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527B1 - 절수형 수세식 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수세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527B1
KR100354527B1 KR1020000025398A KR20000025398A KR100354527B1 KR 100354527 B1 KR100354527 B1 KR 100354527B1 KR 1020000025398 A KR1020000025398 A KR 1020000025398A KR 20000025398 A KR20000025398 A KR 20000025398A KR 100354527 B1 KR100354527 B1 KR 100354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r
toilet
drai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028A (ko
Inventor
김지태
Original Assignee
김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태 filed Critical 김지태
Priority to KR102000002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52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양의 세척수로 효과적인 세척작용을 이룰 수 있는 절수형 수세식 변기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는 상수도관과 연결된 급수 파이프(16) 및 상기 급수 파이프(16)의 급수작용을 제어하는 부력기(17)가 내장되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마개(13)가 구비된 저수조(10)와; 상기 저수조(10)의 하단에 구성되며 배수구를 통해 저수조(10)와 연통된 변기본체(20)와; 탄력적으로 절곡 가능한 구조로서, 변기본체(20)와 하수구를 연결하며, 그 일단이 변기본체(20)의 바닥보다 높게 유지되어 상기 저수조(10)에서 변기본체(20)로 유입된 세척수가 변기본체(20) 내에 일정량 저수되거나, 전체적으로 변기본체(20)의 바닥 보다 낮게 유지되어 변기본체(20)에 저수된 세척수가 자유낙하하여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파이프(30)와; 상기 배수파이프(30)의 절곡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배수파이프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과 연계하여 배수구 마개(13)를 개폐하기 위한 배수구 마개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파이프(30)는 변기본체(20)와 연결되어 아래위로 각도 변경되는 수평부(301) 및, 상기 수평부(301)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하수구로 이어지며 주름관 구조로서 그 길이가 가변되는 수직부(30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파이프 조작수단은 그 일단에 변기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패널형 부재로서 배수파이프(30)의 수평부(301)를 아래에서 받치는 받침대(40)와; 상기 받침대(40)의 상방에서 저수조(10) 외면에 구비된 기어박스(42)와;상기 기어박스(42)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상부 일측면에 기어부(441)가 구비되며, 그 하단이 받침대(40)에 결합되는 스프링바(44)와; 상기 스프링바(44)에 장착되어 받침대(40)에 대해 탄성적인 압박력을 발휘하는 스프링(46)과; 상기 스프링바(44)의 하단이 관통되는 구조로서, 받침대(40)의 상방에서 변기본체 (20)내에 고정 장착되어 스프링(46)을 지지하는 지지대(48)와; 일측선단에 반원형 기어(52)가 구비되는 조작레버(50)와, 상기 스프링바(44)의 기어부(441)와 조작레버(50)의 반원형 기어(52)를 연결하는 연결기어(54)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50)의 회동작동에 의해 스프링바(44)를 상하 작동시키는 기어기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구 마개 작동수단은 저수조(10)의 외면측에 그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바(60)와, 상기 수평바(60)의 타단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바(4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프링바(44)의 수직운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수평바(60)를 회동시키는 수직바(62)와, 저수조(10)의 내측에서 상기 수평바(60)와 일체 회동되며 배수구 마개(13)와 연결되어 수평바(60)의 회동에 따라 배수구 마개(13)를 들어올리는 연결바(64)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에 의하면 배수파이프가 절곡됨으로써 세척수 및 배설물의 배출작용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은 양의 세척수만으로도 효과적인 세척작용이 가능하여 수돗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절수형 수세식 변기{Toilet bowl of Water closet}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양의 세척수로 효과적인 세척작용을 이룰 수 있는 절수형 수세식 변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변의 세척을 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는 이른바 좌변식 수세식 변기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0)와, 상기 저수조(10)의 하단에 일체 구성된 변기본체(11)와, 상기 저수조(10) 내에 구성되어상수도관(W)으로부터의 급수작용 및 변기본체(11)로의 배수작용을 제어하는 급배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급배수 제어수단은 저수조(10) 하단에 형성되어 변기본체(11)와 연통되는 배수구(10a)(도 2 참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배수구 마개(13) 및, 상기 배수구 마개(13)와 조작 케이블(14)을 통해 연결되며 저수조(10) 밖에 설치된 조작레버(15)와, 상수도관(W)과 연결된 급수 파이프(16)와, 상기 급수 파이프(16)에 연결되어 부력에 의해 상하 위치 조절됨으로써 급수 파이프(16)를 개폐하는 부력기(1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세식 변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변 후에 조작레버(15)를 누를 경우, 상기 조작레버(15)에 연결된 배수구 마개(13)가 들어올려 지고 부력에 의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배수구(10a)가 개방되어 저수조(10) 내의 물이 변기본체(11) 내로 배수되면서 세척작용이 이루어진다.
저수조(10) 내의 물이 모두 배수된 후에는, 배수구 마개(13)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와 배수구(10a)를 막게 되고, 부력기(17)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기울어져 급수 파이프(16)가 개방됨으로써, 저수조(10) 내로 급수작용이 이루어진다.
급수작용이 진행되면, 저수조(10) 내의 수위에 따라 부력기(17)가 상방으로 위치 이동되며, 수위가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부력기(17)가 다시 급수 파이프(16)를 폐쇄함으로써 급수작용이 중단된다.
즉,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저수조(10)에 일정량을 물을 저수한 다음, 일시에 변기본체(11) 측으로 배수함으로써 비교적 강한 수압으로 세척작용을 행하게되어 청결한 용변처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수세식 변기의 변기본체(11)는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대략 보울(bowl)형으로서, 그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세척수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변기본체(11) 후방에는 세척수가 변기 밖으로 배출되는 하수관(1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하수관(11a)은 도 3에서와 같이 변기본체(11)의 바닥면에서 일정높이 이상으로 높게 솟아오르고, 세척수의 수면에 닿는 걸림턱부(111)가 그 중간에 형성된 이른바 걸림턱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세식 변기에 의하면 세척작용 시 저수조(1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각 토출구를 통해 변기본체(11)의 내부로 고르게 유입되며, 일정량 이상의 세척수가 유입될 경우에만 하수관(11a)으로 흘러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수관(11a)의 걸림턱형 구조에 의하면 변기본체(11) 내에 항상 일정량 이상의 세척수가 고이게 됨으로써 배설물이 변기본체(11)의 바닥에 직접 떨어져 점착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하수관(11a)을 통해 유해 가스나 해충 등이 역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하수관(11a)의 구조상, 세척수가 비교적 강한 압력으로 변기본체(11)에 유입되어 배설물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세척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설물을 밀어내는 압력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량(대략 20ℓ) 이상의 비교적 많은 세척수가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배설물을 자유낙하시키는 방식으로 하수구로 배출함으로써 세척수의 사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절수형 수세식 변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수세식 변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수세식 변기의 변기본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의 변기본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에 적용된 배수파이프 및 배수파이프 조작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에 적용된 배수구 마개 작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8의 a, b,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에 적용된 배수구 마개 작동수단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수조 10a: 배수구
10b: 가이드 슬롯 13: 배수구 마개
16: 급수파이프 17: 부력기
20: 변기본체 30: 배수파이프
301: 수평부 302: 수직부
40: 받침대 42: 기어박스
44: 스프링바 441: 기어부
46: 스프링 48: 지지대
50: 조작레버 52: 반원형 기어
54: 연결기어 60: 수평바
62: 수직바 621: 걸림부
64: 연결바 66: 걸림블럭
68: 스토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절수형 수세식 변기는 상수도관과 연결된 급수 파이프 및 상기 급수 파이프의 급수작용을 제어하는 부력기가 내장되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마개가 구비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하단에 구성된 변기본체와; 탄력적으로 절곡 가능한 구조로서, 변기본체와 하수구를 연결하며, 그 일단이 변기본체의 바닥보다 높게 유지되어 상기 저수조에서 변기본체로 유입된 세척수가 변기본체 내에 일정량 저수되거나, 전체적으로 변기본체의 바닥 보다 낮게 유지되어 변기본체에 저수된 세척수가 자유낙하하여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파이프와; 상기 배수파이프의 절곡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배수파이프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과 연계하여 배수구 마개를 개폐하기 위한 배수구 마개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파이프는 변기본체와 연결되어 아래위로 각도 변경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하수구로 이어지며 주름관 구조로서 그 길이가 가변되는 수직부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파이프 조작수단은 그 일단에 변기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패널형 부재로서 배수파이프의 수평부를 아래에서 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방에서 저수조 외면에 구비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상부 일측면에 기어부가 구비되며, 그 하단이 받침대에 결합되는스프링바와; 상기 스프링바에 장착되어 받침대에 대해 탄성적인 압박력을 발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바의 하단이 관통되는 구조로서, 받침대의 상방에서 변기본체 내에 고정 장착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일측선단에 반원형 기어가 구비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스프링바의 기어부와 조작레버의 반원형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기어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작동에 의해 스프링바를 상하 작동시키는 기어기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 마개 작동수단은 저수조의 외면측에 그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타단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바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프링바의 수직운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수평바를 회동시키는 수직바와, 저수조의 내측에서 상기 수평바와 일체 회동되며 배수구 마개와 연결되어 수평바의 회동에 따라 배수구 마개를 들어올리는 연결바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부터 도 8까지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종래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는 저수조(10)(도 1 참조)와, 상기 저수조(10)의 하단에 구성된 변기본체(20)(도 3 참조)와, 변기본체(20)와 하수구를 연결하며 배설물이 자유낙하하여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파이프(30)(도 4 참조)와, 상기 배수파이프(30)를 조작하기 위한 배수파이프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과 연계하여 배수구 마개(13)를 개폐하기 위한 배수구 마개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조(1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닥에 변기본체(20)와 연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수도관과 연결된 급수 파이프(16)와 상기 급수 파이프(16)의 급수작용을 제어하는 부력기(17) 및,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마개(13)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도 1 참조)
그리고, 변기본체(20)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내부경사가 완만한 일종의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배수파이프(30)는 변기본체(20)와 연결되어 아래위로 각도 변경되는 수평부(301) 및, 상기 수평부(301)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하수구로 이어지며 주름관 구조로서 그 길이가 가변되는 수직부(30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수평부(301)와 변기본체(20)의 연결부위 역시 주름관 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직부(302)와 하수구의 연결부위는 실리콘 등으로 밀봉 접착된다.
배수파이프 조작수단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그 일단이 변기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배수파이프(30)의 수평부(301)를 아래에서 받치는 받침대(40)와, 저수조(30) 외면에 부착된 기어박스(42)와, 상기 기어박스(42)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링바(44)와, 상기 스프링바(44)에 장착되는 스프링(46)과, 상기 스프링바(44)의 하단이 관통되는 구조로서 변기본체(20) 내에 고정부착되며 받침대(40)의 상방에 위치되어 스프링(46)을 지지하는 지지대(48)와, 상기 스프링바(44)를 상하 작동시키기 위한 기어기구로 이루어진다(도 6 참조).
여기서, 상기 스프링바(44)는 상단 일측면에 기어부(44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프링바(44)의 하단은 어느 정도 유동 가능토록 슬라이드 방식으로받침대와 결합된다.
기어기구는 기어박스(42) 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선단에 반원형 기어(52)가 구비되는 조작레버(50)와, 상기 스프링바(44)의 기어부(441)와 반원형 기어(52)를 연결하는 연결기어(54)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구 마개 작동수단은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저수조(10)의 외면측에 그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바(60)와, 상기 수평바(60)의 타단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프링바(4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프링바(44)의 수직운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수평바(60)를 회동시키는 수직바(62)와, 저수조(10)의 내측에서 상기 수평바(60)와 일체 회동되며 배수구 마개(13)와 연결되어 수평바(60)의 회동에 따라 배수구 마개(13)를 들어올리는 연결바(64)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바(62)의 하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걸림부(621)가 형성되고, 수직바(62)의 일측에는 저수조(10)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621)와 연계되는 걸림블럭(66)이 구비된다.
저수조(10)에는 상기 수평바(60)가 일정각동 이상 아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68) 및, 수평바(60)와 연결바(64)의 회동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가이드 슬롯(10b)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의 작동에 의하면 세척수 및 배설물의 배출작용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척수의 사용량이 적고, 조작레버(50)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세척수가 변기본체(20) 내로 유입되는 급수작용까지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본실시예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변기본체(20) 내에 일정량의 세척수가 고인 이른바 기본상태가 유지되는데, 상기 기본상태에서는 변기본체(20)내에 용변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약 4ℓ)의 세척수가 공급되어 있으며, 도 7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받침대(40)가 일정각도 만큼 위로 들어올려짐으로써 배수파이프(30)의 수평부(301)가 변기본체(20)의 바닥보다 위로 올라간 상태가 되어 세척수가 배수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용변을 봄으로써 배설물이 변기본체(20) 내로 떨어진 다음에, 조작레버(50)를 아래로 누르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도 7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조작레버(50)에 구비된 반원형 기어(52)가 도면상 우측으로 회동하고, 상기 반원형 기어(52)와 치합된 스프링바(44)가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스프링(46)은 지지대(48)에 의해 하단이 받쳐진 상태에서 상단이 스프링바(44)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압축되어지고, 스프링바(44)의 선단에 연결된 받침대(40) 및 상기 받침대(40)에 부착된 배수파이프(30)의 수평부(301)가 아래로 기울어짐으로써 변기본체(20) 내의 세척수 및 배설물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는 방식으로 수직부(302)를 거쳐 하수구로 유입된다.
사용자는 스프링(46)이 압축되는 동안 계속해서 조작레버(44)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레버조작상태를 받침대(40)가 변기본체(20) 후방의 경사부 바닥에 닿아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될 때까지 계속하면, 받침대(40)가 아래로 내려간 상태가 비교적 오래동안 유지되어 세척수 및 배설물이 완전히 배출된다.
이때, 배수파이프(30)의 수직부(302)는 구조적인 특성상(주름관 구조) 압축되어 길이가 줄어듦으로써 수평부(301)의 각도변화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계속해서, 변기본체(20)의 세척수 및 배설물이 완전히 배출된 다음에, 조작레버(50)에서 손을 떼면 지지대(48)에 대한 스프링(42)의 반발력에 의해 스프링바(44)가 위로 올라가게 됨으로써 스프링바(44)를 따라 받침대(40)가 위로 회동되고, 받침대(40)에 의해 지지된 배수파이프(30)의 수평부(301) 역시 절곡되어, 변기본체(20)의 바닥면 보다 위로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스프링바(44)가 위로 올라가게 되면, 도 8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프링바(44)의 상단이 수직바(62)를 밀어올리게 되고, 수직바(62)가 올라가면서 수평바(60)를 상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는데, 수평바(60)가 회동되면 이와 연결된 저수조(10) 내측의 연결바(64)가 함께 회동되어 연결바(64)와 케이블(14)로 연결된 배수구 마개(13)가 들어올려짐으로써 배수구(10a)(도 1 참조)가 개방되어 저수조(10) 내의 세척수가 변기본체(20) 내로 유입된다.
한편, 배수구 마개(13)가 들어올려진 다음에는 도 8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수직바(62)의 걸림부(621)가 걸림블럭(66)에 의해 일측으로 밀리게 되어 결국 수직바(62)가 스프링바(44)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스프링바(44)에 의한 수직바(62)의 지지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도 8의 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저수조(10) 내의 세척수가 변기본체(20) 내로 배수된 다음에는 배수구 마개(13)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되어 닫히게 된다.
배수구 마개(13)가 닫힌 후에는 급수 파이프(16)의 급수작용에 의해 저수조 (10)에 세척수가 급수되며, 세척수의 급수량이 일정치에 도달하면 부력기(17)의 작동으로 급수작용이 멈추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수세식 변기에 의하면, 세척수 및 배설물의 배출작용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은 양의 세척수만으로도 효과적인 세척작용이 가능하여 수돗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상수도관과 연결된 급수 파이프 및 상기 급수 파이프의 급수작용을 제어하는 부력기가 내장되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마개가 구비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하단에 구성되며 배수구를 통해 저수조와 연통된 변기본체와;
    탄력적으로 절곡 가능한 구조로서, 변기본체와 하수구를 연결하며, 그 일단이 변기본체의 바닥보다 높게 유지되어 상기 저수조에서 변기본체로 유입된 세척수가 변기본체 내에 일정량 저수되거나, 전체적으로 변기본체의 바닥 보다 낮게 유지되어 변기본체에 저수된 세척수가 자유낙하하여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파이프와;
    상기 배수파이프의 절곡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배수파이프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과 연계하여 배수구 마개를 개폐하기 위한 배수구 마개 작동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절수형 수세식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는
    변기본체와 연결되어 아래위로 각도 변경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하수구로 이어지며 주름관 구조로서 그 길이가 가변되는 수직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수세식 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 조작수단은
    그 일단에 변기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패널형 부재로서 배수파이프의 수평부를 아래에서 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방에서 저수조 외면에 구비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상부 일측면에 기어부가 구비되며, 그 하단이 받침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스프링바와;
    상기 스프링바에 장착되어 받침대에 대해 탄성적인 압박력을 발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바의 하단이 관통되는 구조로서, 받침대의 상방에서 변기본체 내에 고정 장착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일측선단에 반원형 기어가 구비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스프링바의 기어부와 조작레버의 반원형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기어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작동에 의해 스프링바를 상하 작동시키는 기어기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수세식 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마개 작동수단은
    저수조의 외면측에 그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타단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바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프링바의 수직운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수평바를 회동시키는 수직바와,
    저수조의 내측에서 상기 수평바와 일체 회동되며 배수구 마개와 연결되어 수평바의 회동에 따라 배수구 마개를 들어올리는 연결바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20000025398A 2000-05-12 2000-05-12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0354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398A KR100354527B1 (ko) 2000-05-12 2000-05-12 절수형 수세식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398A KR100354527B1 (ko) 2000-05-12 2000-05-12 절수형 수세식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028A KR20010104028A (ko) 2001-11-24
KR100354527B1 true KR100354527B1 (ko) 2002-09-30

Family

ID=4581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398A KR100354527B1 (ko) 2000-05-12 2000-05-12 절수형 수세식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5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78B1 (ko) * 2004-04-20 2005-03-31 원종칠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
KR100523950B1 (ko) * 2003-06-26 2005-10-26 양홍모 양변기의 저수 및 배수구조
KR100776046B1 (ko) 2006-06-01 2007-11-16 이영호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17B1 (ko) * 2011-11-08 2012-05-21 이재모 절수형 양변기
CN103174209A (zh) * 2013-03-29 2013-06-26 翁小翠 新型座便器
CN103556694A (zh) * 2013-11-20 2014-02-05 田炜 一种物品防掉落封闭式马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2729A (en) * 1973-09-13 1975-12-02 David C Ashley Toilet flush system
KR950008874A (ko) * 1993-09-07 1995-04-19 김경애 좌변기 물탱크의 자동배수장치
KR970001968U (ko) * 1996-10-25 1997-01-24 김병기 수세식 변기의 배출관을 이용한 담수량 조절장치
KR970009870U (ko) * 1995-08-28 1997-03-29 반안균 절수형 양변기
JPH09221811A (ja) * 1996-02-15 1997-08-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簡易水洗便器
JPH11210054A (ja) * 1998-01-26 1999-08-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洗便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2729A (en) * 1973-09-13 1975-12-02 David C Ashley Toilet flush system
KR950008874A (ko) * 1993-09-07 1995-04-19 김경애 좌변기 물탱크의 자동배수장치
KR970009870U (ko) * 1995-08-28 1997-03-29 반안균 절수형 양변기
JPH09221811A (ja) * 1996-02-15 1997-08-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簡易水洗便器
KR970001968U (ko) * 1996-10-25 1997-01-24 김병기 수세식 변기의 배출관을 이용한 담수량 조절장치
JPH11210054A (ja) * 1998-01-26 1999-08-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洗便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950B1 (ko) * 2003-06-26 2005-10-26 양홍모 양변기의 저수 및 배수구조
KR100479678B1 (ko) * 2004-04-20 2005-03-31 원종칠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
WO2005103399A1 (en) * 2004-04-20 2005-11-03 Jong-Chil Wen Moving siphon pipe driving device in a flushing pot
US7376985B2 (en) 2004-04-20 2008-05-27 Jong-Chil Wen Moving siphon pipe driving device in a flushing pot
KR100776046B1 (ko) 2006-06-01 2007-11-16 이영호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028A (ko) 200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0855B (zh) Washing water tank device, drain device and washing toilet
AU2005285716B2 (en)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100408075B1 (ko) 절수용 변기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100354527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20150046978A (ko) 양변기 물 내림 장치
KR101072565B1 (ko)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KR200484066Y1 (ko) 좌변기 절수장치
KR101088242B1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KR100664910B1 (ko) 양변기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0742589B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0354526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JP3343714B2 (ja) フロート弁
KR101135953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2275457B1 (ko) 물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좌변기
KR200173732Y1 (ko) 수량조절밸브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KR20100086111A (ko) 양변기의 절수형 배수장치
KR100315980B1 (ko)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243367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33831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200220360Y1 (ko) 공기 개폐장치와 공기 주입기가 부착된 배출구 마개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