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42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422A
KR20080022422A KR1020060085835A KR20060085835A KR20080022422A KR 20080022422 A KR20080022422 A KR 20080022422A KR 1020060085835 A KR1020060085835 A KR 1020060085835A KR 20060085835 A KR20060085835 A KR 20060085835A KR 20080022422 A KR20080022422 A KR 20080022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locking
h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8784B1 (ko
Inventor
최선학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784B1/ko
Publication of KR2008002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양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된 내부의 일단에는 타단을 향해 걸림턱(16)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우징(12)과, 양측단에는 삽입가이드(26)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갈라져 두 개의 실장레그(22)가 형성되며 상기 실장레그(22) 사이에는 상기 걸림턱(16)에 대응하여 압입되도록 상기 걸림턱(16)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걸림홈(24)이 형성된 터미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터미널이 하우징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터미널의 실장레그가 하우징의 내벽을 향해 벌어지면서 결합되어, 터미널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 터미널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Ⅱ-Ⅱ'선에 대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요부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요부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이 하우징에 압입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넥터 12: 하우징
14: 통공부 16: 걸림턱
17: 안착홈 18: 체결턱
19: 유동공간 20: 터미널
21: 몸통부 22: 실장레그
24: 걸림홈 26: 삽입가이드
28: 체결공 29: 스토퍼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1)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은 일반적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후술할 터미널(4)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터미널(4)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에는 터미널(4)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4)은 상대커넥터(미도시)의 터미널과 결합하거나,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됨으로써, 다른 부품 간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4)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4)의 양측에는 가이드돌기(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6)는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터미널(4)의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6) 사이의 폭은 상기 하우징(2) 내벽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4)이 상기 하우징(2)에 삽입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6)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을 긁어 손상시키면서 압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터미널(4)이 상기 관통공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4)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돌기(6)는 상기 관통공의 내벽을 긁으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4)은 상기 하우징(2)의 재질인 합성수지보다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상기 관통공의 내벽은 상기 가이드돌기(6)에 의해 부스러지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의 내벽의 양측에는 미세한 파편(f)이 생기게 된다. 상기 파편(f)에 의해 관통공의 내벽에는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터미널(4)은 상기 하우징(2)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고 유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단자유지력, 즉 하우징(2)에 장착된 터미널(4)을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작아져 커넥터(1)의 동작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이 하우징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양측으로 관통되어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의 내부의 일단에는 타단을 향해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양측단에는 삽입가이드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갈라져 두 개의 실장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실장레그 사이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압입되도록 상기 걸림턱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걸림홈이 형성된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통공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곡면형태의 단면을 갖고, 상 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압입되도록 상기 걸림턱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는 상기 터미널이 통공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실장레그의 말단을 향해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의 양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지지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벽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턱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은 상기 안착홈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턱의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일부가 함몰되어 유동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터미널이 하우징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터미널의 실장레그가 하우징의 내벽을 향해 벌어지면서 결합되어, 터미널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Ⅱ-Ⅱ'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요부구성이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요부구성이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은 일반적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통공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14)는 후술할 터미널(2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터미널(20)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14)의 폭은 터미널(20)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14)의 내부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6)은 후술할 걸림홈(24)이 걸려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통공부(14)의 말단에서 입구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통공부(14)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6)의 폭은 후술할 걸림홈(24)의 폭보다 크게 만들어진다. 이는 걸림홈(24)이 상기 걸림턱(16)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터미널(20)의 양단이 상기 통공부(14)의 내벽에 더욱 밀착되거나, 혹은 내벽을 변형시키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턱(16)은 상기 통공부(14)의 입구를 향해 돌출된 곡면부(16')를 갖는다. 이는 걸림홈(24)이 상기 걸림턱(16)에 자연스럽게 미끌어져 들어가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곡면부(16')의 곡률은 걸림홈(24)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곡면부(16')의 곡률반경은 걸림홈(24)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터미널(20)이 상기 통공 부(1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홈(24)이 상기 걸림턱(16)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상기 통공부(14)의 내벽에 더욱 밀착되거나, 혹은 내벽을 변형시키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통공부(14)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안착홈(17)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7)은 터미널(20)에 형성된 후술할 스토퍼(29)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홈(17)은 상기 하우징(12)의 상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안착홈(17)에 스토퍼(29)가 위치되었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터미널(20)이 상기 하우징(12)에 정확히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의 통공부(14) 내벽에는 체결턱(1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18)은 후술할 터미널(20)에 형성된 체결공(28)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20)이 상기 하우징(12)과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턱(18)은 상기 통공부(14)의 내벽으로부터 하우징(1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턱(18)은 후술할 터미널(20)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17)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턱(18)은 후술할 체결공(28)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유동공간(19)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공간(19)은 후술할 터미널(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턱(18)이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통공부(14)에 터미널(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턱(18)은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되어, 상기 유동공간(19) 을 향해 밀리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공간(19)은 하우징(12) 내부에서 상기 통공부(14)가 형성된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에는 터미널(20)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20)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20)의 골격은 몸통부(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21)는 금속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21)의 하단에는 두 개의 실장레그(22)가 형성된다. 상기 레그는 상기 하우징(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실장레그(22)는 상기 몸통부(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실장레그(22)가 상기 몸통부(21)로부터 연장되는 부분, 즉, 상기 실장레그(22)가 갈라지는 부분에는 걸림홈(2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4)은 상기 걸림턱(16)에 걸려, 상기 터미널(20)이 상기 하우징(1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24)은 상기 걸림턱(1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홈(24)의 폭은 상기 걸림턱(16)의 폭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림홈(24)이 상기 걸림턱(16)에 걸리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홈(24)이 상기 걸림턱(16)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후술할 삽입가이드(26)가 상기 통공부(14)의 내벽에 더욱 밀착되거나, 혹은 내벽을 변형시키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홈(24)은 상기 걸림턱(16)에 대응되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홈(24)이 상기 걸림턱(16)에 자연스럽게 미끌어져 들어가 걸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24)의 곡률은 상기 걸림턱(16)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2)과 터미널(2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걸림홈(24)의 폭이 상기 걸림턱(16)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상기 걸림홈(24)이 걸림턱(16)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장레그(22)가 외측으로 밀려 상기 통공부(14)의 내벽에 더욱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의 단자유지력이 커지게 된다.
상기 몸통부(21)의 양측단에는 삽입가이드(2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26)는 상기 터미널(20)이 통공부(14)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삽입가이드(26)는 상기 실장레그(22)의 말단을 향해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통공부(14)에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가이드(26) 사이의 폭은 상기 통공부(14)의 내부의 폭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터미널(20)이 상기 통공부(14)에 압입되면서, 상기 삽입가이드(26)에 의해 통공부(14)의 내벽이 가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에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부(14)의 내벽의 일부에 파편(f)을 형성하면서 상기 터미널(20)이 하우징(12)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몸통부(21)의 일측에는 체결공(2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8)은 상기 체결턱(18)과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터미널(20)과 하우징(12)의 결합을 더 욱 견고하게 한다. 즉, 상기 체결공(28)은 상기 터미널(20)이 외력에 의해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공(28)은 상기 체결턱(18)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통부(21)의 양측단에는 스토퍼(29)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9)는 상기 안착홈(17)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터미널(20)이 하우징(12)의 내부에 정확히 장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20)이 상기 통공부(14)의 안으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될 수 없도록 한정하는 역할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이 하우징에 압입되는 과정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상기 터미널(20)이 장착된다. 즉,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통공부(14)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20)이 상기 하우징(12)에 삽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장레그(22)가 상기 하우징(12)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터미널(20)을 상기 통공부(14)를 향해 밀어넣는다. 즉, 상기 두 개의 실장레그(22)가 통공부(14)의 내벽 양측에 각각 접하도록 삽입한 후에, 상기 몸통부(21)의 상단을 눌러 걸림턱(16)을 향해 밀어넣는다.
상기 터미널(20)을 계속 밀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가이드(26)가 상기 통공부(14)의 내벽에 접하게 된다. 이때, 도 5b에서 보듯이, 상기 삽입가이드(26) 사이의 폭은 상기 통공부(1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두 실장레그(22)의 사이가 좁혀지며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20)의 강도가 상기 하우징(12)의 강도보다 크므로, 상기 삽입가이드(26)에 의해 상기 통공부(14)의 내벽이 긁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통공부(14)의 내벽에는 파편(f)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삽입가이드(26)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므로 상기 파편(f)은 미세한 폭으로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20)을 상기 걸림턱(16)을 향해 더욱 밀어넣으면, 상기 실장레그(22)는 상기 걸림턱(16)에 접하며 삽입된다. 이때, 상기 실장레그(22)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24)의 폭은 상기 걸림턱(16)의 폭보다 작으므로, 좁혀졌던 상기 실장레그(22)는 양측으로, 즉 도 5c에서 보듯이 화살표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삽입되어 상기 통공부(14)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통부(21)로부터 돌출된 상기 삽입가이드(26)는 상기 통공부(14)의 내벽을 일부 변형시키면서 양측으로 파고들게 되어, 상기 터미널(20)과 하우징(12)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진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통공부(14)의 내벽이 손상되더라도, 외력에 의해 터미널(20)이 하우징(12)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6)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걸림홈(24)이 안착되므로, 상기 터미널(20)은 더 이상 하우징(12)의 하방으로 밀리지 않고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공(28)에는 체결턱(18)이 삽입된다. 즉, 상기 터미 널(20)이 상기 통공부(1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턱(18)은 탄성변형되어 상기 유동공간(19)을 향해 밀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턱(1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터미널(20)을 더욱 밀어넣으면, 상기 체결공(28)은 상기 체결턱(18)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서로 결합된다. 상기 체결공(28)과 체결턱(18)이 결합되면 상기 체결턱(18)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터미널(20)은 외력으로 인해 하우징(12)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6)에 안착되는 깊이까지 상기 터미널(20)이 삽입되면, 상기 스토퍼(29)가 상기 안착홈(17)에 안착된다. 즉, 상기 스토퍼(29)가 상기 안착홈(17)에 접하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하우징(12)의 적절한 깊이까지 터미널(20)이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상기 스토퍼(29)는 상기 터미널(20)이 더 이상 상기 하우징(12)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터미널(20)이 삽입된 커넥터(10)는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실장된다. 즉, 상기 실장레그(22)를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시켜 솔더링함으로써 상기 커넥터(10)는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21)의 상부에는 상대커넥터의 터미널이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턱(16) 및 걸림홈(24)의 형상은 반드시 아치형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걸림턱(16)은 삼각형상 내지는 사다리꼴형상 등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걸림홈(24) 역시 이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 역시 반드시 기판실장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2)과 이에 삽입되는 터미널(20)을 포함하는 기타 다양한 커넥터(1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터미널에는 이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턱의 폭이 걸림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터미널이 하우징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터미널 하단으로부터 갈라져 연장되는 실장레그가 양측으로 벌어져 하우징 내벽을 변형시키면서 고정된다. 따라서, 하우징과 터미널 사이의 유격이 줄어들고 결합이 더욱 견고해져 커넥터의 단자유지력이 높아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양측으로 관통되어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의 내부의 일단에는 타단을 향해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양측단에는 삽입가이드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갈라져 두 개의 실장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실장레그 사이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압입되도록 상기 걸림턱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걸림홈이 형성된 터미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통공부의 입구를 향해 돌출된 곡면부를 갖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압입되도록 상기 곡면부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갖는 아치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가이드는 상기 터미널이 통공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실장레그를 향해 폭이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양측면에는 상기 통공부의 입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스토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함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벽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턱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턱은 상기 안착홈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턱의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일부가 함몰되어 유동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60085835A 2006-09-06 2006-09-06 커넥터 KR100838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835A KR100838784B1 (ko) 2006-09-06 2006-09-06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835A KR100838784B1 (ko) 2006-09-06 2006-09-06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422A true KR20080022422A (ko) 2008-03-11
KR100838784B1 KR100838784B1 (ko) 2008-06-17

Family

ID=3939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835A KR100838784B1 (ko) 2006-09-06 2006-09-06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7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3721A (ja) * 1995-03-31 1996-10-18 Enplas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接続装置
JPH08321342A (ja) * 1995-05-26 1996-1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子板の取り付け構造
JP3136263B2 (ja) * 1996-01-25 2001-02-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ラープラグ用ガイドプレート
KR19990010856U (ko) * 1997-08-30 1999-03-25 조희재 절연판의 단자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784B1 (ko) 200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566B1 (ko)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1176880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6866523B2 (en) Construction for mounting a terminal, a circuit board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it
JP5958583B1 (ja) 電気コネクタ
US10680361B2 (en) Card edge connector
US7540770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8390173B (zh) 基板用连接器
JP2005285654A (ja) コネクタ固定部材と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07293875B (zh) 基板用连接器
JP4846431B2 (ja) 基板用コネクタ
CN111903017B (zh) 连接器
KR10162569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0909683B1 (ko) 회로 접속용 커넥터
US20110086523A1 (en) Battery Connector
KR100838784B1 (ko) 커넥터
JP7312014B2 (ja) コネクタ装置
KR100830697B1 (ko)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JP2006012545A (ja) コネクタの保持構造
US779886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KR200465414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KR20100001329U (ko) 터미널
KR200465415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KR100933534B1 (ko) 회로 접속용 커넥터의 접속핀
KR200464158Y1 (ko) 커넥터
US6974355B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