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568A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568A
KR20040098568A KR1020040033770A KR20040033770A KR20040098568A KR 20040098568 A KR20040098568 A KR 20040098568A KR 1020040033770 A KR1020040033770 A KR 1020040033770A KR 20040033770 A KR20040033770 A KR 20040033770A KR 20040098568 A KR20040098568 A KR 2004009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or
contact piece
terminal fitting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로유타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5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을 2개의 스테이지, 즉 상부 스테이지 및 하부 스테이지로 분리함으로써 커넥터의 폭을 줄일 때에 커넥터의 높이를 최대로 억제하는 것이다.
전체 커넥터의 폭을 줄이기 위하여,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을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로 분리하여 와이어 접속부(31)를 상하 관계로 위치시킨다. 와이어측 접촉편(35)을 와이어 접속부(31)보다 좁게 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에서의 2개의 와이어측 접촉편(35)은 하나의 와이어 접속부(31)가 점유하는 폭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나란히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높이는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의 접촉편이 상하 관계로 위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비하여 짧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복수의 와이어가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평면 케이블을 전기 또는 전자 회로나 회로 기판 등의 소자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와이어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평면 케이블을 회로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한 가지 커넥터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1-85122에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평면 케이블의 각 와이어와 접속된 복수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이 횡방향으로 나란히 수용되어 있는 와이어측 커넥터와,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복수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이 나란히 수용되어 있는 기판측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두 커넥터의 접속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좁고 긴 접촉편이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과 기판측 터미날 피팅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두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에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과 기판측 터미날 피팅은 상하로부터의 접촉편의 접촉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평면 케이블용 커넥터를 와이어 배치 방향으로 소형화(좁게)하는 경우에, 와이어 및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을 2개의 스테이지, 즉 상부 스테이지 및 하부 스테이지로 분리하는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 상부 스테이지의 접촉편과 하부 스테이지의 접촉편은 상하 관계로 위치되고, 이로 인하여 커넥터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된다.
특히 접촉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일측의 접촉편이 포크형이고, 타측의 접촉편이 포크형 접촉편 내로 압박되는 경우에, 2단(two-stage) 구조로 합체되면 6개의 접촉편이 상하 관계로 위치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높이는 상당히 커지게 된다. 일측의 접촉편이 포크형인 커넥터는, 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HO 2-26638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을 2개의 스테이지, 즉 제1 및 제2 (바람직하게는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로 분리함으로써 커넥터의 폭을 줄일 때에 커넥터의 높이를 최대로 억제하는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와이어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와이어측 커넥터와 평면 케이블의 평면도이고,
도 4는 평면 케이블이 와이어측 커넥터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와이어측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상부 스테이지 및 하부 스테이지에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의 위치 관계 및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와이어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상부 스테이지에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과 기판측 터미날 피팅의 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하부 스테이지에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과 기판측 터미날 피팅의 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평면 케이블
P : 회로 기판
10 : 와이어측 커넥터
30 :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
31 : 와이어 접속부
35 : 와이어측 접촉편
40 : 기판측 커넥터
43A, 43B : 기판측 터미날 피팅
45A, 45B : 기판측 접촉편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와 청구항 11에 따른 커넥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와이어가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인 평면 케이블을 전기 또는 전자 회로나 회로 기판 등의 소자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되며,
와이어와 접속되는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와이어측 커넥터와,
전기 또는 전자 소자,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기판측 터미날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기판측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은 2개의 스테이지, 즉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 바람직하게는 상부 스테이지 및 하부 스테이지로 분리되고, 각 스테이지에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과 기판측 터미날 피팅은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에 형성된 와이어측 접촉편과 기판측 터미날 피팅에 형성된 기판측 접촉편을 실질적으로 대향 측부들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하로부터 접촉되게 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와이어측 접촉편과 기판측 접촉편은 와이어와의 접속 수단인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의 와이어 접속부보다 협소하게 형성되고,
각 쌍의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대응하는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은, 와이어 접속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하 관계로, 또는 접속 방향 및/또는 횡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되고, 와이어측 접촉편이 하나의 접속부가 점유하는 폭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은 와이어 접속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하 관계로 위치시키도록 2개의 스테이지, 즉 제1 및 제2 (바람직하게는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로 분리되어, 전체 커넥터 또는 커넥터 조립체의 폭을 협소하게 한다. 와이어측 접촉편을 와이어 접속부보다 협소하게 제조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의 2개의 와이어측 접촉편은 하나의 와이어 접속부가 점유하는 폭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높이는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의 접촉편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하 관계로 위치되는 커넥터에 비하여 짧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측 접촉편 또는 기판측 접촉편 중 어느 하나는 포크형이고, 이 포크형 접촉편은 실질적으로 대향 측부들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상하로부터 다른 접촉편에 수직으로 압착되어,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과 기판측 터미날 피팅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포크형 접촉편이 다른 접촉편에 압착되어 두 터미날 피팅을 접속하므로, 접촉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높은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미날 피팅을 수용하는 하우징에는 접촉 압력을 확보하기 위한 어떠한 하중도 작용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포크형 접촉편은 실질적으로 두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 상이한 돌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압착편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스테이지에 배치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과 제2 스테이지에 배치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제1 및 제2 스테이지에서 수직으로 역전된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와이어측 커넥터 및/또는 와이어측 접촉편에는 와이어측 접촉편을 와이어측 커넥터에 대하여 유지하는 유지 수단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측 커넥터는 각각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터미날 수용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접 터미날 수용부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 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터미날 수용부는 와이어 접속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광폭 수용부와 와이어측 접촉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협폭 수용부를 포함한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협폭 수용부의 폭은 광폭 수용부의 폭의 약 절반 미만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차폐 와이어(shielded wire)용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를실질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차폐 쉘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합 커넥터(mating connector)와 접속되는 커넥터가 또한 제공되며, 정합 커넥터 하우징의 대응하는 정합 터미날 피팅과 접속될 수 있는 터미날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날 피팅은 2개의 스테이지, 즉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로 분리되고 각 스테이지에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터미날 피팅과 정합 터미날 피팅은 터미날 피팅에 형성된 접촉편과 정합 터미날 피팅에 형성된 정합 접촉편을 실질적으로 대향 측부들로부터 접촉되게 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편은 와이어 또는 기타 전기 및/또는 전자 요소 등의 외부 요소와의 접속 수단인 터미날 피팅의 접속부보다 협소하게 형성되고,
각 쌍의 대응 터미날 피팅은, 접속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하 관계로 위치되고, 접촉편이 하나의 접속부가 점유하는 폭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편 또는 정합 접촉편 중 어느 하나는 포크형이고, 이 포크형 접촉편은 실질적으로 대향 측부들로부터 다른 접촉편에 수직으로 압착되어, 터미날 피팅과 정합 터미날 피팅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바람직하게는, 포크형 접촉편은 실질적으로 두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 상이한 돌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압착편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스테이지에 배치된 터미날 피팅과 제2 스테이지에배치된 터미날 피팅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고, 각각의 제1 및 제2 스테이지에서 수직으로 역전된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및/또는 접촉편에는 접촉편을 커넥터에 대하여 유지하는 유지 수단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각각의 터미날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터미날 수용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접 터미날 수용부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 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터미날 수용부는 와이어 접속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광폭 수용부와 접촉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협폭 수용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협폭 수용부의 폭은 광폭 수용부의 폭의 약 절반 미만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차폐 와이어용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를 실질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차폐 쉘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잇점은 첨부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복수의 와이어(W)가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평면 케이블(F)을 회로 기판(P)과 접속하도록 되어 있으며, 접속 방향(CD)을 따라 하나 이상의 와이어(W)와 각각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와이어측 커넥터(10)와, 회로 기판(P)과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기판측 커넥터(4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평면 케이블(F)을 설명한다. 평면 케이블(F)은 특정의 (예정되거나 예정 가능한) 간격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그리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W)가 가요성 시트(Fa)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각 와이어(W)는 바람직하게는 소위 차폐 와이어(shielded wire)로서, 내부 도체(Wa)가 절연 재료 또는 수지로 제조된 코어(Wb)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편조 와이어로 제조된 관형 차폐층(Wc) 또는 전도성 층이 코어(Wb)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 차폐층(Wc)은 절연 재료 또는 수지로 제조된 피복 또는 절연체(Wd)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가요성 시트(Fa)로부터 돌출하는 각 와이어(W)의 단부〔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의 접속 단부〕에서, 피복(Wd)은 차폐층(Wc)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벗겨져 있고, 코어(Wb)는 차폐층(Wc)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노출되어 있으며, 코어(Wb)의 선단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 내부 도체(Wa)가 돌출한다. 각 와이어(W)의 노출된 내부 도체(Wa)의 선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방향(TD)으로 길고 좁으며 절연 재료 또는 수지로 제조되는 결합 부재(Fb)에 의해 결합되고, 각 내부 도체(Wa)의 노출부는 상기 결합 부재(Fb)에 의해 특정의 (예정되거나 예정 가능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측 커넥터(10)는, 절연 재료 또는 수지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방향(TD)으로 길고 좁은 커넥터 하우징(11)과, 이 커넥터 하우징(11)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방향(TD)으로 길고 좁은 하나 이상의 차폐 쉘(24)을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넥터 하우징(11) 내로 조립되며 차폐 쉘(24)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와이어측 커넥터(10)의 전방측이 기판측 커넥터(40)에 접속되는 측부를 의미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터미날 수용부(12)는 커넥터 하우징(11)의 상부 또는 제1 표면(즉, 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에서 와이어(W)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터미날 수용부(12)는 커넥터 하우징(11)의 측방향 (상부, 전방 및 후방) 표면에서 개방되어 있는 리세스이다. 각 터미날 수용부(12)의 후방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 절반은 광폭 수용부(13)로서 작용하는 반면에, 각 터미날 수용부(12)의 전방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 절반은 협폭 수용부로서 작용한다. 양 수용부(13, 14)의 측방향 (바닥)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 높이로 있으며, 실질적으로 서로 연속된다.
인접한 광폭 수용부(13)는 파티션 벽(15)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각 파티션 벽(15)의 전방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 절반〔광폭 수용부(13)의 전방 단부보다 약간 뒤에 있는 위치 이전의 파티션 벽(15)의 부분〕은 상부 벽 부분(15H)으로서 작용하는 반면에, 각 파티션 벽(15)의 전방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 절반은 〔커넥터(10, 40)의 횡방향(TD) 및/또는 접속 방향(CD)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높이 방향으로〕 상부 벽 부분(15H)보다 짧거나 덜 돌출한 하부 벽 부분(15L)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측방향 (왼쪽) 단부에 위치된 광폭 수용부(13)의 측방향 (왼쪽) 측부와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측방향 (오른쪽) 단부에 위치된 광폭 수용부(13)의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측방향 (오른쪽) 측부에 외벽(16)이 마련되어 있다. 각 외벽(16)의 전방 부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 절반은 파티션 벽(15)의 상부 벽 부분(15H)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상부 벽 부분(16H)으로서 작용하는 반면에, 각 외벽(16)의 실질적으로 후방 절반은 파티션 벽(15)의 하부 벽 부분(15L)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하부 벽 부분(16L)으로서 작용한다.
협폭 수용부(14)는 광폭 수용부(13)의 폭의 대략 절반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3의 폭을 가지며, 대응 광폭 수용부(13)의 전방 단부의 측방향 (왼쪽) 단부와 연통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광폭 수용부(13)의 폭방향 중간에 위치되고 파티션 벽(15)의 상부 벽 부분(15H)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지 벽(17)이 광폭 수용부(13) 이전의 위치〔실질적으로 협폭 수용부(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협폭 수용부(14)는 유지 벽(17)과 파티션 벽(15) 사이에, 그리고 측방향 (왼쪽) 단부에서 외벽(16)과 유지 벽(17) 사이에 경계가 정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유지 홈(18)이 각 유지 벽(17)의 측방향 (왼쪽) 측면〔협폭 수용부(14)와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되어 유지 벽(17)의 상단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각각의 유지 홈(18)은 바람직하게는 협폭 수용부(14)를 향하여 협소해지는 사다리꼴 단면 또는 언더컷을 갖는 도브테일 홈 또는 언더컷이다(예컨대, 도 4 참조). 협폭 수용부(14)와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각 유지벽(17)의 측부에 있는 오목한 부분은 파티션 벽(15)의 하부 벽 부분(15L)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수용부(19)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더욱이, 대응 광폭 수용부(13)의 후방 단부와 실질적으로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수용부(20)가 커넥터 하우징(11)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수용부(20)는 커넥터 하우징(11)의 측방향 (상부) 및 후면에서 개방되는 리세스이다. 각 와이어 수용부(20)의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측방향 (왼쪽 및 오른쪽) 측부에 한 쌍의 압착 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1)의 상면과 유사하게, 커넥터 하우징(11)의 하면 또는 제2 표면(즉, 하부 또는 제2 스테이지)에는 복수의 터미날 수용부(12)와 복수의 와이어 수용부(20)가 와이어(W)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면의 터미날 수용부(12)와 와이어 수용부(20)는 상면의 수용부들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마주하며, 그들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파티션 벽(22)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대응하는 터미날 수용부(12)의 쌍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대응하는 와이어 수용부(20)의 쌍은 구조 및/또는 형상과 관련하여 전후 방향〔두 커넥터(10, 40)의 접속 방향(CD)과 바람직하게는 평행한방향〕을 따른 축선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점 대칭으로 있다. 따라서, 협폭 수용부(14)가 상면 또는 제1 표면에서 대응 광폭 수용부(13)의 측방향 (왼쪽) 단부에 위치되어 있지만, 협폭 수용부(14)는 하면 또는 제2 표면에서 대응 광폭 수용부(13)의 반대쪽의 측방향 (오른쪽)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면 또는 제1 표면의 수용부(19)는 하면 또는 제2 표면의 협폭 수용부(1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대응하고, 상면 또는 제1 표면의 협폭 수용부(14)는 하면 또는 제2 표면의 수용부(19)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대응한다.
상면 또는 제1 표면(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의 터미날 수용부(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각각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바람직하게는 특정의 (예정되거나 예정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스탬핑되거나 컷-아웃된 전도성(바람직하게는 금속제)의 판 재료를 벤딩, 폴딩 및/또는 엠보싱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터미날 피팅의 후방 부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 절반은 와이어(W)와 접속되는 와이어 접속부(31)로서 작용한다. 이 와이어 접속부(31)는 0 °내지 180°의 상이한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접속 방향(CD)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바람직하게는 옆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대체로 L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실질적으로 수평 부분 또는 제1 부분(32)의 전방 단부의 약간 뒤의 위치로부터 수평 부분(32)의 후방 단부를 거쳐서 실질적으로 수직 부분 또는 제2 부분(33)의 상단부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수평 부분(32)의 후방 단부로부터 직립 상태로 있는 슬릿(34)이 와이어 접속부(31)의 중간 부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각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의 전방 부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 절반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단일의 협소하고 긴 바(bar) 형태의 와이어측 접촉편(35)으로서 작용하는데, 상기 바는 수평 부분(3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와이어 접속부(31)의 수평 부분(32)의 전방 에지의 측방향 (왼쪽)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을 향하는 외팔보와 유사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방향(우측 방향 또는 측방향)을 따라 보다 넓어지는 사다리꼴 단면의 유지 돌기(36)가 와이어측 접촉편(35)의 측방향 (오른쪽) 에지로부터 측방향으로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모난 보조 돌기(37)가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의 측방향 (왼쪽) 에지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 돌기(36)와 보조 돌기(37)는 전후 방향 또는 접속 방향(CD)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상면 또는 제1 표면의 터미날 수용부(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을 장착할 때에, 유지 돌기(36)는 유지 홈(18)과 실질적으로 각을 이루며,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이 삽입되거나 하방 압박된다. 그 후, 유지 돌기(36)가 유지 홈(18) 내로 압박되는 중에 와이어 접속부(31)가 광폭 수용부(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와이어측 접촉편(35)이 협폭 수용부(1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이 적절하게 장착되면, 와이어측 접촉편(35)의 하면은 터미날 수용부(12)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면 접촉 상태로 되고, 와이어 접속부(31)의 상면은 파티션 벽(15)의 하부 벽 부분(15L)의 상면 또는 제1 표면, 외벽(16)의 하부 벽 부분(16L)의 상면 또는 제1 표면, 그리고 수용부(19)의 상면또는 제1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있다. 또한, 보조 돌기(37)가 파티션 벽(15)의 측방향 (오른쪽) 표면 또는 외벽(16)의 측방향 (오른쪽) 표면에 맞물린다.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유지 홈(18)과 유지 돌기(36)의 맞물림에 의하여 헐렁한 전방, 후방, 좌방 및/또는 우방 이동〔또는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CD) 및/또는 횡방향(TD)을 따른 이동〕이 방지되고, 바람직하게는 유지 돌기(36)를 유지 홈(18) 내로 압박함으로써 생기는 마찰에 의해 상방으로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하면 또는 제2 표면(하부 또는 제2 스테이지)에서 터미날 수용부(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에 배치된 피팅(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타입이며, 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의 자세로부터 역전되거나 거꾸로 회전되는 동안에 하부 또는 제2 표면의 터미날 수용부(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이들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실질적으로 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의 피팅과 반대로 아래로부터 장착된다. 하부 또는 제2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의 터미날 피팅은 구조 및/또는 상태와 관련하여 전후 방향〔두 커넥터(10, 40)의 접속 방향(CD)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른 축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점 대칭으로 있다. 따라서, 상면 또는 제1 표면의 수용부(19)는 하면 또는 제2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대응하고, 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은 하면 또는 제2 표면의 수용부(19)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대응한다. 더욱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대응하는 와이어측 터미날피팅(30)의 와이어 접속부(31)의 쌍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하 관계로 위치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대응하는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의 와이어측 접촉편(35)의 각 쌍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와이어 접속부(31)가 점유하는 폭 영역(폭 영역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정확하게는, 파티션 벽(22)의 두께만큼 약간 다른 높이〕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과 하부 또는 제2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은 횡방향(TD)을 따라 또는 전방〔기판측 커넥터(40)에 마주하는 커넥터(10)의 측부〕으로부터 보았을 때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다.
평면 케이블(F)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1)에 장착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접속될 때에, 평면 케이블(F)은 각 와이어(W)의 단부가 대응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커넥터 하우징(11)의 상부에 또는 그 하우징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각 와이어(W)의 노출된 내부 도체(Wa)를 와이어 접속부(31)의 수직 부분(33)의 외부 또는 상부 에지로부터 슬릿(3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고 압박하도록 하강되거나 접근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노출된 내부 도체(Wa)는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되도록 끼워지거나 압박된다. 내부 도체(Wa)의 단부는 결합 부재(Fb)에 의해 실질적으로 정렬되게 유지되므로, 내부 도체(Wa)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모든 와이어 접속부(31)와 접속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내부 도체(Wa)는슬릿(34)을 횡방향으로 넓히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와이어 접속부(31)의 탄성 복원력으로부터 발생되는 특정의 (예정되거나 예정 가능한) 접촉 압력으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와이어(W)가 접속된 경우에, 코어(Wb)의 노출부와 차폐층(Wc)의 노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와이어 수용부(20)에 수용되며, 차폐층(Wc)의 노출부는 측방향 (왼쪽 및 오른쪽) 측부로부터 압착 돌기(21)의 대응 쌍에 의해 압착된다. 결합 부재(Fb)는 실질적으로 와이어 접속부(31)의 수평 부분(32)의 상면과, 파티션 벽(15) 및 외벽(16)의 하부 벽 부분(15L, 16L)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평면 케이블(F)은 전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하부 또는 제2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평면 케이블(F)은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11) 내에 장착되거나 그 하우징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으며, 복수의 와이어(W)는 각 스테이지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간격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태로 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와, 하부 또는 제2 스테이지로 분리된다.
평면 케이블(F)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된 후에,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차폐 쉘(24)이 커넥터 하우징(11) 내로 조립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넥터 하우징(11)에 장착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을 실질적으로 차폐한다. 제1 (상부) 차폐 쉘(2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넥터 하우징(11)의 제1 (상부) 표면에 장착되어 상부 또는 제1 스테이지에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을 실질적으로 차폐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2 (하부) 차폐 쉘(24)은 커넥터 하우징(11)의 제2 (하부) 표면에장착되어 제2 (하부) 스테이지에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을 실질적으로 차폐한다. 상기 제1 (상부) 및 제2 (하부) 차폐 쉘(24)은 하나 이상의 잠금편(25)과 하나 이상의 잠금 구멍(26)의 맞물림에 의하여 커넥터 하우징(11)과 조립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조립된 차폐 쉘(24)은 그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차폐층(Wc)의 노출부와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전달편(27; conducting piece)을 구비하고, 전달편(27)의 이전 또는 근처의 위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압박 돌기(28)에 의해 파티션 벽(22)을 향해 결합 부재(Fb)를 압박한다. 각 차폐 쉘(24)에는 와이어 접속부(31)의 수직 부분(33)과의 접속을 방지하도록 노출 구멍(29; escaping hole)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어측 커넥터(1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기판측 커넥터(40)를 설명한다. 기판측 커넥터(40)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된 커넥터 하우징(41)을 구비하며, 이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와이어측 커넥터(10)에 장착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의 수와 동일한 수〕의 공동(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동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특정의 (예정되거나 예정 가능한) 간격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 또는 접속 방향(CD)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41)을 관통하는 수직 슬릿의 형태이다. 공동(42)의 간격은 와이어측 커넥터(10)에 오프셋 방식으로 배치된 와이어측 접촉편(35)의 횡방향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정의 (예정되거나 예정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스탬핑되거나 컷아웃된 전도성의 (바람직하게는 금속제의) 판 재료로 제조된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은 삽입측,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끼워지거나 삽입됨으로써 각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각각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은 회로 기판(P)과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44)와, 이 기판 접속부(44)의 전방 단부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기판측 접촉편(45A, 45B)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기판측 접촉편(45A, 45B)은 포크형이고, 한 쌍의 제1 (상부) 및 제2 (하부) 압착편(46a, 46b)을 구비하며, 이 압착편은 전방〔와이어측 커넥터(10)의 접속 방향(CD)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외팔보와 유사하다.
두 종류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터미날 피팅은 공통의 기판 접속부(44)와 상이한 형상의 기판측 접촉편(45A, 45B)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또는 상부 스테이지에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접속되는 각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에 있어서, 제1 또는 상부 압착편(46a)은 제2 또는 하부 압착편(46b)보다 길고, 제1 또는 상부 압착편(46a)의 전방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접촉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또는 하부 스테이지에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접속되는 각 기판측 터미날 피팅(43B)에 있어서, 하부 압착편(46a)은 제1 또는 상부 압착편(46b)보다 길고, 제2 또는 하부 압착편(46a)의 전방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접촉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또는 상부 스테이지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의 기판측 접촉편(45A)과 제2 또는 하부 스테이지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B)의 기판측 접촉편(45B)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이거나, 접속 방향(CD) 및/또는 횡방향(TD)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대칭인 형상이다.
수직으로 대응하는 압착편(46a, 46b) 사이의 수직 간격은, 제1 또는 상부 스테이지의 수용부(19)의 제1 표면 또는 상면과 제2 또는 하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의 제2 표면 또는 하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제2 또는 하부 스테이지의 수용부(19)의 제2 표면 또는 하면과 제1 또는 상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의 제1 표면 또는 상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더욱이,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의 두께〔실질적으로 횡방향(TD)을 따른 치수〕는 실질적으로 횡방향(TD)을 따른 와이어측 접촉편(35)의 폭보다 짧게 설정된다. 이러한 두 종류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은 횡방향(TD)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41)에는 맞물림 리세스(4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고, 수직으로 대응하는 압착부(46a, 46b) 사이의 거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측방향으로 긴 슬릿이며,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들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판측 커넥터(40)가 사전에 회로 기판(P)의 외면 또는 상면에 고정되고,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의 기판 접속부(44)가 회로 기판(P) 상의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와이어측 커넥터(10)는 상기 기판측 커넥터(40)에 접속된다. 접속 방향(CD)을 따라 두 커넥터(10, 40)를 접속할 때에, 와이어측 커넥터(10)를 기판측 커넥터(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CD)을 따라 기판측 커넥터(40)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인접하게 하여, 와이어측 커넥터(10)의 파티션 벽(22)의 전방 부분, 바람직하게는 〔수용부(19)가 형성되어있는〕 실질적으로 전방 절반과 각각의 와이어측 접촉편(35)을 기판측 커넥터(40)의 맞물림 리세스(48)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고, 와이어측 커넥터(10)의 차폐 쉘(24)의 전방 부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 절반을 기판측 커넥터(40)의 전방 부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 절반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는다. 또한, 하부 차폐 쉘(24)의 하면이 회로 기판(P) 상의 접지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두 커넥터(10, 40)가 적절하게 접속된 경우에, 각각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은 제1/상부 스테이지 및/또는 제2/하부 스테이지의 대응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맞물려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 스테이지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은 제1/상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과, 제2/하부 표면 측의 파티션 벽(22) 및 수용부(19)를 압착부(46a, 46b)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대향 측부들(상하)로부터 압착하여, 제1/상부 압착부(46a)가 일측(바람직하게는 상측)으로부터 제1/상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과 접촉 상태로 되고, 제2/하부 압착부(46b)가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타측(바람직하게는 하측)으로부터 제2/하면의 수용부(19)와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상부 스테이지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은 제1/상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접속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 스테이지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에 인접한 제2/하부 스테이지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B)은 제2/하부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과, 제1/상부 표면측의 파티션 벽(22) 및 수용부(19)를 압착부(46a, 46b)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대향 측부들(상하)로부터 압착하여, 제1/상부 압착부(46b)가 일측(상측)으로부터 제1/상면측의 수용부(19)와 접촉 상태로 되고, 제2/하부 압착부(46a)가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타측(바람직하게는 하측)으로부터 제2/하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과 접촉 상태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하부 스테이지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은 제2/하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접속된다. 수용부(19)와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되는 압착부(46b)는 와이어측 접촉편(35)과 접촉 상태로 되는 압착부(46a)보다 짧기 때문에, 압착부(46b)는 수용부(19)와 동일 측부에 배치된 와이어 접속부(31)와 접촉 상태로 될 가능성이 없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와이어 접속부(3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하 관계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제1 (상부) 및 제2 (하부) 스테이지로 분리되어 전체 커넥터의 폭이 실질적으로 협소하게 된다. 와이어측 접촉편(35)과 기판측 접촉편(45A, 45B)을 와이어 접속부(31)보다 협소하게 함으로써, 제1 (상부) 및 제2 (하부) 스테이지의 2개의 와이어측 접촉편(35)은 하나의 와이어 접속부(31)가 점유하는 폭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상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과 접속되는 제1/상부 스테이지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과, 제2/하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접촉편(35)과 접속되는 제2/하부 스테이지의 기판측 터미날 피팅(43B)은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상부 스테이지에서의 접촉편(35, 45A)의 접속과 제2/하부 스테이지에서의 접촉편(35, 45B)의 접속에 필요한 높이 영역은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커넥터의 높이는 제1/상부 스테이지의 접촉편과 제2/하부 스테이지의 접촉편이 상하 관계로 위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비하여 짧아질 수 있다.
또한, 기판측 접촉편(45A, 45B)이 바람직하게는 포크형이며 와이어측 접촉편(35)을 압착하여 터미날 피팅(30, 43A)과 터미날 피팅(30, 43B)을 접속하므로, 접촉편(45A, 45B)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높은 접촉 압력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터미날 피팅(30, 43A, 43B)을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11, 41)에는 충분한 접촉 압력을 확보하기 위한 어떠한 하중도 작용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커넥터 하우징(11, 41)의 변형이 방지되어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을 2개의 스테이지, 즉 제1 또는 상부 스테이지와 제2 또는 하부 스테이지로 분리함으로써 커넥터의 폭을 줄일 때에 커넥터의 높이를 최대로 억제하여, 전체 커넥터의 폭을 협소하게 하기 위하여,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와이어 접속부(3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하 관계로 위치시키도록 2개의 스테이지, 즉 제1/상부 스테이지 및 제2/하부 스테이지로 분리된다. 와이어측 접촉편(35)을 와이어 접속부(31)보다 협소하게 함으로써, 제1/상부 스테이지 및 제2/하부 스테이지의 2개의 와이어 접촉편(35)은 하나의 접속부(31)가 점유하는 폭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높이는 제1/상부 스테이지 및 제2/하부스테이지의 접촉편이 상하 관계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비하여 짧아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예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또한 포함된다. 이하의 실시예 이외에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각종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기판측 접촉편이 포크형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측 접촉편이 포크형일 수 있고, 와이어측 접촉편의 포크형 부분 사이에서 기판측 접촉편이 압착될 수도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가지 종류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이 제1/상부 스테이지와 제2/하부 스테이지에서 수직으로 역전된 관계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상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이 제2/하부 스테이지의 터미날 피팅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와이어측 접촉편 또는 기판측 접촉편 중 어느 하나가 포크형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접촉편은 포크형이 아닌 실질적으로 단일 바의 형태로 돌출할 수도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모든 와이어측 접촉편이 단일 바의 형태이고 모든 기판측 터미날 피팅이 포크형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포크형의 와이어측 접촉편이 단일 바 형태의 기판측 접촉편과 접촉 상태로 있는 접속 모드와, 포크형의 기판측 접촉편이 단일 바 형태의 와이어측 접촉편과 접촉 상태로 있는 접속 모드가 혼합될 수도 있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접속부가 프레스-접촉 블레이드이고 와이어가 접속부 내로 압박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와이어가 클램핑, 납땜, 용접, 초음파 용접 등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접속되는 경우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평면 케이블이 차폐 기능을 갖지만, 본 발명은 평면 케이블이 차폐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7)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또는 상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과 접속되는 기판측 터미날 피팅과 제2 또는 하부 스테이지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과 접속되는 기판측 터미날 피팅이 상이하게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터미날 피팅은 제1/상부 스테이지 및 제2/하부 스테이지에 대하여 공통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을 2개의 스테이지, 즉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로 분리함으로써 커넥터의 폭을 줄일 때에 커넥터의 높이를 최대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의 와이어(W)가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평면 케이블(F)을 회로 기판(P)등의 전기 또는 전자 소자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와이어(W)와 접속되는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와이어측 커넥터(10)와,
    전기 또는 전자 소자,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P)과 접속되는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기판측 커넥터(40)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2개의 스테이지(stage), 즉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로 분리되고, 각 스테이지에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은 상기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에 형성된 와이어측 접촉편(35)과 상기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에 형성된 기판측 접촉편(45A, 45B)을 실질적으로 대향 측부들로부터 접촉되게 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측 접촉편(35)과 기판측 접촉편(45A, 45B)은 와이어(W)와의 접속 수단인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의 와이어 접속부(31)보다 협소하게 형성되고,
    각 쌍의 대응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와이어 접속부(3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하 관계로 위치되고, 와이어측 접촉편(35)이 하나의 와이어 접속부(31)가 점유하는 폭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측 접촉편(35) 또는 기판측 접촉편(45A, 45B) 중 어느 하나는 포크형이고, 이 포크형 접촉편(45A, 45B)이 실질적으로 대향 측부들로부터 다른 접촉편(35)에 수직으로 압착되어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기판측 터미날 피팅(43A, 43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형 접촉편(45A, 45B)은 실질적으로 두 커넥터(10, 40)의 접속 방향(CD)을 따라 상이한 돌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압착편(46a, 46b)을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스테이지에 배치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과 제2 스테이지에 배치된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제1 및 제2 스테이지에서 수직으로 역전된 관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10) 및/또는 와이어측 접촉편(35)에는 와이어측 접촉편(35)을 와이어측 커넥터(10)에 대하여 유지하는 유지 수단(18, 36; 15, 37)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측 커넥터(10)는 각각의 와이어측 터미날 피팅(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터미날 수용부(12)를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인접 터미날 수용부(12)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 벽(15)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터미날 수용부(12)는 와이어 접속부(3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광폭(廣幅) 수용부(13)와 와이어측 접촉편(3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협폭(狹幅) 수용부(14)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 수용부(14)의 폭은 상기 광폭 수용부(13)의 폭의 약 절반 미만인 것인 커넥터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와이어(W)용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를 실질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차폐 쉘(24)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11. 정합 커넥터(40; mating connector)와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정합 커넥터(40) 하우징의 대응하는 정합 터미날 피팅(43A, 43B)과 접속될 수 있는 터미날 피팅(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날 피팅(30)은 2개의 스테이지, 즉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로 분리되고 각 스테이지에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터미날 피팅(30)과 정합 터미날 피팅(43A, 43B)은 상기 터미날 피팅(30)에 형성된 접촉편(35)과 상기 정합 터미날 피팅(43A, 43B)에 형성된 정합 접촉편(45A, 45B)을 실질적으로 대향 측부들로부터 접촉되게 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편(35)은 외부 요소(W)와의 접속 수단인 터미날 피팅(30)의 접속부(31)보다 협소하게 형성되고,
    각 쌍의 대응 터미날 피팅(30)은, 상기 접속부(3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하 관계로 위치되고, 상기 접촉편(35)이 하나의 접속부(31)가 점유하는 폭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35) 또는 정합 접촉편(45A, 45B) 중 어느 하나는 포크형이고, 이 포크형 접촉편(45A, 45B)이 실질적으로 대향 측부들로부터 다른 접촉편(35)에 수직으로 압착되어 터미날 피팅(30)과 정합 터미날 피팅(43A,43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인 커넥터.
KR1020040033770A 2003-05-14 2004-05-13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0400985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6200 2003-05-14
JP2003136200A JP2004342414A (ja) 2003-05-14 2003-05-14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568A true KR20040098568A (ko) 2004-11-20

Family

ID=3344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770A KR20040098568A (ko) 2003-05-14 2004-05-13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39164B2 (ko)
JP (1) JP2004342414A (ko)
KR (1) KR20040098568A (ko)
CN (1) CN100481623C (ko)
DE (1) DE102004022914B4 (ko)
TW (1) TWI2448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1098B2 (ja) * 2003-04-10 2010-01-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および該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を利用したハーネス体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JP5557377B2 (ja) * 2010-03-23 2014-07-2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電線に対する接続構造
CN102456962B (zh) * 2010-10-23 2014-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TWM481520U (zh) * 2013-09-06 2014-07-01 Energy Full Electronics Co Ltd 線纜連接器
EP3045587B1 (en) 2013-09-09 2019-08-07 Jilin University Reusable water writing pap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6777115B2 (ja) * 2018-05-10 2020-10-28 I−Pex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JP2020068168A (ja) * 2018-10-26 2020-04-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357A (en) * 1987-06-10 1988-08-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aisy chain connector
JPH0237678A (ja) * 1988-07-28 1990-02-07 Honda Tsushin Kogyo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4902242A (en) * 1989-05-31 1990-02-20 Amp Incorporated Panel mount, cable terminable connector with die cast housing and drawn shell
US4993969A (en) * 1989-07-11 1991-02-19 Precision Interconnec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03266384A (ja) * 1990-03-16 1991-11-27 Amp Japan Ltd 平形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5358424A (en) * 1993-08-11 1994-10-2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 density ribbon cable
TW435873U (en) * 1998-12-08 2001-05-16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JP2000315537A (ja) * 1999-04-28 2000-11-14 Yazaki Corp 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6152781A (en) * 1999-08-12 2000-11-28 Hon Hai Precisd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621306B2 (ja) * 1999-09-16 2005-0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JP2001102118A (ja) * 1999-10-01 2001-04-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端子金具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端子金具の製造方法
US6383033B1 (en) * 2000-12-07 2002-05-07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loa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22914B4 (de) 2016-03-24
CN1599145A (zh) 2005-03-23
CN100481623C (zh) 2009-04-22
DE102004022914A1 (de) 2004-12-30
US6939164B2 (en) 2005-09-06
TWI244811B (en) 2005-12-01
TW200507379A (en) 2005-02-16
US20040235340A1 (en) 2004-11-25
JP2004342414A (ja)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093B1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US737780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CN108879146B (zh) 浮动连接器
US20120135621A1 (en) Floating connector
US7736154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KR100851709B1 (ko) 전기 커넥터
KR20060135054A (ko) 커넥터 및 그 결선 방법
JP2018092780A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KR2004009856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H1027636A (ja) 電気コネクタ
CN212392406U (zh) 电连接器
US74701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0808493B (zh) 电连接器
JPH11144789A (ja) 端子構造
EP1199773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JP3263361B2 (ja) コネクタ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CN111435770B (zh) 连接器连结结构以及连接器连结体
JP2001357912A (ja) コネクタ
JPS62128460A (ja) 電気コネクタ
JP6485582B1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3728424B2 (ja) 電線接続型コネクタ
JP2000021485A (ja) 接触子及びこの接触子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3527656B2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