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614Y1 - 식품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식품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614Y1
KR200486614Y1 KR2020170000337U KR20170000337U KR200486614Y1 KR 200486614 Y1 KR200486614 Y1 KR 200486614Y1 KR 2020170000337 U KR2020170000337 U KR 2020170000337U KR 20170000337 U KR20170000337 U KR 20170000337U KR 200486614 Y1 KR200486614 Y1 KR 200486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ressing
stack
contain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945U (ko
Inventor
마사카즈 가네코
Original Assignee
케이엘스 주식회사
에프피 코 츄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스 주식회사, 에프피 코 츄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엘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029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합성 수지 시트제의 용기 본체에, 이 용기 본체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체를 조합할 때, 틀체가 용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스택을 회피하여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수납 오목부(2, 3)를 구비한 합성 수지 시트제의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한 누름 홈(4)에 끼워 넣어서 용기 본체(1)를 둘러싸는 틀체(10)로 이루어지고, 누름 홈(4)에는 용기 본체(1)들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택(5)을 설치한다. 틀체(10)를 용기 본체(1)의 누름 홈(4)에 끼워넣을 때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를 스택(5)의 바깥쪽으로 확장시키는 누름 리브(6)를 누름 홈(4)의 스택(5) 근처에 설치하고, 스택(5)과 누름 리브(6) 각각은 누름 홈(4)에서의 내측 벽부에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팽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 리브(6)는 평면 직사각형상인 용기 본체(1)에서의 코너부에 배치한 스택(5)의 근처에 위치시켜서, 누름 홈(4)의 내측 벽부의 모서리 위치(6A)와 이 모서리 위치에 근접한 양옆 위치(6B) 각각에 배치한다.

Description

식품보관용기{CONTAINER FOR KEEPING FOOD}
본 고안은 예를 들면, 밥, 반찬 등과 같은 식품을 구획하여 수납 보존할 수 있는 합성 수지 시트제의 용기 본체의 주위에 예를 들면, 나뭇결 무늬의 틀체를 둘러싸서 조합되는 식품보관용기에 있어서, 겹쳐져서 보관될 때, 용기 본체에 스택이 형성되어 있어도, 이에 간섭받지 않고 용기 본체를 틀체에 끼워 맞춰 조립하는 것이 원활하고, 또한 용기 본체와 틀체를 강고하게 끼워 맞춤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식품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사전에 결정된 깊이의 수납 오목부가 구획 형성된 합성 수지 시트제의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주변에 수납 오목부를 둘러싸도록 조합하는 틀체로 이루어지는, 소위 구획 용기가 여러 종류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구획 용기는 상품 수납용 간이 용기이고,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구획 용기는 조합 용기이다. 도 1에 도시된 특허 문헌 1의 식품 수납용 간이 용기는 성형 저판(100)과 이 성형 저판(100)의 상단이 끼워 맞춰지는 접이 틀체(120)로 이루어지고, 성형 저판(100)의 상단에 설치된 수하부(垂下部)(113)가 접이 틀체(120)의 외면 위쪽에 형성된 노치(121)에 끼워넣어져 조립된다. 도 2에 도시된 특허 문헌 2의 용기는 용기 본체(B)와 이 용기 본체(B)의 누름 홈(204)에 끼워 넣어지는 틀체(C)로 이루어져 있고, 용기 본체(B)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한 누름 홈(204)의 외측벽(207)에 형성한 제 1 팽출부(208)가 틀체(C)의 외측면(22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 함몰 홈(223)에 걸어 맞춰져서 조립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329944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4―234172호 공보
이와 같은 이들 종래의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와 주위를 둘러싸는 틀체를 이들의 상부에서의 끼워 맞춤 부분에서 서로 맞닿는 내주면,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 홈, 볼록조 상호를 끼워 맞춤으로써 강고하게 조립하고 있다. 즉, 이러한 종류의 조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는 사전에 결정된 두께의 합성 수지 시트를 사전에 결정된 깊이의 수납 오목부를 적절한 수로 구획하여 구비하도록 진공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예를 들어 직사각형상으로 성형되고, 틀체는 예를 들면, 나뭇결 무늬의 사전에 결정된 폭의 띠형상 종이재에 의하여 용기 본체의 외형을 따라서 용기 본체를 둘러싸도록 틀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들 종래의 용기에서의 합성 수지 시트제의 용기 본체, 종이제 등의 틀체 각각은 사용되기 이전인 제조, 운송, 보관과정에서는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조리장소나 그 외의 장소에서 도시락 재료인 밥, 반찬 재료 등을 채울 때에 일일이 용기 본체를 틀체에 조합시켜 식품 수납 용기로서의 도시락 용기로서 조립된다. 특히, 용기 본체는 합성 수지 시트를 진공 성형 등에 의해 홈 형상의 누름 홈이 상부가장자리 둘레부에 형성되며 테이퍼 형상의 측벽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성형되며, 성형된 후에 소정의 매수가 겹쳐진 상태로 보관되며 사용 시에는 1개씩 분리해야만 한다. 다만, 용기 본체가 완전히 동일 형상이면 겹쳐졌을 때에 상호간에 밀착해 버려서, 서로 분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겹쳐지는 누름 홈, 예를 들면, 보강을 겸하여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누름 홈에는 작은 돌기부 형상으로 형성된 스택이 배치되고, 또한, 이 스택의 위치가 용기 본체 각각에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용기 본체들이 겹쳐지더라도 상호간에 간극이 발생하여 용기 본체 각각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용기 본체들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스택은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누름 홈의 어느 쪽에 형성되어도 좋은 것이 아니다. 스택이 용기 본체 둘레의 측벽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예를 들면, 용기 본체의 측벽이 바깥쪽으로 만곡하여 넓어지면, 용기 본체들이 겹쳐졌을 때에 하측의 용기 본체의 측벽이 상측의 용기 본체의 측벽내로 삽입되므로, 겹쳐진 용기 본체들 사이에 간극을 확보할 수 없어서, 스택을 설치하는 의미가 없다. 그 때문에, 스택은 용기 본체의 측벽이 부분적으로라도 변위하지 않는 부위, 즉 용기 본체의 코너부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그렇게 하면, 용기 본체를 용기 본체와는 별도로 형성된 틀체와 조합할 때, 이 틀체의 코너부가 용기 본체의 코너부 근처의 스택과 간섭되어 스택이 장해가 되어 틀체를 용기 본체의 누름 홈에 끼워 넣어 조립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일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합성 수지 시트제의 용기 본체에 이 용기 본체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체를 조합할 때, 용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스택을 회피하여 용이하게 조합해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코너부의 강도도 증대할 수 있어서 형상유지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사전에 결정된 깊이의 수납 오목부를 구비한 합성 수지 시트로 성형된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면 홈 형상의 누름 홈에 끼워 넣어져서 용기 본체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체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의 누름 홈에는 포개지는 용기 본체들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면 홈 형상의 스택이 설치되어 있는 식품보관용기에 있어서, 틀체를 누름 홈에 끼워넣을 때 틀체의 상부 가장자리를 용기 본체의 스택의 바깥쪽으로 확장시키는 누름 리브를 누름 홈의 스택 근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에서, 스택 및 누름 리브 각각은 누름 홈의 내측 벽부에서 용기 본체의 바깥쪽으로 팽출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에서, 누름 리브는 평면 직사각형상인 용기 본체의 코너부에 설치한 스택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에서, 누름 리브는 용기 본체의 코너부에서의 누름 홈의 내측 벽부의 모서리 위치에 배치되며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누름 리브와 모서리 위치에 근접한 양옆 위치에 배치되며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누름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에서, 누름 홈에서의 누름 리브의 부위에 연속되며, 용기 본체의 측벽의 상부에는 용기 본체의 저벽부측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경사 안내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는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체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누름 홈(4)에 설치된 누름 리브(6(6A, 6B))는 용기 본체(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누름 홈(4)에 틀체(10)가 끼워 넣어질 때, 이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스택(5)의 바깥쪽으로 확장시켜 안내함으로써, 틀체(10)의 상단부가 스택(5)과 간섭되지 않고 틀체(10)를 누름 홈(4) 안으로 신속히 끼워 맞출 수 있게 된다.
누름 홈(4)의 내측 벽부에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팽출한 스택(5)과 누름 리브(6)는 누름 홈(4) 내에 끼워 맞춰진 틀체(10)와의 조립을 안정화시킨다.
용기 본체(1)의 코너부에서 누름 홈(4)의 내측 벽부에 배치된 누름 리브(6)가 코너부의 모서리 위치 및 그 양옆 위치 각각에 존재함으로써 용기 본체(1)의 코너부 자체를 강성화하여 강도를 증대시키고, 또한, 누름 홈(4) 내에 끼워 넣어지는 틀체(10)를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확장시켜서 틀체(10)의 측벽을 신장 상태로 하여,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을 누름 홈(4) 내에 딱 맞게 끼워 맞출 수 있게 된다.
스택(5)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누름 리브(6)에 연속되어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팽출되어 있는 경사 안내면(7)은 틀체(10)의 상단부가 누름 홈(4) 내에 끼워 넣어질 때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을 경사 안내면(7)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확장시키고, 틀체(10)의 상단부를 스택(5)에 충돌 접합시키지 않고 누름 홈(4)의 내부까지 안내하여, 틀체(10)를 누름 홈(4) 내에 정확히 끼워 맞춘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오목부(2, 3)가 형성된 합성 수지 시트제의 용기 본체(1)에, 이 용기 본체(1)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체(10)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식품보관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와 틀체(10) 각각이 서로 별도로 보관되어 있을 때, 포개지는 용기 본체(1)들을 서로 용이하게 분리시키도록 용기 본체(1)에 형성한 스택(5)을 회피하여 틀체(10)를 용기 본체(1)에 용이하게 조합해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스택(5)으로부터 틀체(10)를 회피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누름 리브(6)를 용기 본체(1)의 코너부에 배치함으로써, 용기 본체(1)에서의 코너부의 강도도 증대할 수 있고, 용기 본체(1)의 형상유지성능도 향상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10)와 틀체(10)의 끼워 맞춤 조립을 안정화시키는 데도 도움이 된다.
즉, 이것은 본 고안에 있어서, 수납 오목부(2, 3)를 구비한 합성 수지 시트제의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의 위 가장자리에 형성된 누름 홈(4)에 끼워 넣어져서 용기 본체(1)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체(10)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1)의 누름 홈(4)에는 포개지는 용기 본체(1)들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택(5)이 설치되어 있는 식품보관용기에 있어서, 틀체(10)를 누름 홈(4)에 끼워넣을 때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를 용기 본체(10)의 스택(5)의 바깥쪽으로 확장시키는 누름 리브(6)를 누름 홈(4)의 스택(5) 근처에 설치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틀체(10)가 스택(5)을 회피하여 용기 본체(1)와 용이하게 끼워 맞춰져 조립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1)의 강도가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택(5)과 누름 리브(6) 각각은 단면 홈 형상의 누름 홈(4)에서의 내측 벽부에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팽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틀체(10)를 누름 홈(4) 내에 끼워 넣을 때, 이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을 누름 홈(4) 내의 바깥쪽으로 안내하고, 누름 홈(4)에서의 외측 벽부와의 사이에서 틀체(10)를 단단히 끼울 수 있어서, 조립의 안정화에 도움이 된다.
평면 직사각형상인 용기 본체(1)에서의 코너부 근처에 스택(5)을 배치함으로써, 포개어지는 용기 본체(1)들의 각각의 분리를 확실하게 하고 있고, 또한, 용기 본체(1)에서의 코너부에 누름 리브(6)를 배치함으로써 용기 본체(1)에서의 누름 홈(4) 자체의 보강도 할 수 있고, 대체로 용기 본체(1)의 형상유지성능을 유지하여, 용기 본체(1)의 강도를 한층 증대할 수 있다.
누름 리브(6)는 용기 본체(1)의 코너부에서의 누름 홈(4)의 내측 벽부의 모서리 위치와 이 모서리 위치에 근접한 양옆 위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모서리 위치에 배치된 누름 리브(6A)는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옆 위치에 배치된 누름 리브(6B)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용기 본체(1)의 코너부에 끼워 넣어지는 틀체(10)의 코너 부분에서의 바깥쪽으로의 확장 유지를 확실하게 한다. 또한, 틀체(10)를 바깥쪽으로 확장시키는 것은 용기 본체(1)의 측벽 각각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되고, 이에 의해 틀체(10)를 누름 홈(4) 내에 딱 맞게 끼워 맞추어서, 용기 본체(1)와 틀체(10)의 안정적이고 확실한 조합에 의한 조립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스택(5)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누름 리브(6)에 연속되며 용기 본체(1)의 측벽의 상부에는 용기 본체(1)의 저벽부측으로부터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경사 안내면(7)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누름 홈(4) 내에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을 끼워 넣을 때, 이 경사 안내면(7)을 따라서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을 바깥쪽으로 확장시켜서, 틀체(10)가 스택(5)에 충돌 접합 또는 간섭되지 않고 누름 홈(4)의 내부까지 안내된다. 따라서,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을 누름 홈(4) 내에 딱 맞게 끼워 맞출 수 있고, 외부로부터 충격 등이 작용하더라도 틀체(10)가 용기 본체(1)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고안의 효과 각각에서 부기한 부호는 도면에 기재한 구성요소의 각 부위를 나타내는 부분과의 참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붙였다. 본 고안은 이들의 기재, 도면의 부호 등에 의하여 나타내어진 구조ㆍ형상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품 수납용 간이 용기의 용기 본체와 틀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합 용기의 용기 본체와 틀체 및 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식품보관용기의 용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식품보관용기의 용기 본체에서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식품보관용기의 용기 본체와 틀체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식품보관용기의 용기 본체들이 포개어 겹쳐진 상태에서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일 형태를 설명하면,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부호 1은 용기 본체이고, 도면예와 같이 평면 외형이 예를 들면, 장방형과 같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또한 깊이가 다른 대소의 제 1 수납 오목부(2), 제 2 수납 오목부(3)가 구획 형성되도록 사전에 결정된 두께의 합성 수지 시트에 의하여 성형 가공되어 있다.
이 용기 본체(1)에는 용기 본체(1)의 주위를, 즉, 상기 제 1 수납 오목부(2), 제 2 수납 오목부(3) 등의 전체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며, 용기 본체(1)의 개구부의 주변에 형성된 단면 홈 형상의 누름 홈(4) 내에 끼워 넣어져서 용기 본체(1)에 조합되는 틀체(10)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용기 본체(1)의 개구부는 별도로 제작된 커버체(20)에 의하여 덮이도록 되어 있다.
틀체(10)는 예를 들면, 수납 오목부(2, 3)의 깊이에 비해 작지 않은 폭을 가진 소정의 두께의 띠형상의 종이재 또는 합성 수지 판재 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사각 통 형상으로 되도록 절곡 또는 접합되어 형성되고, 이 틀체(10)의 하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수납물(도시하지 않음)과 용기 본체(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1)의 개구부에서의 누름 홈(4)은 아래쪽으로 개방된 단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용기 본체(1)의 측벽에 경사 부분을 통하여 연속되는 내측 벽부에는 용기 본체(1)에서의 코너부 위치에서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팽출 형상으로 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스택(5)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의 스택(5)은 평면에서 장방형상을 나타내는 용기 본체(1)에서의 긴 변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이 용기 본체(1)가 성형될 때 각각의 용기 본체(1)에서 스택(5)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용기 본체(1)들이 포개어 겹쳐졌을 때에 스택(5) 위치가 합치되지 않도록 고려되어 있다(도 7 참조). 만일, 포개어 겹쳐지는 용기 본체(1)들의 스택의 위치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측에 배치된 용기 본체(1)의 스택(5)의 외주면이 하측에 하측에 배치된 용기 본체(1)의 스택의 내주면 안으로 끼워져서 상하측의 용기 본체(1)들이 상호간에 밀착해 버려서 서로 분리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용기 본체(1)의 코너부에서의 누름 홈(4)의 내측 벽부에는 스택(5)의 팽출측과 동일 방향으로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누름 리브(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리브(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코너부에서의 모서리 위치(6A)와 이 모서리 위치에 근접한 양옆 위치(6B)(즉, 내측 벽부에서의 단부 위치) 각각의 합계 3개의 위치에 배치되며, 모서리 위치에 배치되는 누름 리브(6A)는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이며, 모서리의 양옆 위치에 배치되는 누름 리브(6B)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의 누름 리브(6) 각각은 누름 홈(4)에서의 누름 리브(6)의 부위에 연속되며, 용기 본체(1)의 측벽의 상부(즉, 경사 부분)에는 용기 본체(1)의 저벽부측으로부터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경사 안내면(7)을 구비하고 있다(도 6 참조).
양옆 위치의 누름 리브(6(6B))는 상기 스택(5)의 근처에 위치된다. 도 5에 도시하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누름 리브(6)에 의하여 틀체(10)를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틀체(10)가 상기 스택(5)에 간섭되지 않고 스택(5)의 바깥쪽으로 안내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1)의 코너부 각각의 모서리 위치에 배치되는 누름 리브(6(6A))에서의 외법면(外法面) 각각을 잇는 가상 외곽 둘레 가장자리는 틀체(10)에서의 내법면(內法面)의 폭에 비해 작지 않고, 틀체(10)가 누름 홈(4)에 끼워 넣어질 때, 누름 리브(6)에 의하여 틀체(10)를 바깥쪽으로 약간 강제적으로라도 확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틀체(10)에서의 주위 각각의 측벽 부분은 인접하는 측벽 부분의 바깥쪽으로 견인, 신장되고, 측벽 부분 각각이 누름 홈(4) 내에 딱 맞게 끼워 넣어져서, 용기 본체(1)와의 조립을 한층 강고하고 안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용기 본체(1)와 틀체(10)의 조립을 설명하면, 용기 본체(1)들이 적절한 개수로 포개어 겹쳐져 있어도, 스택(5)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는 1개의 용기 본체(1)를 꺼내고, 이 꺼낸 용기 본체(1)와 틀체(10)를 조합할 때,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를 용기 본체(1)의 누름 홈(4)에 끼워 넣으면 된다. 틀체(10)를 용기 본체(1)에 끼워 넣을 때, 틀체(10)의 코너부가 용기 본체(1)의 코너부에서의 누름 리브(6)에 맞닿으면, 경사 안내면(7)이 틀체(10)를 바깥쪽으로 확장시키도록 안내하고(도 6 참조), 누름 리브(6)에 의하여 틀체(10)를 바깥쪽으로 확장시킨다. 그리고, 바깥쪽으로 확장된 틀체(10)는 누름 리브(6)의 근처에 있는 스택(5)과는 간섭하지 않고,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가 스택(5)의 바깥쪽으로 위치되어 누름 홈(4) 내에 끼워 넣어진다(도 5 참조). 이때, 스택(5)의 바깥쪽으로 안내된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누름 홈(4)에서의 외측 벽부측에 근접 내지는 맞닿고, 스택(5)에 의한 바깥쪽으로의 눌러 부쳐지는 작용과 아울러, 틀체(10)는 누름 홈(4) 내에 단단히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를 생략했지만, 스택(5)은 용기 본체(1)에서의 코너부의 근처 위치에 설치하지 않고, 측벽의 중간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이 스택(5) 위치의 근처에 누름 리브(6)가 인접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를 생략했지만, 용기 본체(1)는 평면에서의 외곽이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유사하게 스택(5)과 누름 리브(6)가 설치된다. 또한, 용기 본체(1)가, 평면에서의 외곽이 원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스택(5)과 누름 리브(6)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1)에서의 측벽의 중간 위치에 스택(5)과 누름 리브(6)가 설치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스택(5)과 누름 리브(6)가 적절 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택(5)과 누름 리브(6)는 누름 홈(4)에서의 내측 벽부에 설치되는 경우로서 설명했지만, 이들 스택(5)과 누름 리브(6)를 누름 홈(4)에서의 외측 벽부에, 용기 본체(1)의 안쪽으로 팽출하도록 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누름 홈(4) 내에 끼워 넣어지는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는 용기 본체(1)의 안쪽으로 눌러 부쳐져서 누름 홈(4) 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용기 본체(1)에 틀체(10)를 끼워넣어 조립한 후에,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2, 3)내에 밥, 반찬 등과 같은 식품을 수납한 다음에, 용기 본체(1)의 상부를 커버체(20)로 덮어서 진열, 판매, 보관 등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용기 본체 2: 제 1 수납 오목부
3: 제 2 수납 오목부 4: 누름 홈
5: 스택 6: 누름 리브
6A: 모서리 위치의 누름 리브 6B: 양옆 위치의 누름 리브
7: 경사 안내면 10; 틀체
20: 커버체

Claims (6)

  1. 사전에 결정된 깊이의 수납 오목부를 구비한 합성 수지 시트로 성형된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면 홈 형상의 누름 홈(4)에 끼워 넣어져서 용기 본체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체(10)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의 누름 홈에는 포개지는 용기 본체들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면 홈 형상의 스택(5)이 설치되어 있는 식품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틀체(10)를 용기 본체(1)의 누름 홈(4)에 끼워 넣을 때, 틀체(10)의 상부 가장자리를 용기 본체(1)의 스택(5)의 바깥쪽으로 확장시키는 복수의 누름 리브(6A, 6B)가 스택(5) 근처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리브들(6A, 6B)은 용기 본체(1)의 누름 홈(4)의 4개의 코너부의 모서리 위치에 설치되는 누름 리브들(6A) 및 상기 누름 리브(6A)의 양옆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누름 리브들(6B)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서리 위치의 누름 리브(6A)는 단면이 반원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양옆 위치의 누름 리브(6B)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누름 리브들(6A, 6B)에서의 외법면(外法面)을 각각을 잇는 가상 외곽 둘레 가장자리는 틀체(10)에서의 내법면(內法面)의 폭에 비해 작지 않게 설정되며;
    용기 본체(1)의 저벽부측으로부터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경사 안내면(7)이 용기 본체(1)의 측벽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스택(5) 및 누름 리브(6) 각각은 누름 홈(4)의 내측 벽부에서 용기 본체(1)의 바깥쪽으로 팽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품보관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체(20)를 더 포함하는 식품보관용기.
KR2020170000337U 2016-02-12 2017-01-18 식품보관용기 KR20048661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0644U JP3203904U (ja) 2016-02-12 2016-02-12 爪仕切容器
JPJP-U-2016-000644 2016-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45U KR20170002945U (ko) 2017-08-22
KR200486614Y1 true KR200486614Y1 (ko) 2018-06-18

Family

ID=5575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337U KR200486614Y1 (ko) 2016-02-12 2017-01-18 식품보관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03904U (ko)
KR (1) KR2004866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134B1 (ko) 2017-09-08 2019-10-29 (주)아이리빙 분리형 커버 패널부를 구비한 식품 보관용기
JP6967273B2 (ja) * 2017-12-14 2021-11-17 三甲株式会社 樹脂成形品
KR102559193B1 (ko) * 2021-07-26 2023-07-26 주식회사 엔터라인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
JP7420908B1 (ja) 2022-12-26 2024-01-23 エフピコチュ-パ株式会社 食品包装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776B2 (ja) * 1992-08-06 2001-08-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保持用ケース
KR200396186Y1 (ko) 2005-06-21 2005-09-20 동진기업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용기
US20090014443A1 (en) 2007-07-11 2009-01-15 Skaife William A Container and system for cooking foods
JP2012030803A (ja) * 2010-07-28 2012-02-16 Fp Corp 包装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666Y2 (ja) * 1992-12-11 1995-12-06 株式会社大阪ランチ 電磁調理器による加熱調理可能な膳付弁当容器
US6349843B1 (en) * 1999-04-01 2002-02-26 The Vollrath Company Llc Pan removal ramp
US7735674B2 (en) * 2002-03-11 2010-06-15 Cangyang Cai Sealed food box
KR20050073646A (ko) * 2004-01-09 2005-07-18 유동기 발열장치를 이용한 맥반석 도시락
JP3200776U (ja) * 2015-08-24 2015-11-05 株式会社アクタ 食品包装用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776B2 (ja) * 1992-08-06 2001-08-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保持用ケース
KR200396186Y1 (ko) 2005-06-21 2005-09-20 동진기업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용기
US20090014443A1 (en) 2007-07-11 2009-01-15 Skaife William A Container and system for cooking foods
JP2012030803A (ja) * 2010-07-28 2012-02-16 Fp Corp 包装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03904U (ja) 2016-04-21
KR20170002945U (ko)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614Y1 (ko) 식품보관용기
JP5698275B2 (ja) 蓋体と該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JP3200776U (ja) 食品包装用容器
JP6457848B2 (ja) 運搬用容器
US3797730A (en) Two part box
JP6893143B2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製卵容器
JP2014091540A (ja) 包装用容器
JP2005008254A (ja) 包装用容器
JP3200813U (ja) 食品包装用容器
JP3203288U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5886572B2 (ja) 仕切りを備えた包装用容器
JP5461919B2 (ja) シート成形容器
JP7306677B2 (ja) 包装用容器
CN105292667B (zh) 包装箱
KR200383322Y1 (ko) 금속제 용기
JP7011492B2 (ja) 蓋及び容器
JP4406853B2 (ja) 包装用密閉容器
JP3167901U (ja) シャリ塊搬送容器
KR101340429B1 (ko) 포장 박스용 덮개 조립체
JP2007045495A (ja) 薄肉合成樹脂製の包装容器
JP3186387U (ja) 食品収容用容器
JP2012030887A (ja) 蓋体およびその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JP4663393B2 (ja) ダネッジ
JP6408226B2 (ja) 嵌合容器の蓋体
CN211167953U (zh) 烹饪器具的包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