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465U -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 - Google Patents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465U
KR20110007465U KR2020100000663U KR20100000663U KR20110007465U KR 20110007465 U KR20110007465 U KR 20110007465U KR 2020100000663 U KR2020100000663 U KR 2020100000663U KR 20100000663 U KR20100000663 U KR 20100000663U KR 20110007465 U KR20110007465 U KR 201100074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cover part
detacha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진산업
Priority to KR2020100000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465U/ko
Publication of KR20110007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4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부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본체부의 탈착부에 끼워져 덮개부가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탈착부의 수는 덮개부의 모서리부의 수보다 적어, 본체부에 결합된 덮개부를 개방하는 경우 탈착부에 끼워지지 않은 덮개부의 모서리부를 당겨 개방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플랜지가 복수개의 탈착부에 끼워짐으로써 덮개부와 본체부가 강건하게 결합되지만, 탈착부에 끼워지지 않은 덮개부의 모서리부를 당겨 개방함으로써 쉽게 덮개부와 본체부를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 {Portable vessel capable of locking and unlocking easily}
본 고안은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덮개부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본체부의 탈착부에 끼워져 덮개부가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덮개부 개방시 탈착부에 끼워지지 않은 덮개부의 모서리부를 당겨 쉽게 개방할 수 있는 휴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용기는 음식물 등과 같이 외부로 가져가야 하는 경우가 많고 위생적으로 보관되어야 하는 물건의 보관 및 휴대를 위해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외식 산업의 발달과 교외로 나들이 가는 경우가 많아짐으로 인해 휴대용 용기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용기는 휴대의 편리를 위해 가벼워야 한다. 휴대용 용기를 가볍게 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발포폴리스타이렌(스티로폼)이라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였다. 발포폴리스타이렌은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으며, 세균이나 곰팡이에 손상되지 않아 포장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재활용이 되지 않아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재활용 가능한 재질로 만든 휴대용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휴대용 용기는 덮개부와 본체부가 단단히 결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야 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덮개부와 본체부가 쉽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덮개부와 본체부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덮개부를 열기 위해 많은 힘을 가하게 되고, 이 경우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쏟아지게 된다.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음식물인 경우, 음식물을 먹을 수 없게 되며 음식물에 의해 옷 등이 더러워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반대로 덮개부와 본체부가 쉽게 분리되는 경우 이동 과정에서 덮개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휴대용 용기는 대부분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덮개부와 본체부를 단단히 결합시켜, 필요시 덮개부를 쉽게 개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평소에는 덮개부와 본체부를 단단히 결합하여 내용물을 보호하고, 필요시에는 덮개부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휴대용 용기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평소에는 덮개부가 본체부에 단단히 결합되어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필요시에는 덮개부가 쉽게 개방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는 덮개부와 본체부를 구비한다. 덮개부는 복수개의 모서리부를 구비하며, 외주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된다. 본체부는 바닥면, 측면, 덮개 안착부, 복수의 탈착부를 구비한다. 덮개 안착부는 측면의 상단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모서리부를 구비한다. 탈착부는 덮개 안착부의 모서리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덮개 안착부에 덮개부가 안착되는 경우 탈착부에 덮개부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끼워진다. 탈착부의 수는 덮개부의 모서리부의 수보다 적다. 덮개부는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본체부는 탈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덮개 안착부의 모서리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플랜지는 덮개부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일정 각도로 상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이 수평으로 돌출될 수 있다. 탈착부는 플랜지 끝단의 높이만큼 덮개 안착부의 상측에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는 덮개부와 덮개 안착부가 4개의 모서리부를 구비하며, 탈착부는 3개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덮개부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본체부에 형성된 복수의 탈착부에 끼워짐으로써 덮개부가 본체부에 단단히 결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덮개부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플랜지는 탈착부에 끼워지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는 필요시에 덮개부를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용기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며 사용이 편리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와 본체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적층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덮개부(100)는 상측면(110), 덮개 측면(120), 플랜지(14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100)는 4개의 모서리부(130a, 130b, 130c, 130d)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100)는 3개 또는 5개 이상의 모서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덮개부(100)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측면(110)은 덮개부(100)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측면(110)의 외부면에는 결합홈(111)이 형성된다. 결합홈(111)은 복수개의 휴대용 용기를 적층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홈(111)은 2개의 "ㄷ"자 형상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덮개 측면(120)은 덮개부(100)의 측면이다. 덮개부(100)는 여러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덮개 측면(120)은 복수일 수 있다.
덮개부(100)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플랜지(140)가 형성된다. 플랜지(140)는 덮개부(100)가 본체부에 결합될 때, 본체부에 형성된 탈착부에 끼워진다. 플랜지(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14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00)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일정 각도로 상측으로 연장(140a)되며, 끝단(140b)이 수평으로 돌출된다. 끝단(140b)은 돌출된 부분이 길어야 할 필요는 없지만, 덮개부(100)가 본체부에 결합될 때 끝단(140b)이 탈착부에 끼워질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플랜지(140)는 탄성을 가지므로 본체부의 탈착부에 끼고 빼는 것이 용이하다.
덮개부(10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가벼우면서도 파열강도가 높고 내열·내약품성이 좋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200)는 바닥면(210), 측면(220), 덮개 안착부(230), 탈착부(240a, 240b, 240c)를 구비한다. 바닥면(210)은 본체부(200)의 기저가 된다. 본체부(2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200)의 평면은 직사각형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면(220)은 바닥면(210)과 덮개 안착부(230)를 연결한다. 바닥면(210)과 측면(2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보관한다.
덮개 안착부(230)는 측면(220)의 상단에 형성된다. 덮개 안착부(230)는 덮개부가 본체부(200)에 결합되는 경우 덮개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덮개 안착부(230)는 바닥면(210)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 안착부(230)는 덮개부의 모서리부 수에 대응되게 4개의 모서리부(230a, 230b, 230c, 230d)를 구비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의 모서리부 수에 따라 3개 또는 5개 이상의 모서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덮개 안착부(230)는 방지 돌기(231)를 구비할 수 있다. 방지 돌기(231)는 덮개 안착부(230)의 장측(長側)에 위치한다. 방지 돌기(231)는 덮개부가 본체부(200)와 결합되어 덮개 안착부(230)에 안착되는 경우, 덮개부의 길이 방향 외주 가장자리가 휘어지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덮개부와 본체부(200)의 결합을 강건하게 한다.
덮개 안착부(230)의 모서리부(230a, 230b, 230c, 230d) 중 3개의 모서리부(230a, 230b, 230c)에 탈착부(240a, 240b, 240c)가 형성된다. 덮개 안착부(230)에 덮개부가 안착되는 경우 탈착부(240a, 240b, 240c)에 덮개부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끼워진다. 따라서 덮개부가 본체부(2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탈착부(240a, 240b, 240c)는 플랜지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가 덮개부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일정 각도로 상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이 수평으로 돌출된 형상이라면, 탈착부(240a, 240b, 240c)는 플랜지 끝단의 높이만큼 덮개 안착부(230)의 상측에 형성되어야 플랜지가 탈착부(240a, 240b, 240c)에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탈착부(240a, 240b, 240c)는 덮개 안착부(230)의 측면에 형성된 홈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덮개 안착부(230)의 측면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탈착부(240a, 240b, 240c)의 수는 3개 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서리부(230a, 230b, 230c, 230d)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탈착부(240a, 240b, 240c)는 복수개이며, 모서리부의 수보다 1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부(230a, 230b, 230c, 230d) 중에서 하나의 모서리부(230d)에는 탈착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탈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모서리부(230d)에는 소정의 표시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홈(232)을 형성하여 탈착부가 형성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탈착부가 형성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에 의해 사용자는 어떤 모서리부에 탈착부가 형성되지 않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본체부(200)의 하부면(210)의 외부면에는 결합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1)는 복수개의 휴대용 용기를 적층하는 경우에 덮개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된다.
본체부(20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일 수 있으며, 따라서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측면(220)에 주름(250)을 형성하여 전체적인 심미감을 높이며, 적층해서 보관하는 사용하지 않는 본체부(200)를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와 본체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00)와 본체부(20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덮개부(100)의 개방된 하부와 본체부(200)의 개방된 상부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다. 이 후 덮개부(100)를 본체부(200)의 덮개 안착부(230)에 안착시킨다. 덮개부(100)가 덮개 안착부(230)에 안착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00)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플랜지(140)가 탈착부(240a, 240b, 240c)에 끼워진다. 플랜지(140)가 탈착부(240a, 240b, 240c)에 잘 끼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덮개부(100)의 모서리부를 살짝 눌러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플랜지(140)가 탈착부(240a, 240b, 240c)에 끼워지면, 덮개부(100)는 본체부(2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아 본체부(200)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덮개부(100)를 본체부(200)로부터 분리하여 본체부(20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본체부(200)에서 표시홈(232)이 형성된 모서리부(230d)를 찾는다. 표시홈(232)이 형성된 모서리부는 탈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은 힘을 가해도 덮개부(100)가 쉽게 본체부(200)로부터 분리된다. 만약 본체부(200)에서 탈착부가 형성된 모서리부에서 덮개부(100)를 분리하려고 하면, 상대적으로 큰 힘을 가해야 하며 덮개부(100) 분리 과정에서 내용물이 쏟아질 수도 있다.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적층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휴대용 용기(1000, 2000)가 있는 경우에는 보관 및 이동의 편리를 위해 휴대용 용기(1000, 2000)를 적층할 수 있다. 휴대용 용기(1000, 2000)를 적층하기 위해서는 제1 휴대용 용기(1000)의 상부에 제2 휴대용 용기(2000)를 위치시킨다. 이 후 제1 휴대용 용기(1000)의 덮개부(1100)에 형성된 결합홈(1111)에 제2 휴대용 용기(2000)의 본체부(2200)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결합시킨다.
결합홈(1111)에 결합돌기가 결합됨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휴대용 용기(1000)와 제2 휴대용 용기(2000)가 흔들리지 않고 단단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시에 적층된 휴대용 용기(1000, 2000)가 안정적으로 적층되어 보관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는다. 휴대용 용기가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덮개부 110 : 상측면
120 : 덮개 측면 140 : 플랜지
200 : 본체부 210 : 바닥면
220 : 측면 230 : 덮개 안착부
240 : 탈착부 1000, 2000 : 휴대용 용기

Claims (4)

  1. 복수개의 모서리부를 구비하며, 외주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된 덮개부; 및
    바닥면, 측면, 상기 측면의 상단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모서리부를 구비하는 덮개 안착부, 상기 덮개 안착부의 모서리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 안착부에 상기 덮개부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덮개부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끼워지는 복수의 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의 수는 상기 덮개부의 모서리부의 수보다 적으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덮개부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일정 각도로 상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이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탈착부는 상기 플랜지 끝단의 높이만큼 상기 덮개 안착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탈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덮개 안착부의 모서리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와 상기 덮개 안착부는 4개의 모서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탈착부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기.
KR2020100000663U 2010-01-21 2010-01-21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 KR201100074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663U KR20110007465U (ko) 2010-01-21 2010-01-21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663U KR20110007465U (ko) 2010-01-21 2010-01-21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65U true KR20110007465U (ko) 2011-07-27

Family

ID=4559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663U KR20110007465U (ko) 2010-01-21 2010-01-21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4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3837A (ja) * 2019-07-18 2020-06-18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3837A (ja) * 2019-07-18 2020-06-18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5610A1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an integrated cup
US9102446B2 (en) Tamper evident thermoformed plastic clamshell container
US20090084796A1 (en) Containers with interlocking covers
US8387821B2 (en) Food container
EA016761B1 (ru) Упаковка
JP5328862B2 (ja) 包装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用容器
MX2007010251A (es) Un recipiente.
JP2009018866A (ja) 包装用容器および蓋体
US8991604B2 (en) Egg package
JP5698275B2 (ja) 蓋体と該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JP2006264717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20110007465U (ko)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
JP2010179934A (ja) 納豆容器
JP5461922B2 (ja) フレア部を有する包装用容器
KR200398939Y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2019182477A (ja) 食品包装用容器
KR20130080195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7054175B2 (ja) 包装用内嵌合容器
JP5103303B2 (ja) 密閉容器
KR102287094B1 (ko) 덮개의 개폐가 용이한 음식물 저장용기
US20240140655A1 (en) Hybrid container
JP4610318B2 (ja) 包装用容器蓋、包装用容器及び食品包装体
JP7199175B2 (ja) 嵌合容器
KR20180002894U (ko) 도시락 용기
KR102317915B1 (ko)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