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283A -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283A
KR20060049283A KR1020050071285A KR20050071285A KR20060049283A KR 20060049283 A KR20060049283 A KR 20060049283A KR 1020050071285 A KR1020050071285 A KR 1020050071285A KR 20050071285 A KR20050071285 A KR 20050071285A KR 20060049283 A KR20060049283 A KR 20060049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base material
adhesive
polypropylene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이치 유케이
다카히로 야타가이
히데키 나가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C09J2453/006Presence of block copolym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83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of diene monomer [e.g., SBR, SIS,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지지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지지 기재의 한 면에 그 장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요철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기재가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 및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의 비율(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이 95 내지 60/5 내지 40(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구성하는 지지 기재의 구조의 일례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 1a는 표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관한 점착 테이프의 세로 갈라짐성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를 L자형 코너 부분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 기재
2 : 오목부
d : 오목부(2)의 폭
L : 오목부(2)의 피치 간격
h : 오목부(2)의 깊이
p : 오목부(2)에 있어서의 지지 기재(1)의 두께
q : 지지 기재(1)의 총 두께 또는 최대 두께
X : 지지 기재(1)의 장방향
Y : 지지 기재(1)의 폭방향
3 : L자형 코너 부분을 갖는 목재제의 피착체
4 : 점착 테이프
4a : 점착 테이프(4)의 장방향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절단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장방향에서의 갈라짐이 방지되고, 또한 열용융형 점착제를 캘린더 도공 방식 또는 가열용융 도공 방식에 의해 지지 기재에 도공하더라도, 지지 기재의 수축이나 변형이 방지되는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착 테이프는, 지지 기재로서의 테이프상 필름 기재의 한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다른 면에 박리처리가 실시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점착 테이프는, 보통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시판되고, 사용시에는, 필요한 길이만큼 재권취시킨 후, 원하는 위치(길이)에서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절단하여 피착체에 부착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착 테이프는, 손으로 용이하게 폭방향으로 절단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피착체에도 충분히 접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지 기재(지지체)에 플라스틱계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 테이프의 절단성이 나빠져, 특정 장치에는 절단성의 개선이 요구된다. 예컨대, 요철 스퀴징 롤러를 사용하여 지지체의 표면에 홈을 형성한 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제2,694,854호 참조). 이러한 점착 테이프에서는, 지지체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요철가공을 실시한 플라스틱계 기재에 의한 점착 테이프는, 주택 건재 용도나 포장재 용도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요철가공을 실시하는 플라스틱계 기재에 의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으로서는, 주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용제 도공 방식에 의해 도공하여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플라스틱계 기재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 내열성이 낮기 때문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용제 도공 방식에 적합한 점착제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러한 우수한 절단성이 부여된 점착 테이프의 경우, 특히 주택 건재 용도로 사용될 때, 건재의 접합부 등의 단차이 부분이나, L자형 코너 부분 등의 코너부(인-코너, 아웃-코너 등)에 대한 추종성이 요구된다. 지지체로서 천이나 플라스틱 직조물 또는 플랫 얀(flat yarn)을 사용하는 종래의 점착 테이프에서는, 각 부분의 형상에 추종시키기 위해 과도한 압착이나 반복된 가압식 압착이 필요하지만, 강인성 때문에 점착 테이프의 장방향에서의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지지체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계 기재가 사용되는 경우, 그 유연성에 의해 추종하는 데에는 유리하지만, 코너 부분에의 반복 가압식 압착에 대하여는, 점착 테이프의 장방향에서의 갈라짐이 발생하는 문제(세로갈라짐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피착체가 발포 단열재나 목재 등의 홈 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 접착신 뢰성의 관점에서, 고무계 점착제(특히, 열용융형 고무계 점착제)가 적합하고, 상기 추종성에 있어서의 세로갈라짐의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최근 환경 보호 대책으로서, 무용제형 점착제, 특히 열용융형 점착제[예컨대, 캘린더 방식으로 도공되는 고형 점착제나, 고온 용융 방식으로 도공되는 고온 용융 점착제(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점착제 등)]이 재고되며, 특성면 및 제법면에서 고무계 점착제(특히, 열용융형 고무계 점착제)의 유용성이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계 기재에 있어서는, 예컨대 플라스틱계 기재가 폴리에틸렌 단독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융점이 비교적으로 낮아, 열용융 도공형 점착제를 도포할 때의 열에 의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계 기재가 수축 변형을 일으켜, 충분한 외관 성능을 갖는 점착 테이프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도공 내열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계 기재로서, 융점이 비교적으로 높은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경우에서는, 도포시의 열에 의한 수축이나 변형은 작지만, 플라스틱계 기재의 흐름 방향(장방향)으로 배향이 가해져 폭방향의 인열 강도가 증대하고(절단성이 저하되고), 또한 흐름 방향으로의 배향에 의해 세로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 그 결과 절단성이 불만족스럽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장방향으로의 갈라짐이 방지되고, 또한 열용융형 점착제를 지지 기재에 도공하더라도 지지 기재의 수축 이나 변형이 방지되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지지 기재로서, 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특정 프로필렌계 수지를 조합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면, 강인성을 부여하고, 세로갈라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내열성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따라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지지 기재의 한 면에, 그 장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요철부를 갖고, 또한 상기 지지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지지 기재가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의 비율은,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95 내지 60/5 내지40(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기재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두께는 50 내지 300㎛이며, 또한 오목부의 깊이는 지지 기재의 볼록부에서의 두께에 대해 30 내지 90%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지지 기재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또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고 있는 요철부측 블록 폴리프로필렌층과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위치한 내열성을 갖는 비요철부측 내열성층을 적어도 갖는 다 층 구조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비요철부측 내열성층은, 호모폴리프로필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장방향에 있어서의 엘멘도르프(Elmendorf) 인열 강도 및 폭방향에서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비가 장방향에 있어서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폭방향에서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 기재를 형성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중에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제층으로서 열용융형 점착제를 캘린더 방식 또는 가열용융 방식에 의해 도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열용융형 점착제로서는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따르면, 절단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장방향에서의 갈라짐이 방지되고, 또한 열용융형 점착제를 지지 기재에 도공하더라도 지지 기재의 수축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지지 기재의 한 면에, 그 장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요철부를 갖고, 또한 상기 지지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또한, 상기 지지 기재가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지지 기재의 한 면에 그 장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즉,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요철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가위나 칼 등의 절단공구를 이용하여 점착 테이프를 폭방향으로 절단하지 않더라도 손에 의해 쉽고 안전하게 폭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공구에 의해서, 피착체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절단시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더구나, 지지 기재가,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방향에서의 갈라짐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장방향의 내갈라짐성(「내세로갈라짐성」또는「세로갈라짐 방지성」으로 칭하기도 함)과 열용융형 점착제의 도공시에서의 열에 의한 지지 기재의 수축이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열성(「도공내열성」이라 칭하기도 함)을 함께 만족시킬 수 있다.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지지 기재를 형성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 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는, 이른바「블록 폴리프로필렌」이라 지칭되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고분자쇄부(폴리프로필렌 고분자쇄부)로 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고분자쇄부에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고분자쇄부(α-올레핀계 고분자쇄부)가 블록공중합에 의해 결합된 형태를 갖고 있는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이다. 이러한 폴리 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블록 폴리프로필렌」이라 칭하기도 함)에 있어서,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 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1-뷰텐이며, 특히 에틸렌이 적합하다. 한편,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블록 폴리프로필렌에 있어서, α-올레핀의 비율로서는, 보통 모노머 성분(프로필렌 및 α-올레핀)의 전량에 대하여 수 중량% 정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중의 α-올레핀의 비율로서는, 예컨대 모노머 성분 전량에 대하여 1 내지 40중량%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중량%)이다. 따라서, 블록 폴리프로필렌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비율은, 예컨대 모노머 성분(프로필렌 및 α-올레핀)의 전량에 대하여 60 내지 99중량%(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7중량%)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블록 폴리프로필렌과 동종의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랜덤공중합체나, 호모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랜덤공중합체는, 이른바「랜덤 폴리프로필렌」이라 지칭되며,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프로필렌과 전체 모노머 성분에 대하여 수 중량% 정도의 α-올레핀(예컨대,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등의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과 랜덤공중합한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계 랜덤공중합체(「랜덤 폴리프로필렌」이라 칭하기도 함)이다. 또한, 호모폴리프로필렌은, 모노머 성분으로서 프로필렌만이 사용되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이다. 지지체를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서, 블록 폴리프로필렌 대신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면,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내열성이 낮아, 열용융형 점착제를 지지 기재에 도공할 때의 열에 의해 지지 기재에 수축이나 변형 등이 생겨 버리는 경우가 있어 적당하지 않다. 한편, 지지체를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서, 블록 폴리프로필렌 대신 호모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면, 호모폴리프로필렌이 고결정성을 갖기 때문에, 유연성이 모자라고, 취성 파단을 나타내어 단차이 부분이나 L자형 코너부 등의 부분(인-코너, 아웃-코너 등)에 부착했을 때, 추종하기 어렵고 갈라지기 쉬워 적당하지 않다.
블록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요철 스퀴징 롤러 등에 의한 요철 전사성의 관점에서, 용융지수(MFR; 온도 230℃, 하중 21.18N; JIS K 6758에 준함)가 10 내지 40(g/10 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g/10 min)인 것이 더욱 적합하다. 블록 폴리프로필렌의 MFR이 10(g/10 min) 미만인 경우는, 요철 스퀴징 롤러 등에 의한 요철 전사성이 모자라고 절단성이 저하되는 한편, 40(g/10 min)을 초과하면, 요철 스퀴징 롤러 등의 롤러로부터의 박리성이 저하되어 성막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지지 기재를 형성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프로필렌-뷰텐-1 공중합체)로서는, 프로필렌과 1-뷰텐의 공중합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블록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프로필렌의 비율이 예컨대 모노머 성분(프로필렌 및1-뷰텐)의 전량에 대하여 50몰% 이상인 것이 중요하고,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몰%(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8몰%)이다. 이와 같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비율이 1-뷰텐의 비율 보다 많아지는 경우(특히, 모노머 성분의 대부분이 프로필렌인 경우),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이 좋고 블록 폴리프로필렌 중에 미세 분산시킬 수 있어, 블록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상의 취성을 개선함으로써, 강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비율이 1-뷰텐의 비율보다 적은 경우(즉, 1-뷰텐의 비율이 프로필렌보다 많은 1-뷰텐-프로필렌 공중합체로 되어 있는 경우), 1-뷰텐-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과 상용하기 어렵고, 분리된 도메인 상으로서 블록 폴리프로필렌 중에 혼합되어 있어, 블록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상의 취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모자란다. 또한,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이 블록 폴리프로필렌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경우, 블록 폴리프로필렌 중에 분산되어 있을 때의 상 구조가, 분리된 도메인 상이 되어서 블록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상의 취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모자란다. 이러한 상 구조에 의한 차이는,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이나 원자간력 현미경(AFM) 등을 이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로서는, 쇼어 A 경도(ASTM D2240에 준거하여 측정)가 70 이하(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의 쇼어 A 경도(ASTM D2240에 준거하여 측정)가 70을 초과하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는 유연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또한,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로서는,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결정 융해 피크 및 결정화 피크가 관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로서는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한 측정시 결정 융해 피크 및 결정화 피크를 나타내는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블록 폴리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는 DSC 측정에 의해 구별되는 결정 융해 피크 및 결정화 피크를 나타내는 반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는 결정 융해 피크 및 결정화 피크를 나타내지 않아, 이들의 상용가능 범위에서 양자를 용융 혼합하여도 블록 폴리프로필렌의 결정 융해 피크 및 결정화 피크에는 변화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 기재를 형성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블록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의 비율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블록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95 내지 60/5 내지 40(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며, 블록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95 내지 70/5 내지 30(중량비)인 것이 더욱 적합하다.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의 비율이, 블록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의 전량에 대하여, 5중량% 미만인 경우, 점착 테이프의 장방향의 내갈라짐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모자라고, 한편 40을 초과하면 내열성은 향상하지만 절단성이나 세로갈라짐성이 저하된다.
한편,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제1999-193309호 공보에 기재된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현재 공지되거나 관용의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과 1-뷰텐을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촉매로서, 일본 특허공개 제1999-19330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촉매(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 성분을 이용한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 기재를 형성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외에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가 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절단성의 부여나 성막시의 넥 인(neck in)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적합하다. 한편,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점착 테이프 또는 지지 기재의 장방향에서의 내갈라짐성(내세로갈라짐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로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배합량으로서는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의 양과 같은 정도의 양이나 그 이하의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중에는, 각종 첨가제[예컨대, 충전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 노화방지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등]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점착 테이프의 절단성이나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중의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첨가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무기 화합물(탄산칼슘 등)로 이루어진 충전제를 반드시 첨가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저온에서의 취성 파단의 억제의 관점에서, 충전제를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중에 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종 충전제를 절단성, 내열성, 내세로갈라짐성 이외의 특성 부여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특성으로서는, 난연성, 가열변형 방지성, 강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충전제의 배합량으로서는, 블록 폴리프로필 렌계 수지 조성물 중의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부)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서, 지지 기재는, 그 한 면에 장방향에 대한 수직방향(폭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요철부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 요철부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원추 형상, 삼각 피라미드 형상, 사각 피라미드 형상, 반구상, 원주상, 삼각 프리즘 상, 사각 폴 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지지 기재의 폭방향(지지 기재의 장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상태 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오목부의 형상이 원추 형상, 삼각 피라미드 형상, 사각 피라미드 형상이나 반구상인 경우, 원추 형상, 삼각 피라미드 형상, 사각 피라미드 형상이나 반구상의 오목부가 폭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전체로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오목부로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의 형상이 원주상, 삼각 프리즘 상이나 사각 폴 상인 경우, 원주상, 삼각 프리즘 상이나 사각 폴 상의 오목부 자체가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철부는 하나만으로 폭방향이 연장된 형상을 취할 수 있고, 복수가 조합하여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요철부는, 직선상, 곡선상(예컨대, 지그재그형, 파 형상 등)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직선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형상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구성하는 지지 기재의 구조의 일례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 1a는 표면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1b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장척 띠 상태의 지지 기재의 폭방향에 단면이 사각 폴 상인 직선의 오목부가 배열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있어서, 1는 지지 기재, 2는 오목부, d는 오목부(2)의 폭, L은 오목부(2)의 피치 간격, h는 오목부(2)의 깊이, p는 오목부(2)에 있어서의 지지 기재(1)의 두께, q는 지지 기재(1)의 총 두께 또는 최대 두께, X는 지지 기재(1)의 장방향, Y는 지지 기재(1)의 폭방향이다.
요철부의 크기(치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오목부의 깊이(h)는 0.02 내지 0.15㎜(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12㎜) 정도이다. 오목부의 깊이가 0.02㎜ 미만이며, 점착 테이프의 폭방향의 절단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오목부의 깊이는 볼록부의 정상부에서 오목부의 바닥부까지의 거리(깊이)로 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의 깊이는 지지 기재의 총 두께 또는 최대 두께(즉, 지지 기재의 볼록부에서의 두께, 또는 한 면의 평활면으로부터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의 볼록부의 정상부까지의 두께)에 대하여 3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0%이다. 오목부의 깊이가, 지지 기재의 볼록부에서의 두께에 대하여 30% 미만이면, 오목부에의 응력 집중이 저하되고 절단성이 손상되는 우려가 있으며, 한편 90%을 넘으면 점착제를 도공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오목부에 있어서의 지지 기재의 두께(지지 기재의 최박부의 두께)는, 지지 기재의 도공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0.05㎜ 내지 0.3㎜(5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08㎜ 내지 0.2㎜(8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오목부의 폭(d)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0.01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4㎜)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의 피치 간격(인접하는 오목부의 중심부 사이의 간격)(L)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0.5 내지 5㎜(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4㎜)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요철부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용융 상태의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요철 조각을 실시한 성형롤 등에 압착하여 요철 형상을 전사하는 방법,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필름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후, 요철 형상을 갖는 롤러 등을 압착하여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목적하는 요철부의 형상에 따라 공지되거나 관용의 방법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직후 아직 연화 상태에 있는 필름 또는 시트(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의한 필름 또는 시트)를 요철 스퀴징 롤러와 평활 롤러 사이에서 직접 가압하여 형성하는 방법이나, 미리 제조한 실온하에서의 필름 또는 시트(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의한 필름 또는 시트)를 가열하여 연화시킨 후, 요철 스퀴징 롤러와 평활 롤러 사이에서 가압하여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의한 지지 기재의 표면(한 면 또는 양면)에는, 점착층이나 인쇄층 등의 밀착력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예컨대 코로나 방전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밑칠 처리, 배면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 등의 적당한 공지 내지 관용의 표면처리가 실시될 수 있다.
지지 기재의 총 두께 또는 최대 두께(즉, 지지 기재의 볼록부에서의 두께, 또는 한 면의 평활면으로부터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의 볼록부의 정상부까지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오목부에 있어서의 지지 기재의 두께, 오목부의 깊이의 지지 기재의 총 두께에 대한 비율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0.08㎜ 내지 0.5㎜(80㎛ 내지 500㎛)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5㎜(100㎛ 내지 250㎛)이다.
지지 기재는, 투명성을 갖거나 불투명할 수도 있으나, 투명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 기재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의한 블록 폴리프로필렌층을 갖고 있으면, 단층 및 적층체(복층)의 어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지지 기재는, 단층 구조, 다층 구조의 어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지지 기재는, 블록 폴리프로필렌층과 내열성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기재가 블록 폴리프로필렌층과 내열성층의 적층체인 경우, 점착제층(특히, 열용융형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은, 보통 지지 기재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 면에 적어도 형성되기 때문에, 블록 폴리프로필렌 층은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고, 내열성층은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지지 기재는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또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고 있는 요철부측 블록 폴리프로필렌층 및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위치하고 또한 내열성을 갖는 비요철부측 내열성층을 적어도 갖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요철부측 내열성층 등의 내열성층은, 점착 테이프의 절단성 및 내세로갈라짐성을 크게 저해하지 않고 내열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고결정성의 폴리프로필렌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호모폴리프로필렌이 적합하다. 즉, 비요철부측 내열성층 등의 내열성층은, 고결정성의 폴리프로필렌(특히, 호모폴리프로필렌)에 의해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내열성층(비요철부측 내열성층 등)의 두께는, 지지 기재의 총 두께나 층 구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기재가 요철부측 블록 폴리프로필렌층과, 비요철부측 내열성층의 2층 구조를 갖는 경우, 비요철부측 내열성층의 두께는, 지지 기재의 두께(총 두께)에 대하여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별히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기재의 총 두께에 대한 비요철부측 내열성층의 두께의 비율이 50%를 초과하면, 지지 기재의 내열성은 향상하지만 절단성이나 내세로갈라짐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점착제층)
상기 지지 기재의 적어도 한 면(한 면 또는 양면)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용제 도공 방식으로 도공되는 타입의 용제 도공형 점착제(예컨대, 고무계 용제 도공형 점착제, 아크릴계 용제 도공형 점착제, 실리콘계 용제 도공형 점착제, 우레탄 계 용제 도공형 점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열용융형 점착제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로서 열용융형 점착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용제에 의한 환경 등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지 기재로서,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지지 기재(즉, 폴리 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지지 기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열용융형 점착제를 지지 기재에 도공하더라도, 지지 기재의 수축이나 변형이 억제 또는 방지된다.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용융형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캘린더 방식으로 도공되는 타입의 열용융형 고형 점착제(캘린더형 점착제)나, 가열용융 방식으로 도공되는 타입의 열용융형 열가소성 점착제(가열용융형 점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용융형 점착제로서는, 캘린더형 점착제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내세로갈라짐성이나 조면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이 큰 점착제(특히, 고무계 점착제)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제로서는 열용융형 점착제 중에서도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캘린더형 고무계 점착제)가 적합하다.
한편, 캘린더 방식으로 도공되는 타입의 열용융형 고형 점착제(캘린더형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고무 성분(예: 뷰틸 고무, 천연 고무, 이들의 혼합물 등)을 주성분(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충전제, 점착부여수지, 연화제, 가교제, 노화방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안료, 윤활제, 가교제,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왁스 등의 첨가제 등이 적절히 배합되어 있는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캘린더형 고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열용융 방식으로 도공되는 타입의 열용융형 열가소성 점착제(가열용융형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나 엘라스토머(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있다. 한편, 가열용융형 점착제에 있어서의 베이스 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가열용융형 점착제에 있어서의 베이스 폴리머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세트산바이닐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아세트산바이닐 계 수지가 적합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계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EVA) 등의 에틸렌-바이닐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에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 공중합체(에틸렌-(메트)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등);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촉매법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 폴리프로필렌 등 α-올레핀 중합체,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뷰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뷰텐-1 공중합체 등)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개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세트산바이닐계 수지로는 폴리아세트산바이닐, 아세트산바이닐-(메트)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아세트산바이닐-바이닐 에스터 공중합체, 아세트산바이닐-말레산 에스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고온 용융형 점착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컨대 스타일렌-뷰타다이엔 블록공중합체(SB), 스타이렌-아이소프렌 블록공중합체(SI),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공중합체(SBS),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공중합체(SIS),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공중합체(SEPS),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SEP) 등의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스타이렌계 블록공중합체; 예컨대, 5몰% 이상의 스타이렌 함량을 갖는 스타이렌계 블록공중합체);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EPT(삼원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의 폴리프로필렌의 폴리머 블렌드 등의 블렌드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가열용융형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점착부여수지, 연화제, 가교제, 노화방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안료, 윤활제, 가교제,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왁스 등의 첨가제 등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이용되는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 공지 내지 관용의 점착제층의 형성방법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점착제로서 열용융형 점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점착제층은 지지 기재의 적어도 한 면(편면 또는 양면)에 열용융형 점착제를 캘린더 방식 또는 고온용융 방식에 의해 도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지지 기재의 한 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 점착제층은, 지지 기재상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평활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지지 기재상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요철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층은, 지지 기재상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평활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지지 기재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요철면)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점착 테이프의 박리면(박리용이 처리면)으로 할 수 있다. 요철면을 박리면으로 하는 경우, 요철면에 배면처리제(박리처리제)를 도공하고, 배면처리층(박리처리층 또는 이형처리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박리면으로 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총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5 내지 300㎛(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점착 테이프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점착제층의 표면은 세퍼레이터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상기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세로갈라짐성(장방향 내갈라짐성)이 우수하고 있고, 예컨대 종 방향(MD)에서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M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라 칭하기도 함)와, 폭방향(TD)에서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T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라 칭하기도 함)의 비를 M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T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1.5 이상(바람직하게는 2.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M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T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MD/TD 인열 강도」라 칭하기도 함)가 1.5 미만이면, L자형 코너부 등의 코너부(인-코너, 아웃 코너 등) 에 부착할 때 추종성이 쉬워질 뿐 아니라, 점착 테이프를 손으로 폭방향으로 절단시키는 경우 직선적으로 폭방향으로 갈라지지 않으면서 장방향으로 찢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점착 테이프의 M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나 T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엘멘도르프 인열 저항시험기(테스터 산업주식회사제)를 사용하고, 실온(23℃), 65% RH의 조건하에서, 폭 63㎜의 점착 테이프 1장을 노치의 존재하에 점착 테이프의 스트립의 장방향 또는 폭방향에서의 인열 저항(M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 T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한편, 점착 테이프의 M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내세로갈라짐성의 평가로 할 수 있고, 점착 테이프의 T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절단성의 평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측정에 의해 수득된 인열 강도(M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 T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바탕으로, MD/TD 인열 강도비를 산출하고, 내세로갈라짐성 및 절단성의 평가를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부」는「중량부」를 의미한다.
(사용 재료)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블록 폴리프로필렌)
(1) 상품명「J707G」[미쓰이스미토모폴리올레핀사 제품; 밀도: 0.910 g/cm3, 용융지수(MFR, 온도: 230℃, 하중: 21.18 N, JIS K6758에 준함): 30(g/10 min);「블록 PP」라 칭하기도 함]
·호모폴리프로필렌
(1) 상품명「F109V」[미쓰이스미토모폴리올레핀사 제품; 밀도: 0.910g/cm3, 용융지수(MFR; 온도: 230℃, 하중: 21.18 N, JIS K6758에 준함): 30(g/10 min);「호모 PP」라 칭하기도 함]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1) 상품명「타프셀렌 T3714」[스미토모화학주식회사제; 밀도: 0.860 g/cm3, 용융지수(MFR, 온도: 230℃, 하중: 21.18 N; JIS K6758에 준함): 3(g/10 min), 쇼어 A 경도(ASTM D2240에 준함): 57;「PBR」이라 칭하기도 함]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 상품명「타프머 A4050」[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밀도: 0.860 g/cm3, 용융지수(MFR; 온도: 230℃, 하중: 21.18 N; JIS K6758에 준함): 3.6(g/10 min), 쇼어 A 경도(ASTM D2240에 준함): 53;「EPR-1」이라 칭하기도 함]
(2) 상품명「타프머 P0275」[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밀도: 0.861 g/cm3, 용융지수(MFR; 온도: 230℃, 하중: 21.18 N; JIS K6758에 준함): 5.4(g/10 min), 쇼어 A 경도(ASTM D2240에 준함): 55;「EPR-2」이라 칭하기도 함]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 상품명「아드플렉스 C200F」[스나로머주식회사제; 밀도: 0.890 g/cm3, 용융지수(MFR; 온도: 230℃, 하중: 21.18 N; JIS K6758에 준함): 6(g/10 min);「TPO」라 칭하기도 함]
·저밀도 폴리에틸렌
(1) 상품명「스미카센 G401」[스미토모화학주식회사제; 밀도: 0.926 g/cm3, 용융지수(MFR; 온도: 230℃, 하중: 21.18 N; JIS K6758에 준함): 4(g/10 min);「LDPE」라 칭하기도 함]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배합부)로 각 재료를 배합하여 드라이 블렌딩하고 (구체적으로는, 블록 PP 60부, PBR 40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드라이 블렌딩함), 혼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 수지 조성물을 다이 온도 250℃에서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작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요철 조각을 낸 롤에 가압하여 총 두께 127㎛, 오목부(홈, 틈)의 깊이 45㎛, 오목부(홈,틈)에서의 두께: 82㎛, 총 두께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 비율: 35%, 오목부의 폭: 0.200㎜, 요철부의 피치 간격(오목부의 피치 간격) 1.000㎜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 기재(테이프 기재)를 제조했다. 이 지지 기재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요철면에 실리콘계 배면처리제(박리처리제)를 도포하여 배면처리층(박리처리층 또는 이형처리층)을 형성하고, 한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활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한 후, 이 코로나 방전처리가 실시된 평활면(코로나 방전처리면)에 8인치 캘린더 도공기(측부 롤러 온도: 150℃, 상부 롤러 온도: 100℃, 중심부 롤러 온도 90℃, 하부롤러 온도: 30℃)로써, 하기의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도공하고, 점착제층(두께 150㎛)을 형성하고,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점착 테이프를 제작했다.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 뷰틸 고무(상품명「뷰틸 268」일본합성고무사 제품) 100부에 대하여, 석유계 수지(상품명「에스콜렛츠 1205」토넥스사 제품) 50부, 연화제(상품명「폴리뷰텐 HV300」일본석유화학사 제품) 200부, 충전제(상품명「탄산칼슘」마루오칼슘사 제품) 200부를 배합하여 제조한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
실시예 2 내지 6
각 재료(구체적으로는, 블록 PP, PBR, LDPE의 각 재료)의 비율이 표 1에 나타낸 비율이고, 또한 지지 기재(테이프 기재)에 형성된 오목부의 깊이(㎛), 오목부의 두께(㎛), 총 두께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이 각각 표 1에 나타낸 크기 또는 값인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지지 기재(테이프 기재)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점착 테이프를 제조했다.
실시예 7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PP 70부, PBR 15부, LDPE 15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드라이 블렌딩하여 혼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혼합 수지 조성물과 호모 PP를 2축 압출 성형기(다이 온도 250℃)를 이용하여, 혼합 수지 조성물의 층 의 두께와 호모 PP의 층의 두께 비율이, 혼합 수지 조성물의 층의 두께: 호모 PP의 층의 두께=75:25(%)인 2층 구조의 플라스틱 필름을 제작했다. 이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고, 지지 기재(테이프 기재)에 형성된 오목부의 깊이(㎛), 오목부의 두께(㎛), 총 두께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 비율(%)이 각각 표 1에 나타낸 크기 또는 값인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지지 기재(테이프 기재)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점착 테이프를 제조했다.
비교예 1 내지 6
각 재료의 비율이 표 2에 나타낸 비율이고, 지지 기재(테이프 기재)에 형성된 오목부의 깊이(㎛), 오목부의 두께(㎛), 총 두께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의 비율(%)이 각각 표 w에 나타내는 크기 또는 값인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지지 기재(테이프 기재)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점착 테이프를 제조했다. 한편, 비교예 4에서는, 흐름 방향으로 두께가 변하는 드로우 레조넌스(draw resonance) 현상에 의해, 총 두께, 오목부의 깊이나 오목부에서의 두께 등을 일정한 크기 또는 값으로 성막할 수 없어, 두께 등이 변동한다.
Figure 112005043096854-PAT00001
Figure 112005043096854-PAT00002
(평가 방법)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수득된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 절단성, 내세로갈라짐성, 내열성을 하기의 측정 방법 또는 평가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표 1 또는 표 2에 나타냈다.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측정 방법)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수득된 점착 테이프를, 시판되는 커터 나이프를 이용하여 소정의 폭(63㎜ 폭)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상기 시험편의 점착 테이프(폭 63㎜) 1장을 엘멘도르프 인열 저항 시험기(테스터산업주식회사제)를 사용하여, 실온(23℃) 및 65% RH의 조건하에서 노치의 존재하에 장방향(MD)에서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또는 인열 저항)(TD 엘멘도르프)를 구하였다. 또한 이 측정된 M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 및 T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에 의해, MD/TD 인열 강도비(M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T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산출하고, 이에 의해, 점착 테이프의 장방향이나 폭방향에서의 인열 특성을 평가했다. 한편, 점착 테이프의 M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내세로갈라짐성의 평가로 하고, 점착 테이프의 TD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절단성의 평가로 했다.
(절단성 및 내세로갈라짐성의 성능시험에 의한 평가 방법)
또한, 절단성(성능시험) 및 내세로갈라짐성(성능시험)을 하기의 성능 시험 방법(절단성의 성능시험 방법, 내세로갈라짐성의 성능시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절단성의 성능시험 방법)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수득된 점착 테이프(폭 63㎜)를 맨손으로 폭방향(TD)으로 절단하고(총 5회),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점착 테이프의 절단성(성능시험)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
○: 5회 모두 맨손으로 절단할 수 있다.
△: 4회는 맨손으로 절단할 수 있다.
×: 3회 이하 밖에 맨손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없다.
(내세로갈라짐성의 성능시험 방법)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수득된 점착 테이프(폭 63㎜)를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L자형 코너부를 상정한 목재제의 피착체의 직각 부분(L자형 코너 부분)에 점착 테이프의 장방향(MD)이 목재의 직각 부분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되는 형태로 부착하고, 손가락으로 압착시켜, L자형 코너 부분의 형상에 점착 테이프를 추종시키고, 이 때의 추종성에 의해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점착 테이프의 내세로갈라짐성(성능시험)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
○: 점착 테이프의 장방향(MD)에서의 갈라짐 없이 추종한다.
△: 점착 테이프의 장방향(MD)에서 부분적으로 갈라지면서 추종한다.
×: 점착 테이프의 장방향(MD)에서 전체적으로 갈라지며 추종하지 않는다.
도 2는, 실시예에 관한 점착 테이프의 내세로갈라짐성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를 L자형 코너 부분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3은 L자형 코너 부분을 갖는 목재제의 피착체, 4는 점착 테이프, 4a는 점착 테이프(4)의 장방향이다.
(내열성의 평가방법)
또한,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수득된 점착 테이프의 제조에 있어서, 지지 기재의 평활면에 8인치 캘린더 도공기에 의해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를 도공할 때의 지지 기재의 내열성(캘린더 도공성)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 기준
○: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의 도공에 의해서도 지지 기재에 형성된 오목부가 전혀 가열 연신되지 않는다.
△: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의 도공에 의해, 지지 기재에 형성된 오목부가 부분적으로 어느 정도 가열 연신된다.
×: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의 도공에 의해, 지지 기재에 형성된 오목부가 완전히 가열 연신된다.
한편, 지지 기재에 형성된 오목부가 연신되는 것에 의해, 절단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상기 내열성의 평가방법으로, 평가가「△」나 「×」인 경우는, 지지 기재의 내열성(도공내열성)이 부족하고, 열용융형 점착제(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 등)의 도공이 곤란하다고 말할 수 있다.
표 1 내지 2로부터 자명하듯이,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어느것이나 절단성이 양호하고, 장방향에서의 갈라짐(세로갈라짐)에 대한 개선 효과가 확인되며, 내세로갈라짐성이 우수했다. 또한, 열용융형 점착제를 도공하더라도(예컨대, 캘린더 도공방식으로 도공하더라도), 지지 기재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가 연신되지 않고, 내열성(도공내열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에 관하여는, 지지 기재가 블록 폴리프로필렌으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열성은 양호하지만, 장방향에서의 갈라짐(세로갈라짐)이 발생되어, 내세로갈라짐성이 낮다. 비교예 2에 관하여는, 블록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지 않고 호모폴리프로필렌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호모폴리프로필렌의 취성에 의해, 내세로갈라짐성이 낮다.
또한, 비교예 3, 비교예 5 및 비교예 6에 관해서는,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가 이용되지 않으며, 각각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이용되기 때문에, 내세로갈라짐성이 충분하지 않고, 내열성도 낮다.
또한, 비교예 4에 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기재의 두께가 변동하기 때문에, 성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절단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장방향에서의 갈라짐이 방지되고, 또한 열용융형 점착제를 지지 기재에 도공하더라도 지지 기재의 수축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특정 실시태양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Claims (9)

  1. 지지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지지 기재의 한 면에 그 장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요철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기재가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 및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의 비율이 95 내지 60/5 내지40(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재에 있어서의 요철부의 오목부 두께가 50 내지 300㎛이고, 오목부의 깊이가 지지 기재 상의 요철부의 볼록부 두께에 대하여 3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재는,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포 함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요철부를 갖는 측에 배치된 요철부측 블록 폴리프로필렌층, 및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배치되고 내열성을 갖는 비요철부측 내열성층을 적어도 갖는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요철부측 내열성층이 호모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장방향에서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와 폭방향에서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비(장방향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폭방향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7.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상기 지지 기재를 형성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열용융형 점착제를 캘린더 방식 또는 가열용융 방식에 의해 도공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용융형 점착제가 열용융형 고형 고무계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KR1020050071285A 2004-08-06 2005-08-04 점착 테이프 KR20060049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0890A JP4722427B2 (ja) 2004-08-06 2004-08-06 粘着テープ
JPJP-P-2004-00230890 2004-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283A true KR20060049283A (ko) 2006-05-18

Family

ID=3514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285A KR20060049283A (ko) 2004-08-06 2005-08-04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29796A1 (ko)
EP (1) EP1624037A1 (ko)
JP (1) JP4722427B2 (ko)
KR (1) KR20060049283A (ko)
CN (1) CN1908103A (ko)
TW (1) TW2006171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1501B2 (ja) * 2006-05-30 2014-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自己粘着性積層体
US20080104917A1 (en) * 2006-11-02 2008-05-08 Whelan Brian J Self-adhering waterproofing membrane
JP5171359B2 (ja) * 2008-04-04 2013-03-27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体及び粘着テープ
JP5343502B2 (ja) * 2008-10-08 2013-11-13 ダイニック株式会社 自己粘着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A2684769A1 (en) * 2009-11-06 2011-05-06 Global Wood Concepts Ltd. Edgebanding tape
JP2011138632A (ja) * 2009-12-25 2011-07-14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6005649B2 (ja) * 2010-10-21 2016-10-12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イタリア・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ブテン−1コポリマーを用いる感圧接着剤
US9663684B2 (en) 2011-07-27 2017-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and-tearable masking tape with silicone-containing low adhesion backsize
US8865824B2 (en) * 2012-09-19 2014-10-21 IFS Industries Inc. Hot melt adhesive
JP6171813B2 (ja) * 2013-10-04 2017-08-02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6229980B2 (ja) * 2014-05-19 2017-11-15 Apmジャパン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6870929B2 (ja) * 2016-07-05 2021-05-1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両面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9669A (en) * 1974-09-09 1979-02-13 Chang Chow M Non-knifing plastic adhesive tape for packaging and sealing purpose
US4237889A (en) * 1978-09-13 1980-12-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aper closure utiliz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textured foil backing
DE7931547U1 (de) * 1979-11-08 1980-02-07 Hoechst Ag, 6230 Frankfurt Klebeband
IT1181945B (it) * 1984-12-31 1987-09-30 Manuli Autoadesivi Spa Perfezionamento nei nastri autoadesivi
US4781957A (en) * 1987-07-27 1988-11-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asy tear masking tape
US4898762A (en) * 1988-07-01 1990-02-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asy tear sterilization indicator tape
US5212011A (en) * 1988-12-16 1993-05-18 Sumitomo Chemical Co., Ltd. Adhesive tape
JPH11263852A (ja) * 1998-03-18 1999-09-28 Daicel Chem Ind Ltd 易引裂き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923780A1 (de) * 1999-05-22 2000-11-23 Beiersdorf Ag Unverstreckte Oberflächenschutzfolie aus Polypropylenblockcopolymer
JP2001192470A (ja) * 1999-08-17 2001-07-17 Yupo Corp 樹脂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86064B2 (ja) * 2001-01-05 2011-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2002317157A (ja) * 2001-04-18 2002-10-31 Sekisui Chem Co Ltd 封缶用粘着テープ
US20050058829A1 (en) * 2003-09-16 2005-03-17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7134A (en) 2006-06-01
CN1908103A (zh) 2007-02-07
JP2006045426A (ja) 2006-02-16
JP4722427B2 (ja) 2011-07-13
US20060029796A1 (en) 2006-02-09
EP1624037A1 (en)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9283A (ko) 점착 테이프
CN101617013B (zh) 表面保护片
KR102089231B1 (ko) 자기 점착성 표면 보호 필름
KR101690353B1 (ko) 표면 보호 필름
JP5987293B2 (ja) 粘着剤及び粘着フィルム
JP5606725B2 (ja) 塗膜保護シート
KR100985152B1 (ko) 적층 필름 또는 시트 및 표면 보호 필름 또는 시트
CN108463528B (zh) 层合膜
TWI600739B (zh) Self-adhesive surface protection film
JP5748952B2 (ja) 塗膜保護シート
CN106463371B (zh) 切割片用基材膜及切割片
JP6508383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JP6515917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33598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US20150218424A1 (en) Surface protective sheet substrate and surface protective sheet
JP2009287005A (ja) 粘着フィルム
JP2014208734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61567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6196650A (ja) 粘着剤及び粘着フィルム
JP3225359U (ja) 熱接着フィルム
CN114222799B (zh) 粘着带
JP4780944B2 (ja) 粘着テープ
JP2006175696A (ja) 複合フィルム及び粘着テープ
JP2005082780A (ja) 粘着テープ用支持体及び粘着テープ
TWI301795B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