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598A -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598A
KR20100024598A KR1020080083231A KR20080083231A KR20100024598A KR 20100024598 A KR20100024598 A KR 20100024598A KR 1020080083231 A KR1020080083231 A KR 1020080083231A KR 20080083231 A KR20080083231 A KR 20080083231A KR 20100024598 A KR20100024598 A KR 20100024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teering
vehicle
spur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8008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598A/ko
Publication of KR2010002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 F16C2380/26Dynamo-electric machines or combinations therewith, e.g. electro-motors and generators
    • F16C2380/27Motor coupled with a gear, e.g. worm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6); 상기 하우징(16)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하며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52)와 상호 간섭되도록 하는 락바(12)를 포함하는 락모듈(50); 상기 하우징(16)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4); 상기 스토퍼(4)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데드록부재(6)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동키 장치, 톱니바퀴, 시동키 어셈블리, 무선 어셈블리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Apparatus for Locking Steer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도록 락바를 스티어링 샤프트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인위적으로 스티어링 락장치를 파손시키는 경우에도 락바가 스티어링 샤프트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전자가 운전을 중단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스티어링을 잠금하는 스티어링 락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티어링 락장치는 차량의 운전중단에 따른 잠금을 통해 차량의 조향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을 절도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티어링 락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여야 하는바, 이를 위해 스티어링 락장치의 케이스 등을 강제로 파손시켜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락바를 스티어링 샤프트로부터 해제시키게 된다.
이에, 전술한 스티어링 락장치, 특정적으로 스티어링 락장치의 케이스 등이 파손되어도 락바가 스티어링 샤프트로부터 해제되지 못하게 하거나, 이를 강제로 해제시키고자 하여도 절도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려 차량 절도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이 잠금상태로 유지될 때, 스티어링 락장치를 인위적으로 파손시켜 스티어링의 잠금을 해제하고자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스티어링 락장치의 락바를 고정시켜 인위적인 잠금 해제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락바가 이동되며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호 간섭이 발생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락장치의 락바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락바의 이동을 조절하는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하며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호 간섭되도록 하는 락바를 포함하는 락모듈;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데드록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과제 해결 수단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는 케이스와는 별도로 락바와 이웃하는 위치에 하우징 및/또는 케이스의 파손에 따라 락바 에 연결고정되는 데드록부재를 구비시켜 인위적인 케이스 및 하우징 파손시에 스티어링 잠금이 해제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는 락바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를 모터에 연결설치하여 모터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뒤 상기 락바가 기어의 치합에 의해 모터의 작동력을 전달받아 스티어링 샤프트로 전/후진되기 때문에, 상기 락바의 이동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하며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호 간섭되도록 하는 락바를 포함하는 락모듈;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데드록부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데드록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일측이 상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방향 확장되어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데드록 핀; 상기 데드록 핀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데드록 핀에 탄성을 제공하는 데드록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락바의 표면 일측에는 데드록부재의 데드록 핀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모듈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하며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호 간섭되는 락바; 상기 락바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이동치형이 형성된 락이동축; 외주측에 피니언 기어의 치형이 형성되고, 내주측에 상기 락이동축의 이동치형과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치형과 상대 이동되는 제 2 스퍼기어; 상기 제 2 스퍼기어의 외주 측에서 치합되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스퍼기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 측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의 잠금 해제시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의 잠금시 내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는 스티어링 락장치의 전체 외관을 제공하는 케이스(2)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하우징(16)과 상기 하우징(16)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데드록부재(6) 및 상기 하우징(16) 내부에 배치되는 락바(12)를 포함하는 락모듈(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는 스티어링 락장치의 외관을 제공하는 동시에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52)에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락바(12)가 내외하며 스티어링 샤프트(52)와 상호 간섭하도록 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2)는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되는 락모듈(50)과 상호 통신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6)은 스티어링 락장치의 케이스(2) 내부에 구비되는 락모듈(50)이 배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동시에 그 외부 일측, 특정적으로 락모듈(50)의 락바(12)가 내외하는 곳과 이웃하는 일측에 데드록부재(6)를 지지하는 스토퍼(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4)는 상기 하우징(16)의 외주면 일측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데드록부재(6)는 상기 하우징(16)의 일측, 특정적으로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4)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인위적인 케이스(2) 및/또는 하우징(16)의 파손에 의해 스토퍼(4)가 함께 파손되는 경우, 데드록부재(6)가 락바(12)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됨으로써 락바(12)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데드록부재(6)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데드록부재(6)가 락바(12)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형태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체결형태로서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상기 데드록부재(6)가 락바(12)의 일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데드록부재(6)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일측이 상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방향 확장되어 스토퍼(4)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데드록 핀(8); 상기 데드록 핀(8)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데드록 핀(8)에 탄성을 제공하는 데드록 탄성수단(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드록부재(6)에 포함된 데드록 핀(8)은 스토퍼(4)의 파손시 데드록 탄성수단(10)의 탄성력에 의해 락바(12)로 이동되어 락바(12)를 고정시키므로, 상기 락바(12)의 표면 일측에는 데드록부재(6)의 데드록 핀(8)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핀홀(14)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락모듈(50)은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을 중단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스티어링을 잠그거나 운전을 위해 시동키를 작동시킬 경우 스티어랑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락모듈(50)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하며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52)와 상호 간섭되는 락바(12); 상기 락바(12)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이동치형(40)이 형성된 락이동축(32); 외주측에 피니언 기어의 치형이 형성되고, 내주측에 상기 락이동축(32)의 이동치형(40)과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치형(40)과 상대 이동되는 제 2 스퍼기어(34); 상기 제 2 스퍼기어(34)의 외주 측에서 치합되고, 모터(18)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스퍼기어(30)로 구성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락모듈(50)은 상기 락바(12)에 고정되는 락이동축(32)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확장된 제 1 위치지시부(36)가 형성되 고; 상기 제 2 스퍼기어(34)의 후단으로 제 2 스퍼기어(34)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확장된 제 2 위치지시부(38)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제 1 위치지시부(36) 및 제 2 위치지시부(38)와 접촉하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감지센서(44) 및 제 2 감지센서(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감지센서(44) 및 제 2 감지센서(46)는 인쇄회로기판(22)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2)은 모터(18)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 1 감지센서(44) 및 제 2 감지센서(46)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근거로 모터(18) 회전을 제어하여 락바(12)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락모듈(50)은 상기 하우징(16)과 상기 제 2 스퍼기어(34) 사이 또는 상기 하우징(16)과 제 2 위치지시부(38) 사이에 탄성수단(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락모듈(50)은 상기 모터(18)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24)와, 상기 웜기어(24)와 치합되는 웜휠기어(26)와, 상기 웜휠기어(26)가 배치된 웜휠축(28)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퍼기어(30)는 상기 웜휠축(28)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락모듈(50)의 구성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락모듈(50)은 하우징(16)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의 커넥터와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2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2)이 안착되는 하우징(16)과, 상기 하우징(16)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18)와, 상기 모터(18)의 모터축(20)에 배치된 웜기어(24)와, 상기 웜기어(2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웜휠기어(26)와, 상기 웜휠기어(26)의 웜휠축(28)에 배치된 제 1 스퍼기어(30)와, 전/후진하며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52)와 상호 간섭되는 락바(12)와, 상기 락바(12)에 연결설치되고 외주면에 이동치형(40)이 형성된 락이동축(32), 상기 락바(12) 및 락이동축(32) 사이에 락이동축(32)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확장된 제 1 위치지시부(36), 상기 락이동축(32)에 구비된 이동치형(40)과, 상기 이동치형(40)과 치합되어 상호 작용되고 상기 제 1 스퍼기어(30)와 치합된 제 2 스퍼기어(34)와, 상기 제 2 스퍼기어(34)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되 제 2 스퍼기어(34)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확장된 제 2 위치지시부(28) 및 상기 하우징(16)과 상기 제 2 위치지시부(28) 사이에 상기 제 2 위치지시부(28)를 지지하는 탄성수단(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2)에는 상기 스티어링 락장치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6)에 고정되며, 커넥터를 통해 차량의 전자제어유닛(ECU, 미도시)과 통신한다.
상기 하우징(16)은 케이스(2)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18)가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 모터(18)의 모터축(20)에는 상기 웜기어(24)가 배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웜기어(24)는 상기 웜휠축(28)에 배치된 웜휠기어(26)와 치합되어 상기 웜휠기어(26)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모터축(20)과 상기 웜휠축(28)은 상기 웜기어/웜휠기어(24)(26)의 작동원리에 따라 직교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웜휠축(28)에는 상기 제 1 스퍼기어(30)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퍼기어(30)는 상기 웜휠축(28)에 고정되며, 상기 웜휠축(28)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2 스퍼기어(34)는 외주면에 상기 제 1 스퍼기어(30)와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락이동축(32)의 이동치형(40)과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스퍼기어(3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 2 스퍼기어(34)는 내주 측에 위치된 상기 락이동축(32)의 이동치형(40)에 상기 제 1 스퍼기어(30)의 작동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치형(40) 및 상기 제 2 스퍼기어(34)의 치합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의 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락이동축(32)은 상기 이동치형(40)의 이동거리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고, 상기 락이동축(32)과 결속된 제 1 위치지시부(36) 및 락바(12)도 함께 이동된다. 한편, 상기 락바(12), 제 1 위치지시부(36) 및 상기 락이동축(32)은 각각의 부재로 형성되었으나, 이와 달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락모듈(50)은 상기 락바(12)의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락바(12)에 연결설치된 제 1 위치지시부(36)의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감지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제 2 스퍼기어(34)의 후단으로 제 2 위치지시부(36)를 더 구비시켜 실질적인 락바(12)의 이동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위치지시부(36)는 락바(12)에 고정되는 락이동축(32)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확장되고, 상기 제 2 위치지시부(38)는 제 2 스퍼기어(34)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확장되어 구비되며, 그 하단에 각각의 제 1 위치지시부(36) 및 제 2 위치지시부(38)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44) 및 제 2 감지센서(46)가 구비,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22)의 상단에 구비된다.
특정적으로, 상기 제 1 감지센서(44)는 상기 락바(12)의 최대 전진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제 2 감지센서(46)는 상기 락바(12)의 최대 후진거리를 감지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의 외주면에는 상기 락바(12)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홈(54)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54)에 삽입된 상기 락바(12)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가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54)을 형성시키는 걸림산(56)이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터축(20)과 웜휠축(28)을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웜휠축(28)과 상기 락이동축(3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스퍼기어(30) 및 제 2 스퍼기어(34)를 통해 연결시킬 수 있고, 상기 락이동축(32) 상에 탄성수단(42)를 배치시켜 상기 락이동축(32)의 전진 시 상기 락이동축(32)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키박스(미도시)에서 시동키를 빼거나 리모콘(미도시)을 통해 시동을 끄면,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2)의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상기 스티어링 락장치를 작동시켜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절도범 등이 상기 스티어링이 잠금상태로 유지되는 차량을 절도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스티어링 락장치의 케이스(2) 및/또는 그 내부에 구비된 하우징(16)을 파손시키게 되면, 상기 하우징(16)의 외주면에 구비된 스토퍼(4)가 함께 파손된다.
그 다음, 상기 스토퍼(4)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데드록부재(6)의 데드록 핀(8)의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데드록 핀(8)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데드록 탄성수단(10)에 의해 데드록 핀(8)이 락바(12)의 표면 일측에 구비된 핀홀(14)에 삽입되어 락바(12)를 고정시켜 스티어링의 잠금해제를 방지한다.
한편, 전술한 데드록부재(6)의 작동과 별도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장치에 포함된 락모듈(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티어링 락장치의 락모듈(50)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를 "잠금"하는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끄면,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2)의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상기 스티어링 락장치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신호를 받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18)를 작동시키고, 상기 모터(18)의 작동에 의해 모터축(20)을 회전시키고, 상 기 모터축(20)에 배치된 웜기어(24)가 회전된다.
그 다음, 상기 웜기어(24)와 치합된 웜휠기어(26)가 회전되면서 상기 웜휠축(28)에 고정된 제 1 스퍼기어(3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1 스퍼기어(30)와 치합된 제 2 스퍼기어(34)가 회전된다.
그 다음, 상기 제 2 스퍼기어(34)가 회전되면, 상기 제 2 스퍼기어(34)의 내주면 측에 치합된 이동치형(40)이 회전되고, 상기 이동치형(40) 및 상기 제 2 스퍼기어(34)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치형(40)에 고정된 락이동축(32) 및 상기 락이동축(32)에 연결설치된 제 1 위치지시부(36)가 스티어링 샤프트(52)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위치지시부(36)의 하단에 구비된 제 1 감지센서(44)의 위치까지 또는 제 1 감지센서(44)의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이동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감지센서(44)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18)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감지센서(44)의 감지 신호는 제 1 위치지시부(36)와 접촉 또는 비접촉에 따라 모터(18)의 정지 신호를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고, 상기 락바(12)는 상기 락이동축(32)의 전진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54)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제 2 스퍼기어(34)와 하우징(16) 사이 또는 제 2 위치지시부(38)와 하우징(16) 사이에 배치된 탄성수단(42)은 상기 제 2 스퍼기어(34)를 상기 락바(12)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동치형(40)과 상기 제 2 스퍼기어(34)의 상대 운동 시 상기 제 2 스퍼기어(34)가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이동치형(40)과 상기 제 2 스퍼기어(34)가 상대 이동될 때, 상기 이동치형(40)과 상기 제 2 스퍼기어(34)의 치형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제 2 스퍼기어(34)가 락바(12)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이동되려는 분력을 받게되며, 상기 탄성수단(42)은 상기 제 2 스퍼기어(34)를 지지하여 상기 락이동축(32)이 원활하게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락바(12)에 상기 락이동축(32)의 축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락이동축(32)은 상기 탄성수단(42)을 압축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락모듈의 락바(12)가 이동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의 걸림산(56)에 위치된 경우,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의 "잠금"과정을 설명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상기 락바(12)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락바(12)는 상기 걸림홈(54) 또는 상기 걸림산(56)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락바(12)가 상기 걸림산(56)에 위치된 경우,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와 상기 락바(12) 사이에는 상호걸림이 발생되지 않지만, 상기 탄성수단(42)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이때, 운전자가 상기 핸들을 회전시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가 회전되면, 상기 락바(12)의 위치에 상기 걸림홈(54)이 위치되고, 상기 락이동축(32)/제 2 스퍼기어(34)를 지지하는 탄성수단(42)에 의해 상기 락바/락이동축/락스토퍼/제 2 스퍼기어가 상기 걸림홈(54)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모듈은 상기 락바(12)가 잘못된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탄성수단(42)에 의해 상기 락바(12)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52) 간의 잠 금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락모듈(50)의 후진과정은 상기 전진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는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 락모듈(50)의 후진과정에서 제 2 스퍼기어(34) 및 탄성수단(42) 사이에 제 2 위치지시부(38)는 그 하단에 구비된 제 2 감지센서(46)의 위치까지 또는 제 2 감지센서(46)의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이동되면,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감지센서(46)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18)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2 감지센서(46)의 감지 신호는 제 2 위치지시부(38)와 접촉 또는 비접촉에 따라 모터(18)의 정지 신호를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락바(12)의 전진 또는 후진을 감지하기 위해 제 1 감지센서(44) 및 제 2 감지센서(46)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락바(12)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감지 신호의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 측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의 잠금 해제시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의 잠금시 내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 : 케이스 4 : 스토퍼
6 : 데드록부재 8 : 데드록 핀
10 : 데드록 탄성수단 12 : 락바
14 : 핀홀 16 : 하우징
18 : 모터 20 : 모터축
22 : 인쇄회로기판 24 : 웜기어
26 : 웜휠기어 28 : 웜휠축
30 : 제 1 스퍼기어 32 : 락이동축
34 : 제 2 스퍼기어 36 : 제 1 위치지시부
38 : 제 2 위치지시부 40 : 이동치형
42 : 탄성수단 44 : 제 1 감지센서
46 : 제 2 감지센서 48 : 스티어링 락장치
50 : 락모듈 52 : 스티어링 샤프트
54 : 걸림홈 56 : 걸림산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하며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호 간섭되도록 하는 락바를 포함하는 락모듈;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데드록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록부재가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일측이 상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방향 확장되어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데드록 핀; 상기 데드록 핀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데드록 핀에 탄성을 제공하는 데드록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바의 표면 일측에 데드록부재의 데드록 핀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모듈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하며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호 간섭되는 락바; 상기 락바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이동치형이 형성된 락이동 축; 외주측에 피니언 기어의 치형이 형성되고, 내주측에 상기 락이동축의 이동치형과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치형과 상대 이동되는 제 2 스퍼기어; 상기 제 2 스퍼기어의 외주 측에서 치합되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스퍼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락바에 고정되는 락이동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확장된 제 1 위치지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퍼기어의 후단으로 제 2 스퍼기어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확장된 제 2 위치지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제 1 위치지시부 및 제 2 위치지시부와 접촉하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감지센서 및 제 2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센서 및 제 2 감지센서가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모터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 1 감지센서 및 제 2 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근거로 모터 회전을 제어하여 락바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센서는 상기 락바의 최대 전진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제 2 감 지센서는 상기 락바의 최대 후진거리를 감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락모듈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 스퍼기어 사이에 탄성수단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락모듈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는 웜휠기어와, 상기 웜휠기어가 배치된 웜휠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퍼기어는 상기 웜휠축에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KR1020080083231A 2008-08-26 2008-08-26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KR20100024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231A KR20100024598A (ko) 2008-08-26 2008-08-26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231A KR20100024598A (ko) 2008-08-26 2008-08-26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598A true KR20100024598A (ko) 2010-03-08

Family

ID=4217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231A KR20100024598A (ko) 2008-08-26 2008-08-26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5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1915A (ja) * 2016-06-30 2018-01-1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ロック・舵角検出複合装置
JP2018001916A (ja) * 2016-06-30 2018-01-1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ロック・舵角検出複合装置
KR20230089898A (ko) * 2021-12-14 2023-06-21 배건우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1915A (ja) * 2016-06-30 2018-01-1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ロック・舵角検出複合装置
JP2018001916A (ja) * 2016-06-30 2018-01-1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ロック・舵角検出複合装置
KR20230089898A (ko) * 2021-12-14 2023-06-21 배건우 이동식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822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EP1946981B1 (en) Electric steering-lock device
CN101280644B (zh) 圆筒锁机装置
JP6889526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7906867B2 (en) Power steering lock apparatus
JP6325207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20100024598A (ko) 차량용 스티어링 락장치
JP2008105603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12111354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833383B1 (ko)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
KR101463512B1 (ko) 세탁기용 도어락 장치
EP3162642B1 (en) Steering lock device
JP4051925B2 (ja) ロック機構を具える車両用操舵装置
JP2012011788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102371970A (zh) 用于使能移动的闭锁件移位的装置
CN107150655B (zh) 锁止设备
JP6075828B2 (ja) 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JP6367678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6022890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967813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62949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980515B1 (ko) 차량의 스티어링 락 장치
JP5283603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6775291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733455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