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818Y1 - 롤러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818Y1
KR200468818Y1 KR2020130006215U KR20130006215U KR200468818Y1 KR 200468818 Y1 KR200468818 Y1 KR 200468818Y1 KR 2020130006215 U KR2020130006215 U KR 2020130006215U KR 20130006215 U KR20130006215 U KR 20130006215U KR 200468818 Y1 KR200468818 Y1 KR 200468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or
stopper
main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영
Original Assignee
신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영 filed Critical 신기영
Priority to KR2020130006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75Bra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65G21/0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constructed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6Fixed platforms or combs, e.g. bridges betwee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러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호간 나란하게 줄지어 배치되는 다수의 메인 롤러가 제1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 상호간 나란하게 줄지어 배치되는 다수의 대차 롤러가 제2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대차 유닛; 이웃되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으로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밀어 넣을 때는 동작되지 않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뺄 때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물품의 이송을 저지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를 승강시키는 기계식 스토퍼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 컨베이어 장치{roller conveyor apparatus}
본 고안은, 롤러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으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밀어 넣을 때는 스토퍼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고,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뺄 때에는 스토퍼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 롤러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는 여러 개의 롤러를 좁은 간격으로 나열하여 설치한 후 그 위에 물체를 올려 운반하는 기계로서, 현재 산업 전반에 두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롤러 컨베이어 장치에는 중력식과 동력식이 있다. 중력식은 대량 생산 공장, 창고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반해, 동력식은 롤러 자체가 자동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장소를 불문하고 적용될 수 있다. 동력식에 적용되는 롤러의 지름은 중력식에 적용되는 롤러의 지름보다 크다.
한편, 롤러 컨베이어 장치를 운용함에 있어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으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밀어 배치하여 메인 컨베이어 유닛과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상호 인라인(in-line)으로 연결하여 물품 이송에 사용하다가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라인으로부터 뺄 때에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과 컨베이어 대차 유닛 간에 물품 이송을 저지시키는 스토퍼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그래야만 물품의 이송을 효과적으로 저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으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밀어 넣을 때는 스토퍼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물품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뺄 때에는 스토퍼가 동작되도록 하여 물품의 이송이 정지되도록 하는 등 물품의 이송과 정지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는데, 아직까지는 이러한 구조가 적용된 롤러 컨베이어 장치가 제안된 바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6000326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6000517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10396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21838호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으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밀어 넣을 때는 스토퍼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고,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뺄 때에는 스토퍼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 롤러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물품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호간 나란하게 줄지어 배치되는 다수의 메인 롤러가 제1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 상호간 나란하게 줄지어 배치되는 다수의 대차 롤러가 제2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대차 유닛; 이웃되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으로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밀어 넣을 때는 동작되지 않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뺄 때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물품의 이송을 저지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를 승강시키는 스토퍼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 구동 모듈은 기계식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업/다운(up/down) 바아; 상기 업/다운 바아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휠 부재;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 중 상기 휠 부재의 상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동작 시 상기 휠 부재가 이동되도록 궤적을 형성하는 비직선 형상의 휠 부재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 구동 모듈은 상기 업/다운 바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휠 부재 가이드 레일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직선 라인부; 상기 직선 라인부의 양단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 라인부; 및 상기 한 쌍의 경사 라인부의 노출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결합 브래킷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단부가 지지되는 서포팅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 구동 모듈은 전자식으로 구동되며,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용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용 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토퍼 구동 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으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밀어 넣을 때는 스토퍼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고,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뺄 때에는 스토퍼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 롤러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동작에 연동되어 스토퍼가 동작되기 때문에 물품의 이송 또는 정지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품 이송효율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평면 구조로서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으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밀어 넣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평면 구조로서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뺀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동작에 따른 스토퍼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평면 구조로서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으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밀어 넣은 상태의 도면, 도 2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뺀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1의 측면 구조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평면 구조도,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동작에 따른 스토퍼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장치는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의 동작(P1,P2)에 연동되어 스토퍼(130a,130b)가 동작되기 때문에 물품의 이송 또는 정지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품 이송효율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장치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 스토퍼(130a,130b), 그리고 기계식 스토퍼 구동 모듈(140)을 포함한다.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은 물품을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은 물품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호간 나란하게 줄지어 배치되는 다수의 메인 롤러(111)가 제1 이격간격(G1)을 사이에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다수의 메인 롤러(111)는 제1 이격간격(G1)을 두고 2열로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1열의 메인 롤러(111)들을 통해 물품의 이송도 가능하고 2열의 메인 롤러(111)들을 통해 물품의 이송도 가능하기 때문에 물품의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사항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메인 롤러(111)들은 3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사항 모두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호간 이격 배치되어 있는 2대의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 사이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밀어 넣거나(P1, 도 1 참조) 빼면서(P2, 도 2 참조), 스토퍼(130a,130b)들을 동작시키고 있다.
하지만, 도면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1대의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이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면처럼 2대의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과 1대의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이 적용될 경우, 물품의 이송 라인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효율이 좋을 수 있다. 2대의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고 간주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의 일측에는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의 단부가 지지되는 서포팅부재(115)가 마련된다.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도 1처럼 밀어 넣을 때,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의 선단부가 서포팅부재(115)에 지지되기 때문에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의 인입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은 상호간 나란하게 줄지어 배치되는 다수의 대차 롤러(121)가 제2 이격간격(G2)을 사이에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 역시,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과 마찬가지로 제2 이격간격(G2)을 두고 2열로 배치된다.
이와 같을 경우, 1열의 대차 롤러(121)들을 통해 물품의 이송도 가능하고 2열의 대차 롤러(121)들을 통해 물품의 이송도 가능하기 때문에 물품의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은 사이즈가 거대하여 해당 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물인 반면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은 2대의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 사이의 내외 공간(P1,P2)으로 이동되면서 스토퍼(130a,130b)들을 구동시킨다. 즉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도 1처럼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을 때는 스토퍼(130a,130b)들이 다운(down) 동작되고,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도 2처럼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뺄 때는 스토퍼(130a,130b)들이 업(up) 동작되어 물품의 이송을 저지시킨다.
이러한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은 대차 롤러(121)들이 상부에 마련되는 유닛 바디(122)와, 유닛 바디(122)의 일측에 마련되는 손잡이(123)와, 유닛 바디(122)의 하부에 마련되는 대차 바퀴(124)를 포함한다. 손잡이(123)와 대차 바퀴(124)가 마련되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처럼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 사이의 공간으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이동시키면서 넣거나 빼기가 좋다.
한편, 스토퍼(130a,130b)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웃되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과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의 일측에 각각 마련된다. 도 1처럼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의 측면으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밀어 넣을 때는 동작되지 않지만 도 2처럼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의 측면에서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뺄 때에 상부로 돌출되어 물품의 이송을 저지시킨다.
도면부호 130a의 제1 스토퍼는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의 양측에 마련되며, 도면부호 130b의 제2 스토퍼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의 일측에 마련된다. 이들 스토퍼(130a,130b)는 도 2처럼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의 측면에서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뺄 때에 상부로 돌출되면서 제1 이격간격(G1)과 제2 이격간격(G2)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130a,130b)는 위치적인 차이만 있을 뿐 그 동작은 모두 동일하다.
기계식 스토퍼 구동 모듈(140)은 스토퍼(130a,130b)와 연결되어 스토퍼(130a,130b)를 기계식으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도 1처럼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을 때는 스토퍼(130a,130b)들이 다운(down) 동작되고,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도 2처럼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뺄 때는 스토퍼(130a,130b)들이 업(up) 동작되는데, 이처럼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밀거나 당길 때 스토퍼(130a,130b)가 동작되기 때문에 기계식 스토퍼 구동 모듈(140)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식 스토퍼 구동 모듈(1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스토퍼(130a,130b)와 연결되는 업/다운(up/down) 바아(141)와, 업/다운 바아(14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44)와, 업/다운 바아(141)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휠 부재(142)와, 휠 부재(142)와 상호 작용하는 휠 부재 가이드 레일(143)을 포함한다.
제1 스토퍼(130a)는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데, 이 경우, 도 6 및 도 7처럼 업/다운 바아(141), 탄성부재(144) 및 휠 부재(142)는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에 마련되는 반면 휠 부재 가이드 레일(143)은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에 이웃된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에 마련되어 휠 부재(142)와 상호 작용한다.
마찬가지의 조합으로서, 제2 스토퍼(130b)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에 마련되는데, 이 경우, 업/다운 바아(미도시), 탄성부재(미도시) 및 휠 부재(미도시)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에 마련되는 반면 휠 부재 가이드 레일(미도시)은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에 이웃된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전자의 경우에 대해서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업/다운 바아(141)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스토퍼(130a,130b)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업/다운 바아(141)의 업/다운 동작에 연동되어 스토퍼(130a,130b)가 업/다운 동작될 수 있다.
휠 부재(142)는 업/다운 바아(141)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휠 부재 가이드 레일(143)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면서 업/다운 바아(141)를 업/다운 동작시킨다.
탄성부재(144)는 업/다운 바아(141)에 연결되어 업/다운 바아(141)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휠 부재 가이드 레일(143)은 도 1 및 도 2와 같은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의 동작 시 휠 부재(142)가 이동되도록 궤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휠 부재 가이드 레일(143)은 비직선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휠 부재 가이드 레일(143)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직선 라인부(143a)와, 직선 라인부(143a)의 양단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 라인부(143b)와, 한 쌍의 경사 라인부(143b)의 노출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결합 브래킷부(143c)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6처럼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으면(P1) 휠 부재(142)가 휠 부재 가이드 레일(143)의 제일 아랫부분인 직선 라인부(143a)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업/다운 바아(141)가 다운(down)되는 동작을 구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스토퍼(130a)는 다운(down) 동작된다. 제2 스토퍼(130b)의 동작 역시 동일하다.
하지만, 도 2 및 도 7처럼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뺄 때는(P2) 휠 부재(142)가 휠 부재 가이드 레일(143)의 경사 라인부(143b)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업/다운 바아(141)가 업(up)되는 동작을 구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스토퍼(130a)는 업(up) 동작된다. 제2 스토퍼(130b)의 동작 역시 동일하다. 이때는 제1 및 제2 스토퍼(130a,130b)가 모두 업(up) 동작되기 때문에 물품의 이송이 정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의 측면으로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밀어 넣을 때는 스토퍼(130a,130b)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고, 메인 컨베이어 유닛(110)의 측면에서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을 뺄 때에는 스토퍼(130a,130b)가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의 동작에 연동되어 스토퍼(130a,130b)가 동작되기 때문에 물품의 이송 또는 정지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품 이송효율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스토퍼(230a,230b)와 연결되어 스토퍼(230a,230b)를 전자식으로 구동시키는 전자식 스토퍼 구동 모듈(240)과,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 도 1 참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용 센서(260)와, 컨트롤러(250)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토퍼(230a,230b)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기 위해 전자식 스토퍼 구동 모듈(240)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한편, 컨트롤러(250)는 위치 감지용 센서(260)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식 스토퍼 구동 모듈(24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2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251, CPU), 메모리(252, MEMORY), 서포트 회로(25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251)는 본 실시예에서 위치 감지용 센서(260)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식 스토퍼 구동 모듈(24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25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251)와 연결된다. 메모리(25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25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25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25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50)는 위치 감지용 센서(260)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식 스토퍼 구동 모듈(24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250)가 위치 감지용 센서(260)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식 스토퍼 구동 모듈(24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25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25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전자식 스토퍼 구동 모듈(240), 위치 감지용 센서(260) 및 컨트롤러(250)가 적용되더라도 컨베이어 대차 유닛(120)의 동작에 연동되어 스토퍼(230a,230b)가 동작되기 때문에 물품의 이송 또는 정지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품 이송효율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G1 : 제1 이격간격 G2 : 제2 이격간격
110 : 메인 컨베이어 유닛 111 : 메인 롤러
115 : 서포팅부재 120 : 컨베이어 대차 유닛
121 : 대차 롤러 122 : 유닛 바디
123 : 손잡이 124 : 대차 바퀴
130a,130b : 스토퍼 140 : 기계식 스토퍼 구동 모듈
141 : 업/다운 바아 142 : 휠 부재
143 : 휠 부재 가이드 레일 143a : 직선 라인부
143b : 경사 라인부 143c : 결합 브래킷부
144 : 탄성부재

Claims (5)

  1. 물품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호간 나란하게 줄지어 배치되는 다수의 메인 롤러가 제1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메인 컨베이어 유닛;
    상호간 나란하게 줄지어 배치되는 다수의 대차 롤러가 제2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대차 유닛;
    이웃되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으로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밀어 넣을 때는 동작되지 않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을 뺄 때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물품의 이송을 저지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를 승강시키는 스토퍼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구동 모듈은 기계식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업/다운(up/down) 바아;
    상기 업/다운 바아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휠 부재;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측면에서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 중 상기 휠 부재의 상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동작 시 상기 휠 부재가 이동되도록 궤적을 형성하는 비직선 형상의 휠 부재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구동 모듈은 상기 업/다운 바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휠 부재 가이드 레일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직선 라인부;
    상기 직선 라인부의 양단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 라인부; 및
    상기 한 쌍의 경사 라인부의 노출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결합 브래킷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베이어 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단부가 지지되는 서포팅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구동 모듈은 전자식으로 구동되며,
    상기 컨베이어 대차 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용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용 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토퍼 구동 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 장치.
KR2020130006215U 2013-07-25 2013-07-25 롤러 컨베이어 장치 KR200468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15U KR200468818Y1 (ko) 2013-07-25 2013-07-25 롤러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15U KR200468818Y1 (ko) 2013-07-25 2013-07-25 롤러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818Y1 true KR200468818Y1 (ko) 2013-09-03

Family

ID=5139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215U KR200468818Y1 (ko) 2013-07-25 2013-07-25 롤러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220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반송대차 이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834U (ja) * 1992-01-09 1993-07-27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搬送物のストッパ装置
JPH107220A (ja) * 1996-06-20 1998-01-13 Hara Seisakusho:Kk 連結・解除自在な昇降式ロ−ラコンベヤ
JP2009298223A (ja) 2008-06-11 2009-12-24 Ihi Corp 無人搬送車
JP2010509157A (ja) 2006-11-03 2010-03-25 テトラ ラヴァ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エー. 駆動コンベア上で物体を仕分けする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834U (ja) * 1992-01-09 1993-07-27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搬送物のストッパ装置
JPH107220A (ja) * 1996-06-20 1998-01-13 Hara Seisakusho:Kk 連結・解除自在な昇降式ロ−ラコンベヤ
JP2010509157A (ja) 2006-11-03 2010-03-25 テトラ ラヴァ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エー. 駆動コンベア上で物体を仕分けするための装置
JP2009298223A (ja) 2008-06-11 2009-12-24 Ihi Corp 無人搬送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220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반송대차 이송 시스템
KR102124320B1 (ko) * 2018-12-05 2020-06-1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반송대차 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01640B (zh) 一种矫直机钢板输送辊道
JP2011225376A (ja) マルチゲートコンベヤー
WO2017106986A1 (zh) 一种双向轨道输送装置
CN204150550U (zh) 一种矫直机钢板输送辊道
CN104338688A (zh) 一种货物宽度检测装置
CN203806751U (zh) 薄片材料输送装置
KR200468818Y1 (ko) 롤러 컨베이어 장치
CN104139975A (zh) 一种跨不同洁净区间隔墙的轨道输瓶装置
CN103803787A (zh) 基板分断装置
KR101694196B1 (ko)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CN205739308U (zh) 一种上瓶装置及瓶体输送***
CN106586354A (zh) 用于重型堆垛机的存取装置
US10850931B2 (en) Transfer of objects
CN103395590B (zh) 一种楔形块直动式出药装置
CN105109950A (zh) 一种电子管座的输送定位装置
CN104338687A (zh) 一种货物宽度检测装置
CN203833218U (zh) 传送带汇聚导向装置
KR102124320B1 (ko) 반송대차 이송 시스템
CN205471480U (zh) 一种输送台的拐角感应装置
CN203793748U (zh) 一种盒托输送联动装置
CN103662585A (zh) 工件的输送方法和输送装置
JP5964390B2 (ja) コンベヤのアキューム量検出方法および装置
CN104084946B (zh) 一种横走式单边型机械手
CN203497530U (zh) 一种楔形块直动式出药装置
TWI245738B (en) Substrate wai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