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99Y1 - 퓨즈 스위치 - Google Patents

퓨즈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99Y1
KR200487499Y1 KR2020160007712U KR20160007712U KR200487499Y1 KR 200487499 Y1 KR200487499 Y1 KR 200487499Y1 KR 2020160007712 U KR2020160007712 U KR 2020160007712U KR 20160007712 U KR20160007712 U KR 20160007712U KR 200487499 Y1 KR200487499 Y1 KR 200487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vehicle
fuse box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128U (ko
Inventor
양해서
이우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60007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9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퓨즈 스위치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퓨즈가 설치된 퓨즈박스 및 상기 퓨즈박스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에 흐르는 암전류가 차단되는 온(On) 모드와, 상기 퓨즈박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차량에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Off) 모드 중, 삽착 여부에 따라 모드 전환이 가능한 스위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박스는, 오프 모드 시,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온 모드에서 상기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차량의 중앙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접하는 제1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와 이격되며,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복수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와 접하는 제2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퓨즈 스위치{Fuse Switch}
본 고안은 퓨즈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퓨즈박스에 모드 전환이 용이한 퓨즈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량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도 차량 내 설치된 전장품에 의하여 암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 차량 내 흐르는 암전류는 차량을 사용하고 있는 과정에서는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차량이 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으므로, 차량 내 암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에는 차량이 판매되기 전에 차량 내 암전류를 차단하는 퓨즈 스위치 외에 각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퓨즈가 설치된 퓨즈박스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암전류 차단 퓨즈 스위치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구매자에게 차량을 인도하기 전에 암전류를 차단하고 있는 온(On) 상태이다. 이때, 차량을 판매하는 딜러가 퓨즈 스위치(10A) 표면에 형성된 홈에 별도의 공구(예컨대,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퓨즈 스위치(10A)의 상태를 오프(Off)로 변경한 뒤, 차량 구매자에게 차량을 전달한다.
이와 다르게, 도 1의 (b)에 도시된 퓨즈 스위치(10B)는 차량 구매자에게 차량을 인도하기 전에 판매자가 모드 전환 바(bar)(12)를 당겨 퓨즈 스위치(10B)의 상태를 오프로 변경하여 차량 구매자에게 차량을 전달한다.
이때, 차량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차량을 인도하기 전에 퓨즈 스위치(10A, 10B)의 모드를 변경할 때, 퓨즈 스위치(10A, 10B)의 상태가 완전히 전환되지 않아 차량 내 암전류가 계속 차단되어 차량이 구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퓨즈 스위치(10A, 10B)는 판매자가 직접 모드 전환 바(12)를 잡거나,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장착되어야 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퓨즈 스위치(10A, 10B)의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어 퓨즈박스 의 사이즈 또한 증가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퓨즈 스위치(10A, 10B)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판매자의 퓨즈 스위치(10A, 10B) 모드 전환에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드 전환이 용이한 퓨즈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이즈를 최소화한 퓨즈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드 전환이 가능한 퓨즈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퓨즈 스위치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퓨즈가 설치된 퓨즈박스 및 상기 퓨즈박스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에 흐르는 암전류가 차단되는 온(On) 모드와, 상기 퓨즈박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차량에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Off) 모드 중, 삽착 여부에 따라 모드 전환이 가능한 스위치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박스는, 오프 모드 시, 접촉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온 모드에서 상기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차량의 중앙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접하는 제1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와 이격되며,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복수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와 접하는 제2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차량 판매자가 차량을 구매자에게 인도할 때, 차량 내 암전류가 흐르지 않는 온 모드에서, 차량 내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퓨즈 스위치를 퓨즈박스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모드 전환이 가능해지므로 모드 전환의 정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판매자가 퓨즈박스에서 퓨즈 스위치를 분리하면 퓨즈 스위치를 퓨즈박스에 장착하기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차량 판매 후, 구매자가 임의로 차량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판매자가 퓨즈박스에서 퓨즈 스위치를 분리하면 퓨즈 스위치를 퓨즈박스에 장착하기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차량 판매 후, 구매자가 임의로 차량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퓨즈 스위치의 온 모드와 오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재의 구성 및 조작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퓨즈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퓨즈 스위치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퓨즈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퓨즈 스위치의 온(On) 및 오프(Off) 모드에 따른 회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퓨즈 스위치의 모드 전환에 따른 작동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스위치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스위치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스위치부재의 온(On) 및 오프(Off) 모드에 따른 회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스위치부재의 모드 전환에 따른 작동도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스위치는 판매될 차량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퓨즈 스위치의 스위치부재(100)가 퓨즈박스(200)에 설치된 상태이면 차량이 판매되기 전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스위치부재(100)가 퓨즈박스(200)에서 분리되면 차량이 판매된 상태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본 고안에서 설명되는 퓨즈 스위치는 판매된 차량 이외에 암전류를 차단해야 하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퓨즈 스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전장품(30a, 30b)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퓨즈가 설치된 퓨즈박스(200) 및 상기 퓨즈박스(200)에 삽입되어 차량에 흐르는 암전류가 차단되는 온(On) 모드(도 2의 (a) 참고)와, 퓨즈박스(200)에서 분리되어 차량에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Off) 모드(도 2의 (b) 참고) 중, 삽착 여부에 따라 모드 전환이 가능한 스위치부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퓨즈박스(200)는 온 모드 시, 상기 스위치부재(10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스위치장착부(220)와, 오프 모드 시, 차량의 배터리에서 차량 내 전장품(30a, 30b)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접촉하는 제1 단자(240a)와 제2 단자(240b)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 상기 스위치부재(100)는, 온 모드에서 차량 내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의 중앙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단자(240a)와 접하는 제1 단자 연결부(120a)와, 제1 단자 연결부(120a)와 이격되며, 복수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단자(240b)와 접하는 제2 단자 연결부(120b) 및 온 모드 시,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120a, 120b)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140)를 포함한다.
즉, 스위치부재(100)가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에 끼움, 장착되는 온 위치 시, 상기 스위치부재(100)가 상기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를 차단하면서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가 접지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차량 배터리와 차량 내 전장품(30a, 3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 결과, 차량이 판매되기 전에 차량 내에 암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차량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스위치부재(100)가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에서 분리되는 오프 위치 시,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는 접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결과, 배터리와 차량 내 전장품(30a, 3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암전류가 흐르게 되고, 차량 구매자는 차량 내 전장품(30a, 30b)의 구동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위치부재(100)를 퓨즈박스(200)에 장착 또는 분리함에 따라 차량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판매 가능한 차량의 경우, 차량 판매자가 퓨즈박스(200)에서 스위치부재(100)를 분리한 이후에 퓨즈박스(200)에 스위치부재(100)를 재 장착하지 않는 한, 스위치부재(100)가 퓨즈박스(200)에 장착된 온 위치로 차량 모드가 전환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스위치 부재(100)를 차량 구매자에게 전달하지 않는다면 차량이 판매된 후에 구매자가 임의로 차량의 모드가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스위치부재(100)의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120a, 120b)는 도체 재질로 형성되고, 차단부(140)는 부도체 재질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부재(100)가 온 모드로 전환될 때, 배터리 전원(도 4의 O_B+3 참고)은 제2 단자(240b)와 연결되며, 차량의 중앙제어부(MCU)(50)로 전원이 입력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중앙제어부(50)는 스위치부재(100)가 퓨즈박스(200)에 삽입된 온 모드 상태임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릴레이(70)는 배터리 전원과 연결되지 않으므로 오프(Off)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차량 내 전장품(30a, 30b)의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 스위치부재(100)가 온 모드로 전환할 때,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와 접하는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120a, 120b)는 도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120a, 120b) 사이의 차단부(140)은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의 연결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다르게, 스위치부재(100)가 오프 모드로 전환하면, 배터리 전원(도 4의 O_B+3 참고)은 차량 내 전장품(30a, 30b)으로 전원을 공급하되, 중앙제어부(50)로는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중앙제어부(50)는 스위치부재가 퓨즈박스(200)에서 분리된 상태로 인지하게 된다.
이때, 차량 내 전장품(30a, 30b) 중 차량 내 룸램프 등과 같이 전류가 상시 공급되지 않아도 되는 전장품(30a)은 배터리 전원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릴레이(70)에서 제어한다. 즉, 시동 오프 후, 중앙제어부(50)는 전장품(30a)의 계속적인 배터리 소모에 따른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시동 오프되고, 일정 시간(예컨대, 20분) 경과 후, 릴레이(70)를 제어하여 전장품(30a)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단자(240a)는 온 모드 시, 제2 단자(240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오프 모드 시, 제2 단자(240b)를 향해 복원되는 제1 탄성부(260a)를 포함하고, 제2 단자(240b)는 제1 탄성부(260a)와 마주하며, 오프 모드 시, 제1 탄성부(260a)와 면접하는 제2 탄성부(260b)를 포함한다.
즉, 스위치부재(100)는 온 모드일 때,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에 위치한다. 이후, 차량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차량을 판매한 뒤, 스위치부재(100)를 퓨즈박스(200)에서 분리하면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가 접속하여 차량의 배터리에서 차량의 전장품(30a, 30b)으로 전류가 공급되면서 스위치부재(100)가 오프 모드로 상태를 전환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260a, 260b)는 상기 온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및 제2 탄성부(260a, 260b)가 접하고 있는 상태를 복원위치라 할 때, 스위치부재(100)가 온 모드인 경우, 제1 및 제2 탄성부(260a, 260b)가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에 위치한 스위치부재(100)에 의해 멀어진 상태로 변형되어 있다. 이후, 스위치부재(100)를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 사이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탄성부(260a, 260b)가 복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 판매자가 차량 판매 후, 퓨즈박스(200)에서 스위치부재(100)를 분리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1 및 제2 단자(240a, 240b)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과정 없이 용이하게 차량의 모드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스위치부재(100)는 단자 연결부(120) 및 차단부(140) 상단을 고정하며, 온 모드 시, 퓨즈박스(200) 상측에서 돌출되고, 오프 모드 시, 상기 퓨즈박스(200)에서 단자 연결부(120) 및 차단부(140)의 동시 분리를 안내하는 핸들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부(160)는 차량 판매자가 스위치부재(100)를 분리하고자 할 때 손잡이로 사용되어 보다 용이하게 스위치부재(100)를 퓨즈박스(200)에서 분리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핸들부(160)는 차량 판매자가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핸들부(160) 표면에는 주름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 판매자가 차량을 구매자에게 인도할 때, 차량 내 암전류가 흐르지 않는 온 모드에서, 차량 내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스위치부재(100)를 퓨즈박스(200)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모드 전환이 가능해지므로 모드 전환의 정확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차량 판매자가 퓨즈박스(200)에서 퓨즈 스위치를 분리하면 퓨즈 스위치를 퓨즈박스(200)에 장착하기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차량 판매 후, 구매자가 임의로 차량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퓨즈박스(200)에 스위치부재(100)가 삽입되는 공간 이외에 스위치부재(100)의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삽입,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퓨즈박스(200)의 규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퓨즈 스위치의 온 모드와 오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재의 구성 및 조작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스위치부재
120: 단자 연결부
140: 차단부
160: 핸들부
200: 퓨즈박스
240a: 제1 단자
240b: 제2 단자
260a: 제1 탄성부
260b: 제2 탄성부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퓨즈가 설치된 퓨즈박스; 및
    상기 퓨즈박스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에 흐르는 암전류가 차단되는 온(On) 모드와, 상기 퓨즈박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차량에 암전류가 흐르는 오프(Off) 모드 중, 삽착 여부에 따라 모드 전환이 가능한 스위치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박스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각각 한 쌍의 단자쌍을 포함하며, 제1 단자의 단자 중 어느 하나는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오프 모드 시, 제1 단자의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와 제2 단자의 어느 한 단자가 접촉되고,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온 모드에서 상기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차량의 중앙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자의 단자쌍과 접하는 제1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단자 연결부와 이격되며,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복수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의 단자쌍과 접하는 제2 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는, 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는 부도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중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는, 상기 모드 시, 상기 제2 단자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오프 모드 시, 상기 제2 단자 중 어느 한 단자를 향해 복원되는 제1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 중 어느 한 단자는, 상기 제1 탄성부와 마주하며 상기 오프 모드 시, 상기 제1 탄성부와 면접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 및 상기 차단부 상단을 고정하며,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퓨즈박스의 상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오프 모드 시, 상기 퓨즈박스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연결부 및 상기 차단부의 동시 분리를 안내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스위치.
KR2020160007712U 2016-12-30 2016-12-30 퓨즈 스위치 KR200487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712U KR200487499Y1 (ko) 2016-12-30 2016-12-30 퓨즈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712U KR200487499Y1 (ko) 2016-12-30 2016-12-30 퓨즈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28U KR20180002128U (ko) 2018-07-10
KR200487499Y1 true KR200487499Y1 (ko) 2018-09-28

Family

ID=6290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712U KR200487499Y1 (ko) 2016-12-30 2016-12-30 퓨즈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9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631A (ja) * 2001-05-16 2002-11-27 Yazaki Corp 自動車ドアのコネクタ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47U (ja) * 1991-07-01 1993-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ユーズボツクス
JPH08171837A (ja) * 1994-12-20 1996-07-02 Nec Corp 短絡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631A (ja) * 2001-05-16 2002-11-27 Yazaki Corp 自動車ドアのコネクタ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28U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9101A (en) Electric Plug-In Module
US20160190775A1 (en) Power distribution uni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including modular construction and assemblies
US20110148355A1 (en) Power feeding control apparatus
US20080191550A1 (en) Vehicle accessory control system
US3938068A (en) Electrical plug and outlet unit
WO2015145957A1 (en) Switch device
KR20180077936A (ko) 회로차단기용 제어부의 격리 장치
KR920009352B1 (ko) 전자접촉기를 제어하는 장치
KR200487499Y1 (ko) 퓨즈 스위치
CN109300741B (zh) 用于向电力单元供应电力的电气装置
JP2009110855A (ja) 電源装置
EP2419917B1 (en) Fault signaling device, particularly for electrical apparatuses such as interlocked sockets
JP2002101508A (ja) コンセント盤及び電源プラグ
JP6827221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US8207626B1 (en) Device for activating a vehicle odometer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GB2459985A (en) Apparatus for Testing Automotive Relays
US20220310331A1 (en) Energy store including a housing and bridge plug
US5153523A (en) Selective fused circuit continuity test apparatus
US20050219033A1 (en) Fuse status indicator for fuse cartridge
KR20180061244A (ko)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JP2011070856A (ja) 直流コンセント
JP4386323B2 (ja) 保護装置
CN104966958A (zh) 一种保险丝端子
JP3157518U (ja) 電源プラグ
JP5419035B2 (ja) 電源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