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778A -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778A
KR20080076778A KR1020080013109A KR20080013109A KR20080076778A KR 20080076778 A KR20080076778 A KR 20080076778A KR 1020080013109 A KR1020080013109 A KR 1020080013109A KR 20080013109 A KR20080013109 A KR 20080013109A KR 20080076778 A KR20080076778 A KR 20080076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coupling
support member
main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8889B1 (ko
Inventor
가즈야스 마에다
아키노부 마키노
아사토 마쓰우라
겐 다테마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이노아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340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11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59024A external-priority patent/JP507935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이노아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이노아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76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4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차량에 설치한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되고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가능한 가동식의 헤드레스트로서, 상기 시트백에 지지되고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지지체와,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에 피벗 지지되고 상기 일반위치에 대응하는 제1위치 및 상기 긴급위치에 대응하는 제2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피벗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본체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지지부재가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 지지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자세가 변위되는 헤드레스트 본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headrest)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車輛用 seat)의 시트백(seat back)에 설치되어 추돌사고(追突事故)의 발생시에 일반위치(一般位置)로부터 긴급위치(緊急位置)로 자세변위(姿勢變位) 하여 탑승자(搭乘者)의 목 등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가동식(可動式)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의 시트백(seat back) 상방에는, 당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추돌되었을 때에 탑승자의 머리를 수용해서 소위 편타성 손상(鞭打性損傷;whiplash injury)이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머리나 목 등의 보호기능을 향상시킨 가동식의 헤드레스트(「액티브 헤드레스트」등 이라고 한다)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 가동식 헤드레스트는, 추돌사고의 발생시에 탑승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헤드레스트 본체의 자세를 즉시 전방으로 변위시켜, 이에 따라 탑승자의 머리나 목 등을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가동식 헤드레스트는, 추돌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일반적인 사용위치(이하 「일반위치」라고 한다)에 있는 헤드레스트 본체를 희망하는 위치(이하 「긴급위치」라고 한다)로 자세를 변위시키는 자세 변위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동식 헤드레스트는, 긴급위치로 자세가 변위된 헤드레스트 본체를 상기 긴급위치로 계속 유지시키는 유지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지기구에 의하여 충돌에 의한 충격을 받아 긴급위치로 변위된 헤드레스트 본체는, 일반위치로의 복귀가 방지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계속해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동식 헤드레스트는, 필요에 따라 상기 유지기구에 의한 헤드레스트 본체의 유지를 해제하는 복귀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복귀기구에 의하여 긴급위치로 이동한 헤드레스트 본체를 긴급위치로부터 일반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종류의 가동식 헤드레스트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42910호 공보(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64431호 공보(특허문헌2), 특표2006-511398호 공보(특허문헌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에 개시된 가동식 헤드레스트의 자세 변위기구에는, 암(arm) 모양의 링크부재를 여러 개 연결한 링크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즉 이 자세 변위기구에서는, 머리가 헤드레스트와 충돌했을 때의 충격력이 각 링크부재에 직접적으로 가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헤드레스트 본체에 상방이나 측방으로부터 충격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개개의 링크부재 가 충격력을 수용하게 되어서 상기 링크부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이렇게 링크부재가 변형 또는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자세 변위기구의 동작에 오작동이 발생하여 헤드레스트 본체를 원래의 일반위치로 되돌릴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3에 개시된 가동식 헤드레스트의 유지기구는, 헤드레스트 본체의 작동에 연동하는 부채모양의 래치부(latch part)와, 상기 래치부에 맞물린 레버부(lever part)로 구성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3의 유지기구는, 헤드레스트 본체가 자세 변위함에 따라 래치부가 회전하고,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가 긴급위치까지 자세변위 하면 상기 래치부와 레버부가 맞물려서 헤드레스트 본체가 긴급위치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관계되는 유지기구는, 부채모양의 래치부나 레버부 등이 대형화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전체의 대형화나 중량증대의 요인이 되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3의 가동식 헤드레스트에서는,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한 헤드레스트 본체를 일반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준비한 전용의 리셋 공구를 사용해서 래치부와 레버부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유지기구의 유지상태를 해제하게 되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 본체의 복귀작업에 있어서는, 일방의 손으로 잡은 리셋 공구로 래치부와 레버부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면서, 타방의 손으로 헤드레스트 본체를 일반위치로 되돌려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본체의 복귀작업은 매우 번잡하다. 부가하여, 래치부 및 레버부는 헤드레스트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리 셋 공구가 가까이에 없으면 두 부분의 해제를 할 수 없어서 헤드레스트 본체를 일반위치로 복귀시킬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가동식 헤드레스트는, 자세 변위기구, 유지기구 및 복귀기구 등이 내장되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에 의한 대형화와 중량증대 및 비용상승 등이 과제가 되어 있었다. 또한 대형화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종래의 가동식 헤드레스트는 전형적으로 헤드레스트 구성부재를 전후로 분할하는 타입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후 분할 타입의 헤드레스트는 분할선이 외장면에 형성되므로 디자인적으로 뒤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후 분할 타입의 헤드레스트는, 전후로 분할된 헤드레스트 구성부재의 경계부분으로부터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여 상기 이물질에 의해 각 기구의 동작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후 분할 타입의 헤드레스트에서는 이물질의 침투방지를 도모하는 커버 등의 부재를 추가로 장착할 필요가 있어서 추가적인 비용상승을 초래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헤드레스트 본체를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자세를 변위시키는 자세 변위기구나 헤드레스트 본체를 긴급위치로 유지하는 유지기구가 간단한 구조를 가져서, 소형화, 경량화, 비용절감, 디자인 및 조작성의 향상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량에 설치한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되고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가능한 가동식의 헤드레스트로서,
상기 시트백에 지지되고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지지체와,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에 피벗 지지되고 상기 일반위치에 대응하는 제1위치 및 상기 긴급위치에 대응하는 제2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피벗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본체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가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 지지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자세가 변위되는 헤드레스트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헤드레스트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적합한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는, 탑승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쪽(시트S의 전방으로서, 도11에 있어서의 좌측)을 헤드레스트HR의 앞측으로 한다.
실시예의 헤드레스트HR은, 도11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백S1의 상면으로 개구된 스테이 지지부재(stay支持部材)120에 지지 스테이14를 상방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상기 시트백S1에 장착된다. 그리고 헤드레스트HR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백S1의 내부에 설치한 압력 감지기구(추돌 감지 수단)100과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즉 헤드레스트HR은, 차량의 추돌사고에 의해 탑승자가 시트백S1을 눌러서 압력 감지기구100에 압력이 작용하면, 도1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한 일반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한 긴급위치까지 자세변위 한다.
헤드레스트HR은, 도2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스테이14를 통하여 시트백S1에 지지되는 헤드레스트 지지체10과,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10에 결합된 헤드레스트 본체12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레스트 본체12는, 후술하는 자세 변위기구M의 회전 지지부재50을 통하여 헤드레스트 지지체10의 일부인 고정 지지부재16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 본체12의 본체 지지부34A는, 헤드레스트 지지체10을 구성하는 지지 스테이1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본체12는, 회전 지지부재50이 회전함으로써 지지 스테이1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일반위치에서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한다.
헤드레스트 지지체10은,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틸(steel)로 만들어진 고정 지지부재16의 좌우 양측으로 아래로 연장되는 2개의 지지 스테이14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스테이14는, 상기한 스테이 지지부재120에 삽입되는 하방 지지부14A와, 이 하방 지지부14A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시트백S1의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중간 지지부(가이드부)14B와, 이 중간 지지부14B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대략 연직으로 연장되어 고정 지지부재16에 고정되는 상방 지지부14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 스테이14는, 하나의 파이프 부재를 대략 U자형으로 구부려서 만든 단일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스테이14의 하방 지지부14A에는, 4개의 제1결합 오목부18이 지지 스테이14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결합 오목부18은, 상방측의 결합 단차부와 하방측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노치(notch) 모양을 하고, 스테이 지지부재120에 구비된 결합 돌출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시트백S1에 대한 헤드레스트HR의 높이위치가 조정된다.
도3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스테이14의 중간 지지부 14B의 내측의 면에는, 하나의 제2결합 오목부(제2결합부)20 및 3개의 제3결합 오목부(제3결합부)21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나의 제2결합 오목부20 및 3개의 제3결합 오목부21은 후술하는 유지기구H를 구성한다. 제2결합 오목부20 및 제3결합 오목부21은, 각각 동일한 노치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제1결합 오목부18과는 경사면이 반대로 되어 있다. 즉 하방측(지지 스테이14의 선단측)에 결합 단차부20A, 21A를 구비하고, 상방측(고정 지지부재16측)에 경사부(안내부)20B, 21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2결합 오목부20 및 각 제3결합 오목부21에는, 헤드레스트 지지체10에 설치된 록 플레이트(결합부재)8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이동할 때에 록 플레이트80이 각 제3결합 오목부21의 경사부21B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함으로써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의 긴급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또한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이동 중에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에 탑승자의 머리가 충돌한 때에는, 록 플레이트80이 제2결합 오목부20 또는 복수의 제3결합 오목부21의 어느 하나의 결합 단차부20A, 21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일반위치로의 복귀가 제한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스테이14의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제2결합 오목부20은, 헤드레스트 본체12가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하였을 때에 록 플레이트80과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 지지부재16은,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 면 스틸판에 딥 드로잉 가공(deep drawing 加工)을 실시해서 성형된 것으로서, 외주테두리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어 충격력을 받아도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 강도와 강성을 가지고 있다. 이 고정 지지부재16의 좌우측벽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축선을 정렬시킨 한 쌍의 제1지지구멍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구멍22에 제1축부재46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고정 지지부재16의 좌우 저벽 하부에는, 세로방향으로 나사구멍24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나사구멍24에 브래킷74를 고정하는 나사25가 각각 체결된다(도4). 또한 고정 지지부재16의 전면 상부 테두리에는, 가로로 긴 플랜지부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26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재50이 제2위치(후술)로 자세 변위했을 때에,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의 제1접촉면56과 접촉하여 이 회전 지지부재50이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지지부재16의 좌우로는 오목부27이 형성된다. 각 오목부27에 인접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8에는, 후술하는 제1토션 스프링(회전 수단)60의 제2암부66이 접촉하여 지지된다.
헤드레스트 본체12는, 도1∼도3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피42와, 강성을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코어30과, 이러한 헤드레스트 코어30과 표피42의 사이에 설치한 발포체44로 구성된다. 헤드레스트 코어30은, 인젝션 몰드(injection mold)된 합성수지로 만든 성형부품으로서, 헤드레스트HR의 앞측에 위치하는 앞쪽 반체(front half body)31과, 상기 헤드레스트HR의 뒤쪽에 위치하는 뒤쪽 반체(rear half body)32로 이루어진다. 헤드레스트 코어30은, 상기 양쪽 반체31, 32를 하나로 조립함으로써 속이 비어있는 모양으로 구성된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뒤쪽 반체32의 접촉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홈모양 결합부32A가 형성되고, 앞쪽 반체31의 접촉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기모양 결합부31A가 형성되며, 이러한 홈모양 결합부32A와 돌기모양 결합부31A를 결합시킴으로써 헤드레스트 코어30은 경계부분에 틈 없이 조립된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코어30의 저면부30A에는, 각 지지 스테이14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3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구멍34의 주위에는, 지지 스테이14의 중간 지지부14B를 따라 이동하는 고리 모양의 본체 지지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앞쪽 반체31의 좌우에 위치하는 세로벽 부분에는 제2지지구멍36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2지지구멍36에 제2축부재48이 삽입되어 지지되어서, 회전 지지부재50이 회전 가능하도록 피벗 지지하고 있다. 앞쪽 반체31에 있어서의 앞벽부의 내벽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수평 리브(horizontal rib)38이 형성된다 동시에,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수직 리브(vertical rib)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에 탑승자의 머리가 충돌하여도 헤드레스트 본체1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각 수직 리브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재50이 제2위치로 자세변위 하였을 때에,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에 형성된 제2접촉면58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피42는, 인조가죽, 직물 등으로 이루어지고, 적합하게는 시트S나 시트백S1의 표피의 소재와 같은 소재로 한다. 발포체44는, 발포 성형금형(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에 세트한 헤드레스트 코어30 및 표피42에 발포원료를 발포하여 성형한 것이다. 즉 실시예의 헤드레스트HR에 있어서의 헤드레스트 본체12는, 가운데가 빈 모양의 헤드레스트 코어30이 발포체44 및 표피42로 피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헤드레스트 코어30의 앞쪽 반체31과 뒤쪽 반체32가 접촉하는 경계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틈이 없기 때문에, 발포체44의 발포 성형시에 발포원료가 헤드레스트 코어30 내로 새는 일이 없다.
자세 변위기구M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부재50은, 도3∼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소재를 주입하여 성형한 가로로 긴 단일부재이다. 그리고 탑승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HR과 충돌했을 때의 충격력을 받더라도 변형이나 파손되지 않는 강도와 강성이 주어져 있다. 또한 회전 지지부재50이 고정 지지부재16의 전면측과 정렬한 자세에 있어서(도2, 도3 참조),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의 상면이 되는 벽부의 좌우 양측에는 귀 모양으로 쌍을 이루는 지지부52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양쪽 지지부52에는, 상기 제1축부재46이 삽입되는 제1관통구멍52A가 가로방향의 축선을 일치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지지부재50은, 양쪽 제1관통구멍52A에 삽입한 제1축부재46에 의하여 고정 지지부재16에 피벗 지지된다. 이에 따라 회전 지지부재50은, 고정 지지부재16의 전면과 정렬하는 제1위치(도2, 도3)와, 제1축 부재46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 지지부재16에 대하여 약 90도 회전해서 전방으로 밀어내는 제2위치(도1)의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지지부재50이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헤드레스트HR은 일반위치에 있고,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이 제2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헤드레스트HR은 긴급위치로 이동한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재50의 양측 하부 전면에는, 한 쌍의 보스부(boss部)54가 형성되어 있다. 양쪽 보스부54에는, 상기한 제2축부재48이 삽입되는 제2관통구멍5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지지부재50은, 제2관통구멍54A에 삽입된 제2축부재48을 통하여 헤드레스트 코어30의 앞쪽 반체31에 피벗 지지되어 헤드레스트 본체12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축부재48은 제1축부재46으로부터 소정의 축간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재50이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1축부재46의 대략 하방에 위치한다. 제2축부재48은, 회전 지지부재50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할 때에,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축부재4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궤적을 따라 앞쪽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2축부재48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재50이 제2위치에 있을 때에 제1축부재46의 대략 수평방향 전방에 위치한다.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 지지부재50의 전면부에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우로 연장되는 돌출부55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55의 상면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접촉면56으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접촉면56은, 회전 지지부재50이 제2위치에 있을 때에 고정 지지부재16의 플랜지부26과 접촉한다.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 지지부재50의 하면부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접촉면58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2접촉면58은, 회전 지지부재50이 제2위치에 있을 때에 헤드레스트 코어30의 앞쪽 반체31에 형성된 각 수직 리브40과 접촉한다.
제1축부재46에는, 도1∼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재50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시키는 더블 토션 타입(double tortion type)의 제1토션 스프링(회전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토션 스프링60은, 무부하 상태에서는 도4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것 같이, 양쪽 토션부62를 연결하는 중앙의 제1암부64가 양쪽 토션부62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암부66에 대하여 90도 이상 펼쳐진 자세로 되어 있다. 이 제1암부64는, 도4에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단부를 하방으로 누르면 양쪽 토션부62가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제2암부66과 대략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위치까지 변형된다. 이 제1토션 스프링60은, 회전 지지부재50에 있어서의 지지부52의 사이에서 양쪽 토션부62에 삽입한 스페이서68을 통하여 상기 제1축부재46에 끼워진다. 그리고 제1암부64는, 도2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재50에 형성된 개구57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의 내측 접촉부59와 접촉한다.
제1축부재46을 통하여 고정 지지부재16에 부착된 회전 지지부재50은, 제1토션 스프링60의 각 제2암부66이 상기 고정 지지부재16에 형성된 각 돌 출부28과 대응하여 접촉하기 때문에, 제2위치에 탄력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제2위치에 있는 회전 지지부재50이 제1위치로 이동하면, 제1토션 스프링60의 제1암부64가 도4에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까지 변위된다. 이렇게 자세 변위기구M은, 회전 지지부재50이 제1위치에 있을 때에 제1토션 스프링60의 복원력이 최대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제1위치에 있는 회전 지지부재50은 제1토션 스프링60에 의하여 항상 제2위치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있게 된다.
도1∼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지지부재16의 하부 중앙에는 결합 유지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록 부재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록 부재70은, 회전 지지부재50을 제1위치에 결합하여 유지하고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해제수단인 제1와이어86 및 제2와이어90을 통하여 압력 감지기구100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록 부재70은,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설치한 제3축부재72에 의하여, 고정 지지부재16에 고정한 상기의 브래킷7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록 부재70의 전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훅부7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록 부재70이 대략 수평인 제1자세에서는(도2), 제1위치에 있는 회전 지지부재50의 하단부에 상기 훅부76이 체결된다. 상기 록 부재70이 모두 하방으로 경사진 제2자세에서는(도1, 도10),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에 대한 훅부76의 록이 해제된다. 즉 록 부재70이 제2자세로 변위하여 상기 록 부재70과 회전 지지부재50의 록이 해제되면, 회전 지지부재50은 제1토션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제2위치로 회전한다. 상기의 구조에서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축부재72에는 제2토션 스프링78이 설치되어 있어, 록 부재70은 항상 제1자세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다음에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제한하는 유지기구H에 대해서 설명한다. 헤드레스트HR에 설치한 유지기구H는, 도2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12의 하면(下面)에 설치한 록 플레이트(결합부재)80과, 지지 스테이14에 형성한 제2결합 오목부20 및 제3결합 오목부21로 구성되어 있다. 즉 헤드레스트 본체12에 설치한 각 록 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 결합부(제1결합부)81이, 각 지지 스테이14에 형성된 제2결합 오목부20 또는 제3결합 오목부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록 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 결합부81이 제2결합 오목부20 또는 제3결합 오목부21과 결합하면,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각 록 플레이트80은, 도6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금속(스틸 또는 스테인레스 등)을 재질로 하는 사각형모양 프레임으로서, 중앙에 지지 스테이14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각 록 플레이트80의 개구부에 있어서 한쪽의 내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지지 스테이14와 접촉하는 가장자리 결합부81이 구비되어 있다. 각 록 플레이트80의 외측 테두리부에서, 상기 가장자리 결합부81이 구비된 부위와 반대측에는 슬라이드 조작용의 조작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 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 결합부81이 구비된 부위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후술하는 압축코일 스프링(가압부재)84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 핀(stop pin)83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록 플레이트80은, 헤드레스트 본체12의 하면에 고정되는 각 브래킷94에 장착된다. 브래킷94는, 도6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모양의 부재 본체95의 뒷편(헤드레스트 본체12에 접하는 측)에 플레이트 설치부96을 구비하여, 이에 따라 록 플레이트8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부재 본체95의 뒷편에서, 플레이트 설치부96을 사이에 둔 전후 양측에는, 헤드레스트 코어30의 저면부30A에 형성된 결합구멍35에 결합 가능한 결합 폴부(結合 pawl部)97이 소정의 간격으로 세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각 브래킷94의 부재 본체95에는, 상기한 지지 스테이14가 삽입되는 스테이 삽입구멍98이, 플레이트 설치부96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브래킷94는, 스테이 삽입구멍98에 지지 스테이14를 삽입한 상태에서 각 결합 폴부97을 각 결합구멍35에 강제적으로 삽입시킴으로써, 표피42를 삽입하면서 헤드레스트 본체12(헤드레스트 코어30의 저면부30A)에 고정된다.
상기 브래킷94의 플레이트 설치부96에 록 플레이트80을 장착한 때에는, 도2, 도3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록 플레이트80의 개구부가 부재 본체95의 스테이 삽입구멍98과 정렬하고 조작부82가 부재 본체95의 측면 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록 플레이트80은, 스톱 핀83과 부재 본체95의 사이에 설치된 압축코일 스프링84에 의하여 조작부82가 형성 된 측을 향해서 항상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우측(도3에 있어서의 좌측)에 고정된 브래킷94에 설치된 록 플레이트80은,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우측방향(도3의 좌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좌측(도3에 있어서의 우측)에 고정된 브래킷94에 설치된 록 플레이트80은,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좌측방향(도3의 우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각 록 플레이트80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플레이트 설치부96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상기에 기술하고 또한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지기구H로서 지지 스테이14에 형성된 상기 하나의 제2결합 오목부20은, 제3결합 오목부21 쪽에 위치하고 스테이 외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결합 단차부20A를 구비하고 있다. 제2결합 오목부20은, 고정 지지부재16 쪽에 위치하고 결합 단차부20A의 안쪽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재16의 방향으로 경사(상방경사)를 가지는 경사부20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지지 스테이14에 형성된 상기 3개의 제3결합 오목부21은, 지지 스테이14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스테이 외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결합 단차부21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3결합 오목부21은, 제2결합 오목부20 쪽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 단차부21A의 안쪽에서 상기 제2결합 오목부20의 방향으로 경사(상방경사)를 가지는 경사부21B를 구비하고 있다. 각 경사부20B, 21B는, 지지 스테이14의 스테이 외면부에 대하여 20∼30도의 각도로 경사지고 평탄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기구H는, 지지 스테이14 측에 탄력적으로 가압된 록 플레 이트80이, 하방(지지 스테이14의 선단측)으로부터 상방(고정 지지부재16측)으로 이동하는 때에는, 가장자리 결합부81이 각 제3결합 오목부21의 경사부21B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하기 때문에 각각의 제3결합 오목부21에서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록 플레이트80의 통과를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추돌사고가 발생한 때에는, 자세 변위기구M에 연동하는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에서 긴급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반대로 지지 스테이14 측에 탄력적으로 가압된 록 플레이트80이, 상방(제2결합 오목부20측)으로부터 하방(지지 스테이14의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때에는, 가장자리 결합부81이 제2결합 오목부20 또는 제3결합 오목부21의 결합 단차부20A에 결합한다. 그러나 이는 제2결합 오목부20 및 각각의 제3결합 오목부21에서 상방에서 하방으로 록 플레이트80의 통과를 제한한다. 따라서 일반위치와 긴급위치의 사이에 있는 헤드레스트 본체12에 탑승자의 머리가 충돌한 때에는, 록 플레이트80이 어느 하나의 제3결합 오목부21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제한된다. 긴급위치에 있는 헤드레스트 본체12에 탑승자의 머리가 충돌한 때에는, 록 플레이트80이 제2결합 오목부20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제한된다.
그리고 실시예의 유지기구H는, 별도의 리셋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록 플레이트80과 제2결합 오목부2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도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브래킷94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조작부82를 손가락으로 지지 스테이14 방향으로 누르면, 각 록 플레이트80은 압축코일 스프링84 가 설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렇게 록 플레이트8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가장자리 결합부81이 지지 스테이14의 제2결합 오목부20으로부터 분리되어 가장자리 결합부81과 제2결합 오목부20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양쪽 록 플레이트80의 조작부82를 동시에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헤드레스트 본체12를 일반위치의 방향으로 되돌리면,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일반위치로의 복귀가 가능하다.
헤드레스트HR의 정면 좌측에 설치된 지지 스테이14의 내부에는, 도3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력 감지기구100으로부터 연장된 제2와이어90과 연결되는 제1와이어86이 삽입되어 있다. 이 제1와이어86의 일단은, 지지 스테이14의 선단에 설치된 제1조인트 블록88에 연결되어 있다. 제1와이어86의 타단은, 지지 스테이14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브래킷74에 삽입되고, 록 부재70의 제3축부재72보다 후방측으로 연결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14로부터 연장되는 제1와이어86은, 상기 지지 스테이14와 브래킷74 사이가 튜브86A로 피복되어 있고 상기 제1와이어86은 튜브86A로 가이드 된다.
도11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백S1에 설치한 제2와이어90의 일단은 압력 감지기구100에 있어서의 압력 감지판102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와이어90의 타단은 스테이 지지부재120의 하단에 설치된 제2조인트 블록92에 연결되어 있다. 제1조인트 블록88과 제2조인트 블록92는, 헤드레스트HR을 시트백S1에 장착할 때에 지지 스테이14를 대응하는 스테이 지지부재120에 끼우면 연결된다. 제1조인트 블록88과 제2조인트 블록92는, 헤 드레스트HR을 시트백S1로부터 떼어낼 때에 지지 스테이14를 스테이 지지부재120으로부터 뽑아냄으로써 연결이 해제된다. 즉 제2와이어90과 제1와이어86은, 제1조인트 블록88 및 제2조인트 블록92를 통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압력 감지기구100의 압력 감지판102와 록 부재70은, 양쪽 조인트 블록88, 92에 의해 연결된 제2와이어90 및 제1와이어86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시트백S1에 설치된 압력 감지기구100은, 도11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106에 설치된 상기의 압력 감지판102와, 상기 압력 감지판102와 대향하도록 쿠션부재에 설치된 접촉부재104로 구성된다. 압력 감지판102는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 접촉부재104 측으로 돌출되는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 감지판102는, 시트 프레임106에 고정된 브래킷108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제2와이어90의 일단이 연결되는 하단부는 자유롭게 되어 있다.
접촉부재104는, 압력 감지판102로부터 적당하게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블록모양의 부재이다. 이 접촉부재104는, 일반적인 사용상태에 있어서 탑승자가 시트백S1에 단지 기대는 정도로는, 압력 감지판102와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부재104는, 당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추돌되어서 탑승자가 시트백S1에 눌려지면, 이에 따라 밀려서 만곡한 모양의 압력 감지판102와 접촉하여 상기 압력 감지판102를 대략 직선모양으로 변형시킨다. 즉 추돌에 의해 탑승자가 시트백S1에 눌려지는 때에는, 압력 감지판102의 하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2와이어90을 하방으로 잡아당김과 아 울러 상기 제2와이어90에 연결된 헤드레스트HR측의 제1와이어86이 잡아당겨진다. 그리고 제1와이어86이 잡아당겨지면 록 부재70이 제1자세(도2)로부터 제2자세(도1, 도10)로 자세변위 하여 상기 록 부재70과 회전 지지부재50의 결합이 해제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헤드레스트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HR은, 도2, 도3, 도11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에 지지된다. 즉 회전 지지부재50이 록 부재70에 의해 제1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본체12는 일반위치에 지지된다. 록 부재70은, 제1와이어86, 제2조인트 블록92 및 제1조인트 블록88 그리고 제1와이어86을 통하여 압력 감지기구100에 있어서의 압력 감지판102에 연결되어 있다.
도2, 도3, 도7(a) 및 도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브래킷94에 설치한 록 플레이트80의 개구부에 지지 스테이14가 삽입되어 있다. 각각의 록 플레이트80은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에 있는 경우에, 지지 스테이14의 가장 선단측(하단측)에 형성된 제3결합 오목부21보다 상기 지지 스테이14의 선단측(하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각 록 플레이트80은, 압축코일 스프링84에 의해 가장자리 결합부81이 지지 스테이14의 외면과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제2결합 오목부20 및 제3결합 오목부21의 어디에도 결합되어 있지 않다.
당해 차량에 대한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탑승자가 시트백S1에 강하게 눌려지면, 압력 감지기구100에 있어서의 접촉부재104가 압력 감지판102와 접촉하여 상기 압력 감지판102가 변형된다. 압력 감지판102가 변형됨으로써, 제1조인트 블록88 및 제2조인트 블록92로 연결된 제2와이어90 및 제1와이어86이 상기 압력 감지판102의 방향으로(또는 압력 감지판을 향하여) 잡아당겨진다. 제1와이어86이 압력 감지판102의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제2토션 스프링78에 의해 제1자세로 가압되어 있는 록 부재70이, 상기 제2토션 스프링78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제2자세로 자세변위 한다. 록 부재70이 제2자세로 자세변위 하면 상기 록 부재70과 회전 지지부재50의 록이 해제된다.
록 부재70에 의한 록이 해제된 회전 지지부재50은,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토션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하여 제1축부재46을 중심으로 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를 향해서 단숨에 회전한다. 회전 지지부재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지지부재50과 헤드레스트 코어30을 피벗 지지하는 제2축부재48이, 제1축부재46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축부재46의 대략 수직하방으로부터 대략 수평전방으로 원호궤도를 따라 이동하여서, 헤드레스트 본체12 윗부분의 이동 궤적이 규정된다.
또한 회전 지지부재50의 회전에 따라, 헤드레스트 코어30의 하면부분에 구비된 각 본체 지지부34A가 각 지지 스테이14의 중간 지지부14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서, 헤드레스트 본체12 아래부분의 이동궤적이 규정된다. 즉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회전 지지부재50의 회전에 의한 제2축부재48의 이동과, 지지 스테이14에 따른 본체 지지부34A의 이동에 의하여 헤드레스트 본 체12는 전방으로 경사진 자세를 취하며 긴급위치를 향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각 록 플레이트80은, 도7(b), 도8(b)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자세 변위할 때에, 하방으로부터 각 제3결합 오목부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 때에 각 록 플레이트80은, 압축코일 스프링84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 스테이14의 외면과 접촉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각 제3결합 오목부21을 통과하는 때에는 경사부21B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다. 따라서 각 록 플레이트80이 어떤 제3결합 오목부21에도 결합되지 않고 통과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본체12는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이동한다.
회전 지지부재50이 제2위치까지 회전하면,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의 제1접촉면56이 고정 지지부재16의 플랜지부26과 접촉하여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회전 지지부재50이 제2위치까지 회전하면, 헤드레스트 코어30에 형성되어 있는 각 수직 리브40이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의 제2접촉면58과 접촉한다. 그리고 도1, 도7(b) 및 도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12가 긴급위치에 도달하면, 제2결합 오목부20에 록 플레이트80이 정렬하고, 압축코일 스프링84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압된 록 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 결합부81이 제2결합 오목부20의 결합 단차부20A에 결합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본체12가 긴급위치에 정지하면, 록 플레이트80이 제2결합 오목부20에 결합하여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일반위치로의 이동이 제한되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는 긴급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머리를 수용한다.
실시예의 헤드레스트HR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12가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하면, 헤드레스트 본체12에 설치된 회전 지지부재50의 제2접촉면58이, 앞쪽 반체31에 형성된 각 수직 리브40과 면에서 접촉한다. 또한 헤드레스트 본체12가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하면, 회전 지지부재50의 제1접촉면56이, 헤드레스트 지지체10에 있어서의 고정 지지부재16의 플랜지부26과 면에서 접촉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본체12가 탑승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때에는, 제1축부재46 및 제2축부재48에 충격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아서 제1축부재46 및 제2축부재48의 파손이 방지된다.
실시예의 헤드레스트HR은, 회전 지지부재50이 단일부재이기 때문에 충격력에 의해 부하가 걸렸을 때의 응력에 대한 강성을 구비한다. 또한 헤드레스트 코어30의 하면부분에 구비된 본체 지지부34A가, 대응하는 지지 스테이14의 중간 지지부14B와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본체12에 대하여 앞쪽, 비스듬한 앞쪽 및 비스듬한 위쪽으로부터 탑승자의 머리가 충돌하였을 경우나, 헤드레스트 본체12에 대하여 비스듬한 아래쪽으로부터 탑승자의 머리가 충돌하였을 경우에도, 이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본체 지지부34A를 통하여 지지 스테이14에서 수용한다.
한편 시트S에 앉아 있는 각 탑승자의 체격차이나 착석자세의 차이에 의하여 추돌사고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HR의 간 격이 달라지고 따라서 탑승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 본체12와 충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다소 달라진다. 더 상술하면 헤드레스트HR이 긴급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머리가 헤드레스트 본체12와 충돌하는 경우가 있고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가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하는 도중에 머리가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와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10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자세변위 한 시점 즉 록 플레이트80이 아래에서부터 2번째의 제3결합 오목부21에 정렬한 시점에 있어서 탑승자의 머리가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와 충돌하였을 경우에는, 각 록 플레이트80이 밑에서부터 2번째의 제3결합 오목부21에 결합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본체12는, 도10의 위치에 유지되고 일반위치로의 복귀가 제한되어서, 이 위치에서 탑승자의 머리를 수용한다.
예를 들면 록 플레이트80이, 제2결합 오목부20과 가장 위쪽의 제3결합 오목부21의 사이에 위치한 시점에서 탑승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 본체12와 충돌하였을 경우에는, 각 록 플레이트80이 가장 위쪽의 각 제3결합 오목부21에 정렬할 때까지 헤드레스트 본체12는 약간 되돌려진다. 그리고 록 플레이트80이 가장 위쪽의 제3결합 오목부21에 결합되면,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일반위치로의 복귀가 제한되므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는 이 위치에서 탑승자의 머리를 수용한다. 즉 헤드레스트HR은,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하고 있을 때에 머리가 충돌한 때에는, 록 플레이트80의 일반위치 쪽에 인접한 제3결합 오목부21에 상기 록 플레이트80 이 결합되므로, 상기 록 플레이트80이 상기 제3결합 오목부21에 결합된 위치에서 헤드레스트 본체12가 머리를 수용한다.
헤드레스트 본체12와 충돌한 탑승자의 머리는, 충돌에 의한 반동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본체12는, 머리가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로부터 떨어진 순간에 제1토션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긴급위치까지 자세변위 하여 록 플레이트80이 제2결합 오목부20에 결합된다. 즉 헤드레스트HR은,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하는 도중에 머리를 수용한 후에 긴급위치로 이동하여 다시 머리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한 헤드레스트 본체12를 일반위치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는, 도9(a) 및 도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82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각 록 플레이트80을 슬라이드 시키면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를 일반위치의 방향으로 누르면 된다. 더 상술하면, 록 플레이트8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록 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 결합부81과 제2결합 오목부20의 결합이 해제되어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일반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헤드레스트 본체12를 일반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면, 제1토션 스프링60의 가압력을 받으며 회전 지지부재50이 제1위치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 지지부재50이 제1위치에 접할 때에, 제2토션 스프링78에 의해 제1자세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있는 록 부재70이, 상기 고정 지지부재50과 접촉함으로써 제2자세의 방향으로 자세변위 한다. 회전 지지부재50이 제1위 치에 도달하면 록 부재70이 제1자세로 복귀하기 때문에, 상기 록 부재70의 훅부76이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에 체결된다. 따라서 회전 지지부재50이 다시 제1위치에 지지되어서 헤드레스트 본체12는 일반위치에 지지된다.
따라서 실시예의 헤드레스트HR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의 자세변위가, 자세 변위기구M에 있어서의 회전 지지부재50의 회전과 지지 스테이14를 따르는 본체 지지부34A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자세변위 하는 헤드레스트 본체12를 각 지지 스테이14, 14로 가이드하면서 지지하기 때문에, 적은 부품으로 자세 변위기구M이 구성되어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용절감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헤드레스트 본체12가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한 때에는, 헤드레스트 본체12 및 헤드레스트 지지체10의 각 부분이 단일부재인 회전 지지부재50과 면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머리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헤드레스트 지지체10에서 수용할 수 있다.
긴급위치로 이동된 헤드레스트 본체12에 탑승자의 머리가 충돌한 때에는, 지지 스테이14에 형성된 제2결합 오목부20에 록 플레이트80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일반위치로의 복귀가 제한되어서, 탑승자의 머리를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위치와 긴급위치의 사이를 이동하고 있는 헤드레스트 본체12에 탑승자의 머리가 충돌한 때에는, 지지 스테이14에 형성된 3개의 제3결합 오목부21의 어딘가에 록 플레이트80이 결 합되기 때문에,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일반위치로의 복귀가 제한되어서, 탑승자의 머리를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유지기구H는, 헤드레스트 본체12의 하면에 설치한 록 플레이트80과 지지 스테이14에 설치한 제2결합 오목부20 및 제3결합 오목부21로 구성되므로, 헤드레스트 본체12를 지지하는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록 플레이트80은 헤드레스트 본체12의 하부에 고정되는 브래킷94에 장착되므로, 헤드레스트 본체12에 록 플레이트8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록 플레이트80, 제2결합 오목부20 및 제3결합 오목부21이 헤드레스트 코어30의 외부에 구비되므로, 이러한 부분의 설치 스페이스를 헤드레스트 코어30의 내부에 확보할 필요가 없어서, 헤드레스트 본체12를 컴팩트하게 한다. 또한 조작부82를 손가락으로 눌러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제2결합 오목부20 또는 제3결합 오목부21과 록 플레이트8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리셋 공구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한 헤드레스트 본체12를 일반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 본체12가 분할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외부 디자인면에 분할선이 형성되지 않아서 헤드레스트HR의 디자인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헤드레스트 본체12의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부재를 추가하여 장착할 필요가 없음과 아울러 이물질의 침투에 의한 자세 변위기구M의 회전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지지 스테이14의 중간 지지부14B가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헤드레스트 본체12는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머리의 후방으로의 이동량이 적은 시점에서 상기 머리를 수용할 수 있다.
[변경예]
도1로부터 명백하듯이 상기 실시예의 헤드레스트HR에서는, 제1축부재46과 제2축부재48의 축간거리를 변경함으로써 긴급위치에 있는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전방으로 경사진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축부재46과 제2축부재48의 축간거리를 크게 설정하면, 헤드레스트 본체12 상부의 전방으로의 변위량이 커져서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한 헤드레스트HR의 전방으로 경사진 자세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1로부터 명백하듯이 상기 실시예의 헤드레스트HR에서는, 각 지지 스테이14에 있어서의 중간 지지부14B의 경사각도를 변경함으로써 긴급위치에 있는 헤드레스트 본체12가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지지부14B의 전방에 대한 경사각도를 크게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헤드레스트 본체12 하부의 전방으로의 변위량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한 헤드레스트HR의 전방으로 경사진 자세를 작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중간 지지부14B의 전방에 대한 경사각도를 작게 설정하였을 경우(수직에 가까울 경우)에는, 헤드레스트 본체12 하부의 전방으로의 변위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한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전방으로 경사진 자세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드레스트 지지체10의 앞쪽에 회전 지지부재50을 피벗 지지 하고 헤드레스트 코어30의 앞쪽 반체31에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을 피벗 지지시킨 형태로 했지만,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의 설치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헤드레스트 지지체10의 뒤쪽에 회전 지지부재50을 피벗 지지하고 헤드레스트 본체12에 있어서의 헤드레스트 코어30의 뒤쪽 반체32에 상기 회전 지지부재50을 피벗 지지시켜도 좋다. 뒤쪽 반체32에 회전 지지부재50을 피벗 지지시킨 경우에는, 헤드레스트 지지체10으로부터 대략 수평 후방으로 연장된 자세를 헤드레스트HR의 일반위치에 대응하는 회전 지지부재50의 제1위치로 하고,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10으로부터 대략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자세를 헤드레스트HR의 긴급위치에 대응한 회전 지지부재50의 제2위치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수단으로서 더블 토션 타입의 제1토션 스프링60을 예시했지만, 상기 회전수단은 토션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 지지부재50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즉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예를 들면 압축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모터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드레스트 본체1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결합 오목부20 및 제3결합 오목부21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지지 스테이14의 일부(중간 지지부14B)로 하였을 경우를 예시했지만, 상기 가이드부는 지지 스테이14와 별도의 부분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헤드레스트 지지체10을 구성하는 고정 지지부재16의 하측 중앙(양쪽 지지 스테이14의 사이)에 상기 고정 지지부재16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인접하는 헤드레스트 본체12의 위치에 록 플레이트80 등의 결합부재를 설치하여도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드레스트 본체12에 있어서의 헤드레스트 코어30의 앞쪽 반체31의 하면부분에 구비된 본체 지지부34A를 상기 앞쪽 반체31과 일체적으로 형성한 형태를 예시했지만, 상기 본체 지지부34A를 앞쪽 반체31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상기 앞쪽 반체31에 부착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양쪽지지 스테이14에 제2결합 오목부20 및 제3결합 오목부21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제2결합 오목부20 및 제3결합 오목부21은, 좌우의 어느 일방의 지지 스테이14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지지 스테이14에 대한 제3결합 오목부21의 형성 개수는, 실시예에서 나타낸 3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 이어도 좋다. 제3결합 오목부21을 생략하고 제2결합 오목부20을 1개만 형성하여 헤드레스트 본체12가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하였을 때만 록 플레이트80이 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결합 오목부20 및 제3결합 오목부21에 형성된 각 안내부를 평탄한 모양의 경사부20B, 21B로 하였지만, 각 안내부는 평탄한 모양이 아니어도 좋다. 즉 각 안내부는, 지지 스테이14의 선단측에서 고정 지지부재16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록 플레이트80의 통과를 허용하는 형태이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볼록면 모양 또는 오목면 모양의 경사부로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경사부20B가 형성된 제2결합 오목부20을 예시하였지만, 헤드레스트 본체12가 긴급위치로부터 더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부20B는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드레스트 본체12의 하면에 고정되는 브래킷94에 록 플레이트80을 장착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상기 록 플레이트80은 헤드레스트 본체12 자체에 직접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록 플레이트80은, 지지 스테이14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중앙에 형성된 사각 프레임일 필요는 없고, 단순한 평판모양으로 형성하여 지지 스테이14에 접근시키거나 떨어뜨리거나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추돌 감지수단으로서, 압력 감지판102 및 접촉부재104로 이루어지는 압력 감지기구100을 예시하였지만, 상기 추돌 감지수단은 이러한 압력 감지기구10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실용화 또는 제안되어 있는 여러 가지 형태가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추돌 감지수단으로서, 누름식 스위치(push type switch) 또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등의 각종 스위치나, 쇼크 센서(shock sensor) 또는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등의 각종 센서 등이 실시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결합 해제수단으로서 시트백S1에 설치한 제2와이어90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제 1와이어86을 예시하였지만, 상기 결합 해제수단은 체인(chain)이나 끈(string) 등이어도 좋다. 또한 추돌 감지수단 및 결합 유지수단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형태인 경우에는, 결합 해제수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코드 등이어도 좋다.
또한 추돌 감지수단은, 헤드레스트 본체12 내에 설치되는 형태여도 좋다. 이렇게 추돌 감지수단이 헤드레스트 본체12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결합 해제수단이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2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관한 헤드레스트에 의하면, 헤드레스트 본체를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자세를 변위시키는 자세 변위기구나 헤드레스트 본체를 긴급위치로 유지하는 유지기구가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소형화, 경량화, 비용절감, 디자인 및 조작성의 향상 등을 달성할 수 있다.
도1은, 헤드레스트를 긴급위치로 자세 변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2는, 헤드레스트를 일반위치에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3은, 헤드레스트를 일반위치에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4는, 헤드레스트 지지체, 회전 지지부재, 록 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헤드레스트 지지체에 헤드레스트 코어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헤드레스트 본체의 도립 사시도로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에 고정되는 브래킷의 록 플레이트 및 압축코일 스프링의 조립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7(a)는, 헤드레스트 본체가 일반위치에 있을 경우의 각 록 플레이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7(b)는, 헤드레스트 본체가 긴급위치로 변위하여 각 록 플레이트가 대응하는 제2결합 오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a)는, 도7(a)의 부분단면 확대도이고 도8(b)는, 도7(b)의 부분단면 확대도이다.
도9(a)는, 록 플레이트를 이동시켜 가장자리 결합부와 제2결합 오목부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확대도이고, 도9(b)는, 헤드레스트 본체를 일반위치로 복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확대도이다.
도10은, 헤드레스트 본체가 일반위치와 긴급위치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11은, 헤드레스트가 시트백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12는, 헤드레스트가 시트백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Claims (13)

  1. 차량에 설치한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되고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가능한 가동식의 헤드레스트로서,
    상기 시트백에 지지되고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지지체와,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에 피벗 지지되고 상기 일반위치에 대응하는 제1위치 및 상기 긴급위치에 대응하는 제2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피벗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본체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가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 지지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자세가 변위되는 헤드레스트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시트백에 연결되는 지지 스테이에 구비되는 헤드레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 지지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 및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가 접촉하는 제2접촉면을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를 향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 지지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 유지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결합 유지수단과,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결합 유지수단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회전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결합 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항상 상기 가이드부와 접촉 하도록 가압된 결합부재에 구비된 제1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가 상기 긴급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제1결합부와 정렬하여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를 상기 제2결합부에서 분리시켜서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하면(下面)에 고정된 브래킷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일반위치에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결합부재가 위치하는 위치와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 제3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제1결합부가 상기 제3결합부와 결합함으로써 헤드레스트 본 체가 일반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헤드레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 단차부와 상기 결합 단차부의 안쪽에서 가이드부의 외면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부로 이루어지는 헤드레스트.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시트백의 전방으로 경사지는 헤드레스트.
  11. 차량에 설치한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되고 일반위치로부터 긴급위치로 자세변위 가능한 가동식의 헤드레스트로서,
    상기 시트백에 연결되는 지지 스테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스테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시트백의 전방으로 경사지는 부위에 가이드부가 배치된 헤드레스트 지지체와,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에 피벗 지지되고 상기 일반위치에 대응하는 제1위치 및 상기 긴급위치에 대응하는 제2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피벗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본체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부재가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 지지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자세가 변위되는 헤드레스트 본체와,
    상기 회전 지지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를 향해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 지지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 유지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결합 유지수단과,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결합 유지수단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회전수단에 의한 상기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결합 해제수단과,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항상 상기 가이드부와 접촉하도록 가압된 결합부재에 구비된 제1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가 상기 긴급위치에 접했을 때에 상기 제1결합부와 정렬하여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 지지부재가 제2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체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 및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와 접촉하는 제2접촉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일반위치에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결합부재가 위치하는 위치와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 제3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제1결합부가 상기 제3결합부와 결합함으로써 헤드레스트 본체가 일반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헤드레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 단차부와 상기 결합 단차부의 안쪽에서 가이드부의 외면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부로 이루어지는 헤드레스트.
KR1020080013109A 2007-02-14 2008-02-13 헤드레스트 KR101418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4011A JP5191138B2 (ja) 2007-02-14 2007-02-14 ヘッドレスト
JPJP-P-2007-00034011 2007-02-14
JP2007059024A JP5079358B2 (ja) 2007-03-08 2007-03-08 ヘッドレスト
JPJP-P-2007-00059024 2007-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778A true KR20080076778A (ko) 2008-08-20
KR101418889B1 KR101418889B1 (ko) 2014-07-11

Family

ID=3962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109A KR101418889B1 (ko) 2007-02-14 2008-02-13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45721B2 (ko)
EP (1) EP1964713B1 (ko)
KR (1) KR101418889B1 (ko)
DE (1) DE60200800100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8426B2 (en) * 2007-04-16 2010-02-09 Nissan Motor Co., Ltd. Foam-molded member having sk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oam-molded member having skin
JP5262356B2 (ja) * 2008-07-01 2013-08-1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101063386B1 (ko) * 2008-11-26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및 그 엑츄에이터
DE102010001908B4 (de) * 2010-02-12 2022-01-0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Grundkörper einer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EP2361801B1 (en) * 2010-02-23 2012-11-14 Dymos Incorporated Active headrest
CN102166973B (zh) * 2010-02-26 2013-05-22 大力摩世株式会社 活动头枕
FR2997048B1 (fr) * 2012-10-24 2014-12-19 Cera Appui-tet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9199560B2 (en) * 2013-09-13 2015-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adjusting seat stiffness system
US9457698B2 (en) * 2014-02-27 2016-10-04 Nissan North America, Inc. Headrest support rod and method of making a headrest
FR3021262B1 (fr) * 2014-05-23 2018-02-16 Psa Automobiles Sa. Appui-tete a reglage integre, siege muni de cet appui-tete et vehicule equipe d'au moins un tel siege
US10173565B2 (en) 2016-05-18 2019-0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nd headrest with dynamic impact energy management system
US20180326882A1 (en) * 2017-05-12 2018-11-15 CTC Acquisition Company LLC Cable assembly for vehicle seat headrest
KR101881056B1 (ko) * 2017-07-18 2018-07-2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112040811A (zh) * 2018-08-06 2020-12-04 岱美北美汽车股份有限公司 包括减少bsr的锁定构造的头枕组件
JP2020203609A (ja) * 2019-06-18 2020-12-24 株式会社タチエス ヘッドレスト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3565A (en) * 1981-06-22 1984-11-20 Ikeda Bussan Co., Ltd. Head rest stay retaining device
DE20321461U1 (de) 1987-12-21 2007-06-14 Keiper Gmbh & Co.Kg Crashaktive Kopfstütze
DE19548339C2 (de) * 1995-12-22 1998-05-28 Daimler Benz A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FR2746065B1 (fr) * 1996-03-18 1998-05-22 Appui-tet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DE19707998B4 (de) * 1997-02-27 2007-04-05 Inova Gmbh Technische Entwicklungen Kraftfahrzeugsitz
DE19739131C1 (de) * 1997-09-06 1998-12-10 Daimler Benz A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EP0995631B1 (en) * 1998-08-28 2004-10-27 Ikeda Bussan Co., Ltd. Seatback for automobile
DE19938904A1 (de) * 1999-08-17 2001-03-08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Rückenlehne mit integrierter Schutz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Vorbeugung gegen unfallbedingte Verletzungen
DE19944719C1 (de) * 1999-09-17 2001-01-11 Lear Corp Gmbh & Co Kg Fahrzeugsitz
DE10004766B4 (de) * 2000-02-03 2004-10-28 Keiper Gmbh & Co. K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047406A1 (de) * 2000-09-26 2002-04-11 Daimler Chrysler Ag Kopfstütze
US6607242B2 (en) * 2000-12-13 2003-08-19 Lear Corporation Head restraint assembly
GB2377370B (en) * 2001-07-10 2005-03-2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head-rest arrangement
DE10138248C1 (de) 2001-08-03 2002-12-05 Autoliv Dev Aktive Kopfstütze mit Verriegelungseinrichtung
DE10215054B4 (de) * 2002-04-05 2007-01-18 Keiper Gmbh & Co.K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7097242B2 (en) * 2003-02-06 2006-08-29 Lear Corporation Anti-backdriving active head restraint
DE10325472A1 (de) * 2003-06-05 2004-12-30 Keiper Gmbh & Co. Kg Crashaktive Kopfstütze
JP4225139B2 (ja) * 2003-07-03 2009-02-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335268B3 (de) * 2003-08-01 2004-12-23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Kopfstütze für den Sitz eines Automobils
US6779840B1 (en) * 2003-08-27 2004-08-24 Lear Corporation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for an active headrest for a vehicle seat
DE102004059237B3 (de) * 2004-12-08 2006-02-23 Grammer Ag Kopfstütze für Fahrzeugsitze
US7185950B2 (en) * 2004-12-28 2007-03-06 Fisher Dynamics Corporation Head restraint system
DE102005031264A1 (de) 2005-01-04 2006-07-13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Kopfstütze eines Kraftfahrzeugsitzes
JP4690085B2 (ja) 2005-03-23 2011-06-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JP4294629B2 (ja) * 2005-10-17 2009-07-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US20070246989A1 (en) * 2006-04-21 2007-10-25 Brockman Mark A Adjustable headrest
KR100794046B1 (ko) * 2006-08-10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로킹 구조
JP2008074265A (ja) * 2006-09-21 2008-04-03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
US7621598B2 (en) * 2006-10-03 2009-11-24 Lear Corporation Adjustabl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889B1 (ko) 2014-07-11
US7845721B2 (en) 2010-12-07
EP1964713A2 (en) 2008-09-03
DE602008001005D1 (de) 2010-06-02
EP1964713B1 (en) 2010-04-21
EP1964713A3 (en) 2008-09-17
US20080191522A1 (en)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6778A (ko) 헤드레스트
JP5191138B2 (ja) ヘッドレスト
US8066330B2 (en) Motor-vehicle headrest
KR101063386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및 그 엑츄에이터
US8562073B2 (en) Vehicle seat
US8100472B2 (en) Vehicle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ith a locking linkage
JP5181790B2 (ja) ヘッドレスト作動装置
EP2901894B1 (en) Head rest
CN102089183A (zh) 用于车辆座椅的锁定机构
CN102089182A (zh) 用于车辆座椅的锁定机构
US20150048603A1 (en) Vehicular slide rail device
KR101081926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60134721A (ko) 머리 받침대 접이 기구
EP2902254A1 (en) Head rest
KR101391858B1 (ko) 잠금 푸시 버튼을 갖는 충돌 반응성 머리 받침
US8047611B2 (en) Headrest bushing and vehicle seat using the same
KR10154996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US6769737B2 (en) Apparatus for locking a recliner of a front seat in an automobile
JP5079358B2 (ja) ヘッドレスト
KR100979273B1 (ko) 헤드레스트
JP5394038B2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装置
JP5338303B2 (ja) 車両用ヘッドレストパネルの肉抜き構造
JP6610723B1 (ja) 操作装置
KR20090063429A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WO2020183905A1 (ja) ヘッド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