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611A - 하니컴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의 아교결합 및 납땜 방법 - Google Patents

하니컴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의 아교결합 및 납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611A
KR20040068611A KR10-2004-7010482A KR20047010482A KR20040068611A KR 20040068611 A KR20040068611 A KR 20040068611A KR 20047010482 A KR20047010482 A KR 20047010482A KR 20040068611 A KR20040068611 A KR 20040068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adhesive
strip width
honeycomb structure
honey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289B1 (ko
Inventor
롤프 브뤽크
카이트 알트회퍼
얀 홋크손
아른트-우도 롤레
Original Assignee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filed Critical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6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4Brazing of honeycomb sandwich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4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separate application of adhesive ingredients to the different surfaces to be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03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characterised by structure, by material or by manufacturing of catalyst support
    • F01N3/2807Metal other than sintered metal
    • F01N3/281Metallic honeycomb monoliths made of stacked or rolled sheets, foil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2Honeycomb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2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weld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45Catalytic devic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4Honeycomb, or with grain orientation or elongated elements in defined angular relationship in respective components [e.g., parallel, inter- sec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47Plural layers discontinuously bonded [e.g., spot-weld, mechanical fasten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75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member which crosses the plane of another member [e.g., T or X cross section,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치(P)와 파고(W)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포일(2)을 포함하는 하니컴 구조물을 아교결합 및 납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파고의 15% 이하인 분말 땜납의 평균 땜납 직경을 선택하는 단계, 관계식 (Ⅰ)에 따라 아교 스트립(B)의 최소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교 스트립의 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포일을 파동(undulation)에 의해 형성된 파고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아교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니컴 구조물을 납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구조물이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에 사용될 때 만족스런 결합 연결을 보장하는 대응 하니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니컴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의 아교결합 및 납땜 방법 {HONEYCOMB STRUCTURE AND METHOD FOR GLUEING AND SOLDERING SAID STRUCTURE}
이러한 하니컴 구조물은 특히 자동차의 내연 기관(예를 들어 스파크 점화 엔진 또는 디젤 엔진 등)의 배기 가스 시스템의 촉매 변환기 캐리어 본체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하니컴 본체와 이들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EP 0 422 000 B1 또는 공개 공보 DE 29 24 59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독일 공보에는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배기 제어를 위한 촉매 반응기용 캐리어 매트릭스에 관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매트릭스는 내열 강 플레이트로부터 형성된다. 캐리어 매트릭스는 촉매 재료로 코팅되며, 강 플레이트는 매끄러운 플레이트(smooth plate)와 주름진 플레이트(corrugated plate)로 구체화되고 층 내에 교대로 배열된다.
이러한 캐리어 매트릭스의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강 플레이트는 먼저탈지(degrease) 및/또는 세척되는 것으로 제안된다. 강 플레이트에는 그 후 층 내에 교대로 배열되기 전에 땜납 코팅이 제공된다. 접착제 또는 땜납은 그 후 매끄러운 강 플레이트, 주름진 강 플레이트 또는 두 형태의 강 플레이트에 도포될 수 있다. 땜납은 주름진 강 플레이트의 주름 방향으로, 또는 이에 수직하게 스트립으로 도포된다. 강 플레이트가 캐리어 매트릭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층되고 감긴 후에, 캐리어 매트릭스는 가열되고 모든 층 또는 강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해 동시에 납땜된다. 서로에 대한 강 플레이트의 다양한 형태 및 배열(S-형, 나선형, 등)이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EP 0 430 975 또는 EP 0 436 533을 참조한다.
이러한 방법은 과거에 매우 만족스럽다고 판명되었으나, 특히 비용 및 납땜 품질과 관련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스트립 형태의 접착제 또는 땜납의 제공이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또는 땜납의 감소를 수반하지만, 소정의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는 강 플레이트 서로 간의 너무 단단한 연결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중 시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탐지되었다. 이 정도에서 특히 매우 얇은 강 플레이트가 사용될 때 초과 양의 땜납은 자동차의 배기 가스 시스템에서 이러한 캐리어 매트릭스의 사용 중에 부식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너무 많은 땜납 재료를 캐리어 매트릭스에 유입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땜납 재료의 과잉 제공은 특히 대량 제조 범위 내에서 허용되어야 하는 비용 측면을 구성한다.
강 플레이트가 적층 또는 감길 때 또다른 제조 문제점이 발생한다. 땜납 재료가 적층 또는 감기 전에 이미 도포되기 때문에, 땜납 재료는 주름진 강 플레이트와 매끄러운 강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영역에 배열되어 이들 플레이트 사이의 직접 접촉이 보장되지 않는다. 후속적인 열처리 중에, 접착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하고 땜납 재료는 용융되어 소정 상황에서 갭이 형성된다. 이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강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 연결부가 바람직한 연결 영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상황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는 캐리어 매트릭스가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시스템 내에서 열적 및 동적 조건에 있을 때 이러한 캐리어 매트릭스의 피로 강도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유체가 관통할 수 있는 덕트를 형성하고 피치와 파고(wave height)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처된 필름(textured film)을 포함하는 하니컴 구조물, 및 이러한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접착제와 분말 땜납은 접착제 스트립 폭 내에서 필름 사이의 접착 영역에 제공된다.
도 1은 땜납 공정 전에 외측 파이프를 갖는 하니컴 구조물의 단부도이며,
도 2는 하니컴 구조물의 상세 설계의 개략도이며,
도 3은 텍스처된 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를 도시하며,
도 4는 하니컴 구조물의 또다른 구조를 도시하며,
도 5는 제안된 방법의 구성 과정의 개략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 하니컴 구조물
2 : 텍스처된 필름
3. 땜납
4 : 접착제
5 : 단부측
6 : 매끄러운 필름
7 : 덕트
8 : 영역
9 : 축선
10 : 하우징
11 : 접촉 영역
12 : 필름 두께
13 : 2차 구조물
14 : 부동층
15 : 길이
16 : 분배 롤러
17 : 롤러
18 : 공급 장치
19 : 노즐
20 : 세정 수단
21 : 땜납 도포 장치
22 : 오븐
23 : 극점
24 : 에지
25 : 포켓
B : 접착제 스트립 폭
D : 땜납 직경
L : 땜납 스트립 폭
P : 피치
W : 파고(wave height)
Z : 추가 폭
이러한 점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하니컴 본체 및 그 제조 방법과 관련된 문제점을 적어도 일부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인접하게 배열된 시이트 금속 플레이트 사이의 영구 연결을 보장하는 하니컴 본체가 특정되고, 영구 연결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땜납 재료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시이트 금속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에 증착되는 방법, 및 이용가능한 땜납의 양에 무관하게, 영구 연결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땜납 재료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시이트 금속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에 증착되는 방법이 특정된다.
이들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방법 뿐만 아니라 청구항 제 13 항의 특징에 따른 하니컴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다른 유리한 개선점은 각각의 종속항에 개시되며, 거기서 개시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나타낼 수 있다.
피치와 파고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처된 또는 주름진 필름을 포함하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은,
- 파고의 크기의 15% 이하인 평균 땜납 직경의 분말 땜납을 선택하는 단계,
- 다음 식,
에 따라 최소 접착제 스트립 폭을 결정하는 단계,
- 주름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일부 주름 피크 상에서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 내에 적어도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처된 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 상기 하니컴 구조물에 땜납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제안되며,
여기서, B = 접착제 스트립 폭,
D = 땜납 직경,
P = 피치 및
W = 파고이다.
적절한 평균 땜납 그래뉼 직경의 선택은 필수적으로 필름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필름이 합금화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사용되는 필름 두께가 하니컴 구조물의 달성가능한 덕트 밀도 및 텍스처된 필름의 파고와 상호관련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이러한 이유로, 파고 크기의 15% 이하, 특히 10% 이하, 바람직하게 8% 이하인 평균 땜납 그래뉼 직경이 제안된다. 거의 1000cpsi를 갖는 하니컴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것처럼 파고가 예를 들어 0.73mm라면, 110㎛ 이하의 평균 땜납 그래뉼 직경이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처된 필름을 갖는 하니컴 구조물이 형성되며, 다양한 텍스처된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텍스처링(texturing)은 필름의 전체 폭 및/또는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매끄러운 통로를 갖는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의미에서 구조물은 예를 들어 필름에서 주름지거나 접히며, 규칙적인 구조물이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사인파 또는 가능하게 국부적으로 저지되거나 중첩된 또다른 구조(마이크로 구조 또는 마크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복잡한 주름과 필수적으로 유사한 구조물이 특히 적절함이 증명되었다. 텍스처링은 바람직하게 규칙적인 간격에서 극점, 예를 들어 고점 및 저점을 갖는다. 상기 공정에서, 두 인접한 고점 사이의 거리는 피치(파장의 형태)로서 지칭되고, 파고(고도 형태)는 각각의 고점과 저점의 가상 연결선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며 특히 피치에 대해 횡단 또는 수직으로 배향된다.
텍스처된 필름(특히 알루미늄 크롬강으로 구성됨)에 접착제의 도포는 필수적으로 구조물의 극점을 따라 수행된다. 접착제 스트립 폭은 바람직하게 극점과 관련하여 대칭으로 배열되고, 접착제 스트립 폭의 거의 절반이 각각 극점 바로 근처에 배열된다. 그러므로 접착제 스트립 폭은 땜납 그래뉼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접착제 또는 아교가 제공되는 텍스처된 필름 상의 영역을 정의한다. 극점이 후속적으로 인접하게 배열된 필름에 대해 놓여 접촉 영역이 형성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접촉 영역에서의 후속적인 열처리 중에 결합 기술을 이용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특히 상기 접촉 영역에 충분한 땜납 재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상기 공정에서, 특히 땜납 그래뉼 크기와 인접한 필름의 서로에 대한 공간 배열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조물의 구성(특히 피치 대 파고의 비)에 따라, 인접한 필름의 서로에 대한 공간 배열이 변하여 예를 들어 상당히 평탄하거나 상당히 가파른 포켓이 접촉 영역 내에 형성된다. 사용되는 땜납 그래뉼 크기에 따라, 텍스처된 필름의 에지가 가파르다면, 즉 피치 대 파고의 비가 작다면 극점에 상당히 가까운 땜납 그래뉼의 배열이 가능하다. 결합 기술을 이용하여 인접한 필름의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실제 필요한 땜납의 양이 접촉 영역에서 사실상 고정된다면, 접착제 스트립 폭은 소정의 평균 땜납 직경을 갖는 소정 수의 땜납 그래뉼이 접촉 영역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동시에, 예를 들어 접착제가 텍스처된 필름의 에지에 모이는 것이 방지되는데, 이러한 모임은 증착될 것이 요구되지 않는 땜납 재료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개선점에 따라 접착제 스트립 폭을 추가 폭(Z) 만큼 확대시키는 것이 제안되며, 추가 폭은 0.2 D(땜납 그래뉼 직경) < Z < D 범위이다. 특히, 접착제 스트립 폭은 다음 식, 즉 WZ= B + Z에 따른다. 이러한 추가 폭은 특히 높은 열적 및/또는 동적 응력이 추후 사용 중에 발생한다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접착제 스트립 폭은 예를 들어 추가 땜납 그래뉼(소정 조건 하에서 동일하거나 심지어 보다 작은 땜납 그래뉼 직경을 가짐)이 배열될 수 있는 양 만큼 확대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안전 인자(safety factor) 형태를 갖는 결합 기술을 이용한 연결부의 형성 가능성을 제공하며, 정확히 한정된 양의 추가 땜납 재료가 접촉점 부근에 확보된다. 예를 들어 하니컴 구조물이 상당히 두꺼운 벽 필름(예를 들어 60㎛ 이상의 필름 두께를 가짐)을 포함한다면 이러한 추가 땜납 재료의 배열은 바람직하다. 두꺼운 벽 필름은 상당히 얇은 필름과 비교하여 상당히 단단한 구성이어서 필름이 감길 때, 추가적으로 고정된 땜납 재료에 의해 측정되는 갭이 접촉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구성에 따라, 접착제 스트립 폭은 0mm 내지 1mm 범위에 있고 접착제 스트립 폭에 더하거나 빼는 수정값(K)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접착제 스트립 폭은 다음의 식, 즉 BZ,K= B + Z ±K에 따라 추가 폭 및 수정값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기 수정값은 특히 형성된 필름 구조에 따라 선택된다. 최소 접착제 스트립 폭을 결정하는 상기 식은 필수적으로 사인파 주름에 기초하지만, 수정값으로 인해 상기 계산은 예를 들어 사각파(square wave)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매우 가파른 에지를 갖는 이러한 파형에서, 서로 상당히 벗어난 포켓 형태가 발생된다. 특히 이러한 구성에서, 확보되는 땜납 그래뉼을 접촉 영역에 보다 가깝게 위치시킴 없이 피치/파고 비의 상당한 변경이 발생하며, 그러므로 접착제 스트립 폭이 필수적으로 불변된다. 이러한 효과는 수정값에 의해 보상된다.
게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처된 필름에 먼저 접착제가 제공되고, 하니컴 구조물이 그 후 형성되며(예를 들어 필름을 적층 및/또는 감음으로써) 그 후 땜납이 하니컴 구조물의 단부측에 도포됨이 제안된다. 이는 땜납 재료가 필름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인접한 필름이 서로 이격된다. 이는후속적인 열처리 중에 제공된 땜납이 서로 연결되는 필름의 단지 하나에만 증착되게 하여, 결합 기술을 이용한 연결부를 형성하지 않게 한다. 필름에는 감기 전에 접착제가 제공되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는 여기서 방지된다. 필름이 서로에 대해 그들의 최후 위치를 가정할 때까지(예를 들어 감긴 또는 포장된 상태에서) 땜납은 하니컴 구조물의 단부측에 공급되지 않는다. 땜납은 접착제 스트립 폭 내에서 접착제에 계속 부착된다.
이 시점에서 원칙상 하니컴 구조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처된 필름 및 매끄러운 필름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매끄러운 필름과 하나의 주름진 필름을 서로 인접하게 교번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필름은 예를 들어 바람직한 형태의 하니컴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S-형태로 감기거나, 차례로 적층되거나 또는 나선 형태로 감길 수도 있다. 따라서 하니컴 구조물 자체는 장방형, 달걀형 또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필름의 선택된 형태에 따라, 텍스처된 필름 사이 또는 텍스처된 필름 또는 매끄러운 필름 사이 또는 매끄러운 필름 사이의 접촉 영역이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매끄러운 필름에 의한 하니컴 구조물의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며,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텍스처된 필름과 하나 이상의 매끄러운 필름은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가 형성하도록 적층 및/또는 감긴다. 유체는 특히 가스 유체 및 구체적으로 자동차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를 의미한다. 덕트는 바람직하게 하니컴 구조물의 일 단부측으로부터 대향 단부측으로 서로 필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구성에 따라, 접착제 스트립 폭은 1.75mm 이하, 특히 1mm 이하, 및 바람직하게 0.5mm 이하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된 식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필름의 영구 연결이 보장되는 접착제 스트립 폭에 대한 하한이 필수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땜납 재료의 초과 사용을 방지하도록 의도된 상한이 제안된다. 본원에서, 일반적으로 항상 동일한 땜납 그래뉼 직경을 갖는 분말 땜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땜납 분말은 일반적으로 땜납 분말 비율로 제공되고, 최대값이 특정 땜납 그래뉼 크기와 거의 동일한 가우스 분포를 가정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에 있어서, 특히 통상의 가우스 분포 보다 상당히 엄격한 표준을 만족시키는 땜납 그래뉼 분율이 선택된다. 이와 관련하여, 편차가 0.8 이하, 특히 0.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 0.3 이하인 평균 땜납 직경을 갖는 땜납 그래뉼 분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각각의 경우에 바람직한 양의 땜납이 사실상 하니컴 구조물의 횡단면내에 배열되며, 특히 단지 하나의 땜납 그래뉼이 각각의 포켓에 배열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구성에 따라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의 도포는 하니컴 구조물의 축선 방향으로의 단지 적어도 일 영역 상에서 수행된다. 이는 접착제 스트립 폭이 텍스처된 필름의 길이에 걸쳐 가능하게 연속적이거나, 단지 단부측으로부터 시작하는 영역에 걸쳐 또는 단지 그 사이에 놓인 영역에 형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단부측에 인접한 하니컴 구조물의 단지 입구 영역 및/또는 출구 영역이 결합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상황을 야기한다. 이는 특히 가열 및 냉각 공정 중에 외측 영역과 비교할 때 하니컴 구조물의 내측에서 길이의 상이한 변화를 야기하기 때문에 하니컴 구조물이 열팽창 거동을 보상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반복 가능한 형태로 각각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는 두 접착제 특성을 갖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접착제가 먼저 접착 활성 특성을 갖고, 소정 조건하에서 이 특성을 비활성화하고 또다른 수단에 의해 그 접착 특성을 회복함을 의미한다. 하니컴 본체를 제조하기 위해 이러한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 접착제 스트립 폭 외측에 모이는 접착제의 접착 특성은 땜납의 도포 전에 비활성화되고 및/또는
- 접착제 스트립 폭 내측에 모이는 접착제의 접착 특성은 땜납의 도포 전에 활성화된다.
이러한 접착제의 이용은 예를 들어 접착제 특성이 감기 중에 및/또는 적층 중에 비활성화되어 인접하게 배열된 필름이 서로 미끄러지는 것을 보장하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접착제는 제조 허용한도로 인해 접착제 스트립 폭 외측에 배열된 접착제가 선택적으로 제거되는 접착 특성을 가져 땜납 그래뉼이 이 부분에 확보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접착제의 접착 특성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온도 변경 및/또는 접착제와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의 추가가 이용된다. 접착제의 또다른 특성에 대해서는 이 시점에서 본원에 참조된 WO 95/30508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구성에 따라, 분말 땜납의 평균 땜납 직경은 40㎛내지 120㎛범위이다. 전술된 것처럼, 특히 작은 편차가 여기서 보장된다. 땜납 직경의 선택은 승용차의 배기 가스 시스템에서 열적 조건(1000℃까지) 및 동적 조건(차량 진동, 배기 가스의 압력 파동)을 견디는, 결합 기술을 이용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특히 땜납의 양과 관련하여 수행된다. 분말 땜납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특정 크기(예를 들어 106μ, 75μ, 50μ)로 제공되기 때문에, 두 개의 보다 작은 땜납 그래뉼은 요구된 양이 보다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하니컴 구조물의 횡단면에 포켓당 하나의 큰 땜납 그래뉼 대신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구성에 따라, 땜납 도포 후에 또는 하니컴 구조물의 후속적인 열처리 후에, 접착제 스트립 폭과 비교하여 필수적으로 단지 최대 10%, 바람직하게 최대 5%의 허용한도를 갖는 땜납 스트립 폭(L)이 발생되며, 특히 접착제 스트립 폭 보다 크지 않다. 이는 포켓 내로 이동하는 매우 제한된 땜납 스트립이 형성됨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필름의 에지 또는 채널 벽의 보다 큰 부분이 땜납 재료로부터 떨어져, 하니컴 구조물의 내부식성을 개선시킴을 의미한다. 게다가, 덕트 횡단면은 불필요하게 보다 좁게 형성되지 않으며 이는 하니컴 구조물을 통해 유동하는 배기 가스의 증가된 램(ram) 압력을 야기한다.
더욱이, 하니컴 구조물이 땜납의 도포 전에 하우징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됨이 제안된다. 그 결과는 필름이 이미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납땜 공정중에 다양한 필름의 복잡한 고정이 방지된다는 것이다. 하니컴 구조물의 외측 주변에 하니컴 구조물을 하우징에 부착시키는 납땜 수단이 제공된다면 단지 부분적인 도입이 특히 유리하다. 외측 파이프 또는 하우징은 보다 큰 열 질량(약 0.8mm-1.5mm의 보다 큰 재료 두께)으로 인해 필름과 상이한 열팽창 거동을 갖기 때문에, 하니컴 구조물과 하우징 사이의 이러한 연결은 바람직하게 하니컴 구조물의 단지 일 단부측에서만 형성된다. 땜납의 도포 후에, 하니컴 구조물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필름이 서로 납땜되며, 후속적인 열처리 중에 하우징에 납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가 형성되도록 피치와 파고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처된 필름을 포함하는 하니컴 구조물이 제안되며, 접착제와 평균 땜납 직경을 갖는 분말 땜납은 접착제 스트립 폭 내에서 필름 사이의 접촉 영역에 제공된다. 하니컴 구조물은 본 발명에 따라 접착제 스트립 폭과 땜납 직경이 필수적으로 다음 관계식에 대응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식은 추가 폭(Z) 또는 수정값(K)으로 보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하니컴 구조물은 원칙상 열처리 전, 특히 납땜 공정 전의 상태가 기술되기 때문에 반제품 형태임을 기억해야 한다. 납땜 공정 과정에서, 접착제의 소정 성분이 증발하여 이러한 열처리 후에 접착제 스트립 폭이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반제품의 이용은 이미 납땜된 하니컴 본체를 제조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하니컴 구조물은 바람직하게 또한 매끄러운 필름을 포함하며, 또다른 구성에 따라 하니컴 구조물은 180㎛ 이하, 특히 100㎛ 이하, 바람직하게 40㎛ 이하의 필름두께의 필름을 포함한다. 20㎛ 이하의 필름 두께를 갖는 필름의 경우에 그리고 특히 15㎛ 이하의 필름 두께를 갖는 필름의 경우에 땜납 재료의 정확한 공급이 특히 중요한데, 이는 이들 매우 얇은 필름의 경우에 필름의 조성에 현저한 영향을 주는 매우 높은 농도의 납땜 수단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특히 매우 얇은 필름 두께의 관점에서 상기 방법에 따라 하니컴 본체를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다.
구조물의 구성에 관해서 파고(W)가 4mm 내지 0.5mm 범위이고, 및/또는 피치(P)가 6mm 내지 0.8mm 범위임이 제안된다. 특히 제안된 방법에 따라 접착제의 정확한 도포는 상당히 많은 수의 셀과 상당히 작은 파고 및/또는 피치를 갖는 하니컴 구조물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이는 바람직하게 1mm 이하, 특히 0.75mm 이하의 파고 또는 2mm, 특히 1.5mm 이하의 피치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파고 및 제안된 피치에 대해, 유동 저항과 관련하여 적절한 횡단면을 갖는 덕트가 형성된다. 게다가, 필름에는 일반적으로 촉매식 활성 재료로 침지되는 워시 코팅(wash coating)이 제공된다는 사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워시 코팅은 덕트 내의 특히 울퉁불퉁한 큰 표면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져 촉매식 활성 재료와 배기 가스 사이의 집중적인 접촉이 보장된다. 너무 좁은 덕트 형상이 선택되면, 이는 막힌 덕트를 야기할 수 있어서, 이러한 하니컴 본체의 상류 배기 가스 램 압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200cpsi(제곱 인치당 셀) 내지 1600cpsi 범위의 모든 공지된 덕트 밀도에 대해 적절하지만, 600cpsi 이상, 특히 800cpsi 이상의 덕트 밀도를 갖는 하니컴 구조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니컴 구조물의 횡단면의 단위 면적에서 덕트의 수를 나타내는 덕트 밀도의 선택은 필수적으로 하니컴 구조물의 이용에 의해 결정된다. 더욱이, 예를 들어 필름 두께 및/또는 파형이 고려된다.
하니컴 구조물의 또다른 구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필름은 영역을 형성하고 하니컴 구조물의 축선 방향으로 접착제 스트립 폭의 정도를 한정하는 2차 구조물을 갖는다. 2차 구조물은 개개 형태 및/또는 텍스처된 필름의 구조물에 대해 필수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필름의 변형이라고 이해된다. 더욱이, 상기 2차 구조물은 보다 작게 또는 평평하게 제조되어 2차 구조물이 예를 들어 적절하다면 텍스처된 필름의 파고의 20% 이하, 특히 10% 이하 그리고 바람직하게 5% 이하인 2차 파고를 갖는다. 2차 구조물은 축선 방향으로 또는 극점(파 피크 또는 파골) 정도의 방향으로 접착제 스트립 폭의 한계를 형성한다. 더욱이, 2차 구조물은 예를 들어 이동 레일(sliding rail)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특히 이동 레일이 접착제 영역 및/또는 외측에 배열된다면 적용된다. 이들은 감기 중에 필름 서로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접착제 스미어 및/또는 필름이 이 상태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서로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영역을 형성하고 하니컴 구조물의 축선 방향으로 접착제 스트립 폭의 정도를 한정하는 부동층을 갖는다고 제안된다. 부동층은 예를 들어 접착제의 접착 특성에 영향을 주는 화학 물질로 이해되어, 예를 들어 바람직한 접착제 스트립 폭의 외측에 배열된 접착제가 부동층과의 접촉에 의해 비활성화되고, 즉 그 접착 특성(적절한 경우 영구히)을 잃게 된다. 이 정도에서, 부동층은 축선 영역을 한정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조건하에서 텍스처된 필름의 에지가 바람직한 접착제스트립 폭 외측에 소정의 접착 유효 접착제를 갖지 않는 상황에 기여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된다. 여기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세한 설명의 관점에서 적합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하우징(10) 내에 이미 완전히 유입된 하니컴 구조물(1)의 단부도이다. 일 단부측(5)이 매우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되며, 하니컴 구조물(1)이 나선형으로 감긴 매끄러운 필름(6)과 텍스처된 필름(2)으로부터 구성되는 부분 단면도가 자세히 도시된다. 여기서 텍스처된 필름(2)과 매끄러운 필름(6)이 배기 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7)를 형성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덕트(7)는 필수적으로 동일한 턱트 횡단면을 갖고 하니컴 구조물(1)의 일 단부측(5)으로부터 대향 단부측으로 서로에 대해 사실상 평행하게 연장한다. 하니컴 구조물(1)은 땜납 단계 후의 상태로 도시되며, 땜납 스트립 폭(L)은 필름 사이의 접촉 영역에 형성된다. 땜납 스트립 폭(l)은 특히 복수의 땜납 그래뉼(solder granule)이 덕트 진행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는 접촉 영역 부근의 영역을 나타낸다.
도 2는 하니컴 구조물(1)의 설계의 보다 상세한 개략도이다. 접촉 지점 또는 접촉 영역(11)을 형성하고 채널(7)의 한계를 정하는 텍스처된 필름(2)과 매끄러운 필름(6)(굽히지 않은 상태)이 도시된다. 텍스처된 필름(2)은 두 인접한 극점(23) 사이의 거리(고점에서 고점까지 또는 저점에서 저점까지)를 나타내는 피치(P)를 갖는다. 더욱이, 구조물은 두 대향하는 극점(23) 사이의 거리(고점에서 저점)를 나타내는 파고(W, wave height)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접촉 영역(11) 부근에서, 포켓(25)이 형성되고 그 공간 구조는 필수적으로 텍스처된 필름의에지(24)의 기울기에 의존한다. 텍스처된 필름(2) 및/또는 매끄러운 필름(6)은 소정의 필름 두께(12)를 갖는다.
더욱이, 도 2는 극점(23)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 대칭으로 배열된 접착제 스트립 폭(B)을 도시한다. 접착제 스트립 폭(B)은 추가 폭(Z)에 의해 증가될 수도 있고, 추가 폭(Z)은 바람직하게 접착제 스트립 폭의 양 측부에 추가된다. 접착제 스트립 폭(B)은 여기서 단지 필요한 양의 분말 땜납(3)이 접착제(4)의 접착 효과로 인해 포켓(25)에 증착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포켓(25)당 평균 땜납 그래뉼 직경(D)을 갖는 단지 매우 작은 수의 땜납 그래뉼, 특히 단지 두 개 특히 바람직하게 단지 하나의 땜납 그래뉼이 존재한다.
도 3은 텍스처된 필름(2)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가능한 방법을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텍스처된 필름(2)은 서로 약간 이격된 두 개의 분배 롤러(16)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방법에서, 텍스처된 필름(2)은 분배 롤러(16)와 단지 그 극점(23)(파골(wave trough)과 파 피크) 만이 접촉되어 한정된 접착제 스트립 폭이 발생된다. 도 3에서 상부에 도시된 분배 롤러(16)에 공급 장치(18)가 직접 제공되며, 상기 공급 장치(18)에 의해 접착제(4)가 분배 롤러(16)의 표면에 도포된다. 공급 장치(18)는 여기서 중력을 이용한다. 텍스처된 필름(2) 아래에 배열된 분배 롤러는 롤러(17)에 의해 그 주변면이 접착제(4)로 코팅되고, 상기 롤러(17)는 공급 장치(18)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장치에서, 분배 롤러(16)는 텍스처된 필름(2)의 길이(15)에 거의 대응한다. 이 정도에서, 접착제는 또한 전체 길이(15)에 걸쳐 접착제 스트립 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당업자가 이러한 접착제 스트립을 제조하는 다양한 제조 기술에 친숙함을 이해해야 한다. 접착제의 도포가 분배 롤러(16)에 의해 수행되는 도시된 장치 외에, 예를 들어 분사 노즐, 접착 스트립 등을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다양한 기계적 장치 및/또는 기초 물리 원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모세관 효과, 중력, 압력 등이 또한 여기서 이용가능하다.
접착제가 도포된 텍스처된 필름(2)은 그 후 매끄러운 필름(6)과 조합되고, 하니컴 구조물이 축선(9)을 중심으로 나선 형태로 이들을 감음으로써 형성된다.
도 4는 이미 접착제가 도포된 텍스처된 필름(2)과 매끄러운 필름(6)의 감기 공정을 도시하며, 이들 필름은 조합되고 교대로 축선(9)을 중심으로 나선 형태로 감긴다. 도 3에 도시된 텍스처된 필름(2)과 대조적으로, 접착제는 전체 길이(15, 표시되지 않음)에 걸쳐 도포되지 않는다. 여기서, 텍스처된 필름(2)은 텍스처된 필름(2)의 단부측(5)으로부터 내부 영역으로 연장하는 두 영역(8)을 갖는다. 영역(8)은 2차 구조물(1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상기 2차 구조물(13)은 파고를 소정의 값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 특히 분배 롤러(16) 상에 도시된 장치와 관련하여 이들 분배 롤러(16)와의 접촉이 방지된다. 이 정도에서, 접착제(4)는 2차 구조물(13)과의 영역에서 텍스처된 필름(2)에 도포되지 않는다.
또한, 텍스처된 필름(2)은 중앙 영역에 또다른 영역(8)을 가지며, 축선(9) 방향으로의 범위는 부동층(14)에 의해 한계가 정해진다. 부동층은 텍스처된 필름(2)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또는 후에 도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성의 개략도이다. 제 1 단계에 따라, 접착제(4)는 텍스처된 필름(2)에 도포된다. 이러한 공정은 텍스처된 필름(2)의 대향 측면에 배열된 두 노즐(19)에 의해 수행된다. 노즐(19) 또는 대응 장치는 각각의 경우에 텍스처된 필름(2)의 파 피크와 파골 상에 접착제 스트립을 발생시킨다.
단계 2는 텍스처된 필름(2)으로부터 접착제 스트립 폭(B)을 지나 돌출하는 접착제(4) 부분을 제거하는 세정 단계의 개략도이다. 이러한 세정 공정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수단에 관해서는 당업자는 차례로 다수의 대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존할 것이다. 화학 물질, 연마 매체 또는 기계적 툴이 사용 또는 선택될 때, 특히 필요한 제조 정밀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에서, 세정 수단(20)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지 않은 땜납 그래뉼이 증착되게 하는 과잉 접착제를 제거하는 용매에 적셔진 한쌍의 연마 디스크를 도시한다.
예비 처리된 텍스처된 필름(2)은 매끄러운 필름(6, 도시되지 않음)과 적층되고 단계 3에서 스케치 형태로 도시된 S형으로 감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하니컴 구조물(1)은 하우징(10)에 부분적으로 도입된다.
단계 4에서, 납땜 공정이 도시되며, 분말 땜납(3)의 공급은 여기서 납땜 장치(21)에 의해 수행된다. 납땜 장치(21)는 예를 들어 분말 땜납(3)을 하니컴 구조물(1)의 내부 영역에 공급하는 노즐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공급은 중력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거나 하니컴 구조물(1) 및 하우징(10)을 땜납 분말로 채워진 유동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담금으로써 중력과 반대로 일어날 수 있다. 하니컴 구조물(1)의 외측 주변면에 땜납의 동시 도포가 발생한다면, 땜납(3)이 후에 하니컴 구조물(1)의 주변면에 부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감기 공정 후에 또는 하우징(10) 내로 하니컴 구조물의 도입 후에 추가적인 접착제층이 도포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하니컴 구조물(1)은 하우징(10) 내에 완전히 도입되고 오븐(22)에서 열처리(납땜 공정)된다(단계 5 참조). 필름 사이 및 필름과 하우징(10) 사이의 납땜 연결은 바람직하게 고온 진공 납땜 방법으로 지칭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자동차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유독성 물질을 화학적으로 전전시키는데 적합한 촉매식 활성 코팅용의 하니컴 본체 또는 캐리어 매트릭스의 제조를 허용한다. 결과로서, 제안된 최소 접착제 스트립 폭은 열적 및 동적 응력이 우세함에도 불구하고 영구적인 연결을 보장하며, 동시에 땜납 재료의 과잉 이용이 방지된다. 이는 한편으로 이러한 하니컴 구조물의 제조와 관련된 비용 측면에서 장점을 야기하며, 동시에 본 발명은 이러한 하니컴 구조물의 제조 범위 내에서 공정 신뢰성과 서비스 수명을 증가시킨다.

Claims (19)

  1. 피치(P)와 파고(W)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처된 필름(2)을 포함하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파고(W)의 크기의 15% 이하인 평균 땜납 직경(D)의 분말 땜납(3)을 선택하는 단계,
    - 다음 식,
    에 따라 최소 접착제 스트립 폭(B)을 결정하는 단계,
    - 주름에 의해 형성된 주름 피크들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처된 필름 이상에 걸쳐 접착제를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 내로 도포하는 단계, 및
    - 상기 하니컴 구조물(1)에 땜납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은 추가 폭(Z) 만큼 확대되며, 상기 추가 폭은 0.2 D < Z < D 범위인,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은 0mm < K < 1mm 범위에 있고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에 더하거나 빼는 수정값(K)에 의해 결정되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처된 필름(2)에 먼저 상기 접착제(4)가 제공되고, 하니컴 구조물(1)이 그 후 형성되며, 그 후 땜납이 상기 하니컴 구조물(1)의 단부측(5)에 도포되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컴 구조물(1)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매끄러운 필름(6)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텍스처된 필름(2)과 하나 이상의 매끄러운 필름(6)은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7)가 형성하도록 적층 및/또는 감기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은 1.75mm 이하, 특히 1mm 이하, 및 바람직하게 0.5mm 이하인,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컴 구조물(1)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은 상기 하니컴 구조물(1)의 축선(9) 방향으로의 적어도 일 영역(8) 상에서만 수행되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 외측에 모이는 상기 접착제(4)는 땜납의 도포 전에 세정 단계에서 제거되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4)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반복 가능한 형태로 각각 활성 또는 비활성될 수 있는 두 접착제 특성을 가지며,
    -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 외측에 모이는 상기 접착제(4)의 접착 특성은 땜납의 도포 전에 비활성화되고 및/또는
    -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 내측에 모이는 상기 접착제(4)의 접착 특성은땜납의 도포 전에 활성화되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0㎛내지 120㎛범위의 상기 분말 땜납(3)의 평균 땜납 직경(D)이 사용되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땜납 도포 후에 또는 상기 하니컴 구조물(1)의 후속적인 열처리 후에,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과 비교하여 필수적으로 단지 최대 10%, 바람직하게 최대 5%의 허용한도를 갖는, 특히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 보다 크지 않은 땜납 스트립 폭(L)이 발생되며,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컴 구조물(1)이 땜납의 도포 전에 하우징(1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되는,
    하니컴 구조물에 접착제 및 땜납을 도포하는 방법.
  13.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7)가 형성되도록 피치(P)와 파고(W)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텍스처된 필름(2)을 포함하는 하니컴 구조물(1)로서, 접착제와 평균 땜납 직경(D)을 갖는 분말 땜납(3)이 접착제 스트립 폭(B) 내에서 필름(1, 2) 사이의 접촉 영역(11)에 제공되는, 하니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과 땜납 직경(D)이 필수적으로 다음 관계식
    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구조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또한 바람직하게 매끄러운 필름(6)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2, 6)이 180㎛ 이하, 특히 100㎛ 이하, 바람직하게 40㎛ 이하의 필름 두께(1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구조물.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파고(W)가 4mm 내지 0.5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구조물.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P)가 6mm 내지 0.8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구조물.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00cpsi 이상, 특히 800cpsi 이상의 덕트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구조물.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필름(2, 6)이 영역(8)을 형성하고 상기 하니컴 구조물(1)의 축선(9) 방향으로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의 정도를 한정하는 2차 구조물(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구조물.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필름(2, 6)이 영역(8)을 형성하고 상기 하니컴 구조물(1)의 축선(9) 방향으로 상기 접착제 스트립 폭(B)의 정도를 한정하는 부동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컴 구조물.
KR1020047010482A 2002-01-03 2002-12-20 벌집 형상체 및 상기 구조물의 접착 및 납땜 방법 KR100944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069A DE10200069A1 (de) 2002-01-03 2002-01-03 Waben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Beleimung und Belotung
DE10200069.7 2002-01-03
PCT/EP2002/014635 WO2003055631A1 (de) 2002-01-03 2002-12-20 Waben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beleimung und belo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611A true KR20040068611A (ko) 2004-07-31
KR100944289B1 KR100944289B1 (ko) 2010-02-24

Family

ID=771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482A KR100944289B1 (ko) 2002-01-03 2002-12-20 벌집 형상체 및 상기 구조물의 접착 및 납땜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108168B2 (ko)
EP (1) EP1463599B1 (ko)
JP (1) JP4557547B2 (ko)
KR (1) KR100944289B1 (ko)
CN (1) CN1296163C (ko)
AU (1) AU2002361184A1 (ko)
BR (2) BRPI0215435B8 (ko)
DE (2) DE10200069A1 (ko)
ES (1) ES2280614T3 (ko)
RU (1) RU2291767C2 (ko)
WO (1) WO20030556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259B1 (ko) * 2003-08-21 2011-07-08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벌집체 제조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069A1 (de) * 2002-01-03 2003-07-24 Emitec Emissionstechnologie Waben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Beleimung und Belotung
DE10343463A1 (de) * 2003-09-19 2005-04-14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uminiumhaltigen Wabenkörpern mit Strahlungsheizern
EP1557545A3 (en) * 2004-01-21 2006-03-29 Ecocat OY Metallic catalyst for treating exhaust gas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4021037A1 (de) * 2004-04-29 2005-11-24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ochtemperaturfesten Struktur
DE102005028044A1 (de) * 2005-06-17 2006-12-28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Herstellung von, insbesondere großen, Wabenkörpern für die mobile Abgasnachbehandlung
JP2008238223A (ja) * 2007-03-27 2008-10-09 Denso Corp ろう接方法
DE102008003658A1 (de) * 2008-01-09 2009-07-16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Wabenkörper mit strukturiertem Blechmaterial
DE102008011262A1 (de) * 2008-02-27 2009-09-03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Wabenkörper mit verbindungsfreiem Bereich
DE102008011263A1 (de) * 2008-02-27 2009-09-03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Wabenkörper mit Flexibilitätszonen
DE102008011261A1 (de) * 2008-02-27 2009-09-03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Wabenkörper mit flexiblen Verbindungsstellen
DE102008016148A1 (de) * 2008-03-28 2009-10-01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Wabenkörp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löteten Wabenkörpers
DE102008022518A1 (de) * 2008-05-07 2009-11-12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Wabenkörper mit radial verschieden ausgeführten Verbindungsstellen
JP4807380B2 (ja) * 2008-06-09 2011-11-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機能膜の製造装置
DE102010052650A1 (de) * 2010-11-26 2012-05-31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bindung zweier Abgasbehandlungsvorrichtungen zueinander
CN102528195A (zh) * 2010-12-17 2012-07-04 江苏耐尔冶电集团有限公司 一种机动车用三元催化器金属载体钎焊的工艺方法
DE102012200828A1 (de) 2011-02-03 2012-08-09 Aleris Aluminum Koblenz Gmbh Metallische wabenstruktur
US20130032274A1 (en) * 2011-08-02 2013-02-07 Ruth Latham Method of wrapping a batt, blanket or mat in an exhaust gas aftertreatment or acoustic device
EP2753804A4 (en) * 2011-09-05 2015-08-26 Basf Corp METHOD FOR APPLYING BRASURE TO A HONEYCOMB METAL MATRIX, HONEYCOMB METAL MATRI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11119740A1 (de) * 2011-11-30 2013-06-06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Diffusionssperrschicht bei einer Abgasbehandlungseinheit
CN102861962A (zh) * 2012-09-29 2013-01-09 夏琦 一种在金属载体上涂覆钎焊材料的方法
DE102016108177B4 (de) * 2016-05-03 2019-05-23 Scherdel Innotec Forschungs- Und Entwicklungs-Gmbh Rundsieb sowie Herstellungsvorrichtung hierfür
CN108722780A (zh) * 2018-07-19 2018-11-02 无锡市盛和科技有限公司 一种平板滚焊钎焊带上胶装置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2458A (en) * 1956-03-08 1962-05-01 Dufaylite Dev Ltd Cellular structures made from sheet materials
DE2924592C2 (de) 1979-06-19 1983-05-26 Süddeutsche Kü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rägermatrix für einen katalytischen Reaktor zur Abgasreinigung bei Brennkraftmaschinen von Kraftfahrzeugen
DE8801788U1 (ko) 1988-02-11 1989-06-15 Emitec Emissionstechnologie
DE3818512A1 (de) * 1988-05-31 1989-12-07 Interatom Verfahren zum beleimen und beloten eines metallischen katalysator-traegerkoerpers und zugehoerige vorrichtung
BR8907458A (pt) 1988-09-22 1991-04-02 Emitec Emissionstechnologie Corpo alveolar,especialmente corpo de suporte de catalisador,constituido de uma multiplicidade de pilhas de chapa entrelacadas
US5135794A (en) 1988-09-22 1992-08-04 Emitec Gesellschaft Fur Emissionstechnologie Mbh Honeycomb body, in particular catalyst carrier body, formed of a plurality of entwined bundles of sheet metal
JPH02194843A (ja) * 1989-01-24 1990-08-01 Nippon Steel Corp 自動車触媒用金属担体の製造方法
EP0474909B1 (en) * 1990-09-13 1994-01-12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of soldering honeycomb body
DE4142533A1 (de) * 1991-12-21 1993-06-24 Emitec Emissionstechnologie Verfahren zum verloeten von traegerkoerpern von abgaskatalysatoren
DE4219145C1 (de) * 1992-06-11 1994-03-17 Emitec Emissionstechnolog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loten eines metallischen Wabenkörpers
JPH06315638A (ja) * 1993-04-30 1994-11-15 Toyota Motor Corp 金属触媒担体の製造方法
JP2510966B2 (ja) * 1993-08-18 1996-06-26 坂本工業株式会社 メタルハニカム担体に対するバインダの付着方法
DE4416539C1 (de) * 1994-05-10 1995-07-20 Emitec Emissionstechnologie Verfahren zum Beloten von metallischen Strukturen mit einem reversibel unterschiedliche Zustände aufweisenden Haftmaterial
JP3350283B2 (ja) * 1995-04-05 2002-11-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ハニカム体の製造方法
DE19530871A1 (de) * 1995-08-22 1997-02-27 Emitec Emissionstechnolog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löteten Wabenkörpers unter Verwendung schichtartig aufgebauter Bleche
DE19611396A1 (de) * 1996-03-22 1997-09-25 Emitec Emissionstechnologie Gelöteter metallischer Wabenkörper mit Abstandshaltern in den Lötspalten und Verfahren und Lot zu seiner Herstellung
DE19642946A1 (de) * 1996-10-17 1998-04-23 Emitec Emissionstechnologie Metallischer Wabenkörp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0985450B1 (en) * 1997-05-09 2003-04-23 Nippon Steel Corporation Exhaust gas cleaning catalyst metal honey comb element and its manufacture
JP3808993B2 (ja) * 1997-11-25 2006-08-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拡散接合によるメタル担体
DE19903184A1 (de) 1999-01-27 2000-08-03 Emitec Emissionstechnologie Metallfolienverbindung und Metallfolien-Lotkornfraktion für Metallfolien
DE19921263A1 (de) * 1999-05-07 2000-11-16 Emitec Emissionstechnologie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kleinvolumigen Katalysator
DE10200069A1 (de) * 2002-01-03 2003-07-24 Emitec Emissionstechnologie Waben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Beleimung und Belo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259B1 (ko) * 2003-08-21 2011-07-08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벌집체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61184A1 (en) 2003-07-15
EP1463599B1 (de) 2007-01-24
DE50209391D1 (de) 2007-03-15
BRPI0215435B1 (pt) 2016-04-19
RU2291767C2 (ru) 2007-01-20
BR0215435A (pt) 2004-12-14
US7108168B2 (en) 2006-09-19
RU2004123784A (ru) 2006-01-20
EP1463599A1 (de) 2004-10-06
CN1612791A (zh) 2005-05-04
WO2003055631A1 (de) 2003-07-10
BRPI0215435A2 (ko) 2004-12-14
CN1296163C (zh) 2007-01-24
BRPI0215435B8 (pt) 2023-01-17
JP4557547B2 (ja) 2010-10-06
DE10200069A1 (de) 2003-07-24
US20070012747A1 (en) 2007-01-18
ES2280614T3 (es) 2007-09-16
US20040217149A1 (en) 2004-11-04
JP2005512807A (ja) 2005-05-12
KR100944289B1 (ko) 2010-02-24
US7562805B2 (en)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289B1 (ko) 벌집 형상체 및 상기 구조물의 접착 및 납땜 방법
JP2005512807A5 (ko)
US452194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talytic reactor carrier matrix
US20080247919A1 (en) Calibrated Catalyst Carrier Body with Corrugated Casing
WO1994029062A1 (fr) Support metallique de nettoyage des gaz d&#39;echappement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RU2516716C2 (ru) Сотов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яного сотового элемента
RU223500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печенного сотового элемента
FI106971B (fi) Menetelmä monoliittisen metallikantajan valmistamiseksi ja tällaisen metallikantajan käyttö aineiden muuttamiseen
RU2515941C2 (ru) Металлический сотовый элемент с определенными местами соединения
JP2009508681A (ja) 端面側の硬ろう付け区域を備えるハニカム体
RU2415740C2 (ru) Соединение тонких проволочек в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товых элементов
US8771821B2 (en) Honeycomb body with flexible connecting points, exhaust-gas treatment unit and motor vehicle
RU238109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жаропрочного сотового элемента в виде жаропрочной структуры
KR100913877B1 (ko) 주름형 케이스를 갖춘 규격화된 촉매 지지 부재 및 그것의제조 방법
JP2003211082A (ja) 金属構造物の製造方法と金属構造物を接着剤で濡らす装置
US8491846B2 (en) Honeycomb body formed of metallic foil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motor vehicle
US8048823B2 (en) Metallic foil for producing honeycomb bodies, honeycomb body produced therefrom and method of producing a honeycomb body using a foil
RU216106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тового элемента из двух типов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истов, различающихся по своему строению
KR100962159B1 (ko) 환형 허니콤체의 제조방법, 및 환형 허니콤체
US7101602B2 (en) Sheet-metal foil with sliding structure, honeycomb bod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925453B2 (ja) 排ガス浄化触媒用メタル担体の製造方法
JP2548796B2 (ja) ハニカム構造体のロウ付け方法
CN110520604B (zh) 具有改进粘附的微观结构的金属蜂窝体
JP6733051B2 (ja) ハニカム体を製造する方法
JPH08323213A (ja) メタルハニカ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