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065A - 줌스위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줌스위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065A
KR20040103065A KR1020030034951A KR20030034951A KR20040103065A KR 20040103065 A KR20040103065 A KR 20040103065A KR 1020030034951 A KR1020030034951 A KR 1020030034951A KR 20030034951 A KR20030034951 A KR 20030034951A KR 20040103065 A KR20040103065 A KR 20040103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zoom
signal
camera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3065A/ko
Publication of KR2004010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줌스위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이 제공된다. 본 복합촬영장치는, 본체, 제1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 카메라부, 제2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 카메라부, 제1 렌즈부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줌모터, 제2 렌즈부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줌모터, 제1 및 제2 카메라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모드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선택스위치부, 줌스위치, 및 제1 및 제2 줌모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하나의 줌스위치를 사용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제1 및 제2 렌즈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어, 사용자는 현재 작동중인 카메라부에 따라 별개의 줌스위치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아울러 줌스위치의 개수가 줄어듬에 따라 촬영장치의 부피도 줄일 수 있어 휴대용 제품의 소형화 추세에도 부합하게 된다.

Description

줌스위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Combination photograping apparatus and method in which one zoom-switch is used}
본 발명은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줌스위치를 사용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부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렌즈부를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할 수 있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스틸카메라(Digital Still Camera:DSC)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한다. 즉, 촬영된 영상을 필름 등에 기록하지 않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여 스캐너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컴퓨터에 디지털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DSC는 퍼스널 컴퓨터와의 호환성이 높아 편집 및 수정이 간편하고, 외부 컴퓨터와 연결하여 찍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DSC는 일반 카메라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어 휴대가 간편하다. 즉, DSC는 렌즈장치와, 메모리장치와, 신호변조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DSC는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용량 등의 이유로 주로 정지영상을 촬영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즉, 일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장시간 촬영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동영상 촬영하고 재생시 음향을 함께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가 없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 및 재생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러한 점을 충족하기 위해,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 및 음향 등을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 예컨대, 캠코더(Camcoder), 즉 디지털비디오카메라(Digital Video Camera:DVC)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 DVC는 렌즈장치와, 신호변환장치와, 촬영된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데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DVC는 주로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매체로 하며, 그 카세트 테이프를 데크장치에 장착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기록하게 된다. 또한, DVC는 마이크장치와 스피커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에다 1시간 이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이러한 DVC도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상술한 DSC의 화질에 비해 떨어지므로, 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DVC는 DSC보다 많은 기능을 가지고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고가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DSC와 DVC 각각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제품을 모두 구입해야 했다. 따라서, 소비자에게는 경제적인 부담이 많았다. 또한, 구입 후에도 각각의 특징적인 기능이 있으므로, 두 제품을 휴대해야 할 경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SC와 DVC를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화한 DSC 일체형 DVC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카메라/캠코더 또는 줄여서 듀오캠(DUOCAM)이라 칭한다.
듀오캠은 DSC용 렌즈부와 DVC용 렌즈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렌즈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별도의 줌스위치가 필요하게 된다. 즉, DSC용 렌즈부를 줌인/줌아웃하기 위한 DSC용 줌스위치와 DVC용 렌즈부를줌인/줌아웃하기 위한 DVC용 줌스위치가 별개로 존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개의 줌스위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렌즈부를 줌인/줌아웃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듀오캠이 현재 DSC로 촬영하고 있는지 아니면 DVC로 촬영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해당되는 별개의 줌스위치을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버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듀오캠의 부피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줌스위치를 사용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부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렌즈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블럭도,
도 3은 줌렌즈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e는 복합카메라부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 내지 도 9은 모드선택스위치부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촬영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01 : DSC신호처리부
121 : 착탈식 IC 메모리카드 131 : 줌스위치
140 : 제어부 150 : 디스플레이부
200 : 복합카메라부 201 : DSC부
202 : DVC부 211 : DSC렌즈부
221 : DSC CCD 231 : DSC렌즈구동부
241 : DSC 줌모터 300 : 모드선택스위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 촬상부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부,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렌즈부 및 상기 제2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 촬상부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부, 상기 제1 렌즈부가 구비하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줌모터, 상기 제2 렌즈부가 구비하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줌모터,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대응되는 동작모드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선택스위치부,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줌인(zoom-in) 및 줌아웃(zoon-out)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줌신호를 출력하는 줌스위치, 및 상기 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작모드신호 및 상기 줌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줌모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합촬영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부를 수납하는 복합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카메라부는 상기 제2 카메라부를 더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부는, 상기 복합카메라부의 회전각도가 제1 범위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카메라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 동작모드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회전각도가 제2 범위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 동작모드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부는, 상기 회전각도가 제3 및 제4 범위인 경우에는 상기 동작모드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촬상부는, 정지영상을 촬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시키는 디지털스틸카메라용 촬상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스틸카메라용 촬상부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촬상부는, 동영상을 포함한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제2 신호로 광전 변환시키는 디지털비디오카메라용 촬상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비디오카메라용 촬상부는, 인터레이스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합촬영방치는 상기 제1 촬상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신호처리하고,소정의 제1 포맷의 신호로 압축하는 제1 신호처리부, 상기 제2 촬상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소정의 제2 포맷의 신호로 압축하는 제2 신호처리부, 상기 제1 포맷의 신호를 저장하는 제1 기록매체, 및 상기 제2 포맷의 신호를 저장하는 제2 기록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포맷은, JPEG 포맷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포맷은, DV 포맷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기록매체는, 내장형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록매체는, 착탈식 IC 메모리 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기록매체는, 자기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 카메라부와 제2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복합카메라부를 구비하는 복합촬영장치의 촬영방법은 (a)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줌인(zoom-in) 및 줌아웃(zoon-out)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복합카메라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대응되는 동작모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줌신호 및 상기 동작모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렌즈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줌모터 및 상기 제2 렌즈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줌모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카메라부는, 정지영상을 촬상하는 디지털스틸카메라일 수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스틸카메라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카메라부는, 동영상을 포함한 영상을 촬상하는 디지털비디오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비디오카메라는, 인터레이스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합촬영장치는 본체(100), 본체(100)에 연결되는 복합카메라부(200), 및 모드선택스위치부(30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합카메라부(200)는 DSC(Digital Still Camera:디지털스틸카메라)부(201) 및 DVC(Digital Video Camera:디지털비디오카메라)부(202)로 구성된다. DSC부(201) 및 DVC부(202)는 촬상하는 영상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DSC부(201)는 DSC렌즈부(211), DSC CCD(221), DSC렌즈구동부(231), 및 DSC줌모터(241)로 구성되며, DVC부(202)는 DVC렌즈부(212), DVC CCD(222), DVC렌즈구동부(232) 및 DVC줌모터(242)로 구성된다.
DSC렌즈부(211)는 3배 광학식 전동 줌렌즈로 마련되며, DVC렌즈부(212)는 10배 광학식 전동 줌렌즈로 마련된다. 도 3은 줌렌즈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줌렌즈는 결상위치를 바꾸지 않고, 화상의 배율을 연속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한렌즈로서, 포커싱 렌즈(51), 베리에이터 렌즈(52), 캄펀세이터 렌즈(53) 및 릴레이 렌즈(54)의 4가지 종류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들 중에서 포커싱 렌즈(51)와 릴레이 렌즈(54)는 고정되게 배치된다. 반면, 베리에이터 렌즈(52)는 포커싱 렌즈(51)와 캄펀세이터 렌즈(53) 사이를 이동해서 초점거리를 바꾸는데, 베리에이터 렌즈(52)가 포커싱 렌즈(51) 방향으로 이동하면 줌배율이 감소(줌아웃)하게 되며, 캄펀세이터 렌즈(53) 방향으로 이동하면 줌배율이 증가(줌인)한다. 캄펀세이터 렌즈(53)는 바리에이터 렌즈(52)에 의한 초점의 이동을 보정하고, 핀트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DSC렌즈구동부(231)는 메인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DSC줌모터(241)를 구동시키며, DSC줌모터(241)는 DSC렌즈부(211)를 구동시켜 줌배율을 변경한다. DSC렌즈부(211)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은 DSC CCD(221)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되고, 변환된 상기 신호는 DSC신호처리블럭(111)으로 전송된다. DSC CCD(221)는 프로그레시브스캔 방식을 사용한다.
DVC렌즈구동부(232)는 메인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DVC줌모터(242)를 구동시키며, DVC줌모터(242)는 DVC렌즈부(211)에 마련된 바리에이터 렌즈 및 캄펀세이터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줌배율을 변경한다. DVC렌즈부(212)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은 DVC CCD(222)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되고, 변환된 상기 신호는 DVC신호처리블럭(112)으로 전송된다. DVC CCD(222)는 인터레이스스캔 방식을 사용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복합카메라부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복합카메라부(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본체(100)의 측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100)에 대한 복합카메라부(200)의 회전각도에 따라 복합카메라부(200)에 구비된 DSC부(201) 및 DVC부(202) 중 어느 하나가 촬상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X축의 왼쪽을 기준으로 상하 45도 각도의 범위내(R)에 위치하는 카메라부가 촬상을 수행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e에는 사용자가 복합카메라부(200)를 시계방향으로 45도씩 회전시키는 동안에 나타나는 복합카메라부(200)의 위치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복합카메라부(200)에 내장되어 있는 DSC렌즈부(211), DSC CCD(221), DVC렌즈부(212), 및 DVC CCD(222)를 점선으로 도시하였고, 설명의 편의상 DSC렌즈구동부(231), DSC줌모터(241), DVC렌즈구동부(232) 및 DVC줌모터(242)는 생략하였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DSC렌즈부(211) 및 DSC CCD(221)가 X축의 왼쪽을 기준으로 상하 45도 각도의 범위내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DSC부(201)가 촬상을 수행하게 되는 DSC동작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X축의 왼쪽을 기준으로 상하 45도 각도의 범위내(R)에 위치하는 카메라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어느 카메라부도 촬상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면, DVC렌즈부(212) 및 DVC CCD(222)는 X축의 왼쪽을 기준으로 상하 45도 각도의 범위내(R)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X축의 왼쪽을 기준으로 상하 45도 각도의 범위내(R)에 위치한 DVC부(202)가 촬상을 수행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복합촬영장치의 주몸체(Main Body)로서, 복합카메라부(200) 및 모드선택스위치부(300)에 구비되는 장치들을 제외한 나머지 장치들을 내장 및 마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DSC신호처리부(101), DVC신호처리부(102), 착탈식 IC 메모리카드(121), 자기테이프(122), 키입력부(130), 제어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 등이 본체(100)에 내장 및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은 반드시 본체(100)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0)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DSC신호처리부(101)는 DSC신호처리블럭(111) 및 비디오신호처리블럭(181)으로 구성된다. DSC신호처리블럭(111)은 DSC CCD(22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디지털 정지영상데이터를 출력하며, DSC제어부(142)의 제어에 의해 색상, 색의 진함, 밝기, 촬영시 셔터의 속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비디오신호처리블럭(181)는 DSC신호처리블럭(111)으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정지영상데이터를 JPEG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한다. JPEG 포맷의 데이터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121)에 저장된다.
DVC신호처리부(102)는 DVC신호처리블럭(112) 및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블럭(182)으로 구성된다. DVC신호처리블럭(112)은 DVC CCD(22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필드 단위로 처리하여 디지털 동영상데이터를 출력하며, 메인제어부(141)의 제어에 의해 색상, 색의 진함, 밝기, 촬영시 셔터의 속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비디오/오디오신호처리블럭(182)은 DVC신호처리블럭(112)으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동영상데이터를 DV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한다. DV 포맷의 데이터는 VCR데크(124)를 통해 자기테이프(122)에 저장된다.
키입력부(130)에는 DSC렌즈부(211) 및 DVC렌즈부(212)를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하기 위한 신호를 메인제어부(141)로 출력하는 줌스위치(131)가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줌스위치(131)를 통해 줌인을 선택하면 줌스위치(131)는 줌인 신호를, 줌아웃을 선택하면 줌아웃 신호를 메인제어부(141)로 출력하게 된다.
표시문자 발생부(173)는 메인제어부(141)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부(150)의 특정 위치에 특정문자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1394인터페이스부(191)는 다른 외부의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며, 주로 PC와 인터페이스하는데 사용된다.
제어부(140)는 메인제어부(141) 및 DSC제어부(142)로 구성된다. 메인제어부(141)은 키입력부(130)에 마련된 줌스위치(131)로부터 줌인 신호 및 줌아웃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면, 모드선택스위치부(300)로부터 수신한 동작모드신호에 기초하여, 현재의 동작모드가 DSC동작모드 및 DVC동작모드 중 어느 동작모드인지를 판단한다. DSC동작모드로 판단되었다면 메인제어부(141)는 DSC렌즈구동부(231)가 DSC줌모터(241)를 구동시켜 DSC렌즈부(211)가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DVC동작모드로 판단되었다면 메인제어부(141)는 DVC렌즈구동부(232)가 DVC줌모터(242)를 구동시켜 DVC렌즈부(212)가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복합촬상장치에는 DSC렌즈부(211)와 DVC렌즈부(212)가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만, 사용자는 줌인/줌아웃하기 위해 현재 DSC부(201)와 DVC부(202) 중 어느 카메라부로 촬상이 수행중인지를 확인하여 별개의 줌스위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데, 복합촬영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줌인/줌아웃 명령이 있으면, 현재 촬상을 수행하고 있는 카메라부의 렌즈부를 줌인/줌아웃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모드선택스위치부(300)는 복합카메라부(200)와 연동하여 동작을 하도록 설치되며, 모드선택스위치부(300)는 복합카메라부(200)의 회전각도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모드신호를 메인제어부(141)로 출력하고, 메인제어부(141)는 동작모드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C렌즈부(211) 및 DSC CCD(221)가 X의 왼쪽을 기준으로 상하 45도 각도의 범위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모드선택스위치부(300)가 DSC동작모드신호를 메인제어부(141)로 출력하고, 제어부(140)는 DSC부(201)를 작동시키며, DVC부(202)는 오프시킨다. 한편,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DVC렌즈부(212) 및 DVC CCD(222)가 X의 왼쪽을 기준으로 상하 45도 각도의 범위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모드선택스위치부(300)가 DVC동작모드신호를 메인제어부(141)로 출력하고, 제어부(140)는 DVC부(202)를 작동시키며, DSC부(201)는 오프시킨다.
도 5 내지 도 8은 모드선택스위치부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모드선택스위치부(300)의 일 예인 절환스위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절환스위치는 본체(100)에 마련된 제1 및 제2 접속패턴(161,162)과, 상기 접속패턴(161,162)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도록 복합카메라부(200)에 마련된 접속단자(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본체(100)와 복합카메라부(200) 각각은 구멍(h1,h2)을 마주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따라서, 접속단자(230)는 본체(100)에 대한 복합카메라부(200)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제1 접속패턴(161) 또는 제2 접속패턴(162)에 접촉된다. 여기서, 제1 접속패턴(161)은 메인제어부(141)의 제1 포트에 연결되고, 제2 접속패턴(162)은 메인제어부(141)의 제2 포트에 연결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절환스위치에 의해 DSC부(201)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230)가 제1 접속패턴(161)에 접촉되면, 즉 복합카메라부(200)의 회전각도가 제1 범위(접속단자(230)가 X축의 왼쪽을 기준을 상하 90도의 범위 내)인 경우는 , DSC부(201)를 작동시키기 위한 DSC동작모드신호인 2진신호 '1'이 메인제어부(141)의 제1 포트로 출력되고, 메인제어부(141)의 제2 포트로 2진신호 '0'이 출력된다. 따라서 DSC부(201)에 의해 촬상이 수행되는 DSC동작모드가 선택되며, 제어부(140)는 DSC부(201)를 작동시키고, DVC부(202)는 오프시킨다.
또한, 접속단자(230)가 제2 접속패턴(162)에 접촉되면, 즉 복합카메라부(200)의 회전각도가 제2 범위(접속단자(230)가 A축의 오른쪽을 기준을 상하 90도의 범위 내)인 경우는 , DVC부(202)를 작동시키기 위한 DVC동작모드신호인 2진신호 '1'이 메인제어부(141)의 제2 포트로 출력되고, 메인제어부(141)의 제1 포트로 2진신호 '0'이 출력된다.
도 7는 도 2의 모드 감지부(300)의 일 예로 절환스위치를 설명에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절환스위치는 본체(100)에 마련된 제1 및 제2 접속패턴(161,162) 외에, 제3 및 제4 접속패턴(163,164)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접속패턴(161~164)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도록 복합카메라부(200)에 마련된 접속단자(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단자(230)는 본체(100)에 대한 복합카메라부(200)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제1 내지 제4 접속패턴(161~164)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된다. 여기서, 제1 접속패턴(161)은 메인제어부(141)의 제1 포트에 연결되고, 제2 접속패턴(162)은 메인제어부(141)의 제2 포트에 연결되며, 제3 및 제4 접속패턴(163,164)은 메인제어부(141)의 포트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절환스위치에 의해 어느 카메라부도 선택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230)가 제3 접속패턴(163)에 접촉되면, 즉 복합카메라부(200)의 회전각도가 제3 범위(접속단자(230)가 Y축의 위쪽을 기준을 좌우 45도의 범위 내)인 경우는 메인제어부(141)의 포트로 동작모드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는, 접속단자(230)가 제4 접속패턴(164)에 접촉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동작모드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140)는 작동중인 카메라부를 오프하게 되므로 DSC부(201) 및 DVC부(202) 모두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접속패턴(161~164)이 90도 각도 간격으로 마련되었다고 가정한다면, 접속단자(230)가, A축의 왼쪽을 기준으로 상하 45도 각도 상에 위치하면 DSC부(201)가, A축의 오른쪽을 기준으로 상하 45도 각도 상에 위치하면 DVC부(202)가 작동하며, Y축의 위쪽을 기준으로 좌우 45도 각도 상에 위치하거나, Y축의 아래쪽을 기준으로 좌우 45도 각도 상에 위치하면 어느 카메라부도 작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Y축을 기준으로 좌우 45도 각도 상에서 모든 카메라부가오프되도록 한 것은, 사용자가 줌기능을 설정하여 DSC 및 DVC 렌즈부(211,212)가 복합카메라부(20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복합카메라부(200)를 회전시킬때, 상기 렌즈부(221,222)가 본체(10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도 2의 모드 감지부(300)의 또 다른 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합카메라부(200)가 본체(100)와 접촉되는 면에 모드스위치부(310)가 마련되어 있고, 모드스위치부(310)에는 DSC모드스위치(311) 및 DVC모드스위치(312)가 마련되어 있다. DSC모드스위치(311)는 메인제어부(141)의 제1 포트에 연결되고, DVC모드스위치(312)는 메인제어부(141)의 제2 포트에 연결된다. 복합카메라부(200)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면, 복합카메라부(200)에 마련된 모드스위치부(310), DSC모드스위치(311), 및 DVC모드스위치(312)도 함께 회전한다.
DSC모드스위치(311)는 d1 및 d2 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DSC모드스위치(311)가 d1 범위(Y축의 아래쪽을 기준으로 좌우 45도)에 위치하게 되면 DSC부(201)를 작동시키기 위한 DSC동작모드신호인 2진신호 '1'이 메인제어부(141)의 제1 포트로 출력되고, 메인제어부(141)의 제2 포트로 2진신호 '0'이 출력된다. 한편, DVC모드스위치(312)는 d3 및 d4 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DVC모드스위치(312)가 d3 범위(Y축의 아래쪽을 기준으로 좌측 90도)에 위치하게 되면 DVC부(202)를 작동시키기 위한 DVC동작모드신호인 2진신호 '1'이 메인제어부(141)의 제2 포트로 출력되고, 메인제어부(141)의 제1 포트로 2진신호 '0'이 출력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촬영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줌스위치(131)로부터 줌인 또는 줌아웃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500). S500단계에서 줌인(zoom-in) 명령이 검출되면, 메인제어부(141)는 모드선택스위치부(300)로부터 수신한 동작모드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모드를 판단한다(S510). S510 단계에서 DSC동작모드로 판단되면 DSC렌즈부가 줌인되며(S511), S510 단계에서 DVC동작모드로 판단되면 DVC렌즈부가 줌인된다(S513).
한편, S500단계에서 줌아웃(zoom-out) 명령이 검출되면, 메인제어부(141)는 모드선택스위치부(300)로부터 수신한 동작모드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모드를 판단한다(S520). S520 단계에서 DSC동작모드로 판단되면 DSC렌즈부가 줌아웃되며(S521), S520 단계에서 DVC동작모드로 판단되면 DVC렌즈부가 줌아웃된다(S52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줌스위치를 사용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부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렌즈부를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복합촬영장치가 현재 제1 카메라부로 촬영하고 있는지 아니면 제2 카메라부로 촬영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해당되는 별개의 줌스위치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아울러 줌스위치의 개수가 줄어듬에 따라 촬영장치의 부피도 줄일 수 있어 휴대용 제품의 소형화 추세에도 부합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 촬상부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부;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렌즈부 및 상기 제2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 촬상부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부;
    상기 제1 렌즈부가 구비하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줌모터;
    상기 제2 렌즈부가 구비하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줌모터;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대응되는 동작모드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선택스위치부;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줌인(zoom-in) 및 줌아웃(zoon-out)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줌신호를 출력하는 줌스위치; 및
    상기 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작모드신호 및 상기 줌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줌모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부를 수납하는 복합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카메라부는 상기 제2 카메라부를 더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부는, 상기 복합카메라부의 회전각도가 제1 범위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카메라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 동작모드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회전각도가 제2 범위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 동작모드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부는, 상기 회전각도가 제3 및 제4 범위인 경우에는 상기 동작모드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부는, 정지영상을 촬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시키는 디지털스틸카메라용 촬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스틸카메라용 촬상부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상부는, 동영상을 포함한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제2 신호로 광전 변환시키는 디지털비디오카메라용 촬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비디오카메라용 촬상부는, 인터레이스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소정의 제1 포맷의 신호로 압축하는 제1 신호처리부;
    상기 제2 촬상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소정의 제2 포맷의 신호로 압축하는 제2 신호처리부;
    상기 제1 포맷의 신호를 저장하는 제1 기록매체; 및
    상기 제2 포맷의 신호를 저장하는 제2 기록매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은, JPEG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맷은, DV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매체는, 내장형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매체는, 착탈식 IC 메모리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매체는, 자기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16.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 카메라부와 제2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복합카메라부를 구비하는 복합촬영장치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줌인(zoom-in) 및 줌아웃(zoon-out)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복합카메라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대응되는 동작모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줌신호 및 상기 동작모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렌즈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줌모터 및 상기 제2 렌즈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줌모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부는, 정지영상을 촬상하는 디지털스틸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스틸카메라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부는, 동영상을 포함한 영상을 촬상하는 디지털비디오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비디오카메라는, 인터레이스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KR1020030034951A 2003-05-30 2003-05-30 줌스위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KR20040103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951A KR20040103065A (ko) 2003-05-30 2003-05-30 줌스위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951A KR20040103065A (ko) 2003-05-30 2003-05-30 줌스위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065A true KR20040103065A (ko) 2004-12-08

Family

ID=3737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951A KR20040103065A (ko) 2003-05-30 2003-05-30 줌스위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30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414B1 (ko) * 2007-01-31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복합영상장치 및 그의 ui 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02A (ja) * 1992-06-30 1994-01-28 Aiwa Co Ltd カメラ装置
JPH07170438A (ja) * 1993-09-29 1995-07-04 Canon Inc 撮像装置
KR960043774A (ko) * 1995-05-09 1996-12-23 김광호 촬상장치
JPH11196309A (ja) * 1997-12-25 1999-07-21 Canon Inc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のスイッチ
JP2003008959A (ja) * 2001-06-22 2003-01-10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モード選択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02A (ja) * 1992-06-30 1994-01-28 Aiwa Co Ltd カメラ装置
JPH07170438A (ja) * 1993-09-29 1995-07-04 Canon Inc 撮像装置
KR960043774A (ko) * 1995-05-09 1996-12-23 김광호 촬상장치
JPH11196309A (ja) * 1997-12-25 1999-07-21 Canon Inc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のスイッチ
JP2003008959A (ja) * 2001-06-22 2003-01-10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モード選択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414B1 (ko) * 2007-01-31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복합영상장치 및 그의 ui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6195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wo display panel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256944B2 (en) Compact image capture assembly using multiple lenses and image sensors to provide an extended zoom range
EP1575277A1 (en) Camcorder
US20060187322A1 (en) Digital camera using multiple fixed focal length lenses and multiple image sensors to provide an extended zoom range
US20040095473A1 (en) Image-captur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view angle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9086175A (ja) 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4028511B2 (ja) 解像度を自動に設定する撮影装置及びその方法
JP3885968B2 (ja) 複合撮影装置及び方法
KR20040104237A (ko) 압축방식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촬영장치 및 방법
JP4280337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846449B1 (ko) 휴대용 복합장치의 웹 카메라 모드 설정방법
KR20040103065A (ko) 줌스위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JP3774308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481526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제어방법
JP3382296B2 (ja) 撮像装置
JP200814123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248904A (ja) 実像式観察光学系、撮影鏡胴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20040099870A (ko) 복합촬영장치 및 방법
JP2003134462A (ja) 撮像装置
JP4075723B2 (ja) ビデオカメラ
KR20050090807A (ko) 촬영모드 및 출력모드에 따라 영상신호의 출력경로 및출력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출력제어방법
KR20040099873A (ko) 복합촬영장치 및 방법
KR100920720B1 (ko) 영상 촬영장치
JP200209486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80835A (ja) 携帯型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