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871A - N3―치환된 이미다조피리딘 c―kit 억제제 - Google Patents

N3―치환된 이미다조피리딘 c―kit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871A
KR20060119871A KR1020067003586A KR20067003586A KR20060119871A KR 20060119871 A KR20060119871 A KR 20060119871A KR 1020067003586 A KR1020067003586 A KR 1020067003586A KR 20067003586 A KR20067003586 A KR 20067003586A KR 20060119871 A KR20060119871 A KR 2006011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pyridine
imidazo
benzyl
carbox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린도 엘. 캐스텔라노
앤드류 필립 크루
한-큉 동
라도슬로우 라우퍼
안-후 리
리 퀴
스미스 콜린 피터 샘브룩
타오 장
Original Assignee
오에스아이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에스아이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에스아이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1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Abstract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는 암 치료에 유용하다:
화학식 I
Figure 112006012720934-PCT00021
N-옥사이드, 암

Description

N3―치환된 이미다조피리딘 C―KIT 억제제{N3-SUBSTITUTED IMIDAZOPYRIDINE C-KIT INHIBITORS}
본 발명은 N3-치환된 이미다조피리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c-Kit 원발암유전자(또한 KIT, CD-117, 줄기 세포 인자 수용체, 비만 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로서도 공지됨)의 억제제인 N3-치환된 이미다조피리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c-Kit 원발암유전자는 태아형성, 멜라닌형성, 조혈, 및 비만세포증, 위장 종양, 및 다른 충실성 종양뿐만 아니라 AML을 포함한 특정 백혈병의 병인에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상기 c-Kit 수용체의 억제제인 신규 화합물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과증식성 질환(암)에 대한 현재의 치료 섭생들 중 다수는 DNA 합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의 작용 기전은 세포, 특히 빠르게 분열하는 종양 세포에 독성이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의 광범위한 독성은 환자 본인에게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DNA 합성의 억제와 다르게 작용하는 항암제에 대한 다른 접근법들이 상기 항암 작용의 선택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의해 부작용을 감소시키고자 탐구되었다.
세포는 그의 DNA의 일부가 종양유전자(즉 작용 시 악성 종양 세포의 형성을 유도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됨으로써 암성으로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수의 종양유전자들은 세포 형질전환을 일으킬 수 있는 이상 단백질-티로신 키나제인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상이한 경로에 의해, 정상적인 원발암유전성 티로신 키나제의 과발현은 또한 증식성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때때로 악성 표현형을 생성시킨다. 한편으로, 동일한 세포 유형 내에서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및 그의 동족 리간드의 동시-발현이 또한 악성 형질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는 세포막에 걸쳐 있는 큰 효소이며 i) 성장 인자, 예를 들어 KIT 리간드(또한 줄기 세포 인자(SCF), 스틸 인자(SLF) 또는 비만 세포 성장 인자(MGF)로서도 공지됨)에 대한 세포 외 결합 도메인, ii) 막통과 도메인, 및 iii) 단백질 중의 특정한 티로신 잔기들을 인산화시키는 키나제로서 작용하는 세포 내 부분을 갖는다. KIT 티로신 키나제에 대한 KIT 리간드의 결합은 수용체 동종이량체화, KIT 티로신 키나제 활성의 활성화, 및 후속적인 각종 단백질 기질들(이들 중 다수는 세포 내 신호 전달의 효과기이다)의 인산화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사건들은 향상된 세포 증식을 유도하거나 또는 향상된 세포 생존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일부 수용체 키나제들과 함께 수용체 이종이량체화가 또한 일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키나제는 흔히 통상적인 인간 암, 예를 들어 유방암, 두경부암, 위장암, 예를 들어 결장, 직장 또는 위암, 백혈병, 및 난소, 기관지, 폐 또는 췌장암에서 이상 발현된다. KIT 키나제 발현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인간 악성 종양들, 예를 들어 비만세포증/비만 세포 백혈병, 위장 간질 종양(GIST), 소 세포 폐암종 (SCLC), 부비동 비강 천연 킬러/T-세포 림프종, 고환암(고환종), 갑상선 암종, 악성 흑색종, 난소 암종, 샘낭암종,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유방 암종, 소아성 T-세포 급성 림프모구백혈병, 혈관육종, 역형성 대 세포 림프종, 자궁내막 암종, 및 전립선 암종에서 보고되었다. KIT의 키나제 활성은 여러 상기- 및 추가적인 종양들, 예를 들어 유방 암종, SCLC, GIST, 배세포 종양, 비만 세포 백혈병, 신경모세포종, AML, 흑색종 및 난소 암종의 병태생리학에 연루되어 왔다.
종양 세포의 KIT 활성화에 대한 여러 기전들, 예를 들어 활성화 돌연변이, 상기 수용체 키나제의 그의 리간드에 의한 자가분비 및 주변분비 활성화, 단백질-티로신 포스파타제 활성의 손실, 및 다른 키나제들에 의한 교차 활성화가 보고되었다. 상기 활성화 돌연변이에 의해 개시된 형질전환 기전은 이량체 형성 및 키나제 도메인의 증가된 고유 활성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 구성 리간드-독립적인 키나제 활성화와, 추정 상 변경된 기질 특이성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Kit 단백질의 30 개를 초과하는 활성화 돌연변이들이 인간에서 고도의 악성 종양과 관련지어졌다.
따라서,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억제제는 포유동물 암세포의 성장에 선택적인 억제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예를 들어, BCR-ABL 융합 유전자 산물의 키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2-페닐피리미딘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인 글리벡(Gleevec)TM(또한 이마티니브 메실레이트, 또는 STI571로서 공지되어 있다)이 최근 미국 식품 의약품 안전청에 의해 CML의 치료에 승인되었다. 글리벡TM은 BCR-ABL 키나제를 억제하는 이외에, KIT 키나제 및 PDGF 수용체 키나제를 또한 억제하지만, 상기 KIT 키나제의 모든 돌연변이 동형들에 대해 유효한 것은 아니다. MO7e 인간 백혈병 세포의 Kit 리간드-자극된 성장은 글리벡TM에 의해 억제되며, 이는 또한 상기 조건 하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대조적으로, MO7e 인간 백혈병 세포의 GM-CSF 자극된 성장은 글리벡TM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더욱이, KIT 키나제가 세포의 형질전환에 연루된 질병인 GIST 환자의 치료에 글리벡TM을 사용한 최근의 임상 연구들에서, 상기 환자들 중 다수가 현저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상기 연구는 KIT 키나제 억제제가 어떻게, 그 성장이 KIT 키나제 활성에 의존하는 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를 입증한다. 다른 키나제 억제제들은 훨씬 더 큰 키나제 선택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4-아닐리노퀴나졸린 화합물인 타세바(Tarceva)TM는 오직 EGF 수용체 키나제만을 큰 효능으로 억제하지만, 상기는 추정 상 상기 수용체들이 EGF 수용체와 이종이량체를 형성한다는 사실 덕분에 다른 수용체 키나제들의 신호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항암 화합물들이 당해 분야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개선된 항암 약제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하며 보다 양호한 선택성 또는 효능을 갖거나 감소된 독성 또는 부작용을 갖는 신규 화합물의 개발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국 특허 제 5,990,146 호 및 6,218,388 호에는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매개된 세포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벤즈이미다졸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348,032 호에는 종양 세포를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에 의해 억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1/21634 호에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및 그의 조합적인 라이브러리들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1/57020 호에는 인자 Xa의 인돌 및 벤즈이미다졸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0/15222 호에는 cGMP 포스포디에스테라제의 축합된 피리딘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1/12600 호에는 인자 Xa의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97/12613 호에는 염증 및 죽상경화증의 치료 및 예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316,474 호에는 2-벤질 및 2-헤테로아릴 벤즈이미다졸 NMDA/NR2b 길항물질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479,508 호에는 바이러스 폴리머라제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444,617 호에는 축합된 헤테로사이클 디카복실산 디아미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 제초제 및 그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087,380, 6,414,008, 및 6,469,039 호에는 이치환된 비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118,688 호에는 테트라하이드로피리돈퀴놀론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4,975,435 호에는 불안증 치료에 유용한 몇몇 1H-피롤로[3,4-b]퀴놀린-1-온-9-아미노-2,3-디하이드로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548,524 호에는 오르토-설폰아미도 비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하이드록삼산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348,474 호에는 설폰아미드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972,980 호 및 6,001,866 호에는 염증 및 죽상 경화증의 치 료 및 예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814,651 호에는 선택성 PDEIV 억제제로서 카테콜 디에테르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329,383 호에는 2-아미노-5-피리미딘 아세트산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688,809 호에는 5-헤테로아릴인돌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출원 EP 0 846 689 호에는 벤즈이미다졸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0/59888 호에는 N-벤즈이미다졸릴메틸- 및 N-인돌릴메틸-벤즈아미드 및 CRF 조절제로서 그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2/069965 호에는 치료제로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2/30886 호에는 헤테로사이클릭 혈관형성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162,804 호에는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465,484 호에는 혈관형성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0/12089 호에는 신규의 혈관형성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독일 특허 공보 DE 2244908에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인 중합체성 멤브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출원 EP 0 706 795에는 TNF 방출 억제제로서 카테콜 디에테르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2/076960 호에는 전이금속 매개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2/059118 호에는 카복스아미드의 N-(옥시알킬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2/04425 호에는 바이러스 폴리머라제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2/083143 호에는 CXCR3 길항물질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1/57019 호에는 인자 Xa의 인돌론 및 벤즈이미다졸론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출원 EP 1 085 372에는 개선된 색상 재현을 갖는 사진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1/14342 호에는 아미노카보닐-치환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 WO 00/76501 호에는 IL-8 수용체 길항물질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종양의 치료를 위해서 Kit 억제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화합물은 다른 키나제들, 예를 들어 GIST, FLT3, 조혈성 R-PTK, PDGFR-베타 또는 KDR에서 활성이어서 비만 세포 백혈병, 소 세포 폐암(SCLC), 비만세포증, 백혈병, 척수형성이상 질환, 또는 혈관형성 의존성 질병에 효능을 더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는 종양의 치료에 유용하다:
Figure 112006012720934-PCT00001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6012720934-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NR3R31, -NR3C(O)R31, -NR3C(O)OR31, -NR3SO2R31, -OR3, -SR3, -SO2R3, -CO2R3, -CO2H, -CO-NR3R31, -N(C0 - 8알킬)(C0 - 8알킬) 또는 -CN 그룹이나, 단 Y가 존재하고 m>1인 경우, R1은 할로겐, -CN, NO2, -C0 - 8알킬, -N(C0 - 8알킬)(C0 - 8알킬), C2 - 8알케닐, C2 - 8알키닐, -NR3R31, -NR3C(O)R31, -NR3C(O)OR31, -NR3SO2R31, -OR3, -SR3, -SO2R3, -CO2R3, -CO2H, -CO-NR3R31, 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그룹이고;
R2는 H, -C0 - 8알킬 또는 -C3 - 10사이클로알킬이고;
X는 H, 할로겐, NR32R33, NR32COR33, NR32CO2R33, NR32SO2R33, OR32, SR32, SO2R32, SO2NR32R33, CO2R32, CO2H, CONR32R33, -C0 - 8알킬, -C2 - 8알케닐, -C2 - 8알키닐, CN, CF3, OCF3, NO2, 옥소, 사이클릴 및 헤테로사이클릴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그룹이고;
Y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Figure 112006012720934-PCT00003
또는
Figure 112006012720934-PCT00004
(여기에서
X에 대한 결합 지점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이거나 우측일 수 있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0 - 8알킬, -C2 - 8알케닐, -C2 - 8알키닐, -C3 - 10사이클로알킬, -C3 - 10사이클로알케닐, -C0 - 8알콕시, -티오C1 - 8알킬, 카복실, -N(C0-8알킬)(C0-8알킬), 옥소 또는 하이드록시이거나; 또는 이들이 결합된 C와 함께, 고리 교점에 0 내지 4 개의 N, O, S, SO 또는 SO2를 임의로 함유하는 포화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3 내지 10 원의 고리를 형성하고;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C0 - 8알킬, -C2 - 8알케닐, 벤질 또는 아실이거나; 또는 Ra 또는 Rb와 함께 3 내지 7 원의 포화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고리를 형성하고;
m은 0, 1, 2, 3, 4 또는 5이다)이고;
Z는 할로겐, NR34R35, NR34COR35, NR34CO2R35, NR34SO2R35, OR34, SR34, SO2R34, SO2NR34R35, CO2R34, CO2H, CONR34R35, -C0 - 8알킬, -C2 - 8알케닐, -C2 - 8알키닐, CN, CF3, NO2, 옥소, 사이클릴 및 헤테로사이클릴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그룹이거나; 또는 X 및 Y가 존재하는 경우, Z는 -C1 - 8알킬 또는 -C1 - 8알킬-O-C1 - 8알킬일 수 있고;
R3, R31, R32, R33, R34 및 R35는 독립적으로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OH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0 - 8알킬; -C0 - 8알킬-C3 - 8사이클로알킬, CF3, -C0 - 8알킬-O-C0 - 8알킬, -C0-8알킬-N(C0-8알킬)(C0-8알킬), -C0 - 8알킬-S(O)0-2-C0 - 8알킬; 또는 -C0 - 8알킬, 사이클릴 또는 치환된 사이클릴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이다.
하나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R1이 -CONR3R31이고; 다른 변수들은 상기 화학식 I에 대해 개시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R1이 -CONR3R31이고; X가 사이클릴이고; 다른 변수들은 상기 화학식 I에 대해 개시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R1이 -CONR3R31이고; X가 사이클릴이고; Y가 존재하지 않으며; 다른 변수들은 상기 화학식 I에 대해 개시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R1이 -CONR3R31이고; X가 사이클릴이고; Y가
Figure 112006012720934-PCT00005
이고; 다른 변수들은 상기 화학식 I에 대해 개시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R1이 -CONR3R31이고; X가 사이클릴이고; Y가
Figure 112006012720934-PCT00006
이고; 다른 변수들은 상기 화학식 I에 대해 개시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R1이 -CONR3R31이고; X가 사이클릴이고; Y가
Figure 112006012720934-PCT00007
이고; 다른 변수들은 상기 화학식 I에 대해 개시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R1이 -CONR3R31이고; X가 사이클릴이고; Y가
Figure 112006012720934-PCT00008
이고; 다른 변수들은 상기 화학식 I에 대해 개시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킬"뿐만 아니라 접두사 "알크"를 갖는 다른 그룹들, 예를 들어 알콕시, 알카닐, 알케닐, 알키닐 등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선형 또는 분지되거나 또는 그의 조합일 수 있는 탄소 쇄를 의미한다. 알킬 그룹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2급- 및 3급-부틸, 펜틸, 헥실, 헵틸 등이 있다. "알케닐", "알키닐" 및 다른 유사한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불포화된 탄소-탄소 결합을 갖는 탄소 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C0 - 4알킬"은 직선 또는 분지된 형태의 0, 1, 2, 3 또는 4 개의 탄소들인 탄소수 0 내지 4의 알킬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탄소가 없는 알킬은 상기 알킬이 말단 그룹인 경우 수소이다. 탄소가 없는 알킬은 상기 알킬이 가교(연결) 그룹인 경우 직접 결합이다.
"사이클로알킬", "카보사이클릭 고리", "사이클릭" 또는 "사이클릴"이란 용어는 헤테로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3 내지 10 원의 모노 또는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부분 방향족 또는 비 방향족 고리 카보사이클을 의미하며, 모노-, 비- 및 트리사이클릭 포화된 카보사이클뿐만 아니라 축합 및 가교된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축합된 고리 시스템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하나의 고리, 예를 들어 벤젠 고리를 포함하여 축합된 고리 시스템, 예를 들어 벤조축합된 카보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은 스피로축합된 고리 시스템과 같은 축합된 고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사이클로알킬 및 카보사이클릭 고리의 예로는 C3 - 8사이클로알킬,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및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 아다만탄, 인다닐,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 등이 있다.
"할로겐"이란 용어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 원자를 포함한다.
"카바모일"이란 용어는 달리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는 한 -C(O)-NH- 또는 -NH-C(O)-를 의미한다.
"아릴"이란 용어는 화학자들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아릴 그룹은 페닐 및 나프틸이다.
"헤트아릴"이란 용어는 화학자들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상기 용어는 산소, 황 및 질소(이때 산소와 황은 서로 이웃하지 않는다) 중에서 선택된 하나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고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헤테로아릴 고리의 예로는 푸릴, 티에닐,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및 트리아지닐이 있다. "헤트아릴"이란 용어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포화된 축합된 카보사이클릭 고리 시스템을 갖는 헤트아릴 고리, 예를 들어 벤젠 고리를 포함하여 벤조축합된 헤트아릴, 예를 들어 벤즈이미다졸, 벤즈옥사졸, 벤조티아졸, 벤조푸란,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녹살린 등을 형성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사이클릭" 및 "헤테로사이클릴"이란 용어는 동등하며, 사이클릭에 관해 정의되지만 N, O 및 S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 및 그의 산화물을 함유하고, 단 상기와 같은 유도체는 적합하고 안정한 원자가를 나타내며, O-O, S(O)n-S(O)n, S(O)n-O 결합(여기에서 n은 0 내지 2이다)을 함유하는 잔기는 제외된다. 상기 용어는 산소, 황 및 질소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4 내지 8원의 포화된 고리를 포함한다.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의 예로는 아제티딘, 옥세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옥세판, 옥소칸, 티에탄, 티아졸리딘, 옥사졸리딘, 옥스아제티딘, 피라졸리딘, 이속사졸리딘, 이소티아졸리딘,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 티에판, 티오칸, 아제티딘, 피롤리딘, 피페리딘, 아제판, 아조칸, [1,3]디옥산, 옥사졸리딘, 피페라진, 호모피페라진,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등이 있다.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의 다른 예는 황 함유 고리의 산화된 형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1-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1,1-디옥사이드, 티오모르폴린-1-옥사이드, 티오모르폴린-1,1-디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1-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1,1-디옥사이드, 티아졸리딘-1-옥사이드 및 티아졸리딘-1,1-디옥사이드가 또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인 것으로 고려된다. "헤테로사이클릭"이란 용어는 또한 축합된 고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포화된 카보사이클릭 고리, 예를 들어 벤젠 고리를 포함하여 벤조축합된 헤테로사이클, 예를 들어 3,4-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등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함유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부분 입체 이성체 및 광학 이성체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가능한 상기와 같은 부분 입체 이성체들뿐만 아니라 그의 라세미 혼합물, 그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분리된 거울상 이성체, 모든 가능한 기하 이성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I을 특정한 위치들에서 한정적인 입체화학 없이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모든 입체 이성체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더욱이, 입체 이성체들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단리된 특정한 입체 이성체들도 또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합성 과정 중에, 또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라셈화 또는 에피머화 과정의 사용 중에, 상기와 같은 과정의 생성물들은 입체 이성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을 특정한 위치들에서 한정적인 입체화학 없이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모든 입체 이성체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더욱이, 입체 이성체들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단리된 특정한 입체 이성체들도 또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합성 과정 중에, 또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라셈화 또는 에피머화 과정의 사용 중에, 상기와 같은 과정의 생성물들은 입체 이성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치료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무독성 치료 유효량의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태양 내에서, 본 발명은 c-Kit 키나제(이는 상기 단백질의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형일 수 있다)의 억제에 의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치료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무독성 치료 유효량의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은 예를 들어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의 치료에 유효하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용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 염기 또는 산으로부터 제조되는 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산성인 경우, 그의 상응하는 염은 편의상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 염기, 예를 들어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기 염기로부터 유도되는 염에는 알루미늄, 암모늄, 세슘, 구리(제 1 및 제 2), 제 1 철, 제 2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제 1 및 제 2), 칼륨, 나트륨, 아연 등의 염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염은 암모늄, 세슘, 마그세늄, 칼륨 및 나트륨염이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무독성 염기로부터 유도되는 염에는 1 급, 2 급 및 3 급 아민뿐만 아니라 환상 아민 및 치환된 아민, 예를 들어 천연 및 합성의 치환된 아민이 포함된다. 염이 형성될 수 있는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무독성 염기로는 이온 교환 수지, 예를 들어 아르기닌, 베타인, 카페인, 콜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에틸모르폴린, N-에틸피페리딘, 글루카민, 글루코사민, 히스티딘, 하이드라바민, 이소프로필아민, 리신, 메틸글루카민, 모르폴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프로카인, 푸린, 테오브롬,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로메타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기성인 경우, 그의 상응하는 염을 편의상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 산, 예를 들어 무기 및 유기산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산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벤젠설폰산, 벤조산, 캄포르설폰산, 시트르산, 에탄설폰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브롬화수소산, 염산, 이세티온산, 락트산, 말레산, 말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점액산, 질산, 파모산, 판토텐산, 인산, 숙신산, 황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설폰산 등이 있다. 시트르산, 염산, 말레산, 인산, 황산, 메탄설폰산 및 타르타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임의로 다른 치료 성분 또는 보조제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직장, 국소 및 비경구(피하, 근육 내 및 정맥 내 포함)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을 포함하지만, 임의의 주어진 경우에 가장 적합한 경로는 특정한 숙주, 및 상기 유효 성분이 투여되는 증상들의 성질 및 중증도에 따라 변할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편의상 단위 투여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약 분야에 널리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를 유효 성분으로서 통상적인 약제 배합 기법에 따라 약학적 담체와 긴밀히 혼합하여 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담체는 투여에 바람직한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정맥 내 포함)에 따라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별도의 단위로서, 예를 들어 캡슐, 향낭 또는 정제로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소정량의 유효 성분을 함유한다. 더욱이, 상기 조성물을 분말로서, 과립으로서, 용액으로서, 수성 액체 중의 현탁액으로서, 비 수성 액체로서, 수중 유적형 유화액으로서, 또는 유중 수적형 액체 유화액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나타낸 통상적인 투여형들 이외에,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를 또한 조절된 방출 수단 및/또는 전달 장치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임의의 제약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은 상기 유효 성분을 하나 이상의 필요 성분들을 구성하는 담체와 회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이들 모두와 균일하고 긴밀하게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어서 생성물을 편의상 목적하는 외양으로 성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를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과 함께 약학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리포솜 제형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약학 담체는 예를 들어 고체,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다. 고체 담체의 예로는 락토오즈, 백토, 슈크로즈, 활석, 젤라틴, 아가, 펙틴, 아라비아 고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스테아르산이 있다. 액체 담체의 예로는 당 시럽, 땅콩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물이 있다. 기체 담체의 예로는 이산화 탄소 및 질소가 있다.
경구 투여형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서, 임의의 편리한 약학 매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글리콜, 오일, 알콜, 풍미제, 보존제, 착색제 등을 사용하여 경구 액체 제제, 예를 들어 현탁액, 엘릭서 및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반면; 전분, 당, 미정질 셀룰로즈, 희석제, 과립화제,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사용하여 분말, 캡슐 및 정제와 같은 경구 고체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투여 용이성 때문에, 정제 및 캡슐이 바람직한 경구 투여 단위이며, 따라서 고체 약학적 담체가 사용된다. 임의로, 정제를 표준 수성 또는 비 수성 기법에 의해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임의로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 또는 보조제와 함께 압착 또는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압착된 정제는 적합한 기계에서 유효 성분을 자유 유동 형태, 예를 들어 분말 또는 과립으로, 임의로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표면 활성 또는 분산제 또는 다른 상기와 같은 부형제와 혼합하여 압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어 탄산 칼슘, 탄산 나트륨, 락토오즈, 인산 칼슘 또는 인산 나트륨;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 결합제, 예를 들어 전분, 젤라틴 또는 아라비아 고무; 및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활석일 수 있다. 상기 정제를 코팅시키지 않거나 또는 공지된 기법에 의해 코팅시켜 위장 관에서의 분해 및 흡수를 지연시키고 이에 의해 보다 긴 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지연 물질, 예를 들어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경질 젤라틴 캡슐에서, 유효 성분을 불활성 고체 희석제, 예를 들어 탄산 칼슘, 인산 칼슘 또는 카올린과 함께 혼합한다. 연질 젤라틴 캡슐에서, 유효 성분을 물 또는 오일 매질, 예를 들어 땅콩 오일, 액체 파라핀 또는 올리브 오일과 혼합한다. 성형된 정제는, 적합한 기계에서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적신 분말화된 화합물의 혼합물을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각각의 정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05 ㎎ 내지 약 5 g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며, 각각의 향낭 또는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약 0.05 ㎎ 내지 약 5 g의 유효 성분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인간에게 경구 투여하기 위한 제형은 적합하고 편리한 양의 담체 물질(전체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95 퍼센트로 다양할 수 있다)과 배합된, 약 0.5 ㎎ 내지 약 5 g의 유효 작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단위 투여형은 일반적으로 약 1 ㎎ 내지 약 2 g, 전형적으로는 25 ㎎, 50 ㎎, 100 ㎎, 200 ㎎, 300 ㎎, 400 ㎎, 500 ㎎, 600 ㎎, 800 ㎎ 또는 1000 ㎎의 유효 성분을 함유할 것이다.
비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수 중 유효 화합물의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를 포함시킬 수 있다. 분산제를 또한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오일 중의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보존제를 포함시켜 미생물의 유해한 생육을 방지할 수 있다.
주사용으로 적합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을 포함한다. 더욱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멸균 주사용 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제를 위한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최종의 주사 가능한 형태는 무균성이어야 하고 용이한 주입을 위해 유효하게는 유체이어야 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제조 및 보관 조건 하에서 안정해야 하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세균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 작용에 대해 보존되어야 한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식물성 오일, 및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국소용으로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에어로졸, 크림, 연고, 로션, 분진 분말 등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성물은 경피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형들을 통상적인 제조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로서, 크림 또는 연고를,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상기 화합물과 함께 친수성 물질 및 물을 혼합하여 목적하는 점조도를 갖는 크림 또는 연고를 제조함으로써 제조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직장 투여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때 담체는 고체이다. 상기 혼합물이 단위 용량 좌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담체로는 코코아 버터 및 당해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물질이 있다. 상기 좌약을 편의상 먼저 상기 조성물을 연화되거나 용융된 담체(들)와 혼합한 다음 냉각시키고 금형에서 성형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담체 성분 이외에, 상술한 약학 제형은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담체 성분들, 예를 들어 희석제, 완충제, 풍미제, 결합제, 표면 활성제, 증점제, 윤활제, 보존제(산화방지제 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또한, 다른 보조제를 포함시켜 상기 제형을 의도된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성으로 만들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또한 분말 또는 액체 농축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나타낸 증상들의 치료에는 하루에 체중 ㎏ 당 약 0.01 ㎎ 내지 약 750 ㎎ 정도, 또는 한편으로 하루에 환자 당 약 0.5 ㎎ 내지 약 75 g 정도의 투여 수준이 유용하다. 예를 들어, 유방암, 두경부암, 및 위장 암, 예를 들어 결장, 직장 또는 위암을, 하루에 체중 ㎏ 당 약 0.01 ㎎ 내지 500 ㎎, 또는 한편으로 하루에 환자 당 약 0.5 ㎎ 내지 약 50 g의 화합물을 투여하에 유효하게 치료할 수 있다.
유사하게, 백혈병, 난소, 기관지, 폐 및 췌장암을 하루에 체중 ㎏ 당 약 0.01 ㎎ 내지 500 ㎎, 또는 한편으로 하루에 환자 당 약 0.5 ㎎ 내지 약 50 g의 화합물을 투여하에 유효하게 치료할 수 있다.
비만세포증/비만 세포 백혈병, 위장 간질 종양(GIST), 소 세포 폐암종(SCLC), 부비동 비강 천연 킬러/T-세포 림프종, 고환암(고환종), 갑상선 암종, 악성 흑색종, 난소 암종, 샘낭암종,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유방 암종, 소아성 T-세포 급성 림프모구백혈병, 혈관육종, 역형성 대 세포 림프종, 자궁내막 암종, 및 전립선 암종을 하루에 체중 ㎏ 당 약 0.01 ㎎ 내지 500 ㎎, 또는 한편으로 하루에 환자 당 약 0.5 ㎎ 내지 약 50 g의 화합물을 투여하에 유효하게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정한 투여 수준은 다양한 인자들, 예를 들어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식이요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출 속도, 약물 조합, 및 치료 중인 특정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변할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를 또한 다른 암 치료 화합물과 함께 유효하게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독성제 및 혈관형성 억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유리하게 함께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및 세포독성제 또는 혈관형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양은 단독으로 치료학적으로 유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첨가제의 효과는 단독요법에 의한 치료에 내성인 암을 극복할 수 있다. 상기 중 어느 하나의 양은 또한 특히 민감한 환자에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치료 이하의 양일 수 있다.
암의 치료는 암의 유형에 따라 다른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폐암은 결장암이나 유방암을 치료하는 제 1 선 요법과 상이하게 치료된다. 폐암 내에서조차도, 예를 들어 제 1 선 요법은 제 2 선 요법과 상이하며, 이는 차례로 제 3 선 요법과 다르다. 새롭게 진단된 환자는 시스플라티늄 함유 섭생으로 치료될 수도 있다. 치료에 실패하는 경우, 탁산과 같은 제 2 선 요법으로 이동한다. 최종적으로, 상기도 실패하는 경우, 제 3 선 요법으로서 티로신 키나제 EGFR 억제제를 취할 수도 있다. 더욱이, 규제 승인 절차는 나라마다 다르다. 따라서, 용인되는 치료 섭생은 나라마다 다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를 유리하게는 다른 상기와 같은 암 치료 화합물과 함께 또는 조합하여 동시 투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른 화합물의 예로는 각종 세포독성제(알킬레이터, DNA 국소이성화효소 억제제, 대사길항물질, 튜불린 결합제); 혈관형성 억제제; 및 상이한 다른 형태의 요법, 예를 들어 키나제 억제제, 예를 들어 타세바, 단클론 항체 및 암 백신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유리하게 함께 투여될 수 있는 다른 상기와 같은 화합물에는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젬시타빈 및 탁산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및 신생물 억제제, 종양 억제제, 혈관형성 억제제 또는 화학요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를 또한 암 요법 외에, 다른 치료 화합물과 함께 유효하게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작용을 개선시키기에 유효한 치료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유리하게 동시 작용할 수 있다.
I. 완전한 세포에서 c- Kit 의 억제에 대한 분석
c-Kit의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H526 세포 주(ATCC # CRL-5811)(인간 소 세포 폐암으로부터 기원하였다)를 사용하여 세포계 ELISA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분석은 H526 세포에서 내생적으로 발현되는 야생형 c-Kit 수용체 단백질의 리간드-자극된 티로신 인산화를 차단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한다. 세포를 상기 c-Kit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에 대한 리간드인 줄기 세포 인자(SCF)의 첨가 전에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과 함께 예비 배양한다. 이어서 세포 용해물을 제조하고 상기 c-Kit 단백질을 c-Kit 항체-코팅된 96-웰 ELISA 플레이트 상에 포획한다. 이어서 상기 수용체 단백질의 포스포티로신 함량을, 상기 포획된 단백질 내에서 오직 인산화된 티로신 잔기만을 인식하는 항체의 결합 정도를 정량화함으로써 모니터한다. 사용된 항체는, 인산화된 c-Kit에 대한 항체의 결합을 적합한 HRP 기질과의 배양에 의해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공유 결합된 정보제공 효소(예를 들어 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 HRP)를 갖는다.
사용된 모 시약들은 하기와 같다:
세포 용해 완충액 :
50 mM 트리스-HCl, pH 7.4
150 mM NaCl
10% 글리세롤
1% 트리톤 X-100
0.5 mM EDTA
1 ㎍/㎖ 류펩틴
1 ㎍/㎖ 아프로티닌
1 mM 나트륨 오르토바나데이트
항 c- Kit 항체:
50 mM 중탄산 나트륨(pH 9) 중의 0.5 ㎍/㎖ 항 c-Kit Ab-3(Lab Vision, catalog # MS289P1).
ELISA 분석 플레이트:
ELISA 분석 플레이트를 100 ㎕의 항 c-Kit 항체를 96-웰 마이크로리터-2 플레이트(Dynex, catalog # 7417)의 각 웰에 가한 다음 37 ℃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여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웰들을 300 ㎕ 세척 완충액으로 2 회 세척한다.
플레이트 세척 완충액 :
0.5% 트윈-20을 함유하는 PBS(PBST)
세포 분석 배지:
0.1% BSA를 갖는 RPMI
pY20 - HRP :
0.5% 트윈-20, 5% BSA, 1 mM 나트륨 오르토바나데이트를 함유하는, PBS 중의 25 ng/㎖ pY20-HRP(Calbiochem, catalog #525320).
HRP 기질:
화학발광 검출 시약(Pierce, catalog #37075)
분석 프로토콜:
10% 송아지 태아 혈청을 갖는 RPMI에서 증식시킨 H526 세포의 배양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수거하고, PBS로 2 회 세척하고, 세포 분석 배지에 현탁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V-바닥 96-웰 플레이트에 100 ㎕ 세포 분석 배지 중의 웰 당 7.5 x 104 세포로 분배하였다.
화합물 희석액을 세포 분석 배지의 희석에 의해 10 mM DMSO 모액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상기 분석에서 DMSO의 최종 농도는 0.1%였다. 화합물 배양 웰에, 50 ㎕의 시험 화합물을 가하고(화합물을 0.1 nM 내지 100 μM의 농도에서 분석한다); 양성 및 음성 대조용 웰에 0.1% DMSO를 함유하는 50 ㎕ 세포 분석 배지를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세포를 37 ℃에서 3 시간 동안 화합물과 함께 배양하였다. 이어서 상기 Kit 수용체를 자극하고 그의 티로신 인산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SCF(R&D Systems, catalog #255-SC-010)를 가하였다. 이어서, 세포 분석 배지 중의 SCF 1.6 ㎍/㎖ 용액 10 ㎕를 음성 대조용 웰은 제외하고 모든 웰에 가하였으며 세포를 37 ℃에서 추가로 15 분 동안 배양하였다. 빙냉 PBS의 첨가에 이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1000 rpm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배지를 흡입에 의해 제거하고, 세포 펠릿을 웰 당 120 ㎕ 빙냉 세포 용해 완충액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플레이트를 20 분 동안 얼음 상에서 유지시키고, 이어서 각 웰로부터 세포 용해물 100 ㎕를 ELISA 분석 플레이트의 웰로 옮기고 4 ℃에서 1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LISA 플레이트에서 세포 용해물을 배양한 다음에, 상기 웰들을 세척 완충액 300 ㎕로 4 회 세척하고, 이어서 상기 포스포티로신 검출 항체 pY20-HRP 100 ㎕를 각 웰에 가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상기 웰들을 세포 완충액 300 ㎕로 4 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화학발광 HRP 기질 50 ㎕를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된 항포스포티로신-HRP 공액물의 양을 발광측정에 의해 정량화하기 위해서 각 웰에 가하였다.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수득된 분석 신호를 양성 및 음성 대조군(화합물의 첨가 없이, SCF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배양된 세포)의 신호와 비교하여 일정 범위의 화합물 농도에 대해 c-Kit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의 억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억제 값을 S자의 용량-반응 억제 곡선에 대입하여 IC50 값(즉 상기 c-Kit 단백질의 SCF-유도된 티로신 인산화를 50%까지 억제하는 화합물의 농도)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5 μM 내지 0.1 nM의 IC50 값을 갖는, 상기 분석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완전한 H526 세포에서 Kit의 SCF-유도된 티로신 인산화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하기 반응식에 예시된 방법에 의해 하기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적합한 용매, 온도, 압력 및 다른 반응 조건들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숙련가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적합한 출발 물질을 상업적으로 얻거나 또는 쉽게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12720934-PCT00009
반응식 1에서, 디아릴아민(III)을 니트로피리딘(I, X=F, Cl, Br, OMS, OTs)과 치환된 아닐린(II)의 축합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아닐린(II)(X=I, Br, Cl, OTf)의 커플링을 또한 Pd(0) 매개된 부흐발트-하르트위그(Buchwald-Hartwig) 유형 조건(예를 들어 문헌[J. Organic Chem., (1996), 61(21), 7240]에 개시된 것들)을 사용하거나 Cu(I) 촉매분해에 의해 성취할 수 있다. III을 환원시켜 디아미노피리딘(IV)을 얻는 것은 예를 들어 적합한 전이 금속 촉매(팔라듐, 백금, 루테늄, 니켈), 철, 아연 또는 주석의 존재 하에 산성 조건 하에서 나트륨 하이드로설파이트 또는 주석(II)클로라이드 디하이드레이트와 함께 수소를 사용하여 성취할 수 있다. IV의 벤즈이미다졸(V)로의 환화는 상응하는 카복실산, 산 할라이드, 산 무수물 또는 오르토포르메이트(예를 들어 (MeO)3CH) 및 산, 예를 들어 포름산 또는 p-톨루엔설폰산과의 반응에 의해 성취할 수 있다. III의 환원에 사용되는 특정한 조건, 예를 들어 포름산 중의 철 분말 하에서 이미다조[4,5-b]피리딘 V으로의 전환을 단일 용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를 III과의 수소화 혼합물에 포함시킴으로써 V로 직접 전환시킬 수 있다.
하기 반응식 2는 N-아릴-3H-이미다조[4,5-b]피리딘(V)(및 그의 H-이성체 Va)을, 이미다조[4,5-b]피리딘(VIII)을 문헌[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2000), 122, 7600]에 개시된 바와 유사한 Pd(0) 매개된 조건 하에서 아릴화시킬 수 있다. 이성체 V 및 Va의 분리를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다수의 수단, 예를 들어 비 제한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 수단 또는 적합한 용매로부터의 결정화를 통해 성취할 수 있다. 이미다조[4,5-b]피리딘(VIII)을 산, 예를 들어 비 제한적으로 아세트산, p-톨루엔설폰산, 염산, 황산 또는 인산에 의한 아닐리드(VII)의 환화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차례로 상기 아닐리드(VII)를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적합한 커플링 시약, 예를 들어 비 제한적으로 EDC, DCC, HOAt, HOBt, HATU, TBTU, 또는 CDI, 또는 이러한 용액 상 시약의 고체 지지된 버전의 존재 하에서 디아미노피리딘과 산 할라이드 또는 무수물 또는 카복실산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R3이 H인 경우, VII와 같은 화합물을 VI의 알킬 포르 메이트(예를 들어 메틸 포르메이트)에 의한 포르밀화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들에서, VI의 VII로의 전환은 또한 VIII으로의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전환(예를 들어 R3=H일 때 포름산 존재 하에서의 가열에 의해)을 유도할 수 있다.
Figure 112006012720934-PCT00010
작용기 R1 및 R2를 대체로는 예를 들어 I, II, VI 및 IX 유형의 출발 물질의 적합한 선택을 통해 표적 분자에 포함시킬 수 있다. 최종 작용기를 상기 과정을 통해 직접 입수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상기와 같은 작용기가 후속의 화학 도중 최종 분자의 형성을 위해 손상될 수 있는 경우, 또 다른 작용기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후속적으로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쉽게 측정되는 시퀀스의 시점에서 특정 방법에 의해 최종의 목적하는 작용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변환의 예시적인 목록으로 하기의 전환들이 있다: OMe → OH(BBr3), NH2 → Cl(NaNO2, CuCl), Br → CN, (Pd2(dba)3, Zn(CN)2, DPPF), Me → CO2H(KMnO4), CO2H → CO2Me(MeOH, H2SO4), OH → O알킬(알킬 할라이드, 염기), CO2H → CONR'R"(EDC, HOAt, DIPEA, HNR'R"), Br → CO2Me(Pd2(dba)3, DPPF, CO(g), MeOH), Br → CO2H(tBuLi, CO2), Ar-H → Ar-Br(NBS), CN → CO2H(농 H2SO4), Br → NR'R"(Pd2(dba)3, DPPF, HNR'R"). 상기와 같은 작용기의 표적 분자로의 통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전형적인 예를 하기 반응식 3 내지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12720934-PCT00011
5-브로모-3-니트로-2-피리돌을 DMAP의 존재 하에서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토실레이트 IX를 수득하고, 이를 3-플루오로아닐린과 축합시켜 2 차 아닐린 X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중간체의 환원은 아세트산 중의 철 분말을 사용하여 성취할 수 있으며 이어서 생성물 XI를 포름산에 의해 이미다조[4,5-b]피리딘으로 환화시킬 수 있다. 상기 물질을 3급-부틸리튬으로 처리한 다음 상기 중간체 음이온을 이산화 탄소 및 산으로 급냉시켜 카복실산 유도체 XII를 수득한다. 상기를 1,1'-카보닐디이미다졸을 사용하여 3-아미노메틸피리딘과 커플링시켜 아미드 XIII을 수득할 수 있다.
Figure 112006012720934-PCT00012
유사하게, 반응식 4에서, 토실레이트 IX를 에탄올 중의 4-벤질옥시아닐린과 축합시켜 니트로피리단 XIV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를 환류 에탄올 중의 주석(II) 클로라이드 디하이드레이트로 환원시켜 디아민 XV를 수득하고, 이를 p-톨루엔 설폰산의 존재 하에서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로 이미다조[4,5-b]피리딘 XVI로 환화시킬 수 있다. 반응식 3에 나타낸 금속화에 대한 대안으로서, 시아노 그룹을 아연 시아나이드를 사용하여 Pd(0) 매개된 수단을 통해 도입시켜 XVII를 수득할 수 있지만, 로젠문트-폰 브라운(Rosenmund-von Braun)(CuCN) 조건도 또한 성공할 수 있다. 상기 니트릴의 가수분해는 또한 탈벤질화를 촉진시켜 XVIII을 제공하며, 이를 예를 들어 수소화 나트륨과 같은 염기의 조건 하에서 벤질 브로마이드 유도체를 사용하여 알킬화시켜, 가수분해 후처리 시, 에테르 XIX를 제공할 수 있다. 2-모르폴린-4-일에틸아민과의 1,1'-카보닐디이미다졸 매개된 커플링은 표적 화합물 XX를 제공한다.
Figure 112006012720934-PCT00013
유도체화된 이미다조[4,5-b]피리딘의 합성에 사용되는 또 다른 경로를 반응식 5에 나타낸다. 6-하이드록시니코틴산(XXI)을 적색 발연 질산의 존재 하에서 질산화시키고 생성물 (XXII)를 PCl5/POCl3로 염소화시킨 다음 조심스럽게 MeOH로 급냉시켜 중간체 XXIII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를 아닐린, 예를 들어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은 4-벤질옥시아닐린과 반응시켜 니트로-아닐리노-피리딘, 예를 들어 XXIV를 수득하고, 이를 이전과 같이 환원(예를 들어 접촉 수소화에 의해) 및 환화(예를 들어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 및 PTSA)시켜 페놀 XXVI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페놀을 예를 들어 탄산 칼륨의 존재 하에서 벤질 브로마이드 유도체로 알킬화시키고, 에스테르 그룹을 산성 조건 하에서 가수분해시키고 CDI를 사용하여 아민, 예를 들어 메틸아민과 커플링시켜 아미드 XXIX를 수득할 수 있다.
정의: EDC = 에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HOAt = 1-하이드록시아자벤조트리아졸, HOBt =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CDI = 1,1'-카보닐디이미다졸, TBTU = O-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HATU = 아자벤조트리아졸릴-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DIPEA =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TEA = 트리에틸아민,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NMP = N-메틸피롤리디논, DCM = 디클로로메탄, MDAP =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oc = 부톡시카보닐, Fmoc = 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 DMSO = 디메틸설폭사이드, OMs = OSO2Me, OTs = OSO2-(4-Me)Ph, OTf = OSO2CF3, DPPF/dppf =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dba = 디벤질리덴아세톤, NBS = N-브로모숙신이미드, HCl(수성) = 수성 염산, DMA =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MeOH = 메탄올, EtOH = 에탄올,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THF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HOAc = 아세트산,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HPLC =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실시예 R1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모르폴린-4-일에틸)- 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a) 5-브로모-3-니트로피리딘-2-올(30.00 g, 0.137 밀리몰) 및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30.03 g, 0.158 밀리몰)를 N2 하에서 CH2Cl2에 현탁시키고 트리에틸아민(38.2 ㎖, 0.274 밀리몰)으로 적가 처리한 후에 DMAP(3.35 g, 0.027 밀리몰)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CH2Cl2(500 ㎖)로 희석하고 이어서 1M HCl(수성)(2 x 500 ㎖) 및 염수(500 ㎖)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CH2Cl2(200 ㎖)로 역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상기와 같이 단리된 조 물질을 50% EtOAc/헥산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증발 시 고체룰 수득하고, 이를 50% EtOAc/헥산으로부터 결정화시켜 5-브로모-3-니트로피리딘-2-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2.51 (s, 3H), 7.43 (dd, 2H, J = 8.4, 0.4 Hz), 7.99 (dt, 2H, J = 6.8, 2.0 Hz), 8.52 (d, 1H, J = 2.4 Hz), 8.60 (d, 1H, J = 2.4 Hz).
b) 5-브로모-3-니트로피리딘-2-일 4-메틸벤젠설포네이트(38.2 g, 0.102 밀리몰) 및 4-벤질옥시아닐린(24.13 g, 0.102 밀리몰)을 N2 하에서 톨루엔 900 ㎖ 중에 현탁시키고, 트리에틸아민(14.27 ㎖, 0.102 밀리몰)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110 ℃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CH2Cl2(1 L)로 희석하고, 2M HCl(수성)(4 x 500 ㎖) 및 염수(500 ㎖)로 세척하고, 합산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상기와 같이 단리된 조 생성물을 에탄올로부터 2 회 결정화시켜 N-[4-(벤질옥시)페닐]-5-브로모-3-니트로피리딘-2-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5.11 (s, 2H), 7.04 (d, 2H, J = 9.2 Hz), 7.34-7.50 (m, 7H), 8.48 (d, 1H, J = 2.4 Hz), 8.66 (d, 1H, J = 2.4 Hz), 9.94 (bs, 1H).
c) N-[4-(벤질옥시)페닐]-5-브로모-3-니트로피리딘-2-아민(28.5 g, 0.071 밀리몰) 및 주석(II) 클로라이드 디하이드레이트(160.67 g, 0.712 밀리몰)를 N2 하에서 에탄올 500 ㎖ 중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서(70 ℃)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중탄산 나트륨을 pH가 9.5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냉각된 혼합물에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이를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상들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 후에 CH2Cl2로 재조성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N2-[4-(벤질옥시)페닐]-5-브로모피리딘-2,3-디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3.44 (bs, 2H), 5.07 (s, 2H), 6.02 (bs, 1H), 6.97 (dt, 2H, J = 5.6, 3.6 Hz), 7.12 (d, 1H, J = 2.0 Hz), 7.32 (dt, 2H, J = 4.8, 0.4 Hz), 7.34-7.48 (m, 5H), 7.84 (d, 1H, J = 2 Hz); MS (ES+): m/z 371[MH+], 372 (35) [MH2 +]
d)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9.0 ㎖, 81 밀리몰) 및 p-톨루엔설폰산(384 ㎎, 2.0 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40 ㎖) 중의 N2-[4-(벤질옥시)페닐]-5-브로모피리딘-2,3-디아민(3 g, 8.1 밀리몰) 용액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침전된 물질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CH2Cl2 중에 재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10% NaOH(수성)(200 ㎖) 및 염수(200 ㎖)로 세척하고, 이어서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3-[4-(벤질옥시)페닐]-6-브로모-3H-이미다조[4,5-b]피리딘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5.14 (s, 2H), 7.16 (d, J = 8.8Hz, 2H), 7.33-7.47 (m, 5H), 7.58 (d, J = 8.8Hz, 2H), 8.25 (s, 1H), 8.28 (d, J = 2Hz, 2H) and 8.46 (d, J = 2Hz, 2H); MS (ES+): m/z 380 [Br79MH+], 382 [Br81MH+].
e) 탈기된 DMF/H2O(100:1)(15 ㎖) 중의 3-[4-(벤질옥시)페닐]-6-브로모-3H-이미다조[4,5-b]피리딘(2 g, 5.26 밀리몰), Zn(CN)2(371 ㎎, 3.16 밀리몰), Pd2(dba)3(101 ㎎, 0.11 밀리몰) 및 dppf(122 ㎎, 0.22 밀리몰)를 N2 하에 120 ℃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NH4Cl:NH4OH:H2O(4:1:4)(45 ㎖)로 처리하고 80 ℃로 30 분 동안 재가열하고 이어서 추가로 30 분 동안 0 ℃에서 교반하였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50% EtOAc/헥산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 켜 3-[4-(벤질옥시)페닐]-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보니트릴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6-Acetone) δ 5.16 (s, 2H), 7.18 (d, J = 8Hz, 2H), 7.36-7.47 (m, 5H), 7.57 (d, J = 8Hz, 2H), 8.41 (s, 1H), 8.44 (d, J = 2Hz, 1H) and 8.70 (d, J = 2Hz, 1H); MS (ES+): m/z 327 [MH+].
f) 37% HCl(20 ㎖) 중의 3-[4-(벤질옥시)페닐]-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보니트릴(650 ㎎)을 100 ℃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조 3-(4-하이드록시페닐)-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실산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1H NMR (400MHz, D6-DMSO) δ 6.91 (d, J = 8Hz, 2H), 7.58 (d, J = 8Hz, 2H), 8.54 (d, J = 2Hz, 1H), 8.86 (s, 1H) and 8.9 (d, J = 2Hz, 1H); MS (ES+): m/z 256 [MH+].
g) DMF(3 ㎖) 중의 3-(4-하이드록시페닐)-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실산(54 ㎎, 0.21 밀리몰),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8 ㎎, 0.021 밀리몰), 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 브로마이드(0.13 ㎖, 0.84 밀리몰) 및 수소화 나트륨(50.4 ㎎, 1.26 밀리몰)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3 ㎖)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EtOAc(10 ㎖)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6N HCl(수성)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단리시켰다. EtOAc 세척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MeOH에 용해시키고 6N NaOH(수성)와 함께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산성화(2M HCl(수성))하고 생성물을 여과하였다. 합한 고 체를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실산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6-DMSO) δ 5.26 (s, 2H), 7.26 (d, J = 8.9Hz, 2H), 7.42 (d, J = 8.2Hz, 2H), 7.63 (d, J = 8.2Hz, 2H), 7.82 (d, J = 8.9Hz, 2H), 8.61 (d, J = 1.6Hz, 1H), 8.95 (s, 1H), 8.97 (d, J = 1.6Hz, 1H) and 13.2 (br.s, 1H); MS (ES+): m/z 430 [MH+].
h) 무수 THF(2 ㎖) 중의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실산(42 ㎎, 0.1 밀리몰), CDI(32.4 ㎎, 0.2 밀리몰) 및 DIPEA(87 ㎕, 0.5 밀리몰)의 혼합물을 6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모르폴린-4-일)에틸아민(26 ㎕, 0.2 밀리몰)으로 처리하였다. 60 ℃에서 추가로 2 시간 후에 상기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5% MeOH/CHCl3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모르폴린-4-일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4-MeOH) δ 2.57 (br.s, 4H), 2.65 (t, J = 8Hz, 2H), 3.60 (t, J = 8Hz, 2H), 3.71 (t, J = 8Hz, 4H), 5.21 (s, 2H), 7.22 (dd, J = 6.8 and 2Hz, 2H), 7.30 (d, J = 8.4Hz, 2H), 7.59 (d, J = 8.8Hz, 2H), 7.71 (dd, J = 6.8 and 2Hz, 2H), 8.57 (d, J = 1.6Hz, 1H), 8.71 (s, 1H) and 8.90 (d, J = 1.6Hz, 1H); MS (ES+): m/z 542 [MH+].
하기의 실시예들을 실시예 R1에 대해 상술한 과정에 따라, 각각 4-벤질옥시 아닐린(단계 a)) 및 2-(모르폴린-4-일)에틸아민(단계 h)) 대신에 적합한 아닐린 및 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R2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메톡시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487[MH+]
실시예 R3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피리딘-3-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520[MH+]
실시예 R4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메톡시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487[MH+]
실시예 R5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569[MH+]
실시예 R6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디메틸아미노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500[MH+]
실시예 R7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피페리딘-1-일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540[MH+]
실시예 R8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피리딘-3-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520[MH+]
실시예 R9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443[MH+]
실시예 R10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457[MH+]
실시예 R11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피롤리딘-1-일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526[MH+]
실시예 R12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443[MH+]
실시예 R13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457[MH+]
실시예 R14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3-메톡시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501[MH+]
실시예 R15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디메틸아미노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MS(ES+): m/z 500[MH+]
실시예 R16
3-(4-메톡시페닐)-N-(피리딘-3-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1H NMR (400 MHz, CD3OD/CDCl3): δ 3.87 (3H, s), 4.64 (2H), 7.10 (2H, d, J = 9.0 Hz), 7.36 (1H, dd, J = 5.0 Hz, 7.9 Hz), 7.61 (2H, d, J = 9.0 Hz), 7.83 (1H, dt, J = 1.6 Hz, 7.8 Hz), 8.41 (1H, dd, J = 1.3 Hz, 4.8 Hz), 8.49 (1H, s), 8.55 (1H, br), 8.59 (1H, d, J = 2.0 Hz), 8.95 (1H, d, J = 2.0 Hz); MS (ES+): m/z 360 [MH+]
실시예 R17
3-(4-메톡시페닐)-N-(2-모르폴린-4-일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 복스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2.54 (4H, br), 2.65 (2H, t, J = 6.0 Hz), 3.62 (2H, quart, J = 5.5 Hz), 3.89 (3H, s), 6.94 (1H, br), 7.10 (2H, d, J = 8.9 Hz), 7.61 (2H, d, J = 8.9 Hz), 8.35 (1H, s), 8.53 (1H, d, J = 1.9 Hz), 8.91 (1H, J = 1.9 Hz); MS (ES+): m/z 382 [MH+]
실시예 R18
3-(4-메톡시페닐)-N-(피리딘-2-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3.90 (3H, s), 4.83 (2H, d, J = 4.7 Hz), 7.11 (2H, d, J = 8.9 Hz), 7.24-7.28 (1H, m), 7.38 (1H, d, J = 7.8 Hz), 7.63 (2H, d, J = 8.9 Hz), 7.73 (1H, td, J = 1.6 Hz, 7.7 Hz), 7.98 (1H, br), 8.37 (1H, s), 8.58 (1H, d, J = 4.7 Hz), 8.67 (1H, d, J = 1.9 Hz), 9.04 (1H, d, J = 1.9 Hz); MS (ES+): m/z 360 [MH+]
실시예 R19
3-(4-메톡시페닐)-N-(3-메톡시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1H NMR (400 MHz, CDCl3): δ 1.91 (2H, quint, J = 5.5 Hz), 3.41 (3H,s), 3.61 (2H, t, J = 5.5 Hz), 3.66 (2H, t, J = 5.4 Hz), 3.89 (3H, s), 7.10 (2H, d, J = 8.9 Hz), 7.21 (br), 7.61 (2H, d, J = 8.9 Hz), 8.34 (1H, s), 8.52 (1H, d, J = 2.0 Hz), 8.90 (1H, d, J = 1.9 Hz); MS (ES+): m/z 341 [MH+]
본 발명에 개시된 이미다조피리드로의 또 다른 경로로서, 하기의 경로를 또한 주요 중간체 XXVI의 합성에 적용하였다.
6- 하이드록시 -5- 니트로니코틴산 ( XXII ):
250 ㎖ 플라스크에 6-하이드록시니코틴산(20 g, Aldrich) 및 100 ㎖의 적색 발연 질산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0 ℃(욕 온도)로 서서히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온도를 80 ℃로 서서히 상승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추가로 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밤새 냉각시키고 황색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10 ㎖)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LC-MS: >95% 순수. 1H NMR (CD3OD, 400 MHz): δ = 8.45 (d, J = 2.5 Hz, 1H), 8.85 (d, J = 2.5 Hz, 1H).
6- 클로로 -5- 니트로니코틴산 메틸 에스테르( XXIII ):
POCl3(5 ㎖) 중의 6-하이드록시-5-니트로-니코틴산(1.1 g, 6.0 밀리몰) 및 PCl5(3.75 g, 18.0 밀리몰)의 현탁액을 10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과잉의 옥시염화 인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사를 무수 에테르 10 ㎖에 용해시키고 0 ℃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메탄올 10 ㎖을 적가하였다. 10 분 후에, 에테르를 감압 하에 실온에서 증발시켰다. 나머지 메탄올 용액을 물(40 ㎖)로 희석하고, 담황색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1H NMR (CDCl3, 400 MHz): δ = 4.03 (s, 3H), 8.77 (d, J = 2.1 Hz, 1H), 9.18 (d, J = 2.1 Hz, 1H).
6-(4- 벤질옥시페닐아미노 )-5- 니트로니코틴산 메틸 에스테르( XXIV ):
MeOH(10 ㎖) 중의 6-클로로-5-니트로-니코틴산 메틸 에스테르(216 ㎎, 1.0 밀리몰) 및 4-벤질옥시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280 ㎎, 1.2 밀리몰)의 용액에 iPr2NEt(0.35 ㎖, 2.0 밀리몰)를 가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적색 고체가 상기 혼합물로부터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MS (ES, Pos.): m/z 380 [MH+]. 1H NMR (CDCl3, 400 MHz): δ= 3.94 (s, 3H), 5.10 (s, 2H), 7.03 (d, J = 8.8 Hz, 2H), 7.38-7.46 (m, 5H), 7.50 (d, J = 8.8 Hz, 2H), 9.01 (d, J = 2.0 Hz, 1H), 9.08 (d, J = 2.0 Hz, 1H), 10.2 (br s, 1H).
3-(4- 하이드록시페닐 )-3H- 이미다조[4,5-b]피리딘 -6- 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XXVI ):
MeOH(3 ㎖) 및 에틸 아세테이트(3 ㎖) 중의 XXIV(235 ㎎, 0.62 밀리몰)의 현탁액에 10% Pd-C(47 ㎎)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가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질소 하에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척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MS(ES, Pos.): m/z 260[MH+]. 수소화 생성물을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5 ㎖)에 현탁시키고 p-톨루엔설폰산 모노하이드레이트(12 ㎎, 0.062 밀리몰)를 가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백색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MS (ES, Pos.): m/z 270 [MH+]. 1H NMR (CD3OD, 400 MHz): δ = 3.99 (s, 3H), 7.00 (d, J = 8.8 Hz, 2H), 7.59 (d, J = 8.8 Hz, 2H), 8.71 (d, J = 1.8 Hz, 1H), 8.72 (s, 1H), 9.05 (d, J = 1.8 Hz, 1H).

Claims (21)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112006012720934-PCT00014
    상기 식에서,
    R1은 -NR3R31, -NR3C(O)R31, -NR3C(O)OR31, -NR3SO2R31, -OR3, -SR3, -SO2R3, -CO2R3, -CO2H, -CO-NR3R31, -N(C0 - 8알킬)(C0 - 8알킬) 또는 -CN 그룹이나, 단 Y가 존재하고 m>1인 경우, R1은 할로겐, -CN, NO2, -C0 - 8알킬, -N(C0 - 8알킬)(C0 - 8알킬), C2 - 8알케닐, C2 - 8알키닐, -NR3R31, -NR3C(O)R31, -NR3C(O)OR31, -NR3SO2R31, -OR3, -SR3, -SO2R3, -CO2R3, -CO2H, -CO-NR3R31, 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그룹이고;
    R2는 H, -C0 - 8알킬 또는 -C3 - 10사이클로알킬이고;
    X는 H, 할로겐, NR32R33, NR32COR33, NR32CO2R33, NR32SO2R33, OR32, SR32, SO2R32, SO2NR32R33, CO2R32, CO2H, CONR32R33, -C0 - 8알킬, -C2 - 8알케닐, -C2 - 8알키닐, CN, CF3, OCF3, NO2, 옥소, 사이클릴 및 헤테로사이클릴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 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그룹이고;
    Y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Figure 112006012720934-PCT00015
    또는
    Figure 112006012720934-PCT00016
    (여기에서
    X에 대한 결합 지점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이거나 우측일 수 있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0 - 8알킬, -C2 - 8알케닐, -C2 - 8알키닐, -C3 - 10사이클로알킬, -C3 - 10사이클로알케닐, -C0 - 8알콕시, -티오C1 - 8알킬, 카복실, -N(C0-8알킬)(C0-8알킬), 옥소 또는 하이드록시이거나; 또는 이들이 결합된 C와 함께, 고리 교점에 0 내지 4 개의 N, O, S, SO 또는 SO2를 임의로 함유하는 포화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3 내지 10 원의 고리를 형성하고;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C0 - 8알킬, -C2 - 8알케닐, 벤질 또는 아실이거나; 또는 Ra 또는 Rb와 함께 3 내지 7 원의 포화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고리를 형성하고;
    m은 0, 1, 2, 3, 4 또는 5이다)이고;
    Z는 할로겐, NR34R35, NR34COR35, NR34CO2R35, NR34SO2R35, OR34, SR34, SO2R34, SO2NR34R35, CO2R34, CO2H, CONR34R35, -C0 - 8알킬, -C2 - 8알케닐, -C2 - 8알키닐, CN, CF3, NO2, 옥소, 사이클릴 및 헤테로사이클릴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그룹이거나; 또는 X 및 Y가 존재하는 경우, Z는 -C1 - 8알킬 또는 -C1 - 8알킬-O-C1 - 8알킬일 수 있고;
    R3, R31, R32, R33, R34 및 R35는 독립적으로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OH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0 - 8알킬; -C0 - 8알킬-C3 - 8사이클로알킬, CF3, -C0 - 8알킬-O-C0 - 8알킬, -C0-8알킬-N(C0-8알킬)(C0-8알킬), -C0 - 8알킬-S(O)0-2-C0 - 8알킬; 또는 -C0 - 8알킬, 사이클릴 또는 치환된 사이클릴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CONR3R31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X가 사이클릴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Y가 존재하지 않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5. 제 3 항에 있어서, Y가
    Figure 112006012720934-PCT00017
    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6. 제 3 항에 있어서, Y가
    Figure 112006012720934-PCT00018
    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7. 제 3 항에 있어서, Y가
    Figure 112006012720934-PCT00019
    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8. 제 3 항에 있어서, Y가
    Figure 112006012720934-PCT00020
    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9.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및 신생물 억제제, 종양 억제제, 혈관형성 억제제 또는 화학요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및 세포독성 암 치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및 혈관형성 억제성 암 치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3.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모르폴린-4-일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메톡시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피리딘-3-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메톡시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디메틸아미노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피페리딘-1-일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피리딘-3-일메틸)-3H-이 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피롤리딘-1-일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3-메톡시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3-[(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옥시]페닐}-N-(2-디메틸아미노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메톡시페닐)-N-(피리딘-3-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메톡시페닐)-N-(2-모르폴린-4-일에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3-(4-메톡시페닐)-N-(피리딘-2-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 아미드;
    3-(4-메톡시페닐)-N-(3-메톡시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6-카복스아미드
    로 이루어진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N-옥사이드.
  14. 유효량의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증식성 질환의 치료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신생물 억제제, 종양 억제제, 혈관형성 억제제 또는 화학요법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과증식성 질환이 유방암, 두부암 또는 경부암인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과증식성 질환이 위장암인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과증식성 질환이 백혈병인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과증식성 질환이 난소, 기관지, 폐 또는 췌장암인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과증식성 질환이 소 세포 폐 또는 결장 암인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과증식성 질환이 부비동 비강 천연 킬러/T-세포 림프종, 고환암(고환종), 갑상선 암종, 악성 흑색종, 샘낭암종, 혈관 육종, 역형성 대 세포 림프종, 자궁내막 암종, 또는 전립선 암종인 방법.
KR1020067003586A 2003-08-21 2004-08-16 N3―치환된 이미다조피리딘 c―kit 억제제 KR20060119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677603P 2003-08-21 2003-08-21
US60/496,776 2003-08-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871A true KR20060119871A (ko) 2006-11-24

Family

ID=3427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586A KR20060119871A (ko) 2003-08-21 2004-08-16 N3―치환된 이미다조피리딘 c―kit 억제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1) EP1658289B1 (ko)
JP (1) JP2007502822A (ko)
KR (1) KR20060119871A (ko)
CN (1) CN1839132A (ko)
AP (1) AP2006003552A0 (ko)
AR (1) AR045388A1 (ko)
AT (1) ATE425977T1 (ko)
AU (1) AU2004268950A1 (ko)
BR (1) BRPI0413740A (ko)
CA (1) CA2536174A1 (ko)
DE (1) DE602004020073D1 (ko)
IL (1) IL173615A0 (ko)
IS (1) IS8318A (ko)
MX (1) MXPA06002019A (ko)
MY (1) MY138737A (ko)
NO (1) NO20060670L (ko)
RU (1) RU2006108799A (ko)
SG (1) SG131944A1 (ko)
TW (1) TW200519111A (ko)
WO (1) WO20050215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25827D0 (en) * 2006-12-22 2007-02-07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US8513276B2 (en) 2006-12-22 2013-08-20 Astex Therapeutics Limited Imidazo[1,2-a]pyridine compounds for use in treating cancer
EP2114941B1 (en) 2006-12-22 2015-03-25 Astex Therapeutics Limited Bicyclic heterocyclic compounds as fgfr inhibitors
GB0720041D0 (en) 2007-10-12 2007-11-21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GB0720038D0 (en) 2007-10-12 2007-11-21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MX344077B (es) 2008-05-05 2016-12-05 Sanofi - Aventis Derivados de ácido ciclopentanocarboxílico condensados sustituidos con acilamino y su uso como productos farmacéuticos.
GB0810902D0 (en) 2008-06-13 2008-07-23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MY153606A (en) * 2008-08-05 2015-02-27 Daiichi Sankyo Co Ltd Imidazopyridin-2-one derivatives
WO2010045276A2 (en) * 2008-10-16 2010-04-22 Cara Therapeutics, Inc. Azabenzimidazolones
WO2010099139A2 (en) 2009-02-25 2010-09-02 Osi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anti-cancer therapy
WO2010099364A2 (en) 2009-02-27 2010-09-02 Osi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agents that inhibit mesenchymal-like tumor cells or their formation
EP2401614A1 (en) 2009-02-27 2012-01-04 OSI Pharmaceuticals, LLC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agents that inhibit mesenchymal-like tumor cells or their formation
WO2010099138A2 (en) 2009-02-27 2010-09-02 Osi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agents that inhibit mesenchymal-like tumor cells or their formation
GB0906472D0 (en) 2009-04-15 2009-05-20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GB0906470D0 (en) 2009-04-15 2009-05-20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AR079022A1 (es) 2009-11-02 2011-12-21 Sanofi Aventis Derivados de acido carboxilico ciclico sustituidos con acilamino, su uso como productos farmaceuticos, composicion farmaceutica y metodo de preparacion
DK2519522T3 (en) * 2009-12-30 2014-12-08 Arqule Inc SUBSTITUTED IDAZOPYRIDINYL AMINOPYRIDINE COMPOUNDS
JP2014519813A (ja) 2011-04-25 2014-08-21 オーエスアイ・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エルエルシー 癌薬剤発見、診断、および治療におけるemt遺伝子シグネチャーの使用
JP6046710B2 (ja) * 2011-06-24 2016-12-21 アーキュー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置換されたイミダゾピリジニル−アミノピリジン化合物
WO2013152252A1 (en) 2012-04-06 2013-10-10 OSI Pharmaceuticals, LLC Combination anti-cancer therapy
EP2935248B1 (en) * 2012-12-21 2018-02-28 Plexxikon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kinase modulation, and indications therefor
AU2015236273B2 (en) * 2014-03-24 2019-03-28 Arqule Inc. Process of preparing 3-(3-(4-(1-aminocyclobutyl)phenyl)-5-phenyl-3H-imidazo(4,5-b)pyridin-2-yl)pyridin-2-amine
KR20210142154A (ko) 2019-03-21 2021-11-24 옹쎄오 암 치료를 위한 키나제 억제제와 조합된 dbait 분자
US20220401436A1 (en) 2019-11-08 2022-12-22 INSERM (Institute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s that have acquired resistance to kinase inhibitors
WO2021148581A1 (en) 2020-01-22 2021-07-29 Onxeo Novel dbait molecule and its us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9603A1 (de) * 1991-09-06 1993-03-11 Thomae Gmbh Dr K Kondensierte 5-gliedrige heterocycl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TW251284B (ko) * 1992-11-02 1995-07-11 Pfizer
WO1997012613A1 (en) 1995-10-05 1997-04-10 Warner-Lambert Company Metho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flammation and atherosclerosis
US5990146A (en) 1997-08-20 1999-11-23 Warner-Lambert Company Benzimidazoles for inhibiting protein tyrosine kinase mediated cellular proliferation
US6326379B1 (en) 1998-09-16 2001-12-04 Bristol-Myers Squibb Co. Fused pyridine inhibitors of cGMP phosphodiesterase
US6348032B1 (en) 1998-11-23 2002-02-19 Cell Pathways, Inc. Method of inhibiting neoplastic cells with benzimidazole derivatives
AU6762400A (en) 1999-08-12 2001-03-13 Cor Therapeutics, Inc. Inhibitors of factor xa
EP1214330A1 (en) 1999-09-21 2002-06-19 LION Bioscience AG Benzimidazole derivatives and combinatorial libraries thereof
WO2001057020A1 (en) 2000-02-01 2001-08-09 Cor Therapeutics, Inc. INDOLE AND BENZIMIDAZOLE INHIBITORS OF FACTOR Xa
WO2003020698A2 (en) * 2001-09-06 2003-03-13 Prochon Biotech Ltd. Protein tyrosine kin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1544A3 (en) 2005-06-16
BRPI0413740A (pt) 2006-10-24
AP2006003552A0 (en) 2006-04-30
TW200519111A (en) 2005-06-16
ATE425977T1 (de) 2009-04-15
AR045388A1 (es) 2005-10-26
MY138737A (en) 2009-07-31
AU2004268950A1 (en) 2005-03-10
IS8318A (is) 2006-02-21
NO20060670L (no) 2006-05-12
WO2005021544A2 (en) 2005-03-10
MXPA06002019A (es) 2006-05-31
CN1839132A (zh) 2006-09-27
SG131944A1 (en) 2007-05-28
EP1658289B1 (en) 2009-03-18
EP1658289A2 (en) 2006-05-24
IL173615A0 (en) 2006-07-05
JP2007502822A (ja) 2007-02-15
DE602004020073D1 (de) 2009-04-30
RU2006108799A (ru) 2006-07-27
CA2536174A1 (en)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9871A (ko) N3―치환된 이미다조피리딘 c―kit 억제제
US7767673B2 (en) N-substituted imidazopyridine c-Kit inhibitors
JP4795237B2 (ja) N−置換ピラゾリル−アミジル−ベンズイミダゾリルc−Kit阻害剤
JP4287649B2 (ja) Hivインテグラーゼ阻害薬として有用なアザ−およびポリアザ−ナフタレニルカルボキサミド類
JP6457623B2 (ja) 2,4−二置換7H−ピロロ[2,3−d]ピリミジ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医薬における使用
US7485658B2 (en) N-substituted pyrazolyl-amidyl-benzimidazolyl c-Kit inhibitors
KR20070086865A (ko) N-치환된 벤즈이미다졸일 c-kit 억제제 및 조합적인벤즈이미다졸 라이브러리
JP6594571B2 (ja) マルチキナーゼ阻害剤化合物、並びにその結晶形及びその使用
CA2908098A1 (en) Mk2 inhibitors and uses thereof
KR20060121818A (ko) N-치환된 벤즈이미다졸릴 c-kit 억제제
JP2008507534A (ja) フラノピリジン誘導体および使用方法
AU2006246930A1 (en) Quinoline derivatives as EP4 antagonists
US20100016307A1 (en) Novel compounds
JP5608098B2 (ja) キナーゼ阻害薬としてのピラゾロピリジン
KR20090064602A (ko)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페닐아세트아미드
KR102607934B1 (ko) 바닌 억제제로서의 헤테로방향족 화합물
TWI781607B (zh) 一種免疫抑制劑、其製備方法和應用
JP2012532187A (ja) イミダゾ[4,5−c]キノリン誘導体ならびに腫瘍および/または炎症の治療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WO2019144765A1 (zh) 芳香杂环取代烯烃化合物、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和应用
CN114502556B (zh) 一种联苯基氟代双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在药学上的应用
JP2008534683A (ja) 過剰増殖性疾患の治療のためのピロロ[2,3−d]イミダゾール
WO2023169481A1 (zh) 一类作为泛-kras抑制剂的四氢异喹啉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1116240A (ja) (ヘテロ)アリールイミダゾロン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