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955A -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955A
KR20110021955A KR1020107029165A KR20107029165A KR20110021955A KR 20110021955 A KR20110021955 A KR 20110021955A KR 1020107029165 A KR1020107029165 A KR 1020107029165A KR 20107029165 A KR20107029165 A KR 20107029165A KR 20110021955 A KR20110021955 A KR 20110021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bsorbent article
heat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노다
겐이치로 구로다
신페이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6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ctivating means, e.g. elastic, heat or chemical activata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10)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40)와, 상기 표면 시트(10) 및 상기 이면 시트(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30)를 갖는 흡수성 물품(100)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40)의 의류에 면하는 표면(42)측에, 평면 방향에서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이 형성되어 있고, 흡열재(50)는, 흡수체(30)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의 일부에,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에서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과 마주보지 않는 영역(410)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ABSORPTIVE ARTICLE AND SANITARY NAPKIN}
본 발명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월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하기 위해,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반적으로,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갖는다. 또,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장착했을 때, 표면 시트는 착용자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고, 이면 시트는 내의면에 접촉한다.
또, 이면 시트에는, 내의면에 접촉하는 면에 접착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가 내의면에 접착함으로써, 내의와 흡수성 물품 사이에 어긋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0596호 공보 일본 특허 제3922722호 공보
그런데,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월경혈 등의 체액은,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배설되자마자 증발 비산을 시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 표면과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의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여, 착용자가 습한 느낌을 갖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일본 특허 제3922722호 공보에는, 체액의 부착에 의해 흡열 반응하는 흡열재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로부터 월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의 온도 및 습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원리적으로는 가능해지지만,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유아의 배변 훈련용 기저귀를 목적으로 하여, 흡열재에 의해 온도가 저하된 체액을 적극적으로 본래의 상태로 되돌려 피부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체액의 배설을 착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므로, 월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의 습한 느낌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흡수성 물품에서, 이면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제는 온도 의존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흡열재에 의해 온도가 저하된 체액에 의해 접착제의 온도도 저하되어, 접착제가 경화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생리대에 흡열재를 배치한 경우,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내의와 흡수성 물품에 어긋남이나 뒤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월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하고 착용중에 내의와 흡수성 물품에 어긋남이나 뒤틀림이 잘 발생하지 않는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의 의류에 면하는 표면측에 평면 방향에서 접착제의 도포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접착제의 도포 영역의 일부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열재의 배치 영역과 마주보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 특징에서, 상기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의 표면 시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특징에서,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소수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갖는 생리대로서, 상기 이면 시트의 의류에 면하는 표면측에, 평면 방향에서 접착제의 도포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접착제의 도포 영역의 일부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열재의 배치 영역과 마주보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에서, 상기 생리대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윙을 더 가지며, 상기 생리대에는, 전방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방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열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서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의 영역은 상기 윙의 길이 방향의 영역이어도 좋다.
제2 특징에서, 상기 생리대에는,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의 양측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엠보스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열재는 상기 엠보스 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월경혈이나 뇨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할 수 있고 착용중에 내의와 흡수성 물품에 어긋남이나 뒤틀림이 잘 발생하지 않는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흡열재의 배치 영역과 접착제의 도포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흡수성 물품(100)의 A-A'선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00)은, 예를 들어 생리대에 적용된다. 흡수성 물품(100)을 개별 포장 용기 등에 수납할 때, 흡수성 물품(100)은, 내면쪽으로 3번 또는 4번 접힌 상태로 밀봉된다. 흡수성 물품(100)의 전체 형상은, 직사각형, 타원형, 표주박형 등이어도 좋고, 착용자의 몸 및 내의의 형상에 맞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흡수성 물품(100)의 외형 치수로서, 길이 방향의 치수는 "100∼5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50∼350 m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폭방향의 치수는 "30∼2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40∼180 m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흡수성 물품(100)에는, 전방 영역(210)과 중앙 영역(220)과 후방 영역(230)이, 흡수체(30)의 길이 방향(평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방 영역(210)은 착용자의 배쪽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는 영역이고, 중앙 영역(220)은 착용자의 가랑이부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는 영역이고, 후방 영역(230)은 착용자의 엉덩이쪽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중앙 영역(220)은,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00)을 장착했을 때, 월경혈 등의 체액이 가장 많이 부착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중앙 영역(220)은, 흡수성 물품(100)의 폭방향 및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의 영역으로 해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에 가랑이 형상을 모사한 엠보스 홈(70a 내지 70b)(후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중앙 영역(2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스 홈(70a 내지 70b)(후술)의 가랑이 형상의 부분(80)을 중앙 영역(220)으로 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는, 흡수성 물품(100)을 내의에 고정시키기 위해, 흡수성 물품(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윙(20a 내지 2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윙(20a 내지 20b)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중앙 영역(220)은, 윙(20a 내지 20b)에 대응하는 영역을 중앙 영역(220)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윙(20a 내지 20b)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 방향의 영역을, 중앙 영역(220)의 길이 방향의 영역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윙(20a 내지 20b)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 방향의 영역을, 중앙 영역(220)의 길이 방향의 영역으로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0)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10)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40)와, 상기 표면 시트(10) 및 상기 이면 시트(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30)를 갖는다. 표면 시트(10)는 착용자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고, 이면 시트(40)는 내의면에 접촉한다. 흡수성 물품(100)에서,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와, 이면 시트(40)는, 각각의 층간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물품(100)은, 흡수체(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40)를 접합하여, 흡수체(30)가 안쪽에 밀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40)의 접합 방법으로는, 히트엠보스 가공, 초음파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 내지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0)에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를 접합하기 위해,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에 대하여, 엠보스 홈(70a 내지 70b)(소위 힌지)이 형성되어 있다. 또, 엠보스 홈(70a 내지 70b)은, 흡수성 물품(100)이 가랑이부에 대하여 밀착되기 쉽도록, 가랑이부의 형상을 모사한 패턴(엠보스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내지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스 홈(70a 내지 70b)은, 흡수체(30)의 폭방향의 양측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흡수체(30)의 폭방향의 양측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폭방향의 간격을 W로 하면, 흡수체(30)의 중심으로부터 폭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간격 W1 이상의 간격 W2로 표시되는 영역으로 한다. 예를 들어, 간격 W1을 "10 mm"로 하면, 양측부는, 흡수체(30)의 중심으로부터 폭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10 mm" 이상의 간격 W2로 표시되는 영역으로 한다. 양측부는,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간격 W1과 간격 W2의 비를 "1:1"이나 "2:1"로 하여, 이러한 비에 대응하는 간격 W2의 영역으로 해도 좋다. 또, 엠보스 홈(70a)과 엠보스 홈(70b)의 폭방향의 간격은 "20∼6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물품(100)은, 월경혈 등의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 등의 엘라스틱재를 이용한 주름(도시하지 않음)을, 흡수체(30)의 폭방향의 양측부에 형성해도 좋다.
표면 시트(10)는, 소재로서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표면 시트(10)의 소재는, 직포 또는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를 갖는 시트형의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섬유의 예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는, 레이온, 피브릴화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의 예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진 섬유, 심초 구조 등의 복합 섬유를 들 수 있다.
또, 특히 부직포의 웨브 포밍의 방법으로는, 건식(카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에어레이드법 등) 및 습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복수의 방법을 조합해도 좋다. 또, 본딩의 방법으로는, 서멀 본딩, 니들 펀치,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수류교락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형성한 스펀레이스를, 부직포로서 이용해도 좋다.
이면 시트(40)는, 착용자의 내의에 접착하는 어긋남 방지용 접착제(60)를, 내의측의 면에 갖는다. 상기 접착제(60)의 외면에는, 박리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접착에 의해 배치된다. 이면 시트(40)는, 소재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필름,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이나, SMS의 복수층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40)는, 착용감을 손상하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고려하면,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이 "15∼30 g/㎡"의 범위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나 고분자(폴리머)를 피복재로 덮도록 성형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시트물로 성형된 에어레이드 시트이어도 좋다.
친수성 섬유의 예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피브릴화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입자형 폴리머, 섬유형 폴리머,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저비용과 흡수체의 성형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분쇄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폴리머)의 예로는, 일반적으로, 흡수성이나 흡습성이 있는 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의 입상 폴리머가 이용된다. 또, 다른 특성을 얻기 위해, 은ㆍ구리ㆍ아연ㆍ실리카ㆍ활성탄ㆍ알루미노규산염 화합물ㆍ제올라이트 등의 입상 소취재를 사용해도 좋다.
피복재의 예로는, 액투과성이며 고분자 흡수체나 흡열재(후술)가 빠져나가지 않을 만큼의 배리어성이 있으면 되고, 직포, 부직포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직포, 부직포의 소재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섬유의 예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는, 레이온, 피브릴화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를 들 수 있다.
또, 부직포로는, 저비용과 배리어성의 높이를 고려하면, 분쇄 펄프를 주재료로 하고 습식법으로 성형되는 티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체(30)로서 에어레이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그 두께는 0.3∼5.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에어레이드 시트의 예로는, 섬유와 입자형 폴리머를 바인더 등으로 시트물로 성형한 것을 들 수 있다. 입자형 폴리머는, 에어레이드 시트에서, 층형으로 분산되어 있어도 좋고, 두께 방향으로 치우쳐 있어도 좋다.
또, 흡수체(30)에는, 착용중의 형붕괴나 뒤틀림의 방지, 또는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30)에 엠보스는, 패터닝된 엠보스 롤과 플랫 롤 사이에 흡수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엠보스 롤의 패턴은, 격자형ㆍ도트형ㆍ물결형 등이 이용되지만, 두께를 조정하기 쉬운 격자형의 패턴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체(30)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90∼49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40∼340 m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폭방향의 치수는 "25∼1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35∼80 m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30)에는 흡열재(50)가 배치되어 있다. 흡열재(50)는, 체액 등의 액체에 접촉하면 흡열 반응을 발현시켜, 주변의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수용성 물질이다. 흡열재(50)의 예로는,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질산칼륨, 요소, 중조, 자일리톨, 트레할로오스 등, 수화(水和)에 의해 흡열 반응을 나타내는 수용성 물질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해시의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나, 장기간 보존 등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염화칼륨이 바람직하다.
(흡열재의 배치 영역)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서의 흡열재(50)의 배치 영역에 관해 설명한다. 배설된 월경혈에 의해, 흡열 반응을 효율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은,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접촉하는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열재(50)는,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평면 방향)에서,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 배치되고,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3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 영역(220)의 길이 방향의 영역은, 윙(20a 내지 20b)의 길이 방향의 영역에 해당한다. 또, 흡열재(50)는, 흡수성 물품(100)의 폭방향(평면 방향)에서, 엠보스 홈(70a)과 엠보스 홈(70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에서는, 흡열재(50)의 평면 방향의 배치 영역(225)이 메쉬 모양으로 나타나 있다. 여기서,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이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영역(220) 내의 영역이어도 좋고, 중앙 영역(220)의 일부의 영역과, 중앙 영역(220) 외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어도 좋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L1"로 하면,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L1"에 대하여 30∼50% 이상의 길이 "L2"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만일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30% 미만이면, 월경혈의 양이 적은 경우나,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00)을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지 않은 경우 등에,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이 발현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50% 이상이면, 흡열재(50)가, 착용자의 가랑이부로부터 배설된 월경혈 이외의 땀 등에 의해 흡열 반응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필요 이상으로 차가운 느낌을 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30∼50%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은, 중앙 영역(220) 뿐만 아니라,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100)의 중앙이란, 흡수성 물품(100)의 중심이어도 좋고, 윙(20a 내지 20b)을 길이 방향으로 등분하는 중심선 상의 점이어도 좋고, 흡수체(30)의 양측부가, 폭방향에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수체(30)의 폭이 가장 좁아지는 부분이어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에서, 두께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중고(中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흡수성 물품(100)의 중앙은, 이러한 중고부의 평면 방향의 중앙이어도 좋다. 이러한 중고부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흡수체(30)를 겹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흡수체(30)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이 다른 영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배치 영역(225)의 평면 방향에서의 흡열재(50)의 밀도는, 균일해도 좋고, 중앙 영역(220)에서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열재(50)의 두께 방향의 위치는,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에 의해, 착용자에게 차가운 느낌 등의 불쾌감을 주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흡열재(50)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의 사이나, 표면 시트의 내부에 배치해도 좋지만,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반복하거나, 차가운 느낌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흡수체(30)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열재(50)는, 흡수체(30) 내부의 표면 시트(10)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에서, 표면 시트(10)측의 흡열재(50)의 밀도가, 이면 시트(40)측의 흡열재(50)의 밀도보다 높다. 즉, 흡수체(30) 내부의 흡열재(50)의 밀도가,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에서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의 간격을 "t"로 한다. 또, 이러한 간격 "t"의 반을 "t1"으로 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30)의 표면 시트측의 면(31)으로부터 간격 "t1"에서의 흡수체(30) 내의 흡열재(50)의 밀도가, 흡수체(30)의 이면 시트측의 면(32)으로부터 간격 "t1"에서의 흡수체(30) 내의 흡열재(50)의 밀도보다 높다.
흡수성 물품(100)에는,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30)의 표면 시트(10)측의 면(31)과 흡열재(50)의 간격(제1 간격)과, 흡수체(30)의 이면 시트(40)측의 면(32)과 흡열재(50)의 간격(제2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면(32)과 흡열재(50)의 간격이, 면(31)과 흡열재(50)의 간격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열재의 입경)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50)의 입경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50)에는,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흡열재(50)에는, 입경이 150 ㎛∼850 ㎛의 범위이고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를 포함한다. 흡열재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물감의 관점과 생산성의 관점에서 300∼800 ㎛의 범위이어도 좋고, 350∼600 ㎛의 범위이어도 좋다.
여기서, 흡열재의 성분이 동일하다면, 입경이 큰 흡열재일수록 완전 용해되는 속도가 느려진다. 이것은, 흡열재가 수화에 의해 용해될 때, 입자의 최외측 표면부터 용해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입경이 클수록, 즉 체적이 클수록 완전 용해되기에는 시간이 걸린다.
또, 장시간 또는 반복 배설에서도 흡열 반응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입경이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입경이 큰 흡열재만이 흡수체(30)에 배합되어 있으면, 흡수체(30)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흡열재(50)에서,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발현시키고 흡수체(30)의 강성을 과도하게 높이지 않기 위해,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에서의 흡열재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5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흡열재(50)는, 피복재에 의해, 흡열재(50)만을 피복한 시트를 흡수체(30)의 상면에 배치해도 좋고, 펄프와 펄프 사이에 층형으로 흡열재(50)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흡열재(50)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의 사이에 끼워 넣어도 좋다.
여기서, 흡열재(50)는 수용성이므로, 첫번째의 월경혈의 배설에 의해, 예를 들어 입경이 작은 영역의 흡열재(50)가 용해된 경우, 흡열재(50)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반복하여 월경혈이 배설되면, 표면 시트(10)측으로부터 이면 시트(40)측으로 월경혈이 잘 이행되지 않게 되어, 표면 시트(10)에 월경혈이 체류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흡열재(50)는, 펄프 등과 블렌드하여, 흡열재(50)가 어느 정도 분산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30)는, 펄프를 60∼98%의 범위, 입자형의 흡열재(50)를 40∼2%의 범위, 입자형 폴리머를 20∼0%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티슈로 피복한 후,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한 단위 면적 당 중량 100∼2000 g/㎡, 높이 1∼50 mm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스 가공은, 흡수체의 형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엠보스 면적률은 10∼100%의 범위, 구체적으로는 30∼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0)에서의 흡열재(50)는, 월경혈 등의 체액에 의해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반복하는 구성이나, 차가운 느낌을 주지 않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층재(표면 시트(10)측)에는, 펄프 50∼150 gsm과 염화칼륨 0.5∼3.0 g을 블렌드한다. 하층재(이면 시트(40)측)에는, 펄프 50∼200 gsm과 고분자 흡수체 0.1∼0.5 g을 블렌드한다. 그리고, 상층재와 하층재를 서로 겹쳐 티슈로 피복한 후, 엠보스 가공을 한 것을, 흡열재(50)로 해도 좋다.
(흡열재의 혼입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30)에서의 흡열재(50)의 혼입량에 관해 설명한다. 흡열재(50)의 혼입량은, 흡열재(50)의 종류에 따라 용해열이나 용해도가 상이하거나, 흡열재(50)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여기서, 피부 표면과 흡수성 물품(100) 사이의 공간에서의 온도 및 습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시키는 점과, 착용자에게 차가운 느낌 등의 불쾌감을 주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흡수성 물품(100) 1장당 흡열재(50)의 중량은, 0.1∼10 g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0.5∼5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흡수성 물품(100)을 생리대로서 이용하고, 염화칼륨을 흡열재(50)로서 이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생리 기간중의 월경혈량이 많은 날(1∼3일째)의 생리대 1장당의 평균 흡수량은, 일반적으로 약 6.0 ㎖인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염화칼륨의 용해도는, 37℃±5℃로 조정한 실험액(생리식염액)에 대해서는 약 27.0%인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것에서, 월경혈량 6.0 ㎖에 대하여 용해 가능한 염화칼륨은 약 2.0 g이 되어, 2.0 g 이상 염화칼륨을 혼입하더라도 그 이상은 흡열 반응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염화칼륨을 월경혈량이 많은 날의 생리대로서 이용한 경우는, 염화칼륨의 혼입량은 0.5∼3.0 g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2.0 g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제와 흡열재의 배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서, 접착제(60)와 흡열재(50)의 배치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는, 이면 시트(40)의 의류에 면하는 표면측에, 평면 방향에서 접착제의 도포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면 시트(40)에는 접착제(6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면 시트(40)의 내의(의류)에 면하는 표면측은,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에서, 이면 시트(40)로부터 흡수체(30)에 대하여 반대측이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면 시트(40)의 내의에 면하는 표면은, 이면 시트(40)의 흡수체(30)에 대하여 반대측의 면(42)이다. 이면 시트(40)의 흡수체(30)에 면하는 표면은, 흡수체(30)측의 면(41)이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0)의 평면 방향에서,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예에서는,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이, 폭치수 6 mm, 간격 5 mm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6개 패턴의 발(簾)형상으로 도포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의 길이 치수는, 적어도 흡열재(50)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60)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은 10∼20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착제(60)는, 코터 도공, 비드 도공 등에 의해, 균일, 줄형, 도트형의 패턴으로, 이면 시트(40)에 배치(도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서는, 적어도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의 일부에,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에서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과 마주보지 않는 영역(41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1에서의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과 흡열재(50)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0)을,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을 향해 봤을 때,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의 일부에,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과 겹치지 않는(중복되지 않는) 도포 영역(4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과 겹치는 도포 영역(4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흡수성 물품(100)을,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을 향해 봤을 때,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과 겹치지 않는(중복되지 않는)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이, 마주보지 않는 도포 영역(410)이다. 또,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과 겹치는(중복되는)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이, 마주보는 도포 영역(420)이다.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과 마주보지 않는 도포 영역(410)과,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과 마주보는 도포 영역(420)을 합한 영역이, 접착제(60)의 전체 도포 영역(400)이다.
(접착제의 소재)
접착제(60)는, 상온시에 점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접착제(60)의 예로는, 감압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 접착제(60)의 베이스 폴리머로는, SEBS, SBS, SIS 등의 고무계나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폴리비닐아세테이트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또, 접착제(60)의 구성으로는, 베이스 폴리머와 점착 부여제와 오일과 안정제를 포함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제(60)는, 온도에 대한 의존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열재(50)에 의해 체액의 온도가 저하되었다 하더라도, 접착력이 잘 저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착제(60) 자체가 부드러운 성질을 가짐으로써, 저온에서의 접착력을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접착제(60)의 오일 비율을 높이거나, 분자량이 낮은 베이스 폴리머를 이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SEBS를 15∼25%, 점착 부여제를 40∼70%, 오일을 15∼35%, 산화방지제나 형광방지제 등의 안정제를 0.1∼1.0%의 범위에서 첨가한 것을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가 흡수체(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월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에 의해, 흡수체(30)의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이러한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월경혈이나 뇨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흡열재(50)로서 이용하는 수용성 물질이 혈액에 용해되면, 혈장중의 용질의 농도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혈장의 침투압이 높아져, 적혈구 내의 수분이 적혈구의 밖으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적혈구가 수축하여, 적혈구의 체적이 감소한다. 적혈구의 체적이 감소하면, 혈액의 표면장력이 높아져, 표면 시트(10)에 대한 혈액의 접촉각이 높아진다. 즉, 적혈구의 습윤성이 저감한다.
이와 같이, 표면 시트(10)를 일단 통과한 혈액에 수용성 물질이 용해되면, 혈액의 습윤성이 저감하기 때문에, 혈액이 표면 시트(10)를 다시 투과하여 피부측으로 잘 되돌아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드라이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적어도 접착제(60)의 도포 영역(400)의 일부에,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에서 흡열재의 배치 영역(225)과 마주보지 않는 도포 영역(4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열재(50)에 의해, 흡수체(30)에 포함되는 체액의 온도가 저하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도포 영역(410)에서의 접착제(60)의 온도가 저하되는 영향은 적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접착제(60)는 온도 의존성이 높아, 온도의 저하에 의해 경화하기 때문에, 접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접착제(60)의 접착력이 저하되면, 내의에 부착된 흡수성 물품에 어긋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여,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거나, 월경혈 등의 체액이 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온도 의존성이 높아, 온도의 저하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는 접착제(6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접착제(60)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에 어긋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월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하고 접착제(60)의 접착력의 저하에 의해 내의와의 어긋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는, 흡수체(30) 내부의 표면 시트(10)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월경혈 등의 체액의 배설량이 적은 경우라 하더라도, 흡열재(50)에 흡열 반응을 보다 확실하게 발현시켜, 온도 및 습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는, 흡수성 물품(100)의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중앙 영역(220)은, 윙(20a 내지 20b)의 길이 방향의 영역에 해당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100)은, 장착할 때 윙(20a)과 윙(20b) 사이의 영역이 가랑이부에 접촉하도록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윙(20a 내지 20b)의 길이 방향의 영역을 중앙 영역(220)으로 하고, 이러한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역에 흡열재(50)를 배치함으로써, 착용자로부터의 월경혈 등의 체액을, 보다 확실하게 흡열재(50)에 부착시켜, 흡열 반응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서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를 접합하기 위해 엠보스 홈(70a 내지 70b)이 형성되고, 흡열재(50)는, 엠보스 홈(70a)과 엠보스 홈(70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로부터의 월경혈 등의 체액을, 보다 확실하게 흡열재(50)에 부착시켜, 흡열 반응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가, 엠보스 홈(70a)과 엠보스 홈(70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00)에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흡열재(50)가 흡수체(30)의 밖으로 나오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흡수성 물품(110)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비해, 후방 영역(230)이 길이 방향으로 긴, 즉, 착용자의 엉덩이쪽(꼬리뼈쪽)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는 영역이 길다. 흡수성 물품(110)은, 예를 들어, 착용자가 와위(臥位)(예를 들어, 위를 향해 누운 상태)의 상태인 경우에도, 착용자의 몸(예를 들어, 엉덩이)을 타고 흐르는 월경혈 등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흡수성 물품(110)에는, 흡수성 물품(110)이 가랑이부에 대하여 밀착되기 쉽게 하기 위해,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에서, 가랑이부의 형상을 모사한 엠보스 홈(71a 내지 71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열재(51)는, 흡수성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인 배치 영역(228)에 배치된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열재(52)는, 흡수성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인 배치 영역(227) 및 배치 영역(229)에 배치된다. 흡수성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란, 흡수성 물품(110)을 착용자가 장착했을 때, 전술한 중앙부의 영역에 대한 배쪽의 영역(배치 영역(227)) 및 엉덩이쪽의 영역(배치 영역(229))이다.
또, 흡열재(52)의 배치 영역(227) 및 배치 영역(229)에서의 흡열재(52)의 혼합율은, 배치 영역(228)에서의 흡열재(51)의 혼합율보다 낮다. 혼합율은, 단위면적당 혼입량, 예를 들어, 단위면적당 흡열재의 중량을 나타낸다. 흡열재(51 내지 52)에는,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표면측 시트(10)를 일단 통과한 혈액에 수용성 물질이 용해됨으로써, 혈액의 습윤성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혈액은, 표면측 시트(10)를 다시 투과하여 피부측으로 잘 되돌아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드라이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10)의 평면 방향에서, 접착제(61)의 도포 영역(44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예에서는, 접착제(61)의 도포 영역(440)이, 폭치수 15 mm, 간격 35 mm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2개 패턴으로 발(簾)형상으로 도포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 접착제(61)의 도포 영역(440)의 길이 치수는, 적어도 흡열재(51)의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서는, 접착제(61)의 도포 영역(440)이, 흡수성 물품(110)의 두께 방향에서 흡열재(51)의 배치 영역(225)과 마주보지 않는 영역이다. 즉, 접착제(61)의 도포 영역(440) 전체면이, 흡열재(51)의 배치 영역(225)과 마주보지 않는 영역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접착제(61)의 도포 영역(440) 전체면이, 배치 영역(225)과 마주보지 않는 영역이므로, 흡열재(51)에 의해 체액의 온도가 저하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도포 영역(440)에서의 접착제(61)의 접착력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접착제(61)의 접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10)과 내의의 어긋남이나 뒤틀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월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하고 접착제(61)의 접착력의 저하에 의해 내의와의 어긋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에서는, 이면 시트(40)와 흡수체(30) 사이에 소수성 시트(90)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은, 소수성 시트(9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과 동일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에서는, 흡수체(30)의 이면 시트(40)측의 면(32)에 소수성 시트(90)가 배치되어 있다.
또, 소수성 시트(90)의 평면 방향의 면적은, 적어도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의 면적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시트(90)의 평면 방향의 면적은, 흡수체(30)의 면적과 대략 동등해도 좋다.
소수성 시트(90)의 소재는, 흡열재(50)에 의해 온도가 저하된 체액에 의해, 이면 시트(40)에 배치한 접착제(60)의 온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소수성 시트(90)의 소재의 예로는, 불액투과성인 필름이나 소수성 부직포 시트를 들 수 있다.
소수성 시트(90)로서 필름을 이용한 경우, 흡열재(50)에 의해 온도가 저하된 체액은, 이면 시트(40)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이면 시트(40) 및 접착제(60)의 온도가 잘 저하되지 않게 된다.
소수성 시트(90)로서 이용하는 필름의 수는, 1장이어도 좋고, 복수장을 겹쳐도 좋다. 복수장의 필름을 겹치는 경우, 흡수성 물품(120)에는, 흡수체(30)의 이면 시트(40)측의 면(32)과, 이면 시트(40)의 흡수체(30)측의 면(4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열전도성이 저하되어, 이면 시트(40) 및 접착제(60)의 온도가 잘 저하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비용을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필름을 입체 성형하여, 면(32)과 면(41)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요철 엠보스 등에 의해 필름에 요철을 성형하거나, 퍼포레이션에 의해 필름에 요철과 구멍을 성형해도 좋다. 소수성 시트(90)의 소재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이면 시트(40)의 소재나 형상을 이용해도 좋다.
소수성 시트(90)의 소재가, 소수성 부직포 시트인 경우, 면(32)과 면(41) 사이에 공간(섬유간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열전도성이 저하되어, 이면 시트(40) 및 접착제(60)의 온도가 잘 저하되지 않게 된다. 또한, 부피가 큰 소수성 부직포 시트라면, 보다 공간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공간의 성형 방법으로는, 전술한 입체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소수성 시트(90)의 소재로서, 필름을 이용하는 것보다,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는 편이, 흡수성 물품(120)의 강성을 과도하게 높이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표면 시트(10)의 소재나 형상에서, 친수성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이나 발수성 처리를 실시한 것을 선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에서는, 이면 시트(40)와 흡수체(30) 사이에 소수성 시트(9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에서는, 소수성 시트(90)는, 흡열재(50)에 의해 온도가 저하된 체액을 차폐하기 때문에, 이러한 체액에 의해, 이면 시트(40) 및 접착제(60)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20)에 의하면, 접착제(60)의 접착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20)과 내의의 어긋남이나 뒤틀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대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생리대에 한정되지 않고, 팬티라이너나 요실금 패드 등의 여성용 흡수성 물품이나 기저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08-140054호(2008년 5월 28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는, 월경혈이나 뇨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할 수 있고 착용중에 내의와 흡수성 물품에 어긋남이나 뒤틀림이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의 제조ㆍ제공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6)

  1.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의 의류에 면하는 표면측에, 평면 방향에서 접착제의 도포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의 도포 영역의 일부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열재의 배치 영역과 마주보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의 표면 시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소수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갖는 생리대로서,
    상기 이면 시트의 의류에 면하는 표면측에, 평면 방향에서 접착제의 도포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흡열재는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의 도포 영역의 일부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열재의 배치 영역과 마주보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윙을 더 가지며,
    상기 생리대에는, 전방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방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열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 영역 내의 영역 또는 중앙 영역의 일부의 영역과 중앙 영역 외의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서,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의 영역은 상기 윙의 길이 방향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에는,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의 양측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엠보스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열재는 상기 엠보스 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KR1020107029165A 2008-05-28 2009-05-25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KR201100219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0054 2008-05-28
JP2008140054 2008-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955A true KR20110021955A (ko) 2011-03-04

Family

ID=4137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165A KR20110021955A (ko) 2008-05-28 2009-05-25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10144604A1 (ko)
EP (1) EP2281535A4 (ko)
JP (1) JP5075980B2 (ko)
KR (1) KR20110021955A (ko)
CN (1) CN102046123B (ko)
AR (1) AR071914A1 (ko)
AU (1) AU2009252423A1 (ko)
CL (1) CL2009001295A1 (ko)
MY (1) MY150476A (ko)
TW (1) TW201010675A (ko)
WO (1) WO2009145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3914B2 (en) 2003-02-12 2014-08-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an absorbent article
ES2314137T3 (es) 2003-02-12 2009-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ñal comodo.
EP2478883B1 (en) 2007-06-18 2016-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DE112008000011B4 (de) 2007-06-18 2013-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inwegabsorptionsartikel und dessen Verwendung
CA2722538C (en) 2008-04-29 2014-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absorbent core with strain resistant core cover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CA2816409C (en) * 2010-10-28 2015-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mbossed absorbent article
PL2532328T3 (pl) 2011-06-10 2014-07-31 Procter & Gamble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orzenia struktur chłonnych z materiałem chłonnym
EP2717823B2 (en) 2011-06-10 2019-04-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PL2532332T5 (pl) 2011-06-10 2018-07-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ieluszka jednorazowego użytku o zredukowanym połączeniu pomiędzy wkładem chłonnym a warstwą spodnią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CN103596535B (zh) 2011-06-10 2015-11-25 宝洁公司 用于一次性吸收制品的吸收芯
PL2717820T3 (pl) 2011-06-10 2020-01-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ruktura chłonna do wyrobów chłonnych
RU2568565C2 (ru) 2011-06-10 2015-11-20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подгузники
CN102366640A (zh) * 2011-10-14 2012-03-07 浙江安吉华埠实业有限公司 一种沸石止血绷带
JP6193391B2 (ja) 2012-11-13 2017-09-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及びシグナルを備えた吸収性物品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WO2014171861A1 (en) * 2013-04-04 2014-10-23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personal care article
EP3254656B1 (en) 2013-06-14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US10335324B2 (en) 2013-08-27 2019-07-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CN105555243A (zh) 2013-09-16 2016-05-04 宝洁公司 带有通道和信号的吸收制品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JP5800876B2 (ja) * 2013-09-30 2015-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3519938B (zh) * 2013-10-14 2016-01-13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一次性吸收制品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S2606320T3 (es) 2013-12-19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s absorbentes que tienen áreas formadoras de canal y juntas de envoltura en c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EP2949299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US10307308B2 (en) 2014-09-30 2019-06-04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US9968496B2 (en) 2014-09-30 2018-05-15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US9999554B2 (en) 2014-09-30 2018-06-1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US10265224B2 (en) 2014-09-30 2019-04-23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US10285873B2 (en) 2014-09-30 2019-05-14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EP3034055B1 (en) 2014-12-15 2019-08-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thinner backsheet
CN107405242A (zh) 2015-03-16 2017-11-28 宝洁公司 带有改善的芯的吸收制品
US10507144B2 (en) 2015-03-16 2019-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CA2985807A1 (en) 2015-05-12 2016-1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CN107683126A (zh) 2015-05-29 2018-02-09 宝洁公司 具有槽和润湿指示标记的吸收制品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JP6360540B2 (ja) * 2016-11-29 2018-07-1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7028705B (zh) * 2017-03-31 2020-11-06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三附属医院 带降温功能的尿不湿
JP7168677B2 (ja) * 2018-10-01 2022-11-0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22013798A (ja) * 2020-06-30 2022-01-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8139A (en) * 1990-03-05 1993-01-12 Stephen P. Angelillo Absorbent pad and thermal pack
ES1029041Y (es) * 1994-09-27 1995-10-01 Salinas Maria Teres Echeverria Detector menstrual.
CN1169671A (zh) * 1994-11-05 1998-01-07 普罗克特和甘保尔公司 柔性的和可透气的吸湿用品及其在内裤上的固定
US5681298A (en) 1994-12-22 1997-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aid creating a temperature change
US6673982B1 (en) * 1998-10-02 2004-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enter fill performance
BR9904370A (pt) * 1999-09-28 2001-06-05 Johnson & Johnson Ind Com Absorvente higiênico feminino
US6700034B1 (en) * 1999-10-01 2004-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unitary absorbent layer for center fill performance
JP3833034B2 (ja) 2000-01-06 2006-10-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水解性の吸収性物品
US20030139291A1 (en) * 2001-12-04 2003-07-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mposites having cooling effect
US7297835B2 (en) * 2005-10-07 2007-1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JP2008140054A (ja) 2006-11-30 2008-06-1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90036856A1 (en) * 2007-07-31 2009-02-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riggerable self-generating liquid foam barrier/interceptor
JP5119003B2 (ja) * 2007-11-30 2013-01-16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52423A1 (en) 2009-12-03
US20110144604A1 (en) 2011-06-16
TW201010675A (en) 2010-03-16
CN102046123B (zh) 2014-09-03
EP2281535A1 (en) 2011-02-09
MY150476A (en) 2014-01-30
WO2009145137A1 (ja) 2009-12-03
EP2281535A4 (en) 2012-11-14
AR071914A1 (es) 2010-07-21
JP5075980B2 (ja) 2012-11-21
JPWO2009145137A1 (ja) 2011-10-13
CN102046123A (zh) 2011-05-04
CL2009001295A1 (es) 201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1955A (ko)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JP5165057B2 (ja) 吸収性物品及び生理用ナプキン
KR101709801B1 (ko) 흡수성 물품
KR101724762B1 (ko) 흡수성 물품
JP5517290B2 (ja) 吸収性物品
US8048052B2 (en) Absorptive article
CN109152679B (zh) 吸收性物品
JP5261483B2 (ja) 吸収性物品及び生理用ナプキン
CN105431120B (zh) 具有袋的吸收性制品及其相关方法
JP5318747B2 (ja) 吸収性物品
KR20160052599A (ko) 흡수성 물품
TW201318611A (zh) 用後即棄式紙尿布
JP4746833B2 (ja) 女性用失禁パッド
JP2013042882A (ja) 吸収性物品
JP5995313B2 (ja) 吸収性物品
JP5717379B2 (ja) 吸収性物品
JP2013042881A (ja) 吸収性物品
JP2005087655A (ja) 女性用失禁パッド
US20230165736A1 (en) Embossed absorbent systems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the same
KR20110107379A (ko) 흡수성 물품
TW202034873A (zh) 吸收性物品
JP4146603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20137764A (ja) 吸収性物品
KR20180125955A (ko) 흡수성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