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405A - 푸코실-지엠1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 및항-푸코실-지엠1 항체 사용법 - Google Patents

푸코실-지엠1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 및항-푸코실-지엠1 항체 사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405A
KR20080090405A KR1020087015517A KR20087015517A KR20080090405A KR 20080090405 A KR20080090405 A KR 20080090405A KR 1020087015517 A KR1020087015517 A KR 1020087015517A KR 20087015517 A KR20087015517 A KR 20087015517A KR 20080090405 A KR20080090405 A KR 20080090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variable region
chain variable
antibody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510B1 (ko
Inventor
씬씨아 에이. 비스티카
에릭 에이취. 홀메스
피터 브람스
앨리슨 위트
조세핀 엠 카다렐리
Original Assignee
메다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다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다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9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07K16/307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against structure-related tumour-associated moieties
    • C07K16/308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against structure-related tumour-associated moieties against tumour-associated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from primates, e.g. ma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07K2317/732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07K2317/734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 [CD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7Internalization into the ce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푸코실-GM1에 높은 친화력으로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특히 인간 모노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항체를 암호화하 는 핵산 분자, 발현 벡터, 숙주 세포 및 본 명세서의 항체를 발현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항체를 포함하는 면역접합체, 이중특이성 분자 및 제약학적 조성물도 또한 제공된다. 본 명세서는 또한 푸코실-GM1을 검출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항-푸코실-GM1 항체를 사용하여 암을 포함하는 여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푸코실-지엠1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 및 항-푸코실-지엠1 항체 사용법{HUMAN MONOCLONAL ANTIBODIES TO FUCOSYL-GM1 AND METHODS FOR USING ANTI-FUCOSYL-GM1 ANTIBODIES}
본 특허출원은 2005년 12월 8일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출원 일련번호 60/748,915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참고로 여기에 전부 포함시킨다.
푸코실-GMl은 세포막에 분자를 고정시키는 세라미드 리피드 성분과 세포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탄수화물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스핑고리피드 모노시알로강리오시드(sphingolipid monosialoganglioside)이다. 탄수화물 항원은 암의 세포 표면상에 가장 많이 발현되는 항원이다 (Feizi T. (1985) Nature 314:53-7). 예컨대 작은 세포 폐암 (SCLC)과 같은, 몇몇 종양 유형에서, 초기에는 화학요법이 효과적이지만 나중에는 화학요법에 반응하지 않고 빠르게 재발한다. 새로운 면역제 치료법을 사용하는 것이 약물 저항 재발을 극복하는데 성공을 거둘 수 있다 (Johnson DH. (1995) Lung Cancer 12 Suppl 3:S71- 5). 강리오시드 GD3 및 GD2과 같은 여러 탄수화물 항원들은 MAbs를 사용하는 수동적인 면역요법의 효과적인 표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Irie RF and Morton DL. (1986) PNAS 83:8694-8698; Houghton AN et al. (1985) PNAS 82:1242-1246). 또한 강리오시드 항원들은 임상 실험에서 백신을 사용하는 적극적인 면역요법의 효과적인 표적으로도 기술되어 왔다. (Krug LM et al. (2004) Clinical Cancer Research 10:6094-6100; Dickler MN et al. (1999) Clinical Cancer Research 5;2773-2779; Livingston PO et al. (1994) J Clin Oncol.12: 1036-44). 실제로, 푸코실-GM1에 이어서 KLH 접합 항원을 사용한 백신접종으로 항체 적정량이 발달된 SCLC 환자로부터 얻은 혈청에서 종양 세포에 대한 특이적 결합 및 종양 특이적 상보체 의존 독성이 (CDC)이 설명되었다. 항-푸코실-GMl 적정량과 연관된 독성은 약하고 일시적이며 제한된 상태의 SCLC를 갖는 세 명의 환자는 18, 24, 및 30개월에 재발되지 않았다 (Krug et al., supra; Dickler et al, supra).
푸코실-GMl 발현은 높은 퍼센트의 SCLC 경우에 나타났고 다른 강리오시드 항원과는 달리, 푸코실-GMl은 정상 조직에서는 거의 또는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 (Nilsson et al. (1984) Glycoconjugate Jl:43-9; Krug et al, supra; Brezicka et al. (1989) Cancer Res 49:1300-5; Zhangyi et al. (1997) Int J Cancer 73:42-49; Brezicka et al (2000) Lung Cancer 28:29-36; Fredman et al. (1986) Biochim BiophysActa 875: 316-23; Brezicka et al. (1991) APMIS 99:797-802; Nilsson et al. (1986) Cancer Res 46:1403-7). 푸코실-GMl은 SCLC 세포주의 배양 배지, 털없는 쥐 이종이식편의 혈청 및 종양 추출물, 많이 진행된 질병 단계의 SCLC 환자의 혈청에 존재했다. (Vangsted et al. (1991) Cancer Res 51:2879-84; Vangsted et al. (1994) Cancer Detect Prev 18:221-9). 이러한 보고는 푸코실-GMl이 높은 특이성의 종양 항원이라는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며 이는 면역치료학의 표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푸코실-GMl을 인식하는 시약 및 그러한 시약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바람직하다.
요약
본 명세서는 푸코실-GM1에 결합하고 여러 바람직한 성질들을 나타내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특히 인간 모노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성질들에는 인간의 작은 세포 폐암 세포주 DMS-79(인간 SCLC ATCC # CRL-2049) 및 푸코실-GM1에 대한 높은 친화력 결합이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항체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양한 푸코실-GM1 매개 질병들의 치료법도 제공하였다.
일면으로, 본 명세서는 항체가 (a)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b)인간의 작은 세포 폐암 세포주 DMS-79(인간 SCLC ATCC # CRL-2049)에 결합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에 관한 것이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항체가 쥐의 항체, 불명의 항체 또는 인간화된 항체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항체는 인간 항체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는 항체가 참고 항체와 푸코실-GM1에 결합하는 것을 상호-경쟁하고, 참고 항체가 (a)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b)인간의 작은 세포 폐암 세포주 DMS-79(인간 SCLC ATCC # CRL-2049)에 결합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어떤 구체예에서, 참고 항체는 (a)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 및 (b) SEQ ID NO: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참고 항체는 (a) SEQ ID NO: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 및 (b) SEQ ID NO: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참고 항체는 (a) SEQ ID NO: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 및 (b) SEQ ID NO: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참고 항체는 (a)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 및 (b)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참고 항체는 (a) SEQ ID NO: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 및 (b)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참고 항체는 (a) SEQ ID NO: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 및 (b) SEQ ID NO: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일면으로, 본 명세서는 항체가 (a)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인간 VH 3-48 유전자의 생성물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중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는 항체가 (a)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인간 VK L15 유전자의 생성물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한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13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19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5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1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37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3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14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0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6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2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38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4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15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1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7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3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39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5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16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2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8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4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40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6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17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3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9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5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41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7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18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4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30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6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42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8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바람직한 항체들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은:
(a)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a) SEQ ID NO: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항체는 예를 들면, IgG1 또는 IgG4 아이소타입의 예를 들면, 전-길이 항체일 수 있다. 대안으로 이 항체들은 단일 사슬 항체 또는 Fab 또는 Fab'2단편과 같은 항체 단편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또한 세포독소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와 같은 치료제에 결합된, 본 명세서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면역접합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또한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과는 다른 결합 특이성을 갖는 제2의 기능 부분에 결합되는, 본 명세서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성 분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 또는 면역접합체 또는 이중특이성 분자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도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을 암호화하는 핵산 분자뿐만 아니라 그러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및 그러한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도 또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중 및 경 사슬 이식유전자를 포함하고, 본 명세서의 항체를 발현하는 유전자 이식 쥐뿐만 아니라 그러한 쥐로부터 제조되며, 본 명세서의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제공한다.
또 다른 면으로, 본 명세서는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본 명세서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푸코실-GM1을 발현시키는 종양 세포의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치료법 또는 예방법을 제공한다. 질병은 예컨대, 암, 예를 들면, 폐암(작은 세포 폐암 포함)일 수 있다.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는 항-푸코실-GM1 항체를 사용하는 생체내 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항-푸코실-GM1 항체는 쥐의, 불명의, 인간화된, 또는 인간 항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다른 암들의 예에는 작은 세포 폐암 및 작지 않은 세포 폐암을 포함하는 폐암, 신장암(예를 들면, 신장 세포 악성 종양), 아교모세포종, 뇌종양, 급성 림프구 백혈병(ALL)을 포함하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성인 T-세포 백혈병(T-ALL), 만성 골수 백혈병, 급성 면역모세포 백혈병, 만성 림프구 백혈병, 림프종(예를 들면, 호지킨 및 비호지킨 림프종, 림프구 림프종, 일차 CNS 림프종, T-세포 림프종, 불키트(Burkitt's) 림프종, 미분화 거대-세포 림프종(ALCL), 피부 T-세포 림프종, 마디 소 절개-세포 림프종, 말초 T-세포 림프종, 렌넬트(Lennert's) 림프종, 면역모세포 림프종, T-세포 백혈병/림프종(ATLL), 중심모세포/중심세포(cb/cc) 여포 림프종 종양, B 계통의 미만성대세포 림프종, 혈관면역모세포 림프절증 (AILD)-유사 T 세포 림프종, 및 HIV 관련 체강 기초 림프종), 배아 악성종양, 코-인두의 미분화 악성종양, (예를 들면, 쉬민케(Schminke) 종양), 캐슬만(Castleman) 병, 카포시(Kaposi) 육종, 다중 골수종, 왈덴스트롬(Waldenstrom's) 마크로글로불린혈증, 및 다른 B-세포 림프종, 나소파란겔(nasopharangeal) 악성종양, 뼈암, 피부암, 머리 또는 목의 암, 피네 또는 눈 속 악성 흑색종, 자궁암, 직장암, 항문지역암, 위암, 고환암, 자궁암, 자궁관의 악성종양, 자궁내막의 악성종양, 자궁경부의 악성종양, 질의 악성종양, 음문의 악성종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의 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의 육종, 요도암, 음경암, 소아 고형종양, 방광암, 신장 또는 요관의 암, 신장골반의 악성종양, 중앙신경계(CNS)의 종양, 종양혈관형성, 제 2 척추골 종양, 뇌관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유사표피암, 편평세포 암, 석면에 의해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는 환경에 의해 유도된 암, 예를 들면 메소텔리오마(mesothelioma) 및 상기 암들의 조합이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 분명해질 것이다. 본 출원에 인용된 모든 참고자료, 겐뱅크 기탁물, 특허 및 공개된 특허 출원의 내용은 참고로 여기에 밝히 포함시킨다.
도 1A는 5B1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49)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1)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13), CDR2 (SEQ ID NO: 19) 및 CDR3(SEQ ID NO: 25)지역이 나타나 있고 V, D,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1B는 5B1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55)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7)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31), CDR2 (SEQ ID NO: 37) 및 CDR3(SEQ ID NO: 43)지역이 나타나 있고 V,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2A는 5B1a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50)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2)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14), CDR2 (SEQ ID NO: 20) 및 CDR3(SEQ ID NO: 26)지역이 나타나 있고 V, D,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2B는 5B1a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56)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8)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32), CDR2 (SEQ ID NO: 38) 및 CDR3(SEQ ID NO: 44)지역이 나타나 있고 V,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3A는 7D4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51)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3)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15), CDR2 (SEQ ID NO: 21) 및 CDR3(SEQ ID NO: 27)지역이 나타나 있고 V, D,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3B는 7D4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57)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9)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33), CDR2 (SEQ ID NO: 39) 및 CDR3(SEQ ID NO: 45)지역이 나타나 있고 V,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4A는 7E4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52)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4)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16), CDR2 (SEQ ID NO: 22) 및 CDR3(SEQ ID NO: 28)지역이 나타나 있고 V, D,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4B는 7E4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58)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10)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34), CDR2 (SEQ ID NO: 40) 및 CDR3(SEQ ID NO: 46)지역이 나타나 있고 V,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5A는 13B8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53)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5)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17), CDR2 (SEQ ID NO: 23) 및 CDR3(SEQ ID NO: 29)지역이 나타나 있고 V, D,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5B는 13B8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59)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11)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35), CDR2 (SEQ ID NO: 41) 및 CDR3(SEQ ID NO: 47)지역이 나타나 있고 V,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6A는 18D5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54)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6)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18), CDR2 (SEQ ID NO: 24) 및 CDR3(SEQ ID NO: 30)지역이 나타나 있고 V, D,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6B는 18D5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SEQ ID NO: 60)과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12)을 보여준다. CDR1(SEQ ID NO: 36), CDR2 (SEQ ID NO: 42) 및 CDR3(SEQ ID NO: 48)지역이 나타나 있고 V, 및 J 생식계열 유도물이 표시되어 있다.
도 7은 인간 생식계열 VH3-48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61)과 5B1, 5B1a, 7D4, 7E4, 18B8, 및 18D5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아미노산 서열의 배열을 보여준다.
도 8은 인간 생식계열 VkL15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62)과 5B1, 5B1a, 7D4, 7E4, 18B8, 및 18D5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아미노산 서열의 배열을 보여준다.
도 9A-C는 푸코실-GM1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가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는 ELISA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A-C는 푸코실-GM1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가 푸코실-GM1을 발현하는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는 전체-세포 ELISA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A-C는 푸코실-GM1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가 푸코실-GM1을 발현하는 세포주 DMS79 및 H-4-II-E의 세포 표면에 결합하는 것(A 및 B)과 DMS79 세포들이 생체내(즉 쥐에 이식한 후)에서 푸코실-GM1을 계속 발현하는 것(C)을 설명하는 유동 세포측정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A 및 B는 푸코실-GM1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가 푸코실-GM1+ 세포로 내화될 수 있는 것을 설명하는 험-잡(Hum-Zap) 내화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A 및 B는 인간 모노클론 항-푸코실-GM1 항체가 푸코실-GM1을 발현하는 세포주 (A)DMS79 및 (B)H-4-II-E를 죽이는 것을 설명하는 보체 의존 세포독성 (CDC) 세포 증식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A 및 B는 인간 모노클론 항-푸코실-GM1 항체가 CD16 차폐물 부재하에서 푸코실-GM1을 발현하는 세포주들을 죽이는 것을 설명하는 항체 의존 세포독성 (ADCC) 세포 증식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A-C는 DMS79 작은 세포 폐암 종양 세포(푸코실-GM1+)로 이식된 개개의 SCID 쥐에 있어서 시간에 대한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종양이 설정된 후, 쥐를 다음의 치료법으로 5번 치료하였다:(A) PBS(담체 대조용); (B) 인간 IgG1 (아이소타입 대조용), 쥐 한마리당 30 mg/kg; (C)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5B1, 쥐 한마리당 10 mg/kg; (D)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5B1, 쥐 한마리당 30 mg/kg; (E)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7E4, 쥐 한마리당 10 mg/kg; 또는 (F)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7E4, 쥐 한마리당 30 mg/kg. 치료 첫번째 날의 종양 부피는 약 200 mm3 이었다.
도 16A 및 B는 도 15에 나타낸 쥐들 각각의 평균 및 중간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5에 나타낸 쥐의 평균 그룹 중량을 나타낸다.
일면으로, 본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특히 인간 모노클론 항체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항체는 특정 중 및 경 사슬 생식계열 서열들로부터 유도되고/거나 특정 아미노산 서열들을 포함하는 CDR 지역들과 같은 특정 구조적 특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분리된 항체, 그러한 항체를 만드는 방법, 그러한 항체를 포함하는 면역접합체 및 이중특이성 분자 및 본 명세서의 항체, 면역접합체 또는 이중특이성 분자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또한 암과 같은 질명을 치료하는 것과 같은, 항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를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어떤 용어는 먼저 정의한다. 부가적인 정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주어질 것이다.
"면역 반응"이란 용어는 병원체가 침입한 인체, 병원체로 감염된 세포 또는 조직, 암세포 또는 자가면역 또는 병적 염증의 정상적인 인간 세포 또는 조직의 경우에 선택적인 손상, 파괴 또는 제거를 초래하는 예를 들면 림프톨, 항원 제공 세포, 식세포, 과립성 백혈구 및 상기 세포나 간으로부터 생성된 용해성 거대분자(항체, 시토킨 및 보체를 포함하는)의 작용을 말한다.
"신호 형질도입 통로"는 세포의 한 부분에서 세포의 다른 부분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여러 가지 신호 형질도입 분자사이의 생화학적 관계를 말한다. 여기서 사용된 세포 표면 수용체는 예를 들면 신호를 받고 세포의 원형질막사이로 그러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분자 및 분자의 복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세포 표면 수용체"의 예에는 푸코실-GM1 수용체가 있다.
여기서 언급된 "항체"라는 용어는 전체 항체 및 임의의 항원 결합 단편(즉, 항원-결합 부분) 또는 그의 단일 사슬을 포함한다. 항체는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상호-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중(H) 사슬 및 두 개의 경(L) 사슬을 포함하는 글리코단백질을 말한다. 각각의 중 사슬은 중 사슬 가변 지역(여기에서는 VH로 약함)과 중 사슬 일정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 사슬 일정 지역은 세 개의 영역, CH1, CH2 및 CH3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경 사슬은 경 사슬 가변 지역(여기에서는 VL로 약함)과 경 사슬 일정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 사슬 일정 지역은 하나의 영역, CL로 구성되어 있다. VH VL 지역은 고가변성의 지역, 상보성 결정 지역(CDR), 더욱 보존되는 군데군데 끼워 넣어진 지역, 골격 지역(FR)으로 더욱 세분될 수 있다. 각각의 VH VL은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 순서로 아미노-말단에서부터 카르복시-말단으로 배열된 세 개의 CDR 및 네 개의 FR로 구성되어 있다. 중 및 경 사슬의 가변 지역은 항원과 작용하는 결합 지역을 포함한다. 항체의 일정 지역은, 면역계의 여러 가지 세포(예를 들면, 효과기세포) 및 고전적인 보체계의 첫 번째 성분(C1q)을 포함하며, 숙주 조직 또는 인자에 면역글로불린이 결합하는 것을 매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항체의 "항원-결합 부분"(또는 간단히 "항체 부분")이라는 용어는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항체(예를 들면, 푸코실-GM1)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편을 말한다. 항체의 항원-결합 기능은 전-길이 항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나타났다. 항체의 항원-결합 부분이라는 용어 내에 포함된 결합 단편의 예에는 (ⅰ) VL VH CL 및 CH 영역들로 구성된 1가 단편, Fab 단편; (ⅱ) 이음 지역에서 디설파이드 다리로 결합된 두 개의 Fab 단편을 포함하는 2가 단편, F(ab')2 단편; (ⅲ) VH CH1 영역들로 구성된 Fd 단편; (ⅳ) 항체의 단일 팔의 VL 및 VH 영역들로 구성된 Fv 단편, (ⅴ) VH 영역으로 구성된 dAb 단편(왈드 등(1989) Nature 341:544-546); 및 (ⅵ) 분리된 상보성 결정 지역(CDR)이 있다. 더 나아가 Fv 단편의 두 영역, VL 및 VH는 별개의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 하더라도, 이들은 1가 분자를 형성하기 위해 VL 및 VH 지역이 쌍을 이루는 단일한 단백질 사슬로 만들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합성 연결자에 의해, 재조합법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단일 사슬 Fv(scFv)로 알려짐; 예를 들면, 버드 등 (1988) Science 242:423-426; 및 휴스톤 등 (1988) Proc. Natl. Acad. Sci. USA 85:5879-5883 참조). 그러한 단일 사슬 항체는 또한 항체의 항원-결합 부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들 항체 단편들은 당업자에 잘 알려진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얻어지며, 온전한 항체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을 위해 선별한다.
여기서 사용된 "분리된 항체"는 다른 항원 특이성을 갖는 다른 항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항체를 언급하는 것으로 의도된다(예를 들면,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리된 항체는 푸코실-GM1 이외의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와는 실질적으로 별개이다). 더욱이, 분리된 항체는 실질적으로 다른 세포 물질 및/또는 화학제가 없다.
여기서 사용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모노클론 항체 조성물"이란 용어는 단일 분자 조성물의 항체 분자의 제조물을 언급한다. 모노클론 항체 조성물은 특정 에피토프에 단일 결합 특이성과 친화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된 "인간 항체"라는 용어는 골격 및 CDR 지역 둘 다가 인간 생식계열 면역 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도된 가변 지역을 갖는 항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항체가 일정 지역을 포함한다면, 일정 지역은 또한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도된다. 본 명세서의 인간 항체는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지 않는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면, 시험관내에서의 임의의 또는 위치-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또는 생체 내에서의 체세포 돌연변이에 의해 도입된 돌연변이). 그러나 여기서 사용된 "인간 항체"라는 용어는 쥐와 같은 다른 포유류 종의 생식계열로부터 유도된 CDR 서열이 인간 골격 서열에 이식된 항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인간 모노클론 항체"라는 용어는 골격 및 CDR 지역 둘 다가 인간 생식계열 면역 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도된 가변 지역을 갖는 단일 결합 특이성을 나타내는 항체를 말한다. 한 구체예에서 인간 모노클론 항체는 인간 중 사슬 이식 유전자와 죽지 않은 세포에 접합된 경 사슬 이식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이식 비인간 동물, 예를 들면 유전자 이식 쥐로부터 얻어진 B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성된다.
여기서 사용된 "재조합 인간 항체"라는 용어는 (a)인간 면역 글로불린 유전자의 유전자 이식 또는 염색체 이식 또는 그로부터 제조된 하이브리도마인 동물(예를 들면, 쥐)로부터 분리된 항체(아래에 더욱 기술됨), (b)인간 항체를 발현하기위해서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 예를 들면, 트란스펙토마로부터 분리된 항체, (c)재조합, 결합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된 항체, 및 (d)인간 면역 글로불린 유전자 서열을 다른 DNA 서열에 짜깁기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제조된, 발현된, 만들어진 또는 분리된 항체와 같은 재조합 수단에 의해 제조된, 발현된, 만들어진 또는 분리된 모든 인간 항체를 포함한다. 그러한 재조합 인간 항체는 골격 및 CDR 지역이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도된 가변 지역을 갖는다. 그러나 어떤 구체예에서, 그러한 재조합 인간 항체는 시험관내에서 돌연변이가 유발될 수 있으며(또는 인간 Ig 서열의 동물 유전자 이식이 사용될 때, 생체 내에서의 체세포 돌연변이 유발) 따라서 재조합 항체의 VH VL 지역의 아미노산 서열이 인간 생식계열 VH VL 서열에 연관되고 이로부터 유도되는 한편 생체 내에서 인간 항체 생식계열 목록 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서열이다.
여기서 사용된 "아이소타입"은 중 사슬 일정 지역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항체 클래스(예를 들면, IgM 또는 IgG1)를 말한다.
“항원 인식 항체” 및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라는 용어로 여기서 서로 교환가능하게 사용하였다.
"인간 항체 유도체"라는 용어는 인간 항체의 임의의 변형된 형태, 예를 들면, 항체와 다른 시약 또는 다른 항체의 접합체를 말한다.
“인간화된 항체”라는 용어는 쥐와 같은 다른 포유류 종의 생식계열로부터 유도된 CDR 서열이 인간 골격 서열에 이식된 항체를 말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부가적인 골격 지역 변형이 인간 골격 서열내에 만들어질 수 있다.
"불명의 항체"라는 용어는 가변 지역 서열이 쥐의 항체로부터 유도되고 일정 지역 서열이 인간 항체로부터 유도된 항체와 같은, 가변 지역 서열이 한 종으로부터 유도되고 일정 지역 서열이 다른 종으로부터 유도된 항체를 말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여기서 사용된,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1x10-7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x10-8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x10-8M 이하,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5x10-9M 이하의 KD 푸코실-GM1에 결합하는 항체를 말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여기서 사용된, Kassoc 또는 Ka 는 특정 항체-항원 상호작용의 결합율을 말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한편. 여기서 사용된, Kdis 또는 Kd 는 특정 항체-항원 상호작용의 분리율을 말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여기서 사용된, KD는 Ka 에 대한 Kd 의 비율(즉, Kd/Ka )로 얻어지는 분리상수로 모랄 농도(M)로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항체의 KD 값은 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항체의 KD를 결정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표면 세포질 유전자 공명을 사용하는, 바람직하게는 Biacore시스템과 같은 바이오센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IgG 항체의 "높은 친화력"이란 용어는 표적 항원에 대해 10-8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M 이하,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M 이하의 KD 를 갖는 항체를 말한다. 그러나 "높은 친화력" 결합은 다른 항체 아이소타입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gM 아이소타입에 대한 "높은 친화력" 결합은 10-7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8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M 이하의 KD 를 갖는 항체를 말한다.
여기서 사용된, "환자"라는 용어는 임의의 인간 또는 인간이 아닌 동물을 포함한다. "인간이 아닌 동물"이란 용어는 인간이 아닌 영장류, 양, 개, 고양이, 말, 소, 닭, 양서류, 파충류 등과 같은, 예를 들면, 포유류 및 비-포유류의 모든 척추동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여러 가지 면들은 다음의 하부항목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항-푸코실-GM1 항체
본 명세서의 항체는 항체의 특별한 기능적 특성 또는 성질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예를 들면, 본 항체는 푸코실-GM1, 바람직하게는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의 항체는 높은 친화력으로 예를 들면 1x10-7M 이하의 KD로, 푸코실-GM1에 결합한다.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다음의 특성들을 나타낸다:
(a)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및
(b)인간의 작은 세포 폐암 세포주 DMS-79(인간 SCLC ATCC # CRL-2049)에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항체는 5x10-8M 이하의 KD 푸코실-GM1에 결합하고, 1x10-8M 이하의 KD 푸코실-GM1에 결합하고, 5x10-9M 이하의 KD 푸코실-GM1에 결합하거나, 1x10-8M 과 1x10-10M이하 사이의 KD 푸코실-GM1에 결합한다. 푸코실-GM1에 대한 항체의 결합 능력을 평가하는 표준 분석법은 예를 들면, ELISAs, 웨스턴 블롯 및 RIAs를 포함하여 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항체의 결합 역학(예를 들면, 결합 친화력)도 또한 ELISA, 스캣차드 및 비아코어 분석과 같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표준 분석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
모노클론 항체 5B1, 5B1a, 7 D4 , 7 E4 , 13B8 및 18 D5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항체는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리되고 구조적으로 특징지워진 인간 모노클론 항체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이다.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VH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SEQ ID NOs: 1, 2, 3, 4, 5, 및 6에 나타냈다.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VL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SEQ ID NOs: 7, 8, 9, 10, 11 및 12에 나타냈다.
각각의 이들 항체가 푸코실-GM1에 결합할 수 있게 되면, VH 및 VL 서열들은 "혼합되고 연결되어" 본 명세서의 다른 항-푸코실-GM1 결합 분자들을 만들 수 있다. 그러한 "혼합되고 연결된" 항체들의 푸코실-GM1 결합은 실시예들 및 상기한 결합 분석 (예, ELISAs)를 사용하여 시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VH와 VL 사슬이 혼합되고 연결되었을 때, 특정 VH/VL 쌍으로부터의 VH 서열은 구조적으로 유사한 VH 서열로 대치된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특정 VH/VL 쌍으로부터의 VL 서열은 구조적으로 유사한 VL 서열로 대치된다.
따라서, 일면으로 본 명세서는
(a) SEQ ID NOs: 1, 2, 3, 4, 5 및 6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s: 7, 8, 9, 10, 11 및 1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고:
항체가 푸코실-GM1과, 바람직하게는 푸코실-GM1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중 및 경 사슬 조합에는:
(a)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또는
(a) SEQ ID NO: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또는
(a) SEQ ID NO: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또는
(a)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또는
(a) SEQ ID NO: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또는
(a) SEQ ID NO: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이
포함된다.
다른 일면으로, 본 명세서는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중 사슬 및 경 사슬 CDR1s, CDR2s, 및 CDR3s 또는 그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항체를 제공한다.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VH CDR1s의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s: 13, 14, 15, 16, 17 및 18에 각각 나타냈다.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VH CDR2s의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s: 19, 20, 21, 22, 23 및 24에 각각 나타냈다.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VH CDR3s의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s: 25, 26, 27, 28, 29 및 30에 각각 나타냈다.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Vk CDR1s의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s: 31, 32, 33, 34, 35 및 36에 각각 나타냈다.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Vk CDR2s의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s: 37, 38, 39, 40, 41 및 42에 각각 나타냈다.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Vk CDR3s의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s: 43, 44, 45, 46, 47 및 48에 각각 나타냈다. CDR 지역은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술하였다(카뱉. E. A., 등(1991)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Fifth Edi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IH Publication No. 91-3242)
각각의 이들 항체가 푸코실-GM1에 결합할 수 있고 항원-결합 특이성이 CDR1, CDR2 및 CDR3 지역에 의해 일차적으로 제공되면, VH CDR1, CDR2 및 CDR3 서열과 Vk CDR1, CDR2 및 CDR3 서열이 혼합되고 연결되어(즉, 각각의 항체가 VH CDR1, CDR2 및 CDR3과 Vk CDR1, CDR2 및 CDR3을 함유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항체로부터의 CDRs가 혼합되고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항-푸코실-GM1 결합 분자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한 혼합되고 연결된 항체의 푸코실-GM1 결합은 앞에서와 실시예에 기술된(예를 들면, ELISAs, 비아코어 분석) 결합 분석를 사용하여 시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VH CDR 서열들이 혼합되고 연결될 때, 특정 VH 서열로부터의 CDR1, CDR2 및/또는 CDR3 서열이 구조적으로 유사한 CDR 서열들로 대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Vk CDR 서열들이 혼합되고 연결될 때, 특정 Vk 서열로부터의 CDR1, CDR2 및/또는 CDR3 서열이 바람직하게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CDR 서열들로 대치될 수 있다. 모노클론 항체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에 대해 여기에 나타낸 CDR 서열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서열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VH 및/또는 VL CDR 지역 서열이 치환됨으로 신규의 VH 및 VL 서열이 생성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다른 일면으로, 본 명세서는
(a) SEQ ID NOs: 13, 14, 15, 16, 17 및 1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s: 19, 20, 21, 22, 23 및 2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s: 25, 26, 27, 28, 29 및 3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s: 31, 32, 33, 34, 35 및 36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s: 37, 38, 39, 40, 41 및 4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s: 43, 44, 45, 46, 47 및 4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하고;
항체가 푸코실-GM1과 바람직하게는 푸코실-GM1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항체는
(a) SEQ ID NO: 13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19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5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1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37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3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항체는
(a) SEQ ID NO: 14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0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6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2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38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4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항체는
(a) SEQ ID NO: 15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1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7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3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39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5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항체는
(a) SEQ ID NO: 16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2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8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4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40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6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항체는
(a) SEQ ID NO: 17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3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9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5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41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7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항체는
(a) SEQ ID NO: 18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4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30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6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42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8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한다.
CDR3 영역은, CDR1 및/또는 CDR2 영역들과는 달리, 홀로 동족의 항원에 대한 항체의 결합 특이성을 결정할 수 있으며, 공동의 CDR3 서열을 기반으로 동일한 결합 특이성을 갖는 여러 항체들의 생성이 예견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Klimka et at, British J. of Cancer 83(2):252-260 (2000) (쥐의 항-CD30 항체 Ki-4의 단지 중 사슬 가변 영역 CDR3을 사용하여 인간화된 항-CD30 항체의 생성을 기술); Beiboer et al, J. MoI. Biol. 296:833-849 (2000) (어미 쥐 MOC-31 항- EGP-2 항체의 단지 중 사슬 CDR3 서열을 사용하여 재조합 상피 글리코프로테인-2 (EGP- 2) 항체를 기술); Rad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8910-8915 (1998) (쥐의 항-인테그린 αvβ3 항체 LM609의 중 및 경 사슬 가변 CDR3영역을 사용하는 인간화된 항-인테그린 αvβ3 항체(각 요소 항체는 CDR3 영역 바깥에서 서로 다른 서열을 포함하며 어미 쥐 항체 이상의 친화력으로 어미 쥐 항체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의 패널을 기술); Barbas et al., J. Am. Chem. Soc. 116:2161-2162 (1994) (CDR3 영역이 항원 결합에 가장 의미있는 공헌을 한다고 기술); Barbas et al. , Proc. Natl. Acad. Sci U.S.A. 92:2529-2533 (1995) (항-파상풍 변성독소 Fab의 중 사슬상으로 인간 태반 DNA에 대한 세 개의 Fabs (SI-I , SI-40, 및 SI-32)의 중 사슬 CDR3 서열을 이식함으로 존재하는 중 사슬 CDR3를 대치하고 이로써 CDR3 영역 만이 결합 특이성을 부여함을 기술); 및 Ditzel et al., J. Immunol. 157:739- 749 (1996) (모(母) 다중특이성 Fab LNA3 의 중 사슬 CDR3 만을 단일특이성 IgG 파상풍 변성독소-결합 Fab p313 항체의 중 사슬에 전이시키는 것이 모 Fab의 결합 특이성을 유지시키는데 충분하다는 이식에 대한 연구를 기술)을 참조한다. 이들 참고문헌 각각은 참고로 그 전체를 여기에 포함시킨다.
따라서, 어떤 면으로, 본 명세서는 모노클론 항체가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비-인간 항체, 예컨대 쥐 또는 생쥐 항체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중 및/또는 경 사슬 CDR3 영역을 포함하는 모노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비-인간 항체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중 및/또는 경 사슬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그러한 항체는 상응하는 모(母) 비-인간 항체와 (a) 결합에 대해 경쟁할 수 있고; (b) 기능적 특성을 유지하고; (c)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고/거나 (d) 유사한 결합 친화력을 갖는다.
다른 면으로, 본 명세서는 첫번째 인간 항체가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첫번째 인간 항체로부터의 CDR3 영역이 푸코실 GM1에 대한 결합 특이성이 결여되어 있는 인간 항체내의 CDR3 영역을 대치하여 푸코실 GM1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두번째 인간 항체를 생성하는, 첫번째 인간 항체, 예컨대 비-인간 동물로부터 얻어진 인간 항체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중 및/또는 경 사슬 CDR3 영역을 포함하는 모노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첫번째 인간 항체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중 및/또는 경 사슬 CDR3 영역을 포함하는 그러한 발명의 항체는 상응하는 모(母) 첫번째 인간 항체와 (a) 결합에 대해 경쟁할 수 있고; (b) 기능적 특성을 유지하고; (c)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고/거나 (d) 유사한 결합 친화력을 갖는다.
특정 생식계열 서열을 갖는 항체
어떤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항체는 특정 생식계열 중 사슬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로부터의 중 사슬 가변 지역 및/또는 특정 생식계열 경 사슬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로부터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는 항체가 푸코실-GM1에, 바람직하게는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인간 VH 3-48 유전자로부터 유도된 또는 그의 생성물인 중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는 항체가 푸코실-GM1에, 바람직하게는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인간 Vk L15 유전자로부터 유도된 또는 그의 생성물인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는 항체가:
(a) 인간 VH 3-48 유전자(유전자가 SEQ ID NO: 61에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한다)로부터 유도된 또는 그의 생성물인 중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고;
(b) 인간 Vk L15 유전자(유전자가 SEQ ID NO: 62에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한다)로부터 유도된 또는 그의 생성물인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고;
(c)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VH 3-48 및 Vk L15 각각의 VH 및 Vk 를 갖는 항체의 예에는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가 있다.
여기서 사용된, 인간 항체는 항체의 가변 지역이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부터 얻은 것이라면, 특정 생식계열 서열의 "생성물"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중 또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한다. 그러한 시스템은 관심 있는 항원으로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옮기는 유전자 이식 쥐를 면역시키거나 또는 관심 있는 항원으로 파아지에 전시한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스크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생성물"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인간 항체는 인간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의 아미노산 서열에 비교하고 인간 항체의 서열에 근접한(즉, 가장 큰 %의 동일성)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선택함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생성물"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인간 항체는 예를 들면, 자연적으로-발생하는 체세포 돌연변이 또는 위치-지적 돌연변이의 의도된 도입에 의해, 생식계열 서열에 비교하여 다른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선택된 인간 항체는 전형적으로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아미노산 서열이 적어도 90% 동일하고 다른 종의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아미노산 서열(예를 들면, 쥐의 생식계열 서열)에 비교할 때 인간으로 인간 항체와 동일한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 어떤 경우에, 인간 항체는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아미노산 서열이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6%, 97%, 98% 또는 99%까지도 동일하다. 전형적으로, 특정 인간 생식계열 서열로부터 유도된 인간 항체는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다른 아미노산이 10개에 지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 인간 항체는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다른 아미노산이 5개 또는 4, 3, 2 또는 1개에 지나지 않는다.
동일한 항체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항체는 여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및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항체는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의 바람직한 기능적 성질을 유지한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는 중 사슬 가변 지역과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며,여기서:
(a) 중 사슬 가변 지역은 SEQ ID NOs: 1, 2, 3, 4, 5 및 6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b) 경 사슬 가변 지역은 SEQ ID NOs: 7, 8, 9, 10, 11 및 1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항체가 다음의 성질들:
(c) 항체가 푸코실-GM1에 1 x 10-7 M 이하의 KD로 결합한다; 및
(d) 항체가 인간의 작은 세포 폐암 세포주 DMS-79(인간 SCLC ATCC # CRL-2049)에 결합한다;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VH 및/또는 VL 아미노산 서열이 상기에 주어진 서열과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할 수 있다. 상기에 주어진 서열들의 VH 및 VL 지역과 높은(즉,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VH 및 VL 지역을 갖는 항체는 각각 SEQ ID NOs: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및 60을 암호화하는 핵산 분자를 돌연변이시키고(예를 들면, 위치-지적 또는 PCR-매개 돌연변이 유발), 이어서 여기에 기술된 기능 분석을 사용하여 유지된 기능에 대해(즉, 상기 (c) 및 (d)에 주어진 기능들) 암호화된 개조 항체를 시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아미노산 서열들 사이의 동일성 퍼센트는 두 서열들 사이의 일치성 퍼센트와 등가이다. 두 서열들 사이의 일치성 퍼센트는 두 서열의 최적의 배열을 위해 도입되어야 할, 각각의 간격의 길이와 간격들의 수를 계산하여, 서열에 의해 공유된 일치하는 위치의 수의 함수이다(즉, 동일성%=일치하는 위치의 #/위치의 총# x100). 서열들의 비교와 두 서열사이의 일치하는 퍼센트의 결정은 아래의 비제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수학적 연산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두 아미노산 서열 사이의 일치성 퍼센트는 PAM120가중치 유수표, 간격 길이 페널티 12 및 간격 페널티 4를 사용하는, ALIGN 프로그램(버젼 2)에 포함시킨 E. 메이어 및 W. 밀러(Comput. Appl. Biosci.,4:11-17(1988))의 연산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부가하면, 두 아미노산 서열사이의 일치성 퍼센트는 Blossum 62 매트릭스 또는 PAM250 매트릭스, 및 16, 14, 12, 10, 8, 6 또는 4의 간격 가중치 및 1, 2, 3, 4, 5 또는 6의 길이 가중치을 사용하는, GCG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GAP프로그램(http://www.gcg.com 에서 이용가능한)에 포함된 니들만과 운쉬의 연산(J. Mol. Biol. 48:444-453(1970))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단백질 서열은 예를 들면, 일치성 관련 서열들에 대해 공개적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탐색을 수행하는데, "의문 서열"로 더욱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탐색은 알트슐, 등의 (1990)J. Mol. Biol. 215:403-10의 XBLAST 프로그램(버젼 2.0)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BLAST 단백질 탐색은 본 명세서의 항체 분자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얻기 위해서 XBLAST 프로그램, 스코어=50, 워드렝쓰=3으로 행할 수 있다. 비교를 목적으로 하는 간격이 있는 배열을 얻기 위해, 알트슐, 등의 (1997)Nucleic Acids Res. 25(17):3389-3402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간격이 있는 BLAST를 사용할 수 있다. BLAST 및 간격이 있는 BLAST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각각의 프로그램의(예를 들면, XBLAST 및 NBLAST) 애초의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www.ncbi.nlm.nih.gov 참조)
보존성 변형물을 갖는 항체
어떤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항체는 CDR1, CDR2, 및 CDR3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과 CDR1, CDR2, 및 CDR3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DR 서열은 여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항체(예를 들면, 5B1, 5B1a, 7D4, 7E4, 13B8 또는 18D5)를 기본으로 하는 특정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의 보존성 변형물을 포함하고, 항체가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의 바람직한 기능적 성질을 보유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CDR1, CDR2, 및 CDR3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과 CDR1, CDR2, 및 CDR3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a)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서열이 SEQ ID NO: 25, 26, 27, 28, 29 및 30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및 그의 보존성 변형물을 포함하고;
(b)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 서열이 SEQ ID NO: 43, 44, 45, 46, 47 및 48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의 보존성 변형물을 포함하고;
항체가 다음의 성질들:
(c)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및
(d) 항체가 인간의 작은 세포 폐암 세포주 DMS-79(인간 SCLC ATCC # CRL-2049)에 결합한다;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서열은 SEQ ID NO: 19, 20, 21, 22, 23 및 24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및 그의 보존성 변형물을 포함하고;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서열은 SEQ ID NO: 37, 38, 39, 40, 41 및 4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및 그의 보존성 변형물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서열은 SEQ ID NO: 13, 14, 15, 16, 17 및 18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및 그의 보존성 변형물을 포함하고;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서열은 SEQ ID NO: 31, 32, 33, 34, 35 및 3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의 보존성 변형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보존성 서열 변형물"이란 용어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의 결합 특성에 중대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개조하지 않은 아미노산 변형물을 말한다. 그러한 보존성 변형물은 아미노산 치환, 첨가 및 삭제를 포함한다. 위치-지적 돌연변이 유발 및 PCR-매개 돌연변이 유발과 같은 이 기술 분야에 알려진 표준 기술로 본 명세서의 항체에 변형을 도입할 수 있다. 보존성 아미노산 치환물은 아미노산 잔기가 유사한 측면 사슬을 갖는 아미노산 잔기로 대치된 것 들이다. 유사한 측면 사슬을 갖는 아미노산 잔기의 집단은 이 기술 분야에 규정되어 있다. 이 집단에는 염기성 측면 사슬(예를 들면, 라이신, 알기닌, 히스티딘), 산성 측면 사슬(예를 들면, 아스팔트산, 글루타민산), 비전하 극성 측면 사슬(예를 들면, 글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시스테인, 트립토판), 비극성 측면 사슬(예를 들면,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베타-가지 측면 사슬(예를 들면, 트레오닌, 발린, 이소로이신) 및 방향족 측면 사슬(예를 들면, 티로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딘)을 갖는 아미노산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항체의 CDR 지역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는 동일한 측면 사슬 집단으로부터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대치될 수 있고, 개조된 항체는 여기에 기술된 기능 분석을 사용하여 보유 기능(즉, 상기 (c) 및 (d)에 주어진 기능들)을 시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항- 푸코실 - GM1 항체와 같은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는 본 명세서의 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중 임의의 것과 동일한 푸코실-GM1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즉, 본 명세서의 모노클론 항체 중 임의의 것과 푸코실-GM1에 결합하는 것에 대해 상호 경쟁하는 능력을 갖는 항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호-경쟁 연구용 참고 항체는 모노클론 항체 5B1(각각, SEQ ID NOs:1 및 7에 나타난 VH 및 VL 서열들을 갖는 것), 또는 모노클론 항체 5B1a(각각, SEQ ID NOs:2 및 8에 나타난 VH 및 VL 서열들을 갖는 것), 또는 모노클론 항체 7D4(각각, SEQ ID NOs:3 및 9에 나타난 VH 및 VL 서열들을 갖는 것), 또는 모노클론 항체 7E4(각각, SEQ ID NOs:4 및 10에 나타난 VH 및 VL 서열들을 갖는 것), 또는 모노클론 항체 13B8(각각, SEQ ID NOs:5 및 11에 나타난 VH 및 VL 서열들을 갖는 것), 또는 모노클론 항체 18D5(각각, SEQ ID NOs:6 및 12에 나타난 VH 및 VL 서열들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그러한 상호-경쟁 항체는 표준 푸코실-GM1 결합분석에서 5B1, 5B1a, 7D4, 7E4, 13B8 또는 18D5와 상호-경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반으로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아코어 분석, ELISA 분석 또는 유동 세포측정법이 본 명세서의 항체와의 상호 경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B1, 5B1a, 7D4, 7E4, 13B8 또는 18D5이 푸코실-GM1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 대한 시험 항체의 능력은 시험 항체가 푸코실-GM1에 결합하는 것에 대해 5B1, 5B1a, 7D4, 7E4, 13B8 또는 18D5와 경쟁하여 5B1, 5B1a, 7D4, 7E4, 13B8 또는 18D5와 동일한 푸코실-GM1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5B1, 5B1a, 7D4, 7E4, 13B8 또는 18D5와 동일한 푸코실-GM1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는 인간 모노클론 항체이다. 그러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는 실시예에 기술된대로 제조되고 분리될 수 있다.
제조되고 변형된 항체
본 명세서의 항체는 출발 항체에 대해 개조된 성질을 갖는 변형된 항체를 제조하기 위해, 출발 물질로서, 여기에 기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VH 및/또는 VL 서열을 갖는 항체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항체는 하나 또는 둘의 가변 지역 내에서(즉 VH 및/또는 VL )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DR 지역 내에서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골격 지역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잔기를 변형시킴으로 제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항체는 예를 들면, 항체의 효과기 기능을 개조하기 위해서, 일정 지역 내에서 잔기를 변형함으로 제조될 수 있다.
수행할 수 있는 가변 지역 제조의 한 유형은 CDR 이식이다. 항체는 6개의 중 및 경 사슬 상보성 결정 지역(CDR)내에 위치한 아미노산 잔기를 통해 목표 항원과 우세하게 상호작용한다. 이 이유로 인해, CDR 내의 아미노산 서열은 CDR의 바깥쪽 서열보다 개개의 항체사이에서 더욱 다양하다. CDR 서열이 대부분의 항체-항원 상호작용에 기여하므로 상이한 성질을 갖는 상이한 항체로부터의 골격 서열에 이식된 특정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항체로부터의 CDR 서열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조립함으로 특정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항체의 성질을 모방하는 재조합 항체를 발현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리치만, L. 등 (1998) Nature 332:323-327; 존스, P. 등 (1986) Nature 321:522-525; 퀸, C. 등 (1989) Proc. Natl. Acad. Sci. U.S.A. 86:10029-10033; 윈터의 미국특허번호 5,225,539, 및 퀸 등의 미국특허번호 5,530,101; 5,585,089; 5,693,762및 6,180,370 참조).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구체예는 각각 SEQ ID NOs: 13, 14, 15, 16, 17 및 18, SEQ ID NOs: 19, 20, 21, 22, 23 및 24 및 SEQ ID NOs: 25, 26, 27, 28, 29 및 3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1, CDR2, 및 CDR3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과 각각 SEQ ID NOs: 31, 32, 33, 34, 35 및 36, SEQ ID NOs: 37, 38, 39, 40, 41 및 42, 및 SEQ ID NOs: 43, 44, 45, 46, 47 및 4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1, CDR2, 및 CDR3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항체는 모노클론 항체 5B1, 5B1a, 7D4, 7E4, 13B8 또는 18D5의 VH 및 VL CDR 서열을 포함하고, 이들 항체로부터의 서로 다른 골격 서열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골격 서열은 생식계열 항체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는 출판된 참고문헌 또는 공개 DNA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 중 및 경 사슬 가변 지역 유전자의 생식계열 DNA 서열은 "V베이스" 인간 생식계열 서열 데이터베이스(인터넷상에서 www.mrccpe.cam.ac.uk/vbase에서 얻을 수 있음), 뿐만 아니라 카뱉, E. A., 등 (1991)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Fifth Educa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IH publication No. 91-3242; 톰린슨, I. M., 등 (1992) "the repertoire of Human Germline VH Sequences Reveals about Fifty Groups of VH Segments with Different Hypervariable Loops" J. Mol. Biol. 227:776-798; 및 콕스, J. P. L. 등 (1994) "A Directory of Human Germ-lone VH Segments Reveals s Strong Bias in their Usage" Eur. J. Immunol. 24:827-836;에서 발견할 수 있고, 그 각각의 내용은 참고로 여기에 특별히 포함시킨다. 다른 예로서, 인간 중 및 경 사슬 가변 지역 유전자의 생식계열 DNA 서열들은 겐뱅크 자료에서 발견할 수 있다. 예로서, HCo7 HuMAb 쥐에서 발견되는 다음의 중 사슬 생식계열 서열들은 겐뱅크 기탁 번호: 1-69 (NG_0010109, NT_024637 및 BC070333), 3-33 (NG_0010109 및 NT_024637) 및 3-7 (NG_O0l0109 및 NT_024637)로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HCo12 HuMAb 쥐에서 발견되는 다음의 중 사슬 생식계열 서열들은 겐뱅크 기탁 번호: 1-69 (NG_0Ol0109, NT_024637 및 BC070333), 5-51 (NG_0010109 및 NT_024637), 4-34 (NG_0010109 및 NT_024637), 3-30.3 (?) 및 3-23 (AJ406678)로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항체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골격 서열은 본 명세서의 선택된 항체에 사용되는 골격 서열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모노크론 항체에 사용되는 VH 3-48 골격 서열(SEQ ID NO:61) 및/또는 Vk L15 골격 서열(SEQ ID NO:62)과 유사한 것들이다. VH CDR1, CDR2 및 CDR3 서열들 및 Vk CDR1, CDR2 및 CDR3 서열들은 골격 서열이 유도된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에서 발견된 것과 동일한 서열을 갖는 골격 지역에 이식될 수 있거나 또는 생식계열과 비교할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골격 지역에 CDR 서열이 이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경우에 항체의 항원 결합 능력을 유지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해 골격 지역 내에서 잔기를 돌연변이시키는 것이 이롭다는 것이 발견되었다(예를 들면, 퀸 등의 미국 특허 5,530,101; 5,585,089; 5,693,762 및 6,180,370 참조).
가변 지역 변형의 다른 유형은 VH 및/또는 Vk CDR1, CDR2 및/또는 CDR3 지역 내의 아미노산 잔기를 돌연변이 시켜서, 이로써 관심있는 항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 성질(예를 들면, 친화력)을 개선한다. 위치-지적 돌연변이유발 또는 PCR-매개 돌연변이유발로 돌연변이가 도입되고 항체 결합에 있어서의 효과 또는 관심있는 다른 기능적 성질이 실시예에 제공되고 여기에 기술된 시험관내 또는 생체 내 분석으로 평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존성 변형물(상기한 것)이 도입된다. 돌연변이는 아미노산 치환, 첨가, 또는 삭제이나, 바람직하게는 치환이다. 더욱이 CDR 지역 내에서 전형적으로 하나, 둘, 셋, 넷, 또는 다섯 개 이상의 잔기가 개조된다.
따라서,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는 (a) SEQ ID NOs: 13, 14, 15, 16, 17 및 1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s: 13, 14, 15, 16, 17 및 1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에 비하여 하나, 둘, 셋, 넷 또는 다섯 개의 아미노산 치환, 삭제 또는 첨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CDR1 지역; (b) SEQ ID NOs: 19, 20, 21, 22, 23 및 2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s: 19, 20, 21, 22, 23 및 2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에 비하여 하나, 둘, 셋, 넷 또는 다섯 개의 아미노산 치환, 삭제 또는 첨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CDR2 지역; (c) SEQ ID NOs: 25, 26, 27, 28, 29 및 3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s: 25, 26, 27, 28, 29 및 3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에 비하여 하나, 둘, 셋, 넷 또는 다섯 개의 아미노산 치환, 삭제 또는 첨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CDR3 지역; (d) SEQ ID NOs: 31, 32, 33, 34, 35 및 36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s: 31, 32, 33, 34, 35 및 36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에 비하여 하나, 둘, 셋, 넷 또는 다섯 개의 아미노산 치환, 삭제 또는 첨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k CDR1 지역; (e) SEQ ID NOs: 37, 38, 39, 40, 41 및 4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s: 37, 38, 39, 40, 41 및 4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에 비하여 하나, 둘, 셋, 넷 또는 다섯 개의 아미노산 치환, 삭제 또는 첨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k CDR2 지역; 및 (f) SEQ ID NOs: 43, 44, 45, 46, 47 및 4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s: 43, 44, 45, 46, 47 및 4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에 비하여 하나, 둘, 셋, 넷 또는 다섯 개의 아미노산 치환, 삭제 또는 첨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k CDR3 지역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제조된 항체에는 예를 들면, 항체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VH 및/또는 Vk 내의 골격 잔기에 변형이 행해진 것들이 포함된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골격 변형은 항체의 면역원성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한 접근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골격 잔기를 상응하는 생식계열 서열로 복귀돌연변이 시키는 것이다. 더욱 특히 체세포 돌연변이를 수행한 항체는 항체가 유도된 생식계열 서열과 다른 골격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잔기는 항체가 유도된 생식계열 서열에 항체 골격 서열을 비교함으로 밝힐 수 있다.
예를 들면, 7E4에서, VH의 아미노산 잔기 #11(FR1내에서)은 세린인 반면, 상응하는 VH 3-48 생식계열 서열내의 이 잔기는 로이신이다(도 5참조). 골격 지역 서열을 이들의 생식계열 배열로 되돌리기 위해서, 체세포 돌연변이를 예를 들면 위치-지적 돌연변이유발 또는 PCR-매개 돌연변이유발에 의해 생식계열 서열로 복귀 돌연변이 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7E4의 VH의 FR1의 잔기 #11을 세린에서 로이신으로 복귀돌연변이 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에서, VH의 아미노산 잔기 #16(FR1내에서)은 글루타민산인 반면, 상응하는 VH 3-48 생식계열 서열내의 이 잔기는 글리신이다. 골격 지역 서열을 이들의 생식계열 배열로 되돌리기 위해서, 예를 들면,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잔기 #16을 글루타민산에서 글리신으로 복귀 돌연변이 시킬 수 있다. 그러한 "복귀 돌연변이된" 항체들도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다른 예로,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에서, VH의 아미노산 잔기 #23(FR1내에서)은 발린인 반면, 상응하는 VH 3-48 생식계열 서열내의 이 잔기는 알라닌이다. 골격 지역 서열을 이들의 생식계열 배열로 되돌리기 위해서,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잔기 #23을 발린에서 알라닌으로 복귀돌연변이 시킬 수 있다. 그러한 "복귀돌연변이된" 항체는 또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다른 예로, 7D4에서, VH의 아미노산 잔기 #24(FR1내에서)는 발린인 반면, 상응하는 VH 3-48 생식계열 서열내의 이 잔기는 알라닌이다. 골격 지역 서열을 이들의 생식계열 배열로 되돌리기 위해서, 7D4의 VH의 잔기 #24를 발린에서 알라닌으로 복귀돌연변이 시킬 수 있다. 그러한 "복귀돌연변이된" 항체는 또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다른 예로, 13B8에서, VH의 아미노산 잔기 #29(FR1내에서)는 로이신인 반면, 상응하는 VH 3-48 생식계열 서열내의 이 잔기는 페닐알라닌이다. 골격 지역 서열을 이들의 생식계열 배열로 되돌리기 위해서, 13B8의 VH의 잔기 #29를 로이신에서 페닐알라닌으로 복귀돌연변이 시킬 수 있다. 그러한 "복귀돌연변이된" 항체는 또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다른 예로, 7D4, 13B8 및 18D5에서, VH의 아미노산 잔기 #48(FR2내에서)은 이소로이신인 반면, 상응하는 VH 3-48 생식계열 서열내의 이 잔기는 발린이다. 골격 지역 서열을 이들의 생식계열 배열로 되돌리기 위해서, 7D4, 13B8 및 18D5의 VH의 잔기 #48(FR2내에서 잔기 #13)을 이소로이신에서 발린으로 복귀돌연변이 시킬 수 있다. 그러한 "복귀돌연변이된" 항체는 또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다른 예로, 7D4, 및 18D5에서, VH의 아미노산 잔기 #84(FR3내에서)은 세린인 반면, 상응하는 VH 3-48 생식계열 서열내의 이 잔기는 아스파라긴이다. 골격 지역 서열을 이들의 생식계열 배열로 되돌리기 위해서, 7D4, 및 18D5의 VH의 잔기 #84(FR3내에서 잔기 #18)을 세린에서 아스파라긴으로 복귀돌연변이 시킬 수 있다. 그러한 "복귀돌연변이된" 항체는 또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골격 변형의 또 다른 유형은 항체의 잠재적 면역원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T 세포 에피토프를 제거하려고, 골격 지역 내에서 또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CDR 지역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잔기를 돌연변이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접근은 또한 탈면역화로도 언급되며, 칼 등의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030153043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골격 또는 CDR 지역 내에 행한 변형에 부가 또는 대체하여, 본 명세서의 항체는, 혈장 반감기, 보체 고정, Fc 수용체 결합 및/또는 항원-의존 세포독성과 같은 항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적 성질을 전형적으로 고치기 위해서 Fc 지역 내에 변형을 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의 항체는 화학적으로 변형 시키거나(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학성분을 항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는 그의 글리코실화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변형하여 다시 항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적 성질을 변경할 수 있다. 각각의 이들 구체예는 아래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Fc 지역 내의 잔기 번호는 카뱉의 EU 인덱스의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CH1의 이음 지역이 이음 지역 내의 시스테인 잔기의 수가 변경되게 예를 들면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 접근은 보드머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677,425에 더욱 기술되어 있다. CH1의 이음 지역 내의 시스테인 잔기의 수가 변경되어 예를 들면 경 및 중 사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거나 항체의 안정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항체의 Fc 이음 지역이 돌연변이되어 항체의 생물학적 반감기가 감소된다. 더욱 특히 항체가 자연 Fc-이음 영역 SpA 결합에 비해 손상된 스타필로코실 단백질 A (SpA)를 갖도록 Fc-이음 단편의 CH2-CH3 영역 계면 지역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돌연변이가 도입된다. 이 접근은 왈드 등의 미국 특허 번호 6,165,745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항체는 그의 생물학적 반감기를 증가시키도록 변형된다. 예를 들면, 왈드의 미국 특허 번호 6,277,375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의 돌연변이가 도입된다: T252L, T254S, T256F. 대체적으로, 생물학적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항체를 프레스타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869,046 및 6,121,022에 기술된 바와 같이, IgG의 Fc 지역의 CH2 영역의 두 개의 루프로부터 취한 구제 수용체 결합 에피토프를 포함시키도록 CH1 또는 CL 지역 내에서 변경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항체의 효과기 기능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잔기를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대치함으로 Fc 지역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가 효과기 리간드에 대해 변경된 친화성을 갖지만 모 항체의 항원-결합 능력을 유지하도록, 아미노산 잔기 234, 235, 236, 237, 297, 318, 320 및 322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대치할 수 있다. 친화성이 변경된 효과기 리간드는 예를 들면, Fc 수용체 또는 보체의 C1 성분일 수 있다. 이 접근은 윈터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624,821 및 5,648,260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항체가 변경된 C1q 결합 및/또는 감소 또는 폐지 보체 의존 세포 독성(CDC)을 갖도록 아미노산 잔기 329, 331 및 322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대치될 수 있다. 이 접근은 이드소지 등의 미국 특허 번호 6,194,551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미노산 위치 231 및 239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변경하여 이로서 보체를 고정시키는 항체의 능력을 변경할 수 있다. 이 접근은 보드머 등의 PCT 공개 WO 94/29351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238, 239, 248, 249, 252, 254, 255, 256 258, 265, 267, 268, 269, 270, 272, 276, 278, 280, 283, 285, 286, 289, 290, 292, 293, 294, 295, 296, 298, 301, 303, 305, 307, 309, 312, 315, 320, 322, 324, 326, 327, 329, 330, 331, 333, 334, 335, 337, 338, 340, 360, 373, 376, 378, 382, 388, 389, 398, 414, 416, 419, 430, 434, 435, 437, 438, 또는 439의 위치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을 변형시킴으로 Fcγ 수용체에 대한 항체의 친화력을 증가시키고/거나 항체 의존 세포 독성(ADCC)을 매개하는 항체의 능력을 증가시키도록 Fc 지역을 변형한다. 이 접근은 프레스타의 PCT 공개 WO 00/42072에 더욱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FcγRⅠ, FcγRⅡ, FcγRⅢ 및 FcRn의 인간 IgG 상의 결합 위치는 지도가 그려졌고, 결합이 증진된 변이도 기술되었다(실드, R.L. 등(2001) J. Biol. Chem. 276:6591-6604 참조). 위치 256, 290, 298, 333, 334 및 339상의 특정 돌연변이는 FcγRⅢ 에 대한 결합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하여, 다음의 조합 돌연변이들은 FcγRⅢ 결합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256A/S298A, S298A/E333A, S298A/K224A 및 S298A/E333A/K334A.
또 다른 구체예에서, 항체의 글리코실화를 변형하였다. 예를 들면, 항글리코실화된 항체를 만들 수 있다(즉, 항체가 글리코실화가 결여된다). 글리코실화가 변경되어 예를 들면, 항원에 대한 항체의 친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한 카보하이드레이트 변형은 예를 들면 항체 서열내의 글리코실화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를 변경함으로 성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변 지역 골격 글리코실화 위치를 제거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이 행해져서 이로서 그 위치에서의 글리코실화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한 항글리코실화는 항원에 대한 항체의 친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한 접근은 코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714,350 및 6,350,861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감소된 양의 푸코실 잔기를 갖는 하이포푸코실화 항체 또는 증가된 이분 GlcNac 구조를 갖는 항체와 같은 글리코실화의 변경된 유형을 갖는 항체를 만들 수 있다. 그러한 변경된 글리코실화 패턴은 항체의 ADCC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카보하이드레이트 변형은, 예를 들면, 변경된 글리코실화 기구를 갖는 숙주 세포에서 항체를 발현시킴으로 성취할 수 있다. 변경된 글리코실화 기구를 갖는 세포는 이 기술 분야에 기술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의 재조합 항체를 발현시켜서 이로서 변경된 글리코실화를 갖는 항체를 생산하기 위해 숙주 세포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주 Ms704, Ms705, 및 Ms709는 푸코실전이효소 유전자, FUT8(알파(1,6)푸코실전이효소)가 결핍되어 있어서 Ms704, Ms705, Ms709 세포주 내에서 발현된 항체들은 그들이 탄수화물상에 푸코스가 결핍된다. Ms704, Ms705, 및 Ms709 FUT8 세표주들은 두개의 대치벡터를 사용하여 CHO/DG44 세포들 내에서 FUT8 유전자를 표적하여 찢으므로 만들어진다(Yamane 등의 미국특허공개번호 20040110704 및 Yamane-Ohnuki 등 (2004) Biotechonol Bioeng 87:614-22 참조). 다른 예로서, 하나이 등의 EP 1,176,195에는 알파 1,6 결합-관련 효소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함으로 세포주 내에서 발현된 항체가 하이포푸코실화를 나타내는, 푸코실 전이효소를 암호화하는, FUT8 유전자가 기능상 찢겨진 세포주가 기술되어 있다. 하나이 등은 또한 항체의 Fc 지역에 결합하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에 푸코실을 첨가하는 것에 대한 효소 활성이 낮거나 또는 효소 활성이 없는 세포주, 예를 들면, 쥐의 골수종 세포주 YB2/0(ATCC CRL 1662)를 기술하였다. 프레스타의 PCT 공개 WO03/035835에는 Asn(297)-연결 카보하이드레이트에 푸코오스를 부착시키는 능력이 감소되어, 숙주 세포에서 발현된 항체의 하이포푸코실화를 초래하는 변이 CHO 세포주, Lec 13 세포가 기술되어 있다.(또한 쉴드, R.L. 등, (2002) J. Biol. Chem. 277: 26733-26740을 보라) 우마나 등의 PCT 공개 WO 99/54342에는 제조된 세포주에서 발현된 항체가 항체의 ADCC 활성을 증가시키는 증가된 이분 GlcNac 구조를 나타내도록 글리코프로테인-변형 글리코실 전이효소(예를 들면, 베타(1,4)-N-아세틸글루코사미닐 전이효소 Ⅲ(GnTⅢ))를 발현시키도록 제조된 세포주가 기술되어 있다.(또한 우마나 등 (1999) Nat. Biotech. 17:176-180 참조). 대안으로, 항체의 푸코스 잔기는 푸코시다제 효소를 사용하여 찢겨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푸코시다제 알파-L-푸코시다제는 항체로부터 푸코실 잔기를 제거한다(타렌티노, A.L. 등 (1975)Biochem. 14:5516-23).
본 명세서에 의해 고려된 항체의 다른 변형은 페그화(pegylation)이다. 항체를 예를 들면, 항체의 생물학적(예를 들면, 혈장)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페그화할 수 있다. 항체를 페그화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PEG 기가 항체 또는 항체 단편에 부착하는 조건하에서 PEG의 알데히드 유도체 또는 반응성 에스테르와 같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과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전형적으로 반응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페그화는 반응성 PEG 분자(유사 반응성 수용성 중합체)의 알킬화 반응 또는 아실화 반응을 통해 수행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란 용어는 모노(C1-C10)알콕시-또는 아릴옥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말레이미드와 같은 다른 단백질을 유도하기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PEG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어떤 구체예에서, 페그화된 항체는 항글리코실화된 항체이다. 단백질을 페그화하는 방법은 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명세서의 항체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시무라 등의 EP 0 154 316 및 이시카와 등의 EP 0 401 384를 참조한다.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한 바와 같이, 여기에 기술된 VH 및 VK 서열을 갖는 항-푸코실-GN1 항체는 VH 및/또는 VK 서열, 또는 그에 부착된 일정 지역(들)을 변형시킴으로 새로운 항-푸코실-GN1 항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일면으로,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 예를 들면,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푸코실-GM1에 결합하는 것과 같은 본 명세서의 항체의 기능적 성질 적어도 하나를 보유하는 구조적으로 연관된 항-푸코실-GM1 항체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5B1, 5B1a, 7D4, 7E4, 13B8 또는 18D5, 또는 그의 돌연변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DR 지역들을 알려진 골격 지역 및/또는 다른 CDR과 재조합으로 결합시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명세서의 부가적인, 재조합-제조된, 항-푸코실-GM1 항체를 만들 수 있다. 변형의 다른 유형에는 앞의 부분에서 기술된 것들이 포함된다. 제조하는 방법의 출발 물질은 여기에 제공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VH 및/또는 Vk 서열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의 CDR 지역이다. 제조된 항체를 만들기 위해서, 여기에 제공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VH 및/또는 Vk 서열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의 CDR 지역을 갖는 항체를 실제로 제조하는 것(즉,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오히려, 서열 내에 포함된 정보가 출발 물질로 사용되어 원래의 서열(들)로부터 유도된 "제 2"의 서열(들)을 만들고 다음에 "제 2"의 서열(들)이 제조되고 단백질로 발현된다.
따라서,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는
(a) (ⅰ)SEQ ID NOs: 13, 14, 15, 16, 17 및 1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 CDR1; 및/또는 SEQ ID NOs: 19, 20, 21, 22, 23 및 24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 CDR2; 및/또는 SEQ ID NOs: 25, 26, 27, 28, 29 및 3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 CDR3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항체 서열; 및/또는 (ⅱ) SEQ ID NOs: 31, 32, 33, 34, 35 및 36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 CDR1; 및/또는 SEQ ID NOs: 37, 38, 39, 40, 41 및 4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 CDR2; 및/또는 SEQ ID NOs: 43, 44, 45, 46, 47 및 48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서열 CDR3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항체 서열을 제공하고;
(b) 적어도 하나의 변경된 항체 서열을 만들기 위해서 중 사슬 가변 지역 항체 서열 및/또는 경 사슬 가변 지역 항체 서열내의 아미노산 잔기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c) 변경된 항체 서열을 단백질로 발현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푸코실-GM1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표준 분자 생물학 기술을 사용하여 변경된 항체 서열을 제조하고 발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변경된 항체 서열에 의해 암호화된 항체는 기능적 성질이
(a) 항체가 푸코실-GM1에 1 x 10-7 M 이하의 KD로 결합한다;
(b) 인간의 작은 세포 폐암 세포주 DMS-79(인간 SCLC ATCC # CRL-2049)에 결합한다;
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를 포함하는, 여기에 기술된 항-푸코실-GM1 항체의 기능적 성질 하나, 일부 또는 전부를 보유하는 것이다.
변경된 항체의 기능적 성질은 실시예에 주어진 것들(예를 들면, 유동 세포 분석, 결합 분석)과 같은 여기에 기술된 및/또는 이 기술분야에서 사용가능한 표준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어떤 구체예에서, 돌연변이가 항-푸코실-GM1 항체 암호화 서열의 일부분 또는 전부에서 임의로 또는 선택적으로 도입되어서 형성된 결과의 변형된 항-푸코실-GM1 항체를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결합 활성 및/또는 다른 기능적 성질에 대해 스크린할 수 있다. 돌연변이 방법은 이 분야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솔트의 PCT 공개 WO 02/092780에 포화 돌연변이 유발, 합성 리간드 조립 또는 그의 조합을 사용하는 항체 돌연변이를 만들고 스크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라잘 등의 PCT 공개 WO 03/074679에는 항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적화하는 컴퓨터 스크린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항체를 암호화하는 핵산 분자
본 명세서의 다른 일면은 본 명세서의 항체를 암호화하는 핵산 분자에 관한 것이다. 핵산은 전체 세포, 세포 용균물 또는 부분적으로 정제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핵산은 알카리/SDS 처리, CsCl 밴딩, 칼럼 크로마토그라피, 아가로우스 겔 전기영동 및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다른 것을 포함하는 표준 기술에 의해 다른 세포 성분 또는 다른 불순물, 예를 들면, 다른 세포 핵산 또는 단백질로부터 정제했을 때, 분리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하게 된다. (F. 어서벨 등 ed. (1987)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Greene Publishing and Wiley Interscience, New York 참조) 본 명세서의 핵산은 예를 들면 DNA 또는 RNA일 수 있으며, 인트론(intronic) 서열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핵산은 cDNA 분자이다.
본 명세서의 핵산은 표준 분자 생물학 기술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예를 들면, 아래에 더욱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옮기는 유전자 이식 쥐로부터 제조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발현된 항체에 대해서는,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제조된 항체의 경 및 중 사슬을 암호화하는 cDNA를 표준 PCR 증폭 또는 cDNA 클로닝 기술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라이브러리(예를 들면, 파아지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하는)로부터 얻어진 항체에 대해서는, 항체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라이브러리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핵산 분자는 5B1, 5B1a, 7D4, 7E4, 13B8 또는 18D5 모노클론 항체의 VH 및 VL 서열을 암호화하는 것이다.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VH 서열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은 SEQ ID NOs: 49, 50, 51, 52, 53 및 54에 각각 나타나 있다.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VL 서열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은 SEQ ID NOs: 55, 56, 57, 58, 59 및 60에 각각 나타나 있다.
일단 VH 및 VL 단편을 암호화하는 DNA 단편을 얻고, 이 DNA 단편을 표준 재조합 DNA 기술, 예를 들면, 가변 지역 유전자를 전-길이 항체 사슬 유전자, Fab 단편 유전자 또는 scFv 유전자로 전환시킴으로 더욱 조작할 수 있다. 이 조작에서, VH 또는 VL-암호화 DNA 단편은 항체 일정 지역 또는 유연성 연결자와 같은 다른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다른 DNA 단편에 의도적으로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의도적으로 연결된"이란 용어는 두 개의 DNA 단편에 의해 암호화된 아미노산 서열이 골격에 유지되도록 두 개의 DNA 단편을 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VH 지역을 암호화하는 분리된 DNA는 중 사슬 일정 지역(CH1, CH2 및 CH3)을 암호화하는 다른 DNA 분자에 VH-암호화 DNA를 의도적으로 연결시킴으로 전-길이 중 사슬 유전자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인간 중 사슬 일정 지역 유전자의 서열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고(예를 들면, 카뱉, E. A., 등 (1991) Sequences i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Fifth Edition, 미국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IH공개 번호 91-3242 참조), 이 지역을 포함하는 DNA 단편은 표준 PCR 증폭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중 사슬 일정 지역은 IgG1, IgG2, IgG3, IgG4, IgA, IgE, IgM 또는 IgD 일정 지역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IgG1 또는 IgG4 일정 지역이다. Fab 단편 중 사슬 유전자에 대해서는, VH-암호화 DNA를 단지 중 사슬 CH1 일정 지역을 암호화하는 다른 DNA 분자에 의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VL 지역을 암호화하는 분리된 DNA는 경 사슬 일정 지역, CL을 암호화하는 다른 DNA 분자에 VL-암호화 DNA를 의도적으로 연결시킴으로 전-길이 경 사슬 유전자(뿐만 아니라 Fab 경 사슬 유전자)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인간 경 사슬 일정 지역 유전자의 서열은 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고(예를 들면 카뱉, E. A., 등 (1991)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Fifth Edition, 미국 Department of Heath and Human Services, NIH 공개 번호 91-3242 참조), 이 지역을 포함하는 DNA 단편은 표준 PCR 증폭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경 사슬 일정 지역은 카파 또는 람다 일정 지역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파 일정 지역이다.
scFv 유전자를 만들기 위해서, VH-및 VL-암호화 DNA 단편을 유연성 연결자를 암호화하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 서열 (Gly4-Ser)3을 암호화하는, 유연한 연결자에 의해 합해진 VH 및 VL 지역을 갖는 다른 단편에 의도적으로 연결하여 VH 및 VL 서열이 인접한 단일-사슬 단백질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한다(예를 들면, Bird 등 (1988) Science 242:423-426; Huston 등 (1988) Proc. Natl. Acad. Sci. USA 85:5879-5883; 맥카페르티 등 (1990) Nature 348:552-554 참조).
본 명세서의 모노클론 항체의 생성
본 명세서의 모노클론 항체(mAbs)는 통상적인 모노클론 항체 방법론 예를 들면 코흘러 및 밀스테인(1975) Nature 256:495의 표준 체세포 교잡 기술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기술로 생성될 수 있다. 체세포 교잡 기술이 바람직하지만, 원칙적으로 모노클론 항체를 생성하는 다른 기술, 예를 들면, B 림프구의 바이러스 또는 종양 발생 형질전환을 사용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동물계는 쥐과이다. 쥐에서의 하이브리도마 생성은 매우 잘 확립된 공정이다. 접합용의 면역된 비장 세포 분리를 위한 기술 및 면역 프로토콜이 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접합 파트너(예를 들면, 쥐의 골수종 세포) 및 접합 공정도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의 불명의 또는 인간화된 항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쥐의 모노클론 항체의 서열을 기반으로 제조할 수 있다. 중 및 경 사슬 면역글로불린을 암호화하는 DNA는 관심있는 쥐의 하이브리도마로부터 얻고, 표준 분자 생물학 기술을 사용하여 쥐가 아닌(예를 들면,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포함하기 위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명의 항체를 만들기 위해서, 쥐의 가변 지역을 이 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인간 일정 지역에 연결할 수 있다(예를 들면, 카빌리 등의 미국 특허 번호 4,816,567 참조). 인간화된 항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쥐의 CDR 지역을 이 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인간 골격에 삽입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윈터의 미국 특허 번호 5,225,539 및 퀸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530,101; 5,585,089; 5,693,762 및 6,180,370 참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항체는 인간 모노클론 항체이다. 푸코실-GM1에 대한 그러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는 쥐의 시스템보다는 인간 면역 시스템 일부를 옮기는 유전자 이식 또는 염색체 이식 쥐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유전자 이식 및 염색체 이식 쥐는 여기서 각각 HuMAb 쥐 및 KM miceTM로 언급되는 쥐를 포함하며, 총체적으로 "인간 Ig 쥐"로 언급한다.
HuMAb mouse®(Medarex, Inc.)는 내생의 μ 및 κ 사슬 자리를 불활성화시키는 표적의 돌연변이를 갖는 재배열되지 않은 인간 중(μ 및 γ) 및 κ 경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암호화하는 인간 면역 글로불린 유전자 미니자리를 포함한다(예를 들면, 론버그, 등의 (1994) Nature 368(6474):856-859 참조). 따라서, 쥐는 감소된 쥐의 IgG 또는 κ의 발현을 나타내고, 면역화에 반응하여, 도입된 인간 중 및 경 사슬 이식 유전자는 클래스 전환 및 체세포 돌연변이를 하여 높은 친화력의 인간 IgGκ 모노클론을 생성한다(론버그, N. 등 (1994) 위와 같음; reviewed in 론버그, N. (1994) Handbook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113:49-101; 론버그, N. 및 허스잘, D. (1995) Intern. Rev. Immunol. 13:65-93, 및 하딩, F. 및 론버그, N. (1995) Ann. N. Y. Acad. Sci. 764:536-546). HuMab 쥐의 제조와 사용 및 그러한 쥐에 의해 옮겨지는 게놈 변형은 테일러, L., 등 (1992) Nucleic Acids Research 20:6287-6259; 첸 J., 등 (1993) International Immunology 5:647-656; 투아일론 등 (1993) Proc. Natl. Acad. Sci. 미국 90:3720-3724; 최 등 (1993) Nature Genetics 4:117-123; 첸 J., 등 (1993) EMBO J. 12:821-830; 투아일론 등 (1994) J. Immunol. 152:2912-2920; 테일러 L., 등 (1994) International Immunology 6:579-591;; 및 피쉬와일드 D., (1996) Nature Biotechnology 14:845-851,에 더욱 기술되어 있고, 이 모든 것의 내용은 참고로 전체를 여기에 특별히 포함시킨다. 모두 론버그 및 케이의 미국 특허 번호 5,545,806; 5,569,825; 5,625,126; 5,633,425; 5,789,650; 5,877,397; 5,661,016; 5,814,318; 5,874,299; 및 5,770,429; 수라니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545,807 모두 론버그 및 케이의 PCT 공개 번호 WO 92/03918, WO 93/12227, WO 94/25585, WO 97/13852, WO 98/24884 및 WO 99/45962 및 코르만 등의 PCT 공개 번호 WO 01/14424를 더욱 참조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인간 항체는 인간 중 사슬 이식 유전자 및 인간 경 사슬 이식염색체를 옮기는 쥐와 같은 이식유전자 및 이식염색체상에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옮기는 쥐를 사용하여 증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KM miceTM"로 언급되는 그러한 쥐는 이시다 등의 PCT 공개 WO 02/43478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발현하는 대체적인 유전자이식 동물계는 이 분야에서 얻을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를 증가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노마우스(Xenomous; Abgenix, Inc)로 언급되는 대체적인 이식유전자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쥐는 예를 들면, 쿠쳐라파티 등의 미국 특허 번호 5,939,598; 6,075,181; 6,114,598; 6,150,584 및 6,162,963에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발현하는 대체적인 이식염색체 동물계는 이 분야에서 얻을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C mice"로 언급되는, 인간 중 사슬 이식염색체 및 인간 경 사슬 이식염색체 둘 다를 옮기는 쥐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쥐는 토미주카 등 (2000) Proc. Natl. Acad. Sci. USA 97:722-727에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인간 중 및 경 사슬 이식염색체를 옮기는 소는 이 분야에 기술(쿠로이와 등 (2002) Nature Biotechnology 20:889-894) 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를 증식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인간 모노클론 항체는 또한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의 스크리닝 라이브러리의 파아지 배열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인간 항체를 분리하는 그러한 파아지 배열법은 이 분야에 잘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라드너 등의 미국특허번호 5,223,409; 5,403,484; 및 5,571,698; 다월 등의 미국 특허번호 5,427,908 및 5,580,717; 맥카페르티 등의 미국특허번호 5,969,108 및 6,172,197; 및 그리피쓰 등의 미국특허번호 5,885,793; 6,521,404; 6,544,731; 6,555,313; 6,582,915; 및 6,593,081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의 인간 모노클론 항체는 인간 항체 반응이 면역에 대해 생성될 수 있도록 그 안에서 인간 면역 세포가 재구성된 SCID 쥐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쥐는 예를 들면 윌슨 등의 미국특허번호 5,476,996 및 5,698,767에 기술되어 있다.
인간 Ig 쥐의 면역
본 명세서의 인간 항체를 증식시키기 위해서 인간 Ig 쥐를 사용할 때, 그러한 쥐는 론버그 L. 등 (1994) Nature 368(6474): 856-859; 피쉬윌드, D. 등 (1996) Nature Biotechnology 14:845-851; 및 PCT 공개 WO 98/24884 및 WO 01/14424에 기술된 바와 같이 푸코실-GM1 항원 및/또는 재조합 푸코실-GM1 또는 푸코실-GN1 접합 단백질의 정제된 또는 강화된 제조물로 면역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쥐의 나이는 첫 번째 주입시 6-16주이다. 예를 들면, 푸코실-GM1 항원의 정제된 또는 재조합된 제조물(5-50μg)을 사용하여 인간 Ig 쥐 복강내 면역을 시킬 수 있다.
푸코실-GM1에 대한 전체 인간 모노클론 항체를 생성하는 자세한 공정은 하기 실시예 1에 기술되어 있다. 여러 항원을 사용한 누적된 경험은 완전한 프로인드(Freund) 보조제내의 항원으로 처음에 복강내 면역(IP)시키고, 이어서 불완전한 프로인드(Freund) 보조제내의 항원으로 격주로 IP 면역(총 6번 까지)을 시킬 때 유전자이식 쥐가 반응한다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프로인드(Freund) 이외의 보조제도 효과적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덧붙여, 보조제가 없을 때 전체 세포는 높은 면역원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 반응은 역궤도 블리드(retroorbital bleed)로 얻어진 혈장 시료로 면역 프로토콜 과정에 대해 감시될 수 있다. 혈장을 ELISA(상기한 바와 같은)로 스크리닝하고, 항-푸코실-GM1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충분한 적정량을 갖는 쥐를 접합에 사용할 수 있다. 쥐는 죽여서 비장을 제거하기 3일 전에 항원 3을 정맥 내에 집어넣었다. 각각의 면역에 대해 2-3 주입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6-24의 쥐가 각각의 항원에 대해 전형적으로 면역되었다. 보통 HCo7 및 Hco12 균주를 사용한다. 부가하여, HCo7 및 HCo12 이식유전자 둘 다를 두 개의 서로 다른 인간 중 사슬 이식유전자(HCo7/HCo12)를 갖는 하나의 쥐에 함께 주입한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KM mouseTM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인간 모노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의 생성
본 명세서의 인간 모노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생성하기 위해서, 면역된 쥐로부터 비장세포 및/또는 림프절 세포를 분리하고 쥐 골수종 세포주와 같은 적절한 죽지 않는 세포주에 접합시킨다. 결과의 하이브리도마를 항원-특이성 항체의 생산에 대해 스크리닝한다. 예를 들면, 면역된 쥐로부터의 비장 림프구의 단일 세포 현탁액을 1/6의 P3X63-Ag8.653 미분비 쥐 골수종 세포(ATCC, CRL 1580)에 50% PEG을 사용하여 접합시킨다. 대안으로, 면역된 쥐로부터의 비장 림프구의 단일 세포 현탁액이 전기장을 기반으로 하는 전기접합법을 사용하고, Cyto Pulse large chamber cell fusion eletroporator(Cyto Pulse Science, Inc., Glen Burine, MD)을 사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세포는 바닥이 편평한 미세 적정량 플레이트 내에 약 2x105 로 바르고, 이어서 L-글루타민과 피루브산 나트륨(Mediatech, Inc., Herndon, VA)이 있고, 20% 태아 소 혈청(Hyclone, Logan, UT), 18% P388DI 조절 배지, 5% Origen Hybridoma cloning factor(Bio Veris, Gaithersburg, VA), 4-mM L-글루타민, 5 mM HEPES, 0.055 mM β-메르캅토에탄올, 50단위/ml 페니실린, 50 mg/ml 스트렙토마이신 및 1x 하이포잔틴-아미노프테린-티미딘(HAT)배지 (시그마; HAT를 접합 후 24시간에 첨가한다)을 더욱 포함하는 DMEM 고(高) 글루코오스 배지내에서 1주간 배양한다. 1주 후, 세포 사용된 HAT가 HT로 대치된 배지 내에서 배양한다. 다음에 각각의 웰을 인간 모노클론 IgM 및 IgG 항체에 대해 ELISA로 스크리닝한다. 일단 하이브리도마가 크게 성장하며, 배지는 보통 10-14일후에 관찰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를 분비하는 항체를 다시 바르고, 또 스크리닝하고, 인간 IgG에 대해 아직 양성이면, 모노클론 항체를 희석을 제한하면서 적어도 두 번 서브클로닝할 수 있다. 다음에 특징짓기 위한 조직 배양 배지에서 소량의 항체를 생성하기 위해서 안정한 서브틀론을 시험관내에서 배양한다.
인간 모노클론 항체를 정제하기 위해서, 선택된 하이브리도마를 모노클론 항체 정제를 위한 2-리터 스피너-플라스크에서 성장시킨다. 상청액을 여과하고 농축한 후 단백질 A-세파로스(Pharmacia, Piscataway, N.J.)로 친화성 크로마토그라피한다. 용출된 IgG를 순도를 확정하기위해서 전기영동 및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로 체크한다. 완충액을 PBS로 바꾸고 농도는 1.43의 소광 계수를 사용하여 OD280에 의해 결정한다. 모노클론 항체를 나누어서 -80℃에서 저장한다.
본 명세서의 모노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트랜스펙토마의 생성
본 명세서의 항체는 또한 이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예를 들면, 모리슨, S. (1985) Science 229:1202) 재조합 DNA 기술 및 유전자 트랜스펙션 방법을 사용하여 숙주 세포 트랜스펙토마로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 또는 그의 항체 단편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부분 또는 전-길이 경 및 중 사슬을 암호화하는 DNA를 표준 분자 생물학 기술(예를 들면, PCR 증폭 또는 관심있는 항체를 발현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사용하는 cDNA 크로닝)로 얻고, DNA를 유전자가 전사 및 번역 표준 서열에 의도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발현 벡터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의도적으로 연결된"이란 용어는 벡터내의 전사 및 번역 표준 서열이 항체 유전자의 전사 및 번역을 조절하는 그들의 의도된 기능으로 작용하도록 항체 유전자를 벡터에 결찰(結紮)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한다. 발현 벡터 및 발현 표준 서열은 사용된 발현 숙주 세포에 양립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한다. 항체 경 사슬 유전자 및 항체 중 사슬 유전자는 분리 벡터내로 삽입하거나 또는 더욱 전형적으로 두 유전자를 동일한 발현 벡터내로 삽입한다. 항체 유전자는 표준 방법(예를 들면,항체 유전자 단편 및 벡터상의 상보적 제한 위치의 결찰 또는 제한 위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무딘 끝 결찰)으로 발현 벡터내로 삽입시킨다. 여기에 기술된 항체의 경 및 중 사슬 가변 지역은 VH 단편이 벡터내의 CH 단편에 의도적으로 연결되고 Vk 단편이 벡터내의 CL 단편에 의도적으로 연결되도록 원하는 아이소타입의 중 사슬 일정 지역 및 경 사슬 일정 지역을 이미 암호화하는 발현 벡터내로 삽입함으로 임의의 항체 아이소타입의 전-길이 항체 유전자를 만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재조합 발현 벡터는 숙주 세포로부터의 항체 사슬의 분비를 용이하게 하는 신호 펩티드를 암호화할 수 있다. 항체 사슬 유전자는 신호 펩티드가 항체 사슬 유전자의 아미노 말단에 골격이 연결되도록 벡터 안으로 클로닝할 수 있다. 신호 펩티드는 면역글로불린 신호 펩티드 또는 이종 신호 펩티드(즉, 비-면역글로불린 단백질로부터의 신호 펩티드)일 수 있다.
항체 사슬 유전자에 부가하여, 본 명세서의 재조합 발현 벡터는 숙주 세포내의 항체 사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 서열을 옮긴다. "조절 서열"이라는 용어는 프로모터, 증진인자 및 항체 사슬 유전자의 전사 또는 번역을 조절하는 다른 발현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한 조절 서열은 예를 들면, Goeddel(유전자 발현 기술. 효소학에서의 방법 185, Academic Press, San Diego, CA (1990))에 기술되어 있다. 조절 서열의 선택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의 고안은 형질전환될 숙주 세포의 선택, 원하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 등과 같은 인자에 의존한다는 것을 당업자는 알고 있다. 포유류 숙주 세포 발현을 위한 바람직한 조절 서열에는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MV), 시미안 바이러스 40(SV40), 아데노바이러스(예를 들면, 아데노바이러스 메이져 레이트 프로모터(AdMLP) 및 폴리오마바이러스로부터 유도된 증진 인자 및/또는 프로모터와 같은, 포유류 세포내의 높은 수준의 단백질 발현을 지시하는 바이러스 요소가 포함된다. 대체적으로 바이러스가 아닌 조절 서열 유비퀴틴 프로모터 또는 β-글로빈 프로모터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조절 요소는 인간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타입 1(타케베, Y. 등 (1988) Mol. Cell. Biol. 8:466-472)의 긴 말단 반복 부분 및 SV40 초기 프로모터로부터의 서열을 포함하는, SRα 프로모터 시스템과 같은, 서로 다른 원천으로부터의 서열로 구성되어 있다.
항체 사슬 유전자 및 조절 서열에 부가하여, 본 명세서의 재조합 발현 벡터는 선택 가능한 마커 유전자 및 숙주 세포(예를 들면 복제의 오리진)에서 벡터의 복제를 조절하는 서열과 같은 부가적인 서열을 옮길 수 있다. 선택 가능한 마커 유전자는 벡터가 도입되는 숙주 세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예를 들면, 엑셀 등의 미국특허 번호 4,399,216, 4,634,665 및 5,179,017, 참조). 예를 들면, 전형적으로 선택 가능한 마커 유전자는 벡터가 도입되는 숙주 세포상에서, G418, 하이그로마이신 또는 메토트렉세이트와 같은 의약에 저항성을 부여한다. 바람직한 선택가능한 마커 유전자에는 디히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DHFR) 유전자(메토트렉세이트 선택/증폭과 함께 dhfr-숙주세포에서 사용하기 위해) 및 네오 유전자(G418 선택을 위해)가 포함된다.
경 및 중 사슬 발현을 위해, 경 및 중 사슬을 암호화하는 발현 벡터를 표준 기술로 숙주세포에 트랜스펙트시킨다. 트랜스펙션이라는 용어의 여러 가지 형태는 원핵 또는 진핵 숙주 세포내로 외래 DNA를 도입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기술, 예를 들면,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산칼슘 침착, DEAE-덱스트란 트랜스펙션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항체를 원핵 또는 진핵 숙주 세포에서 발현시키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진핵 세포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숙주세포에서의 항체의 발현이 가장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러한 진핵세포 및 특히 포유류 세포가 원핵세포보다 적절히 포개지고 면역학적으로 활성인 항체를 조립하고 분비하는데 더욱 좋기 때문이다. 항체 유전자의 원핵세포 발현은 활성 항체의 높은 수율 생산에 비효율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보스 M. A. 및 우드 C. R. (1985) Immunology Today 6:12-13).
본 명세서의 재조합 항체를 발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포유류 숙주세포에는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얼러브 및 체이슨 (1980) Proc. Natl. Acad. Sci. 미국 77:4216-4220에 기술되어 있는 바 dhfr-CHO 세포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R. J. 카프만 및 P. A. 샤프 (1982) Mol. Biol. 159:601-621에 기술되어 있는 바 DHFR 선택가능한 마커와 함께 사용되는) NSO 골수종 세포, COS 세포, 및 SP2 세포가 포함된다. 특히 NSO 골수종 세포를 사용할 때는 바람직한 발현 시스템이 WO87/04462, WO89/01036 및 EP 338,841에 기술된 GS 유전자 발현 시스템이다. 항체 유전자를 암호화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를 포유류 숙주세포에 도입시킬 때, 항체를 숙주세포 내에서 발현시키기에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항체 세포가 자라는 배양 배지로 항체를 분비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숙주세포를 배양함으로 항체를 생산한다. 항체를 표준 단백질 정제 방법을 사용하여 배양 배지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항원에 대한 항체 결합의 특성화
본 명세서의 항체를 예를 들면, 표준 ELISA에 의해 푸코실-GM1에 대한 결합을 시험할 수 있다. 간단히, 미세적정 플레이트에 정제된 푸코실-GM1을 PBS내의 0.25μg/ml로 바르고, 다음에 PBS내의 5% 소 혈청 알부민으로 차단한다. 항체 희석물들(예를 들면, 푸코실-GM1-면역 쥐의 혈장 희석물들)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37C˚에서 1-2시간 배양한다. 플레이트를 PBS/트윈으로 씻고 다음에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에 접합된 이차 시약(예를 들면, 인간 항체에 대해서는, 염소-항-인간 IgG Fc-특이성 폴리클론 시약)으로 37C˚에서 1시간 배양한다. 씻은 후, 플레이트를 pNPP 기질(1mg/ml)로 발달시키고, 405-650의 OD에서 분석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큰 적정물로 발달된 쥐를 접합에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ELISA 분석은 또한 푸코실-GM1 면역원과 양성의 반응성을 보여주는 하이브리도마를 스크리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푸코실-GM1에 높은 견인으로 결합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서브클로닝하고 더욱 특성화한다. -140˚C에서 저장되는 5-10 병 세포 뱅크를 만들고 또한 항체 정제를 위해, 모 세포의 반응성을 유지하는(ELISA에 의해) 각각의 하이브리도마로부터 한 클론을 선택할 수 있다.
항-푸코실-GM1 항체를 정제하기 위해서, 선택된 하이브리도마를 모노클론 항체 정제를 위한 이-리터 스핀너-플라스크에서 배양시킬 수 있다. 상청액을 여과하고 농축한 후에 단백질 A-세파로스(Pharmacia, Piscataway, NJ)로 친화성 크로마토그라피할 수 있다. 용출된 IgG를 순도가 확정되도록 겔 전기영동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하여 검사할 수 있다. 완충 용액을 PBS로 바꾸고, 1.43의 소광 계수를 사용하여 OD280으로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모노클론 항체는 나누어서 -80˚C에서 저장한다.
선택된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가 특정 에피토프에 결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항체를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시약(Pierce, Rockford, IL)을 사용하여 바이오틴화한다. 표지되지 않은 모노클론 항체 및 바이오틴화 모노클론 항체를 사용하는 경쟁 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은 푸코실-GM1 피복-ELISA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이오틴화 mAb 결합은 스트렙-아비딘-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로 검출할 수 있다.
정제된 항체의 아이소타입을 결정하기 위해서, 특정 아이소타입의 항체에 대해 특이성을 갖는 시약을 사용하여 아이소타입 ELISA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아이소타입을 결정하기 위해서, 미세적정 플레이트의 웰에 항-인간 면역글로불린 1 μg/ml로 4˚C에서 밤새 발라 놓는다. 1% BSA로 차단한 후 플레이트를 시험 모노클론 항체 또는 정제된 아이소타입 대조용 1 μg/ml 또는 그 이하와 주변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다음에 웰을 인간 IgG1 또는 인간 IgM-특이성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접합 탐침체와 반응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를 발달시키고 상기한 바와 같이 분석한다.
항-푸코실-GM1 인간 IgG를 웨스턴 블롯팅으로 푸코실-GM1 항원과의 반응성을 더욱 시험할 수 있다. 간단히, 푸코실-GM1을 제조하고,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시킬 수 있다. 전기영동 후, 분리된 항원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에 전이시키고, 10% 태아 송아지 혈청으로 차단하고, 시험할 모노클론 항체로 탐침한다. 인간 IgG 결합은 항-인간 IgG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고 BCIP/NBT 기질 정제(tablet)(Sigma Chem. Co., St. Louis, Mo)로 발달시킬 수 있다.
면역접합체
다른 일면에서, 본 명세서는 세포독소, 의약(예를 들면, 면역억제제) 또는 방사능 독소와 같은 치료학적 성분에 접합된 항-푸코실-GM1 항체 또는 그의 단편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접합체는 여기서 "면역접합체"로 언급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포독소를 포함하는 면역접합체는 "면역독소"로 언급한다. 세포독소 또는 세포독성제는 세포에 유해한(예를 들면, 죽이는)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예에는 탁솔, 사이토칼라신 B., 글라미시딘 D., 에티디움 브로마이드, 에메틴, 미토마이신, 에토포시드, 테노포시드, 빈크리스틴, 빈불라스틴, 콜키신,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디히드록시 안트라신 디돈, 미톡산트론, 미트라마이신, 악티노마이신 D., 1-데히드로테스토스테론,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프로카인, 테트라카인, 리도카인, 프로프라놀올 및 퓨로마이신 및 그에 유사체 또는 상사체가 있다. 또한 치료제에는 예를 들면 안티메타볼리트, (예를 들면 메토트레세이트, 6-메르캅토퓨린, 6-티오구아닌, 시타라빈, 5-멜팔란, 카르무스틴(BSNU) 및 로무스틴 (CCNU), 싸이클로토스파미드, 부썰판, 디브로모만니톨, 스트렙토조토신, 미토마이신 C., 및 시스-디클로로디안민 프라티눔(II)(DDP) 시스플라틴) 안트라사이클린, (예를 들면, 다우노루비신, (포르멀리 다우노마이신) 및 독소루비신), 항생제(예를 들면, 닥티노마이신(포르멀리악티노마이신), 블레노마이신, 미트라마이신 및 안트라마이신(AMC)), 및 항-유사분열제(예를 들면, 빈크리스틴 및 빈불라스틴)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항체에 접합시킬 수 있는 치료학적 세포독소의 다른 바람직한 예에는 두오카르마이신, 칼리체아미신, 메이탄신 및 오우리스타틴 및 그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칼리체아미신 항체 접합체의 예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MylotagTM; Wyeth-Ayerst). 치료학적 세포독소의 예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번호: 6548530 와 6281354 및 미국 특허 출원 번호: US 2003/0064984, US 2003/0073852 와 US 2003/0050331에서 볼 수 있다.
세포독소는 이 분야에서 이용가능한 링커 기술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의 항체에 접합시킬 수 있다. 항체에 세포독소를 접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링커 유형의 예에는 히드라존, 티오에테르,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펩티드-포함 링커가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링커는 예를 들면, 리소솜 구역에서 낮은 pH에 의한 분열에 민감한 또는 카텝신(예를 들면, 카텝신 B, C, D)과 같은 종양 조직에서 우세하게 발현되는 단백질분해효소와 같은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한 분열에 민감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항체에 치료제 접합을 위한 방법, 세포독소, 및 링커의 유형에 대한 또 다른 논의는 사이토 G., 등 (2003) Adv. Drug Deliv. Rev. 55:199-215; 트레일, P.A 등 (2003) Cancer Immunol. Immunother. 52:328-337; 페이네 G. (2003) Cancer Cell 3:207-212; 알렌, T. M. (2002) Nat. Rev Cancer 2:750-753; 페스탄, I. 및 크레이트맨, R. J. (2002) Curr. Opin. Investig. Drugs 3:1089-1091; 센터, P. D. 및 스프링걸, C. J. (2001) Adv. Drug Deliv. Rev. 53:247-264를 참조한다.
본 명세서의 항체는 또한 방사능 면역접합체로도 언급되는, 세포독성 방사능 제약품을 생성하는 방사성 동위원소에 접합될 수 있다. 진단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항체에 접합시킬 수 있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예에는 요오드131, 인듐111, 이트륨90 및 루테튬177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사능 면역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 분야에 설정되어 있다. 방사능 면역접합체의 예에는 ZevalinTM(IDEC Pharmaceuticals) 및 BexxarTM (Corixa Pharmaceuticals)이 포함되며, 시중에서 구입가능하고, 본 명세서의 항체를 사용하여 방사능 면역접합체를 제조하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항체 접합체를 주어진 생물학적 반응을 변형시키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의약 성분을 고전적인 화학 치료제로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면, 의약 성분은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그러한 단백질에는 예를 들면, 압린, 리신 A, 슈도모나스 외독소, 또는 디프테리아 독소같은 효소 활성 독소 또는 그의 활성 단편; 종양 괴사 인자 또는 인터페론-γ과 같은 단백질; 또는 예를 들면, 림포킨, 인터로이킨-1("IL-1"), 인터로이킨-2("IL-2") 인터로이킨-6("IL-6"), 과립구 거대 파아지 자극 인자("GM-CSF"),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G-CSF"), 또는 다른 성장 인자들과 같은 생물학적 반응 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항체에 그러한 치료학적 성분을 접합하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아론 등, "암 치료에 있어서 의약의 면역표적을 위한 모노클론 항체", Monoclonal Antibodies And Cancer Therapy, 레이스펠드 등(eds) pp.243-56 (알란 R. 리스, Inc. 1985); 헬스트롬 등, "의약전달을 위한 항체", Controlled Drug Delivery (2nd Ed.), 로빈슨 등 (eds), pp. 623-53 (Marcel Dekker, Inc. 1987); Thorpe, 암" 치료에 있어서 세포 독성 시약의 항체 담체 재고", Monoclonal Antibodies '84:Biological And Clinical Applications, 핀체라 등 (eds), pp. 475-506 (1985); "암 치료에 있어서 방사능표지된 항체의 치료 용도의 분석, 결과 및 미래 전망", Monoclonal Antibodies For Cancer Detection And Therapy, 발드윈 등 (eds), pp. 303-16 (Academic Press 1985), and 쏘르페 등, "항체-독성 접합체의 제조 및 세포독성", Immunol. Rev., 62:119-58 (1982)을 참조한다.
이중 특이성 분자
다른 일면으로, 본 명세서는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성 분자를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은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결합 위치 또는 표적 분자에 결합하는 이중 특이성 분자를 생성하기위해 다른 기능성 분자 예를 들면, 다른 펩티드 또는 단백질(예를 들면, 수용체를 위한 다른 항체 또는 리간드)에 결합되거나 유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항체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결합 위치 및/또는 표적 분자에 결합하는 다중특이성 분자를 생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기능성 분자에 사실상 결합되거나 또는 유도될 수 있으며; 그러한 다중특이성 분자는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이중특이성 분자"라는 용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이중특이성 분자를 만들기 위해서, 본 명세서의 항체는 이중특이성 분자가 얻어지도록, 다른 항체, 항체 단편, 펩티드 또는 결합 모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결합 분자에 기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푸코실-GM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결합 특이성 및 두 번째 표적 에피토프에 대한 두 번째 결합 특이성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성 분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특정 구체예에서, 두 번째 표적 에피토프는 Fc 수용체, 예를 들면, 인간 FcγRI(CD64) 또는 인간 FCα 수용체(CD89)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는 FcγR, FcαR 또는 FcεR 발현 효과기 세포(예를 들면, 단핵세포, 거대파아지 또는 다형핵 세포(PMN)) 및 푸코실-GM1을 발현하는 표적 세포 둘 다에 결합할 수 있는 이중특이성 분자를 포함한다. 이들 이중특이성 분자는 효과기 세포에 대해 푸코실-GM1 발현 세포를 표적으로 하여 푸코실-GM1 발현 세포의 식균작용, 항체 의존 세포-매개 세포독성(ADCC), 시토킨 방출 또는 과산화물 음이온과 같은 Fc 수용체-매개 효과기 세포 활성을 개시시킨다.
이중특이성 분자가 다중특이성인 본 명세서의 한 구체예에서, 분자는 항-Fc 결합 특이성 및 항-푸코실-GM1 결합 특이성에 부가하여, 세 번째 결합 특이성을 더욱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세 번째 결합 특이성은 항-증진 인자(EF) 부분, 예를 들면, 세포독성 활성이 포함된 표면 단백질에 결합하여 표적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는 분자이다. "항-증진 인자 부분"은 주어진 분자 예를 들면, 항원 또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이로써 Fc 수용체 또는 표적 세포에 대한 결합 결정체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리간드 항원 또는 기능성 항원 단편일 수 있다. "항-증진 인자 부분"은 Fc 수용체 또는 표적 세포 항원에 결합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항-증진 인자 부분은 첫 번째 및 두 번째 결합 특이체가 결합하는 실체와는 다른 실체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증진 인자 부분은 세포독성 T-세포(예를 들면, CD2, CD3, CD8, CD28, CD4, CD40, ICAM-1 또는 표적 세포에 대해 면역 반응이 증가되는 다른 면역 세포)에 결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이중특이성 분자는 결합 특이성으로 예를 들면, Fab, Fab', F(ab')2, Fv 또는 단일 사슬 Fv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체 또는 그의 항체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는 경 사슬 또는 중 사슬 이합체 또는 래드너 등의 미국 특허 번호 4,946,778(그 내용은 참고로 포함시킨다)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단일 사슬 구조물 또는 Fv와 같은 그의 임의의 최소 단편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Fcγ 수용체에 대한 결합 특이성은 그 결합이 인간 면역글로불린 G(IgG)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모노클론 항체에 의해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된 IgG 수용체라는 용어는 염색체 1에 위치한 8개의 γ-사슬 유전자를 말한다. 이 유전자는 세 개의 Fcγ 수용체 클래스: FcγRI(CD64), FcγRII(CD32), 및 FcγRIII(CD16)로 분리되는 12개의 전이막 또는 수용성 수용체 아니소폼 전부를 암호화한다.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Fcγ 수용체는 인간의 높은 친화력 FcγRI 이다. 인간 FcγRI은 단량체 IgG(108-109M-1)에 높은 친화력을 나타내는, 72kDa 분자이다.
어떤 바람직한 항-Fcγ 모노클론 항체의 생산 및 특성화는 팡거 등의 PCT 공개 WO 88/00052 및 미국 특허 번호 4,954,617에 기술되어 있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고로 전부 포함시킨다. 이 항체는 수용체의 Fcγ 결합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FcγRI, FcγRⅡ 또는 FcγRⅢ의 에피토프에 결합하고, 따라서 이들의 결합은 IgG의 생리학적 수준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유용한 특정 항-FcγRI 항체는 mAb 22, mAb 32, mAb 44, mAb 62 및 mAb 197이다. mAb 32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기탁번호 HB9469 로 얻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항-Fcγ 수용체 항체는 모노클론 항체 22(H22)의 형태로 인간화된다. H22 항체의 생산 및 특성화는 그라지아노, R.F. 등 (1995) J. Immunol 155(10):4996-5002 및 PCT WO 94/10332에 기술되어 있다. 세포주를 생산하는 H22 항체는 HA022CL1으로 American Type Culcure Collection에 기탁되어 있고 기탁 번호는 CRL 11177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Fc 수용체에 대한 결합 특이성은 인간 IgA 수용체, 예를 들면, Fc-알파 수용체(FcαRI(CD89))에 결합하는 항체에 의해 제공된다. "IgA 수용체"라는 용어는 염색체 19에 위치한 하나의 α-유전자(FcαRI)의 유전자 생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 유전자는 55-110kDa의 여러 대체적인 삽입 전이막 아이소폼을 암호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cγRI(CD89)은 단핵세포/거대 파아지, 호산성 및 호중성 과립구에서는 구성 성분으로 발현하지만, 비-효과기 세포 서식물에서는 발현하지 않는다. FcαRI는 IgA1 및 IgA2 둘다에 대해 배지 친화성(??5x107 M-1)을 가지며, 이는 G-CSF 또는 GM-CSF와 같은 시토킨에 노출되었을 때 증가한다(모르톤, H.C. 등 (1996) Critical Reviews in Immunology 16:423-440). A3, A59, A62 및 A77로 규정되고, IgA 리간드 결합 영역 바깥쪽의 FcαRI에 결합하는 4개의 FcαRI-특이성 모노클론 항체는 (몬테리오, R.C. 등 (1992) J. Immunol. 148:1764)에 기술되어 있다.
FcαRI 및 FcγRI 은 본 명세서의 이중특이성 분자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개시 수용체인데 그 이유는 이들이 (1)면역 효과기 세포, 예를 들면, 단핵세포, PMN, 거대파아지 및 수지상 세포에서 일차적으로 발현되고; (2)높은 수준(예를 들면, 세포당 5,000-100,000)으로 발현되고; (3)세포독성 활성의 매개체(예를 들면, ADCC, 식균작용)이고; (4)그들을 표적으로 하는, 자체-항원을 포함하는, 항원의 증진된 항원 표시를 매개하기 때문이다.
인간 모노클론 항체가 바람직하지만, 본 명세서의 이중특이성 분자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항체에는 쥐의, 불명의 및 인간화된 모노클론 항체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이중특이성 분자는 구성원 결합 특이체, 예를 들면, 항-FcR 및 항-푸코실-GM1 결합 특이체들을 이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접합함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중특이성 분자의 각각의 결합 특이체는 별도로 생성되고 다음에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결합 특이체가 단백질 또는 펩티드일 때, 여러 가지 커플링 또는 가교-결합제가 공유 접합에 사용될 수 있다. 가교-결합제의 예에는 단백질 A, 카보디이미드, N-석시니미딜-S-아세틸-티오아세테이트(SATA),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DTNB), o-페닐렌디말레이미드(oPDM), N-석시니미딜-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SPDP), 및 설포석시니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시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설포-SMCC)가 포함된다.(예를들면, 칼포브스카이 등 (1984) J. Exp. Med. 160:1686; 리우, MA 등 (1985) Proc. Natl. Acad. Sci. 미국 82:8648 참조). 다른 방법에는 Paulus (1985) Behring Ins. Mitt. 번호 78, 118-132; 브레넨 등 (1985) Science 229:81-83), 및 글래니 등 (1987) J. Immunol. 139:2367-2375)에 기술된 것들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접합제는 SATA 및 설포-SMCC이고, 둘다 피어스 케미칼(Pierce Chemical Co.)(Rockford, IL)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결합 특이체가 항체일 때, 이들은 두 개의 중 사슬의 C-말단 이음 지역의 설프히드릴 결합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음 지역은 접합에 앞서 설프히드릴 잔기 홀수 개 바람직하게는 하나를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두개의 결합 특이체는 동일한 벡터에서 암호화되고 발현되고 동일한 숙주 세포에서 조립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이중특이성 분자가 mAb x mAb, mAb x Fab, Fab x F(ab')2, 또는 리간드 x Fab 접합 단백질일 때 특히 유용하다. 본 명세서의 이중특이성 분자는 하나의 단일 사슬 항체와 결합 결정체를 포함하는 단일 사슬 분자 또는 두 개의 결합 결정체를 포함하는 단일 사슬 이중특이성 분자일 수 있다. 이중특이성 분자는 적어도 두 개의 단일 사슬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특이성 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번호 5,260,203; 미국 특허 번호 5,455,030; 미국 특허 번호 4,881,175; 미국특허 번호 5,132,405; 미국 특허 번호 5,091,513; 미국 특허 번호 5,476,786; 미국 특허 번호 5,013,653; 미국 특허 번호 5,258,498; 및 미국특허 번호 5,482,858에 기술되어 있다.
그들의 특이성 표적에 대한 이중특이성 분자의 결합은 예를 들면, 효소-연결 면역흡착제 분석(ELISA), 방사능면역분석(RIA), FACS 분석, 생분석(예를 들면, 성장억제), 또는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분석은 일반적으로 관심 있는 복합체에 대해 특이성을 가지는 표지된 시약(예를 들면, 항체)을 사용하여, 특정의 관심 있는 단백질-항체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FcR-항체 복합체는 예를 들면, 항체-FcR 복합체를 인식하고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효소-연결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복합체는 임의의 다양한 다른 면역 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는 방사능 표지되어 방사능면역분석(RIA)에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면, 웨인트러브, B., Principles of Radioimmunoassays, Seventh Training Course on Radioligand Assay Techniques, The Endocrine Society, 3월 1986을 참조하고, 이는 참고로 여기에 포함시킨다). 방사성 동위원소는 γ 계수기 또는 섬광 계수기의 사용과 같은 수단에 의해 또는 자가방사선술로 검출할 수 있다.
제약학적 조성물
다른 일면으로, 본 명세서는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배합된, 본 명세서의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예를 들면,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러한 조성물은 본 명세서의 항체, 또는 면역접합체 또는 이중특이성 분자 하나 또는 조합(예를 들면, 둘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표적 항원상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하거나 또는 상보적 활성을 갖는 항체(또는 면역접합체 또는 이중특이체)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조합 치료로 투여할 수 있다, 즉 다른 치료제와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합 치료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면역억제제와 조합된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치료제의 예들은 아래의 본 명세서 항체의 사용 항목에서 더욱 자세히 기술된다.
여기서 사용된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에는 임의의 및 모든 용제, 분산 매체, 피복물, 항세균제 및 항진균제, 등장 흡착 지연제 및 생리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이와 유사한 것들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담체는 정맥내, 근육내, 피하, 비경구, 척추 또는 표피 투여(예를 들면,주사 또는 주입에 의해)에 적절하다. 투여 통로에 따라, 화합물을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른 자연 조건 및 산의 작용으로부터 화합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활성 성분 즉, 항체, 면역접합체 또는 이중특이성 분자를 물질로 피복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약학적 화합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모 화합물의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고 임의의 원하지 않는 독성 효과를 전하지 않는 염을 말한다.(예를 들면, 벌지, S. M. 등 (1977) J. Pharm. Sci. 66:1-19 참조). 그러한 염의 예에는 산부가염 및 염기부가염이 포함된다. 산부가염에는 히드로클로릭, 니트릭, 포스포릭, 설퍼릭, 히드로부로믹, 히드로아이오딕, 포스포러스,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비독성 무기산 뿐만 아니라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산, 페닐-치환 알카노익산, 히드록시 알카노익산, 방향족 산,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 및 이와 유산한 것들과 같은 비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것들이 포함된다. 염기부가염에는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알카리성 토금속류 뿐만 아니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N-메틸글루카민, 클로로푸로카인, 클로린,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프로카인, 및 이와 유사한 것들로부터 유도된 것들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제학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항산화제의 예에는 : (1) 아스코르브산, 시스테인 히드로클로라이드, 소디움 바이설페이트, 소디움 메타바이설피트, 소디움 설피트,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수용성 항산화제; (2) 팔미트산 아스코르빌,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BHA), 부틸화 히드록시톨로엔(BHT), 레시틴, 프로필 갈레이트, 알파-토코페롤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지용성 항산화제; 및 (3) 구연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솔비톨, 타르트산, 인산,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금속 킬레이트화제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제약학적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수용성 및 비수용성 담체의 예에는 물, 에탄올, 폴리올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및 그의 적절한 혼합물,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및 에틸 올레에이트와 같은 주사용 유기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적절한 유동성은 예를 들면 레시틴과 같은 피복 물질을 사용함으로, 분산의 경우에 필요한 입자 크기를 유지함으로, 및 계면 활성제를 사용함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조성물들은 또한 방부제, 습윤제, 유화제 및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의 존재를 방지하는 것은 상기의 살균 공정 또는 여러 가지 항세균제 및 항진균제 예를 들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의 함입 둘 다에 의해 확정될 수 있다. 조성물에 당, 염화나트륨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등장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주사할 수 있는 제약학적 형태의 연장된 흡착은 모노스테아르산 알루미늄 및 젤라틴과 같은 흡착을 지연시키는 약제를 포함시킴으로 일어날 수 있다.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살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및 살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조용 살균 분말이 포함된다. 제약학적 활성 기질의 약제와 그러한 매체의 사용은 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임의의 통상적인 매체 또는 약제가 활성 화합물과 양립할 수 없는 한을 제외하고, 본 명세서의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그의 사용은 고려된다. 보충 활성 화합물도 본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치료용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살균되어야 하며 제조 및 저장의 조건하에서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조성물은 용액, 미세현탁액, 리포솜, 또는 높은 의학농도에 적합한 다른 지시 구조물로 배합될 수 있다. 담체는 예를 들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와 유사한 것.), 및 그의 적절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용제 또는 분산 매체 일수 있다. 적절한 유동성은 예를 들면 레시틴과 같은 피복을 사용함으로, 분산의 경우에 필요한 입자 크기를 유지함으로, 및 계면 활성제를 사용함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조성물 내에 등장제 예를 들면, 당, 만니톨과 같은 폴리알코올, 솔비톨 또는 염화나트륨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주사용 조성물의 연장된 흡착은 흡착을 지연시키는 약제, 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레이트 염 및 젤라틴을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 일어날 수 있다.
살균 주사 용액은 적절한 용제에 필요한 양으로 활성 화합물을 필요에 따라 상기에 열거한 성분들 하나 또는 그 조합과 함께 함입시키고 이어서 살균 미세여과함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액은 상기 열거한 것들과는 다른 필요한 성분 및 염기성 분산 매체를 포함하는 살균 담체에 활성 화합물을 함입시킴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살균 주사 용액의 제조를 위한 살균 분말의 경우에는, 바람직한 제조법은 사전의 살균-여과 용액으로부터의 임의의 부가적인 원하는 성분과 활성 성분의 분말을 내는 진공 건조 및 냉동-건조(동결건조)이다.
단일 투여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할 환자와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변하게 된다. 단일 투여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치료 효과를 일으키는 조성물의 양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100% 중에서 이 양은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조합된 활성 성분이 약 0.01%부터 99%까지의 범위가 될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1%에서 70%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이 약 1%부터 약 30%가 될 것이다.
투여 방법은 최적의 원하는 반응(예, 치료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절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큰 알약으로 투여할 수 있고 몇 개로 나누어서 시간을 두고 투여할 수도 있으며, 또는 투여량을 치료 상황의 위급성에 의해 지시하는 대로 비례해서 감소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투여의 용이성과 균등한 투여량을 위해서 투여 단위로 비경구 조성물을 처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여기서 사용된 투여 단위 형태는 치료할 환자를 위해 단일의 투여량으로 알맞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를 일컫는다; 각 단위는 요구되는 제약 담체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치료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서 계산하여 미리 결정된 활성 화합물의 양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투여 단위 형태에 대한 상세한 내역은 (a) 활성 화합물의 유일한 특성과 성취되어야 할 특정 치료 효과, 및 (b) 개개인의 민감도 처치를 위한 활성 화합물을 조합하는 분야에 있어 고유한 한계에 의해 지시되거나 직접적으로 의존된다.
항체의 투여에 있어서, 투여량은 숙주 체중의 약 0.0001에서 100 mg/kg 까지, 더 일반적으로는 0.01에서 5 mg/kg까지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투여량은 0.3 mg/kg 체중, 1 mg/kg 체중, 3 mg/kg 체중, 5 mg/kg 체중 또는 10 mg/kg 체중 또는 1-10 mg/kg 범위 내가 될 수 있다. 전형적인 처치 요법은 주당 한번, 매 2주에 한번, 매 3주에 한번, 매 4주에 한번, 한달에 한번, 매 3달에 한번 또는 매 3-6달에 한번 투여를 행한다.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에 대한 바람직한 투여 요법은 다음의 투여 계획 중 하나를 사용하여 주어진 항체를 가지고 정맥내 투여를 통해 1 mg/kg 체중 또는 3 mg/kg 체중을 포함한다: (ⅰ) 6번의 투여를 매 4주, 그다음 매 3달; (ⅱ) 매 3주; (ⅲ) 3 mg/kg 체중 한번에 이어서 매 3주에 1 mg/kg 체중.
몇 가지 방법에서, 다른 결합 특이성을 가진 둘 또는 그 이상의 모노클론 항체를 동시에 투여하고 이 경우 투여된 각 항체의 투여량은 지시된 범위 안이다. 항체는 보통 여러 경우로 투여된다. 예를 들어 단일 투여 사이의 간격은 매주, 매달, 매 3달 또는 매년이 될 수 있다. 간격은 또한 환자에 있어서의 표적 항원에 대한 항체의 측정 혈액 수준에 의해 가리키는 대로 불규칙하게 될 수도 있다. 어떤 방법에서는 투여량이 약 1-1000 μg/ml의 원형질 항체 농도를, 또한 어떤 방법에서는 약 25-300 μg/ml의 원형질 항체 농도를 성취하도록 조절된다.
다른 방도로, 항체는 서방형 제제로 투여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투여를 자주 하지 않게 된다. 투여량과 횟수는 환자에서의 항체의 반감기에 의존해 변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인간 항체는 가장 긴 반감기를 나타내며 그 뒤에 인간화된 항체, 불명의 및 비인간 항체가 따른다. 투여량과 투여횟수는 처치법이 질병예방인지 치료를 위한 것인지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질병예방적 적용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비교적 빈번하지 않게 비교적 적은 용량이 투여된다. 어떤 환자는 그들의 살아 있는 동안 계속해서 처치를 받기도 한다. 치료적 적용에서는 질병의 진행이 완화되거나 끝나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질병의 증상이 고쳐질 때까지 비교적 짧은 간격으로 비교적 많은 투여량이 때때로 요구된다. 그 이후에 환자를 질병예방 요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약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 수준은 환자에게 독성이 없이 특별한 환자, 조성물, 및 투여 형태에 있어서 요구되는 치료 반응을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활성 성분의 양을 얻기 위해서 변화될 수 있다. 선택된 용량 수준은 이용된 본 명세서의 특별한 조성물의 활성, 또는 에스테르, 염 또는 그것의 아미드, 투여 통로, 투여 시간, 사용된 특별한 화합물의 배출 속도, 처치 지속 기간, 다른 약품, 이용된 특별한 조성물과 조합되어 사용된 화합물 및/또는 물질, 처치 환자의 나이, 성별, 몸무게, 건강상태, 일반적인 건강과 이전의 의학적인 병력, 그리고 의학적 분야에 잘 알려진 요인들과 마찬가지로 이들을 포함하는 약물 동력학의 다양성에 의존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항-푸코실-GM1 항체의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는 바람직하게는 질병 증상의 심각성의 감소와, 질병 증상이 없는 기간의 횟수와 지속기간의 증가, 또는 질병 고통으로 인한 손상이나 불구의 방지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종양 치료에서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는 바람직하게는 치료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적어도 약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80%로 세포 성장 또는 종양 성장을 저해한다.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은 인간 종양에서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동물 모델 시스템에서 평가할 수 있다. 대안으로, 조성물의 이러한 성질은 당업자에 알려진 분석법에 의해 실험실내의 그러한 억제, 화합물의 억제 능력을 검사함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 분야에 통상적으로 숙련된 사람은 환자의 칫수, 환자 증상의 심각성, 그리고 특별한 조성물 또는 선택된 투여 통로와 같은 요인에 기초하여 그러한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이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투여 통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숙련된 자에 의해 평가되는 대로 투여 통로와 처방은 요구된 결과에 의존해 변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항체에 대한 바람직한 투여 통로는 예를 들어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해서 정맥내의, 근육내의, 피내의, 복강내의, 피하의, 척추 또는 다른 비경구 투여 통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비경구 투여"라는 말은 보통 주사에 의해, 장내의 국부적인 투여와는 다른 투여 방식을 의미하며, 제한 없이, 정맥내의, 근육내의, 동맥내의, 척수강내의, 캡슐내의, 안구내의, 심장내의, 피내의, 복강내의, 경기관의, 피하의, 손톱밑의, 관절내의, 캡슐하의, 지주막하의, 척추강내의, 경막외 및 흉골내의 주사 및 주입을 포함한다.
다른 방도로, 본 명세서의 항체는 가령 국부적인, 외피의 또는 접막의 투여 통로와 같은 비경구가 아닌 통로를 통해, 예를 들어 비강내로, 구강내로, 질내로, 직장내로, 설하(혀밑)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은 급속한 방출에 대해 화합물을 보호하는 담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이는 가령 서방형 제제로 이식체, 경피 부착포 및 미세캡슐 전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생체분해가 가능하고 생체적합한 가령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안히드라이드, 폴리글리콜산, 콜라겐,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락트산과 같은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처방을 준비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은 특허로 되어 있거나 이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Sustained and Controll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s, J.R. 로빈손 편집,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78 참조.
치료 조성물은 이 분야에 알려진 의학 기구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치료 조성물은 바늘없는 피하 주사 기구, 가령 미국 특허 번호 5,399,163; 5,383,851; 5,312,335; 5,064,413; 4,941880; 4,790,824; 또는 4,596,556에 나타낸 기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유용한 잘 알려진 이식체 및 모듈의 예에는: 조절된 속도로 투약을 하기 위한 이식가능한 미세 주입 펌프를 나타내는 미국 특허 번호 4,487,603; 피부를 통해 약물을 투여하는 치료 기구를 나타내는 미국 특허 번호 4,486,194; 정밀한 주입 속도로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 주입 펌프를 나타내는 미국 특허 번호 4,447,233; 연속적인 약물 전달을 위한 가변 유량의 이식가능한 주입 기구를 나타내는 미국 특허 번호 4,447,224; 많은 격실을 갖는 삼투성 약물 전달 시스템을 나타내는 미국 특허 번호 4,439,196; 삼투성 약물 전달 시스템을 나타내는 미국 특허 번호 4,475,196이 포함된다. 이들 특허들은 참고로 여기에 포함시킨다. 많은 다른 그런 이식체, 전달 시스템 및 모듈들은 이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인간 모노클론 항체는 생체 내 적절한 분포를 확정하도록 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뇌장벽(BBB)은 많은 고 친수성 화합물을 제외한다. 본 명세서의 치료 화합물이 BBB를 말살하는 것(요구된다면)을 확정하기 위해서, 그들을 예를 들어 리포솜 내에 조제할 수 있다. 리포솜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4,522,811; 5,374,548; 및 5,399,331을 참조한다. 리포솜은 특이 세포 또는 기관 내로 선택적으로 옮겨진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게 되며 따라서 표적의 약물 전달을 향상시킨다(예를 들면, V.V. 라나드(1989) J. Clin. Pharmacol. 29:685 참조). 전형적인 표적 성분은 폴레이트 또는 비오틴(예를 들면, 로우 등의 미국 특허 5,416,016 참조); 만노시드 (우메자와 등, (1988) Biochem. Biophys. Res. Commun. 153:1038); 항체 (P.G. 블로만 등 (1995) FEBS Lett. 357:140; M. 오와이스 등 (1995)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9:180); 표면활성제 단백질 A 수용체 (브리스코 등 (1995) Am. J. Physiol. 1233:134); p120 (슈레이어 등 (1994) J. Biol. Chem. 269:9090)이 포함된다; 또한 K. 케이나넨: M.L. 라우크카넨 (1994) FEBS Lett. 346:123; J.J. 킬리온; I.J. 피들러 (1994) Immunomethods 4:273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의 용도 및 방법
본 명세서의 항체, 항체 조성물 및 방법은 푸코실-GM1 매개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포함하여 시험관 내와 생체 내 진단과 치료 용도를 갖는다. 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항체는 인간 항체이다. 예를 들어, 이 분자들은 다양한 질병들을 치료, 방지, 및 진단하기 위해, 배양물내 세포에,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 또는 인간 환자에게 예를 들면 생체내로 투여될 수 있다. 여기 사용되는 "환자"라는 용어는 인간과 비인간 동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비인간 동물은 모든 척추동물, 예를 들어 포유동물과 비포유동물, 가령 비인간 영장류, 양, 개, 고양이, 소, 말, 닭, 양서류, 및 파충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환자는 푸코실-GM1 활성에 의해 매개된 질병을 갖거나 또는 푸코실-GM1 매개활성에 일치하는 질병을 갖는 인간 환자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비정상의 푸코실-GM1 발현 또는 과잉의 푸코실-GM1 존재와 연관된 질병을 갖는 인간 환자를 치료하기에 특히 적절하다. 푸코실-GM1에 대한 항체를 다른 시약과 함께 투여할 때, 둘을 차례로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푸코실-GM1에 대한 본 명세서의 항체의 특이적 결합이 주어지면, 본 명세서의 항체는 세포의 표면에서 푸코실-GM1 발현을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면역친화성 정제를 통해 푸코실-GM1을 정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항체 또는 그의 부분과 푸코실-GM1사이에 복합체 형성을 허락하는 조건하에서, 시료 및 대조용 시료를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인간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료내의 푸코실-GM1 항원의 존재를 검출하거나 또는 푸코실-GM1 항원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을 더욱 제공한다. 다음에 복합체 형성을 검출하고, 대조용 시료에 비교한 시료의 복합체 형성의 차이가 시료내의 푸코실-GM1 항원의 존재의 지표가 된다.
푸코실-GMl은 작은 세포 폐암에서는 발현되지만, 정상의 폐 또는 다른 조직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Nilsson et al. (1984) Glycoconjugate J 1:43-9; Krug et al. (2004) Clin Cancer Res 10:6094-100). 항-푸코실-GMl 항체는 암성질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단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항-푸코실-GM1 항체는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다른 면역제, 표준 암 처치 또는 다른 항체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항-푸코실-GMl 모노클론 항체들은 푸코실 GM1 양성 세포주에 유효한 CDC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vingston PO et al. (1994) J CHn Oncol.12:1036-44; Brezicka et al. (2000) Cancer Immunol Immunother 49:235-42). 더욱이, 세포 증식 억제제와 함께, 푸코실-GM1에 특이적인 모노클론 항체에 의해 유도된, 보체 활성화는 푸코실-GM1 발현 세포주에 상승적 세포 독성 효과를 초래했다. (Brezicka 및 Einbeigi (2001) Tumour Biol 22:97-103). 마지막으로,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는 털이 없는 쥐에서 푸코실-GM1 발현 종양 세포의 이식을 억제하는 것으로도 보고되었다. (Brezicka et al. (1991 ) Int J Cancer 49:911-8). 이들 자료는 단일로 또는 화학치료제와 함께 SCLC의 치료에 면역치료제로서 푸코실-GM1에 대한 전체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발달을 뒷받침한다.
본 명세서의 항체를 사용하여 성장이 억제될 수 있는 바람직한 암에는 면역치료에 전형적으로 반응하는 암들이 포함된다. 치료에 바람직한 암들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폐암(작은 세포 폐암 및 작지 않은 세포 폐암 포함)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다른 암들의 예에는 결장암(소장암 포함), 폐암, 유방암, 췌장암, 흑색종(예를 들면, 전이 악성 흑색종), 급성 골수종 백혈병, 신장암, 방광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 신장암(예를 들면, 신장 세포 악성 종양), 아교모세포종, 뇌종양, 급성 림프구 백혈병(ALL)을 포함하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성인 T-세포 백혈병(T-ALL), 만성 골수 백혈병, 급성 면역모세포 백혈병, 만성 림프구 백혈병, 림프종(예를 들면, 호지킨 및 비호지킨 림프종, 림프구 림프종, 일차 CNS 림프종, T-세포 림프종, 불키트(Burkitt's) 림프종, 미분화 거대-세포 림프종(ALCL), 피부 T-세포 림프종, 마디 소 절개-세포 림프종, 말초 T-세포 림프종, 렌넬트(Lennert's) 림프종, 면역모세포 림프종, T-세포 백혈병/림프종(ATLL), 중심모세포/중심세포(cb/cc) 여포 림프종 종양, B 계통의 미만성대세포 림프종, 혈관면역모세포 림프절증 (AILD)-유사 T 세포 림프종, 및 HIV 관련 체강 기초 림프종), 배아 악성종양, 코-인두의 미분화 악성종양, (예를 들면, 쉬민케(Schminke) 종양), 캐슬만(Castleman) 병, 카포시(Kaposi) 육종, 다중 골수종, 왈덴스트롬(Waldenstrom's) 마크로글로불린혈증, 및 다른 B-세포 림프종, 나소파란겔(nasopharangeal) 악성종양, 뼈암, 피부암, 머리 또는 목의 암, 피네 또는 눈 속 악성 흑색종, 자궁암, 직장암, 항문지역암, 위암, 고환암, 자궁암, 자궁관의 악성종양, 자궁내막의 악성종양, 자궁경부의 악성종양, 질의 악성종양, 음문의 악성종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의 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의 육종, 요도암, 음경암, 소아 고형종양, 방광암, 신장 또는 요관의 암, 신장골반의 악성종양, 중앙신경계(CNS)의 종양, 종양혈관형성, 제 2 척추골 종양, 뇌관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유사표피암, 편평세포 암, 석면에 의해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는 환경에 의해 유도된 암, 예를 들면 메소텔리오마(mesothelioma) 및 상기 암들의 조합이 있다.
더욱이, 여러 종양 세포상에서 푸코실-GM1이 발현될 때, 본 명세서의 인간 항체, 항체 조성물 및 방법은 예를 들면, 폐암(작은 세포 폐암 및 작지 않은 세포 폐암 포함), 결장암(소장암 포함), 흑색종(예를 들면, 전이 악성 흑색종), 급성 골수종 백혈병, 폐암, 유방암, 방광암, 췌장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을 포함하는, 발암성 질환, 예컨대, 푸코실-GM1 를 발현하는 종양 세포의 존재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질환을 갖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발암성 질환을 갖는 다른 환자의 예에는 신장암(예를 들면, 신장 세포 악성 종양), 아교모세포종, 뇌종양, 급성 림프구 백혈병(ALL)을 포함하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성인 T-세포 백혈병(T-ALL), 만성 골수 백혈병, 급성 면역모세포 백혈병, 만성 림프구 백혈병, 림프종(예를 들면, 호지킨 및 비호지킨 림프종, 림프구 림프종, 일차 CNS 림프종, T-세포 림프종, 불키트(Burkitt's) 림프종, 미분화 거대-세포 림프종(ALCL), 피부 T-세포 림프종, 마디 소 절개-세포 림프종, 말초 T-세포 림프종, 렌넬트(Lennert's) 림프종, 면역모세포 림프종, T-세포 백혈병/림프종(ATLL), 중심모세포/중심세포(cb/cc) 여포 림프종 종양, B 계통의 미만성대세포 림프종, 혈관면역모세포 림프절증 (AILD)-유사 T 세포 림프종, 및 HIV 관련 체강 기초 림프종), 배아 악성종양, 코-인두의 미분화 악성종양, (예를 들면, 쉬민케(Schminke) 종양), 캐슬만(Castleman) 병, 카포시(Kaposi) 육종, 다중 골수종, 왈덴스트롬(Waldenstrom's) 마크로글로불린혈증, 및 다른 B-세포 림프종, 나소파란겔(nasopharangeal) 악성종양, 뼈암, 피부암, 머리 또는 목의 암, 피네 또는 눈 속 악성 흑색종, 자궁암, 직장암, 항문지역암, 위암, 고환암, 자궁암, 자궁관의 악성종양, 자궁내막의 악성종양, 자궁경부의 악성종양, 질의 악성종양, 음문의 악성종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의 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의 육종, 요도암, 음경암, 소아 고형종양, 방광암, 신장 또는 요관의 암, 신장골반의 악성종양, 중앙신경계(CNS)의 종양, 종양혈관형성, 제 2 척추골 종양, 뇌관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유사표피암, 편평세포 암, 석면에 의해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는 환경에 의해 유도된 암, 예를 들면 메소텔리오마(mesothelioma) 및 상기 암들의 조합을 갖는 환자들이 있다.
따라서,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는 환자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항-푸코실-GM1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 있어서 종양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항체는 인간 항-푸코실-GM1 항체(예컨대, 여기에 기술된 인간 항-푸코실-GM1 항체들 중 임의의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본 항체는 불명의 또는 인간화된 항-푸코실-GM1 항체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항체(예를 들면, 인간 모노클론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 및 조성물)는 푸코실-GM1의 수준을 검출하기 위해 또는 그 막 표면상에 푸코실-GM1를 함유하는 세포의 수준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수준은 어떤 질병 증상과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항체는 즉 어떤 질병 증상의 예방 및 개선과 연결될 수 있는 푸코실-GM1 기능을 억제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데, 이로서 질병의 매개체로서의 푸코실-GM1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항체와 푸코실-GM1 사이의 복합체를 형성케 하는 조건하에서 항-푸코실-GM1 항체와 실험 시료 및 대조용 시료를 접촉시킴으로 성취할 수 있다. 항체와 푸코실-GM1사이에 형성된 임의의 복합체를 검출하고 실험 시료와 대조용을 비교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항체(예를 들면,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 및 조성물)는 시험관내에서 치료 또는 진단의 용도와 관련된 결합 활성에 대해 초기에 시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에 기술된 흐름 세포측정 분석을 사용하여 시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항체(예를 들면,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 면역접합체 및 조성물)는 푸코실-GM1-관련 질병의 치료 및 진단의 부가적인 유용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인간 모노클론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 및 면역접합체는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의 생물학적 활성을 이끌어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푸코실-GM1 발현 세포를 죽이고/거나 그 성장을 억제한다; 인간 효과기 세포 존재하에서 푸코실-GM1 발현 세포의 ADCC 또는 식작용을 매개한다; 또는 푸코실-GM1에 결합하는 푸코실-GM1 리간드를 차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항체(예를 들면,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 및 조성물)는 다양한 푸코실-GM1-관련 질병을 치료, 예방 또는 진단하기 위해 생체내에 사용된다. 푸코실-GM1-관련 질병의 예에는 다른 것들 중에서, 폐암(작은 세포 폐암 및 작지 않은 세포 폐암 포함)이 있다.
본 명세서의 항체 조성물(예를 들면, 인간 모노클론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 면역접합체) 투여의 적절한 통로는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 조성물은 주사(예를 들면, 정맥내 또는 피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사용된 분자의 적절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및 체중과 항체 조성물의 농도 및/또는 배합에 의존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인간 항-푸코실-GM1 항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제, 예를 들면, 세포독성 시약, 방사능독성 시약 또는 면역억제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항체는 이 시약에 (면역복합체로서)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시약과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분리 투여), 항체는 시약의 전, 후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공지된 치료법, 예를 들면, 항암 치료, 예를 들면, 방사선과 함께 투여될 수도 있다. 그러한 치료제에는 다른 것들 중에서, 항-종양제 예컨대 그 자체만으로는 단지 환자에 독성인 또는 부독성인 수준에서 효과가 있는 독소루비신(아드리아마이신), 시스플라틴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 카르무스틴, 클로람부실,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히드록시우레아가 포함된다. 시스플라틴은 4주마다 한번의 100mg/투여분으로 정맥내 투여하고, 아드리아마이신은 21일마다 한번의 60-75mg/ml투여분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화학치료제와 본 명세서의 인간 항-푸코실-GM1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의 공동-투여는 인간 종양 세포에 세포독성 효과를 내는 서로 다른 작용기구를 통해 작용하는 두 개의 항암제를 제공한다. 그러한 공동-투여는 그들을 항체와 반응하지 않게 하는 종양 세포의 항원성의 변화 또는 의약에 대한 내성의 발달로 기인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면역접합체는 항체에 화합물을 접합시킴으로 푸코실-GM1 세포 표면 수용체를 갖는 세포에 화합물(예를 들면, 치료제, 표지, 세포독소, 방사성독소, 면역억제제, 등)을 표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푸코실-GM1 항체는 미국 특허 번호, 6,281,354 및 6,548,530,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030050331, 20030064984, 20030073852 및 20040087497 또는 WO 03/022806으로 공개된 것(이들은 참고로 그 전체를 여기에 포함시킨다)에 기술된 독소 화합물 중 임의의 것에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생체내 또는 생체외에서 푸코실-GM1을 발현하는 세포(예를 들면, 방사성 동위원소, 형광 화합물, 효소, 또는 효소 보조-인자와 같은 검출가능한 표지로)를 국소화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대안으로, 면역접합체는 푸코실-GM1에 세포독소 또는 방사성독소를 표적화함으로 푸코실-GM1 세포 표면 수용체를 갖는 세포들을 죽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표적-특이적 효과기 세포, 예를 들면, 조성물에 결합된 효과기 세포(예를 들면, 인간 항체, 이중특이성 및 다중특이성 분자)도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표적용 효과기 세포는 거대파아지, 호중구 또는 단핵세포와 같은 인간 백혈구일 수 있다. 다른 세포에는 호산구, 자연 식세포 및 다른 IgG- 또는 IgA-수용체 함유 세포가 포함된다. 필요에 따라 효과기 세포는 치료할 환자로부터 얻을 수 있다. 표적-특이적 효과기 세포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액내의 세포 현탁액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되는 세포의 수는 108-109일 수 있으나 치료 목적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 양은 표적 세포, 예를 들면, 푸코실-GM1 발현 종양 세포에서 국소화를 얻고 예를 들면, 식균작용에 의해 세포를 죽이는 효과를 얻기에 충분할 것이다. 투여 통로도 또한 변할 수 있다.
표적-특이적 효과기 세포를 사용하는 치료법은 표적 세포의 제거를 위한 다른 기술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조성물(예를 들면,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을 사용하는 항-종양 치료법 및/또는 이들 조성물에 포함된 효과기 세포는 화학요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덧붙여, 조합 면역치료법은 종양 세포 거부에 두 개의 뚜렷한 세포독성 효과기 집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Fc-감마 RI 또는 항-CD3에 연결된 항-푸코실-GM1 항체를 IgG- 또는 IgA-수용체 특이적 결합 시약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도 또한 예컨대 세포 표면상의 수용체의 제거 및 캡핑에 의해 효과기 세포에서 FcγR 도는 FcγR 수준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항-Fc 수용체들의 혼합물도 또한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체에 결합하는 IgG1, -2, 또는 -3, 또는 IgM으로 부터의 부분과 같은 보체 결합 위치를 갖는 본 명세서의 조성물(예를 들면,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 및 면역접합체)도 또한 보체존재 하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결합제 및 적절한 효과기 세포로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집단을 생체외 처치하는 것은 보체 또는 보체 함유 혈장을 첨가함으로 보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결합제로 피복된 표적 세포의 식균작용은 보체 단백질의 결합으로 개선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조성물(예를 들면,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로 피복된 표적 세포도 보체에 의해 용해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보체를 활성화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예를 들면,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 및 면역접합체)도 보체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또는 이중특이성 분자 및 혈장 또는 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이다. 이 조성물들은 보체가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또는 이중특이성 분자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한다는 이점이 있다.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또는 이중특이성 분자, 및 보체 또는 혈장은 따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항체 조성물로 처치한 환자에게 인간 항체의 치료 효과를 높이거나 증진시키는, 세포독성 또는 방사능독성 시약과 같은 다른 치료제를 (본 명세서의 인간 항체의 투여 전에, 동시에 또는 후에) 부가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예를 들면, 시토킨으로 환자에게 처치함으로 Fcγ 또는 Fcγ 수용체의 발현 또는 활성을 조절하는, 예를 들면, 높이거나 억제하는 시약을 환자에게 부가하여 처치할 수 있다. 다중특이성 분자로 처치할 때 투여에 바람직한 시토킨에는 과립구 집락-자극 인자(G-CSF), 과립구-거대파아지 집락-자극 인자(GM-CSF), 인터페론-γ(IFN-γ), 및 종양 괴사 인자(TNF)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예를 들면,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을 예를 들면, 세포를 표지화하기 위해, FcγR 또는 푸코실-GM1를 발현하는 표적 세포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용도를 위해, 결합제를 검출할 수 있는 분자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FcγR 또는 푸코실-GM1를 발현하는 생체외 또는 생체내 세포를 국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검츨가능한 표지는 예를 들면, 방사능동위원소, 형광 화합물, 효소 또는 효소 보조인자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범위내에, 본 명세서의 항체 조성물(예를 들면, 인간 항체, 다중특이성 및 이중특이성 분자) 및 사용상 지시사항을 포함하는 기구가 있다. 이 기구는 면역억제제, 세포독성 시약 또는 방사성독성 시약과 같은 첨가제 하나 이상 또는 본 명세서의 부가적인 인간 항체(예를 들면, 첫번째 인간 항체와는 다른 푸코실-GM1 항원내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보체 활성을 갖는 인간 항체)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구는 전형적으로 기구 내용에 의도된 용도를 나타내는 표지를 포함한다. 표지라는 용어는 기구와 함께 또는 그 위에 부과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기구에 수반되는 임의의 필사 또는 기록 물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는 다음의 실시예로 더욱 설명된다. 본 출원에 인용된 모든 도면 및 모든 참고문헌, 특허 및 공개 특허 출원의 내용은 참고로 여기에 밝히 포함시킨다.
실시예1 : 푸코실 - GM1 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생성:
항원
항원으로 푸코실-GM1 흡수 살모넬라 민네소타(Salmonella minnesota; Northwest Biotherapeutics, Inc)가 사용되는 면역 프로코콜.
유전자이식 HuMab KM mice TM
푸코실-GM1에 대한 전체 인간 모노클론 항체를 HuMab 유전자이식 쥐의 HCo7, HCo12, 및HCo7+HCo12 균주들 및 유전자이식 염색체이식 쥐의 KM 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들 각각은 인간 항체 유전자를 발현시킨다. 이 쥐 균주의 각각에서, 내생의 쥐 카파 경 사슬 유전자는 첸 등의 (1993) EMBO J. 12:811-820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형접합적으로 찢기어졌고, 내생의 쥐 중 사슬은 PCT 공개 WO 01/09187의 실시예 1에 기술된대로 동형접합적으로 찢기어졌다. 이 쥐 균주 각각은 피시와일드 등의 (1996) Nature Biotechnology 14:845-851에 기술된대로 인간 카파 경 사슬 이식유전자, KCo5를 운반한다. HCo7 균주는 미국특허번호 5,770,429; 5,545,806; 5,625,825; 및 5,545,807에 기술된대로 HCo7 인간 중 사슬 이식유전자를 운반한다. HCo12 균주는 WO 01/09187의 실시예 2 또는 WO 01/14424의 실시예 2에 기술된대로 HCo12 인간 중 사슬 이식유전자를 운반한다. HCo7 + HCo12 균주는 HCo7과 HCo12 중 사슬 이식유전자를 운반한다. KM 균주는 PCT 공개 WO 02/43478에 기술된 바와 같은 SC20 이식염색체를 포함한다. 이들 균주 모두는 여기서 HuMAb mice로 언급한다.
HuMab 및 KM 면역:
푸코실-GM1에 대한 전체 인간 모노클론 항체를 생성하기 위해, HuMab mice 및 KM miceTM을 산 처리된 살모넬라 민네소타(Salmonella minnesota; Northwest Biotherapeutics, Inc)의 표면에 동결건조에 의해 흡수된 푸코실-GM1을 사용하여 면역시켰다. HuMab mice에 대한 일반적인 면역 개략들이 론버그, N. 등의 (1994) Nature 368(6474): 856-859; 피시와일드, D 등의 Nature Biotechnology 14:845-851와 PCT 공개 WO 98/24884에 기술되어 있다. 쥐가 6-16주 되었을 때에 첫 번째로 항원을 주입하였다.
유전자이식 쥐는 완전한 프로이드의 보조제내의 항원으로 두 번 복강내(IP), 또는 피하(Sc)에 면역시켰고, 이어서 2-4주간 불완전한 프로이드 보조제 내의 항원으로 IP 면역 (총 8번까지 면역)을 하였다. 면역반응은 역궤도 블리드로부터 얻어진 혈청을 ELISA(하기되는 바와 같음)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항-푸코실-GM1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충분한 적정량을 가진 쥐를 접합에 사용하였다. 쥐는 죽여서 비장을 제거하기 2일 전에 항원 3을 정맥 내에 집어넣었다.
항- 푸코실 - GM1 항체를 생산하는 HuMab 또는 KM Mice TM 의 선택
푸코실-GM1에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HuMab 또는 KMmiceTM 을 선택하기 위해, 면역된 쥐로부터 나온 혈청을 피쉬윌드, 디이. 등 (1996)에 의해 기술된대로 ELISA에 의해 시험하였다. 간단하게 푸코실 전이효소 트란스펙탄트 세포주(Northwest Biotherapeutics, Inc) 또는 소의 뇌(Matreya, Inc)로부터 정제된 자연 푸코실-GM1을 메탄올에 1mg/ml로 용해시키고, 폴리프로필렌 미세적정 플레이트에 50 ul/웰로 수동적으로 흡착시키고,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공기-건조시켰다. 유사하게, GM1과 같은 관련 대조용 항원으로 코우팅된 플레이트를 교차 반응 항체를 위한 카운터-스크린으로 제조하였다. 다음에 분석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동안 PBS내 1% 오발부민으로 250 μl/웰로 차단하였다. 푸코실-GM1 면역쥐로부터의 혈장 희석물들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주변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PBS로 세척하고 그 다음 호오스래디시 과산화효소(HRP)로 접합된 염소-항-인간 IgG Fc 또는 염소-항-인간 IgM Fc 폴리클론 항체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척한 후, 플레이트를 TBM 기질로 발달시키고, OD 450에서 분광 광도계로 분석하였다.
항-푸코실-GM1 항체의 최고 적정량으로 발달시킨 쥐를 접합에 사용하였다. 접합은 아래 기술한 대로 수행하였으며 하이브리도마 상등액을 ELISA로 항-푸코실-GM1 활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푸코실-GM1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를 생성하는 하이브리도마의 생성
비장세포를 HuMab® mice 및 KM-miceTM 으로부터 분리하여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PEG 또는 Cyto Pulse large chamber cell fusion electroporator(Cyto Pluse Sciences, Inc., Glen Burnie, MD)를 사용하는 전기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전기장을 사용하여 쥐 골수종 세포주에 접합시켰다. 이후에 결과적으로 생성된 하이브리도마를 항원-특이적 항체의 생산에 대해 스크리닝하였다.
면역된 쥐로부터 나온 비장 림프구의 단일 세포 현탁액을 50% PEG(시그마)를 사용하여 P3X63-Ag8.653 미분비 쥐 골수종 세포 (ATCC, CRL 1580) 또는 SP2/0 미분비 쥐 골수종 세포 (ATCC, CRL 1581) 수의 1/4과 접합시켰다. 세포를 바닥이 편평한 미세 적정량 플레이트 내에 약 1x105/웰의 밀도로 바르고, 10% 태아 소 혈청, 10% P388D1(ATCC, CRL TIB-63) 조절 배지, DMEM (Mediatech, CRL 10013, 고 글루코스, L-글루타민 및 피루브산 나트륨)과 5 mM HEPES 내의 3-5% 오리겐 (IGEN), 0.055 mM 2-메르캅토에탄올, 50 mg/ml 젠타마이신 및 1xHAT (시그마, CRL P-7185)를 포함한 선택적 배지 내에서 약 2주간 배양하였다. 1-2주 후 세포를 HAT가 HT로 대치된 배지 내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각 웰을 인간 항-푸코실-GM1 IgG 및 IgM 항체에 대해 (위에 기술된) ELISA에 의해 스크리닝하였다.
ELISA 분석 스크린에서 특이적 결합 활성을 갖는 하이브리도마를 FACS(아래에 기술된)로 포유류에 흡착된 푸코실-GM1에 대한 특이적 결합에 대해 더욱 시험하였다. ELISA 및 FACS에 의해 가장 높은 특이적 결합을 나타내는 하이브리도마를 희석을 제한함으로 적어도 두 번 서브클로닝하였다. 다음에 형성된 안정한 서브-클론을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조직 배양 배지에 소량의 모노클론 항체를 생성하였다. ELISA 스크린을 반복하여 서브-클론의 활성을 확정하였다. ELISA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갖는 서브-클론을 비율을 높여서 모노클론 항-푸코실-GM1의 정제를 위해 충분히 조절된 배지(전형적으로 1L)를 생산하고 더욱 특성화시켰다.
하이브리도마 클론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을 선택하여 더 분석하였다.
실시예 2: 인간 모노클론 항체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의 구조적 특성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 모노클론 항체의 중 및 경 사슬 가변 지역을 암호화하는 cDNA 서열을 각각 표준 PCR 기술을 이용하여 5B1, 5B1a, 7D4, 7E4, 13B8 및 18D5 하이브리도마로부터 얻고 표준 DNA 서열화 기술을 이용하여 서열화하였다.
5B1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1A 및 SEQ ID NO:49와 1에 각각 도시하였다.
5B1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1B 및 SEQ ID NO:55와 7에 각각 도시하였다.
5B1 중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중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5B1 중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H 3-48로부터의 VH 단편, 인간 생식계열 1-1으로부터의 D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H 6b로부터의 JH 단편을 이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5B1 VH 서열을 생식계열 VH 3-48 서열에 정렬시킨 것을 도 7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5B1 VH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1A와 7 및 SEQ ID NO: 13, 19와 25에 보여진대로 중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5B1 경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경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5B1 경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K L15로부터의 VL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K 4로부터의 JK 단편을 이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5B1 VL 서열을 생식계열 VK L15 서열에 정렬시킨 것을 도 8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5B1 VL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1B와 8 및 SEQ ID NO: 31, 37과 43에 보여진대로 경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5B1a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2A 및 SEQ ID NO:50과 2에 각각 도시하였다.
5B1a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2B 및 SEQ ID NO:56과 8에 각각 도시하였다.
5B1a 중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중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5B1a 중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H 3-48로부터의 VH 단편, 인간 생식계열 1-1로부터의 D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H 6b로부터의 JH 단편을 이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5B1a VH 서열을 생식계열 VH 3-48 서열에 정렬시킨 것을 도 7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5B1a VH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2A와 7 및 SEQ ID NO: 14, 20과 26에 보여진대로 중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5B1a 경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경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5B1a 경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K L15로부터의 VL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K 4로부터의 JK 단편을 이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5B1a VL 서열을 생식계열 VK L15 서열에 정렬시킨 것을 도 8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5B1a VL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2B와 8 및 SEQ ID NO: 32, 38과 44에 보여진대로 경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7D4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3A 및 SEQ ID NO:51와 3에 각각 도시하였다.
7D4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3B 및 SEQ ID NO:57과 9에 각각 도시하였다.
7D4 중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중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7D4 중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H 3-48로부터의 VH 단편, 인간 생식계열 1-1으로부터의 D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H 6b로부터의 JH 단편을 이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7D4 VH 서열을 생식계열 VH 3-48 서열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 7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7D4 VH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3A와 7 및 SEQ ID NO: 15, 21과 27에 보여진대로 중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7D4 경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경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7D4 경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K L15로부터의 VL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K 4로부터의 JK 단편을 이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7D4 VL 서열을 생식계열 VK L15 서열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 8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7D4 VL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3B와 8 및 SEQ ID NO: 33, 39와 45에 보여진대로 경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7E4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4A 및 SEQ ID NO:52와 4에 각각 도시하였다.
7E4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4B 및 SEQ ID NO:58과 10에 각각 도시하였다.
7E4 중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중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7E4 중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H 3-48로부터의 VH 단편, 인간 생식계열 1-1로 부터의 D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H 6b로부터의 JH 단편을 사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7E4 VH 서열을 생식계열 VH 3-48 서열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 7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7E4 VH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4A와 7 및 SEQ ID NO: 16, 22와 28에 보여진대로 중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7E4 경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경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7E4 경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K L15로부터의 VL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K 4로부터의 JK 단편을 이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7E4 VL 서열을 생식계열 VK L15 서열에 정렬시킨 것을 도 8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7E4 VL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4B와 8 및 SEQ ID NO: 34, 40과 46에 보여진대로 경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13B8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5A 및 SEQ ID NO:53와 5에 각각 도시하였다.
13B8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5B 및 SEQ ID NO:59과 11에 각각 도시하였다.
13B8 중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중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13B8 중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H 3-48로부터의 VH 단편, 인간 생식계열 1-1로부터의 D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H 6b로부터의 JH 단편을 사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13B8 VH 서열을 생식계열 VH 3-48 서열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 7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13B8 VH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5A와 7 및 SEQ ID NO: 11, 17과 23에 보여진대로 중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13B8 경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경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13B8 경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K L15로부터의 VL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K 4로부터의 JK 단편을 이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13B8 VL 서열을 생식계열 VK L15 서열에 정렬시킨 것을 도 8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13B8 VL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5B와 8 및 SEQ ID NO: 35, 41과 47에 보여진대로 경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18D5의 중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6A 및 SEQ ID NO:54와 6에 각각 도시하였다.
18D5의 경 사슬 가변 지역의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을 도 6B 및 SEQ ID NO:60과 12에 각각 도시하였다.
18D5 중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중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18D5 중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H 3-48로부터의 VH 단편, 인간 생식계열 1-1로부터의 D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H 6b로부터의 JH 단편을 사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18D5 VH 서열을 생식계열 VH 3-48 서열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 7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18D5 VH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6A와 7 및 SEQ ID NO: 18, 24와 30에 보여진대로 중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18D5 경 사슬 면역글로불린 서열을 알려진 인간 생식계열 면역글로불린 경 사슬 서열과 비교하여 18D5 경 사슬이 인간 생식계열 VK L15로부터의 VL 단편 및 인간 생식계열 JK 4로부터의 JK 단편을 이용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18D5 VL 서열을 생식계열 VK L15 서열에 정렬시킨 것을 도 8에 나타내었다. CDR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카뱉 시스템을 사용하여 18D5 VL 서열을 더 분석함으로써 각각 도 6B와 8 및 SEQ ID NO: 36, 42과 48에 보여진대로 경 사슬 CDR1, CDR2 및 CD3 지역의 도표를 이끌어냈다.
실시예 3: 푸코실 - GM1 으로 처리된 세포의 제조
결합 분석에 사용하기 위해 원형질막에 박힌 푸코실-GM1을 포함하는 세포들을 제조하였다. 정제된 푸코실-GM1을 유리관에서 클로로포름:메탄올 1:1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질소하에서 건조물로 증발시켰다. 항원의 농도가 200μg/ml가 되도록 Ca 또는 Mg 없이 PBS를 건조 푸코실-GM1에 첨가하고; 5분간 휘젓고 이어서 5분간 고주파처리하여 에멀젼을 만들었다. 표적 세포들, 전형적으로 HEK 293(인간 신장, ATCC #CRL-1573) 또는 다우디(인간 버킷 림프종, ATCC #CCL-213)의 현탁액을 2 x 106 세포/ml로 PBS내에 제조하였다. 동일한 부피의 푸코실-GM1 에멀젼과 세포 현탁액을 혼합하여 최종 농도를 100μg 항원/106 세포/ml로 만든다. 세포와 항원을 37℃에서 15분간, 이어서 실온에서 30분간 가끔씩 전체를 섞어주면서 배양하여 푸코실-GM1이 막에 삽입되도록 한다. 세포를 1000 rpm 으로 10분간 원심분리시켰다. 상등액을 따라 내고 "처리된" 세포들을 FACS 완충액(Ca 또는 Mg가 없는 PBS + 1% 인간 혈청 + 2% FBS + 2mM EDTA)에 4 x 106 세포/ml 의 밀도로 재현탁시켰다. 유사하게 대조용 세포들을 항원 없이 또는 GM1과 같은 관련 항원으로 "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항- 푸코실 - GM1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결합 특이성 및 결합 동역학의 특성화
ELISA 에 의한 결합 특이성
정제된, 모노클론, 인간 항-푸코실-GM1 항체들을 재조합 항원 및 처리된 세포 둘 다에 대해 ELISA로 정제된 푸코실-GM1에 대한 특이적 결합을 시험하였다. 모든 과정을 얼음위에서 수행하였다. ELISA 양성 하이브리도마 배양물로부터의 조절된 배지를 "V"바닥 플레이트에서 항원 또는 세포들과 혼합하고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세척하고 결합된 항원을 HRP 접합 쥐 항-인간 IgG Fc 2차 항체로 검출하였다. 세척한 후, 플레이트를 비색 기질로 발달시키고, 원심분리에 의해 펠릿화하고 상등액을 바닥이 편평한 미세적정 분석 플레이트에 옮겨서 분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도 9 (항원 ELISA) 및 도 10 (전체 세포 ELISA)에 나타냈다. 항-푸코실-GM1 항체들이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한 결합 특이성
자연적으로 발현하는 푸코실-GM1 양성 세포주, 예컨대 H-4-II-E (쥐 헤파토마 ATCC# CRL-1548) 또는 DMS-79 (인간 SCLC ATCC# CRL-2049)를 사용하여 유동 세포측정법으로 푸코실-GM1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특이성을 결정하였다. 모든 착색공정을 얼음상에서 수행하였다. 항-푸코실-GM1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결합은 10 μg/ml 의 농도로 항-푸코실-GM1 인간 모노클론 항체로 트랜스펙트된 세포들을 배양함으로 평가하였다. 세포들을 세척하고 FITC-표지된 항-인간 IgG Ab로 결합을 검사하였다. 유동 세포측정 분석을 FACScan 유동 세포측정(Becton Dickinson, San Jose, C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결과를 도 11에 나타냈다. 항-푸코실-GM1 인간 모노클론 항체는 H-4-II-E 와 DMS-79 세포주에 결합하였다. 이 결과는 푸코실-GM1에 대한 항-푸코실-GM1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특이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5: 항- 푸코실 - GM1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내화
항-푸코실-GM1 HuMAbs를 험-잡(Hum-Zap) 내화 분석을 사용하여 푸코실-GM1-발현 세포주안으로 내화하는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험-잡 분석은 독소 사포린에 접합된 인간 IgG에 대한 친화력을 갖는 2차 항체의 결합을 통해 1차 인간 항체의 내화를 시험한다.
푸코실-GM1을 발현하는 세포주( H-4-II-E 또는 DMS-79)를 배양 배지에 현탁시키고 미세적정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7500 세포/웰로 분배하였다. 시험 항체와 아이소타입 대조용의 일련의 희석물을 배양 배지에 제조하고 2:1 몰 초과량의 사포린 접합 2차 항체(Hum-ZapTM, Advenced Targeting Systems, San Diego, CA, IT-22-25)와 얼음에서 1시간동안 혼합하였다. 다음에 항체와 사포린 접합체 혼합물을 세포와 혼합하고 37℃에서 48-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생활력은 MTS(Promega)를 부가하여 측정하였는데 O.D.는 4시간 더 배양한 후 읽었고 흡광도는 내화에 반비례하였다. 결과는 도 12에 나타냈다. 이 자료는 인간 항-푸코실-GM1 항체가 푸코실-GM1을 발현하는 세포주안으로 내화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실시예 6: 항- 푸코실 - GM1 항체의 보체 의존 세포독성 효과
표적세포, 처리된 또는 자연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106/mL로 CDC 완충액(RPMI1640)에 현탁시켰다. 인간 보체(HC)를 1:3으로 세포주 성장 배지에 희석시켰다. 시험 항체와 아이소타입 대조용의 일련의 희석물들을 제조하였다. 세포, 보체 및 항체를 동일 부피로 미세적정 분석 플레이트에서 혼합하고 37℃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알라마르 블루(Alamar blue)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37℃에서 21시간 더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530nm 흡광/590nm 방사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형광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판독하니, 세포 생활력은 형광 단위에 비례하였다. 결과는 도 13에 나타냈다. 인간 및 쥐 대조용 항체는 H-4-II-E 및 DMS-79 세포 둘 다에 대해 강한 투여량 의존 CDC 활성을 나타낸다. 아이소타입 대조용 항체는 의미있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라모스 및 ARH77과 같은 푸코실-GM1 음성 세포주에 대한 CDC 활성은 무시할 정도이다.
실시예 7: 항- 푸코실 - GM1 항체의 ADCC 활성의 분석
본 실시예에서는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를 형광 세포독성 분석으로 세포독성 의존 항체(ADCC)를 통해 효과기 세포의 존재하에서 푸코실 GM1 발현 세포주를 죽이는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ADCC 활성은 델피아 시스템(Delfia System, Perkin-Elmer)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간단하게는, 효과기 세포를 200 u/ml IL-2로 밤새 자극함으로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로부터 배양하고 2 x 107/ml로 재현탁시킨다. 표적 세포를 106/ml로 희석시키고 20분간 배양함으로 형광성 강화 리간드(BATDA)를 하적시키고 2 x 107세포/ml로 희석시킨다. 효과기 및 표적 세포를 100:1 비율로 미세적정 분석 플레이트에서 합치고 시험 항체 및 아이소타입 대조용의 일련의 희석물을 혼합한다. 플레이트를 37℃에서 1시간 배양하고, 펠릿 세포로 원심분리시키고, 20 μl의 상등액을 제거하여 Eu 용액과 혼합한다(Perkin-Elmer). Eu와 합쳐진 방출된 리간드로부터 초래된 형광을 퓨젼 플레이트 판독기(Fusion plate reader, Perkin-Elmer)에서 측정하니 이는 세포 용해에 비례하였다. 항체 없이 효과기 세포를 갖는 분석 웰과 기준 용해 및 완전한 용해를 위한 세정 대조용을 갖는 분석 웰 각각을 항체 특이적 용해에 대해 계산한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냈다. 이 자료는 항-푸코실-GM1 항체가 세포 표면상에서 푸코실-GM1을 발현하는 세포에 세포독성인 것을 설명한다.
실시예 8: 폐 악성종양의 면역조직화학
IHC에 의해 푸코실-GM1을 인식하는 항-푸코실-GM1 HuMAb 7E4의 능력을 작은 세포 폐 악성종양(SCLC) 및 작지 않은 세포 폐 악성종양(NSCLC)의 임상 생검을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면역조직화학을 위해, 5mm 냉동 조각(Ardais Inc, USA)을 작은 세포 폐 악성종양(SCLC) 및 작지 않은 세포 폐 악성종양(NSCLC)의 임상 생검으로부터 제조하였다. 30분간 건조시킨 후, 조각들을 메탄올로 고정시키고(실온에서 10분간) 5분간 공기-건조시켰다. 슬라이드를 PBS로 헹구고 다음에 PBS내 10% 정상 염소 혈청으로 20분간 예비-배양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30분간 10% 정상 염소 혈청으로 PBS내 10mg/ml 바이오틴화된 7E4로 배양하였다. 슬라이드를 PBS로 3번 씻고 다음에 실온에서 스트렙타비딘-FITC(DAKO)로 30분간 배양하였다. 슬라이드를 PBS로 다시 씻고 실온에서 염소 항-FITC HRP 접합체(DAKO)로 30분간 배양하였다. 슬라이드를 PBS로 다시 3번 씻었다. 디아미노벤지딘(Sigma)을 HRP 기질로 사용하였고, 갈색으로 착색된 조직은 7E4 결합에 양성이다. 증류수로 세척한 후, 슬라이드를 조직구조를 보기위해서 1분간 헤마토실린(hematoxyllin)으로 역-착색하였다. 이어서 슬라이드를 흐르는 증류수로 10초간 씻고 글리세르겔(DAKO)에 장착하였다. 임상 생검 면역조직화학 착색은 SCLC 및 NSCLC 조각 둘 다에서 양성 착색을 나타냈다. 악성 종양 세포들 만 각각의 경우에 양성이었고 인접한 정상 폐 조직은 착색되지 않았다. 폐 악성종양의 총 이환율은 5/13 시험샘플(2/6 SCLC 및 3/7 NSCLC)이었다. IHC는 정상 폐 조직에 결합하는 7E4에 음성이었다.
실시예 9: 푸코실화되지 않은 HuMAbs 의 생성
감소된 양의 푸코실 잔기를 갖는 항체는 항체의 ADCC 능력의 증가를 설명해 왔다. 본 실시예에서는, 푸코실 잔기가 없는 항-푸코실 GM1 HuMAb를 생성한다.
푸코실 전이효소 유전자, FUT 8 (Biowa, Inc., Princeton, NJ)가 없는 CHO 세포주 Ms704-PE에 항-푸코실 GM1 HuMAb의 중 및 경 사슬을 발현하는 벡터를 일렉트로포레이팅하였다. 6 mM L-글루타민과 500 μg/ml G418(Invitrogen, Carlsbad, CA)를 포함하는 Ex-Cell 325-PF CHO 배지(JRH Biosciences, Lenexa, KS)에서 성장시켜 약물-내성 클론을 선택한다. 클론을 표준 ELISA 분석에 의해 IgG 발현에 대해 검사한다.
실시예 10: 항- 푸코실 - GM1 인간 모노클론 항체의 생체내 효과
DMS79 작은 세포 폐암 세포(푸코실-GM1+)를 종양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약 8일) 수컷 SCID 쥐(5 x 106 세포/쥐)에 피하 이식시켰다. 이식 후 8일에, 종양을 측정하고 쥐를 계속되는 항체 치료를 위해 평균 종양 부피(약 200 mm3)을 기반으로 각각 8마리씩 6그룹으로 임의로 추출하였다. 이식 후 8, 11, 15, 18 및 22일에, 다음과 같이 쥐에 복강내 주사하였다: (A) PBS(담체 대조용); (B) 인간 IgG1(아이소타입 대조용), 쥐 한마리당 30 mg/kg으로; (C)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5B1, 쥐 한마리당 10 mg/kg으로; (D)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5B1, 쥐 한마리당 30 mg/kg으로; (E)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7E4, 쥐 한마리당 10 mg/kg으로; 또는 (F)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7E4, 쥐 한마리당 30 mg/kg으로. 이 실험에서 사용된 모노클론 항체 조성물을 낮은 수준의 내독소를 가지며 심각하게 응집하지 않는다. 전자 정밀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종양을 3차원적으로(높이 x 넓이 x 길이) 측정하고 종양 부피를 계산하였다. 실험기간 동안(61일) 일주일에 2번 종양을 측정한다. 종양이 의도되었던 종양 끝-점(1500 mm3와 같은 특정 종양 부피 및/또는 쥐가 불안한 표시를 보이거나 체중이 약 15%이상 감소 될 때)에 이르르면, 쥐를 안락사시켰다.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가 종양 성장을 지연하는지 검사하기 위해서, 종양 부피가 1000 mm3에 도달하는 날을 감시하였다. 7E4 및 5B1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둘 다 담체나 아이소타입 대조용에 비해 종양 성장을 상당히 지연시켰다(표 1 참조). 항체 효과는 투여량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경우에 30 mg/kg 처리 그룹이 더욱 큰 반응을 보였다. 더욱이 7E4 항체를 30 mg/kg으로 처리한 쥐는 종양 부피가 1000 mm3에 도달하지 않았고 연구의 끝인 61일에 평균 종양 부피가 600 mm3 이었다.
표 1
처리 종양 부피가 1000 mm 3 인 날
PBS ( 담체 대조용) 34
h- IgG1 ( 아이소타입 대조용) 32
항-5B1 (10 mg / kg ) 56
항-5B1 (30 mg / kg ) 60
항-7 E4 (10 mg / kg ) 57
항-7 E4 (30 mg / kg ) > 61
푸코실-GM1이 생체내에서 DMS79세포에 의해 계속적으로 발현되는지 검사하기 위해서, DMS79 세포에 대한 모노클론 항체 7E4 및 5B1의 결합을 처리하지 않은 종양으로부터의 DMS79 세포의 회복 후와 이식 전에 FACS로 분석하였다. DMS79 세포의 이식 전 및 이식 후에 결합된 항체들은 푸코실-GM1 발현 수준이 생체내에서 유지되었음을 설명하였다(도 11C).
도 15A는 하나를 제외한 모든 대조용 쥐(그룹 A 및 B)가 61일 이전에 종양 끝-점에 도달하였음을 보여준다. 도 15B는 항-푸코실-GM1 5B1 항체 10 mg/kg 으로 처리한 그룹(그룹 C)은 약 600 mm3-1000 mm3 범위의 부피를 갖는 종양이 있는 쥐 6마리와 종양 끝-점에 도달한 쥐 2마리를 가지는 한편, 항-푸코실-GM1 5B1 항체 30 mg/kg 으로 처리한 그룹(그룹 D)에서는 8마리 쥐 중에서 어느 것도 61일까지 종양 끝-점에 도달하지 않았다(1000 mm3 이하의 부피를 갖는)는 것을 보여준다. 도 15C는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7E4, 10 mg/kg 으로 처리한 그룹(그룹 E)에서는 8마리 쥐 중에서 어느 것도 61일까지 종양 끝-점에 도달하지 않았다(약 1200 mm3 이하의 부피를 갖는, 그리고 한 마리는 종양이 없음)는 것을 보여준다. 도 15C는 또한 항-푸코실-GM1 모노클론 항체 7E4, 30 mg/kg 으로 처리한 그룹(그룹 F)에서는 8마리 쥐 중에서 어느 것도 61일까지 종양 끝-점에 도달하지 않았다(약 800 mm3 이하의 부피를 갖는, 그리고 2 마리는 종양이 없음)는 것을 보여준다. 도 16은 (A)평균 및 (B)중앙 종양 부피를 60일에 측정한 것을 보여준다. 항체 효과는 투여량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용에 비해 각각의 경우에 30 mg/kg 처리 그룹이 더욱 큰 반응을 보였다.
표 2
그룹 종양 성장 억제 ( TGI ) ( 32 일 ) 종양 없음, 40일 % (#/전체)
평균 부피 * % 중간 부피 * %
PBS - 897 - 882 - -
h-IgG1 1189 - 1066 - -
항-5B1 (10mg/kg) 227 81 201 81 -
항-5B1 (30mg/kg) 174 85 172 84 -
항-7E4 (10mg/kg) 177 85 175 84 12.5% (1/8)
항-7E4 (30mg/kg) 116 90 141 87 25% (2/8)
이 연구는 쥐 종양 모델에서, 항-푸코실-GM1 항체 처리가 투여량 의존 방식으로 작용하며 담체와 아이소타입 대조용보다 종양 성장에 상당히 큰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항-푸코실-GM1 항체 처리는 또한 쥐의 체중을 감소시키거나 어떤 다른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으며, 이는 이들 항체가 안전하고 좋은 내성이 있음을 가리킨다(도 17). 실제로, 항-푸코실-GM1 항체는 32일에 81-90% 범위의 종양 성장 저해 퍼센트(TGI %)를 나타냈다(표 2). 덧붙여서, 항체 7E4를 30 mm3/kg 의 투여량으로 처리하는 것은 쥐의 25%를 종양이 없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본 명세서는 여기에 기재된 특정 구체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여기에 기재된 것에 덧붙여, 본 명세서의 여러 가지 변경들은 상기 기재 및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당업자에 자명한 것이다. 그러한 변경들은 청구범위 내로 간주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단지 청구항에 청구된 것에 등가물인 모든 것과 함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서열 목록의 요약
SEQ ID NO: 서열 SEQ ID NO: 서열
1 VH a.a. 5B1 32 VK CDR1 a.a. 5B1a
2 VH a.a. 5B1a 33 VK CDR1 a.a. 7D4
3 VH a.a. 7D4 34 VK CDR1 a.a. 7E4
4 VH a.a. 7E4 35 VK CDR1 a.a. 13B8
5 VH a.a. 13B8 36 VK CDR1 a.a. 18D5
6 VH a.a. 18D5 37 VK CDR2 a.a. 5B1
7 VK a.a. 5B1 38 VK CDR2 a.a. 5B1a
8 VK a.a. 5B1a 39 VK CDR2 a.a. 7D4
9 VK a.a. 7D4 40 VK CDR2 a.a. 7E4
10 VK a.a. 7E4 41 VK CDR2 a.a. 13B8
11 VK a.a. 13B8 42 VK CDR2 a.a. 18D5
12 VK a.a. 18D5 43 VK CDR3 a.a. 5B1
13 VH CDR1 a.a. 5B1 44 VK CDR3 a.a. 5B1a
14 VH CDR1 a.a. 5B1a 45 VK CDR3 a.a. 7D4
15 VH CDR1 a.a. 7D4 46 VK CDR3 a.a. 7E4
16 VH CDR1 a.a. 7E4 47 VK CDR3 a.a. 13B8
17 VH CDR1 a.a. 13B8 48 VK CDR3 a.a. 18D5
18 VH CDR1 a.a. 18D5 49 VH n.t. 5B1
19 VH CDR2 a.a. 5B1 50 VH n.t. 5B1a
20 VH CDR2 a.a. 5B1a 51 VH n.t. 7D4
21 VH CDR2 a.a. 7D4 52 VH n.t. 7E4
22 VH CDR2 a.a. 7E4 53 VH n.t. 13B8
23 VH CDR2 a.a. 13B8 54 VH n.t. 18D5
24 VH CDR2 a.a. 18D5 55 VK n.t. 5B1
25 VH CDR3 a.a. 5B1 56 VK n.t. 5B1a
26 VH CDR3 a.a. 5B1a 57 VK n.t. 7D4
27 VH CDR3 a.a. 7D4 58 VK n.t. 7E4
28 VH CDR3 a.a. 7E4 59 VK n.t. 13B8
29 VH CDR3 a.a. 13B8 60 VK n.t. 18D5
30 VH CDR3 a.a. 18D5 61 VH 3-48 생식계열 a.a.
31 VK CDR1 a.a. 5B1 62 VK L15 생식계열 a.a.
SEQUENCE LISTING <110> Medarex Inc. Vistica, Cynthia A Brams, Peter Holmes, Eric H Witte, Alison Cardarelli, Josephine M <120> Human monoclonal antibodies to fucosyl-GM1 and methods for using anti-fucosyl-GM1 antibodies <130> 077375.0427 <140> PCT/US06/61817 <141> 2006-12-08 <150> 60/748,915 <151> 2005-12-08 <160> 70 <170> PatentIn version 3.4 <210> 1 <211> 12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u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Val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rg Tyr 20 25 30 Lys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Ser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sp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Gly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Trp 100 105 110 Gly His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2 <211> 12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u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Val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rg Tyr 20 25 30 Lys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Ser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sp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Gly Thr Val Thr Th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Trp Gly 100 105 110 His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3 <211> 12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u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Val Val Ser Gly Phe Thr Phe Ser Arg Tyr 20 25 30 Lys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Ser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Ser Ser Leu Arg Asp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Gly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Trp 100 105 110 Gly Leu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4 <211> 12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Ser Val Gln Pro Gly Glu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Val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rg Tyr 20 25 30 Lys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Ser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sp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Gly Thr Val Thr Thr Tyr Tyr Tyr Asp Phe Gly Met Asp Val Trp 100 105 110 Gly Gln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5 <211> 12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u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Val Ala Ser Gly Phe Thr Leu Ser Arg Tyr 20 25 30 Lys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Ser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sp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Gly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Trp 100 105 110 Gly Gln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6 <211> 12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u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Val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rg Tyr 20 25 30 Lys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Ser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Ser Ser Leu Arg Asp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Gly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Trp 100 105 110 Gly Leu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7 <211> 10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u Lys Ala Pro Lys Ser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Se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8 <211> 10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8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u Lys Ala Pro Lys Ser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Se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9 <211> 10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9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u Lys Ala Pro Lys Ser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Se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Cys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10 <211> 10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0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u Lys Ala Pro Lys Ser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Se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11 <211> 10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1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u Lys Ala Pro Lys Ser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Se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12 <211> 10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2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u Lys Ala Pro Lys Ser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Se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Cys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13 <211> 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3 Arg Tyr Lys Met Asn 1 5 <210> 14 <211> 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4 Arg Tyr Lys Met Asn 1 5 <210> 15 <211> 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5 Arg Tyr Lys Met Asn 1 5 <210> 16 <211> 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6 Arg Tyr Lys Met Asn 1 5 <210> 17 <211> 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7 Arg Tyr Lys Met Asn 1 5 <210> 18 <211> 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8 Arg Tyr Lys Met Asn 1 5 <210> 19 <211> 1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9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Lys 1 5 10 15 <210> 20 <211> 1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0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Lys 1 5 10 15 <210> 21 <211> 1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1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Lys 1 5 10 15 Gly <210> 22 <211> 1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2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Lys 1 5 10 15 <210> 23 <211> 1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3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Lys 1 5 10 15 Gly <210> 24 <211> 1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4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Lys 1 5 10 15 Gly <210> 25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5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1 5 10 <210> 26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6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1 5 10 <210> 27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7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1 5 10 <210> 28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8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1 5 10 <210> 29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9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1 5 10 <210> 30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0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1 5 10 <210> 31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1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Leu Ala 1 5 10 <210> 32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2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Leu Ala 1 5 10 <210> 33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3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Leu Ala 1 5 10 <210> 34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4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Leu Ala 1 5 10 <210> 35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5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Leu Ala 1 5 10 <210> 36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6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Leu Ala 1 5 10 <210> 37 <211> 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7 Ala Ala Ser Ser Leu Gln Ser 1 5 <210> 38 <211> 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8 Ala Ala Ser Ser Leu Gln Ser 1 5 <210> 39 <211> 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9 Ala Ala Ser Ser Leu Gln Ser 1 5 <210> 40 <211> 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0 Ala Ala Ser Ser Leu Gln Ser 1 5 <210> 41 <211> 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1 Ala Ala Ser Ser Leu Gln Ser 1 5 <210> 42 <211> 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2 Ala Ala Ser Ser Leu Gln Ser 1 5 <210> 43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3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Thr 1 5 <210> 44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4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Thr 1 5 <210> 45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5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Thr 1 5 <210> 46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6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Thr 1 5 <210> 47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7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Thr 1 5 <210> 48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8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Thr 1 5 <210> 49 <211> 350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49 gaggtgcagc tggtggagtc tgggggaggc ttggtgcagc ctggggagtc cctgagactc 60 tcctgtgtag cctctggatt tactttcagt agatataaga tgaactgggt tcgccaggct 120 ccagggaagg gactggaatg ggtttcatac atcagtcgta gtggccgtga catttactac 180 gcagactctg tgaagggccg attcaccatc tccagagata atgccaagaa ctcactgtat 240 ctgcaaatga acagcctgag agacgaggac acggctgtat attactgtgc gggtactact 300 acttcggtat ggacgtctgg ggccacggga ccacggtcac cgtctcctca 350 <210> 50 <211> 347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0 gaggtgcagc tggtggagtc tgggggaggc ttggtgcagc ctggggagtc cctgagactc 60 tcctgtgtag cctctggatt tactttcagt agatataaga tgaactgggt tcgccaggct 120 ccagggaagg gactggaatg ggtttcatac atcagtcgta gtggccgtga catttactac 180 gcagactctg tgaagggccg attcaccatc tccagagata atgccaagaa ctcactgtat 240 ctgcaaatga acagcctgag agacgaggac acggctgtat attactgtgc gggtactact 300 tcggtatgga cgtctggggc cacgggacca cggtcaccgt ctcctca 347 <210> 51 <211> 366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1 gaggtgcagc tggtggagtc tgggggaggc ttggtacagc ctggggagtc cctgagactc 60 tcctgtgtag tctctggatt caccttcagt aggtataaga tgaactgggt ccgccaggct 120 ccagggaagg gactggaatg gatttcatac attagtcgta gtggtcgtga catatactac 180 gcagactctg tgaagggccg attcaccatc tccagagaca atgccaagaa ctcactgtat 240 ctgcaaatga gcagcctgag agacgaggac acggctgtgt attactgtgc gggaactgta 300 acgacatatt attattactt cggtatggac gtctggggcc tagggaccac ggtcaccgtc 360 tcctca 366 <210> 52 <211> 366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2 gaagtgcagc tggtggagtc tgggggaggc tcggtacagc ctggggagtc cctgagactc 60 tcctgtgtag cctctggatt caccttcagt aggtacaaga tgaactgggt ccgccaggct 120 ccagggaagg gactggaatg ggtttcatac attagtcgta gtggtcgtga catatactac 180 gcagactctg tgaagggccg attcaccatc tccagagaca atgccaagaa ctcactgtat 240 ctgcaaatga acagcctgag agacgaggac acggctgtgt attactgtgc gggaactgta 300 acgacatact actacgactt cggtatggac gtctggggcc aagggaccac ggtcaccgtc 360 tcctca 366 <210> 53 <211> 366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3 gaggtgcagc tggtggagtc tgggggaggc ttggtacagc ctggggagtc cctgagactc 60 tcgtgtgtag cctctggatt caccctcagt aggtataaga tgaactgggt ccgccaggct 120 ccagggaagg gactggaatg gatttcatac atcagtcgta gtggtcgtga catatactac 180 gcagactctg tgaagggccg attcaccatc tccagagaca atgccaagaa ctcactgtat 240 ctgcaaatga acagcctgcg agacgaggac tcggctgtgt attactgtgc gggaactgta 300 acgacatact actactactt cggtatggac gtctggggcc aagggaccac ggtcaccgtc 360 tcctca 366 <210> 54 <211> 366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4 gaggtgcagc tggtggagtc tgggggaggc ttggtacagc ctggggagtc cctgagactc 60 tcctgtgtag cctctggatt caccttcagt aggtataaga tgaactgggt ccgccaggct 120 ccagggaagg gactggaatg gatttcatac attagtcgta gtggtcgtga catatactac 180 gcagactctg tgaagggccg attcaccatc tccagagaca atgccaagaa ctcactgtat 240 ctgcaaatga gcagcctgag agacgaggac acggctgtgt attactgtgc gggaactgtc 300 acgacatatt attattactt cggtatggac gtctggggcc tagggaccac ggtcaccgtc 360 tcctca 366 <210> 55 <211> 321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5 gacatccaga tgacccagtc tccatcctca ctgtctgcat ctgtaggaga cagagtcacc 60 atcacttgtc gggcgagtca gggtattagc agctggttag cctggtatca gcagaaacca 120 gagaaagccc ctaagtccct gatctatgct gcatccagtt tgcaaagtgg ggtcccatca 180 aggttcagcg gcagtggatc tgggacagat ttcactctca ccatcagcag cctgcagcct 240 gaagattttg caacttatta ctgccaacag tataatagtt accctcccac tttcggcgga 300 gggaccaagg tggagatcaa a 321 <210> 56 <211> 321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6 gacatccaga tgacccagtc tccatcctca ctgtctgcat ctgtaggaga cagagtcacc 60 atcacttgtc gggcgagtca gggtattagc agctggttag cctggtatca gcagaaacca 120 gagaaagccc ctaagtccct gatctatgct gcatccagtt tgcaaagtgg ggtcccatca 180 aggttcagcg gcagtggatc tgggacagat ttcactctca ccatcagcag cctgcagcct 240 gaagattttg caacttatta ctgccaacag tataatagtt accctcccac tttcggcgga 300 gggaccaagg tggagatcaa a 321 <210> 57 <211> 321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7 gacatccaga tgacccagtc tccatcctca ctgtctgcat ctgtaggaga cagagtcacc 60 atcacttgtc gggcgagtca gggtattagc agctggttag cctggtatca gcagaaacca 120 gagaaagccc ctaagtccct gatctatgct gcatccagtt tgcaaagtgg ggtcccatca 180 aggttcagcg gcagtggatc tgggacagat ttcactctca ccatcagctg cctgcagcct 240 gaagattttg cgacttatta ctgccaacag tataatagtt accctcccac tttcggcgga 300 gggaccaagg tggagatcaa a 321 <210> 58 <211> 321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8 gacatccaga tgacccagtc tccatcctca ctgtctgcat ctgtaggaga cagagtcacc 60 atcacttgtc gggcgagtca gggtattagc agctggttag cctggtatca gcagaaacca 120 gagaaagccc ctaagtccct gatctatgct gcatccagtt tgcaaagtgg ggtcccatca 180 aggttcagcg gcagtggatc tgggacagat ttcactctca ccatcagcag cctgcagcct 240 gaagattttg caacttatta ctgccaacag tataatagtt accctcccac tttcggcgga 300 gggaccaagg tggagatcaa a 321 <210> 59 <211> 321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9 gacatccaga tgacccagtc tccatcctca ctgtctgcat ctgtaggaga cagagtcacc 60 atcacttgtc gggcgagtca gggtattagc agctggttag cctggtatca gcagaaacca 120 gagaaagccc ctaagtccct gatctatgct gcatccagtt tgcaaagtgg ggtcccatca 180 aggttcagcg gcagtggatc tgggacagat ttcactctca ccatcagcag cctgcagcct 240 gaagattttg caacttatta ctgccaacag tataatagtt accctcccac tttcggcgga 300 gggaccaagg tggagatcaa a 321 <210> 60 <211> 321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60 gacatccaga tgacccagtc tccatcctca ctgtctgcat ctgtaggaga cagagtcacc 60 atcacttgtc gggcgagtca gggtattagc agctggttag cctggtatca gcagaaacca 120 gagaaagccc ctaagtccct gatctatgct gcatccagtt tgcaaagtgg ggtcccatca 180 aggttcagcg gcagtggatc tgggacagat ttcactctca ccatcagctg cctgcagcct 240 gaagattttg cgacttatta ctgccaacag tataatagtt accctcccac tttcggcgga 300 gggaccaagg tggagatcaa a 321 <210> 61 <211> 9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1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Tyr 20 25 30 Ser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Ser Tyr Ile Ser Ser Ser Ser Ser Thr Ile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sp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210> 62 <211> 9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2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u Lys Ala Pro Lys Ser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Se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yr Asn Ser Tyr Pro 85 90 95 <210> 63 <211> 12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3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u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Val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rg Tyr 20 25 30 Lys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Ser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Ser Ser Leu Arg Asp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Gly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Trp 100 105 110 Gly Leu Gly Thr Thr Val Thr Val Ser 115 120 <210> 64 <211> 10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4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u Lys Ala Pro Lys Ser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Se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Cys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65 <211> 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5 Arg Tyr Lys Met Asn 1 5 <210> 66 <211> 1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6 Tyr Ile Ser Arg Ser Gly Arg Asp Ile Tyr Tyr Ala Asp Ser Val Lys 1 5 10 15 Gly <210> 67 <211> 1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7 Thr Val Thr Thr Tyr Tyr Tyr Tyr Phe Gly Met Asp Val 1 5 10 <210> 68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8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rp Leu Ala 1 5 10 <210> 69 <211> 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9 Ala Ala Ser Ser Leu Gln Ser 1 5 <210> 70 <211> 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0 Gln Gln Tyr Asn Ser Tyr Pro Pro Thr 1 5

Claims (39)

  1. 항체가:
    a)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b)인간의 작은 세포 폐암 세포주 DMS-79(인간 SCLC ATCC # CRL-2049)에 결합하는 분리된 인간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
  2. 제 1항에 있어서,
    IgG1 또는 IgG4 아이소타입의 전-길이 항체인 항체.
  3. 제 1항에 있어서,
    항체 단편 또는 단일 사슬 항체인 항체.
  4. (a)인간 중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s:1, 2, 3, 4, 5 및 6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및
    (b)인간 경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s:7, 8, 9, 10, 11 및 1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를 포함하는
    참고 항체와 항체가 푸코실-GM1에 결합하는 것에 대해 상호-경쟁하는, 분리된 인간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
  5. 제 4항에 있어서,
    인간 중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인간 경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6. 제 4항에 있어서,
    인간 중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인간 경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7. 제 4항에 있어서,
    인간 중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인간 경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8. 제 4항에 있어서,
    인간 중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인간 경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9. 제 4항에 있어서,
    인간 중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인간 경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10. 제 4항에 있어서,
    인간 중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인간 경 사슬 가변 지역이 SEQ ID NO: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11. 항체가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인간 VH 3-48 유전자의 생성물이거나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것인 중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
  12. 항체가 푸코실-G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인간 VK L15 유전자의 생성물이거나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것인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
  13. 제 12항에 있어서,
    인간 VH 3-48 유전자의 생성물이거나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것인 중 사슬 가변 지역을 더욱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
  14. 제 1항에 있어서,
    (a) SEQ ID NO: 13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19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5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1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37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3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하는 항체.
  15. 제 1항에 있어서,
    (a) SEQ ID NO: 14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0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6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2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38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4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하는 항체.
  16. 제 1항에 있어서,
    (a) SEQ ID NO: 15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1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7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3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39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5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하는 항체.
  17. 제 1항에 있어서,
    (a) SEQ ID NO: 16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2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8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4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40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6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하는 항체.
  18. 제 1항에 있어서,
    (a) SEQ ID NO: 17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3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29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5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41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7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하는 항체.
  19. 제 1항에 있어서,
    (a) SEQ ID NO: 18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1;
    (b) SEQ ID NO: 24를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2;
    (c) SEQ ID NO: 30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CDR3;
    (d) SEQ ID NO: 36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1;
    (e) SEQ ID NO: 42를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2; 및
    (f) SEQ ID NO: 48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 CDR3을 포함하는 항체.
  20. (a) SEQ ID NO: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
  21. (a) SEQ ID NO: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
  22. (a) SEQ ID NO: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
  23. (a)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
  24. (a) SEQ ID NO: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
  25. (a) SEQ ID NO: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 사슬 가변 지역; 및
    (b) SEQ ID NO: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 사슬 가변 지역;을 포함하는 분리된 모노클론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
  26. 제 1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27. 치료제에 결합된, 제 1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면역접합체.
  28. 제 27항의 면역접합체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29. 제 27항에 있어서,
    치료제가 세포독소인 면역접합체.
  30. 제 29항의 면역접합체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31. 제 27항에 있어서,
    치료제가 방사성 동위원소인 면역접합체.
  32. 제 31항의 면역접합체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33. 제 1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부분을 암호화하는 분리된 핵산 분자.
  34. 제 33항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35. 제 34항의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36. 제 35항의 숙주 세포에서 항체를 발현시키고 숙주세포로부터 항체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푸코실-GM1 항체의 제조방법.
  37. 환자에게 제 1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부분을,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푸코실-GM1을 발현하는 종양 세포의 성장으로 특징지워지는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질병이 암인 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암이 폐암인 방법.
KR20087015517A 2005-12-08 2006-12-08 푸코실-지엠1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 및 항-푸코실-지엠1 사용법 KR101446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891505P 2005-12-08 2005-12-08
US60/748,915 2005-12-08
PCT/US2006/061817 WO2007067992A2 (en) 2005-12-08 2006-12-08 Human monoclonal antibodies to fucosyl-gm1 and methods for using anti-fucosyl-gm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405A true KR20080090405A (ko) 2008-10-08
KR101446510B1 KR101446510B1 (ko) 2014-10-20

Family

ID=3812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15517A KR101446510B1 (ko) 2005-12-08 2006-12-08 푸코실-지엠1에 대한 인간 모노클론 항체 및 항-푸코실-지엠1 사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6) US8383118B2 (ko)
EP (1) EP1960434B1 (ko)
JP (2) JP5512128B2 (ko)
KR (1) KR101446510B1 (ko)
CN (2) CN101356195B (ko)
AU (1) AU2006321554B2 (ko)
BR (1) BRPI0620553A2 (ko)
CA (1) CA2638902C (ko)
DK (1) DK1960434T3 (ko)
EA (1) EA017491B1 (ko)
ES (1) ES2390476T3 (ko)
HK (2) HK1124622A1 (ko)
HR (1) HRP20120701T1 (ko)
IL (2) IL191610A (ko)
NO (1) NO20083062L (ko)
NZ (1) NZ568551A (ko)
PL (1) PL1960434T3 (ko)
PT (1) PT1960434E (ko)
SG (1) SG174783A1 (ko)
SI (1) SI1960434T1 (ko)
WO (1) WO2007067992A2 (ko)
ZA (1) ZA2008049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6195B (zh) 2005-12-08 2013-04-03 米德列斯公司 抗岩藻糖基-gm1的人单克隆抗体及使用抗岩藻糖基-gm1抗体的方法
US8188235B2 (en) 2008-06-18 2012-05-29 Pfizer Inc. Antibodies to IL-6 and their uses
US10306482B2 (en) * 2013-12-05 2019-05-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MTC device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for coverage enhancement
EP3593812A3 (en) 2014-03-15 2020-05-27 Novartis AG Treatment of cancer using chimeric antigen receptor
JP2017528433A (ja) 2014-07-21 2017-09-28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低い免疫増強用量のmTOR阻害剤とCARの組み合わせ
WO2016049256A1 (en) 2014-09-25 2016-03-3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reatment of lung cancer using an anti-fucosyl-gm1 antibody
CA2973354A1 (en) 2015-01-14 2016-07-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Benzodiazepine dimers,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CN107231804B (zh) 2015-01-14 2019-11-26 百时美施贵宝公司 亚杂芳基桥连苯并二氮杂*二聚体、其缀合物及制备和使用方法
WO2016126608A1 (en) 2015-02-02 2016-08-11 Novartis Ag Car-expressing cells against multiple tumor antigens and uses thereof
EP3286211A1 (en) 2015-04-23 2018-02-28 Novartis AG Treatment of cancer using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protein kinase a blocker
US11667691B2 (en) 2015-08-07 2023-06-06 Novartis Ag Treatment of cancer using chimeric CD3 receptor proteins
CN106550478B (zh) * 2015-09-22 2020-08-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用户传输网络分配矢量设置方法和装置
WO2017083224A1 (en) 2015-11-09 2017-05-1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ethods to manipulate quality attributes of polypeptides produced in cho cells
EP3380620A1 (en) 2015-11-23 2018-10-03 Novartis AG Optimized lentiviral transfer vectors and uses thereof
CN108431034A (zh) 2015-12-21 2018-08-21 百时美施贵宝公司 用于位点-特异性缀合的变体抗体
ES2944597T3 (es) 2015-12-30 2023-06-22 Novartis Ag Terapias con células efectoras inmunitarias de eficacia mejorada
RU2757314C2 (ru) 2016-01-22 2021-10-13 Мерк Шарп И Доум Корп.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фактора свертывания xi
US11549099B2 (en) 2016-03-23 2023-01-10 Novartis Ag Cell secreted minibodies and uses thereof
WO2017181034A1 (en) 2016-04-14 2017-10-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bination therapy using an anti-fucosyl-gm1 antibody and an anti-cd137 antibody
WO2017210335A1 (en) 2016-06-01 2017-12-0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maging methods using 18f-radiolabeled biologics
TWI752964B (zh) 2016-06-14 2022-01-21 美商默沙東藥廠 抗凝血因子xi抗體
KR102493853B1 (ko) 2016-08-19 2023-01-30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세코-시클로프로파피롤로인돌 화합물, 그의 항체-약물 접합체, 및 제조 및 사용 방법
WO2018075842A1 (en) 2016-10-20 2018-04-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ndensed benzodiazepine derivatives and conjugates made therefrom
WO2018111340A1 (en) 2016-12-16 2018-06-21 Novartis Ag Methods for determining potency and proliferative function of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t cells
US11535662B2 (en) 2017-01-26 2022-12-27 Novartis Ag CD28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himeric antigen receptor therapy
US20190375815A1 (en) 2017-01-31 2019-12-12 Novartis Ag Treatment of cancer using chimeric t cell receptor proteins having multiple specificities
WO2018229715A1 (en) 2017-06-16 2018-12-20 Novartis Ag Compositions comprising anti-cd32b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7688093B (zh) * 2017-08-25 2020-04-07 李红俊 肺癌检测试纸条、试剂盒及其使用方法
WO2019051308A1 (en) 2017-09-07 2019-03-14 Dragonfly Therapeutics, Inc. NKG2D, CD16 BINDING PROTEINS AND ANTIGEN ASSOCIATED WITH A TUMOR
KR20200069358A (ko) 2017-10-25 2020-06-16 노파르티스 아게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발현 세포의 제조 방법
EP3700933A1 (en) 2017-10-25 2020-09-02 Novartis AG Antibodies targeting cd32b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10047405A1 (en) 2018-04-27 2021-02-18 Novartis Ag Car t cell therapies with enhanced efficacy
WO2019213282A1 (en) 2018-05-01 2019-11-07 Novartis Ag Biomarkers for evaluating car-t cells to predict clinical outcome
EP3801769A1 (en) 2018-05-25 2021-04-14 Novartis AG Combination therapy with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herapies
CN112188902A (zh) 2018-05-29 2021-01-05 百时美施贵宝公司 用于前药和缀合物的经修饰的自消灭部分以及使用和制造方法
EP3802825A1 (en) 2018-06-08 2021-04-14 Intellia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munooncology
AR116109A1 (es) 2018-07-10 2021-03-31 Novartis Ag Derivados de 3-(5-amino-1-oxoisoindolin-2-il)piperidina-2,6-diona y usos de los mismos
SI3886914T1 (sl) 2018-11-30 2023-06-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titelo, ki vsebuje C-terminalni podaljšek lahke verige, ki vsebuje glutamin, njegove konjugate ter metode in uporabe
CN113544155A (zh) 2018-12-12 2021-10-22 百时美施贵宝公司 经修饰用于转谷氨酰胺酶缀合的抗体、其缀合物以及方法和用途
AU2019402189B2 (en) 2018-12-20 2023-04-13 Novartis Ag Dosing regimen and pharmaceutical combination comprising 3-(1-oxoisoindolin-2-yl)piperidine-2,6-dione derivatives
BR112021015672A2 (pt) 2019-02-15 2021-10-05 Novartis Ag Derivados de 3-(1-oxoisoindolin-2-il)piperidina-2,6-diona substituída e usos dos mesmos
BR112021015783A2 (pt) 2019-02-15 2021-10-05 Novartis Ag Derivados de 3-(1-oxo-5-(piperidin-4-il)isoindolin-2-il)piperidina-2,6-diona e usos dos mesmos
GB201912657D0 (en) 2019-09-03 2019-10-16 Scancell Ltd Binding members
KR20220116257A (ko) 2019-12-20 2022-08-22 노파르티스 아게 골수섬유증 및 골수이형성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데시타빈 또는 항 pd-1 항체 스파르탈리주맙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항 tim-3 항체 mbg453 및 항 tgf-베타 항체 nis793의 조합물
CA3185455A1 (en) 2020-06-11 2021-12-16 Novartis Ag Zbtb32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N115916199A (zh) 2020-06-23 2023-04-04 诺华股份有限公司 包含3-(1-氧代异吲哚啉-2-基)哌啶-2,6-二酮衍生物的给药方案
JP2023536164A (ja) 2020-08-03 2023-08-23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ヘテロアリール置換3-(1-オキソイソインドリン-2-イル)ピペリジン-2,6-ジオン誘導体及びその使用
WO2022150557A1 (en) 2021-01-08 2022-07-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bination therapy using an anti-fucosyl-gm1 antibody
TW202304979A (zh) 2021-04-07 2023-02-01 瑞士商諾華公司 抗TGFβ抗體及其他治療劑用於治療增殖性疾病之用途
TW202309294A (zh) 2021-04-27 2023-03-01 瑞士商諾華公司 病毒載體生產系統
CN115261315A (zh) * 2022-03-24 2022-11-01 宁夏医科大学总医院 一种筛选并富集神经节苷脂抗原特异性b细胞方法和装置
WO2023214325A1 (en) 2022-05-05 2023-11-09 Novartis Ag Pyrazolopyrimidi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as tet2 inhibitors
WO2024089639A1 (en) 2022-10-26 2024-05-02 Novartis Ag Lentiviral formulations
CN115850496B (zh) * 2022-11-28 2023-05-23 山东纳睿博恩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Fuca1特异性抗体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017A (en) 1980-02-25 1993-01-12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Processes for inserting DNA into eucaryotic cells and for producing proteinaceous materials
US4634665A (en) 1980-02-25 1987-01-0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Processes for inserting DNA into eucaryotic cells and for producing proteinaceous materials
US4399216A (en) 1980-02-25 1983-08-1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Processes for inserting DNA into eucaryotic cells and for producing proteinaceous materials
US4475196A (en) 1981-03-06 1984-10-02 Zor Clair G Instrument for locating faults in aircraft passenger reading light and attendant call control system
US4447233A (en) 1981-04-10 1984-05-08 Parker-Hannifin Corporation Medication infusion pump
US4867973A (en) * 1984-08-31 1989-09-19 Cytogen Corporation Antibody-therapeutic agent conjugates
US4439196A (en) 1982-03-18 1984-03-27 Merck & Co., Inc. Osmotic drug delivery system
US4522811A (en) 1982-07-08 1985-06-11 Syntex (U.S.A.) Inc. Serial injection of muramyldipeptides and liposomes enhances the anti-infective activity of muramyldipeptides
US4447224A (en) 1982-09-20 1984-05-08 Infusaid Corporation Variable flow implantable infusion apparatus
US4487603A (en) 1982-11-26 1984-12-11 Cordis Corporation Implantable microinfusion pump system
US4816567A (en) 1983-04-08 1989-03-28 Genentech, Inc.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US4486194A (en) 1983-06-08 1984-12-04 James Ferrara Therapeutic device for administering medicaments through the skin
EP0154316B1 (en) 1984-03-06 1989-09-1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hemically modified lymphokine and production thereof
US4596556A (en) 1985-03-25 1986-06-24 Bioject, Inc. Hypodermic injection apparatus
US5374548A (en) 1986-05-02 1994-12-20 Genentech,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attachment of proteins to liposomes using a glycophospholipid anchor
MX9203291A (es) 1985-06-26 1992-08-01 Liposome Co Inc Metodo para acoplamiento de liposomas.
GB8601597D0 (en) 1986-01-23 1986-02-26 Wilson R H Nucleotide sequences
US5225539A (en) 1986-03-27 1993-07-06 Medical Research Council Recombinant altered antibodies and methods of making altered antibodies
US4954617A (en) 1986-07-07 1990-09-04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Monoclonal antibodies to FC receptors for immunoglobulin G on human mononuclear phagocytes
US5260203A (en) 1986-09-02 1993-11-09 Enzon, Inc. Single polypeptide chain binding molecules
US4881175A (en) 1986-09-02 1989-11-14 Genex Corporation Computer bas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possible chemical structures for converting double- or multiple-chain polypeptides to single-chain polypeptides
US4946778A (en) 1987-09-21 1990-08-07 Genex Corporation Single polypeptide chain binding molecules
AU600575B2 (en) 1987-03-18 1990-08-16 Sb2, Inc. Altered antibodies
US5013653A (en) 1987-03-20 1991-05-07 Creative Biomolecules, Inc. Product and process for introduction of a hinge region into a fusion protein to facilitate cleavage
WO1988009344A1 (en) 1987-05-21 1988-12-01 Creative Biomolecules, Inc. Targeted multifunctional proteins
US5258498A (en) 1987-05-21 1993-11-02 Creative Biomolecules, Inc. Polypeptide linkers for production of biosynthetic proteins
US5132405A (en) 1987-05-21 1992-07-21 Creative Biomolecules, Inc. Biosynthetic antibody binding sites
US5091513A (en) 1987-05-21 1992-02-25 Creative Biomolecules, Inc. Biosynthetic antibody binding sites
US4790824A (en) 1987-06-19 1988-12-13 Bioject, Inc. Non-invasive hypodermic injection device
US4941880A (en) 1987-06-19 1990-07-17 Bioject, Inc. Pre-filled ampule and non-invasive hypodermic injection device assembly
GB8717430D0 (en) 1987-07-23 1987-08-26 Celltech Ltd Recombinant dna product
US5677425A (en) 1987-09-04 1997-10-14 Celltech Therapeutics Limited Recombinant antibody
GB8809129D0 (en) 1988-04-18 1988-05-18 Celltech Ltd Recombinant dna methods vectors and host cells
US5476996A (en) 1988-06-14 1995-12-19 Lidak Pharmaceuticals Human immune system in non-human animal
US5223409A (en) 1988-09-02 1993-06-29 Protein Engineering Corp. Directed evolution of novel binding proteins
GB8823869D0 (en) 1988-10-12 1988-11-16 Medical Res Council Production of antibodies
ATE135370T1 (de) 1988-12-22 1996-03-15 Kirin Amgen Inc Chemisch modifizierte granulocytenkolonie erregender faktor
US5530101A (en) 1988-12-28 1996-06-25 Protein Design Labs, Inc. Humanized immunoglobulins
US5108921A (en) 1989-04-03 1992-04-28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 for enhanced transmembrane transport of exogenous molecules
US5064413A (en) 1989-11-09 1991-11-12 Bioject, Inc. Needleless hypodermic injection device
US5312335A (en) 1989-11-09 1994-05-17 Bioject Inc. Needleless hypodermic injection device
US6075181A (en) 1990-01-12 2000-06-13 Abgenix, Inc. Human antibodies derived from immunized xenomice
SG48759A1 (en) 1990-01-12 2002-07-23 Abgenix Inc Generation of xenogenic antibodies
US6150584A (en) 1990-01-12 2000-11-21 Abgenix, Inc. Human antibodies derived from immunized xenomice
US6673986B1 (en) 1990-01-12 2004-01-06 Abgenix, Inc. Generation of xenogeneic antibodies
US5427908A (en) 1990-05-01 1995-06-27 Affymax Technologies N.V. Recombinant library screening methods
GB9015198D0 (en) 1990-07-10 1990-08-29 Brien Caroline J O Binding substance
US6172197B1 (en) 1991-07-10 2001-01-09 Medical Research Council Methods for producing members of specific binding pairs
EP0546073B1 (en) 1990-08-29 1997-09-10 GenPharm International, Inc. production and use of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877397A (en) 1990-08-29 1999-03-02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of various isotypes
US5814318A (en) 1990-08-29 1998-09-29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633425A (en) 1990-08-29 1997-05-27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6300129B1 (en) 1990-08-29 2001-10-09 Genpharm International T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770429A (en) 1990-08-29 1998-06-23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625126A (en) 1990-08-29 1997-04-29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789650A (en) 1990-08-29 1998-08-04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6255458B1 (en) 1990-08-29 2001-07-03 Genpharm International High affinity human antibodies and human antibodies against digoxin
US5545806A (en) 1990-08-29 1996-08-13 Genpharm International, Inc. 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874299A (en) 1990-08-29 1999-02-23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661016A (en) 1990-08-29 1997-08-26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of various isotypes
DE69233782D1 (de) 1991-12-02 2010-05-20 Medical Res Council Herstellung von Autoantikörpern auf Phagenoberflächen ausgehend von Antikörpersegmentbibliotheken
AU3328493A (en) 1991-12-17 1993-07-19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714350A (en) 1992-03-09 1998-02-03 Protein Design Labs, Inc. Increasing antibody affinity by altering glycosylation in the immunoglobulin variable region
AU4116793A (en) 1992-04-24 1993-11-2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Recombinant production of immunoglobulin-like domains in prokaryotic cells
US5383851A (en) 1992-07-24 1995-01-24 Bioject Inc. Needleless hypodermic injection device
GB9223377D0 (en) 1992-11-04 1992-12-23 Medarex Inc Humanized antibodies to fc receptors for immunoglobulin on human mononuclear phagocytes
JPH08509612A (ja) 1993-04-26 1996-10-15 ジェンファー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異種抗体を産生することができるトランスジェニック非ヒト動物
EP0714409A1 (en) 1993-06-16 1996-06-05 Celltech Therapeutics Limited Antibodies
US5625825A (en) 1993-10-21 1997-04-29 Lsi Logic Corporation Random number generating apparatus for an interface unit of a carrier sense with multiple access and collision detect (CSMA/CD) ethernet data network
US5869046A (en) 1995-04-14 1999-02-09 Genentech, Inc. Altered polypeptides with increased half-life
US6121022A (en) 1995-04-14 2000-09-19 Genentech, Inc. Altered polypeptides with increased half-life
EP1978033A3 (en) * 1995-04-27 2008-12-24 Amgen Fremont Inc. Human antibodies derived from immunized xenomice
JPH11513391A (ja) 1995-10-03 1999-11-16 ザ スクリップス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Cc−1065 及びズオカーマイシンのcbi 類縁体
US6277375B1 (en) 1997-03-03 2001-08-2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mmunoglobulin-like domains with increased half-lives
EP0983303B1 (en) 1997-05-21 2006-03-08 Biovation Limite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non-immunogenic proteins
AU754083B2 (en) 1997-05-22 2002-11-07 Scripps Research Institute, The Analogs of duocarmycin and CC-1065
AU745555B2 (en) 1997-09-25 2002-03-21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Fucosyl GM1-KLH conjugate vaccine against small cell lung cancer
US6194551B1 (en) 1998-04-02 2001-02-27 Genentech, Inc. Polypeptide variants
WO1999054342A1 (en) 1998-04-20 1999-10-28 Pablo Umana Glycosylation engineering of antibodies for improving 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ES2694002T3 (es) 1999-01-15 2018-12-17 Genentech, Inc. Polipéptido que comprende una región Fc de IgG1 humana variante
ES2568899T3 (es) 1999-04-09 2016-05-05 Kyowa Hakko Kirin Co., Ltd.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la actividad de una molécula inmunofuncional
CA2380813A1 (en) * 1999-07-29 2001-02-08 Medarex, Inc. Human monoclonal antibodies to her2/neu
US7879335B1 (en) 1999-08-20 2011-02-01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Glycoconjugates, glycoamino acids, intermediates thereto, and uses thereof
US7854934B2 (en) 1999-08-20 2010-12-21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Glycoconjugates, glycoamino acids, intermediates thereto, and uses thereof
US7824687B2 (en) 1999-08-20 2010-11-02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Clustered multi-antigenic carbohydrate construct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ES2282133T3 (es) 1999-08-24 2007-10-16 Medarex, Inc. Anticuerpos frente a la ctla-4 humano y sus usos.
US7183389B2 (en) * 2000-11-02 2007-02-27 Molecular Discoveries, Llc Monoclonal antibodies and cell surface antigens for the detection and treatment of small cell lung cancer (SCLC)
CA2430013C (en) 2000-11-30 2011-11-22 Medarex, Inc. Transgenic transchromosomal rodents for making human antibodies
WO2002092780A2 (en) 2001-05-17 2002-11-21 Diversa Corporation Novel antigen binding molecules for therapeutic, diagnostic, prophylactic, enzymatic, industrial, and agricultural application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screening thereof
CN101671335A (zh) 2001-05-31 2010-03-17 梅达莱克斯公司 细胞毒素、其有用的前体药物、连接基团和稳定剂
AU2002316539C1 (en) 2001-06-11 2008-10-30 Medarex, Inc. CD10-activated prodrug compounds
EP1423110A4 (en) 2001-09-07 2005-04-27 Scripps Research Inst CBI ANALOGUE OF CC-1065 AND DUOCARMYCINES
CN100423777C (zh) 2001-10-25 2008-10-08 杰南技术公司 糖蛋白组合物
AU2003217912A1 (en) 2002-03-01 2003-09-16 Xencor Antibody optimization
CN1930288B (zh) 2002-04-09 2012-08-08 协和发酵麒麟株式会社 基因组被修饰的细胞
JP5314234B2 (ja) * 2002-11-29 2013-10-16 アールエスアール リミテッド チロトロピン受容体の結合対象及びその使用
CA2521812A1 (en) 2003-04-09 2004-10-28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Optimal polyvalent vaccine for cancer
US20060035267A1 (en) 2003-04-09 2006-02-16 Livingston Philip O Optimal polyvalent vaccine for cancer
CN101356195B (zh) * 2005-12-08 2013-04-03 米德列斯公司 抗岩藻糖基-gm1的人单克隆抗体及使用抗岩藻糖基-gm1抗体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20553A2 (pt) 2011-11-16
NO20083062L (no) 2008-07-08
HK1124622A1 (en) 2009-07-17
PT1960434E (pt) 2012-10-02
EP1960434B1 (en) 2012-07-11
US8383118B2 (en) 2013-02-26
EP1960434A2 (en) 2008-08-27
ZA200804971B (en) 2009-04-29
EA200870021A1 (ru) 2009-12-30
JP2014138596A (ja) 2014-07-31
JP5897051B2 (ja) 2016-03-30
IL231169A0 (en) 2014-03-31
US20170190785A1 (en) 2017-07-06
IL191610A0 (en) 2008-12-29
US20130142789A1 (en) 2013-06-06
CN101356195A (zh) 2009-01-28
JP2009518050A (ja) 2009-05-07
US20160024221A1 (en) 2016-01-28
KR101446510B1 (ko) 2014-10-20
IL191610A (en) 2014-12-31
US20100297138A1 (en) 2010-11-25
JP5512128B2 (ja) 2014-06-04
NZ568551A (en) 2012-03-30
WO2007067992A3 (en) 2007-11-29
SI1960434T1 (sl) 2012-11-30
CN103204931A (zh) 2013-07-17
CA2638902C (en) 2014-09-23
EA017491B1 (ru) 2012-12-28
WO2007067992A2 (en) 2007-06-14
US20190315881A1 (en) 2019-10-17
CN103204931B (zh) 2016-08-03
CN101356195B (zh) 2013-04-03
US9631025B2 (en) 2017-04-25
AU2006321554B2 (en) 2012-08-02
SG174783A1 (en) 2011-10-28
WO2007067992A9 (en) 2007-07-26
HRP20120701T1 (hr) 2012-10-31
CA2638902A1 (en) 2007-06-14
HK1185085A1 (zh) 2014-02-07
AU2006321554A1 (en) 2007-06-14
US9138475B2 (en) 2015-09-22
ES2390476T3 (es) 2012-11-13
PL1960434T3 (pl) 2012-12-31
DK1960434T3 (da) 2012-10-15
US20220403046A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403046A1 (en) Human monoclonal antibodies to fucosyl-gm1 and methods for using anti-fucosyl-gm1 antibodies
JP5401639B2 (ja) タンパク質チロシンキナーゼ7(ptk7)に対するヒトモノクローナル抗体およびそれらの使用
US8097703B2 (en) CD19 antibodies and their uses
US9217033B2 (en)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Glypican-3
KR20070115881A (ko) 아이아르티에이-2 항체 및 그의 용도
KR20070036038A (ko) 아이아르티에이(irta)-5 항체 및 그의 용도
MX2007009878A (es) Anticuerpos monoclonales para antigeno de membrana especifica para prostata (ame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