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484A -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484A
KR20050077484A KR1020050007372A KR20050007372A KR20050077484A KR 20050077484 A KR20050077484 A KR 20050077484A KR 1020050007372 A KR1020050007372 A KR 1020050007372A KR 20050007372 A KR20050007372 A KR 20050007372A KR 20050077484 A KR20050077484 A KR 20050077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easuring
spectacle
refractive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7964B1 (ko
Inventor
에이이치 야나기
신이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Publication of KR20050077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8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05Blocking means, chucks or the like; Alignmen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4Optical bench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G01N2021/9583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는 측정광학장치와, 안경 착용자의 눈의 동공거리를 측정하는 동공측정장치와, 상기 측정광학장치와 동공측정장치에 접속된 연산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이 연산제어회로는, 상기 측정광학장치에 의해서 측정된 굴절특성과 상기 동공측정장치에 의해서 측정된 눈의 동공거리에 의거하여 안경 착용자의 동공 중심위치에 있어서의 렌즈의 굴절특성을 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Description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REFRACTION CHARACTERISTICS OF LENS}
본 발명은 렌즈, 특히,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눈의 동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을 만들 때, 안경 착용자의 동공과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이 일치하게끔, 안경의 좌우 렌즈의 광학중심 간의 거리와 안경 착용자의 좌우 눈의 동공간의 거리를 같게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안경 착용자의 코의 중심에서부터 좌우 눈의 각각의 동공 중심까지의 거리, 즉 하프 동공간 거리를 각각 측정하여, 좌우 하프 동공간 거리가 안경의 좌우 안경렌즈 간의 중심에서부터 좌우의 안경렌즈의 광학중심까지의 하프 광학중심간 거리와 각각 일치시키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안경의 좌우 안경렌즈의 광학중심간 거리를 측정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가 알려져 있다(가령, 특개평8-2929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실제로 제작된 안경의 좌우 하프 동공간 거리가 안경의 좌우 하프 광학 중심간 거리와 반드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안경 착용자의 동공 중심과 안경의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안경 착용자는 프리즘이 생긴 상태에서 안경을 사용하게끔 된다. 이와 같은 안경에서는, 착용자의 동공중심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
한편, 안경 착용자가 사위(斜位)나 사시(斜視)를 갖는 경우, 프리즘 양이 안경을 만들 때에 설정되는 일이 있다. 이 프리즘 양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안경의 광학 중심간 거리는 상술한 동공간 거리와 일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안경의 동공간 거리가 측정되었을 때, 프리즘 양이 사시 등을 위해서 설정되어 있는지, 하프 동공간 거리와 하프 광학 중심간 거리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없었다.
또, 사시 등으로 인해서 프리즘 양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 프리즘 양이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는, 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는 측정광학장치와, 안경 착용자 눈의 동공 거리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이 입력장치에 의해서 입력된 안경 착용자의 좌우 눈의 동공거리와 상기 측정광학장치에 의해 측정된 굴절특성에 의거하여 안경 착용자의 동공 중심위치에 있어서의 렌즈의 굴절특성을 구하는 연산제어회로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광학장치는, 렌즈에 광을 조사하는 투광광학기구와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광학기구를 갖는다. 이 수광광학기구는, 가령 렌즈를 통과하는 광을 화상화하는 CCD를 갖는다. 이 CCD로부터 출력되는 측정신호가 연산제어회로에 입력된다. 한편, 입력장치는, 안경 착용자의 코의 중심에서부터 좌우 동공 중심까지의 하프 동공간 거리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하프 동공간 거리를 연산제어회로에 입력하는 연산제어회로는, 측정광학장치에 의해서 측정된 굴절특성과 하프 동공간 거리에 의거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상기 동공간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굴절특성을 구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가, 안경렌즈를 측정하도록 적용된 경우의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다. 이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는, 본체 케이스(1)와 이 본체 케이스(1)내에 수납된 측정광학장치를 갖는다.
본체 케이스(1)는, 상부 하우징부(2)와, 하부 하우징부(3)와, 이들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하우징부(4)를 갖는다. 이 상부 하우징부(2)와 하부 하우징부(3)의 사이에는, 도 5에 도시한 안경(5)의 세트공간(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 하우징부(4)는 후부측의 하우징부(4b)를 전방벽(4a) 쪽에서 착탈할 수 있다.
또, 안경(5)은, 본 실시예에서는 안경 프레임(MF), 안경 프레임(MF)의 좌우 렌즈틀(LF, RF)에 삽입된 안경렌즈(LL, RL)와, 좌우 렌즈틀(LF, RF)을 연결하고 있는 브릿지(B)와, 좌우 렌즈틀(LF, RF) 등에 설치된 노즈패드(NP)와, 좌우 렌즈틀(LF, RF)에 설치된 템플(temple)(LT, RT)을 갖는다.
하부 하우징부(3)는, 상부벽(7)을 갖고, 개구(8L, 8R)가, 이 상부벽(7)의 좌우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도 1참조). 이 하부 하우징(3) 내부는 좌우의 중앙에 배치된 칸막이벽(3a)에 의해, 좌우의 공간(3L, 3R)으로 구획되어 있다.
측정광학장치는,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본체 케이스(1)내에 거의 대칭형상으로 배치된 좌우 한쌍의 측정광학계(9L, 9R)를 갖는다.
표시장치, 가령 액정표시기(100)가 상부 하우징부(2)의 전면, 즉 정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측정개시 스위치(101), 모드 전환스위치(102), 데이터 입력용 스위치(103), 프린트 스위치(104) 등이 설치되어 있다.
앞쪽 및 좌우로 개방되는 안경 배치공간(105)이 상부 하우징(2)과 하부 하우징(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좌측 측정광학계(9L)는, 상부 하우징부(2)내에 내장된 투광광학기구(10L)와 하부 하우징부(3)에 내장된 수광광학기구(11L)를 갖는다.
투광광학기구(10L)는, 측정광속 투영용 광원, 가령 LED(12, 13)와,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14)와, 반사미러(15)와, 콜리미터 렌즈(16)를 구비하고 있다. LED(12)는 적외광을 발사하고, LED(13)는 적색광(파장 630㎚)을 발사한다. 다이크로익 미러(14L)는, LED(12)로부터의 적외광을 반사하고, LED(13)로부터의 적색광을 투과한다. 콜리미터 렌즈(16)는 LED(12, 13)로부터 발생한 발산광속을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 반사미러(15)는 중앙부로부터 좌측의 절반이 사용된다.
수광광학계(11L)는, 개구(8L)에 장착된 할트만 패턴판(17), 상면에 스크린(18a)이 설치된 필드렌즈(18), 반사미러(19, 20, 21)와, 광로합성 프리즘(22), 결상렌즈(23)와, 수광소자, 가령 CCD(24)를 구비하고 있다. 패턴판(17)에는 다수의 광투과부(도시 생략)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우측 측정광학계(9R)는, 상부 하우징부(2) 내에 내장된 투광광학기구(10R)와, 하부 하우징부(3)에 내장된 수광광학기구(11R)를 갖는다. 이들 투광광학기구(10R) 및 수광광학기구(11R)는, 각각 투광광학기구(10L) 및 수광광학기구(11L)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간단하게 말하면, 투광광학계(10R)는 측정광속 투영용 광원인 LED(25, 26), 다이크로익 미러(14), 반사미러(15) 및 콜리미터 렌즈(27)를 구비하고, 수광광학계(11R)는 개구(8L)에 장착된 할트만 패턴판(28), 상면에 스크린(29a)이 설치된 필드렌즈(29), 반사미러(30, 31), 광로합성 프리즘(22), 결상렌즈(23), CCD(24)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지지장치가 설치되고, 이 렌즈 지지장치는, 렌즈 받침기구와, 프레임 유지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받침기구는, 이 실시예에서는, 패턴판(17 및 28)의 각각의 중앙부 상에 설치된 축형상의 렌즈 받침부재(17a, 28a)를 갖는다. 이들 렌즈 받침부재(17a, 28a)는, 상단부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선이 측정광학계(9L)의 광축(OL)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 유지기구는, 안경(5)의 좌우 안경렌즈(LL, RL)를 렌즈 받침부재(17a, 28a)에 지지시켰을 때에, 이 안경(5)의 안경 프레임(MF)을 유지한다. 또, 상부벽(7)의 전방 테두리부 및 후방 테두리부의 좌우방향 중앙부분(32, 33)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3a)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34, 3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유지부재(32)는, 좌우로 연장되면서 앞쪽 상부벽(7)의 후방 테두리부 및 전방 테두리부 상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판형상 프레임 유지판(36, 37)을 갖는다. 이들 프레임 유지판(36, 37)의 대향면(36a, 37a)은, 도 2, 도 6,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약간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 유지기구는 또, 하부 하우징부(3)내에 배치된 한쌍의 링크판(38, 39)을 갖는다(도 8, 도 11 및 도 12 참조). 이들 링크판(38, 39)은, 칸막이벽(3a)의 일측면의 상부를 따라서 전후를 향해 배치되어 있다.
링크판(38)은, 도 8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상방을 향해 돌출 설치된 장착편(38a)과, 도 8,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에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슬릿(38b, 38c)과, 타단부에 하방을 향해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편(38d)과, 걸어맞춤편(38d)에 하방을 향해 형성된 걸어맞춤 절결홈(38e)을 갖는다. 장착편(38a)은, 슬릿(35)을 개재하여 상부벽(7)의 상방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프레임 유지판(36)에 장착되어 있다.
링크판(39)은,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상방을 향해서 돌출 설치된 장착편(39a)과, 일단부 및 중간부에 형성된 슬릿(39b, 39c)과, 타단부에 상방을 향해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편(39d)과, 걸어맞춤편(39d)에 상방을 향해 형성된 걸어맞춤 절결홈(39e)을 갖는다.
장착편(39a)은, 슬릿(117)을 개재하여 상부벽(7)의 상방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프레임 유지판(37)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나사(40)는, 링크판(38, 39)의 슬릿(38b, 39b)에 각각 삽입된 후, 그 선단부가 격벽(3a)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 가이드 나사(41)는, 링크판(38, 39)의 슬릿(38c, 39c)에 각각 삽입된 후, 그 선단부가 격벽(3a)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가이드 나사(40, 41)는, 링크판(38, 39)을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 유지기구는, 도 7,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부(3)의 상부 및 칸막이벽(3a)에 대응하여 연결 하우징부(4)의 전방벽(4a)에 형성된 개구(42)와, 개구(42)의 측방 테두리에 후방(하부 하우징부(3)내)을 향해 돌출 설치된 지지편(43)과, 이 지지편(43)에 장착된 지지나사(44)를 갖는다.
지지나사(44)는, 개구(42)측에 위치하는 헤드부(44a)와, 헤드부(44a)에 연결된 대직경 축부(44b)와, 대직경 축부(44b)에 연결된 나사부(44c)를 갖는다. 이 지지나사(44)는, 나사부(44c)를 지지편(43)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지지편(43)에 장착되어 있다. 나사부(44c)는, 지지편(43)을 관통하여 개구(42)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나사부(44c)의 돌출부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ring)형상의 스페이서(45)가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너트(46)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너트(46)는, 스페이서(45)측에 소직경 축부(46a)를 가짐과 동시에, 스페이서(45)를 지지편(43)에 고정하고 있다.
프레임 유지기구는, 대직경 축부(44b)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회전판(연결부재)(47)과, 회전판(47)의 링크판(38, 39)측의 부분에 180ㅀ의 간격을 두고서 장착된 걸어맞춤핀(48, 49)과, 지지편(43)측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핀(50)을 갖는다. 링크판(38, 39)의 걸어맞춤 절결홈(38e, 39e)이 걸어맞춤핀(48, 49)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링크판(38, 39)의 장착편(38a, 39a)의 베이스부 사이에는 코일스프링(51)이 장착되고, 이 코일스프링(51)은, 링크판(38, 39)을 프레임 유지판(36, 37)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기어(52)가 너트(46)의 소직경 원통부(46a)에 베어링(46b)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기어(52)의 측면에는 걸어맞춤핀(50)에 원주방향에서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돌기부(5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52)의 근방에는, 연결 하우징부(4)의 전방벽(4a)에 장착된 구동기구(5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기구(54)로는 펄스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구동기구(54)의 출력축(54a)에는 기어(52)에 치합되는 피니언(55)이 장착되어 있다. 칸막이벽(3a)에는, 프레임 유지판(36, 37)사이가 최대로 벌여졌을 때, 링크판(38)의 이동 정지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56)가 장착되어 있다.
렌즈 지지장치는, 노즈패드 지지기구를 포함하며, 이 노즈패드 지지기구는, 상부벽(7) 상에 배치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8L, 8R) 사이 및 프레임 유지판(36, 37) 사이에 위치하는 반원기둥 형상의 노즈패드 지지부재(57)를 갖는다. 이 노즈패드 지지부재(57)는, 상하를 향해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평면형상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노즈패드 지지부재(57)의 하단에는 지지축(58)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부벽(7)에는,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8L, 8R) 사이에 위치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5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59)에는, 노즈패드 지지부재(57)의 하단에 돌출 설치된 지지축(58)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상부벽(7)의 상하에는 슬릿(59)을 따라서 연장되는 지지판(60, 61)이 배치되고, 지지축(58)은 지지판(60, 61)을 관통하고 있다. 지지판(60, 61)의 사이에는 지지축(58)에 끼워맞춤된 스페이서통(62)이 장착되고, 지지축(58)의 하단부에는 고정너트(63)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고정너트(63)는, 지지판(60, 61) 및 스페이서통(62)을 노즈패드 지지부재(57)에 일체로 고정하고 있다.
이 스페이서통(62)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폭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슬릿(59)내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페이서통(62)은, 상부벽(7)의 판두께 치수보다도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어, 지지판(60, 61)이 상부벽(7)의 판면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지지축(58)과 지지판(60, 61)은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지지판(61)의 스프링 걸림돌기부(61a)와 칸막이벽(3a)의 스프링 걸림 돌출부(3b)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S)이 장착되어 있고, 코일스프링(S)은 지지판(60, 61) 및 노즈패드 지지부재(57)를 프레임 유지판(36)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칸막이벽(3a)에는, 지지판(61)의 프레임 유지판(37)의 측벽부(61a)에 대응시켜서, 마이크로스위치(64)가 이동검출수단으로서 장착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스위치(64)는, 노즈패드 지지부재(57)가 프레임 유지판(37)측으로 이동되고, 지지판(60, 61)이 프레임 유지판(37)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액추에이터(64a)가 지지판(61)의 단부(61a)에 의해 가압되어 온(ON)됨으로써, 노즈패드 지지부재(57)의 이동조작을 검출하게끔 되어 있다.
연결 하우징부(4)의 전방벽(4a)에는,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누름기구(65)가 누름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렌즈 누름기구(65)는, 프레임 유지판(37)의 상방에 위치되어 전방벽(4a)의 좌우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회전축(66L, 66R)을 갖는다. 이 회전축(66L, 66R)은, 전방벽(4a)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해 있음과 동시에, 서로 평행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렌즈 누름기구(65)는, 회전축(66L, 66R)의 측부에 각각 고정된 L자 형상의 암(67L, 67R)과, 암(67L)의 선단부에 장착된 한쌍의 렌즈 누름축(68L), 암(67R)의 선단부에 장착된 한쌍의 렌즈 누름축(68R)을 갖는다.
또,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1)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한쌍의 렌즈 누름축(68L 및 68R)은 각각 하나밖에 보이지 않으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1)를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한쌍의 렌즈 누름축(68R)이 보인다. 이때, 한쌍의 렌즈 누름축(68L)은 한쌍의 렌즈 누름축(68R)과 겹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상, 한쌍의 렌즈 누름축(68L)의 부호를 한쌍의 렌즈 누름축(68R)의 부호 부분에 기재하여 설명한다. 이 렌즈 누름축(68L, 68R)의 선단부는 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렌즈 누름축(68L, 68R)은, 암(67L, 67R)이 도 1 및 도 2와 같이 기립시켰을 때, 선단부가 도 1과 같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렌즈 누름축(68L, 68L(68R, 68R))은, 암(67L(67R))이 도 6과 같이 수평으로 넘어졌을 때에, 기준핀인 렌즈받침(17a(28a))의 축선, 즉 광축(OL(OR))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 누름기구(65)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하우징부(4)내에서 회전축(66L, 66R)에 각각 고정된 부채꼴 모양의 회전판(69L, 69R)과, 회전판(69L, 69R)의 하측 테두리부에 연결 설치된 좁은 폭의 걸어맞춤편(70L, 70R)과, 회전판(69L, 69R)의 하측 테두리에 연결된 좁은 폭의 걸어맞춤편(70L, 70R)과, 회전판(69L, 69R)의 하측 테두리부에 설치된 스프링 걸림부(71L, 71R)와, 스프링 걸림부(71L, 71R)의 하방에 위치되고 전방벽(4a)에 돌출 설치된 스프링 걸림부(72L, 72R)와, 스프링 걸림부(71L, 72L)사이에 장착된 인장 코일스프링(73L)과, 스프링 걸림부(71R, 72R) 사이에 장착된 인장 코일스프링(73R)을 갖는다.
렌즈 누름기구(65)는, 연결 하우징부(4)내에서 전방벽(4a)의 상부에 장착된 펄스모터 등의 구동모터(74)를 갖는다. 이 구동모터(74)는, 출력축(74a)이 상하방향을 향하고 있음과 동시에, 출력축(74a)이 연결 하우징부(4)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축(74a)에는 피니언(75)이 장착되어 있다. 또, 전방벽(4a)에는 구동모터(74)의 하방에 위치되는 L자 형상의 브라켓(76)이 장착되어 있다. 이 브라켓(76)에는 전방벽(4a)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는 이송나사(77)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면서 상하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브라켓(76)에 원통형상의 베어링을 상하를 향해서 고정하고, 이 베어링에 이송나사(77)의 상단부를 회전가능하면서 상하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또, 베어링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설치해도 된다. 또한, 이송나사(77)의 상하 단부를 베어링으로 전방벽(4a)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해도 된다.
피니언(75)에 치합되는 기어(78)가 이송나사(77)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이송나사(77)는 연결 하우징부(4)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승강부재(79)가 이 이송나사(77) 하부의 나사부(77a)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도 7중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플랜지(79a)가 이 승강부재(79)의 하단부에서 전방벽(4a)을 향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79a)는 전방벽(4a)에 접촉되고, 승강부재(79)의 승강에 의해 전방벽(4a)에 대해서 상하로 미끄럼 이동한다. 걸어맞춤편(70L, 70R)의 선단부가, 이 플랜지(79a)상에, 인장 코일스프링(73L, 73R)의 스프링력에 의해 각각 접촉되어 있다.
이 하부 하우징(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벽(7)을 갖는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경 서포트기구(110)가 이 하부 하우징(3)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안경 서포트기구(110)는, 상부벽(7)의 좌우 양측부 상에 전후를 향해서 수평으로 각각 배치된 프레임 서포트(111)와, 연결 하우징부(4)의 전방벽(4a)의 양측부 전면에 각각 장착된 L자 형상의 브라켓(112)과, 상부벽(7)의 양측부의 연결 하우징부(4)측 부분 및 브라켓(112)을 각각 상하로 관통하는 지지축(113)을 갖는다.
프레임 서포트(111)는, 정면형상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후로 연장되는 슬릿(111a)이 도 2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113)은 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축(113)의 상단부에 프레임 서포트(111)의 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지지축(113) 및 프레임 서포트(111)는 지지축(113)의 축선 둘레에서 회전하지 않는다.
또, 지지축(113) 및 프레임 서포트(111)를 지지축(113)의 축선 둘레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지지축(113)을 뿔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지지축(113) 및 프레임 서포트(111)가 지지축(113)의 축선 둘레에서 회전하지 않으면 되므로,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는 다른 주지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스토퍼로서의 너트(114)가, 이 지지축(113)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지지축(113) 및 프레임 서포트(111)는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1)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용 플랜지(115)가 지지축(113)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112)과 플랜지(115)의 사이에는 누름수단, 가령 코일스프링(116)이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116)은, 지지축(113)을 상방으로 스프링 가압하고 있다.
이 코일스프링(116)은, 프레임 서포트(111)상에 안경의 안경 프레임을 지지시켰을 때에, 안경이 자기의 중량에 의해 렌즈받침(17a, 28a)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하강하지 않도록 스프링력이 어느 정도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좌우 지지축(113)에 대응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레버 삽입개구(120)가 전방벽(4a)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서포트 밀어내림기구(121)가 이 전방벽(4a)에 장착되어 있다.
이 프레임 서포트 밀어내림기구(121)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120)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전방벽(4a)의 배면에 고정된 상부 브라켓(122, 122)과, 브라켓(122, 122)을 관통하고 브라켓(122, 122)에 회전가능하면서 축선방향으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된 회전축(123)과, 회전축(123)의 양 단부에 고정된 밀어내림레버(124, 124)와, 브라켓(122)과 회전축(123)의 사이에 장착되어 밀어내림레버(124, 124)를 하방으로 회동 가압하고 있는 비틀림 코일스프링(125)을 갖는다.
이 각 밀어내림레버(124)는, 레버 삽입개구(120)에 삽입 관통되어, 선단부가 하부 하우징(3)내로 돌출되어 있음과 동시에, 지지축(113)의 플랜지(115)상에 비틀림 코일스프링(125)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볍게 접촉되어 있다.
프레임 서포트 밀어내림기구(121)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4a)의 배면 상부에 장착된 상부 브라켓(126, 127)과, 전방벽(4a)의 배면 하부에 장착된 하부 브라켓(128)과, 브라켓(126∼128)을 관통하고, 또 브라켓(126∼128)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이송나사(129)와, 브라켓(126)상에 배치되어 이송나사(129)를 회전구동하는 펄스모터(130)를 갖는다. 또, 하부 브라켓(128)은 개구(120)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 서포트 밀어내림기구(121)는, 전방벽(4a)의 배면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131)와, 이송나사(129)에 나사결합된 뿔기둥 형상의 너트(132)를 갖는다. 이 너트(132)는 측면이 슬라이더(131)에 접촉되어 있어, 이송나사(129)의 회전시에 축선 둘레에서 회전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너트(132)는 이송나사(129)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에 상하 이동된다.
또, 슬라이더(131)는 도 16 및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부(131a) 및 전면판부(131a)의 양측에 연결된 측면판부(131b, 131b)로써 평면형상이 コ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면판부(131a)의 양측부에는 도 1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131c, 131c)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132)의 일부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밀어내림레버(124, 124)의 하나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하강했을 때에 한쪽의 밀어내림레버(124)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슬라이더(131)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의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할 때에, 안경 배치공간(105)의 측방을 덮는 차광기구(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광기구(140)는, 상술한 이송나사(129), 펄스모터(130), 슬라이더(131) 및 너트(132)를 갖는다.
차광기구(140)는, 또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부(141a) 및 측면판부(141b, 141b)로써 コ형상으로 형성된 회동암(141)과, 신축되는 차광커버(142)를 갖는다. 이 차광커버(142)는 전면 커버판부(143a) 및 측면 커버판부(143b, 143b)로써 コ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커버판(143)과, 전면 커버판부(144a) 및 측면 커버판부(144b, 144b)로써 コ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커버판(144)을 구비하고 있다.
회동암(141)의 측면판부(141b, 141b)는 슬라이더(131)의 전면판부(131a)에 형성된 개구(131c, 131c)에 도 16, 도 18(D)와 같이 삽입 관통되어 있음과 동시에, 후단부가 슬라이더(131)의 측면판부(131b, 131b)에 지지축(145, 145)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회동암(141)의 하나의 측면판부(141b)에는 너트(132)가 하방으로부터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동암(141)은 너트(132)에 의해 수평이 될 때까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 개구(131c)의 상단에 접촉하여 그 이상, 상방으로 회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더욱 너트(132)를 상승시키면, 슬라이더(131)가 회동암(141)과 일체로 상승된다.
상부 커버판(143)의 측면 커버판부(143b, 143b)는 슬라이더(131)의 측면판부(131b, 131b)의 외측면에 고정나사(146, 146)를 개재하여 고정되고, 하부 커버판(144)의 측면 커버판부(144b, 144b)는 회동암(141)의 측면판부(141b, 141b)에 고정나사(147, 147)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하부 커버판(144)은 상부 커버판(143)의 내측에 거의 내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수광소자, 즉 CCD(24)의 출력, 즉 측정신호는, 도 5의 연산제어회로(80)에 입력되고, 리미트스위치(56) 및 마이크로스위치(64)는 연산제어회로(80)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연산제어회로(80)는, LED(12, 13, 25, 26)를 점등제어하고, 구동모터(54 및 74)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 이 연산제어회로(80)에는, 입력수단과 표시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수단은, 측정광학장치 및 동공거리 측정장치(220)의 측정결과를 연산제어회로에 입력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가령, 측정개시 스위치(101), 모드 전환스위치(102), 스위치(103), 프린트 스위치(104)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장치는, 적어도 연산제어회로의 측정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측정광학장치 및 동공거리 측정장치(220)의 측정결과도 겸해서 표시하면, 안경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각 측정결과를 일람으로 볼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이 표시장치는, 가령 액정표시기(100)로 이루어져 있다.
동공거리 측정장치(220)는, 도시하지 않은 시표를 안경 착용자의 눈(221, 222)에 조사하는 광원(223)과, 미러(224)와, 대물렌즈(225)를 구비한다. 시표를 조사한 조명광은, 미러(224)에 의해서 반사되고, 대물렌즈(225)를 개재하여 안경 착용자의 눈(221, 222)의 각막 표면에 입사된다. 검사자는 접안렌즈(226)를 통해서 안경 착용자의 눈(221, 222)을 보면, 입사된 시표의 조명광에 의해 안경 착용자의 눈의 각막 상에서 휘점(輝點)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 휘점의 위치에 의거하여 도시하지 않은 연산회로에 의해서 안경 착용자의 눈의 동공간 거리를 측정한다(도 34참조).
또, 동공거리 측정장치(220)를 본 발명에 의한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전원을 투입하기 전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52)의 걸어맞춤 돌기부(53)가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는, 코일스프링(51)의 장력을 작게 하기 위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유지판(36, 37)이 코일스프링(51)의 인장력에 의해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프레임 유지판(36, 37)의 간격은 최소로 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는, 걸어맞춤핀(48, 49, 50)이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걸어맞춤 돌기부(53)가 걸어맞춤핀(50)으로부터 시계회전방향으로 약간 떨어져 있다.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전원을 투입하기 전에는, 코일스프링(73L, 73R)의 인장력을 작게 하기 위해서, 승강부재(79)가 도 7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나사(77)의 나사부(77a)의 하단부에 위치결정된다. 이 위치에서는, 회전판(69L, 69R)의 걸어맞춤편(70L, 70R)이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73L, 73R)의 인장력에 의해 상하로 경사시킨 상태로 되어 있고, 암(67L, 67R)은 수평으로 넘어진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전원을 투입하면, 연산제어회로(80)는 노즈패드 지지부재(57)의 이동을 검출하고, 구동모터(54)를 작동제어하여 피니언(55)을 회전시키며, 이 피니언(55)에 의해 기어(52)를 도 8중에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따라 기어(52)의 측면으로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부(53)는, 회전판(47)의 걸어맞춤핀(50)에 접촉한 후, 이 걸어맞춤핀(50)을 도 8중에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회전판(47)을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판(47)의 회전에 따라서, 걸어맞춤핀(48, 49)이 회전판(47)과 일체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링크판(38, 39)은 코일스프링(51)의 인장력을 극복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위된다.
즉, 도 8중에서, 링크판(38)은 도시를 생략한 위치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변위되며, 링크판(39)은 도시를 생략한 위치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변위된다. 이 링크판(38)이 도 8의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변위되면, 이 링크판(38)의 단부에 의해 리미트스위치(56)가 온(ON)되고, 이 온신호가 연산제어회로(80)에 입력된다.
이 연산제어회로(80)는, 리미트스위치(56)로부터의 온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5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 링크판(38, 39)의 상대변위에 의해, 프레임 유지판(36, 37)이 도 8중에서 이점쇄섬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화살표(82, 83)로 도시한 방향(서로 반대방향)으로 변위되고, 프레임 유지판(36, 37)의 간격이 최대로 넓어져서, 측정작업의 대기상태로 된다.
한편,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전원을 투입하면, 연산제어회로(80)는 도 6, 도 7의 구동모터(74)를 작동시켜서 피니언(75)을 회전시키고, 이 피니언(75)의 회전을 기어(78)를 개재하여 이송나사(77)로 전달시켜, 승강부재(79)를 도 7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나사(77)의 나사부(77a)의 상단부까지 이동시킨다. 그로 인해, 측정을 개시하기 전에는, 회전판(69L, 69R)의 걸어맞춤편(70L, 70R)이 상방으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고, 암(67L, 67R)이 도 1, 도 2와 같이 기립되고, 렌즈 누름축(68L, 68R)의 선단부가 도 1과 같이 서로 대향되어, 측정작업 대기상태로 된다.
이 측정작업 대기상태에서는, 연산제어회로(80)는 도 26에 도시한 동공간 거리입력화면을 액정표시기(100)에 표시시킨다.
이 액정표시기(100)의 하부에는, 안경착용자의 코 중심으로부터 좌측 동공중심까지의 좌측 하프LHPD와, 좌우의 동공간 거리PD와, 안경 착용자의 코의 중심으로부터 우측 동공중심까지의 우측 하프RHPD의 표준 데이터가 이 순서로 표시되어 있다. 즉, LHPD가 「32」, PD가 「64」, RHPD가 「32」로서 액정표시기(100)에 표시되어 있다.
액정표시기(100)의 하측 테두리부(하단부)에는, 측정개시 스위치(101), 모드 전환스위치(102), 스위치(103), 프린트 스위치(104)에 대응하는 「측정」, 「모드」, 「+」, 「-」등의 표시가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모드 전환스위치(102)의 조작을 함으로써, LHPD와 RHPD의 입력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전환상태는, 가령 도 27,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LHPD와 RHPD 부분의 색을 바꿈으로써 작업자에게 알릴 수가 있다.
도 27은 LHPD 데이터의 변경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고, 도 28은 RHPD 데이터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7에서는 스위치(103, 104)를 조작함으로써, LHPD 데이터「32」의 증감을 행할 수 있다. 또, 도 28에서는, 스위치(103, 104)를 조작함으로써, RHPD 데이터「32」의 증감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되는 LHPD나 RHPD는, 리플렉트 미터나 PD미터로 측정한 착용자의 처방값에 의거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가령 LHPD를 「31.5」로 변경하고, RHPD를 「31.5」로 변경한 예를 나타낸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LHPD나 RHPD를 손으로 입력하여 설정하였으나,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리플렉트 미터나 PD미터를 연산제어회로(80)에 접속해 두고, 리플렉트 미터나 PD미터로 측정한 LHPD나 RHPD 데이터를 연산제어회로(80)로 송신함으로써, LHPD나 RHPD 부분에 착용자의 LHPD나 RHPD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에 의해 안경(5)의 굴절특성 등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려면, 안경(5)의 안경프레임(MF)을 안경 배치공간(105)내에 배치하고, 안경(5)의 노즈패드(NP, NP)를 노즈패드 지지부재(57)의 상단부 전면에 접촉시킨다.
이와 동시에, 안경 프레임(MF)의 좌우 렌즈틀(LF, RF)의 템플(LT, RT)장착부측 부분을 도 19, 도 22(A)와 같이 프레임 서포트(111, 111)상에 지지시킨다. 이때, 안경프레임(MF)의 좌우 렌즈틀(LF, RF)은 각각 2점에서 지지되므로, 렌즈틀(LF, RF)의 형상이나 템플(LT, RT) 등의 장착위치 때문에 중심위치가 중앙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좌우 렌즈틀(LF, RF)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기울어지지 않고 거의 수평으로 지지된다. 게다가, 렌즈틀(LF, RF) 및 안경렌즈(LL, RL)는, 코일스프링(116)의 스프링력으로 렌즈받침(17a, 28a)의 상단보다도 상방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안경렌즈(LL, RL)가 측정광학계(9L, 9R)의 광로 도중에 각각 배치된다. 즉, 안경렌즈(LL)가 측정광학계(9L)의 투광광학기구(10L)와 수광광학기구(11L)의 사이에 배치되고, 안경렌즈(RL)가 측정광학계(9R)의 투광광학기구(10R)와 수광광학기구(11R)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 안경 무테 프레임, 즉 2포인트 프레임 안경의 경우, 템플 창착 브라켓이 안경렌즈의 테두리부에 고정나사로 장착되어 있으나, 이 고정나사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고정나사가 장착되어 있는 부분을 프레임 서포트(111, 111)로 지지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L자 형상의 프레임 서포트(111, 111)의 모서리부를 따라서 슬릿(111a, 111a)을 형성하고, 이 슬릿(111a, 111a)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고정나사를 배치가능함으로써, 작은 무테 프레임 안경의 측정도 행할 수 있다.
측정개시 스위치(101)를 누르면, 연산제어회로(80)는 구동모터(54)를 소정수의 구동펄스로 작동제어하여 피니언(55)을 소정 회전수만큼 회전시키고, 이 피니언(55)에 의해 기어(52)를 도 8중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기어(52)의 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부(53)를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구동모터(54)의 회전은, 걸어맞춤 돌기부(53)가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또, 이 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나 리미트 스위치 등으로 검출하여, 구동모터(54)를 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서, 회전판(47)의 걸어맞춤핀(50)은 코일스프링(51)의 안경에 의해 걸어맞춤 돌기부(53)에 추종하여 도 8중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판(47)은 시계회전방향으로 걸어맞춤핀(50)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 회전판(47)의 회전에 따라, 걸어맞춤핀(48, 49)이 회전판(47)과 일체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링크판(38, 39)은 코일스프링(51)의 인장력(스프링력)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때, 링크판(38)이 도 8중에서 좌우로 변위되고, 링크판(38)과 일체인 프레임 유지판(36)이 도 8중에서 화살표(8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변위됨과 동시에, 링크판(39)이 우측방향으로 변위되어서, 링크판(39)과 일체인 프레임 유지판(37)이 도 8중에서 화살표(8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변위된다.
그로 인해, 프레임 유지판(36, 37)은 화살표(84, 8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동일량 이동하여, 안경 프레임(MF)의 렌즈틀(LF, RF) 및 안경렌즈(LL, RL)를 프레임 유지판(36, 37)간의 중앙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노즈패드 지지부재(57)도 안경 프레임(MF)의 노즈패드(NP)와 일체로 슬릿(59)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안경 프레임(MF)이 패턴판(17, 28)간의 중앙에 노즈패드(NP)가 위치하도록 노즈패드 지지부재(57)의 원호면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안경 프레임(MF)의 지지위치가 정확한 위치로 수정된다.
따라서, 도 23(a)와 같이 안경렌즈(LL, RL)가 프레임 유지판(36, 37)에 대해서 치우쳐서 배치되어도, 프레임 유지판(36, 37)은 렌즈틀(LF, RF) 및 안경렌즈(LL, RL)를 도 23(b)와 같이 프레임 유지판(36, 37)간의 중앙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19, 도 23(a), 도 23(b)와 같이 좌우 렌즈틀(LF, RF) 및 안경렌즈(LL, RL)는 렌즈받침(17a, 28a)의 상단보다 상방에 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렌즈틀(LF, RF)이 렌즈받침(17a, 28a)에 측방으로부터 접촉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치우쳐서 배치된 렌즈틀(LF, RF)이 프레임 유지판(36, 37)에 의해 프레임 유지판(36, 37)간의 중앙 쪽으로 이동될 때에, 렌즈받침(17a, 28a)이 렌즈틀(LF, RF)에 의해 손상되는 바와 같은 일은 없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 안경(5)의 안경 프레임(MF)을 경사진 대향면(36a, 37a)사이에서 협지하도록 유지하고, 좌우 안경렌즈(LL, RL)의 거의 중앙이 렌즈받침(17a, 28a)의 상방에 떠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이어서, 연산제어회로(80)는 펄스모터(130)를 작동제어하여 이송나사(129)를 회전시키고, 너트(132)를 하강시킨다. 그에 따라, 슬라이더(131), 회동암(141), 차광커버(142) 등의 자중에 의해 회동암(141)이 너트(132)에 추종하여 하강함으로써, 슬라이더(131), 회동암(141), 차광커버(142) 등이 일체로 하강한다.
이 하강에 따라, 도 1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 커버(142)의 상부 커버판(143)이 상부 하우징(2)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량만큼 돌출하면, 슬라이더(131)의 하단이 하부 브라켓(128)에 접촉하여, 슬라이더(131)의 하강이 정지된다.
이 위치로부터 더욱 너트(132)가 하강되고, 회동암(141)이 개구(131c)의 하단에 접촉할 때까지 지지축(145, 145)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되어, 도 1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커버판(144)이 상부 커버판(143)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또, 너트(132)의 하강은 회동암(141)이 개구(131c)의 하단에 접촉할 때까지 행해지면, 펄스 모터(130)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로 인해, 안경 배치공간(105)의 앞쪽 및 좌우 양측부가 차광커버(142(커버판(143, 144))에 의해 덮힌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경(5)을 전후방향의 중앙으로 이동시키고 나서 차광커버(142)에 의해 안경 배치공간(105)의 앞쪽 및 좌우 양측부를 커버하도록 하고 있다.
또, 안경 배치공간(105)의 하단부측은 약간 커버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있으나, 안경 배치공간(105)의 상부측으로부터 비스듬히 들어오는 외부의 광이 차광커버(142)에 의해 차광되므로, 측정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 안경 배치공간(105)의 하단부측은 약간 커버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있으나, 이 부분도 포함하여 안경 배치공간(105)의 전부를 차광가능하게 덮도록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은 차광동작에 이어서 연산제어회로(80)는, 구동모터(74)를 소정수의 구동펄스로 작동제어하여 피니언(75)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을, 기어(78)를 개재하여 이송나사(77)로 전달시키며, 이 이송나사(77)에 의해 승강부재(79)를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구동모터(74)의 작동은 승강부재(79)가 이송나사(77)의 하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행해진다. 그리고, 승강부재(79)가 이송나사(77)의 하단부에 도달하면 구동모터(74)의 작동이 정지된다. 또, 이와 같은 동작은 펄스모터인 구동모터(74)를 소정 회전수만큼 회전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승강부재(79)의 상하 이동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위치검출수단으로 검출하고, 이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모터(74)의 작동정지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승강부재(79)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판(69L, 69R)의 걸어맞춤편(70L, 70R)의 선단부가 승강부재(79)의 플랜지(79a)에 추종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회전판(69L)이 코일스프링(73L)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 7중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판(69R)이 코일스프링(73R)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 7중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회전판(69L, 69R)의 회전은 회전축(66L, 66R)을 개재하여 암(67L, 67R)으로 전달된다. 그로 인해, 암(67L) 및 렌즈 누름축(68L)이 도 19(a)와 같은 화살표(86)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변위됨과 동시에, 암(67R) 및 렌즈 누름축(68R)이 도 19(a)와 같은 화살표(87)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변위된다. 이와 같이 렌즈 누름축(68L, 68L 및 68R, 68R)은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도 23(c)와 같이 좌우 안경렌즈(LL 및 RL)에 접촉한 후, 더욱 하강하여 도 20, 도 22(B), 도 23(d)와 같이 안경(5)의 좌우 안경렌즈(LL 및 RL)를 선단부로 렌즈받침(17a 및 28a)에 대해서 각각 밀어붙인다.
이때, 렌즈 누름축(68L, 68L 및 68R, 68R)에 의한 안경렌즈(LL, RL)의 밀어붙임은, 코일스프링(73L, 73R)의 스프링력만으로 행해지게 된다.
한편, 이때, 프레임 서포트(111)는 렌즈 누름축(68L, 68L 및 68R, 68R)에 의한 안경렌즈(LL, RL)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코일스프링(116)의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안경렌즈(LL, RL)와 일체로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연산제어회로(80)는, 구동모터(54)를 소정수의 구동펄스로 작동제어하여 피니언(55)을 소정 회전수만큼 상술한 바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피니언(55)에 의해 기어(52)를 도 8중에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기어(52)의 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부(53)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2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유지판(36, 37)을 렌즈틀(LF, RF)로부터 떨어져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로 인해, 안경렌즈(LL, RL)가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경사진 상태로 프레임 유지판(36, 37)사이에서 유지(협지)되어 있어도, 2개의 렌즈 누름축(렌즈 누름부재)(68L, 68L 및 68R, 68R)가 렌즈받침(17a)의 축선(광축(OL)과 일치) 및 렌즈받침(28a)(광축(OR)과 일치)의 양쪽을 코일스프링(73L, 73R)의 스프링력에 의해 각각 밀어붙이고 있으므로, 프레임 유지판(36, 37)이 렌즈틀(LF, RF)로부터 떨어져서 이간될 때에, 안경 렌즈(LL, RL)의 경사가 코일스프링(73L, 73R)의 스프링력과 2개의 렌즈 누름축(렌즈 누름부재)(68L, 68L 및 68R, 68R)에 의해 수정된다.
다음에, 연산제어회로(80)는, 구동모터(54)를 소정수의 구동펄스로 작동 제어하여 피니언(55)을 소정 회전수만큼 회전시키고, 이 피니언(55)의 회전에 의해 기어(52)를 도 8중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기어(52)의 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부(53)를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 유지판(36, 37)을 렌즈틀(LF, RF)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로 인해, 도 2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유지판(36, 37)이 렌즈틀(LF, RF)을 다시 한번 협지하므로, 렌즈틀(LF, RF)을 구비한 안경 프레임(MF)이 프레임 유지판(36, 37)의 경사진 대향면(36a, 37a) 사이에서 올바르게 유지된다.
이후, 연산제어회로(80)는 펄스모터(130)를 작동 제어하여 이송나사(129)를 회전시키고, 너트(132)를 더욱 소정량만큼 하강시켜서 정지시킴과 동시에, 이 너트(132)에 의해 좌우 밀어내림 레버(124)의 한쪽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하방으로 소정량만큼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축(123)이 한쪽의 밀어내림 레버(124)와 일체로 동일방향으로 회동되고, 다른 쪽의 밀어내림 레버(124)도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그로 인해, 도 2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각 지지축(113) 및 프레임 서포트(111)가 밀어내림 레버(124)에 의해 코일스프링(116)의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소정량만큼 일체로 밀려내려와서, 프레임 서포트(111)가 안경 프레임(MF)의 렌즈틀(LF, RF)로부터 떨어져서 이간된다.
그 결과, 코일스프링(116)의 스프링력이 지지축(113) 및 프레임 서포트(111)를 개재하여 렌즈틀(LF, RF)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렌즈 누름축(68L, 68R)을 안경 렌즈(LF, RF)로부터 떨어뜨려 이간시켜도, 코일스프링(116)의 스프링력에 의해 렌즈받침(17a, 28a)이 안경렌즈(LF, RF)로부터 떠오르는 일이 없다.
이후, 연산제어회로(80)는 구동모터(74)를 상술한 바와는 역으로 소정수의 구동펄스로 작동제어하여 승강부재(79)를 상승시키고, 이 승강부재(79)에 의해 걸어맞춤편(70L, 70R)의 선단부를 상승시킴으로써, 회전판(69L, 69R)을 코일스프링(73L, 73R)의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상술한 바와는 역으로 회전시켜서, 암(67L, 67R)을 도 21에 화살표(86', 87')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하는 위치까지 수직으로 회전시킨다.
이 위치에서는, 암(67L, 67R)에 밀어붙여진 렌즈 누름축(68L, 68R)이 도 21, 도 22(g)와 같이 할트만 플레이트(17, 28)의 상방으로부터 좌우로 물러나 있으므로, 렌즈 누름축(68L, 68R)이 측정광속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연산제어회로(80)는, 측정광학계(9L)의 LED(12, 13)를 순차로 점등시켜서, 안경렌즈(LL)의 측정을 행한다. 이때, LED(12)로부터의 측정광속은, 다이크로익 미러(14L) 및 전반사미러(15)로 반사한 후, 콜리미터 렌즈(16)에 의해 평행광속으로 되어 안경렌즈(LL)에 투광된다. 그에 따라, 안경렌즈(LL)를 투과한 측정광속은, 패턴판(17)을 투과하여 다수의 측정광속으로 되며, 이 다수의 측정광속이 필드렌즈(18)의 상면에 투광된다. 이 필드렌즈(18)의 상면에 투영된 다수의 측정광속은, 필드렌즈(16), 반사미러(19, 20, 21), 광로합성 프리즘(22) 및 결상렌즈(23)를 개재하여 CCD(24)로 안내된다. 이때, 결상렌즈(23)는 CCD(24)상에 패턴판(17)의 패턴형상을 결상시킨다.
LED(13)로부터의 측정광속은 다이크로익 미러(14L)를 투과하여 전반사미러(15)로 반사한 후, 콜리미터 렌즈(16)에 의해 평행광속으로 되어 안경렌즈(LL)에 투광된다. 그에 따라, 안경렌즈(LL)를 투과한 측정광속은 패턴판(17)을 투과하여 다수의 측정광속으로 되며, 이 다수의 측정광속이 필드렌즈(18)의 상면에 투영된다. 이 필드렌즈(18)의 상면에 투영된 다수의 측정광속은, 필드렌즈(16), 반사미러(19, 20, 21), 광로합성 프리즘(22) 및 결상렌즈(23)를 개재하여 CCD(24)로 안내된다. 이때, 결상렌즈(23)는 CCD(24)상에 패턴판(17)의 패턴형상을 결상시킨다.
연산제어회로(80)는 CCD(24)에 결상된 패턴형상의 상태로부터 안경렌즈(LL) 각부의 굴절특성을 측정하여, 안경렌즈(LL) 각부의 굴절특성 맵핑 데이터를 구한다. 이 굴절특성으로서는, 구면도수(S), 원주도수(C), 원주축 각도(A) 등이 있다.
이 경우, 좌측 안경렌즈(LL)의 굴절특성은 좌측 하프 동공간 거리(LHPD)가 「31.5」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해진다. 또, 이 굴절특성은 안경렌즈(LL)가 누진렌즈의 경우에는 원시용 부분의 위치에서 구해진다.
이 상태에서, 연산제어회로(80)는 측정광학계(9R)의 LED(25, 26)를 순차로 점등시켜서 안경렌즈(RL)의 측정을 행한다. 이때, LED(25)로부터의 측정광속은 다이크로익 미러(14R) 및 전반사미러(15)로 반사한 후, 콜리미터 렌즈(27)에 의해 평행광속으로 되어 안경렌즈(RL)에 투광된다. 그에 따라, 안경렌즈(RL)를 투과한 측정광속은 패턴판(28)을 투과하여 다수의 측정광속으로 되며, 이 다수의 측정광속이 필드렌즈(29)의 상면에 투영된다. 이 필드렌즈(29)의 상면에 투영된 다수의 측정광속은, 필드렌즈(29), 반사미러(30, 31), 광로합성 프리즘(22) 및 결상렌즈(23)를 개재하여 CCD(24)로 안내된다. 이때, 결상렌즈(23)는 CCD(24)상에 패턴판(28)의 패턴형상을 결상시킨다.
LED(26)로부터의 측정광속은 다이크로익 미러(14R) 및 전반사미러(15)로 반사한 후, 콜리미터 렌즈(27)에 의해 평행광속으로 되어 안경렌즈(RL)에 투영된다.
그에 따라, 안경렌즈(RL)를 투과한 측정광속은 패턴판(28)을 투과하여 다수의 측정광속으로 되고, 이 다수의 측정광속이 필드렌즈(29)의 상면에 투영된다. 이 필드렌즈(29)의 상면에 투영된 다수의 측정광속은, 필드렌즈(29), 반사미러(30, 31), 광로합성 프리즘(22) 및 결상렌즈(23)를 개재하여 CCD(24)로 안내된다. 이때, 결상렌즈(23)는 CCD(24)상에 패턴판(28)의 패턴형상을 결상시킨다.
연산제어회로(80)는 CCD(24)에 결상된 패턴형상의 상태로부터 안경렌즈(RL) 각부의 굴절특성을 측정하여, 안경렌즈(RL) 각부의 굴절특성 맵핑 데이터를 구한다. 이 굴절특성으로서는, 구면도수(S), 원주도수(C), 원주축 각도(A) 등이 있다.
이 경우, 우측 안경렌즈(RL)의 굴절특성은 우측 하프 동공간 거리(RHPD)가 「31.5」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해진다. 또, 이 굴절특성은 안경렌즈(RL)가 누진렌즈의 경우에는 원시용 부분의 위치에서 구해진다.
연산제어회로(80)는 이와 같이 하여 구한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을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기(100)에 동시에 표시시킬 수 있다.
도 24에 있어서는, 액정표시기(100)의 좌측 상단에 좌측 안경렌즈(LL)인 것을 나타내는 「좌」가 표시되고, 액정표시기(100)의 우측 상단에 우측 안경렌즈(RL)인 것을 나타내는 「우」가 표시된다.
액정표시기(100)의 중앙에 S(구면도수), C(원주도수), A(원주축의 축각도), ADD(가입도수)등의 문자가 표시되고, S, C, A, ADD의 좌우에 좌우 안경렌즈(LL, RL)의 수치 데이터(측정데이터)가 각각 표시된다.
도 24에서는, 좌측 안경렌즈(LL)의 S가 「+1.75」, C가 「-1.50」, A가 「60」, ADD가 「3.00」으로 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안경렌즈(RL)의 S가 「+1.75」, C가 「+0.00」, A가 「180」, ADD가 「3.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수치 데이터의 하방에는, 좌우 안경렌즈(LL, RL)간의 LPD(광학 중심간 거리)와, 안경렌즈(LL, RL)간의 중앙으로부터 안경렌즈(LL, RL)의 광학 중심까지의 좌측 하프LLHPD 및 우측 하프RLHPD의 측정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이 좌측 하프LLHPD 및 우측 하프RLHPD는 중앙의 광학중심간 거리LPD의 좌우에 표시되어 있다.
광학중심간 거리LPD의 측정데이터(수치 데이터)는 안경프레임(MF)의 프레임 형상(150)의 우측에 표시되고, 좌측 하프LLHPD는 안경프레임(MF)의 좌측절반의 프레임 형상(151)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고, 우측 하프RLHPD는 안경프레임(MF)의 우측절반의 프레임 형상(152)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다. 또, 도 24에서는, 광학중심간 거리LPD가 「63」, 광학중심간 거리LLHPD가 「31.5」, 우측 하프RLHPD가 「31.5」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 좌측 하프 LLHPD「31.5」, 광학중심간 거리LPD「63」, 우측 하프RLHPD「31.5」는, 상술한 좌측 하프 동공간 거리LHPD「31.5」, 동공간 거리PD「63」, 우측 하프 동공간 거리RHPD「31.5」와 일치하고 있다.
액정표시기(100)의 하측 테두리부(하단부)에는, 입력수단, 가령, 측정개시 스위치(101), 모드 전환스위치(102), 스위치(103), 프린트 스위치(104)에 대응하는 「측정」, 「모드」, 「+/-」, 「인쇄」 등의 표시가 되어 있다.
연산제어회로(80)는 모드 전환스위치(102)를 조작하면(누르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결과의 표시를 전환할 수 있다. 이 도 25에서는, 도 24의 표시에 추가하여, S, C, A, ADD 측정 데이터의 좌우에 좌우 안경렌즈(LL, RL)의 굴절도수의 맵핑화상(153, 154)을 표시시키고 있다. 도 25의 맵핑화상(153, 154)은 안경렌즈(LL, RL)가 누진렌즈인 경우의 측정데이터에 의거하는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안경렌즈(LL, RL)가 누진렌즈인 경우에는 좌우 안경렌즈(LL, RL)의 ADD 측정데이터의 하방에 근점(近點)「N」으로부터 원점(遠點)「F」까지의 누진부(153a, 154a)의 가입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가입도수 변화그래프(153b, 154b)가 액정표시기(100)에 표시된다.
가입도수 변화그래프(153b, 154b)의 측부에는 근점「N」 및 원점「F」의 가입도수가 각각 표시된다. 도 24에서는, 가입도수 변화그래프(153b)의 근점「N」이 「2.1」, 원점「F」이 「17.0」으로서 표시되고, 가입도수 변화그래프(154b)의 근점「N」이 「3.1」, 원점「F」이 「17.0」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의 안경(5)은, 안경렌즈(LL, RL)가 렌즈틀(LF, RF)에 삽입되고 안경프레임(MF)을 갖는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안경프레임(MF)이 설치된 안경(5)의 굴절특성을 특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무테 안경의 측정을 행할 수도 있다. 즉, 렌즈틀(LF, RF)을 설치하지 않고, 브릿지나 템플 장착 브라켓을 안경렌즈(LL, RL)에 직접 나사로 고정하도록 한 2포인트 프레임 안경의 측정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안경렌즈(LL, RL)가 프레임 서포트(111)에 직접 지지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안경의 좌우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 및 맵핑 데이터가 동시에 측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를 가령,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경렌즈(LL, RL)를 한쪽씩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00)의 정면 중간부에 설치한 상부 하우징부(201)와, 본체 케이스(200)의 정면 하부에 설치한 하부 하우징부(202)와, 본체 케이스(200)의 정면 상부에 설치한 표시장치(203)를 갖는다. 이 표시장치(203)는 가령, 액정표시기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하우징부(202)의 상면에는 원통형상의 렌즈받침부재(204)가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부(201) 내에는 원통형상의 렌즈받침부재(204) 및 이 렌즈받침부재(204)에 안착되는 렌즈에 대해서 측정광속을 투영하는 투광광학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며, 하부 하우징부(202)내에는 원통형상의 렌즈받침부재(204)에 안착되는 렌즈를 투과하는 측정광속을 도 31의 CCD 등의 수광소자(205)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수광광학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투광광학기구 및 수광광학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광학장치를 구성하고, 이 측정광학장치의 측정광축(O)은 원통형상 렌즈받침부재(204)의 중심과 일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00)의 정면에는 상부 하우징부(201)와 하부 하우징부(202)의 사이에 배치된 렌즈테이블(206)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렌즈테이블(206)은 좌우로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본체 케이스(200)의 측부에 설치된 렌즈(207)를 화살표(208)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렌즈테이블(206)의 상측 테두리부에는, 도 29,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노즈패드 지지부재(209)가 장착되어 있다.
이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량은 도 31의 이동량 측정장치(210)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이동량 검출장치(210)로서는, 특개평8-29292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의 포텐쇼미터(potentiometer)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이동량 검출장치(210)로부터의 이동량 검출신호 및 수광소자(205)로부터의 굴절력 측정신호는, 도 31에 도시된 연산제어회로(211)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연산제어회로(211)는, 수광소자(205)로부터의 굴절력 측정신호에 의거하여, 측정광축(O)상에 있어서의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구하고, 이 구해진 굴절특성을 액정표시기(203)의 화면(203a)상에 표시시킨다. 이 굴절특성으로서는 상술한 S, C, A, ADD 등이 있다.
이 연산제어회로(211)에는 리플렉트 미터나 PD미터 등의 데이터 입력장치(212)에 의해서 측정된 동공간 거리PD나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 등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또, 연산제어회로(211)는 노즈패드 지지부재(209)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측정광축(O)으로부터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의 이동방향 중심(O1)까지의 거리(a)를 이동량 측정장치(210)로부터의 이동량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구한다.
또한, 연산제어회로(211)는 데이터 입력장치(212)로 측정한 동공간 거리PD나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 등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에 의거하여 측정위치를 나타내는 마크(M1, M2)를 액정표시기(203)의 화면(203a)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의 이동방향 중심(O1)을 나타내는 커서(CS)를 액정표시기(203)의 화면(203a)에 표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커서(CS)는 화면(203a)상에서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의 이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안경(213)의 노즈패드(214, 214)를 도 30과 같이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에 접촉시켜서 안경(213)을 좌우방향으로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와 일체로 이동시키면, 커서(CS)는 화면(203a)상에서 안경(213)의 이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연산제어회로(211)는 커서(CS)가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마크(M1, M2)의 중심(O2, O3)에 일치했을 때의 안경(213)의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을 메모리(213)에 기억시키고, 액정표시기(203)에 표시시킨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는, 본체 케이스(1, 200)에 설치된 투광광학기구(10L, 10R) 및 수광광학기구(11L, 11R)를 구비하는 측정광학계(9L, 9R)와, 투광광학기구(10L, 10R)와 수광광학기구(11L, 11R)의 사이에 배치된 렌즈받침부재(17a, 28a, 204)와, 이들 렌즈받침부재(17a, 28a, 204)에 접촉된 안경렌즈(LL, RL)에 대해서 투영되고, 또 안경렌즈(LL, RL)를 투과하여 수광광학기구(11L, 11R)에 의해 유도되는 측정광속을 수광하는 수광소자, 즉 CCD(24)와, 이 CCD(24)로부터 출력되는 측정신호로부터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을 구하는 연산제어회로(80, 211)를 구비하고 있다. 동공거리 측정장치는 안경렌즈(LL, RL)를 갖는 안경 착용자의 코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의 동공 중심까지의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를 연산제어회로에 입력한다. 연산제어회로(80, 211)는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에 의거하여 안경렌즈(LL, RL)의 동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굴절특성이 구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경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공거리 측정장치는 본체 케이스(1, 200)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플렉트 미터, PD미터로 측정한 상기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를 모드 전환스위치(102, 103, 104)에 의해서 수동으로 연산제어회로에 입력할 수 있다.
동공거리 측정장치는, 본체 케이스(1, 200)와는 별개의 몸체로 설치되어 연산제어회로(80, 211)에, 측정된 안경 착용자의 동공간 거리LHPD, RHPD를 입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송신가능 또는 전송가능한 외부의 동공간 거리 측정장치는, 가령 리플렉트 미터, PD미터, 데이터 입력수단(212)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플렉트 미터, PD미터, 데이터 입력수단(212)에 의해 측정된 동공간 거리LHPD, RHPD를 송신 또는 전송에 의해 연산제어회로(80, 211)에 자동적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동공간 거리LHPD, RHPD를 연산제어회로(80, 211)에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에 있어서, 렌즈 지지장치는 중심이 측정광학계의 측정광축(O)에 배치되고, 안경렌즈를 받치는 원통형상의 렌즈받침부재(204)와, 렌즈가 이 원통형상 렌즈받침부재(204)에 접촉되어 있는 안경의 노즈패드를 지지하고 좌우로 이동가능한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와, 측정광축으로부터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이동량 검출수단(210)을 갖는다. 노즈패드 지지부재(209)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산제어회로(211)는 이동량 검출수단(210)의 이동량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의 이동량이 상기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에 일치하였을 때에, 이 일치된 것을 액정표기시(203)에 표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의 이동량이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에 일치된 것을 액정표시기(203)의 표시로부터 알 수 있으므로, 측정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연산제어회로(211)는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에 의거하여 구동기구를 제어하여, 노즈패드 지지부재(209)를 측정광축(O)으로부터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만큼 이동시켜서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안경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을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노즈패드 지지부재(209)에 안경을 수평으로 안정되게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여, 노즈패드 지지부재(209)를 구동모터로 좌우로 구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안경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서는, 가령 특개소63-113419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9의 렌즈테이블(206)에 장착되어 있는 노즈패드 지지부재(209)를 분리해 냄과 동시에, 렌즈테이블(206)이 전후방향, 바꾸어 말하면, Y축방향으로 Y축 구동모터에 의해 전진 및 후퇴 구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안경의 좌우렌즈틀 또는 안경렌즈를 각각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암(핸드)가 설치된 이동 플레이트(핸드 개폐부)가 설치되고, 이 이동 플레이트를 렌즈테이블(X축 이송기구)(206)에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이동 플레이트를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X구동모터에 의해 전진 및 후퇴 구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상술한 노즈패드 지지부재(209)는, 이 이동 플레이트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는, 렌즈테이블(206)에 대한 이동 플레이트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량을 구하는 플레이트 이동량 검출수단과, 이동 플레이트에 대한 노즈패드 지지부재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노즈패드 이동용 검출수단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이동량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플레이트 이동량 검출신호와 노즈패드 이동용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노즈패드 이동량 검출신호가 연산제어회로(211)에 입력되고, 이들 플레이트 이동량 검출신호 및 노즈패드 이동량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측정광축(O)으로부터 노즈패드 지지부재까지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연산제어회로(211)에 의해서 구해도 된다.
또, 연산제어회로(211)는 X구동모터 및 Y구동모터를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에 의거하여 구동 제어시킴으로써, 노즈패드 지지부재(209)를 측정광축(O)으로부터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만큼 이동시켜서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에 있어서, 연산제어회로(80, 211)는 누진 굴절렌즈가 측정될 때, 안경렌즈(LL, RL)의 원시용 부분의 굴절특성을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경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안경렌즈(LL, RL)의 원시용 부분의 굴절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 누진 굴절렌즈를 측정할 때에, 측정모드를 누진 굴절렌즈의 측정모드로 함으로써, 누진부를 연산제이회로(80, 211)에 의해 검지하여, 누진부의 가입도수(ADD)를 연산제어회로(80, 211)에 의해 구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 가입도수(ADD)의 변화로부터 원시용 부분의 범위를 연산제어회로(80, 211)에 의해 검지하여,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의 위치에서 안경렌즈(LL, RL)의 원시용 부분의 굴절특성을 연산제어회로(80, 211)에 의해 구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에는, 측정광속을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복수의 측정광속으로 형성하는 광속 분할기구, 즉 패턴판(17, 28)이 설치되어 있다. 연산제어회로(80)는 이들 복수의 측정광속에 의거하여 안경렌즈(LL, RL)의 복수 개소의 굴절특성을 측정하여 굴절력 분포상태를 구하고, 이 굴절력 분포상태 및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에 의거하여 안경렌즈(LL, RL)의 동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굴절특성을 구한다. 또, 광속 분할기구, 즉 패턴판(17, 28)은 투광광학기구(10L, 10R)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수광광학기구(11L, 11R)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속 분할기구, 즉 패턴판(17, 28)으로 분할된 복수의 측정광속을 안경렌즈(LL, RL)의 광범위한 부분에 투영하거나, 또는 안경렌즈(LL, RL)의 광범위한 부분을 투과한 측정광속을 광속 분할기구(17, 28)로 복수의 측정광속으로 분할하여, 안경렌즈(LL, RL)의 복수 개소의 굴절특성을 구함으로써, 안경렌즈(LL, RL)의 굴절력 분포상태를 구할 수 있다.
안경렌즈(LL, RL)의 굴절력 분포상태로부터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의 맵핑을 행할 수 있다. 또, 이 안경렌즈(LL, RL)의 굴절력 분포상태와 상기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로부터 안경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안경렌즈(LL, RL)의 굴절력 분포상태를 기록매체, 가령, 메모리(215), 하드디스크, 자기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기억 또는 기록시켜 둠으로써,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이 맵핑된 후에,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가 입력되어도, 이 입력된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 및 굴절력 분포상태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안경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안경렌즈(LL, RL)의 굴절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연산제어회로(80)는 누진 굴절렌즈를 측정할 때에, 안경렌즈(LL, RL)의 원시용 부분의 굴절특성을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의 위치에서 구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경렌즈(LL, RL)의 굴절력 분포상태와 하프 동공간 거리LHPD, RHPD로부터 안경렌즈(LL, RL)의 원시용 부분의 굴절특성을 안경 착용자의 동공 중심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 착용자 눈의 동공 중심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여 왔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의 변경 및 수정(changes and modification)이 이들 실시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1-A1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도시한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광학계 및 제어회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도 4에 도시한 연결 하우징의 후부측을 제거하고, 일부를 단면하여 도시한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연결 하우징의 전방벽을 배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9의 A2-A2선을 따르는 프레임 유지기구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를 화살표 A3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4-A4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A5-A5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9의 A6-A6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 도 11, 도 12의 한쌍의 링크판 중 하나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8, 도 11, 도 12의 한쌍의 링크판 중 다른 하나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레버누름 및 차광커버를 위한 이송나사 등의 설명용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B1-B1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8의 (A)는 차광커버와 슬라이더의 관계를 보이는 개략 평면도, (B)는 (A)의 B2-B2선을 따르는 단면도, (C)는 (A)의 B3-B3선을 따르는 단면도, (D)는 (A)의 B4-B4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9의 (a)는 안경을 안경 배치공간에 배치하여 프레임 서포트에 지지시킨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20의 (a)는 도 19의 안경렌즈를 누름부재로 누른 상태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21의 (a)는 도 20의 렌즈 누름부재를 측정광로로부터 물러나게 한 상태의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22의 (A)∼(C)는 프레임 서포트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23의 (a)∼(g)는 프레임 유지부재 및 렌즈 누름부재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24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액정 표시기의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액정 표시기의 표시모드를 전환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안경 착용자의 하프 동공간 거리를 입력하는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안경 착용자의 하프 동공간 거리를 입력하는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안경 착용자의 하프 동공간 거리를 입력하는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이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한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에 도시한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제어 회로도이다.
도 32는 도 29에 도시한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33은 도 29에 도시한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의 표시장치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4는 동공거리 측정장치의 원리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케이스 2:상부 하우징부
3:하부 하우징부 4:연결 하우징부
5:안경 6:세트공간
10:투광 광학기구 11수광 광학기구
14:다이크로익 미러 15:반사미러
22:광로합성 프리즘 23:결상렌즈
24:CCD 25, 26:LED
27:콜리미터 렌즈 28:패턴판
29:필드렌즈 30, 31:반사미러
32:프레임 유지기구 36, 37:프레임 유지판
38, 39:링크판 40, 41:가이드 나사
43, 60, 61:지지판 44:지지나사
45:스페이서 46:너트
47:회전판 48, 49, 50:걸어맞춤핀
51:코일스프링 52:기어
53:베어링 54:구동기구
55:피니언 58:지지축
62:스페이서통 63:고정너트
64:액추에이터 65:렌즈 누름기구
66L, 66R:회전축 67L, 67R:암
68L, 68R:렌즈 누름축 69L,69R:회전판
70L, 70R:걸어맞춤편 74:구동모터
110:안경 서포트기구 111:프레임 서포트
121:프레임 서포트 밀어내림기구 124:밀어내림레버
130:펄스모터 220:동공거리 측정장치
223:광원 225:대물렌즈
226:접안렌즈

Claims (14)

  1. 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는 측정광학장치와,
    안경 착용자 눈의 동공거리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서 입력된 안경 착용자의 좌우 눈의 동공거리와 상기 측정광학장치에 의해 측정된 굴절특성에 의거하여 안경 착용자의 동공 중심위치에 있어서의 렌즈의 굴절특성을 구하는 연산제어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광학장치는, 렌즈에 광을 조사하는 투광광학기구와,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광학기구를 갖고, 이 수광광학기구는, 렌즈의 형상을 화상화하고 이 화상신호를 상기 연산제어회로에 입력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는 CCD로 이루어지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안경 착용자의 코의 중심에서부터 좌우 동공 중심까지의 하프 동공간 거리를 상기 연산제어회로에 입력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연산제어회로에 의한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안경렌즈가, 상기 측정광학장치에 의해서 측정될 때, 안경렌즈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렌즈 지지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장치는, 상기 측정광학장치의 측정광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원통형상 렌즈받침부재와, 상기 원통형상 렌즈받침부재에 접촉 지지되는 안경의 노즈패드를 지지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한 노즈패드 지지부재와, 이 노즈패드 지지부재를 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측정광축으로부터 상기 노즈패드 지지부재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이동량 검출수단을 갖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회로는, 상기 이동량 검출수단의 이동량 검출신호에 의거하는 상기 노즈패드 지지부재의 이동량이 상기 하프 동공간 거리에 일치했을 때에, 이 일치한 것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회로는, 상기 하프 동공간 거리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노즈패드 지지부재를 상기 측정광축으로부터 상기 하프 동공간 거리만큼 이동시켜서 상기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회로는, 누진 굴절렌즈를 측정할 때에, 상기 안경렌즈의 원시용 부분의 굴절특성을 상기 하프 동공간 거리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구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광학장치의 측정광속을,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복수의 측정광속으로 형성하는 광속 분할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제어회로는, 상기 복수의 측정광속에 의거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복수 개소의 굴절특성을 측정하여 굴절력 분포상태를 구하고, 이 굴절력 분포상태 및 하프 동공간 거리에 의거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상기 동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굴절특성을 구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회로는, 누진 굴절렌즈를 측정할 때에, 상기 하프 동공간 거리에 의거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원시용 부분의 굴절특성을 구하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가 측정될 때, 이 안경렌즈의 일부를 차광하는 차광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특성이 렌즈의 구면도수, 원주도수 또는 원주축 각도인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KR1020050007372A 2004-01-28 2005-01-27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KR100647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9445A JP2005214701A (ja) 2004-01-28 2004-01-28 レンズメータ
JPJP-P-2004-00019445 2004-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484A true KR20050077484A (ko) 2005-08-02
KR100647964B1 KR100647964B1 (ko) 2006-11-23

Family

ID=3465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372A KR100647964B1 (ko) 2004-01-28 2005-01-27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01614B2 (ko)
EP (1) EP1560014B1 (ko)
JP (1) JP2005214701A (ko)
KR (1) KR100647964B1 (ko)
CN (1) CN100445717C (ko)
AT (1) ATE556306T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88B1 (ko) * 2006-06-05 2008-02-04 한국과학기술원 배율 타원 근사법을 이용한 렌즈 굴절력 측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2139B2 (ja) * 2010-09-30 2016-02-16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メータ及び単焦点レンズ評価用プログラム
FR2968400B1 (fr) * 2010-12-03 2012-12-28 Essilor Int Procede de determination d'au moins une caracteristique de refraction d'une lentille ophtalmique
CN103412415B (zh) * 2013-08-23 2015-06-24 费淞 一种全自动、自助式的配装眼镜参数测试设备及测量方法
DE102015211879B4 (de) 2015-06-25 2018-10-18 Carl Zeiss Ag Vermessen von individuellen Daten einer Brille
EP3465143A4 (en) * 2016-05-24 2020-01-29 Reichert, Inc. MAPPING PARTICULAR READING GAUGE
US11300479B2 (en) * 2017-06-28 2022-04-12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Device for determining the optical power of lenses and measurement method
JP6627046B1 (ja) * 2018-09-27 2020-01-08 株式会社レクザム 眼鏡レンズ及び丸レンズを被検レンズとする光学機器装置
JP6612960B1 (ja) * 2018-12-20 2019-11-27 株式会社レクザム 被検レンズの多機能式枠型保持ユニットを備えた光学機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8002A (en) 1977-06-13 1978-07-04 Humphrey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for locating inter-pupilary of nose bridge mounted spectacles to lens meter
US4212538A (en) * 1978-11-29 1980-07-15 Esmond William G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prescription glasses and other dual lenses optical devices
JP2838391B2 (ja) * 1986-03-13 1998-12-16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メーター
JPH076868B2 (ja) * 1986-03-13 1995-01-30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メーター
JPH04253836A (ja) * 1991-02-05 1992-09-09 Canon Inc 眼科測定装置
JP3029054B2 (ja) * 1991-02-28 2000-04-04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メータ
JPH06242408A (ja) * 1993-02-16 1994-09-02 Tokai Kogaku Kk 眼鏡検査用チャート及びその作成装置と眼鏡の検査方法
JP3452643B2 (ja) * 1994-05-31 2003-09-29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メ−タ
JP2724117B2 (ja) 1994-07-15 1998-03-09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メーター
JP3886191B2 (ja) * 1996-12-20 2007-02-28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メーター
US5855074A (en) * 1997-12-07 1999-01-05 Visionix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mapping opthalmic elements
FR2804757B1 (fr) 2000-02-04 2002-05-03 Luneau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entrage et de maintien automatiques des verres d'une lunette montee, pour appareil de mesure de la puissance de ces verres
FR2807169B1 (fr) * 2000-03-31 2002-06-07 Essilor Int Procede de montage de lentilles ophtalmiques
JP2002181662A (ja) * 2000-12-13 2002-06-26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US7434931B2 (en) * 2001-10-25 2008-10-14 Ophthonix Custom eyeglass manufacturing method
KR100453759B1 (ko) * 2001-12-24 2004-10-20 주식회사 휴비츠 조작이 용이한 동공거리 측정 유닛을 구비한 렌즈미터
JP2003194670A (ja) * 2001-12-28 2003-07-09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88B1 (ko) * 2006-06-05 2008-02-04 한국과학기술원 배율 타원 근사법을 이용한 렌즈 굴절력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0014A3 (en) 2007-09-05
CN1648719A (zh) 2005-08-03
EP1560014B1 (en) 2012-05-02
KR100647964B1 (ko) 2006-11-23
US20050162641A1 (en) 2005-07-28
CN100445717C (zh) 2008-12-24
EP1560014A2 (en) 2005-08-03
ATE556306T1 (de) 2012-05-15
US7301614B2 (en) 2007-11-27
JP2005214701A (ja)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964B1 (ko)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US5971537A (en) Lens specifying apparatus
JP6930095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3827619B2 (ja) 眼鏡レンズの光学特性測定方法及びレンズメータ
US7976160B2 (en) Automatic pupillometer with visual verification
CN113440099A (zh) 一种人眼视光综合检查装置和方法
CN100484712C (zh) 在定中心和锁定设备中手动地为镜片定中心的方法以及相关联的定中心和锁定设备
JP4646014B2 (ja) レンズメータ
JP2019150300A (ja) 自覚式検眼装置及び自覚式検眼プログラム
KR102378394B1 (ko) 자각식 검안 장치
CN111419170A (zh) 一种双目视力筛查仪及其控制方法
JP3810784B2 (ja) レンズメータ
KR100722150B1 (ko) 렌즈미터
JP3497024B2 (ja) レンズ特定装置
JP4473002B2 (ja) 眼鏡レンズの光学特性測定方法及びレンズメータ
JP3775579B2 (ja) レンズメータ
JP3348952B2 (ja) 視力検査装置
WO1999041582A1 (fr) Appareil de mesure pour lentilles
JP4357974B2 (ja) レンズメータ
JP3810666B2 (ja) レンズメータ
CN115153421B (zh) 一种一体式验光光路***以及验光设备
JP4795017B2 (ja) 眼鏡レンズ評価装置
JP4901118B2 (ja) レンズメータ
CN219374620U (zh) 一种新型同视机
JP6885201B2 (ja) 自覚式検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