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545A -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545A
KR20040028545A KR1020030067231A KR20030067231A KR20040028545A KR 20040028545 A KR20040028545 A KR 20040028545A KR 1020030067231 A KR1020030067231 A KR 1020030067231A KR 20030067231 A KR20030067231 A KR 20030067231A KR 20040028545 A KR20040028545 A KR 20040028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bearing member
side cover
develop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086B1 (ko
Inventor
요시노야스후미
야스이고오지로
야마구찌고오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55Materials and manufacturing of the developing device
    • G03G2215/0872Housing of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9Cartridge holders, e.g. intermediate frames for placing cartridge part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프레임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프레임 홈과,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프레임 돌출부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현상 롤러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일단부 베어링 부재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어 일단부 프레임 홈의 내부면과 맞물리는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며 프레임 일단부 돌출부가 관통하는 긴 베어링 부재 개구부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가 구비된 내부면과 대향하는 일단부 베어링 부재의 외부면 상에 구비된 금속성 제1 돌출부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며,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기어를 지지하는 금속성 제2 돌출부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나사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종단부에 구비되며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덮는 일단부 측면 커버와,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되며 제1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1 개구부와,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되며 제2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2 개구부와,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되며 일단부 프레임 홈과 맞물리는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의 내부면과 맞물림 가능한 일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와, 일단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나사와, 일단부 측면 커버를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된 제1 돌출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나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DEVELOPING CARTRIDGE, SIDE COVER MOUNTING METHOD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현상 카트리지의 2개의 단부 커버들 중 하나를 부착하는 방법 및 현상 카트리지의 다른 단부 커버를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사용하여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저 비임 프린터 등), 전자 사진 팩시밀리, 전자 사진 워드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 분야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 시스템, 즉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들이 현상제(이하 "토너"라 한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내에 배치된 시스템이 널리 채용되었다.
현상 카트리지 시스템은 사용자가 유지 보수 관리자에 의존하지 않고도 화상 형성 장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운용 효율 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를 상당히 개선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분양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현상 카트리지 시스템에 채용되는 현상 카트리지들 중 일부는 하나씩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 단부에 부착되는 측면 커버로 인해 잘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제5,966,5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을 추가적으로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효율 관점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보다 우수한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를 부착시키는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정확성관점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보다 우수한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를 부착시키는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 커버가 어떻게 단단하게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되는지의 관점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보다 우수한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를 부착시키는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된 때에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가 각 측면 커버의 일부에 의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경우에 측면 커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측면 커버들이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되어 보강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하여 위치되는 정확성 관점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보다 우수한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를 부착시키는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5는 현상 카트리지를 구동시키는 현상 카트리지의 종방향 단부의 측면도.
도6은 감광 드럼 측에서 본 도4의 현상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7은 도4의 현상 카트리지의 저면도.
도8은 측면 커버들 중 하나가 부착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도4의 현상 카트리지가 일부 분해된 사시도.
도9는 측면 커버의 외측면을 보여주기 위한 도4에 도시된 측면 커버들의 사시도.
도10은 측면 커버의 내측면을 보여주기 위한 도4의 측면 커버의 사시도.
도11은 현상 카트리지가 어떻게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장착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로터리와 하나의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12는 현상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로터리 디스크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로터리 디스크의 사시도.
도13은 현상 카트리지가 어떻게 로터리 디스크와 맞물리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와 하나의 로터리 디스크의 평면도.
도14는 현상 카트리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기어 트레인의 사시도.
도15는 현상 카트리지가 현상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의 기어가 어떻게 구동력 전달 기어 트레인의 기어와 맞물리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16은 현상 위치 내의 현상 카트리지의 기어와 구동력 전달 기어 트레인의 기어 사이의 맞물림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측면 상의 전기 접점과 현상 카트리지 측면 상의 전기 접점 사이의 접속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로터리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에서의 로터리의 부분 사시도.
도18은 현상 카트리지가 어떻게 현상 카트리지의 종방향으로 로터리에 대하여 위치되는지와, 주 조립체측의 전기 접점이 어떻게 현상 카트리지측의 전기 접점에 접속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로터리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에서의 로터리와, 현상 카트리지의 해당 종방향 단부의 단면도.
도19는 현상 카트리지가 어떻게 현상 카트리지의 종방향으로 로터리에 대하여 위치되는지와, 주 조립체측의 전기 접점이 어떻게 현상 카트리지측의 전기 접점에 접속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로터리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에서의 로터리의 일부와, 현상 카트리지의 해당 종방향 단부의 사시도.
도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21은 측면 커버의 외측면을 도시하기 위한, 도20의 현상 카트리지의 측면 커버들 중 하나의 사시도.
도22는 측면 커버의 내측면을 도시하기 위한, 도20의 측면 커버의 사시도.
도23은 현상 카트리지가 어떻게 현상 카트리지의 종방향으로 로터리에 대하여 위치되는지와, 주 조립체측의 전기 접점이 어떻게 현상 카트리지측의 전기 접점에 접속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로터리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에서의 로터리의 종방향 단부와, 현상 카트리지의 해당 종방향 단부의 단면도.
도24는 베어링 부재가 어떻게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 단부에 부착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와, 베어링 부재들 중 하나의 사시도.
도25는 측면 커버가 어떻게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 단부에 부착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와, 측면 커버들 중 하나의 사시도.
도26은 베어링 부재와 측면 커버가 어떻게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되는지를 보여주는, 카트리지 프레임, 베어링 부재 및 측면 커버의 개략도.
도27은 베어링 부재가 어떻게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되는지를 보여주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종방향 단부와, 해당 베어링 부재의 사시도.
도28은 측면 커버가 어떻게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되는지를 보여주는, 도27에 도시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 단부와 해당 측면 커버의 사시도.
도29는 베어링 부재와 측면 커버가 어떻게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되는지를 보여주는, 카트리지 프레임, 베어링 부재 및 측면 커버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 드럼
2 : 대전 장치
3 : 노출 수단
4 : 현상 카트리지
100 :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300 : 카트리지 프레임
400 : 로터리 디스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측면 커버들 중 하나를 부착하는 방법 및 다른 측면 커버를 부착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컬러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양호한 실시예들 중 하나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 중에서, 장치의 "전방 측면"은 기록 매체(전사 매체)가 전사 스테이션으로부터 정착 스테이션으로 이송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도1의 우측)을 의미한다. 장치의 주 조립체의 "좌측 또는 우측"은 장치의 전방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좌측 또는 우측을 의미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 또는 우측"은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적정 위치에서 장치의 전방 측면에서 보았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 또는 우측을 의미한다. "종방향"은 장치 내의 기록 매체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이며, 기록 매체가 이송되는 방향과 (사실상 수직으로) 교차한다.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
우선,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A)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컬러 레이저 비임 프린터(A)는 4개의 현상 카트리지(4), 보다 구체적으로, 옐로우 성분 현상 장치(4Y), 마젠타 성분 현상 장치(4M), 시안 성분 현상 장치(4C) 및 블랙 성분 현상 장치(Bk)와; 감광 드럼 유닛(20)과 중간 전사 유닛(21)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5)와; 현상 카트리지(4)와 프로세스 카트리지(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주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에 있어서, 화상 형성 데이터에 따라 형성된 광학 화상이 노출 수단(3)으로부터 투사되어 대전 장치(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1)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형성된 잠상은 현상 장치(4A)의 일부를 구성하는 현상 카트리지(4)들 중 하나에 의해 가시 화상(이하에서 "토너 화상"이라 할 수 있다)으로 현상된다. 토너 화상은 전사 장치로서의 제1 전사 수단(5j)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5a) 상으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 부재(5a) 상의 토너 화상은 제2 전사 수단(11)에 의해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기화되어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다. 그런 다음, 전사 매체는 가압 롤러(8a)와 가열 롤러(8b)를 포함하는 정착 수단(8)으로 이송된다. 정착 수단(8)에서, 전사 매체 상의 토너 화상은 전사 매체 상에 영구적으로 정착된다. 이후에, 기록 매체는 분배 트레이(delivery tray, 10)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1), 중간 전사 벨트(5a) 및 폐기 토너 박스(216)가 프로세스 카트리지(5)의 형태로 통합되는데,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2개의 유닛, 즉 감광 드럼(1)을 수용하는 감광 드럼 유닛(20)과, 중간 전사 벨트(5a)와 폐기 토너 박스(216)를 수용하는 중간 전사 부재 유닛(21)으로 구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 유닛(21)은 중간 전사 벨트(5a)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1)으로부터 기록 매체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수단(중간 전사 수단)과, 폐기 토너를 회수하여 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폐기 토너 회수 저장 수단)을 갖는다.
중간 전사 벨트(5a)는 구동 롤러(240)와 종동 롤러(241)인 2개의 롤러들 주위에서 신장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중간 전사 벨트(5a)가 개재된 상태로감광 드럼(1)과 대향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1 전사 롤러(5j)를 갖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또한 잔여 토너, 이 경우에 중간 전사 벨트(5a) 상의 토너로부터 잔여 전하를 제거하기 위해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하 소거 롤러 유닛(223)을 갖는다. 전하 소거 롤러 유닛(223)은 구동 롤러(240)와 대향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전하 소거 롤러 유닛(223)의 대전 롤러(5f)는 소정량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5a) 상의 잔여 토너로부터 잔여 전하를 제거한다. 잔여 전하의 제거 후에, 잔여 토너는 정전기적으로 다시 감광 드럼(1) 상으로 전달된다. 그런 다음, 잔여 토너는 세척 블레이드(6)에 의해 제거(회수)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폐기 토너 박스(216) 내에 축적된다.
도1과 도2를 다시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감광 드럼(1)은 중간 전사 벨트(5a)의 회전과 동기화되어 도1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소정의 전하 바이어스 전압이 대전 장치로서의 대전 롤러(2)에 인가될 때, 감광 드럼(1)의 외주면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런 다음,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1)의 외주면은 노줄 수단(3)에 의해 노출된다; 이는 의도하는 화상의 예컨대 옐로우 성분에 해당하는 광학 화상으로 노출된다. 그 결과, 의도하는 화상의 옐로우 성분에 해당하는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다.
노출 수단(3)은 외부 장치 등을 통해 판독된 화상 형성 정보에 의해 광 비임을 조절하면서 감광 드럼(1)의 외주면 상에 광 비임을 투사하기 위한 수단이다. 노출 수단(3)은 레이저 다이오드, 다각 미러, 스캐너 모터, 초점 렌즈 및 편향 미러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신호가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노출 수단(3)에 제공되면, 노출 수단(3)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화상 형성 신호에 반응하여 광 비임을 방출한다. 방출된 광 비임은 스캐너 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다각 미러 상에 화상 형성 광 비임으로 투사된다. 그 결과, 화상 형성 광 비임은 다각 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초점 렌즈를 통해 보내진다. 그런 다음, 이는 편향 미러에 의해 반사된 후에 감광 드럼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결과적으로, 정전 잠상은 감광 드럼(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다.
감광 드럼(1) 상의 정전 잠상은 소정 컬러의 토너로 형성된 화상(이하, 간단히 "토너 화상"이라 한다)으로 현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전 잠상은 4개의 현상 카트리지들 중 소정의 현상 카트리지(4)를 소정 성분 현상 장치가 감광 드럼(1)과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현상된다. 말하자면, 본 실시예의 로터리(40) 내에 장착된 4개의 현상 카트리지(4)는 옐로우 성분 현상 장치(4Y), 마젠타 성분 현상 장치(4M), 시안 성분 현상 장치(4C) 및 블랙 성분 현상 장치(4Bk)이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 정전 잠상이 형성되자마자, 현상 장치(4A) 내에서 소정의 카트리지, 예를 들어, 옐로우 성분 장치(4Y)가 현상 위치로 궤도 이동한다. 그런 다음, 옐로우 토너를 정전 잠상에 부착시키기 위해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도3을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4)는 크게 2개의 부분, 즉 토너 용기로서의 현상제 저장부(302)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1)과 대향하는 현상부(301)로 나뉠 수 있다. 토너 저장부(302)와 현상부(301)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의해 통합적으로 보유된다.
토너 저장부(302)는 소정 컬러의 토너로 충전되며, 교반 수단(303)이 구비된다. 교반 수단(303)이 회전되면, 토너는 소정량만큼씩 현상부(301)로 이송된다. 현상부(301)에서, 토너는 스폰지 등의 재료로 형성된 토너 공급 롤러(304)(현상제 공급 롤러)의 회전에 의해 현상 롤러(305)의 외주면에 공급된다. 현상 롤러(305)의 외주면에 공급된 후에, 토너는 토너와 현상 블레이드(332)뿐만 아니라 현상 롤러(305)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전기적으로 대전되면서 일편의 얇은 판 형태인 현상 블레이드(332)에 의해 얇은 토너층으로 형성된다. 현상 롤러(305)가 더 회전되면, 현상 롤러(305) 상의 얇은 토너층 부분은 현상부(301)로 이송된다. 현상부(301)에서, 감광 드럼(1) 상의 정전 잠상은 소정의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에 의해 현상된다.
감광 드럼(1) 상의 잠상의 현상에 기여하지 않았던 토너, 즉 현상 롤러(305)의 외주면 상에 사용되지 않고 잔류하는 토너는 토너 공급 롤러(304)에 의해 긁어제거된다. 잔여 토너가 토너 공급 롤러(304)에 의해 긁어 제거됨과 동시에, 새 토너 공급분이 토너 공급 롤러(304)에 의해 현상 롤러(305) 상에 공급되어 현상 작업이 현상 롤러(305) 상의 토너의 새로 공급된 부분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도1과 도2를 다시 참조하면,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후에, 토너 화상(옐로우 토너 화상)은 제1 전사 수단, 즉 중간 전사 벨트(5a)가 감광 드럼(1) 상에 가압되도록 유지하기 위한 롤러인 제1 전사 롤러(5j)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5a) 상으로 전사된다(제1 전사).
전술한 옐로우 토너 화상의 제1 전사가 종료되면, 다음 색상 성분 현상 장치, 본 실시예에서는 마젠타 성분 현상 장치(4M)가 감광 드럼(10)과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궤도 이동한다. 그런 다음, 마젠타 색상의 토너 화상이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을 통해 중간 전사 벨트(5a) 상으로 전사된다. 이러한 공정은 또한 시안 및 블랙 색상 성분들에 대해서도 수행된다. 그 결과, 색상이 상이한 4개의 토너 화상들이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적층된다.
4개의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적층되어 있는 동안에, 제2 전사 수단으로서의 제2 전사 롤러(11)와 세척 유닛으로서의 전하 소거 롤러(5f)가 중간 전사 벨트(5a)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색상이 상이한 4개의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형성한 후에, 제2 전사 롤러(1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가압된다. 추가로, 제2 전사 롤러(11)를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가압하는 것과 동기하여, 전사 매체 이송 수단으로서의 한 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7)에 인접한 소정 위치에서 대기 상태로 유지되었던 기록 매체가 중간 전사 벨트(5a)와 제2 전사 롤러(11) 사이의 닙(nip)으로 보내진다.
화상 형성 장치에는 전사 매체 이송 방향으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7) 쌍의 바로 상류측에 배치된 전사 매체 센서(전방 센서)(14)가 구비된다. 센서(14)는 기록 매체의 선행 모서리를 검출하며, 센서가 선행 모서리를 검출하면, 기록 매체를 소정 위치에 대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7)의 쌍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힘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7)의 쌍으로 전달되는 것을 중단시킨다.
제2 전사 롤러(11)에는 토너와 극성이 반대인 바이어스 전압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기록 매체가 닙을 통해 이송되면, 중간 전사 벨트(5a) 상의 토너 화상들이 모두 동시에 기록 매체의 표면 상으로 전사된다(제2 전사).
토너 화상들의 제2 전사 후에, 기록 매체는 컨베이어 벨트 유닛(12)을 거쳐 토너 화상들이 정착되는 정착 장치(8)로 이송된다. 그 후, 전사 매체는 배출 안내부(15)를 따라 한 쌍의 배출 롤러(13)에 의해 더 이송된다. 그런 다음, 전사 매체는 한 쌍의 배출 롤러(9)에 의해 컬러 화상 형성 장치(A)의 상부에 위치된 분배 트레이(10)로 배출된다. 이것으로 화상 형성이 종료된다.
한편, 전하 소거 롤러(5f)는 제2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가압된다. 그런 다음, 잔류 전하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제2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5a)의 표면과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잔류하는 토너로부터 제거된다.
전하가 제거되어진 잔류 토너는 제1 전사 닙에서 중간 전사 벨트(5a)로부터 감광 드럼(1) 상으로 정전기적으로 전사된다. 바꿔 말하면, 중간 전사 벨트(5a)의 표면이 깨끗해진다.
제2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잔류하였다가 감광 드럼(1) 상으로 다시 전사되었던 토너는 세척 블레이드(6)에 의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제거(회수)되며, 특정 경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이송되고, 폐기 토너 박스(216) 내에 폐기 토너로서 축적된다.
(로터리, 현상 카트리지 및 현상 장치)
다음은 도4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현상 카트리지(4)와 현상 장치(4A)를 설명하기로 한다.
4개의 현상 카트리지(4), 즉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토너를 각각 수용하는 옐로우 성분 현상 장치(4Y), 마젠타 성분 현상 장치(4M), 시안 성분 현상 장치(4C) 및 블랙 성분 현상 장치(4Bk)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4A)의 로터리(40) 내의 소정 위치에 단단히 장착된다.
우선, 각 현상 카트리지(4)를 로터리(40)에 대하여 위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로터리(40)는 중심축(5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는 중심축(51)과, 중심축(51)의 종방향 단부들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를 포함한다.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에는 현상 카트리지(4)를 장착 또는 착탈하는 때에 현상 카트리지(4)들 중 하나를 안내하기 위한 4개의 안내 홈(400b)과; 현상 카트리지(4)의 저부면이 현상 카트리지(4)의 종방향으로 로터리(40)에 대하여 위치되도록 맞닿는 4개의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과; 현상 카트리지(4)가 선회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 돌기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를 각각 지지하며 카트리지 위치설정부로도 기능하는 4개의 위치설정 돌기 보유 수용부(400d)와; 현상 카트리지(4)가 회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4개의 V자형 수용부(400e)가 구비된다.
다른 한편, 현상 카트리지(4)에는 현상 부재(현상 롤러)(305)의 좌우측 단부, 다시 말하면,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종방향 단부들로부터 하나씩 돌출되는 제1 및 제2 안내부가 구비된다. 각각의 제1 및 제2 안내부는 단면이 아치형인 위치설정 보스(310c)와, 편평한 안내 리브(310b)를 갖는다. 돌기(310c)는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과 해당 수용부(400d) 중 하나에 끼워진다. 안내 리브(310b)는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안내 홈(400b)들 중 하나에 끼워진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에는 현상 카트리지(4)가 회전하는 것을 막고 또한 현상 카트리지(4)를 로터리에 대하여 정밀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해당 수용부(400e) 내에 끼워지는 한 쌍의 돌출부(310m)가 구비된다. 안내 리브(310b)에는 현상 바이어스를 위한 전기 접촉자(311A)를 갖춘 부재가 구비된다. 현상 바이어스를 위해 전기 접점(410)(도17)과 전기 접속되는 주 조립체 측 상의 전기 접촉자(311A)의 접점(311)은 현상 카트리지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 즉 안내 리브(310b)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4)의 종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최단부 표면들 중 하나를 구성하는 적어도 안내 리브(310b)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된다.
도13을 참조하면,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에는 현상 카트리지(4)를 도면의 반시계 방향을 향해 가압되도록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53)이 구비된다. 스프링(53)은 부분적으로 안내 홈(400b) 내에 있으며, 안내 리브(310b)의 저부의 압력 포착부(310k)와 접촉한다. 현상 카트리지(4)는 스프링(53)의 탄성과 현상 롤러(305)를 회전 구동하기 위함 힘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해 돌기(310c)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방향으로 가압 유지된다. 현상 카트리지(4)의 돌출부(310m)는 간극없이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수용부(400e)와 하나씩 접촉 상태로 위치된다.
도7, 도11, 도18 등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4)에는 현상 카트리지 로킹부(300g)가 구비된다. 이 카트리지 로킹부(300g)는 위치설정 돌기(310c)를 통해 현상 카트리지(4)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긴 구멍(310q) 내에서 현상 카트리지의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이와 같은 압력 하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현상 카트리지의 핸들(H)의 작동 버튼(310p)이 핸들(H) 내로 눌리면, 카트리지 로킹부(300g)는 현상 카트리지 내로 후퇴된다.
바꿔 말하면, 현상 카트리지(4)가 로터리(40) 내로 삽입되면, 카트리지 로킹부(300g)는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 내의 카트리지 로킹 구멍(400g)에 끼워진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로킹부(300g)가 로킹 구멍(400g)에 끼워지는 위치에 신뢰성 있게 보유된다.
현상 카트리지(4)를 위치설정시키기 위한 전술한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4)는 로터리(40)가 회전하는 동안에 로터리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현상 카트리지(4)를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현상 카트리지(4)의 상부면의 중심에 위치된 핸들(H)은 작동 버튼(310p)을 핸들(H)의 내부로 누르면서 파지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40)의 상부로 당겨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는 스프링(53), 카트리지 로킹부(300g) 등에 의해 로터리(40)의 2개의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 사이에 보유되어, 현상 카트리지(4)는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리하여, 현상 카트리지(4)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로터리(40), 다시 말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로터리와 현상 카트리지를 구동하기 위한 구조물)
다음은 도14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로터리(40)와 현상 카트리지(4)를 구동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에는 로터리 디스크(400)의 외부 측면 상에 있는 로터리 지지판(450)이 구비된다. 로터리(40)의 중심축(51)은 중심축(51)이 로터리 디스크와 로터리 지지판(450)을 모두 관통하는 방식으로 로터리 디스크(400)에 부착된다. 바꿔 말하면, 로터리 디스크(400)와 중심축(51)은 로터리 지지판(450)의 쌍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11과 도14를 참조하면, 로터리(40)의 각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외주부는 기어부(308)를 구성한다. 2개의 기어부(308)가 로터리(40)의 종방향 단부들에 위치된 로터리(40)의 종방향 단부들에 하나씩 위치된 종동 기어의 쌍과 맞물리는데, 종동 기어는 도시되지 않았다. 2개의 종동 기어는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로터리 디스크(400)들 중 하나, 예를 들어, 로터리 디스크(400A)가 회전하면, 다른 로터리 디스크 또는 로터리 디스크(400B)는 종동 기어에 의해 로터리 디스크(400A)와 동기하여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디스크(400B)의 기어부(308)가 되는 로터리 디스크들 중 하나의 기어부(308)는 로터리 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로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술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들이 회전하는 동안에 또는 현상 롤러가 구동되는 동안에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들 중 하나가 비틀리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도14와 도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디스크(400B)의 로터리 지지 판(450)이 되는 로터리 지지 판(450)들 중 하나에는 복수개의 기어(55)(55a, 55b, 55c, 55d, 55e)가 구비된다. 현상 카트리지(4)의 입력 기어(307)는 로터리 지지 판(450)에 부착된 기어 트레인(구동력 전달 기어 트레인)의 최하류 기어(55e)와 맞물리며, 현상 롤러(305), 도포 롤러(304), 교반 부재(303) 등을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터리 디스크(400)들이 회전하면, 현상 카트리지(4)는 로터리 디스크(4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궤도 이동하여, 그 입력 기어(307)가 로터리 회전 판(450)에 부착된 기어 트레인의 최하류 기어(55e)와 맞물린다.
다음으로 도15를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4)가 로터리(40)의 회전에 의해 현상 위치로 화살표(R)로 표시된 방향으로 궤도 이동하면, 로터리 지지 판(450)에 부착된 기어 트레인의 최하류 기어(55e)는 현상 카트리지(4)의 입력 기어(307)와맞물린다.
현상 카트리지(4)의 입력 기어(307)가 로터리 지지 판(450)의 최하류 기어(55e)에 의해 구동될 때, 도16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의 힘(F)을 받는다. 이 힘(F)(모멘트)은 로터리 디스크(400)의 홈(400d) 내에 보유된 현상 카트리지(4)를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 돌기(310c)들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의 돌출부(310m)들이 로터리 디스크(400)의 V자형 수용부(400e) 상에 가압 유지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위치로 구동되는 동안에 현상 카트리지(4)가 소정의 현상 카트리지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힘(F)은 로터리 내의 폐쇄형 동적 시스템의 일부이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4)에 의해 감광 드럼(1)에 인가되는 압력(W)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
현상 카트리지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전술한 공정은 양쪽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터리 디스크(400B)측에서 발생되는 카트리지 위치설정 공정은 로터리 디스크(400b)에서와는 상이하도록 만들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5를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4)의 로터리 디스크(400B) 측의 위치설정 돌기(310C)의 크기(직경)는 2개 사이에 소정량의 간극을 제공하기 위해 로터리 디스크(400B)의 위치설정 수용부(400d)보다 작게 만들어진다. 그러나, 위치설정 돌기(310c)에는 위치설정 돌기(310c)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돌출되는 리브(310s)가 구비되어, 위치설정 수용부(400d)의 내부면과 접촉한다.
전술한 구조적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로터리 디스크(400A)측의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설정 돌기(310c)는 로터리 디스크(400A)의 수용부를 보유하는 위치설정 돌기 내에 정밀하게 끼워지며, 현상 카트리지의 돌출부(310m)는 로터리 디스크(400A)의 V자형 수용부(400e)와 접촉한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는 고도로 정밀하게 위치설정된다.
한편, 로터리 디스크(400B)측에서,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설정 돌기(310c)는 로터리 디스크(400B)의 수용부(400d)를 보유하는 위치설정 돌기 내에 헐겁게 끼워진다. 그러나,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구동되기 시작하면,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카트리지(4)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와 같은 힘을 받는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의 돌출부(310m)는 로터리 디스크(400A)의 V자형 수용부(400e) 내에 끼워진다. 추가로, 위치설정 돌기(310c)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돌출되는 리브(310s)는 수용부(400d)를 보유하는 위치설정 돌기의 내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4)는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터리(40)에 대하여 정밀하게 위치된다.
(현상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장착하는 방법)
다음은, 현상 카트리지(4)의 안내 리브(310b)의 구조와, 현상 바이어스를 위한 현상 카트리지(4)의 전기 접촉자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4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의 주요구조의 종단부들은 현상 카트리지(4)의 주 조립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측면 커버(310)(310A, 310B)에 의해 각각 덮여진다. 도8은 현상 카트리지(4), 현상 카트리지의 주 조립체로부터 분리되어진 측면 커버(310A), 즉 도면의 좌측 커버를 도시한다.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측면 커버(310A)는 다음의 방식으로 현상 카트리지 주 조립체에 부착된다. 우선, 현상 카트리지 주 조립체(이하에서 "카트리지 프레임"이라 할 수 있다)의 위치설정 구멍(300c)은 측면 커버(310)의 위치설정 돌기(310d1)와 정렬된다. 그런 다음, 나사(330, 331)가 측면 커버(310A)의 구멍(310e, 310f)을 통해 끼워지고 나서, 현상 카트리지 주 조립체의 구멍(300e, 300f) 내로 각각 조여진다. 측면 커버(310B)는 측면 커버(310A)와 동일한 방식을 나사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 주 조립체에 부착된다.
현상 카트리지(4)에는 현상 카트리지(4)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 돌기(310c)와, 현상 카트리지(4)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리브(310b)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상 카트리지 주 조립체의 종단부들에 각각 위치되는 각각의 측면 커버(310)(310A, 310B)에는 위치설정 돌기(310c)와 안내 리브(310b)가 구비된다. 이리하여,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 돌기(310c)와 안내 리브(310b)가 해당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수용부(400d)를 보유하는 위치설정 돌기, 안내 홈(400b) 등 내에 삽입되면, 현상 카트리지(4)는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에 대한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정밀하게 배치된다.
현상 카트리지(4)의 측면 커버(310A)에는 현상 바이어스를 위한 전기 접촉자(311A), 즉 안내 리브(310b)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줄되는 접점(311)이 구비된다.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제위치에 고정되면,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게 될 현상 바이어스를 위한 전기 접점(311)은 장치 주 조립체 측 상의 현상 바이어스를 위한 전기 접점(410)(도19)과 전기 접점(410)(도19)에 전기 접속되어진다.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바이어스 접점(311)을 갖는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311A)는 측면 커버(310A)가 현상 카트리지 주 조립체에 부착되면,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311A)가 현상 카트리지의 현상 부재(현상 롤러)(305)와 현상제 도포 부재(토너 공급 롤러)(304)에 접속되어지도록 배선된다. 이러한 구조적 배치에 의해, 현상 바이어스와 도포 부재 바이어스를 모두 현상 롤러(305)와 토너 공급 롤러(304)에 각각 인가할 수 있다.
현상 바이어스 접점(311)은 안내 리브(310b) 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가 로터리(40) 내에 장착되면, 접점(311)은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안내 리브(310b)는 현상 카트리지(4)가 로터리 디스크(400)의 카트리지 안내 홈(400b) 내에 끼워짐으로써 현상 카트리지(4)를 안내하는 현상 카트리지(4)의 이러한 일부이며, 접점(311)은 안내 리브(310b)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된다. 그러므로, 접점(311)은 안내 리브(310b)와 동일한 방식으로 안내되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되도록 허용하는 위치에 접점(311)이 정밀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다음으로 도4와 도18을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4)는 제1 돌출부(310h)와 제2 돌출부(310a)를 갖는다. 제1 돌출부(310h)는 현상 카트리지 주 조립체를 그 종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측에 대하여 맞닿으며, 제2 돌출부(310a)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측에 대하여 맞닿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 배치와 이들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11과 도12를 참조하여, 로터리(40)와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를 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11은 현상 카트리지(4)들 중 하나가 어떻게 로터리(40) 내에 삽입되는지를 도시하며, 도12는 로터리 디스크(400A), 즉 로터리(40)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의 로터리 디스크(400)의 상세부를 도시한다.
도12를 참조하면, 로터리(40)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의 로터리 디스크(400A)는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가 장치 주 조립체측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와 접촉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는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과;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 돌기(310c)를 지지하기 위한 수용부(400d)를 보유하는 위치설정 돌기와; 현상 카트리지가 로터리(40)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 측면에 대하여 맞닿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홈(400a)과; 안내 홈(400b), 즉 장치 주 조립체 측 상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410)가 현상 카트리지 측 상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와 접촉하게 만드는 구멍(400c)과;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카트리지 위치 고정부가 끼워지는 구멍(400g)을 갖는다.
도11을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4)는 안내 홈(400b)과 각각 정렬되는 현상 카트리지(4)의 종단부들 상의 안내부(310b)에 의해 로터리(40) 내에 삽입된다. 삽입 후에, 로터리(40)는 현상 카트리지(4)가 도17에 도시된 로터리(40)의 지지 판(450)에 부착된 전기 접점(410)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회전된다.
도15는 소정 위치, 즉 현상 위치에 고정되어진 현상 카트리지(4)를 도시한다.
상술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의 제1 돌출부(310h)는 로터리(40)의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과 접촉하게 되어, 도18과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과 현상 카트리지(4) 사이의 소정 거리를 보장한다.
다시 말해서,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위치로 이동하면, 장치 주 조립체측의 구동 기어(55e)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의 구동 기어(307)와 맞물린다. 그 결과, 구동력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 입력 기어(307)로부터 구동력 입력 기어(307)와 일체인 아이들러 기어(307a)를 통해 현상 롤러 구동 기어(305a)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력 입력 기어(307), 아이들러 기어(307a) 및 현상 롤러 구동 기어(305a)는 헬리컬 기어이며, 구동력 입력 기어(307)가 구동된다. 전술한 구조적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구동력이 구동력 입력 기어(307)에 전달되면, 현상 롤러(305)와 현상 카트리지(4)는 도4와 도11에서 현상 카트리지의 종방향으로 좌측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의 제1 돌출부(310h)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40)의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과 접촉하게 된다.
종방향으로 반대 방향(도4와 도11에서 우측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에 부착된 제2 돌출부(310a)의 단부면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로터리 디스크(400)의 홈(400a)의 저부면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종방향으로 전술한 반대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의 이동을 조절한다.
바꿔 말하면, 현상 카트리지(4)의 구동에 있어서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현상 카트리지(4)의 돌출부(310h)가 로터리(40)의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의 접촉부와 만족스러운 접촉에 실패하더라도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반대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부재(310a)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과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사이의 거리의 변동이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은 코일 스프링의 형태이며, 도17과 도19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40)의 지지 판(450)에 고정된다. 현상 카트리지(4)가 소정 위치로 이동하면,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은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과 접촉하게 된다.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은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에서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되며, 현상 카트리지(4)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제1 돌출부(310h)와, 돌기(310c)와, 안내 리브(310b)는 일체이다. 그러므로, 종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제1 돌출부(310h)와,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사이의 거리 상의 오차가 단일 구성 요소의 공차에 기인하여 단일 구성 요소의 위치 상의 오차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과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사이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로터리(40)의 외측으로부터 나열하였을 때 로터리 지지 판(450)과,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과, 로터리(40)와, 현상 카트리지의 접점(311)만 있다.
바꿔 말하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과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사이의 구성 요소들의 개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것에 비해 현저히 적다. 2개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311)들 사이의 구성 요소들의 공차의 합으로 인한 전체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추가로, 전술한 구조적 배치는 2개의 접점들 사이의 소정 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는 신뢰성 있게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종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과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는 로터리 디스크(400A), 즉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의 로터리 디스크에서, 다시 말해서, 구동력 입력 기어(307)를 갖는 구동력 입력부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수행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과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사이의 거리는 구동력에 기인하는 폭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미세한 변위에 영향을 거의 받지않게 된다.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과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을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를 신뢰성 있게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도9를 참조하면, 로터리형 현상 장치(4A)가 설치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4)의 전기 접점(311)은 표면(310i, 310j)으로부터 상승된 안내 리브(310b) 상에 배치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적 배치는 현상 카트리지(4)의 수지부(resinous portions)가 로터리(40)가 회전하는 동안에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의 궤적과도 교차하지 않으며, 또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과 같이 표면(310i, 310j)으로부터 높지 않도록 만든다. 이러한 구조적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바이어스 전압은 현상 카트리지(4)의 수지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도18을 참조하면, 안내 리브(310b)의 상부면은 그 종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돌출부(310h)의 단부면으로부터 거리(E)만큼 현상 카트리지(4)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적 배치의 제공에 의해,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을 부착하기 위해서 현상 카트리지(4)의 표면(310i, 310j)에 안내 리브(310b)와 더불어 표면(310i, 310j)보다 높은 부분을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면(310i, 310j)은 현상 카트리지를 삽입할 때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가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 또는 분리될 때의 효율 면에서 현상 카트리지를 개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에는 현상 카트리지(4)를 종방향으로 위치설정하기 위해 제1 돌출부(310h)의 위치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돌출부가 구비되는 반면에,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로터리(40)에는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 홈(400a)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적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과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신뢰성 있게 인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종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과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는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으로부터, 즉 구동력이 현상 카트리지(4)에 입력되는 현상 카트리지(4)의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측면으로부터 달성된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과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는 구동력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의 폭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변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되어, 현상 바이어스를 신뢰성 있게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은 현상 카트리지(4)의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전기 접점(311)에 인접한 현상 카트리지(4)의 수지부는 로터리(40)가 회전될 때 손상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을 현상 카트리지(4)의 표면(310i, 310j)보다 일 단계 높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현상 카트리지(4)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상술한 구조적 배치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카트리지(4)를 장착 또는 분리할 때에 걸리는 부분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4)를 매끄럽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효율을 개선한다.
(실시예 2)
도20 내지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4)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일반적인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현상 바이어스 접촉자(311A, 312A)가 현상 카트리지(4)의 종방향 단부면들 중 하나 상의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이리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한 본 실시예에서의 구성 요소, 부재 등은 제1 실시예에서 부여되었던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었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도,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에서의 카트리지(4)의 종방향 단부면, 즉 측면 커버(310A)의 외부면에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를 종방향으로 위치설정하기 위한 제1 돌출부(310h)와; 카트리지 위치설정 돌기(310c)와; 현상 카트리지(4)가 종방향으로 가압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돌출부(310a)와;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할 때 현상 카트리지(4)를 소정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리브(310b)가 구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리브(310b)에는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들이 적어도 안내 리브(310b)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311A, 312A)가 구비된다.
이러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은,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위치로 이동하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도23)에 전기 접속된다.
도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을 갖는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311A)는 측면 커버(310A)가 현상 카트리지 주 조립체에 부착되도록 배선되며,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311A)는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부재(현상 롤러)(305)와 현상제 도포 부재(토너 공급 롤러)(304)에 연결되어진다. 이러한 구조적 배치에 의해, 현상 롤러(305)와 토너 공급 롤러(304)에 각각 현상 바이어스와 도포 부재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있다.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2)을 갖는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312A)는, 측면 커버(310A)가 현상 카트리지 주 조립체에 부착되었을 때,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312A)가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제 양 조절 부재(현상 블레이드)(322)에 전기 접속되어지도록 배선된다. 이러한 구조적 배치에 의해, 현상 블레이드(332)에 현상제 양 조절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되는 측면 상의 현상 카트리지(4)의 종방향 단부면의 구조, 즉 측면 커버(310B)의 외부면의 구조는 도5의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현상 카트리지(4)가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단부 안내부(310b1)가 현상 카트리지(4)의 아치형 표면의 반경의 대략 절반과 동일한 길이로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단부 안내부(310b1)는 복수개의 전기 접점들이 단부 안내부(310b1)에 부착되기에 충분하게 길다. 그러므로, 복수개의 전기 접점들이 단부 안내부(310b1)에 부착되어 복수개의 전기 접점들이 동일한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촉 압력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4)를 로터리(40) 내에 삽입하기 위한 작업은 제1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4)를 로터리(40) 내에 삽입하기 위한 것과 동일하다.
다음은, 소정 위치에 고정된 현상 카트리지(4)의 단면도인 도15를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의 힘에 의해 구동되면, 현상 카트리지(4)의 제1 돌출부(310h)는 로터리(40)의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와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들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유지된다.
한편,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될 때 현상 카트리지(4)가 가압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종방향 이동은 현상 카트리지(4)에 부착된 제2 돌출부(310a)의 단부면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로터리 디스크(400)의 현상 카트리지 이동 조절 홈(400a)의 저부면과 접촉하게 될 때 조절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도,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될 때 현상 카트리지(4)가 가압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400a)는 현상 카트리지(4)의 제1 돌출부(310h)가 현상 카트리지(4)의구동에 있어서의 불균일성 때문에 로터리(40)의 카트리지 위치설정 홈(400h)과 만족스럽게 접촉하는 데에 실패하게 되었을 때에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과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 각각 사이의 거리의 변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보다 구체적으로 로터리(40)의 지지 판(450)의 3개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은 코일 스프링의 형태이며, 접촉자(410, 411)들은 로터리(40)의 지지 판(450)에 고정된다.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이들 2개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에,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들은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 상의 단부 안내부(310b2)에 안내부(310b2)의 기부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부착된다. 그러므로, 위치설정 돌출부(310h)와 접점(310, 311) 사이의 거리 상의 오차가 단일 구성 요소의 공차에 기인하여 단일 구성 요소의 위치 상의 편차로 제한될 수 있다.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과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 사이의 각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로터리(40)의 외측으로부터 나열했을 때 현상 카트리지(4)의 로터리 지지 판(450)과,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과, 로터리(40)와, 접점(311)만 있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의 쌍과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의 쌍 사이의 구성 요소의 개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것에 비해서 현저히 적으며,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의 쌍과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의 쌍 각각 사이의 구성 요소들의 공차의 합에 기인하는 위치 관계 상의 전체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2개 쌍의 접점들 사이의 소정 거리를 보다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과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는 로터리 디스크(400A) 측면, 즉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 상에 로터리 디스크를 갖는 구동력 입력부로부터 이격된 측면, 다시 말해서 구동력 입력 기어(307)를 갖는 구동력 입력부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달성된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의 쌍과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의 쌍 각각 사이의 거리는 구동력에 의한 폭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미세한 변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의 쌍과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의 쌍을 소정 위치에 유지하기에 보다 용이하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를 신뢰성 있게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에 인접한 현상 카트리지(4)의 수지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을 표면(310i, 310j)으로부터 돌출된 현상 카트리지의 부분들에 부착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은 현상 카트리지(4)의 종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주 조립체로부터 표면(310i, 310j)보다 더 외측에 위치된 안내부(310b)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이 부착되는 추가의 상승부를 갖춘 현상 카트리지(4)의 표면(310i, 310j)에 제공할 필요를 없앨 수 있음으로써, 공간을 절약하는 데에 기여한다. 또한, 표면(310i 및/또는 310j) 상에 추가의 상승부가 없기 때문에, 표면(310i, 310j)은 현상 카트리지의 삽입 중에 걸리는 이같은 부분을 갖지 않아서, 현상 카트리지를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게 하며, 카트리지가 사용자에 의해 장착 또는 분리되는 효율 및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에는 위치설정 리브가 구비되는 한편,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로터리(40)에는 현상 카트리지(4)의 종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을 위한 홈이 구비된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410, 411)의 쌍과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의 쌍 각각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가 신뢰성 있게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종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과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는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되지 않는 측면, 즉 구동력이 현상 카트리지(4)에 입력되는 현상 카트리지의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측면에서 달성된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과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는 구동력에 의한 현상 카트리지(4)의 폭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변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현상 바이어스를 신뢰성 있게 인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수개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들을 안내 리브(310b) 상에 안내 리브(310b)가돌출되는 표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배치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복수개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에 인가되는 압력을 균등화하여, 안정한 현상 바이어스를 신뢰성 있게 인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311, 312)은 현상 카트리지(4)의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로터리(40)가 회전될 때 전기 접점들에 인접한 현상 카트리지(4)의 수지부가 손상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들을 접점들의 인접부보다 한 단계 높게 설정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현상 카트리지(4)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조적 배치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카트리지(4)를 장착 또는 분리할 때 걸리는 이같은 돌출부를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4)를 매끄럽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현상 카트리지(4)의 효율을 높인다.
도4와 도20을 참조하면,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 카트리지(4)에는 위치설정 리브들이 구비되는데, 각각의 위치설정 리브는 안내 리브(310b)와 위치설정 돌출부(310h)의 일체형 조합체이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를 현상 카트리지(4)의 종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4)의 부분(310a)은 위치설정 리브의 가상 연장부 상에 있다. 다시 말해서, 위치설정부(310h), 안내부(310b)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를 종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부분(310a)이 정렬된다.
그러므로, 위치설정부(310h), 안내 리브(310b) 상의 전기 접촉자들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부분(310a)을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정밀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도4와 도20에 도시된 카트리지 위치설정부를 갖는 위치설정부(310c)는 현상 카트리지(4)가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축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로터리(40) 내의 현상 카트리지가 현상 위치로 이동하면, 전기 접점(311)(312)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내측면에 고정된 전기 접점(410)(411) 상에 과도하게 가압되지 않으므로, 바이어스 공급되는 위치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카트리지로 이동하는 동안에, 안내 리브(310b)의 압력 포착부(310k)는 로터리에 부착된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과 현상 롤러(305)가 회전 구동될 때 발생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하에 놓이게 되며, 돌출부(310m)는 도13에 도시된 수용부(400e)의 표면 상에 가압된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는 안내 리브(310b) 상의 전기 접점(311)(312)이 바이어스를 공급하도록 위치되는 현상 자세를 되찾는다.
또한, 전기 접점(311)(312)은 안내 리브(310) 상에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로터리(40)의 반경 방향으로 있는 전기 접점(311)(312)과 정렬되는 위치설정 돌출부(310c)는 위치설정 돌출부(310c)가 선회하는 축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안내 리브(310b)의 압력 포착부(310k)는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하에 있으며,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305)가 회전 구동될 때 발생되는 회전 모멘트를 수용한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위치로 이동한 후에조차도 전기 접점(311)(312)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더구나, 카트리지(4)는 선회할 수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를 위치설정하는 마지막 순간까지도 전기 접점(311)(312)을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410)(411)으로부터 이격 유지하거나, 전기 접점(311)(312)과 전기 접점(410)(411) 사이의 접촉 압력을 작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410)(411)과 전기 접점(311)(312)이 접촉 압력으로 인한 마찰로 인해 서로 깎이는 양을 줄일 수 있다.
다음은 도24 내지 도26을 참조하여 베어링 부재(340B)와 측면 커버(31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시키는 구조적 배치와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4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들 중 하나를 도시하며, 도24는 베어링 부재(34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들 중 하나에 부착하기 직전 또는 베어링 부재(34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동일한 종단부로부터 제거한 직후의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들 중 하나의 사시도이다. 도25는 베어링 부재(340B)가 부착되어지고 측면 커버(310B)가 부착될 준비가 되거나 측면 커버(310B)가 바로 제거되어진 상태로 도2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의 사시도이다. 도26은 베어링 부재(340B)와 측면 커버(310B)가 어떻게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우선, 도24를 참조하여 베어링 부재(34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4에 도시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에는 종단부의 상부 및 저부측면 상에 있는 홈(300cc)과 돌출부(300dd)가 구비된다. 종단부에는 또한 나사 구멍(300ee, 300ff, 300hh)이 구비된다. 도면 부호 305c와 304a에 의해 현상 롤러(305)의 샤프트의 일 단부와, 토너 공급 롤러(304)의 샤프트의 일 단부가 각각 표시된다.
베어링 부재(340B)에는 베어링 부재(340B)의 내부면, 즉 카트리지 프레임(300)을 대면하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베어링 부재 실린더(340aa)가 구비된다. 또한 구멍(340bb)도 구비된다. 또한, 현상 롤러(305)의 샤프트의 전술한 단부(305c)가 회전 지지되는 구멍(340B1)과, 토너 공급 롤러(304)의 샤프트의 전술한 단부(304a)가 회전 지지되는 구멍(340B2)이 구비된다. 또한, 베어링 부재(340B)의 외부면(b), 즉 전술한 표면(a)에 대향하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340dd)와 제2 돌출부(340cc)가 구비된다. 제2 돌출부(340cc)는 기어(307)(헬리컬 기어)를 지지한다.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되면, 기어(307)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측 상에 구비된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며, 현상 카트리지(4)를 구동하기 위한 힘을 수용한다. 제1 돌출부(340dd)에는 제1 돌출부(340dd)의 단부에 있는 나사 구멍(340dd1)이 구비된다.
다음은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들 중 하나에 부착되는 측면 커버(310B)를 설명하기로 한다.
측면 커버(310B)에는 측면 커버(B)의 내부면, 즉 카트리지 프레임(300)과 대면하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10aa)가 구비된다. 또한 내부면(a)으로부터 돌출되는 실린더(310hh)가 구비된다. 또한, 제1 구멍(310dd), 제2 구멍(310cc)및 나사 구멍(310ee)이 구비된다.
다음은 베어링 부재(34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베어링 부재(340B)는 베어링 부재(340B)가 카트리지 프레임(300) 쪽으로 이동하면, 실린더(340aa)의 외주면은 홈(300cc)의 내부면과 접촉을 이루며 돌출부(300dd)가 구멍(340bb)을 통해 놓여지도록 카트리지 프레임(300)과 정렬된다. 말하자면, 실린더(340aa)의 외경은 실질적으로 홈(340aa)의 내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린더(340aa)가 홈(300c) 내에 끼워지면,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대한 베어링 부재(340B)의 위치는 고정되게 된다. 또한, 구멍(340bb)은 길고 좁다. 그러므로, 베어링 부재(340B)가 실린더(340a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으며, 이는 소위 "회전 검사기(rotation checker)"로 지칭된다. 현상 롤러 샤프트의 단부(305a)는 구멍(340B1)을 통해 놓임으로써 베어링 부재(340B)에 의해 지지되며, 토너 공급 롤러 샤프트의 일 단부(304a)는 구멍(340B2)을 통해 놓임으로써 베어링 부재(340B)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으로, 베어링 부재(340B)는 나사(335, 335)에 의해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조여진다. 나사(335)는 나사 구멍(340hh)을 통해 끼워지며, 나사 구멍(300hh) 내에 조여진다. 나사(336)는 나사 구멍(340ff)을 통해 끼워지며, 나사 구멍(300ff) 내에 조여진다. 그 결과, 베어링 부재(340B)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도25를 참조하여, 측면 커버(310B)를 베어링 부재(340B)가 부착되어진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들 중 하나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 돌출부(340dd)가 제1 구멍(310dd) 내에 끼워짐과 동시에 돌출부(310aa)가 홈(300c)의 실린더(340aa)의 내부면(340aa1)과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제1 구멍(310dd)은 실린더(310dd1)의 단부에 있는 구멍이며, 제1 돌출부(340dd)는 금속이며 원통형이다. 이는 실린더(310dd1) 내에 끼워지며, 이와 동시에, 제2 돌출부(340cc)는 제2 구멍(310cc) 내에 끼워진다. 제2 돌출부(340cc)는 또한 금속이며 원통형이다. 구멍(310dd)과 실린더의 내경은 실질적으로 제1 돌출부(340dd)의 외경과 동일하다. 구멍(310cc)의 내경은 실질적으로 돌출부(340cc)의 외경과 동일하다. 그러나, 돌출부(310aa)는 실린더(340aa)의 내부면과 헐겁게 접촉한다. 이리하여,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대한 측면 커버(310B)의 위치 관계는 서로 맞물리는 돌출부(340dd)의 부분 및 실린더(310dd1)의 부분과; 서로 맞물리는 돌출부(340dd)의 부분 및 구멍(310dd)의 부분과; 서로 맞물리는 돌출부(340cc)의 부분 및 구멍(310cc)의 부분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돌출부(310aa)와 실린더(340aa)의 내부면(340aa1) 사이의 접촉은 측면 커버(310B)가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말하자면, 측면 커버(310B)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는 측면 커버(310B)의 2개의 인접부들이 측면 커버(31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대하여 위치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커버(310B)의 변형력은 제조 중에 발생하는 구멍(310cc, 310dd) 사이의 거리 상의 오차를 흡수하는 데에 사용된다.
다음으로, 측면 커버(310B)는 나사(337, 338)에 의해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된다. 나사(337)는 구멍(310ee)을 통해 끼워지며, 나사 구멍(300ee) 내에 조여진다. 나사(338)는 베어링 부재(340B)와 일체인 금속 돌출부(340dd)의 단부 내의 나사 구멍(340dd1) 내에 조여진다.
전술한 절차를 통해, 측면 커버(340B)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된다. 실린더(310hh)는 구멍(340bb)을 통해 놓이는 돌출부(300d) 내에 헐겁게 끼워진다.
다음으로 도27 내지 도29를 참조하여 베어링 부재(340A)와 측면 커버(31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다른 종단부에 부착시키는 구조적 배치와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7은 카트리 프레임(300)의 다른 종단부를 도시한다. 도27은 베어링 부재(34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다른 종단부에 부착시키기 직전 또는 베어링 부재(34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동일한 종단부로부터 제거한 직후에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다른 종단부의 사시도이다. 도28은 측면 커버(310A)가 베어링 부재(340A)가 부착되어진 후에 부착되도록 준비되거나 측면 커버(310A)가 바로 제거되어진 상태에서 도2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동일한 종단부의 사시도이다. 도29는 베어링 부재(340A)와 측면 커버(310A)가 어떻게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우선 도27을 참조하여 베어링 부재(34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7에 도시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에는 종단부의 상부 및 저부측면 상에 있는 홈(300c)과 돌출부(300d)가 구비된다. 이 종단부에는 또한 나사 구멍(300e, 300f, 300h, 300n)이 구비된다. 도면 부호 305b와 304b에 의해 현상 롤러(305)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와, 토너 공급 롤러(304)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가 각각 표시된다.
베어링 부재(340A)에는 베어링 부재(340A)의 내부면(a), 즉 카트리지 프레임(300)과 대면하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베어링 부재 실린더(340a)가 구비된다. 또한 구멍(340b)과, 나사 구멍(340f, 340h)과, 전술한 현상 롤러 샤프트의 다른 단부(305b)가 회전 지지되는 구멍(340A1)과, 토너 공급 롤러 샤프트의 다른 단부(304b)가 회전 지지되는 구멍(340A2)이 구비된다. 또한, 나사(334)가 끼워지는 나사 구멍(340h)과 나사(336)가 끼워지는 나사 구멍(340f)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측면 커버(310A) 또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에 부착되는 측면 커버를 설명하기로 한다.
측면 커버(310A)에는 측면 커버(B)의 내부면, 즉 카트리지 프레임(300)을 대면하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부 커버 돌출부(310dd)가 구비된다. 또한 내부면(a)으로부터 돌출되는 실린더(310d2)가 구비된다. 또한, 나사 구멍(310e, 310f, 310n)이 구비된다.
다음은 베어링 부재(340A)와 카트리지 프레임(300)을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부수적으로, 카트리지 프레임(300)에는 돌출부(300d)가 구비된다.
우선, 베어링 부재(340A)는 베어링 부재(340A)가 카트리지 프레임(300) 쪽으로 이동하면 실린더(340a)의 외주면이 홈(300c)의 내부면과 접촉을 이루고 또한 돌출부(300d)가 구멍(340b) 내에 놓이도록 카트리지 프레임(300)과 정렬된다. 실린더(340a)의 외경은 실질적으로 홈(340c)의 내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린더(340a)가 홈(300c) 내에 끼워지면,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대한 베어링(340A)의 위치는 고정되어진다. 또한, 구멍(340b)은 길고 좁다. 그러므로, 이는 베어링 부재(340A)가 실린더(340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으며, 이는 소위 "회전 검사기"로 지칭된다. 현상 롤러 샤프트의 다른 단부(305b)는 구멍(340A1)을 통해 놓임으로써 베어링 부재(340A)에 의해 지지되며, 토너 공급 롤러 샤프트의 다른 단부(304b)는 구멍(340A2)을 통해 놓임으로써 베어링 부재(340A)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에, 베어링 부재(340A)가 나사(334)에 의해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된다. 나사(334)는 나사 구멍(340h)을 통해 끼워지며, 나사 구멍(300h) 내에 조여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베어링 부재(340A)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도28을 참조하여 베어링 부재(340A)가 부착되어진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다른 종단부에 측면 커버(310A)를 부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돌출부(310a)는 홈(300c) 내의 실린더(340a)의 내부면(340a1)과 접촉하게 위치되며, 이와 동시에, 돌출부(340d)는 실린더(310b)의 내부면과 접촉하게 위치된다.
돌출부(310d1)의 외경은 실린더(340a)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실린더(310d2)의 내부 구멍은 길며, 직경이 작고, 돌출부(300d)가 실린더(310d2) 내에 헐겁게 끼워진다. 따라서,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대한 측면 커버(310A) 사이의 위치 관계는 돌출부(310d1)와 실린더(340a)의 내부면(340a1)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며, 측면 커버(310A)는 돌출부(300d2)와 실린더(310d2)의 내부면(310d21)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측면 커버(310A)가 나사(330, 331, 333)에 의해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된다. 나사(330)는 구멍(310e)을 통해 끼워지며, 나사 구멍(300e) 내에 조여진다. 나사(331)는 구멍(310f, 340f) 내에 끼워지며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나사 구멍(300f) 내에 조여진다. 나사(333)는 구멍(340f)을 통해 끼워지며,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나사 구멍(300n) 내에 조여진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측면 커버(340A)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우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프레임(300)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305)와;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들 중 하나가 제공되는 홈(300cc)과; 홈(300c)에서와 동일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가 제공되는 돌출부(300dd)와;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현상 롤러(305)의 샤프트의 일 단부(305c)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340B)와; 베어링 부재(340B)에 구비되며 홈(300c)의 내부면과 접촉을 이루는실린더(340aa)와; 베어링 부재(340B)에 구비되며 돌출부(300d)가 끼워지는 길고 좁은 구멍(340bb)과; 베어링 부재(340B)의 외부면, 즉 실린더(340aa)가 구비된 내부면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 구비되는 금속성 제1 돌출부(340dd)와; 외부면(b) 상에 구비되며,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있을 때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기어를 지지하는 금속성 제2 돌출부(340cc)와; 베어링 부재(34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전술한 종단부에 보유하기 위한 제1 나사(335, 336)와; 베어링 부재(340B)를 덮는 방식으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전술한 종단부에 부착되는 측면 커버(310B)와; 측면 커버(310B)에 구비되며 전술한 제1 돌출부(340dd)가 끼워지는 제1 구멍(310dd)과; 측면 커버(310B)에 구비되며 전술한 제2 돌출부(340cc)가 끼워지는 제2 구멍(310cc)과; 측면 커버(310B)의 내부면 상에 구비되고, 홈(300c) 내에서 실린더(340aa)의 내부면(a)과 접촉하는 상태로 실린더(340aa)의 구멍 내에 있는 돌출부(310aa)와; 측면 커버(31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들 중 하나에 보유하는 제2 나사(337)와; 측면 커버(310B)를 베어링 부재(340B)의 제1 돌출부(340dd)에 보유하는 제3 나사(338)를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304) 상에 현상제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 롤러(304)를 가지며, 베어링 부재(340B)에는 도포 롤러(304)의 샤프트의 일 단부(304a)가 외부로 돌출되는 구멍(340B2)이 구비된다.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장착할 때 현상 카트리지(4)를 안내하고, 외부면(b), 즉 돌출부(310aa)가 구비되는 내부면(a)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 있는 단부 안내부(310b1)를 갖는다.
현상 카트리지(4)의 측면 커버(310B)는 카트리지 로킹부(300a)의 일 단부가 후퇴 가능하게 삽입되어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장착된 후에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멍(310gg)을 갖는다.
또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착탈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프레임(300)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305)와;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있을 때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이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력 수용 부재(307)로서의 기어와;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들 중 하나가 제공되는 홈(300)과; 홈(300c)에서와 동일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가 제공되는 돌출부(300d)와;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현상 롤러(305)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305b)를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340A)와; 베어링 부재(340A)에 구비되며 홈(300)의 내부면과 접촉을 이루는 실린더(340a)와; 베어링 부재(340A)에 구비되며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다른 측면 상의 돌출부(300d)가 끼워지는 길고 좁은 구멍(340b)과; 베어링 부재(34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타 종단부에 보유하는 제1 나사(334)와; 베어링 부재(340A)를 덮는 방식으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전술한 타 종단부에 부착되는 측면 커버(310A)와; 측면 커버(310A)에 구비되며 홈(300c)의 내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베어링 부재(340A)의 실린더(340a)의 내부면과 접촉하게 위치되는 돌출부(310d1)와; 측면 커버(310A)에 구비되며 그 내부면이 베어링 부재(340A)의 구멍(340)을 통해 끼워지는 돌출부(300d)와 접촉하게 위치되는 실린더(310d2)와; 측면 커버(31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들 중 하나에 보유하는 제2 나사(330)와; 베어링 부재(340A)와 측면 커버(310A) 모두를 카트리지 프레임의 타 종단부에 보유하는 제3 나사(331)를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304) 상에 현상제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 롤러(304)를 가지며, 베어링 부재(340A)에는 도포 롤러(304)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304b)가 외부로 돌출되는 구멍(340A2)이 구비된다. 베어링 부재(340A)에는 또한 토너 시일(toner seal, t)이 당겨지는 구멍(340r)이 구비된다. 토너 시일(t)은 현상제 저장부(303) 내의 현상제를 방출하도록 현상제 저장부(303)에 구비되는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를 개봉 가능한 밀봉 상태로 유지한다.
현상 카트리지(4)의 측면 커버(310A)는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장착할 때 현상 카트리지(4)를 안내하며, 측면 커버(310A)의 외부면(b), 즉 돌출부(310aa)가 구비되는 내부면(a)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 있는 안내부(310b)를 갖는다. 또한 현상제 보유 저장부(302)의 개구부를 개봉 가능한 밀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토너 시일(t)이 당겨지는 구멍(3101)을 갖는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의 측면 커버(310A)는 카트리지 로킹부(300g)의 일 단부가 후퇴 가능하게 삽입되어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장착된 후에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멍(310g)을 갖는다.
측면 커버(31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일 단부에 부착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베어링 부재(340B)에 의해 현상 롤러(305)의 샤프트의 일 단부(305a)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 지지 단계와; 베어링 부재(34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하기 위해서, 베어링 부재(340b)의 실린더(340a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들 중 하나에 위치된 홈(300cc) 내에 끼우기 위한 실린더 끼움 단계와; 베어링 부재(34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하기 위해서, 홈(300c)을 갖는 동일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종단부에 구비된 돌출부(300dd)를 베어링 부재(340B)의 구멍(340bb)을 통해 끼우기 위한 돌출부 위치 단계와; 베어링 부재(34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하기 위해서, 나사(335, 336)를 베어링 부재(340B)의 구멍(340ff, 340hh)을 통해 각각 끼우고, 나사(335, 336)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나사 구멍(300ff, 300hh)에 체결하는 나사 조임 단계와;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홈(300cc) 내에서 측면 커버(340B)의 돌출부(310aa)를 베어링 부재(340B)의 실린더(340aa)의 내부면(340aa1)과 접촉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측면 커버 돌출부 위치 단계와; 베어링 부재(340B)의 금속성 제1 돌출부(340dd)를 측면 커버(310B)의 제1 구멍(310dd) 내에 끼우기 위한 제1 끼움 단계와; 베어링 부재(340B)의 금속성 제2 돌출부(340cc)를 측면 커버(310B)의 제2 구멍(310cc) 내에 끼우기 위한 제2 끼움 단계와; 나사(337)를 사용하여 측면 커버(31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나사(337)를 측면 커버(310B)의 구멍(310ee) 내에 끼우고, 나사(337)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나사 구멍(300ee) 내에 조이기 위한 제1 나사 조임 단계와; 나사(338)를 사용하여 측면 커버(31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나사(338)를 측면 커버(310B)의 구멍(310dd)을 통해 끼우고, 나사(338)를 베어링 부재(340B)의 제1 돌출부(340dd)의 나사 구멍(340dd1) 내에 조이는 제2 나사 조임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측면 커버(310B)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은 베어링 부재(34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시킬 때 현상제를 현상 롤러(305)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 롤러(304)의 샤프트의 타 단부(304a)를 베어링 부재(340B)의 구멍(340B2)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키는 샤프트 위치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측면 커버(310B)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은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장착할 때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트리지 로킹부(300g)의 일 단부를 측면 커버(310B)의 로킹 구멍(310gg)을 통해 돌출하게 만드는 로킹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비해서, 측면 커버(310A) 또는 다른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타 종단부에 부착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베어링 부재(304A) 또는 다른 베어링 부재에 의해 현상 롤러(305)의 종방향으로 현상 롤러(305)의 샤프트의 타 단부(305b)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 지지 단계와; 베어링 부재(34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타 종단부에 부착하기 위해서, 베어링 부재(340A)의 실린더(34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타 종단부 내에 위치된 홈(300c)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실린더 위치 단계와; 베어링 부재(340A)를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하기 위해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타 종단부의 돌출부(300d)를 베어링 부재(340A)의 구멍(340b)을 통해 끼우기 위한 돌출부 위치 단계와; 베어링 부재(34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하기 위해서, 나사(334)를 베어링 부재(340A)의 구멍(340b)을 통해 끼우고, 나사(334)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나사 구멍(300h) 내에 조이는 나사 조임 단계와; 측면 커버(310A)의 돌출부(310a)를 실린더(340a)의 내부면(340a1)과 접촉하게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타 종단부의 홈(300c)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돌출부 위치 단계와; 베어링 부재(340A)의 구멍(340b)을 통해 끼워져 있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타 종단부의 돌출부(300d) 주위에 측면 커버(310A)의 실린더(310b)를 끼우기 위한 실린더 끼움 단계와; 나사(333)를 사용하여 측면 커버(31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하기 위해서, 나사(333)를 측면 커버(310A)의 구멍(310h)를 통해 끼워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나사 구멍(300h) 내에 조이는 제1 나사 조임 단계와; 나사(331)를 사용하여 측면 커버(31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하기 위해서, 나사(331)를 측면 커버(310A)의 구멍(310f, 340f)을 통해 각각 끼워서,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나사 구멍(300f) 내에 조이는 제2 나사 조임 단계를 포함한다.
측면 커버(31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의 타 종단부에 부착하기 위한 방법은 또한 베어링 부재(34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할 때 샤프트의 타 단부(304b)가 구멍(340m)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튀어나오도록, 현상제를 현상 롤러(305)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 롤러(304)의 샤프트의 타 단부(304b)를 구멍(340m)의 내측면으로부터 베어링 부재(340A)의 구멍(340m)을 통해 삽입하는 샤프트 위치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 내에 위치시킨 후에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카트리지 로킹부(300g)의 타 단부를 측면 커버(310A)의 로킹 구멍(310g)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게 하기 위한 로킹 단계와; 토커 시일(t)이 토너 시일 구멍(3101)의 외측면으로부터 튀어나오도록, 현상제를 보유하는 현상제 저장부(302)의 현상제 방출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를 토너 시일 구멍(3101)의 내측면으로부터 개봉 가능하게 밀봉 유지하기 위해 토너 시일(t)을 위치시키는 토너 시일 위치 단계를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전술한 카트리지 프레임(300), 베어링 부재(340A, 340B) 및 측면 커버(310A, 310B)는 플라스틱(예를 들어, 스티렌)으로 제조된다. 이에 비해서, 제1 및 제2 돌출부(340cc, 340dd)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현상 카트리지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 즉 현상 부재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 부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가 보유되는 현상제 저장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유닛으로 통합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제 저장부를 가질 필요가 없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 부재 및 현상제 저장부에 덧붙여, 현상 부재 및 현상제 저장부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 부재 등을 일체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현상 부재가 일체로 배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측면 커버(310A, 31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하기 전에, 베어링 부재(340A, 340B)가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됨으로써, 현상 롤러(305)와 도포 롤러(304)의 위치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베어링 부재(340A, 340B)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조여져서, 측면 커버(310A, 31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하기 전에 베어링 부재(340A, 34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시킬 수 있게 만든다. 다시 말해서, 측면 커버(310A, 310B)가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되기 전에, 베어링 부재(340A, 340B)가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고정되어, 측면 커버(310A, 310B)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시키기에 더 용이하게 만든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돌출부(310d1)는 중공 실린더(340a)의 중공(340a1) 내에 완벽하게 끼워져서, 베어링 부재(340a)와 측면 커버(31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설정한다. 다시 말해서, 베어링 부재(340A)와 측면 커버(310A)는 모두 동일한 돌출부, 또는 돌출부(310d1)에 의해 위치설정됨으로써, 베어링 부재(340A)와 측면 커버(310A)가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대하여 위치되는 정밀도를 높인다. 그러므로, 측면 커버(310A)가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되는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베어링 부재(340A, 340B)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베어링 부재들이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되는 견고한 정도를 높인다. 추가로, 측면 커버(310A, 310B)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직접 나사 체결됨으로써, 측면 커버(310A, 310B)가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되는 견고헌 정도를 높인다. 또한, 베어링 부재(340A)와 측면 커버(310A)는 모두 단일 나사, 즉 동일한 나사에 의해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나사 체결된다. 이는 또한 측면 커버(310A)가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되는 견고성을 더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돌출부(340dd)와 제2 돌출부(340cc)는 금속 재료(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로 제조된다. 또한, 금속 돌출부(340dd)는 중공 실린더(310dd)의 중공 내에 끼워져서, 이 중공 실린더(310dd)의 외부면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과 접촉해서 위치된다.
따라서, 측면 커버(310B)가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되면, 금속 돌출부(340dd)는 측면 커버(310B)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로서도 겸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가 측면 커버(310B)의 일부에 의해 고정될지라도, 측면 커버(310B)는 변형이 방지되거나 측면 커버(310B)의 변형이 최소화된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44)는 보다 높은 정밀도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하여 위치된다.
또한, 조립 라인 작업자들이 현상 카트리지(4)의 조립 중에 베어링 부재(34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부착시키는 것을 잊어버리면, 측면 커버(310A)를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일이 불가능해진다. 그 결과, 조립자 또는 다른 사람이 베어링 부재(340A)를 부착하는 것을 잊은 사실이 조립자에게 분명해진다. 이는 돌출부(310d1)의 위치가 중공 실린더(340a)의 내부면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측면 커버(310B)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하여 위치시키기 위해, 측면 커버(310B)의 위치설정부(310dd1)의 인접부의 위치가 금속 샤프트(340dd)에 의해 고정되며, 측면 커버(310B)가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조여진다. 또한, 금속 샤프트(340cc)는 금속 샤프트(340dd)의 인접부 내에 있다. 그러므로, 측면 커버(310B)가 변형되는 것이 어려우며, 이로써 위치설정부(310dd1)의 강도(강성)을 높인다.
또한, 전술한 돌출부를 제공함으로써, 현상 롤러(305)와 도포 롤러(304)는 베어링 부재(340A, 340B)만으로도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커버(310A, 310B)를 베어링 부재(340A, 340B)를 부착시킨 후에 부착시키면, 베어링 부재(340A, 340B)와 양쪽 롤러(304, 305)는 정확하게 배치되어지고, 이로써 측면 커버(310A, 310B)를 보다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만든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4)를 조립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본 발명은 측면 커버가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시킬 때 측면 커버가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하여 위치되는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측면 커버가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 커버가 카트리지 프레임에 부착되면 베어링 부재의 금속 돌출부가 측면 커버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로서 겸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있을 때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가 측면 커버의 일부에 의해 고정된 경우에도 측면 커버가 변형되는 일을 막거나 측면 커버의 변형을 최소화한다. 그러므로,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하여 위치되는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문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기재된 상세부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개량 목적 또는 첨부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되는 변형예 또는 변경예를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16)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 카트리지이며,
    카트리지 프레임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프레임 홈과,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프레임 돌출부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현상 롤러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일단부 베어링 부재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어, 일단부 프레임 홈의 내부면과 맞물리는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며 프레임 일단부 돌출부가 관통하는 긴 베어링 부재 개구부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가 구비된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일단부 베어링 부재의 외부면 상에 구비된 금속성 제1 돌출부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기어를 지지하는 금속성 제2 돌출부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제1 나사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종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덮는 일단부 측면 커버와,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1 개구부와,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2 개구부와,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되며 일단부 프레임 홈과 맞물리는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의 내부면과 맞물림 가능한 일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와,
    일단부 측면 커버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나사와,
    일단부 측면 커버를 상기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된 상기 제1 돌출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제를 상기 현상 롤러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 롤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일단부 베어링 부재는 상기 도포 롤러의 일단부에 구비된 샤프트의 돌출을 허용하기 위한 샤프트 돌출 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현상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일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가 구비된 내부면과 대향하는 외부면 상에 일단부 안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유부의 일단부가 후퇴 가능하게 돌출되는 보유기 개구부를 일단부 측면 커버 상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5.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 카트리지이며,
    카트리지 프레임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구동력 수용 부재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타단부 프레임 홈과,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타단부 프레임 돌출부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현상 롤러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타단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타단부 베어링 부재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어, 타단부 프레임 홈의 내부면과 맞물리는 타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타단부 프레임 돌출부가 관통하는 긴 베어링 부재 개구부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나사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되어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덮는 타단부 측면 커버와,
    타단부 측면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타단부 프레임 홈과 맞물리는 타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의 내부면과 맞물림 가능한 타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와,
    타단부 측면 커버 상에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 개구부를 통해 관통하는 타단부 프레임 돌출부와 맞물리는 내부면을 갖는 타단부 측면 커버 실린더와,
    타단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나사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와 타단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 롤러 상에 현상제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 롤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타단부 베어링 부재는 상기 도포 롤러의 다른 단부 상에 구비된 샤프트가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샤프트 돌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내에 구비된 현상제 공급 개구부를 개봉 가능하게 밀봉하기 위한 토너 시일을 당겨내는 것을 허용하는 토너 시일 개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타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가 구비된 내부면에 대향하는 외부면 상에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현상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타단부 안내부 및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내에 구비된 현상제 공급 개구부를 개봉 가능하게 밀봉하는 토너 시일을 당겨내는 것을 허용하는 토너 시일 개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유부의 일단부가 후퇴 가능하게 돌출되는 보유기 개구부를 타단부 측면 커버 상에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9. 일단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며,
    현상 롤러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샤프트를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단부 샤프트 지지 단계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장착하기 위해, 일단부 베어링부재 상에 구비된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를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프레임 홈과 맞물리게 하는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 맞물림 단계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장착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프레임 돌출부를 일단부 베어링 부재에 구비된 베어링 부재 개구부를 통해 관통시키는 프레임 일단부 돌출부 관통 단계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를 일단부 베어링 부재 내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구비된 나사 보어 내로 체결하는 일단부 베어링 부재 고정 단계와,
    일단부 측면 커버 상에 구비된 일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를 일단부 프레임 홈과 맞물린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의 내부면과 맞물리게 하는 일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 맞물림 단계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된 금속성 제1 돌출부를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된 제1 개구부와 맞물리게 하는 제1 돌출부 맞물림 단계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된 금속성 제2 돌출부를 일단부 베어링 부재 내에 구비된 제2 개구부와 맞물리게 하는 제2 돌출부 맞물림 단계와,
    일단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에 나사 체결하기 위해, 나사를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구비된 나사 보어 내로 체결하는 제1 일단부 측면 커버 나사 체결 단계와,
    나사를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일단부 베어링 부재 내에 구비된 제1 돌출부 내에 구비된 나사 보어 내로 체결하는 제2 일단부 측면 커버 나사 체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일단부 베어링 부재가 카트리지 프레임에 장착된 때 현상제를 현상 롤러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 롤러의 일단부에 구비된 샤프트를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된 샤프트 돌출 개구부를 통해 돌출시키는 샤프트 돌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일단부 측면 커버가 카트리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현상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유 부재의 일단부가 보유 부재 구멍을 통해 돌출되게 하는 보유 부재 돌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일단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장착하는 방법이며,
    현상 롤러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타단부 샤프트를 타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타단부 샤프트 지지 단계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장착하기 위해, 타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된 타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를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타단부 프레임 홈에 맞물리게 하는 타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 맞물림 단계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장착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타단부 프레임 돌출부를 타단부 베어링 부재 내에 구비된 베어링 부재 개구부를 통해 관통시키는 프레임 타단부 돌출부 관통 단계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를 타단부 베어링 부재 내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구비된 나사 보어 내로 체결하는 타단부 베어링 부재 고정 단계와,
    타단부 측면 커버 상에 구비된 타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를 타단부 프레임 홈과 맞물린 타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의 내부면 상에 맞물리게 하는 타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 맞물림 단계와,
    타단부 측면 커버 실린더를 타단부 베어링 부재 개구부를 통해 관통하는 타단부 프레임 돌출부와 맞물리게 하는 타단부 측면 커버 실린더 맞물림 단계와,
    타단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해, 나사를 타단부 측면 커버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구비된 나사 보어 내로 체결하는 제1 타단부 측면 커버 나사 체결 단계와,
    나사를 타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타단부 베어링 부재 내에 구비된 제1 돌출부 내에 구비된 나사 보어 내로 체결하는 제2 타단부 측면 커버 나사 체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현상제를 현상 롤러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 롤러의 타단부 상에 구비된 샤프트를 상기 장치에서 돌출된 샤프트 돌출 개구부를 통해 돌출시키는 샤프트 돌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일단부 측면 커버가 카트리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유 부재의 일단부를 보유 부재 구멍을 통해 돌출시키는 보유 부재 돌출 단계와,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내에 구비된 현상제 공급 개구부를 개봉 가능하게 밀봉하기 위한 토너 시일을 토너 시일 개구부를 통해 돌출시키는 토너 시일 돌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현상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ⅱ) 현상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프레임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프레임 홈과,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프레임 돌출부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현상 롤러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일단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일단부 베어링 부재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어 일단부 프레임 홈의 내부면과 맞물리는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며 프레임 일단부 돌출부가 관통하는 긴 베어링 부재 개구부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가 구비된 내측면과 대향하는 일단부 베어링 부재의 외부면 상에 구비된 금속성 제1 돌출부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며,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기어를 지지하는 금속성 제2 돌출부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나사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종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덮는 일단부 측면 커버와,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1 개구부와,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2 개구부와,
    일단부 측면 커버 내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위치 설정 구멍과 맞물리는 일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의 내부면과 맞물림 가능한 일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와,
    일단부 측면 커버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나사와,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일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된 제1 돌출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6. 현상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을 기록 재료 상에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ⅱ) 현상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프레임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현상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 종단부에 구비된 구동력 수용 부재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타단부 프레임 홈과,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타단부 프레임 돌출부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현상 롤러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타단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타단부 베어링 부재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어 상기 타단부 프레임 홈의 내부면과 맞물리는 타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 상에 구비되며 상기 타단부 프레임 돌출부가 관통하는 긴 베어링 부재 개구부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나사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다른 종단부에 구비되어 일단부 베어링 부재를 덮는 타단부 측면 커버와,
    타단부 측면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타단부 프레임 홈과 맞물리는 타단부 베어링 부재 실린더의 내부면과 맞물림 가능한 타단부 측면 커버 돌출부와,
    타단부 측면 커버 상에 구비되며 베어링 부재 개구부를 통해 관통하는 타단부 프레임 돌출부와 맞물리는 내부면을 갖는 타단부 측면 커버 실린더와,
    타단부 측면 커버를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나사와,
    타단부 베어링 부재상에 구비된 상기 제1 돌출부에 상기 타단부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3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67231A 2002-09-30 2003-09-29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KR100516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6205A JP3542588B2 (ja) 2002-09-30 2002-09-30 現像カートリッジ、一端サイドカバーの取付け方法、他端サイドカバーの取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286205 2002-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545A true KR20040028545A (ko) 2004-04-03
KR100516086B1 KR100516086B1 (ko) 2005-09-22

Family

ID=3197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231A KR100516086B1 (ko) 2002-09-30 2003-09-29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68965B2 (ko)
EP (1) EP1403737B1 (ko)
JP (1) JP3542588B2 (ko)
KR (1) KR100516086B1 (ko)
CN (1) CN10039432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073A (ko) * 2018-03-30 2022-02-15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현상 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0143B2 (ja) * 2004-01-30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378299B2 (ja) * 2004-02-2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637933B1 (en) * 2004-08-06 2010-07-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 and mechanic connections to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s, developer cartridge and process cartridge
US7330681B2 (en) * 2004-08-30 2008-02-12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4735946B2 (ja) * 2005-03-14 2011-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4040636B2 (ja) * 2005-03-2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TE505750T1 (de) * 2005-04-26 2011-04-15 Brother Ind Ltd Entwicklungskartusche für eine bilderzeugungsvorrichtung
US20070048019A1 (en) * 2005-08-23 2007-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upling structure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JP4871614B2 (ja) * 2006-03-03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93001B2 (ja) * 2006-06-26 2014-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分解方法
KR200437165Y1 (ko) * 2006-11-08 2007-11-08 (주)백산오피씨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의 감광 드럼 착탈기구
JP4241865B2 (ja) 2006-12-08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929881B2 (en) * 2006-12-11 2011-04-1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980731B2 (ja) * 2007-01-15 2012-07-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コンテナ
JP4636037B2 (ja) * 2007-02-28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体
JP4701266B2 (ja) 2008-05-27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21573B2 (ja) * 2008-05-27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127567B2 (ja) * 2008-05-27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9288695A (ja) * 2008-05-30 2009-12-10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1123348A (ja) * 2009-12-11 2011-06-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JP5420025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3688224B (zh) 2011-07-14 2017-10-31 佳能株式会社 显影剂容纳单元、处理盒和电子照相成像设备
EP2733543B1 (en) 2011-07-14 2020-04-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torage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5420026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08233B2 (ja) 2011-11-29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911275B2 (ja) 2011-11-29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873999B2 (en) * 2011-12-26 2014-10-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waste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JP6053404B2 (ja) 2012-06-15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962274B2 (ja) * 2012-07-09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157078B2 (ja) 2012-09-04 2017-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02911B2 (ja) 2012-09-07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116162B2 (ja) 2012-09-10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6841B2 (ja) 2012-09-10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693678B2 (ja) 2012-09-10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14056045A (ja) 2012-09-11 2014-03-27 Canon Inc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980061B2 (ja) 2012-09-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02232B2 (ja) * 2012-12-10 2017-03-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16254B2 (ja) 2013-01-11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202820B2 (ja) 2013-01-11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L3214503T3 (pl) * 2013-01-24 2020-07-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arat do elektrograficznego tworzenia obrazów i wkład wywołujący
JP6282149B2 (ja) 2013-06-05 2018-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現像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15092226A (ja) 2013-10-01 2015-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粉体搬送機構、紛体搬送方法、現像剤収納容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81222B2 (ja) 2014-02-18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A3028566C (en) 2015-02-27 2023-01-03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and coupling member
WO2017142099A1 (en) 2016-02-18 2017-08-2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733567B2 (ja) 2017-01-31 2020-08-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6566A (en) * 1993-03-24 1999-10-12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e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839932B2 (ja) *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US5722019A (en) * 1996-01-29 1998-02-24 Oki Data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nd drum cartridge for receiving the toner cartridge therein
JP3728104B2 (ja) * 1997-07-03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サイドカバー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H1173015A (ja) * 1997-07-03 1999-03-16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162515B1 (en) * 2000-06-09 2011-04-2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flexible seal
JP3566697B2 (ja) * 2001-02-09 2004-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隔機構
US6834173B2 (en) * 2001-11-05 2004-12-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apparatus process cartridge having a 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cartridge from disengaging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ing such a cartridge
JP2003140457A (ja) * 2001-11-07 2003-05-14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789122B2 (ja) * 2003-11-28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073A (ko) * 2018-03-30 2022-02-15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현상 카트리지
KR20220155405A (ko) * 2018-03-30 2022-11-22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현상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25893A (ja) 2004-04-22
JP3542588B2 (ja) 2004-07-14
CN100394320C (zh) 2008-06-11
US7068965B2 (en) 2006-06-27
EP1403737A1 (en) 2004-03-31
KR100516086B1 (ko) 2005-09-22
US20040114961A1 (en) 2004-06-17
EP1403737B1 (en) 2018-04-11
CN1497373A (zh) 200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086B1 (ko)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KR100472889B1 (ko)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6681088B2 (en)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parating mechanism for separating developing member from photosensitive drum
US7702251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184686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developing roller and photosensitive drum that can contact and becom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ing such cartridge
US6947686B2 (en) Process cartridge and spacer for same
US7248810B2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6362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003247B2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336905B1 (en) Stable mounting of 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158735B2 (en) Process cartridge, mounting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and replacing method of the photosensitive drum
US6282395B1 (en)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US6438347B2 (en) Developing device featuring a control member having a center portion width wider than end portions wid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for controlling developer thickness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507018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7047398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