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224A -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224A
KR20090105224A KR1020080030551A KR20080030551A KR20090105224A KR 20090105224 A KR20090105224 A KR 20090105224A KR 1020080030551 A KR1020080030551 A KR 1020080030551A KR 20080030551 A KR20080030551 A KR 20080030551A KR 20090105224 A KR20090105224 A KR 2009010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lotion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웅
조병기
홍은숙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코리아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03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5224A/ko
Publication of KR2009010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2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하수오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며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활성 또한 우수하고, 특히 세포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수오 추출물, 레스베라트롤, 미백,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The skin bleaching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 50 중량%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하수오 추출물로 인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세포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하며 생화학적이고 물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이 조직은 크게 3가지 즉,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그리고, 피하(hypodermis)로 나누어진다. 멜라닌은 피부의 표피층에 존재하는 색소로서,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로부터 만들어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생체 내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고, 다만 케라티노사이트가 표피에서 떨어져나갈 때 같이 피부에서 떨어져나가는 것으로 제거된다.
멜라닌 합성 과정을 살펴보면,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노좀이라는 소포체에서 먼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티로신이 도파(DOPA)를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되고,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동 산화 반응과 효소 반응으로 도파크롬(DOPAchrome)을 거쳐 흑갈색의 공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을 통해 케라티노사이트로 옮겨지고 여기에서 약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 표면으로 나와 각질과 함께 소실된다.
멜라닌은 햇빛 UV의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UV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진피 이하의 피부 기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유해산소 및 프리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피부 세포 내의 멜라닌 양에 따라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한다. 멜라닌 색소가 많은 사람은 갈색 또는 검은 색 피부를 갖는 반면, 멜라닌 색소가 적은 사람은 흰색의 피부를 갖게 된다.
그러나,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면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변이 유발되고, 반대로 일광, 호르몬변화, 염증, 약제 등에 의해 멜라닌이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각화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멜라닌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으면 피부에 손상을 줄 뿐 만 아니라 피부의 색소가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며, 이와 같은 병변으로부터 나아가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색소 침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 과정의 일부분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오늘날 동양권의 여성들은 백옥같이 하얗고 깨끗한 피부를 선호하며 이를 미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피부색소 이상침착의 치료 및 미용욕구 충족을 위한 미백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피부미용을 위한 미백제의 개발에 있어서, 생성된 멜라닌 색소를 환원시켜 탈색하는 방법과 멜라닌 색소를 형성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멜라닌 색소를 환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토코페롤이나 비타민류 등을 사용한 미백제는 멜라닌 색소의 탈색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저해제가 주목받고 있다.
종래의 화장품 분야에서는 미백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처방계 중에서의 안정성이 나빠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코지산은 티로시나제의 활성부위에 존재하는 구리이온을 흡착시켜 효소활성을 저해하지만, 화장품에 배합 시 불안정성, 피부 부작용의 문제 및 최근 동물실험 결과 간암유발이 밝혀져 화장품 원료로 사용이 중지되었다. 비타민-C 및 그 유도체는 산화가 잘되는 불안정성 때문에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이 어려우며, 하이드로퀴논은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는 탁월하지만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성질, 멜라닌 생성 세포에 대한 독성, 피부에의 영구 탈색화 등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높으며, 최근 발암성 물질로 규정되어 사용이 금지되어 각 나라별로 제한적인 농도만 허가하고 있다. 또한, 알부틴은 하이드로퀴논에 글루코피라노사이 드(Glucopyranoside)가 결합된 유도체로 하이드로퀴논 사용 시 나타나는 부작용이 적으면서 인체에 대한 독성은 없이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멜라닌 색소 침착이 증가되는 피부질환의 치료제로서 이용가능성이 제시되었으나, 피부효소에 의해 일부 분해되는 단점이 있다.
이들 미백물질들 외에 천연물 특히 식물 중에서 미백활성성분을 찾기 위한 연구도 계속 이루어져왔고, 그 중 상백피(일본공개특허 소 55-44375호, 소 64-26507호, 소 64-83009호, 평 1-25687호, 평 5-139950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09호, 제97-021273호), 감초(일본공개특허 소 60-214721호, 소 60-214728호, 소 63-23809호, 소 64-63506호, 평 1-149706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09호, 제97-025601호), 작약(일본공개특허 소 61-246109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11호), 계피(일본공개특허 소 63-30403호, 평 5-139954호), 고삼(일본공개특허 소 64-26507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10호), 갈근(일본공개특허 소 60-214727호, 소 64-16709호), 당귀(일본공개특허 소 56-92211호, 평 4-26610호), 목단피(일본공개특허 소 60-214721호, 소 61-50915호, 소 61-246109호), 반하(일본공개특허 평 2-20702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6-033442호), 알로에(일본공개특허 소52-44375호, 평 2-207030호, 평 5-139950호)등 다수의 식물추출물 및 생약재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아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이들 역시 안전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유효농도 이상으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아직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며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활성 또한 우수하고, 특히 세포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되는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 50 중량%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하수오 추출물로 인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세포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자 등은 중국이 원산이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약용으로 흔히 재배되고 있는 식물인 하수오의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하수오 추출물에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레스베라트롤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하수오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고,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며, 항산화 효과가 있어,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하수오 추출물로 인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세포독성이 거의 나 타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하수오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 50 중량% 함유된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는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랫동안 재배되고 있는 덩굴성 약용식물이다. 키는 3~4m에 이르며 뿌리는 옆으로 길게 뻗어 종종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심장형의 잎은 길이가 약 3~6㎝, 너비가 2.5~4.5㎝ 정도로 어긋나며, 잎자루와 턱잎[托葉]이 있지만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8~9월에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장이다. 열매는 길이가 2.5㎜ 정도로 세모진 난형이고 윤기가 난다.
붉은빛을 띤 갈색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하수오라고 하며 하수오는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병 없이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여 피곤함을 없애고, 살결을 곱게 하며,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신경쇠약이나 불면증 같은 데에도 효과가 있다. 조혈 작용이 뛰어나 빈혈치료에도 좋고 여성의 생리불순, 자궁염, 만성변비 등에도 두루두루 널리 쓰인다. 또 하수오는 노인들의 기력을 돋구는 데 매우 좋은 약이다. 신장기능을 좋게 하여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게 하고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게 하며 오래 먹으면 노화를 예방한다. 중국 사람들은 하수오를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여긴다.
하수오에 많이 함유되어있는 물질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polyphenol) 계열에 속하는 물질로 포도, 오디, 땅콩 등에 들어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적포도주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그동안 항암,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또한 심장 동맥 손상을 줄여주고 심장발작과 뇌졸중을 일으키는 위험한 현상인 혈액응고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서 하수오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하수오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다. 건조한 하수오를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량의 추출 용매에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추출한다. 추출물은 여과되고, 진공회전증발기 등을 이용하여 농축될 수도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효과적이고, 추출 용매의 양은 생약 건조 중량의 2 ~ 10 배로 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중탕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탕 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추출 온도는 30 ~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부패,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효과적이고, 추출 시간은 5 ~ 20 시간, 바람직하게는 10 시간 동안 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하수오 추출물을 수득한 후, 거름종이 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시키고, 상층액을 감압여과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 100℃, 바람직하게는 50 ~ 70℃에서 감압농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수오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세포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고,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미백효과가 있으며,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고, 세포 독성이 적어 과다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미백용 조성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 5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유량이 0.0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한 단점이 있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하수오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 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수오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 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피부 미백용 하수오 추출물의 제조
채취한 하수오 50g을 100% 에탄올 200ml에 침지시켜 50℃ 수욕조에서 10시간 동안 온탕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10% 에탄올에 녹여 하수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 세포내 멜라닌 저해효과
멜라닌을 생성하는 세포주로서 일반적으로 미백물질 스크리닝에 사용되는 B16F1 멜라노마 세포는 한국 세포주은행에서 제공받아 배양시켰다.
상기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는 DMEM,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넣어 무균상태로 만들었으며, 세포배양은 37℃, 5% CO2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멜라노마 세포를 배양하여 100mm 패트리 디쉬가 90% 정도 찼을 때 계대하였다.
하수오 추출물의 미백효과 측정을 위하여 B16F1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생성된 멜라닌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6 웰 플래이트에 세포를 접종(seeding)하고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하수오 추출물을 200㎍/㎖농도로 처리한 후 이틀간 배양하여 세포를 회수하고, 회수한 세포를 10% DMSO를 포함하는 1N NaOH를 가해 90℃에서 1 시간 반응시켜 멜라닌에 충분히 녹아나오도록 한 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식을 이용하여 저해도를 계산하였으며, 표 1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도(%) = 처리구 흡광도/미처리구 흡광도 × 100
시료명 미처리구 알부틴 하수오 추출물
멜라닌 생성도(%) 100 72.6 52.1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미백물질로 알려진 알부틴의 경우 미처리구와 비교했을 때, 200 ㎍/㎖의 농도에서 멜라닌 양이 72.6%인 것에 반해, 하수오 추출물은 52.1% 로 알부틴 보다 약 1.75배 정도 더 높은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측정
하수오 추출물이 멜라닌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에 영향을 끼치는지 측정하였다.
96웰 플래이트에 0.1M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osphate buffer : pH6.8)를 210㎕ 첨가하고 최종 농도 200㎍/㎖의 하수오 추출물 또는 증류수 30㎕를 첨가한 후 20㎕의 버섯유래 티로시나아제를 첨가한다. 기질로서 5mM의 L-DOPA 40㎕를 첨가한 후,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도는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미백제로서 널리 사용되었던 코지산과 상기 추출물의 멜라닌 억제 효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 처리구 흡광도/미처리구 흡광도 × 100
시료명 미처리구 코지산 하수오 추출물
티로시나아제 활성(%) 100 2.5 42.4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지산을 처리하였을 때 전체 활성의 2.5% 만이 활성을 가진 반면, 하수오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42.4%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코지산에 비해서는 저해효과가 적으나 하수오 추출물도 미처리구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57.6% 이상으로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 독성 실험
하수오 추출물을 미백 화장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96 웰 플래이트에 세포를 접종하고 하수오 추출물 200㎍/㎖을 처리하고 이틀 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 용액 100㎕를 첨가하여 30℃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용액을 제거하고 DMSO 100㎕를 첨가하여 염색된 세포를 녹인 다음,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 (1-처리구 흡광도/미처리구 흡광도) × 100
시료명 미처리구 알부틴 하수오 추출물
세포 생존율(%) 100 98.3 98.8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수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200 ㎍/㎖의 높은 농도임에도 불구하고 생존 세포율이 98.8%로 세포독성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 항산화 활성 실험
하수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인 DPPH 용액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수오 추출물 200㎍/㎖과 항산화 측정 용액인 DPPH 용액을 100㎕씩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 C와 함께 실험하여 추출물이 어느 정도의 활성을 갖는지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 = (1-처리구 흡광도/미처리구 흡광도) × 100
시료명 비타민 C 하수오 추출물
항산화 활성(%) 66.2% 86.5%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수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86.5%로 나타났으므로 강력한 항산화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이할만한 점은 하수오 추출물은 비타민 C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제조예 2 : 실시예 비교예
제조예 1의 하수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조하고,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하수오 추출물이 결여된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5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구분 함량(중량%)
성분 실시예 비교예
하수오 추출물 4.0 -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5.0 5.0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5.0 5.0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이소파라핀/라우레스-7 2.0 2.0
폴리소르베이트60 1.7 1.7
솔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1.3 1.3
향료, 방부제 정량 정량
정제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시험예 5
본 발명의 화장료의 임상 미백효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기미, 주근깨 및 색소침착증을 갖고 있는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을 무작위로 20명씩 2개 그룹(A 및 B)으로 나눈 후, A그룹을 대상으로는 실시예를, B그룹을 대상으로는 비교예를 각각 1일 2회씩 12주간 도포한 후 피부색의 변화를 크로마메타(Minolta CR300)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 L)를 측정하고, 복수의 숙련자에 의한 객관적 육안관찰과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관찰을 실시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미백효능 정도를 다음의 7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미백효능 평가 기준
-3 : 매우악화, -2 : 악화, -1 : 약간악화
0 : 변화없음 1 : 약간개선 2: 개선
3: 매우 개선
피검자 피부색의 밝기변화(△ L) 숙련자의 객관적평가 피검자의 주관적평가
A그룹 B그룹 A그룹 B그룹 A그룹 B그룹
1 4.7 2.3 1 0 1 1
2 5.0 2.9 2 0 2 0
3 4.6 3.2 3 1 3 1
4 4.4 2.3 1 0 1 1
5 4.9 2.1 2 0 1 0
6 4.6 3.4 3 1 2 1
7 4.7 0.7 1 0 2 1
8 4.2 0.7 3 1 1 2
9 4.8 2.5 1 1 2 1
10 4.2 2.6 2 0 0 0
11 3.9 3.5 1 0 0 -1
12 3.7 3.8 3 0 1 0
13 4.5 2.4 2 0 2 1
14 4.4 1.5 0 0 1 0
15 4.3 2.2 3 1 3 1
16 4.7 2.9 2 1 0 0
17 5.6 2.4 1 0 1 0
18 5.0 3.0 1 0 0 1
19 5.2 2.9 0 0 0 0
20 5.1 2.7 3 2 1 0
평균 4.6 2.5 1.8 0.4 1.2 0.5
상기 표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 밝기 변화는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 적용시 1.84배의 효과를 보였고, 숙련자의 객관적 평과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역시 실시예를 적용한 것이 비교에를 적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각각 4.5배와 2.4배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하수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미백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형예 1 : 유연 화장수
하기 표 7의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하수오 추출물 10.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 영양 크림
하기 표 8의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하수오 추출물 10.0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5)

  1. 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 5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를 첨가하여 열수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저해에 의하여 피부 미백 효과가 발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에 의하여 피부 미백 효과가 발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30551A 2008-04-02 2008-04-02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5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551A KR20090105224A (ko) 2008-04-02 2008-04-02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551A KR20090105224A (ko) 2008-04-02 2008-04-02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224A true KR20090105224A (ko) 2009-10-07

Family

ID=4153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551A KR20090105224A (ko) 2008-04-02 2008-04-02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52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900B1 (ko) 멍석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0686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흑종초자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2267B1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02684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071414B1 (ko) 과나바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450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10064292A (ko) 루시놀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2086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00042090A (ko) 자스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110062159A (ko) 장뇌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9713B1 (ko) 탈리늄 크랏시톨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00043717A (ko) 익소라 콕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68808B1 (ko) 봉황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090105224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0585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카네이션 추출물
KR20170137557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14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