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58Y1 -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58Y1
KR200482158Y1 KR2020160001486U KR20160001486U KR200482158Y1 KR 200482158 Y1 KR200482158 Y1 KR 200482158Y1 KR 2020160001486 U KR2020160001486 U KR 2020160001486U KR 20160001486 U KR20160001486 U KR 20160001486U KR 200482158 Y1 KR200482158 Y1 KR 200482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pedestal
grinding stone
workpiec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순
Original Assignee
이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순 filed Critical 이병순
Priority to KR2020160001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1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 B24B5/307Means for suppor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1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 B24B5/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g. on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며, 공작물(3)과 접하여 공작물(3)의 표면을 연삭하는 주연삭돌(5)과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주연삭돌(5)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공작물(3)의 표면과 접하여 연삭 작업을 수행하는 조정연삭돌(9)과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사이에 구비되며, 공작물(3)을 지지하는 받침대(100)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다이(110)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캠(220)에 의해 상기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조정수단(2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세밀한 조작을 요하는 초정밀 연삭작업에 용이하며, 또한 스페이서 교체의 번거로움이 해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Continuously variable work center height control device of centerless grinding machine}
본 고안은 센터리스연삭기(Centerless gringd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센터리스연삭기는 일반 공작기계에서 공작물을 클램핑하는 것과 달리 공작물을 고정하지 않고 일정한 중심이 없이 외경을 연삭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98809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55131호 등에서 관련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작물의 높이를 조정함에 있어서, 종래의 센터리스연삭기는 서로 다른 크기의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두께로 가공된 스페이서(Spacer)를 일일이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공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미세하고 정밀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못해 초정밀 연삭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298809호 등록특허 제10-0955131호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두께의 공작물 가공을 위해 스페이서를 교체하면서 삽입하는 대신 무단으로 높이를 조정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무단으로 심고를 조정함으로써, 심고각이 조정되므로 초정밀 연삭이 가능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 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공작물과 접하여 공작물의 표면을 연삭하는 주연삭돌과;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주연삭돌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공작물의 표면과 접하여 연삭 작업을 수행하는 조정연삭돌과; 상기 주연삭돌과 조정연삭돌의 사이에 구비되며, 공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다이와; 상기 받침다이의 일측에 구비되며, 캠에 의해 상기 받침대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받침다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중심과 다른 회전중심을 가지는 캠과; 상기 받침대와 캠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대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조정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다이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대가 상기 받침다이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강제하는 조정볼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조정볼트가 관통되는 조정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정핀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핀의 일단이 상기 캠의 외면에 접하도록 강제하는 압력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다이의 일면에는, 상기 압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와 조정핀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패킹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다이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각각 상기 구동축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상기 구동축과 접하는 세기를 조절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는 공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스페이서를 일일이 교체하여 높이를 조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받침대의 높이를 스패너 조작에 따른 캠의 회전운동을 통해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적은 힘을 들이면서 세밀한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의 세밀한 조작을 요하는 초정밀 연삭작업에 용이하며, 또한 스페이서 교체의 번거로움이 해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실시 예를 구성하는 받침대와 조정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받침대와 조정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조정핀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주연삭돌과 조정연삭돌의 설치위치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공작물(3)과 접하여 공작물(3)의 표면을 연삭하는 주연삭돌(5)과,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연삭돌(5)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공작물(3)의 표면과 접하여 연삭 작업을 수행하는 조정연삭돌(9)과,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작물(3)을 지지하는 받침대(100)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다이(110)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캠(220)에 의해 상기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조정수단(2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베이스(1)의 상측에는 다수의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는 주연삭대(7)와 조정연삭대(11)가 각각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의 좌측 상부에는 주연삭대(7)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주연삭대(7)는 상기 주연삭돌(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1)의 우측 상부에는 조정연삭대(11)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정연삭대(11)는 상기 조정연삭돌(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연삭돌(5)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주연삭대(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작물(3)과 접하여 상기 공작물(3)의 표면을 연삭하게 된다.
상기 조정연삭돌(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는 조정연삭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은 좌우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각각 공작물(3)의 표면과 접하여 연삭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사이에는 받침대(10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100)는 공작물(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단은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100)는 받침다이(11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받침다이(110)는,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이(110)의 상단 우측면(도 1에서)에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정수단(200)은, 도 1에서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내측)에 구비되어 캠(220)에 의해 상기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정수단(200)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13)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송수단(13)은 상기 조정연삭대(11)를 좌우(도 1에서)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 사이에 공작물(3)이 쉽게 출입하도록 하고, 상기 공작물(3)과 조정연삭돌(9)의 접촉점 또는 접촉지점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13)은, 상기 조정연삭대(11)의 하측 또는 측방(도 1에서는 전방 또는 후방)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13)은 조정나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엘엠(LM)가이드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연삭돌(5)과 공작물(3)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공작물(3)의 치수를 정밀하게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이송수단(13)의 구성은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받침대(100)와 조정수단(200)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와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조정수단(200)을 구성하는 조정핀(23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수단(200)은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210)과,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중심과 다른 회전중심을 가지는 캠(220)과, 상기 받침대(100)와 캠(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캠(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조정핀(2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210)은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 전후(도 3에서는 좌우)로 길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이(110)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도 2에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받침다이(110)의 내부에 원기둥 형상의 구동축(2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210)의 좌측단(도 3에서)에는 스패너부(15)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패너부(15)는 사용자가 스패너(spanner)나 렌치(wrench)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축(2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패너부(15)의 외면은 육각볼트의 머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패너(spanner)로 돌릴 수 있거나, 외면 중앙부에 육각 또는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렌치(wrench)을 삽입하여 돌릴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210)의 일부에는 캠(220)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 중심과 다른 회전 중심을 가지는 캠(220)이 상기 구동축(210)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캠(220)이 상기 구동축(210)의 2부분에 형성(도 3 참조)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캠(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조정핀(230)이 상하로 유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210)의 중심과 캠(220)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편심량(G)이 되며, 상기 받침대(100)는 이러한 편심량(G)의 2배 만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정핀(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0)와 캠(2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캠(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대(100)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강제하는 조정볼트(1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조정볼트(130)가 관통되는 조정홀(12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받침다이(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받침대(100)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강제하는 조정볼트(130)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이(110)의 상단부에는 조정볼트(130)가 나사 체결된다.
상기 조정볼트(130)는 상기 받침대(100)가 상기 받침다이(110)의 상단부 우측면(도 2에서)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조정볼트(130)가 관통되는 조정홀(120)이 좌우(도 2에서)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정홀(120)은 상하의 길이가 측방의 길이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조정홀(120)의 좌우 크기는 상기 조정볼트(130)의 지름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정홀(12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조정볼트(130)의 지금보다 더 큰 크기(약 2배 정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홀(120)의 상하길이가 좌우길이보다 더 크도록 하는 것은, 상기 조정볼트(130)가 상기 조정홀(120)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다이(110)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정홀(120)의 상하길이가 어느 정도 길게 형성되면, 사용자가 상기 조정볼트(130)의 조임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100)를 상하로 움직이면, 상기 조정홀(120)의 상하 길이만큼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면, 이때 사용자가 상기 조정볼트(130)를 조임으로써, 받침대(100)가 받침다이(110)에 그대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조정홀(120)의 상하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상기 조정볼트(130)를 받침다이(110)로부터 완전히 풀어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정핀(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의 외경이 상반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조정핀(230)은 하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볼트(bolt)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상대적으로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머리부(232)를 형성하며, 이러한 머리부(232)의 상측에는 상기 머리부(23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몸체(234)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조정핀(230)의 몸체(234)와 머리부(232)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지 아니하고,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조정핀(230)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핀(230)의 일단(도 2에서는 하단)이 상기 캠(220)의 외면에 접하도록 강제하는 압력부재(250)가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이(110)에는 상하로 핀홀(240)이 형성된다. 상기 핀홀(240)은 상기 조정핀(230)이 수용되도록 하는 홀(hole)이다. 그리고 이러한 핀홀(240)은 상기 조정핀(230)은 물론, 상기 압력부재(2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정핀(230)이 머리부(232)가 아래를 향하도록 설치되면, 상기 조정핀(230)의 머리부(232)가 상기 캠(220)의 외면에 접하게 되는데, 상기 조정핀(230)이 계속적으로 상기 캠(220)의 외면에 접하도록 캠(220)을 하측(도 2에서)으로 미는 역할을 상기 압력부재(250)가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력부재(25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력부재(25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원통 형상을 가지는 상기 조정핀(230)의 몸체(234)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또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압력부재(250)의 내경은 상기 조정핀(230)의 머리부(232)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져야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홀(240)에 설치되는 조정핀(230)은 머리부(232)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조정핀(230)의 몸체(234) 외면에 상기 압력부재(2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핀(230)의 머리부(232) 외경 크기가 상기 압력부재(250)의 내경 크기보다는 더 크므로, 상기 압력부재(250)가 조정핀(230)의 머리부(232)에 걸려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면(도 2에서는 상면)에는, 상기 압력부재(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26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압력부재(25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홀(240) 내부에서 조정핀(230)의 몸체(234)를 감싸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압축스프링이 상기 핀홀(240)의 상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버(26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26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핀(230)의 몸체(234)만 통과하고 상기 압력부재(250)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홀(hole)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260)는 커버볼트(270)에 의해 상기 받침다이(110)에 체결된다.
상기 커버(26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260)와 조정핀(23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패킹(280)이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60)의 상측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패킹(280)이 상기 조정핀(23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핀(230)의 몸체(234) 외면과 커버(26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윤활유나 이물질 등의 배출이나 유입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수단(3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2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는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설치위치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중심으로부터 공작물(3)이 얼마만큼 높은 곳에 위치되는지를 나타내는 심고(H)가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받침대(100)가 너무 낮게 설치되어 공작물(3)이 아래로 지나치게 내려와 심고(H)가 작게 되면, 공작물(3)이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 사이에서 강한 힘을 받게 되어 찌그러진 상태로 연삭이 진행이 된다.
반대로, 상기 받침대(100)가 너무 높게 설치되어 공작물(3)이 위로 지나치게 올라가 심고(H)가 크게 되면, 공작물(3)이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과의 마찰계수가 줄어 위쪽으로 공작물(3)이 떠오르게 되어 떨림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오히려 진원을 나쁘게 한다.
이와 같이, 공작물(3)의 심고(H)가 적정해야 공작물(3)을 진원으로 가공하기 용이하고, 고정밀의 진원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양한 실험치(경험치)에 의해 상기 받침대(100)의 상단부 경사각(α)은 60도(°)로 형성되고, 상기 공작물(3)의 중심(Q)이 상기 주연삭돌(5)의 중심(O)과 조정연삭돌(9)의 중심(P)을 연결하는 선과 이루는 각(β및γ)의 합이 7~8도(°)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도 5에서 ∠QOP의 크기인 β의 값과 ∠QPO의 크기인 γ의 합(β+γ)이 7~8도(°)가 되는 경우에 공작물(3)의 떨림이나 찌그러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정확한 진원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도 6에는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 구비는 고정수단(300)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이(110)에는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수단(30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구동축(210)이 스패너(spanner)나 렌치(wrench)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받침대(100)의 높이를 설정하고 나면, 그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구동축(210)의 고정을 고정수단(300)이 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일단이 각각 상기 구동축(210)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30)와, 상기 제1고정부재(320)와 제2고정부재(330)가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제1고정부재(320)와 제2고정부재(330)가 상기 구동축(210)과 접하는 세기를 조절하는 고정볼트(340)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는 좌우(도 6에서)를 관통하는 고정홀(310)이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홀(310)는 상기 구동축(210)의 상단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고정홀(31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홀(310)의 좌측(도 6에서)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재(320)와, 상기 고정홀(310)의 우측(도 6에서)에 위치되는 제2고정부재(3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고정부재(320)와 제2고정부재(330)가 구동축(210)에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구동축(210)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접촉면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320)의 우측 하단부와 제2고정부재(330)의 좌측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구동축(210)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면이 형성되어 구동축(210)의 외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고정볼트(340)는 상기 제2고정부재(3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1고정부재(320)에는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340)가 우측(도 6에서)으로부터 상기 제2고정부재(330)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320)에 체결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고정볼트(340)를 조이게 되면 상기 제1고정볼트(340)와 제2고정볼트(340)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상기 제1고정볼트(340) 및 제2고정볼트(340)가 구동축(210)의 외면에 접하는 강도가 세지게 되므로 구동축(210)이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고정볼트(340)를 느슨하게 풀게 되면, 상기 제1고정볼트(340) 및 제2고정볼트(340)가 구동축(210)의 외면에 접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구동축(2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심고(H)를 정확하게 하여야 하므로, 상기 받침대(100)를 상하로 이동시켜 공작물(3)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송수단(13)을 이용하여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간격을 조절하여 즉, 상기 조정연삭돌(9)을 점차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 있는 상기 공작물(3)의 위치를 적절한 상태로 조정하여 적정치수의 공작물(3)로 연삭한다.
그리고 상기 조정볼트(130)를 느슨하게 하여 상기 받침대(100)가 상기 받침다이(1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수단(300)의 고정볼트(340)도 느슨하게 하여 상기 구동축(210)이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스패너나 렌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축(210)을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구동축(210)에 일체로 형성된 캠(22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캠(220)과 접하는 조정핀(230)이 편심량(G)의 2배 만큼 상하로 유동한다. 상기 조정핀(230)의 상하 유동에 따라,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하여 상기 공작물(3)의 위치도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조정과정에 의해 상기 공작물(3)의 중심(Q)이 상기 주연삭돌(5)의 중심(O)과 조정연삭돌(9)의 중심(P)을 연결하는 선과 이루는 각(β및γ)의 합이 7~8도(°)가 되면 정지시킨다. 즉, 도 5에서 ∠QOP의 크기인 β의 값과 ∠QPO의 크기인 γ의 합(β+γ)이 7~8도(°)가 되도록 한 다음 그 상태를 유지시킨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수단(200)의 작동도 정지시켜 상기 조정연삭돌(9)이 그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조정볼트(130)를 조여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고정수단(300)의 고정볼트(340)를 조여 구동축(21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모든 기기가 정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을 회전시키면서 공작물(3)을 상기 받침대(100) 위를 통과(도 1에서는 전후 방향으로)하게 하면,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회전에 따라 공작물(3)도 회전하게 되어 연삭가공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공작물(3)이 연삭되는 치수는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원주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원주면 사이의 거리 조절은 이송수단(13)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최적화된 심고(H) 높이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회전에 따라 공작물(3)이 회전하면서 표면의 돌출 부분이 점차 연마가공되어 무한히 동그란 진원 형상으로 연삭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베이스 3. 공작물
5. 주연삭돌 7. 주연삭대
9. 조정연삭돌 11. 조정연삭대
13. 이송수단 15. 스패너부
100. 받침대 110. 받침다이
120. 조정홀 130. 조정볼트
200. 조정수단 210. 구동축
220. 캠 230. 조정핀
240. 핀홀 250. 압력부재
260. 커버 270. 커버볼트
280. 패킹 300. 고정수단
310. 고정홀 320. 제1고정부재
330. 제2고정부재 340. 고정볼트

Claims (3)

  1.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공작물(3)과 접하여 공작물(3)의 표면을 연삭하는 주연삭돌(5)과,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연삭돌(5)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공작물(3)의 표면과 접하여 연삭 작업을 수행하는 조정연삭돌(9)과,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작물(3)을 지지하는 받침대(100)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다이(110)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캠(220)에 의해 상기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조정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수단(200)은,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구동축(210)과, 상기 구동축(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중심과 다른 회전중심을 가지는 캠(220)과, 상기 받침대(100)와 캠(2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캠(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조정핀(2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대(100)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강제하는 조정볼트(1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조정볼트(130)가 관통되는 조정홀(120)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다이(110)에는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수단(3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조정핀(230)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핀(230)의 일단이 상기 캠(220)의 외면에 접하도록 강제하는 압력부재(2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면에는 상기 압력부재(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2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버(26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260)와 조정핀(23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패킹(28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300)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각각 상기 구동축(210)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30)와, 상기 제1고정부재(320)와 제2고정부재(330)가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제1고정부재(320)와 제2고정부재(330)가 상기 구동축(210)과 접하는 세기를 조절하는 고정볼트(340)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부재(25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내경은 상기 조정핀(230)의 머리부(232)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 원통 형상을 가지는 상기 조정핀(230)의 몸체(234)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머리부(23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조정핀(230)의 머리부(232)에 걸려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며;
    상기 받침대(100)의 상단부 경사각(α)은 60도(°)로 형성되고, 공작물(3)의 중심(Q)이 상기 주연삭돌(5)의 중심(O)과 조정연삭돌(9)의 중심(P)을 연결하는 선과 이루는 각(β및γ)의 합이 7~8도(°)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1486U 2016-03-18 2016-03-18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 KR200482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486U KR200482158Y1 (ko) 2016-03-18 2016-03-18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486U KR200482158Y1 (ko) 2016-03-18 2016-03-18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447 Division 2015-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158Y1 true KR200482158Y1 (ko) 2016-12-22

Family

ID=5770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486U KR200482158Y1 (ko) 2016-03-18 2016-03-18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4935A (zh) * 2017-12-08 2019-06-18 辽宁法库陶瓷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超长、高精密硼硅玻璃管外径加工工艺方法
KR102028879B1 (ko) 2019-01-23 2019-10-04 조기선 소형 부품 가공용 센터리스 연삭기
CN111002125A (zh) * 2019-12-23 2020-04-14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内径可调的通用型内孔磨削工装
CN111055208A (zh) * 2020-01-17 2020-04-24 湖州市善琏双羊湖笔有限公司 笔杆抛光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2064A (ja) * 1987-06-12 1988-12-20 Hitachi Seiko Ltd 研削砥石のドレツシ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H10100067A (ja) * 1996-09-26 1998-04-21 Noritake Co Ltd ダイヤモンドポイントドレッサおよびドレッシング方法
KR100298809B1 (ko) 1998-11-12 2001-10-29 송호근 원통연삭기
KR100955131B1 (ko) 2001-08-14 2010-04-28 베에스하 홀리체 아.에스. 센터리스 원통연삭방법과 장치
KR101250601B1 (ko) * 2011-12-19 2013-04-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시저스 기어
KR20150042577A (ko) * 2013-10-11 2015-04-2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센터리스 연삭기의 백래시 제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2064A (ja) * 1987-06-12 1988-12-20 Hitachi Seiko Ltd 研削砥石のドレツシ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H10100067A (ja) * 1996-09-26 1998-04-21 Noritake Co Ltd ダイヤモンドポイントドレッサおよびドレッシング方法
KR100298809B1 (ko) 1998-11-12 2001-10-29 송호근 원통연삭기
KR100955131B1 (ko) 2001-08-14 2010-04-28 베에스하 홀리체 아.에스. 센터리스 원통연삭방법과 장치
KR101250601B1 (ko) * 2011-12-19 2013-04-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시저스 기어
KR20150042577A (ko) * 2013-10-11 2015-04-2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센터리스 연삭기의 백래시 제거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4935A (zh) * 2017-12-08 2019-06-18 辽宁法库陶瓷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超长、高精密硼硅玻璃管外径加工工艺方法
KR102028879B1 (ko) 2019-01-23 2019-10-04 조기선 소형 부품 가공용 센터리스 연삭기
CN111002125A (zh) * 2019-12-23 2020-04-14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内径可调的通用型内孔磨削工装
CN111002125B (zh) * 2019-12-23 2021-09-21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内径可调的通用型内孔磨削工装
CN111055208A (zh) * 2020-01-17 2020-04-24 湖州市善琏双羊湖笔有限公司 笔杆抛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158Y1 (ko)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
EP2594363B1 (en) Centerless grinding machine
KR102045341B1 (ko) 핸드 그라인더의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DE102009054283B4 (de) Tellerschleifmaschine
KR20200048046A (ko)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US102324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simultaneous centreless cylindrical grinding of multiple workpieces
CN102909632A (zh) 砂带机
RU2015128255A (ru) Способ и круглошлифовальный станок для бесцентрового круглого шлифования
DE112013002353T5 (de) Außenumfangspoliervorrichtung für scheibenförmige Werkstücke
KR102390087B1 (ko)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CN109176302B (zh) 一种用于滚子精研机的油石夹紧进给装置
JP5016122B1 (ja) 測定用治具、ワイヤソー、及びワーク装着方法
JP6268064B2 (ja) レール削正装置
EP3059048B1 (en) Adjustable grinding jig
US38340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abochon
KR20100092600A (ko) 칼날 연마장치
CN202910689U (zh) 砂带机
US20140260873A1 (en) Saw blade tension adjusting apparatus for band saw machine
KR20170024352A (ko) 공압 방식을 이용한 회전 칼날 연마장치
KR101625844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호닝 툴
AT4931U1 (de) Bandschleifmaschine
KR20180095365A (ko) 연마석이 교체 가능한 연마장치
CN219901564U (zh) 一种轴承外圈沟磨床的砂轮修整器
CN103991032A (zh) 一种用于夹持扳手的夹持机构
US3857204A (en) Centerless grin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