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493A - 통합형 미러 - Google Patents

통합형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493A
KR20060111493A KR1020067008749A KR20067008749A KR20060111493A KR 20060111493 A KR20060111493 A KR 20060111493A KR 1020067008749 A KR1020067008749 A KR 1020067008749A KR 20067008749 A KR20067008749 A KR 20067008749A KR 20060111493 A KR20060111493 A KR 20060111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ntegrated
driver
vehicl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마츠모토
이사오 우에마츠
마사아키 아베
가즈유키 마루야마
요우지로우 츠츠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60R1/08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using a single wide field mirror or an association of rigidly connected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자가 시선을 이동하는데 어려움 없이 자동차의 후방 및 측방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할 때 후방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게 해 주는 자동차용 통합형 미러에 관한 것이다. 통합형 미러(16)는 차량 후방의 내측 시계가 투영되는 내부 미러부(18)와, 차량 후방의 외측 시계가 투영되는 외부 미러부(17)와,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를 그 거울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21)와, 연결 부재의 중간에 마련되어 있고 프론트 필러(15) 등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 부재(22)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통합형 미러{INTEGRATED MIRROR}
본 발명은 통합형 미러 특히, 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후방과 후방/측방 시계를 양호하게 해 주는 통합형 미러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자동차의 후방의 상황을 살피기를 원할 때에, 운전자는 프론트 윈도우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룸 미러와 같은 리어 뷰 미러 또는 차체 우측부 및 좌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 미러(도어 미러 또는 펜더 미러)를 사용해 왔다. 룸 미러는 주로 자동차 후방의 시계를 살피기 위해 사용하고, 사이드 미러 등은 차량의 후방/측방의 시계를 살피기 위해 사용한다. 종래의 리어 뷰 미러의 배치로는, 구조적으로 사각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었고,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의 눈으로 이러한 사각 구역을 다시 검사해야만 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는, 주행 중의 후방/측방 시계를 넓히고 사각 영역을 줄이기 위해, 룸 미러의 부속물로서 후방을 향해 부착되는 소위 와이드 미러라고 불리는 미러 장착구가 제안되었다. 이 와이드 미러로 인해, 자동차의 후방부 뿐 아니라 측방부에서 동시에 넓은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리어 뷰 미러로 얻은 시계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술이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01777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017776 호에 개시되어 있는 리어 뷰 미러(도어 미러)는 탑승객실 내부에 서브-미러가 추가로 설치되어, 이 서브-미러와 도어 미러가 조합됨으로써 시계를 넓게 확장시키고 있다.
전술한 종래의 리어 뷰 미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 문제점은 전방 사각 지역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룸 미러에 부착되는 와이드 미러는 일반적으로 룸 미러보다 크기 때문에 전방 시계와 관련된 사각 지역을 증대시킨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017776호에 따라 도어 미러와 서브-미러를 조합하면, 전방 노면을 인식할 때 중요한 눈 높이보다 낮고 프론트 필러와 도어 미러 사이에 있는 유리 영역이 서브 미러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문제점은 후방 시계의 조정이 성가시다는 것이다. 자동차에 타고 있는 운전자의 착석 자세 및/또는 운전자 시트의 위치가 변하면, 운전자는 양호한 시계를 확보하기 위해, 룸 미러와 좌우측 사이드 미러 등을 조정해야만 한다. 이러한 조정을 3 차례나 행해야 한다. 전술한 일본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017776호에 개시되어 있는 도어 미러에서는, 이러한 3 차례의 조정에 추가해서, 승객실 내부에 있는 좌우측 서브 미러의 각도 조절도 고려해야만 한다.
세 번째 문제점은 자동차의 후방과 후방/측방의 체크 횟수가 많아진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교통 상황에서 사거리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에, 운전자는 그의 시선을 적어도 2번 이동하여, 룸 미러와 좌우 사이드 미러 중 하나를 체크해야 하다. 예를 들어, 룸 미러로는 좌상 방향으로 또는 사이드 미러로는 우하 방향으 로와 같이 운전자의 시선 이동과 관련하여, 좌우 및 상하로 큰 이동이 있었다. 특히, 운전자가 사거리와 같이 주변 상황을 세심하게 살펴야 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불필요한 시선 이동을 줄일 필요가 있다.
네 번째 문제점은 운전자의 인식 능력으로 다양한 리어 뷰 미러에 투영된 이미지를 조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리어 뷰 미러를 사용하는 경우에, 후방/측방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운전자가 그의 머릿속에서 그 상황의 이미지를 그려낼 때, 운전자는 먼저 룸 미러로 얻은 후방 이미지를 기억해 내고, 이어서 사이드 미러의 측방 이미지를 응시하는 동시에, 이들을 조합하는 인식 작업을 수행하였다. 종래에는, 룸 미러와 사이드 미러의 설치 위치가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다른 미러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공간 인식을 수행하는 작업이 큰 부담이 되어 왔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고,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후방 및 주변의 상황을 체크하는 일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면서, 전방 사각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복수 개의 리어 뷰 미러를 각각 조정하는 수고를 덜어주며, 각 복수 개의 리어 뷰 미러로 시선을 이동하는 부담을 완화시켜주고, 복수 개의 리어 뷰 미러에 투영된 이미지를 머릿 속에서 조합하여 인식하는 작업에 대한 수고를 덜어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는 것으로, 자동차 통합형 미러를 제공하여,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차선 등을 변경할 때 시선을 이동하여 투영된 후방 이미지를 인식하면서 자동차의 후방 또는 후방/측방에 대한 차량 상황을 체크하는 경우, 종래의 차량에서보다 덜 수고스러운 인식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후방 내측의 시계를 투영하는 내부 미러부와, 차량 후방 외측의 시계를 투영하는 외부 미러부와, 각 거울면이 평행하도록 외부 미러부와 내부 미러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통합형 미러가 제공된다.
이러한 통합형 미러에 있어서,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그 거울면이 평행한 위치 관계를 갖도록 연결 부재로 일체로 구성되게 연결하고, 이동가능한 상태로 프론트 필러 등에 장착되어 있다. 차량의 후방 시계와 관련하여, 내부 미러부로는 승객실 내측을 비롯한 차량 후방에 대한 시계를 확보하고, 외부 미러부로는 차량의 후방/측방에 대한 시계를 확보한다. 내부 미러부로 얻은 후방 이미지와 외부 미러부로 얻은 후방 이미지는 부조화 없이 통합된 연속적인 이미지를 구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통합형 미러에서는,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는 그 거울면에 투영된 이미지가 공통 가상 시점을 기초로 하여 형성되도록 광학적으로 설계되고, 거울면에 투영된 이미지가 연속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의 거울면이 가상 시점을 기준으로 광학적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각 거울면에 투영된 후방 이미지는 연속적인 통합된 이미지로 인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통합형 미러에서는,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는 부착 부재를 회전 중심으로 연결되어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합형 미러의 시계 조정은, 내부 미러부를 파지하여 조정한다면 동시에 외부 미러부의 시계 조정도 수행할 수 있어서, 조정 회수를 감소시키고 조정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통합형 미러에 있어서는, 미러 위치를 내부 미러부를 이동시켜 조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미러에 투영된 후방 이미지를 조정하는 작업에 대한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통합형 미러에 있어서, 차량 외곽부는 좌측 및 우측 필러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합형 미러는 간단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통합형 미러에 있어서,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는 착석한 운전자의 시선 높이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의 시계에 사각이 생기지 않으면서, 양호한 전방 시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통합형 미러에 있어서,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는 소정의 체격 데이타에 근거하여 결정된 운전자의 시점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전자가 차량 전방으로 양호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통합형 미러에 있어서, 가상 시점은 프론트 필러의 전방에서 차량 코너부에 제공되고, 지면으로부터 차량 높이까지의 높이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시계는 운전자에게 최적이 되고, 운전자의 체격에 적합한 통합형 미러의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등에,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가 통합되어 있는 통합형 미러가 프론트 필러 등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프론트 윈도우와 그 근방의 전방 사각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후방을 관측하기 위해 미러를 조정하는 수고를 덜어주며, 리어 뷰 미러로의 시선 이동 수고를 줄이고, 복수 개의 리어 뷰 미러로 얻은 투영된 이미지를 머릿 속에서 조합하여 인식하는 작업에 대한 수고를 덜 수 있으며, 이러한 수단에 의해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후방 상황을 체크하는 수고를 경감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를 구비하는 승용차를 상측으로부터 대각선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자동차의 승객실 내부에서 전방을 향해 바라본 프론트 윈도우 부근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의 배치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좌우측 프론트 필러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운전자의 시트로부터 봤을 때, 우측 전방 필러에 있는 통합형 미러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의 대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통합형 미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통합형 미러와 프론트 필러 사이의 장착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의 유니버설 조인트 부품과 프론트 필러 사이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미러에 의해 볼 수 있는 후방 시계를 광학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가상 시점이 존재하는 범위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정면도이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3(a)는 정상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3(b)는 외부 미러부가 후방으로 접혀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제, 첨부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를 구비하는 승용차의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승용차(11)는 승객실(12)을 형성하는 차량 외곽부(차체)를 구비하고 있다. 승객실(13)에서, 프론트 윈도우(13)의 측방 에지와 프론트 도어(14)의 도어 윈도우(14a)의 전방 에지 사이에는 프론트 필러(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프론트 필러(15)는 프론트 윈도우(13)의 좌우측에 모두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프론트 필러(15)는 그 상단부가 차체의 후방을 향해 경사져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16)는 바람직하게는 좌우측 전방 필러(15)의 각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통합형 미러(16)는 승객실(12)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미러부(17)와, 승객실(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미러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는 승객실(12) 내부에서 봤을 때 프론트 윈도우(13)와 그 주변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프론트 윈도우(13) 주변의 개략적인 부분 절취 평면도이다. 도 4는 승객실 내부에서 봤을 때 우측 프론트 필러(15)에 있는 통합형 미러(16)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그 양쪽 측방 에지부가 좌우측 프론트 필러(15)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 유리부(13a)가 프론트 윈도우(13)에 장착되어 있다. 통합형 미러(16)는 좌우측 프론트 필러(15)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좌우측 통합형 미러(16)는 각각 외부 미러부(17)와 내부 미러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운전자(19)가 승용차(11)를 운전하는 중에 후방의 상황을 체크할 때 좌우측 통합형 미러(16)의 2 개의 미러부(17, 18)를 보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통합형 미러(16)는 프론트 필러(15)의 상단부에 형성되어있는 횡방향 관통구를 통해 관통하고 있는 통합형 미러(16)의 연결 부재(21)와, 프론트 필러(15)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연결 부재(21) 중간부에 있는 구형 부착 부재(22)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21)는 외부 미러부(17)와 내부 미러부(18)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프론트 필러(15)에 있는 횡방향 관통구는 비교적 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 개구부와 외측 개구부에는 고무 패킹(2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게 배치되어 있는 연결 부재(21)는, 운전자(19)가 손으로 내부 미러부를 조작하여 구형 부착 부재(22)를 중심으로 연결 부재를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따라 미러의 방향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통합형 미러(16)의 전체적인 자세를 변화시켜 더 양호한 후방 시계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론트 필러에서의 통합형 미러(16)의 장착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운전자(19)의 시선(눈높이)의 높이(24)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고무 패킹(23)은 미러부(17, 18)의 필요한 각도 조절을 허용하면서, 동시에 승객실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밀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제공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론트 필러(15)의 관통공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제조된 다른 부품으로 덮혀져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도 5에는 통합형 미러(16)의 확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통합형 미러(16)의 확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프론트 필러(15)에 장착되어 있는 통합형 미러(16)의 장착 구조에 대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부착 부재(22)의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는, 프론트 필러(15)의 외형과 내부 구조가 복잡하지만,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통합형 미러(16)는 외부 미러부(17)와 내부 미러부(18)로 구성되어 있고, 이 2 개의 미러부(17, 18)는 연결 부재(21)를 사용하여 그 뒷면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미러부(17)와 내부 미러부(18)는 동일한 형태이다. 그러나, 미러부의 크기와 형태는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연결 부재(21)는 필요한 강성을 가진 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부재로 제조되고, 그 중간부에 구형 부착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착 부재(22)는 프론트 필러(15)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유니버설 조인트 구조(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6 및 도 7로부터 명백하게,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미러부(17)의 거울면과 내부 미러부(18)의 거울면은 이들이 동일한 평탄한 평면(거울면; 라인 26)에 포함되어 있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미러부(17)의 거울면과 내부 미러부(18)의 거울면은 반드시 동일한 평면 내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이 적어도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전술한 구조를 구비하는 통합형 미러(16)에 있어서, 후방 시계를 조정할 때 예를 들어, 운전자(19)가 내부 미러부(18)를 파지하여, 내부 미러부(18)의 거울면에 투영된 후방 이미지를 보면서 최적이 되도록 내부 미러부를 이동시키면, 외부 미러부(17)도 동시에 이동하여, 외부 미러부의 거울면에 투영된 후방 이미지도 동시에 조정된다.
도 7에서, 화살표 27은 반시계방향 회전을 나타내고, 화살표 28은 시계방향 회전을 나타낸다. 구형 부착 부재(22)는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축(y축, z축)을 중심으로도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도 9를 참조하여, 통합형 미러(16)로 볼 수 있는 후방 시계를 광학적으로 설명하겠다. 여기서, 미러부(17, 18)의 크기와, 장착 위치와, 각도 등은 승용차(11)의 전체 길이와, 전체 폭과, 승객실(12)의 크기와, 프론트 필러(15)와 운전자 시트 사이의 위치적 관계와, 통합형 미러(16)로부터 얻을 수 있도록 요구되는 후방 시계각(32, 33)과, 미러부(17, 18)의 반사 특성과 같은 다양한 인자를 고려하여, 운전자 주변에서의 인지 시계(전방 시계도 포함)가 최적이 되도록 결정한다. 이 때, 가상 시점(31)이라고 부르는 가상 위치 개념을 사용한다. 가상 시점(31)으로부터 봤을 때, 통합형 미러(16)에 의해 가려져 있는 차량의 후방/측방 영역이 운전자(19)가 통합형 미러(16)를 통해 볼 수 있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가상 시점(31)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운전자(19)가 확보할 수 있는 시계에 대한 설정/조정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가상 시점(31)은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일점 쇄선(26)을 중심선으로, 운전자의 시트 위치에 앉아 있는 운전자(19; 표준 체격)의 눈의 위치와 선대칭 지점이고, 프론트 필러(15)의 전방에 설정된 지점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상 시점(31)을 미러부(17, 18)의 단부로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결정되는 시계각(32, 33)이 운전자(19)가 확보하는 후방 및 후방/측방 시계각이다. 따라서, 승용차(11)의 크기 등에 따라 필요한 시계각(32, 33)을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시계각(32, 33)을 확보하도록 미러부(17, 18)의 횡방향 폭 치수를 결정할 수 있다. 시계각(32)은 외부 시계에 대응하고, 시계각(33)은 승객실 내부의 시계에 대응한다.
전술한 "표준 체격"은 일본인과 관련하여 언급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인간 공학 리서치 센터 기관에 의해 발간된 1992년 내지 1994년의 '일본인의 체격 조사 데이타"와 같은 광범위한 표준에 근거한 측정 체격 데이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상 시점(31)의 설정 기준을 이루는 '표준 체격에서의 운전자의 시점에 대한 3차원 위치'는 운전자의 시트 조정을 복수 회 수행하는 전술한 종류의 표준 체격을 가진 다중 실험 대상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채택한 차량의 표준 체격 대상 소비자층을 설정한 후, 운전자가 그러한 체격을 갖도록 하여, 시계가 최적이 되도록 가상 시점(31)을 결정한다.
최근의 소비자의 특정 취향 지향성이 증가하는 것에 부응하여, 프론트 필러 구조를 개개의 소비자에 맞도록 주문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을 제작하기 전에 소비자의 체격 데이타를 얻어서, 통합형 미러(16)와 가상 시점(31)은 그러한 체격을 갖는 제3자 또는 소비자 자신이 시계의 시점으로부터 최적이라고 생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만약, 가상 시점(31)과 미러부(17, 18)의 장착 위치와, 형상과, 크기가 본 발명의 통합형 미러에서 채택한 차량의 목표 구매층의 평균적인 체격에 근거하여 결정된다면, 더욱 안락한 외부 시계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통합형 미러(16)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19)의 선호도 및 체격의 차이에 따라 필요한 대로 시계각(32, 33)을 조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합형 미러(16)의 외부 미러부(17)와 내부 미러부(18)의 거울면으로, 동시에 승용차(11)의 후방 시계를 관측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시점(31)의 높이는 승객실(12)의 지붕 위치로 되게 한다. 외부 미러부(17)로, 외부 시계(후방/측방 시계; 32)를 관측할 수 있고, 내부 미러부(18)로, 내부 시계(33)를 관측할 수 있다. 외부 시계(32)는 관련 기술의 도어 미러 등으로 관측할 수 있는 각도 범위와 거의 동일하고, 내부 시계(33)는 후방 윈도우의 승객 시트측 에지부가 내부에 있는 각도 범위이다.
전술한 가상 시점(31)은 프론트 필러(15)와 중간 필러(34)와 리어 필러(35)의 전방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필러(15, 34, 35)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각(36)이 최소화된다. 통합형 미러(16)가 프론트 필러(15)의 상단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미러부(18)에 의해 발생되는 전방 시계의 감소가 방지되고, 운전자의 머리에 의해 발생되는 후방 시계의 감소도 방지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통합형 미러(16)는 전방 필러(15)의 상단부에, 운전자의 정수리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미러(16)의 외부 미러부(17)와 내부 미러부(18)의 거울면에 대한 최적의 구조로는, 거울면에 투영된 후방 이미지가 공통의 가상 시점(31)을 갖도록 구성한다.
좌측(승객 시트 쪽)에서의 통합형 미러(16)의 시계에 있어서는, 승용차(11) 차체의 좌측 전방 위치에 마찬가지로 가상 시점을 설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우측의 통합형 미러(16)의 후방 시계에 대하여 대략 선대칭 위치 관계로 설정된다.
도 10(a) 및 도 10(b)에 있어서, 승용차(11) 차체에 관한 차량 폭 범위(41) 와, 운전자(19)의 눈과 관련된 위치를 나타내는 라인(42)과, 프론트 필러(15)의 차량 중앙선 측과 가까운 라인(43)과, 차량 높이 범위(44)와 관련하여, 45 영역이 우측 가상 시점(31)이 설정될 수 있는 범위이고, 46 영역은 좌측 가상 시점이 설정될 수 있는 범위이며, 47 영역은 높이 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 가상 시점이 설정될 수 있는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19)는 근처에 있는 차량과 보행자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 가상 시점(31)의 높이는 운전자(19)의 시점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통합형 미러(16)가 프론트 필러(15)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채택하였지만, 장착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도, 통합형 미러는 승객실(12), 또는 전방 유리부, 측방 유리부(도어 유리부), 루프부, 또는 썬루프부와 같은 승객실 둘레의 차량 외곽부에 장착될 수 있다.
비록, 통합형 미러(16)의 외부 미러부(17)와 내부 미러부(18)의 거울면에 대해 평탄한 미러를 사용하는 것으로 앞에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록 거울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미러부의 크기는 평탄한 미러와 동일한 시계각을 유지하면서, 소형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변형례로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록 거울면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직방향으로 시계각을 확장시켜, 미러 바로 아래의 지면으로 시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통합형 미러(16) 전체가 운전자(19)의 눈 높이 위치보 다 높게 있기 때문에, 운전자(19)에게는 정면 주행로에 대해 어떠한 사각도 없고, 정면 시계가 넓어지게 된다. 내부 미러부(18)를 조정하면, 이것과 연결되어 외부 미러부(17)도 이동하고, 대략 단지 좌우측 내부 미러부(18)를 2회 조정함으로써, 전체가 쉽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좌우측 통합형 미러(16)의 외부 미러부(17)와 내부 미러부(18)는 승객실(12a)의 내부 및 외부의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통합형 미러(16)를 보았을 때, 기억에 의존할 필요없이 2 개의 각 미러부(17, 18)에 투영된 후방 이미지를 즉시 결합/조합할 수 있어서, 운전자의 공간 인지에 대한 수고를 완화시킬 수 있다. 운전자(19)에 의해, 외부 미러부(17)와 내부 미러부(18)에 투영된 후방 이미지는 연속적으로 인식될 수 있고, 승객실 내외부의 미러 이미지가 모순없이 머릿 속에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시점(31)이라는 개념을 도입함에 따라, 통합형 미러(16) 장착 위치와 크기를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미러의 다른 실시예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통합형 미러(16)는 동일한 형태의 외부 미러부(51)와 내부 미러부(52)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미러부(51, 52)의 거울면이 평행하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미러부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통합형 미러(16)에서는, 외부 미러부(61)의 형태가 내부 미러부(62)와는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객실 내외부의 미러부의 형태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되어 있는 통합형 미러(16)에서는, 외부 미러부(71)가 피봇 조인트(72)에 의해 연결 부 재(21)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1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차 중에 그리고 장애물에 충돌했을 때, 미러가 후방으로 접힐 수 있다. 자동차에 의해 외부 미러부(71)가 후방으로 자동으로 접히는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부착 부재(22)가 프론트 필러(15)의 길이방향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채택한다면, 운전자(19)에게 맞는 더 양호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통합형 미러(16)는 도어 미러 구동 기구에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은 동일하게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 형태, 크기, 및 배치 관계는 발명을 이해하고 작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수준으로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나타나 있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를 운전하는 중에 운전자 등이 차량의 후방 및 측방, 또는 후방에 대한 상황을 알고자 할 때 사용된다.

Claims (8)

  1. 차량 후방 내측의 시계를 투영하는 내부 미러부와;
    차량 후방 외측의 시계를 투영하는 외부 미러부와;
    각 거울면이 평행하도록 외부 미러부와 내부 미러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통합형 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는 그 거울면에 투영된 이미지가 소정의 체격 데이타를 이용하여 결정된 운전자의 시점 위치와 대응하게 결정되는 공통 가상 시점을 기초로 하여 형성되도록 광학적으로 구성되고, 거울면에 투영된 이미지가 연속성을 가지며, 착석한 운전자의 눈 위치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인 통합형 미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를 따라 중간에 마련되고 차량 외곽부의 상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는 부착 수단을 회전 중심으로 연결되어 움직이는 것인 통합형 미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위치는 내부 미러부를 이동시켜 조정가능한 것인 통합형 미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곽부는 좌측 및 우측 프론트 필러인 것인 통합형 미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는 착석한 운전자의 시선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인 통합형 미러.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미러부와 외부 미러부는 소정의 체격 데이타에 근거하여 결정된 운전자의 시점 위치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인 통합형 미러.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시점은 프론트 필러의 전방에 차량 코너부에 제공되고, 지면으로부터 차량 높이까지의 높이 범위에 있는 것인 통합형 미러.
KR1020067008749A 2003-10-08 2004-10-05 통합형 미러 KR200601114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9596 2003-10-08
JPJP-P-2003-00349596 2003-10-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493A true KR20060111493A (ko) 2006-10-27

Family

ID=3443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749A KR20060111493A (ko) 2003-10-08 2004-10-05 통합형 미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53406A1 (ko)
EP (1) EP1676747A4 (ko)
JP (1) JPWO2005035314A1 (ko)
KR (1) KR20060111493A (ko)
CN (1) CN100513229C (ko)
WO (1) WO20050353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60Y1 (ko) * 2009-05-27 2011-03-14 민경훈 사각지대 미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0457B2 (ja) * 2005-09-26 2011-06-15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JP4680732B2 (ja) * 2005-09-26 2011-05-11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JP4756969B2 (ja) * 2005-09-26 2011-08-2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JP4815176B2 (ja) * 2005-09-26 2011-11-1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JP4680731B2 (ja) * 2005-09-26 2011-05-11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WO2007034853A1 (ja) 2005-09-26 2007-03-29 Kabushiki Kaisha Honda Lock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JP4756971B2 (ja) * 2005-09-26 2011-08-2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DE102006055354A1 (de) * 2006-11-24 2008-05-29 Volkswagen Ag Rückspiegel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7940673B2 (en) 2007-06-06 2011-05-10 Veedims, Llc System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modules using a power/data backbone network
US8303337B2 (en) 2007-06-06 2012-11-06 Veedims, Llc Hybrid cable for conveying data and power
US20090273208A1 (en) * 2008-03-06 2009-11-05 Ballard Claudio R Windshield frame with integrated side and rearview mirrors
US7856158B2 (en) 2008-03-07 2010-12-21 Ballard Claudio R Virtual electronic switch system
US8976541B2 (en) 2011-08-31 2015-03-10 Potens Ip Holdings Llc Electrical power and data distribution apparatus
JP6424611B2 (ja) * 2014-07-24 2018-11-21 日本精機株式会社 死角補助装置
CN106740480B (zh) * 2016-11-30 2019-05-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盲区检测装置
US11377031B1 (en) * 2021-02-07 2022-07-05 Joshua Martinez Automobile side view mirror apparatus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0147A (en) * 1936-07-27 1940-08-06 James E Griffith Support for automobile accessories
US4815689A (en) * 1987-06-03 1989-03-28 Schiff Robert D Automobile mirror
JPH0317776U (ko) 1989-06-28 1991-02-21
US4998812A (en) * 1989-07-12 1991-03-12 Hou Mei Wen H Telescopic exterior rear view mirror
US6183096B1 (en) * 1994-11-14 2001-02-06 Joseph R. Galicia Rear view mirror for a vehicle
US5808818A (en) * 1996-12-20 1998-09-15 Leou; Chiang Terng Vehicle internal rear-view mirror
US6758510B1 (en) * 2003-04-04 2004-07-06 Collins & Aikman Products Co. Vehicle A-pillar trim components with integrated rear-view mirr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60Y1 (ko) * 2009-05-27 2011-03-14 민경훈 사각지대 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6747A1 (en) 2006-07-05
EP1676747A4 (en) 2008-04-09
JPWO2005035314A1 (ja) 2007-11-22
CN100513229C (zh) 2009-07-15
US20070153406A1 (en) 2007-07-05
WO2005035314A1 (ja) 2005-04-21
CN1863692A (zh)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1493A (ko) 통합형 미러
US7413233B1 (en) Vehicle sun visor with auto-shading prompter screen
JP5291831B2 (ja) 前方視認装置
JP2006231998A (ja) フロントピラー死角の視認装置
US7804421B2 (en) Vehicle safety system
US20080074768A1 (en) Front-viewing side mirrors
JP6365600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4255915A (ja)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廻りミラー配置構造
JP2007055316A (ja) 車両のミラー構造
JP3063794B2 (ja) 車両用間接視界確認システム
KR100972013B1 (ko) 광시계 자동차 측면거울
US8403507B2 (en) Rear-view mirror for improving a driver's vision in a car or motor vehicle
JP2006088954A (ja) 鏡面の周辺部で視野を拡大させたバックミラー。
KR200391565Y1 (ko) 승용차용 변곡면 사이드 미러
RU2286267C2 (ru) Система зерка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32201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JP5499000B2 (ja) サイドアンダーミラー装置
KR200381648Y1 (ko) 다면 백밀러
KR200256586Y1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후사경
JPH10123308A (ja) 鏡面体及び車両用鏡
JP6299122B2 (ja) 運転支援装置
JP3109180U (ja) バックミラー
KR200146069Y1 (ko) 자동차의 수동식 아웃사이드미러
KR20010044447A (ko) 자동차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양방향구조의 프론트미러 및제조방법
JPS5816917Y2 (ja) 自動車用ミ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