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854A - 공구의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공구의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854A
KR20060115854A KR1020067003506A KR20067003506A KR20060115854A KR 20060115854 A KR20060115854 A KR 20060115854A KR 1020067003506 A KR1020067003506 A KR 1020067003506A KR 20067003506 A KR20067003506 A KR 20067003506A KR 20060115854 A KR20060115854 A KR 20060115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chuck
central axis
cap nu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270B1 (ko
Inventor
디에테르 크레쓰
프리드리히 해베레
Original Assignee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352732&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11585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filed Critical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Publication of KR20060115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5Retention by screws
    • B23B31/1077Retention by screws acting on a floating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0Expanding
    • Y10T279/1004Colle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111Fluid-conduit drill h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666Radially reciprocating jaws
    • Y10T279/17675Transverse-screw actu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761Side detent
    • Y10T279/17821Set scre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44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 Y10T408/4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including Tool with duct
    • Y10T408/455Conducting channel extending to end of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976Milling with means to control temperature or lubricate
    • Y10T409/304032Cutter or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52Milling with cutter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테이퍼를 갖는 시트로서 작용하고, 그 중심축과 동일축으로 위치하는 제 1 도관 구역을 갖는 제 1 부품; 리세스로 도입될 수 있는 중공 샤프트 테이퍼를 갖고, 그 중심축과 동일축으로 위치하는 제 2 도관 구역을 가짐으로써, 제 1 부품과 중심축이 정렬되는 제 2 부품 및; 2개의 척 조를 갖고, 척 조와 협력하고 발동 요소에 의해 발동될 수 있는 발동 장치를 갖는 콜릿 척을 포함하는 공구의 인터페이스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발동 장치(43)가 2개의 작동 위치로 변위될 수 있고 중심 통로(71)를 갖는 케이징 요소(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통로는 제 1 및 제 2 부품(3, 5)의 중심축이 두 작동 위치에서 통로를 통하여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공구, 인터페이스

Description

공구의 인터페이스{INTERFACE OF A TOOL}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문에 따른 공구의 인터페이스와 관련된다.
여기에 언급된 타입의 인터페이스는 잘 알려진 것이다. 인터페이스라는 용어는 축(spindle) 장치와 공구, 축 장치와 어댑터, 어댑터와 공구 등 사이의 연결 부위; 일반적으로 공구 시스템의 두 요소 사이의 연결 부위를 말한다. 여기 언급되는 공구의 경우, 보통 회전 운동으로 세팅된 공구를 가지고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커터에 의해 공작물로부터 절단물을 제거하는 것들이다. 인터페이스의 제 1 부품은 시트(seat)로 작용하고, 인터페이스의 제 2 부품의 중공 생크(shank) 테이퍼가 삽입될 수 있는 암 테이퍼를 갖는다. 제 2 부품의 중공 생크 테이퍼는 클램핑 고정장치에 의해 제 1 부품의 암 테이퍼로 끌려들어가고, 그 결과 제 1 및 제 2 부품 상의 통상적으로 원형인 평탄한 표면은 서로 밀착한다. 또한, 중공 생크 테이퍼는 바람직하게는 약간 확장되어 시트 내의 암 테이퍼의 내부 표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결과는, 첫째가 인터페이스의 두 부품의 정확한 얼라인먼트, 그리고 둘째로 매우 고도의 강성률(rigidity)이다. 클램핑 고정장치는 발동 장치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운동하는, 즉 공구의 회전 축에 수직인, 두 개의 조(jaw)가 있는 콜릿 척(collet chuck)을 갖는다. 콜릿 척은 제 1 부품에 고착되어 있어 어떠한 축 변위도 방지된 다. 조(jaw)는 중공 샤프트 테이퍼 상의 클램핑 숄더와 협력하여 후자는 암 테이퍼로 끌려 들어간다. 조(jaw)의 변위는 발동기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발동 장치에 의해 시행된다. 공지의 인터페이스는 발동 장치로서 작용하고 반대편 나사선이 있는 두 구역을 갖는 클램핑 스크류를 갖는다. 이들은 척 조(chuck jaw)와 협력하고 클램핑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조를 방사상 바깥쪽 및 안쪽으로 몬다. 예를 들어, 발동 장치로서 작용하는 알렌 렌치(Allen wrench)는 상기 스크류를 우측으로 또는 좌측으로 회전시키도록 클램핑 스크류 안의 매칭 리세스로 삽입될 수 있다.
최소량 윤활은 공작품 가공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데, 여기에서 공기/오일 혼합물이 유제 대신 냉각재 및 윤활재로서 사용된다. 오일은 공기 중에 부유하고, 필요시 모든 안내로와, 공작품이 가공되는 동안 공구의 커터를 적시는 일종의 안개를 형성하는 극히 미세하게 분포되는 미세방울로 존재한다. 공기/오일 혼합물을 공급하는 데 있어서, 굴곡 영역에 분리와 고임이 일어나기 때문에 공급 도관 내에 직선 주로로부터의 이탈을 의미하는 방향의 변화가 가능한 적게 존재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여기에 논의되는 공지의 인터페이스, 즉 발동 장치로서 클램핑 스크류를 사용하는 경우, 클램핑 스크류가 콜릿 척의 몸체를 통해 수직으로 달리기 때문에 최소량 윤활을 위해 공급 통로의 직선 주로는 가능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냉각재 공급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인터페이스는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을 갖는다. 본 인터페이스의 특징적 양상은 콜릿 척의 조(jaw)와 협력하는 발동 장치가, 냉각재/윤활재를 위한 중심 통로를 갖는, 두 작동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케이징(caging) 요소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이 통로는 그 중심축이 제 1 및 제 2 부품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이 통로가 제 1 및 제 2 부품에서 도관 구역과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및 고임이 일어날 수 있는 방향의 변화가 회피된다. 여기에 기술된 특징을 갖는 인터페이스는 어떠한 기술된 단점도 존재하지 않으면서 최소량 윤활을 허용한다.
본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태양에서, 발동 장치는 중공 샤프트 테이퍼 내의 제 1 방사상 리세스를 통하여, 그리고 제 1 리세스와 정렬되는 제 1 부품 내의 제 2 방사상 리세스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발동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발동기는 테이퍼 구역 내의 발동 장치와 맞물린다. 이는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전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허용하여, 결과적으로 제 위치에 클램핑된 공구의 커터의 동일중심성에 있어서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본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태양에서, 케이징 요소는 척 조가 부착되는 두 개의 돌출부(lug)가 구비된다. 이들 돌출부의 두번째는 상응하는 척 조에 구비된 나사선과 협력하는 나사선을 갖는다. 외부 나사선은 캡 너트의 내부 나사선과 협력하는 제 2 돌출부의 외부에 구비된다. 이 캡 너트는 또한 상응하는 척 조의 내부 나사선과 협력하는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외부 나사선을 갖는다. 캡 너트가 발동기에 의해 회전할 때, 캡 너트 상에 위치한 척 조와 같이, 적절한 돌출부 상의 캡 너트는 한 회전 방향으로 방사상 외향 운동한다. 척 조는 중공 샤프트 테이퍼의 내부에 기대고 있어 케이징 요소에 부착된 반대 조 역시 중공 샤프트 테이퍼의 내부와 맞물리게 된다. 캡 너트가 발동될 때, 척 조 및 케이징 요소는 운동한다. 케이징 요소 내의 통로는 양쪽 작동 위치에서 인터페이스의 제 1 및 제 2 부품에서 도관 구역과 정렬되고 방향 변화가 없어 냉각재/윤활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인터페이스의 특히 바람직한 태양에서, 소형 관은 케이징 요소 내의 통로를 통해, 그리고 인터페이스의 제 2 구역 내의 제 2 도관 구역을 통해 인도된다. 이는 본 인터페이스의 전체 길이에 걸쳐 냉각재/윤활재를 위해 연속된 평탄한 내부 표면이 항상 제공되는 것을 보장한다.
추가의 태양은 나머지 종속항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터페이스의 종단면을 보여주고;
도 2는 도 1에서 보여준 인터페이스의 횡단면을 보여주고;
도 3은 클램핑된 상태에서 인터페이스의 종단면을 보여주고;
도 4는 도 3으로부터의 인터페이스의 횡단면을 보여주고;
도 5는 인터페이스의 케이징 요소의 확대된 측면도를 보여주고;
도 6은 도 5로부터의 케이징 요소의 평면도를 보여주고;
도 7은 인터페이스의 콜릿 척의 측면도를 보여주고;
도 8은 도 7로부터의 콜릿 척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1은 제 1 부품(3) 및 제 2 부품(5)을 갖는 인터페이스(1)의 종단면을 보여주는데, 보다 명확하도록 제 1 부품으로부터 절단하였다. 제 1 부품(3)은 제 2 부품의 시트로서 작용하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 2 부품(5) 내의 중공-형성된 테이퍼, 중공 샤프트 테이퍼(9)가 삽입되는 암 테이퍼(7)가 구비된다. 제 2 부품(5) 상의 제 2 평탄면(13)과 협력하는 환상의 표면으로서 구성된 제 1 평탄면(11)이 제 1 부품(3)의 면 위에 구비된다. 제 2 평탄면은 상기 테이퍼의 유리 말단(15) 대향의 중공 샤프트 테이퍼(9)의 말단 상에 위치한다.
제 2 평탄면(13)은 제 2 부품(5)의 본체(14)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보다 명확하도록 여기에 선택된 도면에서 이 부품으로부터 절단하였으며, 중공 샤프트 테이퍼(9) 보다 제 2 평탄면(13) 영역에서 더 큰 외경을 갖는다.
두 개의 평탄면(11 및 13) 각각은 인터페이스(1)의 중심축(17)과 수직으로 달리는 평면에 놓인다. 여기에 보여주는 도면에서는,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인터페이스(1)를 보여주는데, 두 개의 평탄면(11 및 13)은 서로 거리를 두고 있다.
구멍(19)-이 경우 원통형-은 콜릿 척(21)으로서 구성된 클램핑 고정장치를 위치시키도록 작용하는 중공 샤프트 테이퍼(9)로 도입된다. 중심축(17)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 각도로 달리는 클램핑 숄더(25)를 갖는 환상 홈(23)은 원통형 구멍(19)의 벽으로 도입된다.
콜릿 척(21)은, 도 1에 따른 도면에서 여기 보이지 않는 제 1 부품(3)의 제 1 도관 구역에서 좌측으로, 그리고 제 2 부품(5)으로 도입되는 제 2 도관 구역(29)에서 우측으로 연속되는 드릴 구멍(27)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되는 연속적인 중심 전-길이 개구를 갖는다. 후자의 도관 구역은, 예를 들어 제 2 부품(5)의 본체(14)에서 드릴 구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두 도관 구역과 드릴 구멍(27)의 중심축은 인터페이스(1)의 중심축(17)과 일치한다. 소형 튜브(31)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도관 구역으로, 드릴 구멍(27) 및 연속적이고 일정한 내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냉각재/윤활재 공급의 일부로 기능하는 제 2 도관 구역(29)으로 삽입된다.
두 개의 돌기(33)가 배요넷 자물쇠의 일부인 콜릿 척(21)의 외벽 상에 제공된다. 콜릿 척(21)은 이 자물쇠에 의해 제 1 부품(3)에 단단히 고착된다. 그 잠긴 위치는 튼튼한 맞춤핀(35)에 의해 보장된다.
두 개의 리세스(39, 39')가 척 조(41, 41')를 위치시키도록 작용하는 콜릿 척(21)의 본체(37)로 도입된다. 도 1에서 인터페이스(1)는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여지므로, 척 조(41, 41')는 중심축(17)으로부터 최소 거리에서 방사상 내향 위치에 있다. 척 조(41, 41')는 그들을 방사상 내향 및 외향으로 밀 수 있는 발동기(43)와 협력한다. 도 1은 척 조(41, 41')가 클램핑 숄더(25)와 협력하는 클램핑 표면(45, 45')을 그의 방사상으로 외측에 구비하는 것을 보여준다.
발동기(43)는 제 1 돌출부(49)가 중심축(17) 위에 구비되고 중심축 아래에 제 2 돌출부(51)가 구비되는 케이징 요소(47)를 포함한다. 제 1 척 조(41)는 상부 제 1 돌출부(49)에 장착되고 제 2 척 조(41')는 하부 제 2 돌출부에 장착되며, 여기서 제 1 척 조(41)는 잠금 핀(53)-여기서는 중심축(17)에 평행-에 의해 제 1 돌 출부(49)에 연결되고 제 2 척 조(41')는 나사선에 의해 제 2 돌출부(51)에 연결된다. 여기서 보여지는 태양의 경우, 캡 너트(55)가 제 2 돌출부(51)와 제 2 척 조(41')의 사이에 구비된다.
발동 장치(43)는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리세스(57)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샤프트 테이퍼(9)에 도입되고 제 1 리세스와 정렬되는 제 2 리세스(59)는 제 1 부품(3)의 벽에 도입된다. 축 방향, 즉 중심축(17)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환상 커버 링(61)은 제 2 리세스(59)에 걸쳐서 연장되고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제 2 리세스(59)를 보호한다. 여기서 보여지는 태양에서, 고무 요소(63)가 인터페이스(1)에 대향하여 커버 링(61)의 측면에 구비되어, 커버 링(61)의 위치를 확보하고 제 2 리세스(59)의 영역에서 밀봉 성능을 개선시킨다. 또한 커버 링(61)에 방사상 리세스를 제공하고 필요시에 이 리세스가 제 1 및 제 2 리세스(57, 59)와 정렬되어 발동 장치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링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중심축(17)에 평행한 이젝터 핀(65)이 콜릿 척(21)의 본체로 삽입된다. 인터페이스(1)가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이 핀은 제 2 척 조(41')의 경사면(67)에 의해 축 방향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원통형 구멍(19)의 바닥(69)에 대향하여 밀려나서,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및 제 2 부품(3, 5)을 서로 밀어내어 제 2 부품(5)이 제 1 부품(3)으로부터 쉽게 제거되도록 허용한다.
도 2는 도 1의 인터페이스를 횡단면으로 보여준다. 도 1에 대한 설명이 참조되도록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도면은 두 부품(3, 5)이 하나가 다른 것의 내부에 동일축으로 놓여 있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척 조(41, 41')가 오그라든 위치에 있음을 볼 수 있다. 캡 너트(55)는 제 2 돌출부(51)에 완전히 나사 결합되고, 따라서 중심축(17)으로부터 최소한의 거리에 위치한다. 소형 튜브(31)는 중심축과 동일축으로 놓여 있다.
또한, 도 2는 케이징 요소(47)와 이에 부착된 돌출부(49, 51)를 구비한 발동 장치(43)를 보여준다. 케이징 요소(47)는 도면의 평면에 수직이고 긴 구멍으로 구성되는 개구(71)를 구비한다. 이 개구는 소형 튜브(31)가 두 작동 위치, 여기서 보여지는 첫번째, 잠기지 않은 위치에서 개구를 관통할 수 있는 치수로 만들어져 있다.
처킹(chucking) 요소(21)는 그 중심축이 수직 직경 라인과 일치하고 케이징 요소(47)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선택된 리세스(73)를 구비한다. 리세스(73)의 측벽은 두 부품(3, 5)의 클램핑/탈클램핑(unclamping)을 야기하는 운동으로 케이징 요소(47)를 안내한다.
또한, 도 2는 캡 너트(55)는 발동 개구(75), 예를 들어 알렌 키(Allen key)로서 구성되는 발동 요소가 맞물릴 수 있는 육각형 리세스를 구비한다. 그러나, 리세스의 형상은 발동 장치의 작동과 무관하다.
도 3은 클랭핑된 위치에서 인터페이스(1)를 보여준다. 콜릿 척(21)의 모든 요소는 도 1 및 2에서 설명되고 기술된 것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 요소들에 대하여 더 이상 논의하지 않을 것이다.
발동 장치(43)는 인터페이스(1)의 두 부품(3, 5)을 클램핑하도록 작동된다. 발동 요소, 예를 들어 알렌 키에 의해, 캡 너트(55)의 발동 개구(75)가 제 1 및 제2 리세스(57, 59)를 통해 맞물리고 캡 너트는 회전한다. 제 1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인하여, 캡 너트(55)는 중심축(17)으로부터 최소한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도 1 및 2에서 보여지는 위치에서 방향이 바뀌고, 캡 너트(55)는 제 2 돌출부(51) 상에서 바깥으로 이동한다. 이 돌출부는 캡 너트의 내부 나사선과 맞물리는 외부 나사선을 구비한다. 캡 너트(55)는 그 일부에 대하여, 그 외부에 제 2 척 조(41')의 내부 나사선과 맞물리는 외부 나사선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캡 너트(55)의 회전으로 인하여, 캡 너트는 인터페이스(1)의 중심축에 대하여 바깥으로 이동한다. 케이징 요소(47)에 방사상 방향으로 압력이 미치도록 척 조(41') 또한 바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 1 척 조(41) 또한 방사상으로 바깥으로 이동한다. 두 척 조는 중심축(17)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주 홈(23)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척 조(41, 41')의 클램핑 표면(45, 45')은 클램핑 숄더(25)와 협력한다. 클램핑 표면과 클램핑 숄더의 면은 정렬되어, 평탄면(11, 13)이 서로 확고하게 접촉할 때까지 제 2 부품(5)이 중심축(17)을 향해 왼쪽으로 암 테이퍼(7)로 압박되도록 한다. 클램핑 숄더(25)와 함께, 척 조(41, 41')는 척 조가 방사상으로 바깥으로 밀려날 때 중공 샤프트 테이퍼(9)를 중심축(17)의 방향에서 왼쪽으로 전진시키도록 작용하는 웨지(wedge) 링을 구성한다.
척 조(41, 41')의 방사상 외향 이동의 결과로서, 중공 샤프트 테이퍼(9)는 확장되어, 그 외부 표면이 암 테이퍼(7)의 내부 표면과 확고하게 인접하여서, 그 결과 인터페이스(1)의 부품(3, 5)의 매우 정확한 클램핑과 큰 강성률을 유도한다. 발동 장치(43)가 중공 샤프트 테이퍼(9)의 영역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도 1 및 3에서 제 1 평탄면(11)의 왼쪽으로, 총괄 길이가 극히 짧고 결과적으로 인터페이스는 정밀하고 안정하다.
도 4는 클램핑된 위치에서 인터페이스(1)를 보여준다. 척 조(41, 41')가 방사상으로 바깥으로 변위되었음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케이징 요소(47) 또한 변위되어 있다. 도 4로부터, 특히 도 2와 비교하여, 인터페이스가 클램핑될 때 케이징 요소(47)는 위로 이동함이 명백하다. 통로(71)가 긴 구멍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케이징 요소(47)가 그의 제 2 작동 위치로 방향을 바꿀 때에도 소형 튜브(31)는 인터페이스(1)의 중심축(17)과 동축으로 위치한 채 남아 있을 수 있다.
결국, 소형 튜브(31)가 클램핑된 그리고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 모두에서 통로(71)를 통하여 인터페이스를 통과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결과적으로, 직선 냉각재/윤활재 공급이 방향의 전환없이 가능하여, 분리 및 고임이 명확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소형 튜브(31)가 일정한 직경 및 전체 길이에 걸쳐서 부드러운 내부 벽을 가진 경우이다.
도 5는 케이징 요소(47)를 -다소 확대된- 측면도로 보여준다. 이 도면에서 인터페이스(1)의 중심축(17)과 수직인 제 1 돌출부가 케이징 요소(47)의 본체(77)의 일측에서 돌출됨이 명백하다. 도 5에서 2개의 평행한 도트-대시 라인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발동 요소(43)의 다른 작동 위치에서 인터페이스(1)의 중심축(17) 경로를 나타낸다. 인터페이스(1)가 클램핑되지 않을 때, 인터페이스(1)의 중심축(17)은 클램핑된 위치보다 높다. 도 2와 4의 비교는 이를 특히 명백하게 보여준다: 인 터페이스(1)의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심축(17)과 함께 소형 튜브(31)는 통로(71) 내부에서 상단으로 달린다. 케이징 요소(47)가 인터페이스(1)를 클램핑하기 위해 위로 이동할 때, 중심축(17)은 통로(71)를 통해 아래로 달린다. 소형 튜브(31)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아래로 위치한다.
제 1 돌출부는 도 1 및 3에서 보여지는 잠금 핀(53)을 위치시키는 리세스(79)를 구비한다.
제 2 돌출부(51)는 제 1 돌출부(49)와 정반대에 위치한다. 제 2 돌출부가 여기서는 보이지 않지만, 캡 너트(55)의 내부 나사선과 맞물리는 외부 나사선을 가짐을 명백히 볼 수 있다. 캡 너트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돌출부는 중심축(17)을 향해 두 돌출부(49, 51)의 중심축(83)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인하여, 제 2 돌출부는 케이징 요소(47)의 본체(77)로부터 바깥으로 이동한다. 이 위치는 도 4에서 보여지는데, 캡 너트(55)의 방사상 내향 위치는 도 2에서 재현된다.
도 6에서, 케이징 요소(47)는 90°로 회전되어 케이징 요소(47)의 본체(77)에서 통로(71)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소형 튜브(31)의 외곽선은 원(83)으로 표시되어 있다. 통로(71)의 치수는 소형 튜브(31)가 발동 장치(43)의 두 작동 위치에서 통로(71)를 관통할 수 있도록 선택됨이 명백하다. 이러한 종류의 소형 튜브 없이도, 연속적인 직선 냉각재/윤활재 통로가 두 경우에서 실현될 수 있다.
도 6은 또한 반대 위치에 위치하는 돌출부(49, 51)를 보여준다. 여기서 잠금 핀(53)이 통과할 수 있는 리세스(79)가 평면도로 보여진다.
도 7은 설치된 부품이 없는 콜릿 척(21)을 보여준다. 전술한 도면에 대한 설명이 참조되도록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콜릿 척(21)의 좌단에 있는 돌기(33)는 동일할 수 있다. 이들은 콜릿 척이 인터페이스(1)의 제 1 부품(3)에 고착되는 것에 의해 배요넷 자물쇠의 일부를 형성한다. 척 조(41, 41')가 정지하게 되는 리세스(39, 39') 또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콜릿 척의 본체(37)를 위로부터 아래로 가로지르고 케이징 요소(47)를 위치시키도록 작용하는 리세스(73)를 보여준다.
이젝터 핀(65)이 수용되는 구멍(85)을 보여주도록, 콜릿 척(21)의 오른쪽 전방부가 부분 단면도로 보여진다. 한편으로는, 이젝터 핀의 길이는 리세스(39')로 다소 연장되어 거기서 척 조(41')와 협력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젝터 핀(65)은 콜릿 척(21)의 면(87)을 넘어 오른쪽으로 돌출되어, 인터페이스(1)가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일 때 두 부품(3, 5)을 분리시키도록 작용하는 제 2 부품(5) 내의 원통형 구멍(19)의 바닥(69)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콜릿 척(21)을 평면도로 보여준다.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진다. 여기서, 리세스(39)의 직사각형 윤곽을 볼 수 있고 리세스(73)는 이 리세스의 바닥을 가로질러 케이징 요소(47)를 위치시키도록 작용한다.
다음에, 인터페이스의 작동이 다시 한번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인터페이스(1)는 축 장치를 구비한 기계 공구 및 공구 사이의 연결 부위 중 어떠한 형태일 수 있으며, 중간 요소, 즉 축 장치 및/또는 공구에 서로 연결되는 연장부 및 어댑터 사이의 연결 부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보여지는 인터페이스(1)는 제 1 부품(3)을 나타내는 축 장치와 제 2 부품(5)을 나타내는 공구이다.
축 장치와 공구 사이의 연결은 제 1 부품(3)을 의미하는 축 장치로 삽입되는, 제 2 부품(5)을 의미하는, 공구에 의해 초기의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어나며, 여기서 중공 샤프트 테이퍼(9)가 암 테이퍼(7)와 맞물린다. 제 1 부품(3)의 평탄면(11)은 제 2 부품(5)의 제 2 평탄면(13)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다. 척 조(41, 41')는 방사상 안쪽으로 오그라든 위치에서 회전축(17)으로부터 최소한의 거리에 놓인다. 이는 발동 장치, 예를 들어 알렌 키를 리세스(59, 57)를 통하여 캡 너트(55)의 발동 개구(75)에 삽입하고, 너트를 회전시켜서 발동 장치가 중심축(17)으로부터 최소한의 거리를 의미하는 최대한의 내향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회전의 결과로서, 캡 너트(55)만이 중심축(17)의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캡 너트(55)와 협력하는 척 조(41')는 중심축(17)을 향해 이동한다. 척 조(41')는 콜릿 척(21)의 본체(37)에 부딪쳐 결국 정지하게 되므로, 반대편의 척 조(41)는 유사하게 안쪽으로 끌려간다. 바람직하게는 척 조(41, 41')는 방사상 방향으로 완전히 안쪽으로 이동할 때 그 외부 표면이 콜릿 척(21)의 원주 표면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위치는 도 1 및 2에서 보이는데, 여기서 인터페이스(1)는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고 발동 장치(43)는 초기의 작동 위치, 즉 풀린 위치에 있다.
인터페이스(1)를 클램핑하기 위하여, 발동 장치(43)가 작동된다. 즉, 캡 너트(55)가 회전하여 제 2 돌출부(51) 상에서 바깥으로 이동하면서 대응하는 척 조(41')를 구동시켜 유사한 방식으로 바깥으로 이동시킨다. 그 일부에 대한 척 조(41')의 변위는 첫째로 캡 너트의 외향 이동에 기초하지만, 둘째로 이 경우에서, 캡 너트(55)가 척 조(41')의 내부 나사선과 협력하는 외부 나사선을 가지어, 캡 너트(55)와 척 조(41') 사이에 상대 운동이 일어난다는 사실에도 기초한다. 캡 너트(55)의 내부 및 외부 나사선은 척 조(41, 41')의 동일한 운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피치를 가진다.
캡 너트(55)가 회전할 때, 서로 반대 위치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변위하는 척 조(41, 41') 뿐만 아니라, 케이징 요소(47)가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한다: 인터페이스(1)의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케이징 요소(47)는 아래로 이동하고, 클램핑된 작동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위로 이동한다.
두 부품(3, 5)이 서로 클램핑될 때, 척 조(41, 41')는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클램핑 표면(45, 45')과 클램핑 숄더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콜릿 척(21)이 배요넷 자물쇠에 의해 제 1 부품(3)에 단단히 고착되고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기 때문에, 중공 샤프트 테이퍼(9)는 왼쪽으로 암 테이퍼(7)의 내부로 당겨진다. 중공 샤프트 테이퍼는 확장되어 암 테이퍼(7)의 내부 벽을 가압한다. 동시에, 평탄면(11, 13)은 서로를 단단히 가압하여 인터페이스(1)의 최적 정렬이 극히 고도의 강성률과 함께 달성된다. 척 조(41')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젝터 핀(65)은 왼쪽으로 리세스(39')의 내부로 변위될 수 있다. 척 조(41')의 반대편 이동으로 인하여, 중심축(17)과 일정한 각도로 직면하는 경사진 표면이 이젝터 핀(65)에 작용하여, 후자가 오른쪽으로 밀려나서 원통형 구멍(19)의 바닥(69)과 맞부딪친다. 척 조(41')의 내부로의 부수적인 이동으로 인하여, 이젝터 핀(65)이 오른쪽으로 힘을 받아 두 부품(3, 5)이 밀려나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발동 장치(43)로 발생될 수 있는 힘은 너무 커서, 부품(3, 5)의 안전한 클램핑이 공구를 수동으로 바꿀 때에도 가능하다. 유사하게, 이러한 큰 힘은 발동 장치(43)가 수동적으로 작동될 때 적용될 수 있어서, 두 부품(3, 5)이 이젝터 핀(65)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발동 장치(43)의 케이징 요소(47)에 의해 중심 냉각재 공급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 1 부품(3) 내의 제 1 도관 구역이 케이징 요소(47) 내의 통로(71)와 정렬되고, 제 2 부품(5) 내의 제 2 도관 구역(29)과 정렬된다. 통로(71)는 긴 구멍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냉각재/윤활재용 중심 통로는 도 2 및 4에서 보여지는 두 작동 위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최소량의 윤활재가 사용될 때 공기/오일 혼합물의 분리 및 고임을 촉진하는 냉각재/윤활재 공급 영역에서의 모든 단차와 에지를 피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소형 튜브(31)가 여기에 삽입된다.
여기에 보여지는 태양에서 발동 장치(43)의 작동이 중공 샤프트 테이퍼(9)의 영역, 즉 제 1 평탄면(11)의 왼쪽에서 구현되기 때문에, 최소량의 윤활재를 사용할 때에도 최적의 윤활을 확보함과 동시에, 매우 짧은 총괄 길이가 달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인터페이스(1) 내의 극히 높은 강성률과 매우 짧은 돌출로 인한 정확한 동일중심성을 얻는다.
더욱이, 콜릿 척(21)과 이의 발동 장치(43)는 매우 적은 부품을 요구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1)는 구조상 극히 단순함을 볼 수 있다.
오염으로부터 인터페이스(1)를 보호하기 위하여, 작동 중에 발동 장치(43)에 대한 접근 부위를 덮고 필요시에 노출시키는 커버 링(61)이 구비된다. 접근을 제공하도록 인터페이스(1)의 축 방향으로 커버 링(61)을 이동시키거나, 발동 장치가 작동 중에 덮인 채로 있는 동안에 링을 회전시킴으로써 발동 장치에 접근 개구를 노출시킬 수 있는 방사상 리세스를 구비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설명으로부터, 발동 장치(43)는 여기서 기술된 기본 원리를 유지하면서 또한 다르게 고안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예를 들어, 케이징 요소(47)의 본체(77)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제 2 돌출부(51)를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가 제 2 척 조(41')의 내부 나사선과 맞물리는 외부 나사선을 가진다면, 후자는 제 2 돌출부(51)가 회전할 때 방사상 방향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는 인터페이스가 클램핑되거나 클램핑되지 않게 한다. 그러나, 척 조(41')의 큰 축 방향 이동이 캡 너트(55)의 회전 이동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캡 너트(55)를 구비하는 여기에 기술한 태양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척 조(41') 내부 중심축에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없고 제 2 돌출부(51)의 외부 나사선과 협력하는 내부 나사선을 구비하는 슬리브(sleeve)를 제 2 척 조(41')에 회전가능하게 고착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또한 캡 너트(55)를 구비하는 여기에 보여지는 태양에 비하여 특정한 회전각으로 척 조의 작은 축 방향 변위를 초래한다.
케이징 요소(47)를 갖고, 중심 냉각재/윤활재 도관이 회전축(17)에 수직인 변위를 통하여 막히지 않도록 발동 장치(43)가 구현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징 요소(47) 내의 적절한 통로(71)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 1 부품(3)과 콜릿 척(21) 사이 및 후자와 제 2 부품(5) 사이의 천이(transition), 에지 등이 소형 튜브(31)의 사용에 의해 회피될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더욱이, 이 소형 튜브는 또한 케이징 요소(47)에 대한 통로(71)의 영역에서 에지 및 천이를 제거한다. 이것은 또한 인터페이스(1)의 영역에서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 냉각재/윤활재 공급을 허용한다.
더욱이, 매우 짧은 전체 형상이 달성되고, 이는 여기에 보이지는 않지만 제 1 부품(3)에 대응할 수 있는 축 장치의 베어링 부위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하는 평탄면(11)에 의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냉각재 공급이 개선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Claims (9)

  1. 암 테이퍼를 갖는 시트(seat)로서 작용하고, 그 중심축과 동일축으로 위치하는 제 1 도관 구역을 갖는 제 1 부품;
    리세스로 도입될 수 있는 중공 샤프트 테이퍼를 갖고, 그 중심축과 동일축으로 위치하는 제 2 도관 구역을 가짐으로써, 제 1 부품과 중심축이 정렬되는 제 2 부품 및;
    2개의 척 조(chuck jaw)를 갖고, 척 조와 협력하고 발동 요소에 의해 발동될 수 있는 발동 장치를 갖는 콜릿(collet) 척을 포함하며,
    발동 장치(43)가 2개의 작동 위치로 변위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부품(3, 5)의 중심축이 관통하도록 위치하는 중심 통로(71)를 갖는 케이징 요소(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의 인터페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발동 장치(43)가 중공 샤프트 테이퍼(9) 내의 제 1 방사상 리세스(57)를 통하여, 그리고 제 1 부품(3)에 구비되고 제 1 리세스와 정렬되는 제 2 방사상 리세스(59)를 통하여 접근 가능한 인터페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개의 돌출부(49, 51)가 케이징 요소(47)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돌출부(49)가 제 1 척 조(41)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돌출부(51)가 제 2 척 조(41')와 협력하는 외부 나사선(81)을 갖는 인터페이스.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돌출부(51)와 협력하는 내부 나사선을 갖고 제 2 척 조(41')와 협력하는 외부 나사선을 갖는 캡 너트(55)가 구비되는 인터페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캡 너트(55)가 제 2 돌출부(51)로부터 외면하는 쪽에, 바람직하게는 톱니 모양으로 구성되는 발동기용 발동 개구(75)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 너트(55)의 내부 나사선 및 외부 나사선이 동일한 피치를 갖는 인터페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부품(3) 내의 도관 구역의 영역, 케이징 요소(47) 내의 통로(71)의 영역을 통하여,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부품(5) 내의 제 2 도관 구역의 영역을 통하여 돌출되는 소형 튜브를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KR1020067003506A 2003-08-22 2004-06-17 공구의 인터페이스 KR101098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8610.6 2003-08-22
DE2003138610 DE10338610B4 (de) 2003-08-22 2003-08-22 Schnittste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854A true KR20060115854A (ko) 2006-11-10
KR101098270B1 KR101098270B1 (ko) 2011-12-23

Family

ID=3435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506A KR101098270B1 (ko) 2003-08-22 2004-06-17 공구의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22219B2 (ko)
EP (1) EP1660262B1 (ko)
JP (1) JP4733034B2 (ko)
KR (1) KR101098270B1 (ko)
AT (1) ATE392285T1 (ko)
BR (1) BRPI0413828B1 (ko)
DE (2) DE10338610B4 (ko)
ES (1) ES2305786T3 (ko)
PL (1) PL1660262T3 (ko)
WO (1) WO2005028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9217A1 (de) * 2004-02-12 2005-09-01 Gühring, Jörg, Dr. Spannelement für Werkzeugspanner
US8257003B2 (en) * 2008-12-05 2012-09-04 Kennametal Inc. Side actuated collet lock mechanism
ITBS20110131A1 (it) * 2011-09-28 2013-03-29 Gnutti Transfer S P A Macchina utensile con dispositivo di supporto ed afferraggio di pezzi meccanici
DE102014114779B3 (de) * 2014-10-13 2016-01-28 Gühring KG Spannpatrone zur Ankopplung eines Werkzeugadapters an eine Motorspindel einer Werkzeugmaschine
RU192658U1 (ru) * 2018-02-01 2019-09-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К МИОН"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хвостовиком
DE102019203888A1 (de) * 2019-03-21 2020-09-24 Gühring KG Verbindungsstelle zwischen zwei Werkzeugsystemteilen und damit ausgestattestes Werkzeu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16782U1 (de) * 1987-05-11 1990-06-21 Gühring oHG, 72458 Albstadt Kupplungsvorrichtung zwischen einem Werkstück- oder Werkzeugträgerteil und einer dafür vorgesehenen Handhabungseinrichtung
US4844671A (en) * 1987-05-11 1989-07-04 Gottlieb Guhring Kg Coupling device
DE3768951D1 (de) * 1987-06-16 1991-05-02 Krupp Gmbh Werkzeugkupplung.
DE8805690U1 (de) * 1988-04-29 1989-08-31 A. Ott Gmbh, 8960 Kempten Spannvorrichtung zum axialen Spannen zweier voneinander lösbarer Maschinenteile
DE3902559A1 (de) * 1989-01-28 1990-08-02 Bilz Otto Werkzeug Schnellwechselfutter
DE3939227A1 (de) * 1989-04-05 1990-10-11 Hertel Ag Werkzeuge Hartstoff Spannvorrichtung zum axialen spannen eines werkzeugkopfes an einer werkzeugmaschinenspindel
JPH0486105U (ko) * 1990-11-30 1992-07-27
DE59209205D1 (de) * 1991-04-03 1998-04-02 Mapal Fab Praezision Schnittstelle
EP0615478B1 (de) * 1991-12-03 1997-03-05 KOMET Präzisionswerkzeuge Robert Breuning GmbH Werkzeugkupplung, die eine radial elastisch aufspreizbare anschlusshülse und einen schaft mit einem spannkörper aufweist
DE4211034A1 (de) * 1992-04-02 1993-10-07 Mapal Fab Praezision Schnittstelle
DE4231959A1 (de) * 1992-09-24 1994-05-26 Kunz & Karnein Gmbh Werkzeugspann- und -lösevorrichtung für eine Werkzeugmaschine
JP3785544B2 (ja) * 1996-02-01 2006-06-14 株式会社ニイガタマシンテクノ 工作機械の主軸装置
DE29603602U1 (de) * 1996-02-28 1997-07-03 Klement, Klaus-Dieter, 52428 Jülich Werkzeugspanneinrichtung
DE19636594B4 (de) * 1996-09-10 2005-03-10 Roehm Gmbh Löseeinheit einer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an einer Arbeitsspindel angeschlossenen Spannkopfes
DE19753663A1 (de) * 1997-12-03 1999-06-17 Guehring Joerg Dr Spannsystem zur lösbaren Verbindung zweier Teile
CZ296494B6 (cs) * 1998-01-23 2006-03-15 Komet Präzisionswerkzeuge Robert Breuning Gmbh Zarízení pro spojování nástrojové hlavy s upínacím hrídelem
JP3334614B2 (ja) * 1998-06-12 2002-10-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クーラント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JP2000042814A (ja) 1998-07-28 2000-02-15 Yukiwa Seiko Inc チャック装置
JP3409180B2 (ja) 1998-09-11 2003-05-26 ホーコス株式会社 工作機械用工具ホルダ
JP3268495B2 (ja) 1999-07-09 2002-03-25 ホーコス株式会社 工作機械の主軸装置
DE29922642U1 (de) * 1999-12-24 2000-02-24 Roehm Gmbh Spannvorrichtung für einen Hohlschaft
DE10031027B4 (de) * 2000-06-26 2004-03-04 Chiron-Werke Gmbh & Co Kg Spannmechanismus für eine Spindel in einer Werkzeugmaschine
DE10040638A1 (de) * 2000-08-17 2002-02-28 Roehm Gmbh Spannvorrichtung für einen Hohlschaft
DE10059209A1 (de) * 2000-11-29 2002-06-13 Roehm Gmbh Spannvorrichtung für einen Hohlschaft
DE10159611C1 (de) * 2001-12-05 2003-05-28 Ott Jakob Spanntech Gmbh & Co Spannvorrichtung
DE10241613A1 (de) * 2002-09-07 2004-03-18 Röhm Gmbh Spannvorrichtung für einen Hohlschaft
DE10342951B3 (de) * 2003-09-17 2005-04-28 Ott Jakob Spanntech Gmbh & Co Spannvorrichtung
DE102004063739B4 (de) 2004-12-29 2009-04-09 EMUGE-Werk Richard Glimpel GmbH & Co. KG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Vorrichtung zum Koppeln eines Rotationswerkzeugs mit einer Werkzeugspindel sowie ein Verfahren zum Bearbeiten eines Werkstücks mit einem Rotationswerk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4006854D1 (de) 2008-05-29
US20060228183A1 (en) 2006-10-12
BRPI0413828A (pt) 2006-10-24
ATE392285T1 (de) 2008-05-15
ES2305786T3 (es) 2008-11-01
US7422219B2 (en) 2008-09-09
JP2007503319A (ja) 2007-02-22
JP4733034B2 (ja) 2011-07-27
DE10338610B4 (de) 2015-05-07
BRPI0413828B1 (pt) 2018-04-10
EP1660262B1 (de) 2008-04-16
WO2005028148A1 (de) 2005-03-31
PL1660262T3 (pl) 2008-09-30
EP1660262A1 (de) 2006-05-31
DE10338610A1 (de) 2005-07-28
KR101098270B1 (ko)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3323A (en) Changing and chucking tool
KR101611395B1 (ko) 공구 홀더
US7168900B2 (en) Total support with a collet chuck receiver
US6145850A (en) Diaphragm chuck
US11135657B2 (en) Interface between a collet holder and a tool adapter
US6270086B1 (en) Collet actuator for tool holder
US8550755B2 (en) Tap driver for rigid/synchronous tapping
US6974287B2 (en) Tool clamping device
US7381018B2 (en) Tool chuck
US5372465A (en) Quick change spindle adaptor for tool holder
US20100308546A1 (en) Device for Holding Tools on Machine Tools
US6257595B1 (en) Collect chuck with quick-change cap
KR101098270B1 (ko) 공구의 인터페이스
US5244322A (en) Clamping device for individual tools
US3743307A (en) Spring actuated chuck
US6241261B1 (en) Chuck
US5133629A (en) Tool holding assembly provided with a feeler device
JPH10175105A (ja) アタッチメントグリッピング用の中空円錐形装置
US5586382A (en) Right angle turning attachment for milling machine
US3529843A (en) Quick change chuck
CN113490565B (zh) 用于对非圆柱形内轮廓进行扩孔的钻头
KR101617603B1 (ko) 편심조절 터렛용 공구홀더
KR100549264B1 (ko) 콜릿 척 수용기가 구비된 공구 지지부
JPH11156610A (ja) 工具ホルダ着脱治具
JPH02246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