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917A -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 Google Patents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917A
KR20110085917A KR1020110005161A KR20110005161A KR20110085917A KR 20110085917 A KR20110085917 A KR 20110085917A KR 1020110005161 A KR1020110005161 A KR 1020110005161A KR 20110005161 A KR20110005161 A KR 20110005161A KR 20110085917 A KR20110085917 A KR 20110085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ocyte colony
sustained
csf
liquid formulation
conju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710B1 (ko
Inventor
이미지
이재민
이병선
배성민
권세창
Original Assignee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307381&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8591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8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193Colony stimulating factors [CS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11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protein or peptide, e.g. transferrin or bleomycin
    • A61K47/681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protein or peptide, e.g. transferrin or bleomycin the drug being a peptidic cytokine, e.g. an interleukin or interfer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C07K14/53Colony-stimulating factor [CSF]
    • C07K14/535Granulocyte CSF; Granulocyte-macrophage CS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er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내 지속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지속형 인간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hG-CSF) 결합체가 장기간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액상 제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제제는 완충용액 및 만니톨을 함유하는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인간 혈청 알부민 및 인체에 잠재적으로 유해한 인자를 포함하지 않아 바이러스 감염의 우려가 없이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Liquid formulations for long-acting G-CSF conjugate}
본 발명은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되어 천연형에 비해 생리활성 지속기간이 증가된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에 관한 것이다.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는 골수간세포와 백혈구의 분열과 분화를 지시하는 사이토카인으로 골수 밖에서 세포들의 분열 및 분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분자량은 18,000 내지 19,000 달톤이고, 등전점(pI)이 6.1(당쇄화 정도에 따라 pI 값이 5.5-6.1)인 당단백질이다(Nomura 등, EMBO J. 5(5): 871-876, 1986).
재조합 DNA 기술은 G-CSF의 분자적 및 유전적 성질을 규명하였으며(Clark 및 Kamen, Science, 236:1229-1237, 1987), CHU-2 세포와 인간 방광암 세포 5637에서 mRNA를 분리하여 조제된 cDNA 라이브러리에서 인간 G-CSF 유전자가 클로닝된 이후(Nagata 등, Nature, 319: 415-418, 1986; Nagata 등, EMBO J., 5(3): 575-581, 1986; Souza 등, Science, 232: 61-65, 1986), 포유동물 세포와 원액세포에서 G-CSF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G-CSF의 대량 생산을 위해 연구한 결과, hG-CSF의 일부 아미노산 잔기, 특히 17번째 시스테인 잔기를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하여 제조된 hG-CSF 유도체의 유전자를 분비서열과 연결하여 발현시킬 경우, 아미노 말단에 메티오닌 잔기가 부가되지 않은 형태로 hG-CSF를 페리플라즘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특허 출원한 바 있다(한국특허 등록 제10-356140호).
한편, G-CSF와 같은 폴리펩타이드는 일반적으로 안정성이 낮아 쉽게 변성되고 혈액 내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신장이나 간을 통해 쉽게 제거되기 때문에, 약리성분으로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의약품의 혈중 농도 및 역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백질 약물을 환자에게 자주 투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 주사제 형태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단백질 의약품의 경우, 활성 폴리펩타이드의 혈중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자주 주사를 놓는 것은 환자에게 고통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백질 약물의 혈중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혈중 약물 농도를 오랫동안 높게 지속시켜 약효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단백질 약물의 지속성 제제는 단백질 약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약물 자체의 역가가 충분히 높게 유지되어야 하고 환자에게 면역반응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단백질을 안정화시키고 프로테아제 접촉 및 신장 손실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과 같이 용해도가 높은 고분자를 단백질 약물 표면에 화학적으로 부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PEG는 목적 단백질의 특정 부위 또는 다양한 부위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용해도를 높임으로써 단백질을 안정화시키고,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방지하는 데에 효과가 있으며 특별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ada 등, J. Fermentation Bioengineering, 71: 137-139, 1991). 그러나, PEG를 결합시키는 경우에 단백질의 안정성은 증가할 수 있지만 생리활성 단백질의 역가가 현저히 낮아지고, PEG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단백질과의 반응성이 낮아져 수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생리활성 단백질의 생체 내 안정성을 높이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혈중 안정성이 높은 단백질 유전자와 생리활성 단백질 유전자를 연결한 후, 상기 재조합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동물세포 등을 배양하여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의 안정성 증가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알부민 또는 그 단편을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목적하는 생리활성 단백질에 결합시켜 생산한 융합 단백질이 보고되어 있다(국제특허 공개 WO 93/15199호 및 WO 93/15200호, 유럽특허 공개 EP 413,622호).
또한, 면역글로불린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미국특허 제5,045,312호는 교차결합체를 이용하여 인간 성장호르몬에 소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또는 쥐의 면역글로불린을 결합시킴으로써 변형되지 않은 성장호르몬에 비해 성장호르몬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교차결합체로서 카보디이미드(carbodiimide) 또는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와 같은 저분자량의 화학물질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저분자량의 교차결합체를 사용할 경우 비특이적 결합으로 인해 균질한 조성물을 얻기 어려우며, 생체 내 독성을 갖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에서는 성장호르몬의 화학적 커플링에 의해 그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줄 뿐이어서, 다양한 종류의 폴리펩타이드 약물에 대해서는 활성 증가의 효과가 나타날 것인지조차 불명확하여, 지속시간 및 혈중 반감기 증가와 같은 단백질의 안정성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전혀 인식조차 못하고 있다.
최근에 활성 감소 최소화와 안정성 증가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지속성 단백질 약물 제제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생리활성 폴리펩타이드를 결합시켜 제조한 결합체가 개시되었다(한국특허 등록 제10-0567902호 및 제10-0725315호).
상기 방법으로 생리활성 폴리펩타이드로서 G-CSF를 적용시켜 지속형 G-CSF 결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데, 지속형 G-CSF 결합체가 포함된 약물을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저장 운송 과정에서 빛, 열, 또는 첨가제 내 불순물에 의해 유도된 열화에 의한 변성, 응집, 흡착 또는 가수분해 등의 물리화학적인 변화를 억제하면서 생체 내 효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속형 G-CSF 결합체는 폴리펩타이드 상의 G-CSF에 비해 부피가 커지고, 분자량이 증가하여 안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단백질은 그 반감기가 무척 짧으며 적당하지 않은 온도, 물-공기의 계면에의 노출, 고압, 물리적/기계적 스트레스, 유기용매, 미생물에 의한 오염 등에 노출시, 단량체의 응집, 응집에 의한 침전, 용기 표면에의 흡착 등의 변성 현상을 나타낸다. 변성된 단백질은 원래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생리활성 효과를 소실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백질의 변성 현상은 비가역적이기 때문에, 한번 변성된 단백질은 원래의 특성을 거의 회복할 수 없다. 특히,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는 앰플 및 주사기 등의 벽에 흡착하는 성질이 강하고 불안정하며, 온도, 습도, 산소, 자외선 등의 외부 요소에 쉽게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어 응집, 중합 또는 산화를 포함하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를 거쳐 활성이 크게 손실되는 결과를 초래한다(한국특허 등록 제10-0389726호). 또한, 흡착된 단백질은 변성 과정에 의하여 쉽게 응집되며, 이렇게 응집된 변성 단백질은 인체에 투여 시, 인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단백질 자체에 대하여 항체 형성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단백질이 충분히 안정한 상태가 되도록 투여하여야 한다. 따라서, 용액 중의 단백질의 변성을 막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John Geigert, J. Parenteral Sci. Tech., 43(5): 220-224, 1989; David Wong, Pharm. Tech., 34-48, 1997; Wei Wang., Int. J. Pharm., 185: 129-188, 1999; Willem Norde, Adv. Colloid Interface Sci., 25: 267-340, 1986; Michelle 등, Int. J. Pharm. 120: 179-188, 1995).
일부 단백질 약품은 동결 건조방법으로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동결 건조 제품은 사용할 때 다시 주사용수에 녹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동결 건조과정이 생산 공정에 포함되어 있어서, 대용량의 동결 건조기를 사용해야만 하는 등 대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다. 분무 건조기를 사용하여 단백질을 분말화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낮은 수율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단백질 자체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용액 상태인 단백질에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단백질 약물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억제하면서 장기간 저장을 통해서도 생체 내 효력을 유지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안정화제는 구체적으로 탄수화물, 아미노산, 단백질, 계면활성제, 고분자 및 염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단백질의 일종인 인간 혈청 알부민은 여러 단백질 약물의 안정화제로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성능을 입증 받아왔다(Edward Tarelli 등, Biologicals, 26: 331-346, 1998).
그러나, 인간 혈청 알부민은 정제 과정에서 미코플라스마, 프리온,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등의 생물학적 오염물에 대한 불활성 공정 또는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오염물 또는 병원체에 대한 생물학적 물질을 스크린 하거나 검사하는 방법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이 완전히 제거 또는 불활성 되지 않은 채 환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 공정은 혈액 기증자로부터의 인간 혈액에서 특정 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공정은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특히 매우 적은 수로 존재하는 특정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 인간 혈청 알부민을 대신한 재조합 알부민(한국특허 공개 제10-2004-0111351호)을 이용하거나, 알부민-비함유 에리스로포이에틴 제제(한국특허 등록 제10-0560697호 및 제10-0596610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알부민을 함유하지 않는 안정화제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상이한 단백질들은 그들의 화학적 차이점으로 인해 저장기간 동안 상이한 비율 및 상이한 조건하에서 점진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물질에 의한 저장기간 연장 효과는 상이한 단백질에 대해서 동등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저장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정화제는 목적 단백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비율 및 종류가 다양하다.
또한 안정화제들을 병용할 경우 상호간의 경쟁 및 부작용으로 인하여 목적한 바와 다른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저장하는 동안 저장 단백질의 본질이 변화하거나 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상이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단백질을 안정화하는데 적합한 범위의 농도가 존재하므로, 안정화를 위한 안정화제의 종류 및 이들의 적정농도로서의 조합을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생체 내 지속성 및 안정성을 높인 지속형 G-CSF 결합체의 경우,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와 면역글로불린 Fc영역이 결합된 형태이므로 분자량 및 부피가 일반적인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와 확연하게 다르고,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안정성은 pH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되는 G-CSF의 안정화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단백질을 안정화하기 위한 특별한 조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G-CSF를 바이러스 오염의 우려 없이 장기간 동안 효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지속형 G-CSF 결합체에 특이적인 안정한 액상 제제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특정 pH 범위의 완충용액 및 만니톨을 포함하는 안정화제를 이용하여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경제적이고 안정한 액상 제제를 완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 결합체,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된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G-CSF) 결합체, 및 완충용액 및 만니톨을 포함하는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G-CSF),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된 약리학적 유효량의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 및 완충용액 및 만니톨을 포함하는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 및 "지속형 G-CSF 결합체"는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와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연결된 형태의 단백질로서, 천연형 G-CSF에 비해 생리활성 지속기간이 증가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용어 "지속형"이란 생리활성 지속기간이 천연형에 비해 증대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결합체"란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된 형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G-CSF는 인간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또는 그의 밀접하게 관련된 유사체의 서열을 갖는다. G-CSF는 천연 또는 재조합 기원 중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나 모두 가능하며, 생물학적 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아미노산의 치환, 제거 또는 삽입에 의한 유도체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유용한 인간 G-CSF 및 그의 유도체는 포유동물로부터 추출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유전자 재조합 기법을 이용하여 G-CSF 및 그의 유도체를 코딩하는 DNA로 형질전환된 원핵 또는 진핵생물로부터 수득할 수도 있는데, 숙주로서 대장균(예를 들어, E. coli) 또는 효모(예를 들어, S. cerevisiae) 및 포유동물 세포(예를 들어, 중국 햄스터 난소세포, 원숭이 세포)를 사용할 수 다. 사용한 숙주에 따라, G-CSF 및 그의 유도체 발현산물은 포유동물 또는 다른 진핵 탄수화물과 당쇄화될 수 있거나, 비-당쇄화될 수 있다. 또한, 원핵생물에서 발현시킬 경우에는 G-CSF 및 그의 유도체 발현산물은 초기 메티오닌 잔기를 포함(위치 -1)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G-CSF는 대장균을 숙주세포로 이용하여 제조한 재조합 인간 G-CSF(HuG-CSF)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천연형 G-CSF의 17번째 시스테인 잔기가 세린으로 치환된 재조합 인간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유도체 17Ser-G-CSF를 한국특허 등록 제10-356140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한 면역글로불린 Fc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Fc, 그의 밀접하게 관련된 유사체의 서열을 갖는 것으로, 소, 염소, 돼지, 마우스, 래빗, 햄스터, 랫트 또는 기니아 픽 등의 동물기원일 수 있다. 또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IgG, IgA, IgD, IgE 또는 IgM 유래 또는 이들의 조합(combination) 또는 이들의 하이브리드(hybrid)에 의한 Fc 영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혈액에 가장 풍부한 IgG 또는 IgM 유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리간드 결합 단백질의 반감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IgG 유래이다. 면역글로불린 Fc는 천연 IgG를 특정 단백질 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형질 전환된 세포로부터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장균(E. coli) 형질전환체로부터 제조한 재조합 인간 면역글로불린 Fc이다.
한편, IgG 역시 IgG1, IgG2, IgG3 및 IgG4의 서브클래스로 나눌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하이브리드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IgG2 및 IgG4 서브클래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체 의존적 독성(CDC, 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과 같은 이펙터 기능(effector function)이 거의 없는 IgG4의 Fc 영역이다. 즉, 가장 바람직한 본 발명의 약물의 캐리어용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인간 IgG4 유래의 비-당쇄화된 Fc 영역이다. 인간 유래의 Fc 영역은 인간 생체에서 항원으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새로운 항체를 생성하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비-인간 유래의 Fc 영역에 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속형 G-CSF 결합체는 상기된 방법으로 제조한 G-CSF와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결합시켜 제조한다. 이때 이용되는 결합 방법으로, G-CSF와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교차 결합시키거나,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G-CSF와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연결된 형태의 융합 단백질로 제조할 수 있다.
교차 결합 시 사용되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공중합체, 폴리옥시 에틸화 폴리올, 폴리비닐 알콜,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란, 폴리비닐 에틸 에테르, PLA(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 및 PLGA(폴리락틱-글리콜산, polylactic-glycolic acid)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지질 중합체, 키틴류, 히아루론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당해 분야에 이미 알려진 이들의 유도체 및 당해 분야의 기술 수준에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유도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속형 G-CSF 결합체는 한국특허 등록 제10-0725315호의 기재에 따라 유전공학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G-CSF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G-CSF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1회용 바이알(single-use vial) 내에 약 300 mcg 정도가 함유된 양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속형 G-CSF 결합체의 농도는 7 mg/ml 내지 22 mg/ml이고, 바람직하게는 11 mg/ml 내지 22 mg/ml이다.
본 발명의 용어 "안정화제"는 지속형 G-CSF 결합체가 안정하게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을 의미하는데, "안정화"는 일정한 시간 동안 특정 저장 조건 하에서 활성 성분의 손실이 특정량 미만, 일반적으로 10% 미만임을 의미한다. 보통, 10℃에서 2년, 25℃에서 6개월 또는 40℃에서 1 내지 2주 동안 G-CSF가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5% 정도의 잔존율을 유지하는 경우 이러한 제제는 안정한 것으로 이해된다. G-CSF와 같은 단백질에 있어서, 저장 안정성은 정확한 투여량을 보장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G-CSF에 대한 항원성 형태 물질의 잠재적인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저장기간 동안 G-CSF가 10% 정도의 손실을 나타내는 것은 조성물 내에서 응집체나 단편 등을 야기하여 항원성 화합물로 전환되지 않는 한 실질적인 투여 시 허용할 만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안정화제는 지속형 G-CSF 결합체에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안된 특이적인 조성의 완충용액 및 만니톨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한 안정화제는 알부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의 안정화제로 이용될 수 있는 인간 혈청 알부민은 인체의 혈액으로부터 제조되므로, 인간 유래의 병원성 바이러스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존재하며, 젤라틴이나 소 혈청 알부민은 질환을 야기하거나, 일부 환자의 경우에는 알러지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는 인간 또는 동물 유래의 혈청 알부민 또는 정제된 젤라틴 등의 이종 단백질을 함유하지 않아 바이러스 감염의 우려가 없다.
상기 안정화제에 포함되는 완충용액은 액상 제제의 pH가 급격히 변화하지 않게 용액의 pH를 유지시켜 지속형 G-CSF 결합체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완충용액은 알칼리 염(나트륨 또는 칼륨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수소 또는 이수소 염), 구연산나트륨/시트르산, 나트륨 아세테이트/아세트산을 비롯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제약상 허용 가능한 pH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완충제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완충용액으로는 구연산, 인산, 주석산, 탄산, 석신산, 젖산, 아세트산 완충용액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인산 완충용액(phosphate buffer) 및 구연산 완충용액(citrate buffer)이 바람직하고, 구연산 완충용액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연산 완충용액을 구성하는 구연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mM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mM이다. 완충용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용액의 pH 범위에 따른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pH 6.0 보다 pH 5.5의 구연산 완충용액 하에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이 증대됨을 확인하였다(표 2 및 4 참고). 이를 통해 지속형 G-CSF 결합체는 완충액의 pH에 따라 안정화되는 정도가 다르며, 특정 pH 범위에서 더 큰 안정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중성의 pH에서 안정성을 나타내는 Fc가 연결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경우, 낮은 pH의 완충용액을 포함한 액상제제를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단백질의 저장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뉴라스타(neulasta)는 PEG가 융합된 G-CSF 약물로서, pH 4의 아세트산 완충용액을 포함한 안정화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지속형 G-CSF 결합체는 천연형 G-CSF보다 분자량 및 부피가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중성의 pH 범위에서 안정화되는 면역글로불린 Fc의 특성상 G-CSF의 기존 안정화제 조성 및 pH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안정화제에 포함되는 만니톨은 당 알코올의 일종으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만니톨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용액 대비 1 내지 20 %(w/v),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w/v),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w/v)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연산 완충용액 존재 하에서, 안정화제로 만니톨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당 알코올인 소르비톨(sorbitol)을 안정화제로 사용한 경우보다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저장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표 6 참고). 이는 만니톨이 다른 안정화 물질에 비해 지속형 G-CSF 결합체에 특별한 안정성을 부여함을 나타내며, 안정화 대상에 따라 사용되는 안정화제도 다르게 적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안정화제에는 고농도의 만니톨 및 완충용액이 지속형 G-CSF 결합체에 부여하는 안정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종류의 당 알코올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적합한 안정화제는 완충용액 및 만니톨 이외에 등장화제, 다가 알코올, 당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중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등장화제는 지속형 G-CSF 결합체를 용액 상에서 체내에 투여할 때 삼투압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지속형 G-CSF 결합체를 용액 상에서 더욱 안정화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나타낸다. 그러한 등장화제로는 수용성 무기염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염화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등장화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5 내지 200 mM이며, 제형에 포함된 성분들의 종류 및 양 등에 따라 각각의 혼합물이 모두 포함된 액상 제제가 등장액이 되도록 적절한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저장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당류의 바람직한 예로는 만노오스, 글루코오스, 푸코오스 및 크실로오스 등의 단당류와 락토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라피노오스 및 덱스트란 등의 다당류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당류의 농도는 전체 용액 대비 1 내지 20 %(w/v)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w/v)이다. 또한, 다가 알코올의 바람직한 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저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다가 알코올의 농도는 전체 용액 대비 1 내지 15 %(w/v)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w/v)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단백질 용액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소수성 표면에 단백질이 흡착하거나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본 발명에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소르베이트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록사머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이들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소르베이트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소르베이트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소르베이트 80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액상 제제에 고농도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데, 고농도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UV-분광법이나 등초점법과 같은 분석법으로 단백질의 농도 측정이나 안정성을 평가할 때에 간섭효과를 유발하여, 단백질의 안정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상 제제에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0.1 %(w/v) 이하의 저농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5 %(w/v)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소르베이트 20과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사용하여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저장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액상 제제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폴리소르베이트 80이 포함될 때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표 8 참고). PEG가 결합된 G-CSF의 약물 제제인 뉴라스타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폴리소르베이트 20을 사용하나, 본 발명의 액상 제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보다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사용할 때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저장 안정성이 더욱 증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안정화 대상 약물에 따라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가 약물 특이적으로 다르게 적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40℃에서 4주간 보관하는 경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0.005%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액상 제제가 0.01%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액상 제제보다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을 높게 유지함을 확인하였다(표 10 참고).
상기 액상 제제의 안정화제로서 아미노산은 용액 상태에서 에리스로포이에틴 주위에 더 많은 물 분자가 존재하도록 하여 에리스로포이에틴을 구성하는 아미노산들 중 최외곽에 존재하는 친수성 아미노산을 더욱 안정화시켜 G-CSF가 안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Wang, Int. J. Pharm. 185: 129-188, 1999). 이때, 전하를 가진 아미노산은 G-CSF와의 정전기적 결합으로 인해 G-CSF의 응집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글리신, 알라닌, 류신 및 이소류신 등의 중성 아미노산을 안정화제로 첨가하여 사용한다. 중성 아미노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전체 용액 대비 0.1 내지 10 %(w/v)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자량이 큰 Fc를 결합시킨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화제 제조를 위해 전체 용액 대비 3 내지 12 %(w/v)의 고농도로 만니톨을 사용한 경우, 중성 아미노산의 첨가 없이 4주의 장기간 보관에도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이 유지되었고, 이는 중성 아미노산을 추가로 첨가한 경우와 유사한 수준이었다(표 12 참고). 따라서 본 발명은 만니톨을 고농도로 처리함으로써 중성 아미노산의 첨가 없이도 지속형 G-CSF 결합체의 높은 안정성을 부여하는 액상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20 %(w/v) 이상의 고농도로 만니톨을 사용하게 되면 등장범위를 벗어날 수 있으므로, 만니톨은 전체 용액 대비 1 내지 20 %(w/v),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w/v),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w/v)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액상 제제에는 상기 설명한 완충용액, 등장화제, 당 알코올, 중성 아미노산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의 성분 내지 물질들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는 알부민을 함유하지 않으며, 완충용액, 만니톨, 등장화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산 또는 구연산 완충용액, 만니톨,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구연산나트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등장화제,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 제제는 5 내지 100 mM의 농도 및 pH 5 내지 7의 인산 또는 구연산 완충용액, 1 내지 20 %(w/v)의 만니톨, 5 내지 200 mM의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구연산나트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등장화제, 및 0.001 내지 0.05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 제제는 5 내지 100 mM의 농도 및 pH 5 내지 6의 구연산 완충용액, 1 내지 10 %(w/v)의 만니톨, 100 내지 200 mM의 염화나트륨, 및 0.001 내지 0.05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 제제는 20 mM의 구연산 완충용액(pH 5.2 내지 5.8), 3 내지 7 %(w/v)의 만니톨, 100 내지 200 mM의 염화나트륨, 및 0.001 내지 0.05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때 중성 아미노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H 5.5의 구연산나트륨(Na-Citrate) 완충용액, 5 %(w/v)의 만니톨, 150 mM의 염화나트륨, 및 0.005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함유하는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의 저장 안정성을 공지의 G-CSF 액상 제제인 암젠사의 뉴라스타(Neulasta)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pH 4의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을 포함하는 뉴라스타 제제보다 본 발명의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의 저장 안정성이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14 참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H 5.5의 구연산 완충용액과 만니톨, 염화나트륨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속형 G-CSF 결합체 액상제제의 장기 보존 안정성 시험 결과, 지속형 G-CSF 결합체가 최종 액상 제제에서 6개월 동안 변함없이 안정하며, 가속 조건에서 6개월 동안 보관하여도 96.6% 이상 잔존함을 확인하였다(표 16 참고).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전체 용액 대비 1 내지 20 %(w/v)의 고농도 만니톨 및 pH 5 내지 6의 완충용액을 포함하는 액상 제제는 지속형 G-CSF 결합체가 12개월 이상 안정하게 저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용액 및 만니톨을 함유하는 안정화제는 지속형 G-CSF 결합체에 특이적인 안정화제로서, 인간 혈청 알부민 및 인체에 잠재적으로 유해한 인자를 포함하지 않아 바이러스 감염의 우려가 없으며, G-CSF와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천연형에 비해 분자량이 크고 생리활성 지속기간이 증대된 지속형 G-CSF 결합체에 대해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완충용액의 pH 조성을 달리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와 PEG 융합 G-CSF 액상 제제인 뉴라스타(Neulasta)를 40℃에서 2주간 보관하면서 일주일 간격으로 G-CSF의 안정성을 SE-HPLC를 통해 분석한 그래프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제조
<1-1> 면역글로불린을 이용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제조
본 실시예에 사용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인간 비당쇄화 IgG4 Fc 영역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25314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대장균 형질전환체로부터 발현시켜 정제하였다.
<1-2> 재조합 인간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hG-CSF) 변이체의 제조
본 실시예에 사용된 인간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변이체는 천연형 G-CSF의 17번째 시스테인 잔기가 세린으로 치환된 형태(17Ser-G-CSF)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56140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대장균 형질전환체로부터 발현시켜 정제하였다.
<1-3>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이용한 지속형 G- CSF 결합체 제조
본 실시예에 사용된 지속형 G-CSF 결합체는 위 인간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변이체와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에 의해 상호 공유 결합된 형태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25315호 및 제775343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 정제하였다.
실시예 2: 완충액의 pH에 따른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화 액상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pH의 완충용액이 이들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안정화제로 만니톨, 계면활성제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사용하고, 완충용액으로 구연산나트륨 용액의 pH를 5.0, 5.5 및 6.0으로 달리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안정화제 조성으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제조하고, 이들 각각을 40℃에서 2주일간 보관한 후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표 2의 SE-HPLC(%)는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G-CSF 완충용액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1 6 mg/mL 20mM Na-Citrate, pH 5.0 150mM NaCl 5% Mannitol 0.01% Polysorbate 80
2 6 mg/mL 20mM Na-Citrate, pH 5.5 150mM NaCl 5% Mannitol 0.01% Polysorbate 80
3 6 mg/mL 20mM Na-Citrate, pH 6.0 150mM NaCl 5% Mannitol 0.01% Polysorbate 80
SE-HPLC (%)
Start 1 week 2 week
1 100 N.A N.A
2 100 94.9 94.6
3 100 90.6 89.8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의 pH가 5.0일 때 1주 분석에서 시료의 침전이 발생하였으나, pH 5.5 및 pH 6.0의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에서는 침전이 발생하지 않았고, pH 6.0보다 pH 5.5의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 하에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이 더욱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완충용액의 pH 범위를 더 세분화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의 pH를 5.2, 5.5 및 5.8로 달리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안정화제 조성으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제조하고, 이들 각각을 40℃에서 2주일간 보관한 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HPLC)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표 4의 SE-HPLC(%)는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G-CSF 완충용액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1 6 mg/mL 20mM Na-Citrate, pH 5.5 150mM NaCl 5% Mannitol 0.005% Polysorbate 80
2 6 mg/mL 20mM Na-Citrate, pH 5.2 150mM NaCl 5% Mannitol 0.005% Polysorbate 80
3 6 mg/mL 20mM Na-Citrate, pH 5.8 150mM NaCl 5% Mannitol 0.005% Polysorbate 80
RP-HPLC (%) SE-HPLC (%)
Start 1 Week 2 Week Start 1 Week 2 Week
1 100 95.5 90.4 100 95.4 90.5
2 100 95.8 91.9 100 96.4 94.4
3 100 95.7 91.8 100 93.8 89.8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 5.2 내지 5.5의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 하에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2주간 저장 안정성이 약 90%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지속형 G-CSF 결합체는 완충액의 pH에 따라 안정화되는 정도가 다르며, 특정 pH 범위에서 더 큰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중성의 pH에서 안정성을 나타내는 Fc가 연결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경우 낮은 pH 완충용액을 포함한 액상제제를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단백질의 저장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당 알코올에 따른 지속형 G- CSF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과 같은 당 알코올이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완충용액으로 pH 6.0의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을, 당 알코올로 만니톨과 소르비톨을, 등장화제로서 염화나트륨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하기 표 5와 같은 안정화제 조성으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제조하고 이들 각각을 40℃에서 4주 동안 장기간 보관한 후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표 6의 SE-HPLC(%)는 (면적%/출발 면적%)으로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G-CSF 완충용액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1 3 mg/mL 20mM Na-Citrate, pH6.0 100mM NaCl 5% Mannitol 0.01% Polysorbate 80
2 3 mg/mL 20mM Na-Citrate, pH6.0 100mM NaCl 5% Sorbitol 0.01% Polysorbate 80
SE-HPLC (%)
Start 1 week 2week 4week
1 100 97.9 97.3 93.7
2 100 100 96.6 90.7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완충용액 조건 하에서 안정화제로 첨가되는 당 알코올 중에서 소르비톨보다는 만니톨을 첨가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저장 안정성이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따른 지속형 G- CSF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제로서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의 존재 하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소르베이트의 종류가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소르베이트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하나인 폴리소르베이트 80과 시판 중인 PEG 융합 G-CSF의 액상 제제인 뉴라스타(Neulasta)에 포함된 폴리소르베이트 20을 비교하였다. 계면활성제 이외의 안정화제 조성은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지속형 G-CSF 결합체에 높은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확인된 pH 5.5.의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 및 만니톨을 적절히 조합하였다. 폴리소르베이트의 종류를 달리하여 하기 표 7과 같은 안정화제 조성으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제조하고 이들 각각을 40℃에서 4주일간 보관한 후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으며, 표 8의 SE-HPLC(%)는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G-CSF 완충용액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1 6 mg/mL 20mM Na-Citrate, pH 5.5 150mM NaCl 5%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2 6 mg/mL 20mM Na-Citrate, pH 5.5 150mM NaCl 5% Mannitol 0.005% Polysorbate 80
SE-HPLC (%)
Start 1 week 2week 4week
1 100 95.6 94.6 85.0
2 100 95.4 95.8 92.4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안정화제 조성에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이 폴리소르베이트 20보다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저장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40℃에서 2주간의 저장기간까지는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저장 안정성에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4주간의 장기 저장 시는 사용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매우 유사한 물질임에도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저장 안정성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지속형 G- CSF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4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이 폴리소르베이트 20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폴리소르베이트 80의 농도가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표 9와 같은 안정화제 조성으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제조하고 이들 각각을 40℃에서 4주 동안 보관한 후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으며, 표 10의 SE-HPLC(%)는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G-CSF 완충용액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1 6 mg/mL 20mM Na-Citrate, pH 5.5 150mM NaCl 5% Mannitol 0.005% Polysorbate 80
2 6 mg/mL 20mM Na-Citrate, pH 5.5 150mM NaCl 5% Mannitol 0.01% Polysorbate 80
SE-HPLC (%)
Start 1 week 2week 4week
1 100 95.4 95.8 92.4
2 100 94.9 95.3 85.1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40℃에서 4주간 보관하였을 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의 농도가 0.01%보다 0.005%인 경우에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안정성이 더욱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아미노산 첨가에 따른 지속형 G- CSF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안정화제로서 아미노산을 추가로 첨가하는 경우 저장 안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pH 6.0) 및 만니톨을 포함하는 안정화제에 추가로 중성 아미노산인 글리신을 첨가하여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저장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11과 같은 안정화제 조성으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를 제조하고 이들 각각을 40℃에서 4주간 보관한 후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으며, 표 12의 SE-HPLC(%)는 (면적%/출발 면적%)로서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G-CSF 완충용액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1 10 mg/mL 20mM Na-Citrate, pH6.0 100mM NaCl 5% Mannitol 0.01% Polysorbate 80
2 10 mg/mL 20mM Na-Citrate, pH6.0 100mM NaCl 5% Mannitol, 10mM Glycine 0.01% Polysorbate 80
3 10 mg/mL 20mM Na-Citrate, pH6.0 100mM NaCl 5% Sorbitol 0.01% Polysorbate 80
SE-HPLC (%)
Start 1 week 2week 4week
1 100 97.9 97.3 93.7
2 100 98.2 97.3 93.4
3 100 100 96.6 90.7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5 %(w/v) 고농도의 만니톨을 안정화제로 사용한 경우, 중성 아미노산인 글리신을 첨가하지 않아도 중성 아미노산을 추가로 첨가한 경우와 유사한 수준으로 지속형 G-CSF 결합체에 안정성을 부여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지속형 G- 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의 저장 안정성 비교 평가
상기 실시예 2 내지 6의 안정성 실험을 통해 선택된 pH 5.5의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과 염화나트륨, 만니톨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안정화제 조성으로 이루어진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의 저장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판 중인 PEG 융합 G-CSF 액상 제제인 암젠사의 뉴라스타와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본 발명의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와 뉴라스타의 조성은 하기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들을 40℃에서 2주간 보관하면서 1주 경과 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법과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으며, 표 14의 RP-HPLC(%)와 SE-HPLC(%)는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농도 완충 용액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Neulasta 6mg/0.6mL 10mM Na-acetate (pH4.0) -- 5% Sorbitol 0.003% Polysorbate 20
지속형 G-CSF G-CSF 6mg/mL 20mM Na-Citrate (pH5.5) 150mM NaCl 5% Mannitol 0.005% Polysorbate 80
RP-HPLC (%) SE-HPLC (%)
Start 1 Week 2 Week Start 1 Week 2 Week
Neulasta 100 99.7 97.7 100 98.4 94.8
지속형 G-CSF 100 98.5 97.5 100 96.9 95.8
표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기 보관 시 본 발명에 따른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는 G-CSF 액상 제제인 뉴라스타와 동등한 수준 이상으로 우수한 저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는 지속형 G-CSF 결합체 특이적으로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정한 조성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지속형 G- 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의 장기 보존 및 가속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2 내지 6의 안정성 실험을 통해 선택된 pH 5.5의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과 염화나트륨, 만니톨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안정화제 조성으로 이루어진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의 장기 보존 및 가속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액상 제제를 4℃에서 12개월간, 이어서 25℃에서 6개월간 보관하면서 시료의 저장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5 및 표 16에 나타내었으며, 표 15 및 16의 RP-HPLC(%), SE-HPLC(%), 단백질 함량(%) 및 생물학적 비활성 시험(%)은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G-CSF 결합체 잔존율을 나타낸다.
장기 보존 안정성 시험 (4℃ 보관)
보관기간 성상 pH 확인시험 순도시험 단백질 함량
시험 (%)
생물학적 비활성 시험 (%)
RP-HPLC 웨스턴블롯 SDS-PAGE RP-HPLC
(%)
SE-HPLC
(%)
Start 무색 투명 5.5 일치 적합 적합 100.0 100.0 100.0 100.0
3개월 무색 투명 5.5 일치 적합 적합 100.1 101.1 N.A 120.5
6개월 무색 투명 5.5 일치 적합 적합 99.6 102.0 N.A 102.3
9개월 무색 투명 5.5 일치 적합 적합 99.5 101.6 N.A 86.4
12개월 무색 투명 5.5 일치 적합 적합 100.0 101.6 N.A 81.1
가속 안정성 시험 (25℃ 보관)
보관기간 성상 pH 확인시험 순도시험 단백질 함량
시험 (%)
생물학적 비활성 시험 (%)
RP-HPLC 웨스턴블롯 SDS-PAGE RP-HPLC
(%)
SE-HPLC
(%)
Start 무색 투명 5.5 일치 적합 적합 100.0 100.0 100.0 100.0
2개월 무색 투명 N.A 일치 적합 적합 100.2 99.0 N.A 75.0
4개월 무색 투명 N.A 일치 적합 적합 98.4 100.4 N.A 78.0
6개월 무색 투명 5.5 일치 적합 적합 96.6 99.7 100.9 81.8
표 15 및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속형 G-CSF 결합체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제 조성의 액상 제제에서 6개월 동안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였고, 가속 조건에서 6개월간 보관하여도 92.5% 이상 잔존하는 것이 확인되어 본 발명에 따른 지속형 G-CSF 결합체의 액상 제제의 효과적인 저장 안정성이 재차 확인되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지속형 G-CSF 결합체에 특이적으로 저장 안정성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알부민-비함유 액상 제제는 바이러스 감염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제형으로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다른 안정화제나 동결-건조 제제에 비해 경제적인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제제는 천연형에 비해 생리활성 지속기간이 증대된 지속형 G-CSF 결합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통상적인 G-CSF 제제에 비해 인체 내에서 단백질 활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약물 제제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8)

  1.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된 약리학적 유효량의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 및 완충용액, 및 만니톨을 포함하는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니톨의 농도가 전체 용액 대비 1 내지 20 %(w/v)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이 구연산, 인산, 주석산, 탄산, 석신산, 젖산 및 아세트산 완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의 농도가 5 내지 100 mM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의 pH가 4 내지 8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가 등장화제, 다가 알코올, 당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중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장화제가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구연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장화제의 농도가 5 내지 200 mM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소르베이트계 또는 폴록사머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전체 용액 대비 0.001 내지 0.05 %(w/v)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가 만노오스, 글루코오스, 푸코오스(fucose), 크실로오스(xylose), 락토오스, 말토오스, 수쿠로오스, 라피노오스, 및 덱스트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의 농도가 전체 용액 대비 1 내지 20 %(w/v) 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이 프로필렌 글리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의 농도가 전체 용액 대비 1 내지 15 %(w/v) 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아미노산이 글리신, 알라닌, 류신 및 이소류우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아미노산의 농도가 전체 용액 대비 0.1 내지 10 %(w/v)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가 pH 4 내지 8 및 5 내지 100 mM의 구연산 완충용액, 1 내지 20 %(w/v)의 만니톨, 5 내지 200 mM의 염화나트륨, 및 0.001 내지 0.05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G-CSF)가 천연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의 아미노산이 치환, 제거 및 삽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변이된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유도체 또는 천연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유사체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유도체가 천연형 G-CSF의 17번째 시스테인 잔기가 세린으로 치환된 형태(17Ser-G-CSF)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농도가 7 내지 22 ㎎/㎖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IgG, IgA, IgD, IgE, IgM 및 이들의 조합의 Fc 영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각 도메인이IgG, IgA, IgD, IgE 및 Ig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면역글로불린에서 유래하는 상이한 기원을 가진 도메인의 하이브리드(hybrid)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동일한 기원의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단쇄 면역글로불린으로 구성된 이량체 또는 다량체 형태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IgG4 Fc 영역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인간 비당쇄화 IgG4 Fc 영역인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생분해성 고분자, 지질 중합체, 키틴류, 히아루론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공중합체, 폴리옥시 에틸화 폴리올, 폴리비닐 알콜,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란, 폴리비닐 에틸에테르, PLA(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 및 PLGA(폴리락틱-글리콜산, polylactic-glycolic acid)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KR1020110005161A 2010-01-19 2011-01-18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KR101340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839 2010-01-19
KR20100004839 2010-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917A true KR20110085917A (ko) 2011-07-27
KR101340710B1 KR101340710B1 (ko) 2013-12-12

Family

ID=4430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161A KR101340710B1 (ko) 2010-01-19 2011-01-18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867777B2 (ko)
EP (1) EP2525787B1 (ko)
JP (2) JP5657698B2 (ko)
KR (1) KR101340710B1 (ko)
CN (2) CN102740840A (ko)
AR (1) AR080427A1 (ko)
AU (1) AU2011207915B2 (ko)
BR (1) BR112012017979B1 (ko)
CA (1) CA2787648C (ko)
ES (1) ES2654102T3 (ko)
HK (1) HK1246190A1 (ko)
HU (1) HUE034398T2 (ko)
MX (1) MX340463B (ko)
PT (1) PT2525787T (ko)
RU (1) RU2519031C1 (ko)
TW (1) TWI409082B (ko)
WO (1) WO2011090305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7777B2 (en) 2010-01-19 2018-01-16 Hanmi Science Co., Ltd. Liquid formulations for long-acting G-CSF conjugate
CN111565736A (zh) * 2017-10-11 2020-08-21 礼蓝美国股份有限公司 猪g-csf变体和其用途
KR102375269B1 (ko) * 2021-01-27 2022-03-17 한미약품 주식회사 단백질 액상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83006A1 (es) * 2010-09-23 2013-01-23 Lilly Co Eli Formulaciones para el factor estimulante de colonias de granulocitos (g-csf) bovino y variantes de las mismas
KR101303388B1 (ko) * 2010-10-26 2013-09-03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지속형 인터페론 알파 결합체의 액상 제제
US9676871B2 (en) 2010-11-05 2017-06-13 Pfizer Inc. Engineered polypeptide conjugat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using transglutaminase
KR20130049671A (ko) 2011-11-04 2013-05-14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생리활성 폴리펩타이드 결합체 제조 방법
AR090281A1 (es) 2012-03-08 2014-10-29 Hanmi Science Co Ltd Proceso mejorado para la preparacion de un complejo polipeptidico fisiologicamente activo
AR092862A1 (es) * 2012-07-25 2015-05-06 Hanmi Pharm Ind Co Ltd Formulacion liquida de insulina de accion prolongada y un peptido insulinotropico y metodo de preparacion
WO2014132139A2 (en) * 2013-01-19 2014-09-04 Avalance Biotech Ab Methods to fabricate, modify, remove and utilize fluid membranes
CN105142656B (zh) * 2013-03-12 2019-05-10 大日本住友制药株式会社 水性液体组合物
WO2015015448A2 (en) 2013-07-31 2015-02-05 Rinat Neuroscience Corp. Engineered polypeptide conjugates
WO2015152618A1 (ko) * 2014-03-31 2015-10-08 한미약품 주식회사 면역글로불린 fc 단편 결합을 이용한 단백질 및 펩타이드의 용해도를 개선시키는 방법
US11602525B2 (en) 2014-04-25 2023-03-14 Rinat Neuroscience Corp. Antibody-drug conjugates with high drug loading
EP3351154B1 (en) 2015-09-14 2020-04-15 Daio Paper Corporation Paper tube and rolled sheet employing said paper tube
CN105311625A (zh) * 2015-11-23 2016-02-10 哈药集团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含有重组人粒细胞刺激因子的药物组合物
CN107446044B (zh) * 2016-05-30 2021-04-30 越海百奥药业(绍兴)有限公司 一种纯化抗体的方法及所用缓冲液
EA202092623A1 (ru) * 2018-05-04 2021-02-01 Илькоген Илач Санайи Ве Тиджарет А.Ш. СТАБИЛЬНЫЙ СОСТАВ НА ОСНОВЕ G-CSF, СЛИТОГО С ГИБРИДНЫМ Fc
EA202192241A1 (ru) * 2019-02-13 2022-03-11 Илькоген Илач Санайи Ве Тиджарет А.Ш. G-csf дли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нейтропении или снижения продолжительности нейтропении
EP3744319B1 (en) * 2019-05-28 2022-10-19 Ilkogen Ilac Sanayi Ve Ticaret A.S. A stable lyophilized formulation for hybrid fc fused g-csf
US11684655B2 (en) 2019-05-31 2023-06-27 Spectrum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treating neutorpenia using G-CSF protein complex
US11267858B2 (en) 2019-05-31 2022-03-08 Spectrum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treatment using G-CSF protein complex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624B1 (ko) 1985-09-17 1991-08-01 쥬우가이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인체 과립성 백혈구의 콜로니 자극 인자 활성을 갖는 당단백질의 제조방법
IE63992B1 (en) 1985-09-17 1995-06-28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GR871067B (en) * 1986-07-18 1987-11-19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stable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NO176799C (no) 1986-12-23 1995-05-31 Kyowa Hakko Kogyo Kk DNA som koder for et polypeptid, rekombinant plasmid som koder for og kan uttrykke et polypeptid og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dette polypeptid
FR2650598B1 (fr) 1989-08-03 1994-06-03 Rhone Poulenc Sante Derives de l'albumine a fonction therapeutique
NZ236819A (en) 1990-02-03 1993-07-27 Max Planck Gesellschaft Enzymatic cleavage of fusion proteins; fusion proteins; recombinant dn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GB9107846D0 (en) 1990-04-30 1991-05-29 Ici Plc Polypeptides
FR2686901A1 (fr) 1992-01-31 1993-08-06 Rhone Poulenc Rorer Sa Nouveaux polypeptides antithrombotiques,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FR2686899B1 (fr) 1992-01-31 1995-09-01 Rhone Poulenc Rorer Sa Nouveaux polypeptides biologiquement actifs,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DE4242919A1 (de) * 1992-12-18 1994-06-23 Boehringer Mannhei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gerstabilen wässrigen pharmazeutischen Zubereitungen von G-CSF
EP0626448A3 (de) 1993-05-26 1998-01-1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Reinigung von alpha-Interferon
US6476198B1 (en) 1993-07-13 2002-11-05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Multispecific and multivalent antigen-binding polypeptide molecules
WO1996013599A1 (en) 1994-11-01 1996-05-09 Winfried Wels Nucleic acid transfer system
WO1997012977A1 (en) 1995-10-05 1997-04-10 G.D. Searle & Co. Novel g-csf receptor agonists
US5723125A (en) 1995-12-28 1998-03-03 Tanox Biosystems, Inc. Hybrid with interferon-alpha and an immunoglobulin Fc linked through a non-immunogenic peptide
KR19990009888A (ko) * 1997-07-12 1999-02-05 성재갑 콜로니 자극 인자의 안정한 용액 제형
JP4454571B2 (ja) * 1998-03-06 2010-04-21 中外製薬株式会社 蛋白非添加製剤
AU749815B2 (en) 1998-03-06 2002-07-04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Protein-free preparations
KR100356140B1 (ko) 1999-07-08 2002-10-19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인간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변이체 및 이의 생산 방법
US20030104996A1 (en) 2001-08-30 2003-06-05 Tiansheng Li L-methionine as a stabilizer for NESP/EPO in HSA-free formulations
GB0202633D0 (en) 2002-02-05 2002-03-20 Delta Biotechnology Ltd Stabilization of protein preparations
US20050176108A1 (en) 2003-03-13 2005-08-11 Young-Min Kim Physiologically active polypeptide conjugate having prolonged in vivo half-life
KR100560697B1 (ko) 2003-08-06 2006-03-16 씨제이 주식회사 알부민을 함유하지 않는 에리스로포이에틴 제제
CN103212084B (zh) 2003-11-13 2018-07-13 韩美科学株式会社 含有免疫球蛋白fc区作为载体的药物组合物
US20080171857A1 (en) 2005-03-17 2008-07-17 Uma Devi Komath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Recombinant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KR20060108040A (ko) * 2005-04-12 2006-10-17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인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용액 제형
DE102005033250A1 (de) 2005-07-15 2007-01-18 Bioceuticals Arzneimittel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G-CSF
EA201070121A1 (ru) * 2007-07-10 2010-06-30 Эли Лилли Энд Компани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содержащая слитый белок glp-1-fc
RS53404B (en) * 2007-08-27 2014-10-31 Ratiopharm Gmbh LIQUID FORMULATION OF G-CSF CONJUGATES
CN101657434B (zh) 2008-03-10 2013-11-06 Dic株式会社 以铁络合物为催化剂的聚合物的制造方法
KR101340710B1 (ko) 2010-01-19 2013-12-12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KR101831300B1 (ko) 2010-10-29 2018-02-23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재조합 대장균으로부터 인간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를 정제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7777B2 (en) 2010-01-19 2018-01-16 Hanmi Science Co., Ltd. Liquid formulations for long-acting G-CSF conjugate
CN111565736A (zh) * 2017-10-11 2020-08-21 礼蓝美国股份有限公司 猪g-csf变体和其用途
CN111565736B (zh) * 2017-10-11 2024-03-08 礼蓝美国股份有限公司 猪g-csf变体和其用途
KR102375269B1 (ko) * 2021-01-27 2022-03-17 한미약품 주식회사 단백질 액상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64204A1 (en) * 2021-01-27 2022-08-04 Hanmi Pharm. Co., Ltd. Liquid formulation of protein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46190A1 (zh) 2018-09-07
EP2525787B1 (en) 2017-03-15
EP2525787A2 (en) 2012-11-28
TW201129387A (en) 2011-09-01
JP2013517324A (ja) 2013-05-16
HUE034398T2 (en) 2018-02-28
WO2011090305A3 (en) 2011-11-10
ES2654102T3 (es) 2018-02-12
PT2525787T (pt) 2017-12-18
RU2519031C1 (ru) 2014-06-10
TWI409082B (zh) 2013-09-21
CN107412737A (zh) 2017-12-01
JP2014224151A (ja) 2014-12-04
WO2011090305A2 (en) 2011-07-28
JP5657698B2 (ja) 2015-01-21
MX2012008454A (es) 2012-11-06
BR112012017979A2 (pt) 2016-05-03
KR101340710B1 (ko) 2013-12-12
AU2011207915A1 (en) 2012-08-23
CA2787648C (en) 2014-10-07
AU2011207915B2 (en) 2013-07-11
AR080427A1 (es) 2012-04-11
CA2787648A1 (en) 2011-07-28
CN102740840A (zh) 2012-10-17
US20120294829A1 (en) 2012-11-22
EP2525787A4 (en) 2014-07-02
BR112012017979B1 (pt) 2021-10-13
MX340463B (es) 2016-07-06
US9867777B2 (en)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710B1 (ko) 지속형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결합체의 액상 제제
KR101337797B1 (ko) 지속형 인간 성장 호르몬 결합체 액상 제제
KR101335765B1 (ko) 지속형 에리스로포이에틴 결합체의 액상 제제
JP6047495B2 (ja) 持続型インターフェロンアルファ結合体の液状製剤
TWI617324B (zh) 高度濃縮之長效人類生長激素共軛物之液體製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

A101 Application to extend term of patent right by per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