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088A - 인쇄 회로의 표면 실장용 커넥터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회로의 표면 실장용 커넥터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088A
KR20030085088A KR10-2003-7012925A KR20037012925A KR20030085088A KR 20030085088 A KR20030085088 A KR 20030085088A KR 20037012925 A KR20037012925 A KR 20037012925A KR 20030085088 A KR20030085088 A KR 20030085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module
printed circuit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보파스칼
가시에장비에
우다예조엘
사비랑라쉘
클렌미카엘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105068A external-priority patent/FR2823378B1/fr
Priority claimed from FR0105069A external-priority patent/FR2823379B1/fr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ublication of KR2003008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0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01R13/035Plated dielect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1Conductive coa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2, 4) 및 적어도 하나의 접촉 트랙을 포함하는 전기 절연성 제1 부분(1)과, 하우징 역할을 하고 제1 부분(1)을 부분적으로 덮는 제2 부분(50)을 포함하는 입출력 커넥터(10)에 관한 것이며, 접촉 리브(7)의 접속면(5)은 고정 요소(2, 4)의 하부면(9)과 대체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어, 상기 표면이 커넥터의 고정을 위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는 전력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제1 부분에 접촉 트랙을 형성하도록 플라스틱 재료를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 회로의 표면 실장용 커넥터 및 제조 방법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SURFACE MOUNT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이러한 커넥터들은 무선전화 또는 아날로그 휴대용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그러한 기기들은 매우 작고 다루기 쉽지만 입출력 커넥터(소위 I/O 커넥터)를 위한 공간이 매우 적어서 SMD(Surface Mounted Device)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 표면에 실장된다. 이러한 커넥터들은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용 모뎀과 같은 여러 가지 주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크기가 매우 작은 커넥터들은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장착될 때 정확히 위치되어야 한다. 또한 그것들은 무선전화 기기 사용 연한 이상의 기계적 수명을 가져야 하고, 필요할 경우 그 커넥터와 보조 커넥터 사이에 양호한 전기접촉을 형성할 수 있어야만 한다.
결국 커넥터를 놓는 면이 인쇄 회로 기판의 면과 정확히 일치하면 상기 조건들이 충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커넥터를 놓는 이 표면은 재생산될 수 있어야만 한다.
미국 특허 제6,000,953호에는 커넥터를 정확히 위치하게 하기 위하여 착탈 가능한 L자형 지지 집게들이 측면에 있고 각각의 말단들에서 하나의 돌출부가 눌려서 갈라져 있는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된다. 조립 또는 위치 설정을 할 때 그 두 개의 돌출부만이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하게 되어, 그 커넥터가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된다. 회전할 때 커넥터의 가장 하부에 있는 접촉 기둥이 제일 먼저 기판에 닿게 되고 돌출부로써 커넥터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삼각대를 구성한다.
여기서 특히 안 좋은 점들은 커넥터의 접촉 기둥들이 유연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크고 어떤 경우에는 작은 기판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경사가 생긴다는 것이다. 그밖에도 이러한 접촉면을 재생산할 수 있으려면 그 모양과 크기가 매우 정확한 접촉 플러그를 가져야 한다. 또한 하우징 안에 그 기둥들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이렇게 매우 적은 여유 공간도 준수하여야 한다. 이로 인하여 이러한 커넥터 생산 비용이 올라가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한편, 압인에 의하여 얻게 되는 돌출부의 높이에 심한 편차가 있다는 것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선행 기술에서는 비정교성에 의한 이러한 문제는 감지되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돌출부의 높이가 그것의 간격에 비해 작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편차는 좁은 I/O 커넥터(예를 들면 접속할 것이 별로 없는 커넥터)에서는 감지되어,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 이외에도 측면으로 흔들리게 된다. 지지 집게도 측면으로 잘못 끼워지거나 안 끼워지게 되면 이러한 현상을 가중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예를 들면 집게와 하우징 사이에 모르는 사이에 끼게 되는 불순물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커넥터는 여러 가지 기본 요소들, 예를 들면 착탈 가능한 두개의 지지 집게, 하우징에 있는 접촉 기둥, 하우징 그 자체 그리고 잠금 걸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매우 많은 제조 단계를 필요로 하고 따라서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좁은 접촉 기둥은 강력한 전기 에너지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입출력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 실장용 입출력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이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를 갖는 전기 절연성 제1 부분과, 하우징 역할을 하고 청구항 1의 전제부와 같이 제1 부분을 부분적으로 덮는 제2 부분을 갖고 있다. 그 이외에도 본 발명은 청구항 14와 같이 표면 실장을 가능케 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식화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상세히 제시된다. 도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상부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B-B면을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A-A면을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이다.
도5는 주조해서 그 위에 제2 부분을 덧붙이지 않은 제1 부분의 작은 영역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독특한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7은 도6의 커넥터의 독특한 실시예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8은 도6의 F-F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9는 도6의 G-G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입출력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 회로 기판 표면 실장용으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면 고정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접속면을 갖는 접촉 트랙을 갖는 제1 부분과, 하우징으로 사용되며 매우 정확하게 재생산할 수 있는 설치면을 갖고 있으며 이로써 인쇄 회로 기판 위에 간단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제1 부분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제2 부분을 갖는 커넥터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문제는 접촉 트랙의 접속면이 고정 요소의 하부면과 같은 면에 위치하게 되고, 그 면이 커넥터의 설치면을 결정한다는 사실에 의해 해결되었다. 이와 더불어 접촉 트랙은 제2 부분에 의해서 덮여 있지 않은 제1 부분의 절연 영역의 도금 부분에 해당한다는 것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을 하였을 때 하나의 장점은 제1 부분이 단 한번 사출로 만들어진 주물로 이루어지며, 제2 부분은 제1 부분 위에 부분적으로 주형을 떠서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요소들로 구성되는 제1 부분이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된다는 것은 특별한 장점이다. 제1 부분의 구성 요소들을 주조한 다음에는 그 것들이 이동하거나 어긋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유일하게 주의하여야 할 점은 제1 부분의 주조 모델, 즉 사출 주물의 모양을 잘 다듬는 일이다. 이러한 일은 CNC 공작 기계를 이용하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의 빈 공간을 채우고 기계적으로 강한 일체(커넥터)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제1 부분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 부분이 커넥터 두 측면에 고정 요소를 가질 수 있고 그 고정 요소 각각에 중앙 개구부들을 설치할 수 있는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독특한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강한 전류를 견딜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있는 바, 예를 들면 고출력 전기 에너지 전송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전력 모듈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독특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 모듈은 정 중앙 금속 접촉부, 금속 탄성 접촉부 및 억제판을 가지며 접촉부들은 합성 금속재 밴드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를 갖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고 하우징 구실을 하는 제2 부분을 갖고 있다. 견고한 접촉부의 평면 접속면은 수평으로 뻗어 있는데, 고정 요소의 하부면과 같은 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면은 커넥터가 놓이는 면을 형성한다.
커넥터는 단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력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위만으로 커넥터가 놓이는 면을 결정하게 되는 바, 분리 불가능한 고정 요소에 의해서 그리고 놓이는 면을 갖는 분리 불가능한 접촉부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커넥터를 위치 설정하거나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조립용 집게나 걸쇠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커넥터가 여러 개의 접촉부를 갖고 있을 때 놓이는 모든 면들이 단일 면에 놓인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전력 모듈이 정 중앙 금속 접촉부, 금속 탄성 접촉부 및 억제판을 가지며 접촉부들은 합성 금속재 밴드에 의해서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특징이 있고, 그리고 두 개의 합성 금속 밴드는 커넥터 후방면으로 뻗어 있고 제1 부분에 속해 있는데, 분리된 접속면으로 변형되어 견고한 접촉부의 접속면들과 같은 면에 놓이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전력 모듈은 양호한 전기 접촉을 형성함으로써 이에 연결되는 기기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늘어난 모양의 정 중앙 접촉부는 회전 대칭적이고, 전방 부위의 직경이 후방 부위의 직경보다 더 작고, 정 중앙 접촉부를 제1 밴드 또는 트랙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형의 단편을 갖고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한 정 중앙 접촉부는 한편으로는 금속면이 깍이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렇게 함으로써 무엇보다도 기계적 조립을 좋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아주 적은 제조 비용으로 표면 실장될 수 있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다음과 같은 제작 단계를 갖는 표면 실장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첫째로, 사출에 의해 제1 부분을 주조한 다음 제1 부분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활성화하고 제1 주물을 죄어서 제2 부분의 사출 주형 내에 고정한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 위에 부분적으로 덧씌워 주조된다. 그 다음 커넥터를 도금하는데, 금속은 제1 부분의 빈 공간 위에만 부착된다. 마지막으로 당해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전력 모듈의 금속 요소들을 이에 대응하는 공간에 넣는다.
따라서 제2 부분을 사출 주조를 위해서 제1 부분 사출 주조에 사용한 재료와 동일한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제1 부분의 표면을 활성화하는데 있다. 이로써 특히 금속이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합성 물질에 접착되게 된다. 제1 부분이 제2 부분의 사출 주형에 끼어지고 죄어져 고정되는데, 제2 공정에서 제1 부분이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나서, 만들어진 제2 부분은 견고하고, 절연되는 하우징 구실을 하는데, 비어 있는 제1 부분의 매개 공간이 채워졌기 때문이다. 도금 시에 제2 부분은 마치 마스크 역할을 한다. 제2 부분 그 자체에서 접착된 금속의 흔적을 전혀 찾아 볼 수 없는데, 통상적으로 합성 물질이 금속에 화학적으로 잘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와는 상반되게, 제1 부분의 활성화된 여유 표면에서는 금속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동시에,제2 부분은 제1 부분의 여러 도금 부분을 상호 격리 시켜서 그것들이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접촉부로 사용될 수 있는 도전 부위가 구성 된다. 이러한 도금 부위는 보이지 않은 튼튼하고 견고한 지지부, 보다 상세히 언급하자면 제1 부분을 갖게 되고, 압력 하에서도 거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신호용 커넥터들이 어떠한 접촉 플러그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매우 큰 장점이다. 접촉 플러그와 접촉 스프링은 전력용 모듈용에만 사용된다. 따라서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두 가지 기술의 장점을 조합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이다. 커넥터는 두 가지의 공정으로 주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공정에서 도5에 나타난 것과 같은 제1 부분(1)이 만들어지고, 제2 공정에서 제작되는 것은 부분적으로 제1 부분을 덮고 있는 제2 부분(50)이다. 보다 더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제1 부분 요소는 도면부호 1에서 49로, 제2 부분의 요소는 50에서부터 시작하는 도면부호로 표시한다. 도1의 상부 사시도에 직사각형 모양의 제2 부분(50)이 보인다.
제1 부분(1)과 제2 부분(50)은 열가소성 절연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트랙(3)을 갖는다. 이 접촉 트랙(3)은 제1 부분(1) 표면을 도금해서 얻어진다. 도금은 단지 사전에 활성화되어 금속층을 고정시키기에 용이하게 된 제1 부분의 영역에만 이루어진다.
이 도금 표면은 제1 부분(1)의 고정 요소(2, 4)를 나타내는 도면과 동일한 접속면(5) 을 갖는 적어도 한 부분을 갖는다. 이렇게 얻어진 도금은 매우 얇은 두께이며 제1 부분(1)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주형은 후에 도금을 덧붙이더라도 고정 요소(2, 4)의 면과 접속면(5)이 평평하도록 고안되었다. 예를 들어 고정 요소의 면은 이 고정 요소(2, 4)의 하부면(9)에 해당한다. 하부면(9)과 접속면(5)에 제시된 면들은 단일 면 상에 놓이게 된다. 하부면(9)과 접속면(5) 사이에는 최대 50 마이크론의 편차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부분(1)은 접촉 리브(7)를 갖는다. 접촉 리브(7)는 그 주변 둘레에 3과같은 접촉 트랙을 갖도록 마련해두었다. 제1 부분(1)을 주조할 때, 각각의 중심 개구부(6, 8)를 갖는 고정 요소(2, 4)는 접촉 리브(7)와 함께 일체로 만들어진다. 원하는 평평한 면을 얻기 위하여 고정 요소(2, 4)의 하부면(9)과 접속면(5)은 제2 부분 주형의 평평한 바닥면에 놓인다. 제2 공정 과정에서 그 면에 어떤 것도 놓지 않기 때문에 주형을 덧씌우더라도 이 평평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2 부분(50)의 주형은 제1 부분(1)이 완전히 덮이지 않도록 제작한다. 제1 부분은 활성화 된 부위가 접근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2 부분(50)을 주조한 다음에 도금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제2 부분(50)은 두 개의 귀(57, 58)가 짧은 두 측면들 상에서 연장된 직사각형 모양의 몸체를 갖고 있다. 각 귀(57, 58)의 가운데에 개구부(64, 65)가 각각 만들어진다. 그 몸체 상부면의 하부 모서리(59)위에 직사각형 모양의 3개의 창문(61, 62, 63)이 보인다. 개구부(64, 65) 그리고 창문(61 내지 63)은 제1 부분을 제2 부분(50)의 사출 주형 안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미 주조된 제1 부분을 예를 들면 면(22)의 높이에서 누르는, 위에서 내려오는 펀치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이 펀치들로 창문과 개구부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로써 거기에 어떠한 열가소성 물질도 주조될 수 없게 된다.
제1 부분(1)의 고정 요소(2, 4)는 제2 부분(50)의 짧은 측면 상에 귀(57, 58)와 겹쳐져서 외측 방향으로 뻗어져 있다. 고정 요소(2, 4)의 중앙 개구부(6, 8)는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커넥터를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는 모듈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접촉 모듈은 7과 같은 도전성 접촉 리브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있다. 특히 도2의 제1 실시예에서, 커넥터의 제1 부분(1)은 3개의 접촉 모듈을 갖고 있다. 커넥터 옆모습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살펴보자면, 제1 부분(1)은 두 개의 접촉 리브(7)를 갖고 있는 제1 접촉 모듈(14)이 있다. 그 다음, 아홉 개의 접촉 리브(7)를 갖는 제2 접촉 모듈(15)이 있다. 마지막으로, 한 개의 접촉 리브(7)를 갖고 있는 제3 접촉 모듈(16)이 있다.
모듈(14 내지 16)은 접속 단자 측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 틀(71)에 끼워 넣어진다. 접촉 리브들은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정렬되고 꽂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위(11)를 갖고 있다.
도3은 도1의 커넥터를 B-B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B-B 단면은 꽂는 방향과 평행이며 접촉 리브(7)의 단면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다.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로 빗금쳐진 부분이 제2 부분(50)을 나타낸다. 틀(71)은 커넥터 외부 측면(10) 상에 상부와 하부에서 볼 수 있다. 보조 커넥터의 접촉부를 끼우도록 고안된 수납실(32)이 매개부에 위치한다. 좌측 하부에서 우측 상부로 빗금친 부위는 접촉 리브(7)를 나타내는데, 이는 제1 부분의 요소이다. 리브(7)의 하부면과 정면(도면의 좌측에)은 비록 도금 접촉 트랙(3)이 그 곳에 위치하더라도 제2 부분으로 덮이지 않는다. 이 도금 트랙(3)은 커넥터 하부면과 평행한 제1 부위를 형성하는데, 그것이 연결될 수 있는 인쇄 회로 기판에 걸쳐진다. 이 제1 부위는 접속면(5)에 있는 도금면 부위에 상응한다.
접촉 트랙(3)을 구성할 수 있도록 리브(7)의 전체 길이에 도금을 한다. 도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전방 접촉면(11)과 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뻗어져 있는 후방 접촉면(5)에 도금을 하여, 연결된 주변 기기 또는 보조 커넥터 그리고 인쇄 회로 기판과 각각 전기 접촉을 형성하도록 고안되었다. 접촉면(5, 11)은 접촉 트랙(3)의 다른 부위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도금은 리브(7)의 크기를 변형하여 두께가 더 두꺼워지게 하지는 않는다. 접촉부는 제1 부분(1)의 접촉 리브(7)로 덮이지 않은 표면 위에 놓여지는 도전성 접촉 트랙(3), 인쇄 회로 기판용 전기 접속면(5)을 형성하는 접촉 트랙(3)의 바깥면(10)에 마주한 영역, 및 연결된 주변 기기용 전기 접속면을 형성하는 접촉 트랙(3)의 바깥면(10)을 향하는 영역으로 형성된다.
리브(7)의 꼬리(23)는 하방측 근처에 몸체의 후방면(67)에서 생긴다. 도4의 우측에 부분(50)의 후방면(67)을 지나가는 리브(7)의 꼬리(23)가 있다.
도4는 도1에 제시된 커넥터를 A-A면을 따라 절단한 것을 보여준다. A-A절단면은 끼우는 방향과 평행하게 뻗어져 있고, 창(61)을 지나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접속 돌기를 절단한다. 도4에서는 하부 접속 돌기(12) 및 상부 접속 돌기(13)의 두 개의 접속 돌기를 빗금쳐진 부분으로 표시하는데, 그것으로 3과 같은 도전 트랙을 절연해 주고 그들 사이에 모듈을 연결시킨다. 이러한 접속 돌기(12, 13)는 7과 같은 리브들 사이에서 삽입되는 것으로 쓰인다. 빗금쳐진 부분들은 도3에서도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도4에서 창(61)은 좌 우측에서 볼 수 있다. 그 하부에 위치한 상부 접속 돌기(13)는 제2 공정에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펀치에 의해서 사출 주형에 고정된다. 펀치는 상부 접속 돌기(13)의 상부면 모서리(22) 위에 닿는다.
도5는 사출에 의해 제1 주물을 제조한 직후 제1 부분을 제시하고 있으며 단지 제1 접속 모듈(14)만을 보여준다. 이 모듈은 평행하게 뻗어져 있는 두 개의 리브(7)를 갖는다. 이 리브들은 두 개의 접속 돌기(12, 13)에 의해 기계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다. 그들 사이에 위치한 매개 공간(28)은 제2 주조 공정 시 제2 부분(50) 물질에 의해 채워지게 되어 돌출부(55)를 형성한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를 갖는다. 도2에서는 제1 모듈(51)과 제2 모듈(52)의 두 가지의 잠금 모듈을 갖는다. 여기에서 잠금 모듈은 제2 부분(50) 안에 기계로 제조했거나 주물로 주조하여 이곳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보조 커넥터의 잠금 걸쇠에 맞도록 된 홈에 해당한다. 제2 잠금 모듈(52)은 제2 부분(50)안에 제1 모듈(51)과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두 가지의 잠금 모듈 (51, 52)은 접촉 모듈들 사이에 나뉘어져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하나씩 제2 접촉 모듈(15)의 양쪽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도6에서부터 9에까지 제시된 변형예에서 접촉 모듈(14)은 전력 모듈(14)로 대체된 바, 리브는 갖고 있지 않으나 정 중앙 접촉부(81), 탄성 접촉부(82)와 억제판(83)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독특한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이 같은 전력 모듈(14)을 갖는데, 그 곳에 제1 잠금 모듈(51)이 접속된다. 그리고 나서, 아홉 개의 접촉 리브(7)를 갖고 있는 앞서 서술한 제2 접촉 모듈(15)이 설치된다. 부가적인 제2 잠금 모듈(52)은 여기에서는 제1 모듈(51)의 구멍과는 다른 구멍을 형성하는 도려낸 부분으로 제시되는데, 이 제2 잠금 모듈이 다음에 온다. 마지막으로, 제3 접촉 모듈 16은 두 개 접촉 리브(7)를 갖추게 하여 접속을 이루게 한다. 또한이 변형 예에서, 모듈(14 내지 16)은 커넥터 옆면 위에 단 하나의 지지물로 형성된 틀(71)에 의해 삽입된다. 두 가지 잠금 모듈(51과 52) 사이의 형태의 차이는 커넥터에 있어서 잘못된 조작 방지 수단을 제공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전력 모듈(14)에 대해 특별히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이 같은 커넥터를 제조하려면 두 가지 주조 공정을 거치는데, 7과 같은 접촉 리브들을 도금한 후 금속 요소들, 즉 정 중앙 접촉부(81), 탄성 접촉부(82) 및 억제판(83)을 마지막으로 해당 공간에 유입한다. 보다 더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전력 모듈 요소들을 참조 번호 80부터 갖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도7은 커넥터를 후방면을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여기에서 리브(7)는 평행하게 전개되어 있고 확연히 보이는 돌출부(55)에 의해 분리된다. 도7에서 두개의 접속 트랙(5', 5'')은 접촉 리브(7)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리브들은 합성 금속재로 된 트랙(84, 85)으로 연장 어 있어서, 전력 모듈(14)의 접촉부(81, 82)가 이 접속면(5', 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8과 도9의 우측에 전력 모듈(14)의 후방면(14b)에는, 접촉 스프링(82)용 수납실(92), 정 중앙 접촉부(81)용 수납실(91)과 억제판(83)용 수납실(93)이 있다.
리브(7)의 꼬리(23)가 몸체(56)의 후방면(67)의 하부에 생기듯이, 접속 트랙(5',5")도 동일하게 후방면(67)에 생겨나는데, 트랙들이 연결될 수 있는 인쇄 회로 기판의 상응하는 접속부에 일렬로 맞추어져 있다. 이로써 접촉부를 갖는 면(5, 5', 5")을 용해 용접로 안에서 확실하고 신속하게 용접할 수 있다.
모듈(14)의 측면(14a) 상에, 정 중앙 접촉부(81)의 제1 트랙(84)은 그 것이수납실(91) 안으로 사라지기 전까지 우선 수평으로, 그 다음 수직으로, 다시 모듈(14)의 후방면(14b)위에 수평으로 전개된다. 탄성 접촉부(87)의 제2 트랙(85)은 그 것이 모듈(14)안에 만들어진 창(87)을 통과하여 탄성 접촉부(82)의 수납실(92) 안에 도달하기 전까지, 측면(14a) 위에 수평으로 그 다음 수직으로 전개된다.
도8은 도6의 커넥터를 F-F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다. 이 절개는 전력 모듈(14)의 중심을 정확히 지나간다. 상부에서 하부로 절개한 것에서 억제판(83), 정 중앙 접촉부(81) 및 탄성 접촉부(82)의 제2 지편(82b)을 볼 수 있다. 억제판(83)의 수납실(93)은 상부 삼분의 일 상에 보인다. 이것은 여기에 나타나 있지 않은 보조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는 아래 방향으로 향해 있는 돌기(83a)를 갖는다. 중앙 삼분의 일에 정 중앙 접촉부(81)가 수평으로 전개되어 있고, 후방 부분(81b)에는 세 개 단편(81a, 81b, 81c)이 있다. 이들 중 좌측 단편은 제2 부분(50) 안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바로 옆 오른 쪽에 제1 공정에서 생겨난 블록(88)이 있다. 하부 모서리는 도금되고 접속면(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트랙(85)의 말단을 이룬다. 블록(88)의 내부 실린더 부위도 도금되고 접속면(5')에 연결되는 제1 트랙(84)의 말단을 구성한다.
정 중앙 접촉부(81)는 늘어져 있는 형태로, 회전 대칭을 이루며, 전방 부위 (81a)의 직경이 후방 부위(81b)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고 있고, 후방 부위는 밖으로 돌출되어 정 중앙 접촉부가 제1 밴드 즉 트랙(84)에 전기적 기계적인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구형 단편(81c)을 갖는다.
따라서, 두 우측 두 단편(81c)은 블록(88)의 안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 제1 밴드 즉 트랙(84)과 접촉을 이루게 된다. 구형의 단편(81c)은 정 중앙 접촉부(81)를 수납실(91)안에 삽입할 때 블록(88)의 금속 표면이 긁히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다.
탄성 접촉부(82)는 두 개의 지편(82a, 82b)을 갖는데, 제1 지편(82a)은 제2 밴드(85)와 접촉을 이루고 제2 지편(82b)은 보조 커넥터의 수납실(78) 안에 끼워진다.
도9는 도6의 커넥터를 G-G선을 따라 절개한 것을 나타낸다. 블록(88)과 탄성 접촉부(82)에서부터 생겨난 제1 지편(82a)이 절단된 채 표시된다. 상부 삼분의 일 부분 안에 창을 통해 억제판이 보인다. 그 아래, 정 중앙 접촉부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L자형의 블록(88)이 후방면 14b에서 생긴다. 제1 트랙(84)은 어두운 수직선으로 나타난다. 블록(88)의 하부면은 도금되고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지편(82a)이 기계적 접촉을 이루는 제2 트랙(85)의 말단을 구성한다. 따라서 탄성 접촉부(82)는 접속면(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Claims (15)

  1. 평면(9)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2,4)와 접속면(5)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트랙(3)을 갖는 제1 부분(1)과, 제1 부분(1)을 부분적으로 덮는 하우징 역할을 하는 제2 부분(50)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 실장용 입출력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가 놓이는 면인 접속면(5)이 고정 요소(2, 4)의 평면(9)에 위치하고 그 접촉 트랙은 제2 부분에 의해 덮여 있지 않는 제1 부분의 절연 영역에 도금한 것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도금은 인쇄 회로 기판용 전기 접속면(5)을 구성하는 제1 부위와 보조 커넥터용 전기적 연결면(11)을 구성하는 커넥터의 바깥면쪽을 향하는 제2 부위를 포함하며, 제1 부위가 제2 부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부분(1)은 커넥터 두 면의 각각에서 중앙 개구부(6, 8)가 하나씩 설치된 고정 요소(2, 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1)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 모듈(14, 15, 16)을 갖고 있으며, 하나의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접촉 리브(7)를 갖고 그 위에 도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의 모듈(14, 15, 16)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리브(7)를 포함하고 있고, 제1 접속 돌기(12, 13)에 의해 전체가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이 접속 돌기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접촉 모듈(14, 15, 16)의 여러 다른 접촉 리브(7)는 제2 부분(50)에 속하는 돌출부(55)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부분(50)은 보조 접촉부를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잠금 모듈(51, 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높은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전력 모듈(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전력 모듈(14)은 정 중앙 금속 접촉부(81), 금속 탄성 접촉부(82) 및 억제판(83)을 포함하며, 접촉부(81, 82)는 합성 금속재 밴드(84, 85)에의해 인쇄 회로 기판(79)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전력 모듈(14)은 정 중앙 금속 접촉부(81), 금속 탄성 접촉부(82) 및 억제판(83)을 포함하며, 접촉부(81, 82)는 합성 금속재 밴드(84, 85)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79)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후방면(67)에 전개되고 제1 부분(1)에 속해 있는 두 개의 합성재 밴드(84, 85)는 분리된 접속면(5', 5")으로 변형되어 견고한 접촉부(7)의 접속면(5)과 동일한 면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늘어진 모양의 정 중앙 접촉부(81)는 회전 대칭을 이루며, 전방 부위(81a)의 직경이 후방 부위(81b)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고 있고, 후방 부위는 밖으로 돌출되어 정 중앙 접촉부를 제1 밴드, 즉 트랙(84)에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구형 단편(81c)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접촉부(82)는 두 개의 지편(82a, 82b)을 갖는데, 제1 지편(82a)은 제2 밴드(85)와 접촉하고 제2 지편(82b)은 보조 커넥터의 수납실(78) 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표면 실장 가능한 커넥터의 제조 방법이며,
    제1 부분(1)을 사출 주조하는 단계와,
    제1 부분(1)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제1 부분(1)을 죄어서 제2 부분(50)의 사출 주형 내에 고정하는 단계와,
    제1 부분(1)의 일부분에 제2 부분(50)을 사출 주조하는 단계와,
    금속을 제1 부분의 빈 공간 위에만 부착하는 커넥터 도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부분(1)을 죄어서 고정하는 것은 고정 요소(2, 4)의 상부면(17, 19)과 적어도 하나의 접속 돌기(12, 13)의 상부면 모서리(22)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어, 고정 요소(2, 4)의 평면(9)과 접속면(5)이 제2 부분(50)의 사출 주형 내에 평평하게 놓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7012925A 2001-04-06 2002-04-05 인쇄 회로의 표면 실장용 커넥터 및 제조 방법 KR200300850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05068A FR2823378B1 (fr) 2001-04-06 2001-04-06 Connecteur entree/sortie pour le montage en surface sur une carte a circuit imprim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connecteur montable en surface
FR0105069A FR2823379B1 (fr) 2001-04-06 2001-04-06 Connecteur entree/sortie pour le montage en surface sur une carte a circuit imprime et sa fabrication
FR01/05068 2001-04-06
FR01/05069 2001-04-06
PCT/FR2002/001207 WO2002082587A1 (fr) 2001-04-06 2002-04-05 Connecteur pour montage en surface de circuit imprime et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088A true KR20030085088A (ko) 2003-11-01

Family

ID=2621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925A KR20030085088A (ko) 2001-04-06 2002-04-05 인쇄 회로의 표면 실장용 커넥터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88901B2 (ko)
EP (1) EP1374342A1 (ko)
JP (1) JP2004527081A (ko)
KR (1) KR20030085088A (ko)
CN (1) CN100341202C (ko)
WO (1) WO20020825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69B1 (ko) * 2008-12-30 2011-02-14 창익기계공업(주)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원단 펀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74718B (zh) * 2003-03-14 2012-01-04 莫莱克斯公司 具有底座形状的基本传输通道链路组
CN100365880C (zh) * 2003-09-26 2008-01-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的制造方法
US7621757B2 (en) * 2006-06-23 2009-11-24 Delphi Technologies, Inc. Solderless electrical interconnection for electronic package
US7284999B1 (en) * 2006-11-08 2007-10-23 Lote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462077B2 (en) * 2006-11-27 2008-12-09 Delphi Technologies, Inc. Overmolded electronic assembly
US8441786B2 (en) * 2009-09-22 2013-05-14 Jabil Circuit, Inc. Electronic connectors and form factor adapters for electronic components
CN113346332B (zh) * 2021-06-30 2023-06-06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插接机的插接防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2593A (en) 1979-04-20 1980-05-13 Amp Incorporated Jack
US4969842A (en) * 1989-11-30 1990-11-13 Amp Incorporated Mold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tegral spring contact beams
JP2806580B2 (ja) * 1989-12-15 1998-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表面実装コネクタ
US5030113A (en) * 1990-11-05 1991-07-09 Itt Corporation One-piece insulator body and flexible circuit
JP2793380B2 (ja) * 1991-06-17 1998-09-03 富士通株式会社 同軸マルチ混在コネクタ
TW349320B (en) * 1993-12-09 1999-01-01 Methode Electronics Inc Printed plastic circuits and contrac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584713A (en) 1994-12-09 1996-12-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ical connector
DE19535714C1 (de) * 1995-09-26 1997-02-06 Weidmueller Interface Statuszeigeeinrichtung für Leiterplattenanschlußelemente
US5980273A (en) 1996-10-31 1999-11-0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over for an edge mounte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EP0840396B1 (en) * 1996-11-04 2003-02-19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telephone handset
FR2762147B1 (fr) 1997-04-11 1999-09-10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eur d'entree/sortie pour dispositif portable et procede de montage dudit connecteur
US5885088A (en) 1997-07-14 1999-03-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olarization means
US6200146B1 (en) * 2000-02-23 2001-03-1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Right angle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69B1 (ko) * 2008-12-30 2011-02-14 창익기계공업(주)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원단 펀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27081A (ja) 2004-09-02
CN1505853A (zh) 2004-06-16
CN100341202C (zh) 2007-10-03
EP1374342A1 (fr) 2004-01-02
US6988901B2 (en) 2006-01-24
WO2002082587A1 (fr) 2002-10-17
US20040161982A1 (en)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6863B2 (ja) 合わせガラスの電線接続構造および電線接続構造を有する合わせガラス
JPH08223260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KR100715069B1 (ko) 푸시온 스위치, 그것을 장착한 전자기기 및 그 장착 방법
US20040033717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 flexible printed board to a circuit board
JP4563752B2 (ja) ケースを貫通する電気的接続手段を有するリストバンドを備えた携帯品、その製品用の電気的接点フランジ、およびそのフランジの取付方法
CN112186447B (zh) 防水型电子零件及其组装方法
JP2006307511A (ja) 電子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95467A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2675B2 (ja) 横型押しボタンスイッチとその実装方法
KR20030085088A (ko) 인쇄 회로의 표면 실장용 커넥터 및 제조 방법
KR20020096088A (ko)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신호전송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383744B1 (ko) 심카드 소켓 및 그 제조방법
US4095334A (en) Process of assembling components of electronic watch
CN1877906B (zh) 天线装置及其制造方法
US4075825A (en) Electronic timepiece substratum
KR100971654B1 (ko) 플럭스 유입 방지 택트 스위치
JPH11345675A (ja)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214013234U (zh) 电子设备及汽车
EP1217807A1 (en) A printed circuit board ( PCB) unit
JP3137014B2 (ja) 携帯電話機の外部接続接点部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6052463A (en) Loudspeaker and telephone device comprising such a loudspeaker
US5502599A (en) Conductive connector for camera system components
KR100518116B1 (ko) 마이크로폰 홀더의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JP2720508B2 (ja) 携帯情報機器用アンテナバンドの固定装置
JPH06231839A (ja) Smt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