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371A -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371A
KR20080067371A KR1020087013369A KR20087013369A KR20080067371A KR 20080067371 A KR20080067371 A KR 20080067371A KR 1020087013369 A KR1020087013369 A KR 1020087013369A KR 20087013369 A KR20087013369 A KR 20087013369A KR 20080067371 A KR20080067371 A KR 20080067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ystem
secondary battery
battery
dispose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638B1 (ko
Inventor
히데아끼 호리에
오사무 시마무라
다까미쯔 사이또오
다까아끼 아베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H01M10/663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the system being an air-conditioner or an eng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H01M10/667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the system being an electronic component, e.g. a CPU, an inverter or a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6Structural association of a motor or generator with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모터와 2차 전지를 갖는 차량의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모터와 2차 전지를 일체화함으로써 양호한 탑재성을 갖는 구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모터(110)의 원통 형상 외부 하우징(116)과 로터(112)의 간극에 적층 형상의 원통 형상 2차 전지를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한다. 로터와 2차 전지 사이에 원통 형상의 냉각 부재(180)를 더 배치한다.
구동 시스템, 모터, 2차 전지, 로터, 외부 하우징

Description

구동 시스템{DRIVE SYSTEM}
본 발명은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차량은 구동원인 모터 및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2차 전지를 갖는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185831호 공보
그러나, 모터와 2차 전지는 별개의 부재이고, 각각의 스페이스를 준비할 필요가 있으므로, 데드 스페이스가 커서 탑재성에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수반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양호한 탑재성을 갖는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원인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일체화되어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2차 전지를 갖고, 상기 2차 전지는 적층되는 복수의 단전지(單電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와 2차 전지는 일체화되어 있어, 각각의 스페이스를 준비할 필요는 없으므로, 데드 스페이스가 작다. 또한, 2차 전지는 적층되는 복수의 단전지를 갖고 있으므로 콤팩트화가 용이하다. 따라서, 탑재성의 자유도가 크다.
즉, 양호한 탑재성을 갖는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되는 구동 시스템이 적용되는 동력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되는 구동 시스템이 갖는 2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되는 2차 전지가 갖는 단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6은 도2에 도시되는 2차 전지가 갖는 단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7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되는 2차 전지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제1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도7에 도시되는 2차 전지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제2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도7에 도시되는 2차 전지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제3 컴포넌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12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13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되는 구동 시스템이 적용되는 동력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구동 시스템(100)은 모터(110), 2차 전지(120), 모터 컨트롤러 및 전지 냉각 수단을 갖고, 동력 발생 장치(10)의 트랜스미션부(20)에 배치(내장)된다.
동력 발생 장치(10)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이다.
모터(110)는 로터(112) 및 로터(112)를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로터 하우징(114)을 갖는다. 로터 하우징(114)은 자계 발생용 권선이 배치된다.
2차 전지(120)는 모터(1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고, 외부에 면하는 원통 형상의 외측 하우징(116)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모터 컨트롤러는 로터 하우징(114)의 외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인버터 케이스(170)를 갖는다. 인버터 케이스(170)는 원통 형상이고, SiC 스위칭 소자를 갖는 인버터(172)가 배치된다. 인버터(172)는 2차 전지(12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모터(110)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SiC 스위칭 소자는 대전류에서의 구동이 가능하고, 고속 응답성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SiC 스위칭 소자로서, IGBT(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나, FET(전해 효과 트랜지스터 : FIELD EFFECT TRANSISTOR)가 이용 가능하다.
전지 냉각 수단은 2차 전지(120)와 인버터 케이스(170)[인버터(172)]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 재킷(180)을 갖는다. 냉각 재킷(180)은 양호한 열전도율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 부재이고, 냉각 매체가 유통되는 경로(182)를 갖는다. 경로(182)는 외부의 냉각 매체 배관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 매체는 기체 혹은 액체로 이루어진다. 기체는, 예를 들어 압축 공기이다. 액체는, 예를 들어 오일, 에틸렌글리콜 등의 부동액이나, 물이다.
모터(110), 인버터(172) 및 2차 전지(120)의 허용 온도 범위를 고려하여, 전지 냉각 수단은, 예를 들어 2차 전지(120)의 온도를 50 ℃ 내지 100 ℃로 유지하고, 모터(110) 및 인버터(172)의 온도를 120 ℃ 이하로 제어한다.
도3은 도1에 도시되는 구동 시스템이 갖는 2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4는 도3에 도시되는 2차 전지가 갖는 단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2차 전지(120)는 적층되는 복수의 단전지(130)를 갖는다. 단전지(130)에 있어서의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부위는 곡률을 갖는다. 이는, 진동 및 열 응력 완화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다.
단전지(130)는 직렬 접속됨으로써 조전지(組電池)를 구성하고 있고, 공급 가능한 전압을 상승시키고 있다. 이는, 모터의 사이즈는 코일 권선이 지배적이고, 상기 출력의 모터를 상정한 경우, 구동용 전압이 높을수록 전류값이 작아져, 모터 내의 코일 권선을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단전지(130)는 3층 이상 또한 400층 이하로 적층되어 있다. 2차 전지(120) 의 출력 밀도는 3 ㎾/L 이상이고, 2차 전지(120)의 출력/용량비는 30(1/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전지(130)는 리튬 이온 전지이고, 캐소드 활물질층 및 전자 전도층을 포함하고 있는 캐소드 전극(132), 전해질(134) 및 애노드 활물질층 및 전자 전도층을 포함하고 있는 애노드 전극(138)을 갖는다. 전해질(134)은 겔 형상 전해질 혹은 고체 전해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캐소드 활물질층, 애노드 활물질층, 전해질(134) 및 전자 전도층으로 구성되는 전극 한 쌍의 두께는 5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단전지(130)는 전해질(134)에 캐소드 전극(132) 및 애노드 전극(138)을 잉크제트 방식으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단전지(130)는 잉크제트 프린터를 이용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캐소드 전극(132) 및 애노드 전극(138)을 구성하는 각 층의 형성에 필요한 재료를, 기재(基材)로서의 전해질(13)을 향하여, 노즐로부터 선택적으로 토출시켜 전해질(13)에 인접하는 층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된다. 단전지(130)의 형성 방법은 잉크제트 방식의 도포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공 증착법 등의 적층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해질(134)은, 바람직하게는 융해 온도 100 ℃ 이상의 내열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전해질, 혹은 PEO(폴리에틸렌옥시드)계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전해질로 이루어진다. 내열 고분자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불화비닐리덴(PVdF)이 바람직하다.
캐소드 활물질층은 캐소드 활물질, 전자 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도전 조제, 이온 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리튬 염, 바인더, 고분자 겔 전해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캐소드 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천이 금속 복합 산화물이다.
애노드 활물질층은 애노드 활물질, 전자 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도전 조제, 이온 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리튬 염, 바인더, 고분자 겔 전해질(폴리머 매트릭스, 전해액 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애노드 활물질은, 예를 들어 카본 혹은 리튬―천이 금속 복합 산화물이다.
전자 전도층은 이온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예를 들어 금속, 도전성 폴리머, 도전성 고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모터(110), 2차 전지(120), 인버터(172) 및 전지 냉각 수단이 일체화되어 있어, 각각의 스페이스를 준비할 필요는 없으므로, 데드 스페이스가 작다. 또한, 2차 전지(120)는 적층되는 복수의 단전지(130)를 가지므로, 콤팩트화가 용이하다. 따라서, 탑재성의 자유도가 크다. 즉, 양호한 탑재성을 갖는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모터(110)와 2차 전지(120)를 접속하기 위한 강전 케이블이 불필요해, 강전 케이블에 의한 출력 손실이 저감된다. 또한, 단전지(130)의 적층 수를 변경함으로써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요구 최대 전압이 다른 다양한 모터에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구동 시스템(100)은 동력 발생 장치(10)의 트랜스미션부(20)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버터(172)는 필요에 따라서 별개의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지 냉각 수단(냉각 재킷)은 2차 전지(120)와 로터 하우징(114) 사이에 배치된다.
전지 냉각 수단의 냉각 재킷(180)은 1차 전지(120)의 외주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각 매체가 유통되는 경로(182)는 로터 하우징(114)과 외측 하우징(116)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예를 들어 2차 전지(120)와 인버터 케이스(17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지 냉각 수단을 필요에 따라서 별개의 부재로 하거나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6은 도5에 도시되는 2차 전지가 갖는 단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는 단전지(230) 및 2차 전지(220)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다르다.
단전지(230)는 캐소드 전극(232), 전해질(234) 및 애노드 전극(238)을 갖는다. 전해질(234)은 길고, 이온을 통과하지 않는 부도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가공부(235) 및 미가공부(236)를 갖는다. 가공부(235)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부도화 처리는,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와 겔 형상의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겔 전해질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가공 부분에 겔을 첨가하지 않거나, 혹은 세퍼레이 터의 상기 가공 부분에 겔 전해질을 겉돌게 하는 처리를 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는 경우, 가열 처리에 의해 분자 구조에 영향을 미쳐서 이온 도전성을 저하시킴으로써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캐소드 전극(232) 및 애노드 전극(238)은 전해질(234)의 한쪽 및 다른 쪽 면에, 예를 들어 도포에 의해 복수 배치된다. 캐소드 전극(232) 및 애노드 전극(238)은 미가공부(236)에 배치되어 위치 정렬되어 있다. 즉, 전해질(234)은 복수의 단전지(230)로 공유되어 있다.
2차 전지(220)는 복수의 캐소드 전극(232) 및 애노드 전극(238)이 배치되는 전해질(234)을 냉각 재킷에 권취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단전지(230)의 적층이 용이하다.
미가공부(236)의 길이, 즉 캐소드 전극(232)[애노드 전극(238)]의 길이와, 가공부(235)의 길이와의 합계값은 냉각 재킷의 외경 길이와 대략 일치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의 단전지(230)의 캐소드 전극(232)은 인접하는 외측의 단전지(230)의 애노드 전극(238)과 겹치게 된다. 또한, 캐소드 전극(232)과 애노드 전극(238)의 접촉을 양호하게 하여 저항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1주 권취할 때마다 캐소드 전극(232)과 애노드 전극(238)이 포개어지는 면에 집전박(240)이 배치된다. 집전박(240)은,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도전성 폴리머, 도전성 고무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권취 수(적층 수)에 따라서 2차 전지(220)의 두께가 증가하여, 최하층의 직경과 최상위의 직경이 크게 다르고, 캐소드 전극(232)과 애노드 전극(238)의 겹침에 문제가 생긴 경우, 도포 폭, 즉 미가공부(236)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는 단전지(230)를 용이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7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2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8 내지 도10은 도7에 도시되는 2차 전지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제1 내지 제3 컴포넌트를 나타내고 있다.
제3 실시 형태는 단전지(330) 및 2차 전지(320)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다르다.
2차 전지(320)는 단전지(330) 및 집전박(340)을 갖는다. 집전박(340)은 최상위의 단전지(330A)의 캐소드 전극(332)의 상방, 최하위의 단전지(330C)의 애노드 전극(338)의 하방 및 중간위의 단전지(330B)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캐소드 전극(332) 및 애노드 전극(338) 사이에 배치된다. 단전지(330A, 330B, 330C)는 직렬로 접속되어 필요로 하는 전압이 확보된다. 또한, 부호 334는 전해질이다.
2차 전지(320)는, 예를 들어 3개의 컴포넌트(321, 322, 323)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제1 컴포넌트(321)는 집전박(340)과, 집전박(340)의 한쪽 면에 배치되는 캐소드 전극(332)을 갖는다. 제2 컴포넌트(322)는 집전박(340)과, 집전박(340)의 한쪽 및 다른 쪽 면에 배치되는 캐소드 전극(332) 및 애노드 전극(338)을 갖는다. 제3 컴포넌트(323)는 집전박(340)과, 집전박(340)의 한쪽 면에 배치되는 애노드 전 극(338)을 갖는다. 캐소드 전극(332) 및 애노드 전극(338)은, 예를 들어 도포에 의해 집전박(340) 상에 배치된다.
제3 컴포넌트(323)는 최하위에 배치된다. 제3 컴포넌트(323)의 집전박(340)은 외측에 면하여, 2차 전지(320)의 최하층을 형성한다. 제3 컴포넌트(323)의 애노드 전극(338)의 상방에는 전해질(334)이 배치된다.
전해질(334)의 상방에는 제2 컴포넌트(322)가 배치된다. 제2 컴포넌트(322)의 캐소드 전극(332)은 전해질(334)에 면한다. 그리고, 제2 컴포넌트(322)의 애노드 전극(338)의 상방에는 전해질(334)이 배치된다.
제2 컴포넌트(322)와 전해질(334)의 적층이 필요에 따라서 소정 횟수 반복된다. 이에 의해, 집전박(340)이 단전지(330)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그 후, 전해질(334)의 상방에 제1 컴포넌트(321)가 배치된다. 제1 컴포넌트(321)의 캐소드 전극(332)은 전해질(334)에 면한다. 제1 컴포넌트(321)의 집전박(340)은 외측에 면하여 2차 전지(320)의 최상층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 형태는 집전박(340)을 단전지(330)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1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는 전지 냉각 수단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다르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전지 냉각 수단은 냉각 재킷(480) 및 차열층(486)을 갖는다.
냉각 재킷(480)은 인버터 케이스(470)의 주위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차열 층(486)은 냉각 재킷(480)과 2차 전지(420) 사이에 배치되어 냉각 재킷(480)을 덮고 있다.
차열층(486)은 인버터 케이스(470)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로 형성되어, 인버터 케이스측으로부터 2차 전지측을 향하는 열전도를 억제한다. 따라서, 2차 전지(120)의 온도를 50 ℃ 내지 100 ℃로 유지하고, 또한 모터(410) 및 인버터(472)의 온도를 120 ℃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부호 412, 414, 416, 482는 로터, 로터 하우징, 외측 하우징 및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4 실시 형태는 2차 전지(420)의 온도를 용이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2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5 실시 형태는 전지 냉각 수단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다르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전지 냉각 수단은 내층 경로(582) 및 외층 경로(584)를 갖는 2층 구조의 냉각 재킷(580)을 갖는다.
내층 경로(582)는 인버터 케이스(570)에 면하는 내측층에 배치된다. 외층 경로(584)는 2차 전지(520)에 면하는 외측층에 배치된다.
냉각 재킷(580)은 외부의 냉각 매체 배관계(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 매체는 외층 경로(584)를 경유하여 내층 경로(582)로 도입됨으로써, 2차 전지(520)를 냉각한 후, 인버터(572)[인버터 케이스(570)]를 냉각한다. 즉, 냉각 매체는 2차 전지(520)를 최초로 냉각하기 위해, 2차 전지(520)를 저온으로 유지하 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냉각 매체는 2차 전지(520)를 냉각함으로써 온도가 상승한다. 그러나, 2차 전지(120)의 온도 목표는 50 ℃ 내지 100 ℃이지만, 인버터(572) 및 모터(510)의 온도 목표는 120 ℃ 이하이다. 따라서, 2차 전지(520)를 냉각한 후의 냉각 매체를 인버터(572) 및 모터(510)의 냉각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호 512, 514 및 516은 로터, 로터 하우징 및 외측 하우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5 실시 형태는 2차 전지(520), 인버터(572) 및 모터(510)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버터(572)를 별개의 부재로 하는 경우, 전지 냉각 수단(냉각 재킷)은 2차 전지(520)와 로터 하우징(214) 사이에 배치되어 2차 전지(520)를 냉각한 후, 모터(510)[로터 하우징(514)]를 냉각하게 된다.
또한, 냉각 매체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라디에이터에 의해 냉각된 엔진 냉각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냉각 재킷(580)을 엔진 냉각수 순환계에 연결하여 엔진 냉각수를, 외층 경로(584)를 경유하여 내층 경로(582)로 도입한 후, 엔진의 냉각 재킷으로 복귀시킴으로써, 2차 전지(520), 인버터(572) 및 모터(510)를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3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시스템(6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6 실시 형태는 외부 전원(690)을 더 갖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다르다.
외부 전원(690)은 대용량의 2차 전지이고, 승압 회로(DC/DC 컨버터)(692)를 경유하여 인버터(672)에 접속된다. 외부 전원(690)은 2차 전지(520)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외부 전원(690)과, 모터(610)에 일체화되는 2차 전지(620) 사이에서 필요한 기능을 적절하게 분할함으로써,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690)을 저부하 시에 이용하고, 2차 전지(620)는 순간적인 고부하 시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승압 회로(692)는 외부 전원(690)과 인버터(672)를 접속하는 케이블(694)의 용량을 내려, 케이블(694)의 처리를 유리하게 하므로 바람직하지만, 적절하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6 실시 형태는 외부 전원(690)을 더 가지므로, 시스템 구축의 자유도가 크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개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전지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단전지와, 병렬 접속된 복수의 단전지가 조합된 복합 조전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6 실시 형태를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에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와 2차 전지는 일체화되어 있어, 각각의 스페이스를 준비할 필요는 없으므로, 데드 스페이스가 작다. 또한, 2차 전지는 적층되는 복수의 단전지를 가지므로, 콤팩트화가 용이하다. 따라서, 탑재성의 자유도가 크다.
즉, 양호한 탑재성을 갖는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2)

  1. 구동원인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일체화되어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2차 전지를 갖고, 상기 2차 전지는 적층되는 복수의 단전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지는 직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는 외부에 면하는 외측 하우징과, 상기 모터의 로터를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로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지에 있어서의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부위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지는 3층 이상이고 또한 400층 이하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지는 리튬 이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 전지는 융해 온도 100 ℃ 이상의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전해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 전지는 폴리에틸렌옥시드계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전해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모터 컨트롤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컨트롤러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2차 전지와 상기 로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SiC 스위칭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를 냉각하기 위한 전지 냉각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를 냉각하기 위한 전지 냉각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전지 냉각 수단은 상기 2차 전지와 상기 로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냉각 수단은 기체 혹은 액체로 이루어지는 냉각 매체가 유통되는 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2차 전지측에 배치되는 내층 경로와, 로터 하우징측에 배치되는 외층 경로를 갖고, 상기 냉각 매체는 상기 외층 선로를 경유하여 상기 내층 경로로 도입됨으로써, 상기 1차 전지를 냉각한 후, 상기 로터 하우징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를 냉각하기 위한 전지 냉각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전지 냉각 수단은 상기 인버터와 상기 2차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냉각 수단은 기체 혹은 액체로 이루어는 냉각 매체가 유통되는 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이차 전지측에 배치되는 내층 경로와, 인버터측에 배치되는 외층 경로를 갖고, 상기 냉각 매체는 상기 외층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내층 경로로 도입됨으로써, 상기 2차 전지를 냉각한 후, 상기 인버터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동력 발생 장치의 트랜스미션부에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트랜스미션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 장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22. 제15항, 제16항, 제18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차량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매체는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라디에이터에 의해 냉각된 엔진 냉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KR1020087013369A 2005-11-04 2006-11-01 구동 시스템 KR100985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1553 2005-11-04
JP2005321553A JP4826214B2 (ja) 2005-11-04 2005-11-04 駆動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371A true KR20080067371A (ko) 2008-07-18
KR100985638B1 KR100985638B1 (ko) 2010-10-05

Family

ID=3800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369A KR100985638B1 (ko) 2005-11-04 2006-11-01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51914B2 (ko)
EP (1) EP1950868A1 (ko)
JP (1) JP4826214B2 (ko)
KR (1) KR100985638B1 (ko)
CN (1) CN101300727B (ko)
WO (1) WO200705271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3659A3 (ko) * 2010-02-01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1093660A3 (ko) * 2010-02-01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002646A3 (ko) * 2010-06-28 2012-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1145882A3 (ko) * 2010-05-20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코팅된 고분자 집전체를 갖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US9343773B2 (en) 2010-02-01 2016-05-17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US9597192B2 (en) 2014-06-02 2017-03-21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Metacarpal rod anchor for a trapezometacarpal prosthesi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3223A1 (en) * 2006-05-25 2007-11-29 Ward Terence G Power capacitors mounted diametrically on electric motors
US20080180000A1 (en) * 2007-01-30 2008-07-31 Ward Terence G Power capacitors for AC motors mounted diametrically on associated transmissions
DE102010027856B4 (de) * 2010-04-16 2023-12-14 Robert Bosch Gmbh Batterie mit integriertem Pulswechselrichter
AT511428B1 (de) * 2011-04-21 2013-05-15 Avl List Gmbh Elektrische maschine
US9461488B2 (en) 2011-06-09 2016-10-04 Henry Shum Battery with integrated power inverter
US9479014B2 (en) * 2012-03-28 2016-10-25 Acme Product Develop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a programmable electric converter
WO2014178590A1 (ko)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패키징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4182064A1 (ko) 2013-05-07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4182063A1 (ko) 2013-05-07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케이블형 이차전지
CN104393324B (zh) 2013-05-07 2017-08-15 株式会社Lg化学 线缆型二次电池
CN104393329B (zh) 2013-05-07 2017-04-12 株式会社Lg化学 线缆型二次电池及其制备
EP2846381B1 (en) 2013-05-07 2018-02-28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EP2822084B1 (en) 2013-05-07 2016-12-14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N104466191B (zh) 2013-05-07 2018-01-23 株式会社Lg化学 二次电池用电极、其制备、以及包含其的二次电池和线缆型二次电池
DE102015013403A1 (de) * 2015-10-19 2017-04-20 Bergische Universität Wuppertal Elektro-Antriebssystem
JP7205351B2 (ja) * 2019-03-29 2023-01-17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0383B1 (en) * 1997-10-13 2001-04-24 Denso Corporation Electric power unit
JP3675139B2 (ja) 1997-10-13 2005-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ッテリ装置
JP2000274240A (ja) * 1999-03-23 2000-10-03 Isuzu Motors Ltd ハイブリッド車両用冷却装置
CN2409705Y (zh) * 1999-12-30 2000-12-06 杨泰和 手持电控装置的位移发电结构
JP4361229B2 (ja) * 2001-07-04 2009-1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JP2003151510A (ja) * 2001-11-08 2003-05-23 Mitsubishi Chemicals Corp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6927524B2 (en) * 2001-11-27 2005-08-09 Wavecrest Laboratories, Llc Rotary electric motor having separate control modules for respective stator electromagnets
JP2004153875A (ja) * 2002-10-28 2004-05-27 Koyo Seiko Co Ltd モータ
JP2004153897A (ja) * 2002-10-29 2004-05-27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インバータ付き電気機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3659A3 (ko) * 2010-02-01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1093660A3 (ko) * 2010-02-01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US9236629B2 (en) 2010-02-01 2016-01-12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US9343773B2 (en) 2010-02-01 2016-05-17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WO2011145882A3 (ko) * 2010-05-20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코팅된 고분자 집전체를 갖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US8465865B2 (en) 2010-05-20 2013-06-18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metal-coated polymer current collector
WO2012002646A3 (ko) * 2010-06-28 2012-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US8785020B2 (en) 2010-06-28 2014-07-22 Lg Chem, Ltd. Anode for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node
US9406926B2 (en) 2010-06-28 2016-08-02 Lg Chem, Ltd. Anode for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node
US9597192B2 (en) 2014-06-02 2017-03-21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Metacarpal rod anchor for a trapezometacarpal pros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51914B2 (en) 2012-04-10
EP1950868A1 (en) 2008-07-30
CN101300727A (zh) 2008-11-05
CN101300727B (zh) 2011-01-05
KR100985638B1 (ko) 2010-10-05
JP2007129858A (ja) 2007-05-24
JP4826214B2 (ja) 2011-11-30
US20090107746A1 (en) 2009-04-30
WO2007052714A1 (ja)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638B1 (ko) 구동 시스템
JP4164212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力供給装置
EP11845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hydrogen into a catalytic converter
US8568913B2 (en) Battery module
KR101601142B1 (ko) 단열재를 포함하여 2이상의 분리된 유로를 가진 히트싱크
US20070178377A1 (en) Cell barrier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1642326B1 (ko) 수직 배치된 공통 출입구가 형성된 2이상의 분리된 유로를 가진 히트싱크
SE520007C2 (sv) Ett bipolärt batteri, en metod för tillverkning av ett bipolärt batteri och bilplåtsammansättning
US20130183565A1 (en) Casing for an electrochemical cell
JP2003017127A (ja) 電池システム
WO2015056921A1 (ko) 2 이상의 분리된 유로를 가진 히트싱크
JP2023509216A (ja) 電池、電池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及び電気自動車
KR20080039512A (ko) 연료전지
WO2017153490A1 (en)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US10680297B2 (en) Tab cooling for pouch cell
JP2009231042A (ja) 蓄電装置及び車両
JP2019212440A (ja) 蓄電装置
EP1162681B1 (en) Cooling of a fuel cell system
US11303219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annularly-arranged switching and capacitor modules
KR100648732B1 (ko) 이차 전지 모듈
JP7253072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7234453A (ja) 2次電池およびその車両搭載構造
US20150140467A1 (en) Fuel cell with improved electric insulation
KR20150045245A (ko) 공통 출입구가 형성된 2이상의 분리된 유로를 가진 히트싱크
JP4788113B2 (ja) 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