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309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309A
KR20060007309A KR1020040056106A KR20040056106A KR20060007309A KR 20060007309 A KR20060007309 A KR 20060007309A KR 1020040056106 A KR1020040056106 A KR 1020040056106A KR 20040056106 A KR20040056106 A KR 20040056106A KR 20060007309 A KR20060007309 A KR 20060007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input
home telephon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진
Original Assignee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7309A/ko
Publication of KR2006000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으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외부 단자로 출력시키는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하고, 음성 신호로 변환 시켜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가정용 전화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가정용 전화기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커넥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에서의 그 제어방법은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화기부와, 소정의 외부 케이블에 의해 상기 입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상기 송수화기부로 출력하고, 상기 송수화기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케이블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가정용 전화기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의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포트와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호 착신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라인 형성 후 호 착신시 상기 통화 라인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가정용 전화기, 커넥터, 입출력 포트, 무선 처리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HOUSEHOLD TELEPHONE SYSTEM AND THEREOF CONTROL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정용 전화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정용 전화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정용 전화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정용 전화기의 내부 구조도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정용 전화기의 그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정용 전화기의 그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가정용 전화기
120 : 커넥터 200 : 이어폰 커넥터
300 : 데이터 커넥터 401 : 무선 처리부
402 : 입력부 403 : 제어부
404 : 저장부 405 : 영상 처리부
406 : 표시부 407 : 음성 처리부
408 : 마이크 409 : 스피커
410 : 이어폰 연결단자 411 : 인터페이스부
412 : 번호 입력부 413 : 폰 제어부
417 : 송수화기부 501 : I/O 포트
511: 인터페이스부 512: 번호 입력부
513: 폰제어부 514: 신호처리부
515: 송수화기 517: 송수화기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커넥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가정용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 단말기 고유의 번호를 부여받고, 개인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한 개인과의 연락을 위해 개인 전용의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가정용 전화기는 해당 전화기 고유의 번호를 부여받고, 주택 또는 사무실에 고정으로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개인의 용도가 아닌 여러 사람이 같이 사용할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근래 들어, 휴대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가정용 전화기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가사일을 하는 분을 위해서 가정용 전화기가 계속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가정용 전화기는 이동성이 없으므로 휴대할 수가 없다. 따라서,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이 휴대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가정에서 공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여러가지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정용 전화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커넥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가정용 전화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입출력 신호를 가정용 전화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송수화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 포트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수화부와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통신하는 가정용 전화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가정용 전화기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화기부와, 소정의 외부 케이블에 의해 상기 입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상기 송수화기부로 출력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국선 또는 상기 송수화기부로 스위칭 연결하고, 상기 송수화기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케이블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가정용 전화기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의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 기 입출력 포트와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스위칭하여 송수화기부와의 연결되는 통화라인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통화 라인 형성 후 호 착신시 상기 통화 라인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중 온훅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통화라인을 해제하고 국선으로 통화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에서의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화기부와, 소정의 외부 케이블에 의해 상기 입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수화기부로 출력하고, 상기 송수화기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케이블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가정용 전화기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의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포트와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송수화기부의 오프 훅이 감지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라인 형성 후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에서의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전화기의 장점과 휴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점을 더하여 구성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정용 전화 시스템의 구현을 위하여 가정용 전화기가 통상적으로 유선 라인을 통해서 신호를 전달 받는 것을 휴대폰의 I/O 포트로부터의 출력 신호로 대체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무선으로 들어오는 신호를 상기 I/O 포트에 전달하고, 상기 I/O 포트를 통해 상기 신호가 가정용 전화기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가정용 전화기 사용 시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가정용 전화기와 결합시키고, 외출 및 휴대폰으로 사용할 때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정용 전화기로부터 분리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정용 전화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소정의 커넥터(120)에 의해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와 연결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화가 걸려 왔을 경우, 상기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벨 소리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또는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 중에서 선택적으로 울리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화가 걸려 왔을 시,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의 수화기를 들게 되면, 통화가 연결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화를 걸려고 할 경우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의 수화기를 들고,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에 구비된 키패드 입력 수단을 통해 전화 번호를 입력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신호는 상기 소정의 커넥터(120)를 통해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로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가정용 전화기(110)의 수화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의 수화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상기 커넥터(12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입력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무선 신호 처리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상으로 전송한다.
이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의 신호 전송을 위한 연결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정용 전화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어폰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쪽 끝에는 상기 이어폰 연결 단자와 연결이 가능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의 신호 입력 단자와 연결 가능한 소정의 이어폰 커넥터(200)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입/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이 어폰 커넥터(200)를 통해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로 입력되고,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에 구비된 수화기를 통해 음성 신호로 변환 출력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이어폰 연결 단자는 소정의 헤드셋과 연결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 구조의 변화 없이 상기와 같이 이어폰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와 송수신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이어폰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할 경우 가정용 전화기(110)은 상기 이어폰 커넥터(20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가정용 전화기의 송수화기로 스위칭하는 구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정용 전화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하단에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구비된 단자를 통해 소정의 데이터 커넥터(300)로서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와 연결이 가능하다.
즉, 이때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 단자(receptacle)의 소정 핀을 통해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 단자의 소정 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기적 음성 신호는 상기 데이터 커넥터(300)를 통해 상기 가정용 전화기(10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가정용 전화기(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데이터 커넥터(30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입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ANT)와 연결된 무선 처리부(401), 입력부(402), 제어부(403), 저장부(404), 영상 처리부(405), 표시부(406), 음성 처리부(407), 마이크(408), 스피커(409) 및 이어폰 연결단자(4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정용 전화기(110)는 인터페이스부(411), 번호 입력부(412), 폰 제어부(413), 링검출부(414), 링발생부(415), 송수화기부(417) 및 폰 저장부(418)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무선처리부(40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제어부(403)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403)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403)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402)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상기 키들 각각에 대응하는 키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403)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403)는 상기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키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부(404)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과 전화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쉬메모리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406)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또는 텍스트로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402)로부터 입력되는 기능키 데이터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고 숫자키 데이터에 대응하는 숫자를 표시한다. 상기 영상처리부(405)는 상기 제어부(403)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부(40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표시부(406)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406)에 표시시킨다.
상기 음성처리부(407)는 상기 제어부(403)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무선처리부(40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중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409)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408)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403)로 출력한다.
상기 이어폰 연결단자(410)는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포트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음성 송수신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음성 송수신 포트를 통해 외부장치로 음성을 입출력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409)와 상기 마이크(408)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포트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통화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제어부(403)와 연결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11)는 상기 데이터 포트 및 음성 송수신 포트를 가지며, 상기 이어폰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어어폰 연결단자(410)와 연결된다. 상기 번호 입력부(412)는 다수의 숫자키, 통화키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모드(이하 "무선 모드"라 함)를 설정하기 위한 키등을 구비하고 상기 숫자키들에 대한 복합주파수부호(Dual Tone Multifrequency: DTMF) 신호 및 통화신호 및 무선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폰 제어부(413)는 가정용 전화 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번호 입력부(412)로부터 통화키에 대한 DTM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411)를 통해 통화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송수화기부(417)는 송수화기의 오프훅(Off Hook) 및 온 훅(On Hook)을 감지하여 상기 폰 제어부(413)로 출력하고, 가청음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송화기와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수화기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411)와 음성신호를 주고받는다. 상기 링 검출부(414)는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호가 검출되면 호 착신 신호를 상기 폰 제어부(413)로 출력한다. 상기 링 발생부(415)는 상기 폰 제어부(413)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링 검출부(414)를 통해 호가 검출되면 링을 발생한다. 상기 폰 저장부(418)는 가정용 전화기(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제어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4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폰 제어부(413)는 601단계에서 무선 연결 모드가 설정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무선 연결 모드의 설정은 사용자가 번호 입력부(412)의 무선모드 키를 입력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폰 제어부(413)는 603단계에서 상기 송수화기부(417)로부터 훅오프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603단계에서 훅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6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5단계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411)를 통해 송수화기부(417)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연결한다. 상기 605단계를 통해 이동통신단말 기(100)와 가정용 전화기(110)가 연결되면 상기 폰 제어부(413)는 607단계에서 번호 입력부(412)로부터 통화신호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통화신호가 입력하면 폰 제어부(413)는 609단계에서 상기 통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411)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으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이어폰 연결단자(410)를 통해 상기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마이크(408)과 상기 스피커(409)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이어폰 연결단자(410)을 통해 가정용 전화기(110)으로 전송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가정용 전화기(11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착신된 호에 대한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중에 상기 폰 제어부(413)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송수화기부(417)로부터 온훅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온훅신호가 입력하면 6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송수화기부(417)을 인터페이스부(411)를 통해 국선라인과 연결한다.
상기 601단계에서 무선모드가 설정되지 않으면 상기 폰 제어부(413)는 615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유선 전화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에서의 발신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고, 무선통화가 연결된 후에 무선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가정용 전화기(110)의 상기 송수화기부(417)를 훅오프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정용 전화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무선처 리부(401)와 입력부(402)와 제어부(403)와 저장부(404)와 영상처리부(405)와 표시부(406)와 음성처리부(407)와 스피커(409)와 마이크(408)과 I/O 포트(501)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정용 전화기(130)는 인터페이스부(511), 번호 입력부(512), 폰 제어부(513), 신호처리부(514), 송수화기부(515), 링발생부(517), 링 검출부(518) 및 폰 저장부(521)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도4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개인용 전화기(130)의 인터페이스부(511)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I/O 포트(501)를 통해 소정의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403)는 호 착신 시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리는 제어 데이터(이하 "호 착신 통보 데이터"라 함)를 상기 I/O 포트(501)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처리부(407)는 상기 제어부(403)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어부(403)로 입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409) 및 마이크(408)로 입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3)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음성 데이터를 I/O 포트(501)로 스위칭하여 출력한다.
상기 I/O 포트(501)는 범용비동기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and Transmitter:UART)이다. 상기 I/O 포트(501)는 데이터 송수신 단자 및 충전을 위한 단자, 제어를 위한 단자들을 가지고 있으며, 입력되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과 가정용 전화기(130)이 상기 I/O 포트(501)와 인터페이스부(511)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호가 착신되면 제어부(403)는 호 착신 통보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I/O 포트 (501)의 제어 포트를 통해 상기 가정용 전화기(130)으로 전송한다. 상기 호 착신 통보 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가정용 전화기(130)이 오프훅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403)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음성처리부(407)와 I/O 포트(501)를 통해 가정용 전화기(130)로 전송하고, 가정용 전화기(13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I/O 포트(501) 및 음성처리부(407)를 통해 수신하여 무선처리부(401) 및 안테나를 통해 무선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전송한다.
상기 폰 저장부(521)는 상기 폰 제어부(513)가 가정용 전화기(1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제어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발신하기 위해서 번호 입력부(512)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램에 버퍼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부(511)는 폰 제어부(513)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I/O 포트(501)와 송수화기부(515)에 연결되고, 상기 I/O 포트(50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수화기부(515)로 출력하고, 송수화기부(515)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I/O 포트(501)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I/O 포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기적 신호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이므로 가정용 전화기(130)가 처리할 수 있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해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데는 코덱(Coder-Decoder:CODEC)을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5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가정용 전화기(130)가 상기 설명한 연결 케이블(300)에 의해 연결되면 가정용 전화기(130)의 폰 제어부(513)는 인터페이스부(511)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6과 같이 가정용 전화기(130)의 기능 모드에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한 통화 기능, 즉 무선모드를 넣을 수도 있다. 상기 무선 모드를 통해 설정할 경우에 가정용 전화기(13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실질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연결을 감지하여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이 감지되면 폰 제어부(513)는 701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511)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호 착신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주기적으로 감시하기 시작한다. 상기 감시가 시작되면 폰 제어부(513)는 703단계와 719단계에서 호 착신 신호가 입력되는지, 호 착신 신호의 검출 없이 오프 훅되었는지, 즉 발신 시도가 있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703단계와 719단계에서의 검사중에 호 착신 신호가 검출되면 폰 제어부(513)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호 착신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I/O 포트(501)로부터 호 착신 통보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링 검출부(518)로부터 호 착신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705단계에서 링 검출부(518)로부터 호 착신 신호가 입력된 것이면 폰 제어부(513)는 717단계로 진행하여 국선(519)으로 통화라인을 연결하고 711단계에서 국선을 통한 통화를 수행하고 71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으로부터 입력된 호 착신 통보 데이터이면 폰 제어부(513)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송수화기부(515) 및 인터페이스부(511)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연결되는 통화라인을 형성하고 708단계에서 링 발생부(517)을 제어하여 링을 발생시킨다. 상기 링 발생 후 폰 제어부(513)는 709단계에서 송수화기부(515)로부터 오프훅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 호프훅 신호가 입력되며 폰 제어부(513)는 통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511)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통화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통화로를 형성하면 송수화기부(515)를 통해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중에 폰 제어부(513)는 713단계에서 송수화기부(515)로부터 온훅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며, 상기 온훅 신호가 수신되면 715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라인을 해제한다.
반면, 상기 719단계에서 호프훅 신호가 송수화기부(515)로부터 입력되면 폰 제어부(513)는 721단계에서 I/O 포트(501)로 통화라인을 연결한다. 상기 통화라인 연결 후 폰 제어부(513)는 723단계에서 번호 입력부(512)로부터 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키가 입력하면 727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키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723단계와 727단계는 전화번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버퍼링 중 폰 제어부(513)는 729단계에서 통화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통화키가 입력하면 7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및 통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511)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전화번호 및 통화 데이터는 I/O 포트(501)을 통해 제어부(403)으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403)는 상기 전화번호를 저장부 (404)에 저장하고 표시부(406)에 표시한 후 통화 데이터에 따라 발신을 시도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가정용 전화기(130)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안테나와 무선처리부(401)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을 음성처리부(407)와 I/O 포트(501)를 통해 가정용 전화기(130)로 전송한다.
그러면 가정용 전화기(100)의 폰 제어부(513)는 상기 711단계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폰 제어부(513)는 상기 723단계와 727단계 대신 입력되는 각각의 키 값들을 바로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가정용 전화기(130)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다이얼링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도시하지 않음).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용으로 쓰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출시에는 가지고 다닐수 있어서 가족이 외출시에는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가정용 전화기와 연결하여 사용함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가정용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가정용 전화기를 설계 변경 없이 간단히 소정의 커넥터를 통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음성 입출력 포트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수신포트를 포함하는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송수화기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입출력 포트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수화기부와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통신하는 가정용 전화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가정용 전화기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전화기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 연결단자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송수화부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데이터 통신 단자를 통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코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전화기가 호 착신 시 통화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기적인 음성 신호의 송수신이 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전화기가 온훅 시 국선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시스템.
  9.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화기부와, 소정의 외부 케이블에 의해 상기 입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상기 송수화기부로 출력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국선 또는 상기 송수화기부로 스위칭 연결하고, 상기 송수화기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케이블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가정용 전화기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의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입출력 포트와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스위칭하여 송수화기부와의 연결되는 통화라인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통화 라인 형성 후 호 착신시 상기 통화 라인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중 온훅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통화라인을 해제하고 국선으로 통화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에서의 그 제어방법.
  10.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화기부와, 소정의 외부 케이블에 의해 상기 입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수화기부로 출력하고, 상기 송수화기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케이블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가정용 전화기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의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포트와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송수화기부의 오프훅이 감지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라인 형성 후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기 시스템에서의 그 제어방법.
KR1020040056106A 2004-07-19 2004-07-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60007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106A KR20060007309A (ko) 2004-07-19 2004-07-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106A KR20060007309A (ko) 2004-07-19 2004-07-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309A true KR20060007309A (ko) 2006-01-24

Family

ID=3711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106A KR20060007309A (ko) 2004-07-19 2004-07-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73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101119399B (zh) 蓝牙喇叭
JP5494327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1339485A (ja) 携帯電話と共同使用可能な固定ネットワーク電話機
JP2001094636A (ja) 携帯電話機
JPH0813063B2 (ja) コードレスホームテレホン方式
KR100566373B1 (ko) 인터넷 전화 및 전화망을 이용한 전화의 송수신이가능케하는 중계장치
KR2006000730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377392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
JP3529283B2 (ja) 回線選択装置
US9860375B2 (en) CTI system and CTI control method
KR200178691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프리웨이 스피커 폰 장치
KR100605850B1 (ko)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방법및 무선 이어마이크에서의 동작 방법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100215722B1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JP330806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313354Y1 (ko) 휴대폰의 톤음을 이용한 전화기
KR20000055309A (ko) 핸드프리용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JP2006180008A (ja) 電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348715B1 (ko) 이동통신단말의 착신음 출력방법
KR100655967B1 (ko) 자동 발신번호 전환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20020045927A (ko) 데이터통신과 음성통신을 지원해주는 블루투스 방식의전화기 세트와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JP4749272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190597Y1 (ko)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KR200313356Y1 (ko) 국선을 이용한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