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904A - 의자의 등받이 - Google Patents

의자의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904A
KR20110090904A KR1020117009630A KR20117009630A KR20110090904A KR 20110090904 A KR20110090904 A KR 20110090904A KR 1020117009630 A KR1020117009630 A KR 1020117009630A KR 20117009630 A KR20117009630 A KR 20117009630A KR 20110090904 A KR20110090904 A KR 2011009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ckrest
chair
cover member
sid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 이가라시
켄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오카무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77530A external-priority patent/JP55129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54129A external-priority patent/JP5616585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카무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무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flui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쌍의 측부 프레임(18, 18)의 상단들 및 하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19) 및 하부 프레임(20)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한 틀 모양의 백 프레임(22)에, 하단이 개구된 자루모양의 커버재(26)를 씌워 팽팽하게 설치한 의자의 등받이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좌우방향의 중간부들을, 양 측부 프레임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을 향하는 중간 프레임(21)으로 연결함으로써, 커버재의 후면부의 중간부를 후방으로 팽창시킨다. 이 등받이에 의하면, 착석자가 등받이에 기댔을 때에, 커버재의 반발력이 도중에 극단적으로 변동하는 일이 없으며, 게다가 등받이 커버재의 부하에 대한 후방으로의 요입량을 충분히 확보해서,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의 등받이{CHAIR BACKREST}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8년 10월 29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08-277530호 및 2009년 3월 6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09-54129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의 의자 등받이에는 틀 모양의 백 프레임에, 하단이 개구된 자루모양의 커버재를 씌워 팽팽하게 설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유럽 특허출원공개 제0922419호 명세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의자의 등받이에 있어서는, 백 프레임에 씌운 커버재의 전면부와 후면부가 서로 근접해 있다. 그 때문에, 착석자가 등받이에 기댔을 때에, 최초에 커버재의 전면부만이 후방으로 휘며, 다음에 커버재의 전면부가 후면부에 닿은 후에는, 그 양 부분이 후방으로 휘어서, 착석자의 등 부분 하중을 받는다. 그 결과, 착석자의 등에 대한 반력이, 등받이에 기댔을 때의 초기와, 그 후에, 2단계로 변화되어, 착석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또한, 착석자가 등받이에 기댔을 때에, 쾌적한 착석감을 얻기 위해서는, 등받이의 커버재에 부하를 가했을 때에 있어서의 커버재의 후방으로의 요입량(凹入量)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의자의 등받이에 있어서는, 등받이에 기댔을 때의 초기 이외는, 커버재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양 부분이 일체적으로 휘어서, 그 반력이 크게 되므로, 상기 요입량을 크게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석자가 등받이에 기댔을 때에, 커버재의 반발력이 도중에 극단적으로 변동하는 일이 없으며, 게다가 등받이 커버재의 부하에 대한 후방으로의 요입량을 충분히 확보해서,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는 다음의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쌍의 측부 프레임의 상단들 및 하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한 틀 모양의 백 프레임(back frame)에, 하단이 개구된 자루모양의 커버재를 팽팽하게 설치한 의자의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좌우방향의 중간부들을, 상기 양 측부 프레임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커버재의 후면부의 중간부를 후방으로 팽창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착석자가 등받이에 기댔을 때에, 커버재의 전면부가 후면부에 닿지 않게 되며, 커버재의 저항력이 도중에 극단적으로 변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커버재의 전면부가 신장하는데 따라서, 후면부도 신장하며, 그 후면부의 신장된 만큼 전면부의 후방으로의 요입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평면에서 보아, 중간부가 양(兩) 측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만곡형상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중간 프레임을 양 측부 프레임보다 크게 후방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1)항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등받이의 전후방향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어, 등받이에 고급스런 느낌을 줄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양 측부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의 하부를, 측면에서 보아, 곡률 중심이 전방에 위치하는 원호모양의 만곡형상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등받이의 측면형상을 착석자의 둔부의 측면형상에 따르도록 할 수 있고, 착석자의 둔부에서부터 요부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4) 상기 (1)~(3)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양 측부 프레임에 대한 중간 프레임의 후방으로의 변위량을 상하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자루모양 커버재의 재질이나 형상 등을 상하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바꿀 일이 없으며, 백 프레임에 장착했을 때 커버재의 텐션을 상하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달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서, 등받이의 원하는 높이 부분의 상기 변위량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함으로써, 그 부분의 커버재의 텐션을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할 수 있다.
(5) 상기 (1)~(4)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간 프레임을 탄성재료로 형성하고, 커버재의 전면부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 상기 중간 프레임이 전방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중간 프레임의 탄성이 커버재의 텐션을 보완하고, 그들의 상승작용에 의해 커버재 전면부의 후방으로의 요입비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6) 상기 (1)~(5)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양 측부 프레임의 상단에, 상방을 향해서, 또 측면에서 보아 중간부가 상하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만곡된 연장 프레임을 설치한다. 또한, 양 연장 프레임의 상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상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하고, 이 연장 프레임과 정상부 프레임에 의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특징이 있는 형상의 헤드 레스트를 백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석자가 등받이에 기댔을 때에, 커버재의 반발력이 도중에 극단적으로 변동하지 않으며, 게다가 기댄 커버재의 부하에 대한 후방으로의 요입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등받이의 제1 실시예를 구비하는 의자가 대기상태로 있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자의 착석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의자가 젖혀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백 프레임에 커버재를 씌우기 전의 상태를 등받이의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실시예의 등받이 장치를 구비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의자의 등받이에 있어서의 전면 커버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전면 커버재와 후면 커버재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있어서의 등받이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후면 커버재에 대한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 크기의 변화(%)에 따른 모아레(moire, 물결무늬)모양 패턴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후면 커버재에 대해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가 95%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후면 커버재에 대한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 크기의 변화(%)에 따른 모아레 모양 패턴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후면 커버재에 대해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가 90%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후면 커버재에 대한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 크기의 변화(%)에 따른 모아레 모양 패턴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후면 커버재에 대해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가 80%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후면 커버재에 대한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 크기의 변화(%)에 따른 모아레 모양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후면 커버재에 대해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가 95%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후면 커버재에 대한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 크기의 변화(%)에 따른 모아레 모양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후면 커버재에 대해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가 90%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c는 후면 커버재에 대한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 크기의 변화(%)에 따른 모아레 모양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후면 커버재에 대해 전면 커버재의 구멍부가 80%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등받이의 제1 실시예를 구비하는 의자를 나타낸다.
이 의자는 원판인 베이스(1)의 중앙에 다리(2)를 세워 설치하고, 이 다리(2)의 상단에 지지 베이스(3)를 장착한 하부 구성체(4)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2)를 가스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지지 베이스(3)는 평면 및 측면에서 보아, 다리(2)의 상단보다 전방을 향해서 거의 삼각형상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지지 베이스(3)의 전단부에는 좌석(5)의 전방 하부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축(6)을 개재하여 지지되고, 좌석(5)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대기위치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이거나 약간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사용위치로, 베이스축(6)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좌석(5)의 양측 후부에는 좌우 1쌍의 팔걸이(7, 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팔걸이(7)는, 좌석(5)의 후부 양측으로부터 기립되어 있다. 또한, 각 팔걸이(7)의 후부는, 후술하는 등받이(9)의 지지축(11)을 중심으로 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측면에서 보아 반 원호모양 또는 부채꼴모양의 만곡면(8)을 갖는 등받이 피봇부(7a)와, 이 등받이 피봇부(7a)의 상부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상향의 호형상 팔받침부(7b)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의 형상은 전방 상방을 향해서 수렴하고 측면에서 보아 거의 전방을 향하는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팔받침부(7b)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그 전단부가 도 1에 도시한 대기위치에 있어서, 좌석(5)의 장착축인 베이스축(6)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V)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치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5)이 사용위치에 있을 때는 팔받침부(7b)의 전단부가 상기 수직선(V)보다도 후방, 즉 베이스축(6)보다도 약간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좌우 팔걸이(7, 7)에 있어서의 등받이 피봇부(7a)의 약간 전방 근처의 외측면에는 등받이(9)의 양측 하부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향(前向) 측편(side piece)(10)의 전방 돌출지점이, 대략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1)을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등받이(9)는 좌석(5) 및 팔걸이(7)에 대해서, 도 2에 도시한 기립위치와 도 3에 도시한 후방 경사위치로, 지지축(11)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전향 측편(10)의 내면이 등받이 피봇부(7a)의 외측면과 광범위하게 접촉하지 않도록, 등받이 피봇부(7a)의 외측면은 전향 측편(10)의 장착부위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외향으로 팽창되어 있다.
등받이(9)의 양측 하부에 있어서의 등받이 피봇부(7a)의 후면과 대향하는 부분은, 등받이 피봇부(7a)의 후면 만곡면(8)과 거의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원호모양의 오목 곡면(12)으로 되고, 서로 대향면이 근접한 상태에서, 등받이(9)는 지지축(11)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등받이(9)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하부 프레임(20)의 좌우방향 중앙부와 지지 베이스(3)의 전단부 상면 사이에는, 등받이(9)를 기립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스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가압수단(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베이스(3) 내에는 좌석(5)을 대기위치를 향해서 가압함으로써, 착석자의 기립을 보조할 수 있는 제2 가압수단(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가압수단(14)은, 예를 들면 축선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무 토션 유닛(15)과, 이 고무 토션 유닛(15)에 연결되고, 도 1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하방을 향하는 제1 링크(16)와, 이 제1 링크(16)의 선단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개재하여 하단부가 지지되고, 또 상단부가 좌석(5)의 전후방향 중간부의 하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개재하여 지지된 채 기울어져 후방 상방을 향하는 제2 링크(17)로 이루어져 있다.
팔걸이(7)는 좌석(5)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석(5)이 대기위치와 사용위치로 회동하거나, 등받이(9)가 기울어져도, 좌석(5)에 대한 팔걸이(7)의 상대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대기위치부터 사용위치까지 팔을 자연스런 상태로 팔걸이(7)에 걸칠 수 있어, 의자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좌석(5)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 팔걸이(7)에 있어서의 팔받침부(7b)의 전단부가 좌석(5)을 장착하고 있는 베이스축(6)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V)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대기위치에 있어서, 팔받침부(7b)의 전단부에 팔을 걸치고 착석할 때에, 그 하중에 의해 좌석(5)이 하방으로 회동해 버릴 가능성이 없어, 안심하고 착석할 수 있다.
또한, 좌석(5)의 하방 양 측부로부터 기립하는 등받이 피봇부(7a)에는, 등받이(9)의 양측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향 측편(10)의 전단부를 지지축(11)을 개재하여 장착하고, 또 등받이 피봇부(7a)와 등받이(9) 하부의 대향면을, 지지축(1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모양 또는 부채꼴모양의 만곡면(8) 및 원호모양의 오목 곡면(12)으로 하였으므로, 등받이(9)가 좌석(5) 및 팔걸이(7)와 간섭하는 일이 없어, 크게 후방으로 기울일 수 있다. 게다가, 등받이(9) 하부는 좌석(5)과 일체를 이루는 팔걸이(7)의 등받이 피봇부(7a)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하 치수가 큰 등받이(9)라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9)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쌍의 측부 프레임(18, 18)의 상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19)에 의해 연결하고, 또 양 측부 프레임(18, 18)의 하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20)에 의해 연결하며, 추가로 상부 프레임(19)과 하부 프레임(20)의 좌우방향의 중간부들을, 양 측부 프레임(18, 18)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21)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형성한 것으로, 정면형태가 긴 사각형 틀 모양인 백 프레임(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백 프레임(22)은 적당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합성수지재료에는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등의 강화섬유를 첨가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측부 프레임(18, 18)의 하부와 중간 프레임(21)의 하부는, 측면에서 보아, 곡률 중심이 전방에 위치하는 원호모양의 만곡형상으로 하고, 상부 프레임(19)과 하부 프레임(20)은, 평면에서 보아, 중간부가 양 측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만곡형상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등받이(9)의 하부가, 좌석(5) 및 팔걸이(7)의 하단보다 후방으로 떨어져 있어, 등받이(9)가 회동할 때, 좌석(5) 및 등받이(7)의 후단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어, 등받이(9)의 후방으로의 회동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양 측부 프레임(18, 18)의 하부와 중간 프레임(21)의 하부의 만곡형상에 대한 곡률중심은 등받이(9)의 지지축(11)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프레임(21)은 백 프레임(22)에 있어서의 다른 프레임 구조부재보다 가늘게 형성함으로써, 다른 부분보다 탄성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커버재(26)의 전면부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 중간 프레임(21)이 후방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양 측부 프레임(18, 18)에 대한 중간 프레임(21)의 후방으로의 변위량은 하방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좌우의 전향 측편(10)은 양 측부 프레임(18, 18) 하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측부 프레임(18, 18)의 상단에는, 상방을 향해, 또 측면에서 보아 중간부가 상방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만곡되는 연장 프레임(23, 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 연장 프레임(23, 23)의 상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상부 프레임(24)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형성한 헤드 레스트(25)가, 백 프레임(22)의 상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백 프레임(22)과 헤드 레스트 프레임(25)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과 양측 하부가 개구되어 있고 신축성을 갖는 자루모양 커버재(26)가, 이들 프레임에 상방에서부터 씌워짐으로써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커버재(26)는 헤드 레스트 프레임(25)을 덮는 헤드 레스트 덮개부(27)와, 백 프레임(22)을 덮는 등받이 덮개부(28)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직물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헤드 레스트 덮개부(27)에 있어서의 전면부(27a)와 후면부(27b)의 직물, 및 등받이 덮개부(28)에 있어서의 전면부(28a)와 후면부(28b)의 직물도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헤드 레스트 덮개부(27)와 등받이 덮개부(28)의 직물은, 모두 메쉬재(mesh material)로 되어 있으나, 헤드 레스트 덮개부(27)의 적어도 전면부(27a)의 직물은, 등받이 덮개부(28)의 적어도 전면부(28a)의 직물보다 신축성이 풍부한 메쉬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 레스트 덮개부(27)의 적어도 전면부(27a)의 직물은 결이 거친 저밀도 메쉬재로 되어 있고, 등받이 덮개부(28)의 적어도 전면부(28a)의 직물은 결이 고운 고밀도 메쉬재로 되어 있다.
메쉬재의 직물 발 또는 코의 배향은 헤드 레스트 덮개부(27)에 있어서의 전면부(27a) 및 등받이 덮개부(28)에 있어서의 전면부(28a)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 헤드 레스트 덮개부(27)에 있어서의 후면부(27b) 및 등받이 덮개부(28)에 있어서의 후면부(28b)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이들 메쉬재는 전면부(27a, 28a)에서는 횡방향으로 신축되고, 후면부(27b, 28b)에서는 종방향으로 신축된다.
또한, 등받이 덮개부(28)에 있어서의 전면부(28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이 고운 고밀도 메쉬재로서, 표면이 유연한 투광성 또는 투시성이 낮은 메쉬재의 직물로 되어 있고, 등받이 덮개부(28)에 있어서의 후면부(28b)는, 결이 거친 저밀도 메쉬재로서, 투광성 또는 투시성이 높은 메쉬재 직물로 되어 있다.
전면부(28a)의 직물로서는, 복수의 신축성 실 사이에, 단섬유를 끼워넣어서 합친 레이스 모양의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 레스트 덮개부(27)에 있어서의 전면부(27a)와 후면부(27b), 및 등받이 덮개부(28)에 있어서의 전면부(28a) 및 후면부(28b)는 재질뿐만 아니라, 색체도 서로 다르게 하여 디자인성을 향상시킨다.
커버재(26)는 자루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백 프레임(22) 등에 씌워서 팽팽하게 설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서로 앞뒤가 분리된 커버재(26)의 전면부(27a, 28a)와 후면부(27b, 28b)에 의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25) 및 백 프레임(22)을 앞뒤에서 협지하고, 그 전면부(27a, 28a)와 후면부(27b, 28b)의 가장자리부를 서로 결합 부착해서, 결과적으로 자루모양으로 해도 된다.
커버재(26) 하단부는, 양측 하부의 개구로부터 좌우의 전향 측편(10, 10)을 전방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또 전면부(28a)와 후면부(28b)의 하단부들을, 백 프레임(22)에 있어서의 하부 프레임(20)의 하방에서, 면 패스너, 후크, 패스너, 기타 결합수단(모두 도시 생략)에 의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하부 프레임(20)의 하단부에 장착하였다.
또한, 헤드 레스트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는, 헤드 레스트 프레임(25) 및 커버재(26)에 있어서의 헤드 레스트 덮개부(27)를 생략해도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등받이(9)에서는 상부 프레임(19)과 하부 프레임(20)의 중간부들을, 양 측부 프레임(18, 18)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21)으로 연결하고, 이 중간 프레임(21)에 의해 커버재(26)의 후면부(26b)의 중간부를 후방으로 팽창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착석자가 등받이(9)에 기댔을 때에, 커버재(26)의 전면부(28a)가 후면부(28b)에 닿지 않고, 커버재(26)의 저항력이 도중에 극단적으로 변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커버재(26)의 전면부(28a)의 신장에 따라서 후면부(28b)도 신장하고, 그 후면부(28b)의 신장된 만큼, 전면부(28a)의 후방으로의 요입량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9)과 하부 프레임(20)을, 평면에서 보아, 중간부가 양 측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만곡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중간 프레임(21)을 양 측부 프레임(18, 18)보다 크게 후방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고, 또 등받이(9)의 전후방향의 두께를 증가시켜서, 등받이(9)에 고급스런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헤드 레스트 프레임(25)과, 그것에 씌워진 자루모양 커버재(26)의 헤드 레스트 덮개부(27)에 의해, 특징이 있는 형상의 헤드 레스트를 백 프레임(22)과 일체적으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커버재(26)는, 그 전면부(27a, 28a)와 후면부(27b, 28b)의 직물을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르게 하였으므로, 그것을 메쉬재로 형성한 경우에도 모아레 모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재(26)에, 적정한 휨량을 발휘시킬 수 있으며, 또 커버재(26)의 표면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재(26)에, 그 투광성 또는 투시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충분한 통기성과 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 측부 프레임(18, 18)에 대한 중간 프레임(21)의 후방으로의 변위량을 하방으로 갈수록 크게 하였으므로, 재질, 치수 등을 상하방향의 어느 부분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한 자루형상 커버재(26)를, 백 프레임(22)에 씌우는 것만으로, 등받이(9) 하부에 있어서의 커버재(26)의 초기 텐션을 등받이(9) 상부에 있어서의 커버재(26)의 초기 텐션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서, 착석자가 등받이(9)에 기댔을 때, 등의 상부가 닿는 등받이(9) 상부의 커버재(26)는 텐션이 약해, 유연하게 후방으로 깊숙이 들어간다. 한편, 등의 하부에서부터 요부 및 둔부가 닿는 등받이(9) 하부의 커버재(26)는 텐션이 강해서 신체를 강력하게 지지한다. 그 결과, 착석자에게 쾌적한 착석감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양 측부 프레임(18, 18)에 대한 중간 프레임(21)의 후방으로의 변위량을 상하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다르게 함으로써, 자루모양 커버재(26)의 재질이나 형상 등을 상하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바꾸는 일 없이, 백 프레임(22)에 장착했을 때 커버재(26)의 텐션을 상하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서, 등받이의 원하는 높이 부분의 상기 변위량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함으로써, 그 부분의 커버재(26)의 텐션을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제2 실시예를 이하에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실시예의 등받이 장치를 구비한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의자의 등받이에 있어서 전면 커버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전면 커버재와 후면 커버재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있어서의 등받이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기재 중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의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대기상태인 A위치와, 도 5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수평인 통상 사용상태인 B위치와, 약간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젖힌 사용상태인 C위치로, 베이스축(6)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등받이 프레임(22)과 헤드 레스트 프레임(25)에는 다공 시트모양의 커버재, 예를 들면 크로스(cross) 등에 의해 하단과 양측 하부가 개구된 자루모양으로 편성하고, 신축성을 갖는 메시모양의 커버재(26)가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재(26)의 등받이 프레임(22)에 대해서 전면(26A)측에 있어서의 그물코(127)와, 그 후면(26B)측에 있어서의 그물코(128)의 형상이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그물코(127, 128)의 크기는 전면(26A)측이 곱고, 후면(26B)측이 성길게 되도록,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의자의 등받이(9)를 전방에서 눈으로 확인했을 때, 그물코(127, 128)의 형상과 유사한 복수의 집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명료한 모양이 등받이(9)의 전면(全面)에 선명하게 출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커버재(26)에 있어서의 전면(26A) 그물코(127)의 크기는, 후면(26B) 그물코(128)의 크기를 100%로 했을 때에, 전면(26A) 그물코(127)의 크기를 후면(26B) 그물코(128)에 대해서 95%부터 8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재(26)에 있어서의 전면(26A) 그물코(127)의 크기를 후면(26B) 그물코(128)의 크기에 대해서 95% 이상으로 한 경우와 같이, 그물코(127, 128)의 크기에 큰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모아레 모양이 종래와 거의 마찬가지로, 단순하고 변화가 부족하며, 디자인적으로도 깊이가 없다. 한편, 전면(26A) 그물코(127)의 크기를 후면(26B) 그물코(128)에 대해서 80% 이하, 가령 50%로 한 경우에는, 조합에 의한 메리트가 없으며, 또 25% 이하에서는, 단순히 전면(26A) 그물코(127)의 무늬와 후면(26B) 그물코(128)의 무늬가 서로 겹쳐지면서 변화가 부족한 모양이 된다.
도 8a~c는 후면 커버재에 대한 전면 커버재 그물코의 크기 변화(%)에 따른 모아레 모양의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후면 커버재에 대해서 전면 커버재의 그물코가 95%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후면 커버재에 대해서 전면 커버재의 그물코가 90%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c는 후면 커버재에 대해서 전면 커버재의 그물코가 80%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재(26)에 있어서의 전면(26A) 그물코(127)와 후면(26B) 그물코(128)를 동일 형상의 둥근(구) 모양으로 한 경우에는, 그물코(127, 128)의 둥근(구) 모양의 형상과 유사한 복수의 집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명료한 모아레 모양이, 후면(26B) 커버재(26)의 그물코(128)에 대해서 전면(26A) 커버재(26)의 그물코(127)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서 그 수가 늘어나면서, 등받이(9)의 전면에 선명하게 출현한다.
도 9a~c는 후면 커버재에 대한 전면 커버재 그물코의 크기 변화(%)에 따른 모아레 모양의 패턴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후면 커버재에 대해 전면 커버재의 그물코가 95%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후면 커버재에 대해 전면 커버재의 그물코가 90%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c는 후면 커버재에 대해 전면 커버재의 그물코가 80%의 크기인 경우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재(26)에 있어서의 전면(26A) 그물코(127)와 후면(26B) 그물코(128)를 동일 형상의 길이가 긴 사각형으로 한 경우에는, 세로 철근 형상의 모아레 모양이 규칙적으로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등받이(9)의 전면에 걸쳐서 선명하게 출현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다공 시트모양의 커버재로서, 크로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시모양을 이루는 커버재를 사용하였으나, 커버재로서, 구멍부를 다수 개구시킨 펀칭 메탈이나 그물코 모양으로 편성한 와이어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변형된 양태로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착석자가 등받이에 기댔을 때에, 커버재의 반발력이 도중에 극단적으로 변동하지 않으며, 게다가 등받이 커버재의 부하에 대한 후방으로의 요입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를 제공할 수 있다.
1 베이스, 2 다리, 3 지지 베이스, 4 하부 구성체, 5 좌석, 6 베이스축, 7 팔걸이, 7a 등받이 피봇부, 7b 팔받침부, 8 만곡부, 9 등받이, 10 전향 측편, 11 지지축, 12 오목 곡면, 13 제1 가압수단, 14 제2 가압수단, 15 고무 토션 유닛, 16 제1 링크, 17 제2 링크, 18 측부 프레임, 19 상부 프레임, 20 하부 프레임, 21 중간 프레임, 22 백 프레임, 23 연장 프레임, 24 정상부 프레임, 25 헤드 레스트 프레임, 26 커버재, 26A 전면 26B 후면, 27 헤드 레스트 덮개부, 27a 전면부, 27b 후면부, 28 등받이 덮개부, 28a 전면부, 28b 후면부, 127, 128 그물코, V 수직선

Claims (12)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1쌍의 측부 프레임의 상단들 및 하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한 틀 모양의 백 프레임(back frame)에, 하단이 개구된 자루모양의 커버재를 팽팽하게 설치한 의자의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좌우방향의 중간부들을, 상기 양 측부 프레임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프레임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커버재의 후면부의 중간부를 후방으로 팽창시킨 의자의 등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평면에서 보아, 중간부가 양(兩) 측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만곡형상으로 한 의자의 등받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 측부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의 하부를, 측면에서 보아, 곡률 중심이 전방에 위치하는 원호모양의 만곡형상으로 한 의자의 등받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 측부 프레임에 대한 중간 프레임의 후방으로의 변위량을 상하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 의자의 등받이.
  5. 제3항에 있어서,
    양 측부 프레임에 대한 중간 프레임의 후방으로의 변위량을 상하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 의자의 등받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간 프레임을 탄성재료로 형성하고, 커버재의 전면부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 상기 중간 프레임이 전방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한 의자의 등받이.
  7. 제3항에 있어서,
    중간 프레임을 탄성재료로 형성하고, 커버재의 전면부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 상기 중간 프레임이 전방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한 의자의 등받이.
  8. 제4항에 있어서,
    중간 프레임을 탄성재료로 형성하고, 커버재의 전면부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 상기 중간 프레임이 전방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한 의자의 등받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양 측부 프레임의 상단에, 상방을 향해서, 또 측면에서 보아 중간부가 상하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만곡된 연장 프레임을 설치하고, 양 연장 프레임의 상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상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하고, 이 연장 프레임과 정상부 프레임에 의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을 형성한 의자의 등받이.
  10. 제3항에 있어서,
    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양 측부 프레임의 상단에, 상방을 향해서, 또 측면에서 보아 중간부가 상하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만곡된 연장 프레임을 설치하고, 양 연장 프레임의 상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상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하고, 이 연장 프레임과 정상부 프레임에 의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을 형성한 의자의 등받이.
  11. 제4항에 있어서,
    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양 측부 프레임의 상단에, 상방을 향해서, 또 측면에서 보아 중간부가 상하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만곡된 연장 프레임을 설치하고, 양 연장 프레임의 상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상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하고, 이 연장 프레임과 정상부 프레임에 의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을 형성한 의자의 등받이.
  12. 제5항에 있어서,
    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양 측부 프레임의 상단에, 상방을 향해서, 또 측면에서 보아 중간부가 상하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만곡된 연장 프레임을 설치하고, 양 연장 프레임의 상단들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상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하고, 이 연장 프레임과 정상부 프레임에 의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을 형성한 의자의 등받이.
KR1020117009630A 2008-10-29 2009-10-28 의자의 등받이 KR20110090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77530A JP5512951B2 (ja) 2008-10-29 2008-10-29 椅子の背凭れ
JPJP-P-2008-277530 2008-10-29
JP2009054129A JP5616585B2 (ja) 2009-03-06 2009-03-06 椅子の背凭れ装置
JPJP-P-2009-054129 2009-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904A true KR20110090904A (ko) 2011-08-10

Family

ID=4212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630A KR20110090904A (ko) 2008-10-29 2009-10-28 의자의 등받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04694A1 (ko)
EP (1) EP2359717B1 (ko)
KR (1) KR20110090904A (ko)
CN (1) CN102202546A (ko)
CA (1) CA2742008A1 (ko)
WO (1) WO2010050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9037B2 (en) * 2010-04-13 2013-05-28 Herman Miller, Inc. Seating structure with a contoured flexible backrest
KR20130084237A (ko) 2010-06-11 2013-07-24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무라세이사꾸쇼 가구용 직물 및 의자
JP5571470B2 (ja) * 2010-06-11 2014-08-13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
JP5600032B2 (ja) * 2010-06-11 2014-10-01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家具用布帛
CN103124507B (zh) * 2010-09-27 2015-11-25 宫本诚三 靠背椅子及该靠背椅子所采用的椅子用片材
US20130313884A1 (en) * 2011-01-27 2013-11-28 Okamura Corporation Chair backrest device
US11304528B2 (en) 2012-09-20 2022-04-19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8998339B2 (en) 2012-09-20 2015-04-07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11229294B2 (en) 2012-09-20 2022-01-25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JP6204011B2 (ja) * 2012-10-16 2017-09-2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フレームへの張材の張設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椅子の背凭れ
JP6123239B2 (ja) * 2012-11-06 2017-05-10 コクヨ株式会社 椅子の表皮材
USD705561S1 (en) 2013-05-16 2014-05-27 Steelcase Inc. Chair
USD704945S1 (en) 2013-05-16 2014-05-20 Steelcase Inc. Chair
USD708466S1 (en) 2013-05-16 2014-07-08 Steelcase Inc. Chair
JP6552083B2 (ja) * 2014-10-24 2019-07-31 株式会社オカムラ 椅子用荷重支持部材および椅子
EP3210498B1 (en) * 2014-10-24 2019-06-12 Okamura Corporation Furniture, load supporting member for chair, and chair
WO2016063973A1 (ja) * 2014-10-24 2016-04-2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家具、椅子用荷重支持部材及び椅子
CN117860063A (zh) * 2017-12-05 2024-04-12 斯蒂尔凯斯有限公司 顺应性靠背
AU2020224628A1 (en) 2019-02-21 2021-08-26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11357329B2 (en) 2019-12-13 2022-06-14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4817A1 (de) * 1997-12-10 1999-06-17 Stoll Sedus Ag Rückenlehne
AU783829B2 (en) * 2000-09-28 2005-12-08 Formway Furniture Limited A reclinable chair
US6609755B2 (en) * 2001-06-15 2003-08-26 Hon Technology Inc. Ergonomic chair
DE10215285A1 (de) * 2002-04-07 2003-10-16 Christian Erker Sitzschale mit Neigungs-Konturkoppelungsmechanismus
US6869142B2 (en) * 2002-09-12 2005-03-22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Seating unit having motion control
US7025424B2 (en) * 2004-06-07 2006-04-11 Allseating Corporation Chair back for a chair
USD528810S1 (en) * 2004-09-27 2006-09-26 Okamura Corporation Chair
US7396079B2 (en) * 2005-03-08 2008-07-08 Steelcase Inc. Seating with shape-changing back support frame
USD534384S1 (en) * 2005-04-07 2007-01-02 Tung-Hua Su Backrest for a chair
USD545582S1 (en) * 2006-01-17 2007-07-03 Yao-Chuan Wu Chair
CA2895942A1 (en) * 2007-03-13 2008-09-13 Hni Technologies Inc. Dynamic chair back lumbar support system
DE202007004659U1 (de) * 2007-03-28 2007-06-14 Bremen-Kühne, Sema von Möbelschutz
JP2008277530A (ja) 2007-04-27 2008-11-13 Renesas Technology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TWI334559B (en) 2007-08-28 2010-12-11 Ind Tech Res Inst Interactive pointing device
USD576813S1 (en) * 2008-02-22 2008-09-16 Ivars S.P.A. Office chair
CA145425S (en) * 2011-10-31 2012-12-13 Okamura Corp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9717A4 (en) 2013-10-16
EP2359717A1 (en) 2011-08-24
CA2742008A1 (en) 2010-05-06
CN102202546A (zh) 2011-09-28
EP2359717B1 (en) 2014-11-26
US20110204694A1 (en) 2011-08-25
WO2010050204A1 (ja)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0904A (ko) 의자의 등받이
EP1232703B1 (en) Chair
EP2491820B1 (en) Backrest for chair
CN103963820B (zh) 婴儿车用座椅和婴儿车
JP5512951B2 (ja) 椅子の背凭れ
JP4593439B2 (ja) 椅子とその背もたれ製造方法
JP4450374B2 (ja) 椅子
JP2007151582A (ja) 身体支持板及び椅子
JP3144491U (ja) シートバック構造
KR101792119B1 (ko) 증강된 탄성력을 가지는 메쉬형 의자 좌판
AU2007236205A1 (en) Self-supporting covering for furniture for sitting and lying on
JP5512952B2 (ja) 椅子
JP5336063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4912653B2 (ja) ベビーカーのガードアーム
JP4516822B2 (ja) 椅子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JP5210043B2 (ja) 座席構造
JP2009112415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4197045B2 (ja) 椅子
JP5378756B2 (ja) 椅子の背凭れ
JP5512953B2 (ja) 椅子
JP5313629B2 (ja) 椅子におけるヘッドレスト付き背凭れ
JP561658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CN211559453U (zh) 一种可调节支撑的人体工程学办公椅
WO2010050175A1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