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673Y1 -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 - Google Patents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673Y1
KR200272673Y1 KR2020020001233U KR20020001233U KR200272673Y1 KR 200272673 Y1 KR200272673 Y1 KR 200272673Y1 KR 2020020001233 U KR2020020001233 U KR 2020020001233U KR 20020001233 U KR20020001233 U KR 20020001233U KR 200272673 Y1 KR200272673 Y1 KR 200272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acrylic
ink receiving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2020020001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6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673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에 관한 것으로, PVC 발포판재, 아크릴 판재, 경질 PVC 판재 중 하나로 구성된 패널층(100)과; 아크릴계나 우레탄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팅용 접착제로 형성되며 5∼20㎛ 정도의 두께로 상기 패널층(100)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110)과; 피브이에이(PVA)수지, 우레탄(URETHANE)수지, 아크릴(ACRYL)수지, 피브이피(PVP)수지, 이브이에이(EVA)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수지액에 희석제, 경화제 그리고 습윤제가 첨가되어 20∼50㎛ 정도의 두께로 상기 접착층(110) 상면에 형성된 잉크수용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판재 표면에 잉크 수용층을 고착화 하여 수성잉크를 사용하여 패널에 직접 실사인쇄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synthetic resin pannel for printing}
본 고안은 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판재의 상면에 잉크 수용층을 형성시킴에 의해 잉크를 사용하여 판재 상면에 실사인쇄가 가능한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성형됨 PVC폼, 아크릴 경질 PVC패널 등의 합성수지 패널인 경우 패널자체가 광고용으로 사용된다. 광고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패널의 표면에 특별한 문양을 형성시켜야 하는 바, 문양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솔벤트(solvent)잉크를 사용하여 별도의 스프레이(spray)도공 등을 거쳐 잉크흡수층을 형성한 다음에 실사인쇄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은 고열건조를 하여야 하는 바, 고열건조시 뒤틀림, 휨 현상등이 발생되며, 스프레이 도공공정에서 용제 휘발 및 분진등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른 종래기술로는 잉크수용층이 형성된 시트에 실사인쇄를 선행하고 상기 시트를 합성수지 판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바, 상기의 종래기술은 시트를 합성수지 판재에 부착시키는 합지(부착)롤이 필요하며, 부착작업시 센터링(centering), 주름, 기포, 인쇄면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부착 후에도 패널과 시트의 상이한 열팽창 계수로 인하여 부착이 떨어지거나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합성수지판재 표면에 잉크 수용층을 고착화 하여 수성잉크를 사용하여 패널에 직접 실사인쇄가 가능하게 하는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고안에 따른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의 구성도.
도2 - 제조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패널층 110 : 접착층
120 : 잉크수용층 130 : 보호필름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PVC 발포판재, 아크릴 판재, 경질 PVC 판재 중 하나로 구성된 패널층과; 아크릴계나 우레탄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팅용 접착제로 형성되며 5∼20㎛ 정도의 두께로 상기 패널층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과;
피브이에이(PVA)수지, 우레탄(URETHANE)수지, 아크릴(ACRYL)수지, 피브이피(PVP)수지, 이브이에이(EVA)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수지액에 희석제, 경화제 그리고 습윤제가 첨가되어 20∼50㎛ 정도의 두께로 상기 접착층 상면에형성된 잉크수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잉크수용층의 상면에는 표면장력이 20dyne/cm∼45dyne/cm 되는 표면특성을 가진 필름이나 종이 중 하나로 구성된 보호필름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잉크수용층은 실리카, 축광안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판재 표면에 잉크 수용층을 고착화 하여 수성잉크를 사용하여 패널에 직접 실사인쇄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의 구성도이며, 도2는 제조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는 패널층(100)과, 접착층(110)과, 잉크수용층(120)과, 보호필름층(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층(100)은 연속생산이 가능하고 광고자재로써 빈번히 사용되는 PVC 발포판재, 아크릴판재, 경질 PVC 판재등이 사용되며, 상기 패널층(100)의 상면에 접착층(110), 잉크수용층(120), 보호필름층(130)이 적층된 형태로 형성된다.
보호필름층(13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보호필름층(130)으로 사용되는 재질이 선택 되어야만 하는 바, 보호필름층(130)의 재질은 필름 또는 종이가 사용된다.
보호필름층(130)에 사용되는 필름은 PET, PI(Poly Imide), PP(PolyProphylene) 등이 사용되며, 표면장력이 20dyne/cm∼45dyne/cm 정도 되는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의 표면에는 코팅처리를 하는 바,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코팅처리는 난 실리콘(non silicon)계 이형제를 이용하여 코팅된다.
상기 보호필름층(130)의 일면에는 잉크수용층(120)이 형성되는 바, 잉크수용층(120)의 형성은 피브이에이(PVA)수지, 우레탄(URETHANE)수지, 아크릴(ACRYL)수지, 피브이피(PVP)수지, 이브이에이(EVA)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수지액에 희석제, 경화제 그리고 습윤제 및 필요에 따라서는 실리카 또는 축광안료를 더 첨가하여 20∼50㎛ 정도의 두께로 형성시킨다.
상기 잉크수용층(120)의 형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고형분 38중량%인 우레탄 액상수지 20∼25중량%와, 고형분 15중량%인 피브이에이(PVA) 액상수지 20∼25중량%와, 고형분 40중량%인 피브이피(PVP) 액상수지 3∼5중량%로 구성된 베이스수지를 형성시켜, 상기 베이스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 0.03중량%, 메탄올(MEOH) 또는 IPA (Isophthalic acid) 등의 희석제 35∼49중량%, 난 실리콘(NON Silicon) 계통의 습윤제 0.02중량%, 입경 1∼8㎛의 실리카 8∼10중량% 또는 세라믹계통의 축광안료 10∼15중량%를 혼합하여 잉크수용제를 형성시킨다.
잉크수용제가 형성되면 상기 잉크수용제를 상기 보호필름층(130)에 도공시킨다. 도공방법은 나이프코터나, 메이어바코터, 롤코터등으로 도공이 가능하며 건조 된 후 약 20∼50㎛ 정도 되도록 도공시킨다. 잉크수용제가 도공되면 상기 보호필름층(130)에 형성된 잉크수용제를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는 약 120℃ 정도의 온도에서 건조시킨다. 건조가 되면 보호필름층(130)의 일면에 잉크수용층(12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잉크수용층(120)이 형성된 보호필름층(130)을 일시적으로 권취시켜 둔다.
다음은 접착층(110)의 형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접착층(110)의 형성은 박리가 용이하도록 표면에 실리콘 코팅처리가 된 필름(또는 종이)를 이용하여 실리콘 코팅처리가 된 면에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등의 드라이 라미네이팅(Dry Laminating)용 접착제를 소정 두께 도공시킨다. 도공 두께는 건조 후 약 5∼20㎛정도가 되도록 한다. 접착제가 도공된 후 100℃의 온도로 건조시킨다.
상기의 상태가 되면 접착층(110)이 완성된 상태가 된다.
다음은 상기 접착층(110) 및 잉크수용층(120) 그리고 보호필름층(130)을 패널층(100)의 상면에 합포 시켜야 하는 바, 먼저 접착층(110) 및 잉크수용층(120)이 합포된다.
접착층(110) 및 잉크수용층(120)의 합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잉크수용층(120)이 형성된 보호필름층(130)과 접착층(110)을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접촉부는 잉크수용층(120)과 접착층(110)이 직접 접촉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라미네이팅 롤러를 이용하여 약 100℃정도의 열을 가하면서 롤러를 통과시키면 잉크수용층(120)이 형성된 보호필름층(130)과 접착층(110)이 합포된다. 합포가 완료되면 접착층(110)의 일면에 형성된 코팅처리된 필름을 박리시킨다.
상기의 상태가 되면 접착층(110)의 상면에 잉크수용층(120)이 형성되고 잉크수용층(120)의 상면에 보호필름층(130)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패널층(100)과 합포 되어야 하는 바, 상기 접착층(110) 및 패널층(100)을 서로간에 접촉되게 한 후, 열성형기를 이용하여 접착층(110), 잉크수용층(120), 보호필름층(130)을 패널층(100)에 합포시키며 온도는 약 80℃정도이며, 열성형기는 압출, 압출카렌다, 카렌다, 연속캐스팅 성형기 등이 이용되어 열성형기에 장착된 표면 처리롤에 의해 열 및 압력에 의해 상기 패널층(100)의 상면에 접착층(110)이 합포된다.
상기의 제품을 사이징(sizing)하면 실사 인쇄용 합성수지 판재가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는 패널층(10)), 접착층(110), 잉크수용층(120), 및 보호필름층(130)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가 되며, 상기 보호필름층(130)은 실사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박리시킨 후 잉크수용층(120) 상면에 실사 인쇄를 하면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판재 표면에 잉크 수용층을 고착화 하여 잉크를 사용하여 패널에 직접 실사인쇄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성잉크를 사용하여 실사인쇄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공정감소, 불량감소

Claims (3)

  1. PVC 발포판재, 아크릴 판재, 경질 PVC 판재 중 하나로 구성된 패널층(100)과;
    아크릴계나 우레탄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팅용 접착제로 형성되며 5∼20㎛ 정도의 두께로 상기 패널층(100)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110)과;
    피브이에이(PVA)수지, 우레탄(URETHANE)수지, 아크릴(ACRYL)수지, 피브이피(PVP)수지, 이브이에이(EVA)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수지액에 희석제, 경화제 그리고 습윤제가 첨가되어 20∼50㎛ 정도의 두께로 상기 접착층(110) 상면에 형성된 잉크수용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층(120)의 상면에는 표면장력이 20dyne/cm∼45dyne/cm 되는 표면특성을 가진 필름이나 종이 중 하나로 구성된 보호필름층(13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 인쇄용 합성수지 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층(120)은 실리카, 축광안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 인쇄용 합성수지 판재.
KR2020020001233U 2002-01-15 2002-01-15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 KR200272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33U KR200272673Y1 (ko) 2002-01-15 2002-01-15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33U KR200272673Y1 (ko) 2002-01-15 2002-01-15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673Y1 true KR200272673Y1 (ko) 2002-04-18

Family

ID=7311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233U KR200272673Y1 (ko) 2002-01-15 2002-01-15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6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3951A (zh) * 2020-12-25 2021-03-26 江苏万宝瑞达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通用型合成纸及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3951A (zh) * 2020-12-25 2021-03-26 江苏万宝瑞达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通用型合成纸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85092A1 (en) Tip printing embossed surfaces
CN100553997C (zh) 图像接收材料
KR200272673Y1 (ko) 실사인쇄용 합성수지 판재
KR200211973Y1 (ko) 전사지
JP2002059694A (ja) 熱を使用しない箔転写方法
JP2009255322A (ja) 転写フィルムおよび熱転写システム
JP2002254549A (ja) 多孔質シート積層体及び耐水性表示シート
JP3157740U (ja) 布製粘着シート
JP2007046028A5 (ko)
KR20020016358A (ko) 전사지
JP2017052264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100478505B1 (ko) 우레탄점착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우레탄점착시트
JP2002348548A (ja) ミクロ吸盤粘着剤付き広告ポスター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483919Y1 (ko) 엠보 이형 필름
KR20140083043A (ko) 열가역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 장치
KR101819935B1 (ko) 점착 코팅지 및 그 제조 방법
JP5745427B2 (ja) ダイレクトサーマルラベル及びその作成方法
JPH11207918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JPH072637Y2 (ja) 合成皮革製造用工程剥離紙
KR20170116347A (ko) 레이져프린터를 이용한 유색 섬유용 전사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2706B1 (ko) 불규칙한 표면위에 디지털화상을 형성하는 전사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363516A (ja)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072090B1 (ja) 化粧無機質板の製造方法
CN111331979A (zh) 一种eva膜的uv数码喷印工艺及eva膜制品
JP2001134189A (ja) リターナブルタック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