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474Y1 -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 - Google Patents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474Y1
KR200472474Y1 KR2020120008216U KR20120008216U KR200472474Y1 KR 200472474 Y1 KR200472474 Y1 KR 200472474Y1 KR 2020120008216 U KR2020120008216 U KR 2020120008216U KR 20120008216 U KR20120008216 U KR 20120008216U KR 200472474 Y1 KR200472474 Y1 KR 200472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701U (ko
Inventor
최재서
최창조
Original Assignee
최창조
최재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조, 최재서 filed Critical 최창조
Priority to KR2020120008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47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7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4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6Focusing binocular pai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10Special mounting grooves in the rim or on th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로 촬영한 두장으로 된 일련의 사진을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해 놓고 사진과 렌즈(142)(144)의 초점거리를 조정하면서 양측사진을 입체적으로 투시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입체 투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입체사진이 배치되는 베이스부재(110)와, 베이스부재(110)의 선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전방부재(120)와, 베이스부재(110)의 후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후방부재(130)와, 전방부재(120) 및 후방부재(130)의 상단을 연결하되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면을 향해 한쌍의 렌즈(142)(144)가 배치되는 투시부재(140)와, 베이스부재(110)와 전방부재(120)의 접속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수용홈(150)과, 하단부가 체결링(220)에 의해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여러장이 묶음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링(220)이 상기 수용홈(15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110)에 면접촉되는 입체사진조립체(200)로 구성된 입체 사진용 입체 투시기를 제공하여 단순한 구조로서 여러 장의 사진을 하나의 투시기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고, 나아가 자원의 낭비를 줄여 에너지 절감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Stereoscope for stereophoto}
본 고안은 입체사진용 입체 투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로 촬영한 두장으로된 일련의 사진을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해 놓고 사진과 렌즈(142)(144)의 초점거리를 조정하면서 양측사진을 입체적으로 투시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입체 투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투시기는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2009-0011932호에는 양안눈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투시부재와, 이 투시부재의 일측으로 접선으로 이어져서 일정한 투시거리를 형성하는 측벽과, 이 측벽의 타측에서 접선으로 이어져서 바닥면에 입체사진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답판과, 이 답판의 일측에서 접선으로 이어져서 입체사진이 인쇄되 있는 제 2답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투시기와 입체사진이 단일체인 종이입체투시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입체 투시기는 답판에 확정적으로 제공되어 있는 사진만을 볼 수 있으므로 사진 제공의 다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이러한 제품의 사용자는 주로 학생들인데 종래기술과 같이 한정된 사진이 미리 고정적으로 제공되어있으므로 한두 차례 보고나면 바로 싫증이 나게 되고 더 이상 보지않게 되므로 다른 사진을 보기 위해서 또 다른 투시기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구매자의 경제적인 손실을 유도하는 것은 물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1994-0004114호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체카드 수납실의 일측으로 지지판과 투시판 및 지지대가 절첩될 수 있도록 연설되었으며, 투시판에는 렌즈(142)(144)를 설한 조절편와 허상방지편이 설하여진 통상의 것에 있어서, 입체카드 수납실의 내부에 수개의 밀림방지돌기에 지지판(2)의 내주벽에 수개의 걸림돌기를 돌설한 과학교육용 3차원카드 입체 투시기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것은 입체사진이 한정적인 문제를 해결하였으나 사진을 교환함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복수의 입체사진 거치를 위한 걸림돌기를 제공하고 있어 서로 다른 크기의 입체사진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입체사진은 통상 평면적인 상태에서 투시되어야 하므로 경사상태로 거치되는 종래 기술은 실질적으로 입체사진의 상을 왜곡하게 되는 것은 물론 투시기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여러장의 사진을 제공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여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줄이고, 에너지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입체사진이 배치되는 베이스부재, 베이스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전방부재와, 베이스부재 의 후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후방부재와, 전방부재 및 후방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면을 향해 한쌍의 렌즈가 배치되는 투시부재와, 베이스부재와 전방부재의 접속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수용홈과, 하단부가 체결링에 의해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여러 장이 묶음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링이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에 면접촉되는 입체사진조립체로 구성된 입체 사진용 입체 투시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사진조립체는 각각의 입체사진의 일측에 넘김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단차부를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부재, 전방부재, 후방부재 및 투시부재는 종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부재 및 후방부재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 접을 수 있도록 각각 절첩선이 제공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는 넘김 작용이 용이하도록 간단하게 구성된 입체사진 조립체를 제공하고 이를 투시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서 여러 장의 사진을 하나의 투시기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고, 나아가 자원의 낭비를 줄여 에너지 절감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상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의 구성을 보이는 결합 상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에서 입체사진조립체의 넘김작용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사진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다른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의 접혀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하의 예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포함하는 단순한 설계의 변경 및 부재의 치환 등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에서 투시기 본체와 입체사진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에서 투시기 본체와 입체사진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투시기 본체(100)와 투시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입체사진 조립체(200)로 구성된다.
투시기 본체(100)는 직사각 형태를 갖는 베이스부재(110)와, 이 베이스부재(110)의 선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전방부재(120) 및 베이스부재(110)의 후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후방부재(130)를 포함한다. 또한, 전방부재(120) 및 후방부재(130)의 상단을 연결하는 투시부재(14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투시기 본체(100)는 종이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방부재(120) 및 후방부재(130)에는 복수의 절첩선(122)(124)(132)(134)이 형성되어 있다. 절첩선은 종이재에 프레싱에 의해 소정의 절곡 가능한 미세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절곡작용에 의해 절단이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투시부재(140)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10)를 향하여 촛점이 고정된 한쌍의 렌즈(142)(144)가 부착되어 있고, 렌즈(142)(144)사이에는 사용자의 콧등을 수용하는 절개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142)(144)는 플라스틱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시부재(140)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110)와 전방부재(120)의 접속부에는 중앙부분이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입체사진 조립체(200)를 수용하는 수용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상기 입체사진 조립체(200)의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입체사진 조립체(200)는 각각 두개의 입체화면(212)(214)을 갖는 여러장의 입체사진(210)이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서, 각각의 하단부가 체결링(220)에 의해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체결되어 묶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링(220)이 상기 수용홈(15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체결링(220)이 수용홈(150)에 삽입되면 입체사진의 제일 뒷장은 베이스부재(110)에 면접촉된다. 입체화면(212)(214)은 하나의 입체사진(210)의 전면 및 후면에 모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양면에 사진을 제공하면 일측의 사진을 모두 본 후에는 반대로 돌려서 다은 사진을 더 감상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사진을 하나의 입체사진 조립체(200)에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체사진 조립체(200)는 각각의 입체사진의 일측에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단차부(216)가 구성된다. 이러한 단차부(216)는 한 장의 사진을 투시한 후 다음장으로 넘기때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사진용 입체 투시기는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체결링(220)을 전방부재와 후방부재 사이의 측면 공간을 통해 상기 수용홈(150)에 삽입하면, 입체사진 조립체(200)가 베이스부재(110)의 면에 밀착된다. 입체사진 조립체(200)는 체결링(220)이 수용홈(150)내에 안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렌즈(142)(144)를 통해 입체사진을 보면 제일 앞쪽의 입체사진을 투시하게 되고, 투시가 끝나면 이미 본 입체사진을 화살표방향으로 당겨 앞으로 넘기면 다음의 입체사진이 나타나게 되고 다시 렌즈(142)(144)를 통해 투시하게 된다. 입체사진을 넘길때는 입체사진(210)의 측면에 제공되는 단차부(146)를 이용하면 쉽게 한 장의 사진을 넘길 수 있다.
사용자는 최초 삽입시 입체사진 조립체(200)를 베이스부재(110)가 아닌 전방부재(120)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 장씩 올려가면서 볼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취향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방부재(120) 및 후방부재(130)에 형성되는 절첩선(122)(124)(132)(134)을 따라 접어 부피를 줄여 보관이 가능하다.
100 : 투시기 본체 110: 베이스부재
120: 전방부재 122, 124: 절첩선
130: 후방부재 132, 134: 절첩선
140: 투시부재 142, 144: 렌즈
146: 절개부 150: 수용홈
200: 입체사진 조립체 210: 입체사진
216: 단차부 220: 체결링

Claims (4)

  1. 입체사진이 배치되는 베이스부재(110)와,
    베이스부재(110)의 선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사용하지 않을때 접을 수 있도록 절첩선(122)(124)이 제공되어 있는 전방부재(120)와,
    베이스부재(110)의 후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사용하지 않을때 접을 수 있도록 절첩선(132)(134)이 제공되어 있는 후방부재(130)와,
    전방부재(120) 및 후방부재(130)의 상단을 연결하되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면을 향해 한쌍의 렌즈(142)(144)가 배치되는 투시부재(140)와,
    베이스부재(110)와 전방부재(120)의 접속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수용홈(150)과,
    하단부가 체결링(220)에 의해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여러장이 묶음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링(220)이 전방부재와 후방부재 사이의 측면 공간을 통해 상기 수용홈(15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110)에 면접촉되는 입체사진조립체(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사진용 입체 투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사진 조립체(200)는 각각의 입체사진의 일측에 넘김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단차부(21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사진용 입체 투시기.
  3. 삭제
  4. 삭제
KR2020120008216U 2012-09-14 2012-09-14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 KR200472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16U KR200472474Y1 (ko) 2012-09-14 2012-09-14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16U KR200472474Y1 (ko) 2012-09-14 2012-09-14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01U KR20140001701U (ko) 2014-03-24
KR200472474Y1 true KR200472474Y1 (ko) 2014-04-30

Family

ID=5148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216U KR200472474Y1 (ko) 2012-09-14 2012-09-14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47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0016A (ja) * 1991-02-07 1994-04-22 C B S Sony Commun:Kk 立体画像用のビュア
JP2520157Y2 (ja) 1992-08-31 1996-12-11 重男 日詰 立体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0016A (ja) * 1991-02-07 1994-04-22 C B S Sony Commun:Kk 立体画像用のビュア
JP2520157Y2 (ja) 1992-08-31 1996-12-11 重男 日詰 立体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01U (ko)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0502B1 (en) Collapsible stereoscopic viewer
WO2017018274A1 (ja)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ビューワー
US6449891B1 (en) Presentation apparatus for artwork
KR200472474Y1 (ko)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
JP6443014B2 (ja) 携帯端末用観察部材
KR20140001702U (ko) 입체사진용 입체투시기
WO1994014099A1 (en) Stereoscopic viewing device
JPS6027371Y2 (ja) 折畳ステレオビユア−
JP2520157Y2 (ja) 立体視装置
JP6926498B2 (ja) 簡易3次元ビューワ
WO1998048313A1 (en) Device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US5894365A (en) Collapsible viewer having an integral reflection print
JP6547471B2 (ja) 映像鑑賞機能付き包装容器
KR200257098Y1 (ko) 양면투시용 입체 투시기
JP3101211U (ja) 折畳式ビューアー
KR200220914Y1 (ko) 입체영상관측기
JPH0743695Y2 (ja) 立体スコープ用フレーム
KR200202574Y1 (ko) 음성발생장치와 입체투시기이 구비된 입체사진책
KR200232300Y1 (ko) 입체 화상용 포토 스티커
BR102014027090A2 (pt)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visualizador de imagens com efeito tridimensional
KR100518190B1 (ko) 직립가능한 카드
KR20120006507U (ko) 입체영상 표시 장치
KR20130093283A (ko) 입체 사진첩
JP3106927U (ja) 立体画像観賞用スコープ
JPH0716914U (ja) 折り畳み式双眼鏡に付設した立体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