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535A -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535A
KR20110063535A KR1020117008334A KR20117008334A KR20110063535A KR 20110063535 A KR20110063535 A KR 20110063535A KR 1020117008334 A KR1020117008334 A KR 1020117008334A KR 20117008334 A KR20117008334 A KR 20117008334A KR 20110063535 A KR20110063535 A KR 20110063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iaphragm
voice coil
link port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242B1 (ko
Inventor
야수미 우메츠
미노루 호리고메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코포레이션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코포레이션,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63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스피커 장치의 박형화와 대음량화를 양립시킨다. 진동판(2)의 진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 자기 갭(40G)을 형성하는 자기 회로(40)와 보이스 코일을 가지고 자기 갭을 따라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와,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진동판에 전달하는 진동 방향 변환부(7)를 구비하고, 진동 방향 변환부(7)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과 프레임(3)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 진동판 사이에 형성된 링크 부분(70, 71)을 각도 변환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피커 장치{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피커 장치로서 다이나믹형 스피커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다이나믹형 스피커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3J)과, 콘 형상의 진동판(21J)과, 진동판(21J)을 프레임(3J)에 지지하는 엣지(4J)와, 진동판(21J)의 내주부에 접합된 보이스 코일 보빈(610J)과, 보이스 코일 보빈(610J)을 프레임(3J)에 지지하는 댐퍼(7J)와, 보이스 코일 보빈(610J)에 감겨진 보이스 코일(611J)과 요크(51J), 자석(52J), 플레이트(53J)를 구비함과 함께 보이스 코일(611J)이 배치되는 자기 갭이 형성된 자기 회로를 가진다. 이 스피커 장치에서는 음성 신호가 보이스 코일(611J)에 입력되면, 자기 갭 내의 보이스 코일(611J)에 생긴 로렌츠력에 의해 보이스 코일 보빈(610J)이 진동해, 그 진동에 의해 진동판(21J)이 구동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149596호(도 1)
상기 서술한 일반적인 다이나믹형 스피커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판(21J)의 음향 방사측에 대해 반대측에 보이스 코일(611J)이 배치되고, 보이스 코일(611J) 및 보이스 코일 보빈(610J)의 진동 방향과 진동판(21J)의 진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피커 장치에서는 진동판(21J)이 진동하기 위한 영역, 보이스 코일 보빈(610J)이 진동하기 위한 영역, 자기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 등이 진동판(21J)의 진동 방향(음향 방사방향)을 따라 형성되게 되므로, 스피커 장치의 전고가 비교적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피커 장치의 진동판(21J)의 진동 방향을 따른 크기는 콘 형상의 진동판(21J)의 진동 방향을 따른 크기 및 진동판(21J)을 프레임(3J)에 지지하는 엣지(4J)의 전고(a), 진동판(21J)과 보이스 코일 보빈(610J)의 접합부로부터 보이스 코일(611J)의 상단까지의 보이스 코일 보빈 높이(b), 보이스 코일 높이(c), 자기 회로의 주로 자석 높이(d), 자기 회로의 주로 요크(51J)의 두께(e)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충분한 진동판(21J)의 진동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술한 a, b, c, d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고, 또 충분한 구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서술한 c, d, e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특히 대음량 대응형 스피커 장치에서는 스피커 장치의 전고가 커질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 장치에서는 보이스 코일 보빈(610J)의 진동 방향과 진동판(21J)의 진동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진동판(21J)의 진폭을 크게 해 대음량을 얻으려고 하면, 보이스 코일 보빈(610J)의 진동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해서 스피커 장치의 전고가 커져 버려,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하기 어렵다. 즉, 장치의 박형화와 대음량화를 양립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보이스 코일(611J)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진동판(21J)에 전달시키기 위해서는 보이스 코일(611J)의 진동을 직접 진동판(21J)에 전달하는 것, 즉 보이스 코일(611J)의 진동 방향과 진동판(21J)의 진동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이스 코일(611J)의 진동 방향과 진동판(21J)의 진동 방향이 상이한 경우에는 보이스 코일(611J)의 진동을 확실하게 진동판(21J)에 전달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이것이 스피커 장치의 재생 효율의 악화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고음역의 양호한 재생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보이스 코일(611J)의 진동을 확실하게 진동판에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다이나믹형 스피커 장치에서는 콘 형상의 진동판(21J)의 내주부에 보이스 코일 보빈(610J)이 접합되어 있고 보이스 코일 보빈(610J)으로부터 진동판(21J)의 내주부에 구동력이 전달되므로, 진동판 전체를 대략 동위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다. 이 때문에 진동판 전체를 대략 동위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박형 스피커 장치로서, 예를 들면 콘덴서형 스피커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콘덴서형 스피커 장치는 진동판(가동 전극)과 고정 전극이 대향하여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 스피커 장치는 전극간으로의 직류 전압의 인가에 의해 진동판이 변위된 상태가 되고, 음성 신호가 중첩된 신호가 전극에 입력되면, 그 신호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된다. 그러나 이 콘덴서형 스피커 장치에서는 비교적 대진폭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력이 비선형으로 현저하게 변화되어, 재생음의 음질이 비교적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과제의 한 예로 하는 것이다. 즉,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대음량의 재생음을 방사할 수 있는 박형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확실하게 진동판에 전달하여 재생 효율이 높은 스피커 장치를 얻는 것, 특히 고음역의 재생에 적합한 스피커 장치를 얻는 것,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고음질의 재생음을 방사할 수 있는 박형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 또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진동판이 대략 동위상으로 진동하는 박형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 등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장치는 이하의 각 독립 청구항에 관한 구성을 적어도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1]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을 진동 방향을 따라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설치되고, 음성 신호에 의해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부여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 자기 갭을 형성하는 자기 회로와, 보이스 코일을 가지고 상기 자기 갭을 따라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상기 진동판에 전달하는 진동 방향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형성된 링크 부분을 각도 변환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도 1은 종래 기술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기본 구성(구동부)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기본 구성(구동부)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기본 구성(구동부)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기본 구성(진동 방향 변환부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일부(진동 방향 변환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일부(진동 방향 변환부의 링크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일부(진동 방향 변환부의 링크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상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상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을 진동 방향을 따라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형성되어 음성 신호에 의해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부여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 자기 갭을 형성하는 자기 회로와, 보이스 코일을 가지고 상기 자기 갭을 따라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상기 진동판에 전달하는 진동 방향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형성된 링크 부분을 각도 변환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링크 부분이 상기 진동판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정지부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각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프레임은 평면 형상의 저면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프레임의 저면을 따라 평면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자기 갭은 상기 프레임의 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상기 프레임의 저면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그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자기 회로는 서로 역방향의 자장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자기 갭을 가지고,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자기 갭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환 형상으로 형성된 보이스 코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의 스피커 장치에서는 음성 신호가 구동부의 보이스 코일에 입력되면, 자기 회로의 자기 갭에 배치된 보이스 코일에 로렌츠력이 발생하여 보이스 코일 지지부가 진동판의 진동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 적합하게는 진동판의 진동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진동된다. 이에 대해서 진동 방향 변환부가 기능하여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진동판에 전달한다. 진동판은 진동 방향 변환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는 상이한 (예를 들면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 직교하는) 진동 방향을 따라 진동된다.
일반적인 스피커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진동판의 배면측에 보이스 코일 보빈이 배치되고, 진동판의 진동 방향과 보이스 코일 보빈의 진동 방향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방향을 따라 진동판 및 보이스 코일 보빈이 진동하기 위한 영역을 필요로 하므로, 스피커 장치의 음향 방사방향을 따른 폭(전고)이 비교적 크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에서는 진동판의 진동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 적합하게는 진동판의 진동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자기 갭을 가지는 자기 회로와, 그 자기 회로에 따라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 나아가서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 방향을 방향 변환하여 진동판에 전달하는 진동 방향 변환부를 가지므로, 상기 서술한 일반적인 스피커 장치와 비교해 음향 방사방향을 따른 폭이 비교적 작다. 즉, 박형 스피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 스트로크를 스피커 장치의 전고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 스트로크, 즉 진동판의 진폭을 크게 한 경우여도 스피커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하기 쉽다. 이로 인해, 스피커 장치의 박형화와 대음량화를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진동 방향 변환부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 진동판 사이에 형성된 링크 부분을 각도 변환시키는 링크 기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을 진동판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기구를 링크 부분이 진동판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정지부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각도 변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이 정지부로부터의 반력을 받으면서 확실하게 진동판에 전달되게 되고, 보이스 코일의 진동 방향과 진동판의 진동 방향이 상이한 경우여도, 양호한 진동 전달 효율을 얻을 수 있어, 스피커 장치의 양호한 재생 효율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확실하게 진동판에 전달함으로써 고음역의 양호한 재생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에서는 보이스 코일에 발생하는 구동력을, 링크 기구를 가지는 진동 방향 변환부를 통해 기계적으로 각도 변환하여 진동판에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동 원리 자체는 다이나믹형 스피커와 다름 없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콘덴서형 스피커와 비교하면, 대음량 발생시에 비교적 고음질의 재생음을 방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보이스 코일로부터 진동판에 구동력을 전달시킬 때에 가요성 부재의 휨을 이용해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방식의 스피커 장치도 있지만, 이에 의하면, 가요성 부재에 공진(특히 저주파수에서)이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가요성 부재의 휨을 이용해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방식의 스피커 장치와 비교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에서는 강성의 링크 기구에 의해 보이스 코일로부터 진동판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가요성 부재의 변형에 의한 응답성의 저하가 없고, 비교적 고감도로 진동판을 진동시킬 수 있다.
또 구체적인 배치 구성으로서 프레임은 평면 형상의 저면을 가지고, 진동판은 프레임의 저면을 따라 평면적으로 지지되고, 자기 갭은 프레임의 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상기 서술한 정지부가 되는 프레임의 저면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그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므로, 스피커 장치 전체를 프레임의 저면을 따른 평면적인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전체적인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구동부의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자기 회로가 서로 역방향의 자장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자기 갭을 가지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자기 갭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환 형상으로 형성된 보이스 코일을 가지므로, 평면 형상의 보이스 코일 지지부를 한 쌍의 자기 갭을 이용해 높은 구동력으로 평면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평면적인 강성을 높임으로써 요동 없는 직선적인 진동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서술한 평면 형상의 프레임 저면을 가지는 것으로는 프레임 저면상의 얇은 공간을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 스페이스로 할 수 있어, 두께 방향의 스페이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스피커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차재용 스피커, 퍼스널 컴퓨터용 스피커,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용 스피커 등 각종 장치에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a)가 평면도(진동판은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진동판을 제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b)가 도 2(a)에 있어서의 A-A단면도(진동판을 포함한다), 도 3~도 5는 구동부를 나타낸 설명도(도 3이 조립사시도, 도 4가 분해 사시도, 도 5가 단면도), 도 6은 진동 방향 변환부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음향 방사방향(SD)을 Z축 방향이라고 규정하고, 스피커 장치의 길이 방향을 그 Z축 방향에 직교하는 X축 방향, Z축 방향과 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1)는 진동판(2), 프레임(3), 구동부(4)를 주요한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진동판(2)은 그 외연이 엣지(5)를 통해 프레임(3)의 외주연부(3A)에 지지되어 있다. 이 엣지(5)의 기능에 의해 진동판(2)은 기본적으로 Z축 방향으로만 진동 방향이 규제되고 있다. 음성 신호가 구동부(4)에 더해지면 구동부(4)가 구동되고, 그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진동판(2)에 부여된다.
구동부(4)는 자기 회로(40)와 보이스 코일 지지부(6)와 진동 방향 변환부(7)를 구비하고 있다. 자기 회로(40)는 진동판(2)의 진동 방향(예를 들면 Z축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을 따라 자기 갭(40G)을 형성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진동판(2)의 진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자기 갭(40G)을 형성하고 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이스 코일 지지부(6)는 보이스 코일(60)을 가지고 자기 갭(40G)을 따라 진동하는 것이다. 댐퍼(8)에 의해 움직임이 규제되어 자기 갭(40G)을 따른 방향만의 이동이 허용되고 있고, 보이스 코일(60)에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자기 갭(40G) 내의 보이스 코일(60)에 로렌츠력이 작용하여 보이스 코일(60)과 일체의 보이스 코일 지지부(6)가 진동된다.
또 진동 방향 변환부(7)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진동판(2)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 진동 방향 변환부(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와 진동판(2) 사이에 형성된 링크 부분(제1 링크 부분)(70)을 각도 변환시키는 것에 의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진동판에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음성 신호 발생원(50)으로부터 신호선(51)을 통해 프레임(3)에 구비된 단자(52)에 음성 신호가 보내지고, 또 단자(52)로부터 신호선(53)을 통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보이스 코일(60)에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진동판(2)의 허용되는 진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자기 갭(40G)을 따라 보이스 코일 지지부(6)가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이 진동 방향 변환부(7)에 의해 방향 변환되어 진동판(2)에 전달되게 되어, 진동판(2)을 진동시켜 음향 방사방향(SD)으로 음성 신호에 따른 소리가 방사된다.
이 때, 자기 갭(40G)의 방향을 진동판(2)의 진동 방향 및 스피커 장치(1)의 두께 방향으로 교차시키고 있으므로, 자기 회로(40)의 구동력 또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 스트로크를 크게 하는 것이 직접적으로 스피커 장치(1)의 두께 방향(Z축 방향)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대음량화를 도모하면서 스피커 장치(1)의 박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구조적으로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 스트로크(변위)보다 스피커 장치(1)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도 가능해져, 박형화가 실현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진동 방향 변환부(7)는 기계적인 링크 기구에 의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 방향을 변환하여 진동판(2)에 전달하고 있으므로, 진동의 전달 효율이 높다. 또 링크 부분(70)의 각도 변환이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에 대해서 정지부가 되고 있는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행해지므로, 보다 확실하게 보이스 코일 지지부(6)로부터의 진동을 진동판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피커 장치(1)의 양호한 재생 효율을 얻을 수 있고, 특히 보이스 코일(60)의 진동을 확실하게 진동판에 전달함으로써 고음역의 양호한 재생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레임(3)] 프레임(3)은 진동판(2)을 진동 방향을 따라 진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구동부(4)를 내부에서 지지하고 있다. 또 프레임(3)은 진동 방향 변환부(7)의 링크 기구의 일부를 지지해 링크 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더한다. 이러한 프레임(3)은 평면 형상의 저면(31A)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프레임(3)은 보이스 코일 지지부(6)에 대해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정지부이기도 하다. 또한 정지부는 완전하게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도하는 것이 아닌, 예를 들면 진동판(2)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정지하고 있으면 되고, 스피커 장치(1)를 구동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이 전반되어, 진동이 정지부 전체에 발생해도 상관없다. 여기서 말하는 정지부에는 프레임(3) 외에도, 자기 회로(40)의 일부나 스피커 장치(1)가 장착되는 피장착 개소 등이 해당된다.
또 정지부는 후술하는 자기 회로(40)와 기계적으로 일체가 되어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프레임(3)은 자기 회로(40)에 지지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서 프레임(3)은 정지부가 된다. 나아가서는 자기 회로(40)를 구성하고 있는 부재나 자기 회로(40)에 지지되어 있는 다른 부재도 정지부가 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프레임(3)은 음향 방사방향(SD)으로부터 보면,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면 형상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은 상세하게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저판부(31)와 저판부(31)의 외주부로부터 음향 방사방향(SD)을 향해 입설되는 직사각형의 통형상부(32)를 가지고, 상부에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저판부(31) 상에는 자기 회로(40)가 배치되고, 통형상부(32)의 상단부에는 엣지(5)의 외주부가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고, 개구부(30)에는 엣지(5)를 통해 지지된 진동판(2)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통형상부(32)의 상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연재한 평탄한 외주연부(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외주연부(3A)에 엣지(5)가 접합되어 있다. 프레임(3)의 형성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금속 등의 공지된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프레임(3)은 자기 회로(40)와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요크(41)의 하단 평탄부(41A)를 더 확대시켜, 프레임(3)과 같이 통형상부(32)를 형성해 엣지(5)를 지지시켜도 되고, 하측 평탄부(41A)가 아닌, 상측 평탄부(41B)를 더욱 확대시키는 등 적절히 변경해도 상관없다.
또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3)은, 예를 들면 측면부나 저면부에 구멍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부(33)는, 예를 들면 통기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통기 구멍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스피커 구동시에 진동판(2)의 진동에 따라 진동판(2)과 프레임(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공기가 탄성을 가져 진동판(2)의 진동이 저감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서 도시한 예에서는 구멍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진동판(2)의 진동 저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구멍부(33)는 자기 회로(40)나 보이스 코일(60)의 열을 방열하도록 기능한다. 또 구멍부(33)는, 예를 들면 스피커 장치 외부에 형성된 앰프, 이퀼라이저, 튜너, 방송수신기, 텔레비전 등의 음성 신호 발생원(50)과 보이스 코일(6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진동판(2)] 진동판(2)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진동 가능하게 프레임(3)에 지지되어 있다. 진동판(2)은 스피커 구동시에 음향 방사방향(SD)으로 음파를 방사한다. 또 진동판(2)은 엣지(5)를 통해 프레임(3)에 지지되어 있고, 진동 방향 이외의 방향, 상세하게는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을 따른 이동은 엣지(5)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이 엣지(5)와 진동판(2)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진동판(2)의 형성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계 재료, 금속계 재료, 종이계 재료, 세라믹스계 재료, 복합재료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진동판(2)은, 예를 들면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판(2)은, 예를 들면 평판 형상, 돔 형상, 콘 형상 등의 규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진동판(2)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프레임(3)의 평면 형상의 저면(31A)을 따라 지지되어 있다. 박형화의 실현을 과제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평판 형상의 진동판(2)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진동판(2)은 음향 방사방향(SD)으로부터 본 형상(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다각형 등, 규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진동판(2)은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진동판(2)의 표면(음향 방사측의 면) 또는 이면(음향 방사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돌기부를 형성해도 상관없다. 돌기부는 진동판(2)의 강성을 크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돌기부는 진동판(2)의 표면에 대해, 직선형상, 환 형상, 격자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고, 예를 들면 직선형상의 돌기부를 진동판의 표면에 복수 형성하는 등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진동판(2)은 진동 가능하게 프레임(3)에 지지되어 있고, 진동판(2)의 배면측(음향 방사방향과는 반대측)에 있어서의 진동판(2)과 프레임(3)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이 음향 방사방향에 대해서 차단되어 있으므로, 진동판(2)의 배면측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파가 음향 방사방향을 향해 방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엣지(5)] 엣지(5)는 진동판(2)과 프레임(3) 사이에 배치되고, 내주부가 진동판(2)의 외주부를 지지함과 함께, 외주부가 프레임(3)에 접합하는 것에 의해 진동판(2)을 규정 위치로 지지한다. 상세하게는 엣지(5)는 진동판(2)을 진동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진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진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제동한다. 도시한 엣지(5)는 음향 방사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링 형상(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엣지(5)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규정 형상, 예를 들면 볼록 형상, 오목형상, 물결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엣지(5)는 음향 방사방향으로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음향 방사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엣지(5)는, 예를 들면 가죽, 천, 고무, 수지, 그들에 코킹 가공을 한 것, 고무나 수지 등을 규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부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자기 회로(40)] 자기 회로(40)는 프레임(3)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자기 회로(40)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3)에 수용되어 있고, 프레임(3)의 평면 형상의 저면(31A)을 따라 자기 갭(40G)이 형성되어 있다. 자기 회로(40)로서는, 예를 들면 내자형 자기 회로, 외자형 자기 회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자기 회로(40)의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41), 및 자석(42)을 가진다. 도시한 자기 회로(40)는 복수의 자석(42A~42D)을 가진다. 이 자기 회로(40)에서는 자석(42)이 자기 갭(40G)의 자장 방향을 따른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자기 갭(40G)은 보이스 코일(60)이 X축 방향을 따라 규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요크(41)는 하측 평탄부(41A), 상측 평탄부(41B), 및 지주부(41C)를 가진다. 하측 평탄부(41A)와 상측 평탄부(41B)는 규정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지주부(41C)가 하측 평탄부(41A) 및 상측 평탄부(41B)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자기 갭(40G)의 자장 중의 보이스 코일(60)에 음성 신호(전류)가 흐른 경우,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자장의 방향 및 전류의 방향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로렌츠력이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1)는 진동판(2)의 진동 방향과 상이한 규정 방향, 상세하게는 진동판(2)의 진동 방향(Z축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보이스 코일(60)에 로렌츠력이 발생하여 보이스 코일(60)이 X축 방향을 따라 진동하도록, 보이스 코일(60) 및 자기 회로(40)가 구성되어 있다. 평탄부(41A, 41B)에는 자석(42A~42D)이 배치되고, 자석(42A)과 자석(42C)으로 하나의 자기 갭(40G1)이 형성되고, 자석(42B)과 자석(42D)으로 또 다른 자기 갭(40G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자기 갭(40G1)과 자기 갭(40G2)은 평면적으로 나열되어 형성되고, 서로 역방향의 자장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링 형상의 보이스 코일(60)은 음향 방사방향(SD)으로부터 본 경우,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선부(60A, 60C)와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선부(60B, 60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60)의 직선부(60A, 60C)는 자기 회로(40)의 자기 갭(40G) 내에 배치되고 자장의 방향이 Z축 방향을 따르도록 규정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60)의 직선부(60B, 60D)에는 자장을 인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직선부(60B, 60D)에 자장이 인가되고 있는 경우에도, 그 직선부(60B, 60D)에 발생하는 로렌츠력이 서로 상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이스 코일(60)은 박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감김수를 비교적 많이 함으로써 자기 갭(40G) 중의 부분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어, 스피커 구동시에 비교적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기 회로(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60)의 직선부(60A)에 가해지는 자장의 방향이 직선부(60C)에 관한 자장의 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이 되도록, 복수의 자석(42A~42D)이 착자되어 있다. 또 보이스 코일(60)의 직선부(60A), 직선부(60C) 각각에는 역방향으로 음성 신호가 흐르도록, 보이스 코일(60)은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커 장치(1)에서는 보이스 코일(60)에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직선부(60A)에 발생하는 로렌츠력과 직선부(60C)에 발생하는 로렌츠력이 동일 방향이 되고, 예를 들면 직선부(60A, 60C)의 어느 일방에만 자장을 인가하고 있는 구성과 비교해, 구동력이 2배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구성의 자기 회로(40)와 보이스 코일(60)에서는 비교적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 비교적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보이스 코일 지지부(6)] 보이스 코일 지지부(6)는 상기 서술한 보이스 코일(60)을 구비함과 함께, 진동판(2)의 진동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프레임(3)의 평면 형상의 저면(31A)을 따라 형성된 자기 갭(40G)을 따라 진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이스 코일 지지부(6)는 X축 방향을 따라서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이동 범위의 규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부로서 댐퍼(8)을 설치했지만,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레일이나 가이드 부재, 홈부 등에 의한 규제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보이스 코일 지지부(6)는 자기 회로(40)의 자기 갭(40G) 내에 보이스 코일(60)이 배치됨과 함께, 보이스 코일(60)로부터 이동 방향을 따라 자기 갭(40G) 밖까지 연장된 형상의 평면 형상의 절연부재(61)를 가진다. 또 보이스 코일 지지부(6)는 개구부(62)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62)의 외주를 따라 보이스 코일(6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보이스 코일 지지부(6)는 절연부재(61)의 내부에 보이스 코일(60)이 내장된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6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 보이스 코일(60)의 변형을 저감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개구부(62)는 자기 회로(40)의 지주부(41C)에 헐겁게 끼워져 있고, 이 상태로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이동 범위가 규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62)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이동 방향을 따른 양변의 간격이 지주부(41C)의 폭과 대략 동일한 크기 또는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변의 간격은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이동 범위에 대응해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다.
[진동 방향 변환부(7)] 진동 방향 변환부(7)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과 프레임(3)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6)와 진동판(2) 사이에 형성된 링크 부분(제1 링크 부분)(70)을 각도 변환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일단을 보이스 코일 지지부(6)와의 관절부(70A)로 하고, 타단을 진동판(2)과의 관절부(70B)로 하는 제1 링크 부분(70)과, 일단을 제1 링크 부분(70)의 중간부와의 관절부(71A)로 하고, 타단을 프레임(3)과의 관절부(71B)로 하는 제2 링크 부분(71)을 가지고, 제1 링크 부분(70)과 제2 링크 부분(71)을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링크 부분이란 링크 기구를 형성하기 위한 일부로서, 기본적으로는 변형되지 않는(강성을 가진) 부분으로, 그 양단에 관절부를 가진다. 이 관절부는 2개의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접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를 임의의 각도로 굴절 가능하게 한 굴절 개소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b)에 나타낸 예에서는 관절부(71B)는 프레임(3)의 저면(31A) 상에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부(34)(정지부)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링크 부분(70), 제2 링크 부분(71), 관절부(70A, 70B, 71A, 71B)에 의해 링크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링크 부분(71)과 프레임(3)과의 관절부(71B)가 위치변위하지 않는 관절부로서, 다른 관절부(70A, 70B, 71A)는 위치가 변위하는 관절부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체의 링크 기구는 관절부(71B)에 있어서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링크 기구에서는 관절부(70A)가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관절부(70B)는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진동판(2)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방향 변환부(7)는 선형상의 굴절부를 가지는 판형 부재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이 굴절부를 상기 서술한 링크 기구의 관절부로 할 수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제1 링크 부분(70) 및 제2 링크 부분(71)을 판형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링크 기구의 관절부(70A, 70B, 71A, 71B)를 선형상의 굴절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진동판(2)과의 접합 부분을 선형상으로 접합할 수 있으므로, 평면 형상의 진동판(2)에 대해서 폭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진동을 가할 수 있고, 진동판 전체를 대략 동위상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분할 진동의 발생을 억제해 특히 고음역측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또 각 링크 부분은 강성을 가지므로, 고유 진동 모드에서의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고, 링크 부분의 휨 진동 등이 진동판(2)의 진동에 악영향을 부여하는 것을 억제해, 음향 특성이 저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방향 변환부(7)는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통기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통기 구멍은 스피커 진동시의 진동판(2)과 프레임(3)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의 공기압의 국소적인 변동을 저감할 수 있고, 공기압에 의한 진동 방향 변환부(7)의 제동을 억제한다. 또 통기 구멍에 의해, 예를 들면 링크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링크 부분을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고역재생이 가능해진다. 또 진동 방향 변환부의 경량화는 특히 재생 특성의 광역화나, 소정의 음성 전류에 대한 음파의 진폭 및 음압레벨을 크게 하는 것에 유효하다.
또 진동 방향 변환부(7)는 굴절부에서 연결된 일체부품으로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는 복잡한 링크 기구를 형성하는 진동 방향 변환부(7)를 즉석에서 보이스 코일 지지부(6)나 진동판(2)에 접합할 수 있어 장치의 조립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 진동 방향 변환부(7)는, 예를 들면 보이스 코일 지지부(6)나 진동판(2)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8)] 댐퍼(8)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가 자기 회로(40)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이스 코일 지지부(6)를 자기 갭(40G) 내의 규정 위치에 유지함과 함께, 보이스 코일 지지부(6)를 진동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댐퍼(8)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 예를 들면 Z축 방향이나 Y축 방향으로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가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8)는, 예를 들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가진다. 이 댐퍼(8)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굴곡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댐퍼(8)는 Z축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X축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크다)를 가지고, 특히 Z축 방향에 있어서의 강성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댐퍼(8)는 단면 형상이 볼록 형상, 오목형상, 물결 형상 등, 두께가 균일, 불균일 등 각종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댐퍼(8)는 일단부가 보이스 코일 지지부(6)에 접합되고, 타단부가 프레임(3)에 접합되어 있다. 댐퍼(8)는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일단부가 보이스 코일 지지부(6)에 접합되고, 타단부가 자기 회로(40)에 접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이동 규제 또는 지지는 상기 서술한 댐퍼(8)으로 바꾸어, 예를 들면 레일이나 홈부, 단부, 가이드 부재 등을 프레임(3)에 설치해도 된다. 즉, 스피커 장치(1)는 레일, 홈부, 단부 등에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단부가 끼워 맞춰진 상태로, 이 보이스 코일 지지부(6)가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동작]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6(b)은 진동판(2)이 기준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진동 방향 변환부(7)의 상태, 도 6(a)은 진동판(2)이 기준 위치에 대해서 음향 방사측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의 진동 방향 변환부(7)의 상태, 도 6(c)은 진동판(2)이 기준 위치에 대해서 음향 방사측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의 진동 방향 변환부(7)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관절부(71B)가 유일하게 위치변동하지 않는 관절부이며, 이것이 프레임(3)에 대해서 지지되고,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링크 기구에 부여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6)가 기준 위치(X0)로부터 X축 방향으로 X1만큼 이동하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 배치되어 있는 제1 링크 부분(70)과 제2 링크 부분(71)의 각도가 대략 동각도 올라가게 되어, 관절부(71B)에서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관절부(70B)는 확실하게 진동판(2)을 기준 위치(Z0)로부터 Z축 방향으로 Z1만큼 밀어 올린다. 또 보이스 코일 지지부(6)가 기준 위치(X0)로부터 X축과 역방향으로 X2만큼 이동하면,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분(70)과 제2 링크 부분(71)의 각도가 대략 동각도 내려가게 되고, 관절부(71B)에서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관절부(70B)는 확실하게 진동판(2)을 기준 위치(Z0)로부터 Z축과 역방향으로 Z2만큼 눌러 내린다.
여기서, 관절부(70A)로부터 관절부(71A)까지의 링크 부분의 길이(a)와 관절부(71A)로부터 관절부(70B)까지의 링크 부분의 길이(b)와 관절부(71A)로부터 관절부(71B)까지의 링크 부분의 길이(c)를 동일하게 하여,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이동 방향의 직선 상에 관절부(70A)와 관절부(71B)를 배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링크 기구는 스콧 러셀의 기구로서 알려져 있고, 관절부(70A, 70B, 71B)는 관절부(71A)를 중심으로 하여 직경이 제1 링크 부분(70)의 길이(a+b=2A)의 원주상에 있다. 즉, 관절부(70A)와 관절부(71B)를 통과하는 직선과 관절부(70B)와 관절부(71B)를 통과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은 항상 직각이 된다.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6)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링크 부분(70)과 진동판(2)과의 관절부(70B)는 항상 X축과 수직인 Z축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 방향을 이와는 수직 방향으로 변환하여 진동판(2)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피커 장치(1)는 진동판(2)의 진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 자기 회로(40)의 자기 갭(40G)을 형성하고, 진동 방향 변환부(7)를 통해 자기 갭(40G)을 따라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을 진동판(2)에 전달하고 있다. 이 때,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 방향과 진동판(2)의 진동 방향이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스피커 장치의 각 부품의 폭을 스피커 장치의 폭방향(진동판의 진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겹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스피커 장치와 비교해 음향 방사방향을 따른 스피커 장치의 폭(스피커 장치의 전고)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어 스피커 장치(1)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보이스 코일(60)로부터 진동판(2)에 구동력을 전달시킬 때에 가요성 부재의 휨을 이용해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방식의 것과 비교해, 스피커 장치(1)는 기계적인 링크 기구를 통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6)로부터 진동판(2)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가요성 부재의 변형에 의한 응답성의 저하가 없고, 비교적 고감도로 진동판(2)을 진동시킬 수 있다. 또 공진(특히 저주파수에서)이 발생하기 쉬운 가요성 부재가 없어 효율적으로 구동부(4)의 구동력을 진동판(2)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피커 장치(1)는 구동부(4)의 보이스 코일(60)에 발생하는 구동력을 기계적인 링크 기구를 통해 각도 변환하여 진동판(2)에 전달하므로, 콘덴서형 스피커 장치와 같은 대음량 출력시의 재생 음질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콘덴서형의 스피커 장치와 비교해 대음량으로 고음질의 재생음을 방사할 수 있다.
또 스피커 장치(1)에서는 평면 형상의 저면(31A)을 가지고, 진동판(2)을 프레임(3)의 저면(31A)을 따라 지지하고, 자기 갭(40G)을 그 저면(31A)을 따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스피커 장치(1) 전체를 평면적 또한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진동 방향 변환부(7)는 프레임(3)의 저면(31A)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이 저면(31A)과 교차하는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판(2)을 진동시키므로, 자기 갭(40G)을 따른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 방향이 직접 스피커 장치의 두께 방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을 크게 하고 또 구동력을 크게 하면서 스피커 장치(1)의 전고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출력의 대음량화와 스피커 장치의 박형화를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보이스 코일(60)은 박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감김수를 비교적 많이 함으로써 자기 갭(40G) 중의 부분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서도 비교적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설명도이다.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개소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 (b) 및 도 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각각 2개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 하나는 진동 방향 변환부(7)가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 방향 양단에 설치되고, 양단에 형성된 진동 방향 변환부(7)의 링크 부분에 의해 평행 링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 다른 특징은 구동부(4)를 한 쌍 형성해 진동 방향 변환부(7)를 서로 좌우 대칭으로 대향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도 7(a), (b)에 나타내는 스피커 장치(100, 101)은 각각, 하나의 진동판(2)에 대해서 좌우 한 쌍의 구동부(4(R), 4(L))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부(4(R), 4(L))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구동부(4(R))에는 자기 회로(40(R))와 보이스 코일 지지부(6(R))가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R))의 진동판(2) 중심측의 단부에는 제1 링크 부분(70(R))과 제2 링크 부분(71(R))이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R))의 외측 단부에는 일단을 보이스 코일 지지부(6(R))와의 관절부(72A(R))로 하고, 타단을 진동판(2)과의 관절부(72B(R))로 하는 외측 링크 부분(72(R))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부(4(L))에는 자기 회로(40(L))와 보이스 코일 지지부(6(L))가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L))의 진동판(2) 중심측의 단부에는 제1 링크 부분(70(L))과 제2 링크 부분(71(L))이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L))의 외측 단부에는 일단을 보이스 코일 지지부(6(L))와의 관절부(72A(L))로 하고, 타단을 진동판(2)과의 관절부(72B(L))로 하는 외측 링크 부분(72(L))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a)에 나타낸 스피커 장치(100)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6(L))의 진동판(2) 중심측 단부에 형성되는 진동 방향 변환부에 있어서, 제1 링크 부분(70(R), 70(L))의 진동판(2)과의 관절부(70B)가 공통부로 되어 있고, 제2 링크 부분(71(R), 71(L))의 프레임(3)과의 관절부(71B)가 공통부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절부(70B, 71A(R), 71A(L), 71B)에 의해 마름모 형상의 링크 기구가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6(L))의 서로 X축 방향을 따라 근접ㆍ이간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진동판(2)에 Z축 방향(음향 방사방향)의 진동을 부여한다. 이 경우에도, 관절부(71B)가 프레임(3)에 지지됨으로써,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6(L))의 근접ㆍ이간 진동에 대해서, 제1 링크 부분(70(R), 70(L)) 및 제2 링크 부분(71(R), 71(L))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가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이 반력에 의해 진동판(2)을 확실하게 Z축 방향으로 진동시키고 있다.
또 하나의 보이스 코일 지지부(6(R))의 진동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링크 부분(70(R))과 외측 링크 부분(72(R)), 또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L))의 진동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링크 부분(70(L))과 외측 링크 부분(72(L))은 각각 평행 링크를 형성하고 있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6(L))의 X방향의 이동에 의해, 대략 평행한 제1 링크 부분(70(R))과 외측 링크 부분(72(R)), 또는 제1 링크 부분(70(L))과 외측 링크 부분(72(L))이 대략 동일한 각도로 각도 변환하게 된다. 이로 인해 3개소의 관절부(70B, 72B(R), 72B(L))가 진동판(2)의 평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동하게 되어, 평면 형상의 진동판(2)에 대략 동위상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진동판(2)의 분할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한 쌍의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6(L))의 진동은 대략 동위상ㆍ대략 동진폭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조건이 된다.
도 7(b)에 나타낸 스피커 장치(101)는 관절부(70B)가 관절부(70B(R)와 70B(L))로 분리되어 각각 이간 배치되고, 관절부(71B)가 관절부(71B(R)와 71B(L))로 분리되어 각각 이간 배치되어 있는 것 외에는 도 7(a)에 나타낸 스피커 장치(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7(b)에 나타낸 스피커 장비(101)는 도 7(a)에 나타낸 스피커 장치(100)과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지만, 스피커 장치(101)는 동시에 상하동하는 4개소의 관절부(70B(R), 70B(L), 72B(R), 72B(L))에 의해 진동판(2)이 상하동하므로, 더욱 진동판(2)의 분할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외측 링크 부분의 링크 기구를 제외하고는 도 7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도시한 예는 도 7(a)에 대응하는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외측 링크 부분만을 바꾸어 도 7(b)에 대응하는 구성예를 실시할 수 있다. 도 7과의 공통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동 도(a)는 전체 단면도, 동 도(b), (c)는 외측 링크 부분과 프레임과의 관절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스피커 장치(102)는 외측 링크 부분이 제1 외측 링크 부분(72(R), 72(L))과 제2 외측 링크 부분(73(R), 73(L))을 구비한다. 여기에서도 대략 좌우 대칭인 한 쌍의 구동부(4(R), 4(L))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일단을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또는 6(L))의 외측 부분과의 관절부(72A(R) 또는 72A(L))로 하고, 타단을 진동판(2)과의 관절부(72B(R) 또는 72B(L))로 하는 제1 외측 링크 부분(72(R), 72(L))과 일단을 제1 외측 링크 부분(72(R) 또는 72(L))의 중간부와의 관절부(73A(R) 또는 73A(L))로 하고, 타단을 프레임(3)과의 관절부(73B(R) 또는 73B(L))로 하는 제2 외측 링크 부분(73(R), 73(L))을 구비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관절부(73B(R), 73B(L))는 지지부(35)를 통해 프레임(3)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외측 링크 부분(73(R), 73(L))과 프레임(3)과의 관절부(73B(R), 73B(L))에 대해 설명하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 지지부(6(R))에는 개구부(63)가 형성되고, 개구부(63)를 통해 제2 외측 링크 부분(73(R))의 단부가 프레임(3)에 지지부(35)를 통해 지지되어 있어도 되고, 동 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외측 링크 부분(73(R))은 단부가 도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R))를 걸쳐 단부가 프레임(3)에 지지부(35)를 통해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도시는 우측(R)의 예만을 나타냈지만 좌측도 마찬가지(대략 좌우 대칭)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6(L)) 외측 단부의 링크 부분에 있어서도, 프레임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링크 기구를 형성할 수 있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6(L))의 이동에 대해서,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이용해 제1 외측 링크 부분(72(R), 72(L))을 각도 변환하므로, 확실하게 진동판(2)을 상하동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링크 부분(70(R), 70(L)) 및 제2 링크 부분(71(R), 71(L))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가,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6(L))가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항상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받게 되므로, 진동판(2)을 상하동(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진동판(2)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6(L))가 상하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 지지부(6(R), 6(L))를 원활히 진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이 진동을 원활히 진동판(2)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동 도(a)가 측면도, 동 도(b), (c)가 진동 방향 변환부의 평면도). 여기에서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진동판(2)에 전달하는 진동 방향 변환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진동 방향 변환부는 일단을 보이스 코일 지지부(6)와의 관절부(170A)로 하고, 타단을 진동판(2)과의 관절부(170B)로 하는 제1 링크 부분(170)과, 일단을 제1 링크 부분(170)의 중간부와의 관절부(171A)로 하고, 타단을 프레임(3)과의 관절부(171B)로 하는 제2 링크 부분(171)과, 보이스 코일 지지부(6)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제3 링크 부분(172)과, 진동판(2)을 따라 고착되거나 또는 진동판(2)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제4 링크 부분(173)과, 일단을 제3 링크 부분(172)의 단부와의 관절부(174A)로 하고, 타단을 제4 링크 부분(173)과의 관절부(174B)로 하는 제5 링크 부분(174)을 가지고, 제1 링크 부분(170)과 제5 링크 부분(174) 및 제3 링크 부분(172)과 제4 링크 부분(173)이 각각 평행 링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진동 방향 변환부에 의하면,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에 의해 관절부(170A)가 X축 방향의 기준 위치(X0)로부터 X1로 이동하면, 이로 인해 평행 링크를 형성하고 있는 제3 링크 부분(172)과 제4 링크 부분(173)은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제1 링크 부분(170)과 제5 링크 부분(174)이 세워지도록 각도 변환한다. 그 때 관절부(171B)가 프레임(3)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제1 링크 부분(170)과 제5 링크 부분(174)의 각도 변환이 확실하게 행해져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위치(X0)로부터 위치(X1)로의 변위를 진동판(2)의 위치(Z0)로부터 위치(Z1)로의 변위로 확실하게 변환한다.
마찬가지로 관절부(170A)가 X축 방향의 기준 위치(X0)로부터 X2로 이동하면, 이로 인해 평행 링크를 형성하고 있는 제3 링크 부분(172)과 제4 링크 부분(173)은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제1 링크 부분(170)과 제5 링크 부분(174)이 쓰러지도록 각도 변환한다. 그 때 관절부(171B)가 프레임(3)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프레임(3)으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제1 링크 부분(170)과 제5 링크 부분(174)의 각도 변환이 확실하게 행해져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위치(X0)로부터 위치(X2)로의 변위를 진동판(2)의 위치(Z0)로부터 위치(Z2)로의 변위로 확실하게 변환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X축 방향의 진동이 대략 동위상ㆍ대략 동진폭으로 진동하는 2개소의 관절부(170B, 174B) 및 제4 링크 부분(173)에 있어서의 Z축 방향의 진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이로 인해, 진동판(2)은 넓은 범위에서 지지되고, 대략 동위상ㆍ대략 동진폭의 진동이 부여되게 되므로, 면적이 넓은 평면적인 진동판(2)에 대해서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을 대략 동위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a)에 나타낸 진동 방향 변환부의 링크 기구는 각 링크 부분을 동 도(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판형 부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각 관절 부분은 링크 부분 상호를 회전 가능하게 접합한 것이어도 되고, 링크 부분 상호가 굴절 가능하게 연결 또는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판형 부재는 강성이 높게 경량의 부재가 바람직하고, 섬유강화 플라스틱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b)의 예에서는 제3 링크 부분(172), 제4 링크 부분(173), 제5 링크 부분(174)을 각각 한 쌍으로 평행 배치하고 있고, 제1 링크 부분(170)을 양 갈래로 형성하여 그 중간부에 제2 링크 부분(171)과의 관절부(171A)가 형성되고, 제2 링크 부분(171)은 한 쌍으로 평행 배치되어 있는 제3 링크 부분(172), 제4 링크 부분(173), 제5 링크 부분(17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동 도(c)의 예에서는 제3 링크 부분(172), 제4 링크 부분(173), 제5 링크 부분(174)이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링크 부분(170)의 양측 중간 위치에 관절부(171A)를 형성해 제2 링크 부분(171)을 중앙이 연장되어 설치된 제1 링크 부분(170)의 양측에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링크 부분을 1개의 판형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진동판(2)을 면으로 지지해 진동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진동판(2) 전체를 대략 동위상으로 진동시킬 수 있고, 분할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링크 부분을 복수의 판형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1개의 판형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링크 부분을 1개의 판형 부재로 형성할 때, 1개의 평면 형상의 판형 부재로부터 링크 부재를 잘라내도 상관없다. 도 9에 나타낸 실시 형태는 도 7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구동부를 한 쌍 형성하여 진동 방향 변환부를 서로 대략 좌우 대칭으로 대향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보다 많은 개소에서 진동판(2)을 지지해 대략 동위상의 진동을 가할 수 있으므로, 분할 진동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동 도(a)가 측면도, 동 도(b)가 사시도, 동 도(c)가 분해 사시도). 여기에서도,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진동판(2)에 전달하는 진동 방향 변환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구동부를 한 쌍 형성하여 진동 방향 변환부를 서로 대략 좌우 대칭으로 대향 배치시키는 경우이며, 진동 방향 변환부를 일체부품으로 형성하는 경우의 한 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방향 변환부는 일단을 보이스 코일 지지부(6)와의 관절부(270A(R), 270A(L))로 하고, 타단을 진동판(2)과의 관절부(270B(R), 270B(L))로 하는 한 쌍의 제1 링크 부분(270(R), 270(L))을 가진다. 또 일단을 제1 링크 부분(270(R), 270(L))의 중간부와의 관절부(271A(R), 271A(L))로 하고, 타단을 프레임(3)(후술하는 제6 링크 부분(275))과의 관절부(271B(R), 271B(L))로 하는 한 쌍의 제2 링크 부분(271(R), 271(L))을 가진다. 또 보이스 코일 지지부(6)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링크 부분(272(R), 272(L))과 진동판(2)을 따라 고착되는 제4 링크 부분(273)을 가진다. 또 일단을 제3 링크 부분(272(R), 272(L))의 단부와의 관절부(274A(R), 274A(L))로 하고, 타단을 제4 링크 부분(273)과의 관절부(274B(R), 274B(L))로 하는 한 쌍의 제5 링크 부분(274(R), 274(L))을 가진다. 그리고 제4 링크 부분(273)의 양단에 제1 링크 부분(270)과 진동판(2)(제4 링크 부분(273))과의 관절부(270B(R), 270B(L))를 형성하고, 제2 링크 부분(271(R), 271(L))과 프레임(3)(후술하는 제6 링크 부분(275))과의 관절부(271B(R), 271(L))를 제4 링크 부분(273)과 대략 동일한 길이의 제6 링크 부분(275)의 양단에 형성한다. 나아가서는 제1 링크 부분(270(R))과 제5 링크 부분(274(R)) 또는 제1 링크 부분(270(L))과 제5 링크 부분(274(L))이 평행 링크를 형성하고, 제3 링크 부분(272(R), 272(L))과 제4 링크 부분(273)이 각각 평행 링크를 형성한다.
이러한 진동 방향 변환부의 링크 기구는 실질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링크 기구를 대략 좌우 대칭으로 대향 배치하고, 그 관절부(174B)를 이간 배치한 것과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각 링크 부분을 판형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링크 부분간의 각 관절부는 선형상의 굴절부에 의해 형성해 링크 부분 상호간이 굴절부를 통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관절부의 근방에 있어서, 각 링크 부분의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경사면은 링크 부분이 관절부에 있어서 굴절할 때에 서로 가까워지는 링크 부분의 측면과는 반대측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링크 부분을 관절부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굴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링크 기구를 가지는 진동 방향 변환부가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부품이 되어 있고, 그 단부에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접합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의 진동 방향 변환부는 링크 부분을 형성하는 하나의 판형 부재 전체를 볼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굴절시켜 제1 링크 부분(270(R), 270(L))과 제4 링크 부분(273)을 형성하고, 이 판형 부재를 부분적으로 잘라 오목 사다리꼴 형상으로 굴절시켜 제2 링크 부분(271(R), 271(L))과 제6 링크 부분(275)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진동 방향 변환부는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매의 판형 부재(201, 202)를 맞붙여 형성하고, 일방의 판형 부재(201)에 제1 링크 부분(270(R), 270(L)), 제2 링크 부분(271(R), 271(L)), 제4 링크 부분(273), 제6 링크 부분(275)을 형성하고, 타방의 판형 부재(202)에 제3 링크 부분(272(R), 272(L))과 제5 링크 부분(274(R), 274(L))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링크 부분(270(R), 270(L))과 제4 링크 부분(273)을 따라 제3 링크 부분(272(R), 272(L))과 제5 링크 부분(274(R), 274(L))을 형성함과 함께 제2 링크 부분(271(R), 271(L))과 제6 링크 부분(275)에 대응하는 개구(202A)가 판형 부재(202)에 형성되어 있다.
도 10(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링크 부분(271(R), 271(L))과 제6 링크 부분(275)에 대응하는 타방의 판형 부재(202)에 형성되는 개구(202A)의 크기가 타방의 판형 부재(202)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링크 부분(271(R), 271(L))과 제6 링크 부분(275)이 다른 판형 부재(202)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링크 기구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대향하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에 대해서 하나의 일체부품의 장착만으로 진동 방향 변환부의 링크 기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구동부를 구비한 스피커 장치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조립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제6 링크 부분(275)을 형성함으로써,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대향 진동(복수의 보이스 코일 지지부(6)가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진동하는 것)에 대해서는 특별히 관절부(271B(R), 271B(L))를 프레임(3)에 장착하지 않아도, 이 관절부(271B(R), 271B(L))의 프레임(3) 상에서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어, 이로 인해서도 진동 방향 변환부의 스피커 장치로의 장착을 간이화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기구로서는 우측의 제1 링크 부분(270(R))과 제3 링크 부분(274(R)), 좌측의 제1 링크 부분(270(L))과 제3 링크 부분(274(L))에 의해 평행 링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대향 진동에 대해서 진동판(2)에 고착되는 제4 링크 부분(273)을, Z축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평행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평면 형상의 진동판(2)에 대해서 안정된 진동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도 10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개량예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대향 진동에 의해 굽힘이 생기기 쉬운 링크 부분에 대해서 볼록부(210)를 형성해 강성을 높이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링크 부분(270(R), 270(L)), 제2 링크 부분(271(R), 271(L)), 제3 링크 부분(272(R), 272(L)), 제6 링크 부분(275)에 각각 볼록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동 도(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특별히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링크 부분에 있어서 개구부(220)를 형성해 진동 방향 변환부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4 링크 부분(273)에 개구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진동 방향 변환부의 경량화는 특히 재생 특성의 광역화나 소정의 음성 전류에 대한 음파의 진폭 및 음압레벨을 크게 하는 것에 유효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스피커 장치(100S)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스피커 장치(100S)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스피커 장치(100S)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나타낸 스피커 장치(100S)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이하,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개소는 동일 부호를 붙여 일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도 15에서는 진동판은 생략되어 있다. 도 13에 있어서, 도를 보았을 때 우측의 자기 회로의 일부는 생략되어 있다.
스피커 장치(100S)는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판(2), 프레임(3), 엣지(5), 자기 회로(40), 보이스 코일 지지부(6), 진동 방향 변환부(7), 댐퍼(규제부)(8)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프레임(3)은 직사각형의 외주를 구비하고 있고, 프레임(3)의 직사각형의 개구부(30) 내에 그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외주를 가지는 평면 형상의 진동판(2)이 배치되어 있다. 진동판(2)의 외주연에는 엣지(5)가 형성되고, 진동판(2)의 전체 둘레가 엣지(5)를 통해 프레임(3)의 외주연에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자기 회로(40(R), 40(L))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보이스 코일 지지부(6)에는 진동 방향을 따른 양단부 각각에 진동 방향 변환부(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에 한 쌍의 제1 링크 부분(70(R), 70(L))과 제2 링크 부분(71(R), 71(L))이 형성되고, 각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외측에 외측 링크 부분(72(R), 72(L))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링크 부분(70(R), 70(L))은 진동판(2)의 중앙부(무게중심 위치)에 관절부(70B)를 통해 굴절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한편 외측 링크 부분(72(R), 72(L))은 진동판(2)의 중앙부(무게중심 위치)보다 외주부측의 위치에서 관절부(72B(R), 72(L))를 통해 굴절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또 제1 링크 부분(70(R), 70(L)) 및 외측 링크 부분(72(R), 72(L))의 상단부 부근에는 접합부 단부(75)가 형성되어 있고, 접합 단부(75)가 진동판(2)에 형성된 홈부(21)에 끼워 맞춰져 있다. 또 예를 들면 접합 단부(75)는 진동판(2)의 표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진동판(2)은 3개소에서 선형상으로 진동 방향 변환부(7)에 지지되어 있게 되고, 선형상의 접합부(75)가 보강재가 되어 내부에 내장되게 되므로 비교적 큰 강도를 가지고, 진동판의 휨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진동판(2) 전체를 대략 동위상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1 링크 부분(70(R), 70(L)) 및 외측 링크 부분(72(R), 72(L))는 2개의 대향한 평행 링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대향 진동(복수의 보이스 코일 지지부(6)가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진동하는 것)에 의해, 3개소의 접합부가 대략 동위상ㆍ대략 동진폭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도, 진동판(2) 전체가 대략 동위상으로 진동하게 되어, 분할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링크 부분(70(R), 70(L)) 및 외측 링크 부분(72(R), 72(L))에는 통기 구멍(70P 또는 72P)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70P, 72P)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저항을 크게 받지 않고 판형 부재의 각 링크 부분을 진동시킬 수 있다. 또 통기 구멍(70P, 72P)을 형성함으로써 각 링크 부분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재생 특성의 광역화 등이 가능해진다.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수단은 댐퍼(8)와 지지부(8A)를 가진다. 지지부(8A)는, 예를 들면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양단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L자 형상의 부재이며, 각 보이스 코일 지지부(6)를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고 있다. 지지부(8A)의 단부는 댐퍼(8)에 의해 프레임(3)에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이러한 규제 수단에 의해 각 보이스 코일 지지부(6)는 X축 방향을 따라서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댐퍼(8)는 2개의 자기 회로(40(R), 40(L))간을 횡단하는 Y축 방향에 평행한 축에 대해, 대략 대칭으로 댐퍼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댐퍼(8)는 그 축으로부터 떨어진 쪽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레임(3)의 측부에 통기 구멍(301)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3)의 내부와 프레임(3)의 외부와의 공기유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진동판(2)의 진동에 대해서 프레임(3) 내의 압력에 의한 제동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작은 구동력으로 확실하게 진동판을 진동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스피커 장치(100T)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스피커 장치(100T)의 단면 사시도, 도 16에 나타낸 스피커 장치(100T)의 주요부의 상면도는 도 14, 도 15에 있어서의 프레임이 요크인 것 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하,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개소는 동일 부호를 붙여 일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있어서, 도를 보았을 때 우측의 자기 회로의 일부는 생략되어 있다.
스피커 장치(100T)는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판(2), 요크(41A), 엣지(5), 자기 회로(40), 보이스 코일 지지부(6), 진동 방향 변환부(7), 댐퍼(규제부)(8)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요크(43)는 직사각형의 외주를 구비하고 있고, 요크(43)의 직사각형의 개구부(30) 내에 그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외주를 가지는 평면 형상의 진동판(2)이 배치되어 있다. 진동판(2)의 외주연에는 엣지(5)가 형성되고, 진동판(2)의 전체 둘레가 엣지(5)를 통해 요크(43)의 외주연에 지지되어 있다.
요크(43)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에 대해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정지부이기도 하다. 또 구동부(4)를 구성하는 요크(43)는 자석(42) 또는 플레이트(46)의 하방에 배치되는 저판부(44)와 저판부(44)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통형상부(45)를 구비한다. 또한 정지부인 요크(43)는 완전하게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도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진동판(2)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로 정지하고 있으면 되고, 스피커 장치(100T)를 구동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이 전파되어 진동이 정지부 전체에 발생해도 상관없다.
한 쌍의 자기 회로(40(R), 40(L))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보이스 코일 지지부(6)에는 진동 방향을 따른 양단부 각각에 진동 방향 변환부(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에 한 쌍의 제1 링크 부분(70(R), 70(L))과 제2 링크 부분(71(R), 71(L))이 형성되고, 각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외측에 외측 링크 부분(72(R), 72(L))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링크 부분(70(R), 70(L))은 진동판(2)의 중앙부(무게중심 위치)에 관절부(70B)를 통해 굴절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한편 외측 링크 부분(72(R), 72(L))은 진동판(2)의 중앙부(무게중심 위치)보다 외주부측의 위치에서 관절부(72B(R), 72B(L))를 통해 굴절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또 제1 링크 부분(70(R), 70(L)) 및 외측 링크 부분(72(R), 72(L))의 상단부 부근에는 접합부 단부(75)가 형성되어 있고, 접합 단부(75)가 진동판(2)에 형성된 홈부(21)에 끼워 맞춰져 있다. 또 예를 들면 접합 단부(75)는 진동판(2)의 표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진동판(2)은 3개소에서 선형상으로 진동 방향 변환부(7)에 지지되어 있게 되고, 선형상의 접합부(75)가 보강재가 되어 내부에 내장되게 되므로 비교적 큰 강도를 가지고, 진동판의 휨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진동판(2) 전체를 대략 동위상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1 링크 부분(70(R), 70(L)) 및 외측 링크 부분(72(R), 72(L))는 2개의 대향한 평행 링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대향 진동(복수의 보일 코일 지지부(6)가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진동하는 것)에 의해, 3개소의 접합부가 대략 동위상ㆍ대략 동진폭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도, 진동판(2) 전체가 대략 동위상으로 진동하게 되어, 분할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링크 부분(70(R), 70(L)) 및 외측 링크 부분(72(R), 72(L))에는 통기 구멍(70P 또는 72P)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70P, 72P)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저항을 크게 받지 않고 판형 부재의 각 링크 부분을 진동시킬 수 있다. 또 통기 구멍(70P, 72P)을 형성함으로써 각 링크 부분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재생 특성의 광역화 등이 가능해진다.
제2 링크 부분(71(R), 71(L))은 일단을 제1 링크 부분(70)의 중간부와의 관절부(71A)로 하고, 타단을 요크(44)와의 관절부(71B)로 하고 있고, 제2 링크 부분(71(R), 71(L))을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 배치하고 있다.
또 도 2(b)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의 프레임(3)을 요크(43)로 치환하고 관절부(71B)는 요크(43)의 저판부(44) 상에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부(34)(정지부)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분(70), 제2 링크 부분(71), 관절부(70A, 70B, 71A, 71B)에 의해 링크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링크 부분(71)과 요크(43)와의 관절부(71B)가 위치변위하지 않는 관절부이고, 다른 관절부(70A, 70B, 71A)는 위치가 변위하는 관절부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체의 링크 기구는 관절부(71B)에 있어서 요크(43)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링크 기구에서는 관절부(70A)가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관절부(71A)는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진동판(2)에 전달한다.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수단은 댐퍼(8)와 지지부(8A)를 가진다. 지지부(8A)는, 예를 들면 보이스 코일 지지부(6)의 양단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L자 형상의 부재이며, 각 보이스 코일 지지부(6)를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하고 있다. 지지부(8A)의 단부는 댐퍼(8)에 의해 요크(43)에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이러한 규제 수단에 의해, 각 보이스 코일 지지부(6)는 X축 방향을 따라서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댐퍼(8)는 2개의 자기 회로(40(R), 40(L))간을 횡단하는 Y축 방향으로 평행한 축에 대해, 대략 대칭으로 댐퍼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댐퍼(8)는 그 축으로부터 떨어진 곳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요크(43)의 측부에 통기 구멍(301)이 형성되어 있고, 요크(43)의 내부와 요크(43)의 밖과의 공기유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진동판(2)의 진동에 대해서 요크(43) 내의 압력에 의한 제동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작은 구동력으로 확실하게 진동판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는 박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대음량화의 실현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피커 장치는 각종 전자기기나 차재용으로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동 도(a)에 나타낸 휴대전화 또는 휴대 정보 단말과 같은 전자기기(1000), 또는 동 도(b)에 나타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기기(2000)는 스피커 장치(1)의 설치에 필요한 두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 전체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박형화된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충분한 음성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를 구비한 자동차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동 도에 나타낸 자동차(3000)는 스피커 장치(1)의 박형화에 의해 차내 스페이스의 확대가 가능해진다. 특히 도어 패널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커 장치(1)를 내장한 것에서는 도어 패널의 돌출을 없애 운전자의 조작 스페이스의 확대가 가능해진다. 또 충분한 음성 출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잡음이 많은 고속 주행시 등에서도 차내에서 쾌적하게 음악이나 라디오 방송을 즐길 수 있다.

Claims (32)

  1.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을 진동 방향을 따라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형성되고 음성 신호에 의해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부여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 자기 갭을 형성하는 자기 회로와,
    보이스 코일을 가지고 상기 자기 갭을 따라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을 방향 변환하여 상기 진동판에 전달하는 진동 방향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형성된 링크 부분을 각도 변환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링크 부분이 상기 진동판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정지부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각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평면 형상의 저면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프레임의 저면을 따라 평면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자기 갭은 상기 프레임의 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상기 프레임의 저면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그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로는 서로 역방향의 자장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자기 갭을 가지고,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자기 갭에서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환 형상으로 형성된 보이스 코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한 쌍 형성하고,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를 서로 대향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의 링크 기구는 상기 링크 부분에 의해 평행 링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일단을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의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진동판과의 관절부로 하는 제1 링크 부분과,
    일단을 상기 제1 링크 부분의 중간부와의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프레임과의 관절부로 하는 제2 링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제2 링크 부분을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 방향 양단에 형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의 링크 부분에 의해 평행 링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프레임과의 관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부분은 단부가 도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를 걸쳐 상기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프레임과의 관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한 쌍 형성하고,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를 서로 대향 배치하고,
    일방의 상기 구동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진동판과의 관절부와, 타방의 구동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진동판과의 관절부를 공통부로 하고, 일방의 상기 구동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프레임과의 관절부와, 타방의 구동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프레임과의 관절부를 공통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한 쌍 형성하고,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를 서로 좌우 대칭으로 대향 배치하고,
    일방의 상기 구동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진동판과의 관절부와 타방의 상기 구동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진동판과의 관절부를 이간 배치하고, 일방의 상기 구동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프레임과의 관절부와 타방의 구동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프레임과의 관절부를 이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선형상의 굴절부를 가지는 판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굴절부를 상기 관절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복수의 상기 판형 부재가 상기 굴절부에서 연결된 일체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일단을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의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진동판과의 관절부로 하는 제1 링크 부분과,
    일단을 상기 제1 링크 부분의 중간부와의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프레임과의 관절부로 하는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제3 링크 부분과,
    상기 진동판을 따라 고착되거나 또는 상기 진동판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제4 링크 부분과,
    일단을 상기 제3 링크 부분의 단부와의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제4 링크 부분과의 관절부로 하는 제5 링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제5 링크 부분 및 상기 제3 링크 부분과 상기 제4 링크 부분이 각각 평행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한 쌍 형성해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를 서로 대향 배치하고,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일단을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의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진동판과의 관절부로 하는 한 쌍의 제1 링크 부분과,
    일단을 상기 제1 링크 부분의 중간부와의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프레임과의 관절부로 하는 한 쌍의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링크 부분과,
    상기 진동판을 따라 고착되는 제4 링크 부분과,
    일단을 상기 제3 링크 부분의 단부와의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제4 링크 부분과의 관절부로 하는 한 쌍의 제5 링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4 링크 부분의 양단에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진동판과의 관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프레임과의 관절부를 제6 링크 부분의 양단에 형성하고,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제5 링크 부분 및 상기 제3 링크 부분과 상기 제4 링크 부분이 각각 평행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상기 관절부가 되는 굴절부를 가지는 판형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판형 부재 전체를 볼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굴절시켜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제4 링크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판형 부재를 부분적으로 잘라 오목 사다리꼴 형상으로 굴절시켜 상기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제6 링크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2매의 판형 부재를 맞붙여 형성하고, 일방의 판형 부재에 상기 제1 링크 부분, 상기 제2 링크 부분, 상기 제4 링크 부분, 상기 제6 링크 부분을 형성하고, 타방의 판형 부재에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제4 링크 부분을 따라 상기 제3 링크 부분과 상기 제5 링크 부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제6 링크 부분에 대응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프레임에 엣지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자석과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를 진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그 이외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진동 방향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규제부는 진동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진동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크고, 진동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요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부분과 상기 제6 링크 부분에 대응하는 타방의 판형 부재에 형성되는 개구의 크기가 그 타방의 판형 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분에는 볼록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분의 일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일단을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의 제1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진동판과의 제2 관절부로 하는 제1 링크 부분과,
    일단을 상기 제1 링크 부분의 중간부와의 제3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프레임과의 제4 관절부로 하는 제2 링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관절부와 상기 제2 관절부와 상기 제4 관절부가,
    상기 제3 관절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1 링크 부분의 길이에 대략 동일한 직경의 원주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일단을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와의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진동판과의 관절부로 하는 제1 링크 부분과,
    일단을 상기 제1 링크 부분의 중간부와의 관절부로 하고, 타단을 상기 정지부와의 관절부로 하는 제2 링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링크 부분과 상기 제2 링크 부분을 상기 보이스 코일 지지부의 진동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요크, 또는 상기 요크상에 형성되는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향 변환부는 강성의 상기 링크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31.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32.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17008334A 2008-10-14 2008-10-14 스피커 장치 KR101224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8580 WO2010044136A1 (ja) 2008-10-14 2008-10-14 スピー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535A true KR20110063535A (ko) 2011-06-10
KR101224242B1 KR101224242B1 (ko) 2013-01-21

Family

ID=4210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334A KR101224242B1 (ko) 2008-10-14 2008-10-14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41220B2 (ko)
EP (1) EP2259604B1 (ko)
JP (1) JP4886896B2 (ko)
KR (1) KR101224242B1 (ko)
CN (1) CN101810010B (ko)
BR (1) BRPI0816732A2 (ko)
MX (1) MX2011003931A (ko)
RU (1) RU2469496C1 (ko)
WO (1) WO2010044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1220B2 (en) 2008-10-14 2016-01-19 Pioneer Corporation Speaker device
WO2010097930A1 (ja) * 2009-02-26 2010-09-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用ボイスコイル、スピーカ装置
KR20120005441A (ko) * 2009-03-19 2012-01-16 파이오니아 코포레이션 스피커 장치
WO2011004478A1 (ja) * 2009-07-09 2011-01-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EP2343910A4 (en) * 2009-07-29 2013-05-22 Pioneer Corp SPEAKER DEVICE
JPWO2011046030A1 (ja) * 2009-10-15 2013-03-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US8436435B2 (en) * 2010-07-27 2013-05-07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MEMS capacitive microphone
MX2018003152A (es) * 2015-09-14 2019-02-07 Wing Acoustics Ltd Mejoras en o relacionadas con los transductores de audio.
BR112020026273A2 (pt) 2018-06-29 2021-04-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Alto-falante e terminal móvel
CN111726713A (zh) * 2019-03-22 2020-09-29 苏州三色峰电子有限公司 一种受话器
JP7410452B2 (ja) * 2019-07-19 2024-01-10 ヤマハ株式会社 音響装置
CN114302308B (zh) * 2021-12-14 2022-08-05 浙江豪声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超线性扬声器及其测试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8469A (en) * 1928-09-15 1937-04-27 Rca Corp Loudspeaker
JPS6273898A (ja) * 1985-09-26 1987-04-04 Sony Corp スピ−カ
JPS63250995A (ja) * 1987-04-07 1988-10-18 Citizen Watch Co Ltd 薄型スピ−カ
KR930008730B1 (ko) * 1991-09-18 1993-09-13 박병윤 보이스코일을 평판상으로 형성한 다이나믹형 스피커.
RU2043003C1 (ru) * 1993-12-17 1995-08-27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Човников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феб
JPH08149596A (ja) 1994-11-25 1996-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US5802189A (en) * 1995-12-29 1998-09-01 Samick Music Corporation Subwoofer speaker system
US6343128B1 (en) * 1999-02-17 2002-01-29 C. Ronald Coffin Dual cone loudspeaker
US6833656B2 (en) * 1999-12-21 2004-12-21 1 . . . Limited Electro active devices
JP2001352592A (ja) * 2000-06-08 2001-12-21 Fujitsu Ten Ltd スピーカ構造
CA2324572A1 (en) * 2000-10-26 2002-04-26 Gerry M. Kane Digital vibration transducer
DE10238325A1 (de) * 2002-08-16 2004-03-1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Lautsprecher
GB0221503D0 (en) * 2002-09-17 2002-10-23 1 Ltd Loudspeaker
JP2004112339A (ja) * 2002-09-18 2004-04-08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
RU37291U1 (ru) * 2003-10-03 2004-04-10 Мизин Сергей Борисович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JP3972306B2 (ja) * 2003-11-20 2007-09-05 ミネベア株式会社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この振動板を使用したスピーカ
KR100533716B1 (ko) * 2003-12-05 2005-12-05 신정열 수평진동 보이스코일을 구비하는 판형 스피커
EP1686834A1 (en) * 2005-01-28 2006-08-02 Sonion Horsens A/S Miniature multi-loudspeaker module
JP2006305453A (ja) * 2005-04-27 2006-11-09 Sony Corp 振動装置、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8023419A1 (fr) * 2006-08-24 2008-02-28 Pioneer Corporation Haut-parleur
JP4946272B2 (ja) * 2006-08-30 2012-06-0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該電気音響変換器を搭載するソーナー用送信器
KR20080089895A (ko) * 2007-04-03 2008-10-08 주식회사 성주음향 요크없는 스피커
BRPI0805809A2 (pt) * 2008-01-28 2011-08-30 Pioneer Corp dispositivo de alto-falante
US9241220B2 (en) 2008-10-14 2016-01-19 Pioneer Corporation Speaker device
CN102172045A (zh) * 2009-12-25 2011-08-31 日本先锋公司 扬声器用振动体、扬声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4136A1 (ja) 2010-04-22
EP2259604B1 (en) 2018-07-11
JP4886896B2 (ja) 2012-02-29
RU2469496C1 (ru) 2012-12-10
EP2259604A1 (en) 2010-12-08
EP2259604A4 (en) 2012-11-28
KR101224242B1 (ko) 2013-01-21
JPWO2010044136A1 (ja) 2012-03-08
BRPI0816732A2 (pt) 2015-03-10
CN101810010A (zh) 2010-08-18
MX2011003931A (es) 2011-06-21
US9241220B2 (en) 2016-01-19
CN101810010B (zh) 2013-04-17
US20110116650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242B1 (ko) 스피커 장치
US8457344B2 (en) Speaker device
WO2010046988A1 (ja) スピーカ装置
WO2010049990A1 (ja) スピーカ装置用磁気回路及びスピーカ装置
WO2010097930A1 (ja) スピーカ装置用ボイスコイル、スピーカ装置
KR20120005441A (ko) 스피커 장치
JP2007174232A (ja) スピーカー装置及び携帯電話機
US20110158462A1 (en) Speaker device
KR20080001089A (ko) 스피커
WO2010106690A1 (ja) スピーカ装置用磁気回路及びスピーカ装置
KR102564872B1 (ko) 위상반전 구조를 갖는 패시브 라디에이터 진동 스피커
JP5095856B2 (ja) スピーカ装置
WO2010106682A1 (ja) スピーカ装置
JP5197768B2 (ja) スピーカ装置
WO2010106672A1 (ja) 振動発生装置
JP5037723B2 (ja) スピーカ装置
JP5037724B2 (ja) 振動発生装置
WO2010106685A1 (ja) スピーカ装置
WO2010106687A1 (ja) スピーカ装置
JP2005197998A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の駆動体および該駆動体を使用したスピーカ
WO2010106673A1 (ja) スピーカ装置
WO2010106684A1 (ja) スピーカ装置
JP2013172183A (ja) スピーカ装置、スピーカ装置用ボイスコイル振動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