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645A - 댐퍼기구 - Google Patents

댐퍼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645A
KR20050014645A KR1020040022601A KR20040022601A KR20050014645A KR 20050014645 A KR20050014645 A KR 20050014645A KR 1020040022601 A KR1020040022601 A KR 1020040022601A KR 20040022601 A KR20040022601 A KR 20040022601A KR 20050014645 A KR20050014645 A KR 2005001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pening
closing member
rack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911B1 (ko
Inventor
오카바야시순스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5001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6Vacuum evaporation by resistance or inductive heating of the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4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vacuum de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댐퍼가 제동력을 발휘할 때까지의 공주시간이 짧고, 또한, 온도에 구애받지 않고 소정의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는 원웨이방식의 댐퍼기구를 얻는다.
(해결수단) 개폐부재(20)에 부착된 래크(16)와 맞물리는 베이스부재(24)를 요동가능하게 부착하고, 베이스부재(24)에 기어(18,38)를 설치하며, 기어(18)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하여 기어(38)와 맞물림 혹은 맞물림해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폐부재(20)를 개방시킬 때 기어(18)와 기어(38)를 맞물리게 하고, 개폐부재(20)를 폐쇄시킬 때에는 기어(38)로부터 기어(18)를 맞물림해제시킴으로써 댐퍼(46)에 의한 토크전달을 ON/OFF하여 댐퍼기구(14)를 원웨이화하고 있다. 또한 개폐부재(20)와 일체로 이동하는 래크(16)에 의해 기어(18)를 압압해서 기어(18)와 기어(38)를 맞물리게 하여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어(18)와 기어(38)의 이간거리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해 댐퍼가 제동력을 발휘할 때까지의 공주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개폐부재(20)를 폐쇄시킬 때, 개폐부재(20)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행하였다고 해도 순식간에 제 1기어(18)와 기어(38)가 맞물려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기구{DAMPER MECHANIS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의 글러브박스의 개폐부재 등에 설치되어 개폐부재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댐퍼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댐퍼기구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100)내에, O링(102)을 통해서 실린더(100)의 내측 벽면을 슬라이드 하는 피스톤(10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00)의 선단에는 환형의 캡(106)이 형성되어 있고, 캡(106)의 내측면에는 곡면형상의 가이드면(106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캡(106)과 피스톤(104)의 사이에는 제 1 공간부(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공간부(108)에는 압축스프링(110)이 배치되어 있다.
또, 실린더(100)의 후단측에는 중앙부에 공기유통구멍(112)이 형성된 구획벽(114)이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104)과 구획벽(114)에 의해서 제 2 공간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00)의 후단부에는 구획벽(114)과의 사이에 제 3 공간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공간부(118)내에는 밸브(120)가 설치되어 유통구멍(112)을 폐색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밸브(120)의 중심에는 오리피스(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통구멍(112) 및 오리피스(122)를 통해서 제 2 공간부(116)와 제 3 공간부(118)가 연이어 통하고 있다.
한편, 피스톤(104)의 제 1 공간부(108)측에는 끈부재(124)의 일단부가 부착되어 있고, 끈부재(124)의 타단부는 가이드면(106A)을 통해서 글러브박스(126)에 형성된 연결부재(12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글러브박스(126)의 폐쇄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푸시버튼식 혹은 풀핸들식의 로크를 해제하면 글러브박스(126)는 자체중량에 의해 개방방향으로의 회전모멘트가 작용하여 끈부재(124)를 잡아당기고, 압축스프링(11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피스톤(104)을 개방방향(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끈부재(124)는 가이드면(106A)을 통해서 인출되어 글러브박스(126)가 열리기 시작한다.
이때, 글러브박스(126)는 오리피스(122)에 의한 유동저항에 의해 완충작용을 받으면서 개방방향으로 열리고, 피스톤(104)은 끈부재(124)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개방위치까지 이동한다.
또한 글러브박스(126)의 폐쇄동작에 있어서는 압축스프링(110)의 탄지력에 의해 개방방향과 역방향으로 피스톤(104)이 이동함과 아울러 밸브(120)가 개방되어 공기는 유통구멍(112)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때문에 피스톤(104)에 걸리는 부하는 저감된 상태가 되어 끈부재(124)도 실린더(100) 내로 끌려들어가고, 글러브박스(126)의 폐쇄위치에서 글러브박스(126)가 로크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5-76894호
그러나 연결부재(128)는 글러브박스(126)의 중앙부측에 있기 때문에 글러브박스(126)의 자유단부와 연결부재(128)의 이동궤적에 있어서, 이동량의 차가 발생하여, 글러브박스(126)의 이동거리에 비해서 연결부재(128)의 이동량은 작다. 따라서 댐퍼가 제동력을 발휘할 때까지의 공주거리가 길어져 버려, 급한 동작에 따라오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에어댐퍼의 경우, 온도변화에 따라 실린더(100) 등의 치수가 변화하여 저항치가 분산되거나, 에어가 샘으로써 댐퍼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한편 오일댐퍼의 경우는 저온영역에서 오일의 점성이 올라가기 때문에 토크가 증대하여 자중에 의해서는 글러브박스(126)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가 염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댐퍼가 제동력을 발휘할 때까지의 공주시간이 짧고, 또한 온도에 구애받지 않고 소정의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는 원웨이방식의 댐퍼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기구를 구비한 글러브박스의 개폐부재의 사시도
도 2(A),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A), 4(B)는 각각 도 2(A), 2(B)의 확대도로서, (A)는 댐퍼기구를 구성하는 기어끼리가 맞물림 해제된 상태, (B)는 상기 기어끼리가 맞물림된 상태
도 5(A)는 종래의 댐퍼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5(B)는 댐퍼기구를 사용한 글러브박스의 개폐부재의 측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스트러먼트 패널(피부착부재) 14 - 댐퍼기구
16 - 래크 18 - 기어(제 1 기어)
20 - 개폐부재 24 - 베이스부재
26 - 긴 구멍 38 - 기어(제 2 기어)
54 - 비틀림 스프링(탄지수단)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피부착부재에 지지되며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사이를 회동하는 개폐부재에 부착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맞물림가능한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림가능하고 댐퍼에 의해서 제어되는 제 2 기어와, 상기 피부착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기어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 개방될 때 상기 제 1 기어를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개폐부재가 상기 폐쇄위치로 폐쇄될 때 제 1 기어를 제 2 기어와 맞물림해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피부착부재에 지지되며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사이를 회동하는 개폐부재에는 래크를 부착하고 있고, 상기 래크에는 제 1 기어를 맞물리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 1 기어에는 댐퍼에 의해서 제어되는 제 2 기어를 맞물림가능하게 하고 있고, 제 2 기어와 맞물림된 상태에서 제 2 기어, 제 1 기어 및 래크를 통해서 개폐부재에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피부착부재에는 베이스부재를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제 2 기어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개폐부재를 개방위치로 개방시킬 때 개폐부재와 일체로 이동하는 래크에 의해서 제 1 기어를 압압하여 제 1 기어와 제 2 기어를 맞물리게 한다. 이것에 의해, 개폐부재에는 댐퍼효과가 부여되어 개폐부재는 천천히 개방되게 된다.
한편 개폐부재를 폐쇄위치로 폐쇄시킬 때는 제 2 기어로부터 맞물림해제되는 방향으로 제 1 기어를 슬라이드시켜 댐퍼효과가 제 1 기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개폐부재를 폐쇄시킬 때 개폐부재에는 댐퍼에 의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상기 댐퍼기구에서는 확실하게 원웨이댐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개폐부재와 일체로 이동하는 래크에 의해서 제 1 기어를 압압해서 제 1 기어와 제 2 기어를 맞물리게 하여 댐퍼효과를 얻도록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기어와 제 2 기어의 이간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댐퍼가 제동력을 발휘할 때까지의 공주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폐부재를 폐쇄시킬 때 개폐부재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행하였다고 해도 순식간에 제 1 기어와 제 2 기어를 맞물리게 하여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기어의 축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긴 구멍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 1 기어의 축부를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긴 구멍을 따라 슬라이드시킨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재에 긴 구멍을 형성하고, 댐퍼효과를 개폐부재에 전달하는 제 1 기어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 2 기어와 맞물림 혹은 맞물림해제시킨다. 이것에 의해, 댐퍼를 제어하는 댐퍼부재에 의한 토크전달을 ON/OFF하여 댐퍼기구를 원웨이화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기어를 제 2 기어와 맞물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 1 기어를 제 2 기어와 맞물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즉 개폐부재를 개방시킬 때 래크에 의해 제 1 기어를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압압하여 제 2 기어에 맞물림시킨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래크와 상기 제 1 기어의 맞물림위치와, 상기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래크와 제 1 기어의 맞물림위치와,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가변시킴으로써, 래크와 제 1 기어의 맞물림위치에 있어서, 개폐부재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댐퍼력(댐퍼부재에 의한 제동력)이 일정한 경우, 개폐부재를 개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가 크면, 상기 힘의 크기가 작은 경우와 비교해서 댐퍼효과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래크와 제 1 기어의 맞물림위치와, 개폐부재의 회동 중심위치와의 거리를 변화시켜서, 개폐부재의 개방개시(폐쇄위치)측에서는 제 1 기어와 래크의 맞물림위치와,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가깝게 해서, 래크와 제 1 기어의 맞물림위치에 있어서 개폐부재를 개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를 크게 하고, 개폐부재의 개방종료(개방위치)측에서는 제 1 기어와 래크의 맞물림위치와,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멀게 해서 상기 힘의 크기를 작게 한다.
이것에 의해 개폐부재의 폐쇄위치측에서는 개방위치측과 비교해서 댐퍼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저온영역에서도 개폐부재를 확실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래크가 직선형상임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측벽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개폐부재와 일체로 이동하는 래크를 직선형상으로함과 아울러 래크와 맞물리는 제 1 기어가 부착된 베이스부재를 피부착부재에 요동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제 1 기어와 래크의 맞물림위치와,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폐부재의 폐쇄위치측에서는 래크와 제 1 기어의 맞물림위치와,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가깝게 하고, 개폐부재의 개방위치측에서는 래크와 제 1 기어의 맞물림위치와,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멀게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패널(10)(피부착부재)의 조수석측에는 글러브박스(12)(이른바 소도구 상자)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글러브박스(12)의 개폐부재(20)는 대략 상자형상을 이루며, 개폐부재(20)에는 도 2(A),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기구(14)가 설치되어 있고, 댐퍼기구(14)에는 서로 맞물림 가능한 래크(16)와 기어(18)가 구비되어 있다.
래크(16)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부재(20)의 측벽(20A)에 부착되어 개폐부재(20)와 일체로 이동한다. 개폐부재(20)는 축부(2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래크(16) 역시 축부(22)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한편 기어(18)는 도 3 및 도 4(A), 4(B){도 4(A), 4(B)는 각각 도 2(A), 2(B)의 부분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상자형상의 베이스부재(24)의 일단측에 부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부재(24)의 일단측에는 긴 구멍(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긴 구멍(26)에 기어(18)의 축부(30)가 끼워져 통과하고, 긴 구멍(26)을 따라 기어(18)의 축부(30)가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어(18)의 축부(30)의 선단측에는 소경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에는 원뿔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부(32) 및 원뿔부(34)의 둘레벽에는 축부(30)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속하는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어서 축부(30)의 선단측의 지름을 축소가능하게 하고 있다.
축부(30)를 긴 구멍(26)에 관통시킬 때 소경부(32) 및 원뿔부(34)의 지름을 축소시키고, 소경부(32) 및 원뿔부(34)에 의해서 구성되는 맞닿음면(34A)이, 긴 구멍(26)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져 형성되며 베이스부재(24)의 둘레벽(24A)에 연이어 형성된 걸림벽(36)의 선단부를 통과하면, 원뿔부(34)는 복원되어 맞닿음면(34A)을 걸림벽(36)의 선단면에 맞닿게 하여 기어(18)를 베이스부재(2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그런데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24)의 타단부는, 개폐부재(2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기어(18)가 래크(16)의 일단부와 맞물림가능한 위치가 되도록 인스트러먼트 패널(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24)의 타단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어 자유단인 베이스부재(24)의 일단측을 래크(16)측으로 탄지하고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20)의 개방과 함께 래크(16) 및 기어(18)를 통해서 베이스부재(24)는 요동함과 아울러, 기어(18)가 맞물리는 래크(16)의 위치가 변화하여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20)의 개방종료위치(개방위치)에서는 기어(18)는 래크(16)의 타단부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3 및 도 4(A),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24)에는 기어(18)와 맞물림가능한 기어(38)가 배치되어 있으며, 기어(18)가 긴 구멍(26)을 따라서 슬라이드함으로써 기어(38)와 기어(18)는 맞물림가능한 위치 혹은 맞물림해제되는 위치가 된다.
여기서 기어(18)가 기어(38)와 맞물리는 위치에서는, 개폐부재(20){도 2(A), 2(B) 참조}가 개방될 때 래크(16)가 기어(18)를 압압하는 방향에 기어(38)가 배치되어 기어(18)와 기어(38)가 확실하게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기어(38)의 축부(37)의 외주면에는 축부(37)의 축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부(40)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축부(37)의 선단측에는 소경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축부(37)의 선단부에는 선단부로 감에 따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한 쌍의 걸림돌조(44)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조(44)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축부(37)에는 내부에 오일이 충전된 원통형상의 댐퍼(46)가 연결가능하게 되어 있다. 댐퍼(46)의 축심부에 기어(38)의 축부(37)를 관통시킬 때 걸림돌조(44)의 지름을 축소시켜 축심부에 관통시킨다. 댐퍼(46)의 축심부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도시하지 않음)에 걸어맞춤부(40)를 걸어맞춰서 축부(30)와 댐퍼(46)를 연결시킨다.
이것에 의해 기어(38)의 회동에 의해서, 축부(37)를 통해 댐퍼(46)내에 배치된 날개(48)에는 점성저항 등이 걸리고, 기어(38)에는 댐퍼력{댐퍼(46)에 의한 제동력}이 부여되게 된다.
또한 베이스부재(24)에는 댐퍼(46)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오목부(51)가 베이스부재(24)의 바닥면에서 내부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오목부(51)의 바닥면의 이면과 걸림벽(36)의 선단면과 베이스부재(24)의 둘레벽(24A)의 선단면은 면이 일치하고 있다. 또한 수용오목부(51)의 중심부에는 축부(37)를 끼워서 통과시킬 수 있는 둥근구멍(50)이 형성되고, 둥근구멍(50)의 둘레부로부터는 수용오목부(51)의 반대측에 걸림벽(52)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댐퍼(46)를 수용오목부(51) 내에 수용함과 아울러 댐퍼(46)의 축심부를 관통시킨 걸림돌조(44)를 지름이 축소된 상태로 둥근구멍(50)에 관통시키고, 선단부가 걸림벽(52)을 통과하면 걸림돌조(44)를 복원시켜서, 걸림돌조(44)의 선단부를 걸림벽(52)의 선단면에 맞닿게 하여 기어(38)를 수용오목부(51)에서 노출시킨 상태로 베이스부재(24)에 걸어맞춘다.
또한 베이스부재(24)에는 비틀림 스프링(54)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비틀림 스프링(54)의 타단부는 기어(18)에 맞닿아서 기어(18)를 기어(38)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폐부재(20)가 개방될 때 래크(16)에 의해 기어(18)는 비틀림 스프링(54)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기어(38)와 맞물림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기구를 이용한 글러브박스의 개폐부재(20)의 개방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2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기어(18)가 래크(16)의 일단부와 맞물림과 아울러 비틀림 스프링(54)에 의해 기어(18)는 기어(38)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기어(38)와 맞물림해제되어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개폐부재(20)를 개방시키면 도 2(B) 및 도 4(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개폐부재(20)와 일체로 축부(22)를 중심으로 래크(16)가 회동하고, 래크(16)에 의해서 기어(18)가 비틀림 스프링(54)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베이스부재(24)의 긴 구멍(26)내를 슬라이드한다.
이것에 의해서 기어(18)가 기어(38)와 맞물려 댐퍼(46)에 의한 댐퍼효과가 기어(38)를 통해서 기어(18)에 전달되며, 래크(16)를 통해서 개폐부재(20)에는 댐퍼효과가 전달되어 개폐부재(20)가 천천히 개방되게 된다.
이때 개폐부재(20)가 개방됨에 따라서 래크(16)와 기어(18)의 맞물림위치가 래크(16)의 일단부에서 래크(16)의 타단부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베이스부재(24)의 일단부가 개폐부재(20)의 회동중심위치(O)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기구를 이용한 글러브박스의 개폐부재(20)의 폐쇄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폐부재(20)를 폐쇄시키면 래크(16)는 기어(18)에서 이간하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기어(18)를 기어(38)를 향해서 압압하는 방향으로의 힘은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기어(18)는 비틀림 스프링(54)의 탄지력에 의해서 기어(38)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도 4(A) 참조}.
따라서, 기어(18)에는 댐퍼(46)에 의한 댐퍼효과가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개폐부재(20)를 폐쇄시킬 때에는 댐퍼(46)에 의한 부하는 걸리지 않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댐퍼기구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B)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20)에 래크(16)를 부착하여 개폐부재(20)와 일체로 회동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래크(16)에 기어(18)를 맞물리도록 하고 있다. 상기 기어(18)에는 댐퍼(46)와 연결된 기어(38)를 맞물림가능하게 하여, 기어(18)와 기어(38)가 맞물린 상태에서 기어(38), 기어(18) 및 래크(16)를 통해서 개폐부재(20)에는 댐퍼효과가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인스트러먼트 패널(10)에는 베이스부재(24)를 요동가능하게 부착하고, 베이스부재(24)에 기어(18,38)를 설치하고, 기어(18)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해서 기어(38)와 맞물림 혹은 맞물림해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폐부재(20)를 개방시킬 때 개폐부재(20)와 일체로 이동하는 래크(16)에 의해 기어(18)를 압압하여, 기어(18)와 기어(38)를 맞물림시킴으로써 개폐부재(20)에는 댐퍼효과가 부여되어 개폐부재(20)를 천천히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개폐부재(20)를 패쇄시킬때, 도 2(A) 및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38)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기어(18)를 슬라이드시켜서 댐퍼효과가 기어(18)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개폐부재(20)를 폐쇄시킬 때 개폐부재(20)에는 댐퍼(46)에 의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재(24)에 긴 구멍(26)을 형성하고, 댐퍼효과를 개폐부재(20)에 전달하는 기어(18)를 슬라이드시켜서 기어(38)와 맞물림 혹은 맞물림해제시킴으로써, 댐퍼(46)에 의한 토크전달을 ON/OFF하여 댐퍼기구(14)를 원웨이화하고 있다.
또한 개폐부재(20)와 일체로 이동하는 래크(16)에 의해 기어(18)를 압압하여 기어(18)와 기어(38)를 맞물리게 하여 댐퍼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기어(18)와 기어(38)의 이간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댐퍼가 제동력을 발휘할 때까지의 공주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개폐부재(20)를 폐쇄시킬 때, 개폐부재(20)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행한다고 해도 순식간에 기어(18)와 기어(38)를 맞물리게 하여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2(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크(16)를 직선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베이스부재(24)를 인스트러먼트 패널(10)의 측벽에 요동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래크(16)와 기어(18)의 맞물림위치(P)와, 개폐부재(20)의 회동중심위치(O)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래크(16)와 기어(18)의 맞물림위치(P)에 있어서 개폐부재(20)를 개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댐퍼력(댐퍼부재에 의한 제동력)이 일정한 경우, 개폐부재(20)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의 크기가 크면 상기 힘의 크기가 작은 경우와 비교해서 댐퍼효과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래크(16)와 기어(18)의 맞물림위치(P)와, 개폐부재(20)의 회동중심위치(O)의 거리를 변화시켜, 개폐부재(20)의 개방개시(폐쇄위치)측에서는, 기어(18)와 래크(16)의 맞물림위치(P)와, 개폐부재(20)의 회동중심위치(O)의 거리(L1)를 짧게 해서 래크(16)와 기어(18)의 맞물림위치(P)에 있어서 개폐부재(20)를 개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를 크게 하고, 개폐부재(20)의 개방종료(개방위치)측에서는, 기어(18)와 래크(16)의 맞물림위치(P)와, 개폐부재(20)의 회동중심위치(O)의 거리(L2)를 길게 해서 상기 힘의 크기를 작게 한다.
이로 인해 개폐부재(20)의 폐쇄위치측에서는 개방위치측과 비교해서 댐퍼효과가 작아진다. 이로 인해 저온영역에서도 개폐부재(20)를 확실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래크(16)를 직선형상으로 하였으나, 개폐부재(20)의 회동중심위치(O)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해도 된다. 단 이 경우 원웨이댐퍼로서의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개폐부재(20)의 폐쇄위치측과 개방위치측에서는 댐퍼효과가 대략 동일하다.
또한 래크를 개폐부재(20)의 개방에 따라서 개폐부재(20)의 회동중심위치(O)로부터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한 원호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부재(20)의 폐쇄위치측과 개방위치측에서 댐퍼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래크(16)를 고정하여 베이스부재(24)를 요동시키도록 하였으나 기어(18)와 래크(16)의 맞물림위치(P)와, 개폐부재(20)의 회동중심위치(O)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래크(16)를 요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개폐부재(20)를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개폐부재(20)는 단순한 판형상의 도어라도 좋고, 이 경우 래크(16)는 도어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부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확실하게 원웨이댐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개페부재와 일체로 이동하는 래크에 의해서 제 1 기어를 압압하여 제 1 기어와 제 2 기어를 맞물리게 하여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기어와 제 2 기어의 이간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댐퍼가 제동력을 발휘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공주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개폐부재를 폐쇄시킬 때, 개폐부재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행하였다고 해도, 순식간이 제 1 기어와 제 2 기어를 맞물리게 하여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댐퍼를 제어하는 댐퍼부재에 의한 토크전달을 ON/OFF하여 댐퍼기구를 원웨이화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개폐부재를 개방시킬 때, 래크에 의해서 제 1 기어를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압압하여 제 2 기어에 맞물리도록 한다.
청구항 4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래크와 제 1 기어의 맞물림위치와,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변화시켜서, 개폐부재의 폐쇄위치측에서는, 제 1 기어와 래크의 맞물림위치와,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짧게 하여 래크와 기어의 맞물림위치에 있어서 개폐부재를 개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를 크게 하고, 개폐부재의 개방위치측에서는, 제 1 기어와 래크의 맞물림위치와,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길게 하여 상기 힘의 크기를 작게 한다. 이로써, 개폐부재의 폐쇄위치측에서는 개방위치측과 비교해서 댐퍼효과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때문에, 저온영역에서도 개폐부재(20)를 확실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피부착부재에 지지되며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사이를 회동하는 개폐부재에 부착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맞물림가능한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가 맞물림가능하고 댐퍼에 의해서 제어되는 제 2 기어와,
    상기 피부착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기어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 개방될 때 상기 제 1 기어를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개폐부재가 상기 폐쇄위치로 폐쇄될 때 제 1 기어를 제 2 기어와 맞물림해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의 축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긴 구멍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기어를 제 2 기어와 맞물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1 기어를 제 2 기어와 맞물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와 상기 제 1 기어의 맞물림위치와, 상기 개폐부재의 회동중심위치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래크가 직선형상임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측벽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기구.
KR1020040022601A 2003-07-31 2004-04-01 댐퍼기구 KR100549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84067 2003-07-31
JP2003284067A JP2005048929A (ja) 2003-07-31 2003-07-31 ダンパー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645A true KR20050014645A (ko) 2005-02-07
KR100549911B1 KR100549911B1 (ko) 2006-02-06

Family

ID=3426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601A KR100549911B1 (ko) 2003-07-31 2004-04-01 댐퍼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048929A (ko)
KR (1) KR1005499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230B1 (ko) * 2006-10-12 2008-05-2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동체의 동작장치 및 리드장치
KR101540351B1 (ko) * 2009-12-08 2015-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KR101877668B1 (ko) * 2017-03-16 2018-07-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차량용 수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3287B2 (ja) * 2005-06-24 2011-06-15 株式会社ニフコ 扉開閉装置
KR100633134B1 (ko) 2005-07-05 2006-10-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센터 어퍼 트레이 개폐구조
JP4923683B2 (ja) * 2006-04-05 2012-04-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開閉部の開閉機構、画像形成装置
JP2012024185A (ja) 2010-07-21 2012-02-09 Brother Ind Ltd ミシンの押え装置及びミシン
JP5459167B2 (ja) * 2010-09-29 2014-04-02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JP5970419B2 (ja) * 2013-05-30 2016-08-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13937B2 (ja) * 2015-06-05 2018-10-31 豊田合成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リッド装置
JP6782356B2 (ja) * 2017-03-31 2020-11-11 株式会社ニフコ 一方向ダンパー機構
KR101996289B1 (ko) * 2017-12-22 2019-07-0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글로브박스용 댐퍼의 유동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230B1 (ko) * 2006-10-12 2008-05-2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동체의 동작장치 및 리드장치
KR101540351B1 (ko) * 2009-12-08 2015-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KR101877668B1 (ko) * 2017-03-16 2018-07-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차량용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48929A (ja) 2005-02-24
KR100549911B1 (ko) 2006-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5829B2 (en) Damper device
US5996132A (en) Compound torque hinge
KR100810420B1 (ko) 자동차의 도어핸들장치
KR100549911B1 (ko) 댐퍼기구
US6275999B1 (en) Hinge device for supporting seat and seat lid of toilet bowl openably and closably
US6658111B2 (en) Small-siz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8365359B2 (en) Hinge device
JP2015506425A (ja)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のための安全装置
KR101971749B1 (ko) 차량 도어 손잡이용 안전 장치
US11447986B2 (en) Handle device for vehicle
US8307505B2 (en) Rotation control device for rotation body
US6477739B2 (en) Retractable assist grip and mounting method thereof
US9982470B2 (en) Soft close mechanism for a closure
JP4529059B2 (ja) 回転ダンパ
KR101541373B1 (ko) 도어 클로저
KR100187204B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 장치
JP4400170B2 (ja) 移動体操縦装置
KR101851150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 개폐제어장치
JP6255852B2 (ja) ドアチェック装置
KR20030009614A (ko) 듀얼 댐퍼를 갖는 힌지 구조
JPH09328034A (ja) 車両用小物入れ装置
JP2001193345A (ja) 扉の自動閉止装置
JP3486318B2 (ja) ソフト閉止ダンパー機構
KR101877668B1 (ko) 차량용 수납장치
JP2001193347A (ja) 回転ダンパ、該回転ダンパを用いた吊り戸用制動装置、ならびに、該制動装置を備えた吊り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