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1310A - 슬러지용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용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1310A
KR20040031310A KR1020020060700A KR20020060700A KR20040031310A KR 20040031310 A KR20040031310 A KR 20040031310A KR 1020020060700 A KR1020020060700 A KR 1020020060700A KR 20020060700 A KR20020060700 A KR 20020060700A KR 20040031310 A KR20040031310 A KR 20040031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ehydration
dewatering
tank
low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7359B1 (ko
Inventor
서진원
김영운
정규부
유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3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06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in a sinuous or zig-zag path
    • F26B13/08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in a sinuous or zig-zag path usin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26B17/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belts being arranged in a sinuous or zig-zag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0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를 벨트에 고르게 분포시켜 탈수 기능을 향상시킨 슬러지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응집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설정된 폭과 두께를 갖도록 분배시키는 분배조와, 상기 분배조에서 배출된 슬러지를 받아 상부에 얹은 상태로 이동되면서 1차적으로 중력 탈수시키는 하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와 일정 길이 밀착되게 설치되어 슬러지를 2차적으로 가압 탈수시키는 하부 벨트를 갖는 슬러지용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조(22)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여러 개의 탈수공(42)을 갖는 탈수통(40)과, 상기 탈수통(40)의 외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탄력성있는 날개(44)와, 상기 탈수통(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슬러지에서 탈수된 수분을 배수시키는 탈수 배수관(60)과, 상기 탈수통(40)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모터(41)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러지용 탈수장치{Belt press for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벨트에 고르게 분포시켜 탈수 기능을 향상시킨 슬러지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폐수처리설비 등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소각 처리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압축되며(이렇게 소정 크기로 압축된 슬러지를 '케이크'라 한다), 이러한 슬러지의 압축 및 소각 작업이 제대로 수행되려면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 함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널리 이용되는 종래의 방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프레스(Belt press)라 불리는 탈수장치를 사용하여 중력 및 가압 탈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탈수장치(100)는, 회전모터(13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112)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되도록 설치된 상부 벨트(110)와, 이 상부 벨트(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모터(13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122)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되도록 설치된 하부 벨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벨트(110)와 하부 벨트(120)는 소정 길이가 서로 밀착되는 형태로 마주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벨트(120)는 상기 상부 벨트(110)와 밀착되는 부분까지 슬러지를 얹은 상태로 이송시키는 소정 길이의 영역을 갖는다.
그리고, 슬러지와 고분자응집제를 교반기(142)에 의해 교반시킴에 의하여 슬러지를 덩어리가 큰 형태로 응집시켜 하부 벨트(120)에 공급하는 슬러지 공급탱크(140)가 구비되며, 이때 슬러지가 슬러지 공급탱크(140)에서 하부 벨트(120) 상으로 공급될 때 그 슬러지를 하부 벨트(120)의 상부 표면에 골고루 분배시키는 슬러지 분배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슬러지 분배부(180)는 도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벨트(120)의 진행 방향에 대한 후방 부분의 벽이 개방된 형태의 상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부 벨트(120)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전방 부분을 통해 슬러지 공급탱크(140)에 연결된 슬러지 공급관(144)으로부터 슬러지를 공급받는 분배조(182)와, 하부 벨트(12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분배조(182)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그 하단이 상기 분배조(182)의 하단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 격벽(184)을 포함함으로써 슬러지를 분배조(182)와 격벽(184)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시키면 그 슬러지가 격벽(184)의 하부에 형성된 틈을 통해 하부 벨트(120)의 폭 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갖도록 고르게 분배되는 구성을 갖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150)은 상부 벨트(110) 및 하부 벨트(12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벨트(110)(120)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를 떼어 내도록 설치된 스크레이퍼를 나타내며, (160)은 하부 벨트(120)의 표면에 고압수를 분사시킴에 의해 하부 벨트(120)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소제기를 나타내며, (170)은 상기 나이프(150)에 의해 벨트 표면에서 제거된 슬러지를 담기 위한 슬러지 호퍼를 나타낸다.
상기 탈수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러지 공급탱크(140)에서 하부 벨트(120)로 공급된 슬러지가 하부 벨트(120)에 얹혀진 상태로 소정 거리 이송되면서 그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의 일부가 중력에 의해 상기 하부 벨트(120)를 통과하여 분리되는 중력 탈수 과정을 거친다.
계속하여, 상기 중력 탈수 과정을 거친 슬러지는 상부 벨트(110)와 하부 벨트(120)가 밀착된 부분을 통과하면서 가압되고, 이렇게 상부 벨브(110)와 하부 벨트(120) 사이에서 가압되면서 슬러지에 포함된 잔류 수분이 제거되는 가압 탈수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상기 가압 탈수 과정을 거친 슬러지는 스크레이퍼(150)에 의해 벨트(110)(120)에서 박리되어 슬러지 호퍼(170)로 제거되며, 중력 및 가압 탈수에의해 슬러지에서 분리된 수분은 재처리 설비로 공급되어 재처리된다. 또한, 소제기(160)에서 분사된 고압수에 의해 하부 벨트(120)에 부착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이 깨끗하게 소제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탈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중력 및 가압 탈수 과정에서의 슬러지 탈수 능력은 하부 벨트(120)의 청정 상태에 따라 변화되는데, 소제기(160)에서 고압수를 분사시킴에 의해 하부 벨트(120)를 소제하는 구조만으로는 하부 벨트(120)의 울 사이로 침투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소제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중력 및 가압 탈수 과정에서의 탈수 능력을 저하시킨다. 이는 케이크 처리된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통상적으로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는 오, 폐수 성분이 포함됨)이 허용 범위를 초과한 상태이므로 그 슬러지를 재처리하는데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재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폐기 처분되는 경우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중력 및 가압 탈수 과정에서의 탈수 능력은 슬러지가 하부 벨트(120)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골고루 분배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데, 슬러지의 분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격벽(184)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러지 공급관(144)에서 배출된 슬러지의 유량이 너무 많은 경우 슬러지가 격벽(184)의 상부로 넘치면서 슬러지의 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슬러지의 유량이 너무 적은 경우 격벽(184)이 제대로 슬러지의 분배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슬러지의 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슬러지 공급관(144)을 통해 공급되는 슬러지의 유량 변화에 따라 하부 벨트(120)에 분배된 슬러지의 두께가 변화되므로 상부 벨트(110)와 하부 벨트(120) 사이에서의 슬러지 가압력도 변화되어 일정한 함수율을 갖는 슬러지의 케이크 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과, 이러한 슬러지 가압력의 변화에 의하여 상, 하부 벨트(110)(120)에 걸리는 장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이들 벨트(110)(120)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및, 하부 벨트에 공급된 슬러지가 과도한 수분을 함유하거나 그 슬러지의 유량이 적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 슬러지의 일부가 벨트의 가장자리를 벗어나 이를 재처리하여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러지를 벨트에 고르게 분포시켜 탈수 기능을 향상시킨 슬러지용 탈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러지용 탈수장치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정면 구성도;
도2는 도1의 슬러지 분배부가 상세하게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용 탈수장치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정면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요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5는 도4의 요부인 이동격벽이 분배조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탈수통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 상세도;
도7은 도6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도4의 또 다른 요부인 슬러지 폭 조정부가 분배조에 설치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6 : 배관12, 18, 62 : 밸브
22 : 분배조25A, 25B, 25C : 측벽
30 : 이동 격벽36, 73 : 실린더
40 : 탈수통40a : 나사산
41 : 모터42 : 탈수공
44 : 날개51 : 연결구
54 : 브러쉬 축55 : 브러쉬
60 : 탈수 배수관70A, 70B : 슬러지 폭 조절판
73a : 로드75a : 나사산
81 : 센서82 : 제어기
110 : 상부 벨트120 : 하부 벨트
140 : 슬러지 공급탱크142 : 교반기
144 : 슬러지 공급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응집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설정된 폭과 두께를 갖도록 분배시키는 분배조와, 상기 분배조에서 배출된 슬러지를 받아 상부에 얹은 상태로 이동되면서 1차적으로 중력 탈수시키는 하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와 일정 길이 밀착되게 설치되어 슬러지를 2차적으로 가압 탈수시키는 하부 벨트를 갖는 슬러지용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조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여러 개의 탈수공을 갖는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 외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탄력성있는 날개와, 상기 탈수통의 일측에 연결되어 슬러지에서 탈수된 수분을 배수시키는 탈수 배수관과, 상기 탈수통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모터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탈수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용 탈수장치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정면 구성도로서, 도1에 도시된 종래의 탈수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슬러지 공급탱크(140)에 슬러지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슬러지배관(10)은 슬러지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12)와 그 슬러지의 유량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유량감지센서(14)를 갖는다. 그리고, 슬러지 공급탱크(140)에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응집제배관(16)은 응집제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공급량조절밸브(18)를 갖는다.
상기 슬러지 공급탱크(140)의 슬러지와 고분제 응집제가 교반기(142)에 의해 교반된 후 슬러지 공급관(144)을 통해 슬러지 분배부(20)로 공급되며, 이 슬러지 분배부(20)는 도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탈수가 수행되는 하부 벨트(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분배조(22)를 갖는다.
상기 분배조(22)는 도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하부 벨트(120)의 폭보다 약간 더 작게 형성된 대략의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 벨트(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베이스(24)와, 상기 하부 벨트(120)의 진행 방향에 대한 후방 부위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베이스(24)의 나머지 부분의 가장자리에상부로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측벽(25A)(25B)(25C)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24)는 하부 벨트(120)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전방 부위에 위치된 전방 베이스(24a)와 후방 부위에 위치된 후방 베이스(24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방 베이스(24a)의 높이가 후방 베이스(24b)의 높이에 비하여 약간 더 높게 설정되며, 이 전방 베이스(24a)와 후방 베이스(24b)는 원호형 단면을 갖는 원호형 연결부(24c)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조(22)의 측벽(25A)(25B)에는 슬러지 공급관(144)에 연결된 측벽(25C)과 근접한 부분의 상단에 소정 길이의 랙 기어(26)가 구비되며, 상기 측벽(25A)(25B)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 표면에는 상기 랙 기어(26)와 나란한 안내 레일(27)이 그 측벽(25A)(25B)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레일(27)에는 이동 격벽(30)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 격벽(30)은 직사각형 판재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25C)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바, 상기 격벽(30)의 좌, 우 양쪽에는 상기 안내레일(27)이 끼워 결합되는 홈(32)이 형성되어 이 홈(32)에 상기 안내레일(27)이 끼워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동 격벽(30)이 안내레일(27)을 따라 미끄러져 베이스(2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 격벽(30)의 하단은 상기 전방 베이스(24a)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상부로 떨어져 위치되며, 그 이동 격벽(30)의 상단은 상기 측벽(25A)(25B)(25C)의 상단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 격벽(30)의 상단에는 그 이동 격벽(3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축(34)이 형성되며, 상기 축(34)의 양측 단부에 상기 랙 기어(26)에 맞물려 장착되는 피니언 기어(35)가 설치되고, 상기 축(34)의 일측 단부는 측벽(25A)에 설치된 실린더(36)로부터 안내레일(27)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상기 분배조(22)의 베이스(24)를 이루는 전방 베이스(24a)와 후방 베이스(24b)의 경계부인 원호형 연결부(24c)의 상부에는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 원통형상의 탈수통(40)이 분배조(22)의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바, 상기 탈수통(40)에는 방사상으로 관통되고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소에 배치되며 그 직경 크기는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만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작게 형성된 탈수공(42)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탈수통(40)의 길이는 상기 분배조(22)를 이루는 측벽(25A)(25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에서 탈수통(40)에 탈수공(42)이 형성된 경우만을 기재하였으나, 그 탈수공(42)의 직경 크기를 보다 크게 형성시키고, 탈수통(40)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에 필터층을 형성시켜 이 필터층을 통과한 수분이 탈수통(4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탈수통(40)의 외측 표면에는 여러 개의 날개(44)가 구비되는데, 상기 날개(44)는 탈수통(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원주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갖도록 떨어져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44)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 날개(44)의 회전 경로상에 상기 원호형 연결부(24c)의 상부 표면이 약간 간섭되는 정도로 배치된다.
상기 탈수통(40)은 회전 모터(41)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통(40)의 일측 끝단은 덮개(45)에 의해 밀폐되고, 이 덮개(45)는 분배조(22)의 측벽(25A)에 설치된 회전 모터(4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탈수통(40)의 타측 끝단은 상기 측벽(25B)에 고정된 탈수배수관(6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물론, 상기 탈수통(40)의 타측 끝단과 탈수배수관(60)의 연결 부위, 즉 탈수통(40)의 내표면과 탈수배수관(60)의 외표면 사이에는 베어링(46a)과 실링부재(46b)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탈수통(40)이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분산조(22)의 측벽(25A)(25B)에는 관통구멍(28A)(28B)이 각각 형성되어 그 부분에 상기 회전모터(41)와 탈수배수관(6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45)와 탈수 배수관(60)의 각각에는 축 지지구(51)(51)가 장착되는바, 덮개(45)에 장착된 축 지지구(51)는 그 덮개(45)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탈수 배수관(60)에 장착된 축 지지구(51)는 그 탈수 배수관(6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탈수 배수관(60)측 축 지지구(51)는 탈수통(40) 내부의 용액이 탈수 배수관(60)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별도의 연결구(52)를 매개로 탈수 배수관(60)에 고정되며, 이 연결구(52)는 유체 통로(52a)를 갖는다.
상기 축 지지구(51)는 탈수통(40)의 중심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중심축(51a)과, 상기 중심축(51a)의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대(51b) 및, 상기 연결대(51b)의 끝단에 형성된 축 지지홈(51c)으로 구성되는바, 일측 축 지지구(51)의 중심축(51a)이 덮개(45)에 축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타측 축 지지구(51)의 중심축(51a)이 연결구(5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탈수통(4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브러쉬 축(54)이 설치되는바, 상기 브러쉬 축(54)에는 나선 형상으로 브러쉬(55)가 구비되고, 이 브러쉬축(54)의 소정 위치에는 기어(56)가 장착되며, 상기 기어(56)가 맞물리는 나사산(40a)이 상기 탈수통(40)의 내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브러쉬(55)는 탈수통(40)의 내표면에 형성된 스케일(Scale)을 털어 제거시킬 수 있도록 그 브러쉬(55)의 끝 부분이 탈수통(40)의 내표면에 살짝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도8은 분배조(22)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의 폭을 하부 벨트의 폭에 대응되도록 조정하기 위한 슬러지 폭 조정부가 분배조에 설치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분배조(22)를 이루는 측벽(25A)(25B)의 각각에는 슬러지를 하부 벨트로 배출시키는 부분의 끝단에 슬러지 폭 조절판(70A)(70B)의 일측 단부가 핀(7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바, 상기 슬러지 폭 조절판(70A)(70B)은 그 하단이 상기 측벽(25A)(25B)의 하단 높이와 동일하고 그 상단이 상기 측벽(25A)(25B)의 상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벽(25A)(25B)에는 분배조(22)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실린더 지지대(72)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지지대(72)의 중앙 부위에는 실린더(73)가 장착되는바, 상기 실린더(73)의 로드(73a)는 그 전, 후진 방향이 슬러지배출 방향에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로드(73a)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연결로드(74A)(74B)의 각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로드(74A)(74B)의 타측 단부는 각각 핀(76)을 매개로 상기 슬러지 폭 조절판(70A)(70B)의 자유단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로드(73a)와 연결로드(74A)(74B)의 연결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결로드(74A)(74B)의 단부에는 외주면 소정 길이에 나사산(75a)을 형성시킨 연결구(75)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연결로드(74A)(74B)의 나사산(75a)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연결구(75)가 상기 로드(73a)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탈수 배수관(60)은 밸브(62)를 갖추어 오, 폐수 처리 시설에 연결되며, 하부 벨트(120)의 슬러지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슬러지 두께 감지센서(81)가 하부 벨트(120)의 상부쪽 설비 프레임에 장착되며, 이 감지센서(81)에 의해 측정된 슬러지 두께 정보는 상위제어기(82)에 전송된다. 또한, 슬러지배관(10)에 설치된 유량감지센서(14)도 상위제어기(82)에 유량감지값을 전송하며, 상기한 밸브류, 모터류 및 실린더 등은 상기 상위제어기(82)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위제어기(82)가 미리 프로그래밍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슬러지 탈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가 기동되면, 상부 및 하부 벨트(110)(120)가 구동되며,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와 고분자 응집제가 슬러지배관(10)과 응집제 배관(16)을 통해 각각 슬러지 공급탱크(140)로 유입되며,이렇게 유입된 슬러지와 응집제가 교반기(142)에 의해 혼합되어 덩어리가 큰 형태의 슬러지로 되어 슬러지 공급관(144)을 통해 슬러지 분배조(20)로 공급된다.
이때, 회전모터(41)가 회전 구동되어 그에 연결된 탈수통(40)이 회전되는바, 상기 슬러지 분배조(20)로 공급된 슬러지 중에 포함된 수분의 일부가 탈수통(40)에 형성된 탈수공(42)을 통해 탈수통(40)의 내부로 유입되어 탈수 배수관(60)을 거쳐 오, 폐수 처리설비로 배출되며, 이렇게 1차적으로 수분이 탈수된 슬러지는 슬러지 폭 조절판(70A)(70B)에 의해 적정한 폭으로 하부 벨트(120) 상부로 공급되어 중력 탈수된다.
상기에서 탈수통(40)이 회전될 때, 그 탈수통(40)의 내표면이 브러쉬(55)에 의해 깨끗하게 소제되는바, 상기 탈수통(40)이 회전되면 그 탈수통(40)의 내표면에 형성된 나사산(40a)에 맞물린 브러쉬 축(54)들이 각각 회전 구동되며, 따라서 상기 브러쉬 축(54)에 구비된 브러쉬(55)가 회전되면서 상기 탈수통(40)의 내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소제함으로써 탈수공(42)의 폐쇄에 의한 탈수 효율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슬러지 공급탱크(140)로 유입되는 슬러지는 슬러지 배관(10)에 설치된 유량감지센서(14)에 의해 그 유입량이 감지되어 상위제어기(82)로 계속하여 전송되는바, 상기 상위제어기(82)는 미리 설정된 슬러지 유량과 비교하여 하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를 제어한다.
슬러지 공급탱크(140)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유입량이 미리 설정된 슬러지 유량보다 크면, 실린더(36)를 후진시켜 그에 연결된 이동 격벽(30)을 분배조(22)의측벽(25C)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며, 이에 의하여 이동 격벽(30)과 측벽(25A)(25B)(25C)에 의해 형성된 슬러지 임시 체류 공간이 커지면서 슬러지 공급탱크(140)로 과다하게 유입되는 슬러지가 측벽(25A)(25B)(25C)을 넘어 분배조(2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슬러지 공급탱크(140)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유입량이 미리 설정된 슬러지 유량보다 작으면, 실린더(36)를 전진시켜 그에 연결된 이동 격벽(30)을 부배조(22)의 측벽(25C)쪽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의하여 이동 격벽(30)과 측벽(25A)(25B)(25C)에 의해 형성된 슬러지 임시 체류 공간이 작아지면서 이동 격벽(30)의 하부를 거쳐 하부 벨트(120)로 배출되는 슬러지의 유량이 적정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배조(22)에서 하부 벨트(120)로 배출되는 슬러지의 폭 조정은 실린더(73)의 구동에 의해 수행되는바, 실린더(73)의 구동에 의해 로드(73a)를 전, 후진시키면, 그 로드(73a)에 설치된 연결로드(74A)(74B)가 서로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슬러지 폭 조절판(70A)(70B)을 자유단 부분이 서로 접근하도록 회동시키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의해 하부 벨트(120)로 배출되는 슬러지의 폭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슬러지 두께 감지센서(81)에서 측정된 하부 벨트(120) 상부의 슬러지 두께는 미리 설정된 슬러지 두께, 즉 탈수효율이 우수한 슬러지 두께와 비교하여 하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를 제어한다.
하부 벨트(120)에 얹혀진 슬러지의 두께가 미리 설정된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탈수 배수관(60)에 설치된 밸브(62)의 개도를 증가시켜 슬러지에서 탈수되는 수분의 양을 최대로 하여 하부 벨트(120)에 얹혀진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의 양이 감소되면서 그 슬러지의 두께가 감소된다.
반대로, 하부 벨트(120)에 얹혀진 슬러지의 두께가 미리 설정된 두께보다 얇은 경우, 탈수 배수관(60)에 설치된 밸브(62)의 개도를 감소시켜 슬러지에서 탈수되는 수분의 양을 최소로 하여 하부 벨트(120)에 얹혀진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의 양이 증가되면서 그 슬러지의 두께가 증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용 탈수장치에 의하면, 하부 벨트 상부로 공급되는 슬러지의 폭과 두께를 일정 범위에 있도록 조정하여 탈수 효율을 향상시킨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응집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설정된 폭과 두께를 갖도록 분배시키는 분배조와, 상기 분배조에서 배출된 슬러지를 받아 상부에 얹은 상태로 이동되면서 1차적으로 중력 탈수시키는 하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와 일정 길이 밀착되게 설치되어 슬러지를 2차적으로 가압 탈수시키는 하부 벨트를 갖는 슬러지용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조(22)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여러 개의 탈수공(42)을 갖는 탈수통(40)과, 상기 탈수통(40)의 외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탄력성있는 날개(44)와, 상기 탈수통(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슬러지에서 탈수된 수분을 배수시키는 탈수 배수관(60)과, 상기 탈수통(40)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모터(41)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40)의 내측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탈수 배수관(60)에 고정 설치된 축 지지구(51)와, 상기 축 지지구(51)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브러쉬축(54)과, 상기 브러쉬축(54)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탈수통(40)의 내표면에 접촉되는 브러쉬(55)와, 상기 탈수통(40)의 내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나사산(40a)과, 상기 브러쉬축(54)에 고정되고 상기 나사산(40a)에 맞물리도록 장착된 기어(56)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조(22)의 양 측벽(25A)(25B) 상단에 소정 길이 형성된 랙 기어(26)와, 상측 양단에 상기 랙 기어(26)에 얹혀 구름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3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배조(22)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하단이 분배조(22)의 하부에서 소정 거리 떨어지도록 상기 탈수통(40)의 슬러지 유입부에 배치된 이동 격벽(30)과, 상기 이동 격벽(30)을 상기 분배조(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36)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조(22)의 슬러지 배출부에 위치되도록 양 측벽(25A)(25B)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슬러지 폭 조절판(70A)(70B)과, 상기 분배조(22)의 중앙에 위치되어 그 로드(73a)가 슬러지 배출방향으로 동작되게 설치된 실린더(73)와, 일측 단부가 상기 슬러지 폭 조절판(70A)(70B)의 자유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실린더(73)의 로드(73a)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로드(73a)에 힌지 연결된 부분의 끝단에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나사산(75a)이 형성된 연결로드(74A)(74B)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탈수장치.
KR1020020060700A 2002-10-04 2002-10-04 슬러지용 탈수장치 KR10089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700A KR100897359B1 (ko) 2002-10-04 2002-10-04 슬러지용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700A KR100897359B1 (ko) 2002-10-04 2002-10-04 슬러지용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310A true KR20040031310A (ko) 2004-04-13
KR100897359B1 KR100897359B1 (ko) 2009-05-15

Family

ID=3733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700A KR100897359B1 (ko) 2002-10-04 2002-10-04 슬러지용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3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902B1 (ko) * 2006-10-23 2007-01-11 (주)케이지엔지니어링 하수 처리용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1114225B1 (ko) * 2011-08-22 2012-03-05 곽병준 슬러지 탈수기
KR101867483B1 (ko) * 2017-09-26 2018-06-14 곽병열 회전형 선별통을 이용한 초기 우수 배제 빗물 처리 장치
KR101867059B1 (ko) * 2017-04-21 2018-06-19 주식회사 한국워터테크놀로지 슬러지 탈수기용 슬러지 공급장치
KR20190000871A (ko) * 2018-12-26 2019-01-03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슬러지 탈수기용 슬러지 공급장치
CN117486448A (zh) * 2024-01-03 2024-02-02 山东向明数智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01B1 (ko) 2011-06-13 2013-03-11 주식회사 이지포텍 슬러지 처리 장치
CN105036509A (zh) * 2015-06-25 2015-11-11 天津市彤泰成科技有限公司 挤压式污泥脱水设备
KR102442884B1 (ko) * 2022-05-06 2022-09-14 거림환경 주식회사 리사이클을 통한 세척수 공급 및 슬러지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프레스 탈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495Y1 (ko) * 1994-05-17 1997-03-10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응결물 모음판을 장착한 슬러지 슈트(sludge shute)
KR960033635U (ko) * 1995-04-10 1996-11-19 축산폐수분뇨 고체 액체 원심분리장치구조
KR100257025B1 (ko) * 1998-04-17 2000-05-15 유연수 슬럿지 탈수 처리장치
KR100330516B1 (ko) * 1999-02-23 2002-03-28 김영대 합성수지 세사를 이용한 체인형 밸트프래스의 스러지 여과장치
KR100319709B1 (ko) * 1999-08-04 2002-01-09 윤효숙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902B1 (ko) * 2006-10-23 2007-01-11 (주)케이지엔지니어링 하수 처리용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1114225B1 (ko) * 2011-08-22 2012-03-05 곽병준 슬러지 탈수기
KR101867059B1 (ko) * 2017-04-21 2018-06-19 주식회사 한국워터테크놀로지 슬러지 탈수기용 슬러지 공급장치
KR101867483B1 (ko) * 2017-09-26 2018-06-14 곽병열 회전형 선별통을 이용한 초기 우수 배제 빗물 처리 장치
KR20190000871A (ko) * 2018-12-26 2019-01-03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슬러지 탈수기용 슬러지 공급장치
CN117486448A (zh) * 2024-01-03 2024-02-02 山东向明数智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装置
CN117486448B (zh) * 2024-01-03 2024-04-12 山东向明数智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359B1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359B1 (ko) 슬러지용 탈수장치
FI90500B (fi) Ennaltamäärättyä suurikokoisemman hienojakoisen aineen poistoon tarkoitettu vedenselkeytyslaitteisto
BR112013009391B1 (pt) Dispositivo de Filtragem
JP2016002516A (ja) 汚泥脱水システム及び汚泥脱水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200026457A (ko) 슬러지 농축탈수장치
EP3129215B1 (en) Rotary fan press with auger
US20100012573A1 (en) Rotary fan press
KR100493698B1 (ko) 슬러지용 진공 탈수장치
CN116675343A (zh) 一种基于厌氧氨氧化的aao污水处理装置
RU20131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30081643A (ko)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CN115385539A (zh) 一种污泥逐级分离***
KR100865679B1 (ko) 벨트프레스의 여과포세척장치
RU2349367C2 (ru) Ленточный фильтр-пресс
KR100187019B1 (ko) 기판 건조 장치 및 방법
KR20160008934A (ko) 저속고액분리장치
KR100621566B1 (ko) 벨트프레스 여과포고압세척장치
JP3199233B2 (ja) し渣洗浄脱水装置
KR100811599B1 (ko) 하,폐수처리시 발생된 슬러지 제거장치
KR100384199B1 (ko) 사여과장치
KR19990080521A (ko) 냉각수 순환시스템의 슬러지 제거장치
HU197274B (en) Plant for purifying spent emulsions and industrial sewages
KR200178979Y1 (ko) 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장치
KR200259073Y1 (ko) 벨트 프레스 여과포 세척장치
KR100268219B1 (ko) 슬러지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