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899A - 인슐린 분비 자극제들로서의 퀴녹살리논 유도체들, 이들을 얻기 위한 방법들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그들의 용도 - Google Patents

인슐린 분비 자극제들로서의 퀴녹살리논 유도체들, 이들을 얻기 위한 방법들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그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899A
KR20100123899A KR1020107022236A KR20107022236A KR20100123899A KR 20100123899 A KR20100123899 A KR 20100123899A KR 1020107022236 A KR1020107022236 A KR 1020107022236A KR 20107022236 A KR20107022236 A KR 20107022236A KR 20100123899 A KR20100123899 A KR 20100123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
quinoxaline
quinoxalin
compounds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387B1 (ko
Inventor
제라르 보통
에릭 발뢰르
미쉘린 케르고트
크리스틴 샤론
사머 엘바왑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2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 C07D24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41/3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s
    • C07D241/40Benzopyrazines
    • C07D241/44Benzopyrazi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Abstract

본원 발명은 인슐린 분비 자극제로서 식 (I)의 퀴녹살리논 유도체들,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청구항 1에 정의된 바와 같음,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당뇨병 및 관련되는 병상들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이들 퀴녹살리논 유도체들의 제조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외의 바람직한 화합물들은 일반 식 (I)의 화합물들,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슐린 분비 자극제들로서의 퀴녹살리논 유도체들, 이들을 얻기 위한 방법들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그들의 용도{QUINOXALINONE DERIVATIVES AS INSULIN SECRETION STIMULATORS, METHODS FOR OBTAINING THEM AND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본원 발명은 인슐린 분비 자극제들로서의 식 (I)의 퀴녹살리논 유도체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당뇨병 및 관련되는 병상들(pathologies)의 치료 및/또는 예방(prophylaxis)을 위한 이들 퀴녹살리논 유도체들의 제조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타입 2 당뇨병은 가장 흔한 세계적인 질병들 중의 하나이다. 2007년도에, 이의 유병률(prevalence)이 성인 인구의 5.9 % (246 백만 명)로 추산되었으며, 그리고 지속적인 증가에 있다. 이 질병은 훨씬 더 위험한데, 이는 당뇨병이 심혈관 질병 및 뇌졸증에 주요한 위험 요인이므로, 장애를 일으키거나 또는 치명적일 수 있는 심각한 마이크로- 및 마크로-합병증들에 이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타입 2 당뇨병은, 두 가지의 주된 결함들(defects): 표적 조직들의 레벨에서의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췌장 베타 세포들로부터 변화된(altered) 인슐린 분비, 로 인한 결과인 단식 및 식사-후의 고혈당증(hyperglycemia)을 특징으로 한다. 이 후자의 이상(anomaly)은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 IGT) 단계에서 존재하므로 매우 초기에 나타나는 것처럼 보인다(Mitrakou et al., N. Engl. J. Med. 326: 22-29, 1992). UKPDS(UK Prospective Diabetes Study)에서 당뇨병으로 진단되는 경우에 베타 세포 기능의 50 %가 이미 상실된 것이 관찰되어왔고, 베타 세포 기능의 저하는 당뇨병 진단 10-12년 전에 시작될 수 있다고 제안해왔다(Holman, Diabetes Res. Clin. Pract. 40 : S21, 1998 or UKPDS Group, Diabetes 44: 1249-58, 1995).
인슐린 분비 장애(defective insulin secretion)는 베타 세포의 정량적 및 정성적 결함, 즉 감소된 베타 세포 매스(mass) 및 글루코오스에 반응하는 인슐린 방출(release)의 특이적 장애, 특히 분비의 제 1 단계(phase), 때문이며, 이는 비-글루코오스 분비촉진제에 대한 반응이 보존되기 때문이다(Pfeifer et al., Am. J. Med. 70: 579-88, 1981). 정상적인 범위 내로 혈당 조절을 유지하기 위하여 글루코오스에 반응하는 인슐린 방출의 정상적인 프로파일(profile)을 회복하는 것의 중요성은, 글루코오스에 반응하는 인슐린 분비의 제 1 단계를 지연시키는 것이 글루코오스 과민증(intolerance)에 이르게 함을 보여주는 당뇨병에 걸리지 않은(non diabetic) 지원자들에서의 연구들에 의해 뒷받침된다(Calles-Escandon et al.,Diabetes 36: 1167-72,1987).
타입 2 당뇨병 환자들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경구형 항당뇨제들(Oral antidiabetics), 이를 테면 술포닐우레아들 또는 글리니드들은 베타 세포의 K-ATP 채널들 상의 술포니우레아 수용체(receptor)에 결합하고, 세포 내의 칼슘의 증가 및 인슐린 세포외반출(exocytosis)에 이르게 함으로써,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인슐린 방출은 따라서 전적으로 플라즈마 글루코오스 레벨과는 독립적이며 그리고 이들 분자들에 의한 치료는 보통 지속되는 고인슐린혈증(hyperinsulinemia)을 유도하며, 이는 몇몇의 부-작용들, 이를 테면 심각한 저혈당, 몸무게 증가 및 심혈관 위험의 악화에 이르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베타 세포 매스의 보존 효과가 없는, 술포닐우레아로의 치료에서 관찰되는 장기적인 고인슐린혈증은 또 다른 해로운 이들 화합물들의 부작용인 베타 세포 소진으로 인한 2차 부전(failure)에 이르게 할 수 있다.
타입 2 당뇨병의 새로운 치료는 베타 세포 매스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보존하는 동시에, 특히 글루코오스에 반응하는 인슐린 방출의 정상적인 프로파일을 회복해야 한다. 이는 GLP-1 상사체들(analogs), 이를 테면 엑세나티드(exenatide) 또는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 에 의해 관찰되는데, 그러나 이들 분자들은 펩티드들이며 그리고 비경구적 경로로 투여되어야 한다. 새로운 경구형 소분자에 대한 이러한 특징들은 이외의 항당뇨성 약물들보다 대단한 장점이 있을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식 (I)의 화합물들은 인슐린 분비 자극제들이며, 당뇨병 및 관련되는 병상들의 치료에 유용하다. 그들은 타입 2 당뇨병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유도 인슐린 분비 장애를 회복시킴으로써 혈당(blood glucose) 레벨들을 낮춘다.
특허 출원 EP 995742는 저혈당, 기관지확장(bronchodilating), 혈관확장(vasodilating), 평활근(smooth muscle) 세포 억제 및 항알레르기성 효과로서 유용한, 술폰아미드기 -SO2NHCO-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cGMP-PDE 억제제들을 개시한다.
EP 1068190은 혈전성(thrombotic) 장애들의 치료를 위한 퀴녹살리논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들을 개시한다.
본원 발명은 식 (I)의 퀴녹살리논 유도체들에 대한 것이다. 상기 유도체들은 당뇨병 및 그들과 관련되는 병상들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퀴녹살리논 유도체들은 다음의 식 (I):
Figure pct00001
(I)
여기서:
R1은: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알킬옥시알킬, R7R8N-알킬, 알킬티오알킬이며;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1은: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알킬옥시알킬, R7R8N-알킬, 알킬티오알킬이고;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R1은: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알킬옥시알킬, R7R8N-알킬이며;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 에틸, 2,2-디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부틸,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프로필메틸이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이외의 바람직한 화합물들은, 여기서 R1이: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알킬옥시알킬, R7R8N-알킬, 알킬티오알킬인 화합물들이고;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Y는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티에닐, 디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피라졸리디닐, 1,3-디옥소라닐, 피라닐, 디하이드로피라닐, 이소옥사졸리디닐, 이미다졸리디닐 및 이와 유사한 것들임;
R6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아릴옥시알킬, 아릴알킬옥시알킬, 아릴티오알킬, 아릴술피닐알킬, 아릴술포닐알킬, 아릴알킬티오알킬, 아릴알킬술피닐알킬, 아릴알킬술포닐알킬,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아릴옥시알킬, 헤테로아릴알콕시알킬, 헤테로아릴티오알킬, 헤테로아릴술피닐알킬, 헤테로아릴술포닐알킬, 헤테로아릴알킬티오알킬, 헤테로아릴알킬술피닐알킬, 헤테로아릴알킬술포닐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옥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옥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티오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술피닐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술포닐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티오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술피닐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술포닐알킬이며;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6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아릴티오알킬, 아릴술포닐알킬, 아릴옥시알킬, 아릴알킬옥시알킬,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아릴옥시알킬, 헤테로아릴알콕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옥시알킬이고;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R6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아릴티오알킬, 아릴술포닐알킬,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이며;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R6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페닐, 벤질, 푸라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졸릴, 페닐티오메틸, 페닐술포닐메틸이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 , R3 , R4 , R5는 수소, Y 또는 Z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외의 바람직한 화합물들은 일반 식 (I)의 화합물들,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Y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알콕시, 헤테로아릴, 아릴, 알킬술포닐, 아릴옥시, 아릴알콕시, 알킬술피닐, 알킬티오이고;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기들의 각각은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Y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콕시, 아릴, 알킬술포닐, 아릴옥시, 아릴알콕시, 알킬술피닐, 알킬티오이며; 이들 기들의 각각은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고;
Z는:
하이드록시, 티오,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카르복시, 카르복시 메틸, 카르복시에틸,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콕시, NR7R8, 아지도, 나이트로, 구아니디노, 아미디노, 포스포노, 옥소,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SF5이며, 두 개의 Y기들은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Z는: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카르복시,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술포닐이며;
R7 R8은 다음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 수소;
- 저급(lower) 알킬, 사이클로알킬;
R7R8은 또한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할 수 있는, 헤테로사이클로아킬기가 될 수 있으며;
R7R8은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들로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
을 가지며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tautomers), 거울상이성질체들(enantiomers),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mers), 에피머들(epimers) 및 다형체들(polymorphs), 및 그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그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이다.
식 (I)의 화합물들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1-(2,2-디플루오로에틸)-3-페닐-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2,2-디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사이클로프로필-퀴녹살린-2(1H)-온
1-부틸-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3-(4-플루오로페닐)-1-(2,2,2-트리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
1,3-디에틸-5-플루오로-퀴녹살린-2(1H)-온
1-에틸-7-메틸-3-프로필-퀴녹살린-2(1H)-온
1-에틸-3-부틸-퀴녹살린-2(1H)-온
1-에틸-6,7-디플루오로-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6,7-디플루오로-3-(4-클로로페닐)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3-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푸란-2-일-퀴녹살린-2(1H)-온
1-에틸-5-플루오로-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1-부틸-3-(4-클로로페닐)퀴녹살린-2(1H)-온
1-부틸-3-페닐-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벤질)-1-에틸-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2,2,2-트리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
3-페닐-1-(2,2,2-트리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
1-(2,2,2-트리플루오로에틸)-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메틸-3-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이소프로필-7-메틸-퀴녹살린-2(1H)-온
1-에틸-5-플루오로-3-이소부틸-퀴녹살린-2(1H)-온
1,3-디에틸-6,7-디플루오로-퀴녹살린-2(1H)-온
1-(2,2-디플루오로에틸)-3-에틸퀴녹살린-2(1H)-온
1,3-디에틸-5-플루오로퀴녹살린-2(1H)-온
1,3-디에틸-7-메틸퀴녹살린-2(1H)-온
1-에틸-5-플루오로-3-프로필퀴녹살린-2(1H)-온
1-부틸-3-에틸퀴녹살린-2(1H)-온
3-부틸-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이소부틸-7-메틸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3-프로필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3-에틸퀴녹살린-2(1H)-온
1,3-디에틸-퀴녹살린-2(1H)-온
1-(2,2-디플루오로에틸)-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에틸-5-플루오로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3-(2-클로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플루오로-2-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클로로-2-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탄술포닐-페닐)퀴녹살린-2(1H)-온
3-(2,4-디메톡시-피리미딘-5-일)-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4-에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푸란-3-일-퀴녹살린-2(1H)-온
3-(3,4-디메톡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4-(4-에틸-3-옥소-3,4-디하이드로-퀴녹살린-2-일)-벤조익 애시드
1-에틸-3-(1-메틸-1H-피라졸-4-일)퀴녹살린-2(1H)-온
3-(3-클로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피리딘-3-일-퀴녹살린-2(1H)-온
3-(2,5-디플루오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1H-인돌-6-일)퀴녹살린-2(1H)-온
1-에틸-3-(1H-인돌-5-일)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틸벤질)퀴녹살린-2(1H)-온
1-에틸-3-(4-모르폴린-4-일페닐)퀴녹살린-2(1H)-온
3-(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1-에틸퀴녹살린-2(1H)-온
3-(1,3-벤조디옥솔-5-일)-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벤질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틸페닐)티오]메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틸페닐)술포닐]메틸}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술포닐]메틸}-1-메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톡시페닐)술포닐]메틸}퀴녹살린-2(1H)-온
1-메틸-3-[(페닐술포닐)메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페닐술포닐)메틸]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벤질)술포닐]메틸}-1-에틸퀴녹살린-2(1H)-온
3-[(벤질술포닐)메틸]-1-에틸퀴녹살린-2(1H)-온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그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그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식 (I)의 화합물들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1-부틸-3-에틸-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3-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플루오로-2-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2,2-디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4-클로로-2-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그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그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본 발명은 또한 일반 식 (I)의 화합물들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tautomeric) 형태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diastereoisomers), 에피머들 및 유기 또는 미네랄 염들은 물론 그들의 결정질 형태들에 관한 것이며, 그들의 다형체(polymoric) 형태들 및 식 (I)의 화합물들의 다형체 형태들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은 이들 화합물들의 라세믹 혼합물들뿐만 아니라, 또한 그들의 개별적인 입체이성질체들 및/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들은 물론 모든 비율의 이들의 혼합물들에 대한 것이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충분한 산성 기능 또는 충분한 염기성 기능, 또는 둘 다를 함유하는 식 (I)의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유기 또는 미네랄 애시드의, 또는 유기 또는 미네랄 염기의 대응되는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이라는 표현은 본원 발명의 화합물들의 상대적으로 비-독성 미네랄 및 유기성 산-첨가(acid-addition) 염들, 및 염기-첨가(base-addition) 염들을 나타낸다. 이들 염들은 화합물들의 마지막 분리 및 정제 동안에동소에서(in situ)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산-첨가 염들은 개별적으로 정제된 화합물을 정제된 형태로 유기 또는 미네랄 애시드와 반응시키고 그리고 이렇게 형성되는 염을 분리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결과물인 염들은, 예를 들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들, 하이드로브로마이드들, 술페이트들, 하이드로게노술페이트들, 디하이드로게노포스페이트들, 시트레이트들, 말레이트들, 푸마레이트들,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들, 2-나프탈렌술포네이트들, 파라-톨루엔술포네이트들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기 또는 무기 염기들과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염기(basic)-첨가 염들은 개별적으로 정제된 화합물을 정제된 형태로 유기 또는 무기 염기와 반응시키고 그리고 이렇게 형성되는 염을 분리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결과물인 염들은, 예를 들어 금속 염들, 특히 알칼리 금속 염들, 알칼리-토금속 염들 및 전이 금속 염들(이를 테면 소듐, 포타슘,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또는 염기들, 이를 테면 암모니아 또는 이차 또는 삼차 아민들(이를 테면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페리딘, 피페라진, 모르폴린)로, 또는 염기성 아미노-애시드들로, 또는 오사민들(osamines)(이를 테면 메글루민)로, 또는 아미노알콜들(이를 테면 3-아미노부탄올 및 2-아미노에탄올)로 얻어지는 염들이다.
본 발명은 또한 라세미체들의 키랄 분할(chiral resolution)에 사용되는 염들에 관한 것이다.
예시들로서, 다음의 키랄 애시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D-디-O-벤조일타르타릭 애시드, (-)-L-디-O-벤조일타르타릭 애시드, (-)-L-디-O,O'-p-톨루일-L-타르타릭 애시드, (+)-D-디-O,O'-p-톨루일-L-타르타릭 애시드, (R)-(+)-말릭 애시드, (S)-(-)-말릭 애시드, (+)-캠포릭 애시드, (-)-캠포릭 애시드, R-(-)1,1'-바이나프탈렌-2,2'-디일 하이드로게노포스포닉, (+)-캠패닉 애시드, (-)-캠패닉 애시드, (S)-(+)-2-페닐프로피오닉 애시드, (R)-(+)-2-페닐프로피오닉 애시드, D-(-)-만델릭 애시드, L-(+)-만델릭 애시드, D-타르타릭 애시드, L-타르타릭 애시드, 또는 그들의 여타 혼합물.
예시들로서, 다음의 키랄 아민들이 사용될 수 있다: 퀴닌, 브루신, (S)-1-(벤질옥시메틸)프로필아민(III), (-)-에페드린, (4S,5R)-(+)-1,2,2,3,4-테트라메틸-5-페닐-1,3-옥사졸리딘, (R)-1-페닐-2-p-톨릴에틸아민, (S)-페닐글리시놀, (-)-N-메틸에페드린, (+)-(2S,3R)-4-디메틸아미노-3-메틸-1,2-디페닐-2-부탄올, (S)-페닐글리시놀, (S)-α-메틸벤질아민 또는 그들의 여타 혼합물.
식 (I)의 화합물들의 프로드러그들(prodrugs)이 또한 본원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된 "프로드러그"라는 용어는 생물학적 계(system)로 투여되는 경우에 자발적인 화학 반응(들), 효소로 촉진되는 화학 반응(들), 및/또는 신진대사의 화학 반응(들)의 결과로서 "약물" 물질(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을 생산하는 여타 화합물을 나타낸다.
본원 발명에 따라 그리고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다음의 용어들은 명시적으로(explicitly)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다음의 의미들로 정의된다.
"아릴"이라는 용어는 5-14 고리 원자들 및 컨쥬게이트(conjugated)되는 파이(π) 전자 계를 갖는 하나 이상의 고리를 가지는 방향족기들을 나타내며 그리고 바이아릴기들을 포함하고, 이의 모두는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적합한 아릴기들은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릴, 펜안트릴, 인데닐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헤테로아릴"이라는 용어는 방향족 고리 내의 고리 원자들 및 고리 원자들의 잔기(remainder)가 탄소 원자들로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들을 함유하는 5-14 고리 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들을 나타낸다. 적합한 헤테로원자들은 O, S, N을 포함한다. 적합한 헤테로아릴기들은 푸라닐, 벤조푸라닐, 티에닐, 피리딜, 피리딜-N-옥사이드,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소옥사졸릴, 퀴놀리닐, 트리아졸릴, 피리다지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인다졸릴, 이소티아졸릴, 인돌릴, 옥사디아졸릴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포화 카르보사이클릭 고리들을 나타내며, 그리고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모노-, 디- 및 트리-사이클릭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적합한 사이클로알킬기들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 사이클로데실, 아다만틸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이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모노사이클릭, 바이사이클릭 또는 트리사이클릭 라디칼들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O, S 및 N의 사이에서 선택되는, 선택적으로는 (S 및 N에 대한) 산화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고리들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엔도사이클릭 헤테로원자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간단하게 "헤테로사이클릭") 라디칼은 하나 이상의 고리들을 포함하며, 각각은 5 내지 8개의 노드들(nodes)을 갖는다. 헤테로사이클릭 라디칼들의 예시들은: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티에닐, 디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피라졸리디닐, 1,3-디옥소라닐, 피롤리디닐, 피라닐, 디하이드로피라닐, 이소옥사졸리디닐, 이미다졸릴, 이미다졸리디닐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이다.
"알킬"이라는 용어는 포화 지방족기들을 나타내며, 직쇄 사슬 및 분지 사슬기들을 포함한다.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적합한 알킬기들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옥틸, 데카노일, 도데카노일, 헥사데실, 옥타데실기들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알케닐"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 기들을 나타내며, 그리고 직쇄 사슬, 분지 사슬 및 사이클릭기들을 포함한다.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적합한 알케닐기들은 에테닐, 2-프로페닐, 2-부테닐, 3-부테닐, 2-펜테닐, 3-펜테닐, 4-펜테닐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알키닐"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 기들을 나타내며, 그리고 직쇄 사슬, 분지 사슬 및 사이클릭기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한다.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적합한 알키닐기들은 에티닐, 2-프로피닐, 2-부티닐, 3-부티닐, 2-펜티닐, 3-펜티닐, 4-펜티닐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아릴알킬"이라는 용어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들을 가지며, 아릴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적합한 아릴알킬기들은 벤질, 피콜릴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알콕시"라는 용어는 작용기(group) alk-O-를 나타내며, 여기서 "alk"는 알킬기이다.
"아릴옥시"라는 용어는 작용기 아릴-O-를 나타낸다.
"아릴옥시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릴옥시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아릴알킬옥시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릴알킬옥시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아릴알콕시"라는 용어는 작용기 아릴-Alk-O-를 나타내며, 여기서 "Alk"는 알킬기이다.
"알킬티오알킬"이라는 용어는 알킬티오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아릴티오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릴티오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술피닐"이라는 용어는 알킬-SO- 기를 나타낸다.
"알킬술포닐"이라는 용어는 알킬-SO2- 기를 나타낸다.
"아릴술피닐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릴술피닐 (아릴-SO-) 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아릴알킬술피닐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릴알킬술피닐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아릴술포닐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릴술포닐 (아릴-SO2-) 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아릴알킬술포닐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릴알킬술포닐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아릴알킬티오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릴알킬티오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옥시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옥시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알콕시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알콕시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티오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티오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술피닐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술피닐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술포닐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술포닐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알킬티오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알킬티오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알킬술피닐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알킬술피닐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알킬술포닐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알킬술포닐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옥시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옥시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콕시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콕시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티오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티오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술피닐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술피닐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술포닐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술포닐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티오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티오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술피닐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술피닐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술포닐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술포닐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옥시알킬"이라는 용어는 알킬옥시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사이클로알킬알킬"이라는 용어는 사이클로알킬기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유기 라디칼들 또는 화합물들과 관련하여 여기서 언급되는 "저급(lower)"이라는 용어는 각각 이를 테면 10을 포함하여 10까지, 바람직하게는 6을 포함하여 6까지, 및 유리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정의한다. 이러한 기들은 직쇄, 분지 또는 사이클릭 사슬일 수 있다.
"알킬티오"라는 용어는 작용기 알킬-S- 를 나타내며, 여기서 "alk"은 알킬기이다.
"할로겐"이라는 용어는 불소, 브롬 또는 염소 원자를 나타낸다.
"아미디노"라는 용어는 -C(NR7)-NR7R8을 나타내며, 여기서 R7R8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으며, 수소를 제외한 모두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식 (I)의 따른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저혈당(hypoglycemic) 활성을 보이며,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의 증후군과 관련되는 병상들의 치료에 유용하다.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 작용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며(cf. "Presse Medicale", (1997), 26(14), 671-677) 그리고 많은 병리학적인 이상들(conditions), 이를 테면 당뇨병 및 더 특히 비-인슐린-의존형 당뇨병(타입 II 당뇨병 또는 NIDDM), 이상지혈증(dyslipidaemia), 비만, 동맥성 고혈압, 그리고 또한 일부 심장의, 마이크로혈관의(microvascular) 및 매크로혈관의(macrovascular) 합병증들, 예를 들어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망막증 및 신경장애, 에 관련되어있다. 이런 측면에서, 참고문헌은, 예를 들어 Diabetes , 37, (1988), 1595-1607;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 12, (1998), 110-119; Horm . Res ., 38, (1992), 28-32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또는 몇몇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매개체, 보조제, 희석제 또는 첨가제와 조합된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식 (I)의 화합물 및/또는 그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formulate)에 적합한 이러한 매개체(carrier), 보조제, 희석제 또는 첨가제 화합물들의 다양한 전부를 알고 있다.
본원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들은 경구, 비경구, 정맥내, 근육내, 직장, 경점막(permucous) 또는 경피를 포함하는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그들은 따라서 주사 용액들 또는 현탁액들 또는 다중-투여(multi-dose) 병들의 형태, 보통의(plain) 또는 코팅된 정제들, 설탕-코팅된 정제들, 웨이퍼(wafer) 캡슐들, 젤 캡슐들, 알약들, 봉지들(sachets), 분말들, 좌약들 또는 직장 캡슐들, 경점막 용도 또는 극성 용매 내에서 경피 용도로서 용액들 또는 현탁액들의 형태로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투여들에 적합한 상기 첨가제들은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첨가제들, 이를 테면 고체 형태를 위한 셀룰로오스 또는 미정질 셀룰로오스 유도체들, 알칼리-토(alkaline-earth) 금속 카르보네이트들,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녹말들, 변형된 녹말들, 락토오스 등이다.
직장 용도로서, 코코아 버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들이 바람직한 첨가제들이다.
비경구적 용도로서, 물, 수용액들, 생리 식염수 및 등장성 용액들이 가장 적절하게 사용되는 전달체들(vehicles)이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예를 들어 과립들, 정제들 또는 코팅된 정제들, 알약들, 캡슐들, 젤 캡슐들, 젤들, 교갑들(cachets) 또는 분말들의 형태의 경우에, 화합물들의 적합한 약량학(posology)은 하루에 몸무게의 약 0.1 mg/kg 내지 약 100 mg/kg, 바람직하게는 약 0.5 mg/kg 내지 약 50 mg/kg,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mg/kg 내지 약 10 mg/kg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mg/kg 내지 약 5 mg/kg 이다.
상기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사용될 수 있는 일일 경구 투여량 범위를 도시하기 위하여, 만약 10 kg 및 100 kg의 대표적인 몸무게가 고려된다면, 식 (I)의 화합물들의 적합한 투여량들은 약 하루 당 1-10 mg 내지 하루 당 1000-10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하루 당 5-50 mg 내지 하루 당 500-5000 mg, 더 바람직하게는 10-100 mg 내지 하루 당 100-1000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200 mg 내지 하루 당 50-500 mg이 될 것이다.
그러나, 여타 특정 환자를 위한 특정한 투여 레벨은,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적용되는(employed) 특정한 화합물의 활성; 치료되는 개인의 연령, 몸무게, 일반적인 건강, 성별 및 식단(diet); 투여의 시간 및 경로; 배설의 비율; 사전에 투여된 이외의 약물들; 및 치료를 받고 있는 특정 질병의 중대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존할 것이라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원 발명의 제형들은 별개의 단위들, 이를 테면 각각 활성 성분의 미리결정되는 양을 함유하는 캡슐들, 봉지들 또는 정제들; 분말 또는 과립들;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내에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오일-인-워터 액체 에멀젼 또는 워터-인-오일 액체 에멀젼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또한 큰 알약(bolus), 연약(electuary) 또는 페이스트(paste)로 투여될 수 있다.
사람에 대한 비-인슐린-의존형 당뇨병에서, 고혈당증은 두 가지의 주된 결함들: 인슐린 분비의 변화(alteration) 그리고 간, 근육 지방 조직으로 알려져 있는 세 부위들(sites)의 레벨에서 인슐린의 유효성의 감소, 의 결과이다.
본원 발명은 또한 고혈당증과 관련되는 병상들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약제의 제조를 위한; 글루코오스 농도에 반응하는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바람직하게는 당뇨병의 치료를 위하여, 더 바람직하게는 고인슐린혈증 및 고혈당증에 의해 증가되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신진대사의 장애들에 관련되는 병상들 및 타입 II 당뇨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하여; 당뇨병 관련 마이크로혈관 및 매크로혈관의 합병증들, 이를 테면 동맥성 고혈압, 염증성 과정들, 미세혈관증(microangiopathy), 대혈관증(macroangiopathy), 망막증 및 신경장애로부터 선택되는 질병들의 치료를 위한; 이상지혈증 및 비만의 치료를 위해서 고혈당증을 감소를 위한; 또는 죽상동맥경화증, 심근 허혈증(myocardial ischemia)을 포함하는 심혈관 질병과 같은 질병들을 위한;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그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그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에 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또한 고혈당증과 관련되는 병상들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더 바람직하게는 고인슐린혈증 및 고혈당증에 의해 증가되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신진대사의 장애들과 관련되는 병상들 및 타입 II 당뇨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당뇨병 관련 마이크로혈관 및 매크로혈관 합병증들, 이를 테면 동맥성 고혈압, 염증성 과정들, 미세혈관증, 대혈관증, 망막증 및 신경장애로부터 선택되는 질병들의 치료를 위한; 이상지혈증 및 비만의 치료를 위해 고혈당증의 감소를 위한; 또는 죽상동맥경화증, 심근 허혈증을 포함하는 심혈관 질병과 같은 질병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그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그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및 프로-드러그들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또한 도식 1(중간체 디아미노페닐 유도체들의 제조); 도식 2(방법 A) 또는 도식 3(방법 B),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상기 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으며 그리고 Hal은 할로겐 원자이며, 바람직하게는 Cl, Br임, 에 나타난 다음의 대표적인 방법들에 따른,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식 (I)의 화합물들의 제조 공정에 대한 것이다.
다음의 도식들은 대표하는 목적으로, 그리고 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주어진다. 말할 필요없이, 얻어지는 식 (I)의 화합물들의 성질에 따라, 나타낸 방법론들은 적절한 출발 물질들, 여기서 치환기들 R1, R6의 성질은 특히 원하는 사슬의 길이 및 성질의 함수로 변화될 수 있음, 을 선택함으로써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유용한 화합물들은, 특별히 특정되지 않는 한, 공지된 방법들, 이는 이전에 사용되거나 또는 문헌, 특허들 또는 특허 출원들, 화학 초록들(Chemical Abstracts) 및 인터넷 상에 기재된 방법들을 의미함, 의 적용 또는 응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중간체 디아미노페닐 유도체들의 제조:
도식 1:
Figure pct00002

여기서:
Hal은 할로겐 원자이고, 바람직하게는 Cl, Br이며;
R1, R2, R3, R4 및 R5는 상기 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페닐 나이트로 아미노 유도체들(2)은 할로-나이트로페닐 유도체들(1)을 아민과 일 당량(one equivalent) 이상의 염기, 이를 테면 소듐 또는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세슘 카르보네이트의 존재하에서, 또는 이 당량(two equivalents) 이상의 고려된(considered) 아민의 존재 하에서 불활성 용매, 이를 테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토나이트릴 또는 톨루엔 내에서 20 ℃ 사이의 온도에서 그리고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디아미노 페닐 유도체들(3)은 나이트로를 대응하는 1차(primary) 방향족 아민으로 환원함으로써 식 (2)의 화합물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들은 금속, 이를 테면 Zn, Sn 또는 Fe을 산들(acids), 이를 테면 수성 HCl 내에서 사용한다. 이외의 바람직한 방법은 산화의 낮은 상태(lower state)의 금속, 이를 테면 HCl 내의 Sn(II)클로라이드를 사용한다. 특히 금속들, 이를 테면 Pd, Pt 또는 Ni, 바람직하게는 숯(charcoal) 상의 Pd 또는 용매들, 이를 테면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내의 레이니 니켈(Raney Nickel)로부터 금속 촉매들을 사용하는 촉매 수소화에 의한 환원이 바람직하다.
퀴녹살리논 유도체들의 제조:
도식 2 - 방법 A
Figure pct00003

이 방법은 특히 식 (I)의 화합물들, 여기서:
Rx는 Hal, ORe(여기서 Re은 수소, 저급(lower) 알킬임)이고;
Hal은 할로겐 원자이며, 바람직하게는 Cl, Br이고;
R1은 상기 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으며;
R6는 상기 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R2, R3, R4 및 R5는 상기 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음, 에 적합하다.
퀴녹살리논들(I)(3)을 α-케토 애시드 유도체와 용매, 이를 테면 예를 들어, 메탄올, 아세토나이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또는 톨루엔 내에서 20 ℃ 사이의 온도에서 그리고 환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6시간 동안 환류로 고리화(cyclization)에 의해 제조된다.
도식 3 - 방법 B
Figure pct00004

이 방법은 특히 식 (I)의 화합물들, 여기서:
Rx는 Hal, ORe(여기서 Re는 수소, 저급 알킬임)이고;
Hal은 할로겐 원자이며, 바람직하게는 Cl, Br이고;
R1은 상기 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으며;
R6는 상기 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R2, R3, R4 및 R5는 상기 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음, 에 적합하다.
하이드록시퀴녹살리논들(5)(3)을 예를 들어,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 유도체들과, 일 당량 이상의 염기, 무기 염기, 이를 테면 소듐 또는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세슘 카르보네이트, 또는 유기 염기, 이를 테면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 하에서 불활성 용매, 이를 테면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나이트릴, DMF 내에서 20 ℃ 사이의 온도에서 그리고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로 고리화에 의해 얻어진다.
브로모 유도체들(6)(5)를, 브롬화제(brominating agent), 이를 테면 POBr3를 사용하여 불활성 용매, 이를 테면 1,2-디클로로메탄 내에서 20 ℃ 사이의 온도에서 그리고 환류,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4시간 동안의 환류로 브롬화(bromination)에 의해 제조된다.
퀴녹살리논들(I)은 브로모 화합물들(6)을 브로닉 애시드 유도체들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들과 염기, 이를 테면 소듐 카르보네이트 또는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그리고 촉매, 이를 테면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서, 불활성 용매, 이를 테면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톨루엔 내에서, 20 ℃ 사이의 온도 그리고 환류,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도시하나, 이로 제한하지 않는다. 사용되는 출발 물질들은 공지된 생성물들 또는 공지된 절차들에 따라 제조된 생성물들이다. 만약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백분율은 무게 기준으로 표현된다.
화합물들은 특히 다음의 분석 기술들을 통해 특징지어졌다.
NMR 스펙트라는 Bruker Avance DPX 300 MHz NMR 분광계를 사용하여 얻어졌다.
질량들(masses)은 애질런트 시리즈(Agilent Series) 1100 질량 검출기와 커플링된 HPLC에 의해 결정되었다. 융점들(m.p.)은 Stuart Scientific block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들 :
실시예 1: N -(2,2- 디플루오로에틸 )-2-나이트로아닐린
Figure pct00005

2 ml의 아세토나이트릴 내의 2,7 ml (36 mM)의 2,2-디플루오로에틸 아민 및 2 ml (19 mM)의 2-클로로나이트로벤젠이 24시간 동안 교반하에서 환류되었다. 물이 첨가되었고 그리고 수성 층이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되었다. 유기 층이 물로 세척되었으며 그리고 무수의 소듐 술페이트로 건조되었다. 용매가 진공하에서 제거되어, 오렌지색 고체로서 3,65 g의 N-(2,2-디플루오로에틸)-2-나이트로아닐린을 얻었다. 수득률: 95%.

다음의 화합물들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절차를 사용해서 얻어졌다.
실시예 1-2: N -에틸-2- 나이트로아닐린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질량 분석(mass spectrometry) M+1 = 167,1
실시예 1-3: N - 사이클로프로필 -2- 나이트로아닐린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질량 분석 M+1 = 179,0
실시예 1.4: N -부틸-2- 나이트로아닐린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실시예 1.5: N -에틸-4,5- 디플루오로 -2- 나이트로아닐린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실시예 1.6: N -에틸-5- 메틸 -2- 나이트로아닐린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질량 분석 M+1 = 181,1
융점: 45 ℃
실시예 1.7: N -에틸-3- 플루오로 -2- 나이트로아닐린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실시예 2: N -(2,2- 디플루오로에틸 )벤젠-1,2- 디아민
Figure pct00019

25 ml의 메탄올 내의 3,6 g (18 mM)의 N-(2,2-디플루오로에틸)-2-나이트로아닐린의 용액에 5 %로 탄소 상의 470 mg의 팔라듐이 첨가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수소 분위기하에서, 실압 및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었다. 촉매는 셀라이트(Celite)로 여과되었으며 그리고 여과액이 진공하에서 증발되어, 오일로서 3 g의 N-(2,2-디플루오로에틸)벤젠-1,2-디아민을 얻었다. 수득률: 97,5%.
Figure pct00020

다음의 화합물들은 실시예 2에서와 같은 절차를 사용해서 얻어졌다.
실시예 2-2: N -에틸벤젠-1,2- 디아민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질량 분석 M+1 = 137,2
실시예 2-3: N - 사이클로프로필벤젠 -1,2- 디아민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실시예 2-4: N - 부틸벤젠 -1,2- 디아민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실시예 2-5: N -에틸-4,5- 디플루오로벤젠 -1,2- 디아민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실시예 2-6: N 2 -에틸-4-메틸벤젠-1,2- 디아민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질량 분석 M+1 = 151,1
실시예 2-7: N 1 -에틸-3- 플루오로벤젠 -1,2- 디아민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방법 A
실시예 3: 1-(2,2- 디플루오로에틸 )-3- 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33
7 ml의 메탄올 내의 400 mg (2,32 mM)의 N-(2,2-디플루오로에틸)벤젠-1,2-디아민의 용액에 349 mg (2,32 mM)의 2-옥소-2-페닐아세틱 애시드가 첨가되었다. 혼합물은 3시간 동안 환류되었으며 그리고 용매는 이후에 진공하에서 제거되었다. 잔여물이 용리액으로 디클로로메탄/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는 실리카 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더 정제되어, 엷은 베이지색 고체로서 231,8 mg의 1-(2,2-디플루오로에틸)-3-페닐-퀴녹살린-2(1H)-온을 얻었다. 수득률: 35%.
Figure pct00034
융점: 85-88 ℃
질량 분석 M+1 = 287,1
실시예 3-2: 3-(4- 클로로페닐 )-1-(2,2- 디플루오로에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36

7 ml의 메탄올 내의 400 mg (2,32 mM)의 N-(2,2-디플루오로에틸)벤젠-1,2-디아민의 용액에 428 mg (2,32 mM)의 4-클로로-α-옥소-벤젠아세틱 애시드가 첨가되었다. 혼합물은 3시간 동안 환류되었다. 고체는 여과되었고, 세척되었으며 그리고 진공하에서 건조되어, 236 mg의 3-(4-클로로페닐)-1-(2,2-디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을 얻었다. 수득률: 32%.
Figure pct00037
융점: 133-136 ℃
다음의 화합물들은 실시예 3 또는 3-2에서와 같거나 또는 유사한 절차를 사용해서 얻어졌다.
실시예 3-3: 3-(4- 클로로페닐 )-1- 사이클로프로필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융점: 102-105 ℃
실시예 3-4: 1-부틸-3-(4- 플루오로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실시예 3-5: 3-(4- 플루오로페닐 )-1-(2,2,2- 트리플루오로에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질량 분석 M+1 = 324,0
실시예 3-6: 1,3- 디에틸 -5- 플루오로 -퀴녹살린-2(1 H )-온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질량 분석 M+1 = 221,1
실시예 3-7: 1-에틸-7- 메틸 -3-프로필-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질량 분석 M+1 = 231,0
실시예 3-8: 1-에틸-3-부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질량 분석 M+1 = 231,1
실시예 3-9: 1-에틸-6,7- 디플루오로 -3-(4- 플루오로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융점: 116-118 ℃
실시예 3-10: 1-에틸-6,7- 디플루오로 -3-(4- 클로로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융점: 135-137 ℃
실시예 3-11: 1- 사이클로프로필 -3- 페닐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융점: 102-105 ℃
실시예 3-12: 1-에틸-3-푸란-2-일-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질량 분석 M+1 = 241,1
실시예 3-13: 1-에틸-5- 플루오로 -3-(4- 플루오로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실시예 3-14 1- 사이클로프로필 -3-(4- 플루오로페닐 ) 퀴녹살린 -2(1H)-온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질량 분석 M+1 = 281,1
융점: 179-182 ℃
실시예 3-15: 1-부틸-3-(4- 클로로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질량 분석 M+1 = 313,0
융점: 99-102 ℃
실시예 3-16: 1-부틸-3- 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65
Figure pct00066
질량 분석 M+1 = 279,0
융점: 40-43- ℃
실시예 3-17: 3-(4- 클로로벤질 )-1-에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67
Figure pct00068
질량 분석 M+1 = 299,1
실시예 3-18: 3-(4- 클로로페닐 )-1-(2,2,2- 트리플루오로에틸 ) 퀴녹살린 - 2(1 H )-온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질량 분석 M+1 = 339,0
실시예 3-19: 3- 페닐 -1-(2,2,2- 트리플루오로에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질량 분석 M+1 = 305,1
실시예 3-20: 1-(2,2,2- 트리플루오로에틸 )-3-(4-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73
Figure pct00074
질량 분석 M+1 = 373,0
실시예 3-21: 1- 사이클로프로필메틸 -3-에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75
Figure pct00076
질량 분석 M+1 = 229,0
실시예 3-22: 1-에틸-3-이소프로필-7- 메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77
Figure pct00078
질량 분석 M+1 = 231,0
실시예 3-23: 1-에틸-5- 플루오로 -3-이소부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질량 분석 M+1 = 249,1
실시예 3-24: 1,3- 디에틸 -6,7- 디플루오로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질량 분석 M+1 = 239,1
융점: 117-119 ℃
실시예 3-25: 1-(2,2- 디플루오로에틸 )-3- 에틸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질량 분석 M+1 = 239,1
실시예 3-26: 1,3- 디에틸 -5- 플루오로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85
Figure pct00086
질량 분석 M+1 = 221,1
실시예 3-27: 1,3- 디에틸 -7- 메틸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질량 분석 M+1 = 217,1
실시예 3-28: 1-에틸-5- 플루오로 -3- 프로필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89
Figure pct00090
질량 분석 M+1 = 235,1
실시예 3-29: 1-부틸-3- 에틸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91
Figure pct00092
질량 분석 M+1 = 231,1
융점: 48-51 ℃
실시예 3-30: 3-부틸-1- 에틸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93
Figure pct00094
질량 분석 M+1 = 231,1
실시예 3-31: 1-에틸-3-이소부틸-7- 메틸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95
Figure pct00096
질량 분석 M+1 = 245,1
실시예 3-32: 1- 사이클로프로필 -3- 프로필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97
Figure pct00098
질량 분석 M+1 = 229,1
융점: 72-75 ℃
실시예 3-33: 1- 사이클로프로필 -3- 에틸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099
Figure pct00100
질량 분석 M+1 = 215,1
융점: 77-80 ℃
실시예 3-34: 1-(2,2- 디플루오로에틸 )-3-(4- 플루오로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01
Figure pct00102
질량 분석 M+1 = 305,1
융점: 151-154 ℃
실시예 3-35: 3-(4- 클로로페닐 )-1-에틸-5- 플루오로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03
Figure pct00104

방법 B
실시예 4: 1-에틸-1,4- 디하이드로퀴녹살린 -2,3- 디온
Figure pct00105
150 ml의 메탄올 내의 12 g (88.1 mmol)의 N-에틸벤젠-1,2-디아민에 8.1 g (92.5 mM)의 옥살릴 클로라이드가 한 방울씩(dropwise) 첨가되었다. 상기 발열성(exothermic) 혼합물이 55 ℃에 이르렀으며 그리고 고체화되었다(solidified). 상기 혼합물은 13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되었다. 형성된 보라색 고체가 여과되었으며 그리고 이소프로판올로 세척되어, 고체로서(7.2g) 1-에틸-1,4-디하이드로퀴녹살린-2,3-디온을 얻었다. 수득률: 43%.
Figure pct00106
질량 분석 M-1 = 189,1
실시예 5: 3- 브로모 -1-에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07

20 ml의 디클로로에탄 내의 2 g (10.5 mM)의 1-에틸-1,4-디하이드로퀴녹살린-2,3-디온에 3.16 g (11.0 mM)의 POBr3가 한 방울씩 첨가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2시간 동안 교반하에서 환류되었으며 그리고 이후에 얼음으로 차갑게 그리고 수성 소듐 카르보네이트 용액으로 처리되었다. 상기 혼합물은 여과되었고 그리고 여과액이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되었으며, 무수의 소듐 술페이트로 건조되었고 그리고 농축되어, 노란색 고체로서 1,4 g의 3-브로모-1-에틸-퀴녹살린-2(1H)-온을 얻었다. 수득률:53%.
Figure pct00108
질량 분석 M-1 = 252,9
실시예 6: 3-(4- 클로로페닐 )-1-에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09
1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내의 27.7 mg (0.04 mM)의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 및 200 mg (0.79 mM)의 3-브로모-1-에틸-퀴녹살린-2(1H)-온에 질소하에서 185,3 mg (1,185 mM)의 4-클로로페닐보로닉 애시드 및 0,8 ml (1,6 mM)의 2M 소듐 카르보네이트 수용액이 첨가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90 ℃까지 가열되었으며 그리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30분 동안 교반되었다. 물이 첨가되었으며 그리고 혼합물이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되었다. 유기 상이 분리되었으며, 무수의 소듐 술페이트로 건조되고, 그리고 농축되었다. 상기 화합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실리카 플러그 용리(silica plug eluting)를 통해 정제되었으며, 이는 증발 후에 고체로서 132 mg의 3-(4-클로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을 산출하였다. 수득률: 59%.
Figure pct00110

Figure pct00111
질량 분석 M+1 = 285,0
융점: 138-14O ℃
이 화합물은 또한 방법 A를 사용해서 제조된다.
다음의 화합물들은 실시예 6에서와 같은 절차를 사용해서 얻어졌다.
실시예 6-2: 3-(2- 클로로페닐 )-1-에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12
Figure pct00113
질량 분석 M+1 = 285,1
실시예 6-3: 1-에틸-3-(4- 플루오로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14
Figure pct00115
질량 분석 M+1 = 269,1
융점: 110-115 ℃
실시예 6-4: 1-에틸-3-(4- 메틸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16
Figure pct00117
질량 분석 M+1 = 265,1
실시예 6-5: 1-에틸-3-(4- 플루오로 -2- 메틸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18
Figure pct00119
질량 분석 M+1 = 283,1
실시예 6-6: 1-에틸-3-(4- 클로로 -2- 메틸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20
Figure pct00121
질량 분석 M+1 = 299,1
실시예 6-7: 1-에틸-3-(4-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22
Figure pct00123
질량 분석 M+1 = 319,1
실시예 6-8: 1-에틸-3-(4- 메탄술포닐 - 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24
Figure pct00125
질량 분석 M+1 = 329,1
실시예 6-9: 3-(2,4- 디메톡시 -피리미딘-5-일)-1-에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26
Figure pct00127
질량 분석 M+1 = 313,0
실시예 6-10: 1-에틸-3-(4- 에틸페닐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28
Figure pct00129
질량 분석 M+1 = 279,1
실시예 6-11: 1-에틸-3-푸란-3-일-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30
Figure pct00131
질량 분석 M+1 = 241,1
실시예 6-12: 3-(3,4- 디메톡시페닐 )-1-에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32
Figure pct00133
질량 분석 M+1 = 311,1
실시예 6-13: 4-(4-에틸-3-옥소-3,4- 디하이드로 - 퀴녹살린 -2-일)- 벤조익 애시드
Figure pct00134
Figure pct00135
질량 분석 M+1 = 295,1
실시예 6-14: 1-에틸-3-(1- 메틸 -1H- 피라졸 -4-일)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36
Figure pct00137
질량 분석 M+1 = 255,1
실시예 6-15: 3-(3- 클로로페닐 )-1-에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38
Figure pct00139
질량 분석 M+1 = 285,0
실시예 6-16: 1-에틸-3-피리딘-3-일-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40
Figure pct00141
질량 분석 M+1 = 252,1
실시예 6-17: 3-(2,5- 디플루오로페닐 )-1-에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42
Figure pct00143
질량 분석 M+1 = 287,1
실시예 6-18: 1-에틸-3-(1H-인돌-6-일)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44
Figure pct00145
질량 분석 M+1 = 290,1
실시예 6-19: 1-에틸-3-(1H-인돌-5-일)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46
Figure pct00147
질량 분석 M+1 = 290,1
실시예 6-20: 1-에틸-3-(4- 메틸벤질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48
Figure pct00149
질량 분석 M+1 = 279,1
실시예 6-21: 1-에틸-3-(4-모르폴린-4- 일페닐 ) 퀴녹살린 -2(1H)-온
Figure pct00150
Figure pct00151

실시예 6-22: 3-(2,3- 디하이드로 -1,4- 벤조디옥신 -6-일)-1- 에틸퀴녹살린 - 2(1H)-온
Figure pct00152
Figure pct00153
질량 분석 M+1 = 309,1
실시예 6-23: 3-(1,3- 벤조디옥솔 -5-일)-1- 에틸퀴녹살린 -2(1H)-온
Figure pct00154
Figure pct00155
질량 분석 M+1 = 295,1
실시예 6-24: 1-에틸-3- 벤질퀴녹살린 -2(1H)-온
Figure pct00156
Figure pct00157

실시예 7: 1-에틸-3- 메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58

200 ml의 메탄올 내의 2,76 ml (39,6 mM)의 2-옥소프로파노익 애시드 및 5,4 g (39,6 mM)의 N-에틸벤젠-1,2-디아민이 8시간 동안 환류되었다. 용매는 진공하에서 제거되었다. 잔여물은 용리액으로 디클로로메탄, 이후에 디클로로메탄/디메틸케톤(95/5)을 사용하는, 실리카 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더 정제되어, 노란색 고체로서 4,2 g의 1-에틸-3-메틸-퀴녹살린-2(1H)-온을 얻었다. 수득률: 56,7%.
Figure pct00159

실시예 8: 3-( 브로모메틸 )-1-에틸-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60

220 ml의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내의 53,3 mg의 벤조일퍼옥사이드, 3,97 g (22,3 mM)의 N-브로모숙신이미드 및 4,2 g (22,3 mM)의 1-에틸-3-메틸-퀴녹살린-2(1H)-온이 4시간 동안 환류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여과되었으며 그리고 용매는 진공하에서 제거되었다. 잔여물은 용리액으로 디클로로메탄/사이클로헥산(70/30)을 사용하는, 실리카 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더 정제되어, 고체를 얻었고, 이는 메틸터르부틸옥사이드 내에 취해졌다(taken up). 여과 후에, 황갈색(tan) 고체로서 2,4 g의 3-(브로모메틸)-1-에틸-퀴녹살린-2(1H)-온을 얻었다. 수득률: 40,3%.
Figure pct00161

실시예 9: 1-에틸-3-{[(4- 메틸페닐 ) 티오 ] 메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62

162,7 mg (1,3 mM)의 4-메틸티오펜올이 에탄올 내 21 %의(at 21%) 480,6 ㎕ (1,3 mM)의 소듐 에틸레이트에 첨가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30분간 교반되었으며, 용매는 이후에 진공하에서 제거되었다. 3 ml의 아세토나이트릴 내의 350 mg (1,3 mM)의 3-(브로모메틸)-1-에틸-퀴녹살린-2(1H)-온이 이후에 첨가되었으며 그리고 상기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에서 유지되었다. 물이 부어졌고(poured) 그리고 침전물이 여과되었으며 그리고 물로 세척되어, 370 mg의 1 -에틸-3-{[(4-메틸페닐)티오]메틸}퀴녹살린-2(1H)-온을 얻었다. 수득률: 91 %.
Figure pct00163
Figure pct00164
질량 분석 M+1 = 311,1
실시예 10: 1-에틸-3-{[(4- 메틸페닐 ) 술포닐 ] 메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65

6 ml의 THF/물(50/50)의 혼합물 내의 280 mg (0,90 mM)의 1-에틸-3-{[(4-메틸페닐)티오]메틸}퀴녹살린-2(1H)-온 및 75,8 mg (0,9OmM)에 1,1 g (1,8 mM)의 옥손이 일정 비율 방식(portion wise)으로 첨가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30분간 교반하에서 유지되었으며 그리고 물이 첨가되었다. 침천물은 여과되었고 그리고 물로 완전히 세척되어, 건조 후에, 고체로서 154 mg의 1-에틸-3-{[(4-메틸페닐)술포닐]메틸}퀴녹살린-2(1H)-온을 얻었다. 수득률: 50%.
Figure pct00166
질량 분석 M+1 = 343,1
다음의 화합물들은 실시예 10에서와 같은 절차를 사용해서 얻어졌다.
실시예 10-2: 3-{[(4- 클로로페닐 ) 술포닐 ] 메틸 }-1- 메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67
Figure pct00168
Figure pct00169
질량 분석 M+1 = 349,1
실시예 10-3: 1-에틸-3-{[(4- 메톡시페닐 ) 술포닐 ] 메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70
Figure pct00171
질량 분석 M+1 = 359,0
실시예 10-4: 1- 메틸 -3-[( 페닐술포닐 ) 메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72
Figure pct00173
질량 분석 M+1 = 315,1
실시예 10-5: 1-에틸-3-[( 페닐술포닐 ) 메틸 ] 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74
Figure pct00175
질량 분석 M+1 = 329,1
실시예 10-6: 3-{[(4- 클로로벤질 ) 술포닐 ] 메틸 }-1- 에틸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76
Figure pct00177
질량 분석 M+1 = 377,0
실시예 10-7: 3-[( 벤질술포닐 ) 메틸 ]-1- 에틸퀴녹살린 -2(1 H )-온
Figure pct00178
Figure pct00179
질량 분석 M+1 = 343,1
생물학적 어세이
INS-1 세포들이 본원 발명의 화합물들을 글루코오스 및 이외의 생리학적 및 약학적 인슐린 분비촉진제에 대한 그들의 뛰어난 반응에 관하여 평가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췌장 INS-1 세포들의 배양
INS-1 세포들이 Asfari at al(Endocrinology 130: 167-178, 1992)에 개시된 바와 같이, 1O mM 글루코오스, 및 10%(vol/vol) 열-불활성된 소의 태아 혈청(FCS)으로 보충된, 1 mM 소듐 피루베이트, 50 μM 2-머캅토에탄올, 2 mM 글루타민, 1O mM 헤페스, 100 IU/㎖ 페니실린, 및 100 μg/㎖ 스트렙토마이신(CM)를 함유하는RPMl1640, 완전 배지 내에서 배양되었다.
인슐린 분비 어세이
INS-1 세포들이 48-웰 플레이트들 내에 평판 배치되며, 그리고 배양되었다. 배양 2일 후에, 배지는 제거되었고 그리고 세포들은 5mM 글루코오스, 1% FCS로 바뀐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상기 세포들은 이후에 Krebs-Ringer 바이카보네이트 헤페스 버퍼(KRBH; 135mM NaCl; 3,6mM KCl; 5mM NaHCO3; 0,5mM NaH2PO4; 0,5mM MgCl2; 1,5mM CaCl2 및 1OmM 헤페스; pH 7,4) 2,8mM 글루코오스 함유 0,1% BSA로 세척되었으며, 그리고 동일 버퍼 내에서 37℃에서 30분간 사전 배양되었다. 상기 세포들은 이후에 두 번 세척되었으며, 그리고 4,2mM 글루코오스 및 테스트되는 분자의 상이한 농도들을 함유하는 KRBH 0,1% BSA 내에서 1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수집된 상청액들 내의 인슐린 농도는 쥐 인슐린 항체(Insulin Rat Elit PLUS, cat. ref 10-1145-01)를 사용하여 ELISA로 측정되었다.
인슐린 분비 결과들은 대조구(control)(글루코오스 4,2mM)의 %로 표현된다.
INS -1 세포들에서의 인슐린 분비 (4,2 mM 에서의 글루코오스)
Figure pct00180

Figure pct00181

당뇨병 N0STZ 섬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재료들 및 방법들.
섬세포(Islets) 분리 및 처치.
14 ± 3 주(weeks) 비-단식한 N0STZ(PORTHA et al., 1974) 수컷 쥐들(Charles Rivers-Domaine des Oncins, I'Arbresle, France)이 소듐 펜토바르비탈(Nembutal® : 5 ml/kg에서 45 mg/kg가 복막의 내부로 투여됨)로 마취되었으며 그리고 체온은 열 램프로 유지되었다.
쥐 췌장 랑게르한스 섬(islets of Langerhans)이 콜라게나아제 P(Boehringer, Meylan, France) 소화작용(digestion)에 의해 8 마리의 쥐들의 췌장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섬세포는 행크스 균형 염류 용액(Hanks balanced salt solution)[NaCl(137mM); KCl(5.36 mM); MgSO4, 7 H2O(0.81 mM); Na2HPO4, 12 H2O(0.34 mM); KH2PO4(0.44 mM); CaCl2, 2 H2O(1.26 mM); NaHCO3(4.17 mM)] 내에서 침강(sedimentation) 이후에 피콜(Ficoll) 구배 분리에 의해서 정제되었다. 섬세포는 이후에 입체(stereoscopic) 현미경 하에서 엄선되었으며(hand-picked) 그리고 3개의 섬세포의 배치들(batches)은 37 ℃에서 90분간 지속적 진탕(shaking)하에서 가습한(humidified) 조건(95% O2, 5% CO2) 하에서 요구되는 글루코오스 또는 화합물 농도를 함유하는 1 ml의 크렙스/헤페스 pH 7 용액[NaCl(115 mM), NaHCO3(24 mM), KCl(5 mM), MgCl2(1 mM), CaCl2, 2 H2O(1mM), 0.2 %의 소(Bovine) 혈청 알부민(분율 V, 유리 지방산(fatty acid free), Boehringer, Mannheim), 10 mM 헤페스] 내에서 배양되었다. 화합물들은 2.10-2M 저장 용액들에서 DMSO에 용해되었다. 그들은 이후에 요구되는 글루코오스 농도를 함유하는 크렙스/헤페스 완충제 내에서 요구되는 농도로 희석되었다.
배양의 말기에, 배지들이 수집되었으며 그리고 인슐린 레벨들이 ELISA(EUROBIO, Courtaboeuf, France)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Figure pct00182
표 - 당뇨병 NOSTZ 쥐 섬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에 관한 화합물들의 투여량 반응 효과.
섬세포는 엄선되었으며 그리고 2.8 또는 8 mM에서 글루코오스의 존재하에 화합물들의 증가시킨 농도의 존재하에서 배양되었다. 배양의 말기에, 배지들이 수집되었으며 그리고 인슐린 레벨들은 ELISA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결과들은 글루코오스 대조구(2.8 또는 8 mM)의 %로 표현되며 그리고 평균 ± SEM을 나타낸다.
N0STZ 당뇨병 쥐들로부터 분리되는 섬세포에서, 화합물들은 낮은, 비-자극성, 글루코오스 농도(2.8 mM)의 존재하에서, 고 농도 (10-4 M)에서 조차 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그들은 자극성 글루코오스 농도인 8 mM 글루코오스에 반응하여 인슐린 분비를 강화시켰다(potentiated). 이들 결과들은 인슐린 분비에 관한 상기 화합물들의 효과가 글루코오스 레벨에 의존하는 것을 보여주며 그리고 이들 화합물들로의 치료는 저혈당 위험을 피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Claims (24)

  1.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tautomers), 거울상이성질체들(enantiomers),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mers), 에피머들(epimers) 및 다형체들(polymorphs),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Figure pct00183

    여기서:
    R1은: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알킬옥시알킬, R7R8N-알킬, 알킬티오알킬이고;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고;
    R6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아릴옥시알킬, 아릴알킬옥시알킬, 아릴티오알킬, 아릴술피닐알킬, 아릴술포닐알킬, 아릴알킬티오알킬, 아릴알킬술피닐알킬, 아릴알킬술포닐알킬,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아릴옥시알킬, 헤테로아릴알콕시알킬, 헤테로아릴티오알킬, 헤테로아릴술피닐알킬, 헤테로아릴술포닐알킬, 헤테로아릴알킬티오알킬, 헤테로아릴알킬술피닐알킬, 헤테로아릴알킬술포닐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옥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옥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티오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술피닐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술포닐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티오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술피닐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술포닐알킬이며;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 , R3 , R4 ,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고;
    Y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알콕시, 헤테로아릴, 아릴, 알킬술포닐, 아릴옥시, 아릴알콕시, 알킬술피닐, 알킬티오이며;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Z는:
    하이드록시, 티오,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카르복시, 카르복시 메틸, 카르복시에틸,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콕시, NR7R8, 아지도, 나이트로, 구아니디노, 아미디노, 포스포노, 옥소,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SF5이고, 두 개의 Y기들은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할 수 있으며;
    R7 R8은 다음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 수소;
    - 저급(lower) 알킬, 사이클로알킬;
    R7R8은 또한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할 수 있는, 헤테로사이클로아킬기가 될 수 있으며;
    R7R8은 독립적으로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들로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
  2. 제 1항에 있어서,
    R1이: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알킬옥시알킬, R7R8N-알킬, 알킬티오알킬이고;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기들의 각각은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3. 제 2항에 있어서,
    R1이: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알킬옥시알킬, R7R8N-알킬이고;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기들의 각각은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4. 제 3항에 있어서,
    R1이: 메틸, 에틸, 2,2-디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부틸,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프로필메틸이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5. 제 1항에 있어서,
    R6가: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아릴티오알킬, 아릴술포닐알킬, 아릴옥시알킬, 아릴알킬옥시알킬,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아릴옥시알킬, 헤테로아릴알콕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옥시알킬이고;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기들의 각각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6. 제 5항에 있어서,
    R6가: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알킬, 아릴티오알킬, 아릴술포닐알킬,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알킬이고;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들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기들의 각각은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7. 제 6항에 있어서,
    R6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페닐, 벤질, 푸라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졸릴, 페닐티오메틸, 페닐술포닐메틸이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Y 또는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콕시, 아릴, 알킬술포닐, 아릴옥시, 아릴알콕시, 알킬술피닐, 알킬티오이고; 이들 기들의 각각은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R2, R3, R4, R5 및 R6가 Z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10. 제 1항에 있어서,
    Z가: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카르복시,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술포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의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1-(2,2-디플루오로에틸)-3-페닐-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2,2-디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사이클로프로필-퀴녹살린-2(1H)-온
    1-부틸-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3-(4-플루오로페닐)-1-(2,2,2-트리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
    1,3-디에틸-5-플루오로-퀴녹살린-2(1H)-온
    1-에틸-7-메틸-3-프로필-퀴녹살린-2(1H)-온
    1-에틸-3-부틸-퀴녹살린-2(1H)-온
    1-에틸-6,7-디플루오로-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6,7-디플루오로-3-(4-클로로페닐)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3-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푸란-2-일-퀴녹살린-2(1H)-온
    1-에틸-5-플루오로-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1-부틸-3-(4-클로로페닐)퀴녹살린-2(1H)-온
    1-부틸-3-페닐-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벤질)-1-에틸-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2,2,2-트리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
    3-페닐-1-(2,2,2-트리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
    1-(2,2,2-트리플루오로에틸)-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메틸-3-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이소프로필-7-메틸-퀴녹살린-2(1H)-온
    1-에틸-5-플루오로-3-이소부틸-퀴녹살린-2(1H)-온
    1,3-디에틸-6,7-디플루오로-퀴녹살린-2(1H)-온
    1-(2,2-디플루오로에틸)-3-에틸퀴녹살린-2(1H)-온
    1,3-디에틸-5-플루오로퀴녹살린-2(1H)-온
    1,3-디에틸-7-메틸퀴녹살린-2(1H)-온
    1-에틸-5-플루오로-3-프로필퀴녹살린-2(1H)-온
    1-부틸-3-에틸퀴녹살린-2(1H)-온
    3-부틸-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이소부틸-7-메틸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3-프로필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3-에틸퀴녹살린-2(1H)-온
    1,3-디에틸-퀴녹살린-2(1H)-온
    1-(2,2-디플루오로에틸)-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에틸-5-플루오로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3-(2-클로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4-플루로오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플루오로-2-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클로로-2-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탄술포닐-페닐)퀴녹살린-2(1H)-온
    3-(2,4-디메톡시-피리미딘-5-일)-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4-에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푸란-3-일-퀴녹살린-2(1H)-온
    3-(3,4-디메톡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4-(4-에틸-3-옥소-3,4-디하이드로-퀴녹살린-2-일)-벤조익 애시드
    1-에틸-3-(1-메틸-1H-피라졸-4-일)퀴녹살린-2(1H)-온
    3-(3-클로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피리딘-3-일-퀴녹살린-2(1H)-온
    3-(2,5-디플루오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1H-인돌-6-일)퀴녹살린-2(1H)-온
    1-에틸-3-(1H-인돌-5-일)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틸벤질)퀴녹살린-2(1H)-온
    1-에틸-3-(4-모르폴린-4-일페닐)퀴녹살린-2(1H)-온
    3-(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1-에틸퀴녹살린-2(1H)-온
    3-(1,3-벤조디옥솔-5-일)-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벤질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틸페닐)티오]메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틸페닐)술포닐]메틸}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술포닐]메틸}-1-메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톡시페닐)술포닐]메틸}퀴녹살린-2(1H)-온
    1-메틸-3-[(페닐술포닐)메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페닐술포닐)메틸]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벤질)술포닐]메틸}-1-에틸퀴녹살린-2(1H)-온
    3-[(벤질술포닐)메틸]-1-에틸퀴녹살린-2(1H)-온.
  12. 제 11항에 있어서,
    다음의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1-부틸-3-에틸-퀴녹살린-2(1H)-온
    1-사이클로프로필-3-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플루오로-2-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에틸-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2,2-디플루오로에틸)퀴녹살린-2(1H)-온
    3-(4-클로로페닐)-1-에틸-퀴녹살린-2(1H)-온
    1-에틸-3-(4-클로로-2-메틸페닐)퀴녹살린-2(1H)-온.
  13. 다음의 공정(process)을 포함하는,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반 식 (I)의 화합물들의 제조 공정:
    a) 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184

    여기서:
    R2, R3, R4, R5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으며;
    Hal은 할로겐 원자이고, 바람직하게는 Cl, Br임; 을
    아민 R1-NH2, 여기서 R1은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과 염기의 존재하에서, 불활성 용매 내에서 반응시켜, 식 (2)의 화합물을 얻고
    Figure pct00185

    b) 식 (2)의 화합물을 금속, 이를 테면 Zn, Sn 또는 Fe, 또는 산화의 낮은 상태(lower state)의 금속, 이를 테면 Sn(II)클로라이드와 산들(acids) 내에서 환원시키거나; 또는 금속 촉매들, 이를 테면 Pd, Pt, Ni, 바람직하게는 숯(charcoal) 상의 Pd 또는 레이니 니켈(Raney Nickel)과의, 용매 내에서의 촉매 수소화(catalytic hydrogenation)에 의해, 식 (3)의 화합물을 얻고
    Figure pct00186

    여기서: R1, R2, R3, R4 및 R5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음;
    c) 식 (3)의 화합물을 다음 식의 α-케토 애시드 유도체
    Figure pct00187

    여기서:
    R6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으며;
    Rx는 상기에 정의된 Hal 또는 ORe, 여기서 Re는 수소, 저급 알킬임; 와 용매 내에서 반응시켜, 식 (I)의 화합물을 얻음.
  14. 다음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반 식 (I)의 화합물들의 제조 공정:
    a) 식 (1)의 화합물

    여기서:
    R2, R3, R4, R5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으며;
    Hal은 할로겐 원자이고, 바람직하게는 Cl, Br임; 을
    아민 R1-NH2, 여기서 R1은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과 염기의 존재하에서, 불활성 용매 내에서 반응시켜, 식 (2)의 화합물을 얻고
    Figure pct00189


    d) 식 (2)의 화합물을 금속, 이를 테면 Zn, Sn 또는 Fe, 또는 산화의 낮은 상태의 금속, 이를 테면 Sn(II)클로라이드와 산들(acids) 내에서 환원시키거나; 또는 금속 촉매들, 이를 테면 Pd, Pt, Ni, 바람직하게는 숯 상의 Pd 또는 레이니 니켈과의 용매 내에서의 촉매 수소화에 의해, 식 (3)의 화합물을 얻고
    Figure pct00190

    여기서: R1, R2, R3, R4 및 R5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음;

    e) 식 (3)의 화합물을 다음 식의 화합물
    Figure pct00191

    여기서 Rx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음, 과
    염기의 존재 하에서, 불활성 용매 내에서 반응시켜, 식 (5)의 화합물을 얻고;
    Figure pct00192

    여기서: R1, R2, R3, R4 및 R5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음;

    f) 식 (5)의 화합물을 브롬화제(brominating agent), 이를 테면 P0Br3와 불활성 용매 내에서 반응시켜, 식 (6)의 화합물을 얻고
    Figure pct00193

    여기서: R1, R2, R3, R4 및 R5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음;

    g) 식 (6)의 화합물을 브로닉 애시드 유도체들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들과 염기 및 촉매, 이를 테면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서 불활성 용매 내에서 반응시켜, 식 (I)의 화합물을 얻음.
  15. 고혈당증과 관련되는 병상들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일반 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16. 제 15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농도에 반응하여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일반 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당뇨병의 치료에 적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일반 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18. 제 17항에 있어서,
    타입 II 당뇨병의 치료에 적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일반 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19.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이상지혈증 및 비만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들의 치료에 적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일반 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20. 제 1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뇨병과 관련되는 마이크로혈관 및 매크로혈관 합병증들로부터 선택되는 질병들의 치료에 적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일반 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들이 동맥성 고혈압,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과정들, 미세혈관증, 대혈관증, 망막증 및 신경장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22. 제 15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을 감소시키는데 적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일반 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
  23. 고혈당증과 관련되는 병상들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의 제조에 대한,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반 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는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뿐만 아니라 이의 라세믹 형태들, 호변체들, 거울상이성질체들, 부분입체이성질체들, 에피머들 및 다형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들의 용도.
  24.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일반 식 (I)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07022236A 2008-03-05 2009-01-15 인슐린 분비 자극제들로서의 퀴녹살리논 유도체들, 이들을 얻기 위한 방법들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이들의 용도 KR101637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04053 2008-03-05
EP08004053.8 2008-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899A true KR20100123899A (ko) 2010-11-25
KR101637387B1 KR101637387B1 (ko) 2016-07-07

Family

ID=4054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236A KR101637387B1 (ko) 2008-03-05 2009-01-15 인슐린 분비 자극제들로서의 퀴녹살리논 유도체들, 이들을 얻기 위한 방법들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이들의 용도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8415352B2 (ko)
EP (1) EP2247580B1 (ko)
JP (1) JP5618837B2 (ko)
KR (1) KR101637387B1 (ko)
CN (1) CN101952258B (ko)
AR (1) AR070797A1 (ko)
AU (1) AU2009221327B2 (ko)
BR (1) BRPI0908406B8 (ko)
CA (1) CA2717718C (ko)
DK (1) DK2247580T3 (ko)
EA (1) EA021904B1 (ko)
ES (1) ES2548583T3 (ko)
HU (1) HUE027811T2 (ko)
IL (1) IL207720A (ko)
MX (1) MX2010009576A (ko)
PT (1) PT2247580E (ko)
WO (1) WO2009109258A1 (ko)
ZA (1) ZA2010070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7959B1 (en) 2011-09-12 2014-04-16 Sanofi 6-(4-hydroxy-phenyl)-3-styryl-1h-pyrazolo[3,4-b]pyridine-4-carboxylic acid amide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RU2638540C1 (ru) 2012-04-24 2017-12-14 Вертекс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орпорейтед Ингибиторы днк-пк
HRP20211855T1 (hr) 2013-03-12 2022-03-04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i dnk-pk
PL3424920T3 (pl) 2013-10-17 2020-11-16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Kokryształy (S)-N-metylo-8-(1-((2'-metylo-4’,6'-dideutero-[4,5'-bipirymidyn]-6-ylo)amino)propan-2-ylo)chinolino-4-karboksyamidu i ich deuterowane pochodne jako inhibitory DNA-PK
CN104628661A (zh) * 2015-02-05 2015-05-20 北京理工大学 一类喹喔啉酮衍生物作为醛糖还原酶抑制剂的结构、制备方法及用途
EP3394046B1 (en) 2015-12-24 2022-03-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ftr regula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8848668B (zh) 2015-12-24 2022-04-26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Cftr调节剂及其使用方法
EP3394083B9 (en) 2015-12-24 2022-04-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5-[(3,4-dimethoxyphenyl)methyl]-1,3,4-thiadiazol-2-yl]-2-methoxy-benzeneacetamide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cftr activators for treating constipation or cholestasis
CN105769870A (zh) * 2016-04-09 2016-07-20 李曼 一种治疗糖尿病的药物
KR20190062485A (ko) 2016-09-27 2019-06-05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Dna-손상제 및 dna-pk 저해제의 조합을 사용한 암 치료 방법
US11839616B2 (en) 2017-08-24 2023-12-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Ocula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N109793739A (zh) * 2019-01-14 2019-05-24 北京理工大学 一种喹喔啉酮衍生物的结构、制备方法及用途
CN109796417A (zh) * 2019-01-14 2019-05-24 北京理工大学 一系列喹喔啉酮衍生物的结构、制备方法及用途
CN114907323B (zh) * 2022-05-31 2023-08-15 内蒙古民族大学 喹喔啉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957222B (zh) * 2022-05-31 2023-08-15 内蒙古民族大学 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410015A1 (ko) * 1971-06-22 1974-01-05
SU616955A1 (ru) * 1977-03-02 2006-12-27 Перм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А.М.Горького 2-(α-бромфенацил)-хиноксалон-3, проявляющий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ую активность
US4181724A (en) * 1978-09-11 1980-01-01 The Upjohn Company Quinoxalinone compounds useful for expanding the lumina or air passages in mammals
FR2653430B1 (fr) * 1989-10-23 1991-12-20 Pf Medicament Nouveaux derives de dihydro-1,2 oxo-2 quinoxaline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CA2295239A1 (en) 1997-06-27 1999-01-07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Sulfonamide compounds and medicinal use thereof
HUP0002853A3 (en) 1997-09-01 2001-12-28 Kyorin Seiyaku Kk 6,7-asymmetrically disubstituted quinoxa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2002509923A (ja) 1998-03-31 2002-04-02 ワーナー−ランバート・カンパニー Xa因子およびトロンビンのようなセリンプロテアーゼ阻害剤としてのキノキサリノン
DE10343098A1 (de) 2003-09-18 2005-04-14 Bayer Healthcare Ag Tetrahydrochinoxaline und ihre Verwendung
PT1711184E (pt) * 2004-01-06 2007-09-24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dos de ( 3-oxo-3, 4-di-hidro-quinoxalin-2-il-amino)-benzamina e compostos relacionados como inibidores da fosforilase do glicogénio para o tratamento da diabetes e da obesidade''
DE102004023332A1 (de) * 2004-05-12 2006-01-19 Bayer Cropscience Gmbh Chinoxalin-2-on-derivate, diese enthaltende nutzpflanzenschützende Mitt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WO2007135527A2 (en) * 2006-05-23 2007-11-29 Pfizer Products Inc. Benzimidazolyl compoun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stry of Heterocyclic Compounds, 2004, Vol.40(11), pages 1510-15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21327B2 (en) 2014-03-27
JP5618837B2 (ja) 2014-11-05
ES2548583T3 (es) 2015-10-19
EP2247580A1 (en) 2010-11-10
US8835634B2 (en) 2014-09-16
IL207720A (en) 2014-12-31
KR101637387B1 (ko) 2016-07-07
MX2010009576A (es) 2010-09-24
AU2009221327A1 (en) 2009-09-11
BRPI0908406A2 (pt) 2015-08-11
CA2717718C (en) 2016-05-31
BRPI0908406B8 (pt) 2023-02-07
CA2717718A1 (en) 2009-09-11
WO2009109258A1 (en) 2009-09-11
PT2247580E (pt) 2015-10-19
BRPI0908406B1 (pt) 2019-04-09
US20130123257A1 (en) 2013-05-16
EP2247580B1 (en) 2015-07-08
CN101952258B (zh) 2014-03-19
EA201001407A1 (ru) 2011-06-30
JP2011513343A (ja) 2011-04-28
IL207720A0 (en) 2010-12-30
HUE027811T2 (en) 2016-11-28
US8415352B2 (en) 2013-04-09
AR070797A1 (es) 2010-05-05
EA021904B1 (ru) 2015-09-30
US20110015194A1 (en) 2011-01-20
CN101952258A (zh) 2011-01-19
ZA201007059B (en) 2011-06-29
DK2247580T3 (en)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387B1 (ko) 인슐린 분비 자극제들로서의 퀴녹살리논 유도체들, 이들을 얻기 위한 방법들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이들의 용도
EP2370413B1 (en) Modulators of the prostacyclin (pgi2) receptor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sorders related thereto
JP4357965B2 (ja) メタボトロピックグルタミン酸受容体−5のヘテロアリール置換ピロールモジュレーター
JP5559156B2 (ja) 3,4−ジヒドロピリミジンtrpa1アンタゴニスト
US9012478B2 (en) Pyrazolyl substituted carbonic acid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the prostacyclin (PGI2) receptor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sorders related thereto
US8642617B2 (en) Pyridopyrazinones derivatives insulin secretion stimulators, methods for obtaining them and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KR101637381B1 (ko) 인슐린 분비 자극제들로서의 피라지논 유도체들, 이들을 얻기 위한 방법들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이들의 용도
JP2011518847A (ja) アリールピラジノン(arylpyrazinone)誘導体インスリン分泌刺激薬、それを得る方法、および糖尿病の治療のためのそ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