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199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199A
KR20150031199A KR20140120435A KR20140120435A KR20150031199A KR 20150031199 A KR20150031199 A KR 20150031199A KR 20140120435 A KR20140120435 A KR 20140120435A KR 20140120435 A KR20140120435 A KR 20140120435A KR 20150031199 A KR20150031199 A KR 20150031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ifferential signal
pair
ground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나카시마
이사오 이가라시
이즈미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50031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부의 배열 피치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면서 소형화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지지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한다. 복수의 콘택트는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부에서 접촉부가 2열로 배열됨과 함께, 전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1열로 배열된다. 복수의 콘택트는 적어도 한 쌍의 차동 신호 콘택트와 감합부에서 차동 신호 콘택트 쌍에 대향하는 접지 콘택트를 구비한다. 차동 신호 콘택트의 쌍을 구성하는 각 신호 콘택트는 1개의 접촉부 및 1개의 접속부를 갖는다. 접지 콘택트는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2개의 접촉부에 각각 대응하는 슬릿을 통해 이격된 2개의 접촉부 및 1개의 접속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동 신호의 전송에 적합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통신이나 디지털 비디오 등과 같이 지극히 고속의 신호 전송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는 차동 신호 전송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종래 기술인 차동 신호 전송용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와 감합하는 감합부에서는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콘택트 접촉부가 2열로 배열되는 것에 반해,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측에서는 콘택트 접속부가 1열로 배열되어 있다.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만약 감합부의 콘택트와 마찬가지로 2열로 배열되면, 외측으로 배열된 접속부가 장애가 되어 내측에 배열된 접속부의 납땜 상태의 확인이나 납땜 보수 등과 같은 작업이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특히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부를 표면 실장하는 경우에는 그 접속부가 1열로 배열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부에 있어서 콘택트를 1열로 배열하면 커넥터의 폭이 길어져 버리므로, 콘택트를 2열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개2010-157505호 공보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부의 배열 피치를 예를 들면 0.4㎜ 이하 등으로 설정하면, 납땜 불량 등의 상태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피치를 작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접속부의 배열 피치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여 1열로 배열한 경우, 감합부에 있어서 접촉부를 2열로 배열하더라도 접촉부의 배열 피치가 단순히 확장될 뿐이므로 커넥터의 치수를 작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부의 배열 피치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면서 소형화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부에서 접촉부가 2열로 배열됨과 함께, 전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1열로 배열되며, 복수의 콘택트가 적어도 한 쌍의 차동 신호 콘택트와, 감합부에서 차동 신호 콘택트 쌍에 대향하는 접지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을 구성하는 각 신호 콘택트는 1개의 접촉부 및 1개의 접속부를 갖고, 접지 콘택트는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2개의 접촉부에 각각 대응하는 슬릿을 통해 이격된 2개의 접촉부 및 1개의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라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부의 배열 피치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면서 소형화된 전기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2개의 접촉부는 감합부에 있어서 제1열에 배치되고,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는 감합부에 있어서 제2열에 배치되며, 접지 콘택트는 감합부의 제1열에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일방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접촉부를 더욱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커넥터는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을 더욱 갖고, 상기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일방의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는 접지 콘택트의 제3접촉부와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타방의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는 감합부에서 제2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와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라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가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와 일대일로 대향하므로 양호한 임피던스 매칭에 기여한다.
접지 콘택트의 접속부는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접속부 및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접속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라 접속부에 있어서 두 쌍의 차동 신호 콘택트가 접지 콘택트에 의해 서로 차단되어, 양호한 신호 전송 성능에 기여한다.
감합부의 제1열에는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접촉부, 접지 콘택트의 제3접촉부 및 제2접지 콘택트의 접촉부가 배치되고, 감합부의 제2열에는 접지 콘택트의 2개의 접촉부 및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접촉부가 배치되고,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접속부는 접지 콘택트의 접속부 및 제2접지 콘택트의 접속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동 신호 콘택트 쌍, 접지 콘택트,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 및 제2접지 콘택트를 1그룹으로 하는 복수의 그룹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라 접촉부 및 접속부의 쌍방에 있어서, 각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이 접지 콘택트 및 제2접지 콘택트에 의해 서로 차단되어 양호한 신호 전송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슬릿은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 선단에서 감합부를 획정하는 하우징 본체부의 전벽까지 연장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라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가 완전하게 대응하여 대향하므로, 양호한 임피던스 매칭이 얻어진다.
슬릿의 길이를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 선단에서 감합부를 획정하는 하우징 본체부의 전벽까지의 길이의 약 2/3 또는 약 1/3의 길이로 설정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라 신호 전송의 삽입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의 폭은 차동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의 폭은 차동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의 폭보다 광폭으로 구성해도 좋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접지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3의 신호 콘택트 및 도 4의 접지 콘택트의 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3의 신호 콘택트 및 도 4의 접지 콘택트의 조합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도 3의 신호 콘택트 및 도 4의 접지 콘택트의 조합을 나타내며, (A)정면도, (B)평면도, (C)좌측면도이다.
[도 8] 도 3의 신호 콘택트 및 도 4의 접지 콘택트의 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의 조합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의 조합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1)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1)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1)는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되는 것이며,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지지되는 복수의 콘택트(20, 30)와, 실드 셸(40)을 구비한다.
전기 커넥터(1)는 실드 셸(40)에 의해 획정됨과 함께 정면(전방)에 개구하는 감합 요부(2)를 갖는다. 감합 요부(2)는 상대 커넥터(미도시)를 수용하여 감합하는 영역이며, 이하에서는 감합 요부(2)를 감합부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하우징(10)은 LCP 등의 적당한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콘택트(20, 30)를 지지하는 본체부(미도시)와, 본체부에서 감합 요부(2) 내로 전방에 돌출하는 판상부(플랫폼:12)를 갖는다. 하우징(10)의 상면, 양측면, 저면 및 후면은 실드 셸(40)의 상벽(41), 양측벽(42, 43), 저벽(44) 및 후벽(45)에 의해 각각 덮여진다.
실드 셸(40)은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가공 및 휨 가공한 일체의 부품이다.
실드 셸(40)의 상벽(41)에는 상대 커넥터의 실드(미도시)에 접촉하는 4개의 래치(46)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42, 43)의 후단에는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납땜 펙(47)이 측벽(42, 43)에서 연장하여 형성된다.
도 2에는 후술하는 콘택트(20, 30)의 접속부(22, 32)가 실드 셸(40)의 후벽(45)의 밑에서부터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기 커넥터(1)의 콘택트(20, 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커넥터(1)의 신호 콘택트(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 커넥터(1)의 접지 콘택트(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신호 콘택트(20) 및 도 4의 접지 콘택트(30)의 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신호 콘택트(20) 및 도 4의 접지 콘택트(30)의 조합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신호 콘택트(20) 및 도 4의 접지 콘택트(30)의 조합을 나타내고, (A)정면도, (B)평면도, (C)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신호 콘택트(20) 및 도 4의 접지 콘택트(30)의 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콘택트(20)는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 쌍의 신호 콘택트(20A, 20B;20C, 20D)로 구성된다. 각 신호 콘택트(20)(20A, 20B, 20C, 20D)는 도전선 금속판을 펀칭 가공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고, 접촉부(21)와 회로 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접속부(22)와 접촉부(21) 및 접속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23)를 갖는다. 신호 콘택트 쌍(20A, 20B)과 신호 콘택트 쌍(20C, 20D)과는 연결부(23)의 길이가 다름으로 인해 접속부(22)에 대한 접촉부(21)의 위치(높이)가 달라져 있다.
접촉부(21)(21A, 21B, 21C, 21D)는 상대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미도시)와 접촉하기 위한 것이며, 모두 직사각형의 평판상을 이루고, 전기 커넥터(1)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주면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높이가 낮은 신호 콘택트(20A, 20B)의 접촉부(21A, 21B)는 하우징(10)의 판상부(12;도 1참조)의 하면에 배치되는데에 반해, 높은 신호 콘택트(20C, 20D)의 접촉부(21C, 21D)는 판상부(12)의 상면에 배치된다. 즉 접촉부(21A, 21B)는 전기 커넥터(1)의 감합부에서의 판상부(12)의 하면 제1열 내에 배열되는 것에 반해 접촉부(21C, 21D)는 전기 커넥터(1)의 감합부에서의 판상부(12) 상면의 제2열 내에 배열된다.
각 접촉부(21A, 21B, 21C, 21D)는 그 후단측이 하우징(10)의 후벽(미도시) 내에 압입 고정된다. 모든 접촉부(21A, 21B, 21C, 21D)는 동일한 폭을 갖는다.
접속부(22)(22A, 22B, 22C, 22D)는 전기 커넥터(1)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주면에 납땜되도록 회로 기판의 주면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연결부(23)(23A, 23B, 23C, 23D)는 거의 하우징(10)의 후벽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접촉부(21)의 후단 및 접속부(22)의 전단을 연결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접지 콘택트(30)는 제1 및 제2접지 콘택트(30A, 30B)로 구성된다. 각 접지 콘택트(30)(30A, 30B)는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가공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고, 접촉부(31)(311, 312, 313, 31B)와 회로 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접속부(32)(32A, 32B)와 연결부(33)(33A, 33B)를 갖는다. 또한 제2접지 콘택트(30B)의 연결부(33B)는 접촉부(31B) 및 접속부(32B)를 단순히 연결하는 것에 반해, 제1 접지 콘택트(30A)의 연결부(33A)는 접촉부(311, 312, 313)의 후단의 기부(34)와 접속부(32A)를 연결한다.
접촉부(31;311, 312, 313, 31B)는 모두 직사각형 평판상을 이루고, 전기 커넥터(1)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주면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접지 콘택트(30A)의 2개의 접촉부(311, 312)는 하우징(10)의 판상부(12)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에 반해, 접지 콘택트(30A)의 제3접촉부(313) 및 제2접지 콘택트(30B)의 접촉부(31B)는 판상부(12)의 하면에 배치된다.
즉 접촉부(311, 312)는 전기 커넥터(1)의 감합부에서의 판상부(12)의 상면 제2열 내에 배열되는 것에 반해, 접촉부(313, 31B)는 전기 커넥터(1)의 감합부에서의 판상부(12)의 하면 제1열 내에 배열된다.
각 접촉부(311, 312, 313, 31B)는 그 후단측이 하우징(10)의 본체부 내에 압입 고정된다. 접촉부(311, 312)는 폭(W1)의 슬릿(37;도 7(B)참조)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슬릿(37)은 접촉부(311, 312)의 전단에서 감합 요부(2: 도 1참조)를 획정하는 하우징(10) 본체부의 전벽까지 연장된다. 즉 슬릿(37)의 선단(38)은 하우징(10) 본체부의 전벽과 같은 면의 위치에 있다. 모든 접지 콘택트(30A, 30B)의 접촉부(311, 312, 313, 31B)는 신호 콘택트(20)의 접촉부(21)(21A, 21B, 21C, 21D)와 동일한 폭(W2)을 갖고, 나아가 이들 접촉부(21)와 소정 거리를 유지하여 대향한다.
신호 콘택트(20)의 접속부(22)와 마찬가지로 접속부(32)(32A, 32B)는 전기 커넥터(1)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주면에 납땜되도록 회로 기판의 주면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연결부(33)(33A, 33B)는 거의 하우징(10)의 후벽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중간부가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부(34)는 접촉부(311, 312) 및 접촉부(313)의 중간 높이에 위치하고, 만곡부(35)를 통해 접촉부(311, 312)에 연결됨과 함께, 만곡부(36)를 통해 접촉부(313)에 연결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콘택트(20, 30)가 하우징(10; 도 1 참조)에 조립되면, 신호 콘택트(20A, 20B)의 접촉부(21A, 21B), 접지 콘택트(30A)의 접촉부(313) 및 제2접지 콘택트(30B)의 접촉부(31B)가 전기 커넥터(1)의 감합부에서의 제1열을 형성한다. 동시에 신호 콘택트(20C, 20D)의 접촉부(21C, 21D) 및 접지 콘택트(30A)의 접촉부(311, 312)가 전기 커넥터(1)의 감합부에서의 제2열을 형성한다.
이 때 접지 콘택트(30A)의 접촉부(311, 312)가 신호 콘택트(20A)의 접촉부(21A) 및 신호 콘택트(20B)의 접촉부(21B) 및 신호 콘택트(20B)의 접촉부(21B)에 각각 대향한다. 또한 접지 콘택트(30A)의 접촉부(313) 및 제2접지 콘택트(30B)의 접촉부(31B)가 신호 콘택트(20C)의 접촉부(21C) 및 신호 콘택트(20D)의 접촉부(21D)에 각각 대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콘택트(20)의 접촉부(21) 및 접지 콘택트(30)의 접촉부(31)가 동일한 폭을 갖고, 더욱이 소정 거리를 유지하여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양호한 임피던스 매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판상부(12)에서의 접촉부(21, 31)용 수용 요부를 동일 치수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10)용 금형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신호 콘택트 및 도 4의 접지 콘택트의 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콘택트(20, 3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2쌍)의 신호 콘택트(20A, 20B, 20C, 20D) 및 제1 및 제2접지 콘택트(30A, 30B)로 1그룹(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기 커넥터(1) 전체에서는 합계 4그룹의 콘택트(20, 30)가 감합부에서는 2열로 배열되고, 회로 기판에 대한 접속부에서는 1열로 배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 콘택트(30A)의 접촉부(311, 312)가 신호 콘택트(20A)의 접촉부(21A) 및 신호 콘택트(20B)의 접촉부(21B)에 대향하고, 접지 콘택트(30A)의 접촉부(313) 및 제2접지 콘택트(30B)의 접촉부(31B)가 신호 콘택트(20C)의 접촉부(21C) 및 신호 콘택트(20D)의 접촉부(21D)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다.
그리고 감합부에 있어서는 외측단의 신호 콘택트(20A, 20D)의 접촉부(21A, 21D)를 제외하고, 신호 콘택트(20)의 접촉부(21A, 21B, 21C, 21D)는 좌우 방향으로 접지 콘택트(30)의 접촉부(31)(311, 312, 313, 31B)에 대향(인접)한다.
이 때문에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접촉부(21A, 21B)(21C, 21D)가 감합부에 있어서 접지 콘택트(30)에 실질적으로 둘러싸이기 때문에, 다른 차동 신호 콘택트 쌍으로부터의 노이즈가 억제되어, 양호한 신호 전송 성능의 실현이 가능하다. 또한 접속부에 있어서, 차동 신호 콘택트 쌍(20)의 접속부(22A, 22B)(22C, 22D)가 인접하는 접지 콘택트(30)의 접속부(32A, 32B)에 의해 다른 차동 신호 콘택트로부터 차단되는 것도 양호한 신호 전송 성능에 기여한다.
더욱이 접지 콘택트(30A)가 3개의 접촉부(311, 312, 313)를 가짐으로써 감합부에서의 8개의 접촉부가 6개의 접속부로 수가 감소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의 배열 피치(P1)가 0.75㎜인 것에 반해, 접속부의 배열 피치(P2)는 0.5㎜이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에대한 접속부의 배열 피치를 극단적으로 작게 하지 않고, 소형 전기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2접지 콘택트(30B)를 접지 콘택트(30A)로부터 분리하기 때문에 상기 콘택트(30B)를 전력 전송이나 저속 신호 전송 등의 접지가 아닌 용도로 이용할 수 있어, 전기 커넥터(1)의 응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9는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 조합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 조합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것은 슬릿의 길이뿐이다. 즉 도 9에 나타나는 접지 콘택트(30’A)에 있어서 슬릿(37’)은 접촉부(311’)의 선단에서 하우징 본체부의 전벽까지의 약2/3 길이를 갖는다.
또한 도 10에 나타나는 접지 콘택트(30”A)에 있어서, 슬릿(37”)은 접촉부(311”)의 선단에서 하우징 본체부의 전벽까지의 약1/3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슬릿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신호 전송의 삽입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고, 더욱이 접지 콘택트를 구성하는 재료나 도금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접지 콘택트(30)의 접촉부(31)의 폭을 신호 콘택트(20)의 접촉부(21)의 폭과 동일하게 하였으나, 예를 들면 접촉부(21)의 폭의 1.2배보다 광폭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신호 전송의 삽입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1 전기 커넥터
2 감합 요부(감합부)
10 하우징
20A, 20B 신호 콘택트(차동 신호 콘택트 쌍)
20C, 20D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
21A, 21B 접촉부
22A, 22B 접속부
30A 접지 콘택트
311, 312 접촉부
313 제3접촉부
32A 접속부
30B 제2접지 콘택트
31B 접촉부
32B 접속부
37, 37’, 37” 슬릿

Claims (12)

  1.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부에서 접촉부가 2열로 배열됨과 함께,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1열로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적어도 한 쌍의 차동 신호 콘택트와, 상기 감합부에서 상기 차동 신호 콘택트 쌍에 대향하는 접지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을 구성하는 각 신호 콘택트는 1개의 접촉부 및 1개의 상기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지 콘택트는 상기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2개의 상기 접촉부에 각각 대응하는 슬릿을 통해 이격된 2개의 접촉부 및 1개의 상기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감합부에 있어서 제1열에 배치되고,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감합부에 있어서 제2열에 배치되며,
    상기 접지 콘택트는 상기 감합부의 상기 제1열에 상기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일방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접촉부를 더욱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을 더욱 갖고,
    상기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일방의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는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제3접촉부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타방의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는 상기 감합부에서 제2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상기 접속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의 제1열에는 상기 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상기 접촉부;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제3접촉부; 및
    상기 제2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가 배치되고,
    상기 감합부의 제2열에는 상기 접지 콘택트의 2개의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상기 접촉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제2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4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신호 콘택트 쌍, 상기 접지 콘택트, 상기 제2차동 신호 콘택트 쌍 및 상기 제2접지 콘택트를 1그룹으로 하는 복수의 그룹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 선단에서 상기 감합부를 획정하는 상기 하우징 본체부의 전벽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길이는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의 선단에서 상기 감합부를 획정하는 상기 하우징 본체부의 전벽까지의 길이의 약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길이는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의 선단에서 상기 감합부를 획정하는 상기 하우징 본체부의 전벽까지의 길이의 약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의 폭은 상기 차동 신호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의 폭은 상기 차동 신호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의 폭보다 광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20140120435A 2013-09-13 2014-09-11 전기 커넥터 KR201500311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90953A JP6210540B2 (ja) 2013-09-13 2013-09-13 電気コネクタ
JPJP-P-2013-190953 2013-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199A true KR20150031199A (ko) 2015-03-23

Family

ID=5266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0435A KR20150031199A (ko) 2013-09-13 2014-09-11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65214B2 (ko)
JP (1) JP6210540B2 (ko)
KR (1) KR20150031199A (ko)
CN (1) CN1044665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1772B2 (en) * 2013-12-19 2016-08-30 Apple Inc. Connector retention features
CN204103125U (zh) * 2014-09-02 2015-01-14 康联精密机电(深圳)有限公司 大电流高速传输母端连接器
US9437988B2 (en) * 2014-10-17 2016-09-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10063015B2 (en) * 2015-02-11 2018-08-2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Receptacle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plate
KR102325309B1 (ko) * 2015-05-22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428854A (zh) * 2015-06-10 2016-03-23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TWI713271B (zh) 2015-12-18 2020-12-11 日商廣瀨電機股份有限公司 連接器及其製造方法
CN110391551B (zh) * 2018-04-20 2024-05-31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电连接器
TWI692157B (zh) * 2019-03-06 2020-04-21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合
CN111525347B (zh) * 2020-04-20 2021-06-1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及连接器组合
CN113871981A (zh) * 2021-09-29 2021-12-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连接器、显示屏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9503C (zh) * 1999-07-16 2008-08-06 莫列斯公司 阻抗调谐的连接器
US6280209B1 (en) * 1999-07-16 2001-08-2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improv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US6350134B1 (en) * 2000-07-25 2002-02-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riad contact groups arranged in an alternating inverted sequence
US6863549B2 (en) * 2002-09-25 2005-03-08 Molex Incorporated Impedance-tuned terminal contact arrangement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JP4212956B2 (ja) * 2003-05-27 2009-01-2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平衡伝送用コネクタ
JP4212955B2 (ja) * 2003-05-27 2009-01-2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平衡伝送用プラグコネクタ
JP4494251B2 (ja) * 2004-07-26 2010-06-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平衡伝送用コネクタユニット
CN101771226B (zh) 2009-01-05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430232Y (zh) * 2009-03-31 2010-03-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738507B2 (ja) 2009-03-30 2011-08-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
TWI431850B (zh) * 2009-04-20 2014-03-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JP5285533B2 (ja) 2009-08-07 2013-09-11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7824197B1 (en) * 2009-10-09 2010-11-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odular connec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65214B2 (en) 2015-06-23
US20150079843A1 (en) 2015-03-19
CN104466538B (zh) 2018-09-11
CN104466538A (zh) 2015-03-25
JP6210540B2 (ja) 2017-10-11
JP2015056374A (ja)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2320B2 (en) Circuit board and backplane connector assembly
US11139620B2 (en) Overmolded lead frame providing contact support and impedance matching properties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US10574003B2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reinforced structure
JP5059898B2 (ja) 電気コネクタ
US965384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ood anti-EMI perfprmance
KR101495399B1 (ko)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US7651379B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on disposition
US9478878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simple arrangement of core wires
US6129555A (en) Jack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59168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312640B2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US11283221B2 (en) Connector
US11888268B2 (en) Multi-pole connector set including a shield for suppressing electromagnetic wave interference
US20140017943A1 (en) Cable assembly
JP5868140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モジュール、同軸ケーブル用多極コネクタ及び多極複合コネクタ
US820211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duced number of shields
US20230344177A1 (en) Connector set and connector
US20120329322A1 (en) Connector and signal line structure
US20220311188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9256634B (zh) 高速连接器模组及其制程方法
US2007008759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US11108177B2 (en) Card connector with frame-like tongue for protecting cantilevered contacts
CN116191135A (zh) 电连接器和连接器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