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001Y1 - 세면대 - Google Patents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001Y1
KR200228001Y1 KR2019980015329U KR19980015329U KR200228001Y1 KR 200228001 Y1 KR200228001 Y1 KR 200228001Y1 KR 2019980015329 U KR2019980015329 U KR 2019980015329U KR 19980015329 U KR19980015329 U KR 19980015329U KR 200228001 Y1 KR200228001 Y1 KR 200228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pipe
drai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773U (ko
Inventor
장기남
Original Assignee
장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남 filed Critical 장기남
Priority to KR2019980015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00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001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대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는 급수대(2)의 뒤쪽 상부에 항시 일정량이 물이 저장되는 물통(1)이 배치된다. 물통(1)의 저면이 급수 통로(23)를 통해 급수대(2)에 연결되어서, 물통(1)의 물이 급수대로 공급된다. 또한, 물통(1)의 저면에는 상수도관이 연결되고, 물통(1)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는 장치와 물통(1)의 물을 일정량씩 급수대(2)로 공급하는 급수 장치가 배치된다. 또한, 급수대(2)에 채워된 물을 하수도관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 장치가 급수대(2)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수도꼭지가 없이 세면대 구성이 가능하게 되므로써, 수도꼭지로 인해서 의류에 물이 튀거나 머리를 수도꼭지에 부딪힐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세면대
본 고안은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도꼭지가 없는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이나 욕실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세면대에는 주지된 사실대로 물이 공급되는 수도꼭지가 반드시 설치되어 있다. 즉, 일반적인 세면대는 일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급수대에 상수도관에 연결된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있고, 급수대의 저면에는 하수도관에 연결된 배수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수도꼭지는 급수대의 뒤쪽 상부에 위치되어 있다. 배수구에는 마개가 설치되어 있고, 수도꼭지의 뒤쪽에 마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버튼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마개로 배수구를 닫은 상태에서 수도꼭지를 열어서 일정량의 수돗물을 급수대에 수용하여, 세안을 하거나 머리를 감는다. 얼굴이나 머리를 다 씻으면, 버튼을 아래로 눌러 마개가 위로 상승되도록 하여 배수구가 개방되도록 하므로써, 물이 배수구를 통해 하수도관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세면대는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수도꼭지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급수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도꼭지를 틀면, 고압의 물이 쏟아져 나오면서 급수대의 저면에 부딪혀서, 의류에 물이 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머리를 감을 경우에, 눈을 뜰 수 없는 사용자가 돌출된 수도꼭지에 머리를 부딪혀서 다치는 경우도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도꼭지가 필요없게 물 급수 방식을 변경하여 의류에 물이 튀거나 또는 머리를 수도꼭지에 부딪히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세면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세면대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유입관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급수 및 배수 버튼과 링크 기구 및 마개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물통 2 - 급수대
10 - 유입관 18 - 플로우터
19 - 유입구 20 - 스풀
21 - 급수관 22 - 분기관
23 - 급수 통로 30,40 - 급수 버튼
31,42,51,37,47,57 - 가이드 롤러 32,42,52 - 링크
36,46,56 - 철심 38,48 - 급수 마개
50 - 배수 버튼 58 - 배수 마개
59 - 배수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는 급수대의 뒤쪽 상부에 일정량이 물이 저장되는 물통이 배치된다. 물통의 저면이 급수 통로를 통해 급수대에 연결되어서, 물통의 물이 급수대로 공급된다. 또한, 물통의 저면에는 상수도관이 연결되고, 물통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을 일정한 수위로 유지시키는 장치와 물통의 물을 일정량씩 급수대로 공급하는 급수 장치가 배치된다. 또한, 급수대에 수용된 물을 하수도관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 장치가 급수대에 구비된다.
수위 유지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하단이 상수도관에 연결된 유입관이 급수대의 저면에 세워 설치된다. 유입관의 상단에 힌지 브래킷이 형성된 캡이 씌워지고, 유입관의 상단 측면에 물통내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가 형성된다. 캡의 힌지 브래킷에는 철심의 일측이 힌지연결되고, 이 철심의 일측 단부는 유입관의 상단을 통해 유입관내로 진입되며, 이 일측 단부에 물통내의 수위에 따라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풀이 설치된다. 철심의 타단에는 수면을 따라 부유하는 플로우터가 설치되어서, 플로우터가 수면을 따라 부유하는 동작에 스풀이 연동되므로써, 유입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급수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급수 통로와 이어지는 물통의 저면에 유입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높이로 급수관이 세워 설치된다. 급수관의 상단에는 마개가 설치되어, 이 마개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급수관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급수대에는 마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버튼이 설치되고, 이 버튼은 링크 기구에 의해 마개에 연결된다.
링크 기구는 링크와 철심으로 이루어진다. 링크는 그의 중간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의 일단은 버튼의 하단에, 타단은 철심에 연결된다. 특히, 링크의 각 양단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버튼과 철심의 하단에는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이동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된다. 철심은 물통의 저면을 통해 연직 상방을 향해 진입되고 하향으로 구부러져서 급수관 상단의 마개 상부에 연결된다.
이어서, 배수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급수대의 저면에 하수도관으로 이어지는 배수구가 형성된다. 배수구에는 마개가 설치되고, 마개를 승강이동시키는 버튼이 급수대에 설치된다. 이 마개와 버튼 역시 상기 링크 기구와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물통의 정면 하부에는 양치질용 급수대가 마련된다. 즉, 물통의 정면 하부에 안쪽으로 장방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홈부의 상부벽에 수도꼭지가 설치된다. 수도꼭지를 개폐하는 코크가 힌지연결되어서, 코크를 뒤로 밀면 수도꼭지가 개방된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급수 버튼을 눌러 마개를 상승시키면 급수관이 개방되므로써, 물통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급수관과 급수 통로를 통해 급수대로 공급된다. 이때, 물은 고압의 압력을 갖고 급수대로 유입되지 않고 흘러서 유입되므로, 급수시에 물이 의류에 튀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플로우터도 수면을 따라 같이 하강되어서, 유입구를 막고 있든 스풀도 상승되므로써, 유입구가 개방된다. 따라서, 유입관을 통해 물이 물통으로 공급되고,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스풀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유입구가 막히게 된다. 한편, 급수대에 수용된 물을 사용할 때, 수도꼭지가 없으므로 머리를 수도꼭지에 부딪힐 염려도 없게 된다. 다음에, 배수 버튼을 누르면 배수 마개가 상승되므로써, 배수구가 개방된다. 따라서, 급수대의 물은 배수구를 통해 하수도관으로 배수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세면대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유입관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급수 및 배수 버튼과 링크 기구 및 마개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는 크게 보면,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물이 항상 수용된 물통(1)과, 이 물통(1)으로부터 일정량씩 물이 공급되어 수용되는 급수대(2)와, 물통(1)의 물을 일정한 수위로 유지시키는 수위 유지 장치와, 물통(1)의 물을 세면대(2)로 일정량씩 공급하는 급수 장치, 및 급수대(2)에 사용된 물을 하수도관으로 배수하는 배수 장치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수도꼭지없이 세면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 유지 장치는 물통(1) 내부에 배치된다. 상수도관, 즉 냉수관(11)과 온수관(12)은 혼합기(13)에 연결되고, 혼합기(13)에는 냉수와 온수의 혼합 비율을 임의로 조정하기 위한 밸브(14)가 설치된다. 밸브(14)는 기존의 세면대에 구비된 밸브와 동일한 구조로서, 좌우 회전 각도에 따라 냉수와 온수의 혼합 비율을 조정할 수 있고, 상하 회전 각도에 따라 혼합기(13)를 완전 개방 또는 폐쇄, 그리고 부분적으로 개방시킬 수가 있다.
혼합기(13)가 물통(1)의 좌측 저면에 연결되고, 이 부분에 유입관(10)의 하단이 연결되어서 물통(1)내에 세워 설치된다. 유입관(10)의 높이는 물통(1)보다 약간 낮으면 된다. 유입관(10)의 상부 측면에 물통(1)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9)가 형성된다.
유입구(19)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물통(1)내에서 일정량의 수위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에 채용된 공지 기술이 본 고안에 적용된다. 즉, 유입관(10)의 상단에 캡(15)이 씌워지고, 캡(15)에는 힌지 브래킷(16)이 일체로 형성된다. 철심(17)의 일측이 힌지 브래킷(16)에 연결되고, 이 일측 단부가 캡(15)을 통해 유입관(10)내로 진입된다. 일측 단부에는 유입구(19)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풀(20)이 설치된다. 한편, 철심(17)의 타측 단부에는 수면을 따라 부유하는 플로우터(18)가 설치된다. 따라서, 플로우터(18)가 수면을 따라 상승하면 스풀(20)은 반대로 하강되고, 플로우터(18)가 하강하면 스풀(20)은 상승하게 된다.
한편, 급수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수대(2)의 윗부분과 물통(1)의 중앙 저면은 급수 통로(23)에 의해 연결된다. 급수 통로(23)와 이어진 물통(1)의 중앙 저면에는 급수관(21)이 세워 설치되는데, 그 높이는 유입관(10)보다 매우 낮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급수대(2)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2가지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급수관(21)의 중간에 분기관(22)이 형성되고, 이 분기관(22)의 상단은 급수관(21)과 마찬가지로 연직 상방을 향한다. 이와 같이 되면, 급수관(21)을 통해서는, 이 급수관(21)의 상단보다 윗부분의 물만이 급수대(2)로 공급되고, 마찬가지로 분기관(22)을 통해서는, 이 분기관(22)의 상단보다 윗부분의 물만이 급수대(2)로 공급된다. 따라서, 급수관(21)을 통해서는 저량의 물이 공급되고, 분기관(22)을 통해서는 급수관(21)보다는 많은 양의 물이 급수대(2)로 공급되어진다.
급수관(21)과 분기관(22)의 각 상단에는 마개(38,48)가 설치되고, 각 마개(38,48)를 선택적으로 상하이동시키는 2개의 급수 버튼(30,40)이 급수대(2)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각 급수 버튼(30,40)을 누르면 각 마개(38,48)가 상승하여 급수관(21)과 분기관(22)이 개방되고, 반대로 급수 버튼(30,40)을 위로 당기면 각 마개(38,48)가 하강하여 급수관(21)과 분기관(22)을 막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링크 기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배수 장치에도 급수 장치에 채용된 상기 링크 기구와 동일한 기구가 채용되므로, 먼저 배수 장치를 설명한 다음에 링크 기구를 총괄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대(2)의 저면에 형성되고 하수도관으로 이어진 배수구(59)와, 이 배수구(59)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58), 마개(58)를 상하이동시키는 버튼(50), 및 버튼(50)과 마개(58)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링크 기구와 동일한 구조의 링크 기구로 이루어진다.
링크 기구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시소 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으로서, 링크(32,42,52)와 철심(36,46,56)으로 이루어진다. 링크(32,42,52)는 그의 중간이 힌지(33,43,53)로 급수대의 내벽에 연결되어서, 이 힌지(33,43,53)을 중심으로 시소 동작을 하게 된다. 링크(32,42,52)의 양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가이드 홈(34,44,54,35,45,55)이 각각 형성된다. 2개의 급수 버튼(30,40)과 배수 버튼(50)의 하단에는 가이드 롤러(31,41,5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가이드 롤러(31,41,51)가 링크(32,42,52)의 좌측 가이드 홈(34,44,54)에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다. 한편, 링크(32,42,52)의 우측 가이드 홈(35,45,55)에 철심(36,46,56)의 하단이 연결되는데, 각 버튼(30,40,50)과 마찬가지로 철심(36,46,56)의 하단에도 가이드 롤러(37,47,57)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 롤러(37,47,57)가 링크(32,42,52)의 우측 가이드 홈(35,45,55)에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다. 철심(36,46,56)은 각 급수 마개(38,48)와 배수 마개(58)에 연결되는데, 배수 마개(58)에 연결되는 철심(56)의 형상은 도 4와 같이 단순하게 연직 상방을 향하지만, 각 급수 마개(38,48)에 연결되는 철심(36,4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방을 향해 연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급수 마개(38,48)로 이어지는 철심(36,46)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39)이 물통(1)의 우측 저면에 세워 설치된다.
부가적으로, 물통(1)의 정면 우측 하부에는 양치용 급수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방형 홈부(60)가 물통(1)의 정면 우측 하부에 형성되고, 홈부(60)의 상부 내벽에 수도꼭지(61)가 설치되며, 수도꼭지(6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코크(62)가 수도꼭지(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양치용 컵으로 코크(62)를 뒤로 밀면 수도꼭지(61)가 개방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a는 물통(1)의 상부에 씌워지는 뚜껑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밸브(14)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개방하고 동시에 좌우 어느 한쪽으로 회전시키면, 냉수관(11)과 온수관(12)에서 냉수와 온수가 적정 비율로 혼합되어서, 유입관(15)을 통해 물통(1)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급수 버튼(30,40)중 어느 하나, 하나의 예로서 30번의 버튼을 누르면, 그의 가이드 롤러(31)가 가이드 홈(34)을 따라 내려가게 되므로써, 링크(32)의 좌측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링크(32)의 우측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철심(36)의 가이드 롤러(37)가 가이드 홈(35)을 따라 내측으로 회전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철심(36)이 상승하게 되므로, 마개(38)도 상승되어 급수관(21)이 개방된다.
물통(1)의 물은 개방된 급수관(21)을 통해 급수 통로(23)를 거쳐 급수대(2)로 공급된다. 이때, 물은 고압의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흘러서 공급되므로, 의류에 물이 튀는 현상이 방지된다. 급수대(2)에 어느 정도 물이 채워지면, 이번에는 급수 버튼(30)을 위로 당겨서 마개(38)가 급수관(21)을 막게 한다. 급수 버튼(30)을 위로 당기면, 링크(32)가 상기와는 반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철심(36)이 하강하게 되어 급수관(21)이 마개(38)로 막아지게 된다.
한편, 급수대(2)로 상기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려면, 분기관(22)측 급수 버튼(40)을 눌러서 분기관(22)을 개방시키면 된다. 이 상태는, 분기관(22)의 높이가 급수관(21)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보다 많은 양의 물이 급수 통로(23)를 통해 급수대(2)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물이 급수대(2)로 공급되어 물통(1)의 수위가 낮아지면, 플로우터(18)도 낮아진 수면을 따라 내려간다. 따라서, 철심(17)도 하향으로 회전되므로, 스풀(20)이 상승되어 유입구(19)가 개방된다. 혼합기(13)와 밸브(14)에 의해 냉수와 온수가 임의의 비율로 혼합된 물이 개방된 유입구(19)를 통해 물통(1)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물통(1)의 수위는 급수대(2)로 공급된 물의 양만큼 낮아졌다가 다시 원래대로 복귀되고, 다시 스풀(20)이 유입구(19)를 막게 되므로써, 물통(1)의 수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어서, 급수대(2)에 채워진 물로 세안을 하거나 머리를 감는다. 이때, 수도꼭지가 없으므로, 수도꼭지에 머리를 부딪힐 염려가 없다. 세안 또는 머리를 다 감으면, 이번에는 배수 버튼(50)을 눌러 마개(58)를 상승시켜서 배수구(59)를 개방하면, 물은 배수구(59)를 통해 하수도관으로 배수된다. 배수 버튼(50)의 동작에 따라 마개(58)가 연동되는 동작은 위에서 상술된 급수 동작시의 링크 기구 동작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물통(1)내에 미리 물을 채워둘 필요는 없다. 즉, 겨울철에 온수를 물통(1)에 저장하면, 수온이 내려가서 이후에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물통(1)에 미리 채워진 물은 배수하고 온수관(12)을 통해 온수를 새로 물통(1)에 채워야 하므로, 기존의 물을 낭비할 소지가 있다. 그러므로, 한 동안 세면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밸브(14)를 닫아서 물통(1)내로 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사용할 때 다시 밸브(14)를 열기만 하면 된다.
한편, 양치질 후에, 컵을 장방형 홈부(60)내로 진입시켜 코크(62)를 뒤로 밀면, 수도꼭지(61)로부터 물이 컵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 컵에 담긴 물을 양치용으로 사용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도꼭지없이 세면대의 구성이 가능하게 되므로써, 급수 중에 물이 의류에 튀거나 또는 머리를 감다가 수도꼭지에 머리를 부딪혀서 부상을 당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상수도관에 연결된 물통; 상기 물통에 급수 통로를 통해 연결되고, 하수도관에 연결된 급수대; 상기 물통내에 배치되어, 상기 물통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수위 유지 장치; 상기 물통내에 배치되어, 물통의 물을 일정량씩 급수대로 공급하는 급수 장치; 및 상기 급수대에 배치되어, 급수대의 물을 하수도관으로 배수하는 배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유지 장치는 상수도관에 연결되고, 물통내에 세워 설치되며, 상단 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상단에 씌워지고, 힌지 브래킷이 형성된 캡; 상기 캡의 힌지 브래킷에 연결되고, 일측은 캡을 통해 유입관내로 진입된 철심; 상기 철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풀; 및 상기 철심의 타측에 설치되어서, 수면을 따라 부유되어 상기 스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플로우터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 장치는 급수 통로에 연결된 물통의 저면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의 높이보다 매우 낮은 높이를 갖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의 상단을 개폐하는 급수 마개; 상기 급수대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 마개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급수 버튼; 및 상기 급수 버튼과 급수 마개를 연결하여, 상기 급수 버튼의 상하 이동 조작력을 상기 급수 마개로 전달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장치는 급수대의 저면에 형성되고, 하수도관에 연결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 마개; 상기 급수대에 설치되어, 배수 마개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배수 버튼; 및 상기 배수 버튼과 배수 마개를 연결하여, 상기 배수 버튼의 상하 이동 조작력을 상기 배수 마개로 전달하고, 상기 급수 장치의 링크 기구와 동일 구조의 링크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측부에, 급수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분기관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에 다른 급수 마개가 설치되며, 상기 급수 마개는 급수대에 설치된 다른 급수 버튼에 상기 링크 기구와 동일 구조의 다른 링크 기구로 연결되어서, 상기 분기관을 통해 급수관을 통한 것보다 보다 많은 양의 물이 급수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하부에 양치용 급수대가 마련되고, 상기 양치용 급수대는 물통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의 상부 내벽에 형성된 수도꼭지; 및 상기 수도꼭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뒤로 밀리는 것에 의해 수도꼭지를 개방하는 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KR2019980015329U 1998-08-14 1998-08-14 세면대 KR200228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329U KR200228001Y1 (ko) 1998-08-14 1998-08-14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329U KR200228001Y1 (ko) 1998-08-14 1998-08-14 세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773U KR20000004773U (ko) 2000-03-15
KR200228001Y1 true KR200228001Y1 (ko) 2001-07-19

Family

ID=6951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329U KR200228001Y1 (ko) 1998-08-14 1998-08-14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0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773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047A (en) Toilet flushing system that allows use of gray water drained from a sink
CN108797733B (zh) 供水装置和马桶
KR200228001Y1 (ko) 세면대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KR20110119152A (ko)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KR100354527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WO2021006481A1 (ko) 잔수배출장치
WO1999007952A1 (en) Flush toilet utilizing waste water
KR100664910B1 (ko) 양변기
KR20100071911A (ko)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CN112443018B (zh) 便器用阀门开闭装置及具有其的热水管内变凉的热水的再利用***
CN110593359A (zh) 一种冲刷自洁的智能盥洗盆
KR102647536B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CN220666376U (zh) 一种内置洗手液的水龙头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KR100354526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KR200365162Y1 (ko) 회동식 수납구조를 갖는 세면대 수도장치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JPS6215727Y2 (ko)
JP3652601B2 (ja) 洗浄タンク装置
JP4366760B2 (ja) トイレ装置
KR970003921Y1 (ko) 세면기용 급수장치
JP2006083592A (ja) 水洗便器のロータンク
JPS5910528Y2 (ja) 湯沸か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