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162A - 차량용 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162A
KR20030074162A KR10-2003-0011920A KR20030011920A KR20030074162A KR 20030074162 A KR20030074162 A KR 20030074162A KR 20030011920 A KR20030011920 A KR 20030011920A KR 20030074162 A KR20030074162 A KR 20030074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tate
sheet
width direc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구치토모오
시바타케이이치로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7046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08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7052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3638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1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transvers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2번째 시트열과, 시트 쿠션의 배치 영역을 화물실로서 사용 가능하게 어레인지 할 수 있는 3번째 시트열을 가지는 시트 장치에 있어서, 3번째 시트열의 어레인지에 의해 화물실을 확장한 상태와 2번째 시트의 후방에의 큰 슬라이드에 의해 2번째 시트 전방의 공간을 크게 확장한 상태를 동시에 실현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것이며,
그 해결 수단에 있어서, 2번째 시트(2)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3번째 시트는 시트 쿠션(3C)가 앞끝부분 근방을 중심으로 거꾸로 섬 상태를 취한다. 2번째 시트(2)의 뒤면에, 거꾸로섬 상태의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3C)와 끼워맞춤하는 오목부(23)이 형성되고 있어,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3C)를 거꾸로 섬 상태로 하고, 2번째 시트(2)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켰을 때, 오목부(23)과 거꾸로 섬 상태의 3번째 시트가 끼워 맞춤 한다. 2번째 시트(2)는, 차량의 플로어에 형성된 단차와 차실내에 내 뻗은 휠 하우스(H)를 피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장치{VEHICLE SEAT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장치, 구체적으로는 차실내에 복수의 시트열을 구비하고, 여러 가지의 시트 어레인지가 가능한 차량의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편리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시트의 어레인지를 중심으로, 차실내를 다양한 형태로 사용 가능케 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하는 구조가 많이 제안되어 있다. 일예로서, 일본국특개2000-264109에 개시되고 있는 것처럼, 2번째 시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와같은 구조는, 2번째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 할 수 있는, 혹은 앞자리와 2번째 시트와의 사이에 생긴 큰 공간을 탑승자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고 한 점에서 유효한 기법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편리성 향상을 위한 시트 어레인지의 다른 형태로서, 시트가 설치되는 차실내의 영역을 화물실로서 사용 가능케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일예로서 일본국특개평11-255010에 개시되고 있으며, 시트 쿠션을 앞끝을 중심으로해서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시트 쿠션이 그 앞끝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며 대체로 직립 한 상태, 및 뒤면을 위 쪽을 향해 플로어 위에 얹어 놓은 반전(反轉)상태로 어레인지 가능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시트 쿠션을 직립 상태 혹은 반전상태로 함으로써 착석 상태에 있어서 시트 쿠션이 점유하는 공간 혹은 시트 쿠션의 뒤면 위에 생기는 공간을, 화물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개2000-264109에 기재 된 구성에 있어서, 2번째 시트의 후방에 상기 특개평11-255010에 기재 된 구성을 가지는 시트를 3번째 시트로서 설치하는 것을 생각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차량은, 3번째 시트를 착석 상태로 하면 많은 사람이 승차 가능해지는데 더해 3번째 시트를 어레인지 하는 것에 의한 화물실 확장과, 2번째 시트의 보다 후방에의 슬라이드에 의한 2번째 시트 전방의 공간의 확대를 실현 할 수 있게 된다. 즉, 3번째 시트 부분을 화물실로서 사용하면서 2번째 시트의 전방에 큰 공간을 생기게 한다는, 새로운 시트 어레인지의 형태를 실현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차실내의 전후 길이가 그다지 크지 않는 차량에 있어서는, 전후방향으로 3열의 시트를 배치했을 경우, 2번째 시트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길이는 크게 취할 수 없는 것이 실상이다. 즉, 3열째 시트가 존재하는 부분보다 후방까지 2번째 시트를 이동하는 것은 당연히 할 수 없고, 차실내에는 통상 리어휠 하우스가 양측으로부터 내 뻗어 있기 때문에, 실내의 전후길이가 크지 않는 차량에서는 2번째 시트의 슬라이드 길이가 리어휠 하우스에 의해서 제한된다. 또, 차량 바닥부분에 연료 탱크등의 각종의 부품을 배치하기 위해 차량의 플로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경우도 많고, 그와 같은 단차에 의해서도 2번째 시트의 슬라이드 길이는 제한되어 버린다. 즉, 상기 특개2000-264109에 기재 된 구성에, 3번째 시트로서 상기 특개평11-2550l0에 기재 된 구성을 그대로 적용해도, 2번째 시트의 후방 슬라이드에 의한 이점, 및 3번째 시트의 어레인지에 의한 이점을 별개로 얻을 수 있는데 지나지 않고, 2번째 시트의 후방 슬라이드와 3번째 시트의 화물실 어레인지를 동시에 행하여도 2번째 시트의 후방 슬라이드량이 그다지 큰 것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상기의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한 코스트의 증가에 의해 상품성을 해치는 것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차실내에 3개의 시트열을 구비하고, 2번째 시트열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3번째 시트열의 시트 쿠션의 배치 영역을 화물실로서 사용 가능하게 어레인지 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장치에 있어서, 3번째 시트열의 어레인지에 의해 화물실을 확장한 상태와 2번째 시트의 후방으로 큰 슬라이드에 의해 2번째시트 전방의 공간을 크게 확장한 상태를 동시에 실현가능한 구조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각 어레인지 형태에 대응한 차실내의 개략 윗면도.
도 2는, 차량이 제1의 모드(도 1(a)에 표시한 상태)에 있을 때의 개략 측면도.
도 3은, 3번째 시트의 구성 및 취할 수 있는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4는 차량이 제4의 모드(도 1(d)에 표시한 상태)에 있을 때의 개략 측면도.
도 5는,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직립시키는 직립수단의 개략을 표시한 측면도.
도 6은, 3번째 시트 쿠션과 베이스부의 축받침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내부케이블과 2번째 시트의 연결부분을 표시한 사시도.
도 8은, 케이블과 3번째 시트이 연결 부분을 표시한 사시도.
〈 도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2번째 시트
2B : 시트 백 (2번째 시트의 시트 백)
2C : 시트 쿠션 (2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
3 : 3번째 시트
3B : 시트 백 (3번째 시트의 시트 백)
3C : 시트 쿠션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
4 : 베이스부(지지 기구)
5 : 링크부(지지 기구)
7 : 케이블 (반전(反轉)수단)
8 : 앵커부 (반전수단)
10 : 차량
21 : 차폭방향 슬라이드 기구(차폭방향 이동 기구)
22 : 전후방향 슬라이드 기구(슬라이드 기구)
23 : 오목부분
30 : T자형상로드 (반전수단)
31 : 돌기 (반전수단)
32 : 스프링 (반전수단)
64 : 버튼 (직립수단, 연동수단)
63 : 로드 (직립수단, 연동수단)
62 : 걸어 맞춤 레버 (직립수단, 걸어맞춤부)
61 : 캠 (직립수단)
71 : 외부케이블 (반전수단)
72 : 내부케이블 (반전수단)
81 : 접촉부분 (반전수단)
82 : 스토퍼 (반전수단)
83 : 스프링 (반전수단)
221 : 시트 베이스 (슬라이드부)
222 : 플로어 레일 (레일부)
223 : 돌기 (반전수단)
FA : 앞쪽 플로어
FB : 뒷쪽 플로어
A : 축받침부 (회전구동축)
H : 리어휠 하우스
612 : 잘린부분 (직립수단)
본 발명의 제1의 구성은, 차량에 있어서의 차실내에 설치되고 운전석 및 조수석을 포함한 1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1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2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3번째 시트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2번째 시트가,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 뒤끝부근에 있어서 대략 직립한 상태에 있는 시트 백을 가지는 2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의 사이에서 차량 진행 방향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상기 3번째 시트가,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을 가지는 3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3번째 시트 부재를, 상기 시트 쿠션이 좌석면을 위 쪽을 향해서 대략 수평 상태에 있으며, 또한 상기 시트 백이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부 근방에서 좌석면을 전방을 향해서 대략 직립 상태에 있는 제l 상태와, 상기 시트 쿠션이 그 앞끝 근방을 중심으로해서 전방으로 대략 직립 상태까지 회전구동한 제2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가지고, 상기 3번째 시트 부재를 제2 상태로서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 위치까지 슬라이드시켰을 때,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면이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의 쿠션면에 실질적으로 따르도록 형성되고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3번째 시트를 화물실로서 사용 가능한 상태, 즉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직립 상태로 한 다음에, 2번째 시트를 후방 위치까지 슬라이드시켰을 때에는, 2번째 시트의 시트 백 후면과 직립 상태로에 있는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면이,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면을 따르는 것이 된다. 따라서, 2번째 시트의 시트백 후면과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면이 면끼리로 대략 밀착하고, 그 들의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으로 2번째 시트의 후방 슬라이드로 충당할 수 있기 때문에, 3번째 시트를 화물실로서 사용하면서 2번째 시트의 전방에 큰 공간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구성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백 뒤면에, 상기 3번째 시트 부재를 제2 상태로서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 위치에 슬라이드시켰을 때,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에 있어서의 대략 직립 한 시트 쿠션이 끼워 맞춤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3번째 시트를 화물실로서 사용 가능한 상태, 즉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직립 상태로 한 다음에, 2번째 시트를 후방 위치까지 슬라이드시켰을때, 2번째 시트의 시트 백 후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직립 상태에 있는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이 수용된다. 따라서, 오목부의 크기 만큼을 2번째 시트의 후방 위치의 후퇴, 즉 후방 슬라이드 길이의 연장에 충당할 수가 있으며, 3번째 시트를 화물실로서 사용하면서 보다 후방까지 2번째 시트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 그와 같은 상태에 있을 때의 후방으로부터의 시트의 돋보임이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제3의 구성은, 상기 차량이, 상기 2번째 시트 부재가 상기 슬라이드 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된 앞쪽 플로어면과, 상기 3번째 시트 부재가 상기 지지 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된 뒤쪽 플로어면과, 상기 앞쪽 플로어면과 상기 뒤쪽 플로어면 과의 사이에서 상기 뒤쪽 플로어면이 상기 앞쪽 플로어면에 대해서 높아지도록 구성된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가, 상기 앞쪽 플로어면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근방까지 연장하여 설치 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안내되는 동시에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바닥면이 상기 뒤쪽 플로어면의 높이 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2번째 시트 부재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적어도 뒤끝부가 상기 뒤쪽 플로어면의 위 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플로어에 있어서 3번째 시트가 설치되는 부분이 일단높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플로어하부에 각종 부품을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 할 수 있는 동시에, 2번째 시트의 후방 슬라이드시에는 단차와의 간섭을 방지해서, 보다 후방까지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구성은, 상기 2번째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병렬로 배치된 우측 시트와 좌측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쪽이든 한 쪽에,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쪽이든 한 쪽을 상기 좌우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분리간 한 상태와 차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인접한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좌우 시트에 미치는 차폭방향 길이가, 상기 차량의 차실내에 양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어휠 하우스 안쪽사이의 길이 보다도 작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 및 상기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인접한 상태에서 리어휠 하우스 사이에 위치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차실내의 전후길이가 비교적 짧은 것에 기인해서 3번째 시트가 리어휠 하우스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서도, 2번째 시트 부재를 리어휠 하우스와 간섭하는 일없이 후방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즉, 차실내 공간이 비교적 작은 차량에 있어서도, 3번째 시트를 화물실로서 사용하면서보다 후방까지 2번째 시트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구성은, 상기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좌우의 시트를 차폭방향으로 분리 한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2번째 시트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좌우로 독립한 시트 형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시트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 제 6의 구성은, 상기 지지 기구가, 상기 3번째 시트 부재가 제2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백을 그 후면을 위 쪽을 향해서 상기 차량의 플로어 위에 앞으로 엎드린 상태로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3번째 시트 부재가 제2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백이 그 후면을 위 쪽을 향해서 플로어상에서 앞으로 엎드린 상태가 되므로, 그 시트 백위를 또한 화물실의 플로어로서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큰 화물실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의 구성은, 상기 지지 기구가 또한,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이 상기 앞끝 근방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구동해서 상기 시트 쿠션의 좌석면을 아래쪽으로 향하여 대략 수평 상태로 있는 제3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3번째 시트 부재를 지지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뒤끝이, 상기 2번째 시트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제3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2번째 시트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제3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후방에 위치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3번째 시트를 화물실로서 사용 가능한 상태와 2번째 시트의 전방에 넓은 공간을 생기게 한 상태를 양립한 상태 부가해서, 또한 그 상태로부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전방으로 회전구동 시키면서 2번째 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3번째 시트의 후면을 화물실의 바닥면으로서 사용 할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8의 구성은, 차량에 있어서의 차실내에 설치되고 운전석 및 조수석을 포함한 1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1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2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3번째 시트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2번째 시트가, 대략 수평 상태로 있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 뒤끝 부근에 있어서 대략 직립 한 상태에 있는 시트 백을 가지는 2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의 사이에서 차량 진행 방향을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상기 3번째 시트가,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을 가지는 3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3번째 시트 부재를, 상기 시트 쿠션이 좌석면을 위 쪽을 향해서 대략 수평 상태로 있고, 또한 상기 시트 백이 상기 시트 쿠션의 뒤끝부분 근방에서 좌석면을 전방을 향해 대략 직립 상태에 있는 제l 상태와, 상기 시트 쿠션이 그 앞끝 근방을 중심으로해서 앞쪽에 대략 직립 상태까지 회전구동한 제2 상태와,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이 상기 앞끝 근방을 중심으로해서 앞쪽에 회전구동해서 상기 시트 쿠션의 좌석면을 아래쪽으로 향하여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제3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가지고,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뒤끝이, 상기 2번째 시트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제3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2번째 시트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제3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3번째 시트를 화물실로서 사용 가능한 상태, 즉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직립 상태로 한 위에서 2번째 시트를 후방 위치까지 슬라이드 함으로써, 3번째 시트 부분을 화물실로서 사용하면서 2번째 시트의 전방에 넓은 공간을 만들게 한 모드와, 2번째 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앞쪽에 회전구동시킴으로써,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의 하부면을 화물실의 바닥면으로서 보다 넓은 화물실을 만들게 한 모드와의 2개의 모드를 취할 수가 있어, 보다 편리성이 높은 차량을 제공 할 수 있는 있다.
본 발명의 제9의 구성은, 차량에 있어서의 차실내에 설치되고 운전석 및 조수석을 포함한 1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l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2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3번째 시트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2번째 시트가,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 뒤끝 부근에 있어서 대략 직립 한 상태에 있는 시트 백을 가지는 2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의 사이에서 차량 진행 방향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상기 3번째 시트가,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을 가지는 3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을, 상기 시트 쿠션의 좌석면을 위 쪽을 향해서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착석 상태와, 상기 시트 쿠션의 앞끝 근방에 설치된 회전구동 축둘레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대략 직립 상태까지 회전구동한 직립 상태와, 상기 시트 쿠션의 상기 회전구동 축둘레를 중심으로 앞쪽에 회전구동해서 좌석면을 아래쪽을 향하여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반전(反轉)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가지고,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뒤끝이, 상기 2번째 시트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반전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전방으로 위치하고, 상기 2번째 시트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 반전 상태로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후방에 위치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2번째 시트가 전방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이 반전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 위치에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직립 상태로 이행 시키는 직립 수단이설치되고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차실내에 3개의 시트열을 구비하고, 2번째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3번째 시트의 시트쿠션의 배치 영역을 화물실로서 사용 가능하게 어레인지 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장치에 있어서,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반전시킨 상태 일때에, 2번째 시트의 후방에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이 직립 상태가 되기 때문에, 2번째 시트에 착석한 탑승원은 시트를 떨어지게하여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직립 시키는 조작을 실시할 필요없이 2번째 시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킬 수가 있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10의 구성은, 상기 직립 수단이,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 을 상기 회전구동축을 중심으로 후방에 힘 붙임하는 스프링과, 상기 지지 기구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쿠션의 반전 상태와 직립 상태에 각각 대응해서 형성된 잘린부분을 가지는 캠과, 상기 시트 쿠션에 설치되고, 상기 각 잘린부분과 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춤 함으로써 상기 시트 쿠션을 상기 잘린부분에 대응해서 반전 상태와 직립 상태의 각각에 고정 가능한 걸어맞춤부와,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으로 슬라이드에 연동해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반전 상태에 대응한 잘린부분과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키는 동시에 직립 상태에 대응한 잘린부분과의 걸어맞춤을 행하게 하는 연동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직립 수단을 기구적으로 구성 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직립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의 구성은, 상기 직립 수단이,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쿠션을상기 회전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으로 슬라이드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콘트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모터에 상기 시트 쿠션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트 쿠션의 회전구동이 전기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시트 쿠션의 회전구동 동작을 보다 적절히 제어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시트 쿠션의 회전구동 속도를, 안전성등을 고려해서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의 구성은, 상기 2번째 시트가 후방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쿠션이 직립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2번째 시트의 전방으로 슬라이드가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의 직립 상태를 유지한 채로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직립시켜, 2번째 시트를 후방 위치에 있는 상태, 즉 3번째 시트를 화물실로서 사용하면서 2번째 시트의 전방에 넓은 공간을 만들은 상태 일때,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이 직립 한 채로 2번째 시트를 앞쪽에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2번째 시트의 후방에서 직립 한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의 앞쪽에 공간이 생기게 되어, 탑승원은 2번째 시트에 착석한 채로 그 공간에 짐을 두는 등의 사용법을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13의 구성은, 상기 2번째 시트가 후방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이 직립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2번째 시트의 전방으로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반전 상태에 이행 시키는 반전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직립시키고, 2번째 시트를 후방 위치에 있는 상태, 즉 3번째 시트를 화물실로서 사용하면서 2번째 시트의 전방에 넓은 공간을 만들은 상태 일때, 탑승원이 2번째 시트를 앞쪽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직립한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이 전방으로 회전구동해서 반전 상태가 된다. 즉, 탑승원은, 화물실을 확장하고 싶은 경우에 2번째 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되고, 3번째 시트를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14의 구성은, 상기 2번째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병렬로 배치된 우측 시트와 좌측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이든 한 쪽에,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이든 한 쪽을 상기 좌우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분리한 상태와 차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인접한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좌우 시트에 미치는 차폭방향 길이가, 상기 차량의 차실내에 양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어휠 하우스 안쪽사이의 길이 보다도 작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 및 상기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시트가 차폭방향에 대체로 인접한 상태에서 리어휠 하우스 사이에 위치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차실내의 전후길이가 비교적 짧은 것에 기인해서 3번째 시트가 리어휠 하우스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2번째 시트 부재를 리어휠 하우스와 간섭하는 일 없이 후방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즉, 차실내 공간이 비교적 작은 차량에 있어서도, 3번째 시트를 화물실로서 사용하면서 보다 후방까지 2번째 시트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제15의 구성은, 상기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좌우의 시트를 차폭방향으로 분리한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2번째 시트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에 좌우로 독립한 시트 형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시트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 발명의 실 시의 형태 )
이하, 도 1 내지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차실내의 개략 윗면도인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장치의 어레인지 형태의 개략을 설명한다. 또한, 도시 한 구성은 도 1(a) 내지 (d)에 있어서 공통하기 때문에, 도시 부호는 도 l(a)에만 부여하고, 도 1(b) 내지 (d)에 대해서는 생략 한다.
도 1(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차량(1O)은, 차실내에 차량 진행 방향을 따라서 3열의 시트 1, 2 및 3을 구비하고 있다. l번째 시트(1)는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 이루어진다. 2번째 시트(2)는 좌우에 2 분할되고 각각 차폭방향 및 차량 진행 방향의 슬라이드가 가능한 시트로 이루어지고, 도 1(a)에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좌우의 시트를 차폭방향 중앙에 이동시키는 것으로 좌우에 연속한 상태, 이른바 벤치시트의 형태로 할 수 있는 동시에, 벤치 시트의 형태인 채 전후방향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3번째 시트(3)는 좌우에 2 분할되고 각 시트 백(3B) 및 시트쿠션 (3C)가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회전 가능한 시트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2번째 시트(2)와 3번째 시트(3)을 어레인지 함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장치는 도 1(a) 내지 (d)에 표시한 4개의 모드를 채용 할 수 있다.
도 1(a)는, 각 시트열 1, 2 및 3을 구성하는 좌우의 시트의 각각에 탑승원이 착석 가능한 상태이다. 이 모드에 있어서는, 각 시트에 각각 합계 6명의 탑승원이 착석 할 수 있다 (이하, 제l의 모드라고 칭한다).
도 l(b)는,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를 그 앞끝 근방을 중심으로 회전구동시켜서 직립 상태로 유지하고, 3번째 시트(3)의 시트 백(3B)를 앞쪽에 넘어뜨린 상태에 있다. 이 모드에 있어서는, 직립한 3번째 시트(3)의 시트쿠션(3C)에 의해서, 2번째 시트(2)의 후방의 스페이스가 화물실 앞부분과 화물실 뒤부분으로 간막이 되는 동시에, 3번째 시트(3)의 시트 백(3B)뒤면이 화물실 뒤부분의 마루의 면이 된다 (이하, 제2의 모드라 칭한다). 그래서, 도시하지 않는 테일 게이트의 개방에 의해서 화물실 뒤부분에의 짐의 실음과 내림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2번째에 착석한 탑승원은, 착석한 채로 시트(2)의 배후에 생긴 화물실 앞부분에 짐을 둔다, 혹은 짐을 꺼낸다, 라고 하는 사용법이 가능해진다. 또, 도 1(b)에 있어서는, 2번째 시트 (2)는 벤치 시트의 상태에 있는 것(도 1(a)에 있어서 좌우의 시트를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c)는, 도 1(b)에 표시한 제2의 모드에 있어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를 더욱 전방으로 회전구동 시켜서 반전 상태로 한 것이다. 이 모드에 있어서는 2번째 시트(2)의 후방에는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의 뒤면 및 3번째 시트(3)의 시트 백(3B)의 뒤면이 연속해서 마루의 면을 형성한 큰 화물실 공간이 생긴다(이하, 제3의 모드라 칭한다). 그래서, 도시하지 않는 테이르게니트의 개방에 의해, 3번째 시트(3)의 어레인지에 의해서 생긴 광대한 화물실에의 짐의 실음과 내림이 가능해진다.
도 l(d)는, 도(b)에 표시한 제2의 모드에 있어서, 2번째 시트(2)가 벤치 시트 상태를 유지한 채로 직립 상태의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에 접촉 할 때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한 것이다. 이 모드에 있어서는, 2번째 시트(2)의 전방으로 광대한 공간이 생기는 동시에, 2번째 시트(2)의 후방에 3번째 시트(3)의 시트 백(3B)의 뒤면을 마루의 면으로 하는 화물실 공간이 생긴다(이하, 제4의 모드라 칭한다). 도 1(d)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3번째 시트(3)의 양쪽 근방에 리어휠 하우스(H)가 좌우로부터 차실내에 돌출하고 있지만, 2번째 시트(2)가 벤치 시트 상태에 있을 때에는 2번째 시트(2)의 차폭방향 길이가 리어휠 하우스(H) 안쪽사이의 거리 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2번째 시트(2)는 리어휠 하우스(H)를 피한 상태에서 리어휠 하우스(H) 사이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2번째 시트(2)에 착석한 탑승원은, 앞쪽에 생긴 스페이스에 발을 뻗쳐 쾌적하게 착석 할 수 있다, 혹은 2번째 시트의 앞쪽에 생긴 공간을 활용 할 수 있는 동시에, 2번째 시트(2)의 후방을 화물실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a)에 있어서는 2번째 시트(2)가 독립해서 좌우로 분리하는 시트로 되어있다. 이와 같은 경우, 2번째 시트가 좌우로 분리한 상태 일때, 좌우 시트의 사이에 설치 가능한 착탈식의 보조 시트를 마련하여, 보조 시트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2번째 시트가 연속한 좌석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면서 2번째 시트(2)의 슬라이드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2번째 시트(2)는 대략 대칭으로 구성된 좌우 1쌍의 시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좌우 2개의 시트중 한 쪽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차량이 제1의 모드, 즉 도 1(a)에 표시한 상태로 있을 때의 개략 측면도인 도 2에 표시한 것처럼, 2번째 시트(2)는, 2번째 시트(2)의 시트 쿠션(2C) 및 시트 백 (2B)를 차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차폭방향 슬라이드 기구(21)과, 차폭방향 슬라이드 기구(21)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방향슬라이드 기구(22)를 개재하여 차체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폭방향 슬라이드 기구(21)은, 2번째 시트(2)의 시트 쿠션 (2C) 하부면에 설치되어,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차량 진행 방향으로 분리한 2개의 슬라이드 쪽 레일과, 그들 슬라이드 쪽 레일이 차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하는 2개의 고정 쪽 레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후방향 슬라이드 기구(22)는, 2개의 고정 쪽 레일의 차폭방향 양단이 각각 고정된 2개의 시트 베이스 (221)(도2에 있어서는 한쪽만 표시한다)와, 각 시트 베이스를 차량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2개의 플로어 레일(222)(도2에 있어서는 한쪽만 표시한다)로 이루어진다.
또, 차폭방향 슬라이드 기구(21)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슬라이드 쪽 레일과고정 쪽 레일의 사이에, 좌우의 2번째 시트(2)가 차폭방향으로 분리한 상태가 되는 위치 및 차폭방향 중앙에서 벤치 시트상태가 되는 위치와의 2개소에서 록 가능한 록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 하지 않지만, 전후방향 슬라이드기구(22)에는, 시트 베이스(221)과 플로어 레일(222)의 사이에, 시트 베이스(221)을 플로어 레일 (222)에 대한 소정의 상대 위치에 록 하는 록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2번째 시트(2)는 차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해서 좌우 분할 상태와 벤치 시트상태를 취할 수 있는 동시에 차량 진행 방향을 따른 소정 위치에서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록 기구는, 종래의 슬라이드 가능한 시트구조에 있어서 시트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주지의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차체 플로어의, 2번째 시트(2) 및 (3)번째 시트(3)이 설치되는 각 부분에는, 위쪽을 향해 2 단계의 플로어(FA),(FB)가 형성되고 있어, 그 하부면에 생기는 공간에 도시하지 않는 연료 탱크등의 각종 부품이 배치되고 있다. 앞쪽 플로어(FA)에는 2번째 시트용의 플로어 레일(222)가 고정된다. 플로어 레일(222)는 그 길이 부분이 앞쪽 플로어(FA)의 차량 진행 방향 길이에 걸쳐서 앞쪽 플로어(FA)와 뒤쪽 플로어(FB)의 사이의 단차의 근방까지 연장하고 있고, 2번째 시트(2)는, 그 뒤끝이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가 후술하게 되는 반전 상태(도 2에 파선에 의해 표시한다)가 되었을 때의 시트 쿠션(3C)의 앞끝부분 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도 2에 실선에 의해 표시한다)와, 시트 쿠션(3C)의 앞끝부분 보다도 앞쪽에 위치하는 상태(도 2에 파선에 의해 표시한다)와의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다. 2번째 시트(2)의 시트 쿠션(2C) 하부면과 앞쪽 플로어(FA)와의 높이의 차이, 뒤쪽 플로어(FB)와앞쪽 플로어(FA)의 높이의 차이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어, 2번째 시트(2)가 플로어 레일 (222)을 따라서 가장 후방까지 슬라이드한 상태에 있어서 시트 쿠션(2C)의 하부면과 뒤쪽 플로어(FB)가 간섭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2번째 시트(2)는 뒤쪽 플로어(FB)와의 간섭을 일으키는 일 없이 플로어 레일(222)의 슬라이드 가능 범위내에서 2번째 시트(2)의 뒤끝이 뒤쪽 플로어(FB)의 위쪽에 위치 할 때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자세한 것은 도 4를 참조하면서 후술 하지만, 2번째 시트(2)가 이 최대 후방 위치까지 슬라이드했을 때에는, 2번째 시트(2)는 리어휠 하우스(H)와 측면에서 봐서 중복하는 위치가 되어 있고, 2번째 시트(2)는 벤치 시트의 상태에 있어서 리어휠 하우스(H)와 간섭하지 않고 후방까지 슬라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2번째 시트(2)는, 앞쪽 플로어(FA)와 뒤쪽 플로어(FB)와의 단차와 간섭하는 일 없고 또한 리어휠 하우스(H)를 피해서 보다 후방까지 슬라이드 하고, 2번째 시트(2)의 전방에 생기는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가 있다. 한편, 뒤쪽 플로어(FB)에는 3번째 시트(3)이 후술하는 모양으로 고정된다.
다음에, 3번째 시트(3)의 구성에 대해서 도 3(a) 내지 (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3번째 시트(3)은 차폭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2 분할된 좌우 1쌍의 시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좌우 2개의 시트 중의 한 쪽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도시 한 구성은 도 3(a) 내지 (c)에 있어서 공통이므로 도시 부호는 도 3(a)에만 부여하고, 도 3(b) 및 (c)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3번째 시트(3)은, 그 시트 쿠션(3C) 및 시트 백(3B)가, 후술하게 되는 베이스 부분(4) 및 링크 기구(5)를 개재하여 플로어, 구체적으로는 뒤쪽 플로어(FB)에 고정되어 있고, 도 3(a)에 표시한 것처럼 탑승원이 착석 가능한 상태(이하, 착석 상태라고 칭한다), 도 3(b)에 표시한 것처럼 시트 쿠션(3C)가 앞끝 근방을 중심으로 위 쪽에 회전구동해서 직립하는 동시에, 시트 백(3B)가 전방으로 회전구동해서 시트 백 (3B)의 후면을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 플로어 위에 앞으로 엎드린 상태(이하, 직립·앞으로 엎드린 상태라고 칭한다), 및 도 3(c)에 표시한 것처럼 시트 쿠션(3C)와 시트 백(3B)가 각각 후면을 위 쪽을 향해서 플로어 위에 대략 얹어 놓인 상태(이하, 반전 상태라 칭한다)의 3개의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시트 쿠션(3C)와 시트 백(3B)는 독립해서 회전구동시키는 일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3번째 시트(3)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번째 시트(3)은, 플로어에 고정된 베이스부(4), 앞끝 근방이 차폭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베이스부(4)에 축받침 된 시트 쿠션(3C), 한쪽끝이 베이스부(4)의 뒤끝 부근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축받침 된 링크부(5), 링크부(5)의 다른끝 부근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축받침 된 시트 백(3B)로 이루어진다. 도 3에 있어서 베이스부(4) 및 링크부(5)는 3번째 시트(3)의 한쪽편에 설치된 것만이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쪽에도 대칭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설치되고 있고, 한쪽과 다른쪽의 것이 협동해서 시트 쿠션(3C) 및 시트 백(3B)를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베이스부(4)와 시트 쿠션(3C)의 사이의 축받침부(A)에는, 시트 쿠션(3C)를 착석 상태, 직립 상태, 및 반전 상태의 3개의 상태로 유지하는 록이 설치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베이스부(4)와 링크부(5)와의 사이의 축받침부(B) 및 링크부(5)와 시트 백(3B)의 사이의 축받침부(C)와의 사이에는, 시트 백을 착석 상태 및 앞으로 엎드린 상태로 유지하는 록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 들의 록부에는, 종래의 시트 리클라이닝 기구나 시트 접는 기구에 사용되는, 주지의 록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3번째 시트(3)이 도 3 (a)에 표시한 착석 상태로 있을 때에, 시트 쿠션(3C)를 축받침부(A)를 중심으로 앞쪽에 회전구동 시켜서 직립 상태로 하고, 시트 백(3B)를 축받침부(C)를 중심으로 앞쪽에 회전구동시키면서 링크부(5)를 축받침부 (B)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것으로, 3번째 시트(3)은 도 3(b)에 표시한 것처럼 직립·앞으로 엎드린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b)에 표시한 직립·앞으로 엎드린 상태에 있을 때에 시트 쿠션(3C)를 축받침부(A)를 중심으로 앞쪽에 또한 반전 상태까지 회전구동시키는 것으로, 3번째 시트(3)은 반전 상태가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쿠션(3C)와 시트 백(3B)는 독립해서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가 가능한 2번째 시트 2와, 상기와 같은 어레인지가 가능한 3번째 시트(3)을 가지는 시트 장치를 구비한 차량은, 도 1(a) 내지 (d)에 표시한 여러 가지의 시트 어레인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도 1(a)에 표시한 제1의 모드에 있을 때에, 3번째 시트(3)을 직립·앞으로 엎드린 상태로 하면, 도 1(b)에 표시한 제2의 모드가 된다. 또, 제2의 모드에 있어서 3번째 시트(3)을 반전 상태로 하면, 도 1(c)에 표시한 제3의 모드가 된다. 또,3번째 시트(3)을 직립·반전 상태로 하면서 2번째 시트(2)를 벤치 시트상태로해서 후방까지 슬라이드시키면, 도 1(d)에 표시한 제4의 모드가 된다.
특히 도 1(d)에 표시한 제4의 모드는, 3열시트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2번째 시트(2)를 리어휠 하우스(H) 및 플로어 단차를 피해서 후방으로 크게 슬라이드 시키는 것으로 탑승원의 발밑 공간을 크게 확보하는 동시에, 3번째 시트(3)을 어레인지 해서 3번째 시트(3)의 점유 부분을 화물실로서 사용 한다고 하는 종래에는 없는 신규의 모드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2번째 시트(1)과 3번째 시트(3)을 구성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2번째 시트(2)의 전방의 공간을 보다 확대할 수 있도록 2번째 시트(2)를 보다 후방까지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기 위해, 2번째 시트(2) 및 3번째 시트(3)에 한층 더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들에 대해, 차량이 제4의 모드, 즉 도 1(d)에 표시한 상태로 있을 때의 개략 측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2번째 시트(2)의 시트 백(2B)의 뒤면에는, 오목부(23)이 형성되고 있고, 2번째 시트(2)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켰을 때에, 직립 상태에 있는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가 그 오목부(23)에 끼워 맞춤해서 시트 쿠션(3C)의 쿠션면과 2번째 시트(2)의 뒷면이 면끼리가 거의 따르는, 즉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2번째 시트(2)에 오목부(23)을 형성하지 않고 단지 평면형상으로 구성했을 경우에 비해, 2번째 시트(2)는 오목부(23)의 깊이 분만큼 보다 후방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그 상태에 있어서, 2번째 시트(2)의 뒤부분가 뒤쪽 플로어(FB)의 위쪽, 또한 리어휠 하우스(H)와 측면에서 봐서 중복하는 위치가 되어 있다.
따라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를 거꾸로 섬 상태로해서 2번째 시트(2)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켰을 경우,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의 배치 부분이 화물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동시에, 2번째 시트(2)를 크게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것과 같이 2번째 시트(2)의 시트 백(2B)와 거꾸로 섬 상태의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가 거의 따르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더해, 차량의 플로어(FB) 아래에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한다, 혹은 차실내의 뒤부분에 리어휠 하우스(H)가 내뻗는 등의 조건하에서 2번째 시트(2)의 후방에 3번째 시트(3)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2번째 시트(2)를 슬라이드 시키는 레일 (222)의 배치 및 그 레일(222)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 베이스(221)의 높이의 적정화, 및 2번째 시트(2)를 차폭방향에도 이동 가능하게 해서 리어휠 하우스(H)를 피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구성으로 한다는 연구에 의해, 도 4에 표시한 것처럼, 2번째 시트(2)가 거꾸로 섬 상태에 있는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와 접촉 할 때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한 상태 일때에 2번째 시트(2)가 뒤쪽 플로어(FB) 및 리어휠 하우스(H)와 간섭을 일으키는 일이 없게 그들과 중복하는 영역까지 후방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3번째 시트(3)의 배치 부분을 화물실로서 이용하면서 2번째 시트(2)의 전방으로 큰 공간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3번째 시트 (3)의 시트 백(3B)는 앞으로 엎드린 상태가 되고 있지만, 직립 한 상태라도 된다.
또,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와 베이스부(4)와의 사이의 축받침부(A)를 직립 상태에 있는 3번째 시트(3)의 시트쿠션(3C)의 맨 앞부분의 위치가, 착석상태로 있는 3번째 시트(3)의 앞끝부분의 위치 보다도 후방에 위치 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가 거꾸로 섬 상태에 있을 때에 2번째 시트(2)의 후방에 생기는 공간이 크게 되며, 보다 후방까지 2번째 시트(2)를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의, 착석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에의 이행은, 탑승원이 3번째 시트(3)의 시트 백(3B)와 시트 쿠션(3C)를 직접 회전시키는 것으로 실시하지만, 반전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에의 이행은 2번째 시트(2)의 후방에의 슬라이드에 연동해 실시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그 기구에 대해 차량 진행 방향 좌측의 시트를 예로 설명한다. 차량 진행 방향 우측의 시트에도 같은 구조가 설치되고 있지만, 좌측의 것과 대칭의 구조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반전 상태로 부터 들 직립 상태에의 이행은, 도 5에 표시한 직립 기구를 이용해서 행해진다. 즉,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에 3번째 시트(3)의 베이스부 (4)에 고정된 캠(61)의 잘린부분에 걸어맞춤 하는 걸어맞춤 레버(62)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레버(62)는 그 중앙부근이 시트 쿠션(3C)에 축받침되고 있는 동시에, 한쪽끝에 캠(61)에 걸어맞춤 하는 걸어맞춤부분이 형성되고, 다른 끝부분은 로드 (63)을 개재하여 시트쿠션(3C)가 반전 상태 일때 시트 쿠션(3C)의 앞끝에 위치하는 버튼(64)에 연결되고 있다. 또한, 걸어맞춤 레바(62)는 스프링(65)에 의해 걸어맞춤부분이 캠(61)에 걸어맞춤 할 방향으로 힘붙임 되고 있다. 그래서, 버튼(64)의 밀어넣기에 의해, 로드(63)이 걸어맞춤 레바(62)를 회전 시켜서 걸어맞춤부분과캠(61)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시트 쿠션(3C)가 회전구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3번째 시트 쿠션(3C)와 베이스부(4)의 축받침부분의 분해 사시도인 도 6에 표시한 것처럼, 시트 쿠션(3C)를 후방에 회전구동할 방향으로 힘붙임하는 스프링(67)이 시트 쿠션(3C)와 베이스부(4)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술한 버튼(64), 로드(63), 걸어맞춤 레바(62), 및 스프링(65)가 시트 옆부분에 설치되고 있어, 외측으로부터 커버(66)에 의해 덮여 있다. 또, 걸어맞춤 레바(62)와 걸어맞춤 하는 캠(61)이 베이스부(4)에 고정되고 있다.
걸어맞춤 레바(62)와 캠(61)은,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착석 상태, 직립 상태, 및 반전 상태로 각각 유지하는 록 기능을 가진다. 즉, 캠(61)에는 시트 쿠션 (3C)의 각 상태에 대응해서 잘린부분(611, 612) 및 (613)이 설치되고 있고, 각 잘린부분(611) 내지 (613)과 걸어맞춤 레바(61)의 걸어맞춤부분이 걸어맞춤함으로써 시트 쿠션(3C)를 유지한다. 또, 잘린부분(611) 내지 (613)은, 걸어맞춤부분이 캠(61)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 시트 쿠션(3C)의 전방으로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시트 쿠션 (3C)의 전방 회전구동 쪽의 면이 얕은 각도로 되어 있다. 그래서, 시트 쿠션(3C)의 회전구동은, 전방에는 버튼(64)의 조작없이 행해지고, 후방에는 버튼(64)를 밀어넣으면서 행해진다.
따라서, 도 5에 표시한 것처럼, 3번째 시트(3)이 반전 상태로 있을 때, 2번째 시트(2)를, 2번째 시트(2)의 뒤끝이 3번째 시트(3)의 앞끝에 접촉 할 때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반전 상태에 있는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의 앞끝에 위치 한 버튼(64)가 2번째 시트(2)에 의해 밀어 넣어지면, 걸어맞춤레바(52)와 캠(61)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시트 쿠션(3C)는 스프링(67)에 의해 직립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 때, 버튼(64)는 밀러 넣어짐이 없는 상태로 되지만, 시트 쿠션 (3C)가 회전구동하기 때문에 걸어맞춤부분은 캠(61)의 외주의 잘린부분(611) 내지 (613)이 없는 부분에 올라앉은 상태에서 캠(61)의 외주를 따라서 이동하고, 직립 위치에 대응한 잘린부분(6l2)와 재차 걸어맞춤하게 된다.
따라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가 반전 상태에 있을 때, 예를 들면 시트 장치가 도 1(c)에 표시한 제3의 모드에 있을 때 2번째 시트(2)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는 후방으로 회전구동해서 직립 상태가 되고, 시트 장치는 도 l(d)에 표시한 제4의 모드가 된다.
이상의 구성에 부가해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가 직립 한 상태에 있어서, 2번째 시트(2)를 앞쪽에 슬라이드시키는데 연동해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가 앞으로 엎드리도록 구성하면, 편리성 향상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하에 그 기구에 대해서 차량 진행 방향 좌측의 시트를 예로 설명한다. 차량 진행 방향 우측의 시트에도 같은 구조가 설치되고 있지만, 좌측의 것과 대칭의 구조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직립 상태로 부터 반전 상태로의 이행은, 2번째 시트(2)와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블(7)을 이용해서 행해진다. 케이블(7)은, 차체에 배치 된 외부 케이블(71)과 내부에 삽입된 내부 케이블(72)로 이루어지고, 내부 케이블(72)의 한쪽 끝이 이하에 설명하는 기구를 개재하여 2번째 시트(2)에 연결되어 있다. 즉, 내부 케이블(72)와 2번째 시트(2)의 연결 부분을 표시한 사시도인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블(72)의 한쪽 끝은 앵커부(8)에 접속되어 있고, 앵커부(8)은 2번째 시트(2)의 플로어 레일의 차폭방향 바깥쪽을 따르는 동시에 전방 부분에서 플로어 레일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한 서브레일(9)를 따라서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앵커부(8)의 차폭방향 안쪽에는, 시트 베이스의 차폭방향 외면에 형성된 돌기 (223)과 접촉 가능한 접촉부분(81)이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81)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앵커부(8)에 축받침 되고 있는 동시에, 앵커부(8)에 설치된 스토퍼(82)에 접촉함으로써 소정 각도 이상의 전방으로 회전구동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접촉부(81)은 스토퍼(82)에 접촉 할 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스프링(83)에 의해 힘붙임되고 있다. 또, 접촉부(81) 및 앵커부(8)은, 돌기(223)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서브레일(9)를 따라서 슬라이드 자재인 상태가 된다. 도 7에 있어서, 시트 베이스, 즉, 돌기(223)의 슬라이드 방향을 파선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한다.
한편, 내부 케이블(72)의 다른 끝은, 이하에 설명하는 기구를 개재하여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에 연결되고 있다. 즉, 케이블(7)과 3번째 시트(3)의 연결부를 표시한 사시도인 도 8에 표시한 것처럼, 내부 케이블(72)의 다른 끝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3번째 시트(3)의 베이스부(4)에 지지된 대략 T자 모양의 로드 (30)에 접속되고 있고, T자 모양 로드(30)은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의 측 면의 커버에 형성된 돌기(312)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T자 모양 로드 (30)은 스프링(32)에 의해 내부 케이블(72)를 3번째 시트(3)쪽으로잡아 당겨지도록 힘붙임되고 있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는 스토퍼에 의해 소정량 이상의 변위가 금지되고 있다. 그래서, 상기 2번째 시트(2)의 앵커부(8)에 설치된 접촉부(81)이 돌기 (223)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 즉 앵커부(8)이 자재롭게 서브레일(9) 위를 슬라이드 가능한 때, 2번째 시트(2)의 앵커부(8)을, 로드(30)의 변위가 스토퍼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3번째 시트(3)의 방향으로 잡아 당긴 상태(이하, 초기 상태라 칭한다)로 한다.
그래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가 직립 상태로 있을 때 2번째 시트 (2)가 최대 후방 위치로부터 앞쪽에 슬라이드 하는, 즉 시트 베이스의 돌기(223)이 앵커부(8) 보다도 후방의 위치로부터 앞쪽에 이동하면, 접촉부(81)이 시트 베이스에 설치된 돌기(223)에 접촉 한 상태에서, 도 7의 1점 쇄선으로 표시한 방향을 따라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하고, 내부 케이블(72)가 2번째 시트(2)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내부 케이블(72)가 2번째 시트(2)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면, 3번째 시트(3)쪽의 T자 모양 로드(30)이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의 옆 부분에 설치된 돌기(31)에 접촉한다. 2번째 시트의 한층 더 전방으로 슬라이드에 의해서, 돌기(31)은 T자 모양 로드의 수평 하부면(301)을 따라서 전방으로 변위하면서 T자 모양 로드의 아래 쪽으로 이동에 수반해서 아래쪽으로 이동 시키게 된다. 그 결과, 돌기(31)이 일체로 형성된 시트 쿠션(3C)가 전방으로 회전구동 되게 된다. 시트 쿠션(3C)가 회전해서 반전 상태로 되면, 시트 쿠션(3C)는 상술한 록 기구,(캠(61) 및 걸어맞춤 레바(62))에 의해 반전 상태에 고정된다.
또, 2번째 시트(2)가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를 반전시키는데 충분한길이만큼 앞쪽으로 슬라이드 하면, 내부 케이블(72)의 2번째 시트 쪽 끝부분에 설치된 앵커부(8)이 서브레일(9)을 따라서 시트 베이스에 설치된 돌기(223)으로부터 분리방향으로 이동해서 돌기(223)과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고, 3번째 시트(3)의 방향으로 힘붙임된 내부 케이블(72)가 초기 상태에 되돌아온다.
한편,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가 직립 상태로 있을 때 2번째 시트(2)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려면, 시트 베이스의 돌기(223)과 접촉부(8l)가 접촉하지만, 접촉부(81)은 앵커부(8)에 대해서 후방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기 때문에, 시트 베이스의 돌기(223)은 접촉부(8)을 타고 넘을 수 있다. 즉, 내부 케이블(72)는, 2번째 시트(2)의 전방으로 슬라이드만을, 2번째 시트(2)의 방향으로 이동해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에 회전구동을 행하게 한다.
따라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가 직립 상태에 있고, 2번째 시트(2)가 가장 후방의 위치에 있을 때, 예를 들면 시트 장치가 도 1(d)에 표시한 제4의 모드에 있을 때, 2번째 시트(2)를 앞쪽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는 앞쪽으로 회전구동해서 반전 상태가 되고, 시트 장치는 도 1(c)에 표시한 제3의 모드가 된다.
또한, 3번째 시트(3)의 동작은 모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모터를 3번째 시트(3)의 시트 쿠션(3C) 축받침부(A)에 마련하는 동시에, 2번째 시트(2)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2번째 시트(2)의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따라서 콘트롤러가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회전구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적으로 시트 쿠션을 회전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시트 쿠션의 동작(회전구동 속도등)을 안전성을 고려해서 적절히 조절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실내에 3개의 시트열을 구비하고, 2번째 시트열을 전후방향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3번째 시트열의 시트 쿠션의 배치 영역을 화물실로서 사용 가능하게 어레인지 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장치에 있어서, 3번째 시트열의 어레인지에 의해 화물실을 확장한 상태와 2번째 시트의 후방으로 큰 슬라이드에 의해 2번째 시트 전방의 공간을 크게 확장한 상태를 동시에 실현 가능한 구조를 제안할 수가 있다.

Claims (17)

  1. 차량에 있어서의 차실내에 설치되고 운전석 및 조수석을 포함한 1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1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2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3번째 시트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2번째 시트가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 뒤끝 부근에 있어서 대략 직립 한 상태에 있는 시트 백을 가지는 2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의 사이에서 차량 진행 방향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상기 3번째 시트가, 시트쿠션과 시트 백을 가지는 3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3번째 시트 부재를, 상기 시트 쿠션이 좌석면을 위 쪽을 향해서 대략 수평 상태에 있으며 또한 상기 시트 백이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부 근방에서 좌석면을 전방으로 향해서 대략 직립 상태로 있는 제1 상태와, 상기 시트 쿠션이 그 앞끝 근방을 중심으로해서 앞쪽에 대략 직립 상태까지 회전구동한 제2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가지고, 상기 3번째 시트 부재를 제2 상태로해서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 위치까지 슬라이드 시켰을 때, 상기 2번째 시트의 뒤면이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의 쿠션면에 실질적으로 따르도록 형성되고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백 후면에, 상기 3번째 시트 부재를 제2 상태로해서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 위치에 슬라이드 시켰을 때,상기 3번째 시트 부재에 있어서의 대략 직립 한 시트 쿠션이 끼워 맞춤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2번째 시트 부재가 상기 슬라이드 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된 앞쪽 플로어면과, 상기 3번째 시트 부재가 상기 지지 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된 뒤쪽 플로어면과, 상기 앞쪽 플로어면과 상기 뒤쪽 플로어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뒤쪽 플로어면이 상기 앞쪽 플로어면에 대해서 높게 되도록 구성된 단차부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가, 상기 앞쪽 플로어면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근방까지 연장하여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안내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바닥면이 상기 뒤쪽 플로어면의 높이 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2번째 시트 부재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적어도 뒤끝부가 상기 뒤쪽 플로어면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4. 상기 2번째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병렬해서 배치된 우측 시트와 좌측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쪽이든 한 쪽에,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쪽이든 한 쪽을 상기 좌우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분리된 상태와 차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인접한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좌우 시트에 미치는 차폭방향 길이가, 상기 차량의 차실내에 양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 하는 리어휠 하우스 안쪽사이의 길이 보다도 작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 및 상기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인접한 상태에서 리어휠 하우스 사이에 위치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가 전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좌우의 시트를 차폭방향으로 분리 한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가, 상기 3번째 시트 부재가 제2 상태로 있을때에 상기 3번째 시트부재의 시트백을 그 후 면을 위 쪽을 향해 상기 차량의 플로어 위에 앞이 엎드린 상태로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가 또한,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쿠션이 상기 앞끝 근방을 중심으로 앞쪽에 회전구동해서 상기 시트쿠션의 좌석면을 아래쪽을 향하여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제3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3번째 시트 부재를 지지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후단이, 상기 2번째 시트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제3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전방으로 위치하고, 상기 2번째 시트가 후방 위치에 있을때,제 3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후방에 위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8. 차량에 있어서의 차실내에 설치되고 운전석 및 조수석을 포함한 1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1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2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3번째 시트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2번째 시트가,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 뒤끝 부근에 있어서 대략 직립 한 상태에 있는 시트 백을 가지는 2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의 사이에서 차량 진행 방향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상기 3번째 시트가,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을 가지는 3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3번째 시트 부재를, 상기 시트 쿠션이 좌석면을 위 쪽을 향해서 대략 수평 상태로 있고 또한 상기 시트 백이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부 근방에서 좌석면을 전방으로 향해서 대략 직립 상태에 있는 제1 상태와, 상기 시트 쿠션이 그 앞끝 근방을 중심으로해서 전방으로 대략 직립 상태까지 회전구동한 제2 상태와,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이 상기 앞끝 근방을 중심으로해서 앞쪽에 회전구동해서 상기 시트 쿠션의 좌석면을 아래쪽으로 향하여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제3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가지고,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뒤끝이, 상기 2번째 시트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제3의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2번째 시트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제3의 상태로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9. 차량에 있어서의 차실내에 설치되고 운전석 및 조수석을 포함한 1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1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2번째 시트와, 차실내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3번째 시트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2번째 시트가,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 뒤끝 부근에 있어서 대략 직립 한 상태에 있는 시트 백을 가지는 2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의 사이에 차량 진행 방향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상기 3번째 시트가,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을 가지는 3번째 시트 부재와,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을, 상기 시트 쿠션의 좌석면을 위 쪽을 향해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착좌 상태와, 상기 시트 쿠션의 앞끝 근방에 설치된 회전구동축둘레에 전방으로 대략 직립 상태까지 회전구동한 직립 상태와, 상기 시트 쿠션의 상기 회전구동축둘레에 전방으로 회전구동해서 좌석면을 아래쪽을 향하여 대략 수평 상태에 있는 반전(反轉)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가지고, 상기 2번째 시트 부재의 뒤끝이, 상기 2번째 시트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반전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전방으로 위치 하고, 상기 2번째 시트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 반전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3번째 시트 부재의 시트 쿠션 앞끝 위치 보다도 후방에 위치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2번째 시트가 전방 위치에있고 또한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이 반전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 위치에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직립 상태로 이행 시키는 직립 수단이 설치되고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수단이,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상기 회전구동 축둘레에 후방으로 힘 붙임하는 스프링과, 상기 지지 기구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쿠션의 반전 상태와 직립 상태로 각각 대응해서 형성된 잘린부분을 가지는 캠과, 상기 시트 쿠션에 설치되고, 상기 각 잘린부분과 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춤 함으로써 상기 시트 쿠션을 상기 잘린부분에 대응해서 반전 상태와 직립 상태의 각각에 고정 가능한 걸어맞춤부와,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에의 슬라이드에 연동해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반전 상태로 대응한 잘린부분과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키는 동시에 직립 상태로 대응한 잘린부분과의 걸어맞춤을 실시하게 하는 연동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병렬해서 배치된 우측 시트와 좌측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이든 한 쪽에,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쪽이든 한 쪽을 상기 좌우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분리 한 상태와 차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인접한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좌우 시트에 미치는 차폭방향 길이가, 상기 차량의 차실내에 양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어, 휠 하우스 안쪽사이의 길이 보다도 작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 및 상기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인접한 상태에서 리어휠 하우스 사이에 위치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수단이,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상기 회전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2번째 시트의 후방에의 슬라이드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콘트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모터에 상기 시트 쿠션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병렬해서 배치된 우측 시트와 좌측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이든 한 쪽에,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이든 한 쪽을 상기 좌우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분리 한 상태와 차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인접한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좌우 시트에 미치는 차폭방향 길이가, 상기 차량의 차실내에 양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 하는 리어휠 하우스 안쪽사이의 길이 보다도 작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 및 상기 차폭방향이동 기구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인접한 상태에서 리어휠 하우스 사이에 위치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가 후방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이 직립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2번째 시트의 전방에의 슬라이드가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의 직립 상태를 유지한 채로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병렬해서 배치된 우측 시트와 좌측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이든 한 쪽에,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이든 한 쪽을 상기 좌우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분리 한 상태와 차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가 차폭 방향으로 인접한 상태로 있을때의 상기 좌우 시트에 미치는 차폭방향 길이가, 상기 차량의 차실내에 양쪽에서 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어휠 하우스 안쪽 사이의 길이보다도 작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 및 상기 차폭방향 이동기구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체로 인접한 상태에서 리어휠 하우스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가 후방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이 직립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2번째 시트의 전방에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3번째 시트의 시트 쿠션을 반전 상태로 이행시키는 반전 수단이 설치되고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2번째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략 병렬해서 배치된 우측 시트와 좌측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이든 한 쪽에,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이든 한 쪽을 상기 좌우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분리 한 상태와 차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 시트와 상기 좌측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인접한 상태로 있을 때의 상기 좌우 시트에 미치는 차폭방향 길이가, 상기 차량의 차실내에 양측에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어휠 하우스 안쪽사이의 길이 보다도 작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 및 상기 차폭방향 이동 기구가, 상기 2번째 시트 부재를 후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시트가 차폭방향으로 대체로 인접한 상태에서 리어휠 하우스 사이에 위치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장치.
KR10-2003-0011920A 2002-03-14 2003-02-26 차량용 시트 장치 KR20030074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70465 2002-03-14
JP2002070465A JP3870805B2 (ja) 2002-03-14 2002-03-14 車両用シート装置
JPJP-P-2002-00070527 2002-03-14
JP2002070527A JP3783638B2 (ja) 2002-03-14 2002-03-14 車両用シート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162A true KR20030074162A (ko) 2003-09-19

Family

ID=2776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920A KR20030074162A (ko) 2002-03-14 2003-02-26 차량용 시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17645B2 (ko)
EP (1) EP1344677A3 (ko)
KR (1) KR200300741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10089T2 (de) * 2000-08-17 2006-03-09 Intier Automotive Inc., Troy Verstaubare sitzeinheit mit zentraler schwenkachse
GB0120250D0 (en) * 2001-08-21 2001-10-10 Ford Global Tech Inc Vehicle seating
EP1491388A3 (en) * 2003-06-24 2005-10-1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lectrically foldable seat
FR2859672B1 (fr) * 2003-09-17 2006-12-2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iege escamotable incluant un dossier pouvant pivoter autour d'un axe mobile.
DE10353805B4 (de) * 2003-11-14 2013-07-04 Volkswagen Ag Kraftfahrzeugsitz mit Klappfunktion und Verstellmöglichkeit quer zur Fahrtrichtung
WO2006122351A1 (en) * 2005-05-19 2006-11-23 Telezygology Inc Tracks, power and data blocks and releasable fastening system
JP4673692B2 (ja) * 2005-07-19 2011-04-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電気機器の冷却構造
CA2647876A1 (en) * 2006-04-12 2007-10-18 Intier Automotive Inc. Fold flat seat assembly
US20070265754A1 (en) * 2006-05-09 2007-11-15 Curtis Bryce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seats in vehicles based upon cargo size
US7380859B2 (en) * 2006-06-28 2008-06-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rrangement
US7965170B2 (en) * 2006-07-14 2011-06-21 Lear Corporation Supervised and unsupervised seat folding
DE602007008466D1 (de) * 2006-12-28 2010-09-23 Tofas Turk Otomobil Fabrikasi Flexibles sitzsystem
US7644984B2 (en) * 2008-01-10 2010-01-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ide shield for motor vehicle seat assembly
US7954872B2 (en) * 2009-10-28 2011-06-07 Honda Motor Co., Ltd. Nesting seats for improved ingress/egress
JP5706143B2 (ja) * 2010-12-09 2015-04-22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
JP5613545B2 (ja) 2010-12-09 2014-10-22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
US9649957B2 (en) 2010-12-17 2017-05-1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cond row vehicle seat
US8894031B2 (en) 2011-03-17 2014-11-25 Honda Motor Co., Ltd. Se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DE102011107226A1 (de) 2011-07-13 2013-01-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tzanlage mit einer variablen Sitzbank
US8936295B2 (en) * 2011-11-05 2015-01-20 Bruno Independent Living Aids, Inc. Articulated seating system
DE102012007435B4 (de) 2012-04-13 2022-05-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m Fahrzeuginnenraum
US9211821B2 (en) * 2013-10-25 2015-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pinch system for vehicle seating
JP6547433B2 (ja) * 2015-06-12 2019-07-2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移動調整システム
KR102440505B1 (ko) * 2017-11-01 2022-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및 차량
DE102018215785B4 (de) * 2018-09-18 2023-07-20 Audi Ag Sitzsystem und Kraftfahrzeug
FR3102719B1 (fr) * 2019-10-30 2023-11-24 Faurecia Sieges Dautomobile Procédé de contrôle anticollisions des mouvements d’un siège dans un véhicule
US11731535B2 (en) 2020-11-09 2023-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care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772519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seat arrangement
US11772520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notification and adjustment of a passenger compartment arrangement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CN113147565A (zh) * 2021-04-26 2021-07-23 王渤 一种房车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6837A (en) * 1957-09-13 1960-10-18 Gen Motors Corp Seating arrangement for vehicle bodies
FR2707934B1 (fr) * 1993-07-22 1995-10-06 Peugeot Siège perfectionné pour véhicule automobile adaptable à la morphologie de l'occupant.
US5492386A (en) * 1994-05-04 1996-02-20 Ford Motor Company Flexible seating arrangement for a mini van
JP3468345B2 (ja) * 1998-01-09 2003-11-17 日産車体株式会社 シート装置
JP3849285B2 (ja) * 1998-02-26 2006-11-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US6696223B2 (en) * 1999-02-19 2004-02-24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erforming photolithography
JP2000264109A (ja) * 1999-03-12 2000-09-26 Takashimaya Nippatsu Kogyo Co Ltd 車両用リヤシート
FR2804912B1 (fr) * 2000-02-10 2002-05-1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ysteme d'agencement modulable des sieges dans un vehicule automobile
FR2804913B1 (fr) * 2000-02-10 2002-05-1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ysteme d'agencement modulable des sieges dans un vehicule automobile, notamment pour des sieges de premiere et deuxieme rangee
US6499787B2 (en) * 2000-07-26 2002-12-31 Lear Corporation Collapsible vehicle seat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4677A2 (en) 2003-09-17
US20030234551A1 (en) 2003-12-25
US6817645B2 (en) 2004-11-16
EP1344677A3 (en)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4162A (ko) 차량용 시트 장치
JP3400066B2 (ja) 自動車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432674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US10596927B2 (en) Vehicle seating assembly
JP5109543B2 (ja) 乗物用シート
JP6476033B2 (ja) 乗物用シート
JP378363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2025222A (ja) 車室内フロア構造
JP200706259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156872B2 (ja) 車両用座席群
JP2003146120A (ja) 自動車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048804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5481802B2 (ja) 車両用シート
JP3870805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S5911798Y2 (ja) 自動車用シ−ト
JP3140263B2 (ja) 格納式ヘッドレスト構造
JP415864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023425B2 (ja) 自動車
JPS5851065Y2 (ja) 座席装置
JP470639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5041378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24003230A (ja) 乗物用シート
JP4561161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78634B2 (ja) 車 両
JP2007055558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