 화면 등을 표시하는 프로그램 등, 적절한 데이터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는 조작 스위치(10)나 조작 버튼(3, 4, 5)의 조작에 따라서 동작하고, 플래시(83)에 의한 조명, 카메라부(84)에 의한 촬영, 표시기(2)에의 촬영 화상의 표시 등, 촬영에 필요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를 사용하는 이용자에 의해 조작 스위치(10)가 조작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조작 스위치(10)의 조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조작 스위치(10)의 사시도이다. 이 사시도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중앙 스위치(S1)는 1단계의 누름 조작을 검지할 수 있고, 8개의 주변 스위치(S2)는 각각 2단계의 누름 조작을 검지할 수 있다. 이 주변 스위치(S2)의 2단계의 검지는, 1단계째에서 접촉하는 정도의 가벼운 터치를 검지할 수 있고, 2단계째에서 확실히 누르는 누름을 검지할 수 있다.
도 8의 (b)는 8개의 주변 스위치(S2)의 1단계째의 터치 조작에 의해 회전 조작이 행해졌을 때의 검지 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면 중의 부호 S2-1a 내지 S2-8a는 8개의 주변 스위치(S2)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 스위치(10)의 상면이 원을 그리는 것과 같이 이용자에 의해 접촉되면, 8개의 주변 스위치(S2)가 차례로 누름 검지하여 제1 신호를 순차 출력한다. 이로 인해, 제어부(82)는 인접하는 주변 스위치(S2)로부터 차례로 제1 신호를 검지하면, 회전 조작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제1 신호를 검지하는 주변 스위치(S2)의 순서에 따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의 회전 조작을 검지할 수 있다.
도 8의 (c)는 1개의 주변 스위치(S2)에 있어서의 1단계째의 터치 조작과 2단계째의 누름 조작이 행해졌을 때의 검지 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 스위치(10)의 상면에 있어서의 8방향 중 1방향이 강하게 눌러지면, 우선 주변 스위치(S2)에 의해 S2-1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계의 검지가 행해지고, 계속해서 S2-1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계의 검지가 행해진다. 누름이 멈추어지면, 제2 단계의 OFF 검지가 행해지고, 다음에(혹은 거의 동시에) 제1 단계의 OFF 검지가 행해진다.
도 9는 디지털 카메라(1) 및 조작 유닛(80)의 제어부(82)가, 주변 스위치(S2)의 검지 신호를 받아 실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개의 주변 스위치(S2)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제1 접점(54)이 제1 접점(62a)에 접촉하여 통전하는 것에 의한 제1 신호를 받으면(단계 S1: "예"), 제어부(82)는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초기 동작을 실행한다(단계 S2). 이 초기 동작은, 예를 들어 슬립(sleep) 모드로 들어가 소등되어 있는 표시기(2)를 점등시키는 등, 적절한 동작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82)는 동일한 주변 스위치(S2)로부터 제2 접점(52)의 접촉 통전에 의한 제2 신호를 받으면(단계 S3: "예"), 제2 신호 검지 동작을 실행한다(단계 S4). 이 제2 신호 검지 동작은, 예를 들어 누름 검지한 주변 스위치(S2)의 방향이 입력되었다고 하는 방향 검지, 누름 검지한 주변 스위치(S2)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의 호출 등, 적절한 동작으로 할 수 있다.
제2 접점(52)의 누름이 검지되지 않고(단계 S3:"아니오"), 회전 조작을 검지하면(단계 S5: "예"), 제어부(82)는 회전 검지 동작을 실행한다(단계 S6). 여기서 회전 조작이라 검지하는 것은, 도 8의 (b)와 함께 설명한 제1 신호의 연속 검지가 있었던 경우로 하면 된다. 회전 검지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어 표시기(2)에 표시하고 있는 화상(이미 촬영한 화상 등)을 다음 화상으로 연속해서 변경하는 동작, 혹은 촬영 상태일 때 확대(줌)나 축소하는 동작 등, 적절한 동작으로 할 수 있다.
회전 조작의 검지가 없이(단계 S5:"아니오"), 현재 검지하고 있는 주변 스위치(S2)의 접촉 OFF를 검지하면(단계 S7: "예"), 제어부(82)는 처리를 종료한다. 접촉 OFF를 검지할 때까지나(단계 S7:"아니오"), 상기 단계 S4, S6을 행한 후는, 단계 S3으로 처리를 복귀하여 반복한다.
이상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조작 유닛(80)은 간결한 구성으로 회전 조작과 방향 입력 조작의 검지를 실현할 수 있다.
중앙에는 센터 스위치로 되는 압자(3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회전 조작이나 방향 입력 조작 후에 압자(30)에 의해 결정하는 등의 조작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조그 다이얼과 같이 물리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지 않고 회전 조작을 검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저비용, 박형화(소형화) 및 내마모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8개의 누름 조작부(21)는 홈 구멍(23)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독립적으로 틸팅할 수 있고, 주변 스위치(S2)의 터치 조작이나 누름 조작시에 인접하는 주변 스위치(S2)가 연동하여 누름 검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2단 돔 스위치(51)에 의해 누름의 강도가 다른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누름 조작시의 작용점을 누름 조작부(21)의 누름 돌기(27)와 2단 돔 스위치(51)의 정점이 접촉하는 1점으로 할 수 있어, 안정된 동작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2단 돔 스위치(51)는 제1 신호를 출력할 때까지는, 누름 조작에 저항하는 탄성력이 2개소의 커먼 접점(53)에 유래하는 것뿐이므로, 가벼운 누름력으로 용이하게 스위치 ON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신호의 출력 후에 제2 신호를 출력할 때까지는, 누름 조작에 저항하는 탄성력이, 2개의 커먼 접점(53)과 2개의 제1 접점(54)에 유래하는 상태로 되어 강해진다. 이로 인해, 확실히 누르지 않으면 스위치 ON으로 되지 않아, 이용자는 제1 신호에 필요로 하는 누름력과 제2 신호에 필요로 하는 누름력의 차를 명료하게 인식하여 구분지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로우 패스 필터(81)에 의해 충격에 의한 스위치 ON을 배제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신호가 검지되었을 때에 준비 동작을 실행하는 구성이라도, 충격이라면 준비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부(86)의 배터리가 소모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스위치(10)는 중앙 방향의 1단 돔 스위치(55)와 8방향의 2단 돔 스위치(51)에 의해 9방향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또한 회전 스위치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회전 다방향 입력 복합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주변 스위치(S2)로부터 제1 신호를 순차 수취하는 속도에 맞추어 동작 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회전 속도에 따른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주변 스위치(S2)로부터 제1 신호를 수취하는 순서에 따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을 판별함으로써, 회전 방향에 따른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유닛(80)의 제어부(82)를 디지털 카메라(1)의 제어부(82)와 공통으로 하였지만, 다른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다른 구성으로 한 제어부와 조작 스위치(10)에 의해 독립된 조작 유닛을 구성할 수 있고, 이 조작 유닛을 휴대 기기에 더욱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유닛(80)이나 조작 스위치(10)를 설치하는 휴대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1)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전화기나 PDA 등의 모바일 기기, 리모트 컨트롤러 기기 등 적절한 기기로 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스위치(S2)의 수는, 8개에 한정되지 않고, 4개로 하거나, 12개로 하거나, 16개로 하는 등 적절한 개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스위치(S2)의 개수는, 4의 정수배의 개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홀더(20)는 8개의 홈 구멍(23)으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8개의 누름 조작부(21)를 일체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4개 이상의 홈 구멍(23)으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4개 이상의 누름 조작부(21)를 일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주변 스위치(S2)에서만 제1 신호를 검지한 경우, 초기 동작의 실행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신호를 저속의 방향 결정으로 하고, 제2 신호를 고속의 방향 결정으로 하여, 또한 인접하는 주변 스위치(S2)로부터 제1 신호를 연속 검지하면 회전 조작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시 접점(62b)을 없애도 좋다. 이 경우, 2단 돔 스위치(51)의 커먼 접점(53)은, 상기 2단 돔 스위치(51)의 높이를 유지하는 다리로서만 기능한다. 그리고 2단 돔 스위치(51)에 있어서의 2개의 제1 접점(54)이 2개의 제1 접점(62a)에 양쪽 접촉하였을 때에, 제1 신호를 검지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 경우, 2단 돔 스위치(51)가 돔 시트(40)의 2단 돔 수용부(42)에 경사진 상태로 접착되어 버려, 1개의 제1 접점(54)이 제1 접점(62a)에 상시 접속된 상태로 되어 버려도, 다른 쪽의 제1 접점(54)이 제1 접점(62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다른 쪽의 제1 접점(54)이 제1 접점(62a)에 접촉 통전하여 제1 신호를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11)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라도, 이용자는 홀더(20)의 표면을 터치 조작 및 누를 수 있어, 터치, 회전, 누름 등의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로서, 리지드 기판이 아니라 FPC를 사용한 경우의 조작 스위치(10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조작 스위치(10A)를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조작 스위치(10)를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조작 스위치(10A)는 상방으로부터 차례로 조작체(20A), 압자(30A), 돔 시트(40A), 스위치군(50), 기판(60A) 및 베이스(70A)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작체(20A)는 합성 수지성 재료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반 형상의 중앙부 축 방향으로 압자 삽입 관통 구멍(24)이 관통되어 있고, 환 형상의 캡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조작체(20A)의 외주는, 걸림 돌기(29A)가 설치되어 있다. 이 4개의 걸림 돌기(29A)는 서로 90도의 위치(상하 좌우)에 배치되어 있고, 하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조작체(20A)의 하면에는, 2단 돔 스위치(51)측으로 돌출되는 누름 돌기(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돌기(27)는 2단 돔 스위치(51)의 정점이 되는 중심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체(20A)에 있어서의 누름 돌기(27) 주변 부위가 누름 조작부(21A)로서 기능하여, 상기 누름 조작부(21A)의 표면이 눌러짐으로써 누름 돌기(27)가 하방의 2단 돔 스위치(51)를 누른다.
조작체(20A)의 압자(30) 측단부는, 2단 돔 스위치(51)측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자 가이드(25)가 설치되어 있다.
압자(30A)는 외주의 일부에 걸림 돌기(3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32A)가 조작체(20A)의 압자 가이드(25)에 결합되어 압자(30A)가 빠짐 방지된다.
돔 시트(40A)는 제1 실시예와 같은 장착 볼록부(49)가 설치되지 않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60A)은 유연성이 있는 프린트 배선 기판이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주변 고정 접점(62), 중앙 고정 접점(64) 및 출력 단자(65)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70A)는 조작체(20A)보다 약간 큰 금속 원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70A)의 외주에는, 4방향의 저면으로부터 역 오목 형상의 승강 가이드편(71)이 기립 돌출되어 있다. 이 승강 가이드편(71)은, 역 오목형 내에 상술한 조작체(20A)의 걸림 돌기(29A)를 결합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누름 스트로크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 4방향의 승강 가이드편(71)에 걸림 돌기(29A)가 각각 결합 유지됨으로써, 최상부의 조작체(20A)는 누름시에 눌러진 방향에 대응하여 틸팅된다. 따라서, 조작체(20A)는 조작체(20A) 전체적으로는 약간 틸팅됨으로써, 틸팅에 의해 일정한 누름 스트로크량만큼 가라앉은 부분이 주변 스위치(S2)를 눌러,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예의 조작체(20A)도, 회전 조작을 검지할 수 있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압자(30A)는 조작체(20A)와 다른 부재로 구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자(30A)와 조작체(20A)를 수지재에 의해 일체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압자(30A)와 조작체(20A) 사이에 수지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수지 스프링의 존재에 의해 압자(30A)와 조작체(20A)가 독립적으로 누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좋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물리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조작체를 구비한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조작 스위치(10B)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3의 (a)는 조작 스위치(10B)의 회전 조작체(11B)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3의 (b)는 회전 조작체(11B)를 이면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조작 스위치(10B)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조작 스위치(10B)는 홀더(20B)의 상면에 링 형상의 홈(M)이 형성되고, 상기 홈(M)의 내측에 누름 조작부(21)가 설치되고, 홈(M)의 외측에 컷 아웃 홀(22)이 형성되어 있다. 홈(M)에는 누름 조작부(21)에 1대 1 대응하는 볼록부(T)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20B)의 상면은, 회전 가능한 회전 조작체(11B)로 피복되어 있다. 이 회전 조작체(11B)는 이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약간 변형되는 유연성이 있고, 또한 회전 조작할 때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갖는 적절한 수지 등의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조작체(11B)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12)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 조작체(11B)의 이면에는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 돌기(13)가 1개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돌기(13)는 홀더(20B)의 홈(M)에 끼워 넣어져, 상기 홈(M) 내를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조작체(11B)의 압자(30) 근방 위치의 이면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빠짐 방지 링(1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빠짐 방지 링(19)은, 외주가 홀더(20B)의 압자 가이드(25)에 결합되어 빠짐 방지된다. 그리고 압자(30)는 빠짐 방지 링(19)에 플랜지(32)가 결합됨으로써 빠짐 방지된다. 즉,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압자 가이드(25)와 플랜지(32) 사이에 빠짐 방지 링(19)이 끼워지는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회전 조작체(11B)를 물리적으로 회전 조작하면, 홈(M)을 따라 누름 돌기(13)가 회전 이동하고, 이 누름 돌기(13)가 볼록부(T)에 접촉하여 타고 넘을 때에, 누름 조작부(21)가 하방으로 눌러져 주변 스위치(S2)의 제1 접점(54)이 제1 접점(62a)에 접촉하여 제1 신호가 검지된다. 이에 의해, 회전 조작을 안정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체(11B)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누름 조작부(21)가 틸팅되고, 어느 정도의 강도를 초과한 시점에서 2단 돔 스위치(51)가 반전하여 제2 접점(52)에 의한 제2 신호의 검지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방향 입력 등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 스위치(10B)는 물리적인 회전 동작이 행해지는 점이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한 실시 형태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출력 수단은, 표시기(2)에 대응하고,
회전체는, 회전 조작체(11B)에 대응하고,
조작 평면은, 누름 조작부(21)의 상면에 대응하고,
누름부는, 누름 돌기(27)에 대응하고,
돔 스위치는, 2단 돔 스위치(51)에 대응하고,
센터 스위치는, 1단 돔 스위치(55)에 대응하고,
판별 수단 및 제어 수단은, 제어부(82)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기기, 혹은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HMI부(Human Machine Interface)에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음악, 화상 데이터, 콘텐츠의 검색이나 결정 등에 사용되는 다기능 입력이 가능한 조작 스위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디지털 카메라
2 : 표시기
10, 10A, 10B : 조작 스위치
11B : 회전 조작체
13 : 누름 돌기
21 : 누름 조작부
27 : 누름 돌기
51 : 2단 돔 스위치
52 : 제2 접점
54 : 제1 접점
55 : 1단 돔 스위치
60, 60A : 기판
80 : 조작 유닛
82 : 제어부

Claims (7)

  1. 회로부 상에 복수의 돔 스위치가 배치된 조작 스위치와, 상기 조작 스위치의 검지 신호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을 구비한 조작 유닛이며,
    상기 돔 스위치는,
    누름 조작에 의한 가라앉음에 의해 접촉 통전하는 제1 접점과, 상기 제1 접점이 접촉 통전하는 가라앉음보다도 더욱 깊은 가라앉음에 의해 접촉 통전하는 제2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회로부 상에 배열되어 복수 배치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인접하는 상기 돔 스위치의 상기 제1 접점의 검지 신호를 연속해서 취득하면 슬라이드 조작이라고 판별하고,
    상기 돔 스위치의 상기 제2 접점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돔 스위치의 누름 조작이라고 판별하는 구성인, 조작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조작 평면과, 상기 조작 평면이 누름 조작되면 상기 조작 평면의 이면측에서 상기 돔 스위치를 누르는 누름부를 갖는 복수의 누름 조작부를, 상기 각 돔 스위치에 각각 대향 배치한, 조작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대략 원반형이며 중앙의 구멍과 상기 구멍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복수의 홈 구멍을 갖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홈 구멍 사이의 부위를 상기 누름 조작부로 한, 조작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는 대략 원형으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상기 모든 누름 조작부의 상기 조작 평면측을 덮어 상기 대략 원형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슬라이드 조작으로서의 슬라이드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누름 조작부를 1개씩 눌러 상기 돔 스위치의 상기 제1 접점을 상기 검지부에 접촉시키는 누름 돌기를 구비한, 조작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 상에,
    대략 중심 위치에서 누름 조작을 검지하는 센터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센터 스위치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위 형상으로 배치된, 조작 유닛.
  6. 회로부 상에 복수의 돔 스위치가 배치된 조작 스위치이며,
    상기 돔 스위치는,
    누름 조작에 의한 가라앉음에 의해 접촉 통전하는 제1 접점과, 상기 제1 접점이 접촉 통전하는 가라앉음보다도 더욱 깊은 가라앉음에 의해 접촉 통전하는 제2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회로부 상에 대략 원형으로 4개 이상 배열되어 배치된, 조작 스위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조작 유닛과,
    상기 조작 유닛에 의해 조작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정보 출력을 행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
KR1020110006614A 2010-03-04 2011-01-24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 KR201101005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7828 2010-03-04
JP2010047828A JP2011187168A (ja) 2010-03-04 2010-03-04 操作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576A true KR20110100576A (ko) 2011-09-14

Family

ID=4460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614A KR20110100576A (ko) 2010-03-04 2011-01-24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187168A (ko)
KR (1) KR20110100576A (ko)
CN (1) CN1021945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1427A (zh) * 2018-11-23 2020-06-02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旋钮装置的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06719A (zh) * 2004-06-15 2007-01-31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圆顶形触点和包括该触点的多级工作的电气开关
JP2007066635A (ja) * 2005-08-30 2007-03-15 Mitsumi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
KR100950799B1 (ko) * 2007-10-22 2010-04-02 주식회사 두성테크 스위치용 돔
JP5035105B2 (ja) * 2008-05-15 2012-09-26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87168A (ja) 2011-09-22
CN102194598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8784B2 (en) On-screen diagonal cursor navigation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EP1691263B2 (en) Display actuator
KR100939163B1 (ko) 회전 조작형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US7649477B2 (en) Lockable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educed alphabetic keyboard
US20100245277A1 (en) Input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20020155857A1 (en) Pointing device and mobile telephone
US20080051041A1 (en) Hybrid portrait-landscape handheld device with trackball navigation and qwerty hide-away keyboard
US20080080919A1 (en) Three row qwerty keyboard layout for compact landscape portable handheld messaging devices
US20070146193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reproducing system
JP4539787B1 (ja) 操作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US2010024523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ow Dexterity Requirement Input Means
KR20110100576A (ko)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
US20070188465A1 (en) Lockable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4729991B2 (ja) 電子機器
JP2011044345A (ja) 操作検出装置
US20070188466A1 (en) Lockable keyboard for a wireless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2011192413A (ja) 操作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KR101694281B1 (ko) 다방향 입력장치
US8205170B2 (en) Electronic devices
CN101118814A (zh) 具有显示器的四路翘板开关
JP5440284B2 (ja) アナログポインティングキー構造
JP2005115725A (ja) 入力装置
JP2011015187A (ja) 携帯機器
JP2011182200A (ja) 携帯端末
JP2010080282A (ja) 携帯機器の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