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273B1 -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273B1
KR100979273B1 KR1020090073936A KR20090073936A KR100979273B1 KR 100979273 B1 KR100979273 B1 KR 100979273B1 KR 1020090073936 A KR1020090073936 A KR 1020090073936A KR 20090073936 A KR20090073936 A KR 20090073936A KR 100979273 B1 KR100979273 B1 KR 10097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headrest
horizontal guide
latch ge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to KR1020090073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헤드레스트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헤드레스트는: 스테이로드와, 스테이로드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이동부와, 이동부가 고정브라켓에서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수평안내부 및 수평안내부에 의해 이동부의 이동시 순차적으로 이동되게 하고, 이동부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레스트, 수평안내부, 작동부

Description

헤드레스트{HEAD 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이동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부품감소와 경량화는 물론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는 구조에 의해 편심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좌석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틸팅장치에 의해 축 회전되는 구조가 주종을 이루며, 차량의 후면 충돌 시 탑승자의 뒷통수를 떠받치면서 목 부상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거나, 또는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승강 및 회전 조작하여 머리 받침대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다양한 체격조건에 따라 머리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하로 수직이동은 물론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제작되어 있었다.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힌지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될 때 헤드레스트의 상부는 많이 이동하게 되지만, 하부는 거의 이동하지 않게 되어 머리를 편안한 상태로 기댈 수 있도록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헤드레스트를 틸팅하는 틸팅장치가 한쪽에 치우쳐 형성되고, 헤드레스트의 커버를 정확하게 지지하지 못하여 동작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기기의 안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의 작동 시 지속적인 편심하중에 의한 기어부의 고장으로 인하여 기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커버와 연결에 있어서 기존의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의 불편함과 지속적인 하중에 의해 볼트의 풀림으로 인한 소음발생과, 스틸재질로 이루어져 수평이동 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 및 조립공수가 대폭 감소되고, 주요부품을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경량화는 물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동부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안내부와 이동부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위치를 고정하는 작동부가 양측에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작동시 편심을 방지하여 정확한 수평이동과 제품불량을 방지하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스테이로드와, 스테이로드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이동부와, 이동부가 고정브라켓에서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수평안내부 및 수평안내부에 의해 이동부의 이동시 순차적으로 이동되게 하고, 이동부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안내부는 고정브라켓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수평안내돌기부 및 수평안내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이동부의 양측 내측면에 형성된 수평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안내홈부는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부는 고정브라켓에 결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래치기어가 힌지 결합된 위치고정부재와, 위치고정부재를 수용하고, 이동부의 이동구간을 제한하는 이동구간제한부와, 이동구간제한부의 형성되고 래치기어와 치합되어 이동부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제동부 및 제동부와 래치기어가 선택적으로 착탈되게 하는 치합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고정부재의 래치기어는 위치고정부재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제동부는 래치기어와 각각 치합되도록 이동구간제한부 내측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합작동부는 래치기어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걸림턱을 가압하여 래치기어를 제동부에서 이탈되도록 제동부 선단에 형성된 해제 턱 및 해제턱에 의해 해제된 래치기어를 제동부에 결합되도록 제동부의 후단에 형성된 복원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부는 치합작동부에 의해 제동부에서 래치기어의 이탈시 이동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원부재는 스테이로드에 권취되고, 일측은 이동부에 지지되고, 타측은 고정브라켓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원부재는 스테이로드의 중앙부에 권취되고, 이동부의 내측 중앙부에는 복원부재의 타측 끝단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종래 발명과 달리 고정브라켓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동부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부품 및 조립공수가 대폭 감소되고, 주요부품을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경량화는 물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지닌다.
특히, 이동부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안내부와 이동부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위치를 고정하는 작동부가 양측에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작동시 편심을 방지하여 정확한 수평이동과 제품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T'자 단면을 갖는 수평안내홈부와, 수평안내돌기부부에 의해 접촉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수평이동 작동시 유격을 방지함으로써, 편심을 방지하는 효과 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정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는 크게, 스테이로드(110), 고정브라켓(120), 이동부(130), 수평안내부(140) 및 작동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테이로드(110)는 시트에 장착되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수직바(112)와 이 수직바(112)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바(114)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의 강봉으로 이루어진다.
스테이로드(110)의 수평바(114) 상에는 고정브라켓(120)이 고정된다.
고정브라켓(120)은 수평바(114)의 중심부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바(114)와 접촉면적으로 넓게 하기 위해 일단에 절곡부(122)가 형성되어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120)의 타단에는 이동부(130)가 구비되어 수평안내부(140)와 작동부(150)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평이동되며, 이동위치가 고정된다.
이동부(130)는 중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평안내부(140)에 의해 고정브라켓(120)에 연결되며,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다.
수평안내부(140)는 고정브라켓(12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수평안내돌기부(142) 및 수평안내돌기부(142)가 삽입되도록 이동부(130)의 양측 내측면에 형성된 수평안내홈부(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평안내홈부(144)는 이동부(130)의 이동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며, 수평안내돌기부(142)와 수평안내홈부(144)의 단면형상은 'T'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안내돌기부(142)와 수평안내홈부(144)의 단면이 'T'자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호 연결시 유격이 최소화되어 이동부(130)의 이동작동시 흔들리지 않고 편심을 방지하면서 이동된다.
작동부(150)는 고정브라켓(120)에 결합되고, 탄성부재(167)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래치기어(165)가 힌지 결합된 위치고정부재(160)와, 위치고정부재(160)를 수용하고, 이동부(130)의 이동구간을 제한하는 이동구간제한부(170)와, 이동구간제한부(170)에 형성되고, 래치기어(165)와 치합되어 이동부(130)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제동부(175) 및 제동부(175)와 래치기어(165)가 선택적으로 착탈되게 하는 치합작동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치고정부재(160)의 래치기어(165)는 위치고정부재(16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제동부(175)는 래치기어(165)와 각각 치합되도록 이동구간제한부 (170)내측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위치고정부재(160)는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힌지 연결되는 래치기어(165)가 구비되고, 래치기어(165)는 탄성부재(167)에 의해 탄동된다.
탄성부재(167)는 'C'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위치고정부재(160)의 상면에는 탄성부재(167)의 일단이 관통되어 각각의 래치기어(165)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원호홀(162)과, 탄성부재(167)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단의 고정홀(164)이 형성된다.
즉, 탄성부재(167)는 다단의 고정홀(164)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래치기어(165)의 복원력을 가감할 수 있으며, 래치기어(165)의 복원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동구간제한부(170)는 이동부(13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개구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부(130)는 이동구간제한부(170)의 내측 선후단이 위치고정부재(160)와 접하므로 이동구간제한부(170)의 길이만큼 이동 가능하다.
이때, 위치고정부재(160)의 전측에는 후술되는 복원부재(190)에 의한 이동부(130)의 복귀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19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재(195)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패드로서 복원부재(190)에 의한 복귀시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을 저감시킨다.
제동부(175)는 다단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치차이며, 후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부(130)는 외력에 의해 래치기어(165)가 회동되어 순차적으로 전진되고, 제동부(175)에 래치기어(165)가 치합되어 후퇴되지 않는 구조이다.
그리고, 치합작동부(180)는 래치기어(165)에 형성되는 걸림턱(182)과, 이동부(130)의 이동에 의해 걸림턱(182)을 가압하여 래치기어(165)를 제동부(175)에서 이탈되도록 제동부(175) 선단에 형성된 해제턱(184) 및 해제턱(184)에 의해 해제된 래치기어(165)를 제동부(175)에 결합되도록 제동부(175)의 후단에 형성된 복원턱(1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동부(130)의 이동에 의해 걸림턱(182)을 해제턱(184)이 가압하면, 래치기어(165)가 회동되어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67)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각도로 회동되어 제동부(175)에서 이탈되고, 반대로 이동부(130)의 타측방향 이동에 의해 래치기어(165)의 선단을 복원턱(186)이 가압하여 탄성부재(167)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제동부(175)에 래치기어(165)를 치합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작동부(150)는 치합작동부(180)에 의해 제동부(175)에서 래치기 어(165)의 이탈시 이동부(130)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복원부재(190)는 스테이로드(110)에 권취되고, 일측은 이동부(130)에 지지되고, 타측은 고정브라켓(120)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복원부재(190)는 스테이로드(110)의 중앙부에 권취되고, 이동부(130)의 내측 중앙부에는 복원부재(190)의 일측 끝단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부(1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테이로드(110)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20)의 중앙에는 절개부(124)가 형성됨으로써, 복원부재(190)가 스테이로드(110)의 중앙부에 권취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130)의 둘레에는 커버가 구비되고, 커버는 전면커버(102)와 후면커버(104)로 이루어지며, 전면커버(102)와 후면커버(104)의 내측면에는 이동부(130)의 전후면이 각각 수용되도록 장착부(102a, 104a)가 형성된다.
또한, 이동부(130), 래치기어(165)를 포함한 위치고정부재(160)는 강화플라스틱의 사출에 의해 제작되어 경량화되며, 이동부(130)의 이동시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탑승자가 헤드레스트(100)의 위치가 자신의 자세와 맞지 않아 조정하기 위해 자신의 뒤통수 방향으로 헤드레스트(100)를 잡아당기게 되면, 커버와 결합된 이동 부(130)가 전방으로 수평이동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외력에 의해 이동부(130)는 수평안내홈부(144)가 고정브라켓(120)의 수평안내돌기부(142)를 따라 이동됨으로 수평이동되고, 이동부(130)의 수평이동시 위치고정부재(160)의 래치기어(165)가 제동부(175)에 치합됨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이는 제동부(175)가 이동부(130)의 전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동부(175)에 치합된 래치기어(165)에 의해 후퇴되지 않으므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이동부(130)는 도 6a와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130)에 형성된 이동구간제한부(170)의 길이만큼 위치고정부재(160)와 제동부(175)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평이동됨으로 탑승자는 자신에 신체조건에 맞도록 헤드레스트(100)를 설정할 수 있다.
수평안내돌기부(142)와 수평안내홈부(144)는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이동부(130)의 수평이동시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고정부재(160)의 래치기어(165)와 제동부(175)도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편심이 방지됨으로 양측이 상호 엇갈리는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헤드레스트(100)의 위치를 재설정하고자 할 때에는 헤드레스트(100)를 탑승자의 뒤통수방향으로 끝까지 잡아당기면, 제동부(175)의 선단에 형성된 해제턱(184)이 래치기어(165)의 걸림턱(182)을 가압한다. 해제턱(184)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기어(165)는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67)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각도로 회동되어 제동부(175)에서 래치기어(165)가 이탈된다.
래치기어(165)와 제동부(175)의 이탈에 의해 복원부재(190)의 복원력이 작용되어 이동부(130)는 최초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제동부(175)의 후단에 형성된 복원턱(186)이 래치기어(165)를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부(130)의 최초위치에서는 제동부(175)와 래치기어(165)가 다시 치합된다.
이동부(130)가 최초위치로 복원되고, 제동부(175)와 래치기어(165)가 치합되었으므로 탑승자는 상기한 방법에 의해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위치로 헤드레스트(100)를 설정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0)의 수평이동되는 구조에 의해 종래의 틸팅구조보다 탑승자의 머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이동부(130), 래치기어(165)를 포함한 위치고정부재(160) 등의 주요부품을 강화플라스틱으로 사출 제작함으로써, 경량화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는 구조에 의해 편심을 방지하므로써, 사고에 의한 충격시 탑승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수평이동작동시 작동불량을 방지하여 신뢰성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정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헤드레스트 102 : 전면커버
104 : 후면커버 102a, 104a : 장착부
110 : 스테이로드 112 : 수직바
114 : 수평바 120 : 고정브라켓
122 : 절곡부 124 : 절개부
130 : 이동부 132 : 수용홈부
140 : 수평안내부 142 : 수평안내돌기부
144 : 수평안내홈부 150 : 작동부
160 : 위치고정부재 162 : 원호홀
164 : 고정홀 165 : 래치기어
167 : 탄성부재 170 : 이동구간제한부
175 : 제동부 180 : 치합작동부
182 : 걸림턱 184 : 해제턱
186 : 복원턱 190 : 복원부재
195 : 완충부재

Claims (9)

  1. 스테이로드;
    상기 스테이로드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상기 고정브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수평안내부; 및
    상기 수평안내부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순차적으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안내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수평안내돌기부; 및
    상기 수평안내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부의 양측 내측면에 형성된 수평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안내홈부는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 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래치기어가 힌지 결합된 위치고정부재;
    상기 위치고정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구간을 제한하는 이동구간제한부;
    상기 이동구간제한부의 형성되고 상기 래치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제동부; 및
    상기 제동부와 상기 래치기어가 선택적으로 착탈되게 하는 치합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래치기어는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래치기어와 각각 치합되도록 상기 이동구간제한부 내측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치합작동부는 상기 래치기어에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턱을 가압하여 상기 래치기어를 상기 제동부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제동부 선단에 형성된 해제턱; 및
    상기 해제턱에 의해 해제된 상기 래치기어를 상기 제동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동부의 후단에 형성된 복원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치합작동부에 의해 상기 제동부에서 상기 래치기어의 이탈시 상기 이동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스테이로드에 권취되고, 일측은 상기 이동부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중앙부에 권취되고;
    상기 이동부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복원부재의 타측 끝단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KR1020090073936A 2009-08-11 2009-08-11 헤드레스트 KR10097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36A KR100979273B1 (ko) 2009-08-11 2009-08-11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36A KR100979273B1 (ko) 2009-08-11 2009-08-11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273B1 true KR100979273B1 (ko) 2010-08-31

Family

ID=4276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936A KR100979273B1 (ko) 2009-08-11 2009-08-11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2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48B1 (ko) * 2014-11-26 2016-02-11 주식회사 서연이화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KR20200088572A (ko) * 2019-01-15 2020-07-23 (주)앤드코 의자용 헤드레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703U (ko) * 1996-10-31 1998-07-25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KR0130416Y1 (ko) * 1996-05-10 1999-02-18 정해창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KR200406574Y1 (ko) 2005-10-26 2006-01-2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KR100730483B1 (ko) 2005-12-22 2007-06-20 최순봉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416Y1 (ko) * 1996-05-10 1999-02-18 정해창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KR19980024703U (ko) * 1996-10-31 1998-07-25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KR200406574Y1 (ko) 2005-10-26 2006-01-2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KR100730483B1 (ko) 2005-12-22 2007-06-20 최순봉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48B1 (ko) * 2014-11-26 2016-02-11 주식회사 서연이화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KR20200088572A (ko) * 2019-01-15 2020-07-23 (주)앤드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2258600B1 (ko) * 2019-01-15 2021-06-01 (주)앤드코 의자용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2809B1 (en) A neck rest for the seat of an automobile
EP1964713B1 (en) Headrest
EP2415629B1 (en)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US9132756B1 (en) Head restraint assemblies
JP5191138B2 (ja) ヘッドレスト
KR101607103B1 (ko) 진입 간편화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용 잠금 해제 장치 및 잠금 해제 장치의 작동 방법
KR101081926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015447B1 (ko) 차량용 엑티브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183738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0979273B1 (ko) 헤드레스트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5710831B1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JP6088411B2 (ja) 高さ調整機構、子供乗せ装置および二輪車
KR20140071699A (ko)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JP7103586B2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装置
CN108928269B (zh) 儿童座椅
KR102350615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1170512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KR101417883B1 (ko)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0842327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조
KR10185073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CN114789683B (zh) 安全座椅及其底座
WO2020183905A1 (ja) ヘッドレスト
KR102355946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