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639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639A
KR20130012639A KR1020110073895A KR20110073895A KR20130012639A KR 20130012639 A KR20130012639 A KR 20130012639A KR 1020110073895 A KR1020110073895 A KR 1020110073895A KR 20110073895 A KR20110073895 A KR 20110073895A KR 20130012639 A KR20130012639 A KR 20130012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body
suction
suction por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영
Original Assignee
임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영 filed Critical 임동영
Priority to KR102011007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639A/ko
Publication of KR2013001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흡입장치가 다양한 환경에서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흡입부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흡입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파이프 및 세 개의 모서리를 가진 삼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주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포함하고, 본체 일면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제1흡입구, 본체 타면의 상기 제1흡입구에 대향되는 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가로로 길게 형성되는 제2흡입구,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흡입구와 제1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유로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흡입구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제2유로로 이루어진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좁은 부위를 청소할 수 있는 흡입구와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흡입구가 별도로 형성되어 청소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기의 흡입장치가 다양한 환경에서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 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모터와 같은 동력원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바닥면 등의 오물을 흡입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청소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청소기는, 진공원(미도시)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10)와, 주파이프(25)와 상기 주파이프(25)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피청소면상에서 이동되면서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 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흡입장치(30)는, 바닥면에 흡입구가 관통형성되며 청소작업시 피청소면상을 이동하는 흡입헤드(31)와, 상기 흡입헤드(31)를 주파이프(20)에 공기소통 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소위 네크부라 일컬어지는 관절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이프(20)는 관절부(35)에 의해 흡입헤드(31)와 승강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관절부(35)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흡입장치(30)는, 회동의 방향이 한정되어 있어 예를 들어 벽과 벽이 만나는 구석을 청소하는데 있어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31)가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어, 좁은 틈을 청소하기에는 부적절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헤드 교체형의 청소기가 등장하여 좁은 단면을 가진 헤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헤드 교체형의 청소기 또한 교체 작업이 불편하고 파손 및 분실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좁은 틈에 넓은 면적의 흡입구를 사용하게 되면 흡입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일반적인 청소기는 흡입구 또는 헤드의 형상이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영역의 전체적인 청소가 불가능하고, 흡입효율 또한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청소기 흡입장치가 좁은 면과 넓은 면을 동시에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청소기의 흡입관과의 연결부위의 구조를 가져 청소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파이프 및 세 개의 모서리를 가진 삼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주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포함하고, 본체 일면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제1흡입구, 본체 타면의 상기 제1흡입구에 대향되는 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가로로 길게 형성되는 제2흡입구,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흡입구와 제1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유로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흡입구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제2유로로 이루어진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좁은 부위를 청소할 수 있는 흡입구와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흡입구가 별도로 형성되어 청소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흡입장치는 본체가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 대상이 되는 부위에 대해 편리하게 흡입구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고 지면과 접촉시 구름저항을 저감하는 구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에 들어가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구름부재가 상기 본체의 각 면에 3개가 각 모서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지면에 대해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본체의 각 변은 내측으로 만곡된 호 형상인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공간적인 활용 능력이 우수하고, 향상된 미감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의 상기 본체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의 개구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에 접하여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회동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가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에 대해 회전하면 상기 회동판이 고정판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와 상기 주파이프와의 연통을 개폐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흡입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효과적인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개구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 및 회동판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호간에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흡입부의 개방 및 폐쇄를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제1유로의 회동판과 제2유로의 회동판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에 대한 회전에 따라 대칭적으로 개방 및 폐쇄 동작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제1흡입구 및 제2흡입구의 작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장치 본체가 대략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에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에 의하여 흡입 동력을 전달하는 주파이프와 연결된다. 상기 흡입장치의 본체는 파이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고, 상기 흡입장치의 본체 일면의 일 모서리 부위에는 제1흡입구가 배치되고, 타면의 제1흡입구에 대향하는 부위의 한 변 상에는 제2흡입구가 배치되어, 제1흡입구가 지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제1유로의 개구부는 개방되고 제2유로의 개구부는 폐쇄되며, 제2흡입구가 지면을 바라보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제2유로의 개구부는 개방되고 제1유로의 개구부는 폐쇄된다. 따라서, 제1흡입구는 좁은 틈새를 청소하기 용이하고, 제2흡입구는 넓은 면적의 청소를 용이하도록 하여 한 개의 흡입장치만으로도 다양한 환경에서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흡입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흡입장치의 개구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좌측 도면은 제2흡입구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 도면은 제1흡입구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청소기는 흡입동력을 제공하는 본체(미도시), 지면에 대해 먼지 등을 흡입하는 흡입장치(100) 및 상기 본체와 흡입장치(100)를 연결하여 공기와 먼지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주파이프(200)로 이루어진다.
본체는 전력을 통하여 프로펠러의 회전동력으로 유체의 흐름을 발생하여 흡입장치쪽의 압력을 낮게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흡입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본체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주파이프(200)는 상기 본체와 흡입장치(100)를 상호 연결하여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져있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파이프 형상 및 굽힘이 용이한 연성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자바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흡입장치(100)는 주파이프(200)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해 직접적으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기술에서는 흡입장치가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효과적으로 청소를 실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흡입장치(100)는 대략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정확하게는, 흡입장치는 평면상 좁은 형상을 가진 세 모서리 부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는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상기한 바와 같이 모서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내측으로 만곡되는 경우, 단면의 면적을 더욱 작게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흡입 동작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흡입장치(100)는 먼지 등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데, 일면에 형성된 제1흡입구(111)와 타면에 형성된 제2흡입구(112)로 이루어진다.
흡입장치(100)는 전체적으로 대략 판상의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공기와 먼지 등이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선된다.
일면의 일 모서리 부위에 인접하여 개구 형상의 제1흡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111)는 상기 모서리 부위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제1흡입구(111)의 형상은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흡입장치(100) 타면에는 제2흡입구(1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흡입구(112)는 상기 제1흡입구(111)가 배치되는 모서리 부위에 대향한 변에 인접한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흡입구(112)는 제1흡입구(111)에 대비하여 더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양측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흡입장치(100)의 일면에 바닥면에 접촉할 때는 제1흡입구(111)가 전방에 위치하여 좁은 틈새를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지고, 타면이 바닥에 접촉할 때는 제2흡입구(112)가 전방에 위치하여 흡입장치(100)의 한 변의 대부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므로 바닥의 넓은 면적을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흡입장치(100)의 제1흡입구(111)와 제2흡입구(112)는 상호 연통되어 주파이프(200)와 이어질 수도 있지만, 흡입 압력의 효율을 위하여 각각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로의 구성은 도 3과 관련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주파이프(200)와 이어짐에 있어서 각 흡입구가 각각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주파이프(200)와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 파이프(200)로부터 흡입장치(100)와 연결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흡입장치(100)는 제1파이프(211)와 제2파이프(212)를 구비한다. 상기 제1파이프(211)와 제2파이프(212)는 흡입장치(100)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일면과 타면이 각각 상기 제1파이프(211)와 제2파이프(212)와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상호 선택가능하도록 회전될 수 있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파이프(211)는 제1흡입구(111)와 연통되어 주파이프(200)로 이어지고, 제2파이프(212)는 제2흡입구(112)와 연통되어 주파이프(200)로 이어진다.
도 2의 좌측도면은 이러한 개념에 따라, 흡입장치(100)의 타면이 지면을 바라보게 회동하여 제2흡입구(112)가 전방 바닥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흡입구(111)는 상면 후방에 배치되어 노출되어 있지만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 바닥의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바닥면을 더 적은 동작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우측 도면은 흡입장치(100)의 일면이 지면을 바라보게 회동하여 제1흡입구(111)가 전방 바닥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제2흡입구는 상면 후방에 배치되어 노출되지만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 작은 면적의 제1흡입구(111)는 좁은 틈새를 청소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상기 흡입장치(100)의 일면과 타면에는 바닥면과의 저항을 감소할 수 있도록 구름부재(15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150)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흡입장치(100) 전체가 삼각 형상임을 고려하여 각 면에 각각 3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름부재(150)가 배치되는 부위는 지면에 대한 균형있는 지지를 고려하여 상호간에 거리가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각 구름부재(150)는 모서리 부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입장치(100) 본체는 대략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제1흡입구(111)와 제2흡입구의 배치에 따른 공간을 최소화하는 데 바람직하나, 상기한 삼각형상은 변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의 각 변은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내측으로 만곡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삼각 형상의 본체는 제2흡입구(112)를 따라 가로로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막대형상의 중심부로부터 법선방향으로 따라 연장되어 단부측에서 제1흡입구(111)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파이프(211)와 제2파이프(212)는 본체의 양측에 대략 대향되어 배치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제1파이프(211)와 제2파이프(212)는 주파이프(200)와 함께 결합되는데, 일반적인 청소기의 경우 주파이프(200)의 단부에 다양한 흡입장치를 탈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흡입장치(100)는 삼각 형상의 본체와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주파이프(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주파이프(200)측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장치(100)의 내부 유로를 나타낼 수 있도록, 흡입장치(100) 본체의 일면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흡입장치(100) 본체의 일면이 상방으로 형성되어 제1흡입구(111)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흡입구(112)는 후방측 타면에 배치되어 도면에서와 같이 일부가 도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흡입구(111)와 제2흡입구(112)는 상호 연통되어 주파이프(200)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파이프(211)와 제2파이프(212)는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고, 구조적으로 단순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 때 흡입하는 압력, 더욱 정확하게는 진공 흡입력이 불필요하게 감소되어 동력의 손실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각각 별개의 유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흡입구(111)는 제1파이프(211)와 제1유로(121)을 통해 연결되고, 제2흡입구(112)는 제2파이프(212)와 제2유로(122)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제1유로(121)는 일모서리 부위에 위치한 제1흡입구(111)를 개방구로하여 본체의 한 변의 내부를 따라 이어지고, 본체와 제1파이프(211)와의 힌지 연결부위인 제1힌지부(130)에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제1유로(121)는 한 변을 따라 대략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선택에 따라 형상과 위치는 흡입장치 본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흡입구(112)는 상기 일모서리에 대향하는 변의 타면에 형성됨은 상기한 바와 같고, 제2유로(122)는 제2흡입구(112)를 개방구로 하여 본체의 내부를 따라 이어져, 본체와 제2파이프(212)와의 힌지 연결부위인 제2힌지부(140)에서 연결된다.
상기 제2유로(122)는 가로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느 제2유로(122)와 연통되기 때문에, 일 모서리에 대향하는 일 변에 인접한 부위에서는 가로로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로는 점점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제2힌지부(140)에 이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유로(121)와 제2유로(122)는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흡입구(111)가 배치되는 일면이 아래쪽으로 위치한 때에는 제1유로(121)만이 작동하고, 제2흡입구(112)가 배치되는 타면에 아래쪽으로 위치한 때에는 제2유로(122)만이 작동하게 된다.
도 4는 이러한 제1힌지부(130)의 개폐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파이프(211)와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제1힌지부(130)에는 대략 반원 형상의 고정판(131)이 고정 배치된다. 상기 고정판(131)은 대략 원형 형상의 유로 부위의 반을 폐쇄하고 반을 개방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유로(121)의 배출구인 제1개구부(101)에는 반원 형상의 회동판(132)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판(131)과 회동판(132)는 상호 밀착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흡입장치(100) 본체의 회동에 따라 회동판(132)이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제2파이프(212)와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제2힌지부 및 제2개구부에는 고정판과 회동판이 각각 배치되는데, 제1파이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로의 개방 및 폐쇄 구조를 구체적으로 이하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도 2의 우측 도면과 같이 제1흡입구(111)가 작동되는 상태에서는 제1힌지부(130)의 고정판(131)과 제1개구부(101)의 회동판(132)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개구부(101)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본체의 음압은 제1흡입구(111)에 전달되어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제2파이프(212)에서의 흡입은 차단되는데, 따라서 제1유로(121)의 제1개구부(101)와 제2유로(122)의 제2개구부(미도시)는 상호 교대하여 개방 및 폐쇄 동작이 이루어진다.
제2힌지부(140)에서의 고정판(미도시)와 회동판(미도시)의 동작은 제1힌지부(1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흡입장치 본체는 대략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에 제1파이프(211)와 제2파이프(212)에 의하여 흡입 동력을 전달하는 주파이프(200)와 연결된다.
상기 흡입장치의 본체는 제1파이프(211)와 제2파이프(212)의 제1힌지부(130)와 제2힌지부(14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흡입장치의 본체 일면의 일 모서리 부위에는 제1흡입구(111)가 배치되고, 타면의 제1흡입구(111)에 대향하는 부위의 한 변 상에는 제2흡입구(112)가 배치되어 각각의 유로(121, 122)를 가진다.
상기 유로의 개구부에는 회동판과 파이프(211, 212)의 고정판이 배치되어 상호간의 회전에 따라 흡입동력을 전달 또는 차폐하게 된다.
제1흡입구(111)가 지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제1유로의 개구부는 개방되고 제2유로의 개구부는 폐쇄되며, 제2흡입구(112)가 지면을 바라보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제2유로의 개구부는 개방되고 제1유로의 개구부는 폐쇄된다.
따라서, 제1흡입구는 좁은 틈새를 청소하기 용이하고, 제2흡입구는 넓은 면적의 청소를 용이하도록 하여 한 개의 흡입장치만으로도 다양한 환경에서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청소기 101...제1개구부
111...제1흡입구 112...제2흡입구
121...제1유로 122...제2유로
130...제1힌지부 131...고정판
132...회동판 140...제2힌지부
150...구름부재 200...주파이프
211...제1파이프 212...제2파이프

Claims (8)

  1. 흡입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파이프; 및
    세 개의 모서리를 가진 삼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주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포함하고, 본체 일면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제1흡입구, 본체 타면의 상기 제1흡입구에 대향되는 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가로로 길게 형성되는 제2흡입구,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흡입구와 제1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유로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흡입구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제2유로로 이루어진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본체가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고 지면과 접촉시 구름저항을 저감하는 구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는, 상기 본체의 각 면에 3개가 각 모서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각 변은 내측으로 만곡된 호 형상인 청소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의 상기 본체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의 개구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에 접하여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회동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가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에 대해 회전하면 상기 회동판이 고정판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와 상기 주파이프와의 연통을 개폐하는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 및 회동판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호간에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는 청소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회동판과 제2유로의 회동판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1파이프 및 제2파이프에 대한 회전에 따라 대칭적으로 개방 및 폐쇄 동작하는 청소기.
KR1020110073895A 2011-07-26 2011-07-26 청소기 KR20130012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895A KR20130012639A (ko) 2011-07-26 2011-07-26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895A KR20130012639A (ko) 2011-07-26 2011-07-26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639A true KR20130012639A (ko) 2013-02-05

Family

ID=4789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895A KR20130012639A (ko) 2011-07-26 2011-07-26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6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3588A (ja) * 2019-07-12 2021-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3588A (ja) * 2019-07-12 2021-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0988B2 (ja) 真空掃除機および真空掃除機の吸込口組立体
JP5165027B2 (ja) 表面処理電気器具のためのツール
EP2680734B1 (en) A cleaner head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JP5232195B2 (ja) 表面処理電気器具のためのツール
JP481638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0287894A (ja) 電気掃除機
WO2021189765A1 (zh) 吸尘器的地刷及吸尘器
US8978207B2 (en) Vacuum cleaner edge cleaning system
WO2012140825A1 (ja) 空気吸引噴射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7090037A (ja) 真空掃除機用ブラシ組立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JP2017131489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130012639A (ko) 청소기
WO2022262593A1 (zh) 清洁设备
KR101457970B1 (ko) 로봇청소기의 흡입구
JP2006334301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08099855A (ja) 電気掃除機
JP4984939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と電気掃除機
JP2010227465A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体
JP3066378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2011172739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GB2471114A (en) A floor tool
GB2471115A (en) A floor tool
WO2009026756A1 (fr) Brosse d'aspirateur
JP3066377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KR200328541Y1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