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597Y1 -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 Google Patents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597Y1
KR200190597Y1 KR2020000004381U KR20000004381U KR200190597Y1 KR 200190597 Y1 KR200190597 Y1 KR 200190597Y1 KR 2020000004381 U KR2020000004381 U KR 2020000004381U KR 20000004381 U KR20000004381 U KR 20000004381U KR 200190597 Y1 KR200190597 Y1 KR 200190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lephone
mode
inpu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석
김기철
강창순
Original Assignee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석 filed Critical 김기석
Priority to KR2020000004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의 송수화 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신호 입출력단자를 내장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고안된 전화기는 저렴한 비용으로 입출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수화장치를 이용하여 청취하고, 송화장치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출력단자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송수화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화기는 송수화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기 위하여 전화기에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장착하는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전화기에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모듈을 장착 하면 전화기의 가격이 상승하고 다수의 전화기를 구입하는 경우 중복 구입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화기에 외부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하고 입출력 단자에 가정에서 보유한 라디오 또는 앰프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기기와 연결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전화기의 송수화 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본 고안은 전화기의 송수화 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고안된 전화기는 저렴한 비용으로 입출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수화장치를 이용하여 청취하고, 송화장치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출력단자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송수화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화기는 송수화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기 위하여 전화기에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장착하는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전화기에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모듈을 장착 하면 전화기의 가격이 상승하고 다수의 전화기를 구입하는 경우 중복 구입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화기에 외부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하고 입출력 단자에 가정에서 보유한 라디오 또는 앰프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기기와 연결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전화기의 송수화 장치를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한다.
도 1 은 종래의 전화기 구성도 이다
도 2 는 고안된 전화기 구성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전화기의 고정장치
101, 201 : 전화모듈장치
102, 202 : 모드선택장치
103, 203 : 송수화 장치
104, 204 : 송수화 신호
105, 205 : 전화선
106, 206 : 휴대장치연결부
107, 207 : 고정장치연결부
108, 208 : 휴대장치
109, 209 : 휴대모듈장치
110, 210 : 휴대모드선택장치
211 : 신호입출력단자
212 : 신호선택장치
213 : 제어신호
214 : 외부입력신호
215 : 외부출력신호
종래의 전화기는 도 1 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전화기의 상태를 대기모드, 전화를 받기 위한 착신모드와 전화를 걸기 위한 발신모드등의 모드설정을 위한 모드선택장치(102)와 모드선택장치(102)를 내장하고, 전화선연결부와 링검출기부와 스피커부와 다이얼부와 표시부와 음성처리부와 제어부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통화 상태에서 전화선(105)을 통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수화신호(104)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인 송화신호(104)를 입력하여 전화선(105)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는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모듈장치(101)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전화모듈장치(101)에서 출력한 수화신호(102)를 청취하고 사용자의 음성인 송화신호(102)를 발생하여 전화모듈장치(101)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화 장치(104)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전화기인 경우 상기장치와 고정장치에서 휴대장치와 연결을 위한 휴대장치 연결부(106)와 휴대장치에서 고정장치와 연결을 위한 고정장치 연결부(107)와 휴대장치에서 모드설정을 위한 휴대모드선택장치(110)와 휴대모드선택장치(110)을 내장하고 스피커부와 다이얼부와 표시부와 음성처리부와 제어부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모듈장치(109)와 휴대장치에서 송화신호를 발생하고, 수화신호를 청취하기 위한 송수화장치(104)등으로 구성된다. 수화장치는 전화기 장치의 수화장치와 무선전화기인 경우는 휴대장치의 수화 장치 및 유무선 핸즈프리 전화기의 본체 및 휴대장치와 연결되는 수화장치등을 통틀어 수화장치라 하며, 송화장치는 전화기 장치의 송화 장치와 무선전화기 인 경우 휴대장치의 송화 장치 및 유무선 핸즈프리 전화기의 본체 및 휴대장치와 연결된 송화장치등을 통틀어 송화 장치라 한다.
종래의 전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동작한다.
전화기의 상태가 대기모드에서 전화가 왔을 경우 전화모듈장치(101) 또는 휴대모듈장치(108)에서 벨이 울리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드선택장치(103) 또는 휴대모드선택장치(110)를 이용하여 착신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상태가 된다.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는 모드선택장치(101) 또는 휴대모드선택장치(110)를 발신모드로 전환한 후 대기음을 기다린 후 준비가 된 상태에서 전화를 건다. 통화 중인 상태에서는 전화선(105)을 통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 신호는 전화모듈장치(101)에서 수화신호(104)로 출력되고 수화장치(103)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다. 송화장치(103)에서 발생한 사용자의 음성인 송화신호(104)는 전화모듈장치(101)로 입력되고 전화선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휴대장치와 연결된 경우 전화모듈장치(101)로부터 출력된 수화신호(104)는 휴대장치연결부(106)를 통하여 무선으로 전송되고, 휴대장치(108)의 고정장치연결부(107)를 통하여 휴대장치의 수화장치(103)와 연결된다. 휴대장치의 송화장치(103)에서 발생한 송화신호는 휴대장치의 고정장치연결부(107)를 통하여 무선으로 전송되고, 고정장치(100)의 휴대장치연결부(106)에서 수신한 후 전화모듈장치(101)로 입력되고, 전화선(105)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즉 통화중인 상태에서 송수화장치(103)와 연결되는 송수화신호(104)는 전화모듈장치(102)와 연결되어 있다. 통화가 종료된 후 모드선택장치(103) 또는 휴대모드선택장치(110)를 이용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전화기의 상태는 대기모드가 된다.
고안된 전화기는 도 2 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안된 고안에서는 종래의 전화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대기모드, 착신모드, 발신모드에 추가로 외부 신호(213,214)를 송수화장치(203)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모드를 추가하였다.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에 따라서 제어신호(213)를 발생하는 모드선택장치(202)와 모드선택장치(202)를 내장하고 전화선연결부와 링검출기부와 스피커부와 다이얼부와 표시부와 음성처리부와 제어부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통화 상태에서 전화선(205)을 통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수화신호(204)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인 송화신호(204)를 입력하여 전화선(205)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모듈장치(201)와 수화신호(202)를 청취하고 송화신호(202)를 발생하기 위한 송수화 장치(204)와 외부입력신호(213)를 신호선택장치(207)로 전달하고 신호선택장치(207)의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입출력단자(211)와 모드선택장치(202)의 제어신호(213)에 따라 송수화신호(204)를 전화모듈장치(201)로 연결하거나 또는 증폭을 한 후 입출력단자(211)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택장치(20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전화기인 경우 상기장치와 고정장치에서 휴대장치와 연결을 위한 휴대장치 연결부(206)와 휴대장치에서 고정장치와 연결을 위한 고정장치 연결부(207)와 휴대장치에서 모드설정을 위한 휴대모드선택장치(210)와 휴대모드선택장치(210)을 내장하고 스피커부와 다이얼부와 표시부와 음성처리부와 제어부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모듈장치(209)와 휴대장치에서 송화신호를 발생하고, 수화신호를 청취하기 위한 송수화장치(204)등으로 구성된다.
전화기의 상태가 종래의 전화기 상태와 동일한 대기모드, 착신모드, 발신모드인 경우에는 모드선택장치(202)의 제어신호(213)에 따라 신호선택장치(212)를 제어하여 송수화신호(204)를 전화모듈장치(201)와 연결함으로써 통화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화기의 모드선택장치(202) 또는 휴대모드선택장치(210)에 의하여 설정된 상태가 신호모드인 경우 제어신호(213)에 따라서 신호선택장치(202)는 송수화신호(204)를 신호 입출력단자(211)와 연결한다. 신호 입출력단자(211)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신호선택장치(212)내의 증폭장치를 거친 후 수화신호(204)로 전송된다. 송화신호(204)도 신호선택장치(212)내의 증폭장치를 거친후 신호 입출력단자(211)로 전송함으로써 외부입력신호(213)를 전화기의 수화장치(201)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송화장치(201)를 이용하여 발생한 송화신호(204)를 외부 출력신호(214)로 발생할 수 있다.
전화기의 상태가 신호모드일 경우에는 통화 수단으로서의 전화모듈장치(201)와 휴대모듈장치(209)의 상태는 대기모드와 동일하다. 즉 전화기가 신호모드인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전화모듈장치(201) 또는 휴대모듈장치(208)에서 벨이 울리고 전화기의 모드선택장치(202) 또는 휴대모드선택장치(210)를 이용하여 착신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도 전화기의 모드선택장치(202) 또는 휴대모드선택장치(210)를 이용하여 발신모드로 전환하여 통화상태가 될 수 있다. 통화가 종료된 후 직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전화기의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렴한 비용으로 신호 입출력단자를 내장한 전화기를 구성 할 수 있고, 입출력 단자에 가정에서 보유한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전화기의 송수화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에 있어서
    모드선택장치(102)를 내장하는 전화모듈장치(101)와 송수화장치(103)로 구성되어 통화의 수단으로만 사용되는 전화기와
    종래의 모드선택장치(102)에 외부입력신호(214)를 수화장치(203)로 전송하고, 송화장치(203)에서 발생한 송화신호(204)를 외부출력신호(215)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모드를 추가하고,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어신호(213)를 발생하는 모드선택장치(202)와
    모드선택장치(202)의 제어신호(213)에 따라 송수화신호(204)를 전화모듈장치(201)로 연결하거나, 또는 증폭을 한 후 신호 입출력단자(211)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택장치(212)와
    외부입력신호(214)를 신호선택장치(212)로 전달하고, 신호선택장치(212)의 신호를 외부출력신호(215)로 전달하기위한 신호 입출력단자(211)로
    구성되어지는 신호 입출력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휴대장치(208)에서 고정장치의 모드선택장치(202)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모드선택장치(210)를 포함한 휴대장치(208)를 갖는 신호 입출력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KR2020000004381U 2000-02-17 2000-02-17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KR200190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381U KR200190597Y1 (ko) 2000-02-17 2000-02-17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381U KR200190597Y1 (ko) 2000-02-17 2000-02-17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597Y1 true KR200190597Y1 (ko) 2000-08-01

Family

ID=1964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381U KR200190597Y1 (ko) 2000-02-17 2000-02-17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5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KR20030026429A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JP2001339485A (ja) 携帯電話と共同使用可能な固定ネットワーク電話機
KR200190597Y1 (ko)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KR20000000029A (ko) 이어폰형무선전화기시스템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JPH04306944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KR19990024488A (ko) 차량 전화기의 핸즈 프리 장치
KR100306487B1 (ko) 핸드프리용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168870Y1 (ko) 오디오 청취 및 전화기능을 갖는 다기능 키보드
KR20030040728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비밀 통화방법
KR920005048Y1 (ko) 온 후크 자동 다이얼링 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413537B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JPH05130010A (ja) 携帯電話機および外部装置
JP3594508B2 (ja) 電話装置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0148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형성하는 방법
KR20010009102A (ko) 무선전화기의 스피커폰 구현방법
JPH0686350A (ja) セルラー・コードレス電話交換機
KR2003004424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장치의 훅 버튼을 이용한통화연결방법
KR20030029283A (ko) 차량용 핸즈프리의 화상통화 장치
KR20010019785A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