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056A -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056A
KR20030085056A KR10-2003-7012436A KR20037012436A KR20030085056A KR 20030085056 A KR20030085056 A KR 20030085056A KR 20037012436 A KR20037012436 A KR 20037012436A KR 20030085056 A KR20030085056 A KR 20030085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oller
stepping
high spe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699B1 (ko
Inventor
오구라마나부
유무라다카시
나카무라조이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25Escalators of variable spe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4Escalators line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복수의 디딤단이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어 순환 이동된다.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구동 롤러 축은 링크 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 기구가 변형됨으로써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이 변화된다. 디딤단의 순환로의 반전부에는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는 반전부에서의 구동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구동 롤러의 축심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생기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의 변화를 흡수한다.

Description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SLOPED PART HIGH-SPEED ESCALATOR}
최근, 지하철 역 등에는 고양정의 에스컬레이터가 많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승객은 디딤단에 정지한 상태로 장시간 서 있어야 하기 때문에 불쾌감을 느끼는 승객이 많다. 이 때문에, 고속으로 운행하는 에스컬레이터가 개발되었지만, 이 운행 속도에는 승객이 안전하게 승강하기 위한 상한값이 있다.
이에 대해, 승객이 승강하는 상하 수평부에서는 저속 운행, 상곡 부분(上曲 部分) 및 하곡 부분(下曲 部分)에서는 가감속 운행, 중간 경사부에서는 고속 운행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에 타고 있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가 제안되었다.
도 6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76-116586 호에 기재된 종래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주프레임(1)에는 무단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디딤단(2)이 설치되어 있다. 디딤단(2)은 구동 유닛(디딤단 구동 수단)(3)에 의해 구동되고, 순환 이동된다.
디딤단(2)의 순환로는 왕로(往路)측 구간, 귀로측 구간, 상측 반전부(L) 및 하측 반전부(M)를 갖고 있다. 디딤단(2)은 상측 반전부(L) 및 하측 반전부(M)에서 왕로측으로부터 귀로측으로, 또는 귀로측으로부터 왕로측으로 반전 동작을 실행한다.
디딤단(2)의 순환로의 왕로측 구간은 상측 승강구 부위가 되는 왕로 상측 수평부(A), 왕로측 상곡부(上曲部)(B), 왕로측 일정 경사부(C), 왕로측 하곡부(下曲部)(D), 및 하측 승강구 부위가 되는 왕로 하측 수평부(E)를 갖고 있다. 디딤단(2)의 순환로의 귀로측 구간은 귀로 상측 수평부(F), 귀로측 상곡부(G), 귀로측 일정 경사부(H), 귀로측 하곡부(J), 및 귀로 하측 수평부(K)를 갖고 있다.
다음에, 도 7은 도 6의 왕로측 상곡부(B)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사용하여 가변속 에스컬레이터의 변속 원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디딤단(2)은 승객을 태우는 디딤판(4), 이 디딤판(4)의 전후 방향의 일단부에 굴곡 형성된 라이저(riser)(5), 및 디딤판(4) 및 라이저(5)의 폭방향 양단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브래킷(6)을 갖고 있다. 라이저(5)는 서로 인접하는 디딤판(4) 상호간의 개구부를 막는 라이저판이 되는 것이다.
각 디딤단(2)의 브래킷(6)에는 구동 롤러 축(7a) 및 추종 롤러 축(9a)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 축(7a)에는 회전 가능한 한 쌍의 구동 롤러(7)가 부착되어 있다. 구동 롤러(7)는 주 프레임(1)(도 6)에 지지된 왕로측 구동 레일(8a)에의해서 안내된다.
추종 롤러 축(9a)에는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추종 롤러(9)가 부착되어 있다. 추종 롤러(9)는 주 프레임(1)에 지지된 왕로측 추종 레일(10a)에 의해서 안내된다. 또한 왕로측 구동 레일(8a) 및 왕로측 추종 레일(10a)의 형상은 디딤단(2)의 디딤판(4)이 왕로측 구간에서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7a)은 링크 기구(굴절 링크 기구)(1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 기구(11)의 굴절점(P) 근방에는 보조 롤러(12)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롤러(12)는 주 프레임(1)에 지지된 보조 레일(13)에 의해서 안내된다. 보조 롤러(12)가 보조 레일(13)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링크 기구(11)가 굴곡 및 신장하도록 변형하고, 구동 롤러 축(7a)의 간격, 즉 인접하는 디딤단(2) 상호 간격이 변화된다. 역으로 말하면, 인접하는 디딤단(2) 상호의 간격이 변화하도록 보조 레일(13)의 궤도가 설계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왕로측 상곡부(B)에 있어서 디딤단(2)의 상호 간격을 변화시키는 구성에 관해서 나타냈지만, 왕로측 하곡부(D)에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디딤단(2)의 상호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왕로측 구간에 있어서, 인접하는 디딤단(2)의 상호 간격은, 승강구 부위가 되는 상측 수평부(A) 및 하측 수평부(E)에서는 최소, 일정 경사부(C)에서는 최대, 상곡부(B) 및 하곡부(D)에서는 최대로부터 최소 또는 최소로부터 최대로 변화되도록 디딤단(2)의 진행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구동 유닛(3)의 기동에 의해 무단 형상의 디딤단(2)이 구동되면, 각 디딤단(2)의 구동 롤러(7)가 구동 레일(8a)상을, 추종 롤러(9)가 추종 레일(10a)상을 각각 회전 운동한다. 이와 동시에, 보조 롤러(12)가 보조 레일(13)을 따라 회전 운동하고, 그 보조 레일(13)의 형상에 따라 링크 기구(11)가 변형되어, 각 디딤단(2)의 상호 간격이 확대 또는 축소된다.
링크 기구(11)의 변형에 의해, 왕로 상측 수평부(A) 및 왕로 하측 수평부(E)에서는 각 디딤단(2)의 상호 간격이 최소가 되고, 인접하는 디딤판(4)이 동일 수평면 형상으로 연속하는 상태가 된다. 왕로측 일정 경사부(C)에서는 각 디딤단(2)의 상호 간격이 최대가 되고, 인접하는 디딤판(4)이 계단 형상으로 변위한다.
왕로측 상곡부(B) 및 왕로측 하곡부(D)의 한쪽에서는 각 디딤단(2)의 상호 간격이 최대로부터 최소로 변화되고, 인접하는 디딤판(4)이 계단 형상으로부터 동일 수평면 형상으로 변위한다. 왕로측 상곡부(B) 및 왕로측 하곡부(D)의 다른쪽에서는, 반대로 각 디딤단(2)의 상호 간격이 최소로부터 최대로 변화되고, 인접 디딤판(4)이 동일 수평면 형상으로부터 계단 형상으로 변위한다.
이와 같이, 디딤단(2)의 진행에 따른 링크 기구(11)의 작동에 의해 각 디딤단(2)의 상호 간격이 변화되기 때문에 무단 형상으로 연결된 디딤단(2)은 가변속 운행된다.
이상에 있어서, 복수의 디딤단(2)은 구동 유닛(3)에 의해 무단 형상으로 순환 구동되기 때문에, 왕로 구간과 귀로 구간 사이의 천이 구간으로서 반전부가 필요하게 된다. 디딤단(2)의 반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반전부에 있어서 디딤단(2)의 자세를 유지해야 하고, 이 때문에 구동 롤러(7), 추종 롤러(9)의 반전부에서의 이동 경로를 규제해야 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도 8과 같은 반전부[도면은 상측 반전부(L)]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왕로측 구동 레일(8a)로부터 반전부측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고정된 원호 형상의 왕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b)과, 귀로측 구동 레일(8d)로부터 반전부측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고정된 원호 형상의 귀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c)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추종 레일에 관해서도, 왕로측 추종 레일(10a), 귀로측 추종 레일(10d)로부터 각각 반전부측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고정된 원호 형상의 왕로측 반전부 추종 레일(10b)과 귀로측 반전부 추종 레일(10c)이 사용되고 있다.
도 8에 있어서, 디딤단(2)이 예컨대 Y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구동 롤러(7)는 왕로측 구동 레일(8a), 왕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b), 귀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c), 귀로측 구동 레일(8d)의 순으로 레일상을 회전 운동한다. 추종 롤러(9)는 왕로측 추종 레일(10a), 왕로측 반전부 추종 레일(10b), 귀로측 반전부 추종 레일(10c), 귀로측 추종 레일(10d)의 순으로 레일상을 회전 운동한다. 이에 따라, 디딤단(2)은 안정된 자세로 반전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반전부에서의 구동 롤러(7)의 움직임은 구동 롤러(7)의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이 회전 운동할 때의 정점의 움직임과 동일해진다. 도 9는 도 8의 반전부에서의 구동 롤러(7)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에서는 상측 반전부(L)에서의 구동 롤러(7)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 구동 롤러(7)가 도면의 흰 원의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그 위치로부터, 구동 유닛에 의해 디딤단(2)이 구동됨으로써, 왕로측의 구동 롤러(7)는 도면의 Z1방향으로 이동되고, 귀로측의 구동 롤러(7)는 도면의 Z2방향으로 이동되어, 검정 원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변위된 것으로 한다.
이 때, 초기 상태와 변위후의 상태에서 기준선(MN) 보다 반전부측(도면의 좌측)에 있어서의 다각형의 외주의 길이, 즉 파선의 길이와 실선의 길이를 비교하면, 양자간에 근소한 차이가 생긴다. 이와 같이, 반전부에서는 구동 롤러(7)의 축심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생기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가 항상 조금씩 변화하면서 디딤단(2)이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는 반전부에서 구동 롤러(7)의 이동을 안내하는 왕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b) 및 귀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c)이 주 프레임(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롤러(7)의 축심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생기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의 변화를 흡수할 수 없고, 구동 롤러(7)의 레일(8b, 8c)로의 가압력이 증가함에 따른 디딤단(2)의 구동 저항력의 증대를 초래하여 원활한 반전 동작을 얻을 수 없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구동 저항력의 증대를 억제함으로써 디딤단의 원활한 반전 동작을 실현시킬 수 있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는 주 프레임과, 주 프레임에 설치되고,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어 순환 이동되는 복수의 디딤단과, 각 디딤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동 롤러 축 및 추종 롤러 축과, 각 디딤단에 각각 설치되고, 구동 롤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롤러와, 각 디딤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추종 롤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추종 롤러와,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의 상기 구동 롤러 축 상호를 연결함과 동시에, 변형됨으로써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복수의 링크 기구와, 각 링크 기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회전 가능한 보조 롤러와, 주 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동 레일과, 주 프레임에 설치되고 추종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추종 레일과, 주 프레임에 설치되고 보조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여 링크 기구를 변형시키는 보조 레일과, 디딤단의 순환로의 반전부에 설치되고 반전부에서의 구동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구동 롤러의 축심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생기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의 변화를 흡수하는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하 수평부보다 경사부에 있어서의 디딤단(踏段)의 이동 속도가 빠르게 움직이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상측 반전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링크 기구(15)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상측 반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상측 반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왕로측 상곡부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6의 상측 반전부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반전부에서의 구동 롤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주 프레임(1)에는 무단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디딤단(2)이 설치되어 있다. 디딤단(2)은 구동 유닛(디딤단 구동 수단)(3)에 의해 구동되고, 순환 이동된다. 디딤단(2)의 양측의 주 프레임(1)상에는 한 쌍의 난간(14)이 설치되어 있다. 난간(14)에는 승객의 전도 방지용 이동 난간(14a)이 설치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디딤단(2) 사이는 링크 기구(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도 2는 도 1의 상측 반전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각 디딤단(2)의 브래킷(6)에는 구동 롤러 축(7a) 및 추종 롤러 축(9a)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 축(7a)에는 회전 가능한 한 쌍의 구동 롤러(7)가 부착되어 있다.구동 롤러(7)는 주 프레임(1)에 지지된 왕로측 구동 레일(8a) 및 귀로측 구동 레일(8d)에 의해서 안내된다.
추종 롤러 축(9a)에는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추종 롤러(9)가 부착되어 있다. 추종 롤러(9)는 주 프레임(1)에 지지된 왕로측 추종 레일(10a), 왕로측 반전부 추종 레일(10b), 귀로측 반전부 추종 레일(10c) 및 귀로측 추종 레일(10d)에 의해서 안내된다. 또한, 왕로측 구동 레일(8a) 및 왕로측 추종 레일(10a)의 형상은 디딤단(2)의 디딤판(4)(도 7)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7a)은 링크 기구(굴절 링크 기구)(1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링크 기구(15)는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지만, 종래 예(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낸 4절 링크 기구를 사용한 링크 기구(11)보다도 단순한 구조를 갖고 있다.
도 3은 도 2의 링크 기구(15)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링크 기구(15)는 중간부에 절곡부를 갖는 제 1 링크(15a)와, 직선적인 형상의 제 2 링크(15b)를 갖고 있다. 제 1 링크(15a)와 제 2 링크(15b)는, 각각의 결합부(16a, 16b)에서 결합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15a)의 일단부는 구동 롤러 축(7a)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15a)의 타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보조 롤러(1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링크(15a)의 굴곡부에는 결합부(16a)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링크(15b)의 일단부는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7a)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링크(15b)의타단부에는 결합부(16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링크 기구(15)는 종래 예의 링크 기구(11)와 동일한 기능을 갖지만,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부의 수가 적기 때문에, 느슨한 결합의 영향으로 인한 위치 결정 오차가 저감된다.
도 2에 있어서, 보조 롤러(12)는 주 프레임(1)에 설치된 왕로측 보조 레일(13a), 반전부 보조 레일(13b) 및 귀로측 보조 레일(13c)에 의해서 안내된다. 특히, 반전부 및 그 근방에 있어서, 보조 레일(13a 내지 13c)은 링크 기구(15)의 개방 각도가 거의 180°로 유지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전부에는 구동 롤러(7)의 축심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생기는 다각형(이하,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이라 칭함)의 외주 길이의 변화를 흡수하면서 구동 롤러(7)의 이동을 안내하는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17)는 상측 요동 레일(17a), 하측 요동 레일(17b) 및 연결판(17c)을 갖고 있다.
상측 요동 레일(17a) 및 하측 요동 레일(17b)은 각각 대략 원호 형상의 레일이다. 상측 요동 레일(17a)의 일단부는 축(18a)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측 요동 레일(17b)의 일단부는 축(18b)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축(18a, 18b)은 주 프레임(1)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요동 레일(17a)의 타단부에 설치된 축(19a)과, 하측 요동 레일(17b)의 타단부에 설치된 축(19b)은, 연결판(17c)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연결판(17c)은 축(19a, 19b)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 및 하측 요동 레일(17a, 17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17)에서는 반전부에서 디딤단(2)이 이동하여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가 길어진 경우에는 상하의 요동 레일(17a, 17b)이 각각 축(18a, 18b)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위하여 구동 롤러(7)의 이동을 안내한다. 한편,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가 짧아진 경우에는 상하의 요동 레일(17a, 17b)이 내측으로 닫히도록 변위하여 구동 롤러(7)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요동 레일(17a, 17b)의 변위량은 예컨대 10mm 정도이다.
이에 따라, 반전부에서의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 변화가 흡수된다. 따라서, 구동 롤러(7)의 레일로의 가압력이 증가함에 따른 디딤단(2)의 구동 저항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디딤단(2)의 원활한 반전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디딤단 궤도의 형상이 크게 망가지지 않는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반전부 및 그 근방에 있어서, 보조 롤러(12)를 안내하는 왕로측 보조 레일(13a), 반전부 보조 레일(13b) 및 귀로측 보조 레일(13c)의 형상이 링크 기구(15)의 개방 각도를 거의 180°로 유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7a) 사이에서 링크 기구(15)가 곧게 신장하고, 디딤단(2)의 반전 반경이 작게 억제되어,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디딤단(2)의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반전 중에 디딤단(2) 끼리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상측 반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왕로측 보조 레일(13a), 반전부 보조 레일(13b) 및 귀로측 보조 레일(13c)은 반전부 및 그 근방에 있어서, 링크 기구(15)의 개방 각도가 거의 180°가 되도록 보조 롤러(12)를 안내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왕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b) 및 귀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c)은 구동 롤러(7)의 롤링면을 양측에서 끼워넣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왕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b) 및 귀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c)은 구동 롤러(7)와의 사이에 의도적으로 느슨한 결합이 생기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왕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b) 및 귀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c)의 레일 간격과 구동 롤러(7)의 직경 사이에는 여유(allowance)가 제공되어 있다. 이 여유에 의해 생기는 갭의 크기(δ)는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 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예컨대 10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는 왕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b) 및 귀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c)을 갖고 있다.
이러한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에 의하면, 구동 롤러(7)는 반전부를 통과할 때, 진행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도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디딤단(2)의 이동에 의해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가 길어진 경우, 구동 롤러(7)는 외측으로 팽창된 이동 경로를따른다. 역으로,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가 짧아진 경우, 구동 롤러(7)는 내측으로 수축된 이동 경로를 따른다.
이와 같이,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 변화는 왕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b) 및 귀로측 반전부 구동 레일(8c)에서의 레일 간격의 갭(δ)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구동 롤러(7)의 레일로의 가압력이 증가함에 따른 디딤단(2)의 구동 저항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서, 디딤단(2)의 원활한 반전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디딤단 궤도의 형상이 크게 망가지지 않는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반전부 및 그 근방에 있어서 링크 기구(15)의 개방 각도가 거의 180°로 유지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7a) 사이에서 링크 기구(15)가 곧게 신장하고, 디딤단(2)의 반전 반경이 작게 억제되어,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디딤단(2)의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반전중에 디딤단(2) 상호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의 상측 반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왕로측 보조 레일(13a), 반전부 보조 레일(13b) 및 귀로측 보조 레일(13c)은 반전부 및 그 근방에 있어서, 링크 기구(15)의 개방 각도가 거의 180°가 되도록 보조 롤러(12)를 안내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전부에는 수평 방향(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이동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대(20)는 스프링(21)에 의해 디딤단(2)의 순환로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동대(20)의 외주부에는 구동 롤러(7)를 안내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동대(20)의 가이드부(20a)는 반전부 구동 레일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구동 롤러(7)는 이동대(20)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이동대(20)에는 반전부 보조 레일(13b)이 부착되어 있고, 반전부 보조 레일(13b)은 이동대(20)와 일체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이드부(20a)와 반전부 보조 레일(13b)은 이동대(20)를 통해 스프링(21)에 의해 일체적으로 탄성 지지되게 된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 안내부는 이동대(20) 및 반전부 보조 레일(13b)을 갖고 있다. 또한,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는 가동 안내부 및 스프링(21)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디딤단(2)의 이동에 의해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가 길어진 경우, 이동대(20)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구동 롤러(7)의 이동을 안내한다. 역으로,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가 짧아진 경우, 이동대(20)가 스프링(21)에 반대로 내측으로 이동하여, 구동 롤러(7)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 이동대(20)의 변위량은 예컨대 10mm 정도이다.
이와 같이, 구동 롤러 축심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 변화는 이동대(20)의 변위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구동 롤러(7)의 레일로의 가압력이 증가함에 따른 디딤단(2)의 구동 저항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서, 디딤단(2)의 원활한 반전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디딤단 궤도의 형상이 크게 망가지지도 않는다.
또한,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반전부 및 그 근방에 있어서 링크 기구(15)의 개방 각도를 거의 180°로 유지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7a) 사이에서 링크 기구(15)가 곧게 신장하고, 디딤단(2)의 반전 반경이 작게 억제되어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디딤단(2)의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반전중에 디딤단(2) 상호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에서는 디딤단(2)의 순환로의 내측에 스프링(21)을 설치하고, 이동대(20)를 외측으로 가압했지만, 디딤단(2)의 순환로의 외측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이동대(20)를 외측으로 인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디딤단(2)의 구동 롤러 축(7a)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순한 구조인 것을 나타냈지만, 예컨대 종래 예와 같은 4절 링크를 사용한 링크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상측 반전부를 나타냈지만, 하측 반전부에도 동일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주 프레임과,
    상기 주 프레임에 설치되고, 무단 형상으로 연결되고 순환 이동되는 복수의 디딤단과,
    상기 각 디딤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롤러와,
    상기 각 디딤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추종 롤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추종 롤러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디딤단의 상기 구동 롤러 축 상호를 연결함과 동시에, 변형됨으로써 상기 구동 롤러 축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복수의 링크 기구와,
    상기 각 링크 기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회전 가능한 보조 롤러와,
    상기 주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동 레일과,
    상기 주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추종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추종 레일과,
    상기 주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링크 기구를 변형시키는 보조 레일과,
    상기 디딤단의 순환로의 반전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전부에서의 상기 구동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상기 구동 롤러의 축심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생기는 다각형의 외주 길이의 변화를 흡수하는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는 상기 구동 롤러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외주 길이의 변화에 따라 요동하는 요동 레일을 갖고 있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레일은 상측 요동 레일 및 하측 요동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요동 레일은 상기 상측 및 하측 요동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는 상기 구동 롤러의 롤링면을 양측에서 끼워넣는 구조의 반전부 구동 레일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반전부 구동 레일의 레일 간격은 상기 구동 롤러의 직경에 대하여 여유를 갖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여유에 의해 상기 외주 길이의 변화가 흡수되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길이 변화 흡수 기구는 상기 구동 롤러 및 상기 보조 롤러를 안내하고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가동 안내부와, 상기 가동 안내부를 상기 디딤단의 순환로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안내부는 상기 구동 롤러를 안내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가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대와, 이 이동대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대에 부착되고, 상기 보조 롤러를 안내하는 반전부 보조 레일을 갖고 있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부에서의 상기 보조 레일의 형상은 상기 링크 기구의 개방 각도가 거의 180°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KR10-2003-7012436A 2001-09-26 2002-09-19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KR100516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94603A JP4810030B2 (ja) 2001-09-26 2001-09-26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JPJP-P-2001-00294603 2001-09-26
PCT/JP2002/009623 WO2003029125A1 (fr) 2001-09-26 2002-09-19 Escalier roulant incline a grande vite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056A true KR20030085056A (ko) 2003-11-01
KR100516699B1 KR100516699B1 (ko) 2005-09-22

Family

ID=1911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436A KR100516699B1 (ko) 2001-09-26 2002-09-19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32678B2 (ko)
EP (2) EP1970343A1 (ko)
JP (1) JP4810030B2 (ko)
KR (1) KR100516699B1 (ko)
CN (1) CN1290755C (ko)
AT (1) ATE414669T1 (ko)
DE (1) DE60229963D1 (ko)
WO (1) WO2003029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6671B2 (en) * 2000-12-21 2007-11-20 Kone Corporation Drive system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FR2831621B1 (fr) * 2001-10-25 2004-02-13 Cit Alcatel Utilisation des billes en zircone pour les roulements d'atterrissage des pompes turbomoleculaires sur palier magnetique
JP4187971B2 (ja) * 2002-01-21 2008-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US7124875B2 (en) * 2002-01-23 2006-10-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scalator with high speed inclined section
KR100522064B1 (ko) * 2003-11-29 2005-10-1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롤러 상승억제장치
KR20050108737A (ko) * 2004-05-13 2005-11-1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객수송장치의 충격 및 소음저감장치
JP5176223B2 (ja) * 2006-07-04 2013-04-03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乗客輸送装置用の駆動システム
ES2277796B1 (es) * 2006-12-29 2009-05-01 Thyssenkrupp Norte, S.A. Conjunto de paletas para un sistema de transporte para desplazamiento de pasajeros/mercancias.
ES2294972B1 (es) * 2007-09-05 2009-04-01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istema de curva de volteo para sistema de transporte por cadena.
FI121783B (fi) * 2008-09-22 2011-04-15 Kone Corp Henkilökuljetin
DE202008015410U1 (de) * 2008-11-20 2009-02-05 Thyssenkrupp Fahrtreppen Gmbh Fahrtreppe oder Fahrsteig
FI122062B (fi) * 2009-09-18 2011-08-15 Kone Corp Henkilökuljetin
ES2342532B1 (es) * 2009-12-29 2011-05-20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istema de accionamiento para escaleras y pasillos moviles.
WO2012124373A1 (ja) * 2012-01-19 2012-09-20 Teramoto Katsuya 加減速式手摺駆動装置
US9598242B2 (en) * 2014-02-03 2017-03-21 Mark Webster Moving floor system
DE102017004507A1 (de) * 2017-05-11 2018-11-15 Michael Kollmey Rolltreppe
EP3511284B1 (en) * 2018-01-10 2021-09-15 Otis Elevator Company Moving walkwa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415246A1 (es) * 1972-06-30 1976-07-16 Patin Dispositivo para el arrastre a velocidad variable de ele- mentos moviles.
JPS51116586A (en) * 1975-04-07 1976-10-14 Hitachi Ltd Escalator
US4130192A (en) * 1976-12-06 1978-12-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portation apparatus
US4240537A (en) * 1978-04-18 1980-12-23 The Boeing Company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handrail
FR2443955A1 (fr) * 1978-12-13 1980-07-11 Cesbron Lavau Rene Dispositif de dilatation-contraction associe a un ensemble lineaire en defilement, et application aux trottoirs roulants
US4462514A (en) * 1981-11-16 1984-07-31 The Boeing Company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walkway handrail
US4576276A (en) * 1984-06-08 1986-03-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Escalator
US4671783A (en) * 1984-11-14 1987-06-09 Seymour Timothy H Wheel and chain power transmission machine
JP2540965B2 (ja) * 1990-01-16 1996-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中間高速エスカレ―タ―
ES2051680T1 (es) * 1992-06-22 1994-07-01 Zimmermann Marino Carriles de soporte de plataformas asi como plataforma de introduccion con carriles de soporte de plataformas y via de transporte.
JPH08108986A (ja) * 1994-10-07 1996-04-30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KR0167219B1 (ko) * 1996-05-25 1998-12-01 이종수 에스컬레이터의 터미널레일 구조
KR100186368B1 (ko) * 1996-10-22 1999-04-15 이종수 에스컬레이터의 터미널레일 구조
JPH1111846A (ja) * 1997-06-26 1999-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ヤーのガイドレール装置
KR100446920B1 (ko) * 1999-04-26 2004-09-03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에스컬레이터장치
JP4303840B2 (ja) 1999-07-16 2009-07-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ヤ装置
DE19958709C2 (de) * 1999-12-06 2001-10-25 Kone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duzierung des Polygoneffektes im Umlenkbereich von Personenförderanlagen
US6450317B1 (en) * 2000-09-26 2002-09-1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drive machine
JP2002326780A (ja) 2001-05-07 2002-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変速エスカレーター
JP4031249B2 (ja) * 2002-01-23 2008-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JP4236846B2 (ja) * 2002-01-23 2009-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35676A1 (en) 2004-02-26
WO2003029125A1 (fr) 2003-04-10
EP1970343A1 (en) 2008-09-17
JP4810030B2 (ja) 2011-11-09
CN1503762A (zh) 2004-06-09
JP2003095570A (ja) 2003-04-03
EP1431234B1 (en) 2008-11-19
KR100516699B1 (ko) 2005-09-22
CN1290755C (zh) 2006-12-20
ATE414669T1 (de) 2008-12-15
US6832678B2 (en) 2004-12-21
EP1431234A1 (en) 2004-06-23
EP1431234A4 (en) 2006-08-09
DE60229963D1 (de) 200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699B1 (ko)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JP2540965B2 (ja) 中間高速エスカレ―タ―
KR100688269B1 (ko) 컨베이어 장치
JP4236846B2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KR100521543B1 (ko)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KR100470616B1 (ko) 경사부 고속 에스컬레이터
JP4031248B2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JP4080753B2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KR100690461B1 (ko) 컨베이어 장치
JP4187971B2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JP2005067878A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WO2003062120A1 (fr) Escalator tres rapide presentant une partie en pente
WO2004052768A1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WO2003062118A1 (fr) Escalier mecanique incline a grande vitesse
JP2006256825A (ja) マンコンベア
JP3557753B2 (ja) 動く歩道
WO2003062123A1 (fr) Escalier roulant comportant une partie inclinee tres rapide
JP2004210439A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