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601Y1 -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601Y1
KR200294601Y1 KR2020020024483U KR20020024483U KR200294601Y1 KR 200294601 Y1 KR200294601 Y1 KR 200294601Y1 KR 2020020024483 U KR2020020024483 U KR 2020020024483U KR 20020024483 U KR20020024483 U KR 20020024483U KR 200294601 Y1 KR200294601 Y1 KR 200294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re wire
crimp
terminal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현
Original Assignee
거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영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거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4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601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용되는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의 플러그삽입구멍(32)의 바닥면(32a)에 리드핀(22)(24)이 관통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후면벽(34)의 좌우측에 형성된 수직절개홈(35a)(35b)에 의해 전후로 탄성력을 갖고, 그 후면벽(34)에 장방형의 걸림구멍(34a)(34b)이 형성되며, 전면벽(36)에는 위치결정용 절개홈(36a)이 형성된 소켓(30)과; 소켓(30)에 형성된 수직절개홈(35a)(35b)과 위치결정용 절개홈(36a)에 끼워져 결합되는 리브(42)(43)(44)가 전후면에 형성되고, 걸림구멍(34a)(34b)에 걸리는 일방향성 걸림돌기(45a)(45b)가 후면에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리드핀(22)(24)과 중심이 일치되는 단자삽입구멍(46)(48)과 핀구멍(46a)(48a)이 형성되고, 이 단자삽입구멍(46)(48)의 벽면에 안팎으로 관통된 걸림턱(46b)(48b)이 형성된 플러그(40)와; 플러그(40)의 단자삽입구멍(46)(48)으로 삽입되어 걸림턱(46b)(48b)에 걸리는 탄성걸림편(52)이 형성되고, 리드핀(22)(24)과 접촉하는 탄성접속부(54)가 선단에 형성되며, 전선(60)의 심선(62)과 피복부(64)에 각각 물리기 위한 심선압착부(56)와 피복압착부(58)가 중간부분과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압착단자(5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Power connector for soldering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고안은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용되는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와 소켓을 맞물림 구조로 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압착단자의 심선압착부와 피복압착부를 크게 하면서 동시에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여 보다 큰 굵기의 전선을 물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류용량을 증대시키는데 적합하도록 한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암수로 분리된 플러그와 소켓, 압착단자, 리드핀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 플러그와 소켓을 서로를 결합시킴으로써 압착단자와 리드핀이전기적인 통전 상태를 이루는 것으로, 전자기기의 내부를 구성하는 각부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제품검사나 수리 시에 분해/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보통 플러그는 전선 끝에 물리고, 소켓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된 상태로 사용되고, 신호용 커넥터와 전원용 커넥터는 전류용량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리드핀의 굵기 및 피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생산된다.
여기서 특히,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납땜된 상태로 사용되는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는 대전류를 흘리기 때문에 접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야 되며, 전선을 물리는 부분도 견고하면서 보다 큰 굵기의 전선을 물릴 수 있도록 함이 전자기기에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는데 이롭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판실장용 커넥터는 플러그와 소켓이 리드핀과 압착단자의 마찰력에만 의지하여 결합력을 유지하거나 플러그와 소켓의 억지끼움에 의해서만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플러그와 소켓이 리드핀과 압착단자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된 경우에는 외부의 진동에 의해 플러그와 소켓이 매우 쉽게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플러그와 소켓이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된 경우에는 분리/결합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커넥터나 인쇄회로기판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에서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했을 때 실질적인 통전은 소켓에 설치된 리드핀과 플러그에 삽입된 압착단자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압착단자를 전선에 물리기 위해서는 전선의 말단부 피복을 스트리퍼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서 벗겨내어 심선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압착단자에 전선의 박피된 부분을 올려놓고, 압착공구를 이용해서 압착단자의 심선압착부와 피복압착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전선의 심선과 피복부에 물리도록 하여 전선과 압착단자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때 심선압착부는 전선의 심선과 통전되고, 피복압착부는 전선의 피복부와 결합되어 결합력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특히 심선압착부와 전선의 심선 접촉면적을 넓게 할수록 접촉부위에서의 전기저항을 줄여서 보다 큰 전류를 흘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는 전선에 물리는 압착단자의 구조가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그 크기를 작게 할 수밖에 없어서 작은 굵기의 전선을 물릴 수 밖에 없어서 전류용량을 증대시키는데 제한이 있었다.
즉, 종래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는 심선압착부가 단순히 "U"자 모양으로 절곡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 폭을 크게 하는 경우 절곡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강한 인장력이 작용되는 경우 심선압착부의 마찰면이 평평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의 심선이 압착단자의 심선압착부로부터 미끄러져서 빠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는 압착단자의 심선압착부와 피복압착부의 끝 부분이 날카롭지 못하고 면취된 형태로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보다 큰 굵기의 전선을 물리기 위해 그 길이를 연장시키는 경우 작은 굵기의 전선은 물리지 못하기 때문에 전선의 크리별로 각기 다른 압착단자를 준비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길이가 연장된 심선압착부와 피복압착부를 갖는 압착단자를 이용해서 작은 굵기의 전선을 물리는 경우 압착공구를 이용해서 심선압착부와 피복압착부를 절곡하게 되면, 심선압착부와 피복압착부가 내측으로 둥글게 절곡된 상태에서 그 끝 부분끼리 간섭하여 강하게 버티기 때문에 더 이상 절곡되지 못하고 전선의 심선 및 피복부와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서 압착단자를 전선의 굵기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로 생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커넥터의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분리/결합이 용이하고, 압착단자와 전선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압착단자와 리드핀간의 통전면적을 증대시켜 전류용량의 증대를 꾀하고, 다양한 크기의 전선을 물릴 수 있으며, 압착단자와 전선의 통전면적을 증대시켜서 전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플러그삽입구멍이 형성되고, 그 플러그삽입구멍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리드핀이 상하로 관통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후면벽의 좌우측에 형성된 수직절개홈에 의해 전후로 탄성력을 갖고, 그 후면벽에 장방형의 걸림구멍이 형성되며, 전면벽에는 위치결정용 절개홈이 형성된 소켓과, 소켓에 형성된 수직절개홈과 위치결정용 절개홈에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리브가 전후면에 형성되고, 걸림구멍에 걸리는 일방향성 걸림돌기가 후면에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리드핀과 중심이 일치되는 단자삽입구멍과핀구멍이 형성되고, 이 단자삽입구멍의 벽면에 안팎으로 관통된 걸림턱이 형성된 플러그와, 플러그의 단자삽입구멍으로 삽입되어 걸림턱에 걸리는 탄성걸림편이 형성되고, 리드핀과 접촉하는 탄성접속부가 선단에 형성되며, 전선의 심선과 피복부에 각각 물리기 위한 심선압착부와 피복압착부가 중간부분과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압착단자로 구성하여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정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배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에서 압착단자의 구조를 보인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에서 압착단자의 구조를 보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2,24 : 리드핀 32 : 플러그삽입구멍
30 : 소켓 32a : 바닥면
34 : 후면벽 34a,34b : 걸림구멍
35a,35b : 수직절개홈 36 : 전면벽
36a : 위치결정용 절개홈 40 : 플러그
42,43,44 : 리브 45a,45b : 일방향성 걸림돌기
46,48 : 단자삽입구멍 46a,48a : 핀구멍
46b,48b : 걸림턱 49 : 플랜지부
50 : 압착단자 52 : 탄성걸림편
54 : 탄성접속부 56 : 심선압착부
58 : 피복압착부 53,55 : 측벽
53a,55a : 측면접촉부 56a,56b : 절개구멍
56e,58e : 에지부 60 : 전선
62 : 심선 64 : 피복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인쇄회로기판(100)에 납땜되는 소켓(30)과, 전선(60)과 연결되어 소켓(30)으로 삽입되는 플러그(40)와, 전선(60)에 물려서 전선(60)과 플러그(40)를 매개하는 압착단자(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소켓(30)은 일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플러그삽입구멍(32)이 형성되고, 그 플러그삽입구멍(32)의 바닥면(32a)에는 복수의 리드핀(22)(24)이 상하로 관통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후면벽(34)의 좌우측에 형성된 수직절개홈(35a)(35b)에 의해 전후로 탄성력을 갖고, 그 후면벽(34)에 장방형의 걸림구멍(34a)(34b)이 형성되며, 전면벽(36)에는 위치결정용 절개홈(36a)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40)는 소켓(30)에 형성된 수직절개홈(35a)(35b)과 위치결정용 절개홈(36a)에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리브(42)(43)(44)가 전후면에 형성되고, 걸림구멍(34a)(34b)에 걸리는 일방향성 걸림돌기(45a)(45b)가 후면에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리드핀(22)(24)과 중심이 일치되는 단자삽입구멍(46)(48)과핀구멍(46a)(48a)이 형성되고, 이 단자삽입구멍(46)(48)의 벽면에 안팎으로 관통된 걸림턱(46b)(48b)이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4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부(49)를 형성하여 손으로 잡고 플러그(40)를 소켓(30)으로부터 분리할 때 손가락이 플러그(4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압착단자(50)는 플러그(40)의 단자삽입구멍(46)(48)으로 삽입되어 걸림턱(46b)(48b)에 걸리는 탄성걸림편(52)이 형성되고, 리드핀(22)(24)과 접촉하는 탄성접속부(54)가 선단에 형성되며, 전선(60)의 심선(62)과 피복부(64)에 각각 물리기 위한 심선압착부(56)와 피복압착부(58)가 중간부분과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접속부(54)는 전체적인 단면구조가 "U"자 형으로 구성되며, 그 상단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서 형성된 절곡편(54a)(54b)이 형성되어 리드핀(22)(24)에 물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단자(50)의 탄성접속부(54) 측벽(53)(55)에 예컨대, 원호형의 측면접촉부(53a)(55a)를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하여 리드핀(22)(24)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압착단자(50)와 리드핀(22)(24)간의 통전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압착단자(50)의 심선압착부(56) 중앙에 복수의 절개구멍(56a)(56b)을 형성하여 이 심선압착부(56)와 전선(60)의 심선(62)을 물렸을 때 심선(62)의 중간 중간이 절개구멍(56a)(56b)을 통해 약간 돌출되면서 걸리도록 하여 압착단자(50)와전선(60)의 길이방향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압착단자(50)의 심선압착부(56)와 피복압착부(58) 가장자리에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에지부(56e)(58e)를 각각 형성하여 이에 물리는 전선(60)의 굵기에 따라 에지부(56e)(58e)가 내측으로 더 절곡되도록 구성하였다.
즉, 에지부(56e)(58e)는 전선(60)의 굵기가 규정보다 작으면 에지부(56e)(58e)가 약하고 날카롭기 때문에 전선(60)의 심선(62)과 압착단자(50)의 심선압착부(56), 전선(60)의 피복부(64)와 압착단자(50)의 피복압착부(58)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면, 압착력에 의해 에지부(56e)(58e)가 다시 한번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틈새를 없애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삽입구멍(46)(48)의 내측 벽면에는 상단부로부터 하측의 걸림턱(46b)(48b)까지 수직으로 이어지는 사각의 수직홈(46g)(48g)을 형성하여 압착단자(50)를 플러그(40)의 단자삽입구멍(46)(48)으로 삽입할 때 이 압착단자(50)로부터 약간 돌출된 탄성걸림편(52)이 간섭을 받지 않고 안내하도록 구성하였다.
도3 및 도4의 도면중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부호 51은 압착단자(50)의 프레스 타발가공 중에 금형에서의 소재 이송을 위한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이것은 타발 가공 후 잘라버리거나 사용할 때 잘라버리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의 일부가 벚겨져서 심선(62)이 외부로 노출된 전선(60)의 심선(62)과 피복부(64)를 압착단자(50)에 형성된 심선압착부(56)와 피복압착부(58)에 올려놓고 압착공구나 기타의 압착수단을 이용해서 심선압착부(56)와 피복압착부(58)를 안쪽으로 둥글게 오므리게 되면, 이 심선압착부(56)는 전선(60)의 심선(62)을 물게 되고, 피복압착부(58)는 전선(60)의 피복부(64)를 물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60)과 압착단자(5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 압착단자(50)의 탄성접속부(54)를 선두로해서 플러그(40)의 단자삽입구멍(46)(48)으로 압착단자(50)를 깊숙하게 삽입하게 되면, 이 압착단자(50)가 단자삽입구멍(46)(48)의 바닥면에 이르는 순간 플러그(4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46b)(48b)에 압착단자(50)의 탄성걸림편(52)이 걸리면서 반대방향으로 빠질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즉,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단자(50)에 형성된 탄성걸림편(52)은 일방향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플러그(40)의 단자삽입구멍(46)(48)으로 삽입될 때에는 구멍의 내면을 타고 미끄러지다가 걸림턱(46b)(48b)을 만나게 되면,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걸림턱(46b)(48b)에 걸리게 된다.
또, 전선(60)의 굵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심선(62)의 굵기도 작게 되는데, 이때는 압착공구에 의해 압착단자(50)의 심선압착부(56)와 피복압착부(58)가 궁글게 말리는 과정에서 이들의 끝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에지부(56e)(58e)가 압착력에 의해 다시 안쪽으로 휘말리면서 전선(60)의 심선(62)과 피복부(64)와의 틈새를 없애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심선압착부(56)에 형성된 절개구멍(56a)(56b)은 압착된 심선(62)의 일부가 이 절개구멍(56a)(56b)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하여 걸리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전선(60)에 길리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되는 경우 압착단자(50)와 전선(60)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소켓(30)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리드핀(22)(24)을 인쇄회로기판(100)에 납땜한 상태에서 전선(60)과 결합되어 있는 압착단자(50)가 삽입된 플러그(40)를 소켓(30)의 안쪽 플러그삽입구멍(32)으로 삽입하게 되면, 이 플러그(40)의 앞면과 후면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리브(42)(43)(44)가 소켓(30)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절개홈(35a)(35b)과 위치결정용 절개홈(36a)에 일치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플러그(40)에 형성되어 있는 핀구멍(46a)(48a)과 리드핀(22)(24)도 일치되면서 리드핀(22)(24)이 핀구멍(46a)(48a)으로 삽입된다.
이때 플러그(4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리드핀(22)(24)은 이 플러그(40)에 삽입되어 있는 압착단자(50)의 탄성접속부(54)에 삽입되면서 접촉되어 통전 가능한 상태로 되며, 플러그(40)가 소켓(30)의 바닥면(32a)에 완전히 밀착되는 순간 플러그(4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성 걸림돌기(45a)(45b)가 소켓(30)의 후면벽(3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34a)(34b)에 걸려서 반대방향으로 빠질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 과정에서 플러그(40)가 소켓(30)에 삽입될 때에는 소켓(30)의 후면벽(34)이 플러그(40)에 형성된 일방향성 걸림돌기(45a)(45b)에 의해 후방측으로 약간 밀리면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일방향성 걸림돌기(45a)(45b)가 걸림구멍(34a)(34b)에 이르는 순간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일방향성 걸림돌기(45a)(45b)가 걸림구멍(34a)(34b)에 걸리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소켓(30)에 형성되어 있는 후면벽(34)을 휘어서 후면벽(34)과 플러그(40) 사이의 틈을 강제로 벌리지 않는 이상 플러그(40)는 일방향성 걸림돌기(45a)(45b)에 의해 소켓(30)에 걸린 상태로 있게 되기 때문에 소켓(30)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플러그와 소켓이 이들에 각기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성 걸림돌기와 걸림구멍의 만남에 의해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갖게 되며, 분리할 때에는 소켓에 형성된 후면벽을 약간 뒤로 휜 상태에서 플러그를 잡아 뽑으면 되고, 삽입할 때에는 플러그와 소켓이 헐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미는 힘만으로도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되고, 압착단자의 심선압착부에 전선의 심선이 약간 돌출되어 걸리도록 하는 절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착단자와 전선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압착단자의 심선압착부와 피복압착부의 끝 부분에 날카로운 에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의 직경이 규정보다 작은 경우 이 에지부가 압착력에 의해 더 안쪽으로 휘말리면서 전선의 심선과 피복부와 압착단자의 심선압착부와 피복압착부 간의 틈새를 없애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직경을 갖는 전선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심선압착부와 피복압착부의 길이를 연장하게 되면, 더 큰 전류를 흘릴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플러그삽입구멍(32)이 형성되고, 그 플러그삽입구멍(32)의 바닥면(32a)에는 복수의 리드핀(22)(24)이 상하로 관통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후면벽(34)의 좌우측에 형성된 수직절개홈(35a)(35b)에 의해 전후로 탄성력을 갖고, 그 후면벽(34)에 장방형의 걸림구멍(34a)(34b)이 형성되며, 전면벽(36)에는 위치결정용 절개홈(36a)이 형성된 소켓(30);
    상기 소켓(30)에 형성된 수직절개홈(35a)(35b)과 위치결정용 절개홈(36a)에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리브(42)(43)(44)가 전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멍(34a)(34b)에 걸리는 일방향성 걸림돌기(45a)(45b)가 후면에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리드핀(22)(24)과 중심이 일치되는 단자삽입구멍(46)(48)과 핀구멍(46a)(48a)이 형성되고, 이 단자삽입구멍(46)(48)의 벽면에 안팎으로 관통된 걸림턱(46b)(48b)이 형성된 플러그(40);
    상기 플러그(40)의 단자삽입구멍(46)(48)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46b)(48b)에 걸리는 탄성걸림편(52)이 형성되고, 상기 리드핀(22)(24)과 접촉하는 탄성접속부(54)가 선단에 형성되며, 전선(60)의 심선(62)과 피복부(64)에 각각 물리기 위한 심선압착부(56)와 피복압착부(58)가 중간부분과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압착단자(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부(49)가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자(50)의 탄성접속부(54) 측벽(53)(55)에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리드핀(22)(24)의 측면에 접촉하여 통전되는 측면접촉부(53a)(55a)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자(50)의 심선압착부(56) 중앙에 복수의 절개구멍(56a)(56b)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자(50)의 심선압착부(56) 가장자리에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에지부(56e)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자(50)의 피복압착부(58) 가장자리에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에지부(58e)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KR2020020024483U 2002-08-16 2002-08-16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KR200294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483U KR200294601Y1 (ko) 2002-08-16 2002-08-16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483U KR200294601Y1 (ko) 2002-08-16 2002-08-16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601Y1 true KR200294601Y1 (ko) 2002-11-08

Family

ID=7312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483U KR200294601Y1 (ko) 2002-08-16 2002-08-16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6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563B1 (ko) * 2005-05-14 2007-06-1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초소형 정밀 커넥터
KR101407664B1 (ko) 2014-02-13 2014-06-13 태성전장주식회사 프레스핏 핀을 이용한 전류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563B1 (ko) * 2005-05-14 2007-06-1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초소형 정밀 커넥터
KR101407664B1 (ko) 2014-02-13 2014-06-13 태성전장주식회사 프레스핏 핀을 이용한 전류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1611C (en) Plug contact
US10665970B2 (en) Plug-in contact
WO2014087977A1 (ja) 雌端子
JPH06203929A (ja) 電気コネクタ
JP2015056209A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KR100359465B1 (ko) 전기터미날
JP6931223B2 (ja)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3965380B2 (ja) オス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オスコネクタ
US9496629B2 (en) Structure of socket contact
JP2005294217A (ja) 圧接型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04055485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04152594A (ja) 電気端子
US6475019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connector
KR200294601Y1 (ko)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JP2001257022A (ja) コネクタ
CN105048139A (zh) 电线用连接器
JP6651393B2 (ja) 圧接コンタクト及び圧接コネクタ
KR101456806B1 (ko) 커넥터 구조
JP2601193Y2 (ja) 差込形接続端子
JPH11121108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10116658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2025673A (ja) 接続端子
TWI721615B (zh) 電連接器
KR200447572Y1 (ko) 소켓 단자
JP3055808U (ja) 多角度に組み合わせ可能な電気の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