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720B1 - 영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720B1
KR100920720B1 KR1020030026805A KR20030026805A KR100920720B1 KR 100920720 B1 KR100920720 B1 KR 100920720B1 KR 1020030026805 A KR1020030026805 A KR 1020030026805A KR 20030026805 A KR20030026805 A KR 20030026805A KR 100920720 B1 KR100920720 B1 KR 100920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amera
unit
camera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820A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7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복수의 카메라부 및 이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키입력부를 구비한 영상 촬영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는, 기록매체가 장착되는 본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카메라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카메라부; 제 1 카메라부에 사용되는 제 1 키입력부; 제 2 카메라부에 사용되는 제 2 키입력부; 및 제 1 카메라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제 1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제 1 키입력부가 케이스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 촬영장치, 카메라부, 키입력부

Description

영상 촬영장치{PHOTOGRAPH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본체 20;카메라유닛
21;케이스 22,23;제 1, 2 카메라부
30;키입력부 31,32,33;제 1,2,3 키입력부
40;디스플레이 수단 50;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스틸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를 하나의 세트로 일체화한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카메라(DSC:Digital Still Camera)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한다. 즉, 촬영된 영상을 필름 등에 기록하지 않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여 스캐너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컴퓨터에 디지털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스틸 카메라는 퍼스털 컴퓨터와의 호환성이 높아 편집 및 수정이 간편하고, 외부 컴퓨터와 연결하여 찍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카메라는 일반 카메라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어 휴대가 간편하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스틸카메라는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용량 등의 이유로 정지화상을 촬영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즉, 일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은 갖고 있으나, 장시간 촬영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동영상 촬영 시 음향을 함께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가 없으므로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 및 재생하기에는 부적합하다.
한편, 피사체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하여 화상 및 음향 등을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털 캠코더(DVC:Digital Video Camera)는, 렌즈장치와, 신호변환장치와, 촬영된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데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캠코더는 주로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매체로 하며, 그 카세트 테이프를 데크장치에 장착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기록하게 된다. 또한, 캠코더는 마이크장치와 스피커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에 장시간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캠코더는 정지된 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그 화질이 상술한 디지털 스틸카메라의 화질에 비해 떨어지므로, 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캠코더는 디지털 스틸카메라보다 많은 기능을 가지고 복잡한 구성 을 갖고 있으므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고가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한편, 근래에는 디지털 스틸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를 1개의 세트로 일체화한 영상 촬영장치, 이른바 디지털카메라/캠코더, 혹은 듀오캠(DUOCAM)이 개발되고 있다.
이 듀오캠은 촬영모드가 서로 다른 디지털 스틸카메라부와 디지털 캠코더부가 복합화됨으로써 각 카메라부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키입력부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들 다수의 키입력부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제품의 외부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키입력부 설치로 인해 제품의 싸이즈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품의 싸이즈가 증가되는 것을 막고,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키입력부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는, 기록매체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카메라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카메라부;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사용되는 제 1 키입력부;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사용되는 제 2 키입력부; 및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키입력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카메라부가 촬영 위치에 올 때, 그 카메라부를 조작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케이스의 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키입력부 및 카메라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수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상기 제 1 카메라부가 상기 촬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 2 키입력부는 상기 제 1 카메라부가 상기 촬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3 키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3 키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는, 기록매체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위치에 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부; 및 상기 각 카메라부를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키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키입력부는 피사체 촬영 위치에 있는 카메라부를 조작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사용자 조작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는, 두개의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케이스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 하나의 카메라부는 디지털 스틸카메라부이며, 다른 하나의 카메라부는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조작위치는 상기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케이스의 상단인 것이 좋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부 모두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유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유 키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는, 상기 각 키입력부를 인식하기 위한 키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위치에 위치하는 키입력부에 대한 신호만을 출력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는, 본체(10)와, 카메라유닛(20)과, 키입력부(30)와, 디스플레이수단(40)과,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동영상을 기록하기 위한 테이프(55)가 탈착되는 무빙데크가 마련되며, 본체(10)의 바닥면에는 테이프(55)를 장착하기 위한 데크도어(미도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유닛(20)은 본체(10)에 연결되는 케이스(21)와, 서로 다른 화소 수를 가지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부(22)(23)를 구비한다. 케이스(21)는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중심 C를 중심으로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및 복귀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카메라부(22)는 디지털 스틸카메라용 제 1 렌즈(22a)와, 제 1 렌즈(22a)를 통해 촬영된 정지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스틸카메라용 제 1 CCD(22b)와, 제 1 CCD(22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드라이버(22c)를 구비한다. 제 1 CCD(22b)는 정지영상의 촬영에 적합하도록 1 프레임 단위로 즉, 프로그레시브 스캔방식으로 각 셀에 축적된 전하를 읽어 들인다. 그리고, 제 1 드라이버(22c)는 제어부(5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즉,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모드로 결정되면,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드라이버(22c)는 제 1 CCD(22b)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 2 카메라부(23)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용 제 2 렌즈(23a)와, 제 2 렌즈(23a)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하는 디지털 카메라용 제 2 CCD(23b)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면서 제 2 CCD(23b)를 구동시키는 제 2 드라이버(23c)를 구비한다. 동영상 촬영모드 또는 제 2 카메라부(23)에 의한 정지영상 촬영모드일 때, 제어부(50)는 제 2 드라이버(23c)를 제어하여 제 2 CCD(23b)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제 2 카메라부(23)는 통상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예컨대 캠코더 등에 적용되는 구성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부(22)(23) 각각은 케이스(21) 내에서 동일선 상에 배치되며, 그 촬영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카메라부(22)가 케이스(21)의 일단에 노출되게 설치되면, 제 2 카메라부(23)는 케이스(21)의 반대측 타단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부(22)와 제 2 카메라부(23) 각각은 케이스(21)의 회전중심 C를 중심으로 180도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케이스(21)가 180도 회전하면 각 카메라부(22)(23)의 위치는 서로 바뀌게 된다. 여기에서, 어느 한 카메라부가 촬영방향 A를 향하여 촬영 위치에 오게 되면 그에 대한 촬영모드가 결정되어 그 카메라부는 구동되고, 반대편의 카메라부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키입력부(30)는 제어부(50)에 연결되며, 제 1 내지 제 3 키입력부(31)(32)(33)를 포함한다. 제 1 키입력부(31)는 근접촬영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MACRO" 키 등 디지털 스틸카메라에서만 사용된다. 이 제 1 키입력부(31)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 1 카메라부(22)가 촬영 위치에 있을 때 본체(10)의 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1)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키입력부(32)는 "SLOW SHUTTER" 등 디지털 캠코더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제 1 키입력부(31)의 맞은 편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1)의 타측면에 설치된다. 제 2 키입력부(32) 역시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 2 카메라부(23)가 촬영 위치에 있을 때 본체(10)의 상부 측에 위치하게 된다. 제 3 키입력부(33)는 매뉴얼 포커스 및 오토 포커스 절환을 위한 "MF/AF" 키 등 디지털 스틸카메라 및 디지털 캠코더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공유 키입력부이다. 제 3 키입력부(33)는 케이스(21)의 회전에 의한 촬영모드 변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케이스(21)의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40)은 제 1 및 제 2 카메라부(22)(23)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뷰파인더(41) 및 본체에 마련된 LCD 패널(42)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0)는 모드 감지부(51)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촬영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촬영모드에 대응되는 카메라부(22)(23)를 구동시킨다. 여기에서, 모드 감지부(51)는 케이스(21)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 1 및 제 2 카메라부(22)(23) 중에서 어느 한 카메라부(22)(23)에 대응되는 촬영모드를 감지하며, 카메라부(22)(23) 중에서 어느 하나는 온 시키고 나머지는 오프시키는 절환스위치(51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제 1 카메라부(22)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 1 영상처리부(52) 또는 제 2 카메라부(23)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영상처리부(53)를 선택된 촬영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한다. 각 카메라부(22)(23)에서 전달되는 신호는 각 영상처리부(52)(53)에 의해 처리된 후 플래시 메모리(54) 또는 테이프(55)에 저장된다. 또한, 제어부(50)는 키입력부(30)로 키스캔 신호를 송출하여 제 1 키입력부(31) 또는 제 2 키입력부(32)를 선택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즉, 제 1 카메라부(22)의 촬영모드에서는 제 2 키입력부(32)에 의한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제 2 카메라부(23)의 촬영모드에서는 제 1 키입력부(31)에 의한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 모드에서는 디지털 캠코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스캔 신호는 출력하지 않고 디지털 캠코더 모드에서는 디지털 스틸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스캔 신호는 출력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카메라부 조작에 필요하지 않은 제 1 또는 제 2 키입력부(31)(32)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촬영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사체 촬영 시 제 1 카메라부(22)가 촬영방향 A를 향하게 되면, 제 1 카메라부(22)를 조작하기 위한 제 1 키입력부(31)는 케이스(21)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50)는 모드 감지부(5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모드가 디지털 카메라 모드라는 것을 판별하고 제 1 키입력부(31)로 키스캔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제 1 키입력부(31) 및 제 3 키입력부(33)는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본체(10)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 2 키입력부(32)는 작동 불가능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카메라부(23)가 촬영방향 A를 항하게 되면, 제 2 카메라부(23)를 조작하기 위한 제 2 키입력부(32)가 케이스(21)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50)는 모드 감지부(5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모드가 디지털 캠코더 모드라는 것을 판별하고 제 2 키입력부(32)로 키스캔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제 2 키입력부(32) 및 제 3 키입력부(33)는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 1 키입력부(31)는 작동 불가능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촬영모드에 따라 조작에 필요한 키입력부가 케이스(21)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키입력부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제 1 및 제 2 카메라부(22)(23)가 하나의 케이스(2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체(10)에 두 개의 케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케이스에 카메라부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케이스(21)에 두 개의 카메라부(22)(23)만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카메라부가 케이스(2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촬영 위치에 오는 카메라부를 조작하기 위한 키입력부는 케이스(21)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스틸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디지털 캠코더를 조작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스의 양면에 각각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키입력부의 배치를 위해 제품의 싸이즈가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의 카메라부를 조작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케이스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키입력부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기록매체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카메라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카메라부;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사용되는 제 1 키입력부;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사용되는 제 2 키입력부; 및
    상기 제 1 카메라부 및 제 2 카메라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상기 제 1 카메라부가 상기 촬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키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키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3 키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키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7. 기록매체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위치에 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부; 및
    상기 각 카메라부를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키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키입력부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카메라부를 조작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사용자 조작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 조작위치는 상기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케이스의 상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두개의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케이스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의 카메라부는 디지털 스틸카메라부이며, 다른 하나의 카메라부는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부 모두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유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키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입력부를 인식하기 위한 키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위치에 위치하는 키입력부에 대한 신호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KR1020030026805A 2003-04-28 2003-04-28 영상 촬영장치 KR100920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05A KR100920720B1 (ko) 2003-04-28 2003-04-28 영상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05A KR100920720B1 (ko) 2003-04-28 2003-04-28 영상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820A KR20040095820A (ko) 2004-11-16
KR100920720B1 true KR100920720B1 (ko) 2009-10-07

Family

ID=3737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805A KR100920720B1 (ko) 2003-04-28 2003-04-28 영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7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921A (ko) * 1993-07-21 1995-02-18 배순훈 캠코더
KR19990048849A (ko)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필름 카메라가 부착된 캠코더 및 그 작동 방법
KR19990056674A (ko) * 1997-12-29 1999-07-15 유무성 듀얼 헤드 카메라
KR20030014537A (ko) * 2001-08-11 2003-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카메라 겸용 디지털카메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921A (ko) * 1993-07-21 1995-02-18 배순훈 캠코더
KR19990048849A (ko)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필름 카메라가 부착된 캠코더 및 그 작동 방법
KR19990056674A (ko) * 1997-12-29 1999-07-15 유무성 듀얼 헤드 카메라
KR20030014537A (ko) * 2001-08-11 2003-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카메라 겸용 디지털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820A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1134B2 (en) Display device
EP1575270A1 (en) A camera apparatus having a still camera element and a camcorder element
US7526195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wo display panel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2572242B (zh) 摄像装置
EP1480452B1 (en) Camera apparatus
JP3931947B2 (ja) 電子撮像装置
JP2001117163A (ja) 電子カメラ装置
KR100920720B1 (ko) 영상 촬영장치
JP4574087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565276B2 (ja) カメラ及びそのモード切換方法
KR100826242B1 (ko)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JPH1118730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0013654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058028B1 (ko)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JP494801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209906B1 (ko) 스틸카메라일체형비데오카메라
JP2003005266A (ja) カメラ
JP2004118033A (ja) カメラ
JPH10126654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253407B2 (ja) 電子カメラ装置
KR100481526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그제어방법
JP2007180835A (ja) 携帯型撮像装置
JP200419410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0152040A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7060304A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