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526B1 -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526B1
KR100481526B1 KR10-2002-0071425A KR20020071425A KR100481526B1 KR 100481526 B1 KR100481526 B1 KR 100481526B1 KR 20020071425 A KR20020071425 A KR 20020071425A KR 100481526 B1 KR100481526 B1 KR 100481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e
unit
video camera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238A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5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촬영키가 마련된 입력부와,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프 카세트 및 정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가 장/탈착 가능한 본체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한 카메라부와, 카메라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모드감지부 및 촬영키 신호가 수신되면, 모드감지부의 출력신호를 확인하여 촬영모드가 스틸카메라 모드인지 비디오카메라 모드인지 판단하고, 촬영모드가 스틸카메라 모드인 경우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영상데이터가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촬영모드가 비디오카메라 모드인 경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영상데이터가 테이프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전용으로 촬영할 수 있는 렌즈 및 CCD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영상의 해상도 및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Digital video camera integrated with digital still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기능을 일체화 시킨 디지털 스틸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이하 'DSC'라 한다)는 렌즈를 통해 입사는 영상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을 독출(read)하여 프린트하거나 컴퓨터로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다. DSC는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용량 등의 이유로 주로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데 사용된다.
한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이하 'DVC'라 한다)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 및 음향을 자기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영상 기록/재생장치이다. DVC는 일반적으로 동영상을 기록/재생하는 장치로서,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지만 DSC에 비해 화질이 떨어진다.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DVC를 사용하고, 정지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DSC를 사용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모두 기록하기 원하는 경우 DVC 및 DSC를 모두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DVC와 DSC를 일체화시킨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DVC렌즈(10), DVC CCD(20), 버퍼메모리(30), 입력부(40), 정지영상 압축부(50), 플래시메모리(60), 동영상 압축부(70), 테이프(80) 및 제어부(90)를 구비한다.
DVC CCD(20)는 DVC렌즈(10)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버퍼메모리(30)는 DVC CCD(20)의 출력신호를 일시 저장한다.
입력부(40)는 스틸카메라 모드 또는 비디오카메라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녹화 키(42), 포토키(44) 및 다수의 기능키(미도시)를 구비한다.
정지영상 압축부(50)는 버퍼메모리(30)로부터 전송되는 정지영상을 JPEG와 같은 정지영상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 변환한다.
플래시 메모리(60)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며, 정지영상 압축부(50)에 의해 압축 변환된 정지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한다.
동영상 압축부(70)는 버퍼메모리(30)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을 MPEG와 같은 동영상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 변환한다.
테이프(80)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며, 동영상 압축부(70)에 의해 압축 변환된 동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90)는 입력부(40)에 구비된 녹화키(42) 및 포토키(44)의 선택신호에 따라 버퍼메모리(3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60) 또는 테이프(80)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상장치 및 촬상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장치가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즉, 비디오카메라의 기능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즉, DVC렌즈(10)를 통해 촬상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DVC CCD(20)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 경우 DVC CCD(20)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영상의 경우 해상도 및 영상의 화질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정지영상의 경우 영상의 화질 및 해상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상하고, 촬상한 영상을 버퍼메모리(30)에 저장한 후 녹화키(42)가 입력되면 버퍼메모리(3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압축 변환하여 테이프(80)에 저장시킨다. 반면에 포토키(44)가 입력되면 버퍼메모리(3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압축 변환하여 플래시 메모리(60)에 저장시킨다.
따라서,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 하므로 녹화키(42) 또는 포토키(44) 중 어느 하나 만으로 영상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60) 또는 테이프(80)로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없다. 즉, 녹화키(42) 또는 포토키(44) 하나 만을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90)는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60)로 또는 테이프(80) 중 어떤 저장매체로 저장해야 할지를 판단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스틸카메라 모드 및 비디오카메라 모드를 구별하기 위해 별도의 키를 구비해야 하므로 조작상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및 CCD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영상의 해상도 및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스틸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촬영키가 마련된 입력부와,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프 카세트 및 정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가 장/탈착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모드감지부 및 상기 촬영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모드감지부의 출력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촬영모드가 스틸카메라 모드인지 비디오카메라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촬영모드가 상기 스틸카메라 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모드가 상기 비디오카메라 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테이프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상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촬영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모드감지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각도를 기초로 상기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드감지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시 180도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부에 대응되는 촬영모드를 감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프 카세트 및 정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가 장/탈착 가능한 본체와, 촬영키가 마련된 입력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모드감지부 및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방법은,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a) 단계와, 상기 촬영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a) 단계의 감지결과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촬영모드가 스틸카메라 모드인지 비디오카메라 모드인지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촬영모드가 상기 스틸카메라 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모드가 상기 비디오카메라 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테이프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각도를 기초로 상기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시 180도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부에 대응되는 촬영모드를 감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00)는 본체(110), 카메라부(120), 디스플레이수단(130), 키입력부(140), 모드감지부(150), A/D 변환부(160), 정지영상 압축부(170), 플래시 메모리(175), 동영상 압축부(180), 테이프(185) 및 제어부(190)를 구비한다.
본체(110)에는 동영상을 기록하기 위한 테이프 카세트가 장/탈착 되는 무빙데크(미디시)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10)에는 정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가 장/탁착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카메라부(12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121)과,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 및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를 구비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는 DSC 렌즈(123a), DSC CCD(123b) 및 DSC 구동부(123c)를 구비한다.
DSC 렌즈(123a)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피사체의 상(image)을 입력받는 포커스렌즈(미도시)와 피사체를 확대/축소하는 줌잉(zooming) 기능을 수행하는 줌렌즈(미도시)를 포함한다.
DSC CCD(123b)는 DSC 렌즈(123a)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DSC CCD(123b)는 프로그레시브 스캔방식으로 데이터를 스캐닝 한다.
DSC 구동부(123c)는 후술할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DSC CCD(123b)를 구동시킨다. 영상 촬영모드가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스틸카메라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는 DSC 구동부(123c)를 제어하여 DSC CCD(123b)를 구동시킨다.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는 DVC 렌즈(125a), DVC CCD(125b) 및 DVC 구동부(125c)를 구비한다.
DVC CCD(125b)는 DVC 렌즈(125a)를 통해 입사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전지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DVC CCD(125b)는 인터레이스 스캔방식으로 데이터를 스캐닝 한다.
DVC 구동부(125c)는 후술할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DVC CCD(125b)를 구동시킨다. 영상 촬영모드가 동영상을 촬영하는 비디오카메라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는 DVC 구동부(125c)를 제어하여 DVC CCD(125b)를 구동시킨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1에서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의 DSC 렌즈(123a)가 촬영방향(A)을 향하도록 하우징(121)의 일단에 노출되게 설치되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의 DVC 렌즈(125a)는 하우징(121)의 반대측 타단에 설치된다. 즉,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는 회전축(X)을 기준으로 180도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는 회전축(X)을 기준으로 180도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하우징(121)이 180도 회전되면 카메라(123)(125)의 위치는 서로 바뀌게 된다.
디스플레이수단(130)은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며, 본체(110)에 마련되어 DSC 렌즈(123a) 또는 DVC 렌즈(125a)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뷰파인더(131)와 본체에 마련된 LCD 패널(133)를 구비한다.
키입력부(140)에는 정지영상 촬영명령 및 동영상 촬영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버튼인 촬영키(142)가 마련된다.
모드감지부(150)는 카메라부(1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촬영모드를 감지한다. 모드감지부(150)는 본체(110)에 대한 카메라부(120)의 회전각도에 따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에 대응되는 촬영모드를 감지한다. 모드감지부(150)는 카메라부(120)의 회전시 180도 각도를 기준으로 카메라부(120)에 대응되는 촬영모드를 감지한다.
모드감지부(15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 중 어느 하나는 온(ON) 시키고, 나머지 하나는 오프 시키는 절환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모드감지부의 일 예로 절환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절환스위치는 본체(110)에 마련된 제1 및 제2접속패턴(151, 153)과, 상기 제1 및 제2접속패턴(151, 153) 중에서 어느 하나와 접속되도록 하우징(121)에 마련된 접속단자(155)를 포함한다. 본체(110)와 하우징(121) 각각은 홀(h1, h2)을 마주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접속단자(155)는 본체(110)에 대한 하우징(121)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제1접속패턴(151) 또는 제2접속패턴(153)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패턴(151)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에 연결되고, 제2접속패턴(153)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에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접속단자(155)가 제1접속패턴(151)에 접촉되는 위치에 있으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는 온 상태가 되고,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는 오프 상태가 된다. 제1 및 제2접속패턴(151, 153)은 약 180도 각도 상에서 접속단자(155)와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하우징(121) 즉, 카메라부(20)의 본체(110)에 대한 모든 회전각도 상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 중 어느 하나는 구동 가능하게 된다
A/D 변환부(160)는 DSC CCD(123b)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제1변환부(161) 및 DVC CCD(125b)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제2변환부(163)를 구비한다.
정지영상 압축부(170)는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며, 제1변환부(161)로부터 출력되는 정지영상을 JPEG와 같은 정지영상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 변환하여 플래시 메모리(175)에 저장한다.
플래시 메모리(175)에는 정지영상 압축부(170)에 의해 압축 변환된 정지영상 부호화 데이터가 저장된다.
동영상 압축부(180)는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며, 제2변환부(163)로부터 출력되는 동영상을 MPEG와 같은 동영상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변환하고,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테이프(185)에 저장한다.
테이프(185)에는 동영상 압축부(180)에 의해 압축 변환된 동영상 부호화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190)는 키입력부(140)에 구비된 촬영키(142)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모드감지부(150)의 출력신호를 확인하여 촬영모드가 스틸카메라 모드인지 비디오카메라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모드감지부(150)의 출력신호에 의해 촬영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촬영모드에 대응되는 카메라부(120)를 구동시킨다.
예컨대, 모드감지부(150)로부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에 대응하여 하이신호가 입력되고,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에 대응하여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카메라부(120)의 촬영모드를 스틸카메라 모드로 판단한다. 이 상태에서 키입력부(140)를 통해 촬영키(142)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를 통해 촬상한 정지영상을 압축하여 플래시 메모리(175)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틸카메라 모드에서 키입력부(140)를 통해 촬영키(142)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DSC 구동부(123c)를 제어하여 DSC CCD(123b)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DSC CCD(123b)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는 제1변환부(161)에 의해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된다. 제1변환부(161)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정지영상 압축부(170)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175)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압축처리 된다. 정지영상 압축부(170)에서 압축 처리된 영상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175)에 저장되며, 뷰파인더(131)나 LCD 패널(133)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촬영모드가 비디오카메라 모드인 경우, 키입력부(140)를 통해 촬영키(142)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를 통해 촬상한 정지영상을 압축하여 테이프(185)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비디오카메라 모드에서 키입력부(140)를 통해 촬영키(142)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DVC 구동부(125c)를 제어하여 DVC CCD(125b)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DVC CCD(125b)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제2변환부(163)를 제어한다. 제2변환부(16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동영상 압축부(180)에 의해 테이프(185)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압축처리 된다. 동영상 압축부(180)에서 압축처리된 동영상데이터는 테이프(185)에 저장되며, 뷰파인더(131)나 LCD 패널(133)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테이프(185)에 기록된 동영상데이터는 통신포트를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의 전원이 온되면, 모드감지부(150)는 카메라부(1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촬영모드를 감지한다(S200). 즉, 절환스위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 중 촬영대상 카메라를 온 시키고, 다른 하나는 오프 시킨다.
상기 상태에서 키입력부(140)를 통해 촬영키(142) 신호가 수신되면(S210), 제어부(190)는 모드감지부(150)의 출력신호를 확인하여 촬영모드가 DSC 모드인지 DVC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20).
S220 단계의 판단결과, 촬영모드가 스틸카메라 모드인 DSC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9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23)를 통해 촬상한 정지영상을 압축하여 플래시 메모리(175)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S230). 즉, DSC 모드에서 키입력부(140)를 통해 촬영키(142)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DSC 구동부(123c)를 제어하여 DSC CCD(123b)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190)는 DSC CCD(123b)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제1변환부(161)를 제어한다. 제1변환부(161)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정지영상 압축부(170)에 의해 JPEG와 같은 정지영상 부호화 데이터로 압축처리 되어 플래시 메모리(175)에 저장된다.
한편, S220 단계의 판단결과, 촬영모드가 비디오카메라 모드인 DVC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S240), 제어부(190)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5)를 통해 촬상한 동영상을 압축하여 테이프(185)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S250). 즉, DVC 모드에서 키입력부(140)를 통해 촬영키(142)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DVC 구동부(125c)를 제어하여 DVC CCD(125b)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DVC CCD(125b)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제1변환부(161)를 제어한다. 제1변환부(161)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정지영상 압축부(170)에 MPEG와 같은 동영상 부호화 데이터로 압축처리 되어 테이프(185)에 저장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카메라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촬영모드만을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촬영키(142)를 이용하여 각 모드에 따른 영상을 메모리 또는 테이프로 선택적으로 저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전용으로 촬영할 수 있는 렌즈 및 CCD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정지영상과 동영상 모두 해상도 및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별도의 렌즈 및 CCD를 구비하므로 카메라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촬영모드만을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촬영버튼이 아닌 하나의 촬영버튼을 이용하여 촬영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 및 조작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모드감지부의 일 예로 절환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110 : 본체 120 : 카메라부
130 : 디스플레이수단 140 : 키입력부
150 : 모드감지부 160 : A/D 변환부
170 : 정지영상 압축부 175 : 플래시 메모리
180 : 동영상 압축부 185 : 테이프
190 : 제어부

Claims (7)

  1. 촬영키가 마련된 입력부;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프 카세트 및 정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가 장/탈착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촬영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모드감지부; 및
    상기 촬영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모드감지부의 출력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촬영모드가 스틸카메라 모드인지 비디오카메라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촬영모드가 상기 스틸카메라 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모드가 상기 비디오카메라 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테이프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감지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각도를 기초로 상기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감지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시 180도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부에 대응되는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5.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프 카세트 및 정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장착부가 장/탈착 가능한 본체와, 촬영키가 마련된 입력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촬영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모드감지부 및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a) 단계;
    상기 촬영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a) 단계의 감지결과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촬영모드가 스틸카메라 모드인지 비디오카메라 모드인지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촬영모드가 상기 스틸카메라 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모드가 상기 비디오카메라 모드인 경우 상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테이프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각도를 기초로 상기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시 180도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부에 대응되는 촬영모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방법.
KR10-2002-0071425A 2002-11-16 2002-11-16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제어방법 KR10048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425A KR100481526B1 (ko) 2002-11-16 2002-11-16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425A KR100481526B1 (ko) 2002-11-16 2002-11-16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238A KR20040043238A (ko) 2004-05-24
KR100481526B1 true KR100481526B1 (ko) 2005-04-08

Family

ID=3733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425A KR100481526B1 (ko) 2002-11-16 2002-11-16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78B1 (ko) * 2006-02-22 2008-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034A (ja) * 1995-04-04 1996-10-18 Canon Inc スチルカメラ付きビデオカメラ
JP2000041163A (ja) * 1998-07-22 2000-02-08 Sony Corp カメラ装置
JP2000295522A (ja) * 1999-02-04 2000-10-20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1078072A (ja) * 1999-09-08 2001-03-23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034A (ja) * 1995-04-04 1996-10-18 Canon Inc スチルカメラ付きビデオカメラ
JP2000041163A (ja) * 1998-07-22 2000-02-08 Sony Corp カメラ装置
JP2000295522A (ja) * 1999-02-04 2000-10-20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1078072A (ja) * 1999-09-08 2001-03-23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238A (ko)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6276B2 (en) Digital camera with external connection detection and mode switching capabilities
KR100826243B1 (ko) 화각 조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1575270A1 (en) A camera apparatus having a still camera element and a camcorder element
JP4028511B2 (ja) 解像度を自動に設定する撮影装置及びその方法
EP1480452B1 (en) Camera apparatus
EP1484917A2 (en) Camera apparatus
KR100481526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제어방법
JP4186091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4574087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1427193A2 (en) Multi-mode image capture apparatus
JP4637032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298610A (ja) 映像信号処理機能付きメモリカード
JPH10224728A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JP2004254222A (ja) 撮像装置
JP200525279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H10304306A (ja) データ記録媒体への書き込み可能データ数の計算方法,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及びその撮影可能フレーム数計算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2314872A (ja) 撮像装置及び方法
JPH0923360A (ja) 映像装置及び映像記録装置
JP2832110B2 (ja) 伝送装置
KR100920720B1 (ko) 영상 촬영장치
JP2006093985A (ja) 撮像装置
JPH09331473A (ja) 撮像装置
KR20040103065A (ko) 줌스위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KR20040099870A (ko) 복합촬영장치 및 방법
KR20040099873A (ko) 복합촬영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