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497A - 기판실장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실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497A
KR20120112497A KR1020127016725A KR20127016725A KR20120112497A KR 20120112497 A KR20120112497 A KR 20120112497A KR 1020127016725 A KR1020127016725 A KR 1020127016725A KR 20127016725 A KR20127016725 A KR 20127016725A KR 20120112497 A KR20120112497 A KR 20120112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ignal
contacts
circuit boar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론 래피도트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2011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01R13/6584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formed by conductive elastomeric members, e.g. flat gaskets or O-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발명은 인접하는 세트의 사이에서 스큐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기판실장 커넥터를 제공한다. 기판실장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는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내외측방향으로 뻗는 회로기판에 접속된다. 복수의 콘택트는 복수의 신호콘택트를 구비하고,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1개의 신호콘택트와 1개의 상기 신호콘택트가 한 세트를 구성한다. 한 세트를 구성하는 신호콘택트의 일방이 상기 회로기판의 내측방향에 배치되고, 한 세트를 구성하는 신호콘택트의 타방이 회로기판의 외측방향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기판실장 커넥터{BOARD MOUNTED CONNECTOR}
본 발명은 접지콘택트와 신호콘택트를 갖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그들 콘택트가 기판접속부에서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실장 커넥터, 특히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기판실장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처리기기, 통신기기의 발달과 동영상 등에 의한 데이터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각 기기에서 사용하는 신호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신호의 고속전송화를 실현하는 것으로서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신호전송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신호전송방식에는 불평형 전송방식(싱글엔드방식)과, 평형전송방식(디퍼런셜방식)이 있다.
불평형전송방식(싱글엔드방식)은 디지털신호의 High와 Low의 구별을 접지선과 신호선(1가닥)의 전위차로 판별하는 것이며,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대해 평형전송방식(디퍼런셜방식)은 2가닥의 신호선(+, -)을 이용하여 2가닥의 신호선의 전위차로 High와 Low를 구별한다. 디퍼런셜방식의 2개의 신호는 전압의 크기가 같고, 위상이 180°다르다. 디퍼런셜방식은 2가닥의 신호선에 발생한 노이즈가 리시버의 입력단계에서 캔슬되므로 싱글엔드방식에 비해 확실하게 전송할 수 있다.
종래의 평형전송방식(디퍼런셜방식)에 이용되는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7(A), (B) 및 도 8에 나타내는 것(특허문헌 1 참조)이 알려져 있다. 도 7(A), (B)는 종래의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에서 본 모식도, (B)는 정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A), (B)에 나타내는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A), (B) 및 도 8에 나타내는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함:100)는 하우징(110)과 복수의 콘택트(120)와 쉘(130)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120)는 하우징(110)에 상하 2열상으로 설치된 복수 가닥의 신호콘택트(S: 이하 단순히 S라 함), 복수 가닥의 접지콘택트(G: 이하 단순히 G라함) 및 복수 가닥의 저속용 콘택트(D: 이하 단순히 D라 함)로 구성된다. 각 콘택트(12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콘택트(미도시)에 접촉하는 접촉부(121)와, 회로기판(PCB)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콘택트(12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대해 수평인 고정부분에서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있다. 접촉부(121)는 그 고정부분에서 거의 수평방향 전방(도 8에서의 좌측)으로 뻗어 있다.
기판접속부(122)는 고정부분에서 수평방향 후방으로 뻗고 나서 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도록 뻗어 있다. 상단열의 콘택트(120)의 후측(도 8에서의 우측, 도 7(A)에서의 상측)에 위치한다. 한편, 하단열의 콘택트(120)는 기판접속부(122)에 있어서는 상단열의 콘택트(120)의 전측(도 8에서의 좌측, 도 7(A)에서의 하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복수의 콘택트(120)는 감합부에 있어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열에 있어서 우측에서 S, S, G, S, S, G, D, D, D의 순으로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콘택트(120)는 감합부에 있어서, 하단열에 있어서는 우측에서 G, S, S, G, S, S, D, D의 순으로 배치된다.
감합부의 상단열에 있어서 최우측의 S 및 이웃하는 S와 하단열에 있어서의 최우측의 G가 이등변삼각형인 한 세트(P1)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등변삼각형의 정점에는 하단열에서의 G가 배치되고,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에는 상단열에서의 S, S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120)의 기판접속부(122)에 있어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열에서의 G가 전측에 위치하고, 이등변삼각형의 정점이 된다. 또한 상단열에서 인접하는 S, S가 후측에 위치하고,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을 이루고 있다. 이 저변측 두 정점을 구성하는 S, S 중 일방이 +신호콘택트, 타방이 -신호콘택트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감합부의 하단열에 있어서 한 세트(P1)의 G와 인접하는 S, S와, 상단열에서의 한 세트(P1)의 S와 이웃하는 G가 이등변삼각형의 다른 세트(P2)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등변삼각형의 정점에는 상단열에서의 G가 배치되고,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에는 하단열에서의 S, S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120)의 기판접속부(122)에 있어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열에서의 G가 후측에 위치하여 이등변삼각형의 정점이 된다. 또한 하단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S, S가 전측에 위치하고,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을 이루고 있다. 이 저변측 두 정점을 구성하는 S, S 중 일방이 +신호콘택트, 타방이 -신호콘택트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한 세트(P1)와 동일한 콘택트 배치구성인 별도의 세트(P3), 다른 세트(P2)와 동일한 콘택트 배치구성의 또 다른 세트(P4)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쉘(130)은 하우징(110)을 덮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 상대플러그 커넥터(미도시)가 감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쉘(130)에는 상대 플러그커넥터에 형성된 계합공(미도시)에 계합되는 용수철(1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7(A), (B) 및 도 8에 나타내는 커넥터(100)에 의하면 이등변삼각형의 정점에 G(접지콘택트)를 배치하고,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에 S(+신호콘택트), S(-신호콘택트)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G(접지콘택트)와 S(+신호콘택트)와의 사이의 거리가 G(접지콘택트)와 S(-신호콘택트)와의 사이의 거리와 동등해진다. 이 때문에 G(접지콘택트)와 S(+신호콘택트), G(접지콘택트)와 S(-신호콘택트)가 균등하게 인피던스 매칭이 도모되고, 고속디퍼런셜신호의 전송에 있어서 고속전송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S(+신호콘택트)와 S(-신호콘택트)에 의해 G(접지콘택트)를 끼워 배열하므로 인피던스 매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인접한 세트, 예를 들면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S, S, G와 그 이웃하는 다른 세트(P2)를 구성하는 S, S, G와의 사이에 있어, 한 세트(P1)의 S, S와 다른 세트(P2)의 S, S와의 전기길이가 달라 스큐(Skew:신호의 왜곡)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면,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S, S, G는 도 7(B)에 있어서, 상단열의 최우측 2개의 S, S와 하단열의 최우측의 G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S, S, G는 콘택트(120)의 기판접속부(122)에 있어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열에서의 G가 전측에 위치하여 이등변삼각형의 정점이 된다. 또한 상단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S, S가 후측에 위치하고,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이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S, S, G 중 S, S는 상단열에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접촉부(121)를 스타트로 하여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상의 회로의 소정 포인트를 목표로 하면 전기길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한 세트(P1)의 S, S의 전기길이(L) = L1 + L2 + L3… (1)
여기서 L1은 상단열의 콘택트(120)의 접촉부(121:스타트)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길이, L2는 당해 콘택트(120)의 절곡된 지점에서 회로기판(PCB) 상의 기판접속부(122)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L3는 당해 콘택트의 기판접속부(122)에서 목표에 이르기까지의 길이이다.
한편 상기 한 세트(P1)와 이웃하는 다른 세트(P2)를 구성하는 S, S, G는 도 7(B)에 있어서, 하단열의 최우측 두개의 S, S와 상단열의 최우측 G로 이루어진다. 이외의 세트(P2)를 구성하는 S, S, G는 콘택트(120)의 기판접속부(122)에 있어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열에서의 G기 후측에 위치하여 이등변삼각형의 정점이 된다. 또한 하단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S, S가 전측에 위치하여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외의 세트(P2)를 구성하는 S, S, G 중 S, S는 하단열에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접촉부(121)를 스타트로 하여 회로기판(PCB) 상의 회로의 소정 포인트를 목표로 하면 전기길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세트(P2)의 S, S의 전기길이(L') = L11 + L12 + L13… (2)
여기서 L11은 하단열의 콘택트(120)의 접촉부(121:스타트)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길이, L12는 당해 콘택트(120)의 절곡된 지점에서 회로기판(PCB) 상의 기판접속부(122)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L13은 당해 콘택트의 기판접속부(122)에서 목표에 이르기까지의 길이이다.
(1)식에 있어서의 전기길이(L)는 L11, L12, L13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한 세트(P1)의 S, S의 전기길이(L) = (L11 + dw) + (L12 + dh) + (L13 - dw) = L11 + L12 + L13 + dh… (3)
여기서 dw는 하단열의 콘택트(120)의 기판접속부(122)에서 상단열의 콘택트(120)의 기판접속부(122)에 이르기까지의 수평방향길이, dh는 상단열의 콘택트(120)의 절곡부분에서 하단열의 콘택트(120)의 절곡부분에 이르기까지의 수직방향길이다.
그리고 (2)식과 (3)식을 대비하면 한 세트(P1)의 S, S의 전기길이(L) 쪽이 다른 세트(P2)의 S, S의 전기길이(L')보다도 dh만큼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한 세트(P1)의 S, S를 전송하는 신호의 스타트에서 목표까지의 전송시간과, 다른 세트(P2)의 S, S를 전송하는 신호의 스타트에서 목표까지의 전송시간이 달라짐으로써 인접하는 세트의 사이에서 스큐(신호의 왜곡)가 발생하게 된다.
이 인접하는 세트의 사이에서 스큐(Skewing)가 발생하는 문제는 콘택트(120)의 기판접속부(122)에 있어서,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이 되는 한 세트(P1)의 S, S가 후측에 위치하고,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이 되는 다른 세트(P2)의 S, S가 전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이 인접하는 세트의 사이에서 스큐가 발생하는 문제는 다른 세트(P2)와 또 다른 세트(P3), 또 다른 세트(P3)와 또 다른 세트(P4)와의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2-334748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인접하는 세트의 사이에서 스큐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기판실장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기판실장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내외측방향으로 뻗는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실장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복수의 신호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1개의 상기 신호콘택트와 1개의 상기 신호콘택트가 한 세트를 구성하고, 상기 한 세트를 구성하는 신호콘택트의 일방이 상기 회로기판의 내측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한 세트를 구성하는 신호콘택트의 타방이 상기 회로기판의 외측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한 세트를 구성하는 신호콘택트가 +신호콘택트와 -신호콘택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기판실장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내외측방향으로 뻗는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실장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접지콘택트와 신호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1개의 상기 접지콘택트와 2개의 상기 신호콘택트가 삼각형인 한 세트를 구성하고, 삼각형의 정점은 상기 회로기판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정점에는 상기 신호콘택트의 일방이 배치되고, 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은 상기 삼각형의 정점과 반대인 상기 회로기판의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두 정점에는 상기 신호콘택트의 타방 및 상기 접지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삼각형은 정삼각형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한 세트를 구성하는 상기 1개의 접지콘택트 및 상기 2개의 신호콘택트가 상대 콘택트와의 접촉부에서 상기 기판접속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1개의 접지콘택트 및 한 쌍의 신호콘택트의 순으로 열방향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신호콘택트가 +신호콘택트와 -신호콘택트로 구성되고, 상기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접지콘택트와 1개의 상기 +신호콘택트와 1개의 상기 -신호콘택트가 정삼각형인 한 세트를 구성하고, 정삼각형의 정점에는 상기 +신호콘택트 및 -신호콘택트의 일방이 배치되고, 정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에는 상기 +신호콘택트 및 -신호콘택트의 타방 및 상기 접지콘택트가 배치되고, 기판실장 커넥터가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실장 커넥터에 의하면, 콘택트의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1개의 신호콘택트와 1개의 신호콘택트가 한 세트를 구성하고, 상기 한 세트를 구성하는 신호콘택트의 일방이 회로기판의 내측방향에 배치되고, 한 세트를 구성하는 신호콘택트의 타방이 회로기판의 외측방향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세트의 사이를 생각한 경우,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한 세트인 2개의 신호콘택트가 회로기판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한 세트에 인접하는 타방의 세트인 2개의 신호콘택트도 회로기판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에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세트 사이에 있어서, 신호콘택트끼리의 전기 길이에 차이가 없어 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세트의 사이에서 신호콘택트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이가 없어져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에 의하면, 콘택트의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1개의 접지콘택트와 2개의 신호콘택트가 삼각형인 한 세트를 구성하고, 삼각형의 정점은 회로기판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정점에는 신호콘택트의 일방이 배치되고, 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은 삼각형의 정점과 반대의 회로기판의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두 정점에는 신호콘택트의 타방 및 접지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세트 사이를 생각한 경우,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한 세트 중 2개의 신호콘택트는 삼각형의 정점(회로기판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과 저변측의 정점(회로기판의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에 배치되고, 이 한 세트에 인접하는 다른 세트의 2개의 신호콘택트도 삼각형의 정점과 저변측의 정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세트 사이에 있어서, 신호콘택트끼리의 전기길이에 차가 없어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세트 사이에서 신호콘택트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가 없어져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A)는 기판실장 커넥터를 측면에서 본 모식도, (B)는 기판접속부에서의 신호콘택트, 접지콘택트 및 저속용 콘택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A), (B)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를 정면에서 본 모식도이며, 감합부에서의 신호콘택트, 접지콘택트 및 저속용 콘택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A), (B)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상의 회로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기판실장 커넥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A)는 기판실장 커넥터를 측면에서 본 모식도, (B)는 기판접속부에서의 신호콘택트, 접지콘택트 및 저속용 콘택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A), (B)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를 정면에서 본 모식도이며, 감합부에서의 신호콘택트, 접지콘택트 및 저속용 콘택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4(A), (B)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상의 회로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를 나타내고,(A)는 평면에서 본 모식도, (B)는 정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A), (B)에 나타내는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기판실장 커넥터를 도 1(A), (B)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B)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1)는 평형전송방식(디퍼런셜 방식)에 이용되는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기판실장 커넥터(1)는 하우징(10)과 복수의 콘택트(20)와 이들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를 정렬시키는 타인(Tine) 플레이트(3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절연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상대 플러그 커넥터(미도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20)는 하우징(10)에 상하 2열상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신호콘택트S(이하, 단순히 S라 한다), 복수 개의 접지콘택트G(이하, 단순히 G라 한다) 및 복수 개의 저속용 콘택트D(이하, 단순히 D라 한다)로 이루어진다. D는 전원 등의 일반용 콘택트이다. 각 콘택트(20)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콘택트(미도시)에 접촉하는 접촉부(21)와, 회로기판(PCB)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2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콘택트(20)는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20)는 하우징(10)에 대해 수평인 고정부분에서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다. 접촉부(21)는 그 고정부분에서 거의 수평방향 전방(도 1(A)에서의 우측방향)으로 뻗는다.
기판접속부(22)는 고정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뻗고나서 직각 하방으로 절곡되고,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듯이 뻗는다. 다만, 상단열의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 및 하단열의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는 도 1(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PCB)의 지점에서는 콘택트 열방향(도 1(B)에서의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배열된다. 즉 상단열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 및 하단열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는 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그대로 뻗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것과, 직각 하방으로 절곡되고 나서 일단 후측(도 1(A), (B)에서의 좌측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것이 있다.
여기서 복수의 콘택트(20)는 감합부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열에 있어서, 좌측에서 G, S, S, G, S, S, G, S, S, G의 순으로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콘택트(20)는 감합부에 있어서 하단열에서는 우측에서 D, D, D, G, S, S, G, D, D, D의 순으로 배치된다.
감합부의 상단열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에서 1번째 1개의 G와 그에 이어지는 2개의 S, S가 그 순번대로 열방향 배열되어 있다. 이 중, 2개의 S, S가 한 세트(P1)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2개의 S, S와 그 한 세트(P1)의 우측에 인접하는 G가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1개의 G 및 한 쌍의 S, S의 순으로 열방향 배열되어 동일 평면 내에 뻗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S, S가 한 세트(P1)를 구성하고 있다.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2개의 S, S 중 일방이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도 1(B)에서의 우측방향)에 배치됨과 동시에, 타방이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도 1(B)에서의 좌측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된 일방의 S는 +신호콘택트이며,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된 타방의 S는 그 극성과 반대인 -신호콘택트이다. +신호콘택트 및 -신호콘택트는 반대로 배치되어도 좋다.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된 일방의 S는 기판접속부(22)가 그대로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이다.
또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된 타방의 S 및 G는 기판접속부(22)가 일단 후측(도 1(A)에서의 좌측, 회로기판(PCB)의 내측과 동일)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콘택트이다.
또한 감합부의 상단열에 있어서는 우측에서 4번째의 1개의 G와 그에 이어지는 2개의 S, S가 그 순번대로 열방향 배열되어 있다. 이 중 2개의 S, S가 다른 세트(P2)를 구성하고 있다. 다른 세트(P2)를 구성하는 2개의 S, S와 그 다른 세트(P2)의 우측에 인접하는 G가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1개의 G 및 한 쌍의 S, S의 순으로 열방향 배열되어 동일 평면 내에 뻗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S, S가 다른 세트(P2)를 구성하고 있다. 다른 세트(P2)를 구성하는 2개의 S, S 중 일방이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도 1(B)에서의 우측방향)에 배치됨과 동시에 타방이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도 1(B)에서의 좌측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된 일방의 S는 -신호콘택트이며,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된 타방의 S는 그 극성과 반대인 +신호콘택트이다. +신호콘택트 및 -신호콘택트는 반대로 위치해도 좋다.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된 일방의 S는 기판접속부(22)가 그대로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이다.
또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된 타방의 S 및 G는 기판접속부(22)가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콘택트이다.
더욱이 감합부의 상단열에 있어서는 우측에서 7번째의 1개의 G와 그에 이어지는 2개의 S, S가 그 순번대로 열방향 배열되어 있다. 이 중 2개의 S, S가 다른 세트(P3)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세트(P3)를 구성하는 2개의 S, S와 그 다른 세트(P3)의 우측에 인접하는 G가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1개의 G 및 한 쌍의 S, S의 순으로 열방향 배열되어 동일 평면 내에 뻗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S, S가 다른 세트(P3)를 구성하고 있다. 다른 세트(P3)를 구성하는 2개의 S, S 중 일방이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도 1(B)에서의 우측방향)에 배치됨과 동시에 타방이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도 1(B)에서의 좌측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된 일방의 S는 +신호콘택트이며,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된 타방의 S는 그 극성과 반대인 -신호콘택트이다. +신호콘택트 및 -신호콘택트는 반대로 위치해도 좋다.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된 일방의 S는 기판접속부(22)가 그대로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이다.
또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된 타방의 S 및 G는 기판접속부(22)가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콘택트이다.
또한 감합부의 상단열에 있어서의 우측에서 10번째의 G는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 뻗고, 기판접속부(22)는 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그대로 뻗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한다.
한편 감합부의 하단열에 있어서는 우측에서 1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3개의 D, D, D 및 우측에서 8번째부터 10번째의 3개의 D, D, D가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 뻗고,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지그자그형태로 배열된다.
또한 감합부의 하단열에 있어서는 우측에서 4번째의 1개의 G와 그에 이어지는 2개의 S, S가 그 순번대로 열방향 배열되어 있다. 이 중 2개의 S, S가 또 다른 세트(P4)를 구성하고 있다. 또 다른 세트(P4)를 구성하는 2개의 S, S와 그 또 다른 세트(P4)의 우측에 인접하는 G가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1개의 G 및 한 쌍의 S, S의 순으로 열방향 배열되어 동일 평면 내에 뻗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S, S가 또 다른 세트(P4)를 구성하고 있다. 또 다른 세트(P4)를 구성하는 2개의 S, S 중 일방이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도 1(B)에서의 우측방향)에 배치됨과 동시에 타방이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도 1(B)에서의 좌측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된 일방의 S는 -신호콘택트이며,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된 타방의 S는 그 극성과 반대인 +신호콘택트이다. +신호콘택트 및 -신호콘택트는 반대로 위치해도 좋다.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된 일방의 S는 기판접속부(22)가 그대로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이다.
또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된 타방의 S 및 G는 기판접속부(22)가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콘택트이다.
더욱이 감합부의 하단열에 있어서의 우측에서 7번째의 G는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 뻗는다. 기판접속부(22)는 직각 하방으로 절곡되고 나서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어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판실장 커넥터(1)는 도 3에 나타낸 회로패턴을 갖는 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B)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세트(P1, P2, P3, P4)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1개의 신호콘택트(S)와 1개의 신호콘택트(S)가 한 세트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실장 커넥터(1)에 있어서, 인접하는 세트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P1과 P2사이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도 1(B)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콘택트(S, S) 중 일방의 신호콘택트(S)는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고, 타방의 신호콘택트(S)는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된다.
한편 한 세트(P1)에 인접하는 다른 세트(P2)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콘택트(S, S) 중 일방의 신호콘택트(S)는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고, 타방의 신호콘택트(S)는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된다. 여기서 한 세트(P1)의 일방의 신호콘택트(S) 및 다른 세트(P2)의 일방의 신호콘택트(S)는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며 그들의 전기길이는 동등하다. 또한 한 세트(P1)의 타방의 신호콘택트(S) 및 다른 세트(P2)의 타방의 신호콘택트(S)는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며 그들의 전기길이는 동등하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세트(P1, P2)사이에 있어서 신호콘택트(S, S)끼리의 전기길이에 차이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세트(P1, P2)사이에서 신호콘택트(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가 없어져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인접하는 세트(P2, P3) 사이에 있어서도 동일한 것을 말할 수 있고, 신호콘택트(S, S)끼리의 전기길이에 차이가 없어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세트(P2, P3) 사이에서 신호콘택트(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가 없어져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기판실장 커넥터(1)에 있어서는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콘택트(S, S)가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한 쌍의 신호콘택트(S, S)의 순으로 열방향으로 동일 평면 내에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2개의 신호콘택트(S, S)의 전기길이(도 1(A)에서의 X1 + X2)는 동등해진다. 이에 따라 2개의 신호콘택트(S, 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가 없어져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신호콘택트(S, S)와 접지콘택트(G)와의 전기길이도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동등해진다.
다른 세트(P2), 또 다른 세트(P3) 및 또 다른 세트(P4)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콘택트(S, S)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할 수 있고, 2개의 신호콘택트(S, S)의 전기길이는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동등해진다. 또한 이들 신호콘택트(S, S)와 접지콘택트(G)의 전기길이도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동등해진다.
도 1(A), (B)를 참조하여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한 세트(P1)의 타방의 신호콘택트(S), 다른 세트(P2)의 타방의 신호콘택트(S) 및 또 다른 세트(P3)의 타방의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에 대해 고찰한다.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는 그들 신호콘택트(S) 접촉부(21)의 스타트에서 회로기판(PCB) 상의 소정 포인트의 목표에 이르기까지의 길이이다. 이들 전기길이(X)는 도 1(A)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전기길이(X) ≒ X1 + X2 + X3 + X4 + X5…(4)
여기서 X1은 상단열 신호콘택트(S)의 접촉부(21;스타트)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길이, X2는 당해 신호콘택트(S)의 절곡된 지점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X3는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길이, X4는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는 지점에서 회로기판(PCB)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X5는 기판접속부(22)에서 목표에 이르기까지의 길이이다.
이들 전기길이(X)는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 모두에 공통한다. 이 때문에 각 세트(P1, P2, P3)사이에서 신호콘택트(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가 없어져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한 세트(P1)의 일방의 신호콘택트(S), 다른 세트(P2)의 일방의 신호콘택트(S) 및 또 다른 세트(P3)의 일방의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에 대해 고찰한다.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는 그들 신호콘택트(S)의 접촉부(21)의 스타트에서 회로기판(PCB) 상의 소정 포인트의 목표에 이르기까지의 길이다. 이들 전기길이(X')는 도 1(A)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전기길이(X') = X1 + X2 + X4' + X3 + X5 … (5)
여기서 X1은 상단열 신호콘택트(S)의 접촉부(21;스타트)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길이, X2는 당해 신호콘택트(S)의 절곡된 지점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X3는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길이, X4' 는 상단열 신호콘택트(S)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에 이르기까지의 길이이다.
이들 전기길이(X')는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 모두에 공통한다. 각 세트(P1, P2, P3)사이에서 신호콘택트(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가 없어져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와,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를 대비한다.
전기길이(X)를 표시하는 (4)식에 있어서의 X4와, 전기길이(X')를 표시하는 (5)식에 있어서의 X4'도 1(A)을 참조하면 그 길이는 동등하다.
따라서 (5)식은 이하와 같이 변형 가능하다.
전기길이(X') = X1 + X2 + X3 + X4 + X5…(6)
(4)식과 (6)식을 비교하면, 전기길이(X)와 전기길이(X')는 거의 동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와,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는 거의 동등하다. 이 때문에 그들 신호콘택트(S, 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이 거의 동등해지고 각 세트(P1, P2, P3)에서의 신호콘택트(S, S)사이에서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기판실장 커넥터에 대해 도 4(A), (B)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A), (B) 내지 도 6에 있어서 도 1(A), (B)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도 4(A), (B)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1)는 도 1(A), (B)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1)와 마찬가지로 평형전송방식(디퍼런셜 방식)에 이용되는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도 4(A), (B)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1)가 도 1(A), (B)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1)와 다른 점은 이하와 같다.
즉 도 1(A), (B)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1)가 기판실장접속부(22)에 있어서, 1개의 신호콘택트(S)와 1개의 신호콘택트(S)가 한 세트를 구성하는 것에 대해, 도 4(A), (B)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1)가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1개의 접지콘택트(G)와 2개의 신호콘택트(S, S)가 삼각형인 한 세트를 구성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상이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기판실장 커넥터(1)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부의 상단열에 있어서, 우측에서 1번째 1개의 G와 그에 이어지는 2개의 S, S가 그 순번대로 열방향 배열되어 한 세트(P1)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1개의 G와 2개의 S, S가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에 있어서, 1개의 G 및 한 쌍의 S, S의 순으로 열방향 배열되어 동일 평면 내에 뻗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G와 2개의 S, S가 정삼각형인 한 세트(P1)를 구성하고 있다. 정삼각형인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정삼각형의 정점은 내외측방향(도 4(B)에서의 좌우방향)으로 뻗는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도 4(B)에서의 우측방향)에 위치한다. 그리고 정삼각형의 정점에는 S, S 중 일방의 S(기판접속부(22)가 그대로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정삼각형의 저변측 두 정점은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위치한다.
이 정삼각형의 저변측 두 정점에는 타방의 S(기판접속부(22)가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콘택트) 및 G(기판접속부(22)가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정삼각형의 정점에 배치되는 S는 +신호콘택트이며, 정삼각형의 저변측 정점에 배치되는 S는 그 극성과 반대인 -신호콘택트이다. +신호콘택트와 -신호콘택트는 반대로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감합부의 상단열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에서 4번째의 1개의 G와 그에 이어지는 2개의 S, S가 그 순번대로 열방향 배열되어 다른 세트(P2)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세트(P2)를 구성하는 1개의 G와 2개의 S, S가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1개의 G 및 한 쌍의 S, S의 순으로 열방향 배열되어 동일 평면 내에 뻗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G와 2개의 S, S가 정삼각형인 다른 세트(P2)를 구성하고 있다. 정삼각형의 다른 세트(P2)를 구성하는 정삼각형의 정점은 내외측방향으로 뻗는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도 4(B)에서의 좌측방향)에 위치한다. 이 정삼각형의 정점에는 S, S 중 일방의 S(기판접속부(22)가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정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은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위치한다.
이 정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에는 타방의 S(기판접속부(22)가 그대로 뻗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 및 G(기판접속부(22)가 그대로 뻗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접지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정삼각형의 정점에 배치되는 S는 +신호콘택트이며 정삼각형의 저변측 정점에 배치되는 S는 그 극성과 반대인 -신호콘택트이다. +신호콘택트와 -신호콘택트는 반대로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감합부의 상단열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에서 7번째의 1개의 G와 그에 이어지는 2개의 S, S가 그 순번대로 열방향 배열되어 다른 세트(P3)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세트(P3)를 구성하는 1개의 G와 2개의 S, S가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1개의 G 및 한 쌍의 S, S의 순으로 열방향 배열되어 동일 평면 내에 뻗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G와 2개의 S, S가 정삼각형인 다른 세트(P3)를 구성하고 있다. 정삼각형의 다른 세트(P3)를 구성하는 정삼각형의 정점은 내외측방향으로 뻗는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도 4(B)에서의 우측방향)에 위치한다. 이 정삼각형의 정점에는 S, S 중 일방의 S(기판접속부(22)가 그대로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정삼각형의 저변측 두 정점은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위치한다.
이 정삼각형의 저변측 두 정점에는 타방의 S(기판접속부(22)가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 및 G(기판접속부(22)가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접지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정삼각형의 정점에 배치되는 S는 +신호콘택트이며, 정삼각형의 저변측 정점에 배치되는 S는 그 극성과 반대인 -신호콘택트이다. +신호콘택트와 -신호콘택트는 반대로 배치되어도 좋다.
더욱이 감합부의 상단열에 있어서는 우측에서 10번째의 G는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 뻗고, 기판접속부(22)는 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그대로 뻗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한다.
한편 감합부의 하단열에 있어서는 우측에서 1번째에서 3번째까지의 3개의 D, D, D 및 우측에서 8번째에서 10번째의 3개의 D, D, D가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 뻗고,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지그자그배열된다.
또한 감합부의 하단열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에서 4번째의 1개의 G와 그에 이어지는 2개의 S, S가 그 순번대로 열방향 배열되고, 더욱이 또 다른 세트(P4)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세트(P4)를 구성하는 1개의 G와 2개의 S, S가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1개의 G 및 한 쌍의 S, S의 순으로 열방향 배열되어 동일 평면 내에 뻗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G와 2개의 S, S가 정삼각형인 또 다른 세트(P4)를 구성하고 있다. 정삼각형의 또 다른 세트(P4)를 구성하는 정삼각형의 정점은 내외측방향으로 뻗는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도 4(B)에서의 좌측방향)에 위치한다. 이 정삼각형의 정점에는 S, S 중 일방의 S(기판접속부(22)가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정삼각형의 저변측 두 정점은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위치한다.
이 정삼각형의 저변측 두 정점에는 타방의 S(기판접속부(22)가 그대로 뻗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신호콘택트) 및 G(기판접속부(22)가 그대로 뻗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하는 접지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정삼각형의 정점에 배치되는 S는 +신호콘택트이며 정삼각형의 저변측 정점에 배치되는 S는 그 극성과 반대인 -신호콘택트이다. +신호콘택트와 -신호콘택트는 반대로 배치되어도 좋다.
더욱이 감합부의 하단열에 있어서의 우측에서 7번째의 G는 상대콘택트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 뻗는다. 기판접속부(22)는 직각 하방으로 절곡되고나서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PCB)을 관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판실장 커넥터(1)는 도 6에 나타낸 회로패턴을 갖는 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B)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세트(P1, P2, P3, P4)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1개의 접지콘택트(G)와 1개의 +신호콘택트(S)와 1개의 -신호콘택트(S)가 정삼각형의 한 세트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정삼각형의 정점에는 +신호콘택트(S) 및 -신호콘택트(S)의 일방이 배치되고, 정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에는 +신호콘택트(S) 및 -신호콘택트의 타방 및 접지콘택트(G)가 배치되며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실장 커넥터(1)에 있어서, 도 1(A), (B)내지 도 3에 나타내는 기판실장 커넥터(1)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세트 사이, 구체적으로는 P1과 P2사이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도 4(B)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세트(P1) 중의 2개의 신호콘택트(S, S)는 정삼각형의 정점(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과 저변측 정점(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이 한 세트(P1)에 인접하는 다른 세트(P2)의 2개의 신호콘택트(S, S)도 정삼각형의 정점(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과 저변측 정점(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한 세트(P1)의 정삼각형의 저변측 정점의 신호콘택트(S) 및 다른 세트(P2)의 정삼각형 정점의 신호콘택트(S)는 도 4(B)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고, 그들의 전기길이는 동등하다. 또한 한 세트(P1)의 정삼각형 정점의 신호콘택트(S) 및 다른 세트(P2)의 정삼각형 저변측 정점의 신호콘택트(S)는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고, 그들의 전기길이는 동등하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세트(P1, P2)사이에 있어서 신호콘택트(S, S)끼리의 전기길이에 차이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세트(P1, P2)사이에서 신호콘택트(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는 없어지고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인접하는 조(P2, P3) 사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고, 신호콘택트(S, S)끼리의 전기길이에 차이가 없어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조(P2, P3) 사이에서 신호콘택트(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가 없어지며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기판실장 커넥터(1)에 있어서는 한 세트(P1)를 구성하는 1개의 접지콘택트(G) 및 2개의 신호콘택트(S, S)가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1개의 접지콘택트(G) 및 한 쌍의 신호콘택트(S, S)의 순으로 열방향으로 동일 평면 내에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2개의 신호콘택트(S, S)의 전기길이(도 4(A)에서의 X1 + X2)는 동등해진다. 이에 따라 2개의 신호콘택트(S, 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가 없어지며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신호콘택트(S, S)와 접지콘택트(G)의 전기길이도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동등해진다.
다른 세트(P2), 또 다른 세트(P3) 및 또 다른 세트(P4)를 구성하는 1개의 접지콘택트(G) 및 2개의 신호콘택트(S, S)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할 수 있고, 2개의 신호콘택트(S, S)의 전기길이는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동등해진다. 또한 이들 신호콘택트(S, S)와 접지콘택트(G)의 전기길이도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동등해진다.
여기서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한 세트(P1)의 정삼각형의 저변측 정점의 신호콘택트(S), 다른 세트(P2)의 정삼각형의 정점의 신호콘택트(S) 및 또 다른 세트(P3)의 정삼각형의 저변측 정점의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에 대해 고찰한다.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는 그들 신호콘택트(S)의 접촉부(21)의 스타트에서 회로기판(PCB) 상의 소정 포인트의 목표에 이르기까지의 길이이다. 이들 전기길이(X)는 도 4(A)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전기길이(X) ≒ X1 + X2 + X3 + X4 + X5…(7)
여기서 X1은 상단열 신호콘택트(S)의 접촉부(21;스타트)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길이, X2는 당해 신호콘택트(S)의 절곡된 지점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X3는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길이, X4는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는 지점에서 회로기판(PCB)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X5는 기판접속부(22)에서 목표에 이르기까지의 길이이다.
이들 전기길이(X)는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 모두에 공통한다. 이 때문에 각 세트(P1, P2, P3)사이에서 신호콘택트(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가 없어지며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한 세트(P1)의 정삼각형의 정점의 신호콘택트(S), 다른 세트(P2)의 정삼각형의 저변측 정점의 신호콘택트(S) 및 또 다른 세트(P3)의 정삼각형 정점의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에 대해 고찰한다.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는 그들 신호콘택트(S)의 접촉부(21)의 스타트에서 회로기판(PCB) 상의 소정 포인트의 목표에 이르기까지의 길이이다. 이들 전기길이(X')는 도 1(A)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전기길이(X') = X1 + X2 + X4' + X3 + X5…(8)
여기서 X1은 상단열 신호콘택트(S)의 접촉부(21;스타트)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길이, X2는 당해 신호콘택트(S)의 절곡된 지점에서 기판접속부(22)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X3는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일단 후측으로 절곡되고 나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길이, X4'는 상단열의 신호콘택트(S)의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에 이르기까지의 길이이다.
이들 전기길이(X')는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 모두에 공통한다. 따라서 각 세트(P1, P2, P3)사이에서 신호콘택트(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에 차가 없어지며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와,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를 대비한다.
전기길이(X)를 표시하는 (7)식에 있어서의 X4와 전기길이(X')를 표시하는 (8)식에 있어서의 X4'는 도 4(A)을 참조하면 그 길이는 동등하다.
따라서 (8)식은 이하와 같이 변형 가능하다.
전기길이(X') = X1 + X2 + X3 + X4 + X5…(9)
(7)식과 (9)식을 대비하면, 전기길이(X)와 전기길이(X')는 거의 동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세트(P1, P2, P3)에서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회로기판(PCB)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와 회로기판(PCB)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신호콘택트(S)의 전기길이(X')는 거의 동등하다. 이 때문에 그들 신호콘택트(S, S)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간이 거의 동등해지고 각 세트(P1, P2, P3)에서의 신호콘택트(S, S)사이에서 스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1개의 접지콘택트(G)와 2개의 신호콘택트(S, S)가 정삼각형인 한 세트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G(접지콘택트)와 1개의 S(+신호콘택트)와의 사이의 거리가 G(접지콘택트)와 별개의 S(+신호콘택트)와의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G(접지콘택트) 및 S(+신호콘택트), 및 G(접지콘택트) 및 S(-신호콘택트)의 균등한 인피던스 매칭을 도모할 수 있고, 고속디퍼런셜신호의 전송에 있어 고속전송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S(+신호콘택트)와 S(-신호콘택트)에 의해 G(접지콘택트)를 끼워 배열하므로 인피던스 매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접속부(22)에 있어서, 1개의 접지콘택트(G)와 2개의 신호콘택트(S, S)가 정삼각형뿐 아니라 세 변의 길이가 다른 삼각형이나 이등변삼각형인 한 세트를 구성하는 기판실장 커넥터이면 좋다. 삼각형이 이등변삼각형인 경우는 일방의 신호콘택트 및 접지콘택트사이의 거리(X3)와, 일방의 신호콘택트 및 타방의 신호콘택트사이의 거리(X3)가 동일하게 된다. 또한 삼각형이 정삼각형인 경우는 접지콘택트로부터 일방 및 타방의 신호콘택트까지의 거리가 완전히 동일해지므로 쌍방의 신호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지콘택트와의 결합에 차이가 전혀 없게 된다.
더욱이 기판접속부는 회로기판 관통형 외에 표면실장형이어도 좋다.
1 기판실장 커넥터
10  하우징
20 콘택트
21 접촉부
22 기판접속부
PCB 회로기판
G 접지콘택트
S 신호콘택트
P1 한 세트
P2 다른 세트
P3 또 다른 세트
P4 또 다른 세트

Claims (7)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내외측방향으로 뻗는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실장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복수의 신호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1개의 상기 신호콘택트와 1개의 상기 신호콘택트가 한 세트를 구성하고,
    상기 한 세트를 구성하는 신호콘택트의 일방이 상기 회로기판의 내측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한 세트를 구성하는 신호콘택트의 타방이 상기 회로기판의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를 구성하는 신호콘택트가 +신호콘택트와 -신호콘택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 커넥터.
  3.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내외측방향으로 뻗는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실장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접지콘택트와 신호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1개의 상기 접지콘택트와 2개의 상기 신호콘택트가 삼각형인 한 세트를 구성하고,
    삼각형의 정점은 상기 회로기판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정점에는 상기 신호콘택트의 일방이 배치되고, 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은 상기 삼각형의 정점과 반대인 상기 회로기판의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두 정점에는 상기 신호콘택트의 타방 및 상기 접지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은 정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 커넥터.
  6. 제3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를 구성하는 상기 1개의 접지콘택트 및 상기 2개의 신호콘택트가 상대 콘택트와의 접촉부에서 상기 기판접속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1개의 접지콘택트 및 한 쌍의 신호콘택트의 순으로 열방향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 커넥터.
  7.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콘택트가 +신호콘택트와 -신호콘택트로 구성되고,
    상기 기판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접지콘택트와 1개의 상기 +신호콘택트와 1개의 상기 -신호콘택트가 정삼각형인 한 세트를 구성하고,
    정삼각형의 정점에는 상기 +신호콘택트 및 -신호콘택트의 일방이 배치되고, 정삼각형의 저변측의 두 정점에는 상기 +신호콘택트 및 -신호콘택트의 타방 및 상기 접지콘택트가 배치되고, 고속디퍼런셜 신호전송용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 커넥터.
KR1020127016725A 2009-12-28 2010-12-20 기판실장 커넥터 KR201201124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8484 2009-12-28
JP2009298484 2009-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497A true KR20120112497A (ko) 2012-10-11

Family

ID=4422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725A KR20120112497A (ko) 2009-12-28 2010-12-20 기판실장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70420A1 (ko)
JP (1) JP5607652B2 (ko)
KR (1) KR20120112497A (ko)
CN (1) CN102656755B (ko)
WO (1) WO2011080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0194B2 (en) * 2011-07-01 2014-12-3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Connection footprint for electrical connector with printed wiring board
KR101330557B1 (ko) 2012-09-27 2013-11-18 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컴파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US9545004B2 (en) * 2013-01-29 2017-01-10 Fci Americas Technology Llc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orthogonal signal routing
CN104134881B (zh) * 2013-05-15 2017-11-1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差分连接器传输模块及使用该模块的差分连接器
US10051724B1 (en) 2014-01-31 2018-08-14 Apple Inc. Structural ground referenc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of a computing device
US9525222B2 (en) 2014-04-11 2016-12-20 Apple Inc. Reducing or eliminating board-to-board connectors
US9666967B2 (en) * 2014-07-28 2017-05-30 Apple Inc.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for non-planar configurations
US10945664B1 (en) 2015-09-30 2021-03-16 Apple, Inc. Protective case with coupling gaske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958001B2 (en) 2018-09-07 2021-03-23 Fci Usa Llc Connectors for low cost, high speed printed circuit boar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970A (ja) * 2004-03-31 2005-10-20 Taiko Denki Co Ltd レセプタクル
TWM281314U (en) * 2005-04-01 2005-11-2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738990B2 (ja) * 2005-11-17 2011-08-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差動伝送コネクタおよびこれと嵌合する基板取付用差動伝送コネクタ並びに差動伝送コネクタ組立体
JP4551868B2 (ja) * 2005-12-28 2010-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39540B2 (ja) * 2006-07-14 2010-03-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7032787B8 (de) * 2006-07-14 2010-11-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Elektrischer Verbinder sowie elektrische Komponente mit Kontaktanschlussabschnitten, die in einer allgemeinen Trapezform angeordnet sind
CN101420086A (zh) * 2007-10-24 2009-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d型弯连接器
JP4542579B2 (ja) * 2007-11-05 2010-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311992Y (zh) * 2008-11-07 2009-09-16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与电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0889A1 (ja) 2011-07-07
CN102656755B (zh) 2015-05-06
JP5607652B2 (ja) 2014-10-15
CN102656755A (zh) 2012-09-05
US20120270420A1 (en) 2012-10-25
JPWO2011080889A1 (ja)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2497A (ko) 기판실장 커넥터
CN102292875B (zh) 阻抗受控的电连接器
EP1239552B1 (en) Connector having signal contacts and ground contacts in a specific arrangement
KR101571607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KR101123524B1 (ko) 전기 커넥터
US8157573B2 (en) Connector
JP4613043B2 (ja) コネクタ
JP4917784B2 (ja) コネクタ
US7824193B2 (en) Connector
JP4843263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542579B2 (ja) コネクタ
EP1876675A1 (en) Electric connector
US9136623B2 (en) Connector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JP5970329B2 (ja) コネクタ
JP2007200575A (ja) 多極コネクタ及び多極コネクタを使用した携帯型無線端末又は小型電子機器
JP2017022028A (ja) コネクタ
JP6166040B2 (ja) コネクタ
JP4522454B2 (ja) コネクタ
JP5826500B2 (ja) コネクタ
JP5683521B2 (ja) 導体板及び差動信号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