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689A -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 Google Patents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689A
KR20080041689A KR1020087005572A KR20087005572A KR20080041689A KR 20080041689 A KR20080041689 A KR 20080041689A KR 1020087005572 A KR1020087005572 A KR 1020087005572A KR 20087005572 A KR20087005572 A KR 20087005572A KR 20080041689 A KR20080041689 A KR 20080041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pout
tape
shap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오츠카
와카코 요시무라
야스노리 혼자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rigid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3/00Flexible bags
    • Y10S383/906Dispensing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주출구부를 부풀게 하지 않아 개구성과 보형성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주출구부의 절곡에 의한 폐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백에 충전된 내용물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주출할 수 있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을 제공한다.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백의 일단에 좁은 폭의 주출구부(1O)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으로서, 주출구부의 영역에서, 백 양면의 적층 필름(1, 1') 중, 적어도 일측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소정 길이로 절단된 테이프형 시트재(50)가 점착된다.
백, 주출구부, 적층필름, 테이프형 시트재, 개구성, 보형성

Description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BAG WITH SPOUT}
본 발명은 유동성을 갖는 내용물을 다시 채워넣기 위한 용기로서 사용하는 주출구부(注出口部)를 구비한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출구부의 개구성과 그의 보형성을 향상시켜 백에 충전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주출할 수 있도록 한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에 관한 것이다.
액상 등 유동성을 갖는 내용물을 밀봉 포장하고, 내용물을 사용할 때, 병 등의 다른 용기에 옮겨 사용하도록 한 리필용 용기로서는 내용물을 다른 용기로의 교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렴하며, 빈 용기가 부풀지 않아 사용 후의 폐기 처리 등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예를 들면 적층 필름을 히트실링(heat sealing)해서 형성한 평평한 백이나 자립 백 등의 백의 주연 일부에 외주를 히트실링한 좁은 폭의 주출구부를 형성한 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주출구부를 갖는 백은 저렴하고 생산성에서 뛰어난 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주출구부의 개구성(開口性)이나 개구부의 보형성(保刑性)이 나쁘고, 내용물의 주출 도중 등에서 주출구부가 쉽게 폐쇄되고, 내용물이 적절히 주출될 수 있는 기능 면에서는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고, 주출구부의 개구성이나 개구부의 보형성 등, 내용물의 적절한 주출성을 개선한 백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백의 주출구부의 필름 재료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홈 형상의 함몰부를 형성하고, 그 홈 형상의 함몰부에 플라스틱제 등의 작은 관을 고정하여 유로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은 관을 통해 내용물을 비울 수 있도록 한 백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평 5-132069호 공보의 제2항 - 제3항, 도 1 참조).
또한 파우치(pouch)의 상부 일부에 주출구부를 형성하고, 장착시는 편평한 형상이며, 사용시에는 통 형상으로 변형시켜 주출구부를 열 수 있는 보강 부재를 그 주출구부의 내면에 장착한 리필용 파우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평 11-79195호 공보의 제2항 - 제7항, 도 1, 도 3 참조).
상기 일본 특개평 5-132069호 공보에 기재된 백에 의하면, 주출구부의 필름 재료에 유로로서 홈 형상의 함몰부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에는 플라스틱의 성형체 등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작은 관이 고정되어 있어 유로가 접혀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그 작은 관을 통해 백에 충전된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백은 홈 형상의 함몰부를 형성할 때, 그 제조시에 필름 재료 에 딥드로잉(deep drawing) 성형이 필요하거나, 작은 관을 삽입해서 고정할 때에 스폿용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장치가 복잡하게 되고, 생산 속도도 제한된다. 또한, 작은 관은 강도가 있고 원통형으로 그 외경이 5mm 정도 이상 필요하기 때문에, 백의 주출구부만 부풀게 되어 빈 백의 취급이나 보관에 적당하지 못하다. 또한, 내용물을 충전할 때의 충전 밀봉기에 있어서의 빈 백의 공급장치에 대해서도 특별한 장치가 필요로 되고, 제조 설비가 복잡하게 되며, 생산 속도도 감소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또한, 품질의 관점에 있어서도, 작은 관은 단단하기 때문에, 그 단부에서 백의 필름 재료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일본 특개평 11-79195호 공보에 기재된 리필용 파우치에 따르면, 보강 부재로서 플라스틱 등의 강성 시트를 사용되고, 상기 공보의 도 3의 A-1, B-1 및 C-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성 시트를 가공함으로써, 편평한 보강 부재를 주출구부의 소정 부분의 내면에 점착하고, 사용시에, 예를 들면 파우치의 양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서 가압함으로써, 보강 부재가 각각 도 3의 A-2, B-2, C-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형(角形)으로 변형하여 주출구부를 보형성 좋게 각진 통 형상으로 개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필용 파우치에서도, 제조 후, 보존 일수가 수 개월 이상 장기화되면, 보강 부재가 서서히 변형되기 때문에 큰 토크가 필요로 되고, 사용시에 주출구부를 각진 통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상 등의 유동성 내용물을 밀봉 포장한 백으로서, 내용물을 사용할 때에는, 병 등의 다른 용기에 옮겨 사용(리필)할 수 있는 적층 필름제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에 있어서, 주출구부를 부풀게 하지 않고 주출구부의 개구성과 그 보형성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주출구부의 필름 재료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주출구부의 베이스부 등의 절곡에 의한 폐쇄를 방지할 수 있고, 백에 충전된 내용물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주출할 수 있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생산성이 높은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은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백의 일단에 좁은 폭의 주출구부가 형성되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으로서, 상기 주출구부의 영역에서, 백 양면의 적층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의 적층 필름 내면에 소정 길이 절단된 테이프형 시트재가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적층 필름과 그 적층 필름에 점착된 테이프형 시트재가 백 외측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홈통형으로 열성형되어 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테이프형 시트재의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부에 볼록한 모양의 코드(cord)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형 시트재에 그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라인 프레싱(line-pressing) 또는 상기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한 절곡선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시트재는 2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적층 필름에 점착되는 측의 층이 열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반대측의 층이 상기 열 접착성 수지보다 융점의 높은 수지 또는 그 외 열성형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시트재는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부의 개봉위치에 개봉을 용이하게 하는 개봉용이(易開封)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탠딩 파우치 형식의 백으로서, 상기 주출구부가 백의 상부의 일측 코너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백 자체는 적층 필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적층 구성의 선정에 의해 밀봉성 이외, 다양한 강도, 내용물의 보존성 등 백에 필요로 되는 다양한 성능을 뛰어나게 할 수 있다.
(2) 주출구부의 영역에서, 백 양면의 적층 필름 중, 적어도 일측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소정 길이로 절단된 테이프형 시트재가 점착되기 때문에, 주출구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충전된 내용물을 취출 할 때에는, 주출구부의 선단부를 그 개봉위치에서 절단하여 개봉하는 것만으로, 주출구부가 자동으로 보형성 좋게 개구된다. 따라서, 액상의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도, 주출 도중에 주출구부가 폐쇄되어 버리지 않고,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스무스하게 주출할 수 있다.
(3) 테이프형 시트재는 두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재질도 각별히 단단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백의 적층 필름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통형(桶狀) 또는 홈통형으로 열성형된 주출구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의 성형의 복귀는 있지만, 대부분은 유지되기 때문에, 주출구부의 개구성은 나빠지지 않는다.
(4) 또한, 테이프형 시트재를 주출구부의 양면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점착하고, 각각 외측으로 부풀어 오른 홈통형으로 열성형해서 용착시킴으로써, 양측의 홈통형의 성형부끼리를 마주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출구부를 전체로서 원통 형 등의 통형상으로 보형성 좋게 개구시킬 수 있고, 내용물을 더욱 스무스하게 주출할 수 있다.
(5) 테이프형 시트재는 주출구부의 선단측의 개봉위치로부터 주출구부의 베이스부 부근까지의 길이로 설치됨으로써, 주출구부의 상기 개구성과 그 보형성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주출구부의 베이스부로부터 백의 중심부를 향하여 10-30㎜ 정도 연장된 길이로 설치됨으로써, 주출구부의 베이스부 부근에서의 절곡에 의한 주출구부의 폐쇄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더욱더 확실하고 스무스하게 주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은 예를 들면 욕실, 화장실, 부엌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가정용 액체 세제 이외, 샴푸, 컨디셔너, 보디 소프, 그리고, 액체 조미료, 식용유, 각종 음료 등, 액상의 내용물을 밀봉 포장하고, 내용물을 사용할 때, 병 등의 다른 용기로 옮겨 사용하도록 한 리필용 포장 백으로서 특히 적합하지만, 용도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구부에 점착하여 사용하는 테이프형 시트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로서, 도 1의 (a)는 테이프형 시트재의 평면도이고, 도 1의 (b), (c) 및 (d)는 각각 도 1의 (a)의 A-A선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제조에서, 테이프형 시트재와 적층 필름을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홈통형으로 열성형해서 용착시킬 때에 이용하는 성형 금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의 (a)는 성형 금형의 수 금형과 암 금형이 떨어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수 금형과 암 금형의 사이에 테이프형 시트재와 적층 필름이 삽입되어 열 프레스 성형 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성형 금형의 단면도.
도 3의 (a) 내지 (d)는 적층 필름과 그 적층 필름에 점착된 테이프형 시트재가 백 외측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홈통형으로 열성형 되고 용착되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에 있어서, 홈통형의 부풀어 오른 형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다른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구부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6의 (a)는 주출구부의 일측면(전면)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만 테이프형 시트재를 점착해서 열성형 했을 경우 부풀어 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의 (b)는 주출구부의 양면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테이프형 시트재를 점착해서 열성형 했을 경우 부풀어 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다른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다른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구부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구부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구부에 점착되어 사용되는 테이프형 시트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로서, 도 11의 (a)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구부에 점착되어 사용되는 테이프형 시트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로서, 도 12의 (a)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구부에 점착되 어 사용되는 테이프형 시트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로서, 도 13의 (a)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구부에 점착되어 사용되는 테이프형 시트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로서, 도 14의 (a)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구부에 점착되어 사용되는 테이프형 시트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로서, 도 15의 (a)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구부에 점착되어 사용되는 테이프형 시트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로서, 도 16의 (a)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7은 제2 실시에 따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0의 (a) 및 (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1의 (a) 내지 (d)는 도 20의 (a)의 A-A선의 확대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제1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도 1의 (a)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는 예를 들면 소정의 폭(w)으로 권선된 형태의 긴 테이프형 시트재를 소정 길이(l)로 자른 것이고, 주출구부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점착되기 직전의 상태이다.
이러한 테이프형 시트재(50)는 예를 들면 도 1의 (b),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층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도 1의 (b)는 테이프형 시트재(50)를 백의 적층 필름의 내면의 실란트층에 열접착성을 갖는 열접착성 수지의 층(a) 단독의 층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의 (c)는 테이프형 시트재(50)를 열접착성 수지층(a)과 그 열접착성 수지층(a)의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 또는 그 밖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의 층(b)의 2층 적층체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 1의 (d)는 테이프형 시트재(50)를 열접착성 수지층(a)과 열접착성 수지층(a)의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 또는 그 밖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의 층(b)의 사이에 접착층(c)을 형성한 3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의 (a)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의 구성에서, 시트재(50)의 폭(w)은 백의 주출구부의 폭에 따라 그보다도 약간 좁은 폭으로 적절히 결정될 수 있고, 또한 그 길이(l)는 주출구부의 선단측의 개봉위치보다 약간 내측의 위치에서 주출 구부의 베이스부 부근까지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출구부의 베이스부 부근으로부터 백의 중심부를 향해서 10∼30mm 정도 연장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의 (b), (c) 및 (d)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의 층 구성에서, 백의 적층 필름의 내면의 실란트층에 열접착성을 갖는 열접착성 수지층(a)은 이 면을 주출구부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대향시켜 점착하고, 열성형해서 용착시키는 것이다. 이 열접착성 수지층(a)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백의 적층 필름의 내면의 실란트층의 수지에 맞춰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이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블렌드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c) 및 (d)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와 같이, 그 시트재(50)를 2층 이상의 적층체로 형성하고, 상기 열접착성 수지층(a)의 반대측의 층을 열접착성 수지층(a)의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 또는 그 밖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의 층(b)으로 형성할 경우, 그 열접착성 수지층(a)의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로서는, 열접착성 수지층(a)으로서 선택된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열접착성 수지층(a)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예를 든 각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타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각종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4-메틸펜테인-1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 밖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포일(foil) 등의 금속 포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접착성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 또는 그 밖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를 열접착성 수지층(a)의 반대측의 층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테이프형의 시트재를 백의 주출구부의 내면에 스폿 실링 등으로 점착하고, 그 시트재와 외측의 적층 필름를 외측으로 부풀어 오른 홈통형으로 열성형 해서 용착시킬 때, 보다 고온에서의 열접착 및 열성형과 용착 가공이 가능해져 그 가공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의 (d)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와 같이, 시트재(50)를 열접착성 수지층(a)과 열접착성 수지층(a)의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 또는 그 밖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의 층(b) 사이에 접착층(c)을 형성한 3층의 적층체로 형성할 경우, 중간층의 접착층(c)은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따라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라이라미네이트(dry laminate)용의 1액 또는 2액 경화형의 접착제 이외, 압출(壓出) 라미네이트 등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등의 접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테이프형 시트재를 단일의 수지로 형성하고, 열접착 방식으로 백의 주출구부 에 점착할 경우, 그 수지로서는 백의 점착면(통상 실란트층)의 재질에 따라 그에 열접착가능한 수지를 선정하지만,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이외, 에틸렌 공중합체나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에 내용물을 밀봉한 후, 레토르트(retort) 처리를 실시하는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 기재를 2층 이상의 다층으로 형성할 경우의 구체적인 예로서, 2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백의 주출구부에 열접착되는 쪽의 면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층으로 형성하고, 다른 한쪽의 면을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3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백의 주출구부에 열접착되는 쪽의 면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층으로 형성하고, 그 반대측의 면을 폴리프로필렌의 층으로 형성하며, 중간층은 양쪽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접착성 수지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테이프형 시트재(50)의 두께는 0.15∼1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2 ∼0.5mm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시트재(50)의 두께가 0.15mm 미만인 경우에는, 시트재(50)를 외측의 적층 필름과 함께 외측으로 부풀어 오른 홈통형으로 열성형 했을 때의 성형부의 강성 및 보형성의 향상 효과가 적어진다. 또한, 시트재(50)의 두께가 1㎜를 초과할 경우에는, 성형부의 강성 및 보형성의 향상 효과는 이미 충분하여 그 필요성이 없고, 오히려 열성형에 시간이 걸려 생산성이 저하한다.
테이프형의 시트재가 착색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형의 시트재를 백의 주출구부의 내면에 점착한 후, 그 점착의 유무나 위치 불량 등을 광학 수단으로 검지하고, 불량품의 제거를 자동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시트재에 관계되는 품질 관리를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테이프형 시트재(50)를 품질 관리의 목적으로 착색할 경우, 그 착색 방법은 예를 들면 시트재(50)의 시트 성형시, 수지에 착색제를 혼입하는 방법이 간편하고, 특히 시트재(50)를 2층 이상의 적층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어느 쪽의 하나의 층을 착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층을 착색하는 것보다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밖에 인쇄 등의 수단으로 착색할 수 있고, 도 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에서, 열접착성 수지층(a)과 열접착성 수지층(a)의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 또는 그 밖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의 층(b)을 드라이라미네이트법이나 압출 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한쪽의 적층면에 인쇄 등의 수단으로 착색해서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착색하는 색은 광학적으로 검지할 수 있는 색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예를 들면 청색, 적색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형 시트재(50)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단층 또는 다층의 압출 성형법 이외, 열접착성 수지층(a)의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 또는 그 밖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의 층(b)에 열접착성 수지의 층(a)을 압출 코팅해서 적층하는 방법 또는 열접착성 수지층(a)과 열접착성 수지 층(a)의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 또는 그 밖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의 층(b)을 압출 라미네이트법 또는 드라이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하는 방법 등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단층 또는 다층의 압출 성형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소정 폭(w)의 테이프형 시트재(50)를 1열로 성형해서 권취 형태로 제조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다열의 광폭의 권취 형태로 제작해 두고, 슬리터(slitter)에 의해 소정 폭(w)으로 잘라서 각각의 권취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이 효율적이고 생산성이 뛰어나다.
테이프형 시트재(50)를 2층 이상의 적층체로 형성할 경우의 구체적인 예로서, 2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백의 주출구부에 열접착되는 쪽의 열접착성 수지층(a)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하고, 그 반대측의 층(b)을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3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다층 공압출 성형법을 채용하고, 백의 주출구부에 열접착되는 쪽의 열접착성 수지의 층(a)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하고, 그 반대측의 층(b)을 폴리프로필렌의 층으로 형성하고, 중간층의 접착층(c)은 양쪽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접착성 수지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테이프형 시트재(50)를 백의 주출구부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최초 점착하는 방법으로서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스폿(spot)적으로 점착할 수 있지만, 이후 홈통형으로 열성형해서 용착시키고 나서, 스폿 실링 등의 열접착 방식으로 점착하는 것이 제조 비용도 낮추고, 생산성에서도 뛰어난 점에서 더 바람직하다.
도 2의 (a)에 나타낸 성형 금형(20)은 열프레스 성형에 사용하는 것으로, 횡형(橫型) 반원주형의 성형 볼록부를 갖는 수 금형(21)과 횡형 반원주형의 성형 오목부를 갖는 암 금형(22)으로 구성된다. 백의 주출구부의 적층 필름(1 또는 1')의 내면에 도 1의 (a) 내지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의 테이프형 시트재(50)를 그 열접착성 수지층(a) 면을 대향시켜 스폿 실링 등으로 점착하고, 미리 예열된 피성형물을 수 금형(21)과 암 금형(22) 사이로 넣고, 수 금형(21)과 암 금형(22)으로 가열 가압하며,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형 시트재(50)의 흐름 방향을 따라 그 중앙부가 반원통형으로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홈통형으로 이루어지도록 열성형 함과 동시에, 시트재(50)와 적층 필름(1 또는 1')을 용착시킨다.
또한, 수 금형(21)과 암 금형(22)의 열프레스 성형부의 형상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횡형 반원주형의 성형 볼록부와 오목부로 한정되지 않고, 성형부를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홈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사다리꼴, 삼각형, 표면에 파형의 요철을 형성한 반원형 등으로 성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3의 (a)는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홈통형으로 성형한 형상, 도 3의 (b)는 단면이 사다리꼴로 이루어지는 홈통형으로 성형한 형상, 도 3의 (c)는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홈통형으로 성형한 형상, 도 3의 (d)는 단면이 표면에 파형의 요철을 형성한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홈통형으로 성형한 형상을 나타낸 것이며, 이들 중 어떠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고, 이들을 더 변형시킨 형상으로서도 할 수 있다.
테이프형 시트재(50)로서는 단층뿐만 아니라, 도 1의 (b),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층, 3층 등 어떠한 적층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100)은 사방 실링 형식의 백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전후의 벽면 필름(적층 필름)(1, 1')의 양측단 가장자리부(緣部)를 측부 실링부(6a, 6b)에서 히트실링(heat sealing)하고, 상부의 중앙부에 좁은 폭의 주출구부(10)의 외주를 주출구부 실링부(7)에서 히트실링 해서 형성하고, 그 양측에 컷아웃부(cutout portion)(9a, 9b)를 형성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출구부(1O)의 적어도 한 면(전면)의 적층 필름(1)의 내면에는 미리 주출구부(10)의 중심선(C)을 따라 그 선단측의 개봉위치보다 약간 내측의 위치에서 주출구부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선(B)보다 15mm정도 백(lOO)의 중심부를 향하는 위치까지의 길이에 테이프형 시트재(50)를 점착하고, 그 테이프형 시트재(50)를 외측의 적층 필름(1)과 함께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홈통형으로 열성형해서 양자를 용착시켜 놓는다. 또한 주출구부(10)의 선단측의 상기 개봉위치에는 개봉용이(易開封) 수단으로서, 하프 컷팅선(11)과 그 양단에 노치(12a, 12b)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개봉용이 수단으로서는, 하프 컷팅선 이외, 노치, 인쇄에 의한 절취선이나, 문자나 기호 등 개봉을 지시하는 표시 등도 있고, 이들 중 어떠한 것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예를 들면 인쇄에 의한 절취선과 노치 및 하프 컷팅선 등, 복수를 조합해서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백(100)의 하단측 가장자리부(緣部)는 하부 실링부(13)에서 히트실링 되지만, 이 부분은 내용물의 충전입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충전 전은 실링 되지 않은 개구부로 되고, 내용물의 충전 후에 히트실링되는 것이다.
테이프형 시트재(50)로서는 단층뿐만 아니라, 도 1의 (b),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층, 3층 등 어떠한 적층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프 컷팅선(11)은 3개의 평행한 하프 컷팅선으로 나타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또는 2개로 할 수 있다. 또한, 개봉시에 잡아 찢어지는 라인이 중심의 하프 컷팅선에서 벗어날 경우의 대책으로서, 중심의 하프 컷팅선의 양측에 각 1개 내지 각 3개 등의 복수의 하프 컷팅선을 평행하게 또는 중심의 하프 컷팅선에 수렴하는 형상으로 또는 복수의 평행한 하프 컷팅선과 이에 비스듬히 교차하는 경사 방향의 하프 컷팅선을 조합시킨 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프 컷팅선을 형성하는 방법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한 방법이 요철면에 대해서도 안정된 깊이로 형성되고, 복수의 하프 컷팅선을 임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200)은 스탠딩 파우치 형식의 백을 이용해서 제작한 것이다. 스탠딩 파우치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지만, 백의 저부를 전후 벽면 필름의 하부 사이에 저면 필름을 내측으로 뒤집어 접어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거싯(gusset)부를 갖는 형식으로 형성된다. 내측으로 뒤집어 접혀진 저면 필름의 양측의 하단 부근에는 반원형 등의 저면 필름 컷아웃부를 형성하고, 내측이 양측으로부터 중앙부에 걸쳐 만곡형 등 오목형으로 이루어지는 배 밑바닥 형의 실링 패턴의 저부 실링부에서 상기 거싯부를 히트실링 해서 형성하고, 백의 몸통부는 전후 벽면 필름의 양측단 가장자리부를 소정 폭의 측부 실링부에서 히트실링 해서 형성하는 것이다.
스탠딩 파우치의 형태로 함으로써, 백에 뛰어난 자립성이 부여되어 그 취급이 용이 해지고, 외관도 뛰어나 내용물을 콤팩트하게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출구부를 상기 백의 상부의 일측 코너부에 형성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주출(注出)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백의 상부에서 주출구부를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내용물의 충전입구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폭의 충전입구로 할 수 있고, 내용물의 충전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스탠딩 파우치의 형태로 할 경우, 백의 바닥은 전후 벽면 필름(적층 필름)(1, 1')의 하부 사이에 저면 필름을 내측으로 뒤집어 접은 부분(2)까지 삽입해서 이루어지는 거싯부(4)를 구비하는 형식으로 형성된다. 내측으로 접어 넣은 저면 필름의 양측 하단 부근에는, 이 경우에 반원형의 저면 필름 컷아웃부(3a, 3b)를 형성하고, 상기 거싯부(4)는 내측이 양측으로부터 중앙부에 걸쳐 만곡형의 오목형이 되도록 배 밑바닥 형의 바닥 실링부(5)에서 히트실링 해서 형성된다. 백의 몸통부는 전후 벽면 필름(적층 필름)(1, 1')의 양측단 가장자리부를 측부 실링부(6a, 6b)에서 히트실링해서 형성하고, 백(200)의 상부의 일측 코너부(도면에서 좌측의 코너부)에는, 그 외주를 주출구부 실링부(7)에서 히트실링한 선단으로 테이퍼지는 형상이고, 양측에 컷아웃부(9a, 9b)를 형성하여 경사 외측 방향을 향해 좁은 폭의 주출구부(1O)를 돌출시킨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주출구부(10)의 적어도 일면(전면)의 적층 필름(1)의 내면에는, 테이 프형 시트재(50)를 미리 주출구부(10)의 방향을 따라 그 선단측의 개봉위치보다 약간 내측의 위치에서 주출구부의 베이스부보다 10∼15mm정도 백(200)의 중심부를 향하는 위치까지의 길이로 점착하고, 그 테이프형 시트재(50)를 외측의 적층 필름(1)과 함께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홈통형으로 열성형해서 양쪽을 용착시킨다. 또한, 주출구부(10)의 선단측의 개봉위치에는, 개봉용이 수단으로서, 하프 컷팅선(11)과 그 상측의 단부에 노치(12a)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백(200)의 상부에서 주출구부(1O)를 형성하지 않은 부분은 상부 실링부(8)에서 히트실링 되지만, 이 부분은 내용물의 충전입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충전 전은 실링되지 않은 개구부로 하고, 내용물의 충전 후에 히트실링되는 것이다.
이 경우도, 테이프형 시트재(50)로서는, 단층뿐만 아니라, 도 1의 (b),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층, 3층 등 어떠한 적층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프 컷팅선(11)에 있어서도, 도 4와 같이, 3개의 평행한 하프 컷팅선으로 나타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또는 2개 이외, 중심의 하프 컷팅선의 양측에 각 1개 내지 각 3개 등 복수의 하프 컷팅선을 평행하게 또는 중심의 하프 컷팅선에 수렴하는 형상 또는 복수의 평행한 하프 컷팅선과 이에 비스듬히 교차하는 경사 방향의 하프 컷팅선을 조합시킨 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의 (a)는 주출구부의 일면(전면)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만 테이프형 시트재를 점착해서 열성형 했을 경우에서, 부풀어 오르는 형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 도이며, 주출구부(10)의 내부는 반원통형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의 (b)는 주출구부의 양면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테이프형 시트재를 점착해서 열성형 했을 경우에서, 부풀어 오르는 형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주출구부(1O)의 내부는 원통형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주출구부(1O)의 통형상(筒狀)의 확장 형태는 테이프형 시트재(50)와 그 외측의 적층필름(1, 1')을 홈통형으로 열성형 할 때 상기 성형 금형(20)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도 3의 (a) 내지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주출구부(1O)의 부풀어 오른 형상은 주출구부(1O)의 전후 양면의 적층 필름(1, 1')의 내면에 테이프형 시트재(50)를 점착해서 홈통형으로 열성형 할 경우, 전후를 동일 형상으로 열성형해서 통 형상체로 할 수 있는 것 이외, 예를 들면 도 3의 (a) 내지 (d)의 다른 형상을 조합시켜서 통 형상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300)은 도 5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200)의 구성에 있어서, 주출구부(10)의 양면의 적층 필름(1, 1')의 내면에 테이프형 시트재(50, 50')를 점착하고, 각각을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홈통형으로 열성형하고, 양면의 적층 필름과 시트재의 홈통형의 성형부(14) 표면에, 화살표형상의 요철형상(15)을, 이 경우 그 전층(全層)이 떠오르도록 홈통형의 열성형과 동시에 열성형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홈통형으로 열성형 된 성형부의 표면에 모양, 기호,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요철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주출구부의 장식성을 높이거나 내용물의 식별, 주출 부위의 표시 등을 더욱 명확히 할 수 있다.
모양으로서는, 스트라이프(stripe)나 포목(blanket texture pattern) 등의 임의인 요철모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호나 문자는 내용물의 주출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 등의 기호 이외, 내용물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 점자 등 임의의 기호나 문자를 요철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 형상은 테이프형 시트재와 그 외측의 적층 필름을 홈통형으로 열성형 할 때, 적어도 성형용의 암 금형에 요철형상을 형성해 놓음으로써 홈통형의 성형과 동시에 열성형 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400)은 도 5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200)의 구성에 있어서, 주출구부(10)의 선단측의 개봉선(이 경우, 하프 컷팅선(ll))을 수평방향으로 변경해서 형성하고, 또한 주출구부(10)의 양면의 적층 필름(1, 1')의 내면에 테이프형 시트재(50, 50')를 점착할 때에, 테이프형 시트재(50, 50')의 길이 방향의 단부도 하프 컷팅선(11)에 맞춰서 수평방향으로 컷팅해서 점착한 것이다. 또한, 적층 필름(1)과 시트재(50)의 홈통형의 성형부(14) 표면에 스트라이프(stripe) 모양의 요철(15)을(이 경우, 표면 측의 일부의 층에만) 홈통형의 열성형과 동시에 열성형 한 것이다. 이 경우도, 스트라이프 모양의 요철(15)은 양면의 홈통형의 성형부(14)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서는 백을 수직으로 세웠을 때의 수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주출구부의 개봉위치의 개봉선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봉된 주출구부의 개구부가 주전자 등의 주출구와 같은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주출 조작을 더욱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백이 스탠딩 파우치 형식이나 3방향 실링 형식, 4방향 실링 형식 등의 백이고, 백의 제조가 횡 립(橫立) 방식으로 행해지는 경우, 개봉선의 방향이 백의 적층 필름의 흐름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개봉 시에, 개봉선을 따라 더욱 용이하고 깔끔하게 손으로 잡아 찢어서 개봉할 수 있게 된다.
(2) 제2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은 테이프형 시트재의 양측단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측단의 가장자리부에 볼록한 모양의 코드(cord)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출구부의 백 양면의 적층 필름 등의 벽면 필름의 간격을 이격시켜 밀착을 방지하고, 주출구부를 통 형상으로 개구시킬 때 개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내용물의 흐름 방향의 테이프형 시트재의 강성을 높이고, 이는 점착된 주출구부의 베이스부 부근에서의 절곡에 의한 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흐름 방향의 강성은 볼록한 모양의 코드에 의해 높아질 수 있지만 폭 방향의 강성은 낮아지기 때문에, 주출구부를 통 형상으로 개구시킬 때, 그 통 형상의 개구부에 따라 용이하게 홈통형으로 만곡하고, 개구부의 보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된 액체통로를 형성시켜 내용물의 주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볼록한 형상의 코드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만일 그 단면 형상을 사각형 모양으로 할 때, 그 폭과 높이에서 폭은 1∼2mm의 범위이고, 높이는 1∼3㎜정도의 범위가 적당하다.
또한, 테이프형 시트재는 그 흐름 방향의 강성이 볼록한 형상의 코드에 의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백의 주출구부에 점착할 때, 주출구부의 선단측의 개봉위치 로부터 백의 내부측을 향해서 주출구부의 베이스부보다 1O∼30㎜ 정도 백의 내측으로 더 연장되는 길이로 테이프형 시트재를 점착함으로써, 백에 충전된 내용물의 주출 시, 주출구부가 도중에 그 베이스부 부근에서 접혀 절곡되어 주출구부가 폐쇄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a)는 길고 소정 폭의 테이프 기재(51)의 일측면의 양측단 가장자리부 중, 한쪽(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단부 가장자리부에 볼록한 모양의 코드(52a)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b)는 길고 소정 폭의 테이프 기재(51)의 일측면의 양측단 가장자리부 중, 한쪽(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단부 모서리부에 볼록한 모양의 코드(52a)를 형성하고, 테이프 기재(5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그 흐름 방향을 따라 라인 프레싱에 의한 절곡선(53)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테이프형 시트재에 그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라인 프레싱 또는 상기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한 절곡선이 형성됨으로써, 주출구부의 선단측의 개봉위치에서 개봉하고, 주출구부를 통 형상으로 개구시킬 때, 테이프형 시트재가 절곡선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외측으로 절곡되고, 백의 주출구부를 더욱 용이하게 통 형상으로 개구시킬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c)는 도 12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b)의 구성에 있어서, 테이프 기재(5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그 흐름 방향을 따라 형성한 라인 프레싱에 의한 절곡선(53)만을 두께가 얇은 부분에 의한 절곡선(54)으로 변경해서 구성한 것으로, 그 밖의 구성은 모두 도 12에 나타낸 테이프 형 시트재(50b)와 같게 형성해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두께가 얇은 부분에 의한 절곡선(54)은 도 13에서는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기재(51)의 볼록한 모양의 코드(52a)가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이 오목형으로 컷팅되어 형성된 형상으로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이프형 시트재의 볼목한 형상의 코드(52a)가 형성된 측의 면이 오목형으로 컷팅되어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4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d)는 길고 소정 폭의 테이프 기재(51)의 일측면의 양측단 가장자리부에 볼록한 모양의 코드(52a, 52b)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15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e)는 길고 소정 폭의 테이프 기재(51)의 일측면의 양측단 가장자리부에 볼록한 모양의 코드(52a, 52b)를 형성하고, 테이프 기재(5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그 흐름 방향을 따라 라인 프레싱에 의한 절곡선(53)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16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f)는 도 15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e)의 구성에 있어서, 테이프 기재(5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그 흐름 방향을 따라 형성된 라인 프레싱에 의한 절곡선(53)만을 두께가 얇은 부분에 의한 절곡선(54)으로 변경하여 구성한 것으로, 그 밖의 구성은 모두 도 15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e)와 같게 형성해서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도 두께가 얇은 부분에 의한 절곡선(54)은 도 13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이프 기재(51)의 볼록한 모양의 코드(52a, 52b)가 형성된 측의 면이 오목형으로 컷팅되어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테이프형 시트재는 긴 권취 형태로 제작해 놓고, 백의 주출구부에 점착할 때, 권취 형태로부터 인출하면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해서 점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백의 백 제조와 인라인(inline)에서 테이프형 시트재를 백의 주출구부에 점착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형 시트재가 점착된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을 생산성 있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100)은 전후의 벽면 필름(적층 필름)(1, 1')의 상하 좌우 사방의 단부 가장자리부를 상부 실링부(8)와 하부 실링부(13) 및 측부 실링부(6a, 6b)에서 히트실링해서 이루어지는 4방 실링 형식의 백에 있어서, 하부 실링부(13)는 내용물의 충전입구로 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충전 전은 실링되지 않은 개구부로 하고, 상부의 일측의 코너부(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코너부)를 내용물의 주출구부(10)로 하며, 그 개봉위치에 하프 컷팅선(11)과 그 양측의 단부에 노치(12a, 12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주출구부(1O)의 벽면 필름(1, 1')의 내측면에 그 중심선(C)을 따라, 상기 개봉위치의 하프 컷팅선(11)에서 백(100)의 중심부를 향하여 테이프형 시트재(50)를 테이프형 시트재 점착부(55a, 55b)로 나타낸 바와 같은 패턴으로 점착해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이프형 시트재(50)로서는, 도 11 내지 도 16에 나타낸 구성의 테이프형 시트재(50a 내지 50f) 중, 어떠한 구성의 테이프형 시트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형 시트재(50)를 주출구부(10)의 벽면 필름(1, 1')의 내측면에 점착할 때의 점착 패턴은, 예를 들면 도 ll 내지 도 16에 나타낸 테이프형 시트재(50a 내지 50f)의 구성에 있어서, 테이프 기재(51)의 대략 전체 면에서 점착할 수도 있지만, 도 17의 테이프형 시트재 점착부(55a, 5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부(10)의 개봉위치, 즉 하프 컷팅선(11)에 가까운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서, 2개의 띠 형상으로 분할해서 점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아래와 같다. 즉, 테이프형 시트재를 그 테이프 기재(51)의 대략 전체 면에서 점착하면, 예를 들면 테이프형 시트재(50)의 점착 위치가 주출구부(10)의 선단측에서 벗어나, 테이프형 시트재(50)와 하프 컷팅선(11)이 교차했을 경우, 하프 컷팅선(11)에 의한 개봉이 테이프형 시트재(50)에 의해 방해되어 개봉할 수 없게 된다. 여기에서, 하프 컷팅선(11)에 가까운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서 점착함으로써, 테이프형 시트재(50)의 점착 위치가 주출구부(10)의 선단측에서 벗어나, 테이프형 시트재(50)와 하프 컷팅선(11)이 교차했다 하더라도, 수 mm정도이면 문제되지 않고, 하프 컷팅선(11)에서 잡아 찢어서 주출구부(10)를 개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테이프형 시트재(50)의 점착 패턴을 테이프형 시트재 점착부(55a, 55b)와 같이 2개의 띠 형태로 분할함으로써, 테이프형 시트재의 테이프 기재(51)에 그 흐름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라인 프레싱에 의한 절곡선(53)이나 두께가 얇은 부분에 의한 절곡선(54)을 형성한 경우에도, 그 절곡 효과는 손상되지 않는다.
도 18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200)은 도 17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100)의 구성에 있어서, 백(lOO)의 상부의 일측 코너부에 형성한 주출구부(10)의 위치를 백의 상부의 중앙부로 변경해서 형성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주출 구부(10)의 양측과 상부의 단부 가장자리부를 주출구부 실링부(7)에서 히트실링하고, 그 양측을 컷팅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의 주출구부(10)를 형성하고, 그 주출구부(1O)의 선단부 근방의 개봉위치에 하프 컷팅선(11)과 그 양측의 단부에 노치(12a, 12b)를 형성한다. 또한, 주출구부(10)의 벽면 필름(1, 1')의 내측면에 그 중심선(C)을 따라 그 개봉위치, 즉 하프 컷팅선(11)에서 백(200)의 중심부를 향해서 테이프형 시트재(50)를 테이프형 시트재 점착부(55a, 55b)로 나타낸 바와 같은 패턴으로 점착해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변경 점 이외는 모두 도 17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1OO)과 같게 형성해서 구성한 것이다.
도 19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300)은 그 몸통부와 저부가 스탠딩 파우치 형식, 즉 백의 바닥이, 전후의 벽면 필름(1, 1')의 하부 사이에서 저면 필름을 내측으로 뒤집어 접어 넣은 부분(2)까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거싯부(4)를 갖는 형식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저면 필름의 양측 하단 부근에는, 반원형의 저면 필름 컷아웃부(3a, 3b)가 형성되고, 거싯부(4)는 내측이 양측에서 중앙부에 걸쳐 만곡형의 오목형으로 이루어지는 배 밑바닥 형의 바닥 실링부(5)에서 히트실링되어 형성된다. 백의 몸통부는 전후의 벽면 필름(1, 1')의 양측단 가장자리부를 측부 실링부(6a, 6b)에서 히트실링되어 형성되며, 백(300)의 상부의 일측 코너부(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코너부)에는, 그 선단부 및 양측의 측부를 주출구부 실링부(7)에서 히트실링해서 이루어진 선단이 가늘어지는 형상이고, 경사 외측 상방을 향하는 주출구부(10)가 그의 양측에서 컷아웃부(9a, 9b)가 형성되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주출구부(10)의 선단부 근방의 개봉 위치에는, 하프 컷팅선(11)과 그의 상측의 단부에 노치(1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출구부(1O)의 벽면 필름(1, 1')의 내측면에, 그 중심선(C)을 따라 그 개봉 위치, 즉 하프 컷팅선(11)에서 백(300)의 중심부를 향해서 주출구부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선(B)을 넘는 길이에서 테이프형 시트재(50)를 테이프형 시트재 점착부(55a, 55b)로 나타내는 패턴으로 점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백(300)의 상부에서, 주출구부(1O)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상부 실링부(8)에서 히트실링 되지만, 이 부분은 내용물의 충전입구로 사용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충전 전은 실링되지 않은 개구부로 하고, 내용물의 충전 후에 히트실링 되는 것이다.
도 20의 (a)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300a)은 도 19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300)의 구성에 있어서, 백의 상부 일측 코너부에 형성된 주출구부(10)의 벽면 필름(1, 1')의 내측면에, 그 중심선(C)을 따라 테이프형 시트재(50)를 점착하기 전, 도시한 것 같이, 테이프형 시트재(50)와 대략 동일 형상의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엠보싱부(S)를 형성하고, 그 엠보싱부(S)의 내측면에 테이프형 시트재(50)를 테이프형 시트재 점착부(55a, 55b)로 나타낸 패턴으로 점착해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테이프형 시트재(50)를 주출구부(lO)의 벽면 필름(1, 1')의 내측면에 점착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테이프형 시트재(50)의 돌기(52a, 52b)의 높이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도, 주출구부 실링부(7) 를 히트실링 할 때, 필름이 인장되지 않고, 이 부분에서 구김이 발생하지 않아 히트실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0의 (b)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300b)은 도 19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300)의 구성에 있어서, 백의 상부 일측 코너부에 형성된 주출구부(10)의 벽면 필름(1, 1')의 내측면에, 그 중심선(C)을 따라 테이프형 시트재(50)를 점착할 때, 테이프형 시트재(50)의 길이를, 주출구부(1O)의 개봉 위치, 즉 하프 컷팅선(11)에서 주출구부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선(B)까지의 길이로 짧게 해서 테이프형 시트재의 점착부(55a, 55b)로 나타낸 패턴으로 점착해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경우,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300b)에 충전된 내용물을 주출할 때, 주출구부(10)의 베이스부 부근에서 주출구부(1O)가 절곡되어 주출구부(1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얻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주출구부(1O)를 통형상으로 용이하고, 보형성 좋게 개구시키는 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내용물의 주출 적합성의 향상 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도 21의 (a)는 주출구부(10)의 양면의 벽면 필름(1, 1') 중, 일면의 벽면 필름(1)에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엠보싱부(S)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도 4에 나타낸 구성의 테이프형 시트재(50d)를 삽입해서 점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도면에 나타낸 A-A선의 단면부에서, 테이프형 시트재(50d)는 벽면 필름(1)의 내측면에 점착되지 않고, 엠보싱부(S)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300a)(도 20의 (a) 참조)의 주출구부(10)에 테이프형 시트재(50d)를 점착함으로써, 주출구부(1O)의 양면의 벽면 필름(1, 1') 사이에서 테이프형 시트재(50d)에 더 확실하게 공극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백(300a)에 충전된 내용물을 주출할 때, 주출구부(1O)의 선단부를 하프 컷팅선(11)을 따라 개봉함으로써, 자동으로 주출구부(10)가 개구되고, 다음으로 양측의 주출구부 실링부(7)를 중심부를 향해서 양측에서 가압함으로써, 주출구부(10)를 통 형상으로 용이하게 개구시킬 수 있다.
이때, 테이프형 시트재(50d)는 그 테이프 기재(51)가 길이 방향으로 홈통형으로 만곡하기 때문에, 통 형상으로 개구된 주출구부(10)의 보형성도 향상되어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스무스하게 주출할 수 있다.
도 21의 (b)에 나타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에 있어서도, 도면에 나타낸 A-A선의 단면부에서는, 양측의 테이프형 시트재(50d)는 벽면 필름(1, 1')의 내측면에 점착되지 않고, 각각 엠보싱부(S)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이다. 이 점은 이하의 도 21의 (c) 및 (d)에 나타낸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2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형 시트재(50d)를 백(300a)의 주출구부(10)에 점착함으로써, 주출구부(10)의 양면의 벽면 필름(1, 1')에 테이프형 시트재(50d)가 점착되기 때문에, 주출구부(10)의 양면의 벽면 필름(1, 1') 사이에는 도 21의 (a)의 경우보다도 더 큰 공극부가 형성되어 주출구부(10)를 하프 컷팅선(11)에서 개봉함으로써, 자동으로 주출구부(10)를 더 크게 개구시킨다. 그리고 양측의 주출구부 실링부(7)를 양측에서 중심부를 향해서 가압함으로써, 양측의 테이프형 시트재(50d)는 각각 외측으로 홈통형으로 만곡하기 때문에, 주출구부(10)를 원통형으로 용이하게 개구시킬 수 있다. 또한, 원통형으로 개구된 주출구부(1O)의 보형성도 더 뛰어나게 되어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더 스무스하게 주출할 수 있다.
또한, 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형 시트재(50f)를 주출구부(10)의 한쪽 벽면 필름(1)의 내측면에 점착했을 경우에도, 도 ll의 (a)의 경우와 같이, 주출구부(10)의 양면의 벽면 필름(1, 1') 사이에서는 테이프형 시트재(50f)에 의해 확실하게 공극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주출구부(10)를 하프 컷팅선(11)에서 개봉함으로써, 주출구부(1O)가 자동으로 개구된다. 그리고 주출구부(1O)의 양측 주출구부 실링부(7)를 중심부를 향해서 양측에서 가압함으로써, 주출구부(1O)를 통형상으로 용이하게 개구시킬 수 있다. 이때, 테이프형 시트재(50f)는 그 테이프 기재(5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 그 흐름 방향을 따라 두께가 얇은 부분에 의한 절곡선(5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V자형으로 외측으로 절곡되고, 그 리브 효과에 의해 통 형상으로 개구된 주출구부(1O)의 보형성도 향상되어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스무스하게 주출할 수 있다.
도 21의 (d)는 주출구부(10)의 양면의 벽면 필름(1, 1')에 각각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엠보싱부(S)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도 6에 나타낸 구성의 테이프형 시트재(50f)를, 그의 돌출형의 코드끼리가 대향하도록 삽입해서 점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테이프형 시트재(50f)를 주출구부(10)의 내측면에 점착함으로써, 도 21의 (b)의 경우와 같이, 주출구부(10)의 양면의 벽면 필름(1, 1')의 사이에는 양측의 테이프형 시트재(50f)에 의해 큰 공극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주출구부(10) 를 하프 컷팅선(11)에서 개봉함으로써, 주출구부(1O)가 자동으로 크게 개구된다. 그 다음, 주출구부(1O)의 양측의 주출구부 실링부(7)를 중심부를 향해서 양측에서 가압함으로써, 양측의 테이프형 시트재(50f)는 그 두께가 얇은 부분에 의한 절곡선(54)에서 각각 V자형으로 외측으로 절곡되고, 주출구부(1O)가 각진 통 형상으로 보형성 좋게 용이하게 개구되어 백에 충전된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스무스하게 주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에 사용되는 적층 필름으로서는, 주로 플라스틱을 주(主)로 하는 적층 필름을 사용되고, 간단한 구성에서는, 기재 필름층에 실란트층을 적층한 구성의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백에 충전되는 내용물이나, 내용물 충전 후의 가열 처리의 유무 등의 사용 조건 또는 수증기 이외의 가스 배리어(gas barrier)성, 차광성, 각종의 기계적 강도 등 필요로 되는 성능에 대응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층과 실란트층 사이 등에 수증기 이외의 가스 배리어층이나, 차광층, 강도 향상층 등을 적층한 구성의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층이나 수증기 이외의 가스 배리어층, 차광층, 강도 향상층, 실란트층 등은 각각을 단독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복수의 층을 적층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 필름층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타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의 이축연신필름 이외, 나일론6, 나일론66, MXD6(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프아미드)등의 폴리아미드의 이축연신필름, 그리고,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복수를 조합시켜서 적층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으로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겔화물(EVOH),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등의 필름 이외, 알루미늄 포일 또는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늄 등의 증착층이나 PVDC의 도포막층을 형성한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ON필름),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필름), 이축연신 폴리프로펠렌 필름(OPP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을 형성한 필름은 불투명하기 때문에 차광층을 겸할 수도 있다.
강도 향상층으로서는, 상기 기재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적절히 추가 적층할 수 있고,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을 방습층을 겸해서 적층할 수도 있다.
기재 필름층과 가스 배리어층, 차광층, 강도 향상층의 적층에는 공지의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또는 압출 라미네이션법(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을 이용할 수 있다.
실란트층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이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 체, 에틸렌―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란트층의 적층은 상기 수지를 필름 형상의 막으로 형성하고,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또는 압출 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하는 방법 또는 상기 수지를 압출 코팅해서 적층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내용물이 실란트층으로 침투하기 쉬운 것의 경우에는,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은 백 자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3방향 실링 형식, 4방향 실링 형식, 필로우(pillow) 형식 등의 평평한 파우치 형식의 백 이외, 스탠딩 파우치 형식의 백 등, 어떠한 형식의 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채용한 형식의 백의 백 제조장치를 이용하고, 이에 주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히트실링장치, 주출구부의 양측에 컷아웃부나 노치를 형성하기 위한 펀칭가공장치, 주출구부에 테이프형 시트재를 소정의 길이로 잘라 스폿형 등으로 점착하는 테이프형 시트재 설치장치, 그리고 장착된 테이프형 시트재와 그 외측의 적층 필름을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홈통형으로 열성형하고, 이 양자를 용착시키는 열프레스 성형장치, 주출구부에 엠보싱부를 형성하기 위한 엠보스 장치, 또한 하프 컷팅선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광 조사장치 등을 적절히 추가 부설함으로써 그 백 제조장치를 사용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을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1(실시예 1)의 제작
도 5에 나타낸 구성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200)을 제작하는 것으로 하고, 이하의 구성의 적층 필름과 테이프형의 시트재를 이용하여, 이하의 치수에서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을 제작해서 실시예 1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으로 했다.
(1) 벽면용 적층 필름(1, 1')의 구성
(외측)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이하, ON 필름으로 기재함)(두께 15㎛)/접착제/알루미늄 증착(증착 두께 400Å)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알루미늄 증착 PET필름으로 기재함)(두께 12㎛)/접착제/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이하, L·LDPE필름으로 기재함)(두께 120㎛)
(2) 저면용 적층 필름의 구성
(외측)ON 필름(두께 15㎛)/접착제/알루미늄 증착PET 필름(두께 12㎛)/접착제/L·LDPE 필름(두께 90㎛)
상기 각 필름의 접합은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으로 실행하고, 각 필름 사이의 접착제는 드라이 라미네이트용의 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했다.
(3) 테이프형의 시트재의 구성과 치수
테이프형의 시트재는 폭이 11mm, 길이는 30㎜로 하고, 도 1의 (c)에 나타낸 2층의 적층구성으로 백의 적층 필름에 점착되는 측의 열접착성 수지층(a)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층(두께 120㎛)으로 하고, 반대측의 층(b)은 중밀도 폴리에틸렌층(두께 140㎛)로서 총 두께가 260㎛이 되도록 형성했다.
(4)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치수 및 주출구부로의 테이프형의 시트재의 장착하는 방법의 백의 치수는 전체 폭이 135㎜이고, 전체 길이가 225㎜, 저부의 거싯부(4)의 접어 넣는 길이는 37mm로 했다.
주출구부는 도면에 나타낸 형상이고, 주출구부 실링부(7)에서 나타낸 형상의 최대부(最大部)의 폭은 40㎜이고, 최대부의 길이는 55mm로 이루어지는 크기로 형성했다. 세부(細部)에 대해서는, 하프 컷팅선(11)을 형성한 위치의 전체 폭이 24mm이고, 주출구부(10)의 끝이 가늘어지는 각도는 대략 36°로 했다.
테이프형의 시트재의 주출구부로의 점착 위치는 주출구부의 선단측이 하프컷팅선보다 1mm정도 내측으로 떨어진 위치로 하고, 그 위치에서 백의 내부를 향해서 주출구부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 30mm의 길이로 점착했다.
또한, 테이프형의 시트재의 주출구부로의 점착은 주출구부의 양면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각각 스폿 실링에 의해 실행되고, 그 후에 테이프형 시트재와 그 외측의 적층 필름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형 금형(20)을 이용하여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반원통형의 홈통형으로 열프레스 성형해서 용착시켰다.
또한, 상기 열프레스 성형에 있어서, 시트재(50)의 30mm의 길이 중, 주출구부의 선단측에 2mm, 백의 내부측에 8mm의 길이를 남기고, 중간부의 20mm의 길이만을 반원통형의 홈통형으로 열프레스 성형했다.
또한, 하프 컷팅선은 중심의 하프 컷팅선의 양측에 각 3개의 평행한 하프 컷 팅선을 각각 O.7mm 간격으로 형성하고, 또한 이 평행한 하프 컷팅선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경사 방향의 하프 컷팅선 2개를 X자형으로 형성한 형상으로 형성했다.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하여 실시예 1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1로 했다.
2.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2(실시예 2)의 제작
실시예 1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구성에 있어서, 주출구부의 양면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각각 테이프형 시트재를 점착한 후, 그 시트재와 외측의 적층 필름을 각각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홈통형으로 열성형해서 용착시킬 때, 성형 금형으로서 도 3의 (b)에 나타낸 금형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2를 제작했다.
3.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3(실시예 3)의 제작
실시예 1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구성에 있어서, 주출구부의 양면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각각 테이프형 시트재를 점착한 후, 그 시트재와 외측의 적층 필름을 각각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홈통형으로 열성형해서 용착시킬 때, 성형 금형으로서 도 3의 (c)에 나타낸 금형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3을 제작했다.
4.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4(실시예 4)의 제작
실시예 1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구성에 있어서, 주출구부의 양면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점착하는 테이프형 시트재의 적층구성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층의 두께를 160㎛로 하고, 반대측의 중밀도 폴리에틸렌층의 두께를 240㎛로 하여 총 두께 가 400㎛로 되도록 변경하며, 점착 후에 홈통형으로 열성형해서 용착시킬 때에 이용하는 성형 금형을 도 3의 〔d)에 나타낸 금형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4를 제작했다.
제2 실시예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5,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5(실시예 5)의 제작
도 19에 나타낸 구성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을 제작하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적층 필름 및 테이프형 시트재를 이용하여 이하의 치수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5를 제작했다.
(1) 테이프형 시트재의 구성과 치수
테이프형 시트재는 도 14에 나타낸 구성이고, 전체 폭이 15mm, 테이프 기재(51)는 2층 구성으로서 돌출 형상의 코드(52a, 52b)를 형성한 측의 층은 중밀도 폴리에틸렌층(두께 120㎛)로 하고, 다른 한 층(주출구부에 점착되는 쪽의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층(두께 120㎛)로 해서 총 두께가 240㎛로 되도록 형성했다. 또한, 양측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돌출 형상의 코드(52a, 52b)는 테이프 기재(51)를 포함하는 높이가 1.6mm이고, 폭이 1.5mm가 되도록 형성했다.
또한, 이 테이프형 시트재는 이형 공압출 성형법으로 제작했다.
(2)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치수
백의 치수는 전체 폭이 130㎜이고, 전체 길이가 190㎜, 저부의 거싯부(4)의 접어 넣는 길이는 38mm로 했다.
주출구부는 도 19에 나타낸 형상이고, 그 개봉 위치(즉 하프 컷팅선(11)을 형성한 위치)의 전체 폭이 26mm, 하프 컷팅선에서 주출구부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선 B까지의 길이가 약 20mm, 주출구부(1O)의 끝이 가늘어지는 각도는 38°로 했다.
또한, 테이프형 시트재의 주출구부로의 점착 길이는 주출구부의 개봉 위치(즉, 하프 컷팅선(11)에서 주출구부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선 B를 15mm 더 초과하는 위치)까지의 길이로 하여 전체 길이는 35mm로 했다.
또한, 테이프형 시트재의 주출구부로의 점착은 도 2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부의 양면의 벽면 필름 중, 한 면의 벽면 필름에만 행했다. 다만, 도 21의 (a)는 엠보싱부(S)를 형성하지 않은 점에서 다르다.
6.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6(실시예 6)의 제작
실시예 5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구성에 있어서, 테이프형 시트재의 주출구부로의 점착을 도 2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부의 양면의 벽면 필름에 그 돌출 형상의 코드끼리가 대향하도록 점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6을 제작했다.
7.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7(실시예 7)의 제작
실시예 5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구성에 있어서, 주출구부에 점착한 테이프형 시트재를 도 16에 나타낸 구성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7을 제작했다.
8,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8(실시예 8)의 제작
실시예 5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구성에 있어서, 주출구부에 점착한 테이프형 시트재를 도 16에 나타낸 구성의 것으로 변경하고, 도 21의 (d)에 나타낸 바 와 같이 돌출 형상의 코드끼리가 대향하도록 주출구부의 양면의 벽면 필름에 점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8을 제작했다.
시험 및 그의 결과
상기와 같이 제작한 실시예 1 내지 8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의 주출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각의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에 실링되기 전의 상부 실링부(8)로부터 내용물로서 액체 세제를 약 400ml 충전한 후, 상부 실링부(8)를 히트실링해서 백을 밀봉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에 의한 포장체는 모두 안정된 자립성을 가지며, 외관도 좋으며, 취급성에서도 뛰어났다.
다음으로, 각 포장체에 충전된 액체 세제의 주출 적성시험을 행하기 위해서, 각 포장체의 주출구부의 선단부를 뜯고 노치를 시점으로 해서 하프 컷팅선을 따라 잡아 찢은바, 모두 하프 컷팅선을 따라 깨끗하게 잡아 찢어져 주출구부(10)를 개봉할 수 있었다.
그리고 주출구부의 개봉과 동시에, 어떠한 포장체도 개구부의 형상이 약간 다른지만, 자동으로 주출구부(10)가 통 형상으로 보형성 좋게 개구되었다. 또한, 손으로 주출구부 실링부를 양측에서 중심부를 향해 가볍게 가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주출구부를 통 형상으로 개구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6 및 실시예 8의 포장체는 주출구부의 양면의 벽면 필름에 테이프형 시트재가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통 형상으로 개구된 개구부의 보형성이 뛰어나 안정한 통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개구된 주출구부를 별개로 준비한 병의 개구(구부의 내경은 26mm)에 삽입하고, 충전된 액체 세제의 주출을 행한 바, 어떠한 포장체도 주출 도중에 주출구부(10)가 폐쇄되지 않아 액체 세제를 마지막까지 스무스하게 주출할 수 있었고, 주출 적합성에서도 뛰어났다.

Claims (8)

  1.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백의 일단에 좁은 폭의 주출구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으로서,
    상기 주출구부의 영역에서, 백 양면의 적층 필름 중, 적어도 일측의 적층 필름의 내면에 소정 길이로 절단된 테이프형 시트재가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과 그 적층 필름에 점착된 테이프형 시트재는 백 외측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홈통형으로 열성형되어 용착되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시트재의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측의 단부 가장자리부에 돌출 형상의 코드가 형성되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시트재에는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라인 프레싱 또는 상기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한 절곡선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시트재는 2층 이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적층 필름에 점착되는 쪽의 층은 열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반대측의 층은 상기 열접착성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 또는 그 외의 열성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시트재는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부의 개봉 위치에 개봉용이 수단이 형성되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탠딩 파우치 형식의 백이며, 상기 주출구부가 백의 상부의 일측 코너부에 형성되는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KR1020087005572A 2005-08-11 2006-05-15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KR200800416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3538 2005-08-11
JPJP-P-2005-00233538 2005-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689A true KR20080041689A (ko) 2008-05-13

Family

ID=3772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572A KR20080041689A (ko) 2005-08-11 2006-05-15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02468B2 (ko)
KR (1) KR20080041689A (ko)
CN (1) CN101238040B (ko)
WO (1) WO2007017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8789B2 (ja) * 2005-08-11 2011-02-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部付き袋
JP4752558B2 (ja) * 2006-03-20 2011-08-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部付き袋
JP5035540B2 (ja) * 2007-01-19 2012-09-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部付き袋
US8449187B2 (en) * 2007-10-24 2013-05-28 World Water Bag Co., Ltd. Fluid containing bag
US20140061235A1 (en) * 2008-08-14 2014-03-06 Vladimir Ankudinov Package for paste-like products
JP2011006122A (ja) * 2009-06-29 2011-01-13 Daiwa Gravure Co Ltd 液体収納袋
JP5899618B2 (ja) * 2010-10-15 2016-04-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付包装袋及び注出口付包装袋の製造方法
US20160059998A1 (en) * 2011-02-03 2016-03-03 Vladimir Ankudinov Package for paste-like products
FR2976566B1 (fr) * 2011-06-16 2014-04-11 Oreal Sachet de conditionnement de produit cosmetique
US8381948B1 (en) * 2011-09-06 2013-02-26 Bo Xin Jian Automatic liquid stop bag with bent portion
WO2013102028A1 (en) * 2011-12-28 2013-07-04 Nexxteq Llc Sampling device
US20140053945A1 (en) * 2012-08-27 2014-02-27 Kenneth B. Albritton Storage and dispensing bag and method of dispensing contents from the same
KR102141539B1 (ko) * 2012-10-03 2020-08-05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리필 용기
CN103508055B (zh) * 2013-10-20 2016-02-10 江苏申凯包装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立包装袋
US9481495B2 (en) * 2014-04-24 2016-11-01 Scholle Ipn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US9859535B2 (en) 2014-09-30 2018-01-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uch-typ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148220A1 (ja) * 2015-03-19 2016-09-2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容器
CN107405255A (zh) * 2015-04-24 2017-11-28 株式会社帕尔医疗 输液包/输液瓶用的收纳袋、其使用方法以及制造方法
US10183785B2 (en) * 2016-04-26 2019-01-22 The Procto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s with venting structure
EP3474998A1 (en) 2016-06-28 2019-05-0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pouch with microcapillary dispensing system
US9856063B1 (en) 2016-06-30 2018-01-0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container with comfort grip
US10106301B2 (en) 2016-08-30 2018-10-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container with spout
US20210155388A1 (en) * 2019-11-25 2021-05-27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lidding fil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5376A (en) * 1970-06-05 1972-01-18 Hellstrom Harold R Quick-open flexible package
GB1345904A (en) * 1971-04-16 1974-02-06 Krawagna A A Closures
US3815810A (en) * 1972-07-07 1974-06-11 L Wellman Opening and re-sealing device for bag containers
US4027819A (en) * 1976-03-29 1977-06-07 Herrera Gutierrez Jesus Closure device for bags or similar containers
JPS6077866A (ja) * 1983-10-06 1985-05-02 望月 淳司 袋体の袋口開閉具
DE8900366U1 (de) * 1989-01-13 1989-08-03 Indag Gesellschaft für Industriebedarf mbH, 69214 Eppelheim Folienbeutel
US5005734A (en) * 1989-03-23 1991-04-09 Colgate-Palmolive Company Flexible pouch with reinforcement to facillitate pouring
DE59207087D1 (de) 1991-05-16 1996-10-17 Cellpack Ag Beutel
JPH1179195A (ja) 1997-09-04 1999-03-23 Dainippon Printing Co Ltd 詰め替え用パウチ
JP3608357B2 (ja) * 1997-11-25 2005-01-12 凸版印刷株式会社 開口維持部材付パウチ
JP3674304B2 (ja) * 1998-04-27 2005-07-20 凸版印刷株式会社 口部開口維持シート部材付パウチ
JP4127424B2 (ja) * 1998-04-28 2008-07-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自立型包装袋
US6667081B1 (en) * 1998-06-19 2003-12-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Pouch and method of producing film for pouch
JP4108847B2 (ja) * 1998-11-20 2008-06-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詰め替え用自立袋
JP2000238800A (ja) * 1999-02-19 2000-09-05 Shigeo Kai 液体密封収納袋の開封構造
JP3817963B2 (ja) * 1999-04-01 2006-09-06 凸版印刷株式会社 リクローズ可能な開口維持部材付パウチ
JP3977284B2 (ja) * 2003-05-15 2007-09-19 藤森工業株式会社 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02468B2 (en) 2011-08-23
US20090129706A1 (en) 2009-05-21
WO2007017979A1 (ja) 2007-02-15
CN101238040B (zh) 2011-01-26
CN101238040A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1689A (ko)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JP4638789B2 (ja) 注出口部付き袋
JP5107522B2 (ja) 開口保持機能付き袋
JP5365224B2 (ja) 詰め替えパウチ
JP4826324B2 (ja) 注出口部付き袋
JP4108846B2 (ja) 平底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79195A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4629414B2 (ja) 注出補助部材およびその注出補助部材を袋の注出口部に貼着した注出口部付き袋
JP4894341B2 (ja) 注出口部付き袋の製造方法
JP4894317B2 (ja) 注出口部付き袋
JP4998125B2 (ja) 注出口部付き自立袋
JP2007246157A (ja) 自立袋
JP4489515B2 (ja) ミシン目
JP5332250B2 (ja) 注出口部付き自立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12851A (ja) 注出口付き包装袋
JP5035540B2 (ja) 注出口部付き袋
JP5782748B2 (ja) 詰替え容器
JP5272288B2 (ja) 注ぎ口付きパウチ
JP4390978B2 (ja) 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2001048197A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2007112452A (ja) 注出補助部材およびその注出補助部材を袋の注出口部に貼着した注出口部付き袋
JP5071650B2 (ja) 注出口部付き自立袋
JP4467705B2 (ja) 注ぎ出し口形成パウチ
JP4357650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2007161289A (ja) 注出口部付き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