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593A - 지료 해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료 해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593A
KR20070053593A KR1020060015498A KR20060015498A KR20070053593A KR 20070053593 A KR20070053593 A KR 20070053593A KR 1020060015498 A KR1020060015498 A KR 1020060015498A KR 20060015498 A KR20060015498 A KR 20060015498A KR 20070053593 A KR20070053593 A KR 20070053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sociation
wing
pap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218B1 (ko
Inventor
히로미 후쿠도메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4Kneading or mixing; Pulpers
    • D21B1/345Pul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4Kneading or mixing; Pulpers
    • D21B1/345Pulpers
    • D21B1/347Roto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per (AREA)

Abstract

해리 처리에 필요한 동력을 억제하면서, 높은 해리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지료 해리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료용기 내에 배치되어 제 1 구멍이 형성된 제 1 구멍판과, 제 1 다공판의 일면에 대향하고 또한 제 1 구멍 (131) 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인 제 1 구멍영역에 대하여 근접하여 회전하는 제 1 해리 날개와, 제 1 다공판의 타면에 대향하고 또한 제 1 구멍영역에 근접하여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을 동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펌프 날개와, 지료용기 내에 배치되어 제 2 구멍이 형성된 제 2 구멍판과, 제 2 다공판의 일면에 대향하고 또한 제 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인 제 2 구멍영역에 대하여 근접하여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을 동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 2 해리 날개와, 제 1 해리 날개, 펌프 날개 및 제 2 해리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지료 해리 장치{APPARATUS FOR DEFIBRATING PAPER MATERIAL}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1 의 Ⅲ-Ⅲ 화살표 방향 단면을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펌프 날개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제 2 해리 날개를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4 의 Ⅶ-Ⅶ 화살표 방향 단면을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고, 주로 제 3 해리 날개를 나타낸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고, 주로 제 4 해리 날개를 나타낸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제 1 구멍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의 제 1 구멍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4 는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5 는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14 의 XV-XV 화살표 방향 단면을 나타낸다.
도 16 은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일부파단도) 이다.
도 17 은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일부파단도) 이다.
도 18 은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일부파단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지료 해리 장치 101. 용기
102. 로터 105. 출구관
106. 회전축 108. 모터
109. 챔버 111A. 전향판
111B. 선회 방지판 112. 플랜지
121. 제 1 해리 날개 122. 제 2 해리 날개
123. 제 3 해리 날개 124. 제 4 해리 날개
125. 펌프 날개 131. 제 1 다공판
132. 제 2 다공판 160. 순환구
본 발명은 종이펄프, 회수지, 초지기에서 손상된 종이 등의 지료를 해리시키기 위한 지료 해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4 및 도 15 는 모두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 (500) 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또 도 16 은 이 지료 해리 장치 (500) 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확대사시도 (일부파단도) 이고, 도면 중 파선 화살표는 지료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들 도 14∼도 16 에 나타내는 지료 해리 장치 (500) 는 비교적 해리되기 쉬운 지료용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 지료 해리 장치 (500)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료를 수용하는 용기 (501) 의 저부에 다공판 (503)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다공판 (503) 에는 다수의 구멍이 뚫려있고, 또한 그 중심에는 로터 (502) 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로터 (502) 에는 외주측을 향해 6장의 해리 날개 (521)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로터 (502) 및 다공판 (503) 의 구조는 지료의 해리 난이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502) 의 회전축 (506) 에는 모터 (508) 가 접속되어 있고, 로터 (502) 는 이 모터 (508) 에서 동력을 얻어 회전하며, 또한 이 로터 (502) 가 회전함으로써 해리 날개 (521) 도 회전하게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502) 가 회전축 (506) 의 상단에 고정된 플랜지 (502A) 에 심 (shim ; 561) 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고, 이 심 (561) 의 매수를 증감시키거나 그 두께를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다공판 (503) 과 해리 날개 (521) 사이의 간극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해리 날개 (521) 의 회전에 의해 용기 (501) 내에 희석액인 물과 함께 투입된 지료가 교반되어, 조(粗)해리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 물과 지료의 비율은 물에 대하여 지료가 3∼8% 정도의 농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501) 의 저부에는 이 용기 (501) 의 중심에서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용기 (501) 의 내부로 융기하여 형성된 전향판 (507) 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터 (502) 및 해리 날개 (521) 의 회전에 따라 용 기 (501) 내에서 생기는 지료의 둘레방향 흐름이, 이 전향판 (507) 에 의해 세로방향의 흐름으로 전향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료는 용기 (501) 내를 둘레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순환하면서 교반됨으로써 해리 처리가 실시됨과 함께, 회전 중인 해리 날개 (521) 와 고정되어 있는 다공판 (503) 사이에서 해리 처리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 시간 로터 (502) 를 회전시킨 후에 다공판 (503) 뒤편에 형성된 챔버 (509) 의 출구관 (505) 에 형성된 밸브 (도시생략) 를 개방함으로써, 이 출구관 (505) 을 통하여 지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지료 해리 장치 (500) 에 있어서, 지료의 해리는 주로 로터 (502) 에 형성된 해리 날개 (521) 와 다공판 (503) 에 형성된 구멍 (514) 이 협동하여 실행된다. 이 점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지료는 로터 (502) 의 회전에 의해 해리 날개 (521) 와 다공판 (503) 사이의 간극에 유입된다. 그리고, 이 지료는 해리 날개 (521) 의 아래 가장자리와 구멍 (514) 의 주연 사이에서 찢어져 그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해리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17 은 비교적 풀어지기 어려운 지료를 해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지료 해리 장치 (600) 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일부파단도) 이다.
이 지료 해리 장치 (600)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긴 구멍 (614) 이 다공판 (603) 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다공판 (603) 의 이면 (즉, 해리 날개 (621) 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인 면) 에서 긴 구멍 (614) 보다도 외주 측에 환형 고정칼날 (681) 이 부착되어 있다.
또, 로터 (602) 의 플랜지 (602A) 는, 그 중심측으로부터 다공판 (603) 의 이면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외주부분에는 상기 고정칼날 (681) 과 대향하도록 환형 회전칼날 (682) 이 부착되어 있다.
이 지료 해리 장치 (600) 의 구조에 의하면, 로터 (602) 가 회전함으로써 해리 날개 (621) 와 다공판 (603) 사이의 간극에 유입된 지료가 해리 날개 (621) 의아래 가장자리와 긴 구멍 (614) 의 주연에 의해 찢김으로써 해리 처리가 실시되게 되어 있다.
그 후, 긴 구멍 (614) 을 통과한 지료는 고정칼날 (681) 과 회전칼날 (682) 사이에서 더 잘게 해리된 후, 다공판 (603) 의 외주부에 형성된 순환구 (660) 를 통하여 용기 (도시생략) 로 되돌아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정 시간 로터 (602) 를 회전시킴으로써 해리 처리가 완료되면, 다공판 (603) 의 뒤편에 형성된 챔버 (609) 의 출구관 (도시생략) 에 형성된 밸브 (도시생략) 가 개방되어 해리가 끝난 지료가 배출되게 되어 있다.
또, 도 18 은 상기 서술한 지료 해리 장치 (600) 에 의해 해리되는 지료보다도 더 해리되기 어려운 지료의 해리에 사용되는 지료 해리 장치 (700) 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일부파단도) 이다.
이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공판 (703) 에는 복수의 둥근 구멍 (714)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로터 (702) 의 플랜지 (702A) 는 로터 (702) 의 중심축 C402 측으로부터 다공판 (703) 의 이면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로터 (702) 의 외주측에는 상기 다공판 (703) 의 이면 (해리 날개 (721) 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인 면) 에 대향하도록 회전칼날 (펌프 날개 ; 725) 이 부착되어 있다. 또, 이 펌프 날개 (725) 는 환형 기체 (725A) 와, 이 기체 (725A) 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칼날 (725B)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료 해리 장치 (700) 의 구조에 의하면, 로터 (702) 가 회전함으로써 해리 날개 (721) 와 다공판 (703) 사이의 간극에 유입된 지료가 해리 날개 (721) 의 아래 가장자리와 긴 구멍 (714) 의 주연 사이에서 찢겨져 해리된다.
그 후, 둥근 구멍 (714) 을 통과한 지료는 펌프 날개 (725) 의 칼날 (725B) 과 둥근 구멍 (714) 사이에서 더 미세하게 해리된 후, 이 다공판 (703) 의 뒤편에 형성된 챔버 (709) 의 외주에 형성된 순환구 (760) 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용기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서술한 도 14∼도 16 에 나타내는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제35816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4∼도 16 에 나타내는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 (500) 및 도 17 에 나타내는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 (600) 에 구비된 해리 날개 (521, 621) 는, 용기 내의 지료를 찢으면서 교반하는 기능과, 다공판 (503, 603) 과 협동하여 지료의 해리를 더욱 촉진시키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지료 해리 장치 (500 및 600) 에 있어서, 해리 날개 (521, 621) 에 의한 교반력이 약한 경우에는 다공판 (503, 603) 에서의 구멍 (514, 614)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 (작용부분) 에 지료를 집중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이것은, 해리 날개 (521, 621) 에 의한 교반력이 약하면 지료가 떠올라버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리 날개 (521, 621) 에 의한 교반력을 크게 한다는 수법을 채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수법에 의하면 당연히 로터 (502, 602) 에 대한 구동력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어, 에너지 절약화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 희석액에 대한 지료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로터 (502, 602) 를 회전시키기 위해 큰 구동토크가 요구되지만, 이러한 경우에 구동토크를 더 증대시키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결국은 해리 처리가 불충분해지거나 또는 해리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하는 사태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 (500, 600) 는 반드시 해리효과가 좋다고는 할 수 없다.
또, 도 16 에 나타내는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 (500) 에서는, 해리 날개 (521) 와 다공판 (503) 사이의 간극에서 지료를 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이 지료 해리 장치 (500) 에서의 지료는 둘레방향의 흐름보다도 직경방향의 흐름이 강하기 때문에 지료는 외주측으로 모여, 해리 날개 (521) 와 다공판 (503) 사이의 간극에 유입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도 17 에 나타내는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 (600) 에서는, 해리 날개 (621) 및 다공판 (603) 에 더하여 고정칼날 (681) 과 회전칼날 (682) 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 15 에 나타내는 지료 해리 장치 (500) 에서는 해리하기 어려웠던 지료라 해도 해리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고정칼날 (681) 과 회전칼날 (682) 이 대향하는 부분 (작용부분) 이 로터 (602) 의 회전중심에서 떨어진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터 (602) 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토크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지료 해리 장치 (600) 에 있어서, 긴 구멍 (614) 을 통하여 다공판 (603) 의 하면에 유입한 지료가 비교적 큰 경우, 이 지료는 고정칼날 (681) 과 회전칼날 (682) 사이의 간극에 들어갈 수 없다.
이 때문에, 지료 해리 장치 (600) 에서는 고정칼날 (681) 및 회전칼날 (682) 보다도 내주측에서 미해리 지료가 퇴적되기 쉽다는 과제도 있다.
한편, 도 18 에 나타내는 종래의 지료 해리 장치 (700) 에서는, 해리 날개 (721) 가 구비됨과 함께 다공판 (703) 의 뒤편에 회전칼날 (펌프 날개 ; 725) 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 17 에 나타내는 지료 해리 장치 (600) 에서는 해리되기 어려운 지료라 해도 해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이 지료 해리 장치 (700) 에 있어서, 펌프 날개 (725) 의 칼날 (725B) 의 회전궤적 상에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된 둥근 구멍 (714) 을 통하여 챔버 (709) 내에 유입된 지료는, 다공판 (703) 및 펌프 날개 (725) 에 의한 해리 처리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순환구 (760) 를 통하여 용기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해리 효과가 높다고는 할 수 없고, 또한 펌프 날개 (725) 의 칼날 (725B) 과 다공판 (703) 에 의해 해리 처리가 실시된 지료도 순환구 (760) 를 통하여 용기로 되돌아 가 다시 해리 처리가 실시되게 되기 때문에 해리 효율이 좋다고는 할 수 없다.
또, 다공판 (703) 및 펌프 날개 (725) 에 의한 해리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공판 (703) 및 펌프 날개 (725) 의 직경을 크게 하거나 펌프 날개 (725) 의 회전수를 높이거나 하는 수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법에서는 로터 (702) 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도 커져 에너지절약의 관점에서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해리 처리에 필요한 동력을 억제하면서 높은 해리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지료 해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료 해리 장치는, 지료용기 내에 희석액과 함께 투입된 지료를 해리시키는 지료 해리 장치로서, 상기 지료용기 내에 배치되어 제 1 구멍이 형성된 제 1 구멍판과, 상기 제 1 구멍판의 일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 1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인 제 1 구멍영역에 대하여 근접하여 회전하는 제 1 해리 날개와, 상기 제 1 구멍판의 타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 1 구멍영역에 근접하여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을 동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펌프 날개와, 상기 지료용기 내에 배치되어 제 2 구멍이 형성된 제 2 구멍판과, 상기 제 2 구멍판의 일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 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인 제 2 구멍영역에 대하여 근접하여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을 동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 2 해리 날개와, 상기 제 1 해리 날개, 상기 펌프 날개 및 상기 제 2 해리 날 개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구동원을 작동시킴으로써 제 1 해리 날개, 펌프 날개 및 제 2 해리 날개를 회전시켜, 용기 내에 희석액과 함께 투입된 지료를 회전 중인 제 1 해리 날개와 제 1 구멍판 사이 (제 1 작용부분) 로 적극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구멍판과 회전 중인 펌프 날개 사이 (제 2 작용부분) 로 적극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또한 회전 중인 제 2 해리 날개와 제 2 구멍판 사이 (제 3 작용부분) 로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해리 처리에 필요한 동력을 억제하면서 지료에 대한 높은 해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상방에는 제 3 해리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해리 날개는,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에서 그 외주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외주단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상방에는 제 4 해리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 4 해리 날개는,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에서 그 외주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외주단까지의 거리보다 짧고 또한 그 높이가 상기 제 3 해리 날개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해리 날개는 복수 장 형성되고, 상기 복수 장의 제 1 해리 날개의 상방에는 각각 상기 제 3 해리 날개와 상기 제 4 해리 날개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용기 내에 희석액과 함께 투입된 지료를 더 양호하게 교반하여 해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제 2 구멍판을 향해 돌출하는 칼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해리 날개의 칼날부는 상기 제 2 구멍판에 대한 간극이 그 후류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칼날부와 제 2 구멍판 사이에서 부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제 2 구멍판에 형성된 제 2 구멍 내에 지료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보다 구멍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 1 구멍의 구멍 면적보다도 제 2 구멍의 구멍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 1 구멍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조해리 처리된 지료만을 제 2 구멍판에 도달시키고, 그 후 제 2 구멍판에 형성된 제 2 구멍을 통과한 지료, 즉 제 2 구멍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조해리 처리된 지료만을 해리 처리가 완료된 지료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제 1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회전 중인 제 1 해리 날개를, 제 1 구멍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한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해리 날개와 긴 구멍인 제 1 구멍을 가위의 양날과 같이 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제 1 해리 날개와 제 1 구멍 사이 (제 1 작용부분) 에서 큰 힘으로 지료를 찢는 것이 가능해져, 해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회전 중인 제 2 해리 날개를 제 2 구멍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한 그대로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 제 2 해리 날개와 긴 구멍인 제 2 구멍을 가위의 양날과 같이 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제 1 해리 날개와 제 2 구멍 사이 (제 2 작용부분) 에서 큰 힘으로 지료를 찢는 것이 가능해져, 해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 2 구멍을 용이하게 뚫는 것이 가능해지고 생산효율을 향상시켜 코스트 다운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 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료에 대하여 원심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많은 지료를 원통형상의 제 2 구멍판에 가이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해리 처리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해리 날개의 칼날부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서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제 2 구멍판에 형성된 제 2 구멍 내에 지료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 2 구멍을 통과할 수 없어 제 2 구멍판 상에 퇴적한 지료를 이 홈부를 통하여 외주측으로 보낼 수도 있다.
또, 상기 제 1 구멍은 3∼40㎜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구멍은 0.15∼16㎜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판의 개구율은 10∼5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구멍판에 요구되는 강성을 확보하면서 높은 해리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3 및 제 4 해리 날개의 외연부와 제 1 해리 날개의 상면부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 또는 예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 3 및 제 4 해리 날개의 외연 상단을 뾰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지료를 양호하게 찢어 효율적으로 해리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멍판의 일면과는 반대측인 타면측에 배치된 통로이며 상기 제 2 구멍판의 일면측에서 타면측으로 제 2 구멍을 통과한 지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관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 1 구멍판은, 상기 제 1 구멍 영역보다도 외주측에 뚫려 형성되며 상기 제 1 구멍판의 타면측과 상기 용기 내를 연통시키는 순환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 2 구멍을 통과할수록 잘게 해리된 지료, 즉 해리완료 지료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구멍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해리되었으나 제 2 구멍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는 잘게 해리되지 않은 지료 (즉, 반처리 지료) 를 용기 내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져, 연속운전에 의한 해리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도 1∼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료 해리 장치 (100)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 (100) 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 도 2 는 그 중심 근방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확대도, 도 3 은 도 1 의 Ⅲ-Ⅲ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4 는 그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5 는 펌프 날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 도 6 은 제 2 해리 날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 도 7 은 도 4 의 모식적인 Ⅶ-Ⅶ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8 및 도 9 는 그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 도 10 은 제 1 구멍을 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지료 해리 장치 (100) 의 요부구성 (부호 100A) 을 이하 「교반해리부」라는 명칭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이 지료 해리 장치 (100) 에는,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지료용기 (101) 가 구비되고, 이 용기 (101) 에는 희석액으로서의 물과 함께 지료가 수용되게 되어 있다.
또, 용기 (101) 의 저부 (101b) 에는 제 1 다공판 (제 1 구멍판 ; 131) 및 챔버 (109) 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이 챔버 (109) 에 대해서는 제 2 다공판 (제 2 구멍판 ; 132) 이 부착되어 있다.
이 중, 챔버 (109) 에는 해리 처리가 완료된 지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관 (105) 이 형성됨과 함께, 물을 용기 (101) 내에 도입하는 희석수구 (110)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출구관 (105) 및 희석수구 (110) 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챔버 (109) 의 중심에는 회전축 (106) 이 삽입되는 슬리브 (109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회전축 (106) 의 축심 C102 는 후술하는 로터 (102) 의 회전중심축과 일치하고 있다.
또, 이 챔버 (109) 내에는 제 1 다공판 (131) 과 제 2 다공판 (132) 사이이고 또한 펌프 날개 (152) 및 제 2 해리 날개 (122) 보다도 외주측의 공간인 선별부 (109f)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펌프 날개 (125) 및 제 2 해리 날개 (122)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용기 (101) 의 내측에는 전향판 (111A) 과 선회방지판 (111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전향판 (111A) 은 용기 (101) 의 측부 (101a) 로부터 저부 (101b) 에 걸쳐 비스듬하게, 또한 용기 (101) 의 내측을 향해 융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전향판 (111A) 이 형성됨으로써 용기 (101) 내에서의 지료의 둘레방향 흐름 (이후 「선회 흐름」이라 함) 을 세로방향의 흐름 (이후 「세로 흐름」) 으로 전향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선회방지판 (111B) 은 용기 (101) 의 측부 (101a) 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용기 (101) 의 내측으로 융기하여 형성되어 있어, 선회 흐름의 발생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1 다공판 (131) 은 중앙에 개구를 갖는 환형의 판 한 장이며, 로터 (102) 의 회전중심인 축심 C102 를 동심으로 하여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제 1 다공판 (131) 에는 복수의 긴 구멍 (제 1 구멍 ; 141) 및 순환구 (160)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다공판 (131) 은 챔버 (109) 를 상방으로부터 덮은 상태에서 볼트 (170) 에 의해 챔버 (109) 의 몸통부 (109b)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다공판 (131) 의 상면 (일면 ; 131a) 에 근접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 1 해리 날개 (121) 가 회전함과 함께 이 제 1 다공판 (131) 의 하면 (타면 ; 131b) 에 근접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펌프 날개 (152) 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구멍 (141) 은 제 1 다공판 (131) 의 세그먼트마다 11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도 10 에서는 다공판 (131) 을 가상적으로 16분할한 것 중 하나의 세그먼트 (131A) 를 예시한다. 또, 이 도 10 에서 2점차선으로 나타내는 것은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하측 앞 가장자리 (121b) 이고, 이 제 1 해리 날개 (121) 는 도 10 중 화살표 R12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102) 의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 이 도 10 중 부호 α121b 로 나타내는 각도는, 제 1 구멍 (141A) 의 길이 방향 축선 C141 과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하측 앞 가장자리 (121b) 의 각도이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0 중 오른쪽에서 다섯 번째인 제 1 구멍 (141A5) 에서의 길이방향 축선 C141A5 과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하측 앞 가장자리 (121b) 가 이루는 각도만을 예시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세그먼트 (131A) 에 있어서, 가장 오른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구멍 (141A1) 은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하측 앞 가장자리 (121b) 가 이 제 1 구멍 (141A1) 에 교차한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 축선 C141A1 과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하측 앞 가장자리 (121b) 의 각도 α121b 가 0도보다도 약간 큰 각도 (예를 들어 α121b≒1°) 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 밖의 제 1 구멍 (141A2∼141A11) 은, 상기 서술한 우단의 제 1 구멍 (141A1) 의 길이방향 축선 C141A1 과 그 길이방향 축선이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0 에 나타내는 세그먼트 (131A) 에 있어서, 가장 왼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구멍 (141A11) 의 길이방향 축선 C141A11 과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하측 앞 가장자리 (121b) 의 각도 α121b 는 약 20도가 된다.
다시 말해, 세그먼트 (131A) 에 있어서, 각도 α121b 는 약 1∼20°의 범위에서, 가장 오른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구멍 (141A1) 으로부터 가장 왼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구멍 (141A11) 을 향해 서서히 증대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 제 1 구멍 (141A1∼141A11) 을 형성함으로써, 제 1 해리 날개 (121) 가 회전하였을 때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하측 앞 가장자리 (121b) 가 각 제 1 구멍 (141A1∼141A11) 에 대하여 기울어져 교차하여 통과하게 할 수 있어, 제 1 해리 날개 (121) 와 각 제 1 구멍 (141A1∼141A11) 을 가위의 양날과 같이 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실용상 이들 각 제 1 구멍 (141A1∼141A11) 의 구멍 폭은 약 3∼40㎜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들 각 제 1 구멍 (141A1∼141A11) 의 구멍 길이는 약 3∼25㎜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판명되었다. 또한, 제 1 다공판 (131) 에 있어서 제 1 구멍 (141) 을 물리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면적에 대한, 제 1 구멍 (141) 의 개구 면적의 비율 (즉, 제 1 다공판의 개구율) 은 실용상 약 10∼50%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판명되었다.
또, 제 1 구멍 (141) 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지료의 해리 효율은 향상된다는 점에서, 제 1 구멍 (141) 의 개수는 제 1 다공판의 개구율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에서는 가능한 한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다공판 (131) 의 중심에는, 축심 C102 를 동심으로 하고, 제 1 다공판 (131) 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수 있게 로터 (102) 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로터 (102) 는 회전축 (106) 및 V 벨트 (107) 를 통하여 모터 (구동원 ; 108) 와 접속되어 있으며, 모터 (108) 가 구동함으로써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 이 모터 (108) 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스위치가 구비되며, 이 제어스위치를 통하여 오퍼레이터가 모터 (108) 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회전축 (106) 의 슬리브 (106a) 는 액누출방지용 시일 (119) 을 통하여 챔버 (109) 의 슬리브 (109a) 에 의해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 회전축 (106) 의 선단부에는 로터 (102) 의 플랜지 (102A) 를 지지하는 로터슬리브 (102B) 가 삽입되어 있고, 또한 로터 (102) 의 상단부에 부착된 커버 (190) 를 통하여 로터 (102) 와 회전축 (106) 은 볼트 (191)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102A)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102) 의 축심 C102 측으로부터 제 1 다공판 (131) 하면의 외주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 (102A) 의 축심 C102 측에는 제 1 해리 날개 (121) 가 볼트 (140)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이 제 1 해리 날개 (121) 는, 도 1 에 나타 내는 바와 같이 6장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장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상에서는 3∼16장의 범위에서 적절히 그 장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제 1 해리 날개 (121) 와 플랜지 (102A) 사이에는 심 (151) 이 개재 장착되어 있으며, 이 심 (151) 의 두께를 변경하거나 심 (151) 의 장수를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제 1 해리 날개 (121) 와 제 1 다공판 (131) 간의 거리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제 1 해리 날개 (121) 와 제 1 다공판 (131) 간의 거리는 약 0.5∼5㎜ 정도로 설정함으로써 높은 해리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여기에서, 도 2 를 사용하여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회전영역 A121 및 제 1 다공판 (131) 의 제 1 구멍영역 A141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중,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회전영역 A121 은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하고 또한 로터 (102) 의 축심 C102 로부터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외주단 (121c) 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외원 R121OUT 과,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하고 또한 축심 C102 로부터 제 1 해리 날개 (121) 의 내주단 (121d) 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내원 R121IN 사이에서 둘러싸여 정의되는 영역이다.
한편, 제 1 다공판 (131) 의 제 1 다공영역 A141 은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하고 또한 축심 C102 로부터 제 1 구멍 (141) 의 외주단 (141a) 까지의 거리를 반경으 로 하는 외원 R141OUT 과,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하고 또한 축심 C102 로부터 제 1 구멍 (141) 의 내주단 (141b) 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내원 R121IN 사이에서 둘러싸여 정의되는 영역이다.
다시 말해, 이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회전영역 A121 은 제 1 다공판 (131) 의 제 1 다공영역 A141 을 모두 포함하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로터 (102) 가 회전하면, 그 회전각에 상관없이 6장의 제 1 해리 날개 (121) 모두가 항상 어느 하나의 제 1 구멍 (141) 과 교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장의 제 1 해리 날개 (121) 위에는 제 3 해리 날개 (123) 및 제 4 해리 날개 (124) 가 각각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제 3 해리 날개 (123) 는 도 1 및 도 8 에 나타내는 삼각추 형상의 날개이고, 축심 C102 로부터 그 외연부 (123b) 까지의 거리 L123 이 축심 C102 로부터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외주단 (121c) 까지의 거리 L121 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 3 해리 날개 (123) 는 그 외연부 (123b) 와,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상면부 (121d) 가 이루는 각도 α123 가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제 3 해리 날개 (123) 의 외연부 (123b) 와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상 면부 (121d) 가 이루는 각 α123 은, 직각 또는 예각이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지료의 해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판명되었다.
이 중, 제 4 해리 날개 (124) 는 도 1 및 도 9 에 나타내는 삼각추 형상의 날개이고, 축심 C102 로부터 그 외연부 (124b) 까지의 거리 L124 가 축심 C102 로부터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외주단 (121c) 까지의 거리 L121 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4 해리 날개 (124) 의 높이 h124 는 제 3 해리 날개 (123) 의 높이 h123 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제 4 해리 날개 (123) 는 그 외연부 (124b) 와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상면부 (121d) 가 이루는 각도 α124 가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제 4 해리 날개 (123) 의 외연부 (124b) 와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상면부 (121d) 가 이루는 각 α124 은 직각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각이 되도록 설정한 경우라 해도 지료의 해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판명되었다.
플랜지 (102A) 의 상면에는 축심 C102 를 동심으로 하는 환형의 펌프 날개 (125) 가 볼트 (180) 에 의해 고정되며, 제 1 해리 날개 (121) 및 펌프 날개 (125) 사이에서 제 1 다공판 (131) 을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플랜지 (102A) 와 펌프 날개 (125) 사이에는 심 (152) 이 개재 장착되어 있고, 이 심 (152) 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제 1 다공판 (131) 과 펌프 날개 (125) 사이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이 제 1 다공판 (131) 과 펌프 날개 (125) 의 거리를 약 0.5∼5㎜ 정도로 설정함으로써 높은 해리 효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 펌프 날개 (125) 는, 제 1 다공판 (131) 과 협동함으로써 지료를 해리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여기에 더하여 용기 (101) 내의 종이를 제 1 다공판 (131) 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유통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펌프 날개 (125)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의 기체 (125A) 와, 이 기체 (125A) 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칼날 (125B)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기체 (125A) 는 상면에서 볼 때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칼날 (125B) 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125A) 상에서 축심 C102 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방사선상으로, 또한 직선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각각이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칼날 (125B) 은 예를 들어 어느 정도 큰 반경의 원호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들 칼날 (125B) 은 제 1 다공영역 A141 을 포함하는 영역을 차지하도록 기체 (125A) 상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펌프 날개 (125) 에는, 플랜지 (102A) 와 이 펌프 날개 (125) 를 접속하기 위한 볼트 (180) 가 삽입되는 볼트구멍 (125C) 도 형성되어 있다.
제 2 다공판 (132)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다공판 (131) 과 같이 축심 C102 을 동심으로 하여 중앙에 개구를 갖는 환형의 판이고,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 (제 2 구멍 ; 142) 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 2 다공판 (132) 은 출구관 (105) 의 상방에 배치되고, 챔버 (109) 내에 형성된 좌대 (109C, 109D) 에 대하여 볼트 (182, 182)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제 2 다공판 (132) 의 상면 (일면 ; 132a) 에 근접하여 후술하는 제 2 해리 날개 (122) 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제 2 구멍 (142) 의 직경은, 실용상으로는 약 0.15∼16㎜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 2 다공판 (132) 의 개구율에 대해서는 약 10∼5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판명되었다. 또, 제 2 구멍 (142) 의 개수에 비례하여 해리 효율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이 제 2 구멍 (142) 의 개수는 개구율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를 만족하는 한에서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102) 의 플랜지 (102A) 에서의 하면에 제 2 해리 날개 (122) 가 볼트 (181)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이 제 2 해리 날개 (122)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장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 2 해리 날개 (122) 의 장수는 4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상으로는 3∼8장의 범위에서 적절히 그 장수를 변경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6장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이 제 2 해리 날개 (122) 와 플랜지 (102A) 사이에는 심 (153) 이 개재 형성되어 있고, 이 심 (153) 의 두께를 변경하거나 그 장수를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제 2 해리 날개 (122) 와 제 2 다공판 (132) 의 거리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제 2 해리 날개 (122) 와 제 2 다공판 (132) 간의 거리를 약 0.5∼5㎜ 정도로 설정함으로써 높은 해리 효율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해리 날개 (122) 의 전면 (122a) 은 플랜지 (102A) 에 대하여 각도 α122a1 로 경사진 면 (사면 ; 122a1) 과, 플랜지 (102A) 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어 설치된 벽면 (직립면 ; 122a2)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사면 (122a1 ) 을 형성함으로써 제 2 해리 날개 (122) 가 회전할 때 생기는 흐름 저항을 감소시키고, 또한 직립면 (122a2) 를 형성함으로써 제 2 해리 날개 (122) 에 의한 해리 효과를 감소시키려고 연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제 2 해리 날개 (122) 의 하면 (122b) 은 후류측으로 갈수록 플랜지 (102A) 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고, 제 2 다공판 (132) 에 대한 간극이 후류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하면 (122b) 과 제 2 다공판 (132) 사이에서 부압을 발생시켜, 제 2 다공판 (132) 에 형성된 제 2 구멍 (142) 내에 지료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연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해리 날개 (122) 의 직경방향 거 리 W122 는 제 2 다공판 (132) 의 직경방향 거리 W132 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고, 높은 해리 효과와 로터 (102) 의 회전에 요하는 모터 (108) 의 구동토크 저감을 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 (10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 지료 해리 장치 (100) 가 작동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작용이 일어나거나 또한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제어스위치를 오퍼레이터가 온으로 함으로써 모터 (108) 가 작동하고, 이 모터 (108) 로부터 회전축 (106) 에 동력이 전달되면, 로터 (102) 가 회전함으로써 제 1 해리 날개 (121) 및 펌프 날개 (125) 가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1 해리 날개 (121) 는 제 1 다공판 (131) 의 상면 (131a) 에 근접한 상태에서 회전하고, 또한 펌프 날개 (125) 는 제 1 다공판 (131) 의 하면 (131b) 에 근접한 상태에서 회전한다.
또, 6장의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상면 (121d) 에서 교대로 형성된 제 3 해리 날개 (123) 및 제 4 해리 날개 (124) 도 로터 (102) 의 회전과 함께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로 인해, 지료는 용기 (101) 내에서 양호하게 교반된다.
그리고, 로터 (102) 가 회전하면 (도 7 중 화살표 R121 참조),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상측 앞 가장자리 (121a) 및 제 3 해리 날개 (123) 의 상측 앞 가장자 리 (123a) 에 의해, 용기 (101) 내의 지료가 효율적으로 찢어진다. 특히, 제 3 해리 날개 (123) 의 정상부 (외연 상단 ; 123c) 및 제 4 해리 날개 (124) 의 정상부 (외연 상단 ; 124c) 는 각각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101) 내의 지료를 세게 찢을 수 있다.
또, 제 1 해리 날개 (121), 제 3 해리 날개 (123) 및 제 4 해리 날개 (124) 의 회전에 의해 용기 (101) 에서 지료의 선회 흐름이 생기지만, 용기 (101) 내에 형성된 전향판 (111A) 및 선회방지판 (111B) 에 의해 이 선회 흐름은 세로 흐름으로 전향되어 지료는 용기 (101) 내부를 순환한다.
한편, 로터 (102) 가 회전하면 펌프 날개 (125) 도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로 인해 지료에 대하여 원심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챔버 (109) 내 (더 자세하게는 펌프 날개 (125) 에서의 칼날 (125B) 과 칼날 (125B) 사이에 형성된 홈부 G125) 에 있는 지료가 강제적으로 외주로 송출되어, 펌프 날개 (125) 의 홈부 G125 내의 압력이 저하된다. 그리고, 용기 (101) 내의 지료가 펌프 날개 (125) 의 선회영역 상에 형성된 제 1 다공판 (131) 의 복수의 제 1 구멍 (141) 을 통하여, 압력이 저하된 펌프 날개 (125) 의 홈부 G125 내에 강제적으로 도입된다.
또, 펌프 날개 (125) 가 회전함으로써 용기 (101) 내의 지료가 챔버 (109) 내에 강제적으로 도입되는 작용을 펌프 날개 (125) 에 의한 「흡인작용」이라고 하는데, 이 흡인작용에 의해 제 1 다공판 (131) 의 제 1 구멍 (141) 을 통하여 챔버 (109) 내에 흡인되는 지료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해리 날개 (121) 의 하측 앞 가장자리 (121b) 와 제 1 구멍 (141) 의 상연 (141a) 사이에서 찢어짐과 함께, 또한 그 후 제 1 구멍 (141) 의 아래 가장자리 (141b) 와 펌프 날개 (125) 의 상측 앞 가장자리 (125B1) 사이에서 찢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챔버 (109) 의 선별부 (109F) 에 송출된 지료는, 그 후 중력작용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 제 2 다공판 (132) 에 형성된 복수의 둥근 구멍 (142) 을 통과하여 다시 하방으로 흐르게 한다.
이 둥근 구멍 (142) 의 내경은 제 1 다공판 (131) 에 형성된 제 1 구멍 (141) 의 내경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구멍 (141) 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는 해리되었지만 제 2 구멍 (142) 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는 해리되지 않은 지료 (이후 「반처리 지료」라 함) 가, 이 제 2 다공판 (132) 의 상면 (132a) 에 퇴적되고, 한편 충분히 해리되어 그 크기가 작아진 지료만이 이 둥근 구멍 (142) 을 통과하여 해리완료 지료로서 출구관 (105) 을 통하여 배출된다.
또, 챔버 (109) 내의 선별부 (109F) 내에 송출된 지료의 일부는, 회전 중인 제 2 해리 날개 (122) 와 제 2 다공판 (132) 사이에 유입되어 제 2 해리 날개 (122) 와 제 2 다공판 (132) 사이에서 찢어지고, 그 크기가 작아진 것은 제 2 다공판 (132) 의 둥근 구멍 (142) 을 통과하여 해리 처리후의 지료로서 출구관 (105) 을 통하여 배출된다.
또, 이 제 2 해리 날개 (122) 가 회전함으로써 지료의 해리가 촉진될 뿐만 아니라 제 2 다공판 (132) 상에 지료가 잔류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 2 다공판 (132) 에 형성된 복수의 둥근 구멍 (142) 은 그 내경이 작고, 이 둥근 구멍 (142) 을 통과할 수 없는 지료는 제 2 다공판 (132) 상에 잔류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 (100) 에서는, 제 2 해리 날개 (122) 가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 2 다공판 (132) 상에 잔류한 지료를 제거할 수 있고, 그 후 이 지료를 원심력에 의해 챔버 (109) 내의 선별부 (109F) 내의 외주측으로 송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해리 날개 (122) 의 직경방향 거리 W122 가 제 2 다공판 (132) 의 직경방향 거리 (도 3 중 부호 W132 참조) 보다도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언뜻 제 2 해리 날개 (122) 가 통과하지 않는 영역에서의 제 2 다공판 (132) 의 상면 (122a) 에는 반해리 지료가 잔류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그러한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제 2 해리 날개 (122) 가 회전하여 제 2 해리 날개 (122) 의 전면에 형성된 경사면 (122a) 에 의해 모인 잔류 지료가, 그 후 원심력에 의해 챔버 (109) 의 선별부 (109F) 의 외주측으로 송출될 때, 제 2 해리 날개 (122) 에 의해 직접적으로는 모이지 않은 반해리 지류도 함께 선별부 (109F) 의 외주측으로 송출되기 때문이다.
또, 제 2 해리 날개 (122) 의 직경방향 거리 W122 를 제 2 다공판 (132) 의 직경방향 거리 W132 와 동일해지도록 형성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 2 해 리 날개 (122) 의 직경방향 거리 W122 를 제 2 다공판 (132) 의 직경방향 거리 W132 보다도 짧게 함으로써, 제 2 해리 날개 (122) 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동력, 즉 로터 (102) 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 (108) 에 요구되는 구동토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화라는 관점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제 2 다공판 (132) 의 둥근 구멍 (142) 을 통과할 수 없는 반해리 지료는, 제 1 다공판 (131) 의 외주측에 형성된 순환구 (160) 를 통하여 다시 용기 (101) 로 되돌아간다.
다시 말해, 반해리 지료는 챔버 (109) 의 선별부 (109F) 에 일시적으로 체류하지만, 펌프 날개 (125) 및 제 2 해리 날개 (122) 가 회전함으로써 생긴 선별부 (109F) 내의 압력에 의해 이 선별부 (109F) 로부터 제 1 다공판 (131) 에 형성된 순환구 (160) 를 통과해 용기 (101) 내로 송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 (100) 에 의하면, 용기 내에 희석액과 함께 투입된 지료를, 회전 중인 제 1 해리 날개 (121) 와 제 1 다공판 (131) 사이 (제 1 작용부분) 에 적극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다공판 (131) 과 회전 중인 펌프 날개 (125) 사이 (제 2 작용부분) 에 적극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고, 또한 회전 중인 제 2 해리 날개 (122) 와 제 2 다공판 (132) 사이 (제 3 작용부분) 에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 (108) 에 요구되는 구동토크를 억제하면서 지료에 대한 높은 해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복수의 제 1 해리 날개 (121) 상에 제 3 해리 날개 (123) 및 제 4 해리 날개 (124) 를 각각 교대로 형성함으로써 용기 (101) 내에 희석액과 함께 투입된 지료를 더 양호하게 교반할 수 있음과 함께, 회전 중인 제 3 해리 날개 (123) 및 제 4 해리 날개 (124) 가 지료를 양호하게 찢을 수 있기 때문에, 해리 처리의 효율을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3 해리 날개 (123) 및 제 4 해리 날개 (124) 를 제 1 해리 날개 (121) 상에 형성함으로써, 제 1 해리 날개 (121) 의 높이를 낮게 한 경우에도 충분한 해리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 경우 로터 (102) 를 회전시키는 모터 (108) 에 요구되는 구동토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펌프 날개 (125) 가 회전함으로써 생기는 흡인효과에 의해 용기 (101) 로부터 제 1 구멍 (141) 을 통하여 챔버 (109) 내에 흡인되는 지료를, 제 3 해리 날개 (123) 및 제 4 해리 날개 (124) 에 의해 교반함과 함께 찢을 수 있기 때문에 로터 (102) 의 회전속도를 높이지 않더라도 지료의 해리 효율를 향상시킬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에 더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2 해리 날개 (칼날부 ; 122) 를 제 2 다공판 (132) 에 대한 간극이 그 후류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칼날부 (122) 와 제 2 다공판 (132) 사이에서 부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제 2 구멍 (132) 내에 지료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구멍 (141) 의 구멍 면적보다도 작은 구멍 면적이 되도록 제 2 구 멍 (142) 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구멍 (141) 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조해리 처리된 지료만을 제 2 다공판 (132) 에 도달시키고, 그 후 제 2 구멍 (142) 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조해리 처리된 지료만을 해리완료 지료로서 출구관 (105) 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 제 1 구멍 (141) 을 제 1 다공판 (131) 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하고,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 C141 을 제 1 해리 날개 (121) 에 대하여 0 보다도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지도록 설정함으로써, 회전 중인 제 1 해리 날개 (121) 가 제 1 구멍 (141) 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여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해리 날개 (121) 와 긴 구멍인 제 1 구멍 (141) 을 가위의 양날과 같이 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제 1 해리 날개 (121) 와 제 1 구멍 (141) 사이 (제 1 작용부분) 에서 큰 힘으로 지료를 찢는 것이 가능해져, 해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2 해리 날개 (122) 를 복수 장 형성함으로써 해리 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복수의 제 2 해리 날개 (122) 사이에는 각각 홈부 G122 를 형성함으로써 이 홈부 G122 에서 부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제 2 다공판 (132) 에 형성된 제 2 구멍 (142) 내에 지료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 2 구멍 (142) 을 통과할 수 없어 제 2 다공판 (132) 상에 퇴적한 반해리 지료를, 이 홈부 G122 를 통하여 선별부 (109F) 의 외주측으로 보낼 수도 있다.
또, 제 1 구멍 (141) 의 구멍 폭 W141 을 3∼40㎜ 로 형성함과 함께 제 2 구멍 (142) 의 구멍 폭 W142 를 0.15∼16㎜ 로 형성하고, 또한 제 1 및 제 2 구멍판 (131, 132) 의 개구율을 10∼50% 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제 1 및 제 2 구멍판 (131, 132) 에 요구되는 강성을 확보하면서 높은 해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3 및 제 4 해리 날개 (123, 124) 의 외연부 (123b, 124b) 와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상면부 (121A) 가 이루는 각도 α123, α124 를 직각 또는 예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3 및 제 4 해리 날개 (123, 124) 의 외연 상단 (123b, 124b) 을 뾰족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지료를 양호하게 찢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제 2 다공판 (132) 에 있어서 제 2 해리 날개 (122) 의 하면 (122b) 측에 배치되며 제 2 구멍 (142) 을 통과한 지료 (즉, 해리완료 지료) 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관 (105) 을 구비함으로써, 이 해리완료 지료만을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여 다음 공정으로 보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다공판 (131) 에 있어서 제 1 다공영역 A141 보다도 외주측에 형성되며 제 1 다공판 (131) 과 용기 (101) 를 연통시키는 순환구 (160) 를 형성함으로써 제 1 구멍 (141) 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해리되었으나 제 2 구멍 (142) 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는 잘게 해리되지 않은 지료 (즉, 반해리 지료) 를 용기 (101) 내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져, 연속운전에 의한 해리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이 순환구 (160) 를 통하여 용기 (101) 내로 되돌아간 지료를 제 1 해리 날개 (121), 제 3 해리 날개 (123) 및 제 4 해리 날개 (124) 에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연속운전에 의한 해리 처리를 실행한 경우라 해도 높은 해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몇 가지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여기에서는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중점을 두고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데 사용한 도면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도 11 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 (100) 의 변형예 로서의 지료 해리 장치 (200) 의 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도 11 중에서 특징적인 구성요소는 제 3 해리 날개 (223), 제 2 다공판 (232) 및 제 2 해리 날개 (222) 이다. 또, 이 제 3 해리 날개 (223) 에 대한 설명은, 제 4 해리 날개 (224) 로서 치환해도 동일한 설명이 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 3 해리 날개 (223) 만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제 3 해리 날개 (223) 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제 3 해리 날개 (123 ; 도 4 참조) 와 다른 점은, 그 외연부 (123b) 의 일부에 절결부 (223d) 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즉, 이 제 3 해리 날개 (223) 에 절결부 (223d) 를 형성함으로써 그 전투영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로터 (102) 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 (108) 에 요구되는 구동토크를 줄이면서 지료의 해리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의 제 2 다공판 (232) 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제 2 다공판 (132 ; 도 4 참조) 과 다른 점은, 축심 C102 를 길이방향의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그 상단은 외주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다시 말해, 이 제 2 다공판 (232) 은 원통형의 벽면으로서 형성된 부분 (원통벽면부 ; 232A) 과,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 (수평부 ; 232B) 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이 제 2 다공판 (232) 은 수평부 (232B) 가 볼트 (170) 에 의해 제 1 다공판 (131) 과 함께 챔버 (209) 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통벽면부 (232A) 및 수평부 (232B) 에는 각각 복수의 제 2 구멍 (241)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제 2 구멍 (241) 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해리 날개 (222) 가 플랜지 (102A) 의 외주단에 고정 설치되고, 원통형의 제 2 다공판 (232) 의 내측이며 또한 원통형의 제 2 다공판의 내면에 근접하여 회전하게 되어 있는 점도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제 2 해리 날개 (122 ; 도 4 참조) 와 다르다.
또한, 원통형의 제 2 다공판 (232) 의 내측이며 또한 제 2 해리 날개 (222) 의 하방에는 용기 (101) 와 챔버 (209) 내를 연통시키는 순환관 (261)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챔버 (209) 의 외주측에는 출구관 (205) 이 형성되어, 제 2 구멍 (241) 을 통과한 지료 (즉 해리완료 지료) 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 11 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로터 (102) 가 회전하면 용기 (101) 내의 지료는 제 1 해리 날개 (121), 제 3 해리 날개 (123) 및 제 4 해리 날개 (124) 에 의해 교반되고, 또한 제 1 해리 날개 (121) 와 제 1 다공판 (131) 사이에서 해리된다. 그 후, 지료는 제 1 구멍 (141) 을 통과해 제 1 다공판 (131) 의 하면에 도달하고, 여기에서 제 1 다공판 (131) 과 펌프 날개 (125) 사이에서 찢어짐으로써 다시 해리되어, 펌프 날개 (125) 의 외주측으로 송출된다.
그 후, 이 지료는 제 2 해리 날개 (222) 와 제 2 다공판 (232) 사이의 간극에 유입되어 제 2 해리 날개 (222) 와 제 2 다공판 (232) 사이에서 찢어짐으로써 더욱 해리 처리되어 그 크기가 더 작아진다.
그리고, 제 2 다공판 (232) 에 형성된 제 2 구멍 (241) 의 구멍직경보다도 작게 해리 처리된 지료는 이 제 2 구멍 (241) 을 통과하고, 그 후 출구관 (205) 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 2 구멍 (241) 의 구멍직경보다도 큰 지료는 순환구 (160) 를 통하여 용기 (101) 로 되돌아가거나 또는 원통형의 제 2 다공판 (232) 의 내측이며 또한 제 2 해리 날개 (222) 의 하방에 배치된 순환관 (261) 을 통하여 용기 (101) 로 되돌아간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1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 (200) 에 의하면, 제 2 해리 날개 (222) 와 제 2 다공판 (232) 사이에서 해리 처리를 실시한 지료에 대하여 원심력을 작용시켜 보다 많은 지료를 원통형상의 제 2 구멍판 (232) 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해리 효과를 대폭 향 상시킬 수 있다.
도 12 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지료 해리 장치 (100) 의 변형예로서의 지료 해리 장치 (300) 의 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이 도 12 에 나타내는 제 1 해리 날개 (121), 제 3 해리 날개 (123), 제 1 다공판 (131), 펌프 날개 (125) 의 기체 (125A) 및 칼날부 (125B), 플랜지부 (102A) 및 제 2 다공판 (132) 에 대해서는 도 7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시 말해, 이 도 12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관련된 지료 해리 장치 (100) 에서 특징적인 구성요소는 제 2 해리 날개 (322) 이다. 이 제 2 해리 날개 (322) 는, 환형의 기체 (322A) 와, 이 기체 (322A) 의 하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칼날 (322B)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기체 (322A) 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칼날 (322B) 은 기체 (322A) 의 하면에서 축심 C102 를 대략 중심으로 하여 방사선상으로 또한 직선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각각이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칼날 (322B) 은 예를 들어 어느 정도 큰 반경의 원호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이 복수의 칼날 (322B, 322B) 사이에는 홈부 G32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2 해리 날개 (322) 의 수를 대폭 늘릴 수 있기 때문에, 해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 2 다공판 (132) 의 상면에 퇴적 되는 반해리 지료를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나 변형예로서 도 1∼도 12 에 도시한 구성 이외의 변형예에 대해서도 만약을 위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다공판 (131) 중 어느 하나의 세그먼트 (131A) 에서 11개의 긴 구멍 (141) 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멍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리하고자 하는 지료의 양이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긴 구멍 (141) 의 수를 적절히 증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다공판 (131) 이 환형의 판 한 장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그먼트마다 분할하여 형성하고, 그 후, 챔버 (109) 에 고정할 때 축심 C102 를 중심으로 하는 환형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긴 구멍 (141A1∼141A11) 이 하나의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의 각 긴 구멍 (141A1∼141A8 ; 도 10 참조) 을,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측의 각 긴 구멍 (141A1-1∼141A8-1) 과, 내주측의 각 긴 구멍 (141A1-2∼141A8-2) 으로 2분할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제 1 다공판 (131) 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구멍 (141) 이 긴 구멍으로서 형성 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0 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구멍 (141) 을 긴 구멍으로서 형성하는 편이 이른바 가위 효과가 얻어진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구멍 (142) 이 둥근 구멍인 경우에 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이 제 2 구멍 (142) 을 제 2 다공판 (132) 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하고,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을 제 2 해리 날개 (122) 에 대하여 0 보다도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지도록 설정해도 된다.
이로써, 회전 중인 제 2 해리 날개 (122) 를 제 2 구멍 (142) 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여 통과하게 할 수 있으며, 바꿔 말하면 제 2 해리 날개 (122) 와 긴 구멍인 제 2 구멍 (142) 을 가위의 양날과 같이 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제 2 해리 날개 (122) 와 제 2 구멍 (142) 사이 (제 2 작용부분) 에서 큰 힘으로 지료를 찢는 것이 가능해져, 해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1∼제 4 해리 날개 (121, 122, 123, 124) 나 펌프 날개 (125) 의 가장자리부는 서서히 마모하게 되지만, 이 마모대책으로서 이들 날개 (121, 122, 123, 124) 의 전면에 내마모성능이 우수한 재질의 교환날을 부착해도 된다.
또한 제 1∼제 4 해리 날개 (121, 122, 123, 124) 나 펌프 날개 (125) 의 날개배열이나 그 배치간격 (피치) 및 그 형상은 상기 서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개방한 용기 (101) 의 저부에 교반해리부 (100A ; 도 4 참조) 를 형성한 형식의 지료 해리 장치 (100) 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밀폐한 용기를 구비한 형식의 지료 해리 장치나 교반해리부 (100A) 를 용기 (101) 측면에 형성하도록 한 지료 해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해리 날개 (121) 상에 제 3 해리 날개 (123, 223) 를 고정한 경우를 설명하고, 또한 제 1 해리 날개 (121) 상에 제 4 해리 날개 (124, 224) 를 고정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3 해리 날개 (123, 223) 가 제 1 해리 날개 (121) 의 상방에서 제 1 해리 날개 (121) 와는 별개로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되며, 또한 제 4 해리 날개 (124, 224) 가 제 1 해리 날개 (121) 와는 별개로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서, 해리 처리에 필요한 동력을 억제하면서 높은 해리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지료 해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5)

  1. 지료용기 내에 희석액과 함께 투입된 지료를 해리시키는 지료 해리 장치로서,
    상기 지료용기 내에 배치되어 제 1 구멍이 형성된 제 1 구멍판과,
    상기 제 1 구멍판의 일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 1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인 제 1 구멍영역에 대하여 근접하여 회전하는 제 1 해리 날개와,
    상기 제 1 구멍판의 타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 1 구멍영역에 근접하여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을 동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펌프 날개와,
    상기 지료용기 내에 배치되어 제 2 구멍이 형성된 제 2 구멍판과,
    상기 제 2 구멍판의 일면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 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인 제 2 구멍영역에 대하여 근접하여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을 동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 2 해리 날개와,
    상기 제 1 해리 날개, 상기 펌프 날개 및 상기 제 2 해리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상방에는 제 3 해리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해리 날개는,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에서 그 외주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외주단까지 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상방에는 제 4 해리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 4 해리 날개는,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에서 그 외주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 1 해리 날개의 외주단까지의 거리보다 짧고 또한 그 높이가 상기 제 3 해리 날개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해리 날개는 복수 장 형성되고,
    상기 복수 장의 제 1 해리 날개의 상방에는 각각 상기 제 3 해리 날개와 상기 제 4 해리 날개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제 2 구멍판을 향해 돌출하는 칼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해리 날개의 칼날부는 상기 제 2 구멍판에 대한 간극이 그 후류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보다 구멍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제 1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 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3∼40㎜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구멍은 0.15∼16㎜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판의 개구율은 10∼5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해리 날개의 외연부와 제 1 해리 날개의 상면부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 또는 예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의 일면과는 반대측인 타면측에 배치된 통로이며 상기 제 2 구멍판의 일면측에서 타면측으로 제 2 구멍을 통과한 지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관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 1 구멍판은, 상기 제 1 구멍 영역보다도 외주측에 뚫려 형성되며 상기 제 1 구멍판의 타면측과 상기 용기 내를 연통시키는 순환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제 2 구멍판을 향하여 돌출하는 칼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해리 날개의 칼날부는 상기 제 2 구멍판에 대한 간극이 그 후류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보다도 구멍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제 1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지료 해리 장치.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3∼40㎜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구멍은 0.15∼16㎜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판의 개구율은 10∼5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보다도 구멍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제 1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3∼40㎜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구멍은 0.15∼16㎜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판의 개구율은 10∼5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제 1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3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해리 날개는 복수 장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해리 날개의 상방에는 각각 상기 제 3 해리 날개와 상기 제 4 해리 날개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제 2 구멍판을 향해 돌출하는 칼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해리 날개의 칼날부는 상기 제 2 구멍판에 대한 간극이 그 후류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보다도 구멍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제 1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3.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3∼40㎜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구멍은 0.15∼16㎜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판의 개구율은 10∼5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4.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3∼40㎜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구멍은 0.15∼16㎜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판의 개구율은 10∼5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제 2 구멍판을 향하여 돌출하는 칼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해리 날개의 칼날부는, 상기 제 2 구멍판에 대한 간극이 그 후류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보다도 구멍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제 1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2.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3∼40㎜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구멍은 0.15∼16㎜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판의 개구율은 10∼5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보다도 구멍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제 1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69.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3∼40㎜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구멍은 0.15∼16㎜ 의 구멍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판의 개구율은 10∼50% 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7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제 1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지료 해리 장치.
  7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2 구멍판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2 해리 날개에 대하여 0 보다 크고 20도 이하인 범위에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78.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지료 해리 장치.
  7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대략 진원의 둥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80.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81.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8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은, 상기 회전축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상기 원통형의 제 2 구멍판의 내주측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8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리 날개는 복수의 상기 칼날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칼날부 사이에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85. 제 2 항, 제 3 항, 제 12 항, 제 13 항, 제 21 항, 제 22 항, 제 28 항, 제 29 항, 제 34 항, 제 38 항, 제 41 항, 제 43 항, 제 44 항, 제 52 항, 제 53 항, 제 54 항, 제 61 항, 제 62 항, 제 68 항, 제 69 항, 제 74 항, 제 78 항, 제 81 항, 제 83 항 또는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판의 일면과는 반대측인 타면측에 배치된 통로이며 상기 제 2 구멍판의 일면측에서 타면측으로 제 2 구멍을 통과한 지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관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제 1 구멍판은, 상기 제 1 구멍 영역보다도 외주측에 뚫려 형성되며 상기 제 1 구멍판의 타면측과 상기 용기 내를 연통시키는 순환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료 해리 장치.
KR1020060015498A 2005-11-21 2006-02-17 지료 해리 장치 KR100755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6249A JP2007138354A (ja) 2005-11-21 2005-11-21 紙料離解装置
JPJP-P-2005-00336249 2005-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593A true KR20070053593A (ko) 2007-05-25
KR100755218B1 KR100755218B1 (ko) 2007-09-04

Family

ID=3805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498A KR100755218B1 (ko) 2005-11-21 2006-02-17 지료 해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14311A1 (ko)
JP (1) JP2007138354A (ko)
KR (1) KR100755218B1 (ko)
CN (1) CN19708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81966B (zh) * 2007-09-27 2011-08-10 杭州珂瑞特机械制造有限公司 无粘附解纤装置及解纤方法
JP4594398B2 (ja) * 2008-01-16 2010-12-0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離解濾過装置
DE102008029043A1 (de) * 2008-06-18 2009-12-24 Voith Patent Gmbh Stoffauflöser
ITMO20090190A1 (it) * 2009-07-23 2011-01-24 Carlo Guidoboni Impianto di recupero con separazione degli scarti di produzione della carta da parati, con separazione dei due componenti pvc e cellulosa con sistema centrifugo senza l'utilizzo di additivi chimici, ma utilizzando solo acqua a temperatura ambiente e
EP2616584B1 (de) 2010-09-17 2016-03-09 Hans-Joachim Boltersdorf Pulper mit einem siebblech
DE102011005024A1 (de) * 2011-03-03 2012-09-06 Voith Patent Gmbh Rotor
DE102011082976A1 (de) 2011-09-19 2013-03-21 Günter Betz Vorrichtung zum Aufschlagen (zerkleinern, zerfasern, auflösen, aufbereiten) von Altpapieren und Zellstoffen in einem Pulper (Stofflöser)
CN103669061B (zh) * 2013-12-05 2016-06-15 富阳市以勒科技有限公司 双效水力碎浆***
CN104328703A (zh) * 2014-10-29 2015-02-04 长沙正达轻科纸业设备有限公司 一种造纸厂用水力碎浆机
JP6945449B2 (ja) * 2015-07-14 2021-10-06 ローター工業株式会社 パルパーおよびパルパーロータの刃部構造
FI126446B (en) * 2015-12-29 2016-12-15 Red Wire Oy Rotor unit for processing recycled material
DE102018109634A1 (de) * 2018-04-23 2019-10-24 Voith Patent Gmbh Stoffauflöser
GB2603257B (en) * 2020-11-30 2023-03-01 Kerry Mech Engineering Limited A Mac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5756A (en) * 1960-04-04 1963-04-16 Bolton John W & S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ulping
JPS5982491A (ja) * 1982-10-28 1984-05-12 株式会社岩科製作所 離解機
JPS6139197A (ja) * 1984-07-31 1986-02-25 セコム株式会社 警備システム
US4586662A (en) * 1984-11-08 1986-05-06 Beloit Corporation Flexible spoke rotor for multiple disk refiner
JPH01139886A (ja) * 1987-07-27 1989-06-01 Aikawa Iron Works Co Ltd 故紙原料の溶解離精選装置
JPH02118190A (ja) * 1988-10-26 1990-05-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パルパ
JPH03279478A (ja) * 1990-03-23 1991-12-10 Aikawa Tekko Kk 製紙用パルパー
JPH0559681A (ja) * 1991-08-29 1993-03-09 Aikawa Tekko Kk 製紙用分離装置
US5282980A (en) * 1992-02-18 1994-02-01 Kinetic Dispersion Corporation Method for treatment of waste water sludge
JPH06128887A (ja) * 1992-10-19 1994-05-10 Iwashina Seisakusho:Kk 離解機におけるロータ構造
JPH06299487A (ja) * 1993-04-09 1994-10-25 Iwashina Seisakusho:Kk パルパー
US5522553A (en) * 1994-09-29 1996-06-04 Kady Internationa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suspensions of finely divided matter
JP3581686B2 (ja) * 2001-12-26 2004-10-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紙料離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218B1 (ko) 2007-09-04
CN1970884B (zh) 2010-08-11
CN1970884A (zh) 2007-05-30
JP2007138354A (ja) 2007-06-07
US20070114311A1 (en)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218B1 (ko) 지료 해리 장치
US4356085A (en) Rotary screening machine for pulp suspensions
DE68918740T2 (de) Wirkungsweise und Gerät zur Gasabtrennung von einem gepumpten Medium mittels einer Pumpe.
US4200537A (en)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paper pulp
US3912622A (en) Screening machine with lights removal
EP1143065B1 (de) Sortierer und Flügel für die Papiererzeugung
US5232552A (en) Screening device
EP1056904A2 (de) Vollmantel-zentrifuge für gemische, insbesondere für faserstoffsuspensionen in der papierindustrie
US4075089A (en) Flotation cell with eccentric rotor and stator
EP0650542B1 (en) Screening apparatus for papermaking pulp
US3305180A (en) Process of pulping and defibering paper stock and apparatus therefor
KR100424750B1 (ko) 지료 정선 장치
US4880532A (en) Sorting apparatus for fiber suspensions
EP1837437B1 (en) Screen device
KR920008777B1 (ko) 종이원료정제장치
US3690571A (en) Apparatus for disintegrating and separating material in fluid suspension
EP1672118A1 (en) Screen apparatus
JP7416589B2 (ja) 多段型スクリーン
CN113751162A (zh) 一种餐厨垃圾除砂破碎除杂一体化预处理设备
JP3595544B2 (ja) 紙料分離精選装置
JP4934881B2 (ja) 古紙裁断用ロータ
JP2003155679A (ja) 紙料精選装置
EP1394318A1 (de) Drucksortierer zum Sieben einer Faserstoffsuspension
WO20040464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fiber suspension
CN212856202U (zh) 一种幻彩云母分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