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657Y1 - 진공 흡착구 - Google Patents

진공 흡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657Y1
KR200441657Y1 KR2020070010986U KR20070010986U KR200441657Y1 KR 200441657 Y1 KR200441657 Y1 KR 200441657Y1 KR 2020070010986 U KR2020070010986 U KR 2020070010986U KR 20070010986 U KR20070010986 U KR 20070010986U KR 200441657 Y1 KR200441657 Y1 KR 200441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le
vacuum
suction port
vacuum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복
Original Assignee
한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복 filed Critical 한진복
Priority to KR2020070010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6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8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진공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흡착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진공 해제 작동이 용이하여 쉽게 탈착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에 의하면, 흡착판을 유리면 혹은 타일 벽면에 밀착한 후 밀착덮개를 밀게 되면 진공 흡착되므로 사용이 아주 편리함은 물론이고 덮개의 내부에는 충분한 스트로크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압축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덮개와 밀착덮개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긴장감이 더해 진공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밸브수단이 구비되므로 진공 해제가 용이하여 탈착이 보다 쉬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진공 흡착구, 흡착판, 밸브수단, 실린더, 탄성부재

Description

진공 흡착구{Vacuum adhesion pad}
본 고안은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진공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흡착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진공 해제 작동이 용이하여 쉽게 탈착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벽이나 유리면 등에 진공흡착되어 물체(네비게이션 거치대, 휴대폰 거치대 및 각종 생활용품 수납구)를 고정시켜 걸거나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통상 진공 흡착구가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은 종래의 진공 흡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진공 흡착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종래의 진공 흡착구(10)는 유연재질로 형성되어 중앙에 하부로 돌기부(22)가 돌설되고 내면이 만곡진 흡착판(20)과, 상기 흡착판(20)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되 내면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흡착판(20)의 하면 전체를 일정 간격을 두고 덮도록 하고 외면 일부에는 절개부(32)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일 단부에 지지축(34)을 형성하며, 중앙이 관통된 커버(30)와, 상기 커버(30)의 관통공으로 삽입되어져 상기 흡착판(20)의 돌기부(22)와 결합되는 로드(40) 및 상기 커버(30)의 지지축(3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절개부(32)를 통해 로드(40)에 부착되어져 회동 작동에 의해서 상기 로드(40)를 전 후진시키는 작동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진공 흡착구(10)의 작동을 살펴보면, 타일벽 혹은 유리면(200)에 흡착판(20)을 밀착시킨 후 작동부재(50)를 회동시켜 로드(40)를 후진하게 되면 흡착판(20)의 만곡진 내면의 체적이 증가하여 진공상태가 됨과 동시에 유리면(200)에 흡착되는 것이다.
이때, 종래의 진공 흡착구(10)는 초기에는 단단히 압착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착판(20)의 외주면을 통해 미세한 공기의 유입으로 진공 흡입력이 약해지고, 특히 강한 직사광선에 노출된 경우에는 온도의 상승으로 흡착판(20)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여 진공 흡입력이 급격하게 약해져 흡착판(20)이 떨어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이러한 문제는 진공시 이 진공된 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진공 공간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때 계속적인 진공상태의 유지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커버(30)의 외면으로 작동부재(50)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진공 해제가 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흡착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진공 해제 작동이 용이하여 쉽게 탈착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과 가장자리에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면이 만곡진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밀착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과 가장자리에는 상기 흡착판의 제1,2관통공과 각각 연통되도록 상하 관통된 제3관통공 및 제4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4관통공의 상면에는 외부와 직접 연통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관통공의 외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환홈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환홈의 내부로 삽입되는 탄성부재; 상기 덮개의 환홈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측이 개방되어 있되 개방구의 끝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덮개의 제3관통공으로 결합되는 돌기봉이 돌설되는 밀착덮개; 상기 돌기봉의 끝단에 부착되어서 삽입되는 제3관통공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1패킹부재; 상기 덮개의 제3관통공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져 덮개의 환홈으로 결합된 밀착덮개의 걸림턱을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마개; 상기 덮개의 제4관통공의 하부에 나사 결합 혹은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마개; 및 상기 덮개의 제4관통공에 장 착되어져 진공된 상태를 보다 쉽게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판의 하면에는 결합되는 덮개의 밀착부의 외주연을 삽착할 수 있도록 환형의 삽착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덮개의 제4관통공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방 끝단에 부착되어져 제4관통공을 막음하는 제2패킹부재; 상기 실린더의 상면에 부착되어져 제4관통공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실린더와 제4관통공을 밀폐하는 제2마개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에 의하면, 흡착판을 유리면 혹은 타일 벽면에 밀착한 후 밀착덮개를 밀게 되면 진공 흡착되므로 사용이 아주 편리함은 물론이고 덮개의 내부에는 충분한 스트로크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압축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덮개와 밀착덮개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긴장감이 더해 진공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밸브수단이 구비되므로 진공 해제가 용이하여 탈착이 보다 쉬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나”는 분리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는 크게 흡착판(110), 덮개(120), 탄성부재(130), 밀착덮개(140), 제1패킹부재(150), 제1마개(160), 제2마개(170) 및 밸브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흡착판(110)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과 가장자리에는 제1관통공(112)과 제2관통공(114)이 각각 형성되고, 내면은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흡착판(110)의 하면에는 하부로 결합되는 덮개(120)의 밀착부(122)의 외주연을 끼움할 수 있도록 환형의 삽착홈(116)이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120)는 상기 흡착판(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밀착부(122)가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과 가장자리에는 결합된 후 상기 흡착판(110)의 제1,2관통공(112)(114)과 각각 연통되도록 상하 관통된 제3관통공(124) 및 제4관통공(1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4관통공(126)의 상면에는 외부와 직접 연통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절개부(128)가 형성되고, 상기 제3관통공(124)의 외측에는 하측이 개방되며 밀착부(122) 쪽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된 환홈(129)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3관통공(124)은 후술할 밀착덮개(140)의 밀착시 압축률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상기 제4관통공(126)은 후술할 밸브수단(180)의 제2패킹부재(184)가 막음이 용이하도록 상협하광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환홈(129)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통상의 코일 스프링이다.
다음으로, 상기 밀착덮개(140)는 상기 덮개(120)의 환홈(129)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측이 개방되어 있되 개방구의 끝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14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덮개(120)의 제3관통공(124)으로 결합 돌출되는 돌기봉(144)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패킹부재(150)는 상기 돌기봉(144)의 끝단에 부착되어서 삽입되는 제3관통공(124)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킹부재(150)는 제3관통공(124)에 단단히 밀착되도록 그 직경이 상기 제3관통공(124)의 내경과 크기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마개(160)는 상기 덮개(120)의 제3관통공(124) 하부에서 외측으로 나사 결합되어져 덮개(120)의 환홈(129)으로 결합된 밀착덮개(140)의 걸 림턱(142)을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데, 중앙에는 상기 밀착덮개(140)의 외주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밀착덮개(14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162)이 형성되어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마개(170)는 상기 덮개(120)의 제4관통공(126)의 하부에 나사 결합 혹은 억지끼움 되어서 제4관통공(126)의 후방을 밀폐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수단(180)은 상기 덮개(120)의 제4관통공(126)에 장착되어져 진공된 상태를 보다 쉽게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 밸브수단(180)은 크게 실린더(182), 제2패킹부재(184), 손잡이부(186) 및 코일스프링(18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실린더(182)는 상기 덮개(120)의 제4관통공(126)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패킹부재(184)는 상기 실린더(182)의 전방 끝단에 부착되어져 제4관통공(126)의 협소한 상단부를 막음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86)는 상기 실린더(182)의 상면에 부착되어져 제4관통공(126)의 절개부(128)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후술하겠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후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188)은 상기 실린더(182)와 제4관통공(126)을 밀폐하는 제2마개(170) 사이에 개재되어 실린더(182)에 탄성력을 제공토록 구비된다.
이제, 도 5를 참조로 하면, 흡착판(110)의 하면으로 덮개(120)의 밀착부(122)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밀착부(122)의 외주연은 삽착홈(116)으로 삽착되어 단단히 결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판(110)에 형성된 제1관통공(112)은 덮개(120)에 형성된 제3관통공(124)과 연통되고, 제2관통공(114)은 제4관통공(126)과 연통됨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덮개(120)의 환홈(129)에는 탄성부재(130)가 삽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덮개(120)의 환홈(129)으로 밀착덮개(140)가 결합되어져 탄성부재(130)에 의하여 탄성지지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착덮개(140)의 중앙에 돌설된 돌기봉(144)은 그 끝단에 결합된 제1패킹부재(150)와 함께 덮개(120)의 제3관통공(124)으로 돌설되어져 내경에 밀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덮개(140)의 개방부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142)이 덮개에 나사 결합되는 제1마개(160)의 내측 상면에 걸착되므로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돌기봉(144)의 끝단에는 제1패킹부재(150)가 결합되어져 제3관통공(124) 내부에 밀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4관통공(126)에는 밸브수단(180)이 구비되어 있는데, 즉 상기 밸브수단(180)의 실린더(182)는 제4관통공(126) 내부에 구비되어 있되 하면이 코일스프링(188)에 의해서 탄지되어 상측으로 전진된 채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제2패킹부재(184)가 부착되어져 제4관통공(126)을 막음하고 있고, 손잡이부(186)는 절개부(128)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의 작동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6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가 흡착되는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를 유리면(200) 혹은 타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흡착판(110)이 유리면(200)에 향하도록 하여 밀착하게 된다.
계속해서, “나”를 참조로 하면, 사용자는 밀착덮개(140)를 유리면(200) 쪽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밀착덮개(140)의 돌기봉(144) 끝단에 결합되어져 제3관통공(124)에 밀접되어 있는 제1패킹부재(150)의 상승으로 인해 흡착판(110)의 만곡된 내면과 제1,2,3관통공(112)(114)(124)에 있던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로 인해 흡착판(110)은 유리면(200)에 진공 흡착된다. 이때, 상기 밀착덮개(140)와 덮개(1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부재(130)의 복원력이 발생되어도 유리면(200)에 진공 흡착되어 있는 덮개(120)에 의해서 복원되지 않고, 상기 덮개(120)와 밀착덮개(140)는 서로 벌어지려는 힘을 받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내부의 진공 상태는 더욱 우수하므로 흡착된 상태를 더욱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3관통공(124)은 돌기봉(144)에 부착된 제1패킹부재(150)가 충분히 왕복 운동할 스트로크(Stroke)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보다 완벽한 진공 상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지속적인 힘을 제공하여 외부 요인에 의해 소량의 공기 유입이 있더라도 내부의 체적이 변화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진공 흡착 과정에서 덮개의 일측 즉, 제4관통공(126)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수단(180)은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즉, 밀착덮개(140)의 작동으로 인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때 이 공기는 흡착판(110)에 형성된 제2관통공(114)을 통해 제4관통공(126)으로 일부 유입되며 이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실린더(182)는 후방으로 약간 밀리게 된다. 그러면, 이 공기는 상부에 형성된 절개부(128)를 통해서도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이 완료되면 후방으로 밀린 실린더(182)는 코일스프링(188)의 탄성력에 의해 곧 원상태로 복원되어서 계속 제4관통공(126)을 막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가 탈착되는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도 6의 “나”처럼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가 유리면(200)에 단단히 흡착되어 있는 경우 이를 유리면(2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통상 덮개(120) 내지 밀착덮개(140)를 파지하여 반대 방향으로 강하게 당겨야 탈착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탈착 방법은 흡착판(110)이 유리면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으면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탈착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밸브수단(180)를 구비하였다.
즉, 덮개(120)의 절개부(128)로 돌출된 밸브수단(180)의 손잡이부(186)를 잡고 후방으로 당기면 실린더(182)가 제4관통공(126) 내부에서 후퇴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제4관통공(126)을 막음하고 있던 제2패킹부재(184)는 막음을 해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절개부(128)와 제4관통공(126)을 통해 흡착면으로 유입돼 진공 상태를 쉽게 해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진공 흡착구(100)를 쉽게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에 의하면, 흡착판(110)을 유리면(200) 혹은 타일 벽면에 밀착한 후 밀착덮개(140)를 밀게 되면 진공 흡착되므로 사용이 아주 편리함은 물론이고 덮개(120)의 내부에는 충분한 스트로크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압축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덮개(120)와 밀착덮개(140) 사이에는 탄성부재(130)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긴장감이 더해 진공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120)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밸브수단(180)가 구비되므로 진공 해제가 용이하여 탈착이 보다 쉬운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 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진공 흡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진공 흡착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나”는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결합 단면도.
도 6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가 흡착되는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가 탈착되는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진공 흡착구 20 : 흡착판
22 : 돌기부 30 : 커버
32 : 절개부 34 : 지지축
40 : 로드 50 : 작동부재
100 :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 110 : 흡착판
112 : 제1관통공 114 : 제2관통공
120 : 덮개 122 : 밀착부
124 : 제3관통공 126 : 제4관통공
128 : 절개부 129 : 환홈
130 : 탄성부재 140 : 밀착덮개
142 : 걸림턱 144 : 돌기봉
150 : 제1패킹부재 160 : 제1마개
170 : 제2마개 180 : 밸브수단
182 : 실린더 184 : 제2패킹부재
186 : 손잡이부 188 : 코일스프링
200 : 유리면

Claims (3)

  1. 타일벽이나 유리면에 진공 흡착력으로 각종 물체를 걸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통상의 진공 흡착구에 있어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과 가장자리에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면이 만곡진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밀착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과 가장자리에는 상기 흡착판의 제1,2관통공과 각각 연통되도록 상하 관통된 제3관통공 및 제4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4관통공의 상면에는 외부와 직접 연통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관통공의 외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환홈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환홈의 내부로 삽입되는 탄성부재;
    상기 덮개의 환홈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측이 개방되어 있되 개방구의 끝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덮개의 제3관통공으로 결합되는 돌기봉이 돌설되는 밀착덮개;
    상기 돌기봉의 끝단에 부착되어서 삽입되는 제3관통공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1패킹부재;
    상기 덮개의 제3관통공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져 덮개의 환홈으로 결합된 밀착덮개의 걸림턱을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마개;
    상기 덮개의 제4관통공의 하부에 나사 결합 혹은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마 개; 및
    상기 덮개의 제4관통공에 장착되어져 진공된 상태를 보다 쉽게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의 하면에는 결합되는 덮개의 밀착부의 외주연을 삽착할 수 있도록 환형의 삽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덮개의 제4관통공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방 끝단에 부착되어져 제4관통공을 막음하는 제2패킹부재;
    상기 실린더의 상면에 부착되어져 제4관통공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실린더와 제4관통공을 밀폐하는 제2마개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KR2020070010986U 2007-07-04 2007-07-04 진공 흡착구 KR200441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986U KR200441657Y1 (ko) 2007-07-04 2007-07-04 진공 흡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986U KR200441657Y1 (ko) 2007-07-04 2007-07-04 진공 흡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657Y1 true KR200441657Y1 (ko) 2008-08-29

Family

ID=4164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986U KR200441657Y1 (ko) 2007-07-04 2007-07-04 진공 흡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6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04134B (zh) * 2016-08-11 2017-11-01 Ten Sheng Assorted Houseware Co Ltd Suction cup device
TWI688715B (zh) * 2018-10-16 2020-03-21 鐙順實業股份有限公司 吸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04134B (zh) * 2016-08-11 2017-11-01 Ten Sheng Assorted Houseware Co Ltd Suction cup device
TWI688715B (zh) * 2018-10-16 2020-03-21 鐙順實業股份有限公司 吸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761B1 (ko) 진공 흡착구
KR100777364B1 (ko) 공기 펌프식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용 용기
US7329064B2 (en) Liquid cosmetic case
US7648109B2 (en) Sucker that is removed easily and quickly
KR200441657Y1 (ko) 진공 흡착구
KR100886414B1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80111667A (ko) 진공 흡착구
KR101260255B1 (ko)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KR101524412B1 (ko) 진공과 밀폐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JP3118216U (ja) 密封袋の一方向エア弁
US6640400B1 (en) External strap buckling assembly of luggage
KR20090000196U (ko) 진공 흡착구
JP7111409B2 (ja) 両辺押圧型の真空鮮度保持ケース
JP4635859B2 (ja) 圧縮袋の排気バルブ
JP2002295441A (ja) 吸引ポンプ付吸盤
WO2009033313A1 (fr) Soupape d'évacuation d'air
KR100753431B1 (ko) 회전 개폐구를 갖는 흡착구
KR20110105599A (ko) 흡착구
KR100852635B1 (ko)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GB2445840A (en) Suction cup having control handle and valve
WO2019062459A1 (zh) 抽真空杯盖、抽真空杯及抽真空搅拌/粉碎杯
KR20090113157A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0607543B1 (ko)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KR20230118467A (ko) 진공흡착식 거치장치
JP3119333U (ja) 水圧式パイプクリー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