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4612A - 자동승강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승강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4612A
KR20030054612A KR1020010084809A KR20010084809A KR20030054612A KR 20030054612 A KR20030054612 A KR 20030054612A KR 1020010084809 A KR1020010084809 A KR 1020010084809A KR 20010084809 A KR20010084809 A KR 20010084809A KR 20030054612 A KR20030054612 A KR 20030054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lower base
link
ball screw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594B1 (ko
Inventor
조성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이엔지
Priority to KR10-2001-008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5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62B2203/74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rolling mean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별도의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물품등을 자동적으로 승하강이동시킴과 아울러 반도체나 유리제품 등을 취급하는 클린룸에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승강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승강이송장치에 있어서,하부베이스와; 수평의 지지면을 가지고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하부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송물품이 적치되는 승강지지부재와; 상기 하부베이스와 상기 승강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부베이스에 대해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X링크유니트와; 상기 X링크유니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하부베이스 및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한쌍의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승강이송장치{a transitting apparatu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자동승강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승강이송장치는 소정의 이송물품을 제공받아 원하는 높이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자동승강이송장치에 적치되는 이송물품은 주로,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기가 곤란한, 예를 들어, 성형 직후의 뜨거운 유리제품이나, 혹은 정밀 검사를 요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승강이송장치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돌리게 되면, 그 회전력은 감속기를 통해 권취풀리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 권취풀리에는 일정한 길이의 와이어가 감겨지게 되며, 이 와이어의 일단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X자형 링크바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링크바의 상단에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정도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링크바의 상단에 승강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승강지지부재에 적치된 물품을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지속적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를 권취풀리에 감아주어야 함과 아울러 물품의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작업자가 손잡이를 원활하게 회전시킬수 없었다.
둘째, 승강지지부재에 일정치 이하의 하중, 즉 X자형 링크바가 승강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력 이하의 물품이 적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와이어를 감고있는 권취풀리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더라도 와이어는 원상태로 풀리지 않게 되며, 결국에는 작업자가 승강지지부재를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별도의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물품등을 자동적으로 승하강이동시킴과 아울러 반도체나 유리제품 등을 취급하는 클린룸에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승강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지지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자동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승강지지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승강지지부재가 하강된 상태의 도 1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승강지지부재가 상승된 상태의 도 2의 부분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부분 단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후의 설명>
10 : 이송장치본체13 : 이동용 손잡이
14 : 배터리15 : 구동모터
20 : 전달부30 : 하부베이스]
31 : 구름바퀴32 : 컨베이어프레임
33 : 원통형 로울러40 :제1가이드부재
50 : 승강지지부재52 : 난간부재
54 : 제2가이드부재60 :X 링크유니트
61 : 제1링크바아62 : 제2링크바아
63 : 제3링크바아64 : 제4링크바아
70 : 탄성지지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승강이송장치에 있어서,하부베이스와; 수평의 지지면을 가지고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하부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송물품이 적치되는 승강지지부재와; 상기 하부베이스와 상기 승강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부베이스에 대해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X링크유니트와; 상기 X링크유니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하부베이스 및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한쌍의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이송장치본체(10)와, 하부베이스(30)와, 하부베이스(30)의 상부에 하부베이스(3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송물품이 적치되는 승강지지부재(50)를 갖는다.
이송장치본체(10)는 하부베이스(30)와는 달리 기립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충격 완화용 범퍼(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송장치본체(10)의 상단에는 온오프스위치가 장착된 작동부(11)와, 작동부(11)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 및 승강이송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용 손잡이(13)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12)는 불빛의 점등에 의한 시각적인 방법과 알람 등과 같은 소리로 표시하는 청각적인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송장치본체(10) 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볼스크류(37)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와, 배터리(14)에 의해 온오프되는 구동모터(15)와, 구동모터(15)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5)의 회전속도를 일정한 비율로 감속하는 기어유니트(16)와, 기어유니트(16)로부터 회전력을 볼스크류(37)에 전달하는 전달부(20)를 갖는다.
전달부(20)는 기어유니트(16)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풀리(21)와, 볼스크류(37)에 결합되어 있는 피동풀리(22)와, 구동풀리(21) 및 피동풀리(22)를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벨트(23)를 포함한다. 이에, 배터리(14)에 의해 구동모터(15)에 작동되어 구동모터(15)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은 기어유니트(16)를 통해 일정 비율로 감소된 후, 구동풀리(21) 및 벨트(23)를 통해 피동풀리(22)로 전달되어 피동풀리(22)에 결합된 볼스크류(37)는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자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강지지부재(50)의 상하 이동을 위해 볼스크류(37)는 정역방향으로 모두 회전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구동모터(15)는 정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모터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승강지지부재(50)의 상하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스태핑모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승강지지부재(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X링크유니트(60)와 더불어 탄성지지부재(70)로 인해 승강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그 용량이 적은 배터리(14)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용량이 적은 배터리(14)는 반드시 납 축전지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승강이송장치는 클린룸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하부베이스(3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30a)이 형성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사각블럭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하부베이스(30)의 전방에는 충격 완화용 범퍼(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30)의 하단에는 자동승강이송장치를 구름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름바퀴(31)가 설치되어 있다.
각 구름바퀴(31)중, 후방에 배치된 후륜(31b)은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전방에 배치된 전륜(31a)은 회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에, 자동승강이송장치를 원하는 작업 공정으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자동승강이송장치를 멈춤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구름바퀴(31)의 구름 이동을 저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더 마련할 수 도 있다.
하부베이스(30)의 중앙 영역에는 하부베이스(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컨베이어프레임(32)이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프레임(32)은 하부베이스(30)의 양 자유단부에 하부베이스(3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스커트부(30b,30c)에 고정되어 있다.
컨베이어프레임(32)의 상면에는 이송물품을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원통형 로울러(33)가 마련되어 있다. 각 원통형 로울러(33)의 양단은 컨베이어프레임(32)의 대향한 양측벽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소정의 스토퍼(34)에 의해 컨베이어프레임(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컨베이어프레임(32)의 저부, 즉 하부베이스(30)의 수용공간(30a)내에는 하부베이스(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쌍의 스크루장착부(35)가 마련되어 있으며, 한쌍의 스크루 장착부(35)에는 볼스크류(3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볼스크류(37)에는 가동편(35)이 결합되어 있다. 가동편(35)은 볼스크류(37)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을 가지며, 볼스크류(37)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하부베이스(30)의 폭방향을 따라 볼스크류(37)의 양측에는 볼스크류(37)와 이격된 한쌍의 제1 가이드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재(40)는 하부베이스(30)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레일로드(40a)와, 제1레일로드(40a)와 상호 도브테일 형상으로 맞물려 제1 레일로드(40a)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가동편(38)에 연결되는 제1레일블럭(40b)을 갖는다.
하부베이스(30)로부터 승강 이동되는 승강지지부재(50)는 그 상면에 수평의 지지면(50a)을 갖는다. 그리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컨베이어프레임(32)보다 부피가 크게 형성된 사각블럭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후술할 X링크유니트(60)와 탄성지지부재(70)의 상호 작동에 의해 승강지지부재(50)가 하강되었을 경우, 승강지지부재(50)는 컨베이어프레임(32)을 덮게 된다.
승강지지부재(50)의 상면에는 승강지지부재(50)가 하강되었을 경우, 원통형로울러(33)의 일부분이 승강지지부재(50)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로울러노출공(50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지지부재(50)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이송물품은 노출된 원통형 로울러(33)에 의해 이동되어 승강지지부재(5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X링크유니트(60)와 탄성지지부재(70)에 의해 승강지지부재(50)가 상승되었을 경우, 이송물품 들은 승강지지부재(50)의 상부 지지면(50a)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지지부재(50)의 측부에는 승강지지부재(50)의 상면에 배치된 이송물품들이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난간부재(52)가 형성되어 있다. 난간부재(52)는 승강지지부재(50)의 측부로부터 연장된 가로부(52a)와, 가로부(52a)에 대해 상측으로 연장된 세로부(52b)와, 세로부(52b)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52c)를 갖는다. 세로부(52b)의 길이는 승강지지부재(5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승강지지부재(50)의 상면에 안착된 이송물품이 하방 낙하하는 것을 방지시킨다.
승강지지부재(50)의 내벽면에는 하부베이스(30)와 마찬가지로 한쌍의 제2 가이드부재(54)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재(54)는 승강지지부재(50)의 판면에고정되는 제2레일로드(54a)와, 제2레일로드(54a)와 상호 도브테일 형상으로 맞물려 제2레일로드(54a)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제2레일블럭(54b)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부재(54)는 전술한 제1가이드부재(40)와 마찬가지로 엘엠가이드(LM Guide)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승강지지부재(50)와 하부케이스(30) 사이에는 하부베이스(30)에 대해 승강지지부재(50)를 승강이동시키는 X링크유니트(60)와, X링크유니트(6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양단이 하부베이스(30) 및 승강지지부재(50)에 각각 고정되어 승강지지부재(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지지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X링크 유니트(60)는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X형상으로 링크결합되는 두쌍의 링크바아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쌍의 링크바아중,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한쌍의 링크바아를 각각 제1 및 제2 링크바아(61,62)로 하고, 대향측에 마련된 링크바아를 각각 제3 및 제4 링크바아(63,64)라 한다(도 2 참조).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의 일단(61a,63a)은 승강지지부재(50)에 마련된 힌지브래킷(55)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타단(61b,63b)은 제1 레일블럭(40b)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및 제4 링크바아(62,64)의 일단(62a,64a)은 승강지지부재(50)에 마련된 제2레일블럭(54b)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62b,64b)은 하부베이스(30)에 마련된 링크바아브래킷(4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탄성지지부재(70)는 단부가 하부베이스(30)에 마련된 제1실린더브래킷(43)에 힌지결합되며, 내부 압축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챔버(70b)를 갖는 실린더(7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피스톤(70c)과, 일단은 피스톤(70c)에 결합되고 타단은 승강지지부재(50)에 마련된 제2실린더브래킷(57)에 힌지결합되는 플런지(70d)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플런저(70d)는 챔버(70b)내에 충전된 압축가스의 힘은 승강지지부재(50)의 하중에 따른 힘과 상관관계를 갖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챔버(70b)내에 충전된 압축가스의 힘이 승강지지부재(50)의 하중에 따른 힘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강지지부재(50)가 상승될 경우, 플런저(70d)는 압축가스로 인해 실린더(70a)에 대해 길이가 연장된 상태를 갖는다(도 2 및 도 4참조).
그러나, 승강지지부재(50)가 하강할 경우, 승강지지부재(50)의 하중 및 구동모터(15)의 회전력에 의해 플런저(70d)는 실린더(70a)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그 길이가 축소된다(도 1 및 도 3 참조)
이러한 탄성지지부재(70)는 압축가스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플런저(70d)를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별도의 가스 압력을 공급하는 공급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자동승강이송장치는 반도체나 유리제품 등을 포함하는 이송물품을 다루는 클린룸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X링크유니트(60)가 구동하여 승강지지부재(50)를 최초 승강시키는 순간에는 배터리(14)에 의한 구동에너지에 의존하나, 그 이후 승강지지부재(50)의 상승이동은 X링크유니트(60)와 더불어 탄성지지부재(70)가 서포트한다. 따라서, 본 자동승강이송장치는 그 구동에너지를 현격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자동승강이송장치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승강지지부재(50)가 하강된 상태에서 이송물품이 적치되면, 이송물품들은 원통형 로울러(33)에 의해 이동하면서 승강지지부재(5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어, 승강지지부재(50)를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이송물품에 대한 검사 공정 등을 수행한다.
승강지지부재(50)를 높이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온오프스위치를 작동시켜 배터리(14)를 통해 구동모터(15)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모터(15)의 회전축이 회전한다. 구동모터(150의 회전력은 기어유니트(16)를 통해 일정비율로 감소된후, 구동풀리(21) 및 벨트(23)를 통해 피동풀리(22)로 전달되어 피동풀리(22)에 결합된 볼스크류(37)는 정위치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볼스크류(37)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볼스크류(37)에 결합되어 있는 가동편(38)이 볼스크류(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즉, 가동편(38)은 후륜(31b)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한쌍의 제1 레일블럭(40b)은 가동편(38)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동편(38)의 이동시 함께 후륜(31b)을 향해 이동한다.
볼스크류(37)에 의해 가동편(38)과 제1레일블럭(40b)이 후륜(31b)을 향해 일체로 이동하면, 제1레일블럭(40b)에 결합된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의 타단(61b,63b) 역시, 도 3의 상태에서 도 4의 상태와 같이, 후륜(31b)을 향해 회동한다.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의 일단(61a,63a)은 승강지지부재(50)의 힌지브래킷(55)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의 타단(61b,63b)이 이동함과 동시에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는 수평축선에 대해 그 각도가 커지면서 점차 세워지게 된다.
이때, 제2 및 제3 링크바아(62,64)의 일단(62a,64a)은 승강지지부재(50)에 마련된 제2레일블럭(54b)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및 제4 링크바아(62,64)의 일단(62a,64a)은 후륜(31b)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제2 및 제4 링크바아(62,64)의 타단(62b,64b)은 링크바아브래킷(41)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및 제4링크바아(62,64) 역시,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와 마찬가지로 점차 세워지면서 승강지지부재(5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처럼 구동모터(15)의 작동에 의한 볼스크류(37)의 회전에 의해 승강지지부재(50)가 상승될때, 탄성지지부재(70)의 플런저(70d)는 챔버(70b)내에 충전된 가스압에 의해 그 길이가 신장되면서 승강지지부재(50)의 상승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즉, 양단이 제1 및 제2 실린더브래킷(43,5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플런저(70d)의 길이 신장과 더불어 탄성지지부재(70)는 수평축선에 대해 각도가 커지면서 거의 세워지게 된다. 이로써, 승강지지부재(50)는 하부베이스(30)에 대해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다시 이송물품을 적치하기 위해 승강지지부재(50)를 하강시키기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온오프스위치를 작동시켜 배터리(14)를 통해 구동모터(15)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모터(15)의 회전축이 전술한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모터(15)의 회전력은 역시, 기어유니트(16)를 통해 일정비율로 감소된 후, 구동풀리(21) 및 벨트(23)를 통해 피동풀리(22)로 전달되어 피동풀리(22)에 결합된 볼스크류(37)는 정위치에서 전술한 타방향으로 회전한다.
볼스크류(37)가 회전하면, 볼스크류(37)에 결합되어 있는 가동편(38)이 볼스크류(37)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륜(31a)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한쌍의 제1레일블럭(40b)은 가동편(38)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동편(38)의 이동시 함께 전륜(31a)을 향해 이동된다.
볼스크류(37)에 의해 가동편(38)과 제1레일블럭(49b)이 후륜(31b)을 향해 일체로 이동하면, 제1 레일블럭(49b)에 결합된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의 타단(61b,63b) 역시, 도 4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와 같이, 전륜(31a)을 향해 이동한다.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의 일단(61a,63a)은 승강지지부재(50)의 힌지브래킷(55)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의 타단(61b,63b)이 이동함과 동시에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는 수평축선에 대해 그 각도가 작아지면서 점차 눕게 된다.
이때, 제2 및 제4 링크바아(62,64)의 일단(62a,64a)은 승강지지부재(50)에 마련된 제2레일블럭(54b)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및 제4 링크바아(62,64)의 타단(62a,64a) 또한 전륜(31a)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제2 및 제4링크바아(62,64)의 타단(62b,64b)은 링크바아브래킷(41)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및 제4 링크바아(62,64) 역시, 제1 및 제3 링크바아(61,63)와 마찬가지로 수평축선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면서 승강지지부재(5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처럼 구동모터(15)의 작동에 의한 볼스크류(37)의 회전에 의해 승강지지부재(50)가 하강될 때, 승강지지부재(50)의 하중에 의해 탄성지지부재(70)의 플런저70d)는 그 길이가 축소되면서 승강지지부재(50)의 하강 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때의 챔버(70b)내에 충전된 가스압은 수축된다.
결국, 양단이 제1 및 제2실린더브래킷(43,5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플런저(70d)의 길이 수축과 더불어 탄성지지부재(70)는 수평축선에 대해 눕게 된다. 이로써, 승강지지부재(50)는 하부베이스(30)에 대해 하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승강지지부재(50)를 지지하는 X링크유니트(60)와, X링크유니트(6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승강지지부재(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70)를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도 구동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터리(14)를 큰 용량이 아닌 소용량인 니켈카드뮴전지를 사용함으로써 반도체나 유리제품을 취급하는 클린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함으로써 승강지지부재에 적치된 물품을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지속적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를 권취풀리에 감아주어야 함과 아울러 물품의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작업자가 손잡이를 원활하게 회전시킬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승강지지부재에 일정치 이하의 하중, 즉 X자형 링크바가 승강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력 이하의 물품이 적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와이어를 감고있는 권취풀리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더라도 와이어는 원상태로 풀리지 않게되어 작업자가 승강지지부재를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한 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별도의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물품등을 자동적으로 승하강이동시킴과 아울러 반도체나 유리제품 등을 취급하는 클린룸에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된다.

Claims (6)

  1. 자동승강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부베이스와;
    수평의 지지면을 가지고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하부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송물품이 적치되는 승강지지부재와;
    상기 하부베이스와 상기 승강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부베이스에 대해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X링크유니트와;
    상기 X링크유니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하부베이스 및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한쌍의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승강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링크유니트와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승강지지부재가 상승되었을 때, 상기 승강지지부재의 중앙 수직축선에 대해 상호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승강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링크유니트를 승강 구동시키도록 상기 이송장치본체내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모터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X링크유니트와 결합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볼스크류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승강이송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X링크유니트는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X형상으로 링크결합되는 한쌍의 링크바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승강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바의 일단은 각각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승강이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부베이스에 힌지 결합되며, 내부에 압축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챔버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며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일단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승강이송장치.
KR10-2001-0084809A 2001-12-26 2001-12-26 자동승강이송장치 KR100421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809A KR100421594B1 (ko) 2001-12-26 2001-12-26 자동승강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809A KR100421594B1 (ko) 2001-12-26 2001-12-26 자동승강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612A true KR20030054612A (ko) 2003-07-02
KR100421594B1 KR100421594B1 (ko) 2004-03-11

Family

ID=3221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809A KR100421594B1 (ko) 2001-12-26 2001-12-26 자동승강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59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6106A (zh) * 2014-11-14 2015-03-04 青岛昌盛日电太阳能科技有限公司 光伏层叠组件周转车
KR20160063830A (ko) * 2014-11-27 2016-06-07 고광민 자동 이송대차
KR20160109267A (ko) * 2015-03-10 2016-09-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인입출용 이송대차
KR101664340B1 (ko) * 2015-04-14 2016-10-12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에너지저장 컨테이너
CN108723212A (zh) * 2018-07-08 2018-11-02 湖州吉弘机械有限公司 一种模具移位装置
CN108791381A (zh) * 2018-07-21 2018-11-13 梅尔伯格保定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动物尸体转运车
CN110435738A (zh) * 2019-07-30 2019-11-12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一种带升降和缓冲保护的试验仪器手推车及其工作方法
CN113264095A (zh) * 2021-05-25 2021-08-17 广州纵横同舟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型玻璃加工制造设备
CN114261768A (zh) * 2021-12-15 2022-04-01 山西百澳智能玻璃股份有限公司 一种中空玻璃防破碎运输架
CN115946753A (zh) * 2022-11-29 2023-04-11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用于发电机的转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690B1 (ko) 2014-03-13 2014-06-17 김백일 판재 이송용 대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37A (ja) * 1992-06-26 1994-01-18 Toshiba Ceramics Co Ltd 運搬台車
JP3051402B1 (ja) * 1999-03-30 2000-06-12 株式会社オフィスイチマルハチ 柩用台車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6106A (zh) * 2014-11-14 2015-03-04 青岛昌盛日电太阳能科技有限公司 光伏层叠组件周转车
KR20160063830A (ko) * 2014-11-27 2016-06-07 고광민 자동 이송대차
KR20160109267A (ko) * 2015-03-10 2016-09-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인입출용 이송대차
KR101664340B1 (ko) * 2015-04-14 2016-10-12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에너지저장 컨테이너
CN108723212A (zh) * 2018-07-08 2018-11-02 湖州吉弘机械有限公司 一种模具移位装置
CN108791381A (zh) * 2018-07-21 2018-11-13 梅尔伯格保定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动物尸体转运车
CN108791381B (zh) * 2018-07-21 2024-02-20 梅尔伯格保定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动物尸体转运车
CN110435738A (zh) * 2019-07-30 2019-11-12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一种带升降和缓冲保护的试验仪器手推车及其工作方法
CN113264095A (zh) * 2021-05-25 2021-08-17 广州纵横同舟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型玻璃加工制造设备
CN114261768A (zh) * 2021-12-15 2022-04-01 山西百澳智能玻璃股份有限公司 一种中空玻璃防破碎运输架
CN115946753A (zh) * 2022-11-29 2023-04-11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用于发电机的转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1594B1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91990B (zh) 升降装置及抹灰设备
KR100421594B1 (ko) 자동승강이송장치
US20210292110A1 (en)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and packag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US6113336A (en) Warehousing system having a conveying device for transferring articles between two levels of a multistory building
CN108996233B (zh) 软托盘智能码垛***
US8306706B2 (en)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WO2022134893A1 (zh) 升降装置及搬运机器人
KR20170106811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CN110712793A (zh) 一种自适应式自动装箱设备及其装箱方法
CN211309189U (zh) 翻托装置
CN106426151B (zh) 一种z轴行走机构及带有重力平衡机构的机械手
KR20170106943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CN111703793B (zh) 一种智能存取***
CN106348009B (zh) 一种栈板抓取机构及能抓取栈板的机械手
CN110228678B (zh) 一种主动补偿式视觉对正堆垛机器人的对正补偿方法
CN110155856B (zh) 安葬工作***及运载平台对位方法
CN111908114A (zh) 一种搬运晶圆盒货架的转运设备
CN113697493B (zh) 一种袋装物料搬运输送装置
CN213293966U (zh) 一种用于转移晶圆盒货架的搬运设备
CN112079126A (zh) 一种加气混凝土制品的掰分输送方法及掰分输送装置
CN110386466B (zh) 一种酒瓶卸垛装置
CN210102843U (zh) 一种自动落料的升降装置
CN111362154A (zh) 一种可调节宽度距离的建筑材料升降输送机
CN211732789U (zh) 一种烟草输送设备
CN212314888U (zh) 一种加气混凝土制品的掰分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