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318A - 반송로 구조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반송로 구조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318A
KR20100105318A KR1020090085994A KR20090085994A KR20100105318A KR 20100105318 A KR20100105318 A KR 20100105318A KR 1020090085994 A KR1020090085994 A KR 1020090085994A KR 20090085994 A KR20090085994 A KR 20090085994A KR 20100105318 A KR20100105318 A KR 20100105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aper
handle
path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091B1 (ko
Inventor
요시야스 다니오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03G15/2035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for maintenance purposes, e.g. for removing a jammed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반송로 구조는, 한쪽의 반송부재로부터 다른쪽의 반송부재를 이간(離間)시키는 이간 기구와, 상기 반송부재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한쪽 면이 상기 반송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제 1 반송로가 되는 개폐 반송로 부재와,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의 다른쪽 면과의 사이에 제 2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로 부재와, 상기 제 2 반송로 위로 연장되도록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배출 부재를 덮는 덮개 위로 연장된 핸들과, 상기 이간 기구에 의해 한쪽의 상기 반송부재로부터 다른쪽의 상기 반송부재가 이간하면 상기 핸들을 상기 덮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85994
화상형성장치, 반송로 구조, 이간 기구, 핸들

Description

반송로 구조 및 화상형성장치{TRANSPORTING PATH CONFIGURA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송로 구조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레이저프린터로 대표되는 일반적인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화상형성 공정에서 용지에 미정착의 토너 상(像)을 유지시키고, 정착 공정에서 용지에 유지된 토너 상을 가열 정착하고 있다. 그리고, 토너 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출 롤러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용지에 양면 인쇄를 행할 경우에는 한 면에 토너 상(像)이 정착된 용지의 선단 부분이 배출 롤러에서 외부로 배출된 후, 배출 롤러가 역전하여 용지가 후단부로부터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로 되돌려 보내지고, 양면 인쇄용의 반송 경로를 통해 다시 화상형성 공정으로 보내진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96541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62862호 참조).
본 발명은 한 쌍의 반송부재 사이에 막힌 기록 매체를, 개폐 반송로 부재를 개방하여 제거할 때에, 한 쌍의 반송부재를 이간하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송로 구조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반송로 구조는, 기록 매체를 협지(挾紙)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부재 중, 한쪽의 반송부재로부터 다른쪽의 반송부재를 이간(離間)시키는 이간 기구와, 상기 반송부재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한쪽 면이 상기 반송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제 1 반송로가 되는 개폐 반송로 부재와,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의 다른쪽 면과의 사이에 제 2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로 부재와, 상기 제 2 반송로 위로 연장되도록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반송로로부터 송출(送出)된 상기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배출 부재를 덮는 덮개 위로 연장된 핸들과, 상기 이간 기구에 의해 한쪽의 상기 반송부재로부터 다른쪽의 상기 반송부재가 이간하면 상기 핸들을 상기 덮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반송로 구조는, 상기 이간 기구가 한쪽의 상기 반송부재로부터 다른쪽의 상기 반송부재가 이간하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핸들은 상기 돌기에 접촉하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경 사면은 상기 돌기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핸들을 덮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구성은, 막힌 기록 매체를 제거함에 있어서 한 쌍의 반송부재를 이간시킬 경우에, 한 쌍의 반송부재를 이간하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반송로 구조에서는, 상기 핸들이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의 다른쪽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 2 반송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돌벽(突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2 반송로를 지나는 용지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반송로 구조에서는, 상기 반송로 부재가 상기 핸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절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반송로 구조에서는, 상기 핸들이 파지 부분의 윗면에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핸들의 파지 부분이 미끄러지기 어렵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반송로 구조에서는, 한쪽의 상기 반송부재는 현상제 상(像)이 전사된 상기 기록 매체를 가열하는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다른쪽의 상기 반송부재는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가열 부재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막힌 기록 매체를 제거함에 있어서 가열 부재와 가압 부재 를 이간시킬 경우에 가열 부재와 가압 부재를 이간하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반송로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현상제 상(像)을 전사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기록 매체에 전사된 상기 현상제 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와, 상기 정착부로부터 상기 제 1 반송로를 통과하여 선단부가 상기 배출 부재를 빠져 나간 상기 기록 매체를, 소정의 시기에서 상기 배출 부재를 역전시켜서 후단부로부터 제 2 반송로로 되돌려 보내는 기록 매체 반전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막힌 기록 매체를 제거함에 있어서 한 쌍의 반송부재를 이간시킬 경우에, 한 쌍의 반송부재를 이간하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송로 구조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는 하부에 용지(P)가 다발로 적층되어 수납되는 급지 트레이(14, 15)를 구비하고, 상부에 장치 외부로 배출된 인쇄(화상형성)된 용지(P)(기록 매체의 일례)가 탑재되는 배지부(20)를 구비하고, 급지 트레이(14, 15)와 배지부(20) 사이에,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1)와, 화상형성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와, 전원 유닛(13)을 구비하고 있 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는 앞서 설명한 각 장치구성부에 용지(P)를 안내하기 위한 반송로와, 용지(P)를 협지(挾紙)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 U는 화상형성장치(10)의 상측을 나타내고, 화살표 F는 앞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L은 좌측 방향(장치 정면으로부터 봐서)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에는 급지 트레이(14)의 선단측 (도 1에서는 좌단측)으로부터 왼쪽 비스듬히 위를 향해 완만하게 만곡한 제 1 급지 반송로(80)가 설치되어 있고, 급지 트레이(15)의 선단측(도 1에서는 좌단측)으로부터 왼쪽 비스듬히 위를 향해 완만하게 만곡한 제 2 급지 반송로(8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치 전면측에 입력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입력 트레이의 투입구(21)로부터 오른쪽 비스듬히 위를 향해 완만하게 만곡한 제 3 급지 반송로(8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급지 반송로는, 급지 트레이(14)보다 상측에 설치된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4)의 앞(하측)에서 합류하고 있다.
급지 트레이(14)의 선단측의 바로 위에는 용지(P)의 윗면의 선단측을 압접하도록 급지 롤러(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급지 롤러(16)보다 좌측에는 급지 롤러(16)에 압접하는 분리 롤러(18)가 설치되어 있다. 급지 롤러(16)는 급지 트레이(14)의 가장 위에 있는 용지(P)를 픽업(pick up)하고, 용지(P)를 분리 롤러(18) 사이에 통과시켜서, 제 1 급지 반송로(80)로 송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분리 롤러(18)는 급지 롤러(16)에 의해 픽업된 용지(P)를 처리(복수매 픽업한 경우에 처리(분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급지 트레이(15)의 선단측의 바로 위에는 용지(P) 윗면의 선단측을 압접하도록 급지 롤러(17)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급지 롤러(17)보다 좌측에는 급지 롤러(17)에 압접하는 분리 롤러(19)가 설치되어 있다. 급지 롤러(17)는 급지 트레이(15)의 가장 위에 있는 용지(P)를 픽업하고, 용지(P)를 분리 롤러(19) 사이에 통과시켜서, 제 2 급지 반송로(82)로 송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분리 롤러(19)는 급지 롤러(17)에 의해 픽업된 용지(P)를 처리(복수매 픽업한 경우에 처리(분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 2 급지 반송로(82) 위에는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5)가 설치되어 있고, 레지스트 롤러(25)는 제 2 급지 반송로(82)로 보내진 용지(P)를 협지 반송하여 레지스트 롤러(24)로 송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에는 레지스트 롤러(24)로부터 화상형성부(11)의 후술하는 정착 장치(60)를 향해서 상측으로 연장하는 화상형성 반송로(86)가 설치되어 있고, 이 화상형성 반송로(86)에는 용지(P)를 정전 흡착하여 정착 장치(60)로 반송하는 무단(無端; endless) 반송 벨트(26)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26)는 상측에 배치된 연행 롤러(27)와, 하측에 배치된 연행 롤러(29)에 이끌려져 있고, 연행 롤러(27) 및 연행 롤러(29)의 어느 한쪽이 소정 방향(도 1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반송 벨트(26)가 소정 방향(도 1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순환 구동)하게 되어 있다.
반송 벨트(26)의 화상형성 반송로(86)의 상류측(간단히「상류측」이라고 할 경우도 있음)에는, 반송 벨트(26)의 표면 위를 대전시킴과 동시에, 반송 벨트(26)로 정전 흡착된 용지(P)를 반송 벨트(26)로 누르는 대전 롤러(31)가 반송 벨트(26)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형성 반송로(86)를 사이에 끼고, 반송 벨트(26)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옐로(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의 각색에 대응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화상형성 반송로(86)를 따라, 대략 수직방향으로 종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형성부(1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는 각각 소정 방향(도 1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감광체 드럼(30)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30)의 회전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각각 감광체 드럼(30) 위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장치인 대전 롤러(32)와, 대전한 감광체 드럼(30)을 노광하여 감광체 드럼(30) 위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34)와, 감광체 드럼(30) 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각 색의 토너를 부착시켜서 현상하는 현상 장치인 현상 롤러(36)와,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30)을 제전(除電)하는 제전 장치인 제전 브러시(37)와, 제전된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청소 장치인 클리닝 브레이드(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 브레이드(38)로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토너는, 오거(auger)(35)에 의해 일측으로 반송되고, 도시되지 않은 토너 회수박스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전 롤러(32) 및 현상 롤러(36)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좌측 방향(장치 전방)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광 장치(34)는 구체적으로는, 케이싱(50) 내에 반도체 레이저(도시 생략), 폴리곤 미러(polygon mirror)(52), 결상 렌즈(54), 및 미러(56)가 설치되어 있고,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광(光)은 폴리곤 미러(52)로 편향 주사되어, 결상 렌즈(54)와 미러(56)를 통해 감광체 드럼(30)에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감광체 드럼(30)에, 화상정보에 대응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30)의 앞방향의 반송 벨트(26)의 내주측에는, 각각 감광체 드럼(30) 위에 형성된 토너 상(像)을 용지(P) 소정의 전사 위치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39)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형성 반송로(86)의 하류측(단순히「하류측」이라고 할 경우도 있음)에는, 전사된 토너 상을 용지(P)에 정착시키는 정착부인 정착 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착 장치(60)는 가열 롤러(62)(일측 반송부재의 일례)와, 이 가열 롤러(62)에 압접된 가압 롤러(64)(타측 반송부재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고, 가열 롤러(62)와 가압 롤러(64) 사이에 형성된 닙부(nip portion)(66)로 용지(P)를 통과시킴으로써 용지(P) 위의 토너가 용융해서 전사된 토너 상(像)(미정착의 토너 상)이 정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에는 정착 장치(60)로 정착 처리된 용지(P)를 배지구(俳紙口)(40)로 안내하기 위한 제 1 용지 반송로(88)(제 1 반송로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배지구(40)에는 정전(正轉) 또는 역전(逆轉)가능한 구동 모터(41)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배출 롤러(42)(배출 부재의 일례)와, 배출 롤러(42)의 하부측에 압접되는 누름 롤러(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롤러(44)는 누름 롤러(44)보다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46)(도 5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 배출 롤러(42)에 압접되어 있고, 배출 롤러(42)를 따라 돌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쇄(화상형성) 종료시, 용지(P)는 제 1 용지 반송로(88)를 통과하고, 배출 롤러(42)와 누름 롤러(44)에 의해 협지 반송되어서 배지구(40)로부터 배지부(20)로 배출된다.
또한, 배지구(40)의 앞쪽에는 도시되지 않은 용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배지구(40)에서의 용지(P)의 유무를 검지하게 되어 있다.
양면 인쇄의 경우, 한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배출 롤러(42)와 누름 롤러(44)에 의해 협지 반송하고, 용지(P)의 선단부분이 배지구(40)로부터 외부로 배출된 부근에서 배출 롤러(42)를 역전시켜(구체적으로는 구동 모터를 역전시킴), 용지(P)를 후단부로부터 후술하는 제 2 용지 반송로(90)(제 2 반송로의 일례)로 되돌려 보내게 되어 있다. 또한, 배출 롤러(42)의 역전 타이밍은, 용지 센서에 의한 용지(P)의 검지가 유(有)로부터 무(無)로 됨과 동시에 역전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출 롤러의 역전 타이밍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 중의 용지(P) 사이즈와 반송 속도에 의거하여 역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 2 용지 반송로(90)는 제 1 용지 반송로(88)보다 상측을 통과하고, 화상형성 반송로(86)보다 좌측(장치 전방측)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2 용지 반송로(90)에는 용지(P)를 하측으로 협지 반송하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한 쌍의 반송 롤러(48)가 배치되어 있고, 양면 인쇄의 경우 한 면에 화 상이 형성된 용지(P)는 제 2 용지 반송로(90)에 인도되고, 복수의 반송 롤러(48)에 의해 하측으로 반송되어 레지스트 롤러(24)로 되돌려 보내진다.
다음, 정착 장치(6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정착 장치(60)는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고, 이 하우징에 전술한 가열 롤러(62), 가압 롤러(64), 배출 롤러(42), 누름 롤러(44) 및 스프링(4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가열 정착을 한 후의 용지(P)를 가열 롤러(62)로부터 박리하는 박리 가이드(70) 및 제 1 용지 반송로(88)와 제 2 용지 반송로(90)를 구성하는 개폐 반송로 부재인 페이퍼 슈트(paper shoot)(200)가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정착 장치(60)의 하우징에는 배출 롤러(42)의 상측에 이 배출 롤러(42)를 덮는 커버(300)(덮개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 가이드(70)는 가열 롤러(62)의 상측에 배치되고,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박리 가이드(70)의 선단(70A)은 가열 롤러(62)에 근접해 있어서, 가열 정착한 후의 용지(P)를 가열 롤러(62)로부터 박리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박리 가이드(70)의 한쪽 면(장치 전방측의 면)은 제 1 용지 반송로(88)의 반송로면(70B)을 이루고 있다. 이 반송로면(70B)에는 제 1 용지 반송로(88)를 따라 연장된 리브(rib)(72)가 가열 롤러(62)의 축방향에 병렬해서 복수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퍼 슈트(200)는 만곡한 코어재(202)를 구비하고 있고, 코어재(202)의 축방향의 양단부에는 측벽(20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측벽(204)의 일단부(도면에서는 좌단부)에는 측벽(204)을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 지하는 회전축(205)이 설치되어 있다. 페이퍼 슈트(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정착 장치(60)의 가열 롤러(62) 및 가압 롤러(64)로 억세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코어재(202)에는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삼각형 형상인 리브(206)가 축방향(회동축(205)의 축방향)에 병렬하여 복수 설치되어서, 가열 롤러(62) 및 가압 롤러(64)를 덮고 있다. 또한, 코어재(202)의 윗면에 위치한 리브(206)는 제 2 용지 반송로(90)의 반송로면(207)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2 용지 반송로(90)를 통과하는 용지(P)와 페이퍼 슈트(200)의 반송로면(207)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감소하고, 용지(P)가 제 2 용지 반송로(90)를 부드럽게 지나간다.
또한, 페이퍼 슈트(200)는 제 1 용지 반송로(88) 위에 용지(P)가 없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체 중량으로 리브(206)의 선단부가 박리 가이드(70)의 리브(72) 사이에 밀쳐 들어가 있다. 또한, 가열 롤러(62)와 가압 롤러(64)의 닙부(66)로부터 용지(P)가 송출되면, 송출된 용지(P)에 의해 페이퍼 슈트(200)의 리브(206)의 선단부가 밀려 올려지고, 용지(P)는 제 1 용지 반송로(88)를 통과하여 배지구(40)로 보내진다. 또한, 용지(P)를 반전(反轉)할 때는 배출 롤러(42)를 역전시켜서 페이퍼 슈트(200)의 반송로면(207) 위로 용지(P)를 되돌려 보낸다.
또한,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퍼 슈트(200)의 한쪽 측벽(204)에는 반송로면(207)으로 연장하도록 핸들(20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핸들(208)은, 평면에서 볼 때 평탄한 평판부(208A)와, 평판부(208A)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08D)와, 이 경사부(208D)의 단부로부터 커버(300) 위로 연장하여 커버(300)에 근접하는 파지부(208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208)은 페이퍼 슈트(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핸들(208)의 밑면(본 실시예에서는 평판부(208A)의 밑면)에는 제 2 용지 반송로(90)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209)가 축방향에 병렬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209)는, 후술하는 듀플렉스 유닛(duplex unit)(214)의 리브(216)보다 제 2 용지 반송로(90)측으로 돌출해 있다.
또한, 핸들(208)의 측부에는 측판(210)이 세워져 있고, 측판(210)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11)에는, 후술하는 닙 해제 레버(220)(이간 기구의 일례)의 돌기(222)가 접촉하고 있다.
또한, 파지부(208B)의 윗면에는 파지부(208B)의 미끄럼 방지용으로서, 요철부(208C)가 형성(본 실시예에서는 너렛(knurled) 가공의 요철)되어 있다. 또한, 핸들(208)의 평판부(208A)의 윗면에는 핸들(208)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작 라벨(212)이 붙여져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퍼 슈트(200)의 상측에는 페이퍼 슈트(200)에 대향해서 듀플렉스 유닛(214)(반송로 부재의 일례)이 배치되어 있다. 이 듀플렉스 유닛(214)은 화상형성장치(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방향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L자 모양이며, 화상형성장치(10)의 사용시에는 페이퍼 슈트(200)를 덮고, 페이퍼 슈트(200)와의 사이에 제 2 용지 반송로(90)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듀플렉스 유닛(214)의 이면(裏面)(214A)에는, 제 2 용지 반송로(90)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216)가 축방향에 병렬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듀플렉스 유닛(214)에는 핸들(208)의 적어도 파지부(208B)를 수용하는 사각형 모양의 절결부(2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결부(218)는 듀플렉스 유닛(214)의 선단의 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듀플렉스 유닛(214)에 파지부(208B)를 수용한 상태에서, 리브(209)는 듀플렉스 유닛(214)의 리브(216)보다 제 2 용지 반송로(90)측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양면 인쇄시에 배지구(40)로부터 제 2 용지 반송로(90)로 되돌려 보내진 용지(P)의 후단이 리브(209)와 리브(216)의 단차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롤러(64)의 양단부에는 가압 롤러(6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2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230)는 가압 롤러(64)의 회전축보다 왼쪽 비스듬히 아래에 회전축(230A)을 가지고 있고, 이 회전축(230A)을 통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230)의 오른쪽 비스듬하게 위에는 관통공(231)이 설치되어 있고, 이 관통공(231)에는 스프링(232)의 일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232)은 타단부가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고, 가압 롤러(64)를 가열 롤러(62)에 압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도 5 및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에는 핸들(208)에 인접하여 닙 해제 레버(2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닙 해제 레버(220)는 하우징에 회전축(225)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측면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원기둥 모양의 돌기(2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기(222)는 측판(210)의 경사면(211)에 원주면이 접촉해 있다.
또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닙 해제 레버(220)는 회전축(225)보다 우측에 유저(user) 파지용의 레버부(224)를 구비하고, 회전축(225)보다 좌측에 지지 부재(230)의 후단부(230B)(도면에서는 우측단부)에 접촉하는 연장부(2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장부(226)는 회전축(225)으로부터의 거리가 좌단으로부터 상단에 걸쳐서 연장하는 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닙 해제 레버(220)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장부(226)의 돌출한 부분이 지지 부재(230)의 후단부(230B)를 좌측으로 누른다. 후단부(230B)가 밀려진 지지 부재(230)는 회전축(230A)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회전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232)이 늘려져서, 가압 롤러(64)와 가열 롤러(62) 사이의 닙이 해제된다.
또한, 닙 해제 레버(220)를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시키면, 돌기(222)가 제 1 위치(도 6a의 돌기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도 6b의 돌기 위치)로 이동한다. 돌기(222)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에, 이동하는 돌기(222)가 페이퍼 슈트(200)의 경사면(211)에 따라 핸들(208)을 들어 올리고, 파지부(208B)가 커버(30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핸들(208)과 함께 페이퍼 슈트(200)의 리브(206)의 선단부도 일으켜지기 때문에 페이퍼 슈트(200)가 열리고, 가압 롤러(64)와 가열 롤러(62) 사이의 닙이 해제된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7 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P)가 막혀서 가열 롤러(62)와 가압 롤러(64)의 닙(nip)을 해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먼저 화상형성장치(10)의 커버(10A)를 개방하고 커버(10A)와 함께 듀플렉스 유닛(214)을 개방한다.
다음, 닙 해제 레버(220)의 레버부(224)를 파지하고 반시계 회전(도 6a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230)가 회전축(230A)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것에 따라 가압 롤러(64)가 가열 롤러(6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열 롤러(62)에의 가압 롤러(64)의 압접이 해제된다. 이 때,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돌기(222)에 의해 핸들(208)을 들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핸들(208)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파지하기가 용이해 진다.
다음, 핸들(208)의 파지부(208B)를 손으로 잡고, 페이퍼 슈트(200)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용지 반송로(88)가 개방되고 가열 롤러(62)와 가압 롤러(64)의 압접이 해제된 부분으로부터 막힌 용지(P)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닙 해제 레버(220)로 가열 롤러(62)와 가압 롤러(64)의 압접을 해제한 후가 아니면, 핸들(208)의 파지부(208B)를 잡기 어려운 상태로 함으로써, 유저가 가열 롤러(62)와 가압 롤러(64)의 압접을 해제하는 것을 잊은 상태에서 페이퍼 슈트를 개방하고 막힌 용지(P)를 강제로 제거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막힌 용지(P)를 제거함에 있어서, 가열 롤러(62)와 가압 롤러(64)의 닙을 해제할 경우의 조작 순서를 규정함으로써 가열 롤러(62)와 가압 롤러(64)를 이간하는 것을 잊는 일이 없도록 한다. 또한, 가열 롤러(62)로부터의 열로 핸들(208)이 가열되어 있어도, 닙 해제 레버(220)를 회전하는 동작 후에, 커버(300)로부터 들어올려진 핸들(208)의 파지부(208B)를 손으로 잡아서 페이퍼 슈트(200)를 개방하기 때문에, 닙 해제 레버(220)를 회전하는 동작 없음으로 인해 핸들의 파지 부를 직접 잡는 경우와 비교하여, 파지부(208B)의 온도가 저하하고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핸들(208)이 평판부(208A), 경사부(208D), 파지부(208B), 및 요철부(208C)로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208)의 경사부(208D) 및 파지부(208B)의 제 1 용지 반송로(88)의 내측 측면에, 제 1 용지 반송로(88)측으로 연장하는 벽부(302)를 설치하여서, 닙 해제 레버(220)를 회전하기 전에 핸들(208)의 파지부(208B)를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페이퍼 슈트(200)에 핸들(208)을 형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반송로를 형성하는 부재(반송로 부재)의 어느 곳에도 본 발명의 반송로 구조를 적용하여 핸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예는 일례이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인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 1 실시예인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용지 반송로를 통과 가능하게 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인 화상형성장치의 제 2 용지 반송로를 통과 가능하게 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인 화상형성장치의 반송로 부재를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예인 화상형성장치의 반송로 부재를 연 상태에서의 개폐 반송로 부재를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
도 6a는 제 1 실시예인 닙(nip) 해제 레버를 닫아서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를 압접시킨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6b는 제 1 실시예인 닙 해제 레버를 열어서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의 압접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예인 화상형성장치의 개폐 반송로 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제 1 실시예인 개폐 반송로 부재의 핸들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반송로 부재를 연 상태에서의 개폐 반송로 부재를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부
12: 제어부 13: 전원 유닛
14, 15: 급지 트레이 16, 17: 급지 롤러
18, 19: 분리 롤러 20: 배지부
21: 투입구 24, 25: 레지스트 롤러
26: 반송 벨트 27, 29: 연행 롤러
30: 감광체 드럼 31, 32: 대전 롤러
34: 노광 장치 35: 오거(auger)
36: 현상 롤러 37: 제전 브러시
38: 클리닝 브레이드 39: 전사 장치
40: 배지구(俳紙口) 50: 케이싱
60: 정착 장치 70: 박리 가이드
80: 제 1 급지 반송로 82: 제 2 급지 반송로
88: 제 1 용지 반송로 90: 제 2 용지 반송로

Claims (8)

  1. 기록 매체를 협지(挾紙)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부재 중, 한쪽의 반송부재로부터 다른쪽의 반송부재를 이간(離間)시키는 이간 기구와,
    상기 반송부재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한쪽 면이 상기 반송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제 1 반송로가 되는 개폐 반송로 부재와,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의 다른쪽 면과의 사이에 제 2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로 부재와,
    상기 제 2 반송로 위로 연장되도록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반송로로부터 송출(送出)된 상기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배출 부재를 덮는 덮개 위로 연장된 핸들과,
    상기 이간 기구에 의해 한쪽의 상기 반송부재로부터 다른쪽의 상기 반송부재가 이간하면 상기 핸들을 상기 덮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포함하는 반송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 기구는 한쪽의 상기 반송부재로부터 다른쪽의 상기 반송부재가 이간하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핸들은 상기 돌기에 접촉하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돌기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핸들을 덮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반송로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개폐 반송로 부재의 다른쪽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 2 반송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돌벽(突壁)을 갖는 반송로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 부재는 상기 핸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절결부를 갖는 반송로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파지 부분의 윗면에 요철을 갖는 반송로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반송부재는 현상제 상(像)이 전사된 상기 기록 매체를 가열하는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다른쪽의 상기 반송부재는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가열 부재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반송로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반송로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반송로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송로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현상제 상(像)을 전사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기록 매체에 전사된 상기 현상제 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와,
    상기 정착부로부터 상기 제 1 반송로를 통과하여 선단부가 상기 배출 부재를 빠져 나간 상기 기록 매체를, 소정의 시기에서 상기 배출 부재를 역전시켜서 후단부로부터 제 2 반송로로 되돌려 보내는 기록 매체 반전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85994A 2009-03-16 2009-09-11 반송로 구조 및 화상형성장치 KR101246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62673 2009-03-16
JP2009062673A JP4760936B2 (ja) 2009-03-16 2009-03-16 搬送路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318A true KR20100105318A (ko) 2010-09-29
KR101246091B1 KR101246091B1 (ko) 2013-03-20

Family

ID=4273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994A KR101246091B1 (ko) 2009-03-16 2009-09-11 반송로 구조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88148B2 (ko)
JP (1) JP4760936B2 (ko)
KR (1) KR101246091B1 (ko)
CN (1) CN1018401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5080B2 (ja) * 2011-10-28 2016-05-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27475B2 (ja) * 2012-11-30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367024B2 (en) 2012-11-30 2016-06-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apparatus
JP6230784B2 (ja) * 2012-11-30 2017-11-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6044305B2 (ja) * 2012-11-30 2016-12-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10288B2 (ja) * 2013-09-30 2017-10-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JP2015194678A (ja) * 2014-03-18 2015-11-05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7937B2 (ja) * 1997-05-15 2004-07-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451472B2 (ja) * 1998-02-24 2003-09-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206368B1 (en) * 1998-03-17 2001-03-27 Kyocera Mita Corporation Paper transport device with one roller pair
JP3896241B2 (ja) * 1999-05-24 2007-03-22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経路切替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316017A (ja) * 2000-04-28 2001-11-13 Kyocera Mita Corp 用紙搬送装置
JP3863381B2 (ja) * 2000-04-28 2006-12-2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機
JP3805269B2 (ja) * 2002-03-13 200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案内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401789B2 (ja) * 2004-01-23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79752B2 (ja) 2004-08-30 2009-06-1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状媒体検知装置、画像形成装置
JP4533074B2 (ja) 2004-09-30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搬送装置
JP4577116B2 (ja) * 2005-06-24 2010-11-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515850B2 (en) * 2005-09-30 2009-04-07 Ricoh Company Ltd.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98616A (ja) * 2006-04-28 2007-11-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接離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68919B2 (ja) * 2007-06-0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材搬送装置
JP2009051579A (ja) * 2007-08-23 2009-03-12 Ricoh Co Ltd 記録媒体搬送経路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0172A (zh) 2010-09-22
CN101840172B (zh) 2014-08-06
JP4760936B2 (ja) 2011-08-31
US7988148B2 (en) 2011-08-02
KR101246091B1 (ko) 2013-03-20
US20100230892A1 (en) 2010-09-16
JP2010217377A (ja)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5839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246091B1 (ko) 반송로 구조 및 화상형성장치
JP515326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ユニット
JP4715619B2 (ja) 定着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303640B2 (ja) 画像形成装置
EP2586736B1 (en) Sheet-medium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72468B2 (ja) バネ取付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US8725039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cover for generating a stable nipping pressure on a conveyance roller pair
JP5505788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95341B2 (ja) 画像形成装置
JP517486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給送機構
JP20060304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86628A (ja) 画像形成装置
JP4676164B2 (ja) 画像形成装置
US8494413B2 (en) Fixing device, single-side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ouble-sided image forming apparatus
JP578591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68401A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831249B2 (ja) 画像形成装置
JP5092838B2 (ja) 搬送路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6943304B2 (ja) 複合装置
JP2006153973A (ja) 画像形成装置
US20220050412A1 (en) Post-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80867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192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52383A (ja) 手差し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