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521A - 급탕기 - Google Patents

급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521A
KR20060043521A KR1020050019184A KR20050019184A KR20060043521A KR 20060043521 A KR20060043521 A KR 20060043521A KR 1020050019184 A KR1020050019184 A KR 1020050019184A KR 20050019184 A KR20050019184 A KR 20050019184A KR 20060043521 A KR20060043521 A KR 20060043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heat exchange
duct
wal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463B1 (ko
Inventor
히데카츠 나루세
츠토무 츠게
히데오 오카모토
겐지 이나바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3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과제) 가스 연소실(3A)과, 열교환부(4A)와, 배기 덕트부(56)가 케이싱(9)내에 있어서 하측에서부터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급탕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4A)와 배기 덕트부(56)의 결합체의 높이치수의 불균일을 작게 한다.
(해결수단) 열교환부(4A)와 배기 덕트부(56)를 구성하는, 열교환용 우측벽(45) 및 덕트용 우측벽(57)의 쌍, 열교환용 좌측벽(46)과 덕트용 좌측벽(58)의 쌍, 열교환용 후측벽(48)과 덕트용 후측벽(542)의 쌍의, 각 쌍의 각각은,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급탕기{HOT WATER SUPPLI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급탕기의 내부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급탕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급탕기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열교환기(4)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예의 급탕기를 설명하는 내부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래예의 설명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버너 블록 3A - 가스 연소실
4A - 열교환부 6 - 배기구 커버
9 - 케이싱 35 - 열교환용 전측벽
41 - 흡열핀 42 - 통수관
45 - 열교환용 우측벽 46 - 열교환용 좌측벽
48 - 열교환용 후측벽 51 - 배기구
54 - 덕트용 천정벽 56 - 배기 덕트부
57 - 덕트용 우측벽 58 - 덕트용 좌측벽
59 - 배기통로 60 - 배기통
91 - 배기용 창 542 - 덕트용 후측벽
본 발명은 열교환부와 배기 덕트부의 집합체의, 높이치수의 정밀도향상을 도모한 급탕기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급탕기의 내부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편평버너(21,21)군으로 이루어지는 버너 블록(2)은, 직사각형 형상의 연소박스(3)에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연소박스(3)의 전단부 개구(30)의 상반부는 전판(32)에 의해 폐색되는 구성이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버너 블록(2)에는 가스 분배기(1)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소박스(3)의 상단부 개구(31)에 연이어 설치되는 열교환기(4)는, 상하로 관통되는 직사각형 통형상의 외틀(40)과, 상기 외틀(40)내에 다수 병설되는 흡열핀(41,41)과, 상기 흡열핀(41,41) 및 상기 외틀(40)의 측벽을 관통하는 통수관(42,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열교환기(4)의 상단부 개구(43)에 연이어 설치되는 배기덕트본체(5)는, 하측 및 전측이 개방되는 편평한 직사각형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나 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본체(5)의 하단부 개구(52)의 외주 플랜지(53)와, 열교환기(4)의 상단부의 외주 플랜지(44)와의 사이에는 패킹(50)이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양 외주 플랜지(53,44)가 코킹이나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배기덕트본체(5)의 하류단부의 배기구(51)에는 배기구 커버(6)가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배기구 커버(6)는 전후로 관통하는 배기통(6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통(60)의 후단부의 둘레에 형성된 부착 플랜지(61)가 배기덕트본체(5)의 선단부의 외주 플랜지(511)에 나사(b,b)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배기통(60)은, 급탕기의 케이싱(9)의 전면덮개(90)에 개설(開設)된 배기용 창(91)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21319호 공보(도 1)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열교환기(4)와 배기덕트본체(5)가 독립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의 치수의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이들 열교환기(4)와 배기덕트본체(5)의 결합체의 높이치수의 정밀도가 나빠진다. 또, 열교환기(4)와 배기덕트본체(5)의 연결부에는 패킹(50)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으로서도 조립시의 치수의 불균일이 발생하고, 열교환기(4)와 배기덕트본체(5)의 결합체의 높이치수의 정밀도가 나빠진다. 그리고, 상기의 각 치수의 불균일이 중첩되는 결과, 상기 결합체의 높이치수의 제도가 한층 더 나빠지고,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케이싱(9)의 배기용 창(91)에 대해서 배기구 커버(6)의 배기통(60)이 상하로 어긋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제품 조립시에, 상기 배기구 커버(6)의 배기통(60)과 케이싱(9)의 배기용 창(91)을 원활하게 끼워맞출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스 연소실과, 열교환부와, 배기 덕트부가 케이싱(9)내에 있어서 하측에서부터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급탕기로서,
상기 열교환부는, 열교환용 우측벽 및 열교환용 좌측벽과 열교환용 전측벽 및 열교환용 후측벽의 4측벽에 의해 포위된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흡열핀(41,41)과 상기 흡열핀(41,41)을 관통하는 통수관(42,4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 덕트부는,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 및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과 상기 열교환용 후측벽의 각각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덕트용 우측벽 및 덕트용 좌측벽과 덕트용 후측벽과, 또한, 덕트용 천정벽의 4벽에 의해 포위된 하측 및 전측으로 개방되는 배기통로를 구비하는 급탕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와 배기 덕트부의 결합체의 높이치수의 불균일을 작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케이싱(9)에 개설된 배기용 창(91)과 상기 배기통(60)의 상대위치가 상하로 크게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조립시에, 상기 배기통(60)과 배기용 창(91)을 끼워 맞추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과 상기 덕트용 우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과 상기 덕트용 좌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후측벽과 상기 덕트용 후측벽의 쌍의, 각 쌍의 각각은,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열교환부와 배기 덕트부의 구성벽 중, 상하로 연결되는 구성벽의 각각은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로 분할된 열교환부와 배기 덕트부를 결합하는 상기한 종래의 것과 상이하고, 열교환부와 배기 덕트부의 결합체 전체의 높이치수가 조립오차 등에 의해서 흐트러지는 일이 적어진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1매판의 각각과, 또한, 상기 열교환용 전측벽은, 모두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각 1매판이나 열교환용 전측벽이 각각 열팽창률이 상이한 다른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면, 가스 연소에 의해서 각 1매판 상호나 이것과 열교환용 전측벽의 결합부가 가열되었을 때는, 상기 각 1매판이나 열교환용 전측벽이 상하방향으로 상이한 연장량의 열팽창을 행한다. 그 결과, 상기 각 1매판 상호 등의 결합부에 큰 열응력이 작용하고, 상기 결합부가 경시적으로 파손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대해, 상기 청 구항 2에 관한 발명에서는 각 1매판과 열교환용 전측벽이 모두 열팽창률이 같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 연소시에는 각 1매판 등이 같은 비율로 열팽창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에 열응력이 작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가 경시적으로 파손될 걱정이 적어진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과 상기 덕트용 우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과 상기 덕트용 좌측벽의 쌍,의 각 쌍을 구성하는 1매판의 각각은 스테인레스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통수관(42,42)은,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 및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을 관통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통수관(42,42)과 상기 흡열핀(41,41)은 구리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흡열핀(41,41)에 대한 통수관(42,42)의 관통부는, 납땜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것에서는, 열교환용 우측벽이나 열교환용 좌측벽을 구성하는 좌우의 1매판이 스테인레스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리재료의 경우에 비해서 기계적인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급탕기의 출하 운송시나 설치 작업시의 충격에 의해 열교환부 등이 손상을 받을 걱정이 적어진다. 또, 상기 1매판이 스테인레스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리재료에 비해서 내열성이 향상되고, 경시 열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서는, 열교환용 우측벽 및 열교환용 좌측벽을 구성하는 상기 각 1매판에 대한 통수관(42,42)의 관통부가 실질적으로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통수관(42,42)이 길이방향으로 열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더라도, 상기 관통부에 열응력이 작용되지 않고, 열교환부가 파손될 걱정이 적어진다.
즉, 구리재료로 구성된 흡열핀(41,41)과 통수관(42,42)은 상호 납땜되어 있는데, 이들 흡열핀(41,41)과 통수관(42,42)은,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가열로에서 납땜된다.
즉, 흡열핀(41,41)군에 통수관(42,42)을 관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관통부에 있어서의 통수관(42,42)의 외주면과 흡열핀(41,41)의 경계에 땜납재를 적당히 개재한다. 또, 열교환용 우측벽과 열교환용 좌측벽을 구성하는 좌우의 1매판(스테인레스로 구성되어 있다)에 통수관(42,42)의 양단부를 관통시키고, 이 상태에 있는 좌우 한쌍의 1매판, 통수관(42,42) 및 흡열핀(41,41)의 집합체를 가열로내에서 가열하여 상기 땜납재를 용융시킨다. 이 땜납재의 용융에 의해서, 흡열핀(41,41)과 통수관(42,42)이 납땜되지만, 상기 좌우의 1매판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1매판에 대한 통수관(42,42)의 관통부에 땜납재가 유입되는 일이 있더라도, 이들 상기 1매판과 통수관(42,42)이 실질적으로 납땜되는 일은 없다. 땜납재는 구리재료로 이루어지는 흡열핀(41,41)과 통수관(42,42)을 결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테인레스제인 좌우의 1매판과 통수관(42,42)을 실질적으로 결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스의 연소·소화에 수반하여 상기 통수관(42,42)이 길이방향으로 열팽창과 수축을 반복했을 때는, 상기 관통부에 있어서, 통수관(42,42)이 상기 1매판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관통부에 과대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열교환부의 파손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과 상기 덕트용 우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과 상기 덕트용 좌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후측벽과 상기 덕트용 후측벽의 쌍,의 각 쌍의 각각을 구성하는 각 1매판 상호의 둘레방향의 경계부는, 코킹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는』 것에서는, 각 1매판 상호의 결합부가 기밀성이 높은 코킹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특별한 패킹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그만큼 부품점수가 적어진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부의 상기 덕트용 천정벽은, 상기 열교환용 후측벽과 상기 덕트용 후측벽의 쌍을 구성하는 상기 1매판이 연장된 것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것에서는, 덕트용 천정벽과 덕트용 후측벽과 또한 열교환용 후측벽이 1매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1매판을 굽힘가공하는 것만으로 상기 덕트용 천정벽이나 덕트용 후측벽을 구성할 수 있고, 덕트용 천정벽과 덕트용 후측벽 등을 결합하기 위한 특별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전측벽은,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과 상기 덕트용 우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과 상기 덕트용 좌측벽의 쌍의 각 쌍을 구성하는 1매판에 대해서, 나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에서는, 나사를 빼면, 열교환용 전측벽을 떼어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열교환부의 내부의 유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부의 배기통로 하류단부인 배기구(51)에 대해 전방에 접속되는 배기구 커버(6)와 상기 열교환용 전측벽은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1매판을 드로잉가공함으로써 상기 배기구 커버(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배기통(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는, 상기 1매판을 드로잉가공함으로써 배기통(60)이 형성되기 때문에, 열교환용 전측벽과 독립한 배기구 커버(6)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부품점수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연소실은, 연소실용 우측벽 및 연소실용 좌측벽과 연소실용 전측벽 및 연소실용 후측벽의 4측벽에 의해 포위되고 또한 버너 블록(2)을 수납하는 상측개방의 공간이며,
상기 연소실용 우측벽과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의 쌍, 상기 연소실용 좌측벽과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의 쌍, 상기 연소실용 전측벽과 상기 열교환용 전측벽의 쌍, 상기 연소실용 후측벽과 상기 열교환용 후측벽의 쌍,의 각 쌍의 각각은,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가스 연소실에서 배기 덕트부까지의 구성벽이 상하로 일련의 1매판으로 구성되고, 급탕기본체 전체의 높이치수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탕기는, 가스 연소실(3A)과, 그 상측의 열교환기(4)의 배치부인 열교환부(4A)와, 상기 열교환기(4)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정류날개(55)와 그 상측의 덕트용 천정벽(54)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 덕트부(56)가 하측에서부터 이 순서로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각부의 상세를 설명한다.
[가스 연소실(3A)]
가스 연소실(3A)은, 버너 블록(2)의 배치부이고, 연소실용 우측벽(33) 및 연소실용 좌측벽(34)과, 연소실용 전측벽(35) 및 연소실용 후측벽(36)과, 또한 연소실용 저벽(37)에 의해 포위된 상측개방의 직사각형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소실용 저벽(37)으로부터 연소실용 후 측벽(36)에 이르는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부(371,371)는, 연소실용 좌우측벽(34,33)의 하변(340,330)으로부터 후변(341,331)에 이르는 부분에 대하여 코킹부(372)(도 3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소실용 저벽(37), 연소실용 후측벽(36) 및 연소실용 좌우측벽(34,33)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알루미늄도금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연소실용 저벽(37)에 개설된 급기구(370)에는 급기팬(F)의 토출구가 접속되어 있다.
가스 연소실(3A)에 배치되는 버너 블록(2)은, 좌우방향으로 병설된 편평버너(21,21)군과, 상기 편평버너(21,21)군을 수납하는 버너케이스(20)로 구성되어 있고, 연소실용 좌우측벽(34,33) 및 후술하는 연소실용 전측벽(35)의 하부 및 연소실용 저벽(37)의 선단부 기립편(373)에는, 편평버너(21,21)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분배기(1)가 나사(19,19)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연소실용 우측벽(33) 및 연소실용 좌측벽(34)에는, 연소실용 전측벽(35)의 좌우 양단부가 나사(28,28)에 의해 착탈가능한 상태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연소실용 전측벽(35)에는, 버너 블록(2)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장치(39)와, 편평버너(21,21)군에 생성되는 불길을 검지하기 위한 불길 검지기(38)와, 점화확인 창(29)이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부(4A)]
열교환부(4A)는, 열교환기(4)의 배치부이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4)는, 횡방향으로 마주 향하는 열교환용 우측벽(45) 및 열교환용 좌측벽 (46)과, 전후방향으로 마주 향하는 열교환용 전측벽(47) 및 열교환용 후측벽(48)과, 이들 각 측벽(45)∼(48)에 의해 포위된 직사각형 형상 공간내에 병설되는 다수의 흡열핀(41,41)과, 또한, 상기 흡열핀(41,41)을 관통하는 통수관(42,42)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통수관(42,42)의 양단부는 열교환용 우측벽(45)과 열교환용 좌측벽(46)을 외측으로 관통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관통한 외부에 있어서 U자관(42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45), 열교환용 좌측벽(46), 열교환용 전측벽(47) 및 열교환용 후측벽(48)은, 스테인레스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 흡열핀(41,41), 통수관(42,42) 및 U자관(42A,42A)은 구리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흡열핀(41,41)과 통수관(42,42) 및 U자관(42A,42A)은, 인-구리재료로 이루어지는 땜납재료에 의해 납땜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용 전측벽(47)의 하변과 상기한 연소실용 전측벽(35)의 상변은 기밀성이 높은 로크시밍 코킹부(350)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에 기밀성 확보를 위한 패킹을 필요로 하고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실용 전측벽(35)은 알루미늄도금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열교환기(4)의 제작작업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열핀(41,41)의 관통구멍(410,410)에 통수관(42,42)을 관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관통부에 있어서의 통수관(42,42)과 상기 관통 구멍(410,410)의 내주 사이에 선상의 땜납재(100,100)를 개재시킨다. 또, 열교환용 우측벽(45){후술의 덕트용 우측벽(57)과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다}과 열교환용 좌측벽(46){후술의 덕트용 좌측벽(58)과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다}에 통수관(42,42)의 양단부를 관통시키고, 인접하는 통수관(42,42)의 외단부 상호를 U자관(42A,42A)에 의해 연결하고, 이 상태에서, 열교환용 우측벽(45)과 덕트용 우측벽(57) 및 열교환용 좌측벽(46)과 덕트용 좌측벽(58)을 구성하는 1매판, 및, 통수관(42,42) 및 흡열핀(41,41) 등의 집합체를 지그(18)에 지지시킨다. 그리고, 이 집합체를, 가열로내에서 가열하여 상기 땜납재(100,100)를 용융시킨다. 그러면, 땜납재(100,100)의 용융에 의해서, 흡열핀(41,41)과 통수관(42,42)이 납땜되지만,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45)이나 열교환용 좌측벽(46)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45)이나 열교환용 좌측벽(46)에 대한 통수관(42,42)의 관통부에 용융시킨 땜납재(19)가 유입되는 일이 있더라도, 이들 열교환용 우측벽(45)이나 열교환용 좌측벽(46)과 통수관(42,42)이 실질적으로 납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후술하는 버너 블록(2)의 점·소화에 수반하여 상기 통수관(42,42)이 길이방향으로 열팽창과 수축을 반복했을 때는, 상기 관통부에 있어서, 통수관(42,42)이 열교환용 좌우측벽(46,45)에 대해서 슬라이딩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관통부에 역학적인 부하가 작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열교환부(4A)의 파손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배기 덕트부(56)]
열교환부(4A)의 상측에 연이어 설치되는 배기 덕트부(56)는, 덕트용 우측벽(57) 및 덕트용 좌측벽(58)과, 덕트용 후측벽(542)과, 또한, 덕트용 천정벽(54)을 구비하고 있고, 덕트용 우측벽(57)은 상기한 열교환용 우측벽(45)과, 덕트용 좌측벽(58)은 상기한 열교환용 좌측벽(46)과, 각각, 스테인레스재료로 이루어지는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덕트용 후측벽(542)과 덕트용 천정벽(54)과 상기한 열교환용 후측벽(48)도 스테인레스재료로 이루어지는 1매판을 L자상으로 굽힘가공해서 제작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용 우측벽(45)과 덕트용 우측벽(57)을 구성하는 1매판의 하변은, 연소실용 우측벽(33)에 대해서 로크시밍 코킹부(450)(도 3 참조)에 의해서 기밀상태로 연결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열교환용 후측벽(48)에서 덕트용 천정벽(54)에 이르는 범위를 구성하는 1매판의 양측변은,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45) 및 덕트용 우측벽(57)을 구성하는 1매판과, 열교환용 좌측벽(46) 및 덕트용 좌측벽(58)을 구성하는 1매판의 각각에 대해서 코킹부(541)에 의해 연결고정되어 있다.
상기 덕트용 천정벽(54)과 열교환기(4)의 상하간에는 정류날개(55)가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덕트용 천정벽(54)에서 덕트용 후측벽(542)에 연결되는 부분의 내면과 정류날개(55)의 상호간이 배기통로(59)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덕트용 천정벽(54)에서 그 원호상 후단부(540)로 연결되는 범위는, 배기통로(59)의 하류단부(전단부)를 향해서 전경자세(前傾姿勢)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정류날개(55)의 상면에서 후면에 이르는 범위는, 상기 덕트용 천정벽(54)에서 원호상 후단부(540)로 연결되는 범위와 평행하게 되어 있 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날개(55)는, 그 양측면(560,560)이 상기 덕트용 좌우측벽(58,57)에 대해서 나사(b,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용 후측벽(48)의 하변과 연소실용 후측벽(36)의 상변은 로크시밍 코킹부(480)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배기구 커버(6)]
배기 덕트부(56)의 하류단부의 배기구(51)에 연이어 설치되는 배기구 커버(6)는, 열교환용 전측벽(47)과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1매판의 상부를 전방으로 드로잉가공함으로써, 전후로 관통되는 배기통(6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통(60)의 선단부는, 케이싱(9)의 전면덮개(90)에 개설된 배기용 창(91)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면덮개(90)는 케이싱(9)의 전단부 개구에 대해서 나사(95,95)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배기구 커버(6)와 열교환용 전측벽(47)을 구성하는 1매판의 둘레가장자리는 나사(470,470)에 의해서, 열교환용 우측벽(45) 및 덕트용 우측벽(57)을 구성하는 1매판과, 열교환용 좌측벽(46) 및 덕트용 좌측벽(58)을 구성하는 1매판, 및 덕트용 천정벽(54)의 선단부 기립편(543)에 대해서 떼어낼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470,470)를 떼어냄으로써, 열교환용 전측벽(47)을 구성하는 1매판을 제거하면, 열교환기(4)의 내부의 유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것에서는, 열교환용 전측벽(47)과 배기구 커버(6)를 구성하는 1매판을 드로잉가공함으로써 배기통(6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독립된 배기구 커버(6)의 제작을 필요로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부품점수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 러, 부품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사용의 실제]
이 것에서는, 버너 블록(2)을 연소시켜서 급탕동작을 개시하면, 버너 블록(2)에서의 연소배기는, 열교환기(4)를 통과해서 정류날개(55)의 경사 저면(550)으로 안내되고, 상기 정류날개(55)의 후단부와 덕트용 천정벽(54)의 원호상 후단부(540)의 틈→배기통로(59)→배기구(51)→배기구 커버(6)의 경로로 유동해서 대기중에 방출된다.
한편, 통수관(42,42)을 흐르는 피가열수는,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상기 연소배기에 의해 가열승온된 후에 도시생략한 급탕장소에 공급된다.
이 것에서는, 열교환부(4A)와 배기 덕트부(56)의 구성벽 중, 상하로 연결되는 열교환용 우측벽(45)과 덕트용 우측벽(57) 및, 열교환용 좌측벽(46)과 덕트용 좌측벽(58), 및, 열교환용 후측벽(48)과 덕트용 후측벽(542)의 각각은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로 분할된 열교환부(4A)와 배기 덕트부(56)를 조립하는 상기한 종래의 것과 상이하고, 열교환부(4A)와 배기 덕트부(56)의 결합체 전체의 상하치수가 조립오차 등에 의해서 흐트러지는 불편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구 커버(6)의 배기통(60)과 케이싱(9)의 전면덮개(90)에 개설된 배기용 창(91)이 상하방향으로 잘 어긋나지 않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배기용 창(91)을 배기통(60)에 끼워 맞춤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급탕기에서는, 열교환용 전측벽(47) 및 배기구 커버(6)를 구성하는 1매판, 열교환용 우측벽(45) 및 덕트용 우측벽(57)을 구성하는 1 매판, 열교환용 좌측벽(46) 및 덕트용 좌측벽(58)을 구성하는 1매판, 열교환용 후측벽(48)에서 덕트용 천정벽(54)에 이르는 범위를 구성하는 1매판은, 모두 동일한 재료인 스테인레스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탕시에 이들이 가열승온되더라도 모두 동일한 열팽창률에 의해 팽창·수축한다. 따라서, 이들 각 1매판이 열팽창률이 상이한 이질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와 상이하고, 이들의 결합부인 나사(470,470)의 설치부나, 코킹부(541)에 큰 열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이들 결합부가 경시적으로 파손될 걱정이 적어진다.
[기타]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소실용 후측벽(36)과 연소실용 저벽(37)을 구성하는 1매판, 연소실용 우측벽(33) 및 연소실용 좌측벽(34), 및 연소실용 전측벽(35)을 알루미늄도금강판으로 구성하였다. 이것에 대해, 연소실용 후측벽(36)과 연소실용 저벽(37)과 열교환용 후측벽(48)과 덕트용 천정벽(54)의 쌍, 연소실용 우측벽(33)과 열교환용 우측벽(45)과 덕트용 우측벽(57)의 쌍, 연소실용 좌측벽(34)과 열교환용 좌측벽(46)과 덕트용 좌측벽(58)의 쌍, 연소실용 전측벽(35)과 열교환용 전측벽(47)과 배기구 커버(6)의 쌍의, 각 쌍을, 스테인레스제의 1매판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가스 연소실(3A)에서 배기 덕트부(56)까지의 구성벽이 상하로 일련의 1매판으로 구성되고, 급탕기본체 전체의 높이치수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덕트용 천정벽(54)을, 열교환용 후측벽(48) 및 덕트용 후측벽(542)과 공통의 1매판으로 구성하였지만, 청구항 8에 관한 발명과 같 이, 덕트용 천정벽(54)은, 배기구 커버(6)의 구성벽이 연장된 것으로 해도 된다. 즉, 배기구 커버(6)의 구성벽을 상방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연장부를 후방{덕트용 후측벽(542)방향}으로 굴곡시키고, 상기 후방 굴곡부를 상기 덕트용 천정벽(54)으로서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특유의 효과를 가진다.
열교환부와 배기 덕트부의 구성벽 중, 상하로 연결되는 구성의 각각은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로 분할된 열교환부와 배기 덕트부를 조립하는 상기한 종래의 것과 상이하고, 열교환부와 배기 덕트의 결합체 전체의 높이치수가 조립오차 등에 의해서 흐트러지는 일이 적고, 그 치수 정밀도가 향상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서는, 각 1매판과 열교환용 전측벽이 모두 열팽창률이 같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의 연소·소화에 수반해서 각 1매판 등이 같은 비율로 열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서, 각 1매판 상호나 이것과 열교환용 전측벽의 결합부에 열응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가 경시적으로 파손될 걱정이 적어진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서는, 열교환용 우측벽이나 열교환용 좌측벽을 구성하는 좌우의 1매판이 스테인레스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리재료의 1매판에 비해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또, 구리재료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내열성이 향상되고, 경시 열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의 1 매판과 통수관(42,42)은 실질적으로 비결합상태에 있기 때문에, 가스의 연소·소화에 수반해서 통수관(42,42)이 길이방향으로 열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더라도, 상기 좌우의 1매판에 대한 통수관(42,42)의 관통부에 과대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열교환부의 파손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서는, 각 1매판 상호의 결합부가 기밀성이 높은 코킹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특별한 패킹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그만큼 부품점수가 적어진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서는, 1매판을 굽힘가공하는 것만으로 상기 덕트용 천정벽이나 덕트용 후측벽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용 천정벽과 덕트용 후측벽 등을 결합하기 위한 특별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서는, 나사의 떼어냄에 의해서 열교환용 전측벽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부의 내부의 유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서는, 배기구 커버(6)와 열교환용 전측벽이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독립한 배기구 커버(6)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부품점수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에서는, 가스 연소실에서 배기 덕트부까지의 구성벽이 상하로 일련의 1매판으로 구성되어, 급탕기본체 전체의 높이치수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Claims (8)

  1. 가스 연소실과, 열교환부와, 배기 덕트부가 케이싱(9)내에 있어서 하측에서부터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급탕기로서,
    상기 열교환부는, 열교환용 우측벽 및 열교환용 좌측벽과 열교환용 전측벽 및 열교환용 후측벽의 4측벽에 의해 포위된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흡열핀(41,41)과 상기 흡열핀(41,41)을 관통하는 통수관(42,4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 덕트부는,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 및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과 상기 열교환용 후측벽의 각각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덕트용 우측벽 및 덕트용 좌측벽과 덕트용 후측벽과, 또한, 덕트용 천정벽의 4벽에 의해 포위된 하측 및 전측으로 개방되는 배기통로를 구비하는 급탕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과 상기 덕트용 우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과 상기 덕트용 좌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후측벽과 상기 덕트용 후측벽의 쌍의, 각 쌍의 각각은,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1매판의 각각과, 또한, 상기 열교환용 전측벽은, 모두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과 상기 덕트용 우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과 상기 덕트용 좌측벽의 쌍,의 각 쌍을 구성하는 1매판의 각각은 스테인레스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통수관(42,42)은,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 및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을 관통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통수관(42,42)과 상기 흡열핀(41,41)은 구리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흡열핀(41,41)에 대한 통수관(42,42)의 관통부는, 납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과 상기 덕트용 우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과 상기 덕트용 좌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후측벽과 상기 덕트용 후측벽의 쌍,의 각 쌍의 각각을 구성하는 각 1매판 상호의 둘레방향의 경계부는, 코킹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부의 상기 덕트용 천정벽은, 상기 열교환용 후측벽과 상기 덕트용 후측벽의 쌍을 구성하는 상기 1매판이 연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전측벽은,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과 상기 덕트용 우측벽의 쌍,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과 상기 덕트용 좌측벽의 쌍의 각 쌍을 구성하는 1매판에 대해서, 나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부의 배기통로 하류단부인 배기구(51)에 대해 전방에 접속되는 배기구 커버(6)와 상기 열교환용 전측벽은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1매판을 드로잉가공함으로써 상기 배기구 커버(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배기통(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연소실은, 연소실용 우측벽 및 연소실용 좌측벽과 연소실용 전측벽 및 연소실용 후측벽의 4측벽에 의해 포위되고 또한 버너 블록(2)을 수납하는 상 측개방의 공간이며,
    상기 연소실용 우측벽과 상기 열교환용 우측벽의 쌍, 상기 연소실용 좌측벽과 상기 열교환용 좌측벽의 쌍, 상기 연소실용 전측벽과 상기 열교환용 전측벽의 쌍, 상기 연소실용 후측벽과 상기 열교환용 후측벽의 쌍,의 각 쌍의 각각은, 1매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KR1020050019184A 2004-03-29 2005-03-08 급탕기 KR100643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96120A JP4176670B2 (ja) 2004-03-29 2004-03-29 給湯機
JPJP-P-2004-00096120 2004-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521A true KR20060043521A (ko) 2006-05-15
KR100643463B1 KR100643463B1 (ko) 2006-11-10

Family

ID=3504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184A KR100643463B1 (ko) 2004-03-29 2005-03-08 급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76670B2 (ko)
KR (1) KR100643463B1 (ko)
CN (1) CN1676995B (ko)
TW (1) TWI2757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1690B2 (ja) * 2011-08-27 2015-12-09 株式会社ノーリツ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温水装置
CN105371491A (zh) * 2014-08-25 2016-03-02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热交换器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JP6931485B2 (ja) * 2017-09-26 2021-09-08 株式会社ノーリツ 温水装置
WO2019064957A1 (ja) 2017-09-26 2019-04-04 株式会社ノーリツ 温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463B1 (ko) 2006-11-10
CN1676995B (zh) 2011-05-11
TWI275755B (en) 2007-03-11
JP4176670B2 (ja) 2008-11-05
CN1676995A (zh) 2005-10-05
TW200535386A (en) 2005-11-01
JP2005282919A (ja)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12963B (zh) 热交换器以及热水装置
CN109964088B (zh) 烟管式锅炉
KR100643463B1 (ko) 급탕기
KR100643462B1 (ko) 급탕기
US11408686B2 (en) Heat exchanger
JP2005069640A (ja) 燃焼装置
JP5775448B2 (ja) ヘッダプレ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器
JP6834529B2 (ja) 燃焼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給湯装置
WO2022152277A1 (zh) 燃气设备和燃气热水器
JP4603856B2 (ja) 内燃機関のエアギャップ絶縁型排気マニホルド
JP2006226649A (ja) 一体型熱交換器
JP6812782B2 (ja) 燃焼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給湯装置
JP4782171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WO2020004292A1 (ja) 熱交換器のタンク構造
JPH09280774A (ja) 熱交換器
JP4935297B2 (ja) 熱源機
CN108489318B (zh) 热交换器
JP5888538B2 (ja)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温水装置
JP2019109038A (ja) 熱回収デバイスおよび対応する製造プロセス
JP2019007722A (ja) 蓄冷熱交換器
JP2010121794A (ja) 熱交換器
JP2006200828A (ja) 複合熱交換器
JP6931485B2 (ja) 温水装置
ES2325348B1 (es) Intercambiador de calor para gases, y su correspondiente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CN113137747A (zh) 燃烧器和具有其的燃气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